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적응적 재활용을 통한 유휴 산업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재생**

- 세종시 조치원 정수장과 한림제지 폐공장 문화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through Adaptiv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Heritage
- Focusing on Jochiwon Water Purification Plant and Hanlim Paper Manufacturer Building Cases-

Yi, Sung-Ze 이성재 *


정회원, 홍익대학교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조교수

1)
Abstract: Social interest and awareness on abandoned industrial heritage issues are increasing, and now architectural discourse
and attempts are being made to use them as new resources for regional regener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basic concepts
and theoretical background on adaptiv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and also develops the analytic framework of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focusing on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Consequently, two projects
in Jochiwon, Sejong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e developed framework. This introduces a new analytic approach from a
community-oriented perspective and suggests new guideline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of abandoned industrial facilities.
Therefore, this is the first meaningful step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analyze the project process and the influences in local
communities.

Keywords: Adaptive Reuse, Industrial Heritage, Sustainable Conservation, Urban Regeneration, Community-oriented Approach
적응적 재활용, 산업유산, 지속가능한 보전, 도시재생, 커뮤니티 중심 접근법

1. 서론 통해 보존의 대상을 비물리적 요소, 무형의 가치(intangible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quality)로까지 확장시키고 있다.1) 또한, 2011년 파리 선언
을 계기로 새로운 개발 행위나 관광 자원화에 대해서 보존
도시재생의 시대다. 산업구조의 변화와 신도시 확장 등 의 대척점에서 부정적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지속가능성의
으로 과거 성장의 중심이었던 구도심의 급속한 노후화와 관점에서 보존 계획과 사회경제적 개발 계획이 통합적으로
유휴화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과 문제의식이 높아지고 있고, 관리되어야 한다는 유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2)
도시 내 유휴공간의 재활용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과 배경에 주목해 도시재생의 관
대되면서 단순히 물리적 정비 차원을 넘어 문화, 사회, 경 점에서 근대산업유산의 적응적 재활용(adaptive reuse)3) 개
제, 환경 등 다양한 도시적 가치들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념과 가치에 대해 논하고자 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추진
쇠락한 구도심에는 문 닫은 공장이나 창고, 기능이 퇴화된 되고 있는 최근의 사례를 중심으로 계획상의 특징과 진행과
도시기반시설 등 다양한 유휴 산업유산이 상당수 존재하며, 정을 분석해 지속가능한 보전(sustainable conservation), 지
이제는 이들을 지역 재생의 새로운 자원이자 장치로서 활 속가능한 공동체(sustainable community)의 재생이라는 목
용할 수 있다는 논의와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표 실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도시유산의 보존 대상과 원칙에 대한 개념 변화의 경향
역시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그 맥락이 닿아 있다. 단순히 1.2 선행연구 검토 및 방향성 설정
특정 건축물이나 물리적 대상물로 한정해 역사적 가치를
산업유산의 보전과 활용과 관련된 국내의 선행연구는
평가하는 것에서 탈피해 그 주변의 환경과 사회적․문화적
맥락에 대한 것으로 개념이 점차 확대되어 왔고, 2005년 비 1) Harold Kalman. Heritage Planning: Principles and process. New York.
엔나 유네스코 국제회의 이후로는 장소를 기반으로 한 현 Routledge. 2014. pp.146-147
2) Paris Declaration on Heritage as a Driver of Development (ICOMOS 2011)
재와 과거의 사회적 표현과 개발까지 포함하는 ‘역사도시경
3) 국내에서는 주로 ‘전용(轉用)’이라고 의역해 사용되고 있고, 사안별로
관(HUL, historic urban landscape)’이라는 포괄적 개념을 리노베이션(renovation), 리모델링(remodeling), 레트로피팅(retrofitting), 재
생(rehabilitation), 컨버전(conversion) 등의 유사용어들도 혼용되고 있다.
* 교신저자(Corresponding Author) : sungze@hongik.ac.kr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의 지속적 사용을 위해 새로운 요구와 기능에
** 이 논문은 2016년도 홍익대학교 학술연구진흥비에 의하여 지원 맞도록 개량하여 다시 쓴다’는 본래의 개념에 충실하기 위해 영어식
되었음. 표현 ‘적응적 재활용’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文化空間硏究 l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75호 _ 2021. 8 101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through Adaptiv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Heritage

