You are on page 1of 241

제 출 문

본 보고서를 「WRC 국제주파수 분배를 대비한


전파관리 방안」과제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다.

2003 . 1 . 27.

연구책임자 : 류 충상 (전파자원연구과)
연 구 원 : 배 석희 (전파자원연구과)
석 재호 (전파자원연구과)
임 재우 (전파자원연구과)
김 남진 (전파자원연구과)
박 재수 (전파자원연구과)
연구보조원 : 김 의구 (전파자원연구과)

- 11 -
요 약 문

1. 과제명 WRC 국제주파수 분배를 대비한 전파관리 방안


[5㎓대역 주파수 이용방안 및 RFMS 전파모델 개선 대책]
2. 연 구 기 간 : 2002년 1월 1일 ∼ 2002년 12월 31일
3. 연구책임자 : 공업연구관 류충상
4. 계획 대 진도
가. 월별 추진내용

월별 추진일정
세부연구내용 연구자 비고
1 2 3 4 5 6 7 8 9 10 11 12
o 5㎓ 주파수 이용
방안 연구
- 5㎓대 전파환경
분석, 주파수간섭
및 공유기준 연구
- 5㎓대역 실내외
전파전달 모델 류충상
개발 배석희
- 5㎓대역에서 wire-
less1394 적용을 석재호
통한 무선서비스 임재우
환경 정합기술 개발
김남진
o RFMS 개선연구
- RFMS 전파전달 박재수
특성분석 알고리즘
개선방안 연구
o 국제 표준화
- IMT2000, 무선인
터넷,WRC-2003
국제 표준화 활동
분기별 수행진도 (%) 30 55 80 100

- 13 -
나. 세부 과제별 추진사항
1) 5㎓대역 주파수 이용방안 연구
o 5㎓대 주파수 이용방안에 대한 국제동향 분석 및 향후 우
리나라 주파수 활용 방안에 대한 자료조사 등(1회, 1명)
o 5㎓주파수 이용방안 연구협력팀" 구성(2.26)
o 5㎓주파수이용방안 자문위원회 개최(5.29)
o 5㎓ 국제 주파수 분배 관련 WRC-2003 준비 대응
o 5㎓ 주파수 대역 실험무선국 허가(5.29)
o 5㎓ 주파수 공유기준을 근거로 국내 주파수 공유방안 마련
o 5㎓대역 주파수 연구시스템 구축 완료(투자사업 완료)

2) RFMS 개선연구
o RFMS 세부 개선 요구사항 분석
o SG3 국제 표준화 활동
o RFMS 시스템 알고리즘 개선 관련 ITU 관련 권고 분석
o Wireless LAN 전파특성 알고리즘 관련 국제 동향 및 결정
사항 등을 파악
o 전파 스펙트럼관리 분야 국제 권고 및 기술보고서에 국내
입장 반영

3) IMT2000, 무선인터넷 및 WRC2003 국제 표준화


o 향후 전파통신총회(RA-2003)/세계전파통신회의(WRC-2003)
대비 등을 위한 국제회의 기고 (1회, 7명, 기고문 5편 등)
o IMT2000/Beyond IMT2000을 위한 3GPP2 표준화 동향
분석
o 무선인터넷 모바일 플랫폼 국내 표준화(TTA단체표준화) 활동

- 14 -
및 모바일 플랫폼 TTA 단체 표준 제정
o 모바일 플랫폼 3GPP 국제 표준화 추진

5. 연구 결과
1) 5㎓대역 주파수 이용방안 연구
o 5㎓대 주파수 이용방안에 대한 국제동향 분석 및 향후 우리나
라 주파수 활용 방안에 대한 자료조사 등(1회, 1명)
o 5㎓주파수 이용방안 연구협력팀" 구성(2.26)
- 위원장 : 전파자원연구과장, 자문위원회(위원장 : 홍대형 교
수), 사업전략팀, 주파수 공유기준팀, 주파수이용
계획팀으로 구성
o 5㎓주파수이용방안 자문위원회 개최(5.29)
- 각 팀별 상반기 연구결과 발표(공동회의(8회) 및 개별 팀 회
의(4회) 및 대외 W/S 개최(1회))
- 과제관리 : 위탁연구과제 중간발표 및 2.3㎓ 연구동향 초청세
미나
o 5㎓ 국제 주파수 분배 관련 WRC-2003 준비 대응
- ITU-R JRG 8A-9B(4.3), JTG4-7-8-9(4.30), APG-4(8.26) 대응
․지구탐사(능동)업무확장이 RLAN도입 저해 우려 표명
․FWA 도입에 대한 ASTAP 기고문에 대해 WRC의제 관련
APT 공동의견은 APG를 통해 조율토록 처리함
․향후 우리나라 5㎓ 대역을 이용한 WAS(Wireless Access
System)의 원활한 도입 및 상용화를 위한 효율적 주파수관
리 측면에서 draft group에서부터의 적극적인 의견 반영 등
(3회, 3명, 기고문 1편)
o 5㎓ 주파수 대역 실험무선국 허가(5.29)
- 허가내용 : 주파수(5180㎒), 출력(200㎽)

- 15 -
- 무선국수 : 연구소(5), KT(11), SKT(2), 서울이통(2),
두루넷(6), 삼성전기(11) 등 37국
o 5㎓ 주파수 공유기준을 근거로 국내 주파수 공유방안 마련
o 5㎓대역 주파수 연구시스템 구축 완료(투자사업 완료)

2) RFMS 개선연구
o RFMS 세부 개선 요구사항 분석
o 전파 전파 국제 표준화 활동
- SG3 WP3K의 무선 LAN 모델 관련 모델 단순화를 위한 권
고의 개정 추진(1회, 3명, 기고문 2편)
- SG3 WP3J의 강우감쇠분야에 강우강도 분포 변환에 대한
ETRI와의 공동 기고
o RFMS 시스템 알고리즘 개선 관련 ITU 관련 권고 분석
o Wireless LAN 전파특성 알고리즘 관련 국제 동향 및 결정사항
등을 파악
o 전파 스펙트럼관리 분야 국제 권고 및 기술보고서에 국내 입장
반영
- SG1회의 및 각 작업반 회의 의제 분석 및 대응방안 강구

3) IMT2000, 무선인터넷 및 WRC2003 국제 표준화


o 향후 전파통신총회(RA-2003)/세계전파통신회의(WRC-2003) 대비
등을 위한 국제회의 기고 (1회, 7명, 기고문 5편 등)
o IMT2000/Beyond IMT2000을 위한 3GPP2 표준화 동향 분석
o 무선인터넷 모바일 플랫폼 국내 표준화(TTA단체표준화) 활동 및
모바일 플랫폼 TTA 단체 표준 제정
- TTA의 IMT2000 프로젝트 산하 서비스 실무반 및 모바일 플랫
폼 분과 활동 : TTA 국내 표준화(1건)
- 무선인터넷 표준화 포럼의 모바일플랫폼 국내표준화(1건)

- 16 -
o 모바일 플랫폼 3GPP 국제 표준화 추진
- 컨텐츠 및 HAL 호환을 위한 공통 표준화 추진

6. 기대효과
o 5㎓대 주파수 이용 정책자료 제시
o 관련 산업체에서 5㎓대역을 이용한 무선접속망용 주파수
이용 자료로 활용 가능
o 5㎓대 주파수 이용 정책자료 제시와 5㎓대 주파수 할당의
기본자료로 활용
o 주파수의 효율적인 이용방안 제시
o RFMS 기능강화 방안을 통한 기능강화사업 추진
o 국제 표준화 활동을 통한 우리나라 국익보호

7. 기자재 사용 내역
보유 확보 비
시설․장비명 규 격 수량 용도
현황 방안 고
개인용컴퓨터 Pentium III 1㎓ 1 시뮬레이션 ○
Notebook Pentium III 650㎒ 1 측정 ○
GPIB Card PCMCIA type 1 측정 ○
Spectrum Analyzer HP8566B 1 측정 ○
Signal Generator Rohde&Schwarz SMP04 1 측정 ○
Antennas Monopole (4 dBi) 2 측정 ○
Vector Network HP8722D 1 측정 ○
Analyzer
Amplifier MODEL 20T4G18 1 측정 ○
20Watts 4.2-18㎓
Coaxial Cable 50Ω, 70Ω 4 측정 ○

- 17 -
SUMMARY

Recently, as demands for high-speed broadband wireless


multimedia services increase,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Bluetooth and Home RF based on IEEE 802.11 standard are
expected to play a major role in the next generation indoor wireless
communication. WLANs have been mostly used as a wireless
replacement for wired LANs in the office, public area, and hop spot.
Because of these possibilities, a great number of manufacturing
companies and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showed a great interest
in the technology.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ndoor and outdoor
broadband channel properties in advance in order to develop the
optimiz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deploy them. For a
while 2.4㎓ & 5,3㎓ band is assumed to be the most popular carrier
frequency band.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hese two bands for the
wide band characteristic and WRC-2003 issue.
With wide band characteristic, it is recommended by ITU that
each country must develop methods to manage the spectrum to
obtain the benefits of this natural resource each country, include
new frequency issue.
The Radio Frequency Management System(RFMS, Radio Propagation
Prediction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2000 and operated in
regional administrations, for facilitating national spectrum management
and monitoring in each radio administration office.
To improve the engineering function in the RFMS, We analysed
ITU-R propagation & diffraction loss models and also RFMS's
model. Then, We suggested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engineering technical process in the RFMS.

- 11 -
목 차

표 목 차 ···························································································· 23

그림목차 ······························································································ 26

서 론 ································································································ 31

제 1 장 5㎓대역 주파수 이용방안 연구 ········································· 35


제 1 절 5㎓대역 주파수 연구시스템 개발 ····························· 35

제 2 절 WRC-2003 및 ITU-R 대응 ···································· 87

제 2 장 5㎓대역 실내전파특성 연구
제 1 절 연구배경 및 범위 ······················································ 93

제 2 절 무선LAN 기술 검토 ················································· 95
제 3 절 실내 무선채널 파라미터 ·········································· 98

제 4 절 전파특성 실험 및 결과 분석 ································ 102

제 3 장 5㎓ 대역 실외 전파 특성
제 1 절 실외 전파특성 개요 ················································ 115

제 2 절 실외 무선채널 파라미터 ··········································· 132

제 3 절 측정 및 분석 ··································································· 141

제 4 절 WRC-2003 대응 및 ITU-R 활동 ······························· 159

- 21 -
제 4 장 RFMS 傳播예측 알고리즘 개선방안 ······················· 167
제 1 절 ITU-R 권고 P 시리즈에 나타난 傳播예측

모델 분석 ········································································ 167

제 2 절 RFMS 傳播예측 알고리즘의 기능적 분석과

강화방향 ···································································· 179

제 3 절 ITU-R SG3 전파분석 연구동향 및

예측모델의 변화 ····················································· 191

제 5 장 RFMS(전파관리 시스템) 기능강화 방안 ·············· 197


제 1 절 RFMS의 운용기능 분석 ·············································· 198

제 2 절 체신청 기술심의를 위한 업무 분석 ··························· 206

제 3 절 업무중심의 RFMS 기능강화 방안 ····························· 212

제 4 절 소프트웨어 중심의 RFMS 기능강화 방안 ················ 224

- 22 -
표 목 차

표 1-1. 5㎓ UNII 대역 ······································································· 36

표 1-2. 5㎓ 표준 기술 동향 ······························································ 36

표 1-3. IEEE 802.11 서비스 종류 및 기능 ··································· 39


표 1-4. 전송 속도와 변조 방식 ························································ 44

표 1-5. Data rate dependent parameter ········································ 52

표 1-6. Data rate dependent parameters ······································ 53


표 1-7. Data rate dependent parameters ······································ 64

표 1-8. Viterbi decoder의 사양 ························································· 65

표 1-9. AP의 인터페이스 ·································································· 77


표 1-10. 전기적 특성 ·········································································· 78

표 1-11. RPI 값 ··················································································· 80

표 1-12. 전기적 특성 ·········································································· 82


표 1-13. Quality Class ······································································· 86

표 2-1. IEEE 802.11b의 지원 가능한 전송률 ······························· 96

표 2-2. IEEE 802.11a의 지원 가능한 전송률 ······························· 97


표 2-3. 수신 전력 및 전력 지연 프로파일 측정 시스템 사양 ·· 104

표 2-4. Throughput 측정 시스템 사양 ········································ 106

- 23 -
표 3-1. 물리적 운용 환경에 대한 전파 손실 요인 ···················· 116

표 3-2. 전파 환경에 따른 이동국 속도 ········································ 117

표 3-3. 단거리 전파환경에서의 셀 유형 ······································ 117


표 3-4. 도로의 유효 높이, hs(고밀도 트래픽) ···························· 123

표 3-5. 도로의 유효 높이, hs(저밀도 트래픽) ···························· 123

표 3-6. Building entry 손실의 예 ················································· 130


표 3-7. 다양한 입사각에서의 석재 블록 벽에 의한 손실 ········ 130

표 3-8. 경로 손실 측정 장비 구성 ················································ 147

표 3-9. PDP 측정 장비 구성 ·························································· 149


표 3-10. AOA 측정 장비 구성 ······················································ 150

표 3-11. PDP 모델 파라미터 ·························································· 155

표 3-12. 측정 환경 채널 모델 파라미터(RDS, CB) ·················· 158


표 3-13. 실외 환경 채널 모델 파라미터(AS) ····························· 158

표 3-14. 미국의 5㎓ 대역 주파수의 이용 현황 ·························· 161

표 3-15. 유럽의 주파수 이용 현황 ················································ 162


표 3-16. 일본의 주파수 분배 현황 ················································ 162

표 3-17. 5㎓ 대역 주파수 분배를 위한 ITU-R 합의 사항 ··········· 163

표 4-1(A) 지상업무 [HF 대역 중심] ············································ 168

표 4-1(B) 지상업무 [VHF/UHF 대역 중심] ······························· 170

표 4-1(C) 지상업무 [V/UHF, S/EHF 이상 대역 중심] ············· 173


표 4-2 위성업무 [UHF/SHF/EHF 대역 중심] ····························· 177

표 4-3 RFMS에 포함된 전파의 경로손실 모델의 기능 ··········· 180

- 24 -
표 4-4 RFMS 경로손실 모델의 적용범위 ··································· 181

표 4-5 작은 셀이나 마이크로셀 예측모델들의 비교 ················· 183

표 4-6 일반적인 경로손실 모델에서 고려되는 파라미터와


전파현상 ················································································· 184

표 4-7 RFMS에 포함된 회절손실 모델의 기능 ························· 186

표 4-8 RFMS 회절손실 모델의 적용범위 ··································· 187


표 4-9 RFMS 지역특성에 따른 특성감쇠값 ······························· 188

표 4-10 최소 수신 전계강도 산출식(훈령 제7조 관련) ············ 190

표 4-11 電波의 傳播과정에 영향을 주는 환경영향들 ··············· 192


표 4-12 권고 P.1546에 통합된 P.370, P.529, P.1146과의

비교 ······················································································· 193

표 4-13 광대역화에 따른 ITU-R 전파예측 모델의 비교 ········ 195


표 4-14 업무중심의 ITU-R 전파예측모델 비교 ························ 196

표 5-1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무선국관리) ······························ 214

표 5-2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전파분석관리) ·························· 215


표 5-3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혼신분석관리) ·························· 218

표 5-4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국내월경분석관리) ·················· 219

표 5-5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안테나 관리) ···························· 220

- 25 -
그 림 목 차

그림 1-1. IEEE 802.11 architecture ················································ 38


그림 1-2. IEEE 802.11의 상태변수 값과 관련 상태 천이 ········· 40
그림 1-3. IEEE 802.11 sublayers & interfaces ··························· 41
그림 1-4. Backoff procedure ···························································· 42
그림 1-5. RTS/CTS/DATA/ACKand NAV setting ·················· 43
그림 1-6. Transmission of a multiple-fragment
MSDU using SIFS ···························································· 44
그림 1-7. PPDU 구조와 symbol 전송 ··········································· 45
그림 1-8. 물리계층의 구조 ································································ 45
그림 1-9. RF의 구조 ·········································································· 48
그림 1-10. OFDM 무선전송 방식의 구조 ····································· 49
그림 1-11. IEEE 802.11a Scrambler 구조 ····································· 50
그림 1-12. Convolutional encoder (k=7) ······································· 51
그림 1-13. BPSK mapping ······························································· 54
그림 1-14. QPSK mapping ······························································· 54
그림 1-15. 16 QAM mapping ·························································· 55
그림 1-16. 64 QAM mapping ·························································· 55
그림 1-17. Guard insertion된 신호 ················································· 57
그림 1-18. Interpolator 블록도 ························································· 57
그림 1-19. Upsampling후의 신호의 spectrum ( f s = 20MHz ) ··········· 58
그림 1-20. Decimator 블록도 ··························································· 59
그림 1-21. Downsampling with prefiltering to avoid
aliasing ( f s = 20MHz ) ···························································· 59

- 26 -
그림 1-22. Long 패턴의 시간 축 파형 ·········································· 60
그림 1-23. Long 패턴의 correlation 특성 ····································· 61
그림 1-24. Guard remove된 신호 ··················································· 62
그림 1-25 Viterbi decoder 블록도 ·················································· 65
그림 1-26. 등화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BER
곡선(AWGN환경) ·························································· 67
그림 1-27. 등화기를 사용한 경우 BER
곡선(AWGN 환경) ························································ 68
그림 1-28. Multipath fading channel model의 channel impulse
response (rms delay=50ns) ········································· 69
그림 1-29. RMS delay가 50ns인 multipath channel 환경에서
등화기를 사용한 경우의 BE ········································· 70
그림 1-30. RMS delay가 50ns인 multipath channel 환경에서
등화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BER ····························· 70
그림 1-31. AWGN 환경하에서 BER과 PER(fixed point C
simulation) ······································································· 72
그림 1-32. AWGN 환경하에서 BER과 PER(floating point C
simulation) ······································································· 73
그림 1-33. RMS delay가 50ns인 multipath channel 환경에서
fixed point C model의 BER과 PER ························· 74
그림 1-34. Multipath channel환경에서 BER과 PER
(RMS delay =50ns, floating point C) ······················ 75
그림 1-35. 5㎓ 주파수 연구 시스템의 구조 ·································· 76
그림 1-36. 5㎓ 주파수 연구 시스템 중심국, 기지국 장치 ········· 77
그림 1-37. DSF 동작 원리 ······························································· 79
그림 1-38.. 5㎓ 주파수 연구 시스템 NIC ····································· 81

- 27 -
그림 2-1. 생활관 2층 평면도 및 측정점 위치 ···························· 102
그림 2-2. 수신 전력 측정 시스템 구성도 ···································· 103
그림 2-3. 전력 지연 프로파일 측정 시스템 구성도 ·················· 104
그림 2-4. Throughput 측정 시스템 구성도 ································ 105
그림 2-5. 측면 복도에서 2.4㎓ 및 5.3㎓ 대역 층간 수신 전력 ···· 109
그림 2-6. 중앙 복도에서 2.4㎓ 및 5.3㎓ 대역 층간 수신 전력 109
그림 2-7. Room에서 2.4㎓ 및 5.3㎓ 대역 층간 수신 전력 ····· 109
그림 2-8. 측면 복도에서 2.4㎓ 및 5.3㎓ 대역 층간 RMS 지연 확산 ··· 110
그림 2-9. 중앙 복도에서 2.4㎓ 및 5.3㎓ 대역 층간 RMS지연확산 ··· 110
그림 2-10. Room에서 2.4㎓ 및 5.3㎓ 대역 층간 RMS 지연 확산 ·· 110
그림 2-11. 2층에서 지역별 IEEE 802.11a 무선 LAN 성능 ···· 112
그림 2-12. 2층에서 지역별 IEEE 802.11b 무선 LAN 성능 ···· 112
그림 2-13. 1층에서 지역별 IEEE 802.11b 무선 LAN 성능 ···· 112
그림 2-14. 측면 복도에서 IEEE802.11b/a 층간 Throughput ·········· 113
그림 2-15. 중앙 복도에서 IEEE802.11b/a 층간 Throughput ·· 113
그림 2-16. Room에서 IEEE802.11b/a 층간 Throughput ··········· 113

그림 3-1. 도심지의 전형적인 전파경로 ········································ 118


그림 3-2. NLOS1 경로 파라미터 ·················································· 119
그림 3-3. NLOS2 경로 파라미터 ·················································· 120
그림 3-4. PDP의 예 ·········································································· 134
그림 3-5. 실내 환경에서의 AOA ·················································· 136
그림 3-6. 신호 레벨 측정 시스템 ·················································· 142
그림 3-7. PDP 측정 시스템 ···························································· 143
그림 3-8. 경로 손실 측정 환경 ······················································ 144

- 28 -
그림 3-9. 다중경로 특성 측정 환경 ·············································· 146
그림 3-10. 경로 손실 측정 송․수신단 ········································ 147
그림 3-11. 거리에 따른 신호 레벨 ················································ 148
그림 3-12. 측정 환경에서의 PDP 특성 ········································ 150
그림 3-13. 측정 환경에서의 AOA 특성 ····································· 152
그림 3-14. 측정데이터와 COST 231 모델의 비교 ···················· 153
그림 3-15. 측정 데이터와 모델의 비교 ········································ 154
그림 3-16. 측정값과 모델의 비교 ·················································· 156
그림 3-17. 미국의 5㎓ 대역 주파수 분배 현황 ·························· 160
그림 3-18. 유럽의 주파수 분배 ······················································ 162

그림 4-1(A) 지상업무 [HF 대역 중심] ········································ 169

그림 4-1(B) 지상업무 [VHF/UHF 대역 중심] ··························· 171


그림 4-1(C) 지상업무 [V/UHF, S/EHF 대역 이상 중심] ········· 174

그림 4-2(A) 장기간 간섭전파 메커니즘 구조 ···························· 175

그림 4-2(B) 비정상적인(단기간) 간섭전파 메커니즘 구조 ······ 176


그림 4-3 위성업무 [UHF/SHF/EHF 대역 중심] ······················· 178

그림 4-4 RFMS상에서의 傳播분석 흐름도 ································· 179

그림 4-5 電波의 傳播 과정에서의 물리적 메커니즘 ················· 191

그림 5-1 RFMS(전파분석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구성도 ················································································· 199


그림 5-2 RFMS(전파분석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도 ·········· 199

그림 5-3 RFMS의 전체적인 기능 구성도 ··································· 200

- 29 -
그림 5-4 RFMS "P1.0 전파분석관리" 기능의 주요 메뉴 ········ 201

그림 5-5 RFMS "P2.0 스펙트럼분석관리(혼신, 간섭관리)"

기능의 주요 메뉴 ····························································· 203


그림 5-6 RFMS "P7.0 분석정보관리" 기능의 주요 메뉴 ········ 204

그림 5-7(A) 각 체신청의 기술심의 단계 ···································· 207

그림 5-7(B) 각 체신청의 기술심의 단계 ····································· 207


그림 5-7(C) 각 체신청의 기술심의 단계 ····································· 208

그림 5-8 WIZARD의 path profile ················································· 226

그림 5-9 Agilent WIZARD GSM 데모 프로젝트 ····················· 227


그림 5-10 AWE사에서 개발되는 WinProp 전파예측

프로그램 구조 ·································································· 228

그림 5-11 PropMan에서 적용되는 프로젝트의 예(output) ······ 229


그림 5-12 PropMan에서 적용되는 프로젝트의 예(예측모델) ··· 230

그림 5-13 Ray-optical 모델과 COST231 WI 모델간의

전이과정 도식 ································································· 231


그림 5-14 PropMan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본적인 Report 양식 ············ 232

그림 5-15 WinProp의 각 모델에서 계산되는 경로손실 비교 ··· 232

그림 5-16 WLL설계에서 제공하는 각 지점간 link 상황 ········· 233


그림 5-17 DTM 데이터 위에 전파분석을 한 예 ······················· 236

그림 5-18 Net-Spider의 주요 기능과 개략적인 흐름도 ·········· 237

그림 5-19 알맵 b1.1의 지형정보 처리화면 ································· 240


그림 5-20 지형정보중 건물의 특성점을 줄인 효과적인

화면처리 ··········································································· 241

- 30 -
서 론

정보통신부와 전파연구소에서는 5㎓ 대역의 새로운 주파수 분배에 대한


국내․외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초고속 무선서비스가 가능한 5㎓대역의 주파
수 이용방안을 2001년도부터 체계적으로 연구 수행해 오고 있다. 이에 전파
연구소에서는 산․학․연․관의 관련 전문가를 중심으로 『5㎓대역 주파수
이용연구 전담반』을 결성하였으며, 전담반 운영 등의 세부사항을 한국전파
진흥협회를 통하여 수행토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대역의 주파수 이용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국내외적인 우리소 활동사항과 활동사항 중 크게 5㎓
대 주파수 연구시스템 개발관련 국내 주파수 이용방안 마련을 위한 공유기
술 분석, 검증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국내 대응사항을 국제주파수 분배에
반영키 위한 ITU-R 및 WRC 대응활동도 수행하였다.
현재까지 상용화된 무선 LAN의 대표적인 예는 IEEE 802.11 규격 시스템
으로서 2.4㎓대의 ISM 밴드에서 최대 11Mbps의 전송률을 지원하며, 최근에
는 54Mbps까지 가능한 IEEE 802.11a 규격 시스템이 출시되어 본격적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광대역 데이터의 전송이 필수적이며
협대역 시스템과는 달리 심볼간 간섭(ISI)이나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과 같은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특성은 시스템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며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를 크게 좌우하는 것은 채널의
특성이기도 하다. 다시 말하면 주파수가 변하면 그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특성도 따라 변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채널 예측 방법들은 대부분 실외에서 협대역 시스템에 대한 모
델들로 각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에 대한 특성만을 고려함으로써 실제 광대역
채널을 구성하는 각 주파수 성분에 의한 채널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
다. 따라서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대역에서의 채널 특
성 파악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두 대역에
서의 채널 특성 파악을 위해 실내 전파 환경과 같이 지역 특성이 강하게 영향
을 미치는 환경에 대해 차세대 실내 무선 통신으로 떠오르고 있는 IEEE
802.11 기준의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반송파 주파수 대역

- 31 -
인 2.4㎓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 및 5.3㎓ 대역에서 실내
무선 채널에 대한 광대역 채널 특성 및 IEEE 802.11b/a 규격의 무선 LAN에
대한 성능분석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현재 무선랜 서비스에는 크게 2.4㎓, 5㎓대역과 19㎓ 대역 등이 사용 또는
사용 예정으로 있으며 일반적으로 IEEE 802.11b 표준안에 따라 2.4㎓ ISM대
역을 이용하는 시스템과 IEEE 802.11a/g/h 표준안을 따라 5㎓로 대표되는
시스템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중 2.4㎓를 사용하는 IEEE 802.11b 시스템
은 이미 표준화 및 상용화가 완료되어 현재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 대역의 무선랜은 1M∼10 Mbps의 전송속도로, 스펙트럼 확산 방식을 채
용하고 있어 동시에 많은 컴퓨터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전송 속도면에서 미래의 전송 방식으로 이용되기에
는 부족하다. 다시 말하면 2.4㎓를 이용하는 블루투스와 같은 서비스가 광범
위하게 이용될 경우 주파수내의 잡음 증가로 인한 성능 저하가 필연적인 상
황이다. 이에 대해 보다 빠른 속도의 요구로 인해 향후 무선랜 서비스는 최
대 54Mbps이상의 데이터 전송속도 구현이 가능한 5㎓ 대역으로 대체될 것
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의 동향에 맞추어 차세대 무선랜 서
비스 대역인 5㎓ 시스템을 위한 전파 특성을 2장에서 알아보았다.
무선랜 서비스의 품질향상과 비용 절감을 위해서는 전파 특성을 예측할
수 있는 전파 채널 예측 모델이 요구되는데 기존의 전파 채널 모델링은
PCS와 셀룰라 그리고 IMT-2000과 같은 매크로셀 환경에서 많이 제시되어
왔으나, 마이크로셀 또는 피코셀의 경우에는 그 지역적 특성에 기인하여 그
연구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에 맞추어 본 보고서에서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5㎓ 대역 무선랜 서비스의 전파 채널 예측 모델을 다루었다.
무선랜 서비스의 전파 채널 특성 분석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은 시스템의 광
대역 시스템에서 중요시되는 다중 경로 특성과 서비스 커버리지에 관계된
수신 강도로 구분할 수 있다. 다중 경로 특성으로는 PDP(Power delay
profile)와 이를 통해 구해지는 RDS(Root mean square delay spread)와
CB(coherence bandwidth), AOA(angle of arrival)와 이를 통해 구해지는
AS(angular spread)가 있다. 제 3 장에서는 이러한 실외 무선채널 파라미터
를 갖는 5㎓ 대역 전파의 일반적 특성 및 실외 전파 특성의 개요에 대해 알

- 32 -
아보았으며 파라미터 측정 장비 구성 및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서
비스 커버리지를 결정하기 위한 신호 수신 강도와 광대역 신호 전송을 위한
다중 경로 특성을 측정하여 통계적 모델을 이용한 모델링 결과를 분석하였
다. 측정 환경은 실제 무선랜 서비스 지역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은 환경의
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곳으로 선정되었다. 더불어 다양한 측정 환경에서의
측정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파 채널에 대한 통계적 모델도 보였다.
우선 거리에 따른 파워 레벨 측정을 바탕으로 하여 5㎓에서의 경로 손실
모델을 제시하여 서비스 커버리지를 결정할 수 있는 모델을 구해, 측정된 광
대역 파라미터인 PDP를 통계적 모델로 예측하였다. 공간 특성인 AOA는 각
도별 수신 강도를 바탕으로 하여 측정, 분석하였다. 그리고, PDP와 AOA로
부터 채널 모델 파라미터인 RDS, AS를 구해보고 이러한 파라미터의 통계값
을 제시하여 환경별 RDS, AS를 분석하였다.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5㎓대역 주파수 이용에 대한 정책적 이슈와 함께


기존 운영되고 있는 전파관리시스템의 현대화와 과학화가 중요한 사항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서비스의 대중화 및 보편화에 따라 오늘날 전
파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른 국가 고유의 기능인 스펙트럼관
리의 효율적 운용관리기술이 무엇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보통신부는 전파이용 관리에 대한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기
존 전파관리체계에서 구축하기 어려웠던 지형정보에 기반을 둔 전파관리시
스템(일명 RFMS)을 개발하게 되었다. 총 106.8억을 투입되어 1999년부터
2000년까지 약 1년 5개월 동안 진행되었던 이 사업은 V/UHF대역(30㎒에서
3㎓)을 중심으로 각 체신청의 기술심의업무를 위한 지원시스템에 초점을 맞
추어 개발되었다.
RFMS의 주요기능으로는 현재 시스템 메뉴 표현상 傳播분석 기능, 스펙트
럼분석, 월경분석 기능 등이 있다. 傳播분석 기능은 허가신청시 무선국에 대
한 정보관리와 전파도달 및 전파경로 산출기능을 가지며, 스펙트럼 분석 기
능은 傳播분석 결과를 기초로 전파혼신 등을 분석하여 허가 신청 무선국에
최적의 주파수 지정한다. 또한 월경분석 기능은 국내 무선국의 전파가 월경
과 일본, 중국, 북한지역 등에 대한 인접국으로의 국외 월경분석 기능을 가

- 33 -
지고 있다.
그러나 전국적인 지형정보 DB는 잘 구축되었지만 체신청 업무를 위해서
는 보다 정확한 전파분석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정확한 기준이 부
족한 관계로 전파예측을 연구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비교 분석에 필요한 도
구는 될 수 있으나 업무에 활용하고 있는 체신청 기술심의자에게는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다. 체신청의 기술심의자의 경우 관련 업무 처리결과에 따른
책임을 명쾌하게 하기 위해 보다 정확한 기술심의결과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 따라서 RFMS를 이용하여 처리된 결과가 과학적인 근거자료로서 충분한
역할을 해야하는 상황이며 정확하고 신속한 업무로서의 지원도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업무의 변동에 의한 신규자의 경우 정확한 운용지침이나 지식관
리적인 노하우의 전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RFMS의 내부기능 중
전파분석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높이고 신뢰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
하여 보았다.
먼저 ITU-R 권고 P. Series에 나타난 전파예측 모델의 분석과 주파수 대
역별 알고리즘 개선방안 제시를 통해 RFMS의 알고리즘을 체계적으로 분석
하였다. 이와 함께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ITU-R SG3의 국제동향과 예
측모델의 변화도 함께 고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체신청 관계자들의 RFMS
활용 극대화 요구와 향후 일반 이용자에게도 지원되어야할 전파이용센터 설
립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RFMS 시스템에서의 전파분석의 문제점과 기
능강화 추진계획, 그리고 업무중심의 기능방안과 소프트웨어 중심의 기능방
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 34 -
제 1 장 5㎓대역 주파수 이용방안 연구

본부[정보통신부]와 우리소[전파연구소]에서는 5㎓ 대역의 새로운 주파수


분배에 대한 국내․외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초고속 무선서비스가 가능한 5
㎓대역의 주파수 이용방안을 2001년도부터 체계적으로 연구 수행해 오고 있
다. 이에 우리소에서는 산․학․연․관의 관련 전문가를 중심으로 『5㎓대역
주파수 이용연구 전담반』을 결성하였으며, 전담반 운영 등의 세부사항을 한
국전파진흥협회를 통하여 수행토록 하였다. 본 장에서는 5㎓대역의 주파수
이용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국내외적인 우리소 활동사항을 중심으로 기술하
였다. 활동사항 중 크게 5㎓대 주파수 연구시스템 개발과 국내 주파수 이용
방안 마련을 위한 공유기술 분석 및 검증실험 수행과 이러한 국내 대응사항
을 국제주파수 분배에 반영키 위한 ITU-R 및 WRC 대응활동을 기술하였다.

제 1절 5㎓대 주파수 연구시스템 개발

1. 시스템 개요
최근 2.4㎓ ISM(ISM: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과 유사한
성격의 비허가 대역 (UNII: Unlicensed Nation Information Infrastructure)을
5㎓ 대역에 할당함에 따라 5㎓ UNII 대역에 대한 연구, 개발 및 표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5㎓ 대역은 이동성과 광대역 접속을 모두 필요로 하
는 기업 네트워킹 및 hot spot 접속을 중심으로 수요가 커질 것으로 예상이
된다. 이에 따라 5㎓ 대역에서의 광대역 무선 LAN이나 광대역무선전송
(BWA: Broadband Wireless Access)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5㎓ 대역에 대한 표준화는 표1-1과 같이 IEEE 802, ETSI BRAN,
BWIF (Broadband Wireless Internet Forum) 및 OFDM Forum에서 진행되
고 있으며, 5㎓ UNII 대역은 크게 표 1-1과 같이 구분하고 있다.

- 35 -
표 1-1 5㎓ UNII 대역

Band I 5.150 ㎓ - 5.250 ㎓

Band II 5.250 ㎓ - 5.350 ㎓

Band III 5.725 ㎓ - 5.825 ㎓

5㎓ 대역의 광대역 무선 LAN 구현을 위해 북미의 IEEE 표준협회에서는


1999년 IEEE 802.11a 규격을 완성하였고, 유럽통신표준협회(ETSI)에서 2000년
5월 HIPERLAN/2 표준을 확정 발표하였으며, WAN 분야에서도 역시 ETSI의
HIPER-ACCESS와 IEEE 802.16 등의 표준화가 진행 중에 있어 조만간 상용
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이 되며, 5HGz 표준 기술 동향은 표 1-2와 같다.
현재 한국에서는 UNII 대역의 Band III에 해당하는 5.725∼5.825㎓ 대역이
소출력 무선 LAN 용으로 할당되어 있으며 Band I, Band II 및 5.4㎓ 대역의
활용 및 할당이 논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5㎓ 대역을 이용한 광대
역 무선 전송 및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위해서 5㎓ 대역에 대한 무선전송
기술의 분석 및 성능평가, 전파특성과 무선망 설계 기술의 분석, 적합한 무
선접속 프로토콜에 대한 기술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5㎓ 대
역의 광대역무선전송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은 큰 의미를 있는 것으로 여겨
진다.
표 1-2 5㎓ 표준 기술 동향

- 36 -
가. IEEE 802.11 MAC 개발
IEEE 802.11은 근거리 지역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자동화된 기계나 단말
장치들 간의 무선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규격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들을 포
함한다.
- Ad hoc 또는 Infrastructure 망 내에서 동작하는 IEEE 802.11 호환 장
치들이 가져야 할 기능과 서비스
- 비동기MAC service data unit(MSDU)의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
한 MAC 절차들의 정의
- IEEE 802.11 MAC에 의해 control되는 PHY signaling technique과 인
터페이스 기능
- 다수의 중첩되는 802.11 무선 LAN 망 내에서의 운용 방법
- 무선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의 보호를 위한 절차 및 IEEE 802.11
기반 장비들간의 인증을 위한 절차

IEEE802.11망은 BSS(basic service set), NIC(NICtion), AP(access point),


DS(distribution system) 그리고 ESS(extended service set) 등의 요소들로
구성된다. 그림 1-1은 이러한 요소들과 요소들 간의 상호 관계를 보인 것이
다. 먼저 BSS는 802.11 LAN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써 통화 영역 내에 위
치하여 서로 통신하는 NIC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특히IBSS(independent
BSS)는 그 중에서도 가장 간단한 형태이며 IBSS 내의 NIC들은 AP의 중개
가 없이 상호간에 직접 통신을 하는 형태를 ad hoc 네트워크라 한다. BSS와
다른 BSS간의 연결은 AP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서로 다
른 BSS간에 연결하는 것을 DS(distribution system)라 한다. 그림 12에서
BSS1의 NIC가 BSS2의 NIC로 데이터를 보내려면 반드시 AP를 거쳐야만
한다. IEEE802.11 망은 DS를 통해 BSS가 임의의 크기로 확장 가능하게 한
다. 이러한 형태의 네트워크를 ESS라고 하며, 하나의 ESS 내에 소속된 NIC
가 BSS1에서 BSS2로 이동하더라도 LLC(logical link control) 이상의 계층
은 아무런 변화 없이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 37 -
ESS
BSS1

ST A1
802.11 M AC /PH Y

ST A2

SS DS
AP
DSS

DSS
AP
DSS STA3

P ortal 802.11 M A C /PH Y


STA4

SS
802.x LAN
BSS2

그림 1-1 IEEE 802.11 architecture

다음은 그림 1-1에 나타난 각 요소들에 대해 간략히 정리한 것이다.


- NIC : IEEE802.11 PHY와 MAC을 지원하는 무선 단말
- AP(Access Point) : 무선 단말이 직접 통신할 수 없는 지역의 단말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 역할을 수행
- SS(Station Service) : BSS 내의 단말들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
는 기본 기능
- BSS(Basic Service Set) : 하나의 CF(Coordination Function)에 의하
여 운용되는 단말들의 집합으로서 하나의 단말이 채널 관리를 담당
- DSS(Distribution Service Set) : 각각의 단말이 경쟁적으로 채널에
접근하여 중재자가 없는 방식
- Portal : 무선 802.11 LAN이 기존 802.x 유선 LAN과 연동하고자 하
는 경우에 연동 기능을 담당하는 장비
- ESS : BSS들의 집합 혹은 유선 LAN과의 연동을 통하여 연결된
BSS들의 집합을 의미

- 38 -
나. IEEE 802.11 Services
IEEE 802.11에서는 모두 9 종류의 서비스를 정의하고 있다. 이들 중 6개는
NIC들 간의 MSDU 전송을 지원하는데 쓰이고, 나머지 3개는 802.11 LAN에
의 access 및 보안 control을 위한 것이다. 표 1-3은 IEEE 802.11 서비스의
종류를 정리한 것이다.

표 1-3 IEEE 802.11 서비스 종류 및 기능

구 분 서비스 기능
스테이션 상호간의 식별 확인을 위한 서비스
Authentication
(스테이션간 접속을 위한 authority 검사)
의도적인 채널 모니터링으로부터 송수신되는
Privacy
데이터를 감추기 위한 서비스
Disassociation Association의 해제 서비스

Distribution DS간에 MSDU를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Integration 802.x LAN과의 상호 운용 서비스

Reassociation 현재의 AP에서 다른 AP로 이동하는 서비스

하나의 NIC는 두개의 상태 변수(authentication State, association State)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상태를 가질 수 있다.
- State 1 : 초기 상태로서 Unauthenticated/Unassociated
- State 2 : Authenticated/Unassociated
- State 3 : Authenticated/Associated

NIC는 자신의 상태에 따라 표 13에 표시된 서비스들의 지원 범위를 결정하


게 된다. 그림 1-2는 각 상태별 지원 서비스의 범위와 상태 천이 과정을 나
타낸다.

- 39 -
Class 1 State 1:
Frames Unauthenticated,
Unassociated DeAuthentication
Notification

Successful DeAuthentication
Authentication Notification

Class 1 & 2 State 2:


Frames Authenticated,
Unassociated

Successful
Disassociation
Association or
Notification
Reassociation

Class 1,2 & 3 State 3:


Frames Authenticated,
Associated

그림 1-2 IEEE 802.11의 상태변수 값과 관련 상태 천이

그림 1-2에서 상태간에 천이는 authentication/association이 수행될 때 이루


어지며, '[Class x Frames]`는 해당 상태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관리
그리고 제어 프레임을 지칭한다. 따라서 단말간의 직접 통신만이 요구되는
경우는 'state 2' 수준에서 지원이 가능하며, 직접 통신이 불가능한 단말간의
통신이 요구되는 경우는 distribution service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
여 AP와의 association을 통한 'state 3'로의 천이가 요구된다.

o Sublayers and Interfaces


IEEE 802.11은 언급된 기능들과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그림 14와 같은
계층 구조와 계층간 인터페이스를 갖고 있다. 즉, 물리 계층에서는 실질적인
물리 전송 기능을 담당하는 PMD(Physical Medium Dependent) 부 계층과
이의 제어를 담당하는 PLNIC(Physical Layer Control Part) 부 계층, 그리고
이의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 계층으로 구성되고, MAC 계층은 데이터의 실질
적인 전송을 담당하는 MAC 부 계층과 이의 관리를 수행하는 관리 계층으
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계층간의 인터페이스는 그림 1-3에서 보여지는

- 40 -
SAP(Service Access Point)를 통하여 정의된다.

MAC_SAP

MAC Layer MLME_SAP


MAC MAC Sublayer
Management
NICtion
PHY_SAP PLME_SAP
Management

PLNIC Sublayer
PHY Layer
PLME_SAP
PHY Management
PMD_SAP
PMD Sublayer

그림 1-3 IEEE 802.11 sublayers & interfaces

o DCF 운용방식
802.11 MAC (Medium Access Control)의 기본 방식인 DCF(Distributed
Control Function)는 CSMA/CA에 기반으로 한다.

1) Basic Access
DCF 기본 동작은 NIC가 언제 프레임을 전송할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DCF의 동작은 가장 기본적인 IEEE 802.11 노드의 운용방식으로서 DIFS의
시간동안 채널이 사용되지 않거나, 수신한 프레임의 에러 검출 후 EIFS의
시간이 지난 후에 이루어 진다.

2) Backoff Procedure
백 오프는 프레임을 전달하고자 하는 노드가 채널이 사용중임을 검출하거나,
전송의 실패가 검출되는 시기에 발생한다. DIFS 혹은 EIFS의 시간이 지나
는 동안에 채널이 사용 중이지 않으면, 노드는 앞서 랜덤 시간을 구한 후 이
시간동안의 랜덤 백 오프를 수행한다. 랜덤 백오프 시간 동안에 채널의 사용
이 검출되지 않고, 채널이 사용 중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될 때 프레임의 전
송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된 프레임 전송 예제가 그림 1-4에 나타나 있다.

- 41 -
DIFS

CW indow
Station A Fram e

Defer Backoff
Station B Frame

Defer CW indow
Station C Frame

Defer CW indow
Station D Frame

Defer CW indow
Station E Frame

CW indow = Contention W indow

= Backoff
= Rem aining Backoff

그림 1-4 Backoff procedure

그림 1-4에서 볼 수 있듯이 처음에 A 노드가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경우 노드 B/C/D는 전송할 프레임이 있으나 채널 사용이 검출되었
으므로 defer 상태로 들어간다. 채널의 사용이 DIFS 동안 없는 것으로 검출
될 경우 노드B/C/D는 각각의 CW 값을 가지고 랜덤 백 오프 한다. 이때 예
제 상에서는 C노드가 가장 작은 CW 값을 가지므로 전송이 이루어지고, 다른
노드들은 다시 defer/DIFS/back-off의 시퀀스에 따라 backoff를 수행한다.
DCF의 방안에서 한가지 주의할 사항은 프레임을 전송한 노드의 경우 다음
프레임이 이미 buffering 되어 있어도 다시 채널 접근을 위한 랜덤 백 오프를
수행한다는 점이다. 이는 다른 노드들과의 fairness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
안으로서 모든 노드가 동등한 권한으로 채널에 접근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다.

3) Recovery Procedure and Retransmit Limits


IEEE 802.11에서 프레임에 발생된 에러의 복구는 프레임을 전송한 노드에
의하여 검출되고 복구되어 진다. 따라서 재전송 절차는 오류의 검출 시에 구
동 되며 재전송 반복 횟수의 최대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 진다. 아울러
프레임의 재전송은 초기에 전송할 때와 동일한 절차를 따르므로 일반 프레
임들과 동일한 절차로 전달된다. 만약 재전송 반복 최대 횟수까지 재전송에
실패하는 경우는 해당 프레임의 전송을 포기하고 폐기한다.

- 42 -
4) Setting and Resetting the NAV
성공적으로 프레임을 수신하는 경우는 수신한 프레임의 채널 예약 시간 필
드를 보고 NAV 값을 갱신한다. NAV의 제어는 1 msec 단위로 이루어 진
다. 특히 NAV의 갱신은 수신한 NAV값이 현재 가지고 있는 NAV 보다 크
고 프레임의 수신 주소가 해당 노드의 프레임이 아닌 경우에 이루어 진다.
NAV를 이용하는 예제로서 RTS의 채널 예약 필드를 수신한 노드들과 이보
다 작은 CTS의 채널 예약 필드를 수신한 노드들의 NAV에 따른 동작이 그
림 1-5에 나타나 있다.

DIFS
RTS Data
Source

SIFS SIFS SIFS


CTS ACK
Destination

DIFS
NAV(RTS) Contention Window
Others
NAV(CTS)

Defer Access Backoff After Defer

그림 1-5 RTS/CTS/DATA/ACKand NAV setting

그림에서 나타나듯이, RTS/CTS를 수신한 노드들은 해당 msec 단위의 시간


동안 채널에 대한 접근을 수행하지 않는다. 아울러, NAV의설정은 송신노드
에서 이에 대한 응답 시간 등 모든 상황을 계산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5) Control of the Channel


본 항목에서는 하나의 긴 프레임이 여러 작은 부분들로 나뉘어져 전달되는
절차를 보여준다. 하나의 프레임이 여러 MPDU로 분할되어 전달되는 경우에
는 전달되는 프레임 마다 시퀀스 번호가 부여된다. 아울러 부분들이 모두 전
달될 때까지 연속적으로 SIFS 단위의 데이터 송신과 ACK를 수신한다. 이에
관련된 내용이 그림 1-6에 나타나 있다.

- 43 -
Fragment Burst
DIFS

SIFS SIFS SIFS SIFS SIFS PIFS

SIFS
Fragment 0 Fragment 1 Fragment 2 Backoff Window
Source

ACK 0 ACK 1 ACK 2


Destination

그림 1-6 Transmission of a multiple-fragment MSDU using SIFS

그림에서 나타나듯이 송신측은 분할된MPDU 프레임을 전달하고, 이를 수신


한 노드는 SIFS 시간 내에 ACK를 전달한다. ACK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송
신 단에서는 다시 연속적으로 분할된 프레임을 전달하게 된다.

다. IEEE 802.11a 물리 계층

802.11a 물리 계층은 5㎓ 주파수 대역에서 OFDM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지원되는 전송 속도와 변복조 방식은 표 1-4와 같다.

표 1-4 전송 속도와 변조 방식

MAC 모듈은 전송을 위해 표 1-4의 전송 속도 중 하나를 선택하여 PHY에 알려


준다. 물리계층 처리부에서는 알려진 값을 보고 그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변조

- 44 -
하여 symbol 단위로 전송을 하게 된다.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송신을 하는 경우
전송 속도는 바로 전의 수신 속도와 같다. 물리계층의 PPDU 구조는 그림 1-7과
같다. Signal 정보는 MAC 프레임에 전달되는 정보가 아니고 PHY의signal
symbol 부분에서 전달된다. 즉, signal symbol은 아래 그림과 같이 PLCP header
의 첫 24비트를 담고 있다. PLCP 헤더의 첫 4비트에 rate 정보가 들어 있다.

S1 S10 L1 L2 SIG D1 Dx T

Shot preamble Long preamble Signal Data Tail


symbols symbols symbol symbols

그림 1-7 PPDU 구조와 symbol 전송

o 물리계층 구조
그림 1-8은 BWA 시스템의 물리계층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Tx, Rx 및 RF
chain의 각 블록별 주요 기능을 보면 다음과 같다.

