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1

[UCI]I804:null-200000406654

2007 건축석사 졸업설계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near Typology by Applying


on Disused Railway

우 지 현
한양대학교 건축대학원
2007 건축석사 졸업설계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near Typology by Applying


on Disused Railway

우 지 현
한양대학교 건축대학원

위의 졸업설계논문을 인준함
2007. 2.

심사위원 정 진 국 (인)

심사위원 서 현 (인)

심사위원 최 혜 정 (인)

심사위원 이 강 업 (인)

지도교수 이 은 영 (인)
국문요지

Hot Point에 밀도 높은 공공시설을 세우는 방식은 현대에도 여전히 유효


한 방식이긴 하나 풀뿌리 민주주의가 확대되고 있는 현대에 근본적인 한
계를 지니고 있다. (님비현상) 마치 도시 내에 거대한 어항과 같이 복원
되어버린 청계천 개발 방식에는 동의하지 못하지만 유형이란 틀에서 바라
볼 때 도시의 긴 선형의 오픈스페이스가 생겨난 점은 시민공동체의 변화
에 기여하는 점은 있다고 본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유효할 수 있는 공공건축물의 새로운 유형에 대한 재


고를 하고자 한다.

공공시설을 거점방식이나, 면적방식의 방법이 아니라 선으로 삽입하고 도


시를 계획하고자 한다.
“건축으로 도시를 만들 수 있다.”는 건축가의 로망이다. 현재 우리의 도
시에서는 건축이 절대 주가 될 수 없는 구도이다. 그러한 이유는 도시를
계획할 때 전체 도시를 조닝으로 계획한 후, 건축은 정해진 법규에 따라
그 용도와 볼륨(도시계획법에 따른 분류로 도시기반 시설, 주거지역, 상업
지역, 공업지역, 그린벨트 등등의 조닝과 각 조닝지역에 해당하는 건축법
규, 용적율, 건폐율, 층수제한, 인동간격의 지침에 따라)이 정해지기 때문
이다.
도시에서 선형의 대지는 거점의 대지와 달리 건축물이지만 도시적 성격을
강하게 가진다. 즉, urban scale로 다루되 건축으로 푸는 것이다.

폐선부지 = 도시적 요소 = 건축화

결국 이 계획안이 최종적으로 추구하고자 함은 “공공건물이 지하철 맵(도


시 전체에 선형의 얽킨)처럼 도시에 삽입되는 것”이다.
14km의 선형대지에 어떠한 구체적 프로그램을 삽입하겠다라는 관점이
아니라 공공건물이 선형으로 도시에 삽입될 수 있음에 그 가치를 두고자
한다.
즉, 도시를 건축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건축이 주가 되어 도시를 계
획하는 방법이다.
결과적으로 본 프로젝트가 시민 공동체의 변화를 도모하는 건축 유형으로
서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3


목 차

Ⅰ.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Ⅱ. 이론적 고찰(문제인식)

2.1 도시의 역사속에서 나타난 건축과 도시의 관계


2.2 Public Space와 Private Space의 이분법적 사고방식의 전환
2.3 Public Space의 확대
2.4 Public Space의 변질
2.5 선형 공공건축의 의의
2.6 선형구조 분석

Ⅲ. 프로그램 제안

3.1 시대별 도서관 역사


3.2 시대별 도서관의 공간유형분석

Ⅳ. 대지분석

4.1 폐선부지의
4.2 폐선부지 건축적 타당성 분석

Ⅴ. 디자인 진행

5.1 전제
5.2 계획대지
5.3 공간유형제시

Ⅵ. 디자인 결과
6.1 도면
6.2 모형

부록

참고문헌

감사의 글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4


Ⅰ장.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5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건축가 개개인의 머릿속에는 자신이 꿈꾸는 이상적 모델이 있다. 그러한


전제는 건축 역사전반에 걸쳐 건축가의 이상도시 계획안이나 이론으로 나
타났으며 건축가는 자신이 지향하는 “Urban-Model”을 찾고, 실현하고자
하였다.

본 계획에서는 역사에서 그리고 오늘날의 건축과 도시의 관계를 통해 새


로운 Urban-Model을 통한 건축유형을 모색하고자 한다.

도시와 건축의 역사를 훑어보면 건축과 도시의 관계는 평등하지 못했다.


18세기 이전까지만 해도 도시와 건축의 관계는 흑/백의 사고로 이분법적
인 구도였다.
거리와 광장을 제외한 시커멓게 칠해진 영역(사적, 개인의 영역) 즉, 건축
은 도시에 종속된 하위구조로 치부되었다. 그리하여 도시는 공간의 질로
써 평가 받을 수 없었으며, 오직 건축은 도시에서 “벽”으로만 인식되었
다.

그러한 도시/건축 구도에 관한 인식이 18세기 놀리와 피라네지 맵을 단


초로 하여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시작된다.

또한 오늘날의 공공건물은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다. 이것은 거대화, 컴


팩트화 되면서 슈퍼블럭화를 조장하며, 정치적/자본적 이해관계로 인해
순수한 공공건물의 위상이 변질된다.
공공건물이 과도하게 거대해짐, 단일건물이 비대해짐으로해서 전통적 커
뮤니티 방식 또한 잃게 되었다.

그렇다면 도시에서 공공건물이 어떻게 자리잡아야 하는 것인가?

기존의 거점이나 통점방식의 공공건물 계획은 공공건물 본연의 성격 변질


을 확대시키는 면이 있다. 공공의 공리를 위한 민주주의의 의의에 입각하
여 보다 높은 공공성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유형으로 선형(linear
typology)을 제시한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6


1.2 연구방법

첫 번째로, 역사 속에서 도시와 건축의의 관계를 파악하고, Public


space와 Private space의 인식의 사고 과정을 시대별로 살펴본다.

그리하여, 도시에서 공공의 건축물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리 잡아야


하는지에 대한 대안으로 선형의 유형을 제시하며, 그 유형에 대한
선행계획안들을 분석하고, 방향을 설정한다.

