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Jul.

7월
UWB 측위기술 및 산업 동향

1. 서론 3P

2. UWB 주파수와 기술기준 5p


2.1 UWB 주파수
2.2 UWB 출력

3. UWB 거리측정과 측위 9p
3.1 UWB 거리 측정 원리
3.2 UWB 측위 원리

4. UWB 산업 동향 12p
4.1 UWB 표준화 및 산업 동향
4.2 UWB 미래 전망

5. 결론 16p

부록 : 위치정보사업자 등이 알아야 할 법규 준수 점검사항


2023년 7월│Monthly Report

UWB 측위기술 및 산업 동향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장병준 교수

01 서론
■ UWB(Ultra-Wide Band) 기술이란 시간영역에서 폭이 좁은 펄스를 이용한
무선통신기술을 의미하며, 주파수 영역에서 보면 당시의 기존 무선통신기술보다
대역폭이 매우 넓어 초광대역을 의미하는 UWB란 이름을 갖게 되었다.

■ UWB 기술은 미국에서 1970년대부터 군용암호통신 또는 레이다 등의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군사보안이 해제됨으로써 2000년대 들어 민간용으로 상용화되기
시작하였다. 당시 UWB 기술은 출력의 한계로 통신거리가 짧은 근거리 무선개인
통신망(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의 후보기술 중 하나로서 관심을
받게 되었다. 이에 국제적인 WPAN 표준을 주도하는 IEEE 802.15 표준위원회에서
표준화가 진행되어 2007년 IEEE 802.15.4a 표준이 발표되었다.

■ 그러나 당시 경쟁기술이었던 Wi-Fi나 Bluetooth 등에 밀려 관심에서 멀어져 갔다.


하지만 UWB 기술을 이용하면 근거리 무선기기 간에 무선통신뿐만 아니라, 무선기기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UWB 기술이 측위기술의
하나로 재조명되게 되었고, 2019년 애플의 iPhone11에 UWB 기능의 칩이 탑재됨으로써
무선통신보다는 실내에서 위치나 측위를 활용한 서비스로 화려하게 부활하게 되었다.

■ 현재 시중에서 UWB를 이용한 측위기술은 [표 1]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첫 번째는 RTLS(Real Time Location Service) 서비스로 물류창고 등에서 재고 관리를


위한 사물 추적(asset tracking) 등의 응용에 사용되며 스마트 공장, 건설 현장 등에서
관심이 높다. 자동차 키 응용에서도 자동차의 여러 위치에 놓여진 UWB Anchor가
운전자의 스마트키(UWB Tag)를 인식하여 스마트키를 가지고 있는 운전자가 차로
다가오는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 두 번째는 실내 Navigation 용인데 실내에서 UWB 통신 거리가 10m 내외이므로


많은 UWB 태그의 설치가 필요하여 아직까지는 많이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3
2023년 7월│Monthly Report

- 세 번째는 스마트폰에서 UWB의 기본 특성인 거리 측정 외에 복수개의 안테나를


이용한 방향측정을 포함하여 UWB 태그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게 해주는 ‘Find
things’ 서비스가 있다. 현재 애플과 삼성의 플래그쉽 스마트폰에 기본 장착되어
있는 UWB의 대표서비스라 할 수 있다.

표 1. UWB 실내 측위 기술의 분류

구분 주요 특징
- 고정된 Anchor가 움직이는 Tag의 실시간 위치 파악
Network-centric - 3개 이상의 서로 연결된 Anchor 필요
- 주요응용 : Asset tracking(RTLS), 자동차 키
절대 위치
- 움직이는 Anchor가 고정된 3개 이상의 tag로부터
이용
자신의 위치파악
Device-centric
- 3개 이상의 위치정보가 내장된 Tag 필요
- 서비스 모델 : 실내 Navigation
- 레이다 방식과 유사
상대위치 이용 - 거리와 각도 추정
- 서비스 모델 : Find things