그림 1-8 물리계층의 구조

- 45 -
1) TX chain
Data scrambler의 기능은 입력 신호를 random화하는데 있다. 송신단에서 사
용되는 scrambler는 PN 부호 생성기에서 발생된 random bit열 (길이 127)과
입력 data열과의 xor연산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 진다. Encoder는
FEC(forward error correction)을 위하여Constraint length K=7
convolutional encoding과 RS encoding을 수행한다. 전송 속도에 따라
coding rate가 변경된다. Interleaver는 Convolutional encoding 및 RS
encoding에 의한 error정정능력을 개선하기 위해 OFDM symbol을 단위로
block interleaving을 수행한다. 연속된 code bit가 서로 다른 carrier에
mapping되도록 순서를 바꾸어 줌으로써, 수신시에 연속된 bit error가 나는
것을 방지한다. Pilot Addition은 하나의 OFDM symbol은 총 52개의
sub-carrier로 나누어져 전송되는데 이중 4개의 sub-carrier에는 Data 정보를
보내지 않고, 1 혹은 1로 고정된 기준 신호를 보내서 수신부에서 이를 이용
하여 채널 보상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pilot이라 한다. Signal
Mapper는 전송할 code bit의 조합을 각 sub-carrier에 실어보낼 modulation
symbol로 변환하는 block이다. Data rate에 따라 BPSK, QPSK, 16-QAM,
64-QAM이 선택되어 사용된다. IFFT는 Pilot과 Data symbol로 구성되어 있
는 Frequency domain의 전송신호를 64-point inverse FFT연산을 수행해서
time domain으로 변환하는 block이다. Guard insertion은 채널의 delay에 의
한 ISI등의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 IFFT에서얻어진 time domain 신호의 일
정 부분을 반복해서 전송하게 되는데 이 부분을 guard interval이라 하며 이
를 삽입하는 동작을 guard insertion이라 한다. Waveform shaping은 최종적
으로 Air로 방사되는 신호의 주파수 spectrum을 규격내로 맞추기 위한
baseband filtering 및 windowing을 수행한다. DAC는 analog baseband 신호
를 생성한다. I,Q 각각에 대하여 이루어진다. I/Q Modulator는 I,Q 신호를
carrier를 이용하여 complex 신호로 변환한다. HPA (High Power Amplifier)
는 RF신호를 요구되는 출력 power level로 증폭한다.

2) RX chain
LNA는 Antenna에서 수신된 신호를 적정 level로 증폭한다. AGC(Automatic

- 46 -
gain control)는 수신된 신호의 크기를 ADC하기 위한 적정 level로 증폭한
다. I/Q Demod는 수신된 신호를 baseband의 I및 Q신호로 분리해 내는
block이다. ADC는 I,Q baseband 신호를 각각 digital data로 변환한다.
Coarse Freq (Coarse Frequency offset 보상)은 수신부와 송신부의 clock의
frequency의 차이 때문에 수신된 baseband 신호의 위상이 일정한 frequency
로 계속 변하게 되는데 이를 frequency offset이라 한다. 정상적인 Data 복조
를 위해서는 이러한 frequency offset을 제거해야 하는데, 비교적 큰
frequency offset을 추정하고 보상하는 block이다. Short preamble을 이용하
여 frequency offset을 추정한다. Fine Freq (Fine Frequency offset 보상)부
는 Coarse Freq를 거친 신호에 남아있는 미세한frequency offset을 추정하고
보상한다. Long preamble을 이용하여 Coarse에 비해 긴 시간동안 추정함으
로써 추정 정밀도를 높인다. Symbol Sync부는 수신된 신호의 preamble특성
으로부터 OFDM symbol의 경계를 찾아내는 block이다. Guard Remove부는
송신 단의 Guard insertion에 대응해, 수신된 신호 중 guard에 해당하는 부
분을 제거하는 block이다. FFT는 Time domain신호를 64 point FFT 연산을
통해 frequency domain으로 변환한다. FFT를 수행하고 나면 총 64개의
sub-carrier의 complex symbol을 알 수 있는데 이중 Data및 Pilot에 해당하
는 52개의 symbol 을 이용하여 data를 복조해낸다. FEQ (Frequency domain
equalizer)는 수신된 신호는 전송 채널의 영향으로 위상 및 크기가 왜곡되어
있는데 이를 보상하는 block이다. Long preamble을 이용하여 전송 채널의
특성을 추정하고 이 추정치를 이용하여 Data symbol을 보정한다.
Residual Freq. (Residual Frequency offset 보상)는 잔류 주파수 offset보상
이다. Coarse및 Fine frequency offset 보상을 마친 후에도 일부 남아 있는
주파수 offset에 의한 영향을 보상하는 block으로 매 OFDM symbol에 포함
되어 있는 4개의 Pilot 신호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sub-carrier의 신호
를 보상한다. Signal Demapper는 각 sub-carrier의 complex symbol값을
modulation 방식에 따라 고정되어 있는 constellation point중의 하나에
mapping하고, 이로부터 code bit sequence를 추출해낸다. De-interleaver는
송신 단의 interleaver에 의해 재배열되어 있던 code bit sequence를 다시 원
래대로 복원한다. Decoder는 송신 단의 encoding 방식에 대응하는 decoding

- 47 -
동작을 수행한다. 이 동작을 수행하고 나면 송신 단의 scrambler에 의해 변
경된 data bit sequence를 얻게 된다. Data descrambler는 송신 단의
scrambler의 역 동작을 수행한다. 즉 송신 단에서 사용한 PN code sequence
와 동일한 code sequence를 decoder 출력에 곱하여 줌으로써 원래의 정보
data를 복원한다.

3) RF chain
그림 1-9는 BWA 시스템의 RF 구조를 보인 것이다. RF 부는 Tx Mode시
Baseband의 DAC부터 받은 신호는 buffer amp를 통과한 후 IF PLL 주파수
합성기 출력과 함께 IQ 변조된다. 변조된 신호는 대역통과 여파기를 거쳐
이득 가변 앰프를 통과하면서 송신출력레벨이 가변 된다. 가변 출력된 IF신
호는 mixer에서 RF PLL 주파수 합성기의 출력신호에 의해서
conversion-up되고 대역통과 여파기에서 불요파를 제거한다. RF신호는
power amp에서 증폭된 후 안테나를 통해서 공간으로 방사된다. RF부는 Rx
Mode시 안테나로 수신된 RF 신호는 image filter를 통과한 후 저잡음 증폭
기에서 증폭된후 mixer에서 conversion-down 된다. IF로 변환된 신호는
channel filter를 통과한 후 AGC amp를 거쳐 일정한 진폭으로 IQ 복조부로
입력된다. IQ 복조부에서 일정한 진폭의 IF신호는 IF PLL 주파수 합성기의
출력과 함께 Baseband 신호로 복조된 후buffer amp를 통과하여 ADC에 입
력된다.

그림 1-9 RF의 구조

- 48 -
o OFDM 무선 전송 방식

본 절에서는 5㎓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Multiplexing) 무선전송방식에 대하여 기술한다. 그림 1-10은 OFDM 전송
방식을 위한 구조를 보인 것이다.

그림 1-10 OFDM 무선전송 방식의 구조

1) 송신 블록 상세 설명

(1) Data Scrambler


ScramblingScrambling을 하는 목적은 입력 신호를 random화하는데 있다.
송신단에서 사용되는 scrambler는 PN 부호 생성기에서 발생된 random bit
열과 입력 data열과의 xor연산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루어 진다. PN부호 생
성기의 NICte가 0일 경우 모든 시간에 대해 출력과 NICte값이 0이 되므로,
scrambler의 초기상태는 0이 되지 않도록 해 주어야 한다.
Scrambler의 기본 구조는 생성 다항식이 아래 표현되는 PN 부호 생성기PN
부호 생성기와 xor연산기, 7개의 레지스터로 구성된다. IEEE 802.11a의 표준
안에 제시되어 있는 scrambler의 구조는 아래 그림 1-11과 같다.
S(x) = x7 + x4 + 1

- 49 -
Data In

X7 X6 X5 X4 X3 X2 X1

Scrambled
Data Out

그림 1-11 IEEE 802.11a Scrambler 구조

Scrambling은 OFDM data symbol부터 시작된다. OFDM data symbol은


short와 long으로 구성된 preamble과 data rate등의 정보를 담고 있는
SIGNAL symbol다음에 전송된다. SIGNAL symbol 바로 다음에 나오는
data symbol은 앞 부분에 service field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service field의
먼저 전송되는 7bits는 0으로 구성되고, 나머지 16bits는 reserved 되어 있다.
Service field의 7bits가 0이므로service field 7bits가 입력으로 들어간 후의
scrambler의 상태값과 scrambled data output이 동일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
를 descrambling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scrambler의 초기 상태 값은 0
상태가 아닌 어떠한 값이 들어가 있더라도 무관하다. 즉, power를 켰을 때
scrambler의 상태 값이 0이 아닌 값으로 초기화 되도록 해 주고 난 후에는
어떠한 control도 필요하지 않다.

(2) Convolutional Encoder


Convolutional encodingConvolutional encoding의 목적은 수신단에서 송신신
호의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송신신호의DATA field는
convolutional encoding을 거친 후 송신하게 되는데, 요구되는 data rate에 따
라서 1/2, 2/3, 3/4의 coding rate을 가지게 된다. Convolutional encoder는 그
림 113과 같이 rate 1/2 의 industry-NICndard generate polynomial인
g0 = 1338, g1 = 1718 를 사용한다.

- 50 -
Output Data A
+

Input Data Tb Tb Tb Tb Tb Tb

+ Output Data B

그림 1-12 Convolutional encoder (k=7)

그림 1-12에서 비트 "A"가 비트 "B"보다 앞선encoder 출력값이다. 1/2보다


높은 rate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puncturing을 거침으로써 가능해진다.

(3) Interleaver
모든 encoding된 신호는 block interleaver block interleaver를 거치게 된다.
이때 interleaver의 block size는 하나의 OFDM 한 symbol에 포함되는 총 비

트수 NCBPS 에 따라 변한다. Interleaver는 두 단계의 permutation을 거치게


되는데, 첫 번째 변환은 인접한 코딩된 비트들을 인접하지 않은 부반송파로
매핑하는 단계이고, 두 번째 변환은 인접한 코딩 된 비트들을 constellation상
의less and more significant 비트로 양자택일로 매핑하는 단계이다. 첫번째
permutation전의 coded 비트의 index를 k라 하고, 첫번째 permutation후의
index를 i, 그리고 두번째 permutation후의 index를 j로 한다.

첫번째 permutation은 식(1-1)로 정의된다.

i = (NCBPS / 16)(k mod 16) + floor(k / 16), k = 0,1, , NCBPS -1 (1-1)

여기서 floor(×
) 은parameter의 값을 넘지 않는 최대정수를 뜻한다. 그리고 두

번째 변환은 식(1-2)로 정의된다.

j = s ? floor(i / s) (i + NCBPS - floor(16 i / NCBPS )) mod s


where, i = 0,1, K , NCBPS - 1 (1-2)

- 51 -
여기서 s는 부반송파당 코딩된 비트수 NBPSC 에 의해서 결정된다.

s = max(N BPSC / 2, 1) (1-3)

Interleaving은 NCBPS 와 NBPSC 에 따라서block size와 permutation 방법이 결


정된다. 두번째 permutation의 경우 BPSK, QPSK 변조방식에서는 bypass시
킨 것과 결과가 같다. 첫번째 permutation의 경우는 일반적인 block
interleaver이다. Data rate이 정해지면 그에 따라 변화하는 parameter들은
다음 표 1-5와 같다.
표 1-5 Data rate dependent parameter

(4) Add Pilot


#-21, #-7, #7, #21번째 부반송파는 pilotpilot전송을 위해 reserve되어 있다.
Pilot신호들은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로 변조되어 전송하게 된다.
n번째 OFDM symbol의 pilot신호는 식(1-4)의 sequence P의 IFFT에 의해서
얻어질 수 있다.
p- 26,26 = {0, 0, 0, 0, 0,1, 0, 0, 0, 0, 0, 0, 0, 0, 0, 0, 0, 0, 0,1, 0, 0, 0, 0, 0, 0, 0,
0, 0, 0, 0, 0, 0,1, 0, 0, 0, 0,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1-4)

- 52 -
또한, Pilot 부반송파의 극성은 주기 127을 가지는 sequence pn 에 의해서 결
정되어진다.
p n = {1, 1, 1, 1, - 1, - 1, - 1, 1, - 1, - 1, - 1, - 1, 1, 1, - 1, 1, - 1, - 1, 1, 1, - 1, 1, 1,
- 1, 1, 1, 1, 1, 1, 1, - 1, 1, 1, 1, - 1, 1, 1, - 1, - 1, 1, 1, 1, - 1, 1, - 1, - 1, - 1, 1, - 1, 1,
- 1, - 1, 1, - 1, - 1, 1, 1, 1, 1, 1, - 1, - 1, 1, 1, - 1, - 1, 1, - 1, 1, - 1, 1, 1, - 1, - 1, - 1,
1, 1, - 1, - 1, - 1, - 1, 1, - 1, - 1, 1, - 1, 1, 1, 1, 1, - 1, 1, - 1, 1, - 1, 1, - 1, - 1, - 1,
- 1, - 1, 1, - 1, 1, 1, - 1, 1, - 1, 1, 1, 1, - 1, - 1, 1, - 1, - 1, - 1, 1, 1, 1, - 1, - 1, - 1,
(1-5)
- 1, - 1, - 1, - 1}

pn 을 생성하는 방법은 scrambler의 초기상태를 "all ones"로 하여 발생시킨

다. 이 때 scrambler 출력은 "0"과 "1"로 이루어져있는데, 이를 "1", "-1"로


대체해주면 주기 127을 가지는 sequence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p0 는
SIGNAL symbol의 pilot에 곱해지고 p1 이후 신호는 DATA symbol의 pilot
에 곱해지게 된다.

(5) Signal Mapper


Signal mapping 방법은 data rate에 따라 BPSK, QPSK, 16 QAM, 64 QAM
중 하나의 방법을 이용한다. Gray code를 사용하여 mapping 한다. 표 1-6에
data rate에 따른 modulation 방법 등이 있다.

표 1-6. Data rate dependent parameters

- 53 -
- BPSK mapping
입력 bit가 0일 경우 1에 1일 경우 1에 mapping 시킨다. 이 경우
normalization factor는 1이며, 그림 1-13과 같다.

0 1

-1 +1 I

그림 1-13 BPSK mapping

- QPSK mapping
QPSK의 mapping 방식은 아래 그림 1-14와 같다. 2bit중 먼저 들어온 bit가
I값을 결정하고 2번째 들어온 bit가 Q값을 결정한다. 이 경우 normalization

factor는 1/ 2 이다.

Q
01 11 b0b1
+1

Pilot Pilot

-1 +1 I

1/sqrt(2)

-1
00 10

그림 1-14 QPSK mapping

- 16 QAM mapping
16 QAM의 mapping 방식은 아래 그림 1-15와 같다. 4bit중 먼저 들어온 2개
의 bit가 I값을 결정하고 나중에 들어오는 2개의 bit가 Q값을 결정한다. 이

경우 normalization factornormalization factor는 1 10 이다.

- 54 -
Q
0010 0110 1110 1010 b0b1b2b3
+3

0011 0111 1111 1011


+1

Pilot Pilot
-3 -1 +1 +3
I
0001 0101 1101 1001
-1

0000 0100 1100 1000


-3

그림 1-15 16 QAM mapping

- 64 QAM mapping
64 QAM의 mapping 방식은 아래 그림 1-16과 같다. 6bit중 먼저 들어온 3개
의 bit가 I값을 결정하고 나중에 들어오는 3개의 bit가 Q값을 결정한다. 이
경우 normalization factornormalization factor는 1/ 42 이다.

Q b0b1b2b3b4b5b6b7
000100 001100 011100 010100 110100 111100 101100 100100
+7

000101 001101 011101 010101 110101 111101 101101 100101


+5

000111 001111 011111 010111 110111 111111 101111 100111


+3

000110 001110 011110 010110 110110 111110 101110 100110


+1

-7 -5 -3 -1 +1 +3 +5 +7 I
000010 001010 011010 010010 110010 111010 101010 100010
-1

000011 001011 011011 010011 110011 111011 101011 100011


-3

000001 001001 011001 010001 110001 111001 101001 100001


-5

000000 001000 011000 010000 110000 111000 101000 100000


-7

그림 1-16 64 QAM mapping

- 55 -
(6) IFFT
OFDM 변조방식의 경우 주파수영역을 몇 개의 부반송파로 분할하여 신호를
처리한다. 하지만 실제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시간영역의 신호로 변환
해주어야 한다.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ation)의 목적은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시간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다. 부반송파 사이의 주파수

범위 D f = 0.3125MHz(= 20MHz / 64) 이다. 802.11a에서는 총 64개의 부반송파를


허용한다. 최대 64개의 부반송파가 허용되며, #-26번에서#26번째까지의 부반
송파를 사용한다. 이 중 #0번째 부반송파는 DC값에 해당하므로 항상 "0" 값
을 채운다. 그리고 실제로 사용하는 52개의 부반송파중 4개의 부반송파는
pilot을 위해서 reserve되어 있어, 데이터전송에는 48개의 부반송파만이 사용
된다. 즉, #-26번에서 #-22번, #-20번에서 #-8번, #-6번에서 #-1, #1번에서 #6
번, #8번에서 #20번, 그리고 #22번에서 #26번째의 부반송파를 통해서 데이터
를 전송하게 된다. 주파수영역에서 총 64개의 부반송파를 가지는 신호를 시
간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식(1-6)의 과정을 거치면 된다.


NSD - 1 NST / 2
rDATA,n = wTSYM (t) 油
油檍 dk,n exp(( j 2pM (k)D f (t - TGI )) + pn +1 Pk exp( j 2pkD f (t - TGI ))

薏k= 0 k= - NST / 2

(1-6)

여기서, NSD = 48, NST = 52,TGI = 0.8ms 이고, M (k ) 는 식(7)과 같다.

ìï k - 26 0 # k 4
ïï
ïï k - 25 5 # k 17
ïï
ïï k - 24 18 # k 23
M (k) = ïíï
ïï k - 23 24 # k 29
ïï
ïï k - 22 30 # k 42
ïï (1-7)
ïï k - 21 43 # k 47
îï

M (k ) 는 index 26에서 26의 frequency offset을 0에서 47의 logical number의

부반송파로 mapping한 것인데, pilot 부반송파 위치와 0번째 부반송파에 대


해선 할당되지 않는다.

- 56 -
(7) Guard Insertion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전송채널의 영향에 의해 심볼 사이에는 ISIISI(inter
symbol interference)가 발생하게 된다. 802.11a에서는 심볼 사이에 ISI에 의
한 성능저하를 줄이기 위해서 송신단에서 guard를 삽입하여 전송하는데,
IFFT modulation의 출력 data중 일부를 뒷부분에서 정해진 개수만큼 그
sequence의 앞부분에 붙여 전송한다. 이렇게 하면 ISI의 영향이guard부분에
나타나므로 전송되는 data는 수신단에서 guard를 제거함으로써 ISI의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Guard의 길이는 길게하면 ISI의 영향을 더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데이터 전송률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guard의 길
이를 제한하여 전송률의 지나친 감소를 막고 TEQ를 이용하여 심볼간의 간
섭을 어느 정도 guard길이 이내로 제한하게 되면 ISI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

다. IEEE802.11a에서는 16sample( xn , n = 50 to 63 )을 guard로 사용한다.


Guard insertion과정은 그림 1-17과 같다.

x0 x1 x2 x3 x4 ... x46 x47 x48 x49 x50 x51...x62 x63

x50 x51...x62 x63 x0 x1 x2 x3 x4 ... x46 x47 x48 x49 x50 x51...x62 x63
guard

그림 1-17 Guard insertion된 신호

(8) Wave Shapping


Digital 신호를 analog신호로 변환시키기 전에 신호의 resolution을 높이기 위
해 L배의upsampling을 한 후에 lowpass filter를 통과시키게 된다. 이러한 과
정을interpolation이라 하고 그 과정은 그림 1-18과 같다.

x[n] xe[n] Lowpass filter xi[n]


L Gain L
Cutoff = π / L

Sampling Sampling
Sampling
period period
period T
T'=T/L T'=T/L

그림 1-18 Interpolator 블록도

- 57 -
Upsampling을 하게 되면 필터설계가 간단해 지고, harmonics성분의 제거도
쉽게 할 수가 있다. 그림 1-19에서 보듯이 2배 oversampling을 하게 되면 원
래의 신호보다 aliasing이 발생할 확률도 낮아짐을 알 수 있다.

X (e jw)

−2 fs − fs (a) fs 2 fs

X (e jw)

−2 f s − fs (b) fs 2 fs

X (e jw)

−2 f s − fs (c) fs 2 fs

X (e jw)

−2 f s − fs (d) fs 2 fs

그림 1-19 Upsampling후의 신호의 spectrum ( f s = 20MHz )

2) 수신 블록 상세 설명

(1) Decimator
A/D(analog-to-digital) converterA/D(analog-to-digital) converter를 거쳐
수신된 신호를 원래의 sampling rate으로 복구하는 과정이decimation이다.
이 과정은 interpolation과 반대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그림 1-20과 같이
lowpass filter(prefiltering)를 거친 후 M배 만큼 downsampling을 하게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수신된 신호를 먼저 lowpass filtering한 후에
downsampling을 한다는 점이다. Downsampling부터 하게 될 경우 신호간의
aliasing이 발생하기 때문에 downsampling 이전에 lowpass filter를 통과시킴
으로써 aliasing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것이다. 이 과정을 주파수영역에서
prefiltering을 통해 aliasing을 방지한 것을 그림 1-21에 나타내었다.

- 58 -
Lowpass filter xd[n] = x%[nM]
x[ n ] x%[n]
Gain 1 M
Cutoff =π / M

Sampling Sampling
Sampling
period T period
period T
T'=MT

그림 1-20 Decimator 블록도

X (e jw )

− fs − fs / 2 (a) fs /2 fs

X (e jw )

text text text

− fs − fs /2 (b) fs /2 fs


X (e jw )

− fs − fs /2 (c) fs /2 fs


Xd (ejw)

− fs − fs / 2 (d) fs /2 fs

그림 1-21 Downsampling with prefiltering to avoid aliasing ( f s = 20MHz )

(2) Coarse frequency offset


Coarse frequency offset 추정은 IEEE 802.11a의 short training 심볼 10개중
마지막 3개의 심볼 duration에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Frequency offset 추정
은 수신단에서 FFT를 하기 전, 즉, 시간 영역에서 행해지게 된다. Coarse
frequency offset은 그 추정범위가 10개의 반복 패턴 하나의 시간 duration만
큼의 간격을 두고 frequency offset을 추정할 경우 ± 625kHz까지의

frequency offset을 추정, 보상할 수 있다. U-NII band 중 가장 고주파에 해


당하는 5.825㎓를carrier frequency로 가정하고, 표준 안에 제시되어 있는 것
과 같이 center frequency tolerance을 20ppm으로 두면, 송수신단에서 발생
할 수 있는 maximum frequency offset은 ± 233kHz이다. 따라서 이 정도의

- 59 -
추정 범위라면 실제 발생 가능한 frequency offset 보다 충분한 여유가 있다
고 판단된다.

(3) Symbol boundary


Symbol boundary detection은 long training sequence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Long training sequence는 32샘플을 가지는 보호 구간과 2개의 OFDM 심볼
로 구성되어있다. 그림 1-22에 long training sequence의 1개의 OFDM 심볼
의 시간 축 파형을 나타내었다. 이하 long training sequence의 1개의 OFDM
심볼을 long 패턴으로 정의한다. 그림 1-22에서 보듯이 Long 패턴은
complementary code를 사용하여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이
3dB이내가 되도록 만들어 졌다.
Long training pattern의 correlation 특성을 그림 1-23에 나타내었다. 그림
1-23에서 long pattern과의 correlation에 사용한 신호는 short training
sequence와 32샘플의 보호 구간, 5심볼의 long 패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림 1-23에서 보듯이 long 패턴은 correlation의 최대값과 sidelobe 간의 차이
가 20dB 이하의 값을 가진다.
long pattern
0.2

0.1
REAL

-0.1

-0.2
0 10 20 30 40 50 60 70
n
0.2

0.1
IMAG

-0.1

-0.2
0 10 20 30 40 50 60 70
n

그림 1-22 Long 패턴의 시간 축 파형

- 60 -
correlation output
1

0.9

0.8

0.7

0.6

0.5

0.4

0.3

0.2

0.1

0
0 100 200 300 400 500 600
n

그림 1-23 Long 패턴의 correlation 특성

(4) Fine frequency offset


Fine frequency offset 추정은 IEEE 802.11a의 long training 심볼 2개를 이
용한다. Coarse frequency offset 추정과 마찬가지로 fine frequency offset
추정은 수신단에서 FFT를 하기 전, 즉, 시간 영역에서 행해지게 된다. Fine
frequency offset은 그 추정범위가 long training symbol 하나의 시간
duration만큼의 간격을 두고 frequency offset을 추정할 경우 최대 ±

156.25kHz까지의 frequency offset을 추정, 보상할 수 있다. U-NII band 중


가장 고주파에 해당하는 5.825㎓를 carrier frequency로 가정하고, 표준 안에
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center frequency tolerance을 20ppm으로 두면, 송
수신단에서 발생할 수 있는 maximum frequency offset은 ± 233kHz이다. 하
지만 이미 coarse frequency offset 보상에서 frequency offset을 ± 156.25kHz
보다 훨씬 작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으며, fine frequency
offset보상에서는 subcarrier frequency 간격 312.5kHz의 ± 1%이내로 줄여서
성능의 열화가 없도록 해야 한다.

(5) Guard removal


신호를 전송함에 있어서 전송채널의 영향에 의해 심볼 사이에는 ISI(inter

- 61 -
symbol interference)가 발생하게 된다. IEEE802.11a에서는 심볼 사이에 ISI
에 의한 성능저하를 줄이기 위해서 송신단에서 guard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데, IFFT modulation의 출력 data중 일부를 뒷부분에서 정해진 개수만큼 그
sequence의 앞부분에 붙여 전송한다. 이렇게 하면 ISI의 영향이guard부분에
나타나므로 전송되는 data는 수신단에서 guard를 제거함으로써 ISI의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Guard의 길이는 길게하면 ISI의 영향을 더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데이터 전송률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guard의 길
이를 제한하여 전송률의 지나친 감소를 막고 TEQ를 이용하여 심볼간의 간
섭을 어느 정도 guard길이 이내로 제한하게 되면 ISI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

다. IEEE802.11a에서는 16sample( xn , n = 50 to 63 ) 을 guard로 사용한다.


Guard remove과정은 그림 1-24와 같다.

x50 x51...x62 x63 x0 x1 x2 x3 x4 ... x46 x47 x48 x49 x50 x51...x62 x63
guard

x0 x1 x2 x3 x4 ... x46 x47 x48 x49 x50 x51...x62 x63

그림 1-24 Guard remove된 신호


(6) FFT
OFDM 변조방식의 경우 주파수영역을 몇 개의 부반송파로 분할하여 신호를
처리한다. 송신단에서는 주파수영역에서 처리한 신호를 IFFT modulation을
거쳐 시간영역의 신호로 전송한다. 따라서 수신단에서는 수신한 시간영역의
신호를 주파수영역의 신호로 복원시켜야 한다.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의 역할은 수신한 시간영역의 신호를 주파수영역의 신호로
변환시켜주는 것이다. 시간영역의 신호를 주파수영역에서 64개의 부반송파를
가지는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식(8)의 과정을 거치면 된다.

N-1
Rk = å rn exp(- j 2pD fkn )
(1-8)
n= 0

여기서, N = 64,TGI = 0.8ms 이다.

- 62 -
(7) FEQ
FEQ(frequency-domain equalizer) 는 수신단에서 FFT를 통과한 frequency
domain 신호에 대해 채널의 영향을 보상한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채널 특성
은 매 packet마다 수신되는 long training symbol 2개를 이용한다. 송신되는
long training symbol pattern은 DC와 고주파 부분의 null sub-carriernull
sub-carrier를 제외한 52개의 sub-carrier에 무작위 부호를 가지는 real
pattern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신단에서 FFT를 거친 후 채널의 의한 왜
곡이 없을 경우 real 값을 가져야 한다. 채널에 의한 왜곡을 알아내기 위해서
는 송신되는 long training symbol pattern의 frequency domain값을 수신단
에서도 저장하고 있다가, 채널에 의해 왜곡된 long training symbol pattern
에 나누어주면 채널을 구할 수 있다.

(8) Residual frequency


송신단과 수신단 각각의 local oscillator의 frequency 편차로 인한 frequency
offset은 fine frequency offset 보상기에서 대부분 보상되며, fine frequency
offset 보상기의 초기 위상 오류로 인한 위상 오류 또한 주파수 영역 등화기,
FEQ(frequency domain equalizer)에서 보상된다. 그러나, 앞의 두 과정을 거
치고 난 후에도 몇packet에 걸친 주파수 오류가 남는다. 이 residual
frequency offset의 주기는 상당히 긴 시간에 걸쳐서 발생하므로 각각의
symbol에서 보면 residual frequency offset은 단순히 symbol 단위의 위상
편차로 볼 수 있다. 수신되는 각 symbol에 포함되어진 pilot 신호를 이용하
여 FEQ가 끝난 후에 residual frequency offset을 보상한다. Pilot 신호은 각
data symbol의 고정된 위치에 할당되며, data rate에 불변이다. Residual
frequency offset 보상기의 또 다른 기능으로 주파수 영역 등화기의 기능을
보완하는 역할을 들 수 있다. Residual frequency offset을 각 symbol에서의
위상 편차로서 계산하여 보상하기 때문에 FEQ에서 완벽하게 보상하지 못한
잔존하는 위상 편차를 residual frequency offset 보상기를 이용하여 보상할
수 있다.

(9) Signal Demapper

- 63 -
Data rate에 따라 BPSK, QPSK, QAM16, QAM64으로 modulation 된
symbol data(Coded bit per sub-carrier)를 coded bit당 3 bit resolution를 가
지도록 soft decision한다. 표 1-7에 data rate에 따른 modulation 방법 등이
있다. Soft decision시 입력 데이터의 normalization이 문제가 될 수 있다.
BPSK modulation의 경우 그 정도가 심하지는 않지만 QAM modulation 의
경우 normalization이 잘못 될 경우 치명적일 수 있다.

표 1-7 Data rate dependent parameters

(10) Deinterleaver
송신단에서 convolution encoding된 신호는 burst error을 줄이기 위해 block
interleaver를 거치게 된다. 이때 interleaver의 block size는 하나의 OFDM

한 symbol에 포함되는 총 비트 수 NCBPS 에 따라 변한다. Interleaver는 두 단


계의 permutation을 거치게 되는데, deinterleaver는 interleaver의 역으로
permutation해 주면 된다.

- 64 -
(11) Viterbi decoder
Viterbi decoding block은 다시 BMC, ACS, SMM, PM block으로 이루어진
다. BMC(branch metric computation) block에서 수신된 data와 존재 가능한
codeword 사이의 Euclidean diNICnce를 계산하여 지로 평가량(branch
metric)을 구하면, ACS(add compare and selection) block에서는 SMM
block에 누적되어 있는 경로 평가량(path metric)과 BMC block에서 넘겨받
은 지로 평가량을 더하여 새로운 경로 평가량 중 작은 지로를 선택하고, 새
로 구한 경로 평가량은 SMM block에 경로의 선택은 PM block에 저장된다.
PM block로부터는 decoding된 data가 나온다. Viterbi decoder의 사양은 표
1-8과 같고, 블록도는 그림 1-25와 같다.

표 1-8 Viterbi decoder의 사양

Viterbi Decoding

Depuncturing
M_CONV BMC ACS PM
Logic

SMN

그림 1-25 Viterbi decoder 블록도

- 65 -
(12) Descrambler
수신단의 descrambler는 송신단의 scrambler와 기본적 구조가 동일하다. 송신단
에서 PN부호 발생기에서 만들어진 random bit열과 data열을 XOR연산하였으므
로 수신단에서 똑 같은 PN부호 발생기를 사용하여 scrambling 된 data열을 다
시 한번 더 scrambling 해주면 된다. 이때 초기 상태 값을 송신단의 scrambler
와 동일하게 해 주어야 하는데, 이것은 service field로 해결 가능하다.

라. OFDM 성능분석
본 절에서는 AWGN 및 다중 경로 환경하에서의 등화기의 성능에 대해 살펴
보고, 구현 알고리즘들을 결합하여 구성한 전체 MODEL의 성능에 대해 살
펴보고자 한다.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BER(bit error rate)과 PER(packet
error rate)을 이용하였으며, IEEE 802.11a 규격에 따라 여러가지 전송률에
대해 성능을 살펴 본다.

1) 채널 추정/등화 방식 및 성능 평가
ICI, ISI를 막기 위해서 OFDM system에서는 OFDM symbol의 뒤 부분을 copy
해서 symbol의 앞에다 붙이는 cyclic prefix가 사용한다. Cyclic prefix는
frequency domain 곱셈이 time domain에서circular convolution형태로 나타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이 경우 frequency domain에서 간단한 1-tap equalizer
만으로 간단히 채널을 보상해 줄 수 있다. OFDM 과 같은multi-carrier 전송 방
식의 경우 고속 전송에 유리한 이유가 symbol의 길이를 늘이는 대신 한번에 여
러 sub-carrier를 통해 신호를 내보내기 때문에 동일한 전송 속도를 가지는
single carrier전송 방식에 비해 채널equalizer가 간단해 진다.

(1) AWGN 환경하에서의 등화기에 의한 성능 열화 실험


AWGN 환경에서 등화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등화기에 의한 성능의 열화가
발생한다. 여기서는 AWGN 환경하에서 등화기에 의해 초래되는 발생하는
성능 열화에 대해 알아본다. 성능 분석 환경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의 길이는1000 octet으로 주었다. 채널의 추정은 Long training
symbol만을 이용했으므로 1000 개의 octet 이 전송되고, 다음 packet의

- 66 -
앞에 오는 long training symbol이 전송될 때 채널이 다시 추정된다.
- 주파수 옵셋은 20ppm을 주었다. OFDM system의 주파수 옵셋에 아
주 민감하다. 인접 frequency bin사이의 주파수 차이를 1로 정규화했
을 때 송신단과 수신단의 LO주파수 옵셋이 10^-4이하가 되어야지만
성능의 열화가 없다.
- Sampling frequency offset은 주지 않았으나, pilot의 위상차를 이용해
sampling clock 옵셋에 의한 에러와 샘플의 삽입 누락을 보상해 주는
블록은 동작시켰다.
- Viterbi decoder를 사용하였다.
- 등화기에 의한 성능 열화를 확인하기 위해 AWGN 환경하에서, 위에
서 열거한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주고 등화기만을 on, off 시켰다.

그림 1-26은 AWGN 환경하에서 등화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전송 속도에


따른 BER 곡선이고, 그림 1-27는 동일한 조건하에서 등화기를 사용한 경우
의 BER곡선이다. 모의 실험 결과 등화기를 AWGN 채널에서 사용할 경우
각각의 전송 속도별로 2-3dB정도의 손실을 가져옴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R at each rate under AWGN Channel(W/O FEQ)

V54Mbps
0.1 V48Mbps
V36Mbps
0.01 V24Mbps
V18Mbps
1E-3 V12Mbps
V9Mbps
BER

1E-4
V6Mbps

1E-5

1E-6

1E-7
-6 -4 -2 0 2 4 6 8 10 12 14 16
Eb/No

그림 1-26 등화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BER 곡선(AWGN 환경)

- 67 -
BER at each rate under AWGN
1

0.1

0.01

1E-3

1E-4
BER

V54Mbps
1E-5 V48Mbps
V36Mbps
V24Mbps
1E-6
V18Mbps
V12Mbps
1E-7 V9Mbps
V6Mbps
1E-8
-4 -2 0 2 4 6 8 10 12 14 16 18
Eb/No

그림 1-27 등화기를 사용한 경우 BER 곡선(AWGN 환경)

(2) Multipath 환경하에서 등화기 성능 실험


RMS delay가 50ns인 다중경로 채널 환경하에서의 등화기를 사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시스템의 성능을 확인해 볼 것이다. 채널 등화기를 사용하
지 않을 경우 전송된 데이터의 위상뿐 아니라 그 크기까지 오류가 발생하므
로 16 QAM 이상의 변조를 행하였을때는 심각한 성능의 열화가 예상된다.
성능 분석 환경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의 길이는1000 octet으로 주었다. 채널의 추정은 Long training
symbol만을 이용했으므로 1000 개의 octet 이 전송되고, 다음 packet의
앞에 오는 long training symbol이 전송될 때 채널이 다시 추정된다.
- 주파수 옵셋은 20ppm을 주었다. OFDM system의 주파수 옵셋에 아
주 민감하다. 인접 frequency bin사이의 주파수 차이를 1로 정규화했
을 때 송신단과 수신단의 LO주파수 옵셋이 10^-4이하가 되어야지만
성능의 열화가 없다.

- 68 -
- Sampling frequency offset은 주지 않았으나, pilot의 위상차를 이용해
sampling clock 옵셋에 의한 에러와 샘플의 삽입 누락을 보상해 주는
블록은 동작시켰다.
- Viterbi decoder를 사용하였다.
- 등화기에 의한 성능 열화를 확인하기 위해 AWGN 환경하에서, 위에
서 열거한 조건은 모두 동일하게 주고 등화기만을 on, off 시켰다.
- 모의 실험에 사용된 채널모델은 RMS delay가 50ns인 exponetially
decaying Raylegih fading channel을 사용하였다. 모의 실험에 사용된
multipath fading channel model의 channel impulse response는 아래
그림 1-28과 같다.

Channel Impulse respone with delay spread 50ns


0.7

0.6

0.5

0.4
Amplitude

0.3

0.2

0.1

0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time[ns]

그림 1-28 Multipath fading channel model의


channel impulse response (rms delay=50ns)

- 69 -
BER at each rate under Multipath Channel
10

0.1

0.01

1E-3
BER

1E-4 V54Mbps
V48Mbps
1E-5 V36Mbps
V24Mbps
1E-6 V18Mbps
V12Mbps
1E-7 V9Mbps
V6Mbps
1E-8
-4 -2 0 2 4 6 8 10 12 14 16 18 20
Eb/No

그림 1-29 RMS delay가 50ns인 multipath channel


환경에서 등화기를 사용한 경우의 BER

BER at each rate under M-Path Channel(W/O FEQ)

0.1
BER

V54Mbps
0.01 V48Mbps
V36Mbps
V24Mbps
V18Mbps
V12Mbps
1E-3 V9Mbps
V6Mbps
-6 -4 -2 0 2 4 6 8 10 12 14 16 18 20
Eb/No

그림 1-30 RMS delay가 50ns인 multipath channel


환경에서 등화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BER

- 70 -
위 그림 1-29와 그림 1-30은 각각 RMS delay가 50ns 인 Multipath
channel에 대해 등화기를 사용한 경우와 사용하지 않은 경우의 성능을 나타
낸 것이다. 16QAM 이상의 변조를 한 경우 제대로 복조가 되지 않음을 확인
할 수 있다. QPSK 변조를 한 경우는 등화기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3∼
5dB정도 손실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BPSK 변조를 한 경우는 주어진
multipath channel의 대해서 등화기를 사용한 경우와 하지 않은 경우 그 손
실이 미미하였다.

2) BER 및 PER 성능 평가
여기서는 viterbi-decoding을 포함한 경우에 multi-path 환경에서의 BER과
PER 성능을 평가한다.

(1) Simulation 환경
Simualtion 환경은 floating point와 fixed point 두 가지 조건에서 수행되
었다. 두 가지 경우 모두 CFO, FFO, FEQ, STO등 모든 수신부 알고리듬을
사용하였고, frequency offset은 20ppm을 주어서 실험 하였다. 한 packet의
길이는 1000 옥텟을 가정하였다. Multipath channel의 경우 RMS delay가
50ns인exponetially decaying Raylegih fading channel을 사용하였다. 모의
실험에 사용된 multipath fading channel model의 channel impulse response
는 그림 1-28과 같다.

(2) Simulation 결과
아래 1-31은 AWGN 환경하에서 fixed point C simulation model를 사용했
을 system의 BER과 PER를 도시한 것이고, 그림 1-32는 AWGN 환경하에
서 floating point C simulation model를 사용했을 system의 BER과 PER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 그림 131과, 그림 132에서 두 시스템 사이의 성능 차이
가 거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림 1-33과 그림 1-34은 각각 fixed
point 와 floating point C model에서 RMS delay가 50ns 인 Multipath
channel에 대해서 BER과 PER의 성능을 평가한 것이다. 위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두 가지 모델의 성능에는 거의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 71 -
BER at each rate under AWGN
10

0.1

0.01

1E-3
PER

V54Mbps
V48Mbps
1E-4
V36Mbps
V24Mbps
1E-5 V18Mbps
V12Mbps
1E-6 V9Mbps
V6Mbps
1E-7
-4 -2 0 2 4 6 8 10 12 14 16 18 20
Eb/No

PER at each rate under AWGN

0.1
PER

V54Mbps
0.01 V48Mbps
V36Mbps
V24Mbps
V18Mbps
V12Mbps
1E-3
V9Mbps
V6Mbps

-4 -2 0 2 4 6 8 10 12 14 16 18 20
SNR

그림 1-31 AWGN 환경하에서 BER과 PER(fixed point C simulation)

- 72 -
BER at each rate under AWGN(floating point)
1

0.1

0.01

1E-3

1E-4
BER

V54Mbps
1E-5 V48Mbps
V36Mbps
V24Mbps
1E-6
V18Mbps
V12Mbps
1E-7 V9Mbps
V6Mbps
1E-8
-4 -2 0 2 4 6 8 10 12 14 16 18
Eb/No

PER at each rate under AWGN(floating point)

0.1
PER

0.01 V54Mbps
V48Mbps
V36Mbps
V24Mbps
1E-3 V18Mbps
V12Mbps
V9Mbps
V6Mbps
1E-4
-6 -4 -2 0 2 4 6 8 10 12 14 16 18
Eb/No

그림 1-32 AWGN 환경하에서 BER과 PER(floating point C simulation)

- 73 -
BER at each rate under Multi path RMS Delay 50ns

0.1

1E-3
BER

V54Mbps
V48Mbps
V36Mbps
1E-5 V24Mbps
V18Mbps
V12Mbps
V9Mbps
V6Mbps
1E-7
-6 -4 -2 0 2 4 6 8 10 12 14 16 18
Eb/No

PER at each rate under Multi path RMS Delay 50ns

0.1
PER

0.01 V54Mbps
V48Mbps
V36Mbps
V24Mbps
V18Mbps
1E-3 V12Mbps
V9Mbps
V6Mbps

-4 -2 0 2 4 6 8 10 12 14 16 18 20
Eb/No

그림 1-33 RMS delay가 50ns인 multipath channel


환경에서 fixed point C model의 BER과 PER

- 74 -
BER at each rate under Multipath Channel(floating point)
10

0.1

0.01

1E-3
BER

1E-4 V54Mbps
V48Mbps
1E-5 V36Mbps
V24Mbps
1E-6 V18Mbps
V12Mbps
1E-7 V9Mbps
V6Mbps
1E-8
-4 -2 0 2 4 6 8 10 12 14 16 18 20
Eb/No

PER at each rate under Multipath Channel(floating point)

0.1
PER

V54Mbps
0.01 V48Mbps
V36Mbps
V24Mbps
V18Mbps
V12Mbps
1E-3 V9Mbps
V6Mbps

-6 -4 -2 0 2 4 6 8 10 12 14 16 18 20
Eb/No

그림 1-34 multipath channel환경에서 BER과 PER


(RMS delay=50ns, floating point C)

- 75 -
2. 시스템 구성
5㎓ 주파수 연구 시스템 구성요소는 시스템 장비인 액세스포인트(AP :
Access Point)와 단말 장비인 가입자장치(NIC : Network Interface Card) 및
부수품으로 구성이 된다. 그림 1-35는 고속 무선 액세스를 위한 광대역무선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네트워크 성능분석 시스템


(유선 성능분석 프로그램 내장) Internet

Hub

BSS 1 BSS 2

AP 1 AP 2

NIC 1
NIC2
Mobile Terminal 1
(무선 성능분석 프로그램 내장) Mobile Terminal 2
(무선 성능분석 프로그램 내장)

그림 1-35 5㎓ 주파수 연구 시스템의 구조

가. 고정 송수신 장치(Access Point)

그림 1-36은 5㎓ 주파수 연구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고, 이 시스템에서 hub,


routing 및 base-NICtion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infra-structure이며,
Ethernet을 통하여 유선계 네트워크에 접속을 할 수 있다. AP는 NIC가 AP
를 경유하여 다른 NIC와 접속을 하거나, NIC가 AP를 경유하여 유선계 네트
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중재한다. AP와 NIC간의 접속은 5.15㎓∼5.25㎓
및 5.25㎓∼5.35㎓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무선을 통하여 접속하며 OFDM방식
을 사용한다. AP는 backbone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네트워크로부터 오는 트
래픽을 처리하여 무선 가입자로 전달하거나, 무선 가입자로부터 오는 트래픽
을 네트워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하나의 AP는 일반적으로 하나의 섹터

- 76 -
를 담당하며, 하나의 AP에는 다수의 NIC가 접속하여 운용되어 이때 무선
접속 방식은 polling with DTA 방식이나 CSMA/CA 방식을 사용하여
media를 공유한다.

그림 1-36 5㎓ 주파수 연구 시스템 중심국, 기지국 장치

2) 인터페이스
AP의 인터페이스는 표 1-9와 같다.
표 1-9 AP의 인터페이스

- 77 -
3) 전기적 특성
전기적 특성은 표 1-10과 같다.
표 1-10 전기적 특성

나. DFS 구조 설계
DFS는 그림 1-37처럼 AP와 NIC 간에 MAC 계층에서 Management Frame
을 송수신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DFS 기능은 그림과 같이 관리 계층 프
로토콜 스택에 의해 처리되도록 구현된다. SNMP, NIC Manager/AP
Manager: DFS 및 TPC를 위한 MIB 값을 설정 Set하거나 Get 한다.

- 78 -
- SME : .MLME 상위 계층으로써 DFS 및 TPC 동작을 여기(Invoke)
하며 DFS 및 TPC를 위한 구현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 MLME : peer 계층 간에 DFS 및 TPC를 위한 Management Frame
들을 처리하고, SME로부터 Command를 받아 처리하거나
상태를 보고한다.

SNMP STA, AP
Agent Manager

WMI State, Channel, Tx rate,


SNR (C/I), RSSI,
Tx/Rx
Tx/Rx Data amount
NDIS, Packet Driver

MAC
DD SME

Dot11 MIBs
RSSI, SNR (C/I)
HIF
MLME SAP

MLME
(MIB)
PLCP rate, length, service
RSSI, CCA
PHY

그림 1-37 DSF 동작 원리

o DFS 제어를 위한 요구 사항
IEEE802.11h 표준에 따라 MAC 계층 및 그 상위 계층에서 DFS를 위한 제
어를 하기 위해 PHY 계층으로 입력하거나 출력을 필요로 하는 정보는 다음
과 같은 것들이 있다.

물리계층(BBP 및 RF)으로부터 입력되어야 하는 신호는 다음과 같다.

- 79 -
o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o RSSI는 수신 전력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측정이 가능하여야 한다.
o Energy Observed at the Antenna (dBm)
o RPI (Received Power Indicator) Histogram
Density (RPI) = Ceiling(255 * [Duration receiving at RPI value /
Measurement duration])여기서 사용되는 RPI value는 표 1-11과 같
이 구분된다.
표 1-11 RPI 값

o CCA (Clear Channel Assessment)


o CCA는 채널의 사용 여부 (Busy)를 나타내며 다음과 같은 경우 감지
가능하여야 한다.
The start of a valid OFDM transmission at a receiver level -82
dBm with a probability > 90% within 4 ?sec, and
Any signal above 62 dBm.
o CCA Busy Duration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CCA Busy Fraction = Ceiling (255 * [Duration CCA indicated
channel was busy] / [Measurement duration])

- 80 -
4. 이동 송수신 장치
4.1 NIC
4.1.1. 개요
가입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의 역할을 한다. NIC는 AP을 통하여 유선계
네트워크에 접속을 할 수 있다. NIC는 AP를 경유하여 다른 NIC와 접속을
하거나, AP를 경유하지 아니하고 직접 NIC와 접속할 수도 있다. NIC는 Hub
나 Router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에 접속하여 무선으로 데이터 전송을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host PC에 접속하여 종단 단말로 사
용될 수도 있다. NIC는 PCMCIA, PCI, CardBus 혹은 USB 등을통하여 가입
자의 PC 등에 직접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확장된 기능을 가지는
AP와 유사한 형태의 NIC의 경우에는 Ethernet(RJ-45 jack)를 통하여
Hub/Router에 접속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림 1-38과 같다.

그림 1-38 5㎓ 주파수 연구 시스템 NIC

- 81 -
2) 전기적 특성
전기적 특성은 표 1-12와 같다.
표 1-12 전기적 특성

7) 전력 제어 기능
(1) 개 요
TPC는 주로 평균 전송 전력 완화에 대한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사용되

- 82 -
며, 또한 간섭량 감소, 도달 거리 제어 및 전력 소비 감소와 링크 신뢰도를
증가 시킬 수 있는 전송 전력 조절 방식을 제공한다.