공공의 프로그램 중 하나의 도서관을 그 첫 번째 실험대상으로 하되,


역사적으로 도서관의 유형을 분석, 선형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도서관
제안하고, 최종적으로 대구선이라는 실제 14km의 폐선부지를 통해
도시에서 공공 건축이 선형의 유형으로 삽입되었을 때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7


Ⅱ. 이론적 고찰

2.1 도시의 역사속에서 나타난 건축과 도시의 관계


2.2 Public Space와 Private Space의 이분법적 사고방식의 전환
2.3 Public Space의 확대
2.4 Public Space의 변질
2.5 선형 공공건축의 의의
2.6 선형구조 분석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8


2.1 도시의 역사 속에서 나타난 건축과 도시의 관계

1) 고대, 중세 도시

개인의 영역과 공공의 영역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었으


며 도시구성의 주는 공공건물에 집약되어 있다.
교회, 상가광장, 길드건물들, 도시로의 출입문 등의 공
공적 요소들은 집합적인 투자의 대상이었다. 반면에 개
별 건물은 그렇지 못했다. 즉, 도시는 아직 전체적인
이미지로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공공의 건축에 한정된
사고였다.
또한, 건축의 밀도는 개인부분과 공적 부분 간에 명확
한 경계가 있었다.
이러한 구도는 도시의 이미지를 만들어 가는데 있어서,
교회 외의 광장을 둘러싼 입면들만 표시되어 있듯, 하 그림1_Siena의Campo 광
나의 경계면을 통해서 이루어짐을 볼 수 있다. 장

2) 르네상스, 식민지 도시

중세를 지나 전환점으로의 르네상스 도


시는 하나의 솔리드한 개체로 인식된다.
즉, 도시는 가로들로 새겨지고, 광장에
의해서 덜어내고, 공공건물들에 의해서
분절되는 방식으로 조각되는 솔리드였
다.1/
도시는 통제 가능한 단일대상으로 인식
되어졌던 것인데 이것은 투시도2/ 기술의
그림 2_ Palmanova
발전으로 도시를 보다 광범위한 방법으
로 전체 상을 조절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식민지 도시에서는 새로운 거리(이상도시에서 보이는 투시도적 외부공간)


을 만들어내거나,
기념비적3/인 건축물을 만들어 냄으로서 그것이 주위를 개조시키는 핵으

1/ 단일 건물은 반드시 자연이나 도시의 문맥의 일부로써 다루어 졌는데, 이는 개개의 건축물이 더 큰 구성의 일
부로 생각되어 진 것이다.
2/ 부르넬레스키에 의한 기술
3/ 기념비적이라는 것은 정교한 투시도적인 대칭성에 의함.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9


로 작용하게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전자의 경우 비용의 문제로 많이 사용되진 않고, 후자의 방식으로 실행된
다.

중세와 달리, 광장에서 바라보는 입면은


더욱 조직화되어 광장의 이미지는 기하
학에 의한 교회 파사드에 의해서 지배받
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여전히, 공공부문의 건축이 이러
한 입면적 요소의 강화로 주목받고 있지
만, 민간부문의 개별 건물은 이런 이미 그림 3_ Maria Novella
지에 일조하지 못하고 덩어리로서 인식되고 있다.

3) 바로크와 신고전 도시

거리 파사드와 주거구역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공공부문


의 강화가 진행된다.4/
이전에 보이던 공공과 개인의 영역 구분이 너무나 명확
하게 드러나 있다.
이러한 도시경계는 보이기 위한 도시에 집중된 사고의
결과로 나타난 것이며, 즉 외부 관찰자적 시점 강조의
결과이다.
이전에 보이던 공공과 개인의 영역 구분이 너무나 명확
하게 드러나 있다.
그림 4_ Belle-Alliance
Platz
and the Hallescher
Tor._1730

4)흑/백 도시

18세기까지의 도시는 특징없는 다수의 주거(사적영역)와 사회적, 정치적,


지적인 공동생활을 재현하는 건물(공공영역)로 하나의 전체상을 이루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공공부문은 입면적 요소의 강화로 주목되었고, 사적부문의 개별건물은 덩
어리로 인식되어
지도에서 검게 칠해진 사적영역과 거리, 광장, 성당등으로 이루어진 공공

4/ 가로에는 공공적으로 통제가 된 일정한 높이의 정리된 벽이 서 있지만, 벽 뒤의 건물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
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10


영역간의 확연하 대비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지도에서의 인식처럼 도시를 도시/건축,
공공/개인으로 이분해서 생각하는 흑/백 도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림 5_
Wiesbaden_1900_figure-ground
plan

2.2 Public Space와 Private Space의 이분법적 사고방식의 전환

1)인식전환의 단초

놀리5/의 인식체계를 따른다면 18세기 후반부터 등장하는 새로운 유형의


공공건물들은 흰색의 공공의 영역이 되는 것으로, 이는 도시를 만드는 주
체들이 건축으로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제 도시는 건축의 영역에서 도시를 드러낼 수 밖에 없는 상황으로 변화
한 것이다.

그림 6_ Piranesi map 그림 7_ Noli map

5/ 놀리의 지도에서 주목할만한 점은 성당의 표기이다. 검은색으로 칠해져야 할 건축물인 성당을 피복만 그려 놓
은채 하얗게 비워 두었다. 이러한 것은 성당이 광장과 같이 공적인 공간임을 명시하는 것이며, 놀리는 도시를
이해하는 방식이 단순히 건물과 건물이 아닌 곳으로 나누는 논리를 넘어서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11


2)사회 변화

그 첫 번째는 계급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은 18세기 시민사회의 성


장으로 공공부분이 사적영역으로 확대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그동안 고려대상이 아니었던 사적영역의 주거지구 재정비로 인한 이
상도시안들이 건축의 형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도시라는 것
이 더 이상 건축외부에서 인식되는 것이 아님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이
다.

그림 8_Charles Fourier_Phalanstery_1829
그림 9_ 공공하수도 견학

세 번 째는 산업발달로 인한 이동수단의 발전은


인간의 시점을 투시도적 관점에서 파노라마적 관점으로 더 나가 스팩타클
의 시점으로 그 영역을 확대한다. 이것은 도시를 이해하는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더 이상 도시는 일률적인 기준으로
통제된 가로와 광장의 외부 공간이 아니라 도시를 이루는 개개의 건물들
을 다 각도로 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도로의 발달과 잉여자본의 응집


에 비례하여 도시를 통제하는 방식은 슈퍼
블럭6/이 된다.
베를린 가로풍경에서 보았던 것처럼 외부가
로를 정비함으로 내부와 외부와 단절은 점
점 극대화되고, 모순적으로 공공성을 확대
된다. 그림 10_ super block
슈퍼블럭을 통제하는 방식은 점차로 단일한 _Alan Colquhoun

거대한 매스로 나타나지만, 거대한 단일 건축물은 그 자체로 도시를 담고


자 한다.