■ [표 1]의 다양한 UWB 서비스는 다른 무선통신 기반(Wi-Fi, Bluetooth, ZigBee, RFID)


에서도 구현이 어느 정도 가능하나 다른 무선기술들은 상대적으로 거리해상도가
나쁜 반면 UWB는 낮은 펄스 전력으로 의해 통신반경은 작지만 수십 cm 이하의
정밀한 거리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정확한 위치정보가 필요한
근거리 측위 분야에서 UWB의 사용이 늘어날 전망이다. 하지만 통신거리가 짧아
여러 개의 UWB 기기가 필요한 점 등의 단점이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차세대
UWB 표준에 대한 연구와 표준 활동도 IEEE를 중심으로 활발하다.

■ UWB 관련 산업동향을 살펴보면 칩 제조사인 Qorvo와 NXP에서 UWB 거리 측정


기능의 칩을 판매하고 있고, 애플과 삼성의 스마트폰에 UWB 측위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출시하고 있으며, 현대차동차 등 자동차 회사들도 UWB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폰으로 자동차문을 열 수 있는 차량을 출시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이
IT의 핵심 디바이스와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감안한다면 UWB 기술은
향후 자동차, 스마트 공장, 스마트 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UWB 관련 표준화 단체인 FiRa(Fine Ranging Consortium)와 CCC(Car
Connectivity Consortium)에는 많은 글로벌 선도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자동차나 도어락 등 디지털 키 서비스를 시작으로 보안성이 높은 결제, 위치 기반
서비스, IoT 기기 제어 서비스 등으로 표준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4
2023년 7월│Monthly Report

■ 이러한 UWB의 장점과 미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UWB 기술이 그동안 오랜 시간


침체되어 있었기에 Wi-Fi 등 다른 무선통신 기술에 비해 관련된 연구논문이나
기술자료가 부족한 상태에 있다. 또한, UWB 칩이 주로 스마트폰이나 자동차 등에
탑재되고 있는 상태이어서 Qorvo나 NXP 등의 칩 제조회사들은 보안 등의 문제로 관련
자료를 민간에게 자세히 공개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UWB 측위기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UWB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기술기준으로 시작하여 UWB 측위기술의 어떠한
원리와 한계를 갖고 있는 지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최신
UWB 측위기술의 원리와 함께 산업 동향 및 UWB의 미래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02 UWB 주파수와 기술기준

2.1 UWB 주파수

■ UWB는 그 용어가 의미하듯이 초광대역으로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미국 연방


통신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의 정의에 의하면 500 MHz
이상의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는 경우, UWB라고 정의하고 있다. 주파수 대역은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3.1 GHz에서 10.6 GHz 사이를 500 MHz 단위로
쪼개서 채널을 지정하여 사용한다. 또한, 500MHz 2개를 묶어서 1GHz 대역폭을
갖는 채널도 있다. [그림 1]에 UWB 표준에서 정의하는 주파수대역과 채널번호가
나타나 있다. 주파수는 나라마다 다르게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림 1]의 UWB
채널을 모든 나라에서 다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나라별로 사용 가능한
채널이 정해져 있다.

그림 1. UWB 대역과 채널

5
2023년 7월│Monthly Report

■ 국내에서는 UWB를 비면허무선기기로 지정하고 있으며, [표 2]와 같이 ‘신고하지


아니하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에서 UWB 기술기준을
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4.2~4.8 GHz (CH3)와 6.0~10.2 GHz(CH5~CH12)가
할당되어 있으나,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기기의 간섭을 줄이기 위해
4.2~4.8 GHz(CH3), 6.0~7.2 GHz (CH5와 CH6)는 간섭경감대책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실제 사용이 어려우므로 주로 7.2~10.2 GHz 대역인 CH8부터 CH14번까지의
주파수 대역만이 UWB용으로 주로 사용된다.

