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도시와 건축

urbanarchitecture
주과제_#1

W#04(3월23일) 과제
[도시와 건축] <주과제#1>
영화 속에 나타난 ‘도시와 건축’ 이야기 찾기

<도시와 건축> 첫 <주과제>를 제시합니다.


본격적인 건축주제에 임하기 전에, 학생들이 평소 가지고 있는 ‘도시와 건축’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보는 기회를 가져보는
것은 사전 지식이나 선입관 없이 우리의 일상에서 느끼는 건축(공간)과 도시(공간)의 의미를 살펴보는 또 다른 기회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런 의도에서,
본 첫 번째 <주과제>는 쉽게 우리가 일상에서 만나는 ‘도시와 건축’의 손쉬운 접근과 이해를 돕기에 용이한 ‘영화’라는
문화컨텐츠를 통해 학생들의 건축과 도시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보는 기회를 가져보려 합니다. 주지하다시피, 대체로 영
화는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건축과 도시공간)을 현실적 혹은 상징적 무대로 인간의 삶의 이야기를 담아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축+도시공간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되는지, 공간성에 따라 우리의 삶의 행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혹은 삶의
방식에 따라 어떻게 공간을 인지(이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인식을 제고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또한, 영
화라는 쟝르를 통해 제시하고자 하는 스토리텔링과 주제, 메시지 등이 삶의 태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자신의 직〮간접
적인 경험을 통해 자연/도시건축공간에 대한 공감을 얻을 수 있으리라는 생각 또한 본 과제를 설정한 이유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 과 제 명 : 도시와건축_이름_영화속도시건축이야기
> 과제내용 : 자신이 좋아하거나 혹은 도시와 건축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영화(드라마)를 선정하여
영화를 중심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도시와 건축’에 대한 생각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정리하여 과제로 제출
> 과제형식 :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형식은 자유
(가급적 *.ppt(x) 파일로 제출, 기타 *.pdf, *.hwp, *.doc(x), 필요 시 동영상파일 *.mp4… 등도 가능)
> 제출+발표 기한 : 제출은 3주 후_ W07주차(4월14일 23:59’) 까지 제출
+ 발표는 W06+07 (4월6일+4월13일, 2주간) 으로 주당 7~8명 정도의 학생 발표 예정
(*’수업단톡방’으로 공지 후 발표 신청 접수 예정)
> 과제수행 시 참고사항 및 평가기준 :
1_주제 제시에 필요한 영화의 시놉시스는 간단하게 제시하되, 영화내용(줄거리)의 일반적인 소개나 설명은 가급적
최소화
2_영화의 주제 및 내용에 대한 자신만의 시선이나 생각(느낀 점) 등을 영화장면이나 대사 등을 통해 자신만의 언어로
표현
3_영화에 나타난 건축-도시 공간에 대한 의미와 가치, 선정의도 등을 영화의 주제나 스토리, 영화 속 등장인물의 심리
및 관계(삶의 무대로서, 혹은 스토리텔링의 무대로서의 공간의 의미…등) 등과 관련하여 자신만의 방식으로 표현
4_영화 속 건축이야기와 관련한 관점으로, 나의 일상과 일상의 무대(건축+도시)와의 관계 등을 함께 관련지어 이야기
를 전개
(*가급적 인용과 참고자료는 최소화하여 주를 달고 자신만의 생각을 구체적으로 언급할 것, 과제수행의 소감도 마지막
에 언급)

학생들의 과제수행 참고를 위해, 수업주제에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몇 가지 영화를 선정하여 첨부자료를 준비하였습니
다. 첨부한 자료는 단지 참고자료로서 학생들의 착안을 위해 몇 가지 관점을 제시하는 것이니, 학생들은 첨부한 영화를
선정하거나 혹은 본인이 좋아하는 영화나 자신의 생각(주제)을 정리하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다른 영화를 선정하
여 자신의 이야기를 표현하길 바랍니다. 또한, 참고자료 형식은 영화를 살펴 볼 관점을 정리한 샘플이니, 학생들은 자
신만의 스토리텔링에 적합한 형식으로 작성 바랍니다.
준비하는 동안, 단순한 과제의 부담이 아니라 평소 본인이 좋아하는 영화를 통해 이야기를 찾는 즐거운 시간이 되길
희망합니다.

* 우리 수업의 평가는 <과제>로만 평가되기 때문에, 과제 미제출자는 낮은 평가점수를 받게 됩니다.


