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5

G E N E R A L P H Y S I C S L A B O R A T O R Y E X P E R I M E N T S

제3판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사구시의 물리학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물리교재연구실 편


실사구시(實事求是)

실사구시(實事求是)란 한서(漢書) 하간헌왕전(河間獻王傳)에 등장하는 고사성어(故事成語)


이다. 한(漢)나라의 경제(景帝)에게는 유덕(劉德)이라는 아들이 있었는데, 유덕은 하간(河
間)에 봉하여져 하간왕이 되었다. 이 당시는 진시황(秦始皇)의 분서갱유(焚書坑儒)에 의해
좋은 책을 찾아보기가 어려웠는데, 하간왕 유덕은 책을 좋아하여 비싼 값을 치르고 책을
수집하였다. 세간(世間)에는 하간왕이 학문을 즐긴다는 말이 나돌아 많은 사람이 그에게
책을 바쳤고, 학자들은 하간왕과 학문을 논하며 그 결과를 정리하기도 하였다. 한무제(漢
武帝)가 즉위한 후, 사람들은 그를 가리켜 ʻʻ학문을 닦고 옛 책을 좋아하며, 항상 사실로부
터 옳은 결론을 얻어낸다(修學好古, 實事求是)ʼʼ라고 말했다.

즉, 실사구시라 함은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손으로 만져보는 등 실험과 연구를 거쳐 정확


한 판단을 하고 해답을 구하려는 자세이다.

조선시대의 실학(實學)은 관념적 성리학(觀念的 性理學)의 반동으로 유학을 재해석하려는


실사구시를 중심사상으로 하여, 실용지학(實用之學)을 학문 연구의 대상과 내용으로 하였
고, 경세치용(經世致用)을 학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었다.
신성한 호기심을 절대로 잃지 말자.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Verliere niemals die heilige Neugier - Albert Einstein

자연이 어떠함을 밝혀내는 것이 물리학의 임무라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 물리학의 임무는 오히려 우리가 자연에 대해 무엇을 이야
기할 수 있는가를 찾아내는 것이다. - 닐스 보어

Es ist falsch zu denken, es wäre Aufgabe der Physik herauszufinden,


wie die Natur beschaffen ist. Aufgabe ist vielmehr, herauszufinden,
was wir über die Natur sagen können - Niels Bohr
머리말
머리말

이 『실사구시의 물리학』은 이공계대학에서 일반물리학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을

위한 실험교재로, 2004년의 초판, 2014년 발간된 제2판을 바탕으로 최근 개편된 일

반물리학 강의 내용을 반영하여 수정 및 보완한 세 번째 버전이다. 주요 수정 부분은

1학기 실험 내용 중 ‘금속의 선팽창계수 측정’과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의 실험이 ‘마

찰계수’와 ‘운동량 및 에너지 보존’의 실험으로 대체된 것과 일부 실험의 순서를 조정

한 것이며, 그 외 일부 실험제목의 간소화 및 실험 내용 및 일부 그림의 보완작업이

추가된 것이다.

책의 내용에서는 최근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디지털 방식의 실험을 다수 포함

하여 다각도로 변화하고 있는 교육환경을 최대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선택한 실험의

수준과 종목은 지나치게 사전준비가 많이 필요하거나, 안전사고가 우려되는 것들을


피하면서 일반물리학 교과내용의 이해와 실험에 대한 감각을 함양하는 데 적합한 것

들로 선정하였다.

디지털 방식의 실험은 기기동작의 많은 부분이 컴퓨터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데이터의

정리와 분석을 위한 시간을 더 가질 수 있고,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기기의 제어를 경험해

본다는 점에서 권장할 만하다. 하지만 실험자가 실험기기의 동작원리를 이해하고 데

이터 수집과 분석에서의 합리적인 방법을 모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아날로그 방식이

가지는 장점을 대체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기에, 일부 아날로그 방식의 실험내용을 포

함시켰다.

서론에서는 물리실험의 목적과 오차론 및 실험 데이터의 도시적 해석방법을 간단


히 다루었다. 오차론은 데이터의 분석에서 매우 중요하므로 꼭 숙지해 주기를 바란

다. 본 교재에서 다루고 있는 실험종목은 현재 한양대학교 일반물리학 이론 과목에서


다루고 있는 것들로 구성되었으며, 역학 ․ 물성 ․ 파동 ․ 전자기학 ․ 광학 ․ 현대물리 분야

를 아우르고 있다.

각 실험마다 기본 배경 원리, 장치의 구성, 사용방법 및 데이터 측정. 분석 내용에 대하

여 소개하고 있다. 기본 원리는 책의 분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꼭 필요

한 부분만을 소개하고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일반물리 교재를 비롯한 물리학 서적들을 참

고해 주기 바란다. 실험 수행에 대하여는 본 교재에 대한 충분한 예습이 있다면 담당교수


나 조교의 별도의 설명이 없이도 스스로 진행할 수 있을 정도로 기술하였다. 각 실험

종목의 마지막 부분에 주어진 사항들에 대하여 추가적으로 깊이 생각하는 기회를 가

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 실험당 소요되는 시간은 100분 이내가 되도록 구성하였으

며, 가능하면 데이터의 분석까지 이 시간 내에 마무리될 수도 있다.

『실사구시의 물리학』제3판이 출간되기까지 수고해 준 집필진과 실험담당 조교들


모두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2017년 1월

편집위원 일동
차 례

Ⅰ. 서 론 1. 목적 ······················································ 43
2. 기기 및 장치 ······································· 43
3. 이론 ······················································ 43
1. 물리학실험의 목적 ····························· 17
4. 실험 방법 ············································ 47
(1) 실험교과서의 목적 ······················ 18
5. 연습문제 ·············································· 51
2. 오차 ······················································ 18
(1) 서론 ··············································· 18
(2) 유효숫자 ······································· 19 측정 2. 오실로스코프의 기본원리와 작동법
(3) 오차의 분류 ································· 21 ·························································· 54
(4) 확률오차 ······································· 23 1. 목적 ······················································ 54
(5) 백분율 오차 ································· 28 2. 기기 및 장치 ······································· 54
(6) 오차의 전파 ································· 28 3. 이론 ······················································ 54
(7) 계통오차가 존재할 때의 확률오차 (1) 음극선관 ······································· 55
·················································· 29 (2) 파형이 나타나는 이유 ················ 58
3. 데이터의 도시적 해석 ······················· 29 (3) 오실로스코프의 기본구성 및 동작
(1) 도시적 표현의 중요성 ················ 30 ···················································· 60
(2) 그래프의 종류 ······························ 30 4. 실험 방법 ············································ 70
(3)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 32 (1) DataStudio 프로그램 설치 ········· 70
(4) 곡선의 형태 ································· 32 (2) 기기 및 장치 설치와 측정 ········· 70
(5) 직교좌표 그래프용지에 도시하기
5. 참고 ······················································ 71
위한 특수한 규칙 ························· 33
6. 연습문제 ·············································· 72
(6) 그래프의 분석과 해석 ················ 35
(7) 직교좌표 그래프용지 이외에 그린
그래프 ············································ 37
(8)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직선 맞추기 1~2학기 실험
·················································· 38

실험 1 중력 가속도 ······································ 79
1. 실험 기구 ············································ 79
Ⅱ. 기본측정 2. 실험 목적 ············································ 79
3. 실험 이론 ············································ 79

측정 1. 멀티미터의 사용법 ······················ 43 4. 실험 방법 ············································ 80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80
차 례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82 2. 실험 목적 ········································ 102


4-3. 데이터 수집 ······························· 82 3. 실험 이론 ········································ 102
4-4. 데이터 분석 ······························· 83 3-1.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 ······ 102
5. 실험 결과 및 토의 ····························· 83 3-2. 충돌과 운동량 보존 법칙 ······ 103
3-3. 탄동진자 ·································· 104

실험 2. 포사체 운동 ··································· 85 4. 실험 방법 ·········································· 106

1. 실험 기구 ············································ 85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106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107
2. 실험 목적 ············································ 85
4-3. 데이터 측정 ····························· 109
3. 실험 이론 ············································ 85
4-4. 데이터 분석 ····························· 109
4. 실험 방법 ············································ 88
4-5. 주의 사항 ································ 109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88
5. 실험 결과 및 토의 ··························· 110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89
5. 실험 결과 및 토의 ····························· 90
실험 5. 원 운동과 구심력 ·························· 112
1. 실험 기구 ·········································· 112
실험 3. 마찰계수 ········································· 92
2. 실험 목적 ·········································· 112
1. 실험 기구 ············································ 92
3. 실험 이론 ·········································· 112
2. 실험 목적 ············································ 92
4. 실험 방법 ·········································· 113
3. 실험 이론 ·········································· 92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113
3-1. 마찰력 ········································ 92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116
3-2. 마찰계수 ···································· 94
4-3. 데이터 측정 ····························· 119
3-3. 비탈면에서 마찰계수 결정 ······ 95
4-4. 데이터 분석 ····························· 119
4. 실험 방법 ············································ 96
5. 실험 결과 및 토의 ··························· 121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96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97
4-3. 데이터 측정 ······························· 98 실험 6. 빛의 전파와 역제곱 법칙 ·········· 123
4-4. 데이터 분석 ······························· 99 1. 실험 기구 ·········································· 123
5. 실험 결과 ·········································· 100 2. 실험 목적 ·········································· 123
3. 실험 이론 ·········································· 123

실험 4. 운동량 및 에너지 보존 ·············· 102 4. 실험 방법 ·········································· 125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125
1. 실험 기구 ·········································· 102
차 례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126 5. 실험 결과 및 토의 ··························· 145


4-3. 데이터 수집 ····························· 127
4-4. 데이터 분석 ····························· 127
실험 9. 관의 공명 ····································· 147
5. 실험 결과 및 토의 ··························· 129
1. 실험 기구 ·········································· 147
2. 실험 목적 ·········································· 147
실험 7. 관성 모멘트 ··································· 130
3. 실험 이론 ·········································· 147
1. 실험 기구 ·········································· 130
4. 실험 방법 ·········································· 149
2. 실험 목적 ·········································· 130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149
3. 실험 이론 ········································ 130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150
3-1. 관성모멘트와 토크 ················· 130
4-3. 데이터 측정 ····························· 150
3-2. 실험을 통한 관성모멘트의 측정
4-4. 데이터 분석 ····························· 151
·················································· 132
5. 실험 결과 ·········································· 153
4. 실험 방법 ·········································· 133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133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134 실험 10. 등전위선과 전기장 ··················· 154
4-3. 데이터 측정 ····························· 134 1. 실험 기구 ·········································· 154
4-4. 데이터 분석 ····························· 135 2. 실험 목적 ·········································· 154
5. 실험 결과 및 토의 ··························· 136 3. 실험 이론 ·········································· 154
4. 실험 방법 ·········································· 156
실험 8. 물리 진자 ····································· 138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156

1. 실험 기구 ·········································· 138 5. 실험 결과 및 토의 ··························· 157

2. 실험 목적 ·········································· 138
3. 실험 이론 ·········································· 138 실험 11. 휘트스톤 브리지 ······················· 159
3-1. 물리진자의 운동방정식 ·········· 138 1. 실험 기구 ·········································· 159
3-2. 단조화 운동 ····························· 140 3. 실험 이론 ·········································· 159
3-3. 물리진자의 주기 ····················· 141 3-1. 저항과 비저항 ························· 159
4. 실험 방법 ·········································· 142 3-2. 키르히호프 법칙 ····················· 160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142 3-3. 휘트스톤 브리지 ····················· 161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143 4. 실험 방법 ·········································· 163
4-3. 데이터 측정 ····························· 144
5. 실험 결과 ·········································· 164
4-4. 데이터 분석 ····························· 144
차 례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186


실험 12. 축전기의 충방전 ······················· 166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186
1. 실험 기구 ·········································· 166
4-3. 데이터 측정 ····························· 186
2. 실험 목적 ·········································· 166
5. 실험 결과 ·········································· 188
3. 실험 이론 ·········································· 166
3-1. 축전기란? ································ 166
3-2. 축전기의 충전 ························· 167 실험 15. 전류 주위의 자기장 ················· 189

3-3. 축전기의 방전 ························· 168 1. 실험 기구 ·········································· 189

4. 실험 방법 ·········································· 170 2. 실험 목적 ·········································· 189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170 3. 실험 이론 ·········································· 189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171 3-1. 직선도선이 만드는 자기장 ···· 189
4-3. 데이터 측정 ····························· 171 3-2. 원형도선이 만드는 자기장 ···· 191
5. 실험 결과 ·········································· 173 3-3. 솔레노이드의 자기장 ············· 192
4. 실험 방법 ·········································· 193
4-1.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193
실험 13. 음극선의 편향 ··························· 177
4-2. 데이터 측정 ····························· 193
1. 실험 기구 ·········································· 177
4-3. 데이터 분석 ····························· 197
2. 실험 목적 ·········································· 177
5. 실험 결과 ·········································· 198
3. 실험 이론 ·········································· 177
4. 실험 방법 ·········································· 179
실험 16. 빛의 반사와 굴절 ····················· 201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179
1. 실험 기구 ·········································· 201
5. 실험 결과 ·········································· 182
2. 실험 목적 ·········································· 201
3. 실험 이론 ·········································· 202
실험 14. 상호유도에 의한 유도기전력 ·· 183
3-1. 빛의 반사와 굴절 ··················· 202
1. 실험 기구 ·········································· 183
3-2. 임계각과 전반사 ····················· 203
2. 실험 목적 ·········································· 183
3-3. 횡적 변위 ································ 203
3. 실험 이론 ·········································· 183
4. 실험방법 ············································ 204
3-1. 렌츠의 법칙 ····························· 183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204
3-2. 패러데이의 법칙 ····················· 184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205
3-3. 상호유도 ·································· 184
4-3. 데이터 측정 ····························· 206
3-5. 2차 코일의 유도기전력 ········· 185
4-4. 데이터 분석 ····························· 207
4. 실험 방법 ·········································· 186
차 례

5. 실험 결과 ·········································· 209 5. 실험 결과 ·········································· 223


5-1. 평면판의 경우 광선의 경로 측정 5-1. 단일슬릿 ································ 223
실험 ·········································· 209 5-2. 이중슬릿 ·································· 224
5-2. 임계각 측정 실험 ··················· 209
5-3. 횡적 변위의 측정 실험 ·········· 209
실험 18. 회절격자 ···································· 225
1. 실험 기구 ·········································· 225
실험 17. 빛의 회절과 간섭 ····················· 211 2. 실험 목적 ·········································· 225
1. 실험 기구 ·········································· 211 3. 실험 이론 ·········································· 225
2. 실험 목적 ·········································· 211 3-1. 회절격자란? ····························· 225
3. 실험 이론 ·········································· 211 3-2. 회절격자 실험 ························· 226
3-1. 빛의 회절과 간섭 ··················· 211 4. 실험 방법 ·········································· 227
3-2. 단일슬릿 실험 ························· 213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227
3-3 이중슬릿 실험 ·························· 214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228
4. 실험 방법 ·········································· 216 4-3. 데이터 측정 ····························· 229
4-1. 기기 및 장치 설치 ················· 216 4-4. 데이터 분석 ··························· 229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219 5. 실험 결과 ·········································· 233
4-3. 데이터 측정 ····························· 220 5-1. 광원의 파장측정 ····················· 233
4-4. 데이터 분석 ····························· 220 5-2. 미지격자의 격자상수측정 ······ 233
I
서 론

1. 물리학 실험의 목적
2. 오차
3. 데이터의 해석 방법
1 물리학 실험의 목적

물리학은 자연현상에 대한 지식의 체계이며 또한 자연을 탐구하는 방법이다. 지식


의 체계는 많은 물리적인 사실에 기초를 두며, 탐구 방법으로 사용되는 도구들은 합
리적인 사고와 실험 과정들이다. 학생들이 일반물리학을 공부하면서 물리학의 기본원
리와 탐구 방법을 쉽게 찾기 위해서는 실험실에서 얻는 경험이 큰 역할을 한다.

실험의 주된 목적 중의 하나는 학생들에게 자연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직접 경험하


게 하는 데에 있다. 학생들은 이미 교과서나 강의시간을 통해 이러한 현상들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 대부분은 ʻʻ직접적인 경험ʼʼ이라는
의미는 아닐 것이다. 예를 들어 실험실에 가서 자유낙하 실험장치로부터 가속도를
측정할 때 비로소 중력가속도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을 얻게 된다. 기초적인 경험지
식은 물리학을 깊이 이해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이것이 없으면 학생들은 특별한 결
론들이 어떤 신비스러운 방법으로 주어진 법칙으로 착각하고, 복잡한 수식에 대한
지식적인 훈련이 물리학이라는 인상을 갖게 된다. 물리학에 대한 이와 같은 태도는
확실히 잘못된 것이며 아마 위험천만한 일이 될지도 모른다.

둘째로, 물리학이 합리적인 사고와 실험진행에 필요한 장치들을 모두 도구로 사용하는


탐구방법이라는 사실에 또한 실험의 중요성이 있다. 어떤 실험과정을 완전하게 이해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직접 실험을 해보는 것이다. 이 목적은 학생들 스스로 몇몇 간단한 실
험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도록 경험해 보게 함으로써 가장 잘 성취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
로써 학생들은 많은 실험기구들에 익숙해지게 될 것이다. 학생들은 이상적인 대상물이 아
닌 실제의 장치들을 다루어 보아야 하며, 측정범위, 정밀도, 감도 등에 있어서 장치들의
한계를 접해보아야 한다. 이러한 한계에 기인한 오차는 장치를 사용할 때에 반드시 발생한
다. 학생들은 반드시 이러한 오차를 고려하여 실험결과를 얻어야 한다. 따라서 오차분석은
필수적인 것이며, 모든 훌륭한 실험을 수행함에 있어서 어려운 과정이다. 그것은 실험에서
꼭 거쳐야 할 것 중의 하나이다.

I. 서 론 17
(1) 실험교과서의 목적

이 일반물리학실험 교과서는 학생들이 실험실에서의 시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도


움을 주기 위해 쓰여진 것이다. 실험장치의 취급법과 실험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
며, 초보자라도 실험장치들을 손상시키지 않고 원활히 실험을 진행할 수 있도록 그림과 도
표를 통해서 표시하였다. 학생들이 실험을 진행하는 데는 몇 가지 선택적인 방법이 있겠으
나 같은 시간·장소에서 같은 실험장치에 의해 행해진 실험은 같은 결과에 도달하여야
함을 인식해야 한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과 지침이 잘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해가 미흡한 상태에서


사고를 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실험을 진행한다면 이 교과서를 잘못 사용하고 있는 것
이다. 반면, 제한된 시간, 장소 그리고 장치를 갖고 있는 실험환경에서도 적극적으로
사고하고 의미있는 성과를 얻으려고 하는 진지한 학생들에게는 훌륭한 실질적인 지
침서가 될 것이다.

2 오차

(1) 서론

실험실에서는 어떤 물리량의 측정 작업이 수행되고 이들 측정치들로부터 분석을


거쳐 결론이 얻어지게 된다. 그러나 절대적으로 정확한 측정은 불가능하므로 측정치
들의 오차를 검토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결론을 얻는 것이 바람직스러울 때가 많다.

실험실에서 기체의 압력과 부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실험을 하고 이 결론으로부터


부피가 압력에 반비례한다는 법칙을 얻었다고 하자. 이 실험은 절대적으로 이 법칙이
정당하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아니고, 실험의 정확성에 의해서 결정된 어떤 한계
내에서만 그 법칙이 옳다는 것을 증명해 줄 뿐이다. 이 법칙으로부터 약간의 이탈은
언제나 발견되는데, 이로 인해 이 법칙이 어느 정도 정확한 것인지를 반드시 지시해

18 실사구시의 물리학
주어야 하고, 또 이탈이 피할 수 없는 실험오차로부터 기인되는 것인지를 결정해 주
어야 한다. 이 실험에서 결정적인 이탈이 발견되지 않을지라도 더욱 정밀한 장치에
의한 측정을 하여보면 측정된 법칙은 진실에 가까운 근사치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유효숫자

표 1. 나무토막의 크기.

측정회수 길이,  폭,  두께, 


1 10.78 ㎝ 8.21 ㎝ 3.57 ㎝
2 10.80 8.22 3.52
3 10.75 8.20 3.58
4 10.73 8.21 3.53
5 10.78 8.22 3.55
평균치 10.77 8.21 3.55

표 1은 나무토막의 길이  , 폭  , 두께  에 대한 각각 5회의 측정치를 기록한 것


이다.  의 첫 번째 측정치는 3.57 ㎝인데 처음 두 수는 확실한 것이지만 세 번째 수
7은 의문시된다. 그러나 7은 의문시되지만 어떤 의미를 갖고 있다. 정확한 값이 5와
9 사이에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것이 합리적이므로, 측정치는 세 자리의 유효숫자를
갖고 있다. 소숫점의 위치는 유효숫자의 수와는 관계가 없다. 3.57 ㎝, 35.7 ㎝ 또는
0.0357 m로 쓰더라도 모두 3개의 유효숫자를 갖는다. 소숫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
도로만 사용된 0은 유효숫자가 아니다. 그러나  의 세 번째 측정치 8.20에서의 0은
유효숫자이다. 따라서 이 0을 생략해서는 안된다.

 의 각 측정치들은 모두 3개의 유효숫자를 갖고 있으며, 이 측정치들의 세 번째 유


효숫자에는 상당한 편차가 있기 때문에 3개의 유효숫자들은 평균치를 표시하는 데에
만 쓰여져야 한다.  의 측정치들을 평균하면 8.212이지만 이 경우에도 유효숫자는

I. 서 론 19
3자리이므로 8.21이라고 적게 된다.

 를 8.212라 하고  를 곱하면 313.9735020 ㎤이지만 이 값이 정확하게 나무


토막의 부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 값은 단순히 계산에 의해서 구해진 것이지
진실치로부터는 먼 값이다. 즉 측정치들 중의 어느 하나가 갖는 1%의 오차는 결과에
서 1%의 오차를 야기시킬 것이므로 그 부피는 측정치들 중의 가장 부정확한 값보다
더 정확한 정도로 결정될 수는 없다.

유효숫자에 대한 엄격하고 신속한 계산 법칙을 만드는 것은 어려울지라도 일반적으로


곱셈과 나눗셈의 결과는 측정치들 중 가장 부정확한 측정치와 같은 수의 유효숫자를
가져야 한다고 말해도 된다. 즉, 나무토막의 부피는 314 ㎤로 기록되어야 한다.

그러나 덧셈과 뺄셈의 경우는 전혀 다르다. 길이가 20℃에서 126.73 ㎝인 어떤 금속


126.73 ㎝+0.2138 ㎝=126.94 ㎝이다. 0.2138 ㎝의 3과 8이 더해져야 할 수들은 알려
져 있지 않으므로(이들이 0이라고 믿을만한 이유는 없다) 합은 소숫점 이하 두 자리만 알
려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위의 예로부터 덧셈이나 뺄셈에서는 계산을 위해 수들을 자리 수
에 맞춰 세로로 배열하였을 때 어떤 세로줄에 있는 수가 하나라도 신뢰성이 없을 경
우에는 그 세로줄에 해당하는 답도 역시 신뢰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유효숫자의 중요성 때문에 일반적으로 물리에서는 십진법의 지수를


사용하여 숫자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나무토막의 길이가 1200 ㎜이라고 적는다면
이중에 유효숫자가 몇 자리인지 알기가 어렵다. 만약 유효숫자가 두 자리라면 나무토
3
막의 길이는 1.2×10 ㎜라고 적어야 혼동이 없다. 앞의 예로 돌아가자면,  를 곱
2
한 값은 십진법의 지수를 쓰면 3.14×10 ㎤가 가장 정확한 표현이다. 실험결과보고
서를 작성할 때 이 점을 주의하기 바란다.

이 절의 마지막으로 반올림에 대한 언급을 하고자 한다. 앞의 덧셈에서 우리는

20 실사구시의 물리학
0.0038 ㎝를 덧셈의 결과로부터 버렸다. 반올림에 대한 국제적인 약속은 다음과 같
다.

1) 유효숫자 다음의 자리수가 1/2보다 크면 마지막 유효숫자를 1만큼 증가시킨다.


2) 유효숫자 다음의 자리수가 1/2보다 작으면 마지막 유효숫자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3) 유효숫자 다음의 자리수가 1/2이면 마지막 유효숫자가 홀수인 경우에 한해 1만
큼 증가시킨다.

3)은 잘 지켜지는 편이 아니다. 이 약속에 의하면 1.245와 1.235는 마지막 자릿수를 반


올림할 경우 두 경우 모두 1.24가 되는데, 이렇게 하면 두 값을 더한 값 2.480을 반올림
한 값이 반올림을 하고 더한 값과 같지만, 이 약속을 지키지 않으면 반올림을 하고 더
한 값이 더하고 반올림을 한 값보다 0.01만큼 크게 된다.

(3) 오차의 분류

측정치가 진실치보다 크게 측정될 때의 오차를 양의 오차, 작게 측정될 때의 오차를 음


의 오차라고 한다. 오차는 일반적으로 계통오차와 우연오차로 분류될 수 있다. 계통오차는
항상 같은 부호의 오차를 만든다. 우연오차는 양의 오차와 음의 오차가 균등하게 존재할
수 있는 오차이다. 계통오차는 기기오차, 개인오차 그리고 외적 오차로 세분된다. 기기오
차는 실험기기의 결함이나 부정확성에 의해 생기는 오차이다. 개인오차는 측정자의 어떤
특성이나 편견에 의해 발생하고, 외적 오차는 외적 조건인 바람, 온도, 습도, 진동 등
에 의해 발생한다.

이들 여러 가지 종류의 오차들을 더욱 잘 이해하기 위해 한 가지 특수한 실험에서


발생되는 오차들을 공부해 보기로 하자. 이 실험에서 서로 떨어져 위치한 두 측정자
들은 소리의 속도를 구하기 위하여 총소리가 그들 사이를 진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권총 한 자루와 1/20초용 초시계를 사용한다. 첫째 측정자가 권총을
쏘고 둘째 측정자가 총구의 화염을 관찰한 후부터 총소리가 본인에게 도달하는데 걸

I. 서 론 21
리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초시계를 사용한다. 이 간단한 실험은 위에 열거한 모든
오차들의 예로 이용될 수 있다. 오차의 근원을 밝히고 이들 오차를 분석하면 각각의
오차를 이의 고유한 분류로 구분할 수 있다.

1) 계통오차

① 기기오차

초시계가 이 실험에서 측정에 사용되는 유일한 기기이므로, 모든 기기오차는 이 시


계의 결함으로부터 발생되는 것이어야 한다. 결함이 있는 초시계는 기기오차를 발생
시킨다. 즉 시계가 빨리 가면 측정된 시간은 길게 될 것이다. 시계를 작동하게 하거
나, 정지하게 하는 데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작동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이, 정지
하게 하는 데 걸리는 시간과 같지 않을 때는 오차가 발생한다. 기기오차를 감소시키
기 위해서는 사용하는 기기를 정확한 표준기기와 비교하여 측정에 부합되기 필요한
보정을 하여야 한다. 고도의 정확도가 필요한 경우 사용될 기기는 한국표준과학연구
원으로 보내서 보정작업을 해야 한다.