표 2. 국내 UWB 기술기준

구분 기술기준

4.2~4.8 GHz
주파수 대역
6.0~10.2 GHz

평균전력 -41.3dBm/MHz
전력밀도
첨두전력 0dBm/50MHz

일반적 조건 항공기, 선박, 위성, 모형비행기에의 적용을 금지함

450MHz 이상일 것
주파수대역폭
(1MHz RBW, 10dB 대역폭 기준)

-90dBm/MHz@1GHz 미만
-85dBm/MHz@1~2.7GHz
-70dBm/MHz@2.7~3.735GHz
불요발사 -51.3dBm/MHz@3.735~4.8GHz
-70dBm/MHz@4.8~6GHz
-51.3dBm/MHz@6~10.2GHz
-70dBm/MHz@10.2GHz이상
-61dBm 이상 신호감지할 경우 2초 이내
4.2~4.8 GHz
–70dBm/MHz이하로 저감
간섭대책
Duty 규정적용
6.0~7.2 GHz
실외 기기 금지

부차적 전파발사 -54dBm/MHz이하@사용주파수대역

o 7737 MHz ~ 8236.8 MHz 대역의 UWB 방식을 지원하는 “이동통신용 무선설비의 이동국
송신장치”는 MCC(Mobile Country Code) 등을 적용한 펌웨어에 대한 자체확인서, 10초 이
내에 UWB 기기의 송신 중지기능을 증명하는 시험성적서, ‘신고하지 아니하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 제10조제1항제2호에 대한 “제조자 서약서”를 제출받
아 확인한다.
o 해당 기기 또는 사용자 설명서 등에 “항공기, 선박, 위성, 모형비행기에의 적용을 금지한다.”는
문구가 기재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고시 제2023-18호, 신고하지 아니하고 개설할 수 있는 무선국용 무선설비의 기술기준

6
2023년 7월│Monthly Report

■ [표 2]의 국내기술기준에 따르면 UWB는 항공기, 선박, 위성 등 이동체에서는 전파


간섭의 우려로 사용할 수 없다. 스마트폰이나 UWB 기기는 사람이 휴대하고
항공기나 선박에 승선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에 장착된 UWB기기는
[표 2]의 아래와 같은 기술기준을 추가로 만족해야 한다. 즉, 항공기, 선박 등에 UWB
기능이 탑재된 스마트폰은 국내 영역을 벗어나 다른 나라로 이동할 경우 이동
통신망으로 이를 확인하여 사용을 멈추는 MCC(mobile country code) 기능을
가져야 한다. 국내에서는 스마트폰에 UWB 도입될 때 MCC 기능이 허용되는
주파수로 9번 채널(7,737 MHz~8,236.8 MHz)만을 지정하여 사용하도록 하였다가,
2022년 UWB 기술의 활성화를 위해서 스마트폰에서도 6.0~8.8GHz를 사용할 수
있도록 주파수를 확대한 바 있다.

2.2 UWB 출력

■ UWB 기술기준에서 주파수와 함께 전력밀도도 중요한 파라미터이다. UWB 도입


초기에는 UWB 평균전력1)밀도(average power spectral density)의 크기가 –41.3dBm/
MHz이며, 이 값이 잡음 레벨 정도로 매우 작다는 것만이 부각되어 UWB기기가 타
무선기기에 간섭을 주지 않는다는 말도 있었으나 이는 약간의 오해가 있는 표현이다.