이러한 사회변화들로 인해 이분법적으로 이해해 왔던 흑/백 도시관의 붕


괴를 가져오게 된다. 즉, 근대로 이행하면서 도시에 대한 이분법적 인식
에 균열이 발생하고, 그 동안 도시를 외부관찰자의 시점(밖에서 도시를

6/ 알란콜훈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12


바라보고 하나의 개체로 인식)에서 내부관찰자의 시점(도시 내에서의 시
점이 중요해짐)으로의 변화하게 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도시 공공성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2.3 Public Space의 확대

18세기 후반에 들어 시민사회로의 발전은 다양한 공공의 기능들을 필요


하게 되었고, 새로운 건물 유형을 발전시키게 되었다.
공공행정의 발전으로 인한 공화당, 공중위생에 대한 인식으로 병워, 공공
복리의 발전으로 극장 등등 19세기에는 호텔, 은행, 사무실, 철도 역사등
더 나아가 공공주거까지 다양한 건축유형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2.4 Public Space의 변질

1)공공건축의 거대화

공공성을 드러내는 것은 그 시대가 가지고 있는 비


물리적인 가치관에 더하여져 물리적인 형태로 나타
난다.
우리나라 역시 근대 사회이후 지속적인 산업, 경제,
문화등의 발전으로 우리의 도시들은 점차 그 영역을
확대하면서 복잡하고도 밀도있는 사회를 구축해 나
가고 있다.
그와 더불어 점점 도시공간에는 공공의 영역이 확대
그림 11_ 거점방식의 공공건
되어 가며, 그 통제방식 역시 슈퍼블럭이다. 물 자리잡기

통점방식의 거대블럭화는 도시의 위계를 만들게 되며, 점점 더 거대규모


로 공공적 행위를 소화하려는 모순을 지니게 된다. 또한, 점점 비대해지
는 건축물은 본연의 용도에 기타프로그램들이 더해져 변질되게 되는 것이
다. 물론, 오늘날의 도시와 사회에서 복합용도시설이 긍정적이긴하다. 그
러나 전통적인 커뮤니티방법으로 단일 건물 내가 아닌 도시외부에서 해결
해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13


2)공공건축의 도구적 이용화

그림 12_ 서울신청사 계획안 그림 13_ 청계천 콘크리트 바닥

공공건축은 공공의 목적과 복리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민주 시민 사회


에서 시민 개개인이 일일이 소유할 수 없는 공공의 기능들을 개개인의 세
금과 권리를 조금씩 모아 다수를 위한 공공의 건축물을 만들게끔 하였다.
그리고 그 관리를 개개인의 권리를 조금씩 모아 정치인에게 대행하도록
하였으나 정치인들은 반대로 그 권리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공건물
을 정치적으로 이용한다. 그리하여 순수하지 못한 공공건축행위를 자행하

게 되었고, 더불어 기업들은 경제적 이윤추


구의 목적으로 All in One의 건축물로 인해
대중의 라이프스타일과 전통적인 커뮤니티
방식 또한 바꿔버리게 된다.

그렇다면 민주시민사회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공공건축물이 지어져야 하는 것인가?
그림 14 복합 커뮤니티 센터

풀뿌리 민주주의에 기반한 다수를 위한 공공건물이 되어야 한다.

2.5 선형 공공건축의 의의

위에서 본 바와 같이 공공건축이 어떻게 도시에 자리잡아야 하나를 고민


해 보았을 때 기존의 통점이나 거점방식으로 지어지는 건축 방법이 공공
건축의 변질을 확대시키는 면을 가진다.

공공건축물은 민주적이여야 하는 건물이다. 민주적이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유형을 찾고자 한다.
그래서 선형의 새로운 유형이 도시 안에 공공건축을 제안하는 유형으로
적합할 것이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14


이러한 전제를 바탕으로 역사속에서 선행되었던 선형구조/도시에 관한 분
석을 통해 교훈을 찾아가고자 한다.

2.6 선형구조 분석

도시/건축의 역사에서 선적인 유형은 초기에는 자연발생적인 지형대응이


었으나 이후로 계획되기 시작하였다. 특징적으로 근대에 이르러 도시 가
로계획이 시작되고, 교통망과 새로운 건축 시설들이 생겨남으로서 실질적
인 선형이라는 새로운 유형이 등장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이 정립되기
시작하였다.

1)선형도시 분석

Belt city_ Soria y Mata_1882년

스페인의 사업가이자 공학자였던 Soria Mata는 선형도시 개념을 제안하


였다.
그는 정주지들이 교통로를 따라 발달하는 경향이 있음을 관찰하고 철도가
도시의 척추를 이루고 선적인 유틸리티 라인이 모든 도시조직배치의 기반
이 되도록 하였으며 폭 40M의 도로와 철도가 횡적인 중심축을 형성하고
폭 20M의 도로가 22m간격으로 중심축을 교차하면서 전체 도시형태를
만들어 나가되 전체 폭은 500m로 제한하였다.
서비스 시설은 중앙 녹도를 따라 위치 각 블록은 소구요 주택과 정원을
위해 20개로 나눠진다. 이러한 도시들은 전 세계를 종횡으로 연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1892년 최초로 선형도시를 위한 철도의 건설이 실현되었을 때, 토지에


대한 적절한 통제와 소유자 거주 우선의 원칙을 바탕으로 ‘도시를 전원하
고 시골을 도시화함으로써’ 조화를 이루고자 했던 소리아의 이상은 도시
계획이 경제적 메커니즘을 수정하기에 역부족, 철도가 개통되자 마자 철
도 인근 지역의 지가가 단일한 방향으로 개발을 제한 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 급등했던 것이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15


그림 16_ belt city sector

그림 15_ belt city site plan

Industrial city_ Tony Garnier_1899년

공업도시의 사상적 배경은 진보주의와 이상적 사회주의이다. 그래서 교


회, 법원, 경찰서나 사유지, 담장이 없었다. 비어있는 땅은 모두 공원, 주
거의 유형은 철저하게 채광과 환기 등의 표준에 따라 결정이 되었다.
도시는 강과 산에 끼인 작고 높
은 구릉지(공업지역)와 두 개의
강 사이의 평지(주거지역)로 구
성되며 인구를 35,000명으로
가정했다.

배치는 중심엔 기존도시지역9중


심지역이 있고 양옆으로 주거지
역이 있다. 중심지역에는 문화
그림 17_ industrial city site plan 와 레크레이션을 위한 각종 공
공시설이 있고, 주거지역은
150m*30m의 직사각형 블록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공업 규격화된 콘크리
트 저층주택들로 정돈, 주거지 위쪽 휴양지, 삼각지역은 공업지역, 철도
와 항만이 접해 물류수송에 용이하도록 하였다.
공업도시는 하워드의 전원도시가 개발의 한계치를 미리 설정하고 있는 중
심화 된 도시인 데 반해 무한히 확장 가능한 것이다.