② 개인오차

측정자의 편견이나 측정자의 고유한 방법 또는 습관에 의하여 계통오차가 발생한


다. 예를 들어 개개인마다 권총의 화염에 대한 반응과 총성을 들은 후의 행동의 차이
가 다르기 때문에 측정자는 항상 실제와 다른 시간을 측정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개
인오차는 여러 가지 조건하에서 측정하게 하고, 여러 측정자들이 독립적으로 측정하
게 함으로써 최소화시킬 수 있다.

③ 외적 오차

외적 오차는 측정자가 통제할 수 없는 조건들에 의해서 생긴다. 그러므로 외적 오차는

22 실사구시의 물리학
제거될 수는 없지만 반드시 수정되어야 한다. 위의 실험에서 바람에 의한 오차는 매우 심
각하다. 이 오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 측정자들은 다음 절차들 중 하나를 따라야 할 것이
다. 즉 바람이 거의 없는 시간을 택하든가, 풍속을 재고 필요한 수정을 하든가 또는 결과
들을 평균할 때 상쇄되는 효과를 고려하여 측정자들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반복 측정하여
야 한다.

2) 우연오차

이 실험에서 소리가 두 사람 사이를 진행하는데 요하는 시간을 26회 측정하였다.


이들 측정된 시간들이 표 2의 Ⅱ열에 기록되어 있다. 계통오차는 같은 방법으로 각각
의 측정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표에 있는 측정치의 변화들은 계통오차만에 의한 것이
아니다. 이들 오차들은 평균치에서 양과 음의 오차 빈도가 비슷하게 나타난다. 이러
한 오차들은 우연오차에 기인한다. 우연오차는 확률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실험에서
의 그 효과는 측정회수를 많이 함으로써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측정회수를 증가시키
는 것이 왜 계통오차에 영향을 주지 않는가는 앞의 설명으로 명백하다.

(4) 확률오차

표 2의 Ⅱ열에서 측정된 시간  의 오차는 우연으로 지배되므로 이들에 통계법칙을


적용하여 오차의 크기에 대한 어떤 확실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이들 통계법칙은
유도하지 않지만 이 논의를 위한 타당한 법칙들을 간단히 기술하기로 한다.

그림 1에는 수평축을 따라 측정된 시간들을 그렸고, 각각의 점은 1회의 측정치를 나타


낸다. 예를 들면 시간에 대한 26회의 측정치들 중의 3회의 값이 1.60초이다. 측정치들은
어느 평균치 주위에 모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이 그림으로부터 명백하다. 어느 값이 가
장 정확한 값일까?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통계적 방법이 쓰이고, 그 증명은 보다 어려울
지라도 결론은 아주 간단하다. 가장 좋은 평균은 모든  의 합을 측정회수  으로 나누
어서 얻은 것이다. 이것은 실험하는 학생들에게 이미 알려진 평균을 내는 간단한 방

I. 서 론 23
법이고, 이렇게 얻어진 평균이 산술평균(average mean: )이다. 다시 말하면 산술평
균은 일련의 측정치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값을 대표한다. 앞에서 한 실험

표 2. 두 점 사이를 소리가 진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  의 측정과 이들 측정치의 편차  .

Ⅰ Ⅱ Ⅲ Ⅳ
측정회수 s s  s 
음의 편차 양의 편차
1 1.50 .04 .0016
2 1.65 .11 121
3 1.45 .09 81
4 1.50 .04 16
5 1.30 .24 576
6 1.40 .14 196
7 1.60 .06 36
8 1.65 .11 121
9 1.75 .21 441
10 1.55 .01 1
11 1.50 .04 16
12 1.60 .06 36
13 1.50 .04 16
14 1.45 .09 81
15 1.55 .01 1
16 1.40 .14 196
17 1.80 .26 676
18 1.45 .09 81
19 1.55 .01 1
20 1.65 .11 121
21 1.65 .11 121
22 1.50 .04 16
23 1.55 .01 1
24 1.45 .09 81
25 1.60 .06 36
26 1.50 .04 16
합계 40.05 1.12 1.13 .301
평균치 1.54

24 실사구시의 물리학
에서 산술평균은 1.54초가 되고, 그림 1에서 수직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측정치와 산
술평균 사이의 차이를 편차  라고 하며, 평균편차는 실험의 정확성에 대한 어떤 표준
이 된다. 명백하게 평균편차(average deviation: )는 편차들의 절대값의 합을 측정
회수로 나눈 값, 즉   ∑   이다. 산술평균에 대한 측정치의 편차들을 표 2의 Ⅲ
열에 기록했는데 여기서 음의 편차는 좌변의 열에, 양의 편차는 우변의 열에 기록하
였다. 음의 편차와 양의 편차를 별도로 합한 값들이 거의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상적으로는 이들 두 값이 동일하여야 한다.

편차의 분포와 의미를 명확히 하기 위해 측정치들을 그림 1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방법


으로 이들 편차들을 그림 2에 그렸다. 각 점은 한 측정치의 편차를 나타낸다. 우선 측정치
들을 수직선    등 여러 개의 집단으로 나눈다. 이 수직선들은 한 구역의 편차폭
이 모두 균등하게 1/10초가 되도록 그려져 있다. 그림에서 각 구역 내의 측정회수를
그 구역의 중앙점에 ×표로 나타내고, 이들 점을 연결하여 가장 완만한 곡선을 그린
다. 따라서 이 곡선은 편차들의 크기와 편차들이 생기는 빈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다. 이 관계로부터 다음의 일반적인 법칙들을 추리할 수 있다.

ⅰ) 양의 편차와 음의 편차가 생기는 확률은 동일하다.


ⅱ) 큰 편차보다 작은 편차가 생기는 빈도가 더 크다.

그림 1. 측정치의 분포

I. 서 론 25
물리에서는 앞의 평균편차보다는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를 휠씬 더 많
이 사용한다. 표준편차는 편차의 제곱평균 제곱근 값이며 표준편차의 제곱은 분산
(variance)라고 하는데 이는

   ∑

으로 주어진다. 여기서는 생략하지만, 물리현상의 측정에서는 가우스분포(Gaussian dis-


tribution)라고 부르는 지수함수적인 편차의 분포가 일반적으로 수반되며, 이 분포의
분석을 위해서는 표준편차를 사용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옳다.

실제 분석에서는    인 경우 표준편차라는 것이 정의될 수 없으므로 표본분산을


사용하여 표본표준편차   을 다음과 같이 구한다.

   ∑   

즉, 실험결과의 분석에서 표준편차를 계산하는 식의 분모는 측정횟수인  이 아니


라    인 것이다. 이 차이는 측정횟수를 증가시키면 점점 줄어든다. 앞의 예에서
표본분산은 (0.3101)/(26-1)이며, 표본표준편차는 유효숫자를 고려하면 0.11이다.

표준편차는 측정의 재현성이 얼마나 보장되는가를 말해주므로 측정결과의 오차범위를


표시할 때 이를 사용하면 편하다. 예를 들어 앞의 측정결과는

   ±    ±  초

라고 적으면 평균값과 오차범위까지를 모두 적은 셈이 되고, 0.11 초보다 작은 편차


를 갖는 측정은 양호한 재현성을 가진 측정이었다고 볼 수 있다. 보다 정확히 하자면,
위에서 언급한 가우스분포의 경우 임의의 측정이 갖는 편차가 특정한 값보다 작을 확

26 실사구시의 물리학
률이 1/2인 값이 오차범위가 될 것인데, 이를 확률오차(probable error:P.E.)라고 부
르며 그 값은

    

로 주어진다. 따라서 앞의 측정결과는 분포의 형태가 가우스적(Gaussian)이라는 가


정을 할 경우 확률오차를 사용하여

   ±    ±  초

라고 적을 수 있다. 그림 2의 수직선 P 와 P ′ 은 확률오차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2. 이 오차곡선은 편차의 크기와 발생될 빈도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I. 서 론 27
(5) 백분율 오차

많은 경우 사람들은 백분율 오차에 흥미를 갖는다. 앞에서 단 1회만의 측정에 대한 확


률오차는 0.075초라는 것을 알았지만 때로는 오차를 측정된 값의 백분율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1회만의 측정에 대한 백분율확률오차(percentage probable error for
single measurement: )는 (0.075/1.54)×100% 즉 4.9%이다. 이 측정치는 평
균치보다 4.9% 이상 편차를 갖지 않을 확률이 1/2임을 뜻한다.

(6) 오차의 전파

지금까지의 논의는 같은 종류의 것, 즉 두 사람 사이를 소리가 진행하는데 걸리는


시간  를 측정하는 한 집단의 모든 측정에서의 오차를 연구하는 데 제한하였다. 이
실험에서 측정자들이 음속을 측정하는 데 흥미를 갖고 있다면 두 사람 사이의 거리 
를 측정하고,  와  의 측정치로부터 음속  를 계산한다.  와  의 오차는  에 어떤 영
향을 미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해 다음의 두 가지 경우만을 살펴보기로 한다.

1) 덧셈과 뺄셈

덧셈 또는 뺄셈에 의해 결정된 값의 확률오차는 각 항들의 확률오차들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이다. 예를 들면  ±    ±    ±    ±  로

되는데, 그 이유는 
       이기 때문이다.

2) 곱셈과 나눗셈

곱셈과 나눗셈으로 어떤 결과를 구했을 때 다음 두 법칙의 적용으로 백분율오차가 결정


된다.

ⅰ) 결과의 백분율 확률오차는 각 인수들의 백분율 확률오차의 제곱의 합의 제곱근이다.


ⅱ) 한 인수의  승으로 되는 경우는 인수의 백분율 확률오차에  을 곱한다.

28 실사구시의 물리학
예를 들면 어떤 원통물체의 밀도  가      의 식으로 부터 계산되고   
및 의 백분율 확률 오차들이 각각 2%, 3%, 5%라고 하자. 그러면

   ×    이므로  의 백분율 확률오차는 8%가 된다. 이것으로부터 반지름
 에 대한 3%의 오차가 높이  에서의 5%의 오차보다 결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이 과정의 유도는 생략하기로 한다.

(7) 계통오차가 존재할 때의 확률오차

앞에서 우연오차로 확률오차만이 논의되었다. 계통오차는 항상 나타날 것이며, 어느 경


우에는 그 결과의 신뢰도에 영향을 미칠 만큼 충분히 클 것이다. 가능한 계통오차의 값은
별도의 실험으로 결정되거나 경험 있는 측정자에 의해 추정되기도 한다. 우연오차에 의한
1회 측정의 확률오차를  , 계통확률 오차를  , 두 원인에 의한 결과적 확률오차를
 , 그리고 측정회수를  이라고 하면


  
 
   (7)

과 같이 된다.  과  이 같은 단위로 표시될 수 없다면 백분율확률오차가 사용되어


야 한다.
식 (7)에서  이 크면 그 결과의 신뢰성을 결정하는 것이 바로 계통오차라는 것을
알 수 있으나, 많은 실험에서  은 작아서 보통 우연오차만을 고려하면 된다.

3 실험 데이터의 도시적 해석

어떠한 성질 또는 물리량이 다른 성질 또는 물리량에 따라 변화되거나 의존하는 양상을


연구하기 위한 실험도 많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두 면 사이의 마찰력은 한 면이 다른 면

I. 서 론 29
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수직힘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 또는 진자의 길이가 진자의 주기
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변수들의 관계는 그래프로 표현하는 것이 편리하
다. 그래프 해석에 관련된 기본적인 방법과, 서로 연관하여 변화하는 물리량들 사이
의 관계를 해석적으로 표현하는 물리법칙을 구하기 위하여 그래프를 사용하는 방법
등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논의하기로 한다.

(1) 도시적 표현의 중요성

물리법칙들과 원리들은 다수의 물리량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들 관계는


ⅰ) 단어들로
ⅱ) 수식 안에 나오는 기호를 사용하여
ⅲ) 그래프라는 그림의 표시로서 표현할 수 있다. 표현의 수단은 정보가 얻어진 방법 및
용도에 따라 결정된다. 계산을 하여야 한다면 방정식의 형태가 대체로 유용하다.

그러나 그래프는 숙달된 측정자에게 어떠한 양이 다른 양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


가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그래프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의 관계를 표에 배열하
는 것보다 더욱 명백하게 보여준다. 그래프들은 또한
ⅰ) 그려진 것 이외의 다른 짝의 값을 얻고
ⅱ) 자료(data)의 불확실성을 감소시켜주며
ⅲ) 뚜렷한 변화의 경향과 임계점들을 제시하는 데에 사용하기도 한다.

(2) 그래프의 종류

그래프는 일반적으로 네 종류의 형태로 분류된다. 그림 3에 제시된 첫째 형태는 여러


점에서 측정한 값들의 기록이다. 변화의 정확한 성질이 알려져 있지 않고 불규칙 하기 때
문에 인접한 점들을 직선으로 연결하였다. 이 형태의 그래프는 데이터의 보정에 종종 사용
된다.

30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3. 온도계의 보정곡선

그림 4. 효율-부하시험의 데이터.

그림 5. 길이 대 주기자승의 이론적
예측(실선)과 실험결과 및 오차범위

I. 서 론 31
두 번째 그래프의 형태는 그림 4에서 보여주는데, 이것은 두 변수 사이의 관계를 표현
하기 위해 보통 그려지는 형태이다. 측정된 점들을 그리고, 측정된 데이터와 근사적으로
일치하는 완만한 형태의 곡선(혹은 직선)을 그린다. 이 형태의 곡선은 그려진 양들
사이의 실험적인 관계를 나타내는데, 이 실험적인 관계란 이론적인 배경이 없이 실험
만으로 도출된 관계를 말한다. 곡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점들은 실험의 부정확성에서
기인된 것이라는 가정을 암암리에 의미하고 있다.

그림 5에 있는 세 번째 그래프의 형태는 이론식에 임의의 값들을 대입하여 얻은 데이터


로 그린 것이다. 이러한 직선과 곡선(sine곡선, 쌍곡선 등과 같은)은 이론식의 수학적 형
태에 따른다. 많은 경우 이 형태의 곡선은 두 번째 형태의 곡선과 함께 그려져 이론적
인 값과 실험치와의 차이를 보여 주게 된다.

네 번째 그래프의 형태는 계산에 사용할 값들을 추출해내기 위한 것이다. 예로서 고도


에 따른 압력의 변화 또는 온도에 따른 고체나 액체의 밀도의 변화등, 이미 알려져 있는
관례를 나타내는 곡선 혹은 직선이다.

(3)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두 개의 양이 서로 관계되는 방법을 보여주는 그래프에서 하나의 양은 보통 임의로 택


해질 수 있기 때문에 독립변수로 간주된다. 또 하나의 다른 양은 독립변수에 따라 변
해야 하므로 종속변수라고 한다. 보통 수평축이나  축값을 독립변수를 나타내고, 
축을 따라 종속변수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부하에 대한 효율의 의존도를 보여주는
그림 4에서 부하가 500 g(가로축)일 때 효율은 70%(세로축)임을 알 수 있다.

(4) 곡선의 형태

그려진 곡선의 형태는 불규칙하거나 매끄러울 수 있다. 그래프의 대부분은 직교 좌표

32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래프 용지에 그리지만 다른 형태의 그래프 용지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후에 논의하
기로 하자. 그래프가 직선일 때 곡선보다 용이하게 그려지고 식별되므로, 모든 면에
서 곡선보다 더 유용하다. 그러므로 결과적인 곡선이 직선이 되는 형태로 변수들을
다시 배열시킨다. 길이에 따른 단진자의 주기의 변화는 길이 대 주기의 그래프로는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길이  에 대한 주기  의 식은


    
이기 때문이다. 이 식으로부터  는 직접  에 따라 변하거나, 또는   이  에 비례
함이 명백하다. 그러므로  대   을 그리면 원점을 지나는 직선이 된다(그림 5 참조).

그림 5에는 가상적인 실험결과와 오차범위까지 표시하였다. 길이가 고정된 상태에서 여


러 차례 반복실험이 수행되어 각 길이에 대한 확률오차를 구하였다면, 특정한 길이에서의
주기의 제곱 값의 평균이 그래프 상의 점들이고, 위 아래의 막대는 평균값으로부터
주기의 제곱 값의 확률오차만큼을 더하거나 뺀 값에 위치한다.

또 다른 예를 들자면, 이론적으로    sin  의 형태의 함수가 기대될 경우 x 축을


 로 하고 y축을 sin  로 하는 것이 좋다. 특히 A 를 실험적으로 결정하여 이론과 비교
하기를 원한다면 이렇게 직선그래프를 그리고 기울기 값인 A 를 찾는 것이 올바른 방
법이다. 일정온도에서 기체의 압력과 체적은 서로 역비례한다는 유명한 Boyle의 법칙
은 체적의 역수 대 압력을 도시하면 역시 직선이 된다. 곡선을 직선으로 나타낼 수 있
게 되면 몇 개의 점들만으로 직선을 그릴 수 있다. 이론적으로 두 점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얻을 수 있는 만큼 많은 점을 그려서 오차를 극소화시키는 것이 좋다.

(5) 직교좌표 그래프용지에 도시하기 위한 특수한 규칙

하나의 그래프가 완전한 의미를 전달하려면, 그것을 조사하는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의

I. 서 론 33
미를 주도록 도시방법이 표준규칙에 맞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프를 그리는 데에 대
한 아주 엄격한 규칙들이 지도적인 과학회와 공학회의 대표들에 의해 채택되어 있다.

오늘날에 사용되고 있는 일부의 규칙들을 학생들이 실험 데이터를 표현하는 지침으로


아래에 열거한다.

ⅰ) 가로눈금(X축)을 따라 독립변수를, 그리고 세로눈금(Y축)을 따라 종속변수를 표시


한다. 이 축들은 굵은 선으로 그린다.
ⅱ) 데이터의 정확도에 따라 그래프의 크기를 택한다. 일반적으로 두 축의 최소치와 최
대치까지의 범위가 대부분 포함되도록 곡선을 그린다. 이 데이터의 유효숫자가 두
자리라면 그려진 곡선으로부터 세 개의 유효숫자까지 읽게 그래프를 넓혀 그리지
않는다. 많은 경우에 두 축의 교점이 두 변수의 0의 값이 되도록 할 필요는 없다.
ⅲ) 주된 구분을 위한 눈금을 택한다. 2, 5 및 10은 반드시 표시하는 것이 좋고 4는 가
끔 사용하되, 3, 7 및 9는 그래프로부터 값을 읽는 것이 매우 어려우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가로-세로축의 눈금구분이 동일해야 할 필요는 없다.
ⅳ) 수 ʻʻ천톤ʼʼ의 부하나 수 ʻʻ마이크로초ʼʼ와 같이 그 값이 예외적으로 크거나 작으면 주
된 구 분은 천톤 단위 혹은 마이크로초 단위로 하고, 각 축의 최대치 눈금의 숫자
우변에 × 이나 ×   과 같은 승법인수를 적는 방법을 사용한다.
ⅴ) 눈금 밖의 흰 공간에 필요한 숫자 혹은 문자를 깨끗하고 완전하게 표시한다. 문자는
영어의 경우 모두를 대문자로 쓰거나 단어의 첫 문자와 고유명사만을 대문자로 쓰
는데, 어느 쪽이든 일관된 형태를 택해야 한다. 가로와 세로축 눈금 설명에는 표시
된 양의 명칭 다음에 괄호로 그 양의 단위를 기재한다. 모든 단위는 표준형식의 약
자로 표시한다.
ⅵ) 여러 곡선을 동일 지면상에 그려야 할 경우 서로 점들이 방해가 되면 두 번째와 세
번째 곡선의 점들을 작은 4각형과 3각형을 선택한다.
ⅶ) 필요한 경우 점들의 평균을 대표하는 가장 완만한 곡선을 그린다. 이때 분명하게 잘
못된 점들을 무시한다. 곡선은 점을 둘러싸는 원까지 즉, 그 원을 통과하지 않게 그

34 실사구시의 물리학
린다. 마지막 자료점을 지나 확장되는 외삽 부분은 절선으로 표시한다.
ⅷ) 지면의 하단부의 공백에 그래프의 명칭을 쓰고, 분명하고 완전하나 간결하게 사용
된 기호에 대한 그림 설명을 쓴다. 곡선을 설명하는 것과 같은 불필요한 말은 생략
한다. 주된 설명을 쓴 다음에 실험장치나 조건의 수나 성질을 식별하는 데 필요한
사항을 첨가한다.
ⅸ) 한 지면에 두 개 이상의 곡선이 그려질 때 각 곡선이 명백하게 구별되도록 한다. 가
능한 (a)와 (b) 등으로 각각 표시하고 그림 설명에 이에 대한 설명도 기재한다. 이들
을 원이나 사각형 또는 점선이나 절선과 같은 다른 기호로 구별하였을 경우, 그래프
용지의 적당한 여백에 적절한 기호 설명을 추가한다. 일반적으로 곡선 주위에 직접
설명을 기재하지 않는다.
ⅹ) 출판을 위한 것이 아닌 기술보고서용 그래프의 경우 하단 모퉁이에 실험자의 성명
과 날짜를 적는 것이 좋다.

(6) 그래프의 분석과 해석

그래프에 의한 분석의 최대 장점 중의 한가지로 꼽을 수 있는 것은 그래프의 형태, 기


울기 및 교차점들을 관찰함으로써 그래프로부터 직접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간
결성이다.

1) 형태

그래프는 한 변수가 증가함에 따라 다른 변수가 증가 혹은 감소하는 관계를 직접 나타


내며, 완만하게 변하는 구간과 급격히 변하는 구간을 구별해 준다. 직선으로 그려지는 경
우 변화의 양상을 쉽게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일지라도 선형변화인지 정비례인지를
주의 깊게 구별하여야 한다. 선형변화는 일반적인 1차적 관계를 의미하고, 정비례는 변수
들이 직접 비례하므로 한 변수가 0이 되면 다른 변수도 동시에 0이 되어 좌표의 원점을
통과하는 직선이 된다.

I. 서 론 35
2) 기울기

그래프의 기울기를 얘기할 때 물리적인 기울기와 가하학적인 기울기를 주의깊게 구별하


지 않으면 안 된다. 선형인 그래프의 경우 물리적인 기울기는 그림 6에서와 같이 큰 삼각
형을 그리고, 축들의 눈금과 단위를 사용하여  와  를 구한다. 그 결과는 눈금의
선택과 무관하고, 그려진 변수들 사이의 중요한 관계를 파악하게 한다. 예를 들면 속
도-시간의 그래프의 기울기는 가속도를 나타낸다. 가속도의 단위는 계산에서 구할
수 있다. 전형적인 경우 그림 7에서와 같은 그래프의 물리적 기울기 m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  cms  ×  cms


         ×  cms
  
 

 
 







물리적인 기울기와 달리 기하학적 기울기는 tan  로 정의되는데, 여기서  는 직선


과  축이 이루는 각이다(그림 6 참조). 이 기울기는 직선이 기울어진 정도에 의존한
다. 따라서 눈금의 선택에 의존한다. 그래프에 대한 해석에 있어 기하학적인 기울기
보다는 물리적인 기울기가 항상 관심의 대상이 된다. 곡선으로 된 그래프의 경우는
기울기가 점마다 변한다. 어느 점의 기울기의 값은 그 점에서의 접선의 기울기로 정
의된다.

3) 교차점

그래프의 직선과 교차점은 중요한 정보를 준다. 속도-시간의 그래프와 속도 축과의 교


차점은 시간이 0이었던, 즉 실험자가 시간을 재기 시작한 때의 속도 값을 나타낸다. 유사
하게 시간 축과의 교차점은 속도가 0이었을 때의 시각이며, 그림 7에서와 같이 시간 축과
의 교점이 음일 경우에 이 값은 실험자가 시간을 재기 시작하기 이전에 물체가 운동하고
있었던 시간을 나타낸다.

36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6. 물리적 기울기를 구하는 방법.

그림 7. 기울기와 절편의 해석.

(7) 직교좌표 그래프용지 이외에 그린 그래프

많은 변화는 직교좌표로 눈금이 매겨지지 않은 그래프용지에서 더욱 쉽게 표현할 수 있


다. 예를 들면 광원으로부터의 조명광속이 한 수직면 내의 각 점에서 어떻게 변화하는가는
극좌표 그래프 용지에 더욱 잘 나타내 줄 수 있다. 멱법칙(power law)은 그 데이터를 대
수(logarithmic) 그래프용지에 그리면 보다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속변수 t와

I. 서 론 37
독립변수 s 사이에     이라는 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면, 위의 관계식을
조금 바꾸어 ln   ln    ln  라고 쓰면 선형의 관계가 되어 ln s 를 독립변수로, ln 
를 종속변수로 사용하면 직선의 기울기가 n이고 y축의 절편이 ln  가 되어 관계식을
완전히 정할 수 있다. 어떤 관계들은 반대수(semi-logarithmic) 그래프용지에서 더
욱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 형태는 열이 관계된 현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데, 그 이
유는 열역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함수가 지수함수이기 때문이다. 즉, 종속변수 t와 독
립변수 s 사이에    exp  라는 관계가 예상된다면 식을 바꾸어
ln   ln    라고 쓰면 ln  를 독립변수로, t를 종속변수로 사용하면 직선의 기울
기가  이고 y축 절편이 ln  가 되어 이 경우에도 관계식을 완전히 정할 수 있다.

(8)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직선 맞추기

앞에서 그래프를 직선의 형태로 그리면, 간단한 관계식이 예상될 경우 그 기울기나 절


편값으로 부터 많은 정보를 얻어낼 수 있다고 하였다. 얼핏 생각하면 기울기를 결정해야
할 경우 각각의 데이터들마다 기울기를 구하여 그 값을 평균하면 될 것 같지만, 이것은 완
전히 틀린 방법이다. 많은 양의 데이터들로부터 직선의 기울기와 절편을 구하는 방법은 이
론과 실험 사이의 편차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속변수 x와 독립변수 y 사이에      의 관계가 예상된다고 하자.
각각의 측정에 대해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를    로 쓴다면, 이론과 실험 사이의 편차
는       가 된다. 이 편차를 사용하여  (Chi:카이)라는 함수를 다음과 같이 정
의하자.

        
 
 

실험결과가 a와 b의 값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면,   의 값은 최소가 되어야 할 것


이다. 즉, 결정하고자 하는 값 a와 b가 특정한 값일 때   는 최소일 것이므로   를 a
에 대해서 편미분하거나 b에 대해서 편미분한 값은 0이 되어야 한다. (여기서 편미분

38 실사구시의 물리학
이 무엇인지를 꼭 알 필요는 없다. 단순히 미분이라고 보아도 좋다.) 이 관계를 사용
하면 표준편차가 모든 종속변수에 대해 동일하다고 가정할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 된다. 여기서 ∆    
   이다. 필요한 경우 이 관례를 사용하여 실험결
 

과를 분석하기 바라며, 구체적인 식의 유도도 스스로 찾아 공부해보기 바란다.