■ UWB의 출력 전력은 전력밀도로 표현되는데, UWB 전력밀도는 평균전력밀도와


첨두전력2)밀도(peak power spectral density)의 2개로 표현되므로 이 2개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 먼저 평균전력밀도를 보자. 평균전력밀도는 1MHz당 –41.3dBm
(=74nW)이므로 500MHz일 경우는 주파수가 곱해져서 –14.3dBm (=37uW)이 된다.
이 값은 1msec 시간 구간 동안의 평균이므로 1msec에 2nsec의 펄스 폭을 갖는 UWB
펄스가 하나만 있다고 가정하면 그림 2와 같이 펄스의 첨두전력은 42.7dBm
(=18W)의 큰 전력값이 될 수 있다. 이는 비록 시간 구간은 작지만 해당 시간구간
동안 타 무선기기에 큰 간섭을 줄 수 있다. 따라서 UWB 기술기준으로 하나의
펄스에서 큰 전력을 사용하는 것을 막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UWB에서는
첨두전력밀도에 대한 규정을 두고 있다. 기술기준에 따르면 첨두전력밀도는
50MHz일 경우 1mW(=0dBm)이므로 500MHz로 변환하면 10mW(=10dBm)가
되므로 평균전력밀도 기술기준 규정에 의해 너무 큰 전력의 펄스를 사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1) 평균 전략(Mean Power) : 정상 동작 상태에서 송신기에 의해 안테나 전송선에 공급되는 전력


2) 첨두 전력(Peak Power) : 변조 포락선의 최고 첨두에서, 무선 주파수의 1주기 사이에 송신기에서 안테나의
급전선에 공급되는 평균 전력

7
2023년 7월│Monthly Report

■ UWB 기술은 반드시 전파법의 기술기준을 만족해야 하므로 평균전력밀도와


첨두전력밀도에 대한 기술기준으로부터 UWB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펄스의 수와
하나의 펄스의 크기가 결정되게 된다. 예를 들어 그림 2와 같이 첨두전력밀도
기술기준에 따라 최대 10dBm의 크기를 갖는 펄스는 평균전력밀도 규정에 따라
1msec 동안 최대 1862개의 펄스가 포함될 수 있다. 반면 펄스의 크기가 더 작다면
더 많은 펄스가 포함될 수 있게 된다. 펄스의 수를 줄이면 전력이 커져 통신 반경이
커지지만, 펄스의 수가 적어지므로 펄스를 통해 송신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은
작아지게 되므로 펄스의 수와 펄스의 크기는 상호 보완(trade-off)의 관계를 갖는다.

그림 2. UWB 펄스 하나의 전력

■ 최신 UWB 표준인 IEEE 802.15.4-2005와 IEEE 802.15.4z-2020에서는 UWB 펄스의


수를 기준으로 그림 3과 같이 LRP(Low Rate Pulse repetition)와 HRP(High Rate
Pulse repetition)로 구분된다. LRP는 HRP보다 출력이 높지만 펄스의 수는 적으며,
HRP는 펄스의 수가 많지만 상대적으로 출력은 낮게 된다. 보통 출력이 높은 경우
RF CMOS IC 설계 시 송신기 설계에 부담될 수 있고 저전력 동작이 어려우므로 최근
관심이 집중되어 스마트폰에 내장된 기술은 HRP UWB 기술이다. 반면, UWB
레이다는 목표물에 반사되는 반사파를 수신해야 하므로 출력이 높아야 한다. 따라서
UWB 레이다에서는 LRP 방식의 UWB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림 3. LRP UWB와 HRP UWB의 펄스특성

8
2023년 7월│Monthly Report

03 UWB 거리측정과 측위

3.1 UWB 거리 측정 원리

■ UWB는 폭이 좁은 펄스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송신펄스를 이상적인 임펄스(Impulse)


신호로 가정할 수 있다. 이제 수신기에는 송신신호가 시간이 지연되어 수신되는 직접파
(LoS: Line of Sight)와 주변 환경에 의한 반사되어 수신되는 반사파(NLoS: Non-Line
of Sight)가 중첩되어 수신된다. 이러한 수신신호는 송신신호가 임펄스 신호이므로
수신신호는 바로 채널의 특성을 나타내는 채널임펄스 응답(CIR: Channel Impulse
Response) 신호가 된다. 직접파는 모든 반사파보다 먼저 수신되므로 CIR의 첫 번째
피크까지의 시간지연이 바로 송신기에서 떠난 전파가 수신기에 도착한 직접파의
도달시간(ToF)이 된다. 이 신호는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거리에 비례하므로 이 시간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면 UWB 송신기와 수신기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림 4. UWB 송신신호의 채널임펄스 응답(CIR)