Green Moscow_바르슈츠와 긴즈부르크_1930년

도시의 역사적인 중심은 문화 활동과 여가, 휴식 등의 공적 기능을 충족


하도록 활용하는 한편 철도와 운송 체계에 결합된 소규모의 조립 주택들,
500m 간격의 공공시설, 그리고 중심축상의 녹지 공간 등으로 이루어지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16


는 선형 도시가 사방으
로 자유로이 뻗어나가도
록 계획되어 있다.

그림 18_ green moscow site plan

Stalingrad_Milyutin_1930년

스탈린 그라드 계획안에서는 대규모


선적도시구성이 나타난 것이다.

볼가강을 따라서 6개의 시가지구7/를


설정하고 간선도로, 공업지구, 주택
지구, 운동장을 포함한 레크레이션
지역과 농업지구를 선형으로 배치하
였다. 주거지역에는 주거지 이외에
극장, 공공기관, 학교가 포함하고 있
다.
그림 19_ stalingrad sector

이 안의 주안점은 거주, 노동, 레크레이션의 관계를 원할히 수행할 수 있


도록 하고 근로자를 될 수 있는 대로 공장에 접근시키되 철도와 고속도로
의 2대간선 사이에 공업지구를 위치시킴으로써 교통의 편리를 도모하고
자 한 점이다.

그림 20_ stalingrad section

7/ 철도, 공단, 녹지, 택지, 공원, 농지 등 여섯 개의 평행한 띠 형태의 지역 구분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17


Magnitogorsk _ Leonidov _ 1930년

이 도시는 industrial combine과 거대한 농장지 사이에 위치한다.


25km 직각의 선형형태로 250명의 인구가 거주하며 그 안에서 다시 주거
유닛은 8개의 정방형으로로 나눠진다. 또한 각각의 유닛은 32명이 거주
하게 되며, 거주지는 다시 또 더 작은 정방형으로 나눠진다.
최 외곽에 물자수송을 위한 고속도로가 지나며 어린이 섹터에는 유치원,
운동장, 수영장이 양옆 상업복합지구 사이 그린지구에 위치한다.
주거지의 양 옆으로 커뮤니티를 위한 공간들이 위치하며 최 외곽에는 물
자수송을 위한 고속도로가 지난다.
이 도시는 교통, 주거, 문화공간이 거주자들을 위해 구성되어지며, 가장
작은 거주지에서 보다 점진적으로 커져 거주자와 도시를 연결시키고 있
다.

그림 21_ Magnitogorsk site plan 그림 22_ Magnitogorsk 조감도

Algiers_ Corbusier _ 1932년

시급한 확장 문제에 직면해 있던 도시를 위한 해안 업무지구의 건설과 주


거지 건설계획으로 대규모 집합주거지로 이상적 도시안이다.
거대구조물, 하부기반시설과 작은 스케일의 건물을 통합8/함으로써 도시
문제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긴 선형의 180,000명 거주지 블록, 옥상은 도로로 사용 각 주거지 내부
로 진입이 연결하고 있으며 U자형 건물이 residential 블록으로써 무한한
확장성과 개개 주거의 가변성을 획득한다.

8/요나 프리드만의 공중도시 개념을 연상시킨다.


르꼬르뷔지는 알제와 즐린계획을 통해 도시의 교통 체계에 더더욱 관심을 기울이게 ehlse.
Ascoral에서는 ;기계화된 사회에서의 노동 조건들에 대해 연구한 결과 인간 행위에 불가결한 세 가지
지리적 유형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게 됨. 이 세가지 요소들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로 이루어진 도시
조직이 곧 선형 공업도시였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18


그림 23_ Algier perspective

그림 25_ Algier site plan & road perspective

Industrial city_corbusier_1945년

선형 공업도시를 이루는 세 종류의 조직체는 농업에 기반한 단위와 교통


체계를 따르는 선형의 공업도시, 그리고 재화와 용역의 교환이 일어나는
방사상의 도시를 말하는 것이다.
배치는 기존 대도시들을 연결하는 고속도로가 있고 그 왼쪽에 평행하게
흐르는 상업, 철로, 서비스로가 있으며, 고속도로와 철로의 중간지점에
환경형공장들이 위치 그 반대쪽은 주거지역으로 행정, 쇼핑, 스포츠, 그
리고 교육시설들이 배치된다.

다시 말해 상업과 행정, 문화의 중시지 역할을 하는 방사상의 도시들 사


이를 생산과 거주, 공공시설, 도로 등이 통합적으로 짜여진 선형의 도시
가 연결함으로써 광역의 농경지로 무한히 뻗어 간다는 것이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19


위에서 살펴 본 선형구조의 도
시들은 근대의 교통의 발달과
산업발달 그리고 도시의 확장
에 대한 대안으로 계획되었다.
대부분의 계획은 선적인 특정
그림 26_ Industrial city site plan
을 반드시 수반하는 교통이 그
계획의 중심에 있다.

전원 도시의 구조가 한정된 점으로서의 도시를 철도에 의해 연결하고, 공


업도시가 단일한 도시를 확장하는데 그쳤던 것과 비교해 보면 선형 도시
는 대지의 구조화에서 항상 최초로 그려지는 선 즉 기반시설에 주거와 공
공 시설등의 도시 요소들을 결합하고 있다는 점에서 20세기를 지배하는
인구의 포화와 지구전역을 향한 도시의 팽창이라는 흐름에 좀더 가까이
다가서 있었던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선형도시들은 성공하지 못하였다.

그 첫 번째, 원인은 과도하게 “교통의 발달”이라는 현상을 담아내려한 점


이다.
선적이 특성을 반드시 동반하는 교통을 따라 선적인 지구구획은 고려되었
으나 그 선적이 지구에 지어지는 선형적 건축유형에 대한 고민은 부족하
였다.

두 번째는 도시화가 진행되지 않은 지역에 “단독적으로 혹은 폭력적”으로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선형도시 계획의 대부분은 이상도시 계획안으로 끝
이난다. 건축가 한 사람이 통제하기엔 도시는 복합적인 구조이다.
도시라는 것은 살아있는 유기체와 같아 어느 날 순간 도시를 만들고 바꿀
수 없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20


Ⅲ. 프로그램 제안

3.1 시대별 도서관 역사


3.2 시대별 도서관의 공간유형분석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21


폐선부지는 반드시 공공건축물로 환원되어야 한다.

도시을 구성하는 많은 공공프로그램 중에 도서관이라는 하나의


공공프로그램을 선형의 유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3.1 시대별 도서관 역사와 공간분석

도서관은 문자문화의 발생과 함께 탄생한 오랜 역사를 갖고 있다.