I. 서 론 39
II
기본측정

측정 1. 멀티미터의 사용법

측정 2. 오실로스코프의 기본원리와
작동법
실험 2
멀티미터의 사용법

1 목적

멀티미터(multimeter)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사용하여 저항, 전압 및 직류전류 등을


측정함으로써 이 계기의 사용법을 읽힌다.

2 기기 및 장치

멀티미터(multimeter), 가변변압기(slidacs), 직류전류(1.5 V, 6 V, 9 V 건전지), 저항



(  W :1 kΩ, 2 kΩ, 10 kΩ, 20 kΩ, 56 kΩ, 200 kΩ, 300 kΩ, 560 kΩ, 470 kΩ,

1 MΩ, 470 kΩ, 4.7 kΩ), 전선 약간, 가변저항(1 kΩ).

3 이론

전압, 전류 및 저항 등을 하나의 계기로 측정할 수 있는 종합기능을 가진 계기 중에서


가장 간단한 것이 멀티미터이다. 이는 위의 전기량을 각각 넓은 범위에 걸쳐서 간단한 전
환스위치(selector switch)로 손쉽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실용적이고, 또한 가장 기
본적인 계측기이다.

따라서 전압, 저항 및 mA의 전류를 측정하는 종합계기란 뜻에서 VOM(Volt-Ohm-


Miliammeter)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의 멀티미터는 1000 V 정도 이내의 직류 및 교류전
압 20 mA 이내의 직류전류, 200 MΩ정도까지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이들을 각각 3~5개의 영역(range)으로 구분되어 있다.

II. 기본측정 43
일반적으로 멀티미터는 최대눈금(full scale)이 50~100 A 인 직류전류계와 여러
개의 분류기, 분압기 그리고 기능선택 전환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며, 저항을 측정할
때는 계기 내부에 들어 있는 전지가 사용된다.

그림 1~4는 360-YTR(삼미사 제품)의 각 측정회로를 간단하게 나타낸 것이다.

그림 1. (a) 직류전압 측정회로, (b) 10 V range에서 10 V 전압을 가한


경우의 전압, 전류배분.

44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2. (a) 직류전류 측정회로, (b) 25 mA range에서 25 mA
직류전류를 흘리는 경우의 전압, 전류배분.

II. 기본측정 45
그림 3. (a) 교류전압 측정회로, (b) 50 V range에서 50 V 전압을
가한 경우의 전압. 전류배분.

그림 4. (a) 저항 측정회로, (b) R×100 range에서 2 kΩ을 측정할 때


전류배분의 예.

46 실사구시의 물리학
360-YTR의 직류전류계는 최대눈금이  A , 내부저항이 1.5 kΩ이다. 그림 1(a)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류전압계로서의 멀티미터의 내부저항은 영역에 따라 달
라진다. 즉 0.5 V 영역에서는 5 kΩ, 2.5 V 영역에서는 25 kΩ이 되어 10 kΩ/V의 값
을 가지며, 10 V 이상의 영역에서는 4 kΩ/V의 값을 가진다.

직류전류계로 사용될 때의 내부저항은 250 mA에서는 1 Ω, 25 mA에서는 10 Ω, 2.5


mA에서는 약 100 Ω 정도이며, 0.1 mA에서는 내부저항이 5 kΩ으로 매우 크다. 교류전
압 측정은 다이오우드   에 의해서 교류를 반파정류하여 얻은 맥류전류로 지시하도
록 한다. 이 때 전류계의 지시는 맥류의 평균치가 되지만 눈금판 위에는 이의 지시값
을 측정전압의 실효치로 표기하게 하였다.

다음 저항측정회로는 회로내에 직류전압용 전지가 들어 있다. 전지는 사용하게 되면 기


전력이 즐어듦으로 이를 보상하는 회로, 즉 0 Ω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   를 외부
에서 단락(0 Ω)시켰을 때 3 kΩ가변저항기를 조정하여 전류계의 지시가 최대눈금이
되도록 함으로써, 이 때의 지시가 0 Ω으로 표기된다.

그림 4(a)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멀티미터의 기능을 저항계로 하였을 경우에


+로 표기된 단자는 실제로 음의 전압극성을 가지며, -로 표기된 단자는 양의 전압극
성을 가진다. 이는 멀티미터를 사용하여 반도체의 도통시험을 할 때에는 꼭 염두에
두어야 한다. 또 저항계로 측정할 때는 피측정 저항소자를 통하여 전류(load current)
가 흐른다. 이 전류의 값은 저항 눈금 옆에 참고적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피측정 소
자의 전류용량에 따라서 저항범위를 선택하여야 한다.

4 실험 방법

실험 방법은 그림 5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II. 기본측정 47
(1) 영점조정 나사 ①을 서서히 돌려 미터지침 ⑥을 눈금 맨 왼쪽의 선에 일치시켜
서 영점조정을 한다. 이것은 사용 전에 한번 조정하고 나면 자주 조정할 필요
는 없다.
(2) 테스트 프로우브(probe) ⑧의 적색은 +단자 ③에, 혹은 –단자 ④에 꽂아 측정
준비를 한다.
(3) 전환스위치 ②를 저항측정의 적당한 range(OHMS로 표시된 부분)에 놓고 주
어진 저항값을 측정하여 저항에 표시된 color code값과 함께 실험 보고서에 기
입한다(표 1-1 참고).

그림 5. 멀티미터 각 부분의 명칭.

48 실사구시의 물리학
(4) 저항측정 range를 바꿀 때마다 반드시 0 Ω조정을 해야 한다. 0 Ω조정은 다음
과 같이 한다. 테스트 프로우브 양 끝을 접촉시킨 후 0 Ω조정볼륨 ⑤를 천천
히 돌려서 지침을 눈금 맨 오른쪽 0 Ω 눈금에 맞춘다.
(5) 그림 6과 같은 회로를 꾸미고 직류전압   및   를 측정하여 결과를 기록한
다. 이때 멀티미터의 전환스위치를 직류측정의 적당한 range(DCV로 표시된
부분)에 맞춘다. 측정할 전압을 예측할 수 없을 때는 기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높은 전압 range부터 시작하여 적당한 range에 도달할 때까지 range를 한 단
계씩 낮춘다.   을 측정할 때에는 테스트 프로우브의 적색은  , 흑색은  에 접
촉시키고,   를 측정할 때에는 적색은  , 흑색은  에 접촉시킨다.

그림 6. 직류전압 측정회로

(6) 멀티미터의 전환스위치 교류전압 측정의 적당한 range(ACV로 표시된 부분)에


놓고 그림 7회로의   과   를 측정한다.   을 측정할 때에는 회로의  와  에
  를 측정할 때에는  와  에 테스트 프로우브를 접촉시킨다. 교류전압 측정시
에는 테스트 프로우브의 극성은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7) 멀티미터의 전환스위치를 전류측정 range(D ㎝A로 표시된 부분)의 적당한 위
치에 놓고 그림 8 회로에 흐르는 직류전류를 측정한다. 이 때 회로의  와  사
이를 절단하고 테스트 프로우브의 적색을  에 흑색을  에 연결한다.

II. 기본측정 49
표 1-1. 저항기의 color code

구분
A B C D

흑색 0 0 0
갈색 1 1 1
빨강 2 2 2
주황 3 3 3
노랑 4 4 4
초록 5 5 5
파랑 6 6 6
보라 7 7 7
회색 8 8 8
흰색 9 9 9
무색 20%
은색 10%
금색 5%

저항값= ×  Ω  ± 

그림 7. 교류전압 측정회로.

50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8. 직류전압 측정회로.

5 연습문제

(1) 멀티미터로 측정할 수 있는 전기량들을 열거하고, 각각의 측정방법을 간단히 설명


하라.

(2) 저항, 전압, 전류를 측정하는 다른 기기를 조사하고 간단히 설명하라.

II. 기본측정 51
실험 1. 멀티미터의 사용법

년 월 일 과(반) 조 학번 성명
공 동
실험자

(1) 저항값의 측정

시료번호 1 2 3 4 5 6 7 8 9 10

color code로
기록된 저항값

멀티미터로 측정한
저항값

(2) 직류전압의 측정

 1 kΩ 10 kΩ 30 kΩ 100 kΩ 300 kΩ 470 kΩ

 2 kΩ 20 kΩ 56 kΩ 200 kΩ 560 kΩ 1 MΩ

 (V)
이론값
 (V)

 (V)
멀티미터로
측정한 값
 (V)

52 실사구시의 물리학
(3) 교류전압의 측정

 1 kΩ 10 kΩ 30 kΩ 100 kΩ 300 kΩ 470 kΩ


 2 kΩ 20 kΩ 56 kΩ 200 kΩ 560 kΩ 1 MΩ
 (V)
이론값
 (V)

멀티미터로  (V)
측정한 값  (V)

(4) 직류전류의 측정

 470 Ω 1 kΩ 4.7 kΩ 10 kΩ 30 kΩ
이론값  (mA)
측정값  (mA)

II. 기본측정 53
실험 3
오실로스코프의 기본원리와 작동법

1 목적

오실로스코프의 구성 및 기본원리를 이해하고,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파형 관측


및 전압의 측정방법을 익힌다.

2 기기 및 장치

PASCO 750 Interface, 오실로스코프(osciloscope), 멀티미터(multimeter), BNC


cable

3 이론

오실로스코프의 공식 명칭은 음극선 오실로스코프(cathode ray oscilloscope:


CRO)로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전기적 신호를 파형으로 스크린 상에 묘사시켜 전기적
변화를 측정, 분석하는 데 사용하는 대단히 유용한 실험실용 계측기이다. 따라서 오
실로스코프의 사용방법을 완전하게 이해하면 관련 실험의 이해를 쉽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새로운 과제의 연구 분석 및 개발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실
험, 전체를 통하여 가장 중요한 부분을 확실히 이해하고 암기하기를 바란다.

초보자들이 오실로스코프를 처음 대하게 되면 우선 측정기 pannel 손잡이의 복잡


함에 당황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실제로 오실로스코프는 거의 만능에 가까운 계측기
이기 때문에 그 다양한 기능만큼이나 복잡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그 기본원

54 실사구시의 물리학
리만은 대단히 간단하다는 것을 밝혀 두고 싶다. 오실로스코프를 이해하는 데에는 우
선 기본구성도(block diagram)를 이해하고 이에 따른 각 부분의 세부적인 기능을 이
해하면 쉽게 그 사용법을 알 수 있다.

그림 9. 음극선관(CRT)의 내부구조.

(1) 음극선관

음극선관(cathode ray tube:CRT)을 흔히 TV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브라운관이라고


지칭하는 경우를 볼 수 있으나 학술적인 명칭으로는 적당하지 못하다. 앞으로의 설명
에서는 CRT라고 하겠다. CRT의 내부구조는 그림 9와 같이 되어 있다. 이 그림의 전
자총에서 집속된 전자빔 흐름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편향판(deflection plate), 전자
빔의 충돌로 빛을 발산하게 하는 형광체(phosphor)를 칠한 형광면의 세 부분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ⅰ) 전자총

전자총을 발생시키는 부분만을 보면 그림 10과 같이 되어 있다. 이것은 보통의 전


공관 구조와 거의 같다. 우선 전자를 튀어나가게 하기 위하여 음극(cathode)을 히터
(heater)로 가열한다. 전자는 음극 전체에서 낼 필요는 없으므로 음극의 한 쪽 끝 부
분에만 전자가 방출되기 쉬운 산화물이 칠해져 있다.

II. 기본측정 55
음극 위에는 구멍이 뚫린 금속이 씌어져 있고, 여기에 적당한 음전압을 가하여 전자방
출량을 제어한다. 이것은 진공관의 제1그리드(control grid)와 같은 작용을 하므로 흔히
제어 그리드라고 한다. 제어 그리드 다음에는 고전압을 가한 양극(anode)이 있다. 보통의
진공관에서는 스크린 그리드(screen grid)에 해당한다. 전자는 이 전자가속양극의 높은
전압에 끌려 음극에서 나오는데 전단가속양극의 구멍을 통하여 나온 전자빔은 확산
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그림 10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전자가속양극의 내부에는 확
산된 전자빔을 차폐하는 판이 내장되어 있다. 전단가속양극에서 나온 전자빔은 낮은
전압이 걸려 있는 집속양극을 통하게 된다. 이 집속양극은 전단가속양극과 제 2 가속
양극보다 낮은 전압이 걸려 있어 동축원통 사이에는 그림 10에 보인 바와 같은 등전
위면이 형성되어 마치 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전자렌즈라고 하고, 이 전
자렌즈에 의하여 집속된 전자빔은 제 2 가속양극을 통하여 더욱 가속되어 아주 가는
전자빔이 되어 편향판을 거쳐 형광면을 이르게 된다. 그런데 CRT는 목 부분과 형광
면 부분을 제외하고는 전체에 흑연(aquadag)이 칠해져 있고, 제2가속양극에 접속되
어 있다. 이것은 형광면 또는 기타 장소에서 전자빔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2차 전
자를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실제의 제2가속양극의 접속단자는 CRT 끝 부분
의 socket 단자에 있지 않고, 외부에 별도로 되어 있다.

그림 10. 전자총 부분의 구조 및 원리도.

56 실사구시의 물리학
ⅱ) 편향판

전자총에서 나온 전자빔이 형광면에 충돌하면 발광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전자빔을


이동시키면 형광면에 도형을 그릴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전자빔을 이동시키는 역할
을 하는 것이 편향판이다.

전자빔은 음전하를 가지고 있으므로 편향판 사이의 전위를 다르게 하면 전자빔의


방향은 그림 11과 같이 바뀌게 된다. 만일 편향판에 교류전압을 가하면 교류전압의
주파수에 따라 전자빔의 방향이 바뀌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두 판의 전위차에 의하
여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방법을 정전편향(electristatic deflection)이라고 하며, TV
의 경우는 편향각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자기장을 이용한 전자편향을 사용하고 있
다.

그림 11. 편향판의 전위에 따른 전자빔의 이동.

그림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향판은 2조가 있고, 한 조는 수직(상하)으로 전자빔


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것이고, 다른 한 조는 수평(좌우)으로 전자빔의 방향을 바꾸
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을 관측할 때는 수직편향판에 관측하고자 하는 파형
의 전압을 가하며 수평편향판에 톱니파 전압을 가한다. 수직편향판과 수평편향판은
같은 구조인데 수직편향판이 전자총에 가깝기 때문에 같은 크기의 전압을 가하면 형
광면의 흔들림은 수직 쪽이 크다. 또한 수직편향판과 수평편향판 사이에는 차폐판이
있고 제2가속양극에 접속되어 있다.

II. 기본측정 57
편향판에 의하여 전자빔을 진동시키는 힘(편향감도)은 편향판으로 흘러들어오는 전자빔
의 속도가 낮을수록, 가속양극의 전압이 낮을수록 좋아진다. 그러나 전자빔의 속도가 떨어
지면 형광면에 충돌하는 에너지가 떨어져 휘점의 밝기가 어둡게 된다. 따라서 가속양극의
전압을 낮게 하여 편향감도를 높이고, 편향파을 통과한 뒤 CRT 외부에 높은 전압을 가하
여 다시 전자빔을 가속시켜 밝은 휘점을 얻도록 하는 후단가속형 CRT도 있다.

ⅲ) CRT 스크린

전자빔이 CRT 스크린(형광면)에 충돌하면 발광을 하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는


CRT의 내면에 칠한 스크린 물질은 형광체이다. 형광물질은 충돌하는 전자의 운동에너지
를 흡수하여 가시 스펙트럼 파장의 에너지를 방출한다. 형광체 또는 산화아연과 같은 몇몇
물질은 방사선에 의해 들뜨게 되었을 때 형광(flourescence)이라는 빛을 발한다. 또한 형
광물질은 인광(phosphorescence)이라는 특성도 갖는데 이것은 전자빔과 같은 들뜸의 원
인이 차단된 후에도 계속해서 빛을 내는 것을 말한다. 일반 TV화면 등에 칠하는 형
광체는 잔광시간이 짧은 것으로 하며, 오실로스코프의 경우는 관측현상에 따라 알맞
은 것을 사용하고 레이더 스크린에는 잔광시간이 대단히 긴 것을 사용하여 관측을 편
리하게 하고 있다.

(2) 파형이 나타나는 이유

이제 CRT의 구조를 통하여 파형을 어떻게 하면 CRT 스크린에 나타나게 할 수 있는지


는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수직 및 수평판형판에 적당한 전압을 가하여 전자비임
의 방향을 바꾸면 될 것이다. 그림 12는 그 원리를 표시하고 있다.

그림 12와 같이 수직편향판에 정현파 전압을 수평편향판에 (a)의 톱니파 전압을


가했을 경우 전자빔의 방향변화를 생각해 보자. 우선 수직편향판에만 정현파(sine
wave) 전압을 가하고 수평편향판에는 아무런 전압도 가하지 않으면 CRT 스크린상

58 실사구시의 물리학
의 휘점의 이동은 상하로만 진동될 것이며, 진동수가 높으면 마치 세로의 한 줄로 보
일 것이다. 반대로 수평편향판에만 톱니파 전압을 가하면 가로의 한 줄만 보일 것이
다. 이제 두 편향판에 동시에 전압을 가하면 시간적으로 두 파형이 일치되는 점에서
그림 12와 같이 CRT 스크린상에 (a)의 파형이 도시될 수 있다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만일 수평편향판에 (b)와 같은 파형을 가했다고 생각해 보자. 그러면
CRT 스크린상에 나타나는 파형은 역시 시간적으로 두 파형이 일치되는 점에서 (b)
와 같은 파형이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수직편향판에 가한 입력파형이 그대로
CRT 스크린에 나타나게 하기 위해서는 수평편형판에 전압은 직선성이 우수한 톱니
파가 되어야 하기 위하여는 수평편향판에 가하는 전압은 직선성이 우수한 톱니파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2. CRT 스크린에 파형이 나타나는 기본원리.

II. 기본측정 59
이러한 톱니파 발생장치는 오실로스코프 내부에 장치되어 있어 측정할 때 외부에
서 접속할 필요는 없다.

(3) 오실로스코프의 기본구성 및 동작

이제 CRT의 스크린상에 어떠한 원리로 파형이 있는가를 이해했으므로 그림 13의


기본구성도(block diagram)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그림 13에는 기본구성
도 이외에도 실제 오실로스코프의 전면배치도도 함께 두어 사용상의 이해를 증진시
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미 언급한 바 있지만 계측기의 이해는 기본구성도와 실제 계
측기 손잡이를 같이 연관져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다.

60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13. 오실로스코프의 기본구성도와 전면의 배치도.

우선 수직증폭단부터 보자. 수직입력으로 들어오는 신호는 교류와 직류 두 가지로


크게 나눌 수 있다. AC측에 있으면 수직입력신호는 축전기를 통하므로 직류는 차단
되어, DC측에 있으면 AC, DC가 모두 수직 증폭단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또한 수
직입력으로 들어오는 신호는 그 전압의 범위가 광범위하므로 일반적으로 입력감쇠기
(vertical attenuator:V. ATT)에서 1/1, 1/10, 1/100로 수직 입력 신호를 감쇠시킨
다. 또한 선택스위치(selector)를 GND 측으로 하게 되면 수직입력 신호는 전달될 수
없게 된다. 감쇠기를 통하여 나온 신호는 수직증폭기의 초단으로 증폭하게 된다. 이
때 수직이등조절기(V. GAIN)를 조정하면 수직입력신호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초단증폭된 신호는 수직증폭기의 2단째에서 전력증폭되어 수직편향판을 작
동하게 한다. 이 전력증폭기는 주로 push-pull 증폭기가 사용되므로 push-pull 증폭
기의 중점전위를 조절하여 수직위치조정(V. position)으로 수직측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다음 수평측을 보기로 하자.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직측으로 들어온 신호파형을


CRT 스크린에 그대로 나타나게 하려면 수평편향판에는 직선성이 우수한 톱니파가 가해져
야만 한다. 따라서 수평증폭기 앞에는 톱니파발생기가 있다. 이것을 sweep generator 또

II. 기본측정 61
는 시간축 발생기라고도 한다. 그런데 수직입력진동수에 따라 톱니파발생기의 주기를 조
정해야만 CRT 스크린에 적당한 개수의 파형을 나타나게 할 수 있으므로 톱니파발생기에
는 톱니파의 주기를 조정할 수 있는 선택스위치가 달려 있다. 본 구성도에서는 이를 진동
수별로 표시하였는데 이는 수직입력진동수에 맞게 표시된 것으로 톱니파의 발진진동수가
아니다. 좀더 고급기종에서는 이를 톱니파의 주기인 시간으로 표시하여 진동수의 측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톱니파발생기내에 있는 SWEEP VARIABLE은 톱니
파의 발진진동수를 미세조정하여 CRT 스크린상에 파형이 정지할 수 있도록 조정하기 위
한 것이다. 그런데 이 톱니파 발진진동수와 수직 입력신호의 진동수가 정수배가 되지 않으
면 CRT 스크린 상의 화면이 정지되지 못하고 흐르게 된다. 따라서 고급기종에서는 수직
입력신호의 진동수와 톱니파발진기의 진동수가 정수배가 되도록 동기
(synchronizing) 시키도록 해 주고 있다. 이러한 오실로스코프를 triggered oscillo-
scope라고도 하며, 각자 공부해 보기 바란다.

또한 수평증폭기 앞에는 톱니파발생기를 접속시키지 않고 직접 수평입력을 넣을 수 있


도록 스위치가 붙어 있어 리사쥬 도형(lissajous figure)을 볼 때와 같이 톱니파가 필요없
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는 톱니파발진주기 조정스위치 SWEEP
RANGE와 같이 움직이도록 되어 있으며, EXT(external)로 표시하고 있다.
다음의 수평증폭기의 동작은 수직증폭기와 동일하며, 수평이득조절기(H. GAIN)으
로는 수평측의 이득을, H. POS으로는 수평측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CRT 주
변회로는 이미 설명한 CRT의 동작원리를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INTENSITY는 제어그리드의 전위를 조정하여 전자방출량을 제어하므로 화면의 밝기
를 조정할 수 있고, FOCUS는 집속전국의 전위를 조정하며 전자렌즈의 초점거리를
바꾸어 주므로 전자빔을 예리하게 조정하여 휘점을 선명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오실로스코프의 전원부는 고전압 발생부와 저전압 발생부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


으며, 고전압은 음극성을 갖는 것으로 CRT의 양극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저전압
은 수직, 수평증폭기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직입력단의 전압을 교정하기

62 실사구시의 물리학
위하여 0.4 V    정도의 전압을 별도로 낼 수 있도록 하는 기종도 있다.

그림 14. Oscilloscope의 전면 배치도와 후면 배치도.

이상 동작원리를 토대로 하여 그림 14에 있는 각 손잡이의 기능과 사용법을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II. 기본측정 63
[1] 전원, 브라운관 주변
∙ FUSE, AC입력
전원 전압 전환기(37)에 표시된 전압을 설정하고 AC INLET(38)에 전원 케이
블을 연결한다. 퓨즈는 전원 전압 선택기에 표시된 전압에 알맞은 정격의 것을
대응표를 보고 사용한다.

(1) POWER SWITCH ON/OFF


LINE 전압을 확인하고 전원 스위치를 OFF로 놓고, 전원 cord를 AC INLET에
꽂는다. 전원 스위치는 puch button switch이며 눌려져 있는 상태가 ON, 나와
있는 상태는 OFF이다.

(2) POWER LAMP


전원이 ON 일 때 켜진다.

(3) INTENSITY KNOB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밝아진다. 전원을 넣기 전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
려놓아야 한다.

(4) FOCUS KNOB


INTENSITY로 적당한 밝기를 맞추고 화면이 가장 선명하게 되도록 KNOB로
조정한다. 다시 knob(3)을 돌리면 자동적으로 초점이 맞춰지지만, 다소 틀어지
는 경우도 있으므로 그때에는 한번 더 조정을 해야 한다.

(5) TRACE ROTATION VOLUME


수평선이 지자기의 영향으로 수평눈금에서 기울어지는 것을 보정한다.

(6) SCALE ILLUM KNOB

64 실사구시의 물리학
화면의 눈금을 비추어 준다.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밝아지며, 어두운 장소에서
사용할 때나 사진 촬영 시에 사용한다.

(37) FUSE HOLDER 전원 전압 전환기(뒷면 패널)


오실로스코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한다.

(38) AC INLET(뒷면 패널)


전원 code 접속용 connector이다.

[2] 수직 축 주변

(30) CH1 INPUT CONNECTOR


수직 입력용 BNC connector로서, 이 단자로 입력된 신호는 X-Y 오실로스코
프로 사용할 때 X축 신호가 된다.

(24) CH2 INPUT CONNECTOR


CH1과 동일하나 X-Y 오실로스코프로 사용할 때 이 단자로 입력된 신호는 Y
축 신호가 된다.

(22)(29) AC-GROUNG-DC SWITCH


입력신호와 수직 축 증폭기의 결합방식을 선택한다.
AC:축전기를 통해 접속된다. 입력신호의 직류 성분은 차단되고, 교류 성분만
이 표시된다.
GND:수직 축 증폭기의 입력이 접지된다.
DC:직접 접속되어 입력신호는 직류도 포함하여 그대로 표시된다.

(25)(33) VOL TS/DIV 전환 스위치

II. 기본측정 65
수직 축 편향 감도를 전환하는 step 조절기이며,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관측
하기쉬운 range로 설정한다.
10:1 프로우브와 함께 사용하면 10배로 환산해야 한다.

(26)(32) VAR KNOB


수직축 편향 감도를 연속 조절하는 미세 조정기로서 화살표의 반대방향으로
다 돌리면 1/2.5 이하로 줄어든다. 두 파형을 비교 측정할 때, 사각(square)파
의 상승 시간을 관측할 경우 사용하지만 평상시에는 화살표 방향으로 끝까지
돌려놓아야 한다.

(20)(36) PUSH S/W X5 GAIN KNOB


눌렀을 경우, 수직축의 이득이 5배로 확대되고 최대 감도는 1 mv/div으로 된
다.

(23)(35) POSITION
화면상의 휘선을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21) PUSH S/W INVERT KNOB


POSITION 기능은 CH1용의 POSITION(35)와 같다. (21)의 KNOB을 누른 상
태에서 CH2에 인가된 입력신호의 극성이 반전된다. 극성이 다른 2개의 파형을
비교할 때나 ADD를 사용해서 CH1과 CH2의 파형차이를 관측하는 데 편리하
다. 보통 관측 시에는 뺀 상태로 둔다.

(28)(34) MODE 전환 KNOB


수직축의 동작방식을 선택한다. 동시에 누를 경우 CH1과 CH2의 신호가 동시
에 표시된다.

66 실사구시의 물리학
(31) ADD
CH1과 CH2에 인가된 각 입력신호의 차이가 화면에 나타난다.

(40) CH1 OUTPUT CONNECTOR(뒷면 패널)


주파수 카운터 등에 사용하는 신호출력단자로서 CH1의 입력신호를 약 20
mV/div의 진폭으로 출력한다. (50 Ω사용 시)

[3] 수평축 주변

(15) SWEEP TIME


Sweep time을 0.1  /div~0.2 s/div으로 전환할 수 있다.