■ UWB에서 대역폭을 500MHz보다 넓게 사용하여 펄스의 폭을 좁히게 되면 ToF


해상도를 높일 수 있으나, 이는 기술기준의 제약과 실제 구현 시 어려움이 많으므로
주파수를 넓히지 않고 해상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한
방법이 LED(Leading Edge Detection) 알고리즘이다. LED 알고리즘은 여러 개의
펄스를 송신하여 수신된 CIR의 통계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ToF 해상도를 높이는
방법이다. Decawave 등 UWB 칩 제조사들은 거리 해상도를 높이는 방법인 LED
알고리즘 기술을 공개하지 않고 특허로 보호받고 있으므로 후발주자들이 UWB 칩
생산에 뛰어들지 못하는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9
2023년 7월│Monthly Report

■ CIR과 ToF를 안다고 하여 바로 UWB 기기가 다른 UWB 기기와의 거리를 알 수 있는


것은 아니고 TWR(Two Way Ranging)이라는 방법으로 거리를 측정한다. 참고로
GPS는 One Way Ranging이라 부른다. UWB TWR에서 거리 측정을 위해서는 UWB
기기들끼리 CIR을 패킷을 통해 교환하고 이때 시간을 기록할 필요가 있다. [그림 5]와
같이 2개의 UWB기기가 있다면 가정하고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UWB 기기를
Anchor, Anchor에 응답하는 UWB기기를 Tag라 하자. UWB Anchor는 UWB Tag로
메시지를 송신하고 이때 송신 시작시간을 기록한다. 시간 기록은 타임스탬프
(timestamp)라 하는데 시간을 나타내는 문자열을 의미한다. 메시지를 수신한 UWB
Tag기기는 정해진 시간 후에 응답메시지를 보낸다. 이제 UWB Anchor는 이
메시지를 수신한 타임스탬프를 기록한다. 이제 두 UWB 기기 간의 거리는
전파도달시간(ToF)의 1/2이므로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림 5. UWB TWR(Two Way Ranging) 원리

3.2 UWB 측위 원리

■ UWB 기술은 하나의 UWB 기기 간의 거리 측정만을 표준으로 정한다. 따라서 UWB


기술을 [표 1]과 같은 다양한 측위기술에 이용하려면 적어도 위치를 알고 있는
고정된 3개 이상의 UWB 기기로부터 거리를 측정하여 자신의 위치를 삼각법으로
계산하여야 한다. 보통 자동차에는 차의 모서리, 트렁크, 실내를 포함하여 10개
이상의 UWB 기기를 설치하여 스마트키의 위치를 추적한다.

10
2023년 7월│Monthly Report

그림 6. 삼각법에 기반한 UWB 측위과정

■ 복수개의 UWB 기기를 사용할 수 없는 환경,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에서 측위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의 UWB에서 찾고자 하는 UWB기기까지의
거리뿐만 아니라 방향까지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되면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주변의 다양한 UWB 태그의 상대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 하나로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런 목적으로 최근 스마트폰에 내장된 UWB 기기는
방향탐지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그림 7. 거리와 방향 측정에 기반한 UWB 측위과정

■ UWB 측위기술에서 방향측정은 UWB 파형과 크게 상관이 없고 안테나를 기반으로


한 방향탐지 기술이므로 UWB 기술에 맞는 안테나 설계와 방향탐지 알고리즘을
사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방향탐지 알고리즘을 위해서 복수의 안테나를 반파장
(λ/2) 간격으로 배열하는 선형배열안테나나 원형배열안테나를 사용하여야 하지만
스마트폰에 여러 개의 안테나를 배치하는 것은 스마트폰 크기의 문제로 어렵다.
따라서 상용화된 UWB 방향 측정에서는 단지 2개의 안테나만으로 전파의
입사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PDoA(Phase Difference of Arrival)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림 7]에 스마트폰에 3개의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좌우 및 상하 각도를 추정하기 위하여 3개의 안테나가 배치됨을 볼 수 있다.