(2) TPC 절차
가. 송신전력 능력을 바탕으로 한 연합
NIC은 Association Request 또는 Reassociation Request 프레임의 power
capability 정보요소를이용하여 연합 및 재연합할 때 현 채널에 대한 최소와
최대전송전력 능력을 AP에 제공해야 한다.
AP는 유지하고 있는 BSS에 대한 로컬 전송전력제한을 결정하는데 이용될
알고리즘의 입력으로 연합된 NIC의 최소와 최대전송전력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
AP는 NIC의 최소와 최대전송전력 능력이 수용될 수 없다고 간주한다면
NIC으로부터 전송되는 Association Request 또는 Reassociation Request를
거부할 수 있다.

나. 규제 및 로컬 최대송신전력레벨의 지정
NIC은 현 채널에 대한 규제 최대전송전력을 결정해야 한다. NIC은 BSS 또
는 IBSS의 다른 NIC로부터 수신한 Country 요소의 규제 최대전송전력의 최
소와 NIC에 의해 알려진 채널 규제 지역에 대한 규제 최대 전송 전력의 최
소를 이용해야 한다.
NIC은 현 채널에 대한 로컬 최대전송전력을 결정해야 한다. NIC은 BSS 또
는 IBSS의 다른 NIC로부터 수신한 Country 정보요소와 Power Constraint
정보요소의 조합의 로컬 최대전송전력의 최소와 NIC에 의해 알려진 채널 규
제 지역에 대한 로컬 최대 전송 전력의 최소를 이용해야 한다.
그 채널에 대한 로컬 최대전송전력의 계산은 현재 규제 지역의 채널에 대한
규제 평균 완화요건이 만족되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보수적인 접근은 로컬
최대전송전력레벨을 규제 최대전송전력레벨에서 평균완화요건을 뺀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보다 높은 로컬 최대전송전력레벨을 이용하여 평균
완화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보다 낮은 로컬 최대전송전
력레벨은 범위제어 또는 간섭감소와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 83 -
BSS 또는 IBSS가 유지되는 동안 NIC에서 규제와 로컬 최대전송전력은 변
경될 수도 있다. 그러나 로컬 최대전송전력을 얼마나 자주 또는 얼마만큼을
변경할 것인지를 결정함에 있어서 네트웍 안정도를 고려해야 한다.

BSS의 AP와 IBSS의 NIC은 Beacon 및 Probe Response에 있는 Country 정


보요소를 이용하여 현 채널에 대한 규제 최대전송전력레벨를 BSS 또는
IBSS의 다른 NIC에게 알려야 한다. BSS의 AP와 IBSS의 NIC은 Beacon 및
Probe Response에 있는 Country 정보요소와 Power Constraint 정보요소의
조합을 이용하여 현 채널에 대한 로컬 최대전송전력레벨을 BSS 또는 IBSS
의 다른 NIC에게 알려야 한다.

다. 송신전력의 선택
NIC은 다음과 같은 제한내에서 채널에서 전송을 위한 어떤 전송전력도 선택
할 수 있다.

NIC는 현재 규제 지역의 채널에 대해 채널을 전송하기전에 규제 최대전송


전력레벨과 로컬 최대전송전력레벨을 결정해야 한다.
AP는 그 채널에 대해 규제 최대전송전력레벨과 같거나 적은 전송전력을 사
용해야 한다. 그러나 AP는 평균 규제완화요건이 충족된다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AP가 아닌 NIC은 그 채널에 대해 로컬 최대전송전력레벨과 같거나 적은
전송전력을 사용해야 한다.

라. 전송전력의 최적화
NIC은 다른 NIC으로의 MPDU 전송을 위한 전송전력을 동적으로 적응시키
기 위해 여러 가지 기준, 특히 특히 경로손실, 수신마진 추정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NIC은 직접 통신하는 다른 NIC에게 링크마진 및 전송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TPC Report 프레임으로 응답하도록 요구하기 위해 TPC Request 프레임을

- 84 -
사용할 수 있다. TPC Request 프레임을 수신하는NIC은 transmit power 필
드에 응답을 전송하는데 사용된 전력과 link margin 필드에 추정된 링크마진
을 기록한 TPC Report 프레임으로 응답해야 한다.
BSS의 AP 또는 IBSS의 NIC은 그것이 전송하는 모든 Beacon이나 Probe
Response의 Transmit Power 필드에 전송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TPC report
정보요소를 자율적으로 포함해야 한다.

(3) TPC 구조설계


가. TPC 구현 전제 조건

1. AP 및 NIC는 초기에 허용된 최대 출력 범위 내의 임의 값(Default value)


로 송신한다.
2. NIC는 Assoc 시 AP에서 송출하는 최대 출력을 알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
다. 1단계 TPC는 BSS에 대해서만 고려하고 NIC에서만 적용한다.
3. NIC에서AP로부터 수신된 프레임(Beacon)의 RSSI값을 송신 전력 제어의
Measure로 사용한다.

나. NIC TPC 동작

1. Initially, set TxPower as MAX value.


2. Measure RSSI and C/I value for every Beacon from associated A
P.
a. Average RSSI and C/I over averaging window (AW)
Ex) AW = 2; (currentApRssi, oldApRssi, currentApCi, oldApCi)

3. Mapping the TPC power value reciprocally to the measure the


RSSI and C/I. This mapping is based on the observation as follows.
A. High RSSI and High C/I
a. Near to AP and no other interference
b. Set Tx power level small
B. High RSSI and Low C/I

- 85 -
a. Near to AP but some interference
b. Set Tx power level medium
C. Low RSSI and High C/I
a. Far to AP but no other interference
b. Set Tx power level high
D. Low RSSI and Low C/I
a. Far to AP and some interference: 10
b. Set Tx power level max

RSSI dynamic range는 -32 ∼ -90 dBm이내이며, C/I dynamic range는


2.5 (Bad) ∼ 38.5 (Good) [dBm]이며, 표 1-13의 Quality Class와 같다.

표 1-13 Quality Class

- 86 -
제 2절 WRC-2003 및 ITU-R 국제주파수 대응

2002년도에는 1번의 JTG4-7-8-9 회의가 있었으며, 11월 말 WRC-2003을


위한 CPM회의가 제네바에서 개최되었다. 본 절에서는 5㎓대역 국제주파수
분배에 대응한 활동을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며, 국제적인 합의사항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입장을 근거하기 위한 5㎓대역 주파
수의 소요량 산출 결과를 향후 기고할 기고문의 형태로 수록하였다.

가. CPM 보고서 최종 합의사항 및 동향

의제 1.5 : 5150-5725MHz 주파수 대역에서 우주 연구 업무와 지구탐사 위성 업


무에 사용되고 있는 주파수를 이동, 고정 및 무선표정 업무에 분배할 것을
검토

Agenda Item 1.5 : Consideration by a future competent 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 of issues dealing with allocations to the
mobile, fixed, radiolocation, Earth exploration-satellite (active), and space
research(active) services in the frequency range 5150-5725MHz

WRC-2000에서는 결의736을 통해서 5150-5725MHz 대역에 대하여 WRC-2003에서


다음 사항을 검토할 것을 결의함
- Resolves 1: 5150-5350MHz, 5470-5725MHz 대역을 RLAN(Radio Local
Area Networks)을 포함한 무선접속시스템 (WAS)을 위한 이
동(MS) 1차 업무로 분배하는 것을 고려
- Resolves 2: 제 3지역에서는 5250-5350MHz 대역을 고정 업무(FWA)로 추
가 분배
- Resolves 3: 5460-5570MHz 대역을 지구탐사위성(EESS) 업무와 우주탐사
업무(SRS)를 위해 1차 업무로 추가적으로 분배
- Resolves 4: 5350-5650MHz 대역에 2차 업무로 분배되어 있는 무선표정
(Radiolocation) 업무를 우선순위를 높여 1차 업무로 분배

o 주요국가 및 국제/지역기구 등의 의견 및 제안

가. 미국
o 기본적으로 5150-5350MHz, 5470-5725MHz 대역을 RLAN을 포함한 이동

- 87 -
서비스로 사용한다는 Resolves 1을 지지 하지 않음
o Resolves1과 관련해서 새로 분배될 RLAN을 포함한 이동업무(MS)가 기존의
서비스를 보호하고 주파수를 공유할 수 있다는 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대해
인정을 하지 못하는 입장을 표명하며 5150-5350MHz 대역만 2003년에 우선
분배하고 확실한 연구결과가 나오는 2007년에 나머지 대역인 5470-5725MHz
대역을 분배하자는 새로운 방안 D를 제시 함
o 5250-5350MHz 대역에 대해서 3지역에서는 FWA(Fixed Wireless Access)
로 사용하자는 Resolves 2에 대해서도 EESS 보호에 우선을 두며, FWA사용
시 EESS 등 기존 사용 시스템으로부터 보호 받지 못한다는 조항을 삽입할
것을 제안 하는 등 FWA 사용에 대해서 제약을 가하는 입장을 취함
o EESS 및 우주탐사를 위해 주파수 추가 분배를 고려하는 Resolves3 및 무선
표정업무를 1차 업무로 상향조정하는 Resolves 4를 지지하는 입장
o 특히 Resolves 4와 관련해서 무선표정(Radiolocation) 서비스 주파수 대역이
6㎓ 이하에서 향후 더 작은 위치탐사를 위해서는 더 많은 대역폭이 필요하
다는 논리를 내세우며 무선표정에 대해 2차 업무에서 1차 업무로의 상향 조
정에 강력한 의지를 보임
o ICAO의 지원을 받아서, 항공기의 운항과 인명 안전에 관련된 주파수 대역으
로 의제 1.5의 주파수 분배 고려에서 제외 되었던 5350-5470MHz 대역에 대
해서 무선표정과 무선항행이 주파수 공유가 가능하다는 논리를 내세우며
Resolve 4의 무선표정 주파수 분배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제안을 함

나. 일 본
o Resolves1과 Resolves 2에 대해서 각각 제안서를 따로 작성해서 제출 했으
며, 일본이 제안한 Resolves 2에 대해서 많은 신경을 씀
o Resolves 1과 관련해서 기존의 연구 결과를 인용, 5250-5350MHz 대역의
RLAN을 포함한 이동업무(MS)와 EESS의 공유조건에 있어 DFS(동적채널할
당)에 의해서 고려된 EIRP 200mW란 출력의 크기 효과는 5㎓ 대역전체 중
사용 가능대역을 330MHz로 전제 했을 경우 이므로 200MHz 대역을 사용할
경우 DFS의 효과가 감소되어 EIRP 출력도 130mW로 축소되어야 한다는
연구 결과 삽입을 제안
o Resolves2와 관련해서 5250-5350MHz 대역에서 MS와 FWA(고정업무)간의
주파수 공유에 있어 동일 채널을 공유 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연구 결
과를 인용해서 추가로 삽입하는 것을 제안함

- 88 -
o 또한 FWA와 MS간의 동일 채널의 공유에 있어 FWA로부터 MS로의 간섭
문제 보다는 MS로부터 FWA로의 간섭 문제가 심각함을 지적하고 FWA로부
터 MS는 1Km 이상 이격될 경우 사용상에 문제가 없지만, FWA 기지국은
MS로부터 3Km 이상 이격되어야 운영상에 문제가 없다는 연구결과 삽입을
제안 함
o 5470-5725MHz 대역에 대해서는 Resolves3의 EESS추가 분배 및 Resolves 4
의 무선표정 서비스가 1차업무로 상향되어 적절히 보호받는 것을 우선적으로
고려함

다. 캐나다
o 5250-5350MHz 대역에 대해서 WAS와 EESS 간의 공유 기준과 관련해서
최근의 ITU-R JRG 8A9B 연구결과를 인용해서 기존의 기술기준을 수정해
서 두 가지 출력 안 형태로 삽입을 제안 함
o 특이한 것은 5600-5650MHz 대역에서 기존에 기상관측 시스템이 사용됨을
주지시키는 내용의 삽입을 제안 함
o 5470-5725MHz 대역에서 WAS가 운영될 경우 DFS 기술과 TPC(전력제어)
기술이 적용 되어야 한다는 ITU-R의 연구 결과를 삽입할 것을 제안 함

라. 영국
o ITU-R 권고안과 관련해서 최근 권고안으로 권고안 번호를 수정할 것을 제안

o Resolves 1과 관련해서 5250-5350MHz 대역에서 MS와 EESS 간의 주파수
공유연구 결과에 대해서 몇 개 국가는 EESS를 보호하기에 충분한 조건이
아님을 우려하는 국가가 있다는 내용을 삽입할 것을 제안하면서도 연구 결과
가 유일한 운영 방안임을 주지시는 내용도 함께 삽입할 것을 제안해서 EESS
보호를 우선시하는 미국 의 입장을 일부 반영하는 듯하면서도 기존의 연구결
과를 통해서 MS 사용을 지지하는 제안을 함
o Resolves 1의 5250-5350MHz 대역에서 WAS와 EESS의 주파수 공유를 위해
기존의 두 가지 기술기준 내용 중에 최대 1W까지 출력이 가능한 두 번째 기
술기준 안을 삭제할 것을 제안하여 ERIP 200mW 출력 기준으로 단일화 하
는 제안을 함
o DFS를 통한 기존 시스템과의 주파수 공유에 대한 결과가 아직 확정적이지

- 89 -
못할지라도 현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WRC-2003 이전까지는 결과가 나
올 수 있음을 지적하는 내용 삽입을 제안 함

마. CEPT
o Resolves 1과 관련 5150-5350, 5470-5725MHz 대역이 전 세계적으로 RLAN
을 위한 1차 이동업무(MS)로 신규 분배하는 것을 지지한다. 이 때 MS는
footnote 5.XXX와 5.YYY에 의해서 타 서비스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규정되
며, 또한 ITU-R 권고에 따른 적절한 운영상의 제약과 e.i.r.p 제한이 가해
질 수 있다.
o Resolves 2와 관련해서 FWA가 3지역에서 분배될 경우 지구/우주탐사
위성을 보호해야 하며 또한, Resolves 1에 의해서 동 대역에 전 세계적으로
분배될 이동업무의 진입을 방해하지 말아야한다
o Resolves 3 관련 5460-5570MHz에서 지구탐사위성 및 우주연구에 1차업무로
추가 분배하는 것을 지지하는 것은 Resolves 1에 의해서 이동업무가 전 세계
적으로 1차 업무로 분배되는 것에 대해서 추가적인 제약을 가하는지의 여부
에 달려 있다.
o Resolves 4관련 무선표정업무를 5350-5650MHz 대역에서 1차 업무로 승격하
는 것은 5470-5650MHz 대역에서 이동업무를 신규 1차 업무로 분배하는 데
따른 자연스런 결과이다

3. 우리나라의견 및 제안
o 우리나라는 5150-5350MHz, 5470-5725MHz을 RLAN을 포함한 WAS를 위한

이동 1차 업무로 분배 하는 Resolves1 의 방안 A를 적극 지지 함
o 특히 상위 5470-5725MHz 대역에 대해서는 옥외용으로의 분배를 적극 지지하
고 이에 따른 운영상의 제한 조건 완화 및 보호조치가 필요함을 표명
o Resolves 3과 Resolves 4는 Resolves 1의 방안 A에 반대되는 입장이며 따라서
Resolves 3과 Resolves 4 가 채택될 경우 Resolves1을 이용한 이동 업무에 제
약을 가할 것을 유려하며 이에 따른 장단점을 정확히 명시 할 것을 제안 함
o 특히 Resolves 4에 의해서 무선 표정이 2차 업무에서 1차 업무로 상향 조정
되는 것은 의제 1.17에서도 함께 고려됨을 주지 시켜 무선 표정의 주파수가
과다하게 1차 업무로 상향 조정 되는 것에 대해서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우리나라가 지지하는 Resolves 1의 방안 A에 대해 지지를 유도 함
o 우리나라의 전파연구소를 통한 5㎓ 대역 실험 주파수 운영현황을 예로해서

- 90 -
제3지역에서도 5150-5350MHz, 5470-5725MHz 대역이 이용 되고 있음을 삽입
할 것을 제안 함

4. CPM 회의 결과
1) 주요 논의 사항

o 5150∼5350MHz, 5470∼5725㎓대역을 무선LAN이 사용 가능한 이동 1차 업

무로 분배하는 문제와 EESS 보호 및 무선표정 업무 확대가 주요 쟁점으로 회의가


진행 됨
o 우리나라는 국내 초고속무선인터넷 서비스의 필요성과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동 대역의 이동 업무 분배를 적극 지지하는 입장을 표했으며, 특히
상위 5470-5725MHz 대역에 대해서는 옥외용 분배를 통한 사업권 기반의 서
비스에 제약이 가해지는 제안들의 문제점을 부각 시키는 의견을 적극 개진함
o 반면, 미국 및 캐나다는 같은 목소리를 내며, 동 대역에서 자국의 무선표정
업무 사용의 확대와 지구탐사위성업무의 보호 등을 이유로 이동업무 분배 및
이용에 제약을 가하는 의견을 제안 함

o 특히 미국은 Resolves 1과 관련하여 5470-5725MHz 대역의 분배를 WRC-07

에서 결정하자는 새로운 방안 D를 제안을 했으며, 이와 같은 미국의 새로운


분배 방안은 우리나라는 물론 기본적으로 이동업무를 전 세계적으로 비업무
로 WRC-2003에서 분배한다는 유럽의 공동 의견과도 배치되는 안으로 이안
에 대한 논의가 상당히 오랜 동안 논란을 불러일으킴
o 미국의 새로운 제안이 일단 채택이 되었으나 우리나라와 유럽국가의 공조를
통해서 미국의 제안 내용을 수정하여 새로운 방안이 채택될 경우에 이에 따
라 이동 서비스가 많은 제약 속에서 운영이 되어야 하는 단점을 강력히 부각
시킴으로써 기존 방안을 중심으로 이동 업무의 이용 가능성을 유지함

2) CPM 수정 내용
o Resolves 1에 대해서 기존의 분배 방안에 추가로 미국의 방안을 수정 보완한
새로운 방안 D를 추가 삽입함
o 동 의제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에서 제안한 Resolves 1의 이동 1차 업무 분배
와 대립적 관계에 있는 Resolves 3, 4를 분배 및 분배치 않을 경우에 따른
장단점을 부각 시키는 제안은 많은 부분 채택이 되었음
o 미국은 Resolves 4 방안 B와 관련해서 5470-5650MHz 대역에서 무선 표정을
1차 업무로 상향 조정하지 말자는 분배 방안 B를 수정하여 5350-5470MHz

- 91 -
대역에서 상향 조정하자는 새로운 제안이 채택이 됨
o 일본은 Resolves 2와 관련해서 기존 무선 설비에 대한 혼신 방지와 함께 혼신
에 따른 보호를 요청 치 못한다는 내용을 추가로 삽입하며 5250-5350MHz 대
역에 대한 FWA의 사용에 대한 기술기준 및 운영방안 제안을 반영시킴
o 미국의 제안 내용의 대부분은 이동업무에 대한 제약과 무선표정업무의 확장
사용 이었으나 유럽의 반대로 인해서 대부분 그 의미가 약화 되어 반영 되거
나 많은 부분 제안이 철회 함

5. WRC 대응 방안
o 금번 회의는 우리나라가 의제 1.5관련 연구반인 ITU-R WG7C 등의 참여가 없
었던 결과 회의 초기에는 우리나라의 입장 및 제안을 반영시키는데 어려움이
많았음 기존의 연구반인 ITU-R JRG 8A9B 등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 및 대응
이 절실히 요구 됨
o 향후 연구반의 적극적 참여를 통해서 사전에 우리나라의 입장이 고려될 수 있
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또한 2003년 2월에 일본에서 개최되는 APG 5차
회의를 잘 준비해서 Region 3 국가들이 우리나라의 입장을 지지하도록 설득 및
유도함 해야 함
o 한국이 주파수 장기이용 정책 방안에 따라서 5㎓ 대역을 이용한 초고속 무선
접속망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이동 1차 업무로 분배하고자 하는
Resolves 1의 방안 A를 더욱 강력히 지지 할 수 있도록 타당성 연구 결과를
준비해야 함
o 또한 5㎓대역 서비스 구현을 위한 적정소요대역 폭의 산출 결과의 활용 등으로
Resolves3 와 Resolves 4에 의한 5㎓ 대역의 옥외 가용 주파수가 축소되는 것을
방지 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하며, 이와 같은 노력을 기반으로 해서 내년
6월에 개최되는 WRC-2003회의에서 우리나라의 의견이 최종적으로 반영되도록
노력해야 함
o 또한, 2003년 WRC 회의의 결과에 의해서 5㎓ 대역은 RLAN 및 FWA 형태
로 이용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 졌으므로 국내에서도 기존 무선설비와의 주파
수공유 기준 및 출력 등에 대한 기술기준을 마련하여 실질적인 서비스가 이루
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인 준비를 해야 함

나. 5㎓대 주파수 소요량 산출결과(ITU-R 기고문 형태)


- 부록 참조 : Document 8A-9B/132-E

- 92 -
제 2 장 5㎓대역 실내전파특성 연구

제 1절 연구배경 및 범위
최근의 통신 기술은 정보화 사회로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개인 휴대 통신
의 사용과 더불어 급성장한 무선 통신망과 기존의 유선 인터넷 망과의 결합
을 통한 비음성 부가 서비스 부분을 보다 빠른 속도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
털 전송기술을 기반으로 한 초고속 광대역 무선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 급
속히 발전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초기에는 전송 매체를 단순히 무선으로
대체하는 형태였으나, 인터넷 사용의 활성화, 휴대용 컴퓨터 및 PDA의 보급
이 확산됨에 따라 단말의 이동성을 고려한 무선 정보망의 또 다른 실현 수
단으로 부각되었으며, 인터넷 및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망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
증하고 있으며, 무선으로 수십 Mbps급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며 이동 환경
에서 유선 ATM 망과 호환적인 접속이 가능한 광대역 무선 LAN 및 이동
무선 억세스망(Normadic Wireless Access)으로 발전하고 있다.
무선 LAN은 무선 전송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의 유선 LAN의 미비점을 보
완하고, 유선 LAN의 설치가 어려운 환경까지 무선채널을 통해 LAN을 확장
시킬 수 있는 이동성, 휴대성 및 간편성 등의 이점으로 그 응용 분야가 날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무선 LAN은 2Mbps급의 고속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IMT-2000 시스템 및 기존의 유무선 망과의 통합망 구축을 통한 대
용량의 광대역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차세대 이동통신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예상되며, 무선 LAN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IEEE
802.11 표준과 ETSI(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nds Institute)의
HIPERLAN(Hihg Performance Radio Local Area Network)으로 양분되어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상용화된 무선 LAN의 대표적인 예는 IEEE 802.11 규격 시스템
으로서 2.4㎓대의 ISM 밴드에서 최대 11Mbps의 전송률을 지원하며, 최근에
는 54Mbps까지 가능한 IEEE 802.11a 규격 시스템이 출시되어 본격적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광대역 데이터의 전송이 필수적이며
협대역 시스템과는 달리 심볼간 간섭(ISI)이나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과 같은

- 93 -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특성은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일
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신호를 크게 좌우하는 것은 채널의 특성이
며 주파수가 변하면 그 주파수 대역에서의 채널 특성도 따라 변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채널 예측 방법들은 대부분 실외에서 협대역 시스템에 대한 모
델들로 각 시스템의 중심 주파수에 대한 특성만을 고려함으로써 실제 광대역
채널을 구성하는 각 주파수 성분에 의한 채널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
다. 따라서 새로운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대역에서의 채널 특
성 파악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보고서의 연구 범위는 위에서 언급한 그 대역에서의 채널 특성 파악을
위해 실내 전파 환경과 같이 지역 특성이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에 대해
차세대 실내 무선 통신으로 떠오르고 있는 IEEE 802.11 기준의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의 반송파 주파수 대역인 2.4㎓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대역 및 5.3㎓ 대역에서 실내 무선 채
널에 대한 광대역 채널 특성 및 IEEE 802.11b/a 규격의 무선 LAN에 대한 성
능분석을 통계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 94 -
제 2절 무선LAN 기술 검토

1. IEEE 802.11 무선 LAN 표준

가. 적외선(Infra Red) 방식

적외선 방식은 850∼950 nm의 파장 범위를 가지는 적외선을 Disffuse


IR방식으로 확산한다. 변조 방식으로는 1Mbps에서는 4-PPM(Pulse
Position Modulation), 2Mbp에서는 16-PPM을 사용한다. 구조가 간단하
고 싸다는 잇점이 있으나, 벽이나 안개 등에 크게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다.

나. FHSS(Frequency Hop Spread Spectrum) 방식

송수신기에서 도약 시퀜스를 발생하기 위한 랜덤 수도 확산 코드를 발


생하여 데이터 신호가 이 주파수에 도약 스퀜스 발생에 따라 전송된다.
2.402에서 2.480까지 1MHz의 채널 공간을 갖는 중심주파수 범위 내에
79 Channel 사이에서 Hopping하며, 변조 방식으로 1Mbps 또는 2Mbps
에서 각각 2GFSK(Gausian Frequency Shift Keying), 4GFSK 방식을
사용하며, DSSS 방식에 비하여 동기화를 위하여 송수신단이 복잡해지
고 비싸지는 단점이 있지만 간섭에 강한 특징을 갖는다.

다. DSSS(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방식

신호를 확산시키는데 Barker 코드라 불리는 11 Chip Barker Sequence를


사용하여 전송률에 따라 1Mbps에 대해 BPSK와 DBPSK(Differential
Binary Phase Shift Keying), 2Mbps에 대해 QPSK와
DQPSK(Differential Quadrature PSK) 변조 방식을 사용한다. 즉, 심볼
전송률은 11 Msymbols/sec이며, 각 심볼은 11개 칩으로 구성된
PN(Pseudo Noise) 부호에 의해 확산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PN 부호는
11개 칩으로 구성된 Barker code로서, 각 전송 심볼은 이 부호에 의해

- 95 -
대역 확산이 된다. Barker code를 사용하는 큰 이유는 우선 자기 상관
특성이 좋고 길이가 짧아 빠른 시간 내에 동기 획득이 가능하기 때문
이다. 또한, 입력 심볼의 극성과 지연시간에 상관없이 부엽(sidelobe)의
크기가 1보다 작기 때문에 부엽에 의한 신호 전력 손실이 작은 것이 장
점이다. 칩률이11 Mchips/sec이므로 한 칩 주기는 90.9ns이므로 확산지
연(delay spread)이 90.9ns보다 작을 경우에는 다중 경로에 의해 문제가
될 수 있다. 한편, 11 Mchips/sec의 칩률을 지원하기 위해 최소 22MHz
의 대역을 요구한다. 이 방식은 Near far problem이 상존하는 단점이
있지만 FHSS 방식과는 달리 동기화가 필요 없어 구현이 비교적 간단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2.4㎓ ~ 2.48㎓ 대역의 ISM밴드를 사용하는 대역의
11개 채널에 대해 22MHz 채널 대역폭을 가지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1000mW(미국), 10mW/MHz(한국, 일본)으로 송신 출력전력을 제안하고
있다.

2. IEEE 802.11b 무선 LAN 표준


기존의 1Mbps/2Mbps 전송률을 지원하는 DSSS 방식의 IEEE 802.11 물리
계층을 확장한 것으로 Radio-based로 2.4㎓ ISM band를 사용하며, CCK 기
법을 이용해 5.5Mbps, 11Mbps까지 전송할 수 있다. Wireless 상황에서는
collision을 감지해 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802.11b wireless LAN 의
MAC은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Avoidance
(CSMA/CA)를 사용하며, 표 2-1에 IEEE 802.11b의 지원 가능한 전송률에
따른 시스템 파라미터를 나타내었다.

표 2-1. IEEE 802.11b의 지원 가능한 전송률

Date Rate Code Symbol Bits/


Modulation
(Mbps) length Rate(MSps) Symbol

1 11(Barker Sequency) BPSK 1 1


2 11(Barker Sequency) QPSK 1 2
5.5 8(CCK) QPSK 1.375 4
11 8(CCK) QPSK 1.375 8

- 96 -
802.11b의 중요한 특징은 Complementary Code Keying (CCK)라는 Coding
방법을 사용하여5.5Mbps의 경우 carrier 하나당 4bit를 전송하고, 11Mbps의
경우는 carrier당 8bit를 전송하는 것이다.

3. IEEE 802.11a 무선 LAN 표준


IEEE 802.11a WLAN은 미국 FCC에서 규정한 5.15-5.25, 5.25-5.35, 그리
고 5.725-5.825㎓의Unlicensed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U-NII)
대역에서 OFDM 방식을 사용하며, 6, 9, 12, 18, 24, 36, 48, 54Mbps의 전송
률을 지원한다. 이 시스템은 BPSK 또는 QPSK, 16-QAM 또는 64-QAM에
변조되는 52개의 부반송파를 사용하며, 오류 정정부호로는 부호화률이 1/2,
2/3, 또는 3/4인 길쌈 부호를 사용한다. 전송속도에 따른 시스템의 파라미터
는 표 2-2와 같다.

표 2-2. IEEE 802.11a의 지원 가능한 전송률

Date Rate 변 조 Code Code bits/ Cpde bits/ Data bits/


(Mbps) 방 식 Rate Subcarrier OFDM 심볼 OFDM 심볼

6 BPSK 1/2 1 48 24
9 BPSK 3/4 1 48 36
12 QPSK 1/2 2 96 48
18 QPSK 3/4 2 96 72
24 16QAM 1/2 4 192 96
36 16QAM 3/4 4 192 144
48 64QAM 1/2 6 288 192
54 64QAM 3/4 6 288 216

- 97 -
제 3절 실내 무선 채널 분석 파라미터

광대역 무선 채널은 다중 경로에 기인한 시간 분산적 특성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실내 무선 채널은 수신 위치에 따른 경로손실과 수신 신호의 전
력지연 프로파일로부터 평균지연확산(mean excess delay spread), RMS 지
연확산(RMS delay spread) 등의 시간 분산적 매개변수로 그 특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RMS 지연 확산은 전송된 신호간의 간섭을 예측할 수 있어 BER
과 연계된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 등의 주요 시스템 파라미터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1. 경로 손실

실내 무선통신채널의 경로손실은 건물의 구조, 재질 등의 환경적 특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실험에 의한 여러 통계적 모델이 제시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경로 손실 모델은 식 (2-1)과 같이 로그-정규 분
포(log-normal distribution)를 갖는 로그거리 경로손실 모델이다.

d (2-1)
P L (d)= P L (d 0 ) + 10n log ( )+Xσ
d0

여기서 P L (d) 는 거리 d 에서의 수신 전력, P L (d 0 ) 는 기준 거리 d 0 에서의 수

신 전력, X σ 는 0dB 평균의 로그-정규 랜덤 변수와 σ( dB) 의 표준 편차, n

는 경로손실 지수를 나타낸다. 로그-거리 경로손실 모델의 예측치는 측정치


와 비교해 볼 때 약 13dB정도 차이가 나며, 실내 채널에서 경로 손실 모델
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 Seidel이 건물의 재질이나 구조에 따른 영향을
고려해서 장애물에 따른 변화 정도를 보완하여 그 차이를 4dB 정도로 줄인
식 (2-2)와 같이 발전된 감쇠지수 모델이 있다.

d (2-2)
P L (d)= P L (d 0 ) + 10n SF log ( ) + FAF
d0

- 98 -
위 식에서 n SF 는 송수신 안테나가 같은 층에 위치한 경우의 경로 손실 지

수, FAF 는 층간 감쇄지수를 나타내며, 같은 층에서의 경로 손실 지수 값


이 정확하게 도출된다면 층간 감쇠 요소 (floor attenuation factor)를 파악하
여 건물 내 대부분의 지점에서 경로 손실을 예측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통계적인 방법에 의한 실내 무선 채널의 경로손실을 예측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모델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모델들은 실험을 통해 정
확하게 예측할 수 있지만 시간과 인력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그밖에 해
석학적인 방법으로 실내환경의 복잡한 구조적 특성이나 매질특성을 효과적
으로 예측할 수 있는 전파 추적기법이 있다.

2. 평균 초과 지연확산(mean excess delay)


평균 초과 지연확산은 수신기에 첫 번째로 도달한 신호를 기준으로 한 평
균 전파 지연 시간으로 전력지연 프로파일의 1차 모멘트(1’st moment)로서
식 (2-3)과 같이 주어진다.


τm = ⌠
⌡- ∞ tP norm (t ) dt
(2-3)

여기서 P norm( t ) 은 정량화된 전력 지연 프로파일로서 P norm (t)= P(t)/ P total ,



P total = ⌠
⌡ P(t)dt 이다.
-∞

전력지연 프로파일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수신신호 성분에 대한 한계 레벨


설정이 매우 중요하며, 이 한계 레벨은 수신된 다중경로 성분과 순수 잡음 성
분이 구별토록 하여 분석의 오류를 방지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시간의 원점에
따라 mean excess delay가 달라지게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전력 지연 프로파
일의 첫 rising edge 즉, 첫 번째 신호가 도착한 시간을 시간의 원점으로 정의
하였다.

3. RMS 지연확산과 코히어런스 대역폭

- 99 -
한정된 지역 내에서의 시간 분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매개변수로서 RMS
지연 확산과 코히어런스 대역폭(Coherence bandwidth)이 있다. RMS 지연
확산은 반사와 산란에 의한 전파 경로에 대해 결정되는 평균 초과 지연을
기준으로 전력 지연 프로파일이 평균 초과 지연에 비해 퍼져 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이것은 전력 지연 프로파일의 2차 중심 모멘트(2’nd
central moment)로서 식 (2-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τ ⌠ (t-τ ) 2P (2-4)
r ms = ⌡- ∞ m norm (t)dt

τ r ms
는 다중 경로에 의한 시간지연확산을 정량화하는 척도로서 신호간 간

섭 현상을 피할 수 있도록 전송 속도를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파라미터이


며, 이 값에 의해 무선통신 시스템의 성능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므로 채널
을 특성화하는데 빈번히 사용되는 매개변수이다.
코히어런스 대역폭 B c 는 채널 특성이 평탄하다고 간주되는 주파수 부분의

폭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RMS 지연 확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관계로부


터 정의되며, 모든 주파수 성분들이 채널을 통과하면서 같은 이득과 선형적
인 위상 천이를 가진다고 간주할 수 있는 대역폭을 말한다. 즉, 상관 대역폭
내에 존재하는 두 개의 주파수 성분들은 크기의 상관 정도가 상당히 높고,
코히어런스 대역폭보다 큰 주파수 차이를 갖는 두 개의 주파수 성분들은 채
널에 의해 받는 영향의 정도가 매우 커서 신호간의 상관정도가 낮다.
RMS 지연 확산과 코히어런스 대역폭은 반비례의 관계를 갖지만 정확한
관계식은 규정되어 있지 않다. RMS 지연 확산 값으로 채널이 주파수 선택
적 페이딩 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명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RMS 지연 확
산 값이 전송 데이터 심볼주기의 0.1배가 넘는 경우, 채널은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을 갖게 되고 이 때의 시스템은 등화기를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채
널 측정을 통해 RMS 지연 확산의 정도와 그에 따른 코히어런스 대역폭의
관계를 규정하는 일련의 일들이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 100 -
4. 도플러 확산과 코히어런스 시간

도플러 확산과 코히어런스 시간(coherence time)은 이동국과 기지국간의


상대적인 움직임 혹은 주변 물체들의 움직임으로 야기되는 채널의 시변 특
성을 나타내는 매개 변수로서, 코히어런스 시간 T c 는 연관성이 많은 신호들

을 수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말한다. 도플러 확산 B D 는 이동 통신 채널 상

에서 주파수상에서 시간 변화에 따르는 신호 확산을 의미하며, 수신된 도플


러 스펙트럼 분포가 동일한 주파수의 범위를 말한다. 만약 송신단에서 하나
의 주파수 성분 f c 만이 전송되었을 경우, 도플러 스펙트럼은 f c - f d 에서

f c + f d 범위 내에 존재하게 되며, 도플러 천이 f d 는 이동체의 속도와 방향

및 전파의 도달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코히어런스 시간은 기저 대역에서의 신호 대역폭이 도플러 확산대역폭보
다 훨씬 크다면, 수신단에서 코히어런스 시간은 도플러 확산과 반비례의 관
계를 갖는다. 즉, 코히어런스 시간 내에 수신되는 신호들간의 상관 정도는
매우 높고, 코히어런스 시간 보다 큰 시간 간격을 가지고 도달하는 신호들에
대해서는 상관 정도가 낮다.

- 101 -
제 4절 전파특성 및 실험 결과 분석

1. 실험 환경

실내 무선 LAN 서비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환경에 대해 2.4


㎓와 5.3㎓ 대역 채널 특성 및 IEEE 802.11b/a 방식 무선 LAN의 성능 분석
을 위한 파라미터로는 수신 전력, 전력 지연 프로파일, Throughput 등을 선
정하였으며, 고정된 송신기에 대하여 각 수신점에서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
해 PC(노트북)에 802.11b/a WLAN Client Card 및 GPIB Card로 Spectrum
Analyzer, Network Analyzer를 연결하고 이를 VEE 프로그램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가. 실험 환경

그림 2-1 생활관 2층 평면도 및 측정점 위치

- 102 -
그림 2-1은 전파연구소 내 생활관 건물에 대한 측정점 위치와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건물의 전체 크기는 26.5m×31m의 H자형의 2층 건물로서
4.2m×6.0m×2.7m(높이)의 균일한 방으로 이루어진 A 부분과 같은 건물이 통
로 B를 통해 정대칭 구조로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B부분의 2층은
실외이고, 1층은 실내이다. 실내 환경에서 LOS 및 NLOS 환경에 대한 전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건물 A부분과 연결 통로인 B 부분을 선정한 T 자형
환경에 대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A 부분의 전체 크기는 8.6m×31m이며, 중앙
복도는 8.6×2m이다. 각각의 방은 벽에 의해 완벽하게 분할되어 있으며 목재
출입문, 알루미늄 창들로 된 유리창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 수신 전력 및 전력 지연 프로파일 측정

그림 2-2는 수신 전력 측정 시스템 구성도이고, 그림 2-3은 전력 지연 프


로파일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Non-Directional Antenna

•Spectrum Analyzer
•Power Amp

•Variable Attenuator
•Note Book with GPIB Interface
•Signal Generator

그림 2-2 수신 전력 측정 시스템 구성도

- 103 -
•N on-D irectional A ntenna

•N ote B ook with G PIB Interface

•N etwork A nalyzer

그림 2-3 전력 지연 프로파일 측정 시스템 구성도

각 환경에 대한 수신 전력 및 전력 지연 프로파일 측정은 하나의 송신점


에 대해 다양한 수신경로를 설정하고 각 수신점에서의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이동단말(노트북)에 PCMCIA로 된 GPIB Card로 Spectrum Analyzer
및 Network Analyzer를 각각 연결하고 이를 VEE프로그램으로 제어하는 방
법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였으며, 표 2-3에 측정 시스템의 사양을 나타내었다.

표 2-3 수신 전력 및 전력 지연 프로파일 측정 시스템 사양

구 분 이 름 모 델 및 특 징
Spectrum Analyzer Hewlett-Packard 8564E
Network Analyzer Agilent Technologies E5071A
Signal Generator Marconi Digital & Vector Signal Generator 2052
Amplifier Amplifier Research 25S1G4 and 15T4G18
H/W
Antenna 2.4/5.3㎓ 대역 전방향 안테나
Attenuator 30dB 가변 감쇠기
GPIB Card National Instruments PCMCIA-GPIB
노트북 Sony Vio PCG-SRX55TL
운영체계 Windows 2000
S/W
VEE Hewlett-Packard VEE 5.01

- 104 -
사용된 반송파의 중심 주파수는 2.4㎓와 5.3㎓로 200MHz의 대역에 대해
무변조신호로 측정하였으며, 그림 2-2에서와 같이 전력증폭기를 사용하여 케
이블이나 커넥터 등에 의한 추가 손실을 보상하고 동작 영역의 범위도 확장
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또한 송․수신단 사이의 거리가 짧아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가 너무 클 경우, 이를 낮추기 위해 가변 감쇠기를 사용하였다.

다. Throughput 측정

•IEEE 802.11b WLAN AP

•User(IEEE 802.11b/a Client Card)


•With Chariot Performance Endpoint

•IEEE 802.11a WLAN AP

•Network Hub

•Chariot Console(Server)
•With Chariot Performance Endpoint

그림 2-4 Throughput 측정 시스템 구성도

Throughput은 그림 2-4처럼 AP를 기반으로 한 Infrastructure 방식을 적


용하여 간섭을 주는 다른 시스템이 없는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환경별 특성
을 측정하였다. 수신위치에 따른 전송 속도를 보기 위해 다양한 수신경로를
설정하여 Console인 서버 PC에 AP를 연결하고, Performance Endpoint인 사
용자 노트북에 Client Card를 장착해 net-iQ Chariot 4.2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AP로부터 사용자 위치에 따른 성능을 측정하였다.
시스템 구성은 IEEE 802.11b 규격 무선 LAN에 대해서는 Linksys

- 105 -
WAP11, IEEE 802.11a 규격 무선 LAN에 대해서는 SONY PCWA-A500을
사용하였으며 세부 구성 사양에 대해서는 표 2-4에 나타내었다.

표 2-4 Throughput 측정 시스템 사양

구 분 측정 도구 모델명 및 특징
802.11b AP LINKSYS WAP11
802.11b Client Card Orinoco Wireless PCMCIA Card
802.11a AP SONY Access Point PCWA-A500
H/W 802.11a Client Card SONY Wireless LAN PC Card PCWA-C500
데스크 탑 PC Pentim Ⅲ 800MHz
노트북 PC Sony Vaio Series Pentim Ⅲ 900MHz
Network Hub 3 Com TP/12 Hub
운영체제 Windows 2000
S/W
Chariot 4.2 Net-IQ Chariot 4.2

2. 측정 시나리오
채널 특성 분석은 2.4㎓와 5.3㎓ 의 중심주파수에 대해서 대역폭을 200MHz
로 하여 무변조로 전송하여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실내 전파 환경의 모든
측정에서 송신안테나의 높이와 수신안테나의 높이는 각각 바닥에서 1.8m,
80cm로 고정하고 송신 전력을 50mW로 하였으며, 사용된 송․수신안테나는
전방향 안테나로 하였으며, 수신안테나의 높이를 80cm로 한 것은 일반적인
사무실 환경에서 책상 높이와 비슷한 실재 사용 공간에서의 특성을 보기 위
해서이다. 실내에서 광대역 무선 채널에 대한 경로 손실, 전력 지연 프로파일
로부터 채널 특성을 분석하고, 나아가 IEEE 802.11 b/a 규격 무선 LAN 에
대한 데이터 전송률 측정을 통한 실내에서의 시스템 성능 분석으로 그 특성
을 확인하였다. 실험을 통해 얻고자 하는 주 파라미터인 수신 전력, 전력 지
연 프로파일, Throughput 은 송신기와 수신기가 동일 층에 있는 경우와 다른
층에 있는 경우로 나누어서 다음 네 가지의 단계로 측정하였다.

- 106 -
가. 경로 손실 측정
경로 손실을 알아보기 위해 송신기를 생활관 2층 복도 끝에 고정시켜놓고
수신기를 동일 층인 2층과 다른 층인 1층의 측정 위치로 이동하면서 LOS와
NLOS 환경에 대해 수신 전력을 측정하였다. LOS 환경은 그림 2-1에서 보
듯이 2층의 측면 복도에서 송신기로부터 1.6m 간격으로 20개를 선정한 뒤,
NLOS 환경으로는 LOS 환경의 측정위치로부터 수직으로 중앙 복도를 따라
2m 간격으로 8개의 위치에 대해서 측정하였고, 각 방별로는 9개의 측정 위
치에 대해 45개의 수신위치에 대해 측정하였다.

나. 층간 전파전파 특성 측정
층간 전파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송․수신기를 2층 동일 층에 위치한 경
우와, 송수신는 2층에 두고 수신기를 1층에 위치한 경우의 각 수신점에서 일
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매회 5번에 걸쳐 연속적으로 획득하였다. 이때 매번
획득한 각각의 데이터는 스펙트럼 분석기에서 10번에 대한 평균값으로 나타
나도록 셋팅된 값이다.

다. 무선 채널 특성 측정
실내 무선 채널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RMS 지연 확산을 구하고자 주파수 변환 방식을 적용해 각 수신 위치에서의
전력지연 프로파일을 측정하였는데, 송수신기가 하나로 되어 있어 지정한 모
든 측정 위치에서의 측정보다는 2층 및 1층에 대해 LOS 및 NLOS 환경에
대한 대표 위치를 선정해 데이터를 얻는 방식으로 하였다.

라. Throughput 측정
현재 상용화되어있는 IEEE 802.11b/a 규격의 무선 LAN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수신 전력 측정과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각 수신 위치에
서의 데이터는 4회에 걸쳐 수행하였다.

3. 실험 결과 분석
실내 전파환경에서 무선 LAN 사용을 위한 광대역 채널의 전파 특성 및
성능 측정 결과로부터 경로손실, 평균 초과 지연, RMS 지연 확산,

- 107 -
Throughput 등의 파라미터를 송․수신안테나가 같은 층에 위치한 경우와 그
렇지 않은 경우에 대해 LOS 환경과 NLOS 환경으로 구분하여 실내 전파 특
성을 분석하였다.
층간 전파 특성 측정은 송수신 안테나가 같은 층에 위치하지 않고 서로 다
른 층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의 전파전파 특성 및 데이터 전송속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송신 안테나는 생활관 2층 측면 복도 끝에 고정시키고, 수
신안테나는 2층과 1층의 각 지점에 위치시켜 측정한 값을 분석하였다.

가. 경로 손실 분석

송수신 안테나가 동일한 층에 위치한 경우와 각각 다른 층에 위치한 경우


에 대해 LOS와 NLOS 환경인 측면 복도와 중앙 복도, 그리고 각 Room에서
수신 전력을 비교함으로써 경로 손실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림 2-5에서 그림
2-7까지는 송신 안테나를 2층 복도 끝단에 위치시키고 2층, 및 1층의 각 위치
에서의 수신 전력을 나타낸 것이며, 대략적으로 그 크기는 -30∼-90dB 사이
의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2.4㎓ 대역의 수신 전력은 LOS 환경인 측면 복도에서 평균 -34.7dBm(2
층), -54.3dBm(1층)이고, NLOS 환경인 중앙 복도에서는 -62.79dBm(2층),
-69.12dBm(1층)이고, Room에서는 -49.2dBm(2층), -67.6dBm(1층)이고, 2층
전체에 대현 평균은 -48.9dBm이고, 1층 전체에 대한 평균은 -68.4dBm이었
으다.
5.3㎓ 대역의 수신 전력은 LOS 환경인 측면 복도에서 평균 -58.8dBm(2
층), -90.1dBm(1층)이고, NLOS 환경인 중앙 복도에서는 -79.03dBm(2층),
-91.24dBm(1층)이고, Room에서는 -73.6dBm(2층), -90.05dBm(1층)이고, 2층
전체에 대현 평균은 -70.48dBm이고, 1층 전체에 대한 평균은 -90.61dBm이
었다. 그리고 건물 전체에 대해 2.4㎓ 대역의 수신전력은 -50.29dBm이고, 5.3
㎓ 대역의 수신전력은 -80.55dBm이었다.

- 108 -
그림 2-5 측면 복도에서 2.4㎓ 및 5.3㎓ 대역 층간 수신 전력

그림 2-6 중앙 복도에서 2.4㎓ 및 5.3㎓ 대역 층간 수신 전력

그림 2-7 Room에서 2.4㎓ 및 5.3㎓ 대역 층간 수신 전력

- 109 -
나. RMS 지연 확산 분석
그림 2-8에서 그림 2-10까지는 RMS 지연 프로파일의 결과이다. 측정 결과를
보면 200ns 이후에도 도달하는 전파가 있는 것으로 보여지나, 실제로 약 -120dB
이하의 신호는 거의 잡음 성분으로 간주되므로 고려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그림 2-8. 측면 복도에서 2.4㎓ 및 5.3㎓ 대역 층간 RMS 지연 확산

그림 2-9. 중앙 복도에서 2.4㎓ 및 5.3㎓ 대역 층간 RMS 지연 확산

그림 2-10. Room에서 2.4㎓ 및 5.3㎓ 대역 층간 RMS 지연 확산

- 110 -
2.4㎓ 대역의 경우 2층의 LOS 환경인 측면 복도에서는 25.24nsec, NLOS
환경인 중앙 복도에서는 34.75nsec, 그리고 각각의 Room에서의 평균값은
30.91nsec였고, 1층에서는 측면 복도에 대해서 29.44nsec, 중앙 복도에 대해
44.8nsec, 각 Room에 대해서는 40.55nsec로 각각 계산되었다. 또한 5㎓ 대역
에 대해서는 2층 LOS인 측면 복도에서 26.65nsec, NLOS 환경인 중앙 복도
에서는 50.87nsec, 각 Room에서는 32.88nsec 였다. NLOS 환경인 중앙 복도
에서의 RMS 지연 확산 값이 벽을 투과해야 하는 각 Room에서보다 이 값이
크게 나오는 것은 중앙 복도가 중간에 실외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외
부분에서의 회절 및 반사파가 없어 그만큼 지연확산이 크게 나왔기 때문이
다. 따라서 송수신단 사이에 존재하는 층수가 하나 증가함에 따라 평균
RMS 지연 확산은 2.4㎓ 대역의 경우 평균적으로 측면 복도에 대해서는
4.2nsec, 중앙 복도에 대해서는 4.05nsec, 그리고 각 Room에 대해서는
9.64nsec씩 증가되었으며, 전체 층에서의 평균은 2.4㎓ 대역에 대해 2층에서
는 32.3nsec, 1층에서는 38.26nsec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 IEEE 802.11b/a 규격의 무선 LAN 성능 분석

그림 2-11에서 그림 2-16까지는 무선 LAN의 Throughput을 층간 비교 측


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IEEE 802.11a 방식의 무선 LAN은 1층에서 데이
터 수신이 되지 않아 전송속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각 수신 위치별 무선
LAN의 성능을 쉽게 구분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속도에 따라 그림 2-11에서
그림 2-13과 같이 지역별 색깔로 나타내었다. 2층의 복도 환경에 대해서
IEEE 802.11a 방식의 무선 LAN 성능은 LOS 조건에서 평균 20.28Mbps였고,
NLOS에 대해서는 평균 4.57Mbps였으며, IEEE 802.11b 방식은 LOS인 경우에
있어 평균 4.93Mbps였고, NLOS에 대해서는 3.71Mbps임을 확인 할 수 있었
다. 1층에서 IEEE802.11b 무선 LAN의 성능은 측면 복도에서 3.88Mbps, 중앙
복도에서 1.95Mbps, Room에서 2.57Mbps였으며, 1층 전체 평균은 2.8Mbps였
다.