<표 1>에 요약된 바와 같이 크게 세 가지의 방향성을 가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이론적 체계나 일반적 경향성에 초
지고 있다. 첫 번째 유형은 산업유산의 기본개념과 가치, 점을 맞추거나 이미 널리 알 진 특정 사례들을 반 적으 려 복
활용 유형 등에 대한 이론 고찰과 유형론적 특징을 주로 로 다루고 있으며 건축계획 차원의 공간분석 연구는 은 많
다루는 것으로, 오랜 시간 동안 관련 주제를 다루어 온 강 반면, 재생사업의 진행과정이나 이후의 성과, 파급 과에 효
동진, 남지현, 성종상 등의 기초연구가 대표적이다. 두 번째 대해 실증적 차원으로 접근하는 연구는 문 실정이 매우 드
는 건축계획의 관점에서 계획상의 유형적 특징이나 디자인 따
다. 라서 이제는 산업유산 자체의 가치나 유형적 특징보
접근방향, 또는 완공된 결과물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특징이 다는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에 대한 ‘적응(adaptation)’ 전 략
나 기능 등에 대해 비평하고 분석하는 사례연구들이다. 세 과 과정을 시대적 배경과 지역적 특성을 두에 두고, 지역 염
번째 범주는 두 번째 유형과 유사하지만, 주제에 대한 접근 커뮤니티에서의 다양한 가치들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분석
방식에 있어 지역 재생이나 커뮤니티 디자인의 관점이 일 필
하는 연구가 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
정 부분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탕으로 본 연구는 산업유산이 는 지역적 특성과 사회적 갖
<표 1> 산업유산 보전 및 활용 관련 주요 선행연구 가치에 주목하고자 하며, 지역 커뮤니티 중심의 새로운 접
구분 연구자 주요내용 -
근방식(community oriented approach)을 통해 지속가능성
산업유산의 개념 정의 및 역사적 변천과 의 주요 축인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관점에서 과정과 성
버넌 프
기본개념, 유형, 박재민․성종상4)
정 분석
가치 등에 대한
산업유산의 기본개념 및 기능, 분포, 활 과에 나타나는 지역 거 스와의 관계와 역할, 그리고
이론 고찰 강동진․이석환․최동식5)

우승현․이지혜6)
용형태 등에 의한 유형별 보전방법 분석
중국 상하이 지역 산업유산 재활용 로 젝트
의 의의와 과제에 대해 주로 논의하고자 한다.
특징 및 방법에 대한 사례연구

박소연․이경훈7)
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상하이, 요코하
마, 인천의 대표적 문화클러스터 사례에
대한 계획특성 분석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왕세학․서동진․김주연8)
산업유산 재생사례를 중심으로 예술창의
본 연구는 산업유산의 속성상 지역사회와 지역 의 을 민 삶

건축계획 측면 공간의 가치특성과 공간구조 분석
에서의 재활용 김현주․이상호9)
유휴 산업시설을 활용한 문화공간 조성 반영하는 지역적 특성과 사회문화적 가치에 주목해야
사례의 계획방법 연구
사례 연구 컨버전 디자인 관점에서 해외 대표적 사 한다는 인식하에 연구의 대상을 지역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유희정․김주연․신혜원10) 례들을 자생적 재생과 종속적 재생 방안
으로 분류․분석 최근 완 료했
거나 진행 중인 중 의 사업으로 다. 분 규모 삼았
강동진11)
산업유산의 유형 및 자원체계별 재활용
석 대상으로 선정된 2가지 사례는 서로 다 기능과 성 른 격

에 대한 해외 대표 사례연구
최강림․이승환12)
인천 아트플랫폼 사례연구를 한 역사 통 을 가지고 있지만, 생활 이 인접해 있어 사회적으로나 문
문화환경 재생 계획 연구
정민주․이 찬 13)
근대산업유산 재생의 과와 특성을 커효 화적으로 서로 일정 부분 연계되어 있고 사업을 추진하는
뮤니티디자인 관점에서 분석