최초의 문자는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수메르인들의 설형문자, 이집트인들
의 상형문자의 발명이며, 최초의 도서관은 기록한 문서를 보관하는 기록
보관소의 형식이었다.
또한 최초의 책은 BC 2000년 경 문서와 같은 방식으로 글자를 새겨 보
관하는 점토판이었다. 이후 BC3000년 경으로 추측되는 이집트에서 파피
루스 두루말이 기록물 발견과 BC3세기에 이르러 양피지를 사용하기 시작
한다.9/
문자의 발생과 기록문화의 발전에 따라 실질적인 도서관 형태가 발전하게
된다.

1) 고대도서관

그리스의 도서관 역사

BC5 세기경 그리스 문화는 황금기를 이루고, 교육 수준이 높아지면서 아


테네 학자들간의 개인장서 수집이 유행하고, 공공도서관이 곳곳에 설립되
기 시작하였다.
그중 BC 300년경 세워진 알렉산드라아 도서관 최초 도서관으로 49만개
두루마리를 소장하고 있으며 학문적으로나 문학적으로 자격이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열려 있는 공공도서관이었다.

9/ 두루마리에서 양장본으로
2세기까지 도서관장서는 모두 두루마리였으며 일부 양피지나 대부분 파피루스였다. 그러나500년 후,
초기 중세시대/ 양장본이 두루마리 대체하게 된다.
85년에 처음 양장본에 대한 언급이 있고,100년부터 400년까지 양장본으로 교체 되는 시기이다.
두루마리; 묶음보관이나 서류보관 작품에 한하여 사용
양장본; 문학작품, 과학연구, 기술적 사용 설명서 서가용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22


또한 기원전 200년경 페르가몬 도서관 연대를 추정할 수 있는 가장 초

그림 27_ bibliotheca Pergamon 그림 28_ 파피루스 별장 도서관

기 도서관으로 지혜의 여신 아테네 신전의


부속 건물로 지어졌으며, 20만개의 두루마리를 소장하고 있다.

로마의 도서관 역사

BC 3세기 후반 2세기 초반 부유한 가문, 극장 경영주의 개인장서수집이


유행하였고, BC 2세기 중반 무렵, 로마시에는 풍부한 도서관 자료 존재,
당시 도서관은 개인의 용도에 의해 만들어 졌고, 선택받은 소수에게만 개
방되었다.

BC39년경 아시니우스 폴리오는 카이사르가 계획했던 폴리오 공공 도서


관은 그리스 도서관과 라틴 도서관 설립을 실현시켰다. 이것은 로마 도서
관의 역사에 새로운 시대 시작을 의미했다.

그림 29_ bibliotheca Platine 그림 30_ 트리아 누스 쌍둥이 도서관

BC 28년 아우구스투스 재건된 아폴론 신전에 부속해 로마의 두 번째 도


서관 설립되었고 “아폴론 신전의 도서관” 또는 “ 팔라틴 도서관” 이라 불
렀다. 폴리오 도서관과 마찬 가지로 그리스어 부분과 라틴어 부분으로 나
눠져 있다. 현존하는 가장 최초의 로마 공공도서관이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23


▶ 그리스/ 로마 도서관의 공간유형

고대도서관은 하나의 독립된 건축물이기보다 사원이나 황실의 부속공간으


로 계획되었다.
또한 그리스도서관은 본질적으로 서고, 이용자를 위한 편의시설도 제공하
지 않고 단일공간으로 서고와 열람을 함께 하는 방식으로 책상이나 의자
없이 도서관이 속한 복합 건물의 한 부분인 주랑에서 책을 보도록 배려되
어있었다.

그림 31_ 그리스 켈수 그림 32_로마 도서관 트라잔 도서관


스도서관

반면, 로마도서관은 벽감과 서가(책함), 높은 책꽂이를 위한 운반용 계단


장치, 또한 독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방 한가운데에는 책상과 의자 즉,
벽을 따라 책이 배열되어 있고, 방 가운데 이용자를 위한 편의시설 있었
다.

2) 기독교 도서관

5세기초 로마제국10/은 정치적, 정신적으로 변화를 가지게 된다.


동로마, 서로마로 국가가 나뉘어지게 되고, 기독교가 우세해짐에 따라 종
교가 가장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었다. 따라서 중세 수도원에는 반드시
도서관이 부설되어있었고, 사본실을 따로 가지고 있었다.
기독교 문학 작품은 도서관에서 서가로 정리될 수 없어서 전용도서관 필
요하게 된다.
교회와 수도원이 이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고, 이것이 현대 도서관으로 발
전해 가는 첫걸음이 되었다.
529년 몬테카시노 수도원에는 베네딕투스 규율에 의해 사순절 시작부터
10월까지 4시~6시까지 독서에 전념하도록 하였고, 이집트 남부 4세기
초반경 수도원제도11/를 통해 수도사의 독서를 권장하였다.

10/ 동로마; 황실도서관, 대학 도서관, 서로마; 수도원 도서관이 발달


11/ 수도원의 행동지침;벽감수도승은 반드시 글을 읽을 줄 알아야하며, 매일 일정시간 이상 독서를 하도록 권장
하고 있다. 그리하여 벽을 따라 개인 독서대가 설치되었으며, 베네딕튜스 규율에는 사순절 시작부터 10월까지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24


그림 33_ 수도원 도서관

9세기 라이에나우 도서관 수도원 소장 장서 415권, 10세기 보비오 도서


관 소장 장서666권, 10세기 로르슈 도서관 소장 장서 590권, 12세기 더
럼예배당 도서관 소장 장서 546, 클뤼니 대수도원 5백권 등 이 당시 대
부분의 수도원이 책의 수집과 전승에 기여하게 된다.

▶ 수도원 도서관의 공간유형

도서관을 운영, 관리하는 주체가 수도원이 되면서 도서관의 공간은 수도


사라는 국한된 이용자를 위해 축소된다. 수도사는 수도원에 종속된 공간
의 회랑이나 벽감을 개인열람공간으로 이용하거나, 책들이 묶여있는 일련
의 독서대12/가 나열된 작은 방을 열람공간으로 이용하였다.
이 독서대들은 책을 읽기에 적절한 각도로 되어 있으며, 벽과 창에 나란
히 배치되어 있고, 선반 측면에는 장서의 목록들이 기술되어 있었다.