(11) X-Y
X-Y 오실로스코프로 쓸 때, 즉 CH1에 X 신호를 CH2에 Y 신호를 입력할 때
사용한다. 이때 수직 축 편향 감도는 CH2 POSITION로, 수평위치는
H-POSITION(knob (14)으로 조절한다.

(9) PUSH ×100 MAG(PUSH ×5 MAG)


수평방향으로 선을 이동시킬 수 있다. 파형의 시간측정 등에 꼭 필요하다.
×10 MAG KNOB를 누르고 sweep을 10배로 확대할 수 있다. 이때 sweep
time/div은 지시치의 1/10배로 된다.
파형을 확대하여 관측하고 싶은 부분을 수평축의 POSITION으로 눈금의 중심
으로 가져온 다음, ×10 MAG SWITCH를 누르면 중심에 놓인 파형이 좌우로
확대된다. 이때 sweep time은 TIME/DIV에 의해 얻어진 속도의 10배로 읽도
록 한다.

(8) ALT MAG KNOB

II. 기본측정 67
CH1, CH2에 인가된 입력신호를 ×1과 ×10로 한번씩 전환해서 sweep하여 화
면에 ×1의 파형과 ×10의 파형을 동시에 관측할 수 있다.

[4] 동기 (Synchronization)

(18) SOURCE 전환 SWITCH


sweep동기 신호원을 선택한다.
INT:CH1 또는 CH2에 인가된 입력 신호가 동기신호원이 된다.
CH2:CH2에 인가된 입력신호가 동기 신호원이 된다.
LINE:전원주파수가 동기 신호원이 된다.
EXT:TRIG에 인가된 외부 동기신호가 동기신호로 된다. 수직축 신호와는 별
개로 특정신호로 동기시킬 때 사용한다.

(19) EXIT INPUT CONNECTOR


Sweep의 부동기 신호용 입력단자이다.

(17) TRIG LEVEL KNOB


TRIG LEVEL을 설정해서 톱니 파형의 어느 부분에서 sweep을 시작하는가
를 결정한다.

(10) SLOPE
보통상태에서 (+)SLOPE, 눌렀을 경우가 (-)SLOPE가 된다.

(16) TRIG MODE 전환 SWITCH


AUTO:자동동기 sweep이 되어 계속적으로 sweep한다.
동기 신호가 있을 때는 보통의 sweep이 되고 파형은 정지하게 되지
만 무신호 또는 동기가 맞지 않을 경우 자동적으로 휘선이 정지한

68 실사구시의 물리학
다. 보통 이 mode로 설정해 주면 편리하다.
NORM:동기 sweep으로 되어 동기가 걸렸을 때만 sweep한다. 무신호 또는
동기가 맞지 않을 경우 휘선은 나타나지 않는다.
TV-H, TV-V:TRIG MODE가 TV로 설정할 때만 사용한다. H는 수평동기이
며 V는 수직동기이다.

(39) Z-AXIS INPUT CONNECTOR (뒷면 패널)


휘도 변조용의 입력단자로서 직류 결합으로 되어 있어 (+)의 신호는 휘도가
저하되고 (-)의 신호는 휘도가 증가한다.

(40) CHANEL 1 SIGNAL OUT 단자

(7) CAL 0.5 V 단자


약 1 khz, 0.5 V의 교정용 사각파의 출력 단자이다. CAL 단자가 붙어 있어 프
로우브를 사용하여 교정하도록 한다.

(27) GND 단자
접지용 단자이다.

II. 기본측정 69
4 실험 방법

(1) DataStudio 프로그램 설치

그림 15는 DataStudio의 Experimental setup에서의 Signal generator 컨트롤 패널


이다. 이 패널에서 파형, 진폭,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림 15. DataStudio 화면과 PASCO750


인터페이스의 단자연결

(2) 기기 및 장치 설치와 측정

1. 오실로스코프의 CH1 단자와 PASCO 750 인터페이스의 OUTPUT 단자를 BNC


케이블로 연결한다.
2. Signal generator 패널에서 적당한 주파수와 진폭의 파가 나오도록 조절한 다음
ON을 클릭한다.
3. Signal generator에서 나오는 파형이 관측되도록 오실로스코프를 조절하여 여러
가지 주파수와 진폭을 관측한다.

70 실사구시의 물리학
4. 주파수를 계산하여 함수발생기(Function generator)에 표시된 주파수와 일치하
는지를 확인한다.
5. 멀티미터를 이용해서 Signal generator의 출력단자전압을 측정한다.
6. 오실로스코프에서 관측된 진폭(전압)과 비교하여 본다.
7. 톱니파와 시각파에 대해서도 같은 측정을 실시한다.
8. 오실로스코프에서 측정되는 교류파형의 최대 진폭값은 최대전압 (  )이고, 멀
티미터에서 측정되는 전압(실효전압)은 이 최대전압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
아본다.

5 참고

<Peak to peak 값>

그림 16과 같은 파형에서   을 최대치라 하는 것은 이미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


데 파고   에서 파복    까지의 전압을 peak to peak 값이라고 하며,     의 기
호로 표시한다. 따라서 그림 16 파형의 경우는 peak to peak값으로서의 전압은  
    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정현파의 경우 실효치     
 이 되므로 이 실

효전압  를 peak to peak값으로 표시하면 


       가 된다. 오실로스코프로 교

류전압을 측정할 때는 실효치로 하면 환산이 필요하기 때문에 peak to peak값으로


측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II. 기본측정 71
그림 16. 교류파형.

6 연습문제

(1) 각 파형에 따른 교류전압의 실효치의 계산 방법을 조사하여 값을 알아보자. 정


현파, 톱니파, 사각파에 대해 실효전압과 최대전압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2) 리사쥬 곡선(Lissajous curve)이란 무엇인가? 조사하여보자. (이 실험은 외부


에서 각각의 진동수 및 위상차를 조절할 수 있는 두 입력신호가 있을 때 가능하
다.)

(3) 다음 그림과 같은 정전편향에서 편향판 중심과 형광면 사이의 거리를  , 편향


판의 유효길이를  , 편향판의 간격을 , 편향전압을   , 가속전압을   라고
할 때, 형광면상에서의 편향거리  를 구하여라.

72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17. 편향판에서의 전자의 이동경로.

∙ 주의:오실로스코프의 전원을 넣기 전에는 INTENSITY KNOB를 반시계방향으


로 끝까지 돌려두십시오.

II. 기본측정 73
실험 2. 오실로스코프의 기본원리와 작동법

년 월 일 과(반) 조 학번 성명
공 동
실험자

1. 정현파 측정

1) 파형(X: /Div, Y: /Div):첨부한 그래프를 사용하시오.

2) 주파수

입력주파수 관축주파수

3) 진폭

입력전압 최대전압 실효전압

2. 톱니파 측정

1) 파형(X: /Div, Y: /Div):첨부한 그래프를 사용하시오.

74 실사구시의 물리학
2) 주파수

입력주파수 관축주파수

3) 진폭

입력전압 최대전압 실효전압

3. 사각파 측정

1) 파형(X: /Div, Y: /Div):첨부한 그래프를 사용하시오.


2) 주파수

입력주파수 관축주파수

3) 진폭

입력전압 최대전압 실효전압

※ 관찰한 정현파, 톱니파, 사각파의 파형을 그리시오.

II. 기본측정 75
실험 1. 중력가속도
실험 2. 포사체 운동
실험 3. 마찰계수
실험 4. 운동량 및 에너지 보존 법칙
실험 5. 원운동과 구심력
(

실 학1 실험 6. 빛의 전파와 역제곱 법칙
실험 7. 관성모멘트
험기 실험 8. 물리진자
)

실험 9. 관의 공명

실험 10. 등전위선과 전기장


실험 11. 휘트스톤 브리지
실험 12. 축전기의 충방전
실험 13. 음극선의 편향
실험 14. 상호유도에 의한 유도기전력
(

실학
2 실험 15. 전류 주위의 자기장
실험 16. 빛의 반사와 굴절
험기 실험 17. 빛의 회절과 간섭
)

실험 18. 회절격자
실험 1
중력가속도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포토게이트 (Photogate)
1
:광학적인 방법으로 물체의 운동을 측정하는 기구
피켓 펜스 (Picket Fence)
:균등한 간격의 불투명한 밴드가 있는 투명한 1
플라스틱 조각

2 실험 목적

포토게이트를 통하여 떨어지는 피켓 펜스의 낙하시간을 측정하여 중력가속도를 측


정한다.

3 실험 이론

어떤 물체가 낙하할 때, 공기의 저항을 무시할 수 있다면 물체가 일정한 비율로 아


래 방향으로 등가속 운동을 하며, 이러한 중력에 의한 가속도는 지표면 근처에서 거
의 일정하다. 일단 등가속도로 가정하고 지구 중력의 영향 아래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을 실제 실험결과와 비교해서 등가속도 운동으로 봐도 되는지 확인해보자.

실험 1 79
낙하하는 물체에 중력만 작용한다면 가속도가  인 등가속도 운동을 하게 된다. 정
지 상태에서 물체를 자유 낙하시키면 가속도와 낙하거리는 피켓 펜스의 낙하시간을 t
라고 할 때,


    (1)

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피켓 펜스의 낙하시간을 측정하게 되면 중력가속도를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중력을 받으며 자유낙하하는 물체의 이동거리는 공기저항을 무시할
경우 시간의 제곱에 비례한다.

 ∝ (2)

이 수학적 관계는 갈릴레오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다. 그는 지구 지표면 상의 어느


곳에서도 모든 물체가 균일한 가속도로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이 가속도는 지구와 물
체 간의 상호작용인 만유인력에 의한 것이며, 이를 중력가속도( )라고 부르고 크기는
   이다.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① 피켓 펜스가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에 포토게이트를 위치시킨다.

80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1-1. 포토게이트 그림 1-2. 피켓 펜스

② 피켓 펜스가 바닥에 닿을 때 충격을 받지 않도록, 낙하 지점에 패드를 놓는다.

그림 1-3. 중력가속도의 측정 실험장치

실험 1 81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① Science Workshop 인터페이스를 컴퓨터에 연결하고 인터페이스를 켠 후 컴퓨터를


켠다.
② 포토게이트의 스테레오 폰 플러그를 인터페이스의 디지털 채널 1에 연결하자.
③ Data-studio를 실행한다.
④ 포토게이트를 Science Workshop에 연결하고 Data-studio에서도 같은 위치에 포
토게이트를 연결한다.

그림 1-4. 포토게이트의 연결

⑤ 포토게이트-피켓 펜스 설정
- Measurement:시간에 따른 속력의 변화량과 가속도 값을 측정.
- Constants:피켓 펜스의 간격 측정 후 Band Spacing 값을 입력.

4-3. 데이터 수집

① 피켓 펜스를 지면과 수직으로 세우고 떨어뜨릴 때 펜스가 포토게이트에 닿지 않


도록 주의하여 낙하시킬 준비를 한다. (떨어뜨릴 때 피켓 펜스에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피켓 펜스를 잡아서 피켓 펜스

82 실사구시의 물리학
의 맨 밑의 모서리가 포토게이트 빔 바로 위에 있도록 한다.)
② 데이터 기록을 시작하고, 포토게이트 빔을 통과하도록 피켓 펜스를 떨어뜨린다. 포
토게이트 빔이 처음으로 불투명한 밴드에 차단될 때 데이터 기록이 시작된다.
③ 피켓 펜스가 포토게이트를 완전히 빠져나간 뒤 기록을 멈춘다.

4-4. 데이터 분석

① 시간에 따른 속력, 가속도의 값을 보여줄 그래프를 띄운다.


② 시간에 따른 속력의 그래프에서 기울기에 대해 ʻBest fitʼ을 결정한다. (이 과정은 최
소제곱법, 즉 Least square fitting 으로 이루어진다. Fitting 을 실행하면 평균값
과 표준편차를 얻을 수 있다.)

∙ 힌트:Data-studio 의 ʻFitʼ 메뉴( )에서 ʻLinear Fitʼ를 선택하면 된다.


③ 가속도의 그래프에서 ʻMean(평균)ʼ 값을 기록한다.

∙ 힌트:Data-studio 의 ʻStatisticsʼ 메뉴( )로부터 ʻMeanʼ을 선택하면 된


다.
④ 위 실험 분석을 통해 실험결과를 정리한다.

5 실험 결과 및 토의

항목 1회 2회 3회 4회 평균

시간에 대한 속력의 기울기

구간별 가속도의 평균

※ 토의 사항

① 속력의 기울기와 가속도의 평균이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

실험 1 83
② 속력의 기울기와 가속도의 평균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정확한가?
③ 얻어진 중력가속도가 공기의 마찰에 의한 요인에 의하여 얼마만큼의 영향을 받
았는가?
④ log-log plot을 사용하여 이동거리와 시간이 power law로 표현됨을 확인하고
그 기울기가 2임을 확인한다.
⑤ 오차를 유발하는 여러 가지 요인을 열거하고 실험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시오.

84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험 2
포사체 운동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포사체 발사대 1

포토게이트(Photogate) 1

2 실험 목적

다양한 각도로 발사된 물체의 포물선 운동을 이해하고 그 실험결과와 이론식과의


관계를 알아본다.

3 실험 이론

그림 2-1. 포사체 운동

실험 2 85
중력을 받으며 운동하는 포사체의 운동은 공기의 마찰을 무시하면 수평방향으로는
등속운동을 하고 수직방향으로는 등가속도 운동을 한다. 수평방향에 대해  만큼 기울
어진 각도로   의 초기속도로 발사된 물체의 수평방향속도(  )와 수직방향의속도
(  )는 다음과 같다.

     cos (1)

      sin   (2)

여기서  는 중력가속도,  는 발사 후 경과한 시간이다.


그러므로 출발점 (0,0)을 기준으로 할 때, 수평방향의 위치   와 수직방향의 위
치   는

      cos (3)


      sin    (4)

이다. 그러므로 식(3)과 식(4)에 의해 궤도방정식은


        tan  (5)

  cos

으로 포물선을 그리게 된다. 포사체가 최고높이  m ax 에 이르는 순간 m ax 에는 수직방


향의 속도가 0이 되므로 식(2)에서  sin  m ax   이다. 따라서 최고도달 높이시
간 m ax 는 다음과 같다.

86 실사구시의 물리학
  sin
m ax   (6)

식(4)와 식(6)에 의해 max 는

  sin 
 m ax  (7)


그리고 포사체가 떨어지는 곳에서는 수직방향의 위치가    이 되므로 식(4) 및


식(5)에 의해 그 때의 시간 m ax 과 떨어지는 곳 max 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

다.

  sin   sin
m ax   ;  m ax   ≡  (8)
 

그러나 본 실험에서는 발사대의 높이로 인해 출발점이 (0,0)이 아니라    로 수


정이 필요하다. 초기 위치가 바뀌었으므로 식(4)는 다음과 같이 변형된다.


         sin    (9)

이를 바탕으로 땅에 떨어질 때   의 시간 ′m ax 과 수평방향의 위치 ′m ax 는 위


식(8)의 값보다 각각 더 큰 값들을 갖는다. 수평으로 추가로 진행된 시간 ∆ 를
  ′ m ax  m ax 와 같이 정의하고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 
 sin   
 

  sin

(10)

실험 2 87
그리고 실 수평 도달거리는 다음과 같다.

′ ≡ ′m ax     cos  (11)

이 실험에서 포사체가 포물선 운동을 하는가를 눈으로 확인하고 수평도달거리는


이론식과 잘 일치하는가 알아볼 것이다. 또한 초기 발사각이 45°일 때 수평도달거리
가 최대가 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해보자.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그림 2-2. 포사체 운동 실험장치

88 실사구시의 물리학
1. 포사체 발사대를 실험대 가장자리에 조임쇠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2. 포사체 발사대의 각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포토게이트 Mounting bracket을 이용
하여 포토게이트를 설치한다.
3. 발사대에 끈으로 연결되어 있는 나무막대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공을 발사대 안
에 장전한다. 이때에 1단 혹은 2단만 사용하도록 한다. (3단은 지나치게 멀리
나가므로 주의한다.)
4. 몇 회의 시험 발사를 통해 대략적인 낙하지점을 예측한 후, 예상되는 낙하지점
에서 먹지를 이용하여 낙하위치를 표시 후, 발사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한
다.
5. 각도를 달리하여 낙하지점을 표시하고 수평도달거리를 측정한다.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1. 포토게이트를 Science Workshop의 Digital 부분에 연결하고 Data-studio에서


포토게이트를 선택한다.
2. 포토게이트의 Measurement 영역에서 ʻVelocity in gate (m/s)ʼ를 측정하도록 선
택하고, Constant 영역에서 플라스틱 구슬의 직경을 직접 측정하여 입력한다.

실험 2 89
5 실험 결과

경사각 30˚ 45˚ 60˚


초기 높이   (m)

1회
2회
3회
초기 속도   (m/s)
4회
5회
평균
추가 진행시간 ∆ (s)
추가 도달거리     cos∆ (m)

1회
2회

실제 도달거리  ′ 3회
(m) 4회
5회
평균

수평도달거리(측정)
   ′   (m)

수평도달거리(이론)
 sin
   (m)

오차 (%)

90 실사구시의 물리학
※ 토의 사항

① 포토게이트의 동작원리를 살펴보고, 이를 사용한 공의 속력 측정법을 설명하시오.


② 실험치와 이론치 간의 오차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요인을 찾으시오.
③ 공기의 마찰력에 의한 효과를 살펴보시오. 특히 초기 속도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고찰하시오.

실험 2 91
실험 3
마찰계수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포토게이트 (Photogate)
각각 2
포토게이트 고정막대
마찰계수 측정용 샘플 (나무/플라스틱) 각각 1
트랙 1
각도기 1
스탠드 1
지지막대 1

2 실험 목적

비탈면을 이용해 샘플의 마찰계수를 구하고, 마찰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찾


아본다.

3 실험 이론

3-1 마찰력

물체가 어떤 표면 위를 운동하거나, 공기나 물과 같은 점성이 있는 매질 속에서


운동할 때, 물체는 주위와의 상호 작용 때문에 운동하는 데 저항을 받는다. 이런 저
항을 마찰력 (force of friction)이라고 한다. 마찰력은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하다.

92 실사구시의 물리학
걷거나 달리기 또는 자동차의 운동 등이 모두 마찰력 때문에 가능하다.

그림 3-1 정지마찰력 및 운동마찰력

본 실험에서는 두 가지 종류의 마찰력을 다루려 하며, 이는 정지마찰력과 운동마


찰력이다. 물체와 지면사이의 접촉면에 평행방향의 외력이 있을 경우 이 두가지 마
찰력을 그림 3-1에 도식적으로 나타내었다. 외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체가 정지
하고 있을 경우, 외력과 반대방향을 가지고 외력과 같은 크기를 갖는 정지마찰력이
물체의 바닥면에 존재한다. 한편 외력이 임계치(최대정지마찰력)를 넘어 물체가 움
직이는 경우, 외력에 관계없이 일정한 크기와 운동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진 운동마
찰력이 물체의 바닥면에 작용하게 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마찰력과 외력간의 관계를 아래의 그림 3-2에 그


렸다. 여기서는 힘의 방향을 생략하고 크기만을 나타내었다. 먼저 외력 
가 그다지
크지 않다면 물체는 움직이지 않을 것이다.(정지상태) 그 이유는 임의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 
에 맞서서 물체가 움직이지 못하게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작
용하기 때문인데, 이를 정지마찰력 (force of static friction) 
 이라고 한다. 즉


  
  이다. 이러한 정지상태는 외력이 최대정지마찰력,    m ax 을 넘지 않는 한

실험 3 93
계속된다. 여기서 최대정지마찰력의 값은 수직항력에 비례하는 값이다.

그림 3-2 외력과 마찰력의 관계

그러나 외력 
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즉 최대정지마찰력보다
더 커지면 물체는 움직이기 시작한다. 그러나 일단 물체가 움직이는 상태에는 최대
정지마찰력보다 작고 외력에 무관하게 일정한 운동마찰력, 
  (force of kinetic
friction)이 작용하게 된다. 여기서 운동마찰력의 방향은 운동방향의 반대이며, 크기
는 수직항력에 비례한다.

3-2 마찰계수

실험적으로 최대 정지 마찰력    m ax 와 운동마찰력   는 표면이 물체를 떠받치는


수직항력,  의 크기에 비례한다는 것이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런 근사가 정확하
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은 단순 모형을 통해 마찰력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정
지 마찰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 ≤   … (1)

여기서  는 차원이 없는 상수로서 정지 마찰계수 (coefficient of static

94 실사구시의 물리학
friction)라고 하며,  은 수직항력의 크기이다. 식 (1)에서 등호는 물체가 막 움직
이기 시작하는, 즉 최대 정지 마찰력이 작용할 때 성립하므로 최대 정지 마찰력
   m ax 는

   m ax    … (2)

이다.

한편 운동 마찰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    … (3)

여기서 k 는 운동 마찰계수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이다.

3-3 비탈면에서 마찰계수 결정

그림 3-3과 같이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진 비탈면을 이용하면, 물체의 정지 마찰


계수와 운동 마찰 계수를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그림 3-3 비탈면 위의 물체

실험 3 95
기울어진 비탈면 위에 물체를 두고 정지 상태임을 확인하고, 비탈면의 기울기를
물체가 막 미끄러질 때까지 서서히 증가시킨다. 물체가 미끄러지기 시작할 때의
임계각 c 를 측정하면 정지 마찰계수를 구할 수 있다.

    sin      … (4)

      cos   … (5)

식 (4)와 (5)를 연립하면, 미끄러지기 시작하는 임계각에서 정지 마찰계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sin    sin    tan  … (6)
cos  

  tan  … (7)

 >c 일 경우 물체는 등가속도 운동을 하므로, 식 (4)의 좌변에서는   대신


  를, 우변은 ma 가 더해지도록 변환된다. 이러한 과정을 고려하여 운동 마찰계수를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    sin     ;        sin   … (8)

       … (9)

 sin       
    tan   … (10)
 cos   cos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96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3-4 비탈면 마찰계수 측정장치

① A베이스의 중앙에 지지막대를 세우고 트랙을 기울여 고정한다.


② 포토게이트 2개를 각각 고정막대에 연결하고, 트랙에 50 cm 간격으로 설치한
다.
③ 포토게이트들을 Science Workshop의 디지털 채널에 연결한다.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Photogate 설정
① Measurement 탭에서 Velocity in gate (m/s)만 선택한다.
② Constants 탭에서 Flag Length를 입력한다.

실험 3 97
그림 3-5 포토게이트 설정

4-3. 데이터 측정

∙ 정지 마찰계수 측정
① 트랙 위에 마찰계수 측정용 샘플을 올려놓는다.
② 트랙의 기울기를 조금씩 증가시키며 미끄러지기 시작할 때 임계각을 측정하
여 기록한다.
③ 샘플을 바꿔가며 여러 번 반복 실험을 한다.

∙ 운동 마찰계수 측정
① 임계각 이상으로 트랙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② Start 버튼을 누르고, 트랙 위에서 샘플이 등속운동 할 수 있게 놓는다.
③ 포토게이트를 이용해 처음 속력과 나중 속력을 기록한다.
④ 샘플을 바꿔가며 여러 번 반복 실험을 한다.

98 실사구시의 물리학
4-4. 데이터 분석

① 임계각을 측정해 정지 마찰계수를 구한다.


② 트랙의 기울기와 샘플의 처음 속도, 나중 속도를 이용해 운동 마찰 계수를
구한다.
③ 시료들의 정지 마찰계수와 운동 마찰계수를 비교하고, 오차의 원인을 분석한
다.

실험 3 99
5 실험 결과 및 토의

∙ 정지 마찰계수

나무-거친바닥 나무-거친바닥 나무-매끈바닥 나무-매끈바닥


샘플
(좁은 밑면) (넓은 밑면) (좁은 밑면) (넓은 밑면)

임계각

정지마찰계수

∙ 운동 마찰계수
두 photogates 사이의 거리 : 0.5 cm

비탈면의 나무-거친바닥 나무-거친바닥 나무-매끈바닥 나무-매끈바닥


속도
기울기 (좁은 밑면) (넓은 밑면) (좁은 밑면) (넓은 밑면)
처음 속도
1회
나중 속도
처음 속도
2회
나중 속도
처음 속도
3회
나중 속도
운동마찰계수

100 실사구시의 물리학


비탈면의 나무-거친바닥 나무-거친바닥 나무-매끈바닥 나무-매끈바닥
속도
기울기 (좁은 밑면) (넓은 밑면) (좁은 밑면) (넓은 밑면)
처음 속도
1회
나중 속도
처음 속도
2회
나중 속도
처음 속도
3회
나중 속도
운동마찰계수

비탈면의 나무-거친바닥 나무-거친바닥 나무-매끈바닥 나무-매끈바닥


속도
기울기 (좁은 밑면) (넓은 밑면) (좁은 밑면) (넓은 밑면)
처음 속도
1회
나중 속도
처음 속도
2회
나중 속도
처음 속도
3회
나중 속도
운동마찰계수

※ 토의

① 물체의 질량, 바닥과의 접촉면 등 운동 마찰 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


하고 논의하시오.
② 마찰력이 발생하는 미시적인 원인에 대하여 논의하시오.

실험 3 101
실험 4
운동량 및 에너지 보존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회전 모션 센서 (Rotary Motion Sensor) 1

포토게이트 (photogate) 1

포사체 발사대 1

탄동진자 1

스탠드 1

지지막대 1

2 실험 목적

탄동진자를 이용해 포사체의 초기속도를 구하고, 고립된 계에서 에너지와 운동량


이 보존됨을 확인한다.

3 실험 이론

3-1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

경로에 무관한 힘(보존력)만 작용하는 고립된 계에서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보


존된다.

102 실사구시의 물리학


     … (1)

역학적 에너지를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합으로 정의하면, 물체의 처음 상


태에서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지의 합과 나중 상태에서 운동 에너지와 위치 에너
지의 합이 같다는 사실을 유도할 수 있다.

           … (2)

특히 보존력이 중력일 경우, 수식 (2)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  … (3)
 

3-2 충돌과 운동량 보존 법칙

충돌이란 두 물체가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서로에게 힘을 가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충돌시 힘의 크기는 시간에 따라 복잡하게 변하므로 뉴턴의 제2법칙으로 분석하기
대단히 어렵다. 그러나 운동량 보존의 개념을 이용하면 충돌을 처음 상태와 나중
상태로 나누어 기술할 수 있다.

그림 4-1 충돌 모형

충돌 순간 물체A와 물체B에, 크기는 같고 방향이 반대인 작용-반작용의 힘이 작


용한다.

실험 4 103

  
 … (4)


운동량의 정의를 이용하여 수식 (4)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5)
 

   ≡ 


     … (6)

그러므로 충돌 전과 충돌 후 운동량은 같다.