도시유산 보 사례를 도시재생의 관점에

주체들도 중 되는 성 이 있어 로 첩 격
각각의 개 적 프 젝트 별
트워
지역커뮤니티
강동진14) 서 시민 자 형, 공공 주도형, 시민․공
연계성 분석
공 공조형으로 분류․분석 특징은 물론 서로가 공유하고 있는 커뮤니티 네 크에서
김현주․이상호15)
산업시설 재활용 계획의 지 유형별
프웨
입 황
의 상 과 특징을 함 다루어 수 있었다. 께 볼
법 림
소 트 어 활용 분석
전체 연구의 방향과 방 에 대해서 <그 1>과 같이 계

4) 박재민․성종상. 산업유산 개념의 변천과 그 의에 관한 연구. 건축
권 통권
획하고 있다. 하지만, 두 사례 중 하나는 당초 정 던 운 예 했
역사연구 제21 1호 80호. 2012. 2. pp.65-80
영방향과 계획이 수정되면서 사업이 지연되어 아 진행형 직
5) 강동진․이석환․최동식. 산업유산의 개념과 보전방법 분석. 대한국
토 「 토 」 권
․도시계획학회지 국 계획 제38 제2호. 2003. 4. pp.7-20 른
이고, 다 한 사례는 공간조성 자체는 완 되었으나 시설 료

6) 우승현․이지혜. 문화시설로 재활용 도심산업유산의 특징에 관한 연
집 통권
의 운영과 활용 면에서 아 자리를 지 한 최근 코 직 잡 못 채
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

53호. 2016. 2. pp.79-86
9
로나 1 등으로 인해 활성화가 지체되는 상 이어서 현 단 황
7) 박소연․이경훈. 구도심 내 근대산업유산의 재생을 한 문화클러스터 조성
집 권
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 제24 6호. 2015. 12. pp.192 201 – 립
계에서는 계획수 과 사업 추진과정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8) 왕세학․서동진․김주연. 근대산업유산의 재생을 한 예술창의공간 통
집 통권
집 량
중하고, 각종 정 적 방 론에 근거한 공간 조성 이후의 법
공간구조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
2014. 11. pp.143-152
48호.
성과에 대한 실증은 후속연구로 이어 계획이다. 갈
9) 김현주․이상호. 문화공간 조성 사례에 나타나
는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본 연구에서는 첫 단계로 산업유산과 적응적 재활용에

계획 방법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 계획계 제29 제6호. 2013. 6. 권 대한 기본 개념과 이론 체계를 고찰하고, 다 단계에서는 음
pp.83-92
10) 유희정․김주연․신혜원. 근대산업유산의 유휴공간을 활용한 컨버전디자인 활 헌
관계자 면접과 문 조사를 중심으로 ‘지속가능성’과 관련
집 권
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 제8 1호. 2013. 3. pp.85-96 된 주요 계획요소들과 재생과정에서의 영향요인 등에 대한

11) 강동진. 산업유산 재활용을 한 지역재생 방법론 연구. 한국도시설계 틀 였
분석의 을 도출하 다. 세 번째이자 본 연구의 지 단 마 막

학회지 제11 제1호. 2010. 3. pp.157-178
12) 최강림․이승환.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례연구. 대한 계는 정성적 사례연구로서, 에서 도출한 분석의 을 가 앞 틀
토 「 토 」 권
국 ․도시계획학회지 국 계획 제44 제2호. 2009. pp.219-230 지고 두 사례의 추진과정에서 나타 보전과 재생에 대한 난

13) 정민주․이 . 근대산업유산 재생을 위한 커뮤니티디자인 특성 연구.
집 권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 제23 4호. 2014. 8. pp.157 168 – 15) 김현주․이상호. 지 유형에 입 따른
유휴 산업시설의 재활용 계획 특성.
14) 강동진. 도시재생 관점에서의 도시유산 개념 정의에 관한 연구, 대한국 집 권
대한건축학회논문 계획계 제28 제4호. 2012. 4. pp.119-126
토 「토 」 권
․도시계획학회지 국 계획 제48 제6호. 2013. 11. pp.253-267