3) 대학 도서관

13세기부터 그리스도교 중심의 중세가 해체의 방향으로 기울자 수도원과


교회의 도서관은 쇠퇴하고 그 대신 세속문화의 담당자가 나타났으며, 값
싼 서사재료로서 종이가 보급되고 사본도 상거래 대상이 됨에 따라 영주

4시~6시까지 독서에 전념하도록 하였다


12/ 예배당의 책상과 유사한 것으로, 책을 놓는 선반의 너비가 넓고, 책을 얻어놓고 읽기 좋게 적절한 각도를 가
진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25


귀족의 도서관과 시의회 도서관이 출현했다. 백과사전의 편찬이 시도된

그림 34_ bibliotheca merton 그림 35_ library laurenaiana

college_1377

것은 14세기이며, 애서가가 나타났고 개인문고도 생겨났다.


1450년 코시모 데 메디치가 세운 산마르코 도서관13/도 그의 일환이다.
로베르 드 소르본에 의한 파리의 기숙사제 학교설립은 대학도서관의 성립
을 재촉하는 기회였으며, 소르본 대학 도서관은 1.017권의 장서를 소장
하였고, 목록을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그림 36_ libreria marciana_1536

▶ 대학도서관의 공간 유형

대학도서관은 주제별로 분류하여, 책은 독서대에 가로로 놓든지 독서대에


부착된 선반에 나란히 놓아, 각각 사슬로 독서대나 선반에 연결하였다.
이 형태는 중세의 영주도서관·수도원도서관에서도 발견되는데, 반복해서
이용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었다.
다만, 중세 수도원의 그것과 다른 점은 lecterm14/이란 사본 보관 방법이

13/ 15세기의 피렌체 말로 ‘공공’이라는 단어는 대중을 위한 무대가 아니라 성직자와 귀족, 권세 높은 상인 가
문이 활동하던 무대를 지칭하는 것으로 메디치가의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도서관과 도서관의 수집 책들을
이용하였다. 동기야 어떻든 공적인 영역을 육성하는데 기여하였다고 본다.
14/ lecterm 구조는 서적들이 단일 또는 이중의 미끄러지는 표면 위에 놓여 있는 것을 말하고, 그 위에 책꽂이가
형서되어 있으며, 독서가들은 그 미끄러지는 경사를 바라보며 서거나 앉아 이용하였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26


보급되어 도서관 안에 책상을 배열하게 되고, 책상
위에 서가를 두어 책을 꽂아 열람 할 수 있도록 되
어있었다.

그림 37_ oxford college

4) 공공 도서관

14C~16C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인쇄술의 발명으로 시작된 서구 근대사


회에는 도서관의 기반이 구축되었다.

기독교의 세계관에서 인간과 자연에 대한 세계관으로의 이동이 도서관의


발전에 박차를 가하였다. 실질적으로 도서관 건축물과 도서관 실들의 건
축적 스타일이 변화 되었고, 이전의 도서관이 일부 특수층에 전유물로서
존재하였다면, 르네상스에는 일반 대중을 위한 근대적인 도서관을 등장시
킨다.

그림 38_ bibliotheca natinal de paris_ Louis Boullee

또한 인쇄술의 발명은 도서관 발전사상 혁명적인 전환기의 주체이다. 인


쇄소가 널리 퍼지게 되면서 수많은 인쇄본이 나오고, 그에 따라 도서관의
장서는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장서의 급증은 새로운 도서 정렬방
식을 요구하게 되었는데 이 시기에 책꽂이에 일련으로 세워진 책들을 연
달아 꽂는 방법이 시작된다.15/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27


이후 도서관은 18세기후반 또 다시 시민혁명과 산업혁명이라는 기회를
맞게 된다. 시민정신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진정한 대중을 위한 공공도서
관들이 유럽사회 곳곳에 지어지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이 시기는 지식의 대중화와 도서관의 대중화를 가져오게 된
다.

▶ 공공 도서관 공간 유형

현대 도서관의 공간 유형이 이 시기에 자리 잡힌다. 서고와 열람실이 분


리되는 폐가식 도서관의 시작되고, 도서관의 소장 장서의 증가와 분류법
의 다양화 및 열람자의 대중화라는 특성을 반영하게 됨으로 해서 다양한
서가형식과 진입 그리고 도서관의 규모 또한 발전하게 된다.

그림 40_ British museum

그림 39_ leopoldo della santa

15/ 그 이전까지의 책은 도난 방지를 위한 쇄사슬로 묶여 가로로 쌓아두거나, 세로로 꽂더라도 사슬로 인한 일정한 한계가 있
었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28


3)시대별 도서관의 공간 유형 (부록1, 2 참조)

서양도서관의 역사는 크게 4가지로 나눠 볼 수 있다.

(1) 왕족 중심의 권력층과 일부 지식층을 위한 고대 도서관 시대


(2)기독교 중심의 중세 수도원 도서관 시대
(3)인문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르네상스 전후하여 일어난 대학 도서관 시

(4) 프랑스 혁명이후 인권의 신장과 인류 사회의 성장으로 말미암아 누구
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 시대

초기의 도서관은 하나의 벽으로 단순히 두루마리를


보관하는 장소였다.
그러다 부속실이긴 하지만 하나의 오픈된 실을 가지
게 되므로써 읽는다는 행동에 대한 고려가 시작된다.

로마시대에는 하나의 독립된 도서관 건물이 지어졌


으며, 장서의 보관은 벽감이라는 건물과 일체화된 벽
으로 이루어 졌다.

황제들의 도서관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날로 발전하


던 도서관은 기독교가 지배하던 중세가 되면 잠시
주춤하게 된다. 중세에는 수도원에 귀속된 공간이었
지만 독서와 보관, 관리의 측면이 발달하는 시기이다
그리하여 독서대가 만들어지게 된다.

르네상스 시대가 도래하면서 큰 규모의 도서관이


그림 40_도서관 유형
생겨나면서 읽는 행위와, 장서의 보관, 관리에 관련
된 부분들이 발전하게 된다. 이후 산업혁명과 인쇄술
의 발달로 장서의 수가 급격히 늘어나게 되고 도서관의 규모와 형태에도
많은 발전이 있게 된다.