- 111 -
그림 2-11 2층에서 지역별 IEEE 802.11a 무선 LAN 성능

그림 2-12 2층에서 지역별 IEEE 802.11b 무선 LAN 성능

그림 2-13 1층에서 지역별 IEEE 802.11b 무선 LAN 성능

- 112 -
그림 2-14 측면 복도에서 IEEE802.11b/a 층간 Throughput

그림 2-15 중앙 복도에서 IEEE802.11b/a 층간 Throughput

그림 2-16 Room에서 IEEE802.11b/a 층간 Throughput

위 그림에서 보듯이 실내 환경에서 IEEE 802.11b/a 무선 LAN의 성능은

- 113 -
LOS 환경에 대해서 각 규격별 전송속도에 대한 감쇠는 크지 않았으나,
NLOS 환경에 대해서는 많은 감쇠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실내에서 주파수 선
택적 페이딩에 강한 OFDM 방식을 적용한 IEEE 802.11a 방식에 있어 예상한
것과는 다르게 NLOS 환경에서 전파경로 및 거리에 따른 성능이 IEEE
802.11b 방식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LOS 환경에서는 802.11a 방식
의 무선 LAN이 데이터 전송속도 면에서는 802.11b 방식보다 월등히 우수하
지만, NLOS 환경에서는 802.11b 방식의 무선 LAN 성능이 더 우수하게 나타
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주파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전파 도달 거리
및 투과 능력에 있어 2.4㎓ 대역의 무선 LAN이 더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는
실내 환경에서 주파수 및 지역적 특성에 있어 2.4㎓ 대역 보다 5㎓ 대역의
신호에 있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경로 손실 분석과 RMS
분석 값과 비슷한 감쇠 형태를 얻을 수 있었다.

- 114 -
제 3 장 5㎓ 대역 실외 전파 특성

제 1 절 5㎓ 대역 실외 전파특성 개요

1. 일반적 특성
5㎓ 대역 주파수의 일반적 특성은 전파 전파특성 및 시스템, 서비스 특성
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음성 및 고/중/저속 데이터 전송에 적합함.
- 일반적으로 line of sight 근처로 전파전파 제한됨.
- Point-to-Multi Point 통신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20㎞ 보다 짧은 경로
길이를 가지며, Point-to-Point 통신에 대해서는 더 짧은 경로길이를 가짐.
- 기존 UHF 대역의 서비스 보다 더 넓은 대역폭을 갖는 서비스 가능함.
- 많은 고정/이동 대역들이 위성 서비스와 주파수가 공유되어 있음.
- 합리적 가격 및 가용성을 갖는 구성요소를 갖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음.
- 송신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더 큰비용 필요함.
- 커버리지 신뢰도는 blockage로 인해 부족한 면이 있음.
- 기지국과 가입자 국에서 높은 이득의 안테나를 사용할 때 FWA 응용에
적합함.

2. 전파 손실 환경 및 셀 유형
5㎓ 대역을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의 실외 전파 환경에서, 1㎞ 미만의 경로
에 걸친 전파는 일반적으로 지형 고도에 의해서 보다는 주로 건물이나 나무
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대부분 짧은 경로의 전파 링크들은 도시와 근교
지역들에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건물의 영향이 지배적이다. 이동 단말은 대
부분 차량 내에 위치하거나 보행자가 휴대한다. 본 보고서에서 제시된 환경
은 전적으로 전파되는 거리에 따라 분류된 것이다.
전파 전파는 건물의 구조와 높이, 이동국의 쓰임(보행/차량), 안테나의 위
치 등과 같은 전파되는 주위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가장 전형적인 환경을
고려하여 네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릉지는 고려하지 않
았는데 대도시권에는 일반적이지 않은 지형이기 때문이다. 다음 표 3-1에 네

- 115 -
가지 환경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각각의 부류에도 매우 다양한 환경
이 존재하지만, 일반적 고려사항으로는 모든 환경에 대한 전파 모델을 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ITU-R의 권고에 근거하여 자주 접하게 되는
대표적인 환경에 대한 구분을 하는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표 3-1 물리적 운용 환경에 대한 전파 손실 요인

환 경 주요 전파 손실 요인
- 고층 빌딩에 의한 도심지
- 건물 roof-top에 의한 전파는 주된 영향을 미치지 않음
고밀도
- 고층 건물열로 인해 경로 지연이 길어질 수 있음
도심지
- 주변의 많은 이동체들은 반사파에 도플러 천이가 더해진
반사체 역할을 함
- 넓은도로
- 낮은 건물높이(3층 이내)로 인해 roof-top 회절에 의한 영향
저밀도
을 받음
교외지
- 이동체에 의한 반사와 음영이 단속적으로 발생
- 긴 시간 지연과 작은 도플러 천이가 주요 특징
- 1∼2층의 주택들
- 도로는 차량들이 주차해 있는 주로 2차로
주택지
- 다양한 밀도의 수목이 가능
- 차량 밀도는 대체로 낮음
- 넓은 정원 및 적은 주택 수
- 지형 고도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
시골지역
- 다양한 밀도의 수목이 존재
- 차량 밀도는 가끔 높아짐

각각의 환경에 대해 이동국의 쓰임에 따라 보행자의 경우와 차량 사용자


의 경우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단말기의 용도에 따른 이동국의 속도는 서로
다른 도플러효과를 야기시킨다. 표 3-2는 각각의 환경에 따른 일반적인 이동
국의 속도를 나타낸다.
기지국 안테나의 주변 건물들에 상대적인 높이 또한 전파 메커니즘의 유
형에 영향을 준다. 다음 표 3-3에는 실외 단거리 전파 환경에 대한 대표적
인 셀 종류를 나타내었다.

- 116 -
표 3-2 전파 환경에 따른 이동국 속도

환 경 보행자 속도(m/s) 차량속도(m/s)


고밀도 도심지 1.5 시내 속도 약 50 ㎞/h (14 m/s)
약 50 ㎞/h (14 m/s)
저밀도 교외지 1.5
고속도로 100 ㎞/h (28 m/s)
주택지 1.5 약 40 ㎞/h (11 m/s)
시골지역 1.5 80-100 ㎞/h (22-28 m/s)

표 3-3 단거리 전파환경에서의 셀 유형

셀 종류 셀 반경 기지국 안테나의 주요 위치
Small 옥외 ; 평균 roof-top 높이에 설치되며 두변에
* 0.5∼3 ㎞
macro 기지국 안테나 높이보다 높은 건물이 있을 수 있음
Micro 100∼500 m 옥외 ; 평균 roof-top 높이보다 낮은 곳에 설치됨

Pico ∼100 m 실내 또는 roof-top 높이보다 낮은 옥외


*
"Small macro-cell" 범주는 보통 3 ㎞의 상한이 주어지나, 통상적으로 1㎞
까지를 의미한다.

3. 전파경로 구분
가. 전파경로 정의
기지국과 이동국의 기하학적 분포에 따른 네 가지 전파 상황을 그림 5-1
에 나타내었다. 기지국 BS1은 옥상 위에 설치 되어 있고 상응하는 셀 타입은
작은 매크로 셀이다. 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전파는 주로 옥상위에서 일어난
다. 기지국 BS2는 옥상 아래에 설치되어 있고 대응하는 셀 타입은 마이크로
셀 또는 피코 셀이다. 이런 종류의 셀에서는 전파는 주로 도로를 따라 이루
어 진다. 이동국과 이동국 사이에 형성되는 링크는 이동국이 옥상 아래에 있
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BS2와 같은 모델이 사용된다.

- 117 -
그림 3-1 도심지의 전형적인 전파경로

(1) 비가시 roof-top 전파


일반적인 비가시영역의 경우(그림 3-1의 BS1과 MS1의 링크, 이하 NLOS1)
를 도시하면 그림 3-2와 같다. 그림 3-2의 변수는 다음과 같다.

hr : 건물 평균 높이 (m)
w : 도로 폭 (m)
b : 건물 간의 평균 간격 (m)
φ : 직접파에 대한 도로방향의 각도 (degrees)
hb : 기지국(BS) 안테나 높이 (m)
hm : 이동국(MS) 안테나 높이 (m)
l : 건물들로 점유된 경로 길이 (m)
d : 기지국에서 이동국까지의 거리

- 118 -
그림 3-2 NLOS1 경로 파라미터

NLOS1 경우는 주로 주택가나 전원지역에서 셀의 크기와 관계없이 나타나


며 작은 매크로 셀에서 도심지나 부도심지의 저지대 환경에서도 지배적이다.
변수 hr , b, l은 두 안네나 사이에 위치한 건물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그러나 변수 w, Φ의 결정은 이동국 주변 지역에 대하여 이차원 해석을 하
여야 한다.

(2) 비가시 도로에 의한 전파


그림 3-3은 일반적인 마이크로셀 비가시영역의 경우(그림 3-1의 BS2와
MS3의 링크, 이하 NLOS2)를 나타낸다. 그림 3-3의 변수는 다음과 같다.

w1 : 기지국이 위치의 도로 폭 (m)


w2 : 이동국이 위치의 도로 폭 (m)

- 119 -
x1 : 기지국에서 교차점까지의 거리 (m)
x2 : 이동국에서 교차점까지의 거리 (m)
σ : 모서리 각도 (rad)

그림 3-3 NLOS2 경로 파라미터

NLOS2는 모든 셀 종류에서 도심지 고지대에서 지배적인 경로 형태이며


도심지역의 마이크로 셀이나 피코 셀의 저지대에서도 일어난다. NLOS2 경우
모든 변수는 이동국 주변 지역의 이차원 해석을 통하여 구할 수 있다.

(3) 가시 경로 구간
그림 3-1에서 BS1-MS2사이의 경로와 BS2-MS4사이의 경로는 가시영역 환
경의 예이다. 같은 모델이 두 형태의 가시영역 경로에 적용될 수 있다.

나. 데이터 요건
도심지역에서의 지역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가 사용된다.
가장 정확한 정보는 건물 구조, 건물의 상대적인 높이와 절대적인 높이, 초
목 정보 등이 담겨있는 고해상도 데이터로부터 얻을 수 있다. 자료구조는 래
스터와 벡터 일 수 있다. 벡터 데이터의 위치 정확도는 1, 2m 이내여야 한
다. 래스터 데이터의 권고 해상도는 1-10m이다. 두 자료구조의 높이 데이터

- 120 -
의 정확도는 대략 1-2m 정도여야 한다. 고해상도 데이터 사용이 불가능하다
면 저해상도 land-use 데이터(50m 해상도)가 대안이다. Land-use 종류에 지
정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도로의 방향각을 알기 위해 도로의 벡터 정
보와 결합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4. 경로 손실 모델
일반적인 도심 지역의 상황에서 몇 가지의 closed-form 알고리즘이 적용
된다. 이러한 전파 모델은 site-specific한 경우와 site-general한 경우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응하는 전파 환경은 2절에 정의 되어있다. 모델의 종류는
주파수 범위에도 영향을 받는다. UHF 전파와 밀리미터파의 경우 서로 다른
모델이 적용되며, 본 보고서에서는 ITU-R 권고 모델로써 UHF 및 SHF 전
파 손실 모델만 고려한다.

가. 가시 경로 구간
(1) UHF 전파
UHF 주파수 대역에서 경로 손실 모델은 ITU-R 권고안 P.341에 정의되어
있듯이 기본 전송 손실은 하나의 breakpoint와 두 기울기로 나타낼 수 있다.
근사적인 하한값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d 
20 log10   for d ≤ Rbp
  Rbp 
  
LLoS,l = Lbp + 
  d 
40 log10   for d > Rbp
  Rbp  (3-1)
 

여기서 Rbp는 breakpoint 거리이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4 hb hm
Rbp ≈
λ (3-2)

여기서 λ는 신호의 파장이며 단위는 m이다.

- 121 -
근접한 상한값은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 d 
25 log10   for d ≤ Rbp
  R 
  bp 
LLoS,u = Lbp + 20 + 
  d 
40 log10   for d > Rbp
  R  (3-3)
 bp 

Lbp 는 breakpoint에서의 기본 전송 손실값을 나타내며 다음과 같이 정의


된다.

 λ2 
Lbp = 20 log10  
 8 π hb hm 
  (3-4)

(2) SHF 전파( < 15 ㎓)


SHF 주파수 대역에서 1 ㎞ 까지의 경로는 도로에서의 트래픽밀도가 유효
한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른 유횯로 높이가 breakpoint 거리에 영향을 준다.
breakpoint 거리, Rbp는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hb − hs ) (hm − hs )
Rbp = 4
λ (3-5)

여기서, hs는 도로 주변의 보행자나 차로 상의 차량들과 같은 대상에 대한


유효 도로 높이이다. 그러므로 hs는 도로 상의 트래픽의 영향을 받는다. 표
3-4와 표 3-5에 주어진 hs값은 교통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각각 주간과 야간
에 측정한 결과로부터 도출된 값이다. 고밀도 트래픽은 차도의 10∼20% 정
도에 차량이 있으며, 보도의 0.2∼1%정도를 보행자가 차지한 경우이고, 저밀
도 트래픽은 0.1∼0.5% 정도의 차량의 차도 점유와 0.001% 미만의 보도 점
유를 나타낸다. 도로의 폭은 양끝의 6m 너비의 보도를 포함하여 27m이다.
hm>hs 인 경우 SHF 주파수 대역의 기본 전송 손실의 대략적인 상한값과
하한값은 식 (3-1)과 (3-3)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Lbp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122 -
 λ2 
Lbp = 20 log10  
 8π(hb − hs ) (hm − hs )  (3-6)

표 3-4 도로의 유효 높이, hs(고밀도 트래픽)

주파수(㎓) hb(m) hs(m)

hm = 2.7 hm = 1.6

4 1.3 (2)
3.35
8 1.6 (2)
4 1.6 (2)
8.45
8 1.6 (2)
4 1.4 (2)
15.75
8 (1) (2)

(1) Breakpoint는 1 ㎞ 이상임.


(2) Breakpoint 존재하지 않음.

표 3-5. 도로의 유효 높이, hs(저밀도 트래픽)

주파수(㎓) hb(m) hs(m)

hm = 2.7 hm = 1.6

4 0.59 0.23
3.35
8 (1) (1)

4 (2) 0.43
8.45
8 (2) (1)

4 (2) 0.74
15.75
8 (2) (1)

(1) 측정되지 않았음.


(2) Breakpoint는 1 ㎞ 이상임.

- 123 -
반면, hm ≤ hs 인 경우에는 breakpoint가 존재하지 않는다. 기지국 근처의
지역(d < Rs)은 UHF 주파수 대역과 유사한 기본 전송 손실을 가지지만 기
지국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지역은 감쇄 계수의 세제곱인 전파 특성을 가진
다. 그러므로 d ≥ Rs 인 지역에 대한 근사적인 하한값은 다음식과 같이
주어진다.

 d 
LLoS , l = Ls + 30 log10  
 Rs  (3-7)

d ≥ Rs 인 지역에 대한 근사적인 상한값은 다음식과 식 (3-8)과 같이 나


타낼 수 있다.

 d 
LLoS , u = Ls + 20 + 30 log10  
 Rs  (3-8)

기본 전송 손실 Ls 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λ 
Ls = 20 log10  
 2πRs  (3-9)

식 (3-7)에서 (3-9)의 Rs 는 실험을 통하여 20m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본


보고서에서는 측정환경에서 좀 더 정확한 Rs 를 구하기 위해 로그 감소 모
델을 사용하여 경로손실 모델을 계산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의
관련된 절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나. 비가시 경로 구간
비가시영역 환경에서의 신호 전파는 기지국이나 이동국에 회절현상을 겪
고 수신되거나 회절과 반사가 동시에 일어나서 생기는 다중 경로 신호로 수
신된다. 이러한 비가시 경로 구간에서는 5㎓ 대역 주파수의 경우, 일반적으
로 제시된 전파 회절 모델은 분명히 제시되어있지 않으므로, 3-2절에 나타낸
두 가지 환경에 대해 정의된 UHF 전파 회절 모델과 밀리미터파의 경우를
함께 고려하여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더 높은 밀리미터파

- 124 -
대역으로 올라갈 수록 비가시영역 환경에서 일어나는 큰 회절 손실로 인해
가시영역 환경만을 고려하므로, UHF 전파 회절 모델을 적용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UHF 전파 회절 모델은 다음의 조건 내에서 유효하다.

hb : 4 to 50 m
hm : 1 to 3 m
f : 800 to 2000 MHz
d : 20 to 5000 m.

(1) Roof-top 전파
아래에 주어진 multi-screen 회절 모델은 옥상의 높이가 모두 비슷한 경우
유효하다. 옥상 높이의 차가 길이 l의 경로에 대한 첫 번째 프레스넬 존 반
경 미만이라고 하면 이 모델에서는 전체 옥상 높이의 평균값으로 옥상의 높
이로 사용한다. 만약 옥상의 높이가 첫 번째 프레스넬 존 반경 이상으로 변
화한다면 ITU-R 권고안 P.526에 기술되었듯이 multi-screen 모델을 대체하
기 위해 knife-edge 회절 계산에서 경로를 따라 가장 높은 건물의 높이를 사
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옥상의 높이가 비슷한 NLOS1 경우(그림 3-2)
에서 전송 손실에 대한 모델에서는 등방성 안테나 사이의 손실은 자유공간
손실, Lbf, 옥상에서 도로까지의 회절 손실, Lrts, 그리고, 건물의 multi-screen
diffraction past rows에 의한 감쇄 Lmsd의 합으로 표현된다. 이 모델에서는 Lbf
와 Lrts는 기지국 안테나 높이와 관계가 없으나 Lmsd는 기지국 안테나의 높이
가 건물 높이보다 높은가 낮은가에 따라 달라진다.

 Lbf + Lrts + Lmsd for Lrts + Lmsd > 0


LNLoS1 = 
 Lbf for Lrts + Lmsd ≤ 0 (3-10)

자유공간 손실은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Lbf = 32.4 + 20 log10 (d / 1000) + 20 log10 ( f ) (3-11)

- 125 -
여기서, d 는 경로 길이(m)이고 f는 주파수(MHz)를 나타낸다.

Lrts 은 이동국이 위치한 도로에서 multiple-screen path을 따라 전파되는


전파의 커플링 현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로으 폭과 방향을 고려하여야한
다.

Lrts = – 8.2 – 10 log10 ( w) + 10 log10 ( f ) + 20 log10 (∆hm ) + Lori (3-12)

 – 10 + 0.354ϕ for 0° ≤ ϕ < 35°



Lori = 2.5 + 0.075(ϕ – 35) for 35° ≤ ϕ < 55°
4.0 – 0.114(ϕ – 55) for 55° ≤ ϕ ≤ 90° (3-13)

∆ hm = hr – hm (3-14)
Lori 는 전파방향에 직교하지 않는 도로에서의 roof-top-to-street 회절을
고려하기 위한 도로방향 보정 인자이다(그림 3-2 b)).
건물 옆 전파에 의한 기지국에서의 multiple screen 회절 손실은 건물 높
이에 대한 상대적인 기지국 안테나 높이와 입사각의 영향을 받는다.
d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λd 2
ds =
∆hb2 (3-15)

여기서, (그림 3-2 a) 참조)


∆hb = hb – hr (3-16)

Lmsd의 계산을 위해서 ds는 건물들이 분포해있는 거리 l 과 비교해야한다.

(가) l > ds 일 때 Lmsd 계산


(이 계산은 l ≫ ds 일 때 더욱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Lmsd = Lbsh + ka + kd log10 (d / 1000) + k f log10 ( f ) − 9 log10 (b) (3-17)

- 126 -
여기서,

 – 18 log10 (1 + ∆hb ) for hb > hr


Lbsh = 
0 for hb ≤ hr (3-18)

은 기지국 안테나 높이에 의존하는 손실 항목이며 다음식과 같이 표현되며,


ka, kd, kf는 각각 다음 식들과 같이 나타난다.

54 for hb > hr



ka = 54 – 0.8∆hb for hb ≤ hr and d ≥ 500 m
54 – 1.6∆hb d /1000 for hb ≤ hr and d < 500 m (3-19)

18 for hb > hr


 ∆h
kd = 
18 – 15 b for hb ≤ hr
 hr (3-20)

0.7( f / 925 – 1) for medium sized city and suburban



kf =  centres with medium tree density
1.5( f / 925 – 1) for metropolitan centres (3-21)

(나) l < ds 일 때 Lmsd 계산


이경우에 Lmsd를 구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안테나와 옥상의 높이에 따라 세
심한 구분이 있어야 한다.

Lmsd = – 10 log10 QM2 ( ) (3-22)

여기서,

  
0.9
2.35  ∆hb b  for hb > hr
  d λ 

 b
QM =  for hb ≈ hr
d
 b λ 1 1 
 –  for hb < hr
 2πd ρ  θ 2π + θ  (3-23)
  

- 127 -
 ∆h 
θ = arc tan  b 
 b  (3-24)

ρ = ∆hb2 + b 2 (3-25)

(2) 도로 협곡 내에서의 전파
송신 안테나와 수신 안테나가 모두 옥상보다 아래 쪽에 위치해 있는
NLSO2 환경에서는 도로가 교차하는 모서리에서 반사파와 회절파가 고려되
어야 한다(그림 3-3).

(
L NLoS 2 = – 10 log10 10 Lr / 10 + 10
Ld / 10
)dB (3-26)

여기서, Lr은 반사 경로 손실로써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 (α )  4π 
Lr = – 20 log10 ( x1 + x 2 ) + x 2 x1 – 20 log10  dB
W1 W2  λ  (3-27)

 – 41 + 110α for α ≤ 0. 33
 – 13.94 + 28α for 0.33 < α ≤ 0.42
f (α ) = 
– 5.33 + 7.51α for 0.42 < α ≤ 0.71

0 for α > 0. 71 (3-28)

Ld는 회절 경로 손실로써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180   4π 
Ld = – 10 log10 [x 2 x1( x1 + x 2 )] + 2 Da + 0.1 90 – α  – 20 log10  dB
 π   λ  (3-29)

 40   x  x  π
Da ≈ –   arc tan  2  + arc tan  1  – 
 2π    w2   w1  2 (3-30)

(3) Site-general 경우의 파라미터 설정


만약 건물과 도로의 구조에 대한 데이터를 알지 못한다면(site-general
situations), 다음의 기본값을 사용하도록 권고된다.

- 128 -
hr = 3 x {number of floors} + roof-height (m)
roof-height = 3m for pitched roofs, 0m for flat roofs
w = b/2
b = 20m to 50m
φ = 90°

(4) 수목에 의한 영향
전파가 수목 지역(주로 나무)를 전파하는 경우 초목지역이 전파에 미치는
영향은 실외 단거리 예측에서 중요하다. 주요한 전파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
다.

- 수목을 통과하는 전파
- 수목위로의 전파

첫 번째 메커니즘은 수신안테나와 송신 안테나가 모두 나무 아래에 있고


초목 지역을 통과하는 거리가 짧은 환경에서 지배적인 작용을 하는 반면에
후자의 경우 안테나 하나가 나무 위에 위치한 환경에서 지배적이다. 초목지
역을 통과하는 신호 에너지의 회절 현상에 의해 시작되는 다중 경로 분산이
신호의 감쇄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수목을 통과하는 전파의 경우 초목지
역에서의 명확한 감쇄를 ITU-R 권고안 P.833에서 찿을 수 있다. 수목위로
전파가 이루어지는 환경에서는 높이가 낮은 안테나에 근접한 수목의 테두리
에서의 회절이 주요 전파 방식이다. Knife-edge 회절 모델은 전계의 세기를
낮게 추정하는 경향이 있지만 radiative transfer 이론으로 모델링 되는
tree-top에 의한 다중 산란 현상을 무시하기 때문에 이 전파 방식은 이상적
인 knife-edge 회절 모델(ITU-R 권고안 P.526)을 사용하여 손쉽게 모델링
할 수 있다.

5. Building entry 손실
Building entry 손실은 건물 벽에 의한 추가적인 손실을 의미하며 같은 높이
에서의 건물 내부오 건물 외부에서의 신호 레벨 차로써 정의된다. 그리고 입

- 129 -
사각을 반드시 고려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경로 길이가 약 10m 미만인 경우
두 측정 장비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자유 공간 손실의 차는 building entry 손
실의 결정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안테나 위치가 검물 벽에 가까울
경우, near-field 효과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파가 건물을 투과할 때
추가적인 손실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주요 전파 모드는 신호가 건물 벽 표면으로 거의 수평으로 들
어가고 건물 구조가 동일한 경우 building entry 손실은 높이에 무관하다고
알려져 있다.
실외 시스템에서 실내용 단말기로의 radio coverage를 평가할 경우
building entry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실내용 시스템과 실외용 시
스템 사이의 간섭 문제를 고려할 때에소 중요하다. 유리창이 있는 콘크리트
오 벽돌로 이루어진 건물의 외벽을 5.2㎓ 신로를 통과시켜 얻은 측정결과가
표 5.2에 나타나있다. 벽의 두께는 60cm이고 창문과 벽의 비율은 약 2:1이다.

표 3-6 Building entry 손실의 예

주파수 주택지 사무실 상용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5.2㎓ 12 dB 5 dB

표 3-7 다양한 입사각에서의 석재 블록 벽에 의한 손실

입사각(degrees) 0 15 30 45 60 75

벽에 의한 손실 (dB) 28 32 32 38 45 50

표준편차(dB) 4 3 3 5 6 5

표 3-7은 5.2㎓ 신로를 사용하여 석재로 만들어진 외벽에 입사각을 0°에


서 75°로 변화시켜가며 얻은 측정 결과이다. 벽은 100mm 두께의 두 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전체 두께가 400mm이다. 특히 큰 입사각에서는 벽에

- 130 -
의한 손실이 큰 표준 편차에서 알 수 있듯이 수신기의 위치에 매우 민감하
다.

6. 다중 경로 모델
마이크로셀이나 피코셀의 도심지 고지대 환경 같은 가시영역한경에서 다
중경로 지연확산의 특성은 2.5㎓ 신호로 50m에서 400m까지 거리의 측정 데
이터를 기반으로 발전되어왔다. 거리 d에서의 지연 확산 S는 정규분포를 따
르며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식 3-31과 3-32로 표현된다.

aS = 99.35 log (d + 13.24) ns (3-31)

σ S = 39.90 log (d ) – 27.67 ns (3-32)

Delay profile의 평균적인 모양은 다음과 같다.

( )
P (t ) = P0 + 50 e – t / τ – 1 dB (3-33)

여기서 P0는 최대전력(dB), τ는 decay factor(ns)를 나타낸다.


측정된 데이터로부터 지연확산 S에 대한 decay factor τ는

τ = 4 S + 266 ns (3-34)

와 같이 추정할 수 있다. τ와 S사이이 선형적 관계는 가시영역환경에서만


유효하다. 같은 측정 장비로부터 delay profile의 순시적인 특성을 특징지울
수 있다. 초기 40ns 동안 수신되는 에너지는 Rayleigh 분포나 K-factor가 약
3dB까지인 Rician 분포를 따른다.
FIGURE 1/P.1407 = 15 CM

- 131 -
제 2 절 실외 무선채널 파라미터

실내 무선랜 서비스와 같이 고속 데이터 시스템이 요구되는 시스템은 광


대역 데이터의 전송이 필요하게 된다. 광대역 채널은 무선랜 및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인 IMT-2000등의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채널로써 빠른 데이터
전송속도가 요구되는 시스템에서는 필수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요소이다. 이
러한 광대역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는 기존 이동통신 시스템의 협대
역 채널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전파 현상과는 다른 현상을 겪게 된다. 광대역
채널상에서 다중경로를 겪으면서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갖고 수신되는 전송
신호는 심볼간 간섭(Inter Symbol Interference)을 겪어 오류가 발생하게 된
다. 이러한 간섭 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중 경로 특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
하다. 시스템의 속도와 관련된 파라미터인 RDS를 살펴보기 위해 시간에 따
른 신호의 레벨을 보여주는 PDP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고,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파라미터들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또한, 측정 환경에서의 다중 경로의 시간적 특성뿐 아니라 공간적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서 AOA에 대한 분석이 요구되는데 이로부터 AOA의 통계적
파라미터인 AS에대해 AOA와 AS의 관계를 분석한다.
실외 환경에서의 서비스 커버리지(coverage)에 대한 분석을 위해 거리에
따른 경로 손실에 대해 살펴보았다. 광대역 무선랜에서 CW신호와 광대역
신호에 대해 경로 손실의 관계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CW신호를 이용한 경
로 손실 해석이 광대역 신호에 대한 경로 손실 해석에도 이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1. 다중 경로 특성
가. 시간 분포 파라미터(Time Dispersion Parameter)
무선 시스템에 대한 여러 다중채널들을 비교하기 위해서, 또한 발전적인
설계를 하기 위해서 다중경로 채널을 추정하는 파라미터들이 사용된다. 평균
초과 지연(mean excess delay), RDS, 초과 지연 확산(excess delay spread)
등은 전력 지연 확산(power delay spread)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다중경로
채널 파라미터들이다.

- 132 -
광대역 다중경로 채널들의 시간 분포 특성은 일반적으로 평균 초과 지연

( τ )과 RDS( σ τ )를 측정함으로써 알게 된다. 평균 초과 지연은 PDP의 첫


번째 모멘트로써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a 2k τ k ∑ P(τ k )τ k
k k
τ= = (3-35)
∑ a 2k ∑ P(τ k )
k k

τ k 와 a k 는 k 번째 다중 경로 요소에 의한 시간 지연과 지연 신호의 크기

를, P(τ k ) 는 τ k 일 때의 전력을 의미한다.


RDS는 전력 지연 특성의 두 번째 중심 모멘트의 제곱근으로 식(3-36)과
같이 나타내고 있다.

στ= τ 2 - ( τ) 2 (3-36)

여기서

∑ a 2k τ 2k ∑ P(τ k ) τ 2 k
2 k k
τ = = (3-37)
∑ a 2k ∑ P(τ k )
k k

이다.
이와 같은 지연은 τ 0 = 0 일 때, 즉 수신단에서 첫 번째로 검출되는 신호

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로 측정된다.

식 (3-35)에서 (3-37)은 P( τ) 의 절대적인 전력 레벨뿐만 아니라, P( τ) 에

관련된 다중 경로 요소의 크기에도 관계되어 있다. 여기서 P( τ) 는 평균 초


과 지연에 대한 전력을 의미한다. 전형적인 RDS 값은 매크로셀 환경에서는
㎲ 단위로 나타나고, 마이크로셀 환경에서는 ㎱ 단위로 나타난다.
RDS와 평균 초과 지연은 PDP에 의해서 정의된다. PDP는 연속적인 임펄
스 응답 측정의 결과이다. PDP의 최대 초과 지연은 다중경로 에너지가 수

- 133 -
dB로 떨어지는 시간 지연을 말한다. 즉, 최대초과 지연(maximum excess
delay)은 τ X - τ 0 로 정의된다. 가장 강한 다중 경로에 의한 수신 신호가 시

스템의 경계값을 가질 때, τ 0 는 첫 번째 도착 신호이고, τ X 는 최대 지연

(maximum delay)이다.
그림 3-4는 최대 10 dB 이내의 다중 경로 요소에 대해 최대 초과 지연을
계산한 것을 나타내었다.

실제적으로, τ , τ 2 , 그리고, σ τ 는 다중 경로 신호의 임계치 선택에 달려


있다. 다중 경로 신호의 임계치는 수신되는 다중 경로 요소들과 열 잡음을
구별해 주는데 사용된다. 만약, 수신 강도 임계치를 매우 낮게 설정하였다
면, 잡음은 다중 경로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을 것이다. 따라서, 인위적으로

τ , τ 2 , 그리고, σ τ 의 값을 높이는 결과를 낳는다.


이동 통신 채널에서 PDP와 주파수 응답의 크기는 푸리에 변환과 관계되
어 있다. 따라서 주파수 채널에 대해 등가적으로 표현이 가능하다. 이 때, 주
파수 응답 특성을 이용한다. 시간 영역에서 지연 확산 파라미터와 유사하게,
CB가 주파수 영역에서 채널을 특성화시키는데 사용된다. 엄밀히 얘기하면,
RDS와 CB의 관계는 정확한 다중 경로 구조의 함수이지만, 반비례적인 성질
이 있다.

그림 3-4 PDP의 예

나. Coherence Bandwidth

- 134 -
무선 채널에서 지연 확산은 반사와 회절된 전파 경로에 의해서 야기되는
자연적인 현상이다. 반면에 coherence bandwidth(CB)는 RDS로부터 유도되
는 관계이다. CB는 채널의 페이딩 특성이 일정하다고 가정할 수 있을 때, 주
파수 영역의 통계적 측정이다. 일정하다는 말은 주파수 영역에서 같은 이득
과 선형 위상을 갖는다는 말이다. 다시 말해서, CB는 두 개의 주파수 요소들
이 진폭의 상관도가 강한 주파수 영역을 의미한다. CB보다 멀리 떨어진 두
개의 정현파는 한 채널에서도 다른 특성을 보인다. 만약, CB의 주파수 상관
도가 0.9이상의 대역폭으로 정의된다면, CB는 B c≈1/50σ τ 로 근사화 된다.

만약, 주파수 상관도가 0.5이상으로 낮추어 진다면, CB는 B c≈1/5σ τ 로 근사

화 될 수 있다.

다. Angle of arrival
여러 가지 다른 경로를 거쳐 수신되는 다중 반사파는 직접파와는 다른 각
도로 입사하게 된다. AOA는 각도에 따라 신호가 수신되는 강도를 나타낸다.
이는 수신점에서 신호가 전달되는 방향를 결정하는 파라미터이며 이를 분석
할 경우 space selective fading의 분석이 가능해진다. AOA로부터 직접파가
수신되는 각도를 0°로 보았을 때 신호가 얼마나 다양한 각도에서 수신되는
지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AS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림 3-5는 주파
수는 5.25 ㎓로 하고 송신단에서 수직 편파 다이폴 안테나, 수신단에서 8 ×
8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였을 때, 건물사이 (28.3 m)의 측정된 AOA를 보여
주고 있다. 그림 3-5의 송수신점이 가시 영역에 있기 때문에 AOA결과로부
터 0°에서 최대 신호 레벨을 수신할 수 있고 -50°, 70°, 150° 부근에서 반사
파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 135 -
그림 3-5 실내 환경에서의 AOA

라. Angular spread
다중 반사파는 직접파와는 다른 각도로 입사하게 된다. AS는 채널의 각도
상의 퍼짐 현상을 나타내는 척도가 된다. Center moment에 기초를 둔 AS의
척도는 다음 식과 같다.

L-1 L-1
∑ P iΦ 2i ∑ P iΦ i
i= 1 i= 1
σφ= L-1 -( L-1 )2 (3-38)

i= 1
Pi ∑
i= 1
Pi

여기서, P i 는 각도별로 오는 전파의 크기이고, Φ i 는 각도이다. 직접파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그림 3-5의 AOA로부터 식 (3-38)를 사용하여 AS를 구


해보면 61.31°의 값을 가진다. AS는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다
중 반사파가 감소되는 척도를 보여준다. 지향성 안테나를 가진 기지국에서
간섭 신호가 되는 다중 반사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중 반사파의 AS 보
다 지향성 안테나의 빔폭이 좁아야만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반사파의
감소 효과를 보지 않게 된다. 지향성 안테나의 빔폭이 AS 보다 클 경우를
space selective fading이라고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를 non-space selective
fading이라고 한다.

- 136 -
2. 커버리지
통신 시스템의 커버리지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거리에 따른 신호 레벨, 즉
경로 손실을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무선랜 서비스는 기존의 통신
서비스에 비해 넓은 대역폭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기존의 협대역 신호에서
사용하던 전파의 경로 손실 모델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CW 신호를 측정하여
시스템의 경로 손실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
러므로, 광대역 신호의 경로 손실을 예측하기에 앞서 광대역 신호와 CW 신
호의 특성 분석을 통하여 CW신호에 의한 경로 손실 예측이 광대역 신호에
서도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송신 전력 P t [W]가 B라는 대역폭을 갖는 광대역 신호를 보낸다고 가정

하면 대역폭(B)이상의 광대역 신호에 대한 각각의 주파수 요소의 전력 스펙


트럼은 S t (f) 이다. S t (f) 와 P t 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f 0 + B/2
Pt = ⌠
⌡f S t (f) df (3-39)
0 - B/2

이다.
그리고, 거리( r )만큼 떨어진 곳에서의 방사 세기( U t )는

f 0 + B/2
⌠ S t (f) df
Pt ⌡f - B/2
Ut= =
0
(3-40)
4πr 2 2
4πr

이다.
수신단에서, 이동 통신 환경을 거친 CW 신호의 수신 전력 P r 은, 수신단

에서 수신 안테나의 유효 개구면 A e (f) , 거리와 주파수에 대한 매질의 특성

C( r,f) 로 다음 식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P r = U t⋅C( r,f)⋅A e (f) (3-41)

- 137 -
c 2G (3-42)
A e (f) = 2
4πf

k (3-43)
C( r,f) =
r 2f

또한, P r 은 식 (3-41)에 식 (3-40), (3-42), (3-43)을 대입하여 다음과 같

이 나타낼 수 있다.

kc 2GP t 1
Pr= 2 2 ⋅ 3
(3-44)
(4πr ) f

여기서, c 는 빛의 속도. f 는 주파수, G 는 수신안테나의 이득이다. 식


(3-41)에 식 (3-40)을 대입하고 채널이 광대역인 점을 고려하였을 때 수신
전력 P r 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1 ⌠f + B/2 (3-45)
Pr= S t (f) ⋅C( r,f)⋅A e (f) df
4πr 2 ⌡
f - B/2

식(3-42)과 식(3-43)을 식(3-45)에 대입하면,

1 ⌠f + B/2 k c 2G
Pr= S (f) ⋅ ⋅ df
4πr 2 ⌡
t
f - B/2 r 2f 4πf 2

kc 2G ⌠f + B/2 1 (3-46)
= 2 2 ⌡ S t (f) 3 df
( 4 πr ) f - B/2 f

을 얻을 수 있다.

S t 를 안다면, 식(3-46)를 풀 수 있다. 간단히 하기 위해서,

- 138 -
B B
S t (f) = constant at f 0 - ≤ f ≤ f0+ (3-47)
2 2

로 가정한다. 송신 펄스를 sinc 펄스 파형으로 설정하면 이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p( t) = A sinc( t ⋅B) (3-48)

A at B B (3-49)
S t (f) = f0- ≤ f ≤ f0+
B 2 2

A는 펄스의 진폭이고, B는 전체 대역폭이다. 식(3-45)는 식(3-46)에 광대


역 신호의 수신 전력을 산출하기 위해서 대입한다.

kc 2GA ⌠ f + B/2 1
Pr = df
( 4 πr 2 ) 2B ⌡f - B/2 f 3

kc 2GA 1 1 1
= 2 2
( 4 πr ) B

2 ( ( f 0 - B/2) 2 -
( f 0 + B/2) 2 )
f0
=K
[ f 0 - (B/2) 2 ] 2
2

1 (3-50)
=K
f 0 [1 - ( B/2 f 0 ) 2 ] 2
3

여기서

kc 2GA (3-51)
K=
( 4 πr 2 ) 2

이다. 대역폭 B가 0에 가까워질 때, 식(3-50)은 식(3-51)에 일치하는


3
P r = K/ f 0 이 된다. 수신 전력은 캐리어 주파수와 대역폭의 함수이다. 사실
상, 더 큰 대역폭에서 더 큰 수신 전력을 갖게 되는데, 대역폭 B가 50%라면

- 139 -
B = f 0/2 를 식(3-50)에 대입했을 때 다음 식을 얻을 수 있다.

f0 K
Pr= K 2 2 2 = 3
(3-52)
[ f 0 -(f 0 /4) ] ( 15/16) f 0

식(3-52)에서 광대역 신호의 수신 전력이 B = f 0/2 이라면, CW 신호의 수

신 전력보다 단지 0.28 dB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대역폭 100%의


신호가 있다고 하면 식(3-50)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K (3-53)
Pr= 3
( 9/16) f 0

이것은 CW 신호의 수신 전력보다 단지 2.5 dB 더 높다. 따라서, 광대역


신호의 경로 손실은 CW 신호의 경로 손실만으로도 예측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로 손실 모델은 먼 거리에 대해서는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한다고
가정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무선랜의 커버리지를 결정하기 위한 광대역 신
호의 경로 손실 모델의 제시를 위해서 CW 신호가 넓은 대역폭의 신호를 대
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5㎓ 대역에서 CW 신호의 경로 손실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무선랜 서비스의 커버리지 결정을 위한 경로 손실 모델을 제시하도록 한다.

- 140 -
제 3 절 실외 무선채널 파라미터 측정 및 분석

1. 측정 시스템 및 측정 방법
5㎓ 대역 무선채널 파라미터 측정은 전파연구소의 계측기와 차량을 사용하
여 수행되었으며, 여러 가지 측정환경에서의 원활한 측정과 분석을 위해 연세
대학교와 공동으로 수행되었다. 본 측정에서 신호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시스템의 구성은 그림 3-6에 나타내었다.
송신기는 신호발생기(HP8664A), 수신기로는 스펙트럼분석기(HP8722D)를
사용한다. 송․수신 모두 수직 편파를 가지는 다이폴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또
한, 길이가 긴 케이블의 사용으로 인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파워 앰프를 사
용하였다. 경로 손실 측정시 송신안테나를 이동하며 측정한다. 따라서 송신안
테나의 이동이 일정하지 않을 경우에 오차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PDP(Power Delay profile)를 측정하기 위한 시간축상의 측정 방법으로는
RF 펄스전송방식과 대역확산방식이 있으며, 주파수축상의 측정방법으로는 주
파수 영역 변환 방식이 있다. RF 펄스전송방식은 측정시스템이 간단하지만 첨
두 파워가 커야 하며 송․수신간의 통달거리가 짧은 단점이 있어 주로 실내 측
정에 사용되지만 옥외의 근거리 측정에서도 사용된다.
그림 3-7 (a)는 시간축상의 측정방법 중 대역확산방법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매우 복잡하고 송․수신간의 동기가 필요하지만 전력 효율이 매우 좋아
첨두 파워가 작아도 원거리 측정이 가능하며 PN 코드에 의해 자기 신호 이외
의 신호나 잡음에 대해 충분한 내성을 가지며 또한 신호의 위상 정보까지 알
수 있으므로 옥외환경에서 광범위하게 쓰이며 PN 코드의 칩률을 증가시켜서
옥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그림 3-7 (b)의 주파수 영역 변환방식은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방법으로 회
로망 분석기의 주파수 응답특성을 역푸리에 변환하여 시간영역특성을 측정하
는 방법이다. 본 보고서에서는 다중 경로 특성의 측정을 위해 주파수 영역 변
환방식을 사용하였다. 실제 측정은 네트워크 분석기(HP8722D)를 사용하여 시
간영역에서 측정한다. 측정을 위해 20m 길이의 50Ω 케이블을 사용하였고 이
에 의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전력 증폭기를 사용한다.
측정 영역의 크기는 케이블 길이로 인해 측정영역이 제한되며 길이가 긴 케

- 141 -
이블로 연장될 필요가 있다. 송․수신 부분이 하나의 몸체에 있기 때문에 따로
송․수신 사이의 동기를 맞출 필요는 없다.
PDP 측정시 송․수신안테나는 수직 편파를 가지는 다이폴 안테나를 사용한
다. AOA의 경우 PDP와 동일하지만 수신단에서 빔폭이 좁은 안테나를 사용하
여 측정한다.
그림 3-6과 마찬가지로 길이가 긴 케이블의 사용으로 인한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파워 앰프를 사용하였다. 실제 무선랜 서비스에서의 무선랜 접속 포인트
(AP, Access Point)를 송신으로 가정했으므로 송신 안테나의 높이를 높게 설
정하며, 수신안테나는 1m 내외의 높이로 설정하였다.

15m or 0.5m
length cable
15m length cable
Spectrum Analyzer

Power Amp
Gpib
0.5m length cable
Signal Generator

(a) 송신부 (b) 수신부

그림 3-6 신호 레벨 측정 시스템

- 142 -
S ta tio n

T ra n s m itte r

PN-sequence x (t)
g e n e ra te r
Rc A m p lifie r

fc

송신부

M o b ile

R e c e iv e r

R x r (t) s
∫0

A m p lifie r

PN-sequence
fc
g e n e ra te r

Rc−∆R

수신부
(a) 대역 확산 방식 시스템

15m length cable

Power Amp
15m length cable

Network Analyzer

(b) 주파수 영역 변환 방식

그림 3-7 PDP 측정 시스템

- 143 -
2. 실외 측정 환경
무선랜 서비스의 사용 가능성이 높은 공간으로 대학 캠퍼스를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중 무선랜이 실제 서비스 중이거나 가능한 지역을 중심으
로 실외 측정 환경을 선정하였다. 측정 환경은 크게 두 개로 나누어지는데
이는 경로 손실을 보기 위한 직선의 길다란 도로와 다중 경로 특성을 살펴
보기 위한 소규모 환경들이다. 선정된 측정 환경은 캠퍼스뿐만 아니라, 대학
로와 같은 일반 지역에서도 비슷한 장소를 찾아 볼 수 있고, 도심 공원 등과
같이 서비스 지역으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은 곳이기 때문에 실외 무선랜 채
널 모델에 중요한 데이터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 경로 손실 측정 환경
그림 3-8은 경로 손실 측정을 위한 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이 환경은 송신
기와 수신기사이를 가로막는 장애물이 없는 가시환경이다. 또한, 길 양옆으
로는 가로수와 건물들이 위치하여 있어 부도심 환경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실제 무선랜이 서비스될 가능성이 높은 도심 속의 공원 지역, 주택가,
아파트 단지 등과 비슷한 전파 특성을 나타낼 환경으로 생각된다.

그림 3-8 경로 손실 측정 환경

측정은 차량을 이용하여 중앙에 나 있는 도로를 따라 일정한 속도로 이동


하며 이루어졌으며,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수차례 측정을 통한 통계
처리법을 사용하였다. 그림 3-6의 측정 시스템에서 송신단은 5m 높이에 설
치되었고, 수신단은 1.60m의 높이로 차량에 탑재되었다.

- 144 -
나. 다중 경로 특성 측정 환경
다중 경로 특성을 보기 위한 측정 환경은 다음과 같고 각각의 환경은 실
제 무선랜이 서비스될 가능성 여부에 따라 결정되었다. 그림 3-7의 측정 시
스템에서 송신단은 3m 높이에 설치되었고, 수신단은 1m 내외의 높이에 설
치되었다. 측정은 모든 환경에서 환경별 특성을 보기 위해 여러 지점에서 측
정되었다.
첫 번째 환경은 주변에 장애물이 없고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직사각형 모양의 운동장이다. 바닥은 잔디가 없는 흙이고, 주변에 작은
나무, 축구 골대, 콘크리트 길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 3-9 (a)는 실제 환경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바닥은 흙으로 되어 있고 특별한 장애물이 없이 개방
되어 있는 환경이기 때문에 다중 경로 특성이 약하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
다. 가장 기본적인 환경으로써 타 환경과 비교할 수 있는 기준으로 잡을 수
있다.
두 번째 환경은 캠퍼스, 공원, 유원지, 각종 건물의 정원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잔디밭으로 정한다. 이에 해당하는 환경으로 학생들의 휴식 및 토론
공간으로 쓰이고 있는 중앙도서관옆 잔디밭을 선정하였다. 실제 환경은 그림
3-9 (b)에 나타나 있다. 공강시간과 식사 시간대에 많은 인파가 모이는 곳으
로 실외 무선랜 서비스 환경이 될 가능성이 높다. 바닥에는 잔디가 깔려 있
고 낮은 나무와 높은 나무로 이루어져 있는 밀하지 않은 숲의 형태를 가지
는 전형적인 잔디밭의 특성을 보인다. 잔디, 나무 등에 의한 다중 경로 특성
이 크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세 번째 환경은 나무와 테이블이 있고 바닥이 흙으로 되어 있는 곳으로
정한다. 그림 3-9 (c)는 실제 선정된 측정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바닥은 흙으

- 145 -
(a) 운동장 환경 (b) 잔디밭 환경

(c) 숲 속 환경 (d) 건물 사이 환경
그림 3-9 다중경로 특성 측정 환경

로 이루어져 있고 테이블이 2개 있고 나무가 주변을 둘러싸고 있다. 앞서 제


1 절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수목에 의한 회절과 산란에 의한 영향이 클 것
으로 생각된다. 네 번째 환경은 건물 사이의 환경으로 벽과 장애물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환경이다. 그림 3-9 (d)는 실제 선정된 측정환경을 보여주고
있다. 건물 사이 공간 환경은 실외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환경의 중앙에 별다
른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고 있고 벽과 장애물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 실내환
경과 비슷한 특성을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3. 측정 결과 및 분석
이번 절에서는 실제 측정을 바탕으로 한 데이터를 살펴보고 이를 분석하
고자한다. 측정 대역의 중심 주파수는 향후 실제 무선랜의 서비스 대역의 중
심 주파수인 5.25㎓로 하였다.