제출기한을 넘길 경우에도 반드시 제출(제출 후, 개별 알림 요망)하기 바랍니다. (기간 초과 과제는 감점처리)
** 미발표 학생의 과제(기한 내 제출 과제를 우선) 중 , 우리 수업의 이해에 도움이 되는 과제 이야기는 리뷰과제로 선
정하여 수업시간에 함께 공감할 기회를 갖고자 합니다. 과제리뷰에 선정되길 바라지 않는 학생은 과제에 리뷰를 원치
않는다고 표시하여 주기 바랍니다.
[도시와건축]
_주과제#1 : 영화 속에 나타난 ‘도시와 건축’ 이야기 찾기
영화 속 도시와 건축 이야기(참고 영화)

⚫ 영화 <중경삼림> 속의 도시와 건축 이야기 찾기


⚫ 영화 <기생충> 속의 도시와 건축 이야기 찾기
⚫ 기타 참고 영화
<up> 애니메이션, 2009
<건축학 개론> 2012
<미드나잇 인 파리> Midnight in Paris, 2011
<트루먼 쇼> The Truman Show, 1998
<첨밀밀> Comrades: Almost a Love Story, 2011
<브루클린> Brooklyn, 2015
<너의 이름은> 君の名は。, your name, 2016
<소공녀> 전고운 감독, 2017
<나의 아저씨> 드라마, 2018
<나의 해방일지> 드라마, 2022
…등, 그 외 내가 좋아하는 영화/드라마
1_영화 속 ‘도시와 건축’ 이야기 : 참고영화#1_중경삼림

⚫ 영화 <중경삼림> 속의 도시와 건축 이야기 찾기

<줄거리>

경찰 223(금성무 분)은 시간만 되면 패스트푸드점에서 헤어진 옛 애인을 기다린다. 자


신의 생일이자 옛 애인과 헤어진 지 딱 한 달이 되는 5월 1일이 유통기한인 파인애플
통조림을 사 모으던 그는 한달 동안 그녀에게서 연락이 오지 않으면 그녀를 잊기로 마
음먹는다. 같은 시간, 노랑머리 마약밀매 중계자(임청하 분)는 자신을 배신한 마약 중개
인을 제거한 뒤 술집을 찾고 그곳에서 경찰 223은 술집으로 처음 들어오는 여자를 사
랑하겠노라 마음 먹는데…

한편 경찰 663(양조위 분)는 패스트푸드점에서 언제나처럼 똑같은 샐러드를 고른다.


패스트푸드점에서 일하는 점원 페이(왕정문 분)는 그런 경찰 663을 남몰래 좋아하고 있
다. 어느 날, 경찰 663의 애인이 이별의 편지와 함께 경찰 663의 아파트 열쇠를 페이의
가게에게 맡긴다. 그 후 페이는 경찰 663이 집을 비운 사이 그 집에 남아있는 그녀의 흔
적을 하나 둘 지워나며 새롭게 꾸민다. 변화를 쉽게 알아차리지 못하던 경찰 663은 어
느 날 자신의 집이 변해가는 것을 깨닫게 되고…

출처 : 나무위키

중경삼림, 重慶森林: Chungking Express, 1994


왕가이 감독
⚫ 영화 <중경삼림>
속 도시와 건축 이야기 찾기

관점#1 : 집과 길과 도시의 관계

영화 대사 중

-그날 오후 꿈을 꾸었다. 내가 그의 집에 있는 꿈이었다. 거기서 나오면


난 깨어날 줄 알았다. 하지만 어떤 꿈은 영원히 깨어날 수 없다.

_내가 물 잠그는 걸 잊어 버렸나? 아니면 이 방에 감정이 생겼나? 강한


줄 알았는데 이렇게 많이 울 줄 몰랐다. 사람은 휴지로 끝나지만 방은
한 번 울고 나면 뒷일이 엄청나다.

#집 #건축 #도시 #길거리 #시장 #공간/공간성 #공간의감정 #만남의장소


#내부공간vs.외부공간vs.반공간
중경삼림,1994
⚫ 영화 <중경삼림>
속 도시와 건축 이야기 찾기

관점#2 : 일상의 공간과 의외적인 공간의 의미 (공간과 장소의 의미)


인생과 공간

경찰233
마약중개자
경찰663
패스트푸드점 아르바이트직원

#거리 #편의점 #바 #시장거리 #일상 #정상적vs.비정상적공간 #반건축공간


#외부공간vs.내부공간 #인생과공간 #공간과장소
중경삼림, 1994
⚫ 영화 <중경삼림>
속 도시와 건축 이야기 찾기

관점#3 : real & dream


life & space

영화 대사 중
-”어딜 가고 싶어요?”
“상관 없어요. 당신이 가고 싶은 곳으로.”