102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Serial No. 75 _ 2021. 8
적응적 재활용을 통한 유휴 산업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재생

의미와 지속가능성이라는 목표에 대한 전 의 유 성에 대 략 효 <표 2> 산업유산의 조건별 유형 (강동진․이석환․최동식, 2013)



해 현장 사와 면접 등을 행하 분석하 다.병 여 였 기준 구분
성격․기능 산업설비형, 산업구조물형, 산업인프라형, 생활인프라형, 경관⋅이미지형

분포 상태 개체단위형, 개체집적형, 개체산재형, 선집중형, 면집중형


관광시설형, 상업시설형, 교육⋅학습시설형, 문화시설형, 산업기술
계승시설형, 이벤트시설형, 일반시설형, 기타
활용 상태

소유 형태 민간(개인 및 기업), 공공협의체, 지방자치단체, 국가, 기타

입지 패턴 도시중심부, 도시주변, 산업개발지역, 기타


가치 정도 세계유산, 국가문화재, 지방문화재, 등록문화재, 비보호시설, 기타

우선, 가치 정도에서는 산업유산의 속성상 역사가 비교


적 짧고 기능과 효율이 우선시 되는 시설이어서 문화재로
서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낮다 보니, 등록문화재나 비보호시
설의 비중이 높다. 8 이는 보존의 측면만을 강조하기보다
1 )

적극적으로 실질적인 활용 방안을 강구할 수 있으며, 그 방


식에 있어서도 상당히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을 의
미한다. 참고로 영국, 홍콩 등 해외의 역사유산에 대한 등
급제도와 지침에 따르면, 현저한 가치(outstanding merit)를
가진 1등급 건축물은 가급적 보존을 위한 모든 노력을 기
울여야 하지만, 그 다음 단계인 특별한 가치(special merit)
를 지닌 2등급은 보존을 위한 노력을 선택적으로 기울일
<그림 1> 연구방법론 및 프로세스 요약 수 있고, 일정 수준의 가치(some merit)를 지닌 3등급은 보
존을 모색하되 보존이 여의치 않을 경우 대체 수단을 고려
할 수 있다는 차이를 두고 있다. 9
2. 이론적 배경 고찰
1 )

이 밖에도 활용 형태의 측면에서는 해외의 다양한 사례


들과 달리 국내에서는 문화시설 또는 상업이나 관광 기능
2.1 산업유산의 개념과 유형 과 복합된 문화복합시설로의 활용 비율이 높다는 점, 소유
대부분의 국내연구는 산업유산의 개념적 정의와 범위에 의 측면에서도 기업 등 민간 투자보다는 지방자치단체 등
대해 강동진(2003)의 연구를 따르
고 있다. 산업유산은 게 좁 공공 부문이 매입이나 공여를 통해 직접 소유권을 갖거나
는 산업 혁명이후 제조업 중심의 근대화 과정에서 남 진 겨 민간자본보조사업의 형태라 하더라도 사실상 사업시행을
산업설비와 구조물을 의미하지만, 대상을 제조업 이 의 전 외 주도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체 산업과 산업을 지원하는 통시설이나 도시기반시설 등
으로 확대하기도 하고, 더
나아가 산업과 연관된 기 이나 술 2.2 산업유산의 가치
·
문화 경제활동과 같은 영역까지 포함해 보다 게 정의 폭넓 산업유산을 포함한 문화유산에서의 가치평가 기 은 준
하기도 한다. 또한 산업유산은 그 특성상 범주를 문화재나
않 교 <표 3>에 요약된 것 처럼
, 크게 사회문화적으로 보유하게
근대 역사환경에 국한시키지 고, 비 적 가까운 시대에
였더 혹 된 가치인 보존가치와 유산의 이용을 통해 을 수 있는 얻
조성하
록 않았더
등 되지
라도 강한 지역성을 보유하고 있거나 지정 은
라도 보전가치가 있는 유산들까지 포함해