- 146 -
표 3-8. 경로 손실 측정 장비 구성

구 분 제원 및 특성
송신단 높이 5 m
수신단 높이 1 m 60 cm
송신 안테나 모노폴(5.26 dB)
수신 안테나 모노폴(5.26 dB)
파워 앰프 출력 40 dBm
케이블의 손실(송신) 15 dB(15 m)
케이블의 손실(수신) 15 dB(15 m)
측정 거리 50 m - 550 m

(a) 송신단 (b) 수신단

그림 3-10 경로 손실 측정 송․수신단

가. 경로 손실
경로 손실의 측정을 위한 측정 장비의 구성은 그림 3-10과 표 3-8에 나타
나 있다. 그림 3-10 (a)는 송신단으로써 신호 발생기와 파워 앰프, 그리고 안
테나로 이루어져 있다. 파워 앰프의 출력 파워는 40dBm으로 하여 케이블로
인한 손실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3-10 (b)는 수신단으로써 신호
분석기, 노트북, 안테나와 이 장비들을 탑재하는 차량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신호 분석기는 노트북을 통해 제어되고, 데이터는 노트북의 하드디스크에 저
장되었다.

- 147 -
(a) 측정 데이터 (b) 측정 데이터의 평균값

그림 3-11 거리에 따른 신호 레벨

500m의 거리에 대해,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한 속도로 수차례 이동


하며 측정되었으며 측정 데이터중 다른 데이터와의 편차가 심한 데이터는
쓰지 않기로 하였다. 그림 3-11은 측정 데이터와 최소 제곱법을 이용한 측정
데이터의 평균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 3-11은 거리에 따라 일정한 특성을 보이는 전형적인 경로 손실 그래
프를 보여주고 있다.

나. 다중 경로 특성
(1) Power delay profile(PDP)
PDP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비의 구성은 표 3-9에 나타나 있다. PDP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그림 3-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송․수신단이 하나인 2
포트 장비(네트워크 분석기, HP8722D)를 사용하게 된다. 측정은 환경에서 여
러 지점을 선정하여 측정하였는데 다양한 지점에서의 수회의 측정을 통해
그 지역에서의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림 3-12는 각 환경에서의 PDP를 보이고 있다. 우선 그림 3-12 (a) 운동
장의 경우를 살펴보면 직접파가 20ns에서 60ns 사이에 수신되고 있다. 그리
고, 150ns 부근에서 Tx 뒤쪽의 나무와 가로등, Rx 오른쪽의 축구 골대에 의
한 반사파와 회절파 등이 수신되었다. 250ns 이상에서도 반사파가 수신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잔디밭이 다른 환경에 비해 반사체의 거리가 멀기 때
문이라 여겨진다. 350ns 이후에 수신되는 파들은 운동장 주변에 위치하여 있

- 148 -
는 큰 나무에 의한 효과로 볼 수 있다. 그림 3-12 (b) 잔디밭의 경우를 살
펴보면 직접파가 10ns에서 50ns 사이에서 수신되고 230ns까지는 주변의 나
무와 잔디에 의한 반사파와 회절파 등이 수신되었다. 반사파들의 신호 레벨
이 높은 것은 비교적 좁은 환경에서 반사되는 신호가 많음을 나타낸다. 200,
250ns 부근에서 큰 감쇄를 보이는 것은 나무가 적게 밀집한 공간에서 신호
가 투과되는 특성이다. 300ns 부근에서 큰 값을 가지는 가로등에 의한 반사
로 거의 경로 손실만을 가지고 수신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림 3-12 (c) 숲
속의 경우를 살펴보면 20ns에서 70ns 사이에 직접파가 수신되었고, 100ns 부
근까지 돌계단과 철제 쓰레기통에 의한 반사파와 회절파 등이 수신되었다.
환경 2에서 나무에 의한 반사파보다 전계 강도 값을 크게 가지는 것을 볼
수 있다. 거의 빈틈이 없이 들어찬 환경이기 때문에 반사파가 꾸준히 수신되
는 특성을 보였다. 그림 3-12 (d) 건물 사이에서는 다른 환경과 마찬가지로
20ns에서 70ns 사이에 직접파가 수신되었고, 100ns에서 200ns 사이에 바닥
과 건물 벽에 의한 비슷한 크기를 가지는 반사파와 회절파가 수신되었다. 닫
힌 환경이었기 때문에 250ns 이하에서는 큰 크기를 가지는 반사파가 거의
수신되지 않았다.

표 3-9 PDP 측정 장비 구성
구분 제원 및 특성
송신단 높이 3 m
수신단 높이 90 cm
송신 안테나 모노폴(5.26 dB)
수신 안테나 모노폴(5.26 dB)
파워 앰프 출력 30 dBm
케이블의 손실(송신) 15 dB(15 m)
케이블의 손실(수신) 15 dB(15 m)

- 149 -
(a) 운동장 (b) 잔디밭

(c) 숲 속 (d) 건물 사이

그림 3-12 측정 환경에서의 PDP 특성

나. Angle of arrival(AOA)
AOA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비의 구성은 표 3-10에 나타나 있다
.
표 3-10 AOA 측정 장비 구성
구분 제원 및 특성
송신단 높이 2.4 m
수신단 높이 1.2 m
송신 안테나 모노폴(5.26 dB)
수신 안테나 8×8 patch array ant.
파워 앰프 출력 30 dBm
케이블의 손실(송신) 15 dB(15 m)
케이블의 손실(수신) 15 dB(15 m)

- 150 -
PDP를 측정할 때와 마찬가지로 그림 3-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송․수신
단이 하나인 2-포트 장비(네트워크 분석기, HP8722D)를 사용하게 된다. 각
도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의 분포를 보기 위해서는 빔폭이 좁은 안테나의 사
용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수신단에는 직접 제작된 8°의 -3 dB 빔 폭을 가
지는 8×8 마이크로 스트립 패치 배열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측정은 하나의
수신 지점에서 20°씩 수신안테나를 돌려가며 이루어 졌다.
그림 3-13은 환경에 따른 AOA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그림 3-13 (a) 운
동장의 경우 중심각 부근에서 거의 모든 파가 수신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안테나의 전방향 외에는 거의 수신이 되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며
주위에 반사체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 환경에서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그림 3-13 (b) 잔디밭의 경우에는 다양한 각도에서 큰 값을 가지는 신호
를 수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환경이 좁고, 주변이 나무로 밀집되어
있는 데다, 바닥이 잔디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50 °부근에서 신호
의 강도가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PDP에서 200, 250ns 부근에서
신호의 강도가 떨어졌던 것과 동일한 이유에서 오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비슷한 다중 경로 특성을 보이는 숲 속에 비해 특히 바닥에 의한 영향이 크
다고 여길 수 있다.
그림 3-13 (c) 숲 속의 경우 운동장에 비해서는 여러 각도에서 신호가 수
신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돌, 철, 나무에 의한 다중 경로의 영향이 크기
때문이라 생각할 수 있다. 숲 속의 경우 운동장과 잔디밭의 중간 특성을 보
인다.
그림 3-13 (d) 건물 사이의 경우는 각 환경 중 반사파의 크기가 가장 크
게 수신됨을 볼 수 있다. 이는 환경이 벽, 또는 장애물로 둘러싸여 있어 반
사파의 경로가 짧고 1차 반사파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났기 때문으로 보
인다. 건물 사이의 경우는 실외 환경이라기 보다는 실내 환경에 가까운 특성
이 나타났다.

- 151 -
(a) 운동장 (b) 잔디밭

(c) 숲 속 (d) 건물 사이

그림 3-13 측정 환경에서의 AOA 특성

4. 실외 전파 채널 모델
본 절에서는 제 1 절에서 이미 알아본 바와같이 5㎓ 대역에서의 거리에
대한 경로 손실에 대한 수식을 권고안에 따라 수정없이 사용하기 보다는, 측
정환경에서의 좀 더 정확한 경로손실을 구해내기 위해 여러 가지 모델과 비
교해 보고자 한다. 또한, COST 207에서 제시된 PDP 모델의 파라미터를 구
하여 보고, 여러 가지 채널 모델 파라미터를 제시하도록 하겠다.

가. 경로 손실
측정 데이터와 비교를 위해 선정된 모델은 COST 231에서 제시된 Hata
모델과 Walfish & Ikegami 모델, 그리고 로그 감소 모델이다. 먼저 앞의 두
COST 231 모델은 PCS 대역의 경로 손실을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 모델로써

- 152 -
무선랜 서비스 대역에서 쓰이기에 무리가 있으나 기존의 모델에 비교해 측
정 데이터가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기 위해 선정해 보았다. 그림
3-14는 측정 데이터의 평균값을 COST 231 모델들과 비교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COST 231 모델의 경우 주파수 대역이 낮을 뿐 아니라 본 실험의 측
정 거리에 비해 약 3∼5배 가량 먼 거리에 대해 측정된 결과이므로 무선랜
서비스와는 일치되지 않는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앞서 제 1 절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SHF 대역
주파수에 대한 경로손실 모델과 동일한 로그 감소 모델을 사용하여 수식을
유도해 보았다. 아래 식은 로그 감소 모델의 결과 수식을 보여주고 있다.

d
PathLoss = A + 10 r log 10
d0
(3-54)

여기서 A는 기준 거리 d 0 에서의 손실을 나타내고 r은 감쇄 지수를 나타

낸다. A의 값은 거리 50m에서의 측정값에 의하여 정해지는데 본 보고서에서


는 50m에서의 신호 레벨이 -49.7222 dBm로 측정되었으므로 A의 값은
49.7222로 하기로 한다. r는 적당한 값을 찾아내기 위해 측정 데이터의 평균
값의 50m 지점과 500m 지점의 값을 대입하여 r의 값을 찾아내었다. 그림
3-15는 측정 데이터와 가장 일치하는 특성을 보일 때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의 r의 값은 1.98이었다.

- 153 -
그림 3-14. 측정데이터와 COST 231 모델의 비교

그림 3-15 측정 데이터와 모델의 비교

나. 다중 경로 특성
일반적으로 PDP는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보여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 τ'
τ
PDP(τ') = e (3-55)

여기서 τ는 환경에 따른 감쇄지수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 환경에서의


PDP는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보이기는 하지만 그 감소하는 정도를
하나의 지수함수만으로 나타내기는 힘든 면이 있다. 그래서, 본 보고서에서
는 COST 207 연구에 제시된 두 개의 지수함수를 사용한 PDP 모델을 사용
하도록 하겠다. COST 207에 제시된 PDP에 관한 수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
날 수 있다.

- τ' - τ'
τA τB
PDP(τ') = e +q r ⋅e (3-56)

여기서 τ A , τ B , q r 은 환경에 의해 정해지는 상수이다. 먼저 τ A 는 송수신

기 주변의 장애물에 의한 영향을 나타내는 상수로써 주변의 장애물이 많아

- 154 -
질수록 큰 값을 가진다. 그리고, τ B 는 송수신기에서 먼 거리에 분포한 장애

물의 영향을 나타내는 상수로 장애물이 증가할수록 큰 값을 가진다. 마지막


으로 q r 은 장애물의 분포가 고른 정도에 의해 결정되는 상수로 장애물의 분

포가 일정할 때 큰 값을 가진다. 본 보고서에서는 환경에 의해 각 파라미터


들이 어떤 값을 가지는지를 살펴보고 환경에 따른 파라미터와 그 범위를 살
펴보도록 하겠다.
표 3-11은 환경에 따른 COST 207에 나타난 PDP 모델의 파라미터 값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τ A 의 경우 운동장의 경우가 가장 작은 값인 7.1ns, 잔

디밭의 경우가 23.2ns, 숲 속의 경우가 가장 큰 값인 51.4ns, 건물 사이의 경


우가 18.3ns의 값을 가졌다. 이는 각 환경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는데 운
동장의 경우는 주변에 장애물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작은 값을
가졌고, 건물 사이의 경우 역시 특별한 장애물이 없었기 때문에 나무, 바닥
등의 영향을 받는 잔디밭과 숲 속에 비해 작은 값을 가졌다.
숲 속의 경우 곳곳에 위치한 나무와 테이블의 영향에 의해 가장 큰 값을
가졌다. τ A 의 경우 7-60ns 사이의 범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τ B 의 경우는

운동장이 126.21ns, 잔디밭이 166.16ns, 숲 속이 가장 큰 값인 190.23ns, 건물

표 3-11 PDP 모델 파라미터

구 분 환경1 환경2 환경3 환경4

τ A (ns) 7.1 23.2 51.4 18.3

τ B (ns) 126.21 166.16 190.23 120.45

qr 0.051 0.197 0.198 0.11

사이의 경우가 120.45ns로 가장 작은 값을 가졌다. 이는 운동장의 경우는 장


애물이 거의 없는 특성을 나타내었고, 잔디밭의 경우와 숲 속의 경우는 먼
거리에 있는 장애물의 양이 거의 비슷함을 볼 수 있다. 건물 사이의 경우 가
장 작은 값이 나타났는데 이는 닫힌 환경이기 때문에 멀리 있는 장애물의
영향을 받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 155 -
τ B 의 경우 120-190ns 사이의 범위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q r
의 경우 운동장이 가장 작은 값인 0.051, 잔디밭의 경우 0.197, 숲 속의 경우
0.198, 건물 사이의 경우 0.11의 값을 가졌다. 운동장의 경우 장애물의 영향
을 거의 받지 않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잔디밭과 숲 속의 경우는 거의
비슷한 값으로 장애물이 비슷한 정도로 분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건물
사이의 경우는 0.11값으로 운동장과 잔디밭, 숲 속 사이의 값을 가졌는데 환
경을 둘러싸고 있는 벽과 장애물에 의한 영향으로 보인다.
그림 3-16은 측정값과 PDP 모델, 그리고 자유공간에서 거리에 따른 손실
을 비교하고 있다. 여기서 자유공간에 의한 손실은 전기적 성질이 큰 반사체
에 의해 거의 경로 손실만을 가지고 수신되는 신호를 살펴보기 위해 도입하
였다. PDP의 경우 신호의 세기를 예측하기 위한 모델과는 달리 시간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의 포락선이 일치하느냐가 중요한 요소이다.

(a) 운동장 (b) 잔디밭

(c) 숲 속 (d) 건물 사이

- 156 -
그림 3-16 측정값과 모델의 비교

이 같은 관점에서 그림 3-16을 살펴볼 때 그림 3-16 (c)에 나타나 있는


숲 속의 경우가 가장 잘 일치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그림 3-16 (a)의
운동장의 경우 250ns 이후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측정값의
신호 강도가 잡음 레벨이하로 내려가 수신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림 3-16 (b)에 나타나 있는 잔디밭의 경우에는 측정값과 모델이
대체적으로 잘 일치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으나 300ns 부근에서 일치하지 않
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환경외적인 요소인 가로등, 혹은 환경
바깥에 위치한 건물에 의한 영향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신호들은
자유공간에서의 손실보다 낮은 레벨에서 수신됨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림 3-16 (d) 건물 사이의 경우 모델에 비해 높게 수신되는 신호가 없이
그 포락선에 있어 일치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먼 거리에 의한 장애
물의 영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시간이 지난 후에 크기가 큰 신호가 수신되
는 경우가 없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PDP 자체만으로도 다중 경로의 특성을 바라볼 수 있지만 숫자만
으로 간단하게 다중 경로 특성을 살펴볼 수 있고 시스템의 전송 속도와 큰
연관을 가지는 RDS와 CB를 각 환경별로 구해 보았다. 두 파라미터 모두 환
경에서의 특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이므로 각 환경에서 위치를 이동하며 약
20회 가량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평균값이 제시되었다. 5㎓ 대역의 무선
랜 서비스에서는 OFDM 방식을 사용하므로 기존의 무선통신 서비스에 비해
주파수 상관도가 낮은 편이다. 그러므로, CB는 B c≈1/5σ τ 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될 수 있다.
우선, 표 3-12의 RDS의 경우를 먼저 살펴보면 다중 경로 특성이 가장 작
게 나타나는 운동장의 경우가 약 10ns에서 30ns 사이로 가장 작은 RDS 값
을 가졌다. 평균 19.74ns에 표준편차 6.89로 비교적 안정되어 있는 채널의 특
성을 보였다. 잔디밭의 경우 세가지 환경중 가장 큰 RDS 값인 62.13ns의 평
균값을 가졌지만 그 분포가 40ns에서 90ns까지이고 표준편차 역시 14.02로
상황에 따라 변화가 심한 채널의 특성을 보였다. 잔디밭의 변화가 심한 채널
특성은 잔디 바닥에 의한 영향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숲 속의 경우

- 157 -
는 운동장과 잔디밭의 중간 정도인 평균 42.72ns로 다중 경로 특성이 크게
나타나는 편이었지만 표준 편차는 7.61로 숲 속과 대조되는 특성을 보였다.
건물 사이의 경우는 실외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평균값이 29ns 정도로 작게
나타났다. 이는 닫혀있는 환경이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다중 경로
파가 거의 수신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건물 사이의 경우 역시 안정된 채널
특성을 볼 수 있었다.
표 3-12의 CB의 경우 다중 경로 특성이 가장 적게 나타나는 운동장의 경
우가 평균값이 10.13MHz이고, 최대값, 최소값은 각각 16.50MHz, 7.02MHz를
가져 세 환경중 가장 넓은 특성을 보였다. 잔디밭과 숲 속의 경우는 각각
3.38MHz, 4.53MHz의 매우 좁은 값을 나타냄을 볼 수 있다. 건물 사이의 경
우는 평균값이 6.83MHz이고 최대값, 최소값이 각각 8.02MHz, 5.96MHz로 다
른 실외 환경에 비해 넓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제시된 CB 값은 어떤 시스템
의 frequency selective fading이 일어나는 정도의 기준이 될 수 있는데 주어
진 표 3-12에서는 다중 경로 특성이 심할수록 frequency selective fading이
심하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수치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표 3-12 측정 환경 채널 모델 파라미터(RDS, CB)

RDS(ns) CB(MHz)
환 경
Avg. Max. Min. Stdv. Avg. Max. Min.
운동장 19.74 28.50 12.12 6.89 10.13 16.50 7.02
잔디밭 62.13 88.93 42.72 14.02 3.38 4.68 2.25
숲 속 42.22 57.09 34.45 7.61 4.53 5.80 3.50
건물 사이 29.16 34.00 26.30 2.43 6.83 8.02 5.96

표 3-13 실외 환경 채널 모델 파라미터(AS)

환 경 AS(˚)
운동장 10.92
잔디밭 13.31
숲 속 12.20
건물 사이 30.30

- 158 -
제 4 절 WRC-2003 대응 및 ITU-R 활동

1. 5㎓대역 국제 주파수 이용 현황 및 표준화 전망


2003년 6월에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 예정인 WRC-2003 회의를 대비한
5㎓대 주파수 자원의 국내․외 이용 동향과 국제 표준화 현황에 대해 알아
보았다. 우선 기존 IEEE 802.11b 규격으로 2.4㎓ 대역에서 서비스 되고 있는
무선랜 대역의 조기 포화 및 상업적 목적에서의 초고속 광대역 멀티미디어
서비스 구현을 위해 IEEE802.11a/g/h 규격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5㎓대역 주파수 이용의 국제적인 흐름을 미국, 유럽, 그리고 일본
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특히 국제주파수 분배를 담당하는 WRC관련
ITU-R의 최근 연구활동과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았다.

가. 5㎓대역 국제 주파수 이용 현황 및 전망
국제적으로 5㎓대역을 초고속 무선서비스 이용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으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있었으며, 미국, 유럽 등 선진 주요 국가 별로 주파수
분배 또한 이루진 상태이다. 특히 미국,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무선 LAN 등
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관련 서비스 또한 준비중에 있다. 우리 나라는
2003년 6월에 개최될 WRC-2003에서 5㎓대역을 무선 랜 등과 같은 이동업
무로 국제주파수 분배 지지를 계획하고 있으며, 그 이후 국내 주파수 이용
방안 수립에 따른 5㎓대역 주파수 분배 및 할당이 계획될 것이다. 무선을 이
용해 현재 이용 가능한 대역은 ISM대역인 5㎓대역의 5.725∼5.825㎓이외에
2003년 이후에는 5.150∼5.350㎓대역 또한 이용이 가능한 후보대역으로 고려
되고 있다. 다음은 미국, 유럽, 일본 등의 5㎓대 주파수 이용 현황을 정리하
였다.

- 159 -
그림 3-17 미국의 5㎓ 대역 주파수 분배 현황

(1) 미국의 주파수 이용동향


미국 FCC는 1997년 1월, 5㎓대역에 대하여 국가 정보 인프라망 구축 차원
에서 UNII(Unlicensed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밴드로 지정하여
이용을 권고하였다. 이 권고안을 살펴보면, 관련 산업활성화 차원에서 상당
히 완화된 주파수 이용지침을 제시하였다. 그림 3-17과 표 3-14는 미국의 5
㎓ 대역 주파수의 이용 현황을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 3-17과 표 3-14에서 알 수 있듯이 미국은 5.150∼5.350㎓의 200㎒대
역을 무선LAN이 가능한 대역으로 할당하고 있으며, 또한 특히 5.250∼5.350
㎓의 100㎒대역은 실외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대역으로 일부 FWA등의
Point-Multi Point의 무선서비스가 가능한 대역으로 활용 중에 있다. 또한
5.725∼5.825㎓의 100㎒대역도 Omni 안테나를 사용 최대 4W까지 송신출력
이 가능하도록 주파수 이용정책을 제시하였다.

- 160 -
표 3-14 미국의 5㎓ 대역 주파수의 이용 현황

주파수 대역 주파수 최대출력전력

Minimum of 50mW or
UNII Lower Band 5.150 - 5.250㎓
4dBm + 10logB

Minimum of 250mW or
UNII Middle Band 5.250 - 5.350㎓
11dBm + 10logB

Minimum of 1W or
UNII Upper Band 5.725 - 5.825㎓
17dBm + 10logB
B: -26dB Emission Bandwidth in ㎒

(2) 유럽의 주파수 이용동향


유럽은 1992년경부터 향후 PC나 노트북 등과 같은 업무용 장비간의 네트
웍킹과 가정 내의 가전, 그리고 PC 등의 무선 네트워킹에 대한 요구가 증가
할 것을 예상하여 RLAN에 대한 연구와 준비를 해왔다. 지난 1996년
ERC(European Radiocommunications Committee)는 ERC/DEC/(96)03에서
HIPERLAN을 위한 주파수로 5.150∼5.250㎓대역을 지정하였고, 그 이후
1998년 ETSI의 요청으로 ERC에서는 증가하는 향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용하기 위해 HIPERLAN을 위한 5㎓대역 추가 주파수 지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림 3-18과 표 3-15에 유럽의 주파수 분배와 관련한 주파수 이
용 방안을 설명하였다.

(3) 일본의 주파수 이용동향


1999년 11월 우정성은 5㎓대역 중 5.150∼5.250㎓대역을 Broadband Mobile
Access System에서의 기술적 조건에 관한 전기통신 기술심의회 보고서에서
표 3-16과 같은 주파수 분배 및 기술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그 이외에 5.25
0∼5.350㎓대역에 대한 주파수 이용검토를 우정성 산하 전기통신기술 심의회
에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 무선랜 등 이동업무로 인한 동 주파수자원 이용은
기존 무선 설비인 레이더와 지구탐사위성 업무와의 주파수 간섭이 예상되어
무선 랜 등의 이동업무용 주파수 이용은 불가능한 것으로 결론지었다.

- 161 -
그림 3-18 유럽의 주파수 분배

표 3-15 유럽의 주파수 이용 현황

주파수 대역 주파수 최대 평균출력전력


Band A (실내) 5.150 - 5.350㎓ 200mW EIRP
5.470 - 5.725㎓ 1W EIRP
Band B (실내/실외)
5.725 - 5.825㎓ 25mW EIRP

표 3-16 일본의 주파수 분배 현황

할당 및 지정 점유주파수 최대 평균출력전력
주파수 대역 채널 수 주파수 대역폭

5.170, 5.190, 5.210,


5.150-5.250㎓ 4개 18㎒이내 10mW/㎒ 이하
5.230㎓

(4) ITU-R 및 WRC 국제주파수 분배 연구동향

- 162 -
표 3-17 5㎓ 대역 주파수 분배를 위한 ITU-R 합의 사항

주제별 분류 JTG 4-7-8-9 합의사항

- 5150∼5250㎒는 실내용을 출력 최대 200mW 이하로 사용


할 수 있다는 방안과 5250∼5350㎒은 실내 200mW, 실외
Resolves 1
최대 1W의 주파수 공유기술(DFS, TPC)의 강제 적용을
(RLAN 등
전제로 이용할 수 있다는 주파수 이용 방안을 마련함.
이동업무
- 5470∼5725㎒는 실내외 최대 1W의 주파수 공유기술(DFS,
주파수분배)
TPC)의 강제 적용을 전제로 이용할 수 있는 주파수 이용
방안을 합의하였으나, WP8B에서 연구 진행중인 레이더
업무와 간섭에 대한 연구 결과를 준수키로 함.

- CPM 보고서(안) 최종문안에 Region 3에서 FWA를 원하


Resolves 2
는 일부 국가에 한하여 Resolves 1의 이동업무용 국제 주
(FWA 등
파수 분배 이외에 추가적으로 5250∼5350㎒ 대역을 Regio
고정업무
n 3 일부 국가에서 FWA용 고정 업무로 분배한다는 문안
주파수 분배)
추가 합의함.

Resolves 3 - Wirelss Access System(RLAN포함)과 EESS, SRS 등 위


(EESS 등 성 업무간의 간섭문제와 관련하여서는 Resloves 1의 515
위성업무 0∼5350, 5470∼5725㎒대역에서 RLAN 이동 업무용 주파
주파수 분배) 수 이용 방안을 참조하기로 합의함.

- 5350∼5570㎒ 대역에서 국제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EESS


지구탐사 위성업무와 무선측위 업무간의 간섭은 없는 것
으로 분석되었으나(권고안 SA1280 참고), 특히 5350∼565
Resolves 4 0㎒대역에서 이용되고 있는 무선항해(인명, 안전) 업무를
(Radar 등 무선측위 업무로부터 보호한다는 Footnote 작성을 고려하
무선측위업무 기로 함.
주파수 분배) - Wirelss Access System(RLAN포함)과 무선 측위 업무간
의 간섭문제와 관련하여서는 Resloves 1의 5150∼5350, 54
70∼5725㎒대역에서 RALN 이동업무용 주파수 이용 방안
을 참조하기로 함.

- 163 -
국제 주파수 분배를 결정하는 세계전파통신회의(WRC-2000)가 2000년
5월 터어키 이스탄불에서 열렸으며, 이 회의에서 5㎓대역의 국제 주파수
분배와 관련한 국제 결의가 있었다. ꡒ결의 736ꡓ의 Resolves 1은 5㎓대역
에서의 455㎒ 대역을 이동업무가 가능하도록 국제 주파수를 개정하는 사
항을 WRC-2003에 결정하기로 하였다. 본 사항은 WRC 의제 1.5에 해당
한다.
ꡒ결의 736ꡓ의 4개의 Resolves를 검토하여 5㎓대역 국제 주파수 분배를
연구하고자 관련 ITU-R의 연구반인 WP4A, WP7C, WP8B, WP9B 그리
고 JRG 8A-9B가 공동으로 전담반을 구성한 JTG4-7-8-9가 지난 2000
년 9월 제네바에서 제 1차 회의를 시작으로 결성되었다. JTG4-7-8-9 산
하에 4개의 Working Group으로 나뉘어 작업을 하였으며, Resolve 1에서
Resolve 4의 각각의 소 작업반을 나누어 해당 주제에 대한 기고문 검토와
CPM Text Chapter 2.2절 작성을 수행하였다. 2002년 5월초 제네바에서
본 JTG4-7-8-9의 마지막 회의인 제 3차 회의가 개최되었으며, CPM
Text의 해당 파트인 2.2절 문안 작성을 마무리하였다. CPM 보고서 2.2절
(WRC 의제 1.5)인 5㎓대역 국제 주파수 분배에 관한 국제 합의 사항을
요약 정리하면 표 3-17과 같다.

2. 5㎓대역 이용을 위한 ITU-R 활동


2002년 5㎓ 대역 이용을 위한 국내․외 활동의 일환으로 전파연구소가 주
관하여 5㎓ 주파수 이용 전담반 및 자문위원회를 운영하였으며, 관련 국제
표준화 동향 파악 및 대응을 위해 한국 ITU-R 연구위원회의 SG8, SG9,
JRG 8A-9B, JTG 4-7-8-9 전담반 등을 비롯하여 관련 Study Group들의 국
내 활동을 비롯하여 다음과 같이 국제활동을 통해 큰 성과를 이루었다.

(1) 제 3 차 JRG 8A-9B 회의 참가 및 기고문 발표


제 3 차 JRG 8A-9B회의는 2002. 4. 3∼4. 11의 회기로 스위스 제네바의
ITU 본부에서 개최되었다.
주요활동 및 결과로는 Resolution736(WRC-2000) resolve 1, 2, 3, 4(5㎓ 대
역 RLAN 사용)에 관한 논의, 특히, Region 3(우리나라포함)의 FWA 서비스

- 164 -
를 위한 주파수 공유기준에 관한 별도 논의와 우리나라 기고문을 발표하였
으며 그 결과로 Draft CPM text관련 WRC-2003 의제 1.5의 Resolution
736(WRC-2000) resolve 3, 4의 FWA, WLAN(RLAN 포함) 사용시 지구탐사
위성서비스 보호로 인한 불이익 사항에 대한 명시를 제안하여 반영되었으며,
Resolution736(WRC-2000)의 resolve 2의 Region 3에서의 FWA 사용을 위한
신규 method 추가 및 주석을 삽입하기로하여 우리나라와 일본의 합의로
Document 8A-9B/Temp/76의 최종 수정된 문서로 반영하였다.

(2) 제4차 JTG 4-7-8-9 및 WP9A 회의 참가


제4차 JTG 4-7-8-9 및 WP9A 회의는 2002. 4. 30∼5. 8의 회기로 스위스
제네바 ITU 본부에서 개최되었다.
주요활동 및 결과로는 제3차 JRG 8A-9B 회의 결과에 대한 기술적 사항
들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Draft CPM text 작성이 이루어졌고,
Resolution736(WRC-2000) resolve 1, 2, 3, 4(5㎓ 대역 RLAN 사용)에 관한
논의와 JRG 8A-9B의 기고로 인해 신규로 작성되었던 Resolution736
(WRC-2000)의 resolve 2의 Region 3에서의 FWA 사용을 위해 한국 및 일
본 합의로 method를 3가지 경우로 분리하여 재작성하였다. 또한, Region 3에
서의 FWA 사용은 추후 회원국가 간 APG-2003회의에서의 의견 수렴한 사
항을 적극 반영키로하였다.

(3) 제4차 APG-2003회의 참가 및 기고문 발표


제4차 APG-2003회의는 2002. 8. 26∼9. 1의 회기로 부산에서 개최되었다.
주요활동 및 결과로는 APG회원국의 Draft CPM text의 Chpter 2 공동(안)
을 작성하였으며, Resolution736(WRC-2000) resolve 3, 4의 FWA 서비스에
관한 추가 기고문을 발표하였고, 제3차 JRG 8A-9B 및 제4차 JTG 4-7-8-9
회의에서 작성된 Draft CPM text에 대한 다른 회원국 및 참관국들의 의견
차이로 인한 원(안)을 유지하고 다음 5차 회의에서 지속적으로 논의 할 것을
합의하였다.

(4) 제2차 CPM 회의 참가 및 기고문 발표

- 165 -
제2차 CPM 회의는 2002. 11. 18∼11. 29의 회기로 스위스 제네바 ITU 본
부에서 개최되었다.
주요활동 및 결과로는 APG 회원국의 Draft CPM text 제안에 따른
Region 3에서의 FWA 사용안을 확정하였으며, 각 국 기고 및 하부 회의 결
과를 반영한 WRC-2003을 위한 CPM text를 확정하였고, 우리나라 기고문
(Proposals and Views for the Amendments and Considerations to the
Draft CPM Report (Doc. CPM02-2/109-E))을 발표하여 Draft CPM Report
Chapter 2의 WRC-2003 의제 1.5/5, 1.5/6에 관한 5.460∼5.570㎓ 대역과
5.470∼5.650㎓ 대역에서의 EES의 송신출력 및 대역 공유에 관한 의견을 제
시하여 Draft CPM text의 수정을 제안 하였고 그 결과는 Document CPM
02-2/217(Rev.1)으로 반영되었다.

- 166 -
제 4 장 RFMS 傳播예측 알고리즘 개선방안

RFMS의 기능으로는 현재 시스템 메뉴 표현상 크게 電波傳播분석[이하 傳


播분석]과 스펙트럼 분석, 전파월경분석[이하 월경분석]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그밖에 측정분석, 지형정보, 지형분석, 무선국 제원관리 등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전파분석 기능, 스펙트럼 분석, 월경분석기능은 RFMS의 주요기능에
속한다. 전파분석 기능은 허가신청시 무선국에 대한 정보관리와 전파도달 및
전파경로 분석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스펙트럼 분석 기능은 다수 무선국의
전파분석 결과를 기초로 전파간섭 등을 분석하여 허가 신청 무선국에 최적
의 주파수 지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월경분석 기능은 국내 무선국의 전
파가 일본, 중국, 북한지역 등에 인접국으로 월경되는 사항에 대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FMS의 내부기능 중 전파분석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높이
고 신뢰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여 보았다. ITU-R 권고 P. Series
에 나타난 전파예측 모델의 분석과 주파수 대역별 알고리즘 개선방안 제시
를 통해 RFMS의 알고리즘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이와 함께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는 ITU-R SG3의 국제동향과 예측모델의 변화도 함께 고찰하기
로 한다.

제 1 절 ITU-R 권고 P 시리즈에 나타난 傳播예측모델 분석

1. 傳播예측 모델에 대한 ITU-R의 권고 현황분석

현재 ITU-R 권고 P 시리즈에 나타난 傳播예측모델[이하 예측모델]은 총


20개가 존재한다. 20개의 예측모델을 지상업무부분과 위성업무부분으로 구분
하여 정리하면 표 4-1과 표 4-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4-1의 (A), (B),
(C)는 주파수를 중심으로 HF, V/UHF, S/EHF 이상 등으로 구분하여 그에
맞는 모델, 서비스방법, 출력결과, 거리등 을 도표화한 것이다. 표 4-1과 함
께 이해를 돕기 위해 그림 4-1의 (A), (B), (C)를 주파수와 거리에 따라 도
식화하였다.

- 167 -
표 4-1 (A) 지상업무 [HF 대역 중심]

주파수 방법 서비스 형태 출력결과 거리

point-to 1 ∼
10㎑∼30㎒ P.368 All services . Field strength
-point 10,000㎞

point-to
Fixed -point . Sky-wave 0 ∼
30∼150㎑ P.684
Mobile point-to field strength 40,000㎞
-area

point-to . Sky-wave 50 ∼
0.15∼1.7㎒ P.1147 Broadcasting
-area field strength 12,000㎞

․Basic MUF
․Sky-wave
field strength
Broadcasting ․Available
point-to receiver power 0 ∼
2∼30㎒ P.533 Fixed
-point signal to noise 40,000㎞
Mobile ratio
․LUF
․Circuit
reliability

표 4-1 (A)에 나타낸 HF대역 전파예측모델은 대부분 주로 sky-wave의


전계강도를 중심으로 산출되며 업무 구분상 각 모델은 고정업무, 이동, 방송
업무에 맞도록 구성되어있다. HF대역의 전파예측 모델 특징은 주파수, 송수
신지점의 위도, 경도 등의 기본적인 입력조건이외에도 월간, 계절간 태양흑
점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특히 권고 P.533의 경우 전 세계 HF 방송을 위한
HFBC(HF Broadcasting Conference)용 예측모델로 활용되고 있다. 이 모델
은 전 세계 전리층 지도(월별 전리층 contour map)를 기본 데이터로 하고
있으며 1982년도에 미국 상무성 산하 NTIA에서 만든 프로그램을 기초로 개
발되었다. 개발의도는 효율적인 방송구역 설계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현재 지
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HF 전계강도 계산 결과로 주로 쓰이는
Basic MUF와 LUF이외에도 회선의 성능과 S/N 파라미터까지 산출할 수 있
도록 되어 있다.

- 168 -
VLF LF MF HF

3㎑ 10㎑ 20㎑ 30㎑ 100㎑ 200㎑ 300㎑ 1㎒ 2㎒ 3㎒ 10㎒ 20㎒ 30


P.368

P.684

P.1147

P.533

그림 4-1 (A) 지상업무 [HF 대역 중심]

권고 P.684와 권고 P.1147, 권고 P.368의 경우는 HF대역이하의 중파방송을


위주로 개발되어 있지만 모델의 수요 및 사용자가 적어 그 이용률이 극히
미미한 편이다. 특히 사항으로는 P.684는 HF대역의 고정업무와 이동업무에
적합하며 P.368은 모든 서비스에 적용되며 P.1147은 방송업무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표 4-1(B)는 지상업무의 예측모델 중 V/UHF 대역을 중심으로 나타낸 것
이다.

- 169 -
표 4-1 (B) 지상업무 [VHF/UHF 대역 중심]

주파수 방법 서비스 형식 출력 거리

Transhorizon point-to- 100 to


〉 30 ㎒ P.617 Path loss
fixed links point 1000㎞

Fixed point-to-
point 0 ∼
30∼100㎒ P.534 Mobile Field strength
via 4000㎞
Broadcasting sporadic E

point-to-
Fixed point Received power 100∼
30∼100㎒ P.843 Mobile via
meteor Burst rate 1000㎞
Broadcasting
burst

point-to-
30∼1000㎒ P.370 Broadcasting Field strength 10∼1000㎞
area

30㎒∼3㎓ VHF
(limited point-to- 10∼600㎞
P.529 Land mobile Field strength
application area UHF
above 1.5㎓) 1∼100㎞

Land mobile point-to- 1 to


1 ∼ 3㎓ P.1146 Field strength
Broadcasting area 500㎞

P.534와 P.843은 전리층 Sporadic E와 유성우 등에 의해 통신되는 VHF


대역의 전계강도를 산출하는 모델이다. 비정상전파 현상으로 취급되는 두 권
고는 전리층 foEs 불규칙적인 발달과 불규칙적인 유성우의 형성으로 VHF대
역의 FM, TV 방송에 발생되는 간섭량을 계산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P.534는 중위도와 저위도에 자주 발생하는 foEs의 발생확률을 경험적으로 계
산하고 Sporadic E의 전계강도도 산출할 수 있다. P.843은 유성우때 발생되
는 실질적인 수신전력 손실과 기본 전송손실이 계산가능하며 주파수의 변화
에 따라 거리의 변화정도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유성우의 발생빈도도 경험적
으로 산출가능하다.
P.370, P.529, P.1146은 ITU-R 1144-3부터는 권고의 삭제로 인해 더 이

- 170 -
상 ITU-R에서 언급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여기서는 현재 RFMS에 포함
된 modified Hata 모델 분석을 위해 V/UHF대역의 육상이동에 대한 경로손
실 예측방법인 P.529 모델를 중심으로 각 모델의 특징과 기능을 분석하였
다.

VHF UHF

30㎒ 100㎒ 200㎒ 300㎒ 1㎓ 2㎓ 3



P.534

P.843

P.370

P.529

P.1146

P.617

P.1546

그림 4-1 (B) 지상업무 [VHF/UHF 대역 중심]


[참고 : P.1546은 P.370, P.529, P.1146의 통합모델로 2002년도에 새롭게
등록된 30㎒에서 3㎓까지의 예측모델이다.]

P.529는 P.1058, P.833, P.1146에 주어진 지형적 특성을 참고하여 P.370에 정

- 171 -
의된 유효 송신안테나를 기초로 30㎒에서 250㎒대역, 450㎒와 900㎒의 시간
율에 따른 전계강도를 측정하여 산출한 경험적 수식이다. 이렇게 산출된 측
정자료를 토대로 Okumura-Hata 모델에 적용하여 만든 모델이다.
P.529와 다르게 1951년부터 1995년까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온 P.370은 30
㎒에서 1㎓까지 방송업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V/UHF 대역의 전파예측 모
델이다. P.370은 기후조건에 따라 변화되는 V/UHF 대역 방송업무를 위한
기술지침을 제공하며 동일 또는 인접채널에서 운용되는 무선국에 대해 장거
리 대류권 전송 때문에 발생되는 간섭을 피하기 위해 지리적인 최소 이격거
리 결정에 도움을 준다. 관련 권고는 효과적인 전계강도 계산을 위해 0m이
하에서 1200m 이상까지의 유효 송신안테나 높이와 1.5m에서 40m까지의 유
효 수신안테나를 정의하고 있으며 계산의 유효거리로서 10㎞에서 1000㎞까
지 계산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1㎓에서 3㎓ 육상이동업무와 방송업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P.1146은 1㎞
에서 500㎞까지의 범위에서 유효송신안테나 높이 1m이상 수신안테나 높이 1
에서 30m간에 전계강도를 계산하는 모델이다. P.370과 P.529와 같은 방법으
로 1 ㎾ e.r.p 기준에 대한 1㎓, 3㎓에 대한 전계강도를 측정하여 산출한 수
식이다. 다른 모델과 다른 특이사항으로는 overland, oversea, 과도신호등으
로 경로에 대한 분류 측정이 함께 되어있다는 것이다.
P.617은 Transhorizon 고정 link상의 경로손실을 산출할 수 있도록 개발되
었다. 모델은 1992년 이후에 더 이상 개발되고 있지 않은 이 모델은 tropospheric
scatter 경로를 통해 비가시거리 전파중계 고정업무에 맞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상업무에서 최근 변화된 전파예측모델은 앞서 언급하였지만 3개의 권고
모델이 삭제되고 하나의 모델로 권고하고 있다. 그림에 표시한 P.1546은 새
롭게 권고된 지상업무용 모델이다. P.1546은 주파수 30㎒에서 3000㎒까지, 계
산거리 1에서 1000㎞까지, 시간백분률 1에서 50%와 공간백분률 1에서 99%
까지, 유효 송신안테나 높이 0m 이하에서 3000m까지, 유효 수신안테나 1m
이상에 대해 계산되어지는 모델이다. 이 모델에 대한 설명과 기존 3개 모델
에 대한 비교분석은 3절에서 자세히 논의하였다.

- 172 -
표 4-1 (C) 지상업무 [V/UHF, S/EHF 이상 대역 중심]

주파수 방법 서비스 형식 출력 거리

Aeronautical point-to- 0 ∼
125㎒∼15㎓ P.528 Path loss
mobile area 1800㎞*

Not
Services specified
employing but up to
stations on point-to-
700㎒∼30㎓ P.452 Path loss and
the surface of point beyond
the Earth; the radio
interference horizon
․Path loss
․Diversity
point-to- improvement Up to
Approximately
Line-o-sight point (clear air conditions) 200㎞ if
150㎒∼ P.530
Fixed links Line-of- ․XPD line-of-
40㎓ ․Outage
sight sight
․Error
performance
Coverage
Broadband point-to- Temporal
20∼50㎓ P.1410 coverage 0∼5㎞
radio access area reduction
due to rain
Earth distance of which
100㎒ station Coordination the required Up to
P.620
∼ 105㎓ frequency distance propagation loss 1200㎞
coordination is achieved

300㎒∼ Short-path Path loss


P.1411 Mobile propagation 〈1㎞
100㎓ methods Delay spread

900㎒∼ Mobile in building Path loss Within


P.1238 propagation
100㎓ RLAN methods Delay spread buildings

* : for acronautical applications - 0㎞ horizontal distance does not mean 0㎞ path length

- 173 -
VHF UHF SHF EHF

30㎒ 100㎒ 200㎒ 300㎒ 1㎓ 2㎓ 3㎓ 10㎓ 20㎓ 30㎓ 100㎓ 200㎓ 300

P.528

P.452

P.530

P.620

P.1411

P.1238

P.1410

150㎒ 700㎒ 900㎒ 15㎓ 50㎓ 105㎓

그림 4-1 (C) 지상업무 [V/UHF, S/EHF 대역 이상 중심]

P.528은 V/U/SHF 대역의 항공이동 및 무선측위에 사용되는 傳播예측용


curve들을 제공한다. 전송손실 예측방법은 IF-77 Propagation 모델을 확장해
서 만들었으며 항공이동상황이므로 안테나 높이가 최소 15m에서 20㎞까지
거리에 따라 전송손실을 산출하였다. 시간율은 5%, 50%, 95%로 나누어 125
㎒부터 300, 1200, 5100, 9400, 15500㎒까지의 傳播커브를 제공한다.
가시거리(Line of Sight, LoS) 고정링크 업무에 적용되는 P.530은 150㎒에
서 40㎓까지 약 200㎞이상의 거리에 대해 적용되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전

- 174 -
송손실이외에도 청정대기상태에서 Diversity, XPD, outage, Error 성능 등을
산출한다. 또한 가시거리 고정링크 업무시 경로의 Clearence 확보가 필수적
이다.
P.452와 P.620은 각각 이동, 고정, 방송 등 일반업무에 적용하지 않으며 지
상에서의 마이크로웨이브 간섭에 대한 전파예측과 지구-우주간 coordination
거리 검증을 위한 전파예측 예측을 위해 사용된다. P.452는 700㎒에서 30㎓
까지 점대점 경로손실을 예측하도록 개발된 모델이다. 원래 계산할 수 있는
거리의 범위는 정의하지 않았지만 radio horizon이상까지도 계산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리범위를 정의하면 약 10,000㎞의 한계까지 정의할 수 있다.
공간률은 따로 적용하고 있지 않지만 시간률은 년 평균과 최악월의 0.001에
서 50까지 계산한다. 유효송수신안테나는 정의하지 않았다. P.452는 두 개의
간섭傳播 메커니즘을 고려한다. 두 간섭傳播 메커니즘은 일반적인 傳播현상
으로 가시거리, 굴절, 대류권 산란과 같은 사항을 고려한 그림 4-2(A) 장기
간 간섭전파 메커니즘 구조와 표면턱팅, Elevated 층의 반사와 굴절,
Hydrometeor 산란 등을 고려하는 그림 4-2(B)와 같은 비정상적인 전파간섭
메커니즘 구조를 갖는다. 특히 4-2(B)의 비정상적인 전파간섭 구조는 전파기
상자료를 토대로 해안지역, 육지, 바다 등 3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계산하
고 있다. P.452의 경로 프로파일분석은 P.526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P.452에
서 자연적인 전파메커니즘을 고려하는 것 이외에도 지형적인 조건인 산정상
이나 건물의 roof top등에 따른 clutter에 의한 전송손실도 고려한다.

그림 4-2(A) 장기간 간섭전파 메커니즘 구조

- 175 -
그림 4-2 (B) 비정상적인(단기간) 간섭전파 메커니즘 구조

P.620은 1979년 WARC 제네바회의에서 결의 60에 따라 1㎓에서 40㎓까지


의 조정거리(coordination distance) 계산을 위해 1986년 1차 모델이 만들어
졌다. 이후 의제 208/3에 따라 100㎒에서 105㎓까지의 주파수 확장이 이루어
졌고 그에 따른 조정거리의 검증에 대한 전파모델이 개발되었다. 이후 P.620
은 ITU-R SM.1448을 개정하도록 권고하였고 그에 근거하여 2000년 WRC
이스탄불회의에서 전파규칙내의 부기 7(Appendix 7) 개정을 증명하였다. 이
후 P.620은 2000년 WRC 이스탄불회의에서 결의 74에 따라 부기 7의 지속적
인 기술적 지원을 약속하였다. 지구국에 대한 조정거리 傳播특성의 결정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가정에 근거하여 계산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알려지
지 않은 조정이 요구되는 지상국의 위치와 간섭경로 , 단지 지상국의 가능한
정보, 나머지 간섭경로를 통한 기하구조에 대한 가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전
파에 현상에 대한 분류로 P.620은 두 개의 모드를 제안하고 있다. 첫 번째
모드는 청정대기상의 전파현상으로 지구표면상태 (굴절, 회절, 덕팅과 레이어
의 반사와 회절)에 영향을 받는다. 대류권 산란에 대해서는 대원경로를 따라
전파되는 것을 한정한다. 두 번째 모드는 hydrometeor 산란에 대해 대원경
로에는 국한되지 않으나 정지위성과 함께 운용되는 지구국으로 한정된다. 이

- 176 -
두 모드는 P.452와 약간의 공통점이 있다. 단지 차이점이라면 P.452가 지상
중심의 전파예측 모델인 반면에 P.620은 지상을 포함한 지상국과 우주국간의
전파예측모델로 해석할 수 있다.