    
′  
′ … (7)
 

       
′   
′ … (8)

고립계의 경우 운동량은 충돌 후에도 항상 보존된다. 그러나 운동 에너지는 일반


적으로 충돌 후 보존될 필요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너지가 보존되는 충돌을
탄성 충돌(elastic collision)이라고 한다. 그러지 않은 경우를 비탄성 충돌(inelastic
collision)이라고 하는데, 그 중에서 충돌 후 두 물체가 서로 붙어버리면 충돌 전후
의 운동 에너지 차이가 최대가 되고, 그것을 완전 비탄성 충돌(perfectly inelastic
collision)이라고 한다.

3-3 탄동 진자

충돌 시 운동량 보존 법칙과, 충돌 후 보존력만 작용하는 고립계에서 역학적 에너

104 실사구시의 물리학


지가 보존됨을 바탕으로 탄동진자의 운동으로부터 포사체의 초기속도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림 4-2 탄동진자

① 완전 비탄성 충돌(A→B ):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되지 않더라도 운동량은 보존


된다.

       … (9)

  
       … (10)


② 역학적 에너지 보존(B→C ): 최대 높이에서 운동 에너지가 모두 위치 에너지로


전환된다.




         … (11)

실험 4 105
   
 … (12)

최대 높이는 탄동진자의 길이와 최대 각도를 이용해 계산한다.

    cos  … (13)

수식 (10), (12), 그리고 (13)를 연립하여 포사체의 초기속도를 구한다.

  
        cos  … (14)
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① A베이스의 중앙에 지지막대를 세우고, 회전 모션 센서를 상단에 고정한다.


② 탄동진자를 회전 모션 센서와 연결한다.
③ 포사체 발사대를 실험대 가장자리에 조임쇠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④ 포사체 발사대의 각도를 수평으로 조절하고, 포토게이트를 발사대 바로 앞에 설
치한다.
⑤ 포사체가 탄동진자에 제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스탠드의 위치를 조절한다.
⑥ 회전 모션 센서와 포토게이트를 Science Workshop의 디지털 채널에 연결한
다.

106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4-3 탄동 진자 실험 장치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Rotary motion sensor 설정

① Measurement 탭에서 Angular position(degree)만 선택한다.


② Rotary Motion Sensor 탭에서 Resolution을 high(Division/Rotation 1440)
로 변경한다.
③ Sample rate는 50Hz가 적당하다.

∙ Photogate 설정

① Measurement 탭에서 Velocity in gate (m/s)만 선택한다.

실험 4 107
② Constants 탭에서 Flag Length를 구슬의 지름인 0.025(m)로 입력한다.

그림 4-4 회전 모션 센서(상)와 포토게이트(하)의 설정

108 실사구시의 물리학


4-3. 데이터 측정

① 장전 막대를 이용해 포사체 발사대에 플라스틱 공을 장전한다.


② Start 버튼을 누르고 포사체를 발사한다.
③ 회전 모션 센서로 최대 각도를, 포토게이트로 초기속도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④ 실험 조건을 바꿔가며, 여러 번 반복하여 실험한다.

4-4. 데이터 분석

① 구슬의 질량, 발사 세기를 바꿔가며 포사체의 초기속도를 측정한다.


② 회전 모션 센서를 이용해 계산한 초기속도의 이론값과 포토게이트를 이용해 측
정한 초기속도의 측정값을 비교해 본다.
③ 각각 물리량의 변화에 따른 오차의 경향을 확인한다.

4-5. 주의 사항

① 탄동진자와 포사체 발사대 입구의 위치가 맞지 않으면 제대로 된 실험을 할 수


없으므로, 실험하기 전, 반드시 위치를 확인한다.
② 강한 세기로 발사된 구슬은 지나치게 멀리 날아가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한
다.

실험 4 109
5 실험 결과 및 토의

⦁ 탄동진자의 질량 (kg):
⦁ 탄동진자의 길이 (m):

⦁ 포사체(구슬)의 질량 (kg):

이론 초기속도 (m/s) 측정 초기속도 (m/s)


세기 각도 (deg) 오차(%)
rotary motion sensor photogate

1단

2단

3단

110 실사구시의 물리학


⦁ 포사체(구슬)의 질량 (kg):

이론 초기속도 (m/s) 측정 초기속도 (m/s)


세기 각도 (deg) 오차(%)
rotary motion sensor photogate

1단

2단

3단

※ 토의

① 본 실험에서 완전 비탄성충돌시 사라진 운동에너지 양을 구해보고 변환된 에너지


형태를 논의해 보시오.
② 이론치와의 오차의 원인들을 열거, 논의하시오.
③ 이를 바탕으로 실험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해 보시오.

실험 4 111
실험 5
원운동과 구심력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힘 센서 (Force Sensor)
1
:밀고 당기는 힘을 측정해주는 기구
파워 앰프 (Power Amplifier)
1
:회전대를 회전시켜주기 위한 전원(속도조절)
포토게이트 (Photogate)
1
:이 실험에서는 회전대의 회전속도를 측정하는 기구
측정용 회전대
1
:무게와 반지름을 바꾸어 줄 수 있는 회전대
받침대, 지지막대, 멀티 클램프 각각 1

2 실험 목적

2차원 운동의 특별한 경우인 원운동 및 구심력에 대해 이해하고, 속도와 질량, 반


지름에 따른 구심력의 변화에 대해 알아본다.

3 실험 이론

회전하는 원통에 담겨진 물이 왜 안 떨어지는지 한 번쯤 생각해 본 적이 있을 것이


다. 이 실험에서는 이러한 현상과 관련되는 구심력을 살펴보기 위해 원운동하는 물체
의 질량, 속도 및 궤도반지름과 구심력 사이의 관계를 알아본다.

112 실사구시의 물리학


질량  인 물체가 반경  인 원주 위를 속력  로 움직일 때 구심력의 크기는
 
  (1)

로 주어진다. 각속도를  라고 놓으면

   (2)

로 쓸 수 있고, 식(2)을 식(1)에 대입하면,

    (3)

를 얻는다.  대신에 단위 시간당 회전수  로 쓰면

   (4)

이므로

     (5)

로도 나타낼 수 있다. 식(5)로부터 알 수 있듯이 물체의 질량, 회전 반경 및 단위 시


간당 회전수를 측정하면 구심력 F를 구할 수 있다.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실험 5 113
그림 5-1. 구심력의 측정 실험장치

① 측정용 회전대를 A베이스의 중앙에 고정하고 한쪽 끝에는 지지막대를 세운다.


② A베이스의 수평조절나사를 이용하여 회전대의 수평을 조절해준다.
③ 멀티 클램프와 짧은 막대를 이용하여 힘 센서를 상단에 고정하고, 힘 센서 하단
에 고리를 돌려 끼우고 실을 연결한다. 이때, 회전대의 중심으로부터 힘 센서 하
단에 걸린 실이 수직이 되도록 잘 정렬한다.
④ 자유질량 홀더와 고정질량 홀더에 같은 무게의 추를 고정시켜 준다.

그림 5-2. 측정용 회전대

114 실사구시의 물리학


⑤ 힘 센서 - 도르래 - 자유질량 홀더에 연결된 실이 팽팽해지도록 질량을 당겼을
때, 회전대의 중심으로부터 질량의 거리를 잰다. 반대쪽의 고정질량 홀더도 중
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같도록 위치시킨다.

그림 5-3. 회전대 중심에서 질량까지의 거리측정

⑥ 회전대가 돌아갈 때 고정질량 홀더 하단의 블록이 센서에 걸리도록 포토게이트


를 설치한다.

그림 5-4. 포토게이트의 설치

⑦ 힘 센서와 파워 앰프의 플러그를 아날로그 채널에 연결하고, 포토게이트는 디지


털 채널에 연결한다.

실험 5 115
그림 5-5. Data-studio의 실험 설정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포토게이트
- Measurement:시간에 따른 속력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 힘 센서
- Measurement:시간에 따른 힘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 Sample rate:센서에서 값을 읽어 들이는 주기를 말한다. Sample rate가 높
으면, 빠르게 변화하는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 파워 앰프
- Signal output:Signal generator에서 DC Voltage값 측정.
- 구심력 대 속도 실험을 할 때, 여기서 입력 전압을 변화시켜준다.

116 실사구시의 물리학


∙ 힘 대 회전속도 그래프 표시
- Experiment setup 에서 Setup timers 버튼을 누른다.
- Label:Period를 입력한다.
- Timing sequence choices:Blocked를 2번 선택한다.
- Done 실행버튼을 누르면 좌측의 Data 윈도우에 Period가 표시된다.

그림 5-6. 타이머 설정

∙ 속도 표시

- 상단의 버튼을 누른다.


- Definition:Velocity=(2*pi*radius)/t 입력한다.

(주기 구하는 공식:   를 통해 위의 식을 유도할 수 있다.)

- Properties(속도의 정의): Variable name에 velocity, Units에 m/s를 입력한
다.

실험 5 117
그림 5-7. Calculator 화면

- Variables:radius 는 Experiment constant를 선택, 구심력 대 반지름 실험을


할 때 여기서 반지름 값을 변화시켜준다. t는 Data measurement
에서 Period를 선택한다.
- Accept 버튼을 누르면 속도 Data를 바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림 5-8. Velocity 정보 변경

118 실사구시의 물리학


4-3. 데이터 측정

① 구심력 대 속도
- 모터 입력 전압을 변화시키며 물체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킬 때 구심력을 연
속적으로 측정한다.
- 반경과 질량은 고정한다.
- 파워 앰프에서 전압을 변화시켜준다.
② 구심력 대 질량
- 물체의 질량을 변화시킬 때 구심력의 변화를 측정한다.
- 반지름은 고정, 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고정한다.
- 고정질량 홀더의 질량을 변화시켜 줄 때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변하지 않도
록 주의해야한다.
③ 구심력 대 반지름
- 회전 반지름을 변화시킬 때 구심력의 변화를 측정한다.
- 질량과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고정한다.
- 전압이 일정한 것이 아니라 속도가 일정하도록 파워 앰프의 전압을 조절해야
한다.
- Velocity의 Variables - radius - Experiment constant에서 변화시킨 반지
름 값을 새로 입력해야한다.

4-4. 데이터 분석

① 시간에 따른 속력의 그래프에서 속력이 더 이상 변하지 않는 부분의 ‘Mean(평


균)ʼ 값을 구한다.

∙ 힌트:Data-studio 의 ʻStatisticsʼ 메뉴( )로부터 ʻMeanʼ을 선택한다.


② 시간에 따른 힘의 그래프에서 힘이 더 이상 변하지 않는 부분의 ‘Mean(평균)’
값을 구한다.
∙ 힌트:시간에 따른 속력의 그래프와 같은 구간의 평균을 구하는 것이 좋다.

실험 5 119
③ 위 실험 분석을 통해 실험결과를 정리한다.

✻ 주의할 점
① 실험할 때마다 힘 센서를 영점(Zero)조절 해준다.
② 구심력 대 반지름 실험에서 변화시킨 반지름 값을 새로 입력해주지 않으면 제대
로 된 데이터를 얻지 못하므로 신경 써서 체크해준다.
③ 회전하는 회전대에 포토게이트가 부딪히지 않도록 주의한다.

120 실사구시의 물리학


5 실험 결과 및 토의

구심력 구심력
속력 질량 반지름 오차(%)
(측정) (이론)

속력에
따른
구심력
측정

질량에
따른
구심력
측정

반지름에
따른
구심력
측정

실험 5 121
※ 토의 사항

① 측정되는 힘의 세기가 음수인 이유는 무엇인가?


② 고정질량의 역할은 무엇인지 자세히 논의하시오.
③ 속력, 질량, 반지름 세가지 중 가장 오차가 심한 변수를 찾고, 그 이유를 논의하
시오.

122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험 6
빛의 전파와 역제곱 법칙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모션 센서 (Motion Sensor):
1
물체의 운동을 측정하는 기구
광 센서 (Light Sensor):
1
빛의 밝기를 전기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구
LED (Light Emitting Diode):
1
실험의 광원으로 쓰임
광학대, 센서 이동 수레, 지지막대, 클램프 각각 1

2 실험 목적

광원에서 방출되는 빛의 세기(밝기)가 역제곱의 법칙을 따르는 것을 알아본다. 즉


측정거리에 따라 측정되는 빛의 세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확인한다.

3 실험 이론

전파되는 빛의 세기를 다발(Flux,  )로 표현할 수 있다면 임의의 면적(A)을 통과


하는 빛의 총 양은 (다발) x (면적)의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단 이때 면적 A는 빛
의 방향에 수직이다.) 그림 6-1에서 보듯이 원점에서 발산한 빛 중에서, 거리  에 있
는 하나의 단위면적을 통과한 빛은 거리가  인 곳에서는 네 배의 면적, 즉 네 개의
단위면적에 걸쳐 모두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다발의 밀도, 즉 빛의 세기는 거리의

실험 6 123
제곱에 반비례함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림 6-1. 역제곱 법칙

 
 ∝ , ∝  , ∝  (1)
 

이렇게 어떤 양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것을 역제곱 법칙(Inverse-squre


law)이라고 부른다. 어떠한 점으로부터 모든 공간으로 펼쳐지는 양은 모두 같은 방식
으로 기술된다.(가우스 법칙)
빛의 세기를 기술하기 위해, 광선속(Luminous flux)과 조도(Illuminance)라는 개념
을 사용한다. 광선속은 광원에서 단위시간 당 방출되는 가시광선 영역의 빛 에너지의
총합이며 단위는 루멘(lm)이고, 조도(광조도)는 단위면적에 비추어지는 광선속으로,
단위는 룩스(lx)이다.
 
    (2)
 

광원의 광선속을 P로, 측정되는 조도를 I라고 한다면 등방의 광원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식을 만족한다.

124 실사구시의 물리학



   (3)


광선속은 광원의 종류에 따라 정해지며, 식(3)에서와 같이 측정되는 빛의 세기, 즉


조도는 거리 제곱의 역수에 비례한다.
광도는 단위입체각 당 광선속밀도 즉   이며 단위는 칸델라(cd)이다. 국제도
량형총회에서는 1979년 1 cd를 광 측정의 기본량으로 하였고 ʻʻ진동수  ×  Hz
인 단색광을 방출하는 광원의 복사도가 주어진 임의의 방향으로 단위입체각 당
1/683 W일 때 이 방향에 대한 광도ʼʼ로 정의하였다.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① 광 센서의 감도(Gain) 탭 스위치를 1로 맞추고, 모션 센서의 탭은 좁은 영역


(narrow)에 맞춘다. 이때 모션 센서의 측정구간은 최소 15 cm, 최대 2 m이다.

그림 6-2. 광 센서 그림 6-3. 모션 센서

실험 6 125
② 모션 센서와 광 센서를 연결 나사를 이용해 역학수레에 고정시킨다.
③ 모션 센서의 방향과 광 센서의 방향이 나란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④ LED에서 나오는 빛을 측정할 수 있도록 역학수레를 광학대 위에 올려놓는다.
⑤ LED를 켜고 실험의 정확도를 위해 실험실을 가능한 한 어둡게 한다.

그림 6-4. 빛의 역제곱 법칙 실험장치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모션 센서
- Measurement:센서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한다.
- Sample rate:센서에서 값을 읽어 들이는 주기를 말함. Sample rate가 높으면,
빠르게 변화하는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 광 센서
- Measurement:빛의 세기를 측정한다.
- Sensitivity:측정구간이 1 V 이상이면 Low(1x), 1 V 이하이면 Med(10x)를 선택
한다.

126 실사구시의 물리학


4-3. 데이터 수집

① Data-studio의 Start 단추를 누르고 센서를 가까운 거리에서 먼 쪽으로 움직여


거리의 변화에 따른 빛의 세기를 측정한다. 이때 가능한 한 등속도 운동에 근접
하도록 움직여야 좋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4-4. 데이터 분석

① 광 센서가 읽어 들일 수 있는 값보다 큰 값이 측정되는 경우, 그 값이 제대로 측


정되지 않으므로 부정확한 값은 제거해준다.
② 거리 데이터시트에서도 남겨진 빛의 세기의 데이터와 동일한 시간에 측정된 값
만을 제외하고 불필요한 데이터는 삭제해준다.

그림 6-5. 시간에 따른 빛의 Intensity

③ 빛의 세기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직접적으로 보기 위해 x축의 값을 새로


정의한다. 도구바의 Calculate 단추를 눌러 새로운 y값을 정의하여 준다. 이때,
x값은 Variables에서 모션 센서로 측정된 Position 값을 설정해준다.

실험 6 127
그림 6-6. Calculator 화면

④ 새로 정의된 값을 빛의 Intensity 그래프의 x축으로 설정하면 비례하는 그래프


를 확인 할 수 있다. (그래프의 y축:빛의 Intensity, x축:새로 정의된 값
(  ))

그림 6-7. 거리의 역제곱에 따른 빛의 Intensity

✻ 주의할 점

128 실사구시의 물리학


① LED는 매우 밝으므로 오래도록 주시하지 않도록 한다.
② 역학수레는 LED에서 최소 30 cm 이상 멀리하여 실험을 시작한다.
③ 역학수레를 레일 위에서 잘 움직이도록 조작한다.

5 실험 결과 및 토의

빛의 세기가 거리 제곱에 반비례함을 보일 수 있는 그래프를 출력하여 첨부한다.

※ 토의 사항

① 빛의 세기와 거리간의 log-log 그래프를 그려본다. 여기서 기울기가 –2에서 얼


마나 벗어났는지 알아보고 오차에 대하여 논의한다.
② 입체각(solid angle)에 대하여 알아본다. 단위는 무엇인가?
③ 빛의 세기와 관련된 다음의 개념, 즉 광선속, 조도 및 광도에 대하여 자세히 조
사하고 차이점을 논의하시오.
④ 오차의 주요 요인을 분석하고 실험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 보시오.

실험 6 129
실험 7
관성모멘트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회전 모션 센서 (Rotary Motion Sensor)
1
:물체의 회전 운동을 측정해 줌
질량물체와 행거 세트
1
:무게를 바꾸어 가며 낙하시켜, 물체를 회전시켜 줌
회전 엑세서리
1
:서로 다른 관성모멘트를 가지는 모양과 질량이 다른 회전체
받침대, 지지막대, 실 각각 1

2 실험 목적

관성모멘트와 토크에 대하여 이해하고, 모양과 질량이 다른 물체들의 회전운동을


통하여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한다.

3 실험 이론

3-1. 관성모멘트와 토크

정지해 있는 물체가 계속해서 정지하려 하고, 운동하는 물체는 운동을 계속하려는


것처럼, 어떤 축 주위를 회전하는 물체는 외력이 없다면 회전축 주위를 계속해서 회
전하려고 한다.(여기서 외력은 토크) 이처럼 회전상태에 있는 물체의 운동을 변화시
키는데 저항하는 회전 물체의 성질을 회전관성 또는 관성모멘트라고 한다. 축에서 거

130 실사구시의 물리학


리가  만큼 떨어진 질점  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진 강체의 관성모멘트, I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 


  (1)

질점들의 그룹이 아닌, 질량이 연속적으로 분포해 있는 강체의 경우 위의 식은 다


음과 같이 적분식으로 바뀐다.

  

(2)

위의 식들에서 알 수 있듯이 관성모멘트는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질량분포, 즉 물체


의 생김새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질량이 축에서 멀리 떨어질수록 관성모멘트는
커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7-1. 막대의 관성모멘트 그림 7-2. 링의 관성모멘트 그림 7-3. 원반의 관성모멘트

한편, 이러한 회전운동에 영향을 주고 변화를 일으키는 힘의 요소를 토크(Torque)라 한


다. 토크는 다음과 같이 회전축에서 작용점까지의 거리  와 작용점에 작용하는 힘 
의 외적으로 얻어진다.

실험 7 131

 ×
  (3)
이러한 토크와 관성모멘트를 통하여 회전운동을 기술할 수 있게 된다.


 
 (4)
즉 관성모멘트 I를 갖는 물체에 토크 가 가해질 경우 그 물체는 각가속도 
를 갖는

회전운동을 하는 것이다. 이는 직선운동의 


  와 비교된다.

3-2. 실험을 통한 관성모멘트의 측정

그림 7-4. 관성의 측정 실험장치

이번 실험에서는 그림과 같이 행거에 질량을 매달아 낙하시킴으로써 발생하는 토크를


통하여 회전하는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얻게 된다. 식 (1)에서    sin 이고, 이
경우 작용점에 작용하는 힘은 스텝도르래에 감겨 있는 실의 장력( )이다. 스텝도르
래의 반지름  과 실의 장력은 서로 수직이므로    가 된다. 따라서 아래 방향을
음의 방향으로 잡으면 계의 운동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5)

132 실사구시의 물리학


이를 통해 토크는     g  ar 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접선가속도  는 로터리
모션 센서를 통하여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가속도와 선가속도는    의 관계가
있으므로 식 (2)를 통하여 회전하는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 r g
    g  a   mr      (6)
 a a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① 회전 모션 센서를 지지 막대에 설치하고, 회전 모션 센서의 끝에 클램프된 슈퍼 도르


래를 설치한다.
② 실은 책상 아래로 내려갈 정도로 충분한 길이를 준비하고, 스텝 도르래에 묶어
준다. 스텝 도르래는 가장 큰(Large pulley) 도르래를 사용한다.
③ 실을 슈퍼 도르래에 걸치고, 질량 행거에 실의 다른 끝을 묶어준다.
④ 슈퍼 도르래에 걸친 실이 스텝도르래의 접선 방향과 나란하도록 그림과 같이 슈퍼
도르래를 조절한다.

그림 7-5. 슈퍼도르래와 스텝도르래의 설치

실험 7 133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회전 모션 센서 설정
- Measurement:시간에 따른 속력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 Sample rate:센서에서 값을 읽어 들이는 주기를 말한다. Sample rate가 높으
면, 빠르게 변화하는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 Division / Rotation:회전 모션 센서의 분해능을 의미한다. 이 값을 360으로
한다면, 원주의 1/360, 즉 1도 단위의 데이터밖에 측정
못하며, 1440으로 설정하면 더 정밀한 값을 읽어 들일
수 있다.

4-3. 데이터 측정

① 스텝 도르래 위에 원반을 놓고 고정나사로 조인다.


② 질량 행거에 추를 걸어주고 질량 행거가 슈퍼 도르래에 거의 다다를 때까지 스
텝 도르래에 실을 감아준다. 감은 실이 풀리지 않도록 원반을 적당히 붙잡아준
다.
③ 데이터 기록을 시작하고 원반을 놓아준다.
④ 질량 행거가 바닥에 닿기 직전에 데이터 기록을 중단한다.
⑤ 질량 걸이에 걸리는 질량을 달리하여 측정을 한다.
⑥ 원반 위에 샘플링, 샘플원반을 올려놓고 위 실험방법을 반복한다.

134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7-6. 샘플 원반 그림 7-7. 샘플 링 그림 7-8. 원반

4-4. 데이터 분석

① 시간에 따른 속력의 값을 보여줄 그래프를 띄운다.


② 그래프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선택하고, 기울기에 대해 ʻBest fitʼ을 결정한다.
(이 과정은 최소자승법, 즉 Least square fitting으로 이루어진다. Fitting 을 실
행하면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얻을 수 있다.)

∙ 힌트:Data-studio 의 ʻFitʼ 메뉴( )에서 ʻLinear Fitʼ를 선택하면 된


다.
③ 측정된 가속도 ʻʻ  ʼʼ, 스텝 도드래의 반경 ʻʻ  ʼʼ, 질량 ʻʻ  ʼʼ 등을 이용해 샘플링과 원
반의 관성 모멘트  를 계산한다.
④ 원반의 관성 모멘트를 계산한다.
⑤ 원반+샘플링, 원반+샘플원반의 관성에서 원반의 관성 모멘트를 빼주면 순수한
샘플링과 샘플원반의 관성 모멘트를 얻을 수 있다.

실험 7 135
5 실험 결과 및 토론

1. 원반에 대한 실험

추+추걸이 질량
kg 원반 질량 (  ) kg
()
스텝 도르래 반경
m 원반 반경 (  ) m
( )
1 2 3 평 균
가속도 ()
2 2 2 2
m/s m/s m/s m/s

실 험 값 이 론 값
관성 모멘트 (  )
2
kgm kgm2
오차 %

2. 샘플 링에 대한 실험

추+추걸이 질량
kg 샘플 링 질량 (  ) kg
()

스텝 도르래 반경 샘플 링 내경 (  ) m
m
( ) 샘플 링 외경 (  ) m

1 2 3 평균
가속도 ()
m/s2 m/s2 m/s2 m/s2

실 험 값 이 론 값
관성 모멘트 ( ) 전체 kgm2
2
샘플 링 kgm2
샘플 링 kgm
오차 %

136 실사구시의 물리학


3. 샘플 원반에 대한 실험

추+추걸이 질량
kg 샘플 원반 질량 (  ) m
()
스텝 도르래 반경
m 샘플 원반 반경 (  ) m
( )
1 2 3 평 균
가속도 () 2 2 2
m/s m/s m/s m/s2
실험값 이론값
2
관성 모멘트 ( ) 전체 kgm 2
샘플 원반 kgm
샘플 원반 kgm2
오차 %

※ 토의 사항

① 표1 원반에 대한 실험의 오차가 큰 이유는 무엇인가?


② 추의 질량과 스탭 도르래의 반경을 바꾸고 측정했을 때, 관성 모멘트의 크기는
어떻게 바뀌는가?

실험 7 137
실험 8
물리진자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회전 모션 센서 (Rotary Motion Sensor)
1
:물리진자의 운동을 측정하는 기구
실과 추
1
:물리진자를 구성

지지막대, 스탠드 각각 1

2 실험 목적

물리진자의 진자운동에 의한 주기를 구해본다. 물리진자의 길이변화에 따른 주기와


의 상관관계를 확인해 보고, 추의 질량변화에 따라 주기에 변화가 있는지 조사해 본
다. 물리진자의 진동 각도가 운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해 보고 단조화 운동
에 대해 토의해 본다.

3 실험 이론

3-1 물리진자의 운동 방정식

단조화 진동이란, 시간에 따라 물체의 위치가 sin 함수의 형태로 바뀌는 운동을 말
한다. 이때, 1초에 진동하는 횟수인 진동수를  라 하고, 각진동수를    으로 정
의하면, 시간에 따른 위치는 아래와 같이 표현된다.

138 실사구시의 물리학


   sin   sin (1)

여기서 A는 진동진폭을 의미한다. 이제 단조화 진동을 하는 물체의 속도와 가속도


를 구해보자. 속도와 가속도는 각각 위치와 속도의 시간 미분이므로 아래와 같이 표
현된다.

 
      sin    cos (2)
 
 
      cos    sin     (3)
 

그림 8-1. 단진자 운동

여기서 뉴턴의 운동법칙에 의해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    (4)

이 된다. 이는 위치에 비례하는 힘이 위치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생길 때, 즉 원래의

실험 8 139
위치로 돌아가려는 힘(복원력, restoring force)이 있을 때 단조화 진동을 한다는 것
을 의미한다.

