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9.

국내 도시주거의 개요

9.1 국내 도시단위주거유형 개발문제

⚫ 주거유형의 양극화

⚫ 주거유형과 도시구조

⚫ 아파트의 한국사회 수용

⚫ 산업도시화 과정

◼ 주거유형 한국사회의 특수성 : 한국 도시의 주거유형은 중상류층을 중심으로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


가 무척 높았으며 전체 계층이 이를 따랐다. 아파트라는 주거유형의 원형이 서구에선 주로 하층민을
위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이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 단독주택과 고밀화 : 당시 중상류층의 일반적인 주거유형인 단독주택은 고밀화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고밀화 과정에서 저소득층을 위한 유형으로 전락했다.

◼ 도시개발과 아파트단지 : 아파트는 이미 극단적으로 고밀화된 유형으로 타 주거유형에 비해 보다 현


대화된 설비, 도로망 등 기반시설이 동반되어 무엇보다 막대한 매매차익을 가져다 주었다.

◼ 현 시점 : 도시화가 완성된 지금 아파트의 투기전망은 예전같지 않으며 중상층의 관심이 점차 단독,


다가구, 다세대 유형으로 되돌아 오기에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과 보편성을 갖춘 한국적 도시주거유
형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 한국 도시에 도시단위주거유형이 도출되지 않은 이유


9.2 조선말부터 현재까지 도시구조의 변화

⚫ 조선 초

⚫ 조선 전반기

⚫ 조선 후반기

⚫ 조선말기

⚫ 조선 말기__인구밀도 변화

⚫ 대한제국

⚫ 일제치하

⚫ 개화기 이후 인구밀도

9.3 전근대 한중일 도시주거유형 비교

⚫ 중국 전근대 도시

◼ 성시 : 황제의 성곽과 시장이 있는 장소로 ‘성시’라 부름.

◼ 도시건설

◼ 구조

◼ 배치

◼ 장안과 북경이 대표적

⚫ 장안

⚫ 북경

⚫ 사합원 개요


⚫ 사합원 기원(중국 전근대 도시주거유형)

⚫ 사합원 구성, 배치

⚫ 사합원과 도시화

⚫ 강남수향지대의 임수주택(중국 전근대 도시주거유형)

⚫ 복건성의 토루

⚫ 일본 전근대 도시단위주거_마치야_개요

⚫ 마치야_구성, 특징


⚫ 한국 전근대 도시

⚫ 전근대 한옥

⚫ 전근대 한옥_조선말 서울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