표 4-2 위성업무 [UHF/SHF/EHF 대역 중심]

주파수 방법 서비스 형식 출력 거리
Any
Aeronautical practical
point-to- . Sea-surface
1∼2㎓ P.682 mobile orbit
point fading
satellite height

. Sea-surface Any
Maritime fading practical
point-to-
0.8∼8㎓ P.680 mobile . Fade duration orbit
point
satellite . Interference height
(adjacent satellite)
Any
. Path loss practical
Broadcast point-to-
0.8∼5.1㎓ P.679 . Effect of local orbit
satellite area
environment height

Any
.Path fading
Land practical
point-to- .Fade duration
0.8∼20㎓ P.681 mobile orbit
point .Non-fade
satellite height
duration
.Path loss Any
.Diversity gain practical
fixed point-to-
1∼55㎓ P.618 and (for orbit
satellite point
precipitation height
condition) XPD

표 4-2와 그림 4-3은 앞서 언급되었던 표 4-1과 그림 4-1, 4-2의 지상에


서의 傳播되는 예측모델에 대해 위성과 지상간의 전파모델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서비스 방법과 주파수에 따라 크게 4개의 모델로 구분되는 위성업무
용 전파 예측모델은 위성과 지구국간 자유공간손실(경로손실 포함)을 비롯하
여 해수면의 fading, fade duration, 간섭, 강수, XPD, Diversity 이득 등을

- 177 -
얻기 위해 계산되어지는 모델 등이다. 참고로 P.679를 제외하고는 모두 위성
과 지구국간 점대점 전파예측이 이루어지고 있다.

VHF UHF SHF EHF

30㎒ 100㎒ 200㎒ 300㎒ 1㎓ 2㎓ 3㎓ 10㎓ 20㎓ 30㎓ 100㎓ 200㎓ 300

P.682

P.680

P.679

P.681

P.618

500㎒
5㎓
800㎒ 8㎓ 55㎓

그림 4-3 위성업무 [U/S/EHF 대역 중심]

5개의 지구-우주간 위성관련 전파모델에 필수적인 요소는 두 송수신 안테


나간의 정확한 경로거리이며 경로상에 존재하는 전리층 영향과 대류권의 기
상변화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관련 권고 P.839, P.836(columnar 수증기량),
P837(강수률), P.840(Columnar 구름의 초과 수분량)등에 대한 정확한 자료가
포함되어야 한다.

- 178 -
제 2 절 RFMS 傳播예측 알고리즘의 기능적 분석과 강화방향

RFMS내부에서 계산되어지는 傳播분석의 흐름은 그림 4-4와 같이 다양한


입력자료를 바탕으로 경로손실 분석과 회절손실 분석을 자동 및 수동으로
하고 있다. 기본적인 傳播분석을 위해서는 송수신지점의 좌표정보와 지형고
도 지형특성, 관련 무선국의 제원, 지역적 특성 등을 입력하여 송신지점으로
부터 수신지점까지의 전계강도가 산출되어 진다. 그러나 傳播분석에 기본이
되는 사항은 정확한 송수신점의 좌표가 결정되면 해당업무별 주파수와 안테
나의 이득, 송신출력, 전계강도의 경계를 결정하여 電波의 경로분석을 실시
한다. 이중 경로분석에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두 지점간의 경로손실과
회절손실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현재 RFMS의 알고리즘 모델들은 1999년
이전을 기준으로 ITU-R에 권고된 모델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나 주파수대
별, 업무별(고정, 이동, 방송 업무 등), 거리별 정확한 기준이 부족하다. 따라
서 RFMS 알고리즘의 기능적 향상과 개선을 위해서는 RFMS의 경로손실 모
델과 회절손실 모델의 기능적 분석을 통해 ITU-R에서 최근 제공되고 기능
을 새롭게 추가하려는 목적이 있다.

그림 4-4 RFMS상에서의 傳播분석 흐름도

RFMS 내부에 있는 경로손실 모델은 크게 5개로 자유공간상에서의 전파


의 기본 경로손실을 고려한 Free space 모델을 비롯하여 총 6개의 모델로

- 179 -
이루어져 있다. 관련 모델들은 기본적으로 ITU-R SG3 권고에 수록된 모델
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 RFMS에 포함된 경로손실 모델은 크게 표
4-3에 나타낸 것과 같다.

표 4-3 RFMS에 포함된 전파의 경로손실 모델의 기능

경로손실모델 기능 비고

자유공간상에서 전파의 경로손실을 고려한 모델로 I T U - R


Free Space 가장 기본적인 모델이며, 사용주파수와 송수신기
사이의 거리의 함수로 표현된다. P.525-1

Okumura가 일본지역에서 실측한 데이터를 기반 I T U - R


Modified Hata 으로 하여 도출해낸 여러 예측 curve를 수식의
형태로 간소화한 통계적 모델이다. P.529

Modified 도시지역에서의 outdoor 傳播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진 COST231 프로젝트의 전파경로손실에 대
COST-231 WI 한 준결정적, 경험모델이다.

점대점 통신을 하는 Microwave를 분석하기 위한 I T U - R


Microwave 모델로서 기후, 주파수, 시간율, 거리 및 경로의 지형에
의하여 전파손실을 계산한 모델이다. P.452-7

직접파, 회절파, 그리고 반사파에 의한 전계강도를


Ray-tracing 각각 나타내어, 최종적으로는 한 경로에 대해
존재하는 것을 모두 합성하는 수치해석 모델이다.

신호가 송신기에서 목표물까지, 목표물에서 수신기 I T U - R


ITU-R Radar
까지의 손실을 고려한 모델이다. P.525-1

먼저 Free Space 모델은 ITU-R 권고 P. 525-1에 기초하여 주파수가 ㎓


이상과 이하에 따라 두 개의 식으로 전송손실을 계산하게 되어있다. P.525-1
의 경우 L fs = 32.4 + 20 log d + 20 log f 로 1994년까지 개정된 권고 P.525-2안의 자
유공간상의 전송손실 모델에도 변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실무적인 처리를 위
해 ㎓와 ㎒이 구분되도록 2개의 수식으로 표현한다. 이 밖에 ITU-R radar
모델도 P.525 모델을 참조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모델의 변화는 없다.

- 180 -
표 4-4 RFMS 경로손실 모델의 적용범위

경로손실모델 적용범위 비고

Free Space 가시거리통신 (Line of sight)에 사용

중소도시나 개방지에서 전파예측을 할 때 사용이


Modified Hata 적합하며 Macro-cell, micro-cell 분석시 사용된다.
(1∼5㎞) 또한 2.5㎓까지 적용 가능하다.

대도시 사용에 적합하며 Macro-cell, Micro-cell


Modified
분석시 사용이 가능하며 800∼2,000㎒ 대역의 주파수와
COST-231 WI 0.02∼5㎞의 거리에서 실측 데이터와의 정확도가
높다.

점대점 통신을 요하는 M/W 경로 예측시 사용


Microwave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시간 감쇠율은 0.01을 설정
한다. 1,000㎒이상에서 적용 가능하다.

반경 1㎞ 이내의 대도시 전파예측에 적합하며


Ray-tracing
Micro-cell, Pico-cell에 사용한다.

전파가 물체에 반사되어 오는 경우를 계산할 때


자유공간
ITU-R Radar 사용하며 대기중에 물체를 인식을 필요로 하는
손실 적용
레이더 예측에 사용한다.

Modified Hata 모델은 일반적인 개방지나 중소도시를 위한 전파예측모델


이며 권고에서 빠진 권고 P.529의 모델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 모델은 개선
되어 권고 P.1546에 흡수되었으며 육상이동, 방송 등 지상업무에 활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Modified COST231 WI 모델은 COST(Cooperation in the field of Scientific
and Technical research)에서 수행된 231 프로젝트의 여러 모델 중
Walfisch-Ikegami 모델(일명 COST231 WI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한 모델이
다. COST231 프로젝트는 도시지역의 Outdoor 傳播모델 개발을 위해 여러 유
럽도시의 광범위한 측정자료를 중심으로 다양한 傳播모델의 분석과 새로운
모델을 만들었다.

- 181 -
대표적으로 COST231 Hata 모델, Walfisch-Ikegami 모델과 일반적으로 고
찰된 작은 셀이나 마이크로셀 환경에서의 모델들은표 4-5에 나타낸 것과 같
이 Uni-Lund 모델, Ericsson 마이크로셀 모델, CNET 마이크로셀 모델, 스
위스 텔레콤 PTT 마이크로셀 ray tracing 모델, Uni-Karlsruhe 모델, TLM
based 모델들이 있다. 이중 COST231에서의 대표적인 모델은 COST231 WI
모델로 원래 900㎒에서 1800㎒의 도시지역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던 모델을
우리나라와 같은 대도시 환경과 800㎒에서 2000㎒까지의 CDMA환경에 맞도
록 수정한 경로손실 계산 모델이다. 이 모델의 특징은 기존에 고려되지 못했
던 비가시거리(NLoS)에 대한 계산기능이 포함되어 빌딩 숲 중심에서의 건물
중심의 전파예측을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파라미터의 추가기능을 통
해 지속적인 모델의 수정이 용이하다.
최근 연구동향의 경우 이동통신사를 중심으로 WCDMA와 CDMA2000 1X
기반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COST231 WI 모델의
수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이동통신사인 SKT의 경우 150㎒에
서 2㎓까지의 AMPS, Pager, Wireless CATV, CDMA, Giga cell,
CDMA2000 1X, CDMA EVDO, IMT2000 등의 무선네트워크 설계와 최적화
를 위해 수정된 Hata 모델과 GIS 기반의 COST231 WI모델을 업무에 맞도
록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있는 상황이다.
RFMS에 Microwave 모델이라 명기된 ITU-R P.452-7 모델은 영국의
Radio Agency가 중심이 되어 개발된 모델로 0.7㎓에서 30㎓까지 10,000㎞환
경에 적합한 모델이다. 대기권 산란, Hydrometeor 산란 등의 전파기상 조건
과 가시거리(LoS), 회절, 반사, 굴절과 같은 지형적 특성, 이 밖의 표면 덕
팅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계산되는 전파예측모델이다. 장거리 microwave
송수신시 장애가 되는 가시거리 환경, 건물의 Roof TOP이나 산악지형 산
정상과 같은 Clutter에 영향에 예민하여 지속적인 모델의 변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 182 -
표 4-5 작은 셀이나 마이크로셀 예측모델들의 비교[참고 COST231]

최근 개발동향으로서는 가시거리상(LoS)의 청정대기(일반적인 기상현상이


없는 청정한 날씨의 상황)에 대한 통계적 기상조건들을 권고 P.453의
RRI(Radio Refractive Index)개발과 연계하여 전세계저으로 체계적인 DB화
를 추진 중에 있으며 Hydrometeor 산란의 경우도 신호의 간섭이 강수율 통
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어 전송손실 모델의 개발, 최악월 예측등에 대

- 183 -
한 자료를 누적하고 있다. RFMS에는 국내 기후지역을 K지역으로 고려하여
국내환경에 맞는 초과 강수율의 시간백분율 적용하고 있으며 감쇠율 추정계
수의 경우 권고 P.838의 추정값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이 자료는 일반적인
국내 전체의 주파수별 강수율 변화만을 파악할 수 있는 상황이지 시간대별
국부적인 계산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국부적인 연평균 강수변화율
에 대한 단순 DB가 만들어져 실제적인 경로손실 예측을 해야한다.
반경 1㎞이내의 건물이 많은 대도시 환경의 전파예측에 적합한 Ray-tracing
모델은 마이크로셀과 피코셀의 무선네트워크 설계에 적합하다. 실제로 ITU-R
권고 P.526-5와 초기 UTD와 GTD 이론을 근거로 개발된 모델이며 건물의
반사와 roof top 회절, 건물 모서리 회절 등에 따라 직접파의 전파경로를 최
적화하여 산출하는 모델이기도 하다. 다른 모델과 다르게 이 모델은 수치해
석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적인 시뮬레이션을 통한 예측모델이지만 도시
지역의 경우 다중경로 환경이라 예측값의 정확도 다른 모델에 비해 높은 것
이 특징이다. 현재까지는 RFMS 알고리즘 이용빈도상 적은 부분을 차지하지
만 향후 광대역 전파모델 개발이나 복합적인 다중경로상의 전파예측이 빈번
히 일어날것으로 판단되므로 지속적인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주파수
대역이 높아짐에 따라 직진성이 강한 전파예측에의 Ray-tube이론 적용은 필
수적이다.

표 4-6 일반적인 경로손실 모델에서 고려되는 파라미터와 전파현상

입력 파라미터 고려되는 전파현상

지형 건물 건물 벽면 강우 직접파 건물에 건물
모델 건물
높이 모서리에 지붕에
정보 평면도 정보 재질 감쇠 /지형회절 의한반사 의한회절 의한회절

Modified Hata ○ ○ ○ ○ × ○ × × ○
Modified
○ ○ ○ ○ × ○ × × ○
COST231 WI
Microwave ○ ○ ○ ○ ○ ○ × × ○
Ray-Tracing ○ ○ ○ ○ × ○ ○ ○ ○
ITU-R Radar ○ × × × × ○ × × ×

- 184 -
이상과 같이 일반적인 경로손실 모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고려되는 파
라미터와 전파현상을 종합하면 표 4-6과 같다.
표 4-6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RFMS에 포함되어 있는 대부분의 모델
은 강우감쇠와 같은 자연현상에 대한 고려사항과 건물구조에 대한 고려사항
이 빠져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보다 신뢰성있는 전파분석과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게 되는 미래적인 전파관리를 위해서는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향후
지속적인 알고리즘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이다.
회절손실모델의 경우도 표 4-7와 같이 7개가 포함되어 있다.
RFMS내에 포함된 회절손실 모델들은 ITU-R 권고 P.834를 기반으로 P.526
의 불규칙 지형과 장애물에 따른 굴절에 관한 이론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회절손실 모델이 적용되는 주파수는 대체로 30㎒(VHF대역) 이상이며 손실
모델 중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경로상의 하나의 장애물만 존재한 것에 대한
굴절모델인 Single Knife-edge 모델을 들 수 있다.
Single Knife-edge 모델을 제외하고는 ITU-R P.526에서 제시 모델과 일
치하지 않는다. RFMS의 경우 ITU-R P.526에 근거하여 일반적인 傳播모델
교재에 제시되었던 Bullington 모델이나 Epstein-Peterson 모델 등을 참조하
여 회절손실 모델을 포함시켰다. 특히 현재 RFMS상의 회절손실 모델중
Epstein-Peterson 모델과 Piquenard 모델은 동일 모델로서 존재하며 각 모델
의 경우 대부분 회절손실 모델을 L knife = 6.9 + 20 log ( ( ν - 0.1) 2 + 1+ ν - 0.1) 로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다. 이 회절손실 모델에서의 중요한 굴절 변수는 ν이며
각 모델의 변화는 장애물의 높이 설정과 굴절변수 ν의 계산방식에 따라 모
델을 달리하고 있다. Single Knife Edge 모델이외의 다른 모델은 다중회절모
델로서 실질적인 불규칙 지형인 산악지형이나 빌딩 숲에 적용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Bullington 모델의 경우 구릉지가 근거리에 연속적으로 펼쳐져 있는 지역
에 적합하며 두 개 이상의 장애물에 대한 가상적인 높이와 송수신점까지의
거리를 이용하여 굴절변수를 계산한다. Epstein-Peterson 모델은 Bullington
모델의 한계를 극복하여 두 개의 장애물이 서로 원거리에 있는 지역에 대한
분석으로 사용하며 동일 모델이지만 Piquenard 모델은 Epstein-Peterson 모
델보다 더 원거리인 marco-cell 환경에 적용한다.

- 185 -
표 4-7 RFMS에 포함된 회절손실 모델의 기능

회절손실모델 기능 비고

송수신기 장애물이 하나일 때 이 장애물에 의한 I T U - R


Knife-edge
전파의 회절손실을 분석한 모델 P.526

Bullington 다중 회절손실 모델 중 하나로, 송수신기 사이의


여러 장애물 중 대표 장애물 두 개에 의해 One
model Knife edge 모델로 근사화시킨 모델이

Epstein- 다중 장애물에 의한 회절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모


델이며, 각각의 장애물 정상에서 송/수신점과의
Peterson
직선으로부터 높이를 구하고 각각의 장애물에 대한
model 손실계산은 Single Knife-edge 모델을 따름

Piquenard 다중 장애물에 의한 회절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모


델이며, 각각의 장애물에 대한 회절손실 계산은
model Single Knife-edge 모델에 따름

다중 장애물에 의한 회절손실을 계산하기 위한 모


French & 델로 첫 번째 장애물에 대해서는 Single Knife-edge
Signal 방법을 따르고, 두 번째 장애물은 첫 번째 장애물
의 수신점과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높이에
School model
의해 회절손실을 구한 후 두 손실을 합한 모델
다중 장애물에 의한 회절손실을 계산하기 위해서
Deygout 먼저 높이가 가장 큰 장애물을 설정하여 회절손실을
model 계산한 후 가장 큰 장애물을 기준으로 나머지 부분
에 대한 회절손실을 계산,손실 값들을 합한 모델
다중 장애물에 의한 회절손실을 계산하기 위해서
첫 번째 분석단계는 Single Knife-edge방식과 동
일하지만 두 번째 분석 단계부터의 기준점은 두 번
Japan NTT 째 정상에서 첫 번째 정상으로 그은 직선이 첫 번
째 기준점의 수직선과 만나는 점을 두 번째 기준점으
로 정한다. 이와 같은 방식을 계속 반복해서 회절손
실 계산을 수행하여 손실 값들을 합한 모델

French & Signal School 모델, Deygout, Japan NTT 모델 등은 앞서 언

- 186 -
급되었던 Epstein-Peterson 모델이나 Bullington 모델 보다 더 복잡한 장애
물의 굴절손실 계산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아니라 굴절손실에 대한
계산도 L Μlti - Knife = ΣL i + ΣLc i 로 I번째 회절점과의 i+1 번째 회절점사이의 거
리에 의한 추가적인 손실을 계산항이 추가되고 있다.

표 4-8 RFMS 회절손실 모델의 적용범위

회절손실모델 적용범위 비고

구면대지의 경우 적용되며 M/W 및 Radar 분석시


Knife-edge
적합

구릉지가 근거리에 연속적으로 있는 지역에


Bullington model
적합

Epstein- 두개의 장애물이 서로 원거리에 있는 지역을


Peterson model 분석할 때 적합.(Macro-cell 에서 사용)

Piquenard 두개의 장애물이 서로 원거리에 있는 지역을


model 분석할 때 적합(Macro-cell 에서 사용)

French Signal
중소 도심지에서 적용
School model

Deygout Micro-cell 이하의 근거리 예측에 적합하며


model 대도시에서 사용

Micro-cell 이하의 근거리 예측에 적합하며


Japan NTT
산악이 밀집된 지역에서 사용

Deygout 모델의 경우는 Li에 대한 굴절변수의 제한조건이 있어 굴절변수


-0.8에서 0, 1, 2.4 일 때 각각 다른 Li 값을 갖는다. Japan NTT 모델의 경
우는 도시지역 micro-cell 지역이나 산악지형이 많은 근거리 예측에 적합하
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모델의 경우 i번째 장애물에 대한 각각의 상대적인
높이계산이 중요하여 Epstein-Peterson 모델이나 Bullington 모델 보다 정확
한 손실계산을 할 수 있는 반면에 계산방법이 복잡하고 고려할 사항이 많아
계산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 187 -
일반적인 송 수신지점간의 전계강도의 계산은 송신안테나의 이득, 전송전
력, 분석모델에 따른 경로손실, 회절손실, 케이블 손실 기타 손실과 특성 감
쇠값에 의한 손실을 포함하여 계산한다. 이러한 손실 항목중 특성감쇠값은
지역성 특성에 따라 변화되는 요소이며 특히 RFMS의 경우는 8 단계로 구
분하여 기본적인 수치자료를 입력해 놓았다. 물론 작업의 편이성을 위해 각
특성값의 수정이 용이하도록 편집기능도 가지고 있다.

표 4-9 RFMS 지역특성에 따른 특성감쇠값

지역특성 특성 감쇠값
밀집도시 0
중소도시 5
공업지역 8
밀집도시 5
교외지역 10
개방지역 10
숲/나무 15
바다 20
호수/강/저수지 20

ITU-R P.1058은 관련 권고내에 있는 내용들의 일반적인 적용범위를 30㎒


이상에 대한 주파수에 대해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좌표시스템의 경우는
경위도 좌표,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기타 시스템이 있으며
이 경우 각 좌표시스템의 응용성과 Grid cell 형태 축척요소 변화, 경계에 대
한 각 특징을 나열하고 있다. 참고로 현재 대부분의 디지털 GIS 시스템에
적용되고 있는 좌표계는 UTM 좌표이다.
좌표시스템과 함께 ITU-R P.1058은 표 4-9에 나타낸 것과 같이 광역적인
의미에서 지역특성에 대해 15개 분류로 구분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의 경
우 Dense Urban(도시 중심), Urban(상업용 지구, shop등), 산업지구(공장지
대) 등으로 구분하며 도시지역이외의 Dense suburban(3층 이상의 주거지역)

- 188 -
suburban(주거지역), Village(초지와 저밀도 주거지역)등 3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숲의 밀도는 10,000㎡ 당 나무의 수로서 정의하며 나무 밀집도의 정상
적인 분포변화에 따라 5개로 구분한다. 이 밖에 나무없는 습지, 개펄, 바닷
물, 민물 등으로 구분해 놓았다, RFMS의 경우도 15개 분류를 숲과 나무를
분포에 상관없이 하나로 생각하고 습지와 개펄을 하나로 통합하여 총 9개의
분류하였다. 그러나 도시지역 계산의 경우 문제가 없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도
산간지역이나 늡지에 따른 정확한 지역특성을 분류할 필요가 있다. ITU-R
권고 P.1058-2의 경우 P.1058에서 보다 분류체계를 대분류와 소분류로 구분
하여 총 8개 단위로 구분하여 코드화하여 놓았다. 대분류의 경우 공원과 논,
초지 등의 개활지(rural open)와 8개의 상세분류로 구분되는 나무/숲(Tree
covered), 대도시로부터 간헐적으로 떨어져 있는 집 등 7개 분류로 구분하는
빌딩지역, 그리고 사막과 같은 건조지역, 습지와 개펄과 같은 습한지역, 민
물, 바다, 빙설지역까지 총 8개로 구분지어 놓았다. 우리나라의 지역 특성상
이와 같은 상세 분류는 필요가 없지만 보다 신뢰성 있는 전계강도 산출을
위해서는 RFMS상에 코드별 입력 기능과 계절별, 지역별 분류기준은 마련할
필요가 있다.
최근까지 傳播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의 적용은 아날로그 시스템에만 적용
되어 왔었다. 심지어 대부분의 무선국들도 아날로그 송수신장비로 구성되어
있어 비교적 쉽게 경로손실 이나 회절손실을 계산할 수 있었다. 그러나
CDMA 등 이동통신업무의 발달과 급속한 디지털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
털 송수신장비 출하가 늘고 있으며 그와 함께 디지털 무선국의 수도 증가하
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통신보안에 대한 심각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정보통신부는 정보통신부 훈령 263호(2002년 6월 26일) “무선국통신보
안심의세칙개정령”에 따라 무선국 운용에 대한 통신보안조치를 규정하였으
며 이 훈령속에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최소 수신전계강도 산출식을 삽입하여
놓았다. 물론 RFMS에도 관련 내용이 존재하지만 문제는 아날로그방식을 산
출하는 수식과 디지털방식을 산출하는 방식에 대한 사항을 국내외 월경분석
시 ㎒와 ㎓대역의 최소 수신 전계강도 계산으로 적용한다는 사실이다. 따라
서 본 훈령은 업무상 전체적으로 적용하여 할 사항으로 활용하는 것이 올바
를 것이다.

- 189 -
표 4-10 최소 수신 전계강도 산출식(훈령 제7조 관련)

방식별 산 출 식 비 고

Ps = 10logB+NF-144(dBm) o NF
+Cf - Ant G - 250㎒ 이상 : 4(㏈)
- 250㎒ 이하는 열잡음과 인공
아날로그 잡음을 고려한 잡음전력으로
방 식 B : Band Width (㎑) 정한다
NF : Noise Figure (㏈) o Cf
Cf : Threshold SN 보증비 - FM : 17(㏈)
- AM, SSB : 0(㏈)

Ps = 10logKTa+NF+10logBr o Ta (K°)
+Eb/No 주파수대역
(㎓) Ta(K°)

2 80
4 85
K : 볼츠만상수
5 90
Ta : 외부잡음온도 (K°) 6.2 95
디 지 털 NF : Noise Figure (㏈) 6.7 100
방 식 Br : 전송속도 (Bit rate) 8 120
Eb : 단위 Bit당 에너지 11 140
No : 단위 열잡음
o NF 및 Eb/No는 변조방식별
기술적 특성을 고려하여 정한다
o 산출식에 의해 구할 수 없는
변 조방식은 기술적 특성을
고려하여 계산한다.

- 190 -
제 3 절 ITU-R SG3 전파분석 연구동향 및 예측모델의 변화

電波의 傳播 과정에서의 물리적 메커니즘(전달특성)은 그림 4-5와 같이 반


사와 굴절, 다중경로 굴절, 산란, 흡수, guided wave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특히 반사와 굴절, 산란은 傳播 예측모델에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
하며 지역적인 특성이나 주파수 파장의 크기에 따라 각 요소의 변화는 다양
하게 나타날 수 있다.
전파통신의 최근 동향은 많은 양의 데이터 전송과 고품질, 초고속 무선서
비스를 위해 도입되는 통신 및 방송 주파수의 광대역화가 진행됨에 따라 새
롭게 등장한 傳播의 물리적 성질로 다중경로 굴절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
물리적 메커니즘은 디지털 통신방식으로 전이와 함께 전파예측 모델의 변화
에 크게 작용하는 요소로 지목되고 있다.

그림 4-5 電波의 傳播 과정에서의 물리적 메커니즘

이와 같은 전파 전파과정에 공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메커니즘


은 자유공간 손실을 비롯하여 Fade, Attenuation, Absorption, Path loss 등
으로 나열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물리적 메카니즘이외에 電波의 傳播과정
에서 받을 수 있는 자연적 영향과 인공적인 영향을 4-11에서 같이 간단하게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상식적인 의미에서 주파수가 낮은 HF 대역이하에서
는 전리층의 영향이 크게 날 것이며(물론 V/UHF 대역까지 이상적인 전파현
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파수가 높아지면 질수록 기상변화가 심한 대류권
의 영향이 크게 나타난다.

- 191 -
표 4-11 電波의 傳播과정에 영향을 주는 환경영향들

주요 원인 영향들

Scintillation, Radio Sky noise, Anomalies


전리층
Trans-ionospheric, Polarization (Faraday rotation)

Rain, Fog and Cloud attenuations, Scintillation

자연현상 Gaseous and Hydrometeor attenuations, XPD


대류권
Ductings, Troposcatter, Hydrometeor scatter,
fading

기타 Dust, Sand, Ice

Radio Noise, Signal Distortion, Interferences,


인공현상 System Noise, Spurious emissions, Clutters,
NLoS, Antenna Characteristics

ITU-R SG3 연구분과에서도 전파의 사용이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점차


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전파분석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1990년에 의제가 발의되어 30㎒에서 약 50㎓간의 지상방송, 고정(광대역 접
속에 필요한 업무), 이동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계획과 전계강도 예측기술의
개선과 개발이 필요하게 되어 유럽과 미국, 일본, 호주, 우리나라 등이 활발
이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연구반 SG3내의 관련 작업반인 WP3K도 기본
목적으로 point-to-area 전파방법에 대한 전파연구와 10㎓이상의 지상방송
및 광대역 고정업무를 위한 새로운 예측방법 개발, 방송 및 이동업무를 위한
광대역 디지털송신시스템의 소개를 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WRC-2000
이후 디지털 시대의 확산에 따른 지상방송, 고정, 이동업무에 대한 전파예측
모델 개발을 위해 Task Group 2/3을 2000년부터 구성하였다. Task Group
2/3의 주요 목적은 의제 203/3에 근거하여 “Development for point-general
point-to-area propagation prediction method”을 개발하는 것이다. 관련
Task Group의 연구결과 권고 P.1546을 2001년에 일차적으로 권고 승인하여,

- 192 -
2002년에 완전 권고화하였다. 권고 P.1546은 새롭게 변화되고 있는 전파예측
모델의 대표적인 사례이며, 관련 권고는 발표된 이후 유럽과 인도 등 동남아
시아, 중동지역을 중심으로 권고의 추가 개정과 개선에 활발히 활동 중에 있
다. 예로 권고 P.1546의 경우 표 4-12과 같이 권고 P.370과 권고 P.529, 권고
P.1146의 주요기능을 통합하여 제정한 것이다.

표 4-12 권고 P.1546에 통합된 P.370, P.529, P.1146과의 비교

P.1546 P.370 P.529 P.1146


30㎒∼3㎓
30∼
주파수 30∼1000㎒ (1.5㎓ 이상 제한적 1∼3㎓
3,000㎒
사용)
육상이동 업무
업무 지상업무 방송업무 육상이동업무
방송업무
VHF 10∼600㎞
거리 1∼1,000㎞ 10∼1000㎞ 1∼500㎞
UHF 1∼100㎞

형식 point to area point to area point to area point to area

출력 전계강도 전계 강도 전계강도 전계강도

VHF 대역 VHF rural 환경


지상업무 전반에 방송 업무 UHF urban 환경 평평한 open 환경
적용
적용 반파장 다이폴 20㎞이하, 육지이동업무
사용 ∼2㎓

단거리 무선통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특히 실내외 근거리 개인


통신시스템 개발(IMT-2000에 대한 개발과 WLAN, 기타 업무 개발)이 필요
함에 따라 WLAN, WPBXs(Wireless Private Business Exchanges), 유무선
통신간의 호환을 위한 근거리 개인통신용 전파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어 1993년에 의제가 처음 발의되기도 하였다. 관련 의제의 연구목적은 이
동 및 개인환경에서 업무를 위한 소출력 근거리 시스템 개발, 여러 사용자부
터 발생되는 간섭신호와 빌딩 내에서의 전파특성에 대한 정보, multipath 전

- 193 -
파 향상을 위한 방법개발에 있다. 일례로 indoor 전파특성에 관한 사항은 권
고 P.1238에 나타내고 있으며 outdoor상의 전파특성에 관한 사항은 권고
P.1411에 밀리미터 광대역 접속에 관한 전파예측모델은 권고 P. 1410에 나타
내고 있다. 권고 P.1238과 권고 P.1411은 실내 WLAN과 실내외 WLAN, 실
내 및 실외에서 운용되는 무선통신 및 접속 시스템 등 반경 1 ㎞ 이하에서
운용되는 근거리 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전파모델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와 함께 음성통신, 비디오 서비스, 자료전송서비스 등 차별적인 서비
스를 위한 채널의 최적화된 전파특성에 대해 중점적인 연구도 추진중이다.
이러한 연구를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실외환경에서
는 빌딩구조, 나무 등(vegetation)에 대한 정확한 매질(재질)에 대한 전파특
성에 대해 관련 DB를 구축하고 있으며 실내환경에서는 빌딩 및 가구 재질
따른 shadowing, 굴절, 반사에 대한 효과, 빌딩의 형태 및 터미널의 위치에
따른 관련 DB화 작업도 진행중이다.
기존의 방송업무와 육상이동업무용으로 이용되었던 권고 P.370, P.529,
P.1146의 전파예측 모델이 권고 P.1546으로 개정된 이후에도 2001년과 2002
년에 지속적인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내용으로 유효 송신 및 base 안
테나 높이 정의에 대한 개선으로 비현실적으로 정의된 유효 송신 및 base
안테나 높이 h1에 대해 육상 경로에서 제시되었던 두 개의 방법(지상에서
이용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모두 삭제하자는 것이며 두 번째는 일반적
인 경로상의 전파예측 방법에 개선으로 권고 P. 1546과 Okumura-Hata 모델
간의 비교자료 첨부이다. 이 밖에 권고 P. 1546과 P.452 예측과의 비교 분석
이 보다 필요하다는 제안과 향후 초굴절(super ducting), clutter, 안테나와
관계된 전파예측 향상, 3,000㎒ 이상대역으로의 확장, 지형의 불규칙에 대한
상관성 결정 등 향후 시험 준비를 위한 연구가 지속적이다. 3,000㎒ 이상대
역으로의 확장에 대해서는 LOS, 굴절, Ducting, Sporadic E, 산란, 반사 등
의 전파 메커니즘을 고려한 30㎒∼5000㎒에서의 site-specific 전파모델도 준
비중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site specific 전파모델인 CRC 예측과 P.370과의
비교, P.452와 ITM 모델과의 비교도 함께 연구되고 있다.
권고 P.1411은 1㎞이하 마이크로셀 전파환경에서의 전파 예측개발을 추진
중이며 빌딩내의 전파예측 모델 연구는 P.1238의 개정을 중심으로 추진중이

- 194 -
다. 특히 P.1411은 기존의 UHF대역에서 비가시거리(NLoS) 환경에서의 SHF
경로손실 특성 내용 추가와 suburban 환경에서의 경로 손실 추가, 새로운
대역에서의 fading 특성 추가되었다. P.1238은 표면 구조에 따른 반사 특성
및 산란 특성에 대한 관계를 보다 복합적인 산란 패턴식으로 구축하였으며
다중재질에 따른 반사 및 투과에 대한 단순화 모델로의 개선되었다. RLAN
을 위한 전파예측 방법을 위해 실내 시스템의 경우 5㎓, 17㎓, 19㎓, 60㎓ 등
으로의 주파수 확장이 필요하다고 인식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전파기술도
MIMO 개발을 위한 Diversity 기술(공간, 편파, 안테나 섹터, 주파수 등)등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비가시거리(NLoS) 경로손실에 대한 지속적인 측정결과
요구되며 빌딩 entry loss 및 다중경로 모델로의 확장도 요구되고 있다.

표 4-13 광대역화에 따른 ITU-R 전파예측 모델의 비교

응용
권고
주파수 서비스 거리 지역특성

P.1238 0.9∼100㎓ Mobile RLAN Within Building Building

PCS, Cellular Dense


P.1411 0.3∼100㎓ <1㎞
IMT2000 Urban (DU)

P.1410 20∼50㎓ BWA, FWA 0 ∼ 5 ㎞ Urban

P.1546 0.03∼3㎓ DTV, P-MP 1∼1,000㎞ All Area

P.530 0.15∼40㎓ Fixed links >200㎞ Line of sight

Inside Radio
P.452 0.7∼30㎓ Microwave 10,000㎞
Horizon

P.617 > 30㎒ Trans horizon 100∼1,000㎞ All Area

특히 130㎞/h 속도에서의 빠른 이동에 따른 고려와 시골지역의 운용환경


확장에 관한 연구도 진행중이다. fading 역학, vegetation 영향, 반사, 간섭
효과 등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을 피력하여 20㎓ 이상의 광대역 고정
wireless 접속에 연구가 진행중이며 광대역 무선접속을 위한 전파예측 방법
개발을 위해서 통계적인 빌딩 blockage 모델로부터의 DB화와 fading

- 195 -
dynamics 및 Vegetation 효과, 반사등에 의한 전파채널 왜곡, 간섭, 해소, 공
유 문제 해소 등을 고민하고 있다.
광대역화에 따른 ITU-R 전파 예측모델의 변화는 앞서 1절에서 이미 분석
했지만 하나의 도표로 표 4-13과 같이 다시 표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ITU-R 전파예측 모델을 업무적인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면 간단히 표 4-14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표 4-14 업무중심의 ITU-R 전파예측모델 비교

Application Freq. range Rec. 관련연구반


All Services 10㎑∼ 30㎒ P.368 WP3J/L
Terrestrial General 0.15 ∼ 1.7㎒ P.1147 WP3L
Broadcastin HFBC 2 ∼ 30 ㎒ P.533 WP3L
g DTV 30 ∼ 3,000㎒ P.1546 WP3K
Specific Model 30 ∼ 3,000㎒ P.1546 WP3K/J
Mobile Short-range indoor 900㎒∼100㎓ P.1238 WP3K/J
Terrestrial Short-range outdoor 300㎒∼100㎓ P.1411 WP3K/J
Broadband RA 20∼50㎓ P.1410 WP3K/J
Maritime 0.8 ∼ 8 ㎓ P.680 WP3M
Mobile
Land 0.8 ∼ 20㎓ P.681 WP3M
Satellite
Aeronautical 1 ∼ 2㎓ P.682 WP3M
Fixed Satellite 1∼ 55㎓ P.618 WP3J/L/M
Transhorizon 2 ∼ 30 ㎒ P.533 WP3L
Fixed Links HF > 30 ㎒ P.617 WP3L
Line of Sight 150㎒∼40㎓ P.530 WP3J/M
Interference between
700㎒∼30㎓ P.452 WP3J/K/M
stations on Earth Surface
Earth Station Frequency
100㎒∼105㎓ P.620 WP3J/M
Coordination

- 196 -
제 5 장 RFMS(전파관리 시스템) 기능강화 방안

이동통신 서비스의 대중화 및 보편화에 따라 오늘날 전파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국가 고유의 기능인 스펙트럼관리의 효율적 이
용과 관리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 전체의 공공이익을 위해서는
전파의 효율적인 이용과 보존은 매우 중요한 사안이며 세계 각국은 스펙트
럼 관리에 있어 최근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전파관리시스템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보통신부는 전파이용 관리에 대한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기존 전파관리체계에서 구축하기 어려웠던
지형정보에 기반을 둔 전파분석 시스템(일명 RFMS, 전파관리시스템)을 개
발하게 되었다. 전산관리소의 감독하에 한국 전산원을 통해 기금사업으로 추
진된 이 사업은 총 106.8억을 투입되었으며 1999년 7월부터 2000년까지 12월
까지 약 1년 5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공공근로 인력 연 인원 약 20만명 이상
이 투입되어 개발된 지번데이터 및 지형데이터를 구축한 이 사업은 그 이면
에 1997년 IMF이후 급증하고 있는 실업인력 해소라는 정책적인 목표가 고
려되어 IMF 위기극복을 위한 정보화 근로사업인 공공근로자 사업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V/UHF대역(30㎒에서 3㎓)을 중심으로 1차적으로 설계된 전파관리시스템
은 각 체신청의 기술심의업무를 위한 지원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
다. 스펙트럼관리 관점에서 살펴보면 주로 지상 전파관리체계에 맞도록 설계
되었으며 위성망과 지상망과의 혼신 등에 관한 부분은 처음 개발계획에는
고려되었으나 본 사업의 성격상 적합하지 않아 다른 업무로 대체되었다. 이
후 RFMS 시스템은 2001년 11월부터 2002년 5월까지 전산관리소의 DB 개선
사업으로 지형정보의 정밀도를 한단계 높이게 되었다. 개선사업에도 불구하
고 무거운 플랫폼 운용구조와 체신청 업무 프로세스에 적합하지 않은 복잡
한 운영프로세스, 전파분석 알고리즘에 대한 사용자의 인위적인 선택에 따른
일관성 없는 업무의 비효율성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체신청 관계자들의 RFMS 활용 극대화 요구와 향후 일반
이용자에게도 지원되어야할 전파이용센터 설립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RFMS 시스템에서의 전파분석의 문제점과 기능강화 추진계획, 그리고 업무
중심의 기능방안과 소프트웨어 중심의 기능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 197 -
제 1 절 RFMS의 운용기능 분석

RFMS(전파관리시스템)는 체계적인 전파자원 관리와 전파자원 활용의 극


대화를 실현하기 위한 종합주파수관리시스템의 선결 과제로서 지형정보DB
를 공공근로인력을 활용하여 구축하였다. 당초의 RFMS 구축목적은 전파자
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ITU-R 권고사항을 근간으
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 기술을 접목하여
기지국 분포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관리상태를 파악하는 것이며 기지국 정보
를 활용, 최적 주파수를 분배하기 위한 전파(傳播)분석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지형정보를 이용한 RFMS는 그림 5-1과 같이 전산관리소, 정보통
신부 주파수과, 각 지방청 업무담당자를 연결하는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다. RFMS의 구성은 시스템 표현상 지형정보관리, 무선국 제원
관리, 전파분석관리(전파예측기술), 스펙트럼분석관리(스펙트럼 관리기술, 혼
신분석), 시스템관리의 총 5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RFMS 매뉴얼을 이
용하면 각 시스템은 데이터를 중심으로 통합적인 관점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동작하게 설계되었으며 이를 통해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정보통신
부 주파수과의 업무 중 관련 있는 기존 시스템과 상호연동 처리가 가능하도
록 구축되어 있다. 지형정보관리기능은 3차원 지형정보(정확히 표현하면 2.5
차원 지형정보 구조)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지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있으
며 지형, 지물, 특성 데이터를 이용한 지형을 단계별로 차별화하도록 알고리
즘을 제시하고 있다. 무선국 제원관리는 전산관리소 무선국 허가 DB제어 연
동기능과 무선국관리 기능을 복합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전파예측기술은
1999년 이전까지 ITU-R 권고에 내재된 주요모델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지형
별, 도시별 모델을 잠정적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를 기본으로 전파예측모델 및
회절 표준모델을 산출하게 하였다. 스펙트럼관리기술 또는 혼신분석 기술은
주파수 할당기술 및 인접국가와 주파수 혼신 회피 방안과 신규 무선국 간섭
및 최적의 주파수 할당계획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RFMS내의 지형정보시스템은 GIS 기술과 객체 관계형 DB 기술을 통합하
여 실세계 모델링을 제공하며 관련 엔진은 한국통신데이터(주)의 Zeus
DBMS엔진으로 구축되어 있다. 참고로 한국통신데이터(주)는 Zeus를 대용량

- 198 -
의 지리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빠른 검색 기능을 보장하며, 사용자의
복잡한 질의를 분석하여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다고 소개하고 있다.

전산관리소
예비서버 주서버
전파분석 전파분석 한국무선국관리
시스템 시스템
(백업용) 사업단 전파분석
시스템
(무선국검사)
지형정보 지형정보DB
백업DB

지형정보
정보통신부 DB
전용회선
기간통신망

8개 체신청
예비서버 주서버 전파연구소 전파방송관리국(주파수과)
전파분석
전파분석 전파분석 시스템 전파분석
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
지형정보DB 지형정보DB 지형정보
DB 지형정보
DB

그림 5-1 RFMS(전파분석시스템)의 하드웨어 및 네트워크 구성도

그림 5-2 RFMS(전파분석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구성도

- 199 -
전파전파분석시스템

P1.0 전파전파분석관리 P2.0 스펙트럼분석관리 P3.0 측정분석관리

P1.1 무선국관리 P2.1 스펙트럼분석 P3.1 측정분석관리


P1.2 전파분석 P2.2 국내전파월경분석
P1.3 분석결과조회 P3.3 국외전파월경분석
P1.4 전파경로분석 P4.4 블랭킷영역분석
P1.5 특성감쇄값관리 P5.5 간섭영역분석

P1.6 무선국위치이동

P4.0 지형정보 관리 P5.0 지형분석관리 P6.0 지형자료 관리

P4.1 수치지도관리 P5.1 프로파일분석 P6.1 산명관리


P4.2 건물자료관리 P5.2 가시분석 P6.2 주요지명 관리
P4.3 가상건물관리 P5.3 3차원분석 P6.3 행정코드관리
P4.4 지번속성관리 P6.4 인구통계관리
P4.5 고도표현
P4.6 특성표현

P7.0 분석정보관리 P8.0 무선국제원관리 P9.0 시스템관리

P7.1 안테나관리
P8.1 무선국연동(전산관리소) P9.1 시스템설정
P7.2 전파지정관리 P8.2 무선국연동(지방청) P9.2 사용자관리

P7.3 건물재질코드관리 P9.3 시스템운영관리

P7.4 무선국변동이력보기 P9.4 도움말

그림 5-3 RFMS의 전체적인 기능 구성도

그림 5-3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현재 RFMS내의 기능 구성은 크게 9


개의 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각 관련 기능은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특
히 “지형정보관리” 기능을 기반으로 하여 “전파전파분석관리” 기능과 “스펙
트럼분석관리기능”, “지형분석관리기능”등이 전파(傳播)분석을 위한 기본 기
능으로 화면 전체를 구성하고 있다.
주요 기능에 대한 사항을 잠깐 살펴보면 “P1.0 전파전파분석관리”의 주요
기능은 경로손실(path loss)계산이며 전파경로계산은 전파가 송신안테나에서
방사되어 수신안테나에 도달할 때까지 전파(傳播)되는 동안의 손실량으로써

- 200 -
전파 분석에 있어서 사용되는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여기에서 의미하는 전파
손실은 예측 모델과 지형적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전파 특성상 회절,
반사등에 의해서 산출된 전계강도 값을 의미한다. 전파전파분석 관리의 세부
기능으로 “무선국 관리”, “전파분석”, “분석 결과 조회”, “전파경로 분석”, “특
성감쇄 값 관리”, “무선국 위치이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P1.0전파분석관리

P1.1 무선국관리 P1.2 전파분석 P1.3 분석결과조회

P1.1.1 무선국조건별검색기능 P1.2.1 위치이동기능 P1.3.1 분석결과 읽기


P1.1.2 무선국표시기능 P1.2.2 지형정보입력기능 P1.3.2 분석결과상세보기

P1.1.3 무선국상세정보보기기능 P1.2.3 송신정보입력기능 P1.3.3 결과선택


P1.1.4 무선국위치이동 P1.2.4 분석영역설정기능 P1.3.4 출력정보변경

P1.2.5 자동분석 P1.3.5 표현방법설정


P1.2.6 수동분석 P1.3.6 출력방법설정

P1.2.7 결과표현기능
P1.2.8 출력기능
P1.2.9 재분석기능

P1.4 전파경로분석 P1.5 특성감쇄값관리

P1.4.1 기지국위치선택 P1.5.1 특성감쇄값편집

P1.4.2 이동국위치선택 P1.5.2 기본감쇄값설정

P1.4.3 기지국정보설정 P1.5.3 감쇄값저장

P1.4.4 이동국정보설정
P1.4.5 해석결과출력

그림 5-4 RFMS "P1.0 전파분석관리" 기능의 주요 메뉴

P1.1 무선국관리는 기존 무선국을 행정구역 명, 허가번호, 호출명칭, 호출


부호에 의하여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각 무선국에 대한 위치 및 상세정
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P1.2 전파분석 기능은 기존 무선국이나 신
규 무선국의 위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위치에서 사용자가 지정된 위치의 전
파분석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RFMS의 기능상 전파 분석 방법에는 자동분석

- 201 -
과 수동분석 두 가지 모드를 제공하고 있다. 자동 분석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자료를 이용,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하여 계산하는 기능
이지만 기본적으로 자유공간상의 경로손실계산으로 대부분 사용자 인터페이
스를 최대로 단순화시키는 분석 방법이다. RFMS 매뉴얼 상에는 데이터베이
스로부터 지형정보, 건물정보, 특성정보를 획득하여 분석 모델 및 회절 모델
을 자동 결정하여 분석을 수행하게 된다. 수동 분석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얻
을 수 있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 주고 더 자세하고 세밀한 정보를 사용
자가 입력하고 선택하도록 하여 분석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도록 분석하는 방
법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분석에 따른 모든 조건들을 세밀하게 직접 입력해
주어야 하며 입력한 분석모델, 회절모델 및 기타 분석 정보 등에 대한 사용
자의 정확한 이해가 동반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문제점으로는 사용자의 대
부분이 전파예측모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각 모델의 용도에 대한 정확
한 이해가 매우 부족하다는 것이다. P1.3의 분석결과 조회기능은 전파분석을
통하여 예측된 결과들을 선택하여 화면영역에 출력함으로써 무선국 간 전파
중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무선국간 링크 버짓 조정을 통하여 중
첩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신규 무선망 설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
되어 있다. P1.4 전파 경로 분석기능은 무선국에서 전파를 송신했을 때 이동
국에서 수신되는 전파의 경로와 각 경로별로 수신된 전계강도, 도래시간, 이
동국에 수신된 각도 등의 정보를 보여준다. P1.5 특성감쇠 값 관리 기능은
전파분석을 수행했을 때 지역적인 특성에 따른 감쇠요인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실측데이터의 통계적인 분석을 통해서 결정된 값으로 전파예측을 수행
할 시 예측된 값에 특성감쇠 값을 빼 준 값이 최종 예측 값이라 할 수 있으
며 이와같은 특성 감쇄값의 변동요인을 관리하도록 하는 메뉴이다.

P2.0 스펙트럼 분석관리는 무선 통신에서 무선국 간, 무선국과 이동국 간


의 혼신 분석은 잡음을 최소로 하여 명료한 통신을 위해선 필수적이다. 이러
한 혼신 분석의 역할을 담당하는 곳이 스펙트럼 관리 메뉴에 구성되어 있다.
구성기능은 스펙트럼 분석 기능. 국내/국외 월경분석 기능, 블랭킷 영역 분석
기능. 간섭 영역 분석 기능이 있다.