시민혁명으로 인한 시민권의 상승으로 다수의 공공도서관이 이 시기에 지


어지게 된다.
그러나 늘어난 장서와 규모로 인한 도서관은 관리에 보다 치중을 할 수
밖에 없는 구도가 된다. 그래서 아이러니 하게도 시민을 위한 공공도서관
이 감시를 위한 형태로 공간이 구성된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29


또한 20세기에 이르러 도서관은 다른 복합프로그램으로 보다 더 규모가
거대해지게 된다.
이것은 2장에서 보여진 public space의 변질과 그 맥을 같이 하는 결과
를 가져오게 된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30


Ⅳ. 대지분석

4.1 대지역사 및 현황
4.2 폐선부지 건축적 타당성 분석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31


폐선으로 인해 도시의 선적인 void가 생겼다. 90여년 동안 철로가 가진
폭력적인 특성으로 폐선부지를 단순히 비워두거나, 공원화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가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앞서 2장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그러한 해결책16/은 여전히 도시를
이분법적으로 보는 방식일 것이다. 그러므로 이 void를 건축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그림 41_ 대구선 사진

1) 대구선의 역사 및 현황

대구선은 길이 38.4km로 대구를 기점으로 금호강 연안을 따라 영천에


이르는 철도로 경부선과 중앙선을 잇는 철도이다. 본래 조선중앙철도주식
회사에 의하여 1916년 2월 착공되어 같은 해 11월 1일 대구~하양 간이
개통되었고, 1918년 10월 31일 하양~포항 간 109.1kmrk 개총, 당시에
는 경동선이라 하였으나 현재는 대구선이라 부른다.

그림 42_ 대구선

대구선은 1918년 개통된 이래 근 90여년간 대구시민과 애환을 함께 해온

16/ 비 건축적으로 해결하는 방식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32


유서깊은 철길로 동구 지역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도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이 지역이 생활권 중심지역으로 바뀌게 되면서 대구선이
지역생활권을 남북으로 단절시키는 형태가 되어 지역개발의 걸림돌이 되
었다.

그리고 두 지역을 관통하는 위치로 인해 잦은 철도사고로 인한 인명피해


가 발생하고 소음공해 등 점차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도로의 발달로 인해 철로를 이용한 교통이 자동차로 대처되었으며,
공업지구가 문을 닫음으로해서 더 이상 수송철도로써의 기능도 그 필요성
이 낮아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도시공간구조 개편의 방안으로 동대구~청천간 14km를 폐선하


기에 이르렀고 도시속의 얇고 긴 선형의 VOID에 새로운 건축적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총 14km의 길이로서 평균적으로 12~18m의 폭인 폐선구간의 공간적범


위는
• 폐선지 총면적: 324,965  (98,301평)
- 시가화구역:284,431 (86,040평)
- 개발제한구역:40,534 (12,261평)
• 가용토지: 86,040평(총 면적의 87,5%)
- 역부지: 110977 (33,571평)
∘동촌역: 58,630  (17,736평) ∘반야월역: 52,347  (15,835평)
• 선로부지: 173,454  (52,469평)

용도지역
구간별 폭원 연장(m) 면적(  )
남측 북측
일반상업,
A 동대구역~K2 일반주거 15~30 1,660 30,593
일반주거
B K2~동촌역 준주거 준주거 15 400 6,750
C 동촌역 일반상업 준주거 130~110 750 58,630
D 동촌역~동대구I.C진입로 준주거 준주거 12~20 2,900 56,400
준주거, 생산녹지,
E 동대구I.C진입로~반야월역 일반주거, 준주거, 12~35 1,600 39,569
상업 일반공업
일반주거,
F 반야월역 일반공업 30~80 1,140 52,347
중심상업
일반공업,
G 반야월역~개발제한구역 준주거 18~30 2,400 40,142
준주거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33


대구의 동서를 관통하는 대
구선은 경부고속도로 및 대
구-부산간 고속도로가 교차
하고 대구공항 및 대구 종
합유통단지, 대구물류단지
등이 가까이 위치한 교통과
물류의 요충지이다.

14km의 폐선 대지를 접하
고 있는 대부분은 주거지역
그림 43_ 대구선 분석 으로

폐선부지는 행정구역상 동구에 위치해 있으며, 13개의 동과 229개의 행


정구역상 도시공간이 인접해 있으며 동구인구의 72.2%를 점유하고 있다.

14km의 폐선구간 중 횡단로 및 교차로는 총 36개소로 이중 입체 교차로


가 13개소, 평면 교차로가 23개소이다.
구간별로 분포 간격이 다르나, 거의 400m 마다 교차로가 분포되어 있는
샘이며, 일반적인 도로의 교차로 개수의 1/3 수준이다.

그림 44_ 폐선에 접하는 행정구역

2)대구선이 가지는 가치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34


도시를 관통하는 선형은 면적인 형태보다 다수를 위한 보다 많은 가치를
가진다. 좁고 긴 선형의 형태는 위에 언급된 것과 같이 같은 면적의 거점
방식보다 그 접점의 면이 훨씬 넓어 풀뿌리 민주주의에 따른 다수의 시민
을 위한 방식에 적합하다.

또한, 철로를 접하는 대부분의 지역이 주거지역으로써 선형의 공공프로그


램이 삽입되었을 경우 그 활용도와 시민생활의 질적향상을 크게 기대할
수 있다.

그림 45_ 거점과 선형의 면적 비교

결과적으로 폐선공간의 점유방식이 단일한 것이 아니라 넓고 다양하게 열


려있음으로 시민을 위해 존재하는 공공건축물과 그 맥을 같이 한다. 그
리하여 도시 속에서 시민 모두에게 공유되는 공공의 프로그램이 선형으로
도시 속에 관입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35


Ⅴ. 디자인 진행

5.1 전제
5.2 계획대지
5.3 공간유형제시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36


5.1전제

공공시설을 거점방식이나, 면적방식의 방법이 아니라 선으로 삽입하고 도


시를 계획하고자 한다.
“건축으로 도시를 만들 수 있다.”는 건축가의 로망이다.
현재 우리의 도시에서는 건축이 절대 주가 될 수 없다.
도시 계획은 전체 도시를 조닝으로 계획한 후 건축은 정해진 법규에 따라
그 용도와 볼륨17/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도시에서 선형의 대지는 거점의 대지와 달리 건축물이지만 도시적 성격을
강하게 가진다. 즉, urban scale로 다루되 건축으로 푸는 것이다.

폐선부지 = 건축화 = 도시적 요소

결국 이 계획안이 최종적으로 추구하고자 함은


“공공건물이 지하철 맵(도시 전체에 선형의 얽킨)
처럼 도시에 삽입되는 것”이다.
14km의 선형대지에 어떠한 구체적 프로그램을
삽입하겠다라는 관점이 아니라 공공건물이 선형
으로 도시에 삽입될 수 있음에 그 가치를 두고자
한다.
즉, 도시를 건축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건축
그림 46_선형의 공공프로
이 주가 되어 도시를 계획하는 방법이다.
그램 삽입

5.2 계획 대지

14km 중 도시화가 진행된 동대구역에서 아양교 사이의 350m 구간을 설


정하였다.
4.2장의 분석에서처럼 단독 주택들이 밀집되어 있는 경사구간으로써 철
로로 인해 두 지역이 단절로 접근을 위한 소통로와 기능을 상실한 완충녹
지의 합리적인 이용방안을 고려하고자 한다.