11
2023년 7월│Monthly Report

04 UWB 산업 동향

4.1 UWB 표준화 및 산업 동향

■ 2002년 산업체는 UWB Eco System을 확대하기 위해 UWB 협의체인 ‘WiMedia’를


구성하였으며, 이때 WiMedia의 주요 목표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무선으로
대체하는 무선 UWB를 만드는 것이었다. 그 당시 UWB가 추구하는 방향인 무선
USB는 Wi-Fi에 밀려 UWB는 2010년 이후 관심을 받지 못했다.

■ UWB가 관심을 받지는 못했지만 WPAN의 사실표준단체는 IEEE에서는 지속적으로


UWB 표준화 활동이 진행되었으며, 2007년에 UWB 표준의 명칭을 IEEE 802.15.4a로
정의하였고 HRP UWB가 표준화되었다. 2012년에는 IEEE 802.15.4f에서 LRP UWB가
표준화되었고, 2015년에는 HRP UWB와 LRP UWB가 하나의 표준으로 통합되었다.
이후 UWB에 관심이 증가되며, 2020년에 보안과 측위 기능이 강화된 IEEE 802.15.4z를
추가로 정의하였다. IEEE 802.15.4z에서는 거리 측정할 때 암호화된 키를 상호
교환하므로써 보완 기능이 강화되어 자동차 등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거리 측정을 여러 번 할 수 있어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그림 8. UWB 표준화 및 산업 동향

12
2023년 7월│Monthly Report

■ UWB는 2019년에 애플이 iPhone11에 UWB 칩을 탑재하여 정밀측위를 활용한


서비스, 근거리 고속통신에 사용하면서 UWB가 다시 관심을 받게 되었고, 이후
다수의 휴대폰 제조사가 UWB를 적용하여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 NXP, Qualcomm, STMicroelectronics 등은 이러한 애플의 전략에 대응하기
위해 UWB 기반 서비스 기술규격, 서비스 시나리오 등을 정의하기 위해 UWB
협의체인 “FiRa(Fine Ranging) Consortium”을 구성하였다. FiRa Consortium은 IEEE
802.15.4z 기술을 활용하여 Use Cases 개발, 상호 호환성 검증, Eco System 확대
등을 추구하고 있다. FiRa Consortium은 UWB 정밀측위(수 cm 이하)를 활용한
서비스 구현에 중점을 두고 있다.

■ FiRa Consortium에서는 UWB 응용을 Smart Cities & Mobility, Smart Building &
Industrial, Smart Retail, Smart Home & Consumer의 4가지로 정의하고 있다.

- Smart Cities & Mobility : 주차장에 차량이 진입할 때 문을 자동으로 열리게 하거나
자율주행차가 주변 사물과 통신하는 경우

- Smart Building & Industrial : 회사직원이 출입문에 접근할 때 문을 자동으로 열리게


하거나, 병원에서 환자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경우

- Smart Retail : 매장에서 고객의 동선을 추적하여 고객의 행위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드론으로 상품을 배송하는 경우

- Smart Home & Consumer : 가정에서 근접 거리에 있는 가족끼리 AR(Augmented


reality)이나 VR(Virtual Reality)을 활용한 게임과 근거리에 있는 친구 찾기하는 경우

■ FiRa Consortium과는 별도로 UWB를 활용한 기능 개발을 위해 다수의 업체는


2018년에 “UWB Alliance”를 구성하기도 했다. 초기 UWB Alliance가 추구하는
방향은 고속통신이었으나 차츰 정밀측위를 활용한 서비스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 애플은 자체 UWB 칩을 개발하고 있으며, 초기에는 Qorvo가 인수한 Decawave 칩을