- 202 -
P2.0 스펙트럼분석관리

P2.1 스펙트럼분석 P2.2 국내전파월경분석 P2.3 국외전파 월경분석

P2.1.1 무선국위치설정 P2.2.1 분석무선국위치설정 P2.3.1 분석무선국위치설정

P2.1.2 분석대상무선국종선택 P2.2.2 지형정보입력 P2.3.2 지형정보입력

P2.1.3 분석무선국송신정보 P2.2.3 상세분석정보설정 P2.3.3 분석대상무선국설정

P2.1.4 분석영역설정 P2.2.4 분석대상무선국입력 P2.3.4 전파월경분석상세정보보기

P2.1.5 분석결과읽기 P2.2.5 전파월경분석목록조회 P2.3.5 출력기능


P2.2.6 주파수대역별
P2.1.6 혼변조수동계산
최소수신전계강도
P2.1.7 혼신분석뭄선국종류선택 P2.2.7 출력기능

P2.1.8 스펙트럼분석상세결과

P2.4 블랭킷영역분석 P2.5 간섭영역분석

P2.4.1 분석무선국위치설정 P2.5.1 분석결과읽기

P2.4.2 지형정보입력 P2.5.2 분석결과상세보기

P2.4.3 분석정보입력 P2.5.3 결과선택

P2.4.4 분석결과출력 P2.5.4 출력정보변경

P2.4.5 결과표현설정 P2.5.5 분석정보입력

P2.4.6 분석결과출력 P2.5.6 결과표현방법설정

P2.5.7 분석결과저장

P2.5.8 분석결과출력

그림 5-5 RFMS "P2.0 스펙트럼분석관리(혼신, 간섭관리)" 기능의 주요 메뉴

P2.1의 스펙트럼 분석관리 기능은 주파수 관리를 통하여 인근 무선국 간섭


현황을 파악하고 통계 처리하여 최적의 주파수 분배 상태를 설정하도록 하
는 기능이다. P2.2 국내 전파월경분석 기능은 국내의 전파월경 분석을 수행
한다. 월경분석 결과를 판단한 후 송신출력, 무선국 위치이동, 안테나 정보를
조정하여 전파 월경의 정도를 조절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특히 북한 지역
에 대한 월경분석을 수행할 때 사용한다. P2.3 국외 전파월경분석 기능은 일

- 203 -
본, 중국지역에 대한 월경분석을 수행할 때 사용되며 월경분석결과를 판단한
후 송신출력, 무선국 위치이동, 안테나 정보를 조정하여 전파월경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P2.4 블랭킷 영역 분석 기능은 블랭킷 영역분석은 기지국에
서 발사되는 고출력의 신호가 인근의 전자장비나 단말기에 영향을 주는 영
역을 분석할 때 사용되며 분석 기준은 단말기 간섭 레벨로 평가한다. 블랭
킷 영역이란 무선국에서 송신된 신호가 단말기의 간섭 레벨을 초과하는
영역을 말한다. P2.5 간섭영역 분석 기능은 기존의 무선국간 혹은 신규 무선
국과 기존의 무선국 사이에서 한계 레벨 이상의 전계강도가 겹치는 부분을
찾는 기능을 수행한다.
P7.0 분석정보관리 기능은 시스템에서 전파분석에 사용되는 기본 정보를
관리하며 구성은 무선국 안테나 정보를 관리하는 안테나 관리, 스펙트럼 분
석시 사용되는 전파지정기준 관리, 건물재질 코드 관리, 무선국 변동이력 보
기로 이루어져 있다.

P7.0 분석정보관리

P7.1 안테나 관리 P7.2 전파지정기준관리

P7.1.1 전체 검색 P7.2.1 주용도관리

P7.1.2 안테나형식별검색 P7.2.2 부용도관리


P7.1.3 사업영역별검색 P7.2.3 주파수관리
P7.1.4 주파수별검색

P7.1.5 이득별검색 P7.3 건물재질코드관리

P7.1.6 안테나정보입력
P7.4 무선국변동이력보기
P7.1.7 안테나삽입/수정/삭제
P7.1.8 안테나패턴도수정
P7.1.9 안테나패턴도파일/이미지로부터입력
P7.1.10 안테나패턴도수정

그림 5-6 RFMS "P7.0 분석정보관리" 기능의 주요 메뉴

P7.1 안테나 관리 기능은 다양한 특성을 지닌 안테나 정보를 계속해서 관


리함으로써 전파분석의 예측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며 안테
나의 형식별 검색, 사업영역별 검색, 주파수 검색, 이득별 검 등 4개의 검색

- 204 -
기능과 안테나 정보 입력과 삽입, 수정, 삭제 기능, 안테나의 패턴도 파일이
나 이미지 입력기능과 수정기능을 가지고 있다. P7.2 전파지정 기준관리 기
능은 업무별로 가용 주파수를 할당하여 관리하며 기존에 구축된 DB를 통해
서 업무별 주파수 검색, 신규 주파수 입력, 수정, 삭제의 기능을 갖는다. P7.3
건물재질코드관리 기능은 건물재질에 대한 코드를 삽입, 수정, 삭제의 관리
기능이 있다. P7.4 무선국 변동이력보기 기능은 무선국 위치이동에 따른 변
동 내역을 변동전의 좌표와 변동후의 좌표로를 저장하게 되어있다.

이밖에 그림 5-3의 P3.0 측정분석관리 기능은 측정분석관리는 실제 필드


에서 측정된 데이터와 프로그램상의 예측된 데이터를 비교 분석할 수 있도
록 제공한다. P4.0 지형정보관리 기능은 일반 종이지도에서 보여지는 도로나
수계 그리고 지물들을 관리하는 수치지도, 전국의 고도 값을 가지고 있는 지
형고도 지도, 전국의 지역별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특성 지도, 그리고 전
국 지번을 이용한 지번도를 통합 관리하도록 되어 있다. P5.0 지형분석관리
기능은 프로그램상에서 전파분석, 스펙트럼분석, 측정분석을 한 지역 또는
사용자가 관심있는 지역의 지형과 지물의 입체적 정보를 제공한다. 지형분석
관리는 프로파일분석, 가시분석, 3차원분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P6.0 지형자
료관리 기능은 전국 지형을 그룹단위로 분류해 관리한다. 전체 구성은 산 명
관리, 주요 지명 관리, 행정 코드 관리, 인구 통계 관리로 이루어져 있다.
P8.0 무선국 제원관리 기능은 전산관리소용과 지방청용으로 나누어지며, 기
존 허가시스템과 연동하여 시스템의 무선국 정보를 일단위로 일치시키는 기
능을 수행한다. P9.0 시스템관리 기능은 시스템 전반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
한다. 사용자 관리 및 시스템 운영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한다.
총 9단계의 구성단위로 만들어진 RFMS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많은 다양
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지만 사용자 관점에서 접근했을 때 혼란스러움을 야
기할 수 있으며 특히 프로그램 운용시 업무와 관련된 기능들을 쉽게 프로젝
트화하여 연결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운용기능적인 측면에서
는 업무와 연계된 제약조건 명시가 부족하여 체신청 기술심의자가 주의깊고
일관성있게 운용하지 않으면 결과물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관련 기능을 종합분석해 볼 때 연구성이 강하다 할 수 있다.

- 205 -
제 2 절 체신청 기술심의를 위한 업무 분석

체신청에서의 RFMS 이용은 향후 과학적인 무선국관리와 최적 주파수 이


용을 위해 점점 더 중요한 사안이 되고있다. 특히 국가적인 측면에서 비효율
적인 주파수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와 이용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반드시 필
요한 업무로 취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림 5-7 (A)는 RFMS을 활용하여 업무를 처리하는 업무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는 허가 신청자가 체신청에 허가 신청서를 접수하여 체신청으로부터
허가 신청자에게 허가되는 과정을 간단히 나타낸 부분이다. 실제적으로 일반
적인 무선국의 허가 흐름은 관할 체신청에 방문 또는 우편접수를 거쳐 체신
청 내부에 개설기준이나, 기술기준, 주파수 할당 가능성 여부 등의 적부심사
(방송국의 경우 문화관광부와 협의)를 거친다. 적부심사상의 업무적인 처리
는 무선국 허가신청단위의 적정성 여부와 신청인 명의 확인, 수수료율 적용
여부, 소정서식 및 구비서류의 누락여부를 검토하고 세부적으로 무선국 분
류, 통신망 구성의 적정성, 전파법의 내의 결격사유 심의와 타당성 심의 등
신청내용상의 적법요건을 심의한다. 특히 심청서 기재사항의 적정성 여부 확
인 경우 공사설계자의 무선설비 기능사 이상 유자격자가 설계하는가에 대한
부분과 정보통신부장관의 허가를 받은 공사업자인가를 확인한다. 업무적인
부문이외에 기술적인 부문의 경우 업무부문에서 허가심의를 완료한 사항에
대해 방송국 이외 무선국의 기술심의와 방송국의 기술심의로 나누어 기술심
의를 실시한다. 방송국이외의 기술심의 경우 통신방식, 통신망의 구성, 통신
사항이 무선설비의 특성과 적합한가에 대한 사항과 송신설비에 사용하는 전
파의 형식, 주파수, 공중선 전력 등의 기술기준 적합여부, 무선설비에 대한
안전시설 설치 여부, 전파의 형식 및 폭을 송신장치의 기기설명서, 무선기기
형식검정 합격증, 무선설비 형식등록증 또는 회로도에 의한 기재여부등을 고
려하게 되어있다. 이와 더불어 공중선 전력은 무선국의 서비스 Area를 참조,
필요이상으로 과다하게 지정되는 일이 없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전계강도
산출근거 자료를 제출받아 검토하기도 한다. 특히 주파수를 공용하는 무선국
등은 혼신이 예상되므로 고지대 설치를 억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206 -
•체신청 업무과 •체신청 기술과 •본부 주파수과

사전협의

허가신청서 제출 무선국허가신청접수 무선국 기술심의 주파수배정기술심의

No 전파법 기준에
전파법규정
STEP 1 적합한가?
주파수대역
무선국설정
무선국설정 무선국종
Yes
•전파법참조 허가 DB
(GIS DB)

Yes No •개별입력
허가신청지역
전파계산
M
STEP 2 M •전파전파분석
허가 DB 참조 •자동 또는 수동 선택 전송손실계산
무선국반경
무선국반경 M •전파전파분석
•허가기준 내
•개별입력
공칭반경적용
무선국 분석반경 설정(Km)

그림 5-7(A) 각 체신청의 기술심의 단계[RFMS 운용 메뉴얼]

STEP 3
프로파일분석
프로파일분석
(건물/지물) 특성데이터 고도데이터 건물데이터
(건물/지물)

지형별 분포 가시영역 분석 건물밀집도 분석 건물평균층수분석


STEP 4
산악분포 영역분포 건물분포
건물밀집상태 건물재질 분석
지형평가
지형평가 지표상태 비가시상태

건물형태 분석
지형굴곡에
지형특성 CASE 결정
따른 분류
지형 평가 결과에의해 결정

STEP 5

모델선정 전파예측분석모델 한국형예측모델 예측파라미터생성툴


모델선정
• Cost231
지역별 파라미터사용
• Hata
• Ray-Tracing 실측자료DB

No
적합?

Yes

그림 5-7(B) 각 체신청의 기술심의 단계[RFMS 운용 메뉴얼]

- 207 -
STEP 6
전파전파분석 허가데이타
전파전파분석
전파분석수행
전파분석수행 알고리즘
알고리즘 실행
실행

주변 무선국 검색 무선국DB
국외
분석영역 국외전파월경분석

국내 영역 예측 기준자료 검색 주파수분배표
STEP 7 남북한 전파지정기준
국내전파월경분석
파라메터
파라메터
정의
정의 분석방법선택 No 체신청 업무과
•주파수 혼신
•주파수 간섭
Yes

허가 대역내
가용 주파수검색 기술심의
회절모델 안테나설정 지형특성감쇄값 기타손실 결과통보

STEP 8 One-Knife, 안테나이득, ITUR권고, 케이블 손실,


Bullington, 회전각,틸트, 사용자입력 장비특성치 최적주파수
최적주파수
최적주파수 적용 자동탐색
Deygout 종류
지정
지정
전파지정기준

주파수DB
검색

그림 5-7(C) 각 체신청의 기술심의 단계[RFMS 운용 메뉴얼]


[참고 : RFMS 알고리즘 흐름부분. 업무흐름이 연속되지 않음]

또한 무선국의 종별, 통신사항, 주파수 등에 비추어 공중선계(형식, 구성, 높


이)의 설계가 적합한지의 여부도 함께 기술심의에서 다룬다. 만약 이 기술심
의 중에서 새로운 무선국이나 또는 주파수가 한정되어 있는 무선국이 있을
때는 정보통신부 주파수과와 주파수 배정기술 협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보
통의 경우 허가 신청서류를 제출했을 때 체신청 정보통신국 또는 정보통신
실의 전파업무과에서 무선국 허가 신청접수를 하게된다. 접수된 서류는 다시
체신청의 전파기술과에서 기술심의를 받게된다.
RFMS의 운용과 체신청의 업무 흐름을 RFMS의 연계에 대해 기존 매뉴얼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림 5-7 (A)의 맨 위의 그림이외의 업무흐름도는 구
축된 지형정보를 이용한 전파관리시스템 알고리즘에서 이루어지는 과정들을
기술심의에 맞도록 적용한 것이다. 첫 번째 Step 1의 무선국 설정부분에서

- 208 -
기술심의자는 시설자가 신청한 서류 내용이 전파법 기준과의 적합여부를 파
악하고 적합하면 허가신청지역에 대한 傳播계산을 수행하고, 적합하지 않으
면 무선국 주파수 대역 및 무선국 종을 전파법을 참조하여 조정하게 한다.
두 번째 단계로 허가 신청지역의 傳播계산시 기존의 허가 DB와의 비교를
통해 적합하면 이미 허가된 DB를 참조하여 신규 무선국에 대한 무선국 반
경을 설정하고 적합하지 않으면 실제적인 기존 허가 DB의 참조와 전송손실
(전파경로 손실)울 계산하여 기존 무선국과의 영향을 확인 후 무선국 분석반
경을 설정한다. 이 사항은 신청한 지역에서의 전파의 도달 범위를 알아보기
위한 과정이다. 이때 기술심의자는 무선국 반경을 임의대로 설정할 수 있으
며 임의대로 선정된 지역에 대해서는 DB의 특성데이터, 고도데이터, 건물데
이터 등을 이용하여 그 지역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무선호
출 및 TRS와 같이 매크로 셀을 이용하는 통신망 속에서의 반경 및 도심지
역에서 신청한 무선국 심의반경은 기술심의자가 임의적으로 다르게 지정을
할 수 있다. 이때는 지형별 분포, 가시영역분석 등 다양한 분석이 그림 5-7
(B)와 같이 3번째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4번째 단계로 지형 굴곡에 따른
분류를 결정하여 지형평가를 실시하고 지형평가 결과가 결정되면 지형에 대
한 전파예측 모델을 선정한다. 기술심의자는 분경반경의 셀이 얼마만한 크기
로 될 것인가에 대해서 자동 또는 수동으로 범위를 설정하고 범위에 맞는
예측 프로그램으로 자동 또는 수동 설정한다. 수동 설정인 경우 기술심의자
가 임의대로 지정한 전파 예측 알고리즘을 활용하게 할 수 있다. RFMS에
포함된 傳播예측 알고리즘들은 기본적으로 Free space, Modified Hata,
Modified Cost-231 WI, Microwave, ITU-R Radar 및 Ray-tracing 모델들을
사용한다. 관련 모델을 수동으로 분석하는 경우에는 전계강도에 따라서 손실
값을 보정할 수 있으며 이 손실 값은 지구곡률 반경 및 프레넬 반경에 의한
손실 값과 케이블 손실, 장비특성에 의한 손실 값 등을 기술심의자가 관련
업무에 맞도록 지정할 수 있다. 안테나 이득 및 틸트, 안테나 종류에 따라서
電波가 어떻게 전달되는지도 보여 줄 수 있어 기술심의자의 傳播예측 모델
의 사용경험과 傳播분석의 상당한 노하우가 필요하게 된다.
RFMS 프로그램에서 표현되는 용어인 “傳播분석”이라는 電波의 경로분석
이 그림 5-7 (C)의 Step 6와 같이 완료되면 傳播영역 예측이 가능하며 주변

- 209 -
무선국에 대한 동일 주파수 또는 혼신 여부에 대한 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혼신여부를 판단했을 때 주파수 혼신 및 간섭이 없는 경우에는 심의결과 통
지서를 다시 업무과로 전송하게 되며 이 업무는 다시 허가신청자에게 무선
국 검사 및 허가로 연결된다. 그림 5-7 (C)의 경우 사실상 실제적인 업무와
상당히 다른 부분이 있지만 만일 분석한 무선국내에서 주파수 혼신 및 간섭
이 생겼을 때는 RFMS를 이용하여 허가대역 및 가용주파수를 검색하여 최
적의 주파수 설정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기
술심의자가 신청한 주파수를 분석하고 허가대역 내에서 최적의 주파수를 선
정한다. RFMS 매뉴얼에 인용한 그림 5-7 (C)의 업무흐름은 사실상 별개의
업무로서 적용될 수 있은 부분이며 Step 7과 Step이 일부분 경우 업무와 연
속적인 개념으로 정확히 정의되지는 않는다.
실례로 체신청의 기술심의 업무 중 RFMS를 이용하는 사례를 아래와 같
이 나타낼 수 있다. 실제적으로 이 사례는 서울체신청에서 기술심의시에
RFMS를 이용하여 실무에 적용하고 있는 자료를 정리한 것이다. 먼저 업무
의 종류는 크게 5가지로 구분되며 기술심의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이 아
마추어국, 항공기국, 선박국, 육상이동국 등 이동용무선국을 제외한 무선국의
허가신청 무선국 위치 좌표확인이다. 무선국 위치좌표 확인과 더불어 혼신분
석 및 최적주파수 탐색, 전파통달거리 및 적정출력 지정, 기지국공용화 치국
최적화 업무, 월경 등이 포함된 통신보안 심의 및 대책 분석 등이다.
무선국 위치좌표 확인의 경우 무선국 송신소 주소로 검색하여 좌표를 확
인하거나, 주소가 부정확한 무선국은 화면의 지도에서 직접 좌표를 확인하여
만약 허가신청 좌표와 상이할 경우 확인된 좌표로 수정한다. 작업이 완료되
면 과거의 향후 완벽한 무선국 위치데이타 구축을 위해 좌표가 확인된 화면
을 Print하여 기술심의서에 첨부한다. 두 번째로는 혼신분석 및 최적주파수
탐색에 대해 적용한다. 적용범위는 단독주파수 사용 또는 실험국․실용화시
험국, 금융․화물관리 등의 무선데이터용, 고층건물관리, 구내 무선호출국 등
이며 혼신의 영향이 큰 업무나 기타 혼신여부를 위해 분석이 필요한 경우에
이용한다. 운용방법으로는 희망주파수로 혼신을 분석한 후 혼신발생시 최적
주파수 탐색하여 그 결과물을 프린터하여 기술심의서에 첨부하도록 하고 있
다. M/W, 실험국․실용화시험국 등 출력조정이 필요한 경우 전파통달거리

- 210 -
및 적정출력 지정을 위해 RFMS를 활용한다. 희망출력으로 전파통달거리를
분석하여 통신목적에 적합한 적정출력을 지정하며 이 사항 역시 관련 결과
물을 기술심의서에 첨부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 환경 친화적인 전파기지국의
건설을 위해 기지국 공용화 업무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시지역이나 산간지
역의 기지국 공용화를 위한 최적화 업무에 활용한다. 기지국들이 밀집되어
있는 이동전화나 PCS, TRS, 무선데이터, 무선호출, WLL등이 관련 대상이
며 일차적으로 공용화 가능거리 내에 있는 기존기지국의 거리, 설치장소 등
을 분석하여 기지국 공용화 대상 무선국의 혼변조가 없는 공용화 가능 여부
를 검토하고 분석내용을 워드로 작성하여 기술심의서에 첨부한다.
마지막으로 무선국통신보안심의세칙 제4조(심의대상)에 명시되어 있는 통
신보안 심의와 대책 분석을 위해 RFMS를 적용하고 있다. 관련 업무는 국내
전파월경에 업무에 해당하며 북한지역의 통신보안측정 16개 지점에 대한 수
신레벨 계산 및 수신한계점 초과여부를 계산하여, 수신한계점 레벨을 초과한
경우 통신보안 대책 수립하여 그 프린트 결과물을 통신보안 심의서에 첨부
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통신 보안 기준 심의 경우 다음과 같은 해당 무선국
에 적용하고 있다. 고정국 또는 기지국을 신설하거나 증설하는 경우와 기지
국이 없는 육상이동국으로서 공중선 전력이 20W(특정지역에서는 10W)를 초
과하는 무선설비 또는 증설하는 경우이며 기타 체신청장이 통신보안 측정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무선설비를 신설 또는 증설하는 경우에 적용하고 있다.
무선국 보안 심의세칙은 현재 일반적으로 전계강도 계산시 ITU-R 권고
P.525-1의 자유공간 감쇠방법을 적용하며 회절손실 산출방법은 ITU-R 권고
P.526-3을 적용하고 있다. 기타손실은 송신 또는 수신설비의 이득․손실 등
전기적인 사항을 고려하여 산출한다. 통신보안 심의후 통신 보안상 미비점이
발견되거나 수신 전계강도가 주파수 대역별 최소 수신 전계강도의 한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필요한 통신보안조치를 무선국의 허가 또는 변경허가 신청
자가 이행하는 조건으로 가허가 또는 변경허가 하고 있다. 이 밖에 일본과
중국의 국제적인 월경여부를 확인하는 사항에도 무선국 보안심의 세칙을 적
용하고 있다.

- 211 -
제 3 절 업무중심의 RFMS 기능강화 방안

RFMS는 체신청의 기술심의 업무와 기타 전파관리 업무에 관계되어 전파


분석, 지형정보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기술 지원이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
며 그에 따른 제반업무에도 함께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전파수요에 있
어 무선인터넷 시대의 등장 이후 급속하게 발전되고 있는 전파의 수요의 체
계적인 관리와 편리한 정보제공에 대한 그 수요를 RFMS가 충족시키고 있
지 않은 상황이다. RFMS의 경우 IMT-2000, 초고속무선접속망 등 새로운
통신방식에 적용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부족하고 주파수, 지형특성 등 전파
이용환경별로 다르게 적용해야 할 전파분석 알고리즘에 대한 체계적이고 객
관적인 적용기준 부족한 실정이다. 전파분석 기초자료에 대해서는 전파분석
시 중요한 기초자료인 안테나 재원에 대한 분류 체계 기준이 없으며 안테나
특성 패턴을 정형화하여 입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인접 주파수대역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무선설비 불요발사
허용기준에 관한 정보DB 및 응용 프로그램도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뿐
만 아니라 전파분석 시스템의 구축이 어려운 전파분야 중소업체, 학계 등 전
파분야 기술개발 기관들을 위해 전파분석 및 관련정보에 대한 접근을 용이
하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전파분석 기능 개선과 전파분석 기초자료의 보
강을 통해 분석의 정확성과 정밀도 향상이 요구된다.
먼저 IMT-2000, 초고속 무선접속망 등 6㎓이하 대역의 새로운 통신기술에
대한 신규 전파분석 알고리즘 추가와 ITU-R 연구결과 등을 토대로 기존
RFMS에 내장된 알고리즘을 개선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파수대역, 지형특성
등 주파수 이용환경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전파분석 알고리즘을 체신청 기술
심의 담당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 적용 기준 정립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더불어 기타 전파분석 적용절차의 자동화, 분석절차의
그래픽 기능 보강, 무선국 통계 분석기능도 강화되어야 한다.
기본적인 전파분석 기능 강화이외에 안테나 특성, 불요발사 허용기준 등
전파분석 핵심 기초자료의 정비와 보안이 필요하다. 전파분석의 기초자료인
안테나 제원의 분류기준 마련과 안테나 특성패턴을 정형화할 수 있는 프로
그램 개발해야 한다. 인접주파수간 간섭 분석을 위해 필요한 무선설비 불요

- 212 -
발사 허용기준에 관한 정보DB를 구축하므로써 전파분석시 활용할 수 있다.
전파분석 시간 단축 등을 통한 시스템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전파분석결과를
체계적으로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는 분석결과 관리 기능 구현이 이루어져야
한다. 앞서 언급하였지만 전파분야 기술개발 인력들의 전파분석 수요 지원과
전파분석 알고리즘 등에 대한 기술 지원이 가능하도록 전파분석 시스템을
전파연구소내에 설치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RFMS 기능강화방향은 체신청 기술심의자와 업무관
계자들의 업무기능 향상과 향후 전파이용센터 이용시의 활용을 이해 기존의
시스템 체계를 한 단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는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 분석할 필요가 있어 표 5-1에서부터 표 5-9까지
RFMS 기능강화 방향에 대해 도표화하였다.
표 5-1에서 표 5-5까지의 도표들은 RFMS 개선전담반 직원들과 전파자
원연구과장님께서 직접 분석한 자료이며 이 자료들은 1년간 체신청 관계자
들과 RFMS 기능강화를 위해 여러 차례 논의를 거쳐 각 체신청들이 제기한
문제점들을 기본으로 만들어낸 사항이다. 현재의 RFMS의 기능은 다양한 메
뉴체계와 기능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체신청의 기술심의자나 관련 체신청
관계자가 업무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산만한 느낌이 있다. 따라서 RFMS 기
능들을 업무 중심 체제로 변경하여 일을 순차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틀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1년 동안 조사된 RFMS 기능강화 사항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속도개선 방법적인 사항으로 사용자가 응답을 기다리지 않도록 서버에
서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이 고려되어한다. 공용화 심사 등의
경우 500여국씩 처리하는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처리 속도의 향상을
요구하고 있다. 전파분석기능을 프로젝트화하여 전파분석결과를 체계적인 정
리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하며 결과자료의 출력시 의견과 날짜 등을 기
재할 수 있도록 보고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TRMS의 변동이력이
RFMS과 효과적으로 연계,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예로 무선국의 변동무선
국 검색시 신세기, 한솔 등 이미 합병된 이동통신사의 표기기능이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관계기능을 삽입하여야 한다.

- 213 -
표 5-1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무선국관리)

현 시스템 기능 기능 강화 방향

◦무선국 DB를 표현하는 UI를 최소화하고


필요 없는 공백을 줄여 화면에서 지도
영역과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배려

◦별도의 조작 없이 마우스로 무선국


을 선택하여 상세 정보를 볼 수 있
◦무선국 상세정보 보기기능 도록 개선
- 검색된 기존 무선국중에 특정한 ◦검색무선국의 결과표시에 기준무선
무선국을 선택하여 상세한 정보 국과의 거리항목 중심에 대한 반경
를 열람할 수 있는 기능 설정을 추가하여 거리기준으로 정렬
할 수 있게 개선 (기지국 공용화 거리
기준에 적용)

◦현재의 UTM 좌표계에 경위도 좌표


계로 사용될 수 있도록 기능을 추가
하며 경위도 지도와의 비교가 용이하
도록 개선

◦변경된 무선국 위치는 변경한 사용


자에게만 적용하여 타 사용자의 작업
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고 변경기
◦무선국 위치이동 록을 삭제 할 수 있도록 개선
- 기존 무선국을 특정위치로 이동
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능 ◦변경사유 발생시 TRMS 관리자에게
서면으로 변경 요청이 가능하도록 보
고기능이 추가되도록 개선되어 관련
사항이 DB에 반영 추진(RFMS는
TRMS의 DB에 근거한 작업만 수행)

◦검색 무선국에 대한 전파분석 ◦선택된 기존무선국의 정보를 전파분석


- 기존 무선국에 대한 전파분석 모드의 입력 값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기능 별도 입력없이 분석이 수행되도록 개선

- 214 -
표 5-2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전파분석관리) [계속]

현 시스템 기능 기능 강화 방향

◦무선국 제원 입력시 ◦무선국 제원의 수동 입력시 주 운용


- 무선국 운용 주파수 표기 주파수대역과 안테나 제원이 일치하지
- 무선국 정보 입력시 안테나 제원 않을 경우 경고메세지 출력
정보에 운용 주파수 대역 표시 (TRMS 시스템에서 해결할 부분)
◦무선국의 각 장치에 설치된 안테나
◦ 무선국관리-무선국 상세정보 패턴을 상세 정보창에서도 볼 수
- 허가번호 및 무선국종 등 허가 있도록 개선
와 관련 일반사항 및 안테나를 ◦안테나 관련 정보들이 전부 입력되지
비롯한 관련 장치 정보 출력 않을 경우 전파분석시 경고메세지 출
력 필요(TRMS에서도 고려)
◦ 무선국관리-무선국 상세정보 출력
◦안테나 관련 정보를 옵션으로 출력
- 지도상의 무선국의 위치, 허가
가능하도록 개선
사항 관련 일부 무선국 정보만 출력

◦하나의 무선국에 여러 안테나가 서로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으므로 설치
◦ 무선국관리-무선국 전파분석
구성현황을 인위적으로 입력 가능하
-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전파분석
도록 설계하고 설치된 여러 안테나를
통합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능

◦전파분석을 위한 안테나 선택시 1순위


선택필드는 주파수에 대한 영향도 고려

◦선택 무선국의 모든 정보들이 수동


분석창의 자료입력박스로 들어가도록
개선
◦무선국관리-무선국 전파분석 - 안테나 선택시 운용 주파수 대역이
비슷한 안테나만 연계되도록 선택
기능 개발하고 수동분석 안테나
정보패널에 안테나정보 수정창을 설치
◦간섭분석주파수(송신)와 설치된 안테
나 주 운용 주파수가 맞지 않을 경우
경고 메시지 출력
◦전파분석-분석결과-정보
◦기존 안테나 방사패턴 보기 수정(수
- 전파분석결과정보 나열
직/수평) 및 3차원 보기 추가 필요
(안테나방사패턴 포함)

- 215 -
표 5-2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전파분석관리) [계속]

현 시스템 기능 기능 강화 방향
◦사용자가 무선국 신청지도와 비교할
◦위치이동기능 수 있도록 표준 줄인비를 적용하고
- 분석하고자하는 무선국의 주소 확대,축소를 선택할수 있게 개선
또는 위경도를 입력하여 이동 ◦무선국의 위치입력시에 경위도의 초
하는 기능 단위를 정수화 하여 입력(소수점 이
하 반올림)
◦“최종고도”를 “해발고”로 개칭

◦지형정보 및 송신정보 입력기능 ◦안테나 형식의 입력도 전파분석을 위


-분석하고자 하는 무선국의 최종 한 송신정보 이므로 이에 대한 입력
고도를 산출하고 송신정보 입력 기능도 제공
◦입력정보를 파일로 저장하거나 불러
올 수 있게 개선하여 같은 내용의 반
복적인 입력을 방지
◦분석영역을 서비스에리어 전체로 자
◦분석영역 설정
동 확장할 수 있는 기능 추가
- 분석하고자 하는 무선국을 중심
으로 분석반경과 각도를 입력 ◦모든 전파분석은 전 방향 분석을 수
행해야 하므로 각도선택기능 삭제

◦자동 및 수동분석기능 ◦분석에 사용된 파라매터들을 버퍼에


-입력된 파라매터를 사용하여 자 저장하거나 log화일로 처리하여 다시
동 및 수동분석 작업 시작 불러들일수 있게 개선

◦결과표현 ◦단위를 바꾸게 되면 같은 값을 가진


-분석결과를 조건에 맞추어 색상 단위값으로 환산되어 색상이 표시되
으로 표현 도록 개선

◦출력선택
◦분석보고서 출력기능으로 통일
-분석결과의 출력형태 선택

◦분석결과
◦분석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추가
-분석결과 관리 및 재분석

◦3차원 분석결과 보기
◦분석알고리즘이 추가되고 분석시간이
-분석결과를 3차원 지도에 보여주
단축될 때까지 기능 삭제
는 기능

- 216 -
표 5-2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전파분석관리)

현 시스템 기능 기능 강화 방향

◦분석결과목록, 선택결과목록 ◦중복지역에 대한 간섭여부 판단을 위


-여러 분석결과를 선택적으로 지 한 C/I 표시 및 전계강도 값이 표시
도영역에 표시하는 기능 기능 추가

◦자동으로 서로 다른 색상을 지정하도록


개선하고 전파분석과 연계되어 선택
◦출력정보변경
목록에 대한 선별적 분석을 수행하도록
-지도영역에 출력된 분석반경 표시
기능 개선(분석파일에서 일부 파라미
색상을 변경
터를 수정하여 재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저장)
◦출력설정
◦색상표현 등에 대한 기본적인 설정은
-지도영역에 표시될 색상표현
통합하여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설정
◦프린트
◦주파수, 출력, 기타 무선국제원에 대한
-지도영역에 표시된 분석결과를
일반적인 분석정보를 출력 파일에 포함
출력
◦전파경로분석 ◦프로그램 전체에서 공통적으로 적용할
-電波가 傳播되는 가능한 모든 경 수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개발
로를 분석하여 이를 지도영역에
표시 ◦분석 알고리즘 검토

◦특성감쇄값 관리 ◦고급사용자를 위한 옵션사항으로 구분


- 서로다른 특성감쇄값을 가지는
◦특성감쇄값을 파일단위로 저장하거나
지형,지물에 대한 감쇄값을 관리
호출할수 있도록 개선
◦공식적인 위치변경으로 인한 행정처리는
TRMS에서 수행하고 RFMS에서는
◦무선국 위치이동 신청된 위치에 대한 분석만 수행
-무선국의 위치이동이 있을 경우
사용자가 변경내용 입력 ◦DB와는 무관한 가상의 무선국을 작성
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무선국을 동
시에 분석하고 그 내용을 파일로 관리

현재 무선국관리 메뉴에서 무선국 허가번호와 위치만 보이나 주소, 호출부


호 등도 동시에 볼 수 있어야 하며 메뉴 선택 실행시 마우스 클릭을 2회 하
는 경우와 1회 하는 경우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밖에 무선국 상세

- 217 -
정보 표시시 공용화 상황의 표시와 이동중계국 등 통신망이 이루어지는 무
선국들의 일괄적인 분석 표시기능의 삽입, 지도의 축적시 표준 지도 축적법
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메뉴 선택시 활성화 상태 표시 기능과 안테나특성 정보 등의 연계, 필요한
실행 화면만 올려서 보거나 실행화면을 축소하여 볼 수 있는 기능, 메뉴 등
에 풍선도움말 기능 등이 기능 강화사항으로 요구되었다. 핵심적인 기능강화
방향으로는 주파수대별, 기후별 감쇠계수의 고려와 방송업무의 흡수, 전파월
경에 대한 신뢰성 확보도 포함되어 있다.
GIS 좌표정보의 정확성 여부에 대한 대책마련에 사항은 RFMS내의 전파
분석 기술심의와 허가를 위해 GIS 정보를 이용한 무선국 및 치국 설계에 꼭
필요하므로 부정확한 DB 보완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지만 이 사항은 인
위적인 사항으로 각 체신청의 각고의 노력이 요구되는 사항이다.

표 5-3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스펙트럼분석[혼신분석]관리)

현 시스템 기능 기능 강화 방향

◦분석정보 ◦분석에 소요되는 공통적인 사항(무선


-분석하고자하는 무선국의 위치를 국의 위치정보등)에 대하여 표준화되
입력하고 해당 위치로 이동 고 통일된 입력방법 제시

◦분석무선국 송신정보
◦파일형태로 각종 정보가 입력될 수
-분석하고자하는 무선국의 주파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 도모
출력에 대한 정보 입력

◦주변무선국의 서비스에리어 정보를


사용하여 분석대상 무선국을 중심으
로 하는 혼신분석대상 무선국을 자동
◦분석영역 으로 선택
-분석무선국을 중심으로 거리 또는
전계강도 최소값을 사용하여 분석 ◦Fast 알고리즘으로 해당 전계강도의
영역을 설정 서비스에리어를 결정하고 이를 분석
영역으로 함
(기존의 점대점 계산방식으로는 이를
해결할 수 없음)

- 218 -
표 5-4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스펙트럼분석[국내월경분석]관리)

현 시스템 기능 기능 강화 방향
◦분석위치 ◦분석에 소요되는 공통적인 사항(무선
-분석하고자하는 무선국의 위치를 국의 위치정보등)에 대하여 표준화되
입력하고 해당 위치로 이동 고 통일된 입력방법 제시
◦지형정보 ◦“해발고“로 변경
-현재 분석하려는 무선국의 지형정보
를 검색하여 최종 해발고를 산출 ◦지형고도 조회를 일원화
◦상세정보설정
◦분석에 사용된 입력값을 별도로 저장
-분석하고자 하는 무선국의 상세정보
하여 분석 재연성을 확보
를 설정
◦고시내용에 맞게 수정

◦수신지점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북


-분석하고자하는 수신지점을 파일, 한 16개소의 수신지역이 선택되도록
입력값,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선 개선
택한다 ◦마우스로 해당지역을 선택한 후 수신
지점을 추가시키면 자동으로 식별번
호가 입력
◦분석결과리스트조회 ◦기준값, 각 경로별 손실, 주전파모드에
-분석된 결과에대한 계산값을 표로 대한 수신전계강도 등에 대한 정보 제공
보여주고 해당 경로에 대한 프로
파일을 출력할수 있다 ◦월경발생경로에 대한 전력 조정만 제공
◦송신점과 수신점에 구분할수 있는 해
당 무선국명을 기재
◦출력 ◦관련 고시에 맞는 처리절차를 가져야 함
-분석된 결과에 대한 보고서 출력 - 분석근거 및 고시 내용에 맞는 기
준을 가져야 하며 이를 분석보고서
에 언급하여 신뢰성 향상
◦북한 16개소 위치자료를 고시내용과
일치시켜야 함
- 고시내용이 실제와 틀릴 경우에도
◦파일수신지점추가 일단 고시내용을 기준으로 한 뒤
-북한16개소 위치 파일 입력 이를 수정하도록 요구
◦기본적으로 북한 16개소 좌표를 별도의
조작없이 분석할 수 있도록 Default
값으로 함
◦사용자가 적용하는 주파수를 직접 입력
◦주파수대역별 최소수신전계강도 List
시키어 분석하도록 유도

- 219 -
표 5-5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안테나 관리) [계속]

현 시스템 기능 기능 강화 방향

◦안테나 관리
◦사업영역필드는 전파분석에 영향을
-저장 DB 안테나 정보(필드: 모델
미치지 않으므로 ‘무선국종’로 대체하
명, 형식, 사업영역, 이득, 주파수,
는 것이 더 유리해 보임.
제작업체) 디스플레이

◦안테나 DB 형식 분류기준을 정립하


고 안테나 방사패턴의 정형화를 통하
여 안테나 DB를 체계적으로 정리
◦안테나 코드의 전체적인 수정 및 분
류 작업이 필요
-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안테나 분류
◦안테나 관리-검색 기준이 정립이 필요
- 안테나 형식(수자코드부여)에 따라 - 이것은 안테나 방사 패턴 정형화와
검색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
- 사업영역(PCS, 셀룰라, TRS 등)에
따라 검색 ◦특정조건에 대한 안테나 검색후 특정
- 주파수, 이득에 따라 검색 조건값에 따른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수정
◦주파수, 안테나명, 안테나 형태 등 다
른 유용한 검색조건 추가
◦안테나 데이터 로딩 전에 특정조건에
따른 검색 후에 조건에 맞는 필요 안
테나들을 디스플레이함

◦안테나 방사 패턴
◦2․3차원 방사패턴이 한 화면에서 표
- 2차원 안테나 방사패턴
현되도록 하여야 함
- 3차원 안테나 방사패턴

◦안테나 방사패턴 보기 ◦안테나의 2차원 수직․수평 방사패턴


- 2차원 안테나 방사패턴 보기 을 각기 다른 패널로 분리 표시
수직(빨간색선) 패턴
수평(파란색선) 패턴 ◦사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축(Axis)에
- 틸트각에 따른 안테나 방사패턴 대한 표현을 추가하고 이에 대한 설명도
변화 추가

- 220 -
표 5-5 전파분석기능 강화 사항(안테나 관리)

현 시스템 기능 기능 강화 방향
◦3차원 안테나방사패턴은 입체 표현
보기가 마우스로도 동시에 사용가능
하게 하여야 함
◦안테나 방사패턴 보기 ◦축에 대한 설명 강화
- 3차원 안테나 방사패턴보기 ◦축상의 이득표현과 마우스 클릭지 지
점에서의 이득표현 가능하게 보완
◦틸트각에 따른 안테나 3차원 방사패턴
표현 추가
◦수동입력 및 파일입력 등을 통하여
모든 안테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구축
◦전자파일화을 위한 개인용 변환 툴
개발이 필요
◦안테나 관리 - 이 툴은 일반인에게 공개용 또는
- 입력인터페이스 부분 RFMS 프로그램상에서 Plug화되
어 사용하는 것이 용이
◦안테나 종류에 따른 정형화된 안테나
방사패턴 정립 필요
- ITU-R 권고 또는 각 국가의 안테나
관련 권고 등을 참고할 필요가 있음
◦독립화된 안테나 방사패턴 입력 툴
개발 도구 필요
◦안테나 관리 - 안테나 패턴
-전자파일화를 위한 개인용 변환 툴
개발과도 관련됨
◦사용자의 편이를 위해 처리되는 과정
메시지 출력 필요
◦이미지 크기 조절에 대한 새로운 해
결책 마련 필요
◦안테나 관리 -안테나 패턴-
◦수평패턴과 수직패턴은 한번의 화면
[이미지로부터 입력]
창에서 입력 가능하도록 수정
- BMP 파일로부터 방사패턴도 입력
◦사용자 임의선택에 따른 3차원보기
기능 추가
◦BMP 파일 외에도 다른 그림파일 포
맷도 입력 가능하도록 추가기능 필요

전국에서 무선국 정보가 가장 많은 서울 체신청의 경우 GIS DB 보정에


많은 지원을 투자하기도 하였다. RFMS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전파관

- 221 -
리 업무와의 연계적인 업무편람 필요하며 예로 앞서 체신청 업무분석에 서
울체신청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이용지침서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자료이외에도 기술심의 및 기술적 분석을 위한 교육자료도
필요하다. 내부 전파분석 알고리즘 신뢰성 검증을 위한 수단으로는 계산 결
과를 프린터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도 제안되었다. 알
고리즘의 단계적인 신뢰도 향상과 개선을 위해서는 전파특성 측정이 필요하
며 장기적인 행정적 지원도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특히 전북체신청의
경우 자체 전파환경 측정에 관한 실시계획도 마련하기도 하였으며 기존에
제작된 REGIS와의 비교분석도 요구하였다.
종합적인 관점에서 RFMS의 기능강화 될 항목을 나열하면 기본적으로 2
㎓ 대역에서의 IMT-2000과 초고속 무선접속망에 대해 ITU-R과 연계하여
신규알고리즘을 추가해야 하며 가능하다면 중파, V/UHF, M/W와 밀리미터
파 링크용 알고리즘에 대한 사항도 반영되어야 한다. 특히 각 알고리즘마다
보정계수를 적용 가능하도록 알고리즘에 이용되는 상수는 관리자가 변경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추가한 알고리즘의 신뢰성 검증을
위해 측정을 통한 예측값과 측정값과의 보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특
히 기능적인 측면에서 이미 RFMS에 들어가 있지만 관련 사항에 대한 기능
도 보강되어야 할 것이다.
주파수대역별 지형특성별 환경변화에 따른 전파분석 알고리즘의 적용을
손쉽게 하기 위해 관련 자료의 적용기준을 마련하고 관련 기준에 따라 국내
건물밀도, 지형특성 등을 구분하여 전파분석시 자동으로 최적 알고리즘을 선
택 관리할 수 있도록 조정기능을 포함하고 그 기능이 부족할 시 관리자에
의해 등급을 적용하는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최적 알고리즘의 선택시 신
뢰성 향상을 위해 관리자의 수정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 때 전파
연구소등의 기준 권고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며 더 나아가 기준정
립에 따른 고시 또는 훈령도 고려해야할 사항이다.
안테나 제원분류 기준 마련의 경우 주파수대별, 형식별, 업무별, 공중선 종
류, 분류에 대해 관리자가 수정이 용이하도록 설계가 필요하며 입력 도구 또
한 일반인들이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기존 RFMS 기능을 보강할 필요가 있
다.

- 222 -
혼신간섭업무의 효율적인 분석과 결정을 위해서는 인접주파수간 간섭분석
에 필요한 무선설비 불요발사 허용기준에 관한 정보 DB의 구축이 필요하다.
특히 무선설비 규칙 및 관련 고시에 제시된 불요발사 기준을 DB로 구성하
여 제 2고조파 등의 간섭 신호 레벨 결정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재 개
발이 필요하다. 혼신분석시 전파관계법령 관련 고시 및 ITU-R 권고를 토대
로 방송, 이동전화, TRS, 지구국 및 주요 M/W 무선국 등의 최대 간섭 허용
레벨 설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전파월경 계산의 경우는 통신보안심의세칙
에 기록되어 있는 ITU-R 권고기준에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며 그에 따른 프
로그램의 업그레이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지상망의 전파관리기능 만큼 중요한 관리기능을 가지고 있는 위성망 관리
업무는 현재의 RFMS에 적용하기 어렵지만 향후 위성망과 지상망의 간섭
여부확인의 경우 간섭이 예상되는 무선국의 추출과 표시 기능 부가도 고려
되어야 한다.
향후 RFMS 정보를 효과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사항으로 지형정보의 신뢰
도 개선에 대한 대책 강구요구 있었다. RFMS 보급 초기에 몇몇 체신청 관
계자들은 민원창구를 통해 RFMS의 민원인들 이용을 검토하였으나 지형정
보의 국가보안 심의 규칙에 의거 보다 체계적인 연구를 통한 지형정보의 이
용자 정보공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RFMS 적용과 전파관리 업무
로의 본격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의사결정을 위한 행정적 제도적 절차와 기
능적인 우수함이 지원되어야 함을 상기시켰다.
이상과 같이 언급한 내용들은 체신청 업무에 보강되어야 할 사항이며
RFMS 기능강화에 적용될 내용들이다. 따라서 이 내용들은 2002년 RFMS
기능강화사업에 반영하도록 관련 용역수행 사업자에게 제시하였다. RFMS의
용도는 단순히 체신청의 기술심의 업무에만 적용할 수 있지만 그 기능과 내
용을 보면 향후 전파이용센터를 통해 무선관련 종사자와 이용자들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공정보 공개 시스템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특
히 전파민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무선국 허가신청이전에 신청업무에
필요한 주요사항들을 RFMS의 기능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면 대민 업
무 서비스에 많은 공헌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

- 223 -
제 4 절 소프트웨어 중심의 RFMS 기능강화 방안

공공적인 성격을 가지는 국제적인 전파(傳播)예측 모델 개발은 크게 두 부


류로 ITU-R모델과 유럽의 COST Project를 통해 개발되는 모델 등이 있다.
공공성을 배제한 모델들은 개별적인 무선 network 설계(cell-planning 등 포
함)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몇몇 회사에서 개발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주파수
스펙트럼의 전체적인 관리, 그것도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국가적인 전파
관리를 목적으로 개발된 사례는 없다.
일 예로 미국의 경우 NTIA(National Telecommunications & Information
Association) 에서 1995년부터 무선국간 간섭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를 각 국가기관에 배포하고, 국가기관들이 주파수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먼저 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파환경을 분석한 후, 그 결과물을 주파수 신청
시 NTIA에 제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NTIA의 시스템은 1995년도에 제
작되어 성능 및 기능측면에서 많이 미흡한 상태이다. 미국내의 많은 통신사
업체들도 무선 네트워크 설계를 위한 자체적인 전파 예측시스템들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일본도 효율적인 전파지정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 운
영하고 있으나, 국내와 같이 지형 정보를 이용한 그래픽기반의 전파분석시스
템이 아니라, 전파예측 알고리즘을 텍스트 형태의 시스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미국과 일본이외의 국가들에게서 특히 신생 무선통신사업을 벌이
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경우 지형정보 기반위에서 체계적인 주파수 관리
및 최적주파수 산정을 위한 종합적인 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길 희망하고 있
으며 실제로 개발계획들을 가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무선통신사업자(SKT, KTF, LGT 등)들이 cell-planning을
목적으로 자체적으로 전파예측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미 1998년 이동통신 사
업을 위해 구축 운영하고 있으나, 이는 타 무선국과의 간섭 혼신분석보다는,
자체 기지국간 간섭 혼신을 최소화 및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지국
배치를 위한 용도로 구축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RFMS의 개발의미는 그 이의가 있으며 거대한 자료 정
보의 구축에 많은 노력에 기울인 선임자의 노고를 치하할 수밖에 없다. 국가
의 전파관리 기능의 효율적 이용과 운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RFMS의 중요

- 224 -
성은 향후 과학적인 체신청의 업무프로세스를 위해 무엇보다 중요하며 지속
적인 기능적 강화는 필수적이라 하겠다. 따라서 지속적인 기능강화 사업과
소프트웨어적인 프로그램의 핵심강화 요소를 산출하기 위해 몇몇 회사의 개
발 프로세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으로 현존하는 개발된 프로그램의 성능과 분석동향
을 살펴보고 RFMS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추진되었다. 그 예로
미국의 Agilent사, 유럽의 AWE(독일)사, ATDI(프랑스)사에서 무선네트워크
설계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RFMS 비교 분석
하였으며 국내의 경우 이동통신 3사에서 자체 제작한 cell planning 프로그램
중 하나인 KTF netspider를 조사 분석하였다.
먼저 국제적인 상용화된 무선네트워크 cell planning 모델을 살펴보면 다음
과 같다. 계측장비로 유명한 HP의 후신 Agilent사는 기존의 SAFCO 기술
(주)에서 개발한 WIZARD, OPAS32를 인수하여 자체 브랜드로 무선네트워
크 설계를 위한 WIZARD를 판매하고 있으며 이와함께 CellOpt ACP
(Automatic Cell Planner), CellOpt AFP(Automatic Frequency Planner),도
판매하고 있다. 특히 CellOpt 프로그램의 경우 COMOpt사의 COMOpt 프로
그램을 이용한다. CellOpt ACP는 3G의 UMTS, CDMA2000과 2.5G의 GPRS,
EDGE, IS-95b/cdmaOne, 그리고 2G의 GSM, TDMA, PDC, iDEN, cdmaOne과
1G의 AMPS, TACS, NMT를 최적화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소개하고 있
다. WIZARD는 2G(1G 포함)의 AMPS, TDMA, GSM/GPRS의 지원과 3G의
CDMA2000(1xRTT, 1xEvDO) 그리고 WCDMA(UMTS-FDD)를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프로그램은 CellOpt와 연동이 가능하도록 프로그
램을 확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WIZARD는 Data Access Object 기술을 사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 access
의 프로젝트 방식을 통해 멀티유저를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WIZARD
의 기능은 서버-클라이언트 방식과 Stand alone 방식 모두를 지원하며 시스
템의 요구사항으로 서버의 경우 최소 256MB RAM을 가지는 펜티엄 500㎒
또는 그이상의 시스템을 요구한다. 네트워크 속도는 최소 100BaseT, TCP/IP를
권고하고 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보다 성능은 못하지만 펜티엄 400㎒이상의
워크스테이션을 필요로 한다. 이들 관련 자료는 최소사양이므로 최적화된 업

- 225 -
무 수행을 위해서는 그 이상의 시스템 규격을 요구하고 있다.
운용적인 측면에서 WIZARD는 마이크로 셀에서의 빌딩 DB를 포함한 전
파모델을 지원과 자동 주파수 선정, CDMA 및 GSM 분석을 지원하도록 되
어 있다. 조금 더 구체적인 기능을 살펴보면 마이크로웨이브 경로분석 기능
과, 매크로 셀 분석기능, 채널 planning, 안테나 유틸리티 등이 있다. CDMA
의 분석에서는 CDMA pliot 채널 분석과 reverse 링크 또는 forward 링크
분석, 그리고 forward 링크 분포 분석, cross 기술 간섭 등이 있으며 GSM의
경우 커버리지, 간섭 reverse 링크, throughout, 인접 list 등이 있다. 경로손
실 모델로는 COST231, HATA, 1900㎒의 LEE와 800㎒ LEE 모델이 포함되
어 있다. 傳播경로 분석의 경우 곡률반경 K 요소를 고려하여 거리별 높이에
대한 전파의 가시거리 사항을 표기하고 있다.