17/ 도시계획법에 따른 분류로 도시기반 시설,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그린벨트 등등의 조닝과 각 조닝
지역에 해당하는 건축법규, 용적율, 건폐율, 층수제한, 인동간격의 지침.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37


5.3 공간유형제시

1)평면유형

선형의 공공도서관 계획은 도서관의 새


로운 유형(선형타입에 적합한)을 요구
한다.
20세기에 지어진 공공도서관 50여개의
공간분포와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을 그림 47_로직의 변화
통해 선형 유형에 적합한 유형을 모색했다.
(부록3 참조)

대규모의 복합시설의 현대도서관의 평면구성은 각각의 프로그램이 독립적


으로 면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새로운 logic을 위해 도서관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들을 최소단위로 잘게
나누어 열거해본다.
(raumplan) 그리고 선형유형에 적합하게 다시 재구성한다.

그림48_ 선형유형에 대한 제안

그림 49_ 선형타입 스터디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38


Linear type 서고
현대 도서관분석의 결과에서 보았던 것처럼 도서관에서의 서고는
compact하고 밀도 있게 면 적으로 배치되었다. 그리고 서고와 열람은 분
리된 경우가 많다. (관리 중심의 공간 배치)
선형의 유형에서는 서고를 대지를 따라 linear하게 선적으로 길게 배치하
고, 이용자 중심의 공간 구성으로 서고와 열람을 연결한다.

그림 50_ 서고 배치 변화

또한 기존의 면적인 도서관 배치에서 서고는 단순히 책을 찾는 일만이 가


능하였다.
선형의 유형에서는 켜켜이 배치된 서고를 일렬로 나열함으로 얻어진 확장
된 공간으로 인해 다양한 활동들을 기대할 수 있다.
산책하듯 서고 사이를 걷고, 사람들을 만나고, 이야기 하고, 그러다 우연
히 좋은 책을 발견하고 심지어 조깅이나 자전거타기까지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다.

그림 51_ 서고 배치 변화

평면의 구성은 벽을 따라 일렬로 나열된 서고와 확장형 복도, 열람과 기


타 도서관 시설들이 잘게 나뉘어 균질한 공간을 구성한다. 그리고 지상에
는 시민편의 시설과 오픈스페이스들이 두 지역을 자연스럽게 연결한다.

그림 52_ 볼륨 배치 및 레벨 설정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39


그림 53_ 평면구성

4)단면공간유형

철도가 지난 근 100여년동안 행해왔던 폭력적인 도시의 벽으로써의 선형


공간이 아닌 평면공간유형이 그대로 드러난 잘게 나누어진 볼륨 사이의
간극들은 보다 두 지역을 다양한 형태로 연결한다. 지형을 반영한 각기
다른 단면유형은 다양한 공간유형과 결합하여 위계가 없는 공간을 연출한
다.

그림 54_ 단면상 공간 레벨

그림 55_ 단면 유형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40


또한 확장형 복도는 단면적으로 도서관부분과 시민편의시설 부분을 다양
한 레벨의 변화로 연결하고 있다.

그림 56_ 단면 구성 방법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41


Ⅵ. 디자인 결과

6.1 도면
6.2 모형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42


참고문헌

단행본

1. 서가에 꽂힌 책/Petroski, Henry/지호


2. 도서관의 어제와 오늘/김교갑/집문당
3. 西洋圖書館史/Harris, Michael H/知文社
4. 도서관, 그 소란스러운 역사/Battles, Matthew/넥서스books
5. 고대도서관의 역사:수메르에서 로마까지/Casson, Lionel/르네상스
6. 건축-지어지지않은 20세기 도시;사건과 구조/봉일범/Spacetime
7. 대구선철도 폐선부지 활용 기본계획/ 2006.2/ 대구광역시
8. 세계도시사/
9. 건축과 유토피아/기문당/Manfrado Tafuri
10. 도시의 건축/알도로시/오경근/동녘/2003

1. James Stirling, Michael Wilford, and Associates : buildings &


projects, 1975-1992/James Stirling, Michael Wilford, and
Associates/Thames & Hudson
2. Library builders/Academy editions
3. Precis of the lectures on architecture ; with, Graphic portion of
the lectures on architecture/Durand, Jean-Nicolas-Louis/Getty
Research Institute
4. COLLAGE CITY/Colin rowe&Fred Koetter/The MIT Press
5. bibliotheque architectures 1995-2005/Aldo De Poli/ACTES
SUD;MOTTA
6. Building for library
7. S. M, L, XL /rem koolhauss/101 publishers/1996

정기 간행물

1.a+u OMA@work. a+u/2000년 5월


2.ELcroquis/MVRDV 2002 111/1997~2002 stacking and
layering/ELcroquis
3.Domus 822 Gennaio January '00

논문
1. 근대이후 건축에 내재된 ‘내부도시’ 조직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
원 건축과/이병연
2. 서양도시의 선적인 구성패턴에 관한 연구/대한건축도시학회논문집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58


/1996년10월/이성욱, 이현호, 이명호

3. 앙리시리아니의 선형 집합주거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권 7호


/2004년7월/ 한귀진, 김현철
4. 건축적 공공성의 구현에 관한 연구/서울대 석사학위 논문/임상진
/1997
5. 근,현대 건축의 도시성 해석과 재현특성에 관한 연구/서울대 석사 논
문/한영기/1994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58


감사의 글

무엇보다도
“건축”에 확신을 갖게 해주셨던 이은영 교수님께 먼저 감사의 인사를 전
하고 싶다.

다양한 사고와 기회를 주신 함인선 교수님, 건축가로의 자세를 가르쳐 주


셨던 토미마사노리 교수님, 건축은 물론 삶의 가치관을 일깨워 주신 양덕
규 교수님, 지식의 갈급함을 채워 주셨던 김원식 교수님, 정인하 교수님
께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싶다.

또한 우리 함께 멋진 이 길을 걸어가고 있는 YI archi lab 구성원들,


그리고 소중한 나의 인연들에게도 고맙다는 인사를 전하고 싶다.

항상 곁에서 철없는 딸에 헌신적인 지원을 해주신 정말인지 소중한 나의


부모님께 열심히 살아가는 모습으로 보답하고자 하며,
그리고 항상 나의 든든한 멘토가 되어준 영준에게도 감사한 마음을 전한
다.
you are my inspiration.

마지막으로
이번 작업을 통해 얻은 확신이 우리에게 결코 잃어버리지 않을 건축에 대
한 철학과 열정을 오래도록 남기길 바라며...

폐선부지를 이용한 선형건축유형에 관한 연구 6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