3-2 단조화 운동

질량을 무시할 수 있는 길이 L인 끈에 질량 m인 추가 매달려 주기운동을 하는 것


을 단진자라 한다. 진자가  의 각도에 있을 때, 추는 평형점을 기준으로     의 거
리에 있게 된다. 이 지점에서 추가 받는 힘은 장력  와 중력  가 있고, 이 두 힘의
합력은  sin 가 된다. 여기서 sin ≃  의 근사를 한다면, 추는 위치에 비례하는 힘
을 받게 된다. 즉, sin ≃  의 근사가 허용되는 한 진자운동은 단조화운동 취급할 수
있다.

추가 받는 힘을 다시 한 번 보면,


   sin ≃     (5)

여기서 (–) 부호는 힘의 방향이 원점을 향함(복원력)을 가리킨다. 이 식을 위의



(1)의 식과 비교하면,     을 얻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진자 운동의 주기를 계산할


수 있다.     




    


(6)

아래의 그래프는 sin 와  를 그린 것 이다. 이 그래프를 볼 때,  의 값이 충분히


작으면    두 함수가 거의 동일함을 볼 수 있다. 즉, 진자의 진동 진폭이 30°이
하일 때, sin ≃  의 근사를 할 수 있고, 진자운동을 단조화 진동으로 볼 수 있다.

140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8-2. sin 와 

3-3 물리진자의 주기

실제의 진자는 단진자와 달리 복잡한 질량분포를 가지는데 이를 물리진자라고 한


다. 단진자와 물리진자 간의 큰 차이점은 물리진자의 경우 복원력에 대한 모멘트 팔
은 단진자처럼 실의 길이 L이 아니라 매단 점(축)에서 질량중심까지의 거리 h라는
점이다.
그러므로 물리진자의 주기 T는,


   

(7)

 는 물리진자의 관성모멘트로서, 단진자의 경우    이 된다.

✻ 유의할 점
진자의 움직임의 폭이 너무 크면sin ≠   단조화 진동에서 벗어나 오차가 발생하

실험 8 141
게 된다. 그러나 sin 함수를 테일러 전개해보면 실험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최대각도
(30°내외)에서 조차도 위의 근사가 제법 유효함을 알 수 있다.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그림 8-3. 단진자의 주기 실험장치

① 측정용 회전대를 A베이스의 중앙에 고정하고 한쪽 끝에는 지지막대를 세운다.


② 멀티 클램프와 짧은 막대를 이용하여 회전 모션 센서를 상단에 고정한다.
③ 물리진자를 회전 모션 센서에 연결한다.
④ 회전 모션 센서를 Science Workshop의 디지털 채널에 연결한다.

142 실사구시의 물리학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① Science Workshop에 회전 모션 센서를 연결한다.


② Sample rate는 최소 50 Hz가 되도록 변경한다.

그림 8-4. 회전 모션 센서 정보 변경

③ Angular position의 단위를 degree로 선택한다.

그림 8-5. 회전 모션 센서 측정 단위 변경

실험 8 143
④ Division/Rotation을 1440으로 선택한다.

그림 8-6. 회전 모션 센서 민감도 변경

4-3. 데이터 측정

① Start 버튼을 누르고 그래프를 확인하면서 원하는 각도에 도달했을 때 진자를


놓아주고 주기를 측정한다.
② 각 구간 주기의 평균값을 구해주면 좀 더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4-4. 데이터 분석

① 회전중심축의 위치, 추의 종류, 각도를 바꿔가며 진자의 진동주기를 측정한다.


1) 회전중심축의 위치 1, 2에 따른 금속막대의 진자의 진동주기를 측정한다.
2) 금속막대(회전축1)의 끝에 추를 매달고 추의 종류 1, 2에 따른 진동주기를
측정한다.
3) 금속막대(회전축1)의 각도를 변화시켜가며 진동주기를 측정한다.
② 각각의 물리량이 변함에 따라 진동주기가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확인한다.

144 실사구시의 물리학


③ 그래프를 통해 얻은 주기와 계산을 통해 얻은 주기와 비교해 본다.

5 실험 결과 및 토의

⦁ 금속막대 길이 (m): ⦁ 금속막대의 질량 (kg):

막대의 질량중심부터 막대의


회전축까지 회전관성 각도 주기(측정) 주기(이론) 오차(%)
거리 (m) (kgm2)

회전축의
위치에
따른
주기
측정

추의
추의 추의
질량중심부터
질량 회전관성 각도 주기(측정) 주기(이론) 오차(%)
회전축까지
(kg) (kgm2)
질량에 거리 (m)
따른
주기
측정

각도
변화에
* 금속막대의 먼 회전축 사용 추는
따른
사용하지 않음
주기
측정

실험 8 145
※ 토의 사항

① 추의 질량이 무거울수록 물리진자를 단진자로 근사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② 각도가 클수록 오차가 큰 이유는 무엇인가?

146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험 9
관의 공명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공명관
1
:음파가 반사되어 정상파가 만들어지는 공간
반사관
4
:위치를 바꾸어 공명조건을 변화시킨다.
스피커, 마이크
각각 1
:음파를 만들어내고 측정하는 역할

전압센서(Voltage Sensor)
1
:측정된 음파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해줌

받침대, 마이크대, 전선 1, 1, 2

2 실험 목적

음파란 무엇인지 이해하고, 스피커를 이용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주파수를 가진 음


파를 발생시켜 공명조건과 정상파의 의미를 알아보자.

3 실험 이론

음파는 진동 방향과 진행 방향이 같은 종파이다. 또한 음파는 매질 속에서 밀함과


소함을 반복하면서 진행한다. 스피커가 바깥으로 떨림으로 인해 공기의 알갱이들이

실험 9 147
작은 체적 안에 높은 압력으로 만들어져 밀한 상태가 되고, 스피커가 안쪽으로 떨림
으로 해서 근처의 공기가 넓은 체적 안에 적합한 압력으로 소한 상태가 되어 퍼져 나
간다.

그림 9-1. 개관-폐관인 경우 정상파

정상파는 관의 끝에서 반사되어 오는 음파와 원래의 음파가 간섭하여 만들어진다.


정상파는 배와 마디를 가지고 있다. 배는 정상파에서 진폭이 원래의 두 배가 되어 시
간에 대해 진동하는 부분이며, 마디는 진동이 없이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다.
관 속에서 음파는 양쪽 끝을 오가며 여러 번 반사를 일으킨다. 이러한 여러 번의 반
사가 있는 동안 서로 음파들이 중첩되어 일반적으로는 작은 진폭을 보일 것이다. 하
지만 모든 반사파가 같은 위상을 가지고 있을 때에는 최대 진폭을 갖게 된다. 이때의
주파수를 공명 주파수라고 한다. 관의 한 쪽이 열려있다면 관의 열린 끝 부분에서 공
기의 밀함과 소함이 자유롭게 번갈아 일어날 수 있으므로 배가 형성되고 닫힌 쪽은
공기의 밀함과 소함이 일어날 수 없으므로 마디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 실험에서는 관의 한 쪽 끝은 막혀있고 나머지 끝은 스피커로 막았지만 이 부분
에서 가장 큰 진동이 있도록 한 셈이므로 근사적으로 배가 형성되어야 한다. (만약
양쪽 끝이 막힌 금속관을 막대로 쳐 공명조건을 얻는다면 양 끝은 마디가 형성되고
한 쪽이 닫힌 유리관 위에서 막대굽쇠로 소리를 낸다면 그 끝은 배가 형성된다.)

148 실사구시의 물리학


따라서 이 실험에서 공명은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일어난다. 관의 길이를  이라 하
고 사용음파의 파장을  , 진동수를  , 음속을  라 할 때,

  
      ⋯ (1)

   
    (2)
 

이다.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① Science Workshop에 전압 센서와 소형마이크를 연결한다.


② Science Workshop의 Output과 스피커를 전선으로 연결한다.

마이크

그림 9-2. 관의 공명진동수 측정 실험장치

실험 9 149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① 전압 센서
- Measurement:입력되는 전압을 측정한다.
② Signal output
- Signal generator:파형, 진폭, 주파수를 조절한다.
- Amplitude: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의 크기를 조절한다.(5 V를 넘기지 않는
다.)
- Frequency:실험하고자 하는 주파수 값을 조절한다.
- Frequency가 높아질수록 Amplitude의 값을 낮추어 실험을 한다. 소리가 너
무 크면 다른 조 실험에 방해가 될 수 있다.

4-3. 데이터 측정

실험 데이터의 측정은 Scope를 사용하도록 한다. Scope는 오실로스코프와 유사하


게 볼 수 있도록 되어있다. 만약 그래프에서 그릴 수 있는 한계를 넘으면 오른쪽에 있
는 범위를 적당히 조절해준다.

그림 9-3. Scope 화면

150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험 1. 공명 진동수 측정

① 반사판을 임의의 위치에 놓는다.


② 음파의 진동수를 150 Hz부터 시작하여 Sine wave의 진동수를 1~10 Hz씩 올리
면서 scope 에 나타난 출력파형을 관측한다. 음파가 공명되어 출력파형의 크기
가 최대일 때 발진기의 주파수를 읽고 기록한다. 이때의 주파수가 공명 주파수
이다.
③ 다시 음파의 주파수를 증가시키면서 공명 주파수를 찾아본다.
④ 반사판의 위치를 변화시켜 가면서 위 과정을 반복한다.

실험 2. 정상파 측정을 통한 음속 결정

① 반사판의 초기 위치를 10 cm인 곳에 위치시킨다.


② 음파의 주파수를 2000 Hz로 조절하여 음파를 공명관 안에 넣어준다. 이때
Signal generator의 Amplitude를 작게 하여 소리가 너무 크지 않게 해준다.
③ Scope를 통해 출력 파형을 확인한다.
④ 마이크로부터 반사판의 거리를 서서히 떨어트려 가면서 Scope의 출력 파형의
크기가 최대인 위치와 최소인 위치를 모두 찾아서 기록한다.
⑤ 음파의 주파수를 증가시킨 후, 위 과정을 반복하자. 측정한 값들로부터 파장을
구하고, 주파수와 파장을 이용하여 음파의 속도를 구해본다.

4-4. 데이터 분석

음파의 속도는 매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공기 중에서 음파의 속도는


온도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는다.

       ( =섭씨온도) (3)

실험 9 151
실험1. 공명 진동수 측정

① 데이터시트에 측정 공명진동수를 기록하고 위의 식을 이용하여 이에 대응되는


이론 공명 진동수를 계산해본다. 이때, 이론 공명진동수는 다음과 같다.

   
    (4)
 

여기서  은 스피커에서부터 반사판까지 거리이고  은 양의 정수이다.


② 오차를 계산하고 원인을 생각해본다.

실험2. 정상파 측정을 통한 음속 결정

① 최대인  값들과 최소인  값들로부터 각각 음속을 구해본다. 얼핏 생각하면 각


각의 경우 파장을 결정하여 그 평균으로부터 음속을 구할 수 있지만 그 보다는
최소자승법에 근거한 Fitting 으로 결정하는 쪽이 좋다. 위의 식을 조금 바꾸어
쓰면

  
   (5)

  
이 되어   와  의 그래프를 그리면 기울기가 바로 음속이 된다.

② 양 쪽에서 구한 음속은 일치하는지 살펴본다.

152 실사구시의 물리학


5 실험 결과

1. 관의 공명 진동수 측정

측정공명진동수  이론공명진동수 
 오차(%)
(Hz) (Hz)

2. 정상파의 음속 측정

주파수(Hz) 측정구분 위치(cm) 파장 음속

최대

최소

최대

최소

최대

최소

최대

최소

최대

최소

실험 9 153
실험 10
등전위선과 전기장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등전위선 측정장치 1
멀티미터 1

2 실험 목적

도체판(또는 전해질)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그 위에 등전위선을 그리고, 전기장과 등전


위선에 관한 성질을 이해한다.

3 실험 이론

전하의 주위에는 전기장이 존재하는데, 양(+)의 전하의 경우에는 전하로부터 나오


는 방향으로, 음(-)의 전하의 경우에는 전하로 들어가는 방향의 전기장이 존재한다.
자세히 말하면 전하  의 입자가 전기장 내에서 힘 
를 받을 때, 그 점에서의 전기장


을 
  로 정의한다. 이 전기장을 시각화하기 위하여 전기력선이라 불리는 가상의

선을 그릴 수 있는데 이는 양의 단위전하가 힘을 받아 이동해 간 경로를 이은 선이다.
그림 10-1은 하나의 점전하가 있는 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퍼져가는 전기력선이
나타나 있다. 한편 임의의 한 점에서의 전위  는 단위전하당의 위치에너지로 정의
된다. 전하 주위의 공간에는 항상 같은 전위를 갖는 점들이 존재한다. 이 점들을 연결
하면 3차원에서는 등전위면을, 2차원에서는 등전위선을 구성한다. 등전위면 위에서

154 실사구시의 물리학


전하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일은 0이므로 그 면의 접선 방향의 전기장 성분은 없다.
따라서 임의의 점에서의 전기장의 방향은 그 점의 등전위면에 수직이고 같은 이치로
전기력선 역시 등전위면과 항상 수직 관계에 있다. 예를 들어 그림 10-1의 경우 등
전위면은 전하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구면이 될 것이다. +Q의 점전하와 –Q의 점전하
가 그림 10-2와 같이 공간에 나란히 놓여있을 때는 그림에서와 같이 전기력선(실
선)과 등전위면(점선)을 그릴 수 있다.

그림 10-1. 점전하의 전기력선 그림 10-2. 쌍극자의 전기력선

그리하여 전하를 띤 물체주위의 각 점의 전위를 측정하여 등전위선(면)을 알면 그


물체주변의 전기장이 어떤 방향으로 형성되었는지 알 수 있다. 전기장이 일을 한다는
것은 전하가 전위의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해가는 경우이므로, 전기력선은 전
위가 낮은 곳으로 향한다. 따라서 전기장  의 방향은 그 점에서 전위  가 가장 급격
히 감소하는 방향이며, 그 방향으로의 미소변위를 
 이라 하면,  와  사이의 관계
식은

   ∙  (1)


    
 (2)


실험 10 155
이다. 따라서 전기장 E는 등전위선(면)에 수직이 된다. 여기서 
 은 등전위선(면)에
수직인 단위벡터이다. 편의상 2차원 평면에 대해서 실험적인 이론을 생각해보자. 즉
어느 도체판의 두 단자를 통해서 전류를 흘릴 때, 도체판 내에서의 전류는 그림
10-2에서의 전기력선(실선) 방향으로 나타내어진다. 이 전기력선에 수직인 방향에
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위차도 없다. 이와 같은 점을 이은 선을 등전위선이라
한다. 따라서 도체판상의 두 점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면, 이 두 점은 등전위
선 상에 있다.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그림 10-3. 등전위선 측정 실험장치

① 등전위선 측정장치를 준비한다.


② 다양한 모양의 전극체에 Science Workshop의 전원을 연결한다.

156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10-4. 전극체

③ 멀티미터에 이동 검침봉과 고정 검침봉을 연결한다. 전압을 측정하여 전위차가 같은


점들이 등전위선이 된다.
④ 전압을 약 5 V(DC) 로 조정한 후 고정 검침봉을 유리의 한 끝에 고정시킨다.(참조점)
⑤ 이동 검침봉의 끝점을 눈금 10칸씩 이동하며 각 점의 전압을 소수점 첫째자리
까지 기록한다. 이때 고정 검침봉의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주의한다.
⑥ 기록한 전압을 이용하여 전압의 간격이 같은 7개의 등선위선을 그린다.
⑦ 이상의 실험이 끝났으면 다른 모양의 전극체로 바꾸고 같은 방법으로 실험한다.

✻ 주의할 점

① 검침봉은 수직으로 세워서 측정한다.


② 유리를 손으로 만지지 않는다.
③ 이동 검침봉으로 유리를 긁지 않는다.

5 실험 결과 및 토의

네 가지 전극체에 대하여 모눈종이에 7개 이상의 등전위선 그래프를 작성한다.


그리고 등전위선 사이의 몇몇 점들에 대하여 전기장을 벡터로 표시한다.

실험 10 157
※ 토의 사항

① 전기력선을 그려본다.
② 가장 작은 전극체의 경우에 대하여 쿨롱의 법칙과 비교해 본다.
③ 전압의 부호를 바꾸었을 때 (5V에서 –5V로)의 상황을 논의한다.
④ 유리판 중심 위치의 전위를 측정해 보고, 이론치와 일치하는지 관측한다. 아니라
면 이유를 설명하라.

158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험 11
휘트스톤 브리지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휘트스톤 브리지 Set 1

전압 센서(Voltage Sensor) 1

2 실험 목적

본 실험에서는 휘트스톤 브리지의 구조와 사용법을 익히고, 미지 저항체의 전기 저


항을 측정한다.

3 실험 이론

3-1. 저항과 비저항

물체의 전기저항을 결정하는 요소에는 물체의 고유물성인 비저항값과 물체의 모양


을 나타내는 변수, 단면적, 길이 등이 있다. 비저항,  은 물질의 고유한 특성으로 전

기전도도,  와 역수 관계로 정의된다:    .

길이가  , 단면적이  인 도선의 양단에  의 전압이 걸렸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도선내부에 생기는 전기장  는   이 되고, 이 전기장에 의해 생성되는 전류밀도 
는 Ohm의 법칙에 의하여

실험 11 159
 
        (1)
 

이며, 전류밀도는 단위면적당 흐르는 전류이므로 전류  는    로 주어진다. 결국

 
     (2)
 


이고, 저항  은   로 쓸 수 있다.

3-2. 키르히호프 법칙

독일의 물리학자 G. R. Kirchhoff가 발견한 법칙으로서 전하량 보존법칙을 기반으


로 한 제 1법칙과 에너지 보존법칙에 근거를 둔 제 2법칙으로 나뉜다. 키르히호프 법
칙은 복잡한 회로에서 각각의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계산할 때 유용하게 쓰인다.

① 키르히호프 제 1법칙(접점규칙)

모든 분기점에서, 들어오는 전류의 합과 나가는 전류의 합은 동일하다.

② 키르히호프 제 2법칙(고리규칙)

회로내의 임의의 닫힌 회로에서 모든 전위차를 더한 값은 0이다.

160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11-1. 접점 규칙과 고리 규칙

3-3. 휘트스톤 브리지

그림 11-2. 휘트스톤 브리지

저항 4개로 그림 11-2와 같이 이루어진 회로를 휘트스톤 브리지라고 한다. 휘트스


톤 브리지는 4개의 저항 사이에 특정조건을 만족하게 되면 C지점과, D지점사이의 전
압이 같아져서 두 지점 사이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면 알
고 있는 3개의 저항을 이용하여 미지의 1개의 저항 값을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실험 11 161
휘트스톤 브리지에서 각각의 도선에 흐르는 전류가 그림 11-2와 같다면, 키르히호
프 법칙에 의해,      ,      을 만족한다. 이때, 휘트스톤 브리지의 검류
계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저항을 맞췄다고 가정하자. 즉    이므로    ,
   이다.

또한 C-A-D 고리와 B-C-D 고리에 대해 키르히호프 제 2법칙을 적용하면 B-C


사이의 전위차는 0이므로,       ,        의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앞에서 얻은 결과와 연립하여 계산하면,

 
  (3)
  

을 얻을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저항  와  로 아래 그림 11-3과 같은 저항선을 사용할 것이다.


저항선의 양단을 A지점과 B지점에 연결하고 L3의 위치를 D지점과 연결하면, L3과 동
시에 L4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 와  를 가변저항으로 사용할 수 있어, 위 식
(3)의  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림 11-3. 가변저항

162 실사구시의 물리학


 에는 알고 있는 저항이,  에는 미지의 저항이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 미지
저항은 휘트스톤 법칙으로 구할 수 있다.

 
       (4)
 

4 실험 방법

① 멀티미터를 이용해서 가변저항의 길이를 변화시키며 저항을 측정한다.


② 측정한 저항을 이용하여 구간별 저항을 계산한다.
③ 사진과 같이 연결선을 이용하여 휘트스톤 브리지 장치와 Science Workshop을
연결한다.(전원, 전압 센서) 또 고정저항( )과 가변저항( )을 연결한다.
④ 전원을 5 V(DC)로 켠 후 저항선 보드의 슬라이드 접점을 이동시켜 가며 전압
센서의 크기를 관찰한다.
⑤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감안하여 측정 리드선을 좌우로 조금씩 이동하면서, 전압
이 0인 지점을 찾는다.
⑥ L3 L4와 ①에서 측정한 저항을 이용해서 R3, R4의 저항을 계산한다.
⑦ 고정저항을 바꾸어서 ②~④ 과정을 반복한다.

그림 11-4. 휘트스톤브리지 장치

실험 11 163
5 실험 결과

구간 0-5 5-10 10-15 15-20 20-25 25-30 30-35 35-40 40-45 45-50

저항

구간 50-55 55-60 60-65 65-70 70-75 75-80 80-85 85-90 90-95 95-100

저항

고정저항의 비
(    )

1차 2차 3차 4차 5차
기지저항 (  )

미지저항 (  )





  

오차

고정저항의 비
(    )

1차 2차 3차 4차 5차
기지저항 (  )

미지저항 (  )





  

오차

164 실사구시의 물리학


고정저항의 비
(    )

1차 2차 3차 4차 5차
기지저항 (  )

미지저항 (  )





  

오차

※ 토의 사항

① 실험의 오차를 생성하는 여러 요인들을 생각해 보고 중요한 순서대로 나열해 본


다.
② 전류밀도  와 비저항  의 단위는 무엇인가?
③ 저항선의 직경을 측정하여 비저항을 게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저항선의 재질을
추측해 보시오.

실험 11 165
실험 12
축전기의 충방전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측정용 기판 1
저항, 축전기 1
도선 1
전압 센서(Voltage Sensor) 1
전류 센서(Current Sensor) 1

2 실험 목적

축전기(또는 콘덴서, 커패시터)의 충전, 방전이 이루어 질 때, 시간에 따른 전류,


전압의 변화를 그래프로 그려 분석하고, 저항 값과 축전기의 용량 값 변화에 따른 실
험을 실시하고 그 때의 시간상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본다.

3 실험 이론

3-1. 축전기란?

축전기는 두 도체판 사이에 전하를 모으는 장치로 콘덴서 (condenser) 또는 커패


시터(capacitor)로 부르기도 한다. 축전기에서 전하를 모을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정전용량  는 두 도체판 사이에 존재하는 유전체의 유전율  과 도체판의 면적  에
비례하고, 도체 사이의 거리  에 반비례한다.

166 실사구시의 물리학



   (1)

그림 12-1. 축전기의 개요도

3-2. 축전기의 충전

그림 12-2. RC회로의 충전

그림과 같이 스위치 S를  에 연결하면 축전기  는 전원  에 의하여 충전되게 된


다. 키르히호프 법칙에 의하면 전원  와 저항  , 그리고 축전기  에서의 전압강하를
더한 것은 0이므로         이다. 전류는 단위시간당 흐르는 전하의 양이

실험 12 167
 

므로    , 위의 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 
     (2)
 

이것이 충전시 축전기에 저장되는 전하 q의 미분방정식이고, 초기 조건    


을 만족하는 해는           이다. 이를 이용하여 충전되는 동안의 전류와
전압 값의 변화를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
         (3)
 


             (4)

여기서 지수에 나타나는 값  는 전류가 초기 값의  (약 0.37)로 감소하는데 걸


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회로의 시간상수(time constant)라고 한다.    일때의 전
하량은

         ≃  (5)

이므로 시간상수는 축전기가 완전히 충전되어 평형 상태에 도달했을 때의 전하량의


63%로 충전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전기 및 전자회로에서 시간
상수는 입력의 변화에 따라 출력의 응답이 나타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3-3. 축전기의 방전

그림과 같이 스위치 S를  에 연결하면 충전에 의하여 축전기에 축적되었던 전하의

168 실사구시의 물리학


방전이 시작된다. 방전과정은 윗 식 2에서 기전력이 없는 점을 감안하여    라고
놓으면,

그림 12-3. RC회로의 방전


     (6)

 
   (7)
 

이 되고, 초기 조건 ≡    을 만족시키는 해는       이며, 방전되는


동안의 전류와 전압값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 
         (8)
 


         (9)

실험 12 169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① 그림 12-4와 같이 회로를 연결한다.


② 충·방전 스위치는 중간에 위치시킨다.
③ 저항 R=100 Ω과 축전기 C=10,000 µF 의 부품을 각각 R단자와 C단자에 꽂아
넣는다.(축전기 연결 시 +, - 단자 확인)
④ 전류와 전압 측정 단자를 인터페이스 A, B 단자에 연결한다.
⑤ DC 전원 공급장치의 전압을 5 V로 조정한다.

그림 12-4. 축전기의 충·방전 실험장치

170 실사구시의 물리학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① 전압 센서
- Measurement:시각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 Sample rate:센서에서 값을 읽어 들이는 주기를 말한다. Sample rate가 높으
면, 빠르게 변화하는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② 전류 센서
- Measurement:시각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 Sample rate:센서에서 값을 읽어 들이는 주기를 말한다. Sample rate가 높으
면, 빠르게 변화하는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4-3. 데이터 측정

① 전압에 따른 축전기 충·방전 실험:Data-studio의 Start 버튼을 실행시키고 충·


방전 스위치를 충전으로 선택하여 시간에 대한 전류, 전압 값을 측정하고 완전
히 충전 되었을 때(전압이나 전류가 일정한 값을 가질 때)까지 기다린다. 충·방
전 스위치를 방전으로 선택하여 같은 방법으로 완전히 방전될 때(전압이나 전류
가 일정한 값을 가질 때)까지 시간에 대한 전류, 전압 값을 측정한 후, Stop 버
튼을 실행시켜 시스템의 동작을 멈춘다. 그리고 이 때 최대 전류, 전압 값을 찾
아 기록한다. (최대 전류 값이 0.1 A 이하여야 하고 (이론 값:시간 무한할 때
의 계산과 일치) 이상이 있을 시 전류 센서 교체)

②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전압을 5 V, 4 V, 3 V로 조정하여 실험한다.