#현실 #꿈 #현재 #미래 #Hotel Califonia #서민공간


#에스컬레이터 #고층아파트 #미드레벨 에스컬레이터
#Uptown & Downtown
중경삼림, 1994
2_영화 속 도시와 건축 이야기 : 참고영화#2_기생충

⚫ 영화 <기생충> 속의 도시와 건축 이야기 찾기

PRODUCTION NOTE

반지하 전원백수 기택네 집부터 언덕 위의 박사장 집까지!


극과 극 두 가족의 삶의 공간을 담아낸 프로덕션 디자인!

<기생충>에 펼쳐진 공간은 영화의 스토리와 직결된다. 로케이션과 실제 오픈 세트가 동


시에 사용된 <기생충>의 프로덕션은 전원백수인 기택네 가족의 공간인 반지하 집에서
출발해 언덕 위 박사장 집에 이른다. 기우의 과외 면접 동선이기도 한 이 수직 구조는 두
가족의 사회적 위치를 대변한다. 따라서 기우가 면접을 보러 가는 동안 오르는 계단들과
다시 반지하 집에 이르기 위해 내려가야 하는 계단들은 공간과 공간을 이어주는 역할을
넘어 역시 현대사회의 수직적 질서에 대한 메타포로 기능하고 있다.

줄거리 60% 이상의 무대가 되는 박사장 집은 유명 건축가가 지었다는 설정이었기 때문


에 취향과 예술적 혜안이 반영된 건축이어야만 했다. 특히 굽이굽이 코너를 돌 때마다 새
로운 비밀이 나오는 것 같은 이 집의 독특한 구조는, 봉준호 감독이 시나리오를 쓰기 전부
터 주문한 사항이었다. 관객들에게는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주거 공간으로 비춰지면서도,
캐릭터들이 만나고 단절되는 다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어야만 했던 것이다.

두 집 사이의 대조와 각 공간의 리얼리티, 그리고 영화의 메시지를 내포한 다수의 디테일
을 통해 완성된 <기생충>의 공간들은 동시대를 살고 있으나 엮일 일 없어 보이는 두 가
족의 삶의 배경을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그리고 인물의 동선을 따라 드러나는 비밀과 사
건들에 훌륭한 이유를 제공한다. 기생충, Parasite, 2019
봉준호 감독
출처 : 네이버 영화
⚫ 영화 <기생충>
속 ‘도시와 건축’ 이야기 찾기

관점#1 : 삶의 방식 vs. 공간의 구조


서민(반지하) vs. 부자(고급주택)

영화 대사 중
-”비가 와서 그런지 미세먼지가 없네요”
“냄새가 선을 넘지…”
“나 잘 어울리냐고 여기”
“반지하 냄새야...이사가야 없어져”

#반지하 #고급주택 #서민주택단지 #고급주택단지#공간의차이 기생충, Parasite, 2019


봉준호 감독
#주거환경 #삶과 공간 #삶을담는그릇_건축/건축을담는그릇_도시
⚫ 영화 <기생충>
속 ‘도시와 건축’ 이야기 찾기

관점#2 : 집으로 가는 길(서민주택단지vs.고급주택단지)


계단 vs. 계층
건축과 사회

영화 대사 중

-” 아버지 저는 근본적인 계획을 세웠습니다. 돈을 벌겠습니다. 그리고


가장 먼저 그 집을 사겠습니다. 아버지는 걸어서 계단을 올라오시기만
하면 돼요. 그날이 올 때까지 건강하세요”
“사실 여기 살다 보니 원래부터 내가 여기서 태어난 것 같기도 하고..”
“넌 이 집에서 어떤 공간이 제일 마음에 들어?”

#반지하 #고급주택 #서민주택단지 #고급주택단지#공간의차이 기생충, Parasite, 2019


봉준호 감독
#주거환경 #삶과공간 #건축과사회 #계단 #계층
> 참고 자료 : 참고할 만한 영화들의 이야기를 담은 관련 서적입니다(참고용)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