기반으로 U1 칩을 개발했다. Apple U1 칩은 대부분 Decawave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나 Decawave 칩 대비 크기가 작고, 전력소모가 적다. 현재, Qorvo, NXP,
Qualcomm, STMicroelectronics 등이 UWB 칩을 판매하거나 개발 중에 있고,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UWB 칩을 개발하는 회사가 많아지고 있다. 2025년
기준으로 한 UWB 칩 시장의 예측 자료에 의하면 UWB 칩은 스마트폰에 절대적으로
많이 적용하고, 그 다음은 Automotive Access로 대부분 자동차 Digital Key에
적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스마트폰과 차량 이외에도 시장은 작지만 Consumer
Tag와 Consumer Wearable에도 적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13
2023년 7월│Monthly Report

■ 애플은 iPhone에서 UWB 측위 기반의 주변장치와 UWB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로


애플 디바이스 간 정보 공유, 친구찾기, 게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애플은 근접위치의 정밀측위를 활용하여 차량용 Digital Key를 개발 중이다. 애플은
근접 위치에서 iPhone, iPad, iPod, MAC 등 애플 디바이스 간에 간단한 동작으로
상호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AirDrop’ 서비스를 위해 UWB를 활용하고 있다. 기존
AirDrop은 Wi-Fi나 블루투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애플은 iPhone과 연동되는 소형의
디바이스인 ‘AirTag’에 UWB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AirTag는 보통 다른 사물에
부착하여 분실방지, 사물찾기 등을 목적으로 하며, 기존에는 주로 BLE를 사용했다.
이러한 AirTag에 UWB을 적용하면, iPhone에서 AirTag가 있는 위치(거리, 방향 등)를
파악할 수 있어서 쉽게 AirTag를 찾을 수 있다.

■ 삼성도 근접거리에서 데이터를 공유하는 “Nearby Share”, 기존 BLE 기반의 Smart


Tag에 UWB가 적용된 ‘SmartTag+’를 출시했다. 또한 삼성은 NXP의 UWB 칩을
기반으로 자동차용 Digital Key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삼성은 NXP사 기술로 Digital
Key를 개발하고 있는데, NXP사는 UWB 칩뿐만 아니라 NFC, SE 등의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어서 쉽게 Digital Key로 확장할 수 있다.

■ Digital Car Key 관련, 주로 휴대폰과 차량 간 연동기술을 정의하는 단체인 CCC(Car


Connectivity Consortium)는 휴대폰을 자동차 키로 활용하는 “Digital Key” 기술과
Use Cases를 정의하고 있다. 기존에 CCC는 Digital Key로 휴대폰과 차량 간 통신을
NFC(Near Field Communication)로 정의했는데, UWB가 휴대폰에 탑재되면서
UWB를 주된 통신방식으로 정의했다. CCC가 정의하는 Digital Key는 휴대폰과
차량에 저장되는 Key 관리, 사용자 인증, 자동차 문 열기와 닫기, 차량 시동걸기,
Digital Key 공유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4.2 UWB 미래 전망

■ 미래 UWB 기술 표준을 위해 IEEE 802.15.4ab에서는 UWB 기술 자체의 진화뿐만


아니라, 다른 무선기술과의 융합, UWB의 채널 환경변화를 이용한 센서로의 활용 등
미래의 UWB 기술에 대한 표준을 논의 중에 있는데 현재 논의되고 있는 주요 표준화
아이템은 다음과 같다.

14
2023년 7월│Monthly Report

- multi-millisecond UWB와 같은 새로운 거리 측정 기술을 도입하여 거리 측정


성능향상

- 고속 데이터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향상된 데이터 전송 기능

- 개선된 링크 버젯(link budget)과 주파수 공동사용(coexistence)을 위해 협대역


(narrowband, NB)을 지원하는 UWB. 이때 UWB에 밀접하게 결합된 협대역 신호가
UWB 채널의 브로드캐스트 등에 사용

- UWB CIR 변화를 이용하여 주변 상황을 센싱하는 응용을 위한 표준

■ [그림 9]은 IEEE 802.15.4ab에서 논의 중인 센싱과 측위 기능이 포함된 UWB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홈에 대한 서비스 개념도이다. TV, 셋탑, 스피커 등이 서로 연결되어
서로의 위치를 알 뿐만 아니라 사람이 있는 위치를 파악해 해당 사람에게 최적의
영상과 음성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그림 9. UWB 센싱 기능을 이용한 스마트홈 상상도