③ 저항의 변화에 따른 축전기 충·방전 실험:위 실험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전압


을 5 V, 축전기를 10,000 µF으로 고정시킨 후 저항이 47 Ω, 100 Ω, 150 Ω에서
의 충·방전 시 최대 전류, 전압 값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실험 12 171
④ 축전기의 변화에 따른 축전기 충·방전 실험:위 실험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전압
을 5 V, 저항을 100 Ω으로 고정시킨 후 축전기를 10,000 µF, 15,000 µF에서의
충·방전 시 최대 전류, 전압 값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172 실사구시의 물리학


5 실험 결과

1. 전압에 따른 축전기 충·방전 실험

충 전 시
R=100 Ω, C=10,000 µF
5 V 4 V 3 V

최대 전압 (V)

최대 전류 (A)

시간 상수,   

시간 상수(RC)일 때 전압
측정
시간 상수(RC)일 때 전류

시간 상수(RC)일 때 전압
이론계산
시간 상수(RC)일 때 전류

전류 (%)
오차
전압 (%)

방 전 시
R=100 Ω, C=10,000 µF
5 V 4 V 3 V

최대 전압 (V)
측정
최대 전류 (A)

시간 상수,   

시간 상수(RC)일 때 전압
측정
시간 상수(RC)일 때 전류

시간 상수(RC)일 때 전압
이론계산
시간 상수(RC)일 때 전류

전류 (%)
오차
전압 (%)

실험 12 173
2. 저항의 변화에 따른 축전기 충·방전 실험

충 전 시
5 V, 10,000 µF
47 Ω 100 Ω 150 Ω

최대 전압 (V)
측정
최대 전류 (A)

시간 상수,   

시간 상수(RC)일 때 전압
측정
시간 상수(RC)일 때 전류

시간 상수(RC)일 때 전압
이론계산
시간 상수(RC)일 때 전류

전류 (%)
오차
전압 (%)

방 전 시

47 Ω 100 Ω 150 Ω

최대 전압 (V)
측정
최대 전류 (A)

시간 상수,   

시간 상수(RC)일 때 전압
측정
시간 상수(RC)일 때 전류

시간 상수(RC)일 때 전압
이론계산
시간 상수(RC)일 때 전류

전류 (%)
오차
전압 (%)

174 실사구시의 물리학


3. 축전기의 변화에 따른 축전기 충·방전 실험

충 전 시
5 V, 100 Ω
10,000 µF 15,000 µF

최대 전압 (V)
측정
최대 전류 (A)

시간 상수,   

시간 상수(RC)일 때 전압
측정
시간 상수(RC)일 때 전류

시간 상수(RC)일 때 전압
이론계산
시간 상수(RC)일 때 전류

전류 (%)
오차
전압 (%)

방 전 시

10,000 µF 15,000 µF

최대 전압 (V)
측정
최대 전류 (A)

시간 상수,   

시간 상수(RC)일 때 전압
측정
시간 상수(RC)일 때 전류

시간 상수(RC)일 때 전압
이론계산
시간 상수(RC)일 때 전류

전류 (%)
오차
전압 (%)

실험 12 175
※ 토의 사항

① 방전시 축전기의 전하가 처음의 반이 될 때의 시간을 측정하고 시간 상수의 몇 배


가 되는지 알아본다.
②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방전이 시작되고 시간이   
일 때 축전기에 저장된 에너지를 처음값과 비교하시오.
③ 실험 1의 전류, 전압 data를 fitting해서 시간 상수를 결정하고,   RC 를 이용해
계산한 결과와 비교하시오.

176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험 13
음극선의 편향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음극선관의 편향장치 1
전원장치 1

2 실험 목적

음극선관을 이용하여 전기장에 의한 전자의 편향 현상을 실험을 통해 직접 확인한다.

3 실험 이론

방전관의 음극을 가열하면 전자들이 연속적으로 방출하게 되는데, 이것을 고전압으


로 가속하여 움직이게 하면, 전자들의 연속적인 흐름 (전자빔) 즉 음극선을 발생시킨
다. 브라운관 등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극선관에는 이와 같은 열전자를
가속한 음극선을 이용하고 있다.
에너지가 큰 음극선은 형광물질에 부딪치면 빛이 발생하는 형광작용을, 사진필름에
부딪치면 감광시키는 작용, 그리고 기체를 통과할 때엔 기체분자를 이온화시키는 능
력이 있다. 또 이것을 금속에 쏘이면 금속은 전자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가열되거나
때로는 전자기선인 X선을 방출한다.

실험 13 177
그림 13-1. 음극선관에서의 전자의 편향 모식도

음극선은 전자들의 움직임이므로 외부에서 자기장 또는 전기장을 작용시키면 힘을


받아 그 진로를 휘게 할 수 있다. 그림 13-1에서 방전관의 음극을 출발한 전자들은
Vacc의 전압이 걸린 양극을 향하여 가속되며 움직인다. 양극에는 미세한 구멍이 뚫여
있고 일부 전자들은 구멍 사이로 계속 운동하여 계속 직진, 편향판 사이를 지나서 형
광물질이 발라진 음극선관 벽에 충돌하여 빛을 발생시킨다. 평향판에는 두 평행도체
판(길이 L, 간격 d)이 마주 보고 있으며 그 사이에는 전압   가 인가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전자의 진로에 수직방향의 전기장, E가 형성되므로 움직이는 전자들이 수직
방향의 힘을 받아 진로가 휘어지는 것인데 이를 편향 현상이라 한다. 그 결과 음극선
관 벽에 부딪치는 위치가 편향판에 걸어준 전압에 의하여 변하게 된다. 즉 스크린에
서의 빛을 발생시키는 위치가 변하게 되는 것이다. 역으로 음극선의 방전관 벽에 나
타나는 형광 점의 위치로부터 음극선 경로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한 전기장의 세기를
알아낼 수 있다.

그림 13-1은 음극선관에서 전자빔이 편향되는 현상을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전기장에 의한 음극선의 편향을 고려하면 총 편향된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
된다.

178 실사구시의 물리학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식(1)의 간단한 유도과정은 다음과 같다. 방전관 양극의 구멍을 빠져 나오는 전자


의 운동에너지는

        (2)
  
으로 주어진다. 여기서   는 전자의 전하 및 질량이고,   는 양극을 빠져나온 전
자의 속도, 그리고   는 양극에 걸린 전압이다. 편향이 일어나는 첫 번째 영역인 두
평행도체판에서의 편향 변위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

으로 주어지며, 여기서  은 평행도체판에 체류하는 시간을 가르킨다. 평행도체판을


벗어나서부터 스크린에 도달하기까지의 편향 변위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으로 주어지게 된다. 여기서  은 평행도체판을 벗어나 스크린에 부딪힐 때까지의


시간을 가르킨다. 두 변위를 더하여 결과적으로 총 편향 변위량은 식(1)과 같다.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실험 13 179
그림 13-2. 음극선관

① 그림 13-3처럼 실험장치와 전원장치를 전선으로 정확하게 연결한다.(색 주의)

그림 13-3. 음극선관과 전원장치의 연결

② 전자빔을 명확하게 볼 수 있도록 실험실을 약간 어둡게 한다.

180 실사구시의 물리학


③ 전원장치의 스위치를 켠다.

④ 편향장치 내 음극부위가 열을 받으면 전압을 200 V로 올린다.(300 V 이하로만


조절할 것!)

⑤ 편향판에 전기장(전원장치 기준:20 V)을 가해 전자빔의 편향방향 및 움직인


거리를 측정, 기록한다.

⑥ 다양한 조건으로 ④~⑤ 과정을 반복한다.


⦁음극부터 스크린까지의 길이:140 mm
⦁편향판의 크기:20×27 mm
⦁편향판의 간격:8 mm

실험 13 181
5 실험 결과

1. 가속전압(Vacc)을 고정시켰을 때

편향판 전압, Vy
가속전압 = 200
V 0 V 20 V 25 V 30 V

ytotal(측정값)

ytotal(이론값)

오차율

2. 편향판 사이의 전압(Vy)을 고정시켰을 때

가속전압, Vacc
편향판 전압 = 20 V
200 V 300 V 350 V

ytotal(측정값)

ytotal(이론값)

오차율

※ 토의 사항

① 실험의 각 조건들에 대하여 전자가 스크린에 닿기 전, 전자의 속력을 계산해 보시오.


② 전자빔의 크기를 간단히 측정해 보고, 전자빔 단면에 존재하는 전자들 사이에 작
용하는 힘을 계산해 보시오.
③ 편향전압이 0일 때 전자빔이 편향되는 이유와 근거를 설명하시오.
-5
(지구자기장이 지면으로부터 크기는 4.7×10 T 60도 각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
기 때문이다. 자기장의 방향과 전자빔의 방향을 평행하게 하면 원점에 전자빔이
편향되지 않는 것을 확인 가능하다.)

182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험 14
상호유도에 의한 유도기전력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솔레노이드:코일 감긴 횟수 및 직경이 서로 다른 솔레노이드 6
도선 4
버니어 캘리퍼:솔레노이드 내경 측정 1
파워 앰프(Power amplifier) 1

2 실험 목적

교류 전류에 의해 1차 코일에 형성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2차 코일에 유도되는 유도


기전력을 측정한다.

3 실험 이론

3-1. 렌츠의 법칙

외부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코일에 발생되는 유도기전력과 유도전류는 외부자기장의 변


화를 상쇄하려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그림 14-1처럼 고리형의 도선에 자석의 N극을 가까이 가져가면 코일을 통과하는 자기
선속이 증가한다. 이때 코일에 유도전류가 발생하는데, 자석에 의한 자기선속의 증가
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발생한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자기선속
(magnetic flux)이란, 어떤 곡면을 통과하는(가상의) 자기력선 다발을 의미한다. 단

실험 14 183
위는 웨버(Weber)를 사용한다.

자속의 증가를 방해하는 방향 자속의 감소를 방해하는 방향


(a) 자속을 증가시킬 때 (b) 자속을 감소시킬 때
그림 14-1. 렌츠의 법칙

3-2. 패러데이의 법칙

전류가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자기장은 전류에 힘을 작용한다는 사실이 발견된 후, 패


러데이(Faraday)는 자기장도 전류를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고, 자기선속
(magnetic flux)의 변화와 유도된 기전력의 관계를 정리한 전자기 유도 법칙을 발표
하였다.
전자기 유도에 의해 회로 내에 유발되는 기전력의 크기는, 회로를 관통하는 자기선속의
시간적 변화율에 비례한다.


    ( :유도기전력,  :코일의 감은 수,  :자기선속) (1)


3-3. 상호유도

그림 14-2에서 1차 코일에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1차 코일

184 실사구시의 물리학


에 형성된다. 이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이웃한 2차 코일 내부의 자기선속이 변화하게
되고 유도기전력이 생겨 2차 코일에 전류가 흐른다. 이렇게 한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가 인접한 다른 코일에 기전력을 유도하는 현상을 상호유도라고 한다.

그림 14-2. 상호유도

3-4. 1차 코일 내부의 자기장

        (2)

여기서  는 진공에서의 투자율( ×   NA-2)이고  은 단위 길이 당 감긴 코


일의 횟수를 뜻한다. 코일이 충분히 길 경우, 코일 내부의 자기장 세기는 코일 내부의
위치와 무관하게 식 2처럼 일정하다.

3-5. 2차 코일의 유도기전력

교류전류     cos 를 흘려주는 1차 코일의 내부에 단면적이   인 2차 코일이


위치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2차코일의 자기선속은          이므로,
패러데이의 법칙에 의하여 유도기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실험 14 185
 
        sin   (3)
 

여기서   는 2차 코일의 감은 횟수이다.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① 1차 코일을 Science Workshop의 전원에 연결한다.


② 2차 코일에 전압 센서를 연결하고 전압 센서를 Science Workshop의 아날로그
채널에 연결한다.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Signal output:Signal generator에서 파형, 진폭, 주파수를 조절

4-3. 데이터 측정

4-3-1. 전류의 크기에 따른 유도기전력

① 1차 코일의 내부에 2차 코일을 위치한다.


② Signal output에 20 mA, 100 Hz의 교류를 설정한다.
③ Start 버튼을 누르고 실험을 시작한다.
④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2차 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⑤ 전류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실험을 반복한다.

4-3-2. 2차코일의 감은 수에 따른 유도기전력

① 파워 앰프에 1차 코일을 연결하고 내부에 내경이 약 32 mm이고 감은 수가 500

186 실사구시의 물리학


T(번, turn)인 2차 코일을 위치한다.
② Signal output에 20 mA, 100 Hz의 교류를 설정한다.
③ Start 버튼을 누르고 실험을 시작한다.
④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2차 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을 측정하고 데이터를 기록한
다.
⑤ 직경이 같고 감은 수가 1000 T, 1500 T인 2차 코일에 대해서도 같은 실험을
수행한다.

그림 14-3. 1차코일 그림 14-4. 2차코일

4-3-3. 2차 코일의 내경 따른 유도기전력

① 파워 앰프에 1차 코일을 연결하고 내부에 내경이 약 20 mm이고 감은 수가 1000 T


인 2차 코일을 위치한다.
② Signal Output에 20 mA, 100 Hz의 교류를 설정한다.
③ Start 버튼을 누르고 실험을 시작한다.
④ 멀티미터를 이용하여 2차 코일에 유도되는 기전력을 측정하고 데이터를 기록한다.
⑤ 감은 수가 1000 T이고 내경이 서로 다른 2차 코일들에 대해서도 같은 실험을 수행
한다.

실험 14 187
5 실험 결과

1차코일의  값 (감은 수/길이):

1. 전류의 크기에 따른 유도기전력


2차코일의 2차코일의
전류 측정값 (V) 이론값 (V) 오차율 (%)
감은 수 내경

2. 2차코일의 감은 수에 따른 유도기전력
2차코일의 2차코일의
전류 측정값 (V) 이론값 (V) 오차율 (%)
감은 수 내경

3. 2차코일의 내경에 따른 유도기전력


2차코일의 2차코일의
전류 측정값 (V) 이론값 (V) 오차율 (%)
감은 수 내경

188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험 15
전류 주위의 자기장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회전 모션 센서(Rotary Motion Sensor) 1
자기장 센서(Magnetic Field Sensor) 1
파워 앰프(Power Amplifier) 1
솔레노이드, 랩잭 3
직선도선, 원형도선, 소형베이스, A 베이스, 지지막대, 톱니막대 1
도선 3
버니어 캘리퍼스 1

2 실험 목적

여러 형태의 도선에 전류가 흐를 때 그 주위에 생성되는 자기장을 측정하여 암페어


의 법칙 및 비오-사바르의 법칙의 결과와 비교한다.

3 실험 이론

3-1. 직선도선이 만드는 자기장

비오-사바르 법칙:운동하는 전하, 즉 전류는 그 주위 공간에 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자기장을 결정하기 위해 프랑스의 물리학자 Jean Baptiste Biot와 Felix
Savart는 수많은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공식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 15 189
  
× 

   
   
(1)

암페어 법칙:전류 주위의 닫힌 경로 C 선상의 모든 위치에 대한 자기장을 다음의


적분식을 통하여 표현할 수 있다.

 ∙   

 (2)

전류  가 흐르는 직선 도선에서  만큼 떨어진 위치에 생기는 자기장을 구하기 위하


여, 그림 15-1과 같이 직선 도선을 중심으로 감싸는 반지름  인 원을 경로 C로 채택
하고 앙페르 법칙을 사용한다. 먼저 비오-사바르 법칙에 의하여 경로 C 위에서의 자
기장의 방향은 원주의 접선 방향이므로 
와   은 평행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경
로 C에서 
∙     임을 알 수 있고 대칭성에 의하여 C상의 모든  가 일정하므
로 결국 자기장의 크기를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 (3)


그림 15-1. 직선도선이 만드는 자기장

190 실사구시의 물리학


3-2. 원형도선이 만드는 자기장

그림 15-2. 원형도선이 만드는 자기장

yz-평면위의 반경 R인 원형도선이 만드는 자기장을 비오-사바르의 법칙을 이용


하여 구해 보자. 도선요소 
에 의해 벡터 만큼 떨어진 지점 P에서의 자기장  는
비오-사바르법칙에 의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4)
 

벡터  
는 x, y, z성분으로 나눌 수 있고, 위 식을 원형 도선을 따라 적분하면 자기
장의 y와 z성분은 대칭성에 의하여 서로 상쇄되어 없어지고, x축 방향의 자기장 성분
만이 남게 된다. 이를 계산하면 원형도선의 중심에서  만큼 떨어진 곳에서의 자기장
을 구할 수 있다.

 
    (5)
     

실험 15 191
3-3. 솔레노이드의 자기장

그림 15-3. 유한한 솔레노이드

이상적인 솔레노이드 내부에서의 자기장은 위치에 관계없이 균일한 세기   


와 솔레노이드의 길이 방향과 평행인 일정한 방향을 가짐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우
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솔레노이드는 그 길이가 유한하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이
상적인 솔레노이드 공식은 유효하지 않다. 따라서 그림 15-3과 같은 유한한 솔레노
이드의 원점 (0,0)에서 자기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보정한 공식을 사용한다.

   
              cos   cos   (6)
 
    
    

위 식에서        는 이상적인 솔레노이드의 경우에 해당하며, 이 경우 자기장


의 크기가  로 복원됨을 알 수 있다. 편의상 솔레노이드의 길이를  , 솔레노이드
중심을 원점으로 잡으면 중심(         )과 끝점( ±   )에서 자기장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192 실사구시의 물리학


  
            ±       (7)

   
  
 

4 실험 방법

4-1.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① 회전 모션 센서
- Measurement:직선 변위를 측정한다.
- Sample rate:단위 시간당 (1초) 센서에서 값을 읽어 들이는 수를 말한다.
Sample rate가 높으면, 빠르게 변화하는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
다.
- Division / Rotation:회전 모션 센서의 분해능을 의미한다. 이 값을 360으로
한다면, 원주의 1/360, 즉 1˚ 단위의 데이터밖에 측정
못하며, 1440으로 설정하면 더 정밀한 값을 읽어 들일
수 있다(0.25˚ ).
② 자기장 센서
- Measurement:자기장의 크기(gauss)를 측정한다.
- Magnetic Field Strength (100x) (gauss)를 선택한다.
- Sample rate:단위 시간당 (1초) 센서에서 값을 읽어 들이는 수를 말한다. Sample
rate가 높으면, 빠르게 변화하는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③ 파워 앰프
- Signal Output:Signal Generator에서 파형, 진폭, 주파수를 조절한다.

4-2. 데이터 측정

1. 직선 도선 주위의 자기장 측정

실험 15 193
그림 15-4. 직선도선의 자기장 측정

① 2개의 소형 베이스를 이용해 직선 도선을 세우고 소형베이스에 +, -전원 단자


를 각각 연결한다.
② 홀더를 이용하여 자기장 센서와 톱니막대를 연결하고, 스탠드에 회전센서를 고
정시킨 후 톱니막대를 회전센서에 꽂는다.
③ 자기장 센서가 도선 중간부분에서 도선과 수직이 되도록 높낮이를 잘 조절한 다
음 선택스위치는 Radial. 100x으로 설정한다.
④ 도선에 자기장 센서를 수직으로 밀착시키고 잡아당길 때 5 cm정도 거리까지 움
직일 수 있도록 한다. 시작버튼을 누르고 영점버튼으로 영점 조절한다. 다음 전
원장치를 켜고 전압 조정 다이얼을 약간 돌린 후 전류 조정 다이얼을 서서히 돌
려 5 A까지 올린다.
⑤ 프로그램에서 시작버튼을 눌러 실험을 시작하고 센서가 좌우로 움직이지 않도
록 조심스럽게 도선으로부터 당긴다.
⑥ 모니터에 나타나는 그래프가 비교적 잘 나타날 때까지 실험을 반복하고 데이터
를 저장한다.

194 실사구시의 물리학


2. 원형 도선 주위의 자기장 측정

그림 15-5. 원형도선의 자기장 측정

① 소형베이스 중심에 환선용 어댑터를 세우고 한쪽에는 원형도선(R=4 cm)을, 한


쪽은 +, -전원단자를 각각 연결한다.
② 원형도선의 중심축에 센서막대 끝의 중심점이 일치하도록 위치를 잘 잡는다.
③ 자기장 센서의 스위치는 Axial, 100x으로 설정한다.
④ 시작 버튼을 누르고 자기장센서의 영점버튼을 눌러 영점 조절한다. 전원장치를
켠 다음, 전류를 서서히 증가시켜 5 A로 맞춘다.
⑤ 원형도선의 중심에 자기장 센서를 놓고 시작 버튼을 누른 다음, 반지름 정도만
큼 움직이며 서서히 자기장을 측정한다.
⑥ 곡선이 매끄럽게 나타날 때까지 실험을 반복하여 보고 R=3 cm인 원형도선에

실험 15 195
대해서도 위의 실험을 반복하여 데이터를 구한다.

3. 솔레노이드 중심축에서의 자기장 측정

그림 15-6. 솔레노이드의 자기장 측정

① 앞의 실험장치에서 아날로그채널 B에 파워앰프 하나를 추가한다.


② 랩잭 위에 솔레노이드를 올려놓고 뒷면에서 단자가 컴퓨터의 파워앰프의 출력단에
연결되도록 한다.

196 실사구시의 물리학


③ 센서의 선택스위치는 Axial, 10x으로 하고 센서위치가 코일 중심축 끝에 위치하도록
잘 정렬한다. (데이터스튜디오의 자기장센서 아이콘을 더블 클릭하여 Measurement
의 Magnetic field strength를 10x (gauss)로 선택한다.)
④ 자기장-전류(Current B)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띄운다.
⑤ 시작버튼을 누르고 자기장 센서가 Output signal에 대하여 측정하는 값을 그래프
를 통해서 관찰한다. (Output signal은 Sine wave로 설정해주고 Amplitude는
0.5 V가 넘지 않도록, 주파수는 0.1~0.5 Hz로 준다.)
⑥ 세 가지 코일에 대해 같은 실험을 반복하고 코일 중심에서의 자기장과 전류 그래프
를 Linear fitting시켜 전류 변화에 대한 자기장 변화의 기울기를 구한다.
⑦ 버니어캘리퍼스로 솔레노이드의 반경 및 길이를 측정한다. 위에서 구한 기울기
값으로부터  에 대한 실험값의 평균치를 구하고 오차를 계산한다.

4-3. 데이터 분석

① 그래프 윈도우를 띄우고 x축은 회전센서에 의한 직선변위 (m), y축은 자기장센서에


의한 자기장의 크기(Gauss)를 표시하도록 한다.
② 축의 선택은 왼쪽 상단의 데이터 윈도우에서 센서를 끌어서 축에 놓으면 된다.

[참고] 자기장 센서는 아래와 같이 영역선택 스위치에 의해 그 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증폭률 범위 분해능 정확도


1X ±1000 gauss 0.5 gauss 100 gauss
10X ±100 gauss 0.05 gauss 10 gauss
100X ±10 gauss 0.005 gauss 1 gauss

[참고] 자기장 센서나 파워 앰프를 교정할 필요는 없다. 자기장 센서는 다음과 같이 외
부의 자기장의 세기에 직접적으로 비례하여 전위차가 발생하고 인터페이스는 이
전압 값을 다시 자기장 값으로 환산하여 데이터를 제공한다.

실험 15 197
(10 Gauss=10 mV, 1 Tesla=10000 Gauss)

※ 주의할 점
① 자기장 센서는 자기장의 방향에 대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정하도록 되어있다. 실
험에 따라 자기장의 방향이 달라지므로 센서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 주의한다.
② 코일을 절대 손으로 만지지 않는다. 사용하는 전류 값은 위험할 수 있다. 1 A는 안
전한 전류가 아니다.

5 실험 결과

1. 직선 도선 주위의 자기장 측정
Data (    )

도선으로부터의
측정값 (G) 이론값 (G) 오차 (G) 오차율 (%)
거리 (cm)

198 실사구시의 물리학


2. 원형 도선 주위의 자기장
Data (    ,     )

   (환선의 중심점)    (반지름 만큼 떨어진 거리)

측정값 (G) 이론값 (G) 오차율 (%) 측정값 (G) 이론값 (G) 오차율 (%)

Data (    ,     )

   (환선의 중심점)    (반지름 만큼 떨어진 거리)

측정값 (G) 이론값 (G) 오차율 (%) 측정값 (G) 이론값 (G) 오차율 (%)

3. 솔레노이드 중심축에서의 자기장 측정

코일 1 코일 2

길이 (  )

반경 (  =외경÷2)

단위길이 당 감긴 횟수 ()

측정된 투자율 (  ㆍ  )

평균값 (  ㆍ  )

오차 (%)
(    ×    ㆍ  )

실험 15 199
※ 토의 사항

① 자기장 센서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조사하시오.


② 자기장의 방향과 센서 평면의 수직과의 각도와 측정되는 자기장 크기와의 관계식
을 유추해 보고 검증하시오.

200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험 16
빛의 반사와 굴절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1
:실험의 광원으로 쓰임
광 센서(Light Sensor)
1
:반사, 굴절된 빛의 세기를 측정
회전 모션 센서(Rotary Motion Sensor)
1
:반사, 굴절된 빛의 각도를 측정
회전판 및 회전팔 세트
1
:각도를 변환 및 측정할 수 있는 각도계
조리개 받침대, 광학대, 아크릴 반원, 렌즈플랫폼 각 1
직선변환대
1
:회전 모션 센서를 설치하여 횡적변위를 측정

2 실험 목적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나오는 레이저 광선을 추적하여 두 매질의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반사와 굴절에 관계되는 기본 법칙들의 이해를 돕는다.

실험 16 201
3 실험 이론

3-1. 빛의 반사와 굴절

그림 16-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빛이 매질 (1)과 (2)를 분리하는
평면표면 AB에 도달하면 일부는
매질 (1)로 되돌아가고(반사), 나
머지는 매질 (2)로 들어간다(굴
절). 각각의 광선을 입사광선, 반
사광선 및 굴절광선이라고 하고,
각각의 광선과 입사점에서 세운
수선과의 사잇각을 각각 입사각
  , 반사각   ′ 및 굴절각   라고

하면 반사와 굴절에 관한 법칙은


그림 16-1. 빛의 반사와 굴절 다음과 같다.

i) 반사광선과 굴절광선은 입사광선과 입사점에서 세운 수선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평면(plane of incidence) 내에 있다.

ii) 반사의 법칙

    ′ (1)

iii) 굴절의 법칙:스넬의 법칙

sin  
     (2)
sin  

202 실사구시의 물리학


이 성립한다. 여기에서  은 매질 (1)에 대한 매질 (2)의 굴절률이다.

3-2. 임계각과 전반사

그림 16-2. 임계각 측정 실험

광선이 광학적으로 밀한 매질에서 소한 매질로 들어온다고 하자. 그림 16-2에서와


같이 고정된 광원의 방향을 바꾸어 입사각을 점점 증가시킬 경우, 입사각이 임계각
  에 다다르면 굴절광선이 표면에 따라서 진행하게 되는 점 e에 도달하게 되고 그 때

의 빛의 굴절 각은 90˚ 이다. 그러므로 입사각이 이 임계각   보다 크면 굴절광선은 생


기지 않는다. 이 현상을 전반사라고 말한다. 임계각은 굴절 법칙 식 (2)에서 굴절각
   ˚ 라고 놓음으로써 얻어진다.

sin    (3)

3-3. 횡적 변위

다음 그림과 같이 두께가 a이고 양쪽 면이 평행한 평면으로 한정된 매질 내를 빛이 통


과할 때 나가는 광선의 방향이 입사광선의 방향과 평행하나 횡적으로 식 (4)와 같은 변위
가 있게 된다.

실험 16 203
sin      
   (4)
cos 

그림 16-3. 횡적 변위 측정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4-1-1. 반사각과 굴절각의 측정

① 사진 16-4와 같이 회전판을 광학대에 설치하고 회전판에 렌즈플랫폼, 회전 모


션 센서, 광 센서를 설치한다.
② 렌즈플랫폼 위에 반원형 아크릴을 놓는다.
③ 반사각과 굴절각을 측정할 수 있는 범위에 광 센서를 놓는다.