경제적 용인 활용가치로 나 수 있다.20) 적응적 재활용 눌
외연을 확장할 수 있다.16)
에는 근본적으로 보존과 활용의 양면이 동시에 존재하기
때 모호 첩

산업유산의 조건 유형에 대해서는 선행연구들을 종합
문에 각각의 구분 자체가 다소 하고 중 적이어서

해 볼때, <표 2>에 요약된 것 처럼 격


그 성 ․기능이나 분 청 털
18) 문화재 국가문화유산 포 DB에 따르 면, 2021년 현재 근대산업생산
포 상태, 활용 형태, 소유 형태, 지 입 패턴
, 가치 정도 등에 과관 련된 행 같 무
지정문화재는 은 과 이 업 시설에 가 운 사례를 제외 까
따 류
라 다양한 분 가 가능하며,17) 이러한 분 기 에 대 류 준 입 · 련된
하면 전기 수도와 관 불
4건에 과하고, 등록문화재는 조장, 창고, 양
· 련 프
공장, 전기 수도 관 인 라 등 총 39건이 있다.

해 현재 국내의 상 들을 종합해 보면 다 과 같은 특징을 음 콩 L L
19) 홍 의 CSD( eisure and Cultural Services Department) 산하 AMO (Antiquities
G G G

발 할 수 있다. and Monuments Office)는 rade I, rade II, rade III로, 영국의 Historic
E G G G 단
ngland는 rade I, rade II*, rade II의 3 계로 분류하고 있다.
V
20) Randall Mason. Assessing alues in Conservation Planning :
16) 강동진․이석환․최동식. Op. Cit. pp.9-10 G
Methodological issues and choices. The etty Conservaion Institute.
17) Ibid. p.11 Los Angeles. 2002. pp.5-30

文化空間硏究 l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75호 _ 2021. 8 103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through Adaptiv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Heritage

여 류
일반화하 분 하기 어 운 면이 있다. 하지만, 보 적 려 측 편 로운 부분은 현대적인 것으로 인식 할 수 있도 하면서 록
으로 산업유산은 속성상 유산 자체의 역사성이나 심미성에 래 호 될
원 기능과 환 수 있는 건물의 새로운 용도를 할 모색
대한 보존가치보다는 재활용에 경제적 가치와 지역성, 따른 것을 고하고 있다.권
장소성과 연관된 존재가치, 유증( )가치와 같은 활용 가 遺贈
치가 상대적으로 수 에 으며, 변화하는 환경과 수요 클 밖 없 2.4 보존원칙에 대한 관점 변화와 적응적 재활용
에 맞추어 변형해 나가는 동태보전( )에 주안점을 動態保存 적응적 재활용에 대한 국제보존원칙의 관점은 주로 유산
둘 밖 없
수 에 다.21) 래
이 가지고 있는 원 의 용도에 대한 변경을 어 게 인식하 떻
<표 3> 문화유산의 가치 유형 구분 (Mason, 2002) 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었다. 보존원칙에 대한 본 적 논의 격
보존가치, 사회문화적 가치 활용가치, 경제적 가치 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는 니스 장에서는 상당히 보 베 헌
(Sociocultural Values) (Economic Values) 수적인 관점에서 건축물의 물리적인 변경을 지하 고, 기 금 였
역사적(Historical)
/ /
이용가치, 시장가치 (Use value, Market value)
능에 대한 변경은 사회적인 용이라는 한계 내에서만 효 허
문화적 상징적(Cultural Symbolic)
사회적(Social)
비이용 가치, 비시장 가치
(Nonuse values, Nonmarket values)
존 E
될 입 취
용 수 있다는 장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태도는 라 버
/ /
정신적 종교적(Spiritual Religious)
- 재( xistence)
선택 B 헌 979-
( urra) 캐
장(1 2013)이나 나다의 기 과 지 (2003, 준 침

- (Option)