그림 5-8 WIZARD의 path profile[Agilent의 WIZARD]

지형정보관리는 MapInfo(TM) 자료를 기반으로 지형자료 import 또는


export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기본적으로 3arc초(100m)의 지형자료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USGS 30m 자료와 경위도, 고도자료도 지원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밖의 텍스트 자료와 USGS에서 제공하는 형식을 지원한다.

- 226 -
소프트웨어 기능적인 측면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소프트웨어 구조인 파일
관리기능, 편집(Edit)기능, 보기(View)기능, 분석(Analsys)기능, 형식(format)
기능, 채널기능과 윈도우 조정 및 도움말 등 9개의 기능으로 구분되어 있다.
파일관리기능에는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기능과 기존에 생성된 프로젝트를
불러오는 기능, View 기능 clutter 형식, 안테나, 지형정보, 채널 template이
외에 자료의 import와 export가 있다. 편집기능은 프로젝트의 생성여부에 따
라 Project의 수정기능, system, MSC, BSC 등의 수정기능, 전파예측모델,
마이크로셀 전파예측, CDMA2000, GSM 등의 변수 조정이 나타나며 프로젝
트가 생성되지 않으면 일반적인 전파기술에 기본기능만을 제공한다.

그림 5-9 Agilent WIZARD GSM 데모 프로젝트

보기(View) 기능에는 화면기능 표시여부를 비롯하여 지도의 축소확대등 일


반적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모든 기능을 보여준다. 분석기능은 편집기능의 변
수에서 선택되었거나 프로젝트 수행시 선택된 GSM 또는 CDMA기능에 따

- 227 -
라 각 전파방식에 따라 메뉴기능이 조정되며 공통적인 기능으로는 경로손실
기능과 가시거리 계산, 전파모델의 최적화, 통계적 간섭등을 계산할 수 있도
록 하고 있다. 형식기능은 대부분 화면의 컬러기능과 수행모드의 toolbar 조
정, 지도 스케일 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채널계획 기능은 채널화면 선
택, 채널계획 분석, 자동채널 또는 주파수의 계획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
어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RFMS와 비교하여 볼 때 관리적인 측면에서 고려
해야 할 특이한 사항으로는 현재 RFMS에서 가지고 있지 않은 업무별 프로
젝트 관리기능과 수행기록의 기능의 entity와 Legend 관리기능이다. 특히 업
무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프로젝트 기능은 업무의 생성과
수정, 삭제기능이 있어 손쉽게 원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Legend
기능은 수행진행과정이 단계적이고 체계적으로 나열되어 있어 손쉽게 업무
진행에 대한 중간 결과사항을 이해할 수 있으며 검증도 가능할 수 있다.
독일의 AWE 통신사에서 개발한 WinProp이라는 傳播예측과 네트워크 설
계를 위한 소프트웨어를 판매하고 있다.

그림 5-10 AWE사에서 개발되는 WinProp 전파예측 프로그램 구조

WinProp의 구성은 그림 5-10과 같이 전파예측과 네트워크 설계를 위한


PropMan과 안테나 관리기능의 AMan, 데이터베이스의 편집과 데이터베이스의
변환을 위한 WallMan과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ies)환경에 대한

- 228 -
EMCMan 프로그램으로 연동되어져있다. 각 프로그램은 컴포넌트 성격이 포
함된 모듈개념을 적용하여 별도의 실행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통합해서 운영
도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중 ProMan 소프트웨어는 다시 3개의 기능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무선 네트워크 설계의 traffic 및 용량을 결정하는 네
트워크 설계모듈과 傳播예측 모델계산을 위한 모듈, 관련결과를 그래픽화해
서 보여주며 후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WinProp중 RFMS의 기능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PropMan
에 대해 그 기능을 분석하였다. 먼저 PropMan은 효과적인 전파분석 업무를
위해 WIZARD와 같이 프로젝트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지 차이점이라면 지
형 기반 전파분석 프로젝트, 도시 전파분석 관련 프로젝트, 실내 전파분석
프로젝트로 나누어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지형기반 전파분석의 경우
WallMan에서 제작된 관련 프로젝트 파일을 불러들여 전파분석에 알맞도록
각 파라미터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림 5-11 PropMan에서 적용되는 프로젝트의 예(output)

기본적인 사항으로 그림 5-11과 그림 5-12와 같이 수신전력, 전계강도, 경

- 229 -
로손실, 가시경로 분석 등을 예측과 함께 채널 임펄스 response, 傳播경로등
을 인위적으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정해 놓았다. 지형기반 프로젝트에서 가
지고 있는 예측모델은 Okumura- Hata 모델이외도 경험적인 two-ray 모델,
결정적인 two-ray 모델, 파라볼릭 방정식을 사용하고 있다. 예측에 추가되는
회절 모델은 Deygout 모델과 Epstein-Peterson 모델이 포함되어 있다.

그림 5-12 PropMan에서 적용되는 프로젝트의 예(예측모델)

도시기반 프로젝트의 경우 앞의 경우 매우 유사하지만 전파예측 모델은


IRT(Intelligent Ray tracing)모델, 표준 3D Ray tracing(SRT) 모델, 2D Ray
tracing(2RT), COST231 WI 모델 등을 비롯하여 주목할 만한 사항으로 효과
적인 분석을 위해 Ray-optical 모델과 경험모델인 COST231 WI 모델에 대
해 그림 5-13과 같이 Weight factor를 제공하기도 한다.
실내기반 프로젝트 수행시도 다른 프로젝트, 특히 도시기반 프로젝트와 거
의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전파예측 모델에 있어 IRT와 SRT, 다중 벽
(multi-wall) COST231 WI 이외에도 Dominant Paths(DP), Motley-Keenan(MK),
수정된 자유공간(MF) 모델을 적용하고 있다.

- 230 -
그림 5-13 Ray-optical 모델과 COST231 WI 모델간의 전이과정 도식

각각의 모델은 세분화되어 모델계산에 필요한 추가요소들을 인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참고로 DP 모델은 결정론적 모델로 데이터베
이스의 의존을 낮추어 다른 경로에 대한 설정을 인위적으로 조정이 가능하
도록 만들어 놓았다. Motely-Keenan 모델은 자유공간상에서처럼 기본적인
경로손실을 계산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이와 함께 벽과 floors에 대한 ray 경
로의 직접적인 흡수를 고려한다.
위와 같은 다양한 장점이외에도 PropMan은 통계적 정보와 계산결과를 그
림 5-14와 같이 간략하게 제공하기 위한 간단한 보고양식을 제공하고 있다.
RFMS의 경우 이용자들에게 계산결과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 없이 대부분
그림 자료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이 부분도 RFMS의 관리적인 기능적인 강
화사항으로 추진되어야 할 부분이다.
이 밖에 관련 소프트웨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하드
웨어 사양으로 펜티엄 III 1㎓ 이상의 메모리 256Mbyte, 2Gbyte의 하드디스
크 용량이 필요하다. 물론 1024*768 이상의 디스플레이도 지원되어야 한다.
또한 운영체제는 Windows 95, 98, me를 제공하지만 Windows NT/2000/XP
이상을 권고한다.

- 231 -
그림 5-14 PropMan에서 제공하고 있는 기본적인 Report 양식

(A) Hata-Okumura (B) COST231 WI (C) WinProp (3D IRT)


그림 5-15 WinProp의 각 모델에서 계산되는 경로손실 비교

무선네트워크 설계를 위한 두 개의 전파분석 모델이외에도 프랑스 ATDI


사에서 제공하는 ICS 텔레콤이라는 소프트웨어는 최소 펜티엄 III 제온 866
이상, 메모리 512Mbyte, 10Gbyte의 하드디스크 용량을 필요로 한다. 물론

- 232 -
1280*1024 이상의 디스플레이도 지원되어야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운영체제
는 32bit 운영체제에 맞도록 설계되어 Windows 95, 98, me도 기본적으로 제
공하지만 Windows NT/2000/XP 이상을 권고하고 있다.
ICS telecom도 위의 무선 네트워크 설계관련 소프트웨어 기능과 매우 유
사하며 차이점이라면 삽입된 전파예측모델이 약간 다르다는 점이다. ICS
telecom 프로그램에 적용된 전파예측모델은 일반적인 Fresnel, Geneva1984
(ITU-R P.370), Wien1993(수정된 370-7 모델), Okumura-Hata, Wojnar
1977(ITU-R Report 567-4), France Telecom, P.525/P.526, 과 그 밖의 사용
자가 계산한 모델 등이 다양하게 포함되어 있다. Fresnel 모델은 30㎒에서
55㎓의 자유공간상 굴절모델에 적합하고 clutter된 도시보다는 구릉지가 많은
시골 환경에 적용된다. Geneva1984는 P.370-5에 권고된 측정자료를 토대로
30㎒에서 1000㎒까지 적합하다. Wien1993도 위의 Geneva1984 모델과 거의
비슷한 모델이지만 HCM 알고리즘과 Vienna 협정에 의해 설계되었다.
Okumura-Hata는 150㎒에서 1500㎒까지의 모델이며, France Telecom 모델
은 80㎒에서 300㎒까지의 모델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지형특성
분류는 Rural, Urban(8m, 15m, 30m, 50m), Forest, wood 등의 10단계 이상
의 정의가 되어 있다.

그림 5-16 WLL설계에서 제공하는 각 지점간 link 상황

- 233 -
업무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은 점대점(PtoP) microwave 링크와 그림 5-15의
점대다점(PtoMP) WLL(wireless Local Loop), 이동 네트워크인 PMR, 페이
징, UMTS, Celluar와 PCS network, 방송(아날로그와 디지털방송), 스펙트럼
관리와 VHF대역이상에서 운용되는 전자전쟁(electronic warefare)에 대한 기
능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대표적인 무선네트워크 설계를 위한 국외의 전파예측 모델들
에 대해 RFMS에 없는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분석하였다. 이러한 모델 이
외에도 radiosoft사에서 일반적인 전파예측 모델 설계 툴로 개발한 comstudy
모델과 I-Prop사에서 개발한 indoor 전파예측모델인 IProp도 제공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이동통신 3사 초기 이동통신 무선 네트워크 설계시 자체적으
로 개발한 모델이 있다. 이들 모델들은 현재 자체 무선네트워크 관리에 활용
되고 있으며 상용화되어 동남아시아 등 국외에 신규 네트워크 설계툴로 판
매되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 소프트웨어로는 KTF의 Netspider와 SKT의
cell plan이 제공되고 있으며 상용제품은 아니지만 전자통신 연구원에서 개발
된 REGIS와 GIS용 방송엔지니어링 시스템 등이 있다.
참고로 RFMS는 REGIS를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어 여기서는 REGIS에 대
한 분석보다는 KTF의 Netspider를 조사,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여
Netspider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KTF가 쌍용정보통신을 통해 개발한 Netspider
는 현재 Cellspider라는 프로그램으로 판매되고 있다. Netspider는 지형정보
시스템(GIS)을 기반으로 개발된 본 무선망 설계 시스템은 현재 CDMA-PCS
망의 설계 및 운영을 위한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설계 구현되어 있으며, 시스
템의 구조는 크게 전파분석 시스템(RF System), 무선망 설계, 성능분석 시
스템(Performance Analysis System), 트래픽 분석 시스템(Traffic Analysis
System), 대용량의 공간 및 비공간 데이터 관리 시스템(Huge GIS Backborn
System)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RF Analysis System 전파분석 시스템은
'Planning Layer'와 'Application Analysis Layer'로 나누어져 있어 가입자
무선망 설계의 기본 기능인 단위 Cell에서의 電波傳播(Radio Propagation)
해석 및 분석 등을 담당한다.
또한 Performance & Traffic Analysis System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셀
구조를 설계하고 각 셀의 PN을 할당한다. 또한 분석된 결과로부터 각 기지

- 234 -
국의 커버리지영역, 기지국간의 간섭, 핸드오프 분석 등이 이루어지며, 통화
량(Traffic) 분석, 통화 품질 분석, 기지국의 시설물 관리 기능, 보고서 작성
과 업무 자동화 기능 등을 수행한다. 특히 이 계층의 업무 자동화 기능 등은
무선망 운영자의 요구에 의해 빈번히 변경될 가능성이 가장 높으며, PCS 제
공 국가별, 회사별로 상이한 설계가 요구될 수도 있어서 가능한한 개방 구조
로 설계되어 있다. GIS BackBorn 시스템 계층은 'Core Engine'계층과
'Application Data'계층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엔진으로는 영국의 'Laser-Scan
Limited'에서 개발한 객체지향 소프트웨어인 'Gothic'을 쓰고 있다. Gothic은
GIS와 관련된 내용들이 자체 내에 ToolKit화되어 있어, 사용자들이 자신의
고유 업무에 필요한 기능만을 선별, 조합하여 손쉽고 빠르게 업무에 적용하
여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가능토록 해준다. Gothic의 경우 인터프리터 방
식의 고유 언어인 'LULL'을 제공하고 있으며, 외부 프로세서와의 인터페이
스를 위해서는 표준 'C 컴파일러'방식을 동시에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통해 외부에서 만들어진 프로그
램 등록이 가능해 기본 기능 이외의 새로운 기능을 보다 쉽게 추가할 수 있
어서 새로운 개발환경에 보다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데이터
베이스의 경우 일반적인 RDBMS와 쉽게 연동되며, 자체의 OODB를 활용
데이터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응용자료계층의 경우, 매크로
셀, 마이크로 셀 무선망 설계에 필요한 고해상도 지형과 건물 데이터, 지형
특성별 보정값(Correction Factor)결정을 위한 모폴로지 자료, 무선망 설계시
의 실제 위치를 참조 할 수 있는 각종 Scanned-Raster 지도, 항공 촬영, 인
공위성 자료, 방대한 량의 전파분석 결과 및 그 결과를 토대로 한 CDMA 분
석결과 데이터 그리고 교환기부터 안테나까지의 각종 시설물 데이터등이 서
로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최적의 상태로 관리되고 있다. Net-SPIDER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User-Friendly Standard GUI(Motif) 환경을 제공하며
Longley Rice, Okumura-Hata, Cost231, Walfisch-Ikegami의 전파예측 모델
을 지원하며 또한 사용자 정의 Prediction Model도 구현할 수 있도록 제공한
다. Site, 안테나 등의 시설물 관리가 투명하게 이루어지게 하였으며 대량의
Site, Antenna 형상정보를 자동으로 Import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
한 상용 안테나의 DB 관리가 용이하며 Pattern 편집이 가능하다고 자체적인

- 235 -
홍보를 하고 있다. 이 밖에도 Radius, 신호의 세기, 경로손실 등의 다양한 기
법을 이용하여 단일 혹은 Batch 예측이 가능하며 인공위성 데이터, 항공사
진, Scanned true-color Raster 이미지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Vector와 Raster
의 중첩 Display 및 Transparency Control도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예측 결
과에 근거한 RSSI, Best PN, Ec/Io, 핸드오프 등의 CDMA 분석 알고리즘을
제공하며 실제 측정결과와 예측결과를 토대로 한 보정치 Fetch 및 이를 이
용한 보다 개선된 CDMA 분석 알고리즘을 제공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그림 5-17과 같이 전파분석을 위해 높은 해상도의 DTM 자료(Normal
Display, Sun-Shaded Display)와 높이값 자동 Fetch, 지형 프로파일 조작기
능도 제공한다. GIS DB의 경우 객체 지향의 GIS기술을 통해 거대한 GIS 공
간 데이터(spatial data)의 관리가 용이하며 효율적으로 설계된 객체지향의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한다.

그림 5-17 DTM 데이터 위에 전파분석을 한 예

CDMA Simulator와 Network 최적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FMD(Field


Measurement Data)와 예측 데이터의 비교를 통해서 기존의 모델링 기법을

- 236 -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Network 최적화를 위한 Diagonostic 측정데이타 분
석기능을 제공하며 기지국별 Traffic 용량을 분석하여 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

그림 5-18 Net-Spider의 주요 기능과 개략적인 흐름도

그러나 그림 5-18과 같이 유닉스 구조로 설계되어 있는 이 소프트웨어도


다양한 기능과 자료를 가지고 있지만 플랫폼 자체가 매우 무거워 전체적인
시스템 성능에는 문제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변화되는
GIS 정보와 무선국제원 관리의 기능이 부족하여 1997년 이후 지속적인 업그
레이드가 잘 안되고 있는 상황이며 무선국 네트워크 설계이후에 그 활용도
가 떨어진 것도 그 요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앞에서 분석된 전파예측 소프트웨어들은 다양한 전파예측 모델을 기반으


로보다 진보된 소프트웨어 기법을 가상적으로 적용하여 이론적으로 설계가
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5GHz
Wireless LAN 등을 비롯하여 3G 무선네트워크 설계에 적용되고 있는 광대
역 전파 예측 모델의 개발에 있어 필요한 요소가 무엇이며 지형정보 기반
위에서 예측되는 모델의 계산처리 속도에 관한 고려사항이 무엇인지를 고민
하게 하였다. 현재의 RFMS의 내부 기능상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GIS
기반 위에 앞서 언급되었던 다양한 전파예측기술 들을 복합적으로 첨가할

- 237 -
수 있다면 향후 보다 향상된 기능의 RFMS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따라서 관련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소프트웨어 중심의
RFMS 기능강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현재의 RFMS는 컴포넌트 GIS인 ZEUS 소프트웨어 기반 위에 단순 서버
-클라이언트 전파예측 계산구조로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고
지속적인 유지보수와 전파예측기술 향상을 위해서는 전파분석 업무를 GIS
구조와 잘 연동되도록 컴포넌트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일반적인 계산
기능만을 포함한 현재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개발한 소프트웨어는 작업 속도
면에서 빠른 성능을 나타낼 수 있지만 현재의 RFMS의 경우 GIS와 전파예
측 프로그램간 부정합성으로 인한 작업속도 저하는 향후 큰 문제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전체에 대한 재개발, 안정성 침해 없이 단위
컴포넌트를 추가 연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시스템 전체의 기능향상
과 업무기능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특히 컴포넌트 관리도구의 개발
은 운용자의 단순한 컴포넌트 추가 방법 제공으로 사용자의 주기적, 강제적
노력없이 전파분석 업무의 통일성과 분석결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물론 이러한 업무개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파관리 업무
처리에 대한 일관성있는 관리 기능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서버상의
업무 처리 기능과 각 클라이언트간의 대화기능을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
발할 수 있는 기능강화 방안이 요구된다.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기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일관


성 있는 업무처리 기능과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체신청 업무를 기초로 고려할 사항으로는 기본적인 사항으로 앞서 2절에
서 기술심의 업무 흐름도를 제시한 것과 같이 민원인의 민원 신청시 기술심
의를 위한 접수자료에 대한 업무심의 대상통보가 발생한다. 관련 자료로서는
기본적으로 허가번호, 무선국종, 최초허가일, 위치정보인 행정구역명, 해당
무선국의 경위도 좌표자료가 접수되어야 한다. 또한 장치정보로 주파수, 전
파형식, 공중선전력, 안테나 패턴등이 접수되어야 한다.
기본정보를 바탕으로 업무심의시 지정주파수 적합성 검토와 전파지정기준
에의 포함여부(만약 리스트 조회에서 없다면 주파수 지정의뢰, 있다면 적용

- 238 -
사례조회 후 허가)의 확인을 통해 전파지정기준 추가, 변경 고시를 수행해야
한다. 이 업무에 중요한 사항으로 반드시 이력관리가 동반되어야 하며 특히
기술심의대상자료에 대한 이력관리와 DB 저장기능, 전파지정기준 이력 관리
등이 부가되어야 한다.
공용화 무선국 기술심의 요청시 공용화 무선국 DB검색을 통해 기술심의
무선국을 선택하고 주파수 이격거리 산출과 혼신분석, 환경잡음에 의한 간섭
분석(만약 전파환경잡음 DB가 있다면)과 블랭킷 영역분석 결과를 산출한다.
이 업무 역시 기술심의 이력관리를 해야하며 기술심의시 공용화 가능 무선
국 리스트 결과가 반드시 첨부되어야 한다.
자세한 업무기능에서 전파분석모델(예측모델)의 설정은 기본정보와 장치장
보를 바탕으로 가시거리 분석, 프로파일 분석, 혼신분석, 월경분석을 할 수
있다. 기술심의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은 기본정보에서 위치정보의
동기화이며 장치정보 안테나 DB 정보이다. 특히 안테나 DB 관리기능은 패
턴도 및 특성의 DB화가 꼭 필요하다.
RFMS에는 현재 기능이 없지만 향후 포함되어야 기능으로 방송국 기술심
의이다. 방송국 심의시 일반 무선국 기술심의보다 추가되는 사항은 방송형태
의 설정(NTSC, D-TV, DAB)과 매칭퍼센트 분석이 있다. 특이 사항으로 일
반 무선국에 비해 출력이 매우 강하고 산출결과도 단순한 경로손실이 아닌
전계강도와 수신전력이므로 그에 따른 산출물 표시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방송 기능이외에 위성간 간섭분석(국제등록신청), 지상망 등록등에 대한 사
항도 향후 추가되어야 할 사항들이다.
기술심의 업무와 관련하여 간헐적으로 참고되어야 할 사항으로 기술심의
기준관리가 필요하다. 기준관리에 기초적인 자료로는 국종별 기준내역, 합격
기준별 내역, 전파분석 기준내역이 일관성 있게 보관되어야 하며 관련 기술
심의사례와 傳播분석 사례, 업무심의/기술심의 승인자료도 보관할 필요가 있
다. 미래적인 기능강화사항은 검사기능과 검사결과 처리와 대조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시스템 강화적인 측면에서 RFMS에 기능강화 사항은 DB 액세스 성능 증
대가 필요하다. 현재의 DB기능을 최적화하여 응답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최
대의 관건이다. 먼저 사용자 요구분석을 통해 사용빈도가 높은 데이터를 조

- 239 -
사하고, 관련된 테이블을 통합 및 변경 등으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사
용자의 이용 목적에 따라 기본화면을 달리하여 일종의 CRM과 같이 관심 있
는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며, 다른 정보에 대해서는 세부사항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서비스 처리를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항목으로는 자주 쓰이는 지형이나 지물 데이터를 사용자의 local 컴퓨터에
놓고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지리정보 데이터를 세분화하여 선택이 용이하게
해야 한다. 또한 앞서 언급되었던 것처럼 이전에 분석하였던 분석 결과를 재
활용할 수 있는 이력관리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지형정보의 경우 분석에
필요한 폴리곤의 특성점 수가 많거나 레이어가 지형의 축적정보와 연계되어
자동조정 되지 않으면 계산 및 화면처리상 상대적인 시간이 길어지므로 데
이터의 최적화도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을 그림 5-19와 5-20
과 같이 효과적으로 줄인 대표적인 프리웨어 소프트웨어가 알맵이다. 특히
그림 5-20은 알맵의 경우 지형축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레이어가 조정되어한다.

그림 5-19 알맵 b1.1의 지형정보 처리화면

- 240 -
그림 5-20 지형정보중 건물의 특성점을 줄인 효과적인 화면처리

기능강화에 중요한 사항으로 사용자의 메뉴선택 기능을 단순화하는 것이


다. 특히 업무에 적합하도록 각 업무기능을 컴포넌트화할 수 있게 설계한다.
업무의 컴포넌트화에 중요한 사항으로 컴포넌트의 정형화가 반드시 필요하
며 각 컴포넌트간의 인터페이스 정의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업무를 엔티티
개념까지 세분화하여 컴포넌트할 경우 오히려 전체적인 업무 처리속도가 저
하될 수 있어 컴포넌트의 세분화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인증
된 표준 컴포넌트구성을 위해 관리도구인 워크플로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
직하며 워크플로워를 이용시에 좋은 장점은 구현의 용이함과 표준기능 활용,
통합이 간편하다는 것이다.
시스템관리기능상 중요한 기능중의 하나는 이용자의 목적에 따라 등급을
분류하는 것이며 이용자에 따라 이용방법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특히 기술심
의를 위한 기술심의자의 경우 복잡한 업무처리의 단순화가 절대적이다. 이용
자의 등급 분류는 곧 이용자의 보안등급과 연계되며 편의성과도 관계를 갖

- 241 -
는다. 보통 사용자 등급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으며 사용자 등급별 주
요 업무범위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시스템 관리자의 경우 사용자 관리(사용자 등급부여, 패스워드 관리, 사용
자 History 모니터 등), 시스템 장애관리, 시스템 유지보수 등의 일반적인 시
스템 관리기능 수행을 한다.
프로그램 관리자는 업무영역 정의, 사용자 업무이력의 모니터 등에 따른
서비스 사용자 등급관리와 프로그램 관리, 적용 파라미터 검증 등의 전체적
인 관리기능 수행이 필요하다.
일반 서비스 사용자는 프로그램 관리자가 지정한 무선국 검색, 전파분석,
파라미터 설정/저장, 변경과 같은 영역의 업무범위에 대해 실제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처리한 자료의 보안관리와 저장자료
에 대한 정확성 검증기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반 서비스 사용자를 지원해 주는 기능 중에서 전파예측 모
델 관리, 지형정보 DB 관리, 안테나 관리 등과 같은 전문가 기능을 포함하는
관리자가 있어야 한다. 이 기능은 시스템 관리자와 프로그램관리자가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기능이며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 242 -
결 론

5㎓대 주파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파수 공유 등 관련기술과 연구결과는


향후 5㎓대 무선 LAN의 국내도입에 따른 전파간섭을 분석하고 예방하는데
활용할 것이며, ITU-R의 5㎓대 주파수 공유 관련 권고안 작성을 위한 연구
반에서 국익을 보호를 위해 이용될 예정이다. 이러한 결과로 2003년 WRC
회의의 결과에 의해서 5GHz 대역은 RLAN 및 FWA 형태로 이용될 가능성
이 상당히 높아졌으므로 국내에서도 기존 무선설비와의 주파수 공유 기준
및 출력 등에 대한 기술기준을 마련하여 실질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
도록 제도적인 준비와 이에 관련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2.4㎓와 5.3㎓대역의 두 대역의 전파특성을 분석 연구한 결
과 실내 환경에서 IEEE 802.11b/a 무선 LAN의 성능은 LOS 환경에 대해서
각 규격별 전송속도에 대한 감쇠는 크지 않았으나, NLOS 환경에 대해서는
많은 감쇠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5 GHz 대역의 무선랜 서비스를 위
한 전파 채널 모델을 확립하기 위해 무선랜 서비스에서 고려해야할 실외 무
선채널 파라미터를 제시하였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 실외
전파 채널 모델을 제안하였다. 또한, 측정을 바탕으로 한 통계적 모델에 관
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국제적인 결과로도 ITU-R 각 연구분과의 경우 전파의 사용이 아날로그에
서 디지털로 점차적으로 변화됨에 따라 전파특성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WRC97이후 주파수의 광대역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전파연구의 경우 30㎒에서 약 100㎓간의 지상업무(고정, 이동, 방송업무)를
원활히 수행하기 위한 전파특성 연구와 개선, 개발이 필요하게 되어 유럽과
미국, 일본, 호주, 우리나라 등이 활발히 추진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RFMS의 알고리즘 모델들이 1999년 이전을 기준으로 ITU-R에 권고된 모델
을 바탕으로 만들어졌고 주파수대별, 업무별(고정, 이동, 방송 업무 등), 거리
별 정확한 기준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능적 강화요인이 발생하게 되었다.
RFMS 기능강화를 위해서는 RFMS의 경로손실 및 회절손실 모델의 기능
적 분석을 통해 ITU-R에서 최근 반영된 새로운 알고리즘의 추가가 목적에
있다. 이러한 기능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기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일

- 243 -
관성 있는 업무처리 기능과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결과로서 5㎓ 주파수이용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내
전파특성의 경우 실내에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에 강한 OFDM 방식을 적용
한 IEEE 802.11a 방식에 있어 예상한 것과는 다르게 NLOS 환경에서 전파경
로 및 거리에 따른 성능이 IEEE 802.11b 방식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LOS 환경에서는 802.11a 방식의 무선 LAN이 데이터 전송속도 면에서는
802.11b 방식보다 월등히 우수하지만, NLOS 환경에서는 802.11b 방식의 무선
LAN 성능이 더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주파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전파 도달 거리 및 투과 능력에 있어 2.4GHz 대역의 무선
LAN이 더 우수하기 때문이다. 이는 실내 환경에서 주파수 및 지역적 특성에
있어 2.4GHz 대역 보다 5GH 대역의 신호에 있어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
을 의미하며, 경로 손실 분석과 RMS 분석 값과 비슷한 감쇠 형태를 얻을
수 있었다.
실외전파특성의 경우 다양한 파라미터들의 측정을 위한 측정장비를 구성
하였다. 크게 거리에 따른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과 다중 경로
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나누어졌다. 특히 다중 경로 특성의 경우 수
신부의 안테나를 다르게 하여 PDP와 AOA를 각각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에
는 수직 편파 다이폴 안테나가 사용되었는데 AOA 측정시 수신부에서는 높
은 지향성을 가지는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가 사용되었다. 측정 환경으로는
대학 캠퍼스 내의 여러 환경이 선정되었다. 5 GHz 대역에서 활용 가능한 거
리에 따른 신호의 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여러 가지 모델이 비교되었으며, 그 중 가장 적합한 모델을 결과로 제시하였
다. 또한, 여러 가지 소규모 환경에서 다중 경로 특성이 측정되었는데 각 환
경별로 여러 곳이 선정되어 환경에 따른 특성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제시
된 모델은 통계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측정 환경에서의 특성뿐 아니라 다른
환경에서의 특성도 예측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
후 보다 효용성 있고 정확한 모델의 제시를 위해 보다 광범위한 환경에서의
측정을 바탕으로 한 통계적 모델의 완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FMS 기능강화에 필요한 연구로서는 전파예측 소프트웨어들은 다양한
전파예측 모델을 기반으로보다 진보된 소프트웨어 기법을 가상적으로 적용

- 244 -
하여 이론적으로 설계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최근 이
슈화되고 있는 5GHz Wireless LAN 등을 비롯하여 3G 무선네트워크 설계에
적용되고 있는 광대역 전파 예측 모델의 개발에 있어 필요한 요소가 무엇이
며 지형정보 기반 위에서 예측되는 모델의 계산처리 속도에 관한 고려사항
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게 한다. 현재의 RFMS의 내부 기능상 지속적으로 개
선되고 있는 GIS 기반 위에 앞서 언급되었던 다양한 전파예측기술 들을 복
합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면 향후 보다 향상된 기능의 RFMS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며 관련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소프트웨어
중심의 RFMS 기능강화 방안에 대해 컴포넌트화를 통한 서버기반의 시스템
으로 추진하는 것이 옳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컴포넌트 관리도구의 개발
은 운용자의 단순한 컴포넌트 추가 방법 제공으로 사용자의 주기적, 강제적
노력없이 전파분석 업무의 통일성과 분석결과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업무의 연속성과 일관성도 함께 보장될 것이다.
RFMS에는 현재 방송국 기술심의 업무와 위성관련 국제등록업무를 수행
할 수 없다. 따라서 방송국 심의업무 추가와 위성간 간섭분석(국제등록신청),
지상망 등록 업무도 향후 추가되어야 할 사항들이다.
기술심의 업무와 관련하여 간헐적으로 참고되어야 할 사항으로 기술심의
기준관리가 필요하다. 기준관리에 기초적인 자료로는 국종별 기준내역, 합격
기준별 내역, 전파분석 기준내역이 일관성 있게 보관되어야 하며 관련 기술
심의사례와 傳播분석 사례, 업무심의/기술심의 승인자료도 보관할 필요가 있
다. 미래적인 기능강화사항은 검사기능과 검사결과 처리와 대조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업무기능 향상이외에도 시스템 관리관점에서의 기능향상을 통
해 향후 일반 서비스 사용자를 지원해 주는 기능과 앞서 언급되었던 5㎓ 주
파수 이용연구결과에 따른 새로운 예측모델의 삽입 등과 실질 측정을 통한
전파예측 모델의 신뢰성 향상으로 대국민 업무 서비스의 향상이 가능할 것
으로 생각된다.

- 245 -
참 고 문 헌

제 1 장 및 제 2 장

[1] 임재우 “초고속 무선서비스를 위한 5㎓대역 주파수 이용방안 연구”


전보통신부 전파연구소 전파기술세미나 p111-132. Dec, 2001
[2] 전파연구소 “5㎓대역 무선접속망 연구” 보고서 Dec. 2001
[3] “차세대 이동 무선 환경에서의 전파 모델링 연구” pp. 39-46, SK
Telecom, 2002. 6.14,
[4] KORA 연구 99-39 : "무선 LAN 시스템의 접속 규격 및 프로토콜 연구
(ITU-R 2112-1/8, 142-1/9)", 한국 무선국 관리 사업단, 2000. 8. 12,
[5] S. C. Kim, "Prediction model of wave propagation inside building
including specular and diffracted transmission and reflection," 한국
통신 학회 논문지, Vol. 23, No. 6, pp.1592-1601, 1998년 6월.
[6] WRC-2000 결의 736
[7] FCC CFR47 Part 15 Subpart E - Unlisenced Nation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Device
[8] ERC REPORT 72 "Compatibility Studies Related to the Possibile
Extension Band for HiperLAN at 5㎓" May, 1999
[9] ERC REPORT 67 "Study of the Frequency Sharing Between
HiperLANs and MSS Feeder Links in the 5㎓ Band" February, 1999
[10] ETSI TS 101 475, Broadband Radio Access Network(BRAN);
HIPERLAN Type 2; Physical(PHY) layer.
[11] ITU-R Document 8/1017-E, Procedures for determining the potential
for interference between radars operating in the radiodetermination
service and systems in other services, 8. Feb. 2000
[12] ITU-R Document 4-7-8-9/17-E, Frequency sharing between EESS
and FS in the band 5250-5350㎒, 25. May. 2001.
[13] ITU-R Recommendation SM.1132, General principles and methods for
sharing between radio services, 1995

- 249 -
[14] ITU-R Document 8/114-E, PDNR: The feasibility of sharing between
systems in the Aeronautical Radionavigation Service(ARNS) and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2000(IMT-2000) in the band
2700-2900 ㎒, 1. Nov. 1999
[15] ITU-R Document 8A-9B/201-E, Specturm requirement analysis for
the implementation of broadband NWA networks, 13. Mar. 2000
[16] IEEE 802.11, Part 11 :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IEEE Standards Board,
Approved 16 September 1996
[17] ETSI BRAN, "HIPERLAN type2 Functional Specification Part 1 :
Physical Layer," DTS/ BRAN- 0023003, April 2000
[18] IEEE 802.11b-1999, Part 11 :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 High-speed
Physical Layer Extension in the 2.4GHz Band, IEEE-SA Standards
Board, Approved 16 September 1999
[19] IEEE 802.11a-1999 (Supplement to IEEE Std 802.11-1999), Part 11 :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 High-speed Physical Layer in the 5GHz
Band, IEEE-SA Standards Board, Approved 16 September 1999
[20] Theodor S. Rappaport, Wireless Communications - Principles &
Practice, Prentice Hall, 1996
[21] Gordon L. Stuber, Principles of Mobile Communication, Kluwer
Academic, 1996
[22] Brian P. Crow, Indra Widjaja, Jeong Geun Kim, Prescott T. Sakai,
"IEEE 802.11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pp. 116-120, September 19997
[23] Theodore S. Rappaport, Scott Y. Seidel. and Koichiro Takamizawa,
"Statistical Channel Impulse Response Models for Factory and Open
Plan Building Radio Communication System Design," IEEE Trans.
Communications, Vol. 39, No. 5, pp. 794-807, May 1991.

- 250 -
[24] Theodore S. Rappaport, Wireless Communications Principles &
Practice, Prentice Hall, New Jersey, 1996.
[25] T. S. Rappaport, "Characterization of UHF Multipath Radio Channels in
Factory Buildings," IEEE Transactions on Antenna and Propagation,
Vol. 37, No. 8, pp 1058-1069, Aug. 1989
[26] Devasirvatham, D. M. J, "Time Delay Spread and Signal Level
Measurements of 850MHz Radio Waves in Building Environment,"
IEEE Transactions on Antenna and Propagation, AP-34, No. 11, pp
1300-1305, 1986.
[27] S. C. Kim, H. L. Bertoni, M. Stern, "Puls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t 2.4 GHz inside buildings," IEEE Trans. Veh. Technology, Vol. 45,
No. 3, pp. 579-592, Aug. 1996.
[28] Gerard J. M. Janssen, Patrick A. Stigter, and Ramjee Prasad
"Wideband Indoor Channel Measurements and BER Analysis of
Frequecny Selective Multipath Channels at 2.4, 4.75, and 11.5GHz"
IEEE Transaction of Communications, Vol. 44, No. 10, Oct 1996.
[29] Donald C. Cox and Robert P. Leck, "Correlation Bandwidth and
Delay Spread Multipath Propagation Statistics for 910-MHz Urban
Mobile Radio Channels," IEEE Transactions. Communications, Vol.
COM-23, No. 11, pp. 1271-1280, Nov. 1975
[30] Theodore S. Rappaport and Clare D. Mcgillem, "UHF Fading in
Factories," IEEE J. Select. Areas Commun., vol. 7, no. 1, pp. 40-48,
Jan. 1989
[31] Jean-Francois Lafortune and Michel Lecours, "Measurement and
Modeling of Propagation Losses in a Bullding at 900 MHz," IEEE
Trans. Veh. Technol, Vol. 39, no. 2, pp. 101-108, May 1990.
[32] Seidel S. Y., and Rappaport T. S., "914MHz Path Loss Prediction
Models for Indoor Wireless Communications in Multifloored
Buildings," IEEE Transactions on Antenna and Propagation, vol. 40,
No. 2, pp 207-217, Feb. 1992

- 251 -
[33] W. Honcharenko and H. L. Bertoni, "Mechanism governing UHF
propagation on single floors in modern office building,"IEEE Trans.
Veh. Technol., Vol. 41, No. 4, pp. 496-504, Nov. 1992.
[34] S. Y. Seidel and T. S. Rappaport, "Site-specific propagation
prediction for wireless in-building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design," IEEE Trans. Veh. Technol., Vol. 43, No. 4, pp. 879-891,
Nov. 1994
[35] George Liang, H. L. Bertoni, "A new aproach to 3-D ray tracing for
propagation prediction in cities," IEEE Trans. Antennas Propagat.,
Vol. 46, No. 6, pp. 853-863, June 1998
[36] Raymond J. Luebbers, "Finate Conductivity Uniform GTD Versus
Knife Edge Diffraction in Prediction of Propagation Path Loss",
IEEE Trans. on Antennas and Propagation. Vol. 32, No, 1, pp. 70-76,
Dec. 1984
[37] Homayoun Hashemi, "The Indoor Radio Propagation Channel",
Proceedings of The IEEE, Vol. 81, No. 7, pp. 943-961, July 1993
[38] Leonard Piazzi, George Liang, & Henry L. Bertoni, "Comparison of
Measurement Based and Site Specific Ray Based Microcellular Path
Loss Predictions", Proc. IEEE Veh. Tech. Conf., pp. 656-660, 1996.
[39] K. Rizk J. F. Wagen, and F. Gardiol, "Two-Dimensional Ray-
Tracing Modeling", IEEE Tra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 46,
No. 2, pp. 508-518, May. 1997
[40] T. Tacheuchi, M. Sako, & S. Yoshida, "Multipath Delay Estimation
for Indoor Wireless Communication, Proc. IEEE Veh. Tech. Conf., pp.
401-406, 1990
[41] D. K. Cheng, Field and Wave Electromagnetics, New York : Addison
Welsey, 2nd edition, 1989, pp. 386-417
[42] Vinko Erceg, A. J. Rustako, Jr., and R. S. Roman, "Diffraction
Around Corners and Its Effect on th Microcell Coverage Area in
Urban and Suburban Environments ant 900 MHz, 2 GHz, and 6

- 252 -
GHz", IEEE Trans. on Vehicular Technology, Vol. 43, No. 3, pp.
762-766, Aug. 1994
[43] H.L. Bertoni, Radio Propagation for Modern Wireless System, New
Jersey : Prentice Hall PTR, 2000, pp. 107-113

제 3 장

[1] Rappaport, T.S., Wireless Communications Principles and Practice,


IEEE Press, New York, 2002.
[2] William C. Y. Lee, Mobile communication design fundamentals, JOHN
WILEY & SONS, INC, 1993.
[3] William C. Y. Lee, "Spectrum Efficiency in Cellular," IEEE Transaction on
Vehicular Technology, Vol. 38, No. 2, pp. 69-75, May 1989.
[4] Paul Petrus, "Novel Adaptive Algorithms and their Impact on Cellluar
System Capacity," Virginia Polytechnic University Ph.D. dissertation,
pp.91-115, 1996.
[5] William C. Y. Lee, Mobile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w York,
McGraw-Hill, 1989.
[6] Jonas Medbo, Hallenberg Henrik, Jan Erik Berg,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t 5 GHz in typical radio-LAN scenarios," 1999 IEEE
49th Vehicular Technology Conference, vol.1, pp. 185 -189, 1999.
[7] Leandro Juan-Llacer, Luis Ramos, Narcis Cardona, "Application of
some theoretical models for coverage prediction in macrocell urban
environments", IEEE Transaction on Vehicular Technology, Vol. 48,
No. 5, pp. 1463-1468, September 1999.
[8] John Doble, Introduction to radio propagation for fixed and mobile
communications, Artech House, INC, 1996.
[9] Thomas Schwengler, "Propagation Models at 5.8GHz Path Loss &
Building Penetration", IEEE Radio and Wireless Conference, pp. 119
-124, 2000.

- 253 -
[10] N. Kita, K. Osawa, A. Sato, H. Watanabe, H. Hosoya,
"Characterization of multipath delay profiles for wideband wireless
access system in a 5 GHz band,"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10th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Personal, Indoor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s, Csaka, Japan, Sept. 12-15, 1999, paper
number G5-2.
[11] Thomas Zwick, Christian Fisher, Werner Wiesbeck, "A Stochastic
Multipath Channel Model Including Path Directions for Indoor
Environments", IEEE Jounal on Transaction on Vehicular
Technology, Vol. 48, No. 4, pp. 1110-1120, July 1999.
[12] K. Skog, A. Brehonnet, H. Kauppinen, J. Kivinen, “Wideband radio
channel outdoor measurements at 5.8 GHz.” presented at Millenium
Conference on Antennas and Propagation Proceedings.

제 4 장과 제 5 장

[1] 정보통신부, "전파전파분석시스템(RFMS) 사용자 안내서“, 2000


[2] 정보통신부, 전파방송업무편람, 1999
[3] 정보통신부, “정보통신훈령 제2653호, 무선국 통신보안 심의 세칙개정령”, 2002
[4] 정보통신부, "대한민국 주파수 분배표," 2001.
[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EGIS 2.0 사용자 설명서," 1998.
[6] KTF, "Netspider 사용자 매뉴얼“, 1998
[7] 정종일, 개인서신, 2002
[8] 전파자원연구과장, 개인서신, 2002
[9] RFMS 전담반, 개인서신, 2002
[10] http://www.atdi.com, "ICS Telecom 이용자 매뉴얼", 2002
[11] http://www.awe-communications.com, "WinProp 이용자 매뉴얼", 2002
[12] http://www.agilent.com, "WIZARD 이용자 매뉴얼“, 2002
[13] http://www.almap.co.kr,"알맵1.1 beta 소프트웨어“, 2002
[14] ITU-R P.1144-3, "Guide to the application of the propagation methods

- 254 -
of Radiocommunication Study Group3," 2002.
[15] ITU-R P.368-7, "Ground-wave propagation curves for frequencies
between 10kHz and 30MHz," 1992.
[16] ITU-R P.370-7, "VHF and UHF propagation curves for the frequency
range from 30MHz to 1000MHz," 1995.
[17] ITU-R P.452-10, "Prediction procedure for the evaluation of
microwave interference between stations on the surface of the
Earth at frequencies above about 0.7GHz," 2001.
[18] ITU-R P.525-2, "Calculation of free space attenuation," 1994
[19] ITU-R P.526-7, "Propagation by diffraction," 2001
[20] ITU-R P.528-2, "Propagation curves for aeronautical mobile and
radionavigation services using the VHF, UHF and SHF bands," 1986.
[21] ITU-R P.529-3, "Prediction methods for the terrestrial land mobile
service in the VHF and UHF bands," 1999.
[22] ITU-R P.530-9, "Propagation data and prediction methods required
for the design of terrestrial line-of-sight systems," 2001.
[23] ITU-R P.533-7, "HF propagation prediction method," 2001.
[24] ITU-R P.534-4, "Method for calculating sporadic-E field strength,"
1999.
[25] ITU-R P.616, "Propagation data for terrestrial maritime mobile
services operating at frequencies above 30MHz," 1986.
[26] ITU-R P.617-1, "Propagation prediction techniques and data required
for the design of trans-horizon radio-relay systems," 1992.
[27] ITU-R P.618-7, "Propagation prediction methods required for the
design of Earth-space telecommunication systems," 2001.
[29] ITU-R P.620-4, "Propagation data required for the evaluation of
coordination distances in the frequency range 100MHz to 105GHz," 1999.
[30] ITU-R P.676-5, " Attenuation by atmospheric gases," 2001
[31] ITU-R P.680-3, "Propagation data required for the design of
earth-space maritime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1999.

- 255 -
[32] ITU-R P.681-5, "Propagation data required for the design of
earth-space land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2001.
[33] ITU-R P.682-1, "Propagation data required for the design of
earth-space aeronautic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s," 1992.
[34] ITU-R P.684-2, "Prediction of field strength at frequencies below
about 150kHz," 2001.
[35] ITU-R P.843-1, "Communication by meteor-burst propagation," 1997.
[36] ITU-R P.1146, "The prediction of field strength for land mobile and
terrestrial broadcasting services in the frequency range from 1 to
3GHz," 1995.
[37] ITU-R P.1147-1, "Prediction of sky-wave field strength at
frequencies between about 150 and 1700kHz," 1999.
[38] ITU-R P.1238-2, "Propagation data and prediction methods for the
planning of indoor radiocommunication systems and radio local area
network in the frequency range 900MHz to 100GHz," 2001.
[39] ITU-R P.1411-1, "Propagation data and prediction methods for the
planning of short-range radiocommunication systems and radio local
area network in the frequency range 300MHz to 100GHz," 2001.
[40] ITU-R P.1410-1, "Propagation data and prediction methods for the
design of terrestrial broadband millimetric radio access systems
operating in the frequency range about 20-50 GHz," 2001.
[41] ITU-R P.1546, " Method for point to area prediction for terrestrial
services in the frequency range 30∼3000MHz," 2002
[42] ITU-R SM.1370, "Automated Spectrum Management System을 위한
설계지침 (질문 ITU-R 68/1)," 1998.
[43] William C.Y.Lee, Mobile Communications Design Fundam entals,
Interscience
[44] J.D.Parsons, The Mobile Radio Propagation Channel, John wiley &
sons ltd.

- 256 -
부 록

ATTACHMENT 15

Source: Document 8A-9B/TEMP/82

working document towards a report

ITU-R M.[report 736 RESOLVES 1]

5 GHz spectrum requirements [Res. 736, Res.]

for wireless access systems including RLANs

- 259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