4-1-2. 임계각 측정 실험

위의 실험과 동일한 상황에서 굴절광선이 사라지는 임계각을 측정한다.

204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16-4. 반사각과 굴절각의 측정 실험장치로 임계각을 측정하는 그림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 회전 모션 센서
- Measurement:시간에 따른 각도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 Sample rate:센서에서 값을 읽어 들이는 주기를 말한다. Sample rate가 높으
면, 빠르게 변화하는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 Division / Rotation:회전 모션 센서의 분해능을 의미한다. 이 값을 360으로
한다면, 원주의 1/360, 즉 1˚ 단위의 데이터밖에 측정
못하며, 1440으로 설정하면 더 정밀한 값을 읽어 들일
수 있다.(0.25˚ )
∙ 광센서
- Measurement:시간에 따른 빛의 세기를 측정한다.
- Sensitivity:측정구간이 1 V 이상이면 Low(1x), 1 V 이하이면 Med(10x)를 선
택한다.

회전판의 회전 각도를 회전 모션 센서에서 측정할 때 회전판의 실제 회전각도와 회전

실험 16 205
모션 센서의 기어비가 틀려 보정을 해주어야 하는데 측정치에 59~61를 나눠주면 된다.
이는 기기마다 다르기 때문에 회전판을 100°회전시킨 후 Data-studio에 측정된 수치를
보고서 그 비율을 알아낸다.

4-3. 데이터 측정

실험 1. 반사각과 굴절각의 측정

① 광학 받침대에 광원을 설치하고 회전판에 반원 모양의 아크릴을 고정된 렌즈플


랫폼에 놓는다. 아크릴의 평면(현)이 광원방향이 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그 반
원의 중심이 회전판의 중심과 일치해야 함에 유의한다.
② 아크릴 반원의 현 부분을 입사광에 수직하도록, 즉 입사각이 0°가 되도록 초기
장치를 꾸민다.
③ Data-studio를 구동하여 광 센서와 회전 모션 센서를 연결한다.
④ 아크릴 반원의 각을 변화시키면서 반사광과 굴절광이 형성됨을 확인한다.
⑤ Data-studio를 구동하고, 회전판을 돌려서 광 센서와 회전 모션 센서로부터 반
사각과 굴절각에 대한 빛의 세기와 회전각을 측정한다. 시간에 대해 측정된 빛
의 세기와 각도를 각도에 대한 세기의 그래프로 변환시킨다.
⑥ 빛의 세기의 크기가 국소적으로 최대인 각도를 보고 반사각과 굴절각을 알아낸
다.
⑦ 위 4~6번 과정을 되풀이 한다.
⑧ 반사각을 통해 반사의 법칙을 확인하고, 스넬의 법칙과 측정된 굴절각을 이용해
아크릴의 굴절률을 알아낸다.

실험 2. 임계각 측정 실험

① 광학 받침대에 광원을 설치하되, 회전판에 반원 모양의 아크릴을 반고정된 렌즈


플랫폼 위에 올려놓고 아크릴의 평면이 광 센서를 향하도록 하고, 반호가 광원
방향이 되도록 향하게 설치한다. 이때 그 반원의 중심이 회전판의 중심과 반드

206 실사구시의 물리학


시 일치해야 한다. 또 렌즈 플랫폼이 회전팔과 함께 돌아가도록 반고정되는 것
에 유의한다.
② 아크릴 반원의 현 부분을 입사광에 수직하도록, 즉 입사각이 0°가 되도록 초기
장치를 꾸민다.
③ 아크릴 반원의 각을 변화시키면서 반사광과 굴절광이 형성됨을 확인한다.
④ 입사각을 조정하며 굴절광이 사라지는 각도를 기록한다.
⑤ 식 (3)으로부터 sin    을 알고, 측정된 임계각으로 구한 매질의 굴절률과
실험 1에서 구한 매질의 굴절률을 비교해 본다.

실험 3. 횡적 변위 측정 실험

① 광학받침대에 광원을 설치하고 회전판에 직각 매질(여기서는 아크릴)의 수평방


향이 광원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그 수평면이 회전판의 중심과
일치해야 한다.
② 조리개에 종이를 부착한다.
③ 입사각이 0도일 때 투과한 광의 위치를 종이에 표시한다.
④ 아크릴의 각을 변화시키면서 아크릴을 투과한 광의 위치를 종이에 표시한다.
⑤ 종이에 표시한 위치를 보고 d를 구하여 횡적변위를 알아낸다.
⑥ 실험 1로부터 구한 굴절률을 이용해서, 알고 있는 입사각으로 굴절각을 구하고
식(4)로부터 횡적변위를 구한다. 이 횡적변위를 측정된 횡적변위 d와 비교한다.

4-4. 데이터 분석

실험 1, 2, 3에서 각도 (또는 위치(길이))를 얻으려면 회전판에 달린 광 센서가 시간에


따라 측정하는 빛의 세기와 회전판이 돌아가면서 (또는 직선변환대가 움직이면서) 변화하
는 시간에 따른 회전 모션 센서의 회전각도 (또는 위치)를 동시에 측정한다. 여기서 필요
한 것은 회전각(또는 길이)에 대한 빛의 세기 그래프이므로 데이터는 시간에 따른 빛의 세

실험 16 207
기와 시간에 따른 회전각도(또는 길이)를 측정하여 빛의 세기에 대한 그래프를 하나 더 만
들고 그 그래프의 x축에 회전각도(또는 길이)를 드래그하여 가져와서 회전각도(또는
길이)에 따른 빛의 세기를 그래프로 그려야 한다.

그림 16-5. Angular position에 따른 빛의 intensity 그래프

208 실사구시의 물리학


5 실험 결과

5-1. 평면판의 경우 광선의 경로 측정 실험

입 사 각 반 사 각 굴 절 각 굴 절 률

평균 굴절률

5-2. 임계각 측정 실험

횟 수 임 계 각 굴절률(식(2))
1
2
3
평 균

5-3. 횡적 변위의 측정 실험

매질의 두께:

횡적변위 횡적변위
입 사 각 오차
(d) (실험1 이용)

실험 16 209
※ 토의 사항

① 호이겐스의 원리를 이용하여 스넬의 법칙을 유도해 보자. (실제로 빛의 진행 속도


는 매질의 굴절율에 반비례하므로 스넬의 법칙과 같은 굴절 현상이 일어난다.)
② 광섬유(optical fiber)에 대하여 조사해 보고 전반사와의 관련성을 논의한다.

210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험 17
빛의 회절과 간섭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1
:실험의 광원으로 쓰임
광 센서(Light Sensor)
1
:반사, 굴절된 빛의 세기를 측정
회전 모션 센서(Rotary Motion Sensor)
1
:간섭무늬의 간격을 측정
슬릿(Diffraction Plate)
1
:슬릿이 형성되어 회절을 일으키는 판
조리개 받침대, 광학대 1
직선변환대
1
:회전운동센서를 설치하여 회절무늬 간격을 측정

2 실험 목적

영(Young)의 이중슬릿 실험을 통해 빛의 파동성인 회절과 간섭현상을 이해한다.

3 실험 이론

3-1. 빛의 회절과 간섭

회절:입자의 진행경로에 틈이 있는 장애물이 있으면 입자는 그 틈을 지나 직선으

실험 17 211
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파동의 경우, 틈을 지나는 직선 경로뿐 아니라 그 주변의 일
정 범위까지 돌아 들어간다. 이처럼 파동이 입자로는 도저히 갈 수 없는 영역에 휘어
져 도달하는 현상이 회절이다. 회절의 정도는 틈의 크기와 파장에 영향을 받는다. 즉
틈의 크기에 비해 파장이 길수록 회절이 더 많이 일어난다.

그림 17-1. 회절

간섭:간섭현상은 두 개 이상의 파동이 서로 만났을 때, 중첩의 원리에 따라서 서


로 더해지면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가)와 같이 합성파의 진폭이 커지는 경우를 보강
간섭이라 하고, (나)와 같이 합성파의 진폭이 더 작아지는 경우를 상쇄간섭이라고 한
다.

그림 17-2. 간섭

212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17-3. 단일 슬릿에서의 회절무늬

3-2. 단일슬릿 실험

그림 17-3과 같이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빛이 너비가 d인 단일 슬릿을 통과하도록


하는 상황을 가정하자. 호이겐스의 원리에 의하면 이 상황은 슬릿 AB 사이에 있는 무
수히 많은 점들에서 동일 위상으로 구면파들을 방출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점
A와 B의 중간 점을 M이라 할 때, 점 A와 점 M을 출발하여 P에 도달하는 두 광선의
진행 경로를 생각한다. 여기서 점 P는 슬릿으로부터 L만큼 떨어진 스크린 위의 한 점
이다.  ≫  인 경우 점 P까지의 두 광선의 경로차(⧍l )는 sin 가 된다. 이 경로
차가  일 경우, 두 빛은 반대의 위상차를 가지므로 상쇄간섭을 하여 점 P에서 서
로 상쇄된다. 점 A와 M에서 아래 방향으로 임의의 거리만큼 평행 이동한 모든 두 점
에 대해서도 위의 분석은 꼭 같이 적용되므로 슬릿 AB 사이에 있는 무수히 많은 점
들에서 출발한 파들이 sin   를 만족하는  에 해당하는 스크린 상에서의
위치로 다 모이면 상쇄되어 어두운 영역이 된다. 한편 꼭 같은 이치에 의해서 경로차
가 파장의 정수배의 위상차를 가지게 되면 즉, sin   서로 보강간섭을 하게
되어 간섭무늬에 밝은 부분을 만들게 된다.

실험 17 213
이상을 종합하면 단일 슬릿에서의 간섭 무늬에 대한 어두운 무늬 조건을 다음과 같
이 얻을 수 있다.


sin    ± ± ⋯ (1)

 가 충분히 작을 때 (  ≪  ), 스크린의 중심 근처에서 상쇄간섭이 나타나는 곳의


위치  는 아래와 같이 근사식을 사용할 수 있고


sin ≃ tan   (2)

이를 이용하여 무늬 간격  를 구하면 식(3)을 구할 수 있다.


    (3)

3-3 이중슬릿 실험

그림 17-4는 이중슬릿에 의해 간섭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두 개의



슬릿에서 나와 점 P로 진행하는 두 빛의 경로차(⧍l )는  sin ≈   로 주어지게 되

는데, 경로차가 입사하는 파장의 정수배가 되는 경우 두 슬릿을 통과하는 빛이 서로
보강 간섭을 일으켜 밝은 무늬를 형성하게 된다. 이중슬릿에서 밝고, 어두운 무늬에
대한 조건은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밝은 무늬 조건:

214 실사구시의 물리학



sin     ± ± ⋯ (4)

어두운 무늬 조건:

  
sin     ± ± ⋯ (5)

그림 17-4. 이중 슬릿에서의 간섭무늬

이중 슬릿이 만드는 간섭무늬는 단일 슬릿에 의한 회절 무늬에 두 슬릿에 의한 간섭무


늬가 곱해진 형태로 주어지게 된다. 아래 그림 17-5에서 점선은 단일 슬릿의 회절을,
실선은 이중 슬릿의 간섭을 보여주며, 둘을 곱하면 그림 17-6과 같은 간섭무늬를 얻
게 된다.

실험 17 215
그림 17-5. 점선:단일슬릿 회절, 실선:이중슬릿 간섭 그림 17-6. 이중슬릿의 간섭 무늬

추가적으로 두 슬릿의 분리거리  는 간


섭무늬의 개수를 통하여 구할 수 있다.
이중슬릿에서의 간섭무늬가 옆 그림에서
와 같이 얻어졌을 때, 중앙회절 봉우리
내에 대략    개의 세부적인 무늬가
생기게 된다. 그림에서 중앙봉우리에는 5
개의 세부무늬가 있으므로  값은
     를 통해 3이 됨을 알 수 있다.
그림 17-7. 이중슬릿의 간섭무늬 안 세부무늬 이렇게 구한 k값을    ( :슬릿사이
의 분리거리,  :슬릿의 폭)에 대입하여 구하고자 하는 슬릿의 폭  를 구할 수 있게
된다.
※ 자세한 유도 공식은 스스로 알아보기 바란다.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216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17-8. 직선변환대의 조립

① 직선변환대의 조립:톱니막대를 회전센서에 끼우고 직선변환대에 2개의 나사로


고정한다.
② 광 센서를 조리개 받침대(Aperture bracket)에 올려놓고 밑에서 나사막대로 조
여 고정하고 8핀 딘커넥터에 연결한다.
③ 고정된 광 센서 계의 나사막대를 다시 회전 모션 센서의 홀더에 끼우고 고정나
사로 조여 준다. 직선변환대를 실험받침대에 고정시킨다.

그림 17-9. 광 센서의 설치

실험 17 217
④ 다이오드 레이저는 랩잭 위에, 슬릿 회절판은 지지대에 고정 하여 레이저 - 회
절판 -조리개원판 스크린(광 센서)의 순으로 장치를 구성한다.
⑤ 회절판과 조리개 원판 스크린 사이의 거리는 충분히 멀리 놓는다.(70 cm 이상)
레이저를 켠 다음, 조리개 원판을 돌려서 1번을 선택하고 회절판 없이 광이 조
리개 구멍의 중앙에 오도록 랩잭을 조절한다.

그림 17-10. 광학대의 설치

⑥ 지지대에 회절판을 부착하고 광이 첫 번째 단일슬릿에 정확히 입사하여 조리개


받침대에 나타나는 회절무늬가 중앙에 위치하도록 한다.(레이저 다이오드 뒷면
의 세 개의 나사를 조절하면 광을 수평,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⑦ 회절무늬가 수평이 되도록 회절판 받침대을 돌려서 조절한다.

그림 17-11. 조리개원판

218 실사구시의 물리학


⑧ 단일슬릿(A, B, C, D)와 이중슬릿(I, J, K, L)이 있는 회절판은 아래 그림과 같
다.

그림 17-12. 슬릿

⑨ 실험받침대에 붙어있는 자를 이용하여 회절판에서 조리개 원판까지의 거리 D를 측


정한다. 장비의 셋업이 끝나면 실험실을 암실상태로 만든다.

그림 17-13. 빛의 회절과 간섭 실험장치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실험 17 219
① 회전 모션 센서

- Measurement:각도의 변화량을 측정한다.


- Sample rate:센서에서 값을 읽어 들이는 주기를 말한다. Sample rate가 높
으면, 빠르게 변화하는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 Division / Rotation:회전 모션 센서의 분해능을 의미한다. 이 값을 360으로
한다면, 원주의 1/360, 즉 1˚ 단위의 데이터밖에 측정
못하며, 1440으로 설정하면 더 정밀한 값을 읽어 들일
수 있다.(0.25˚ )
② 광 센서

- Measurement:시간에 따른 빛의 세기를 측정.


- Sensitivity:측정구간이 1 V 이상이면 Low(1x), 1 V 이하이면 Med(10x)를
선택

4-4. 데이터 측정

① 시간에 따른 Angle과 Intensity의 그래프 창을 띄운다.


② Start을 눌러 데이터 저장을 시작하고 직선변환대 및 광 센서가 흔들리지 않도
록 천천히 조심스럽게 회절과 간섭무늬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캔한다.
③ 스캔이 다 끝나면 Stop을 누르고, 데이터를 저장한다.

4-4. 데이터 분석

① 각각의 극소점에 해당하는 값을 Smart tool 를 이용하여 극소점까지의 거리


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단일 슬릿의 경우 회절무늬에 대해 중앙의 최대 밝은 점
에서 어두운 무늬(또는 극소점)의 거리를 기록한다. (단일 슬릿은 A, B, C만 측
정한다.)

220 실사구시의 물리학


② 이중 슬릿의 경우 마찬가지로 간섭무늬에 대해 세부무늬 간의 거리를 기록한다.
(이중 슬릿은 I, J, K만 측정한다.)

그림 17-14. 위치와 빛의 세기에 대한 회절무늬 그래프

그림 17-15. 위치와 빛의 세기에 대한 간섭무늬 그래프

실험 17 221
③ 다양한 형태의 슬릿:이외에도 십자선 모양의 슬릿 H와 연속적인 모양의 슬릿
E, F, G 로도 실험을 하여 그 간섭무늬를 그려본다.

222 실사구시의 물리학


5 실험 결과

5-1. 단일슬릿

슬 릿 A B C

1 1 1

2 2 2
1차 최대 거리
(첫번째 어두운 무늬)
3 3 3

평균 평균 평균

스크린까지의 거리 D

레이저의 파장 λ

슬릿 폭 (계산)

슬릿 폭  0.02 0.04 0.08

<단일 슬릿이 만드는 회절 무늬:어두운 무늬가 생기는 조건>

 sin  

sin ≃ tan     ⋯

실험 17 223
5-2. 이중슬릿

슬 릿 I J K

1 1 1

2 2 2
세부무늬 간의 거리
3 3 3

평균 평균 평균

스크린까지의 거리 D

레이저의 파장 λ

두 슬릿의 간격 d

전체무늬 안의
세부무늬 개수

슬릿 폭 (계산)

슬릿 폭  0.04 0.04 0.08

간섭무늬를 측정하여 슬릿간의 거리 d를 구한다.  sin    ⋯


회절무늬 안에 있는 간섭무늬의 세부무늬의 개수를 측정하여, 슬릿간의 거리 d와 슬
릿폭 a의 비(= d/a)를 구한다. 위의 결과로 a를 구한다. 단, 전체무늬 안의 세부무늬
의 개수를 구할 때, 슬릿폭 a과 슬릿의 간격 d는 정수배 혹은 반정수배로 한다.

※ 토의 사항

① 단일 슬릿의 실험에서 슬릿을 원형의 opening으로 대체하면 어떠한 결과가 예측


될까? 이로부터 렌즈의 구경과 분해능의 관계를 유추해 볼 수 있다.

224 실사구시의 물리학


실험 18
회절격자

1 실험 기구

실험기구 수량(개)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1
:실험의 광원으로 쓰임
광 센서(Light Sensor)
1
:반사, 굴절된 빛의 세기를 측정
회전운동센서(Rotary Motion Sensor)
1
:간섭무늬의 간격을 측정
회절 격자(Diffracting Grating)
2
:격자상수를 아는 것과 모르는 것
회전판, 회전팔, 광학대 각각 1

2 실험 목적

빛의 회절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1) 격자상수를 알고 있는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주어진 광원의 파장을 추출하고, 2) 파장을 알고 있는 광원을 사용하여 미지의 회절
격자의 격자상수를 추출함으로써 빛의 회절특성과 회절격자의 특성을 이해한다.

3 실험 이론

3-1. 회절격자란?

평면 유리나 오목 금속판에 여러 개의 평행선을 좁은 간격으로 새긴 것으로, 이것

실험 18 225
에 빛을 조사하면 투과 또는 반사된 빛이 파장별로 쪼개 나뉘어서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이는 다중슬릿에 의한 빛의 회절과 유사하며, 요셉 프라운호퍼(Joseph von
Fraunhofer)에 의해 정립되었다(Fraunhofer diffraction). 현재는 보통 1 cm당
10,000개 정도의 선을 가지는 격자들이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빛의 파장을 정확히
측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3-2. 회절격자 실험

그림 18-1. 회절격자

그림과 같이 유리판 위에 단위길이 1 cm 당 n개의 평행선을 그린 회절격자( )에


파장이  인 평행광선이 입사된다고 하자. 슬릿의 폭이 충분히 좁기 때문에 각각의 슬
릿은 스크린을 넓은 각도범위에서 비춰주고 있다고 가정하여 모든 슬릿으로부터의
빛들이 간섭을 일으킨다고 하자. 각각의 슬릿에서 직진하는(   ) 빛들은 서로 보강
간섭을 일으켜 중앙에 밝은 무늬를 만들게 되고, 인접한 슬릿들로부터의 빛들의 경로
차가 정확히 파장의 정수배가 되는  값에서도 보강간섭에 의해 밝은 무늬가 생긴다.

226 실사구시의 물리학


∆   sin    ± ± ⋯ (1)

이 식을 격자공식이라 하고,    는 격자상수,  은 무늬의 차수이다. 이것은 이


중슬릿의 경우와 같지만, 회절격자의 경우 슬릿의 수가 많아질수록 밝은 점의 세기는
더 예리하고 좁아지게 된다. 즉 격자의 수가 많을수록 극대값은 예리해지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빛의 파장을 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회절각  를 측정
하게 되고, 파장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이에 따른 격자상수를, 격자상수를 알고 있을
때는 광원의 파장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4 실험 방법

4-1. 기기 및 장치 설치

① 아래 그림과 같이 광학대 위에 회전판을 설치하고 회전판의 옆에 회전 모션 센서를,


회전판의 팔 부분에 광 센서를 설치한다.

그림 18-2. 회전판의 설치

② 회전판의 중앙에는 회전 모션 센서를 연결하여 회전판의 움직인 각도를 회전 모


션 센서가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광 센서의 감도를 ʻ1ʼ로 하여 회절광의 세기가

실험 18 227
포화상태에 이르지 않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③ 광 센서와 회전 모션 센서를 Science Workshop에 연결한다.

그림 18-3. 회절격자의 격자상수 측정 실험장치

4-2. Data-studio 프로그램 설정

① 회전 모션 센서

- Measurement:직선변위를 측정한다.
- Sample rate:센서에서 값을 읽어 들이는 주기를 말한다. Sample rate가 높으
면, 빠르게 변화하는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음.
- Division / Rotation:회전 모션 센서의 분해능을 의미한다. 이 값을 360으로
한다면, 원주의 1/360, 즉 1˚ 단위의 data밖에 측정 못
하며, 1440으로 설정하면 더 정밀한 값을 읽어 들일
수 있다(0.25˚ ).
② 광 센서

- Measurement:빛의 세기를 측정한다.

228 실사구시의 물리학


- Sensitivity:측정구간이 1 V 이상이면 Low(1x), 1 V 이하이면 Med(10x)
를 선택한다.

4-3. 데이터 측정

실험 1:광원의 파장측정

① 광 받침대에 광원을 설치하고 회전판에 이미 알고 있는 격자상수의 회절격자를


놓고 회전판을 모션센서에 부착한다.
② 광센서의 앞에 슬릿을 부착하여 회절격자를 통과한 빛의 세기를 세밀하게 측정
하도록 한다.
③ 회전판에 부착된 광센서에 들어오는 빛의 양을 보고 3차 회절광이 들어오는 각
보다 큰 각도로 초기 장치를 꾸민다.
④ Data-studio를 시작하고, 회전판을 돌려서 광센서와 회전모션 센서로부터 빛의
Intensity와 회전각을 측정한다.
⑤ 시간에 대한 빛의 세기와 시간에 대한 회전각을 Table로 보고 두개의 Table에
서 Time을 없앤다.
⑥ 빛의 세기와 회전각을 보고 각 차수의 회절각을 알아낸다.
⑦ 회절각과 이미 알고 있는 격자상수를 이용하여 광원의 파장을 알아낸다.

실험 2:미지격자의 격자상수 측정

① 실험 1의 회절격자를 미지의 격자상수를 가진 회절격자로 바꾸어 부착한다.


② 실험 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하여 회절각을 알아낸다.
③ 구한 회절각을 가지고 격자상수를 구하여 본다.

4-4. 데이터 분석

실험에서 회절광에 대한 각도를 얻으려면 회전판에 달린 광 센서가 시간에 따라 측

실험 18 229
정하는 광량과 회전판이 돌아가는 동안 시간에 따른 회전 모션 센서의 회전 각도를
동시에 측정해야 한다. 즉 시간을 매개 변수로 하여 회전각과 광량과의 관계를 통해
서 각각의 차수(m)에 따른 회절광의 각도가 얼마만큼 되는지를 알아야 한다. 그러므
로 데이터는 시간에 따른 광량과 시간에 따른 회전각도를 측정하여 시트에 따로 작성
하여 회전각도에 따른 광량을 비교하여 각 차수에 대한 회절각을 알아야 한다. 그 후
각 차수에 대한 평균각을 구해서 격자상수와 광원의 파장을 구한다.

그림 18-4. 시간에 따른 광량과 각도의 그래프

230 실사구시의 물리학


그림 18-5. 시간에 따른 광량과 각도의 테이블

그림 18-6. 시간 데이터의 삭제

실험 18 231
회전 모션 센서와 광 센서의 측정 시간간격이 같으므로 테이블에서 각각의 측정시간을
없애서 같은 시간에서 측정된 광량과 각도를 표시한다.

그림 18-7. 광량이 최대인 곳에서의 각도 확인

각도에 따른 광량 테이블에서 광량이 부분적으로 최대치를 찾아서 그때의 각도를


체크한다.

232 실사구시의 물리학


5 실험 결과

5-1. 광원의 파장측정

(참조:  ′ 과   은 다른 방향의 회절각을 나타냄)

격자상수 mm당 격자수


회절차수 1차(m=1) 2차(m=2) 3차(m=3)
 ′



2  = ′ +


   sin

광원의 파장
       

이론치 광원파장 오차

5-2. 미지격자의 격자상수측정

광원의 파장
회절차수 1차(m=1) 2차(m=2) 3차(m=3)
 ′



2  = ′ +



  sin

회절격자상수
       

이론치 회절격자상수 오차

실험 18 233
물리상수
이름 기호 값
진공 중 광속 c  ㆍ    

기본전하 e  ㆍ   

만유인력 강수 G  ㆍ       

볼츠만 상수 kB  ㆍ     

아보가드로의 수 NA  ㆍ    

보편기체 상수 R 8.314472J   ㆍ 


전자질량 me  ㆍ   

자유공간의 투자율   ㆍ    

자유공간의 유전율  ㆍ     

표준 중력 가속도 g  ㆍ    

20℃에서의 표준 대기압 atm  ㆍ  

0℃, 1atm에서의 이상기체 부피 22.413996 


열의 일해당량 4.186 

전자볼트 eV  ㆍ  

출처:NIST, http://physics.nist.gov/constants

234 실사구시의 물리학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물리교재 편집위원

김은규 오재혁 정원정

김재용 오차환 조준형

김태정 윤용성 조진호

김항배 이광걸 천병구

남창우 이명재 한영근

문순재 이성재 홍진표

송석호 이영백 (가나다 순)

신상진 이진형

실사구시의 물리학 (3판)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물리교재연구실 편

펴낸날 2017년 2월 20일 3판 1쇄

펴낸이 이영무 ● 펴낸곳 한양대학교 출판부 ● 출판등록 제4-7호(1972.2.29)

주소 서울 성동구 왕십리로 222 ● 전화 02.2220.1432-4 ● 팩스 02.2220.1435

홈페이지 press.hanyang.ac.kr ● 이메일 presshy@hanyang.ac.kr

디자인 안광일 ● 인쇄 네오프린텍

ⓒ 2017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물리교재연구실

이 책은 저작권법에 따라 한국 내에서 보호를 받는 저작물이므로 무단전재와 무단복제를 금합니다.

잘못된 책은 구입하신 곳에서 교환해드립니다.

값 16,000 원

ISBN 978.89.7218.525.3 (9342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