출처 : Towards Next-generation ultra-wideband technology

15
2023년 7월│Monthly Report

05 결론
■ 본 고에서는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UWB 기술을 핵심원리부터 최신 응용까지
살펴보았다. 먼저, UWB 주파수와 국내기술기준을 살펴보고, 이러한 기술기준을
바탕으로 다양한 UWB 기술의 특징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UWB에서는 TWR을
이용한 거리 추정 방법과 거리 추정 정확도를 높이는 것이 UWB 기술의 핵심임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UWB 방향탐지를 포함한 측위기술의 원리를 살펴보고, UWB
표준화 동향과 산업체 동향을 다양한 응용 사례와 함께 살펴보았다.

■ UWB 기술은 학계나 연구계보다는 애플, 삼성 등 글로벌 IT업체와 글로벌 자동차


업체 등 산업체가 중심이 된 FiRa 컨소시엄, CCC 등이 주도하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발전과 규모의 경제가 예상된다. UWB 기술의 미래는 UWB 성능 극복을 위한 UWB
기술 자체의 진화뿐만 아니라, Bluetooth등 다른 무선기술과의 융합, UWB의 채널
환경변화를 이용한 센서로의 활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고 있다.

■ UWB 기술은 다른 무선통신기술에도 영향을 주어 Wi-Fi나 Bluetooth 등에서도 UWB의


장점인 거리 측정 정확도에 대항할 수 있는 노력을 하도록 하고 있다. 향후 무선통신
기반 거리 측정 기술은 다양한 무선기술에서 새로운 시도가 많이 진행될 것으로
사료된다.

■ 향후 UWB 기술은 스마트폰과 자동차를 중심으로 스마트 공장, 스마트 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되며, 미래에는 UWB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위치기반서비스가 출현할 것으로 전망된다.

■ 장병준 [교수]
-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수 (2005~현재)
- 에너지-IT 융합연구센터(ITRC)장 (2009~14)
- 삼성미래기술육성 측위과제 수행 중 (2018~현재)
- LG전자, ETRI, IITA 선임연구원
- 관심분야: 무선통신, RF기술, 주파수 정책, 측위기술, IoT

16
2023년 7월│Monthly Report

참고문헌

[1] 장병준, UWB 측위기술의 원리 및 동향, 한국전자파학회 논문지, 2022년1월

[2] 김현욱, 임종태, UWB 기술과 응용 분야, 주간기술동향 2021년 4월

[3] Aniruddh Rao Kabbinale, Ankur Bansal, Karthik Srinivasa Gopalan, Towards
Next-generation ultra-wideband technology, COMSNETS 2023 Workshop on
Standards-driven Research. 2023

[4] 김창진, 한병근, 이준영, 정선우, 장병준, “UWB 통신을 이용한 센서 응용: 자동차 내 좌
석 탑승 감지,”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Apr.. 2023.

[5] Decawave, DW1000 User Manual, Version 2.11, Dublin, UK, 2017.

17
부록
꼭!!
☞ 위치정보사업자 등이 알아야 할 법규 준수 점검사항

1. 개인위치정보 사업자
2. 사물위치정보 사업자
3.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2023년 7월 2호│Weekly Trend
발 행 일 2023년 7월 31일
발 행 및 편 집 한국인터넷진흥원 개인정보보호본부 이용자보호단 위치정보팀
주 소 전라남도 나주시 진흥길 9 한국인터넷진흥원 Tel 1544.5118
▶ 본지에 실린 내용은 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므로, 우리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 KISA Report의 내용은 무단 전재할 수 없으며, 인용할 경우 그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