심 적(Aesthetic) 증
- 유 (Bequest) 2013 수정) 등에서 다소 관대하게 바 어 중요한 구조나

2.3 적응적 재활용의 기본개념 용도에는 변화를 최소화할 것을 요구하면서도 기존의 문화



적 의미와 물리적 환성을 존중하고 ‘문화적 중요성’의 지
적응적 재활용이 개념을 사전적 정의에 실하게 어 란 충 풀 속을 보장하는 전제 속에서 새로운 용도를 용하는 장 허 입
보면, 건축물의 용이 한계에 이 효 을 지역사회의 요 르렀 때 으로 변화되었다. 최근에는 기서 한 여 나아가 지역 커 층더

구에 ‘적응’하 기존의 건물을 ‘재활용’하는 것을 의미한 뮤니티 내에서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기 를 할 수 있고 여
다.22) 이 개념은 단순히 물리적 재활용에 국한된 것이 아 커뮤니티의 참여 협
와 의를 통해 단계적이고 구체적인 로 프

니라, 유산을 다 새로운 목적으로 바 는 전체적인 로 꾸 프 든
세스들을 만 다면 새로운 개 이나 변경 역시 정적일 입 긍
세스라 할 수 있으며, ‘기존의 문화적 중요성을 존중하고 수 있다는 매우
유연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유지하면서 미 가치를 제공하는 현대적인 이어를 추가 레 긍
적응적 재활용의 정적 면에 대한 논의는 1 0년대 측 97
하는 것’을 의미한다.23) 작
서구를 중심으로 시 되었는 , 이 시기는 도역, 공장, 창 데 철
따 라서 보존(preservation)이나 원(restoration)과 구분 복 고 등의 유휴화된 산업시설들이 사회적인 문제로 본 인 격
되는 재생(rehabilitation)의 범주에서 주로 다루어 으며, 졌 작
식되기 시 하고 유산의 보존에 대한 논의도 활발해 지기
구조나 설비 등의 업그 이 에 그치지 고 새 게 용도 레 드 않 롭 작 였
시 한 전환기 다. 이후 유휴 산업시설들을 되 새로운 살릴
변경(repurposing)을 하는 로 프 젝트
, 특히 장소가 가진 문 기능과 경제적인 대안을 으 는 노 은 점차 찾 려 력 확산되 더
f
화적 중요성(cultural signi icance)을 해치지 는 한도에서 않 8 너 R
었고, 0년대 전후 로랜스 라이 (Laurence einer)25) 등이
광범위한 수정이 있는 경 를 지 한다. 기서의 주된 우 칭 여 쟁 려
경제성에 대한 고 를 보존의 선순위에 아야 한다는 우 놓
점은 새로 이루어지는 업의 성 이 역사적 맥락에 의해 작 격 다소 급진적인 주장을 내 기에 이 놓 르렀 다. 이러한 연장선상
유추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현대적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것 에서 영국에서는 역사적 건물과 경관의 지속적인 사용과

인 , 최근에는 후자의 주장에 공 대가 아지고 있다.24) 감 모 즐 움
거 을 유지하기 위해 요한 변경을 수용해야 한다는 필
여 기서 주목할 만한 것은 적응적 재활용이 자 대 적 칫 립 ‘건설적 보전(constructive conservation)’ 개념이 등장하는

인 가치로 인식 수 있는 ‘보존’과 ‘활용’의 가치, ‘ 것’과 옛 편 명
한 , 동 의 사례연구26)도 시리 로 출간되기에 이 즈 다. 르렀
‘새로운 것’의 가치를 조화시 양 성(compatibility)을 확 켜 립
보하는 수단이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 주 환경유산부 여호 2.5 산업유산의 적응적 재활용과 지속가능성
드 DE
의 가이 라인( H, 200 )은 파사 ( acade)만을 유지하고4 드F 산업유산이 유휴화되는 주요한 이유는 단순히 개 사례 별

나 지를 현대식으로 고치는 방식의 파사디 ( acadism)을 즘F 의 특수성이나 독립
적 문제라기보다는 주로 시대적 흐름에
지양할 것과 건물이 가진 기존의 양식을 방하지 고 새 모 말 따른 산업구조의 개 이나 도시구조의 확장 편 변화 등의 및
21) 보호와 활용에 관한 논의는 1904년 마 리 드 드 선언 처 며
에서 음 등장하 , 사회경제적인 요인들과 맞물 있기 문에 산업유산 자체 려 때
죽 결 존 살
‘ 은 기념물’은 동 보 , ‘ 아있는 기념물’은 현 에 맞 황 게끔 개조하 만의 역사적 가치나 물리적 조건, 형태, 용도 등에 국한된

는 동태보 을 해 한다는 내용을 포 하고 있다. 야 함 따
문제가 아니며, 라서 지속가능한 보전과 재생을 위해서는
22) Alan Mallach. Bringing buildings back: From abandoned properties to

community assets. New Jersey. Rutgers University Press. 2006. pp. 279 281
L G
E
23) Department of nvironment and Heritage. Adaptive Reuse. Commonwealth
25) aurence Reiner. How to Recycle Buildings. New York. Mc raw-Hill. 1979
G
26) Christopher Catling. Constructive Conservation: Sustainable rowth for
of Australia. Canberra. 2004. p.3
24) Kalman. Op. Cit. p.155
L E
Historic Places. ondon. nglish Heritage. 2013. p.3

104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Serial No. 75 _ 2021. 8
적응적 재활용을 통한 유휴 산업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재생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소들에 대한 종합적인 고 가 려 필 역이 추가하는 목표들을 <표 >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32) 4
요하다. 적응적 재활용과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는 해 의 다 외 <표 4> 지속가능성의 요소별 목표
양한 선행연구들이 있는 , 이들이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데 요소 목표
는 것이 적응적 재활용 방식이 환경적 부 과 사회적 비용 담 배 루 발
줄 때
을 일 수 있기 문에 기본적으로 지속가능성의 지에 취 사회
자원 분 측면에서 사회 정의를 이 는 공정한 환경 개
나 배 따른 권
성별, 종교, 이, 사회적 경에 차별 금지
개인 리에 대한 제한과
부합하며,27) 경제적 타당성의 면에서도 비용, 개발비 측 매입 사회․환경 국가 및 국제적 차원에서 환경자원을 공평하게 공유할 수 있는 권리 보장

센 브
용, 인 티 , 활용가치 등을 고 할 자비용 대비 려 때투 효 환경
자연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폐기물이나 오염 발생을 억제
인체에 건강한 환경 추구, 재생 가능한 재료 사용 장려, 유독물질의 제거
용이 큰
경제적 수단일 수 있다는 것이다.28)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에너지 및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 촉진

특히 최근에는 용이 다한 과거의 유산을 변화된 지역 환경․경제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한 창의적인 솔루션 개발 장려 및 인센티브 제공

모 킴 써
사회의 요구에 맞게 변 시 으로 도시의 재생과 활성화 가용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자급자족의 기반 조성
고용의 기회 제공, 교육, R&D 및 의료 시스템 강화

를 도 할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으며,29) 새로운 기
경제
공공-개인간 파트너십 촉진, 생산성 향상, 시장 창출, 에너지와 자원 절약
능을 수용하고 적응시키기에 유리한 유연하고 가변적인 공 경제․사회 기업윤리, 공정거래, 노동권 보장을 통해 사회적 필요와 경제 양립

간들이 크게 주목 고 있다.30) 이러한 면에서 , 산 측 볼때

업유산이 보 적으로 가지고 있는 공간적 속성과 지적 입 모
기존의 3요소 형에서는 유산의 존재가 사회적 차원의
장점은 적응적 재활용을 통해 지속가능한 보전과 재생을 일부로 간주되었지만, 2002년 ‘문화 어 다 21 ( genda 21 젠 A

이 수 있는 기본 조건을 추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갖 f C
or ulture)’을 계기로 문화가 된 제 의 요소로 부각되 독립 4
면서, 도시 및
지역 계획에 있어서 문화유산을 보 하고 공 호
3. 사례분석의 틀 공재로 인식해야 한다는 공 대가 확산되었다. 또한 문화재
자체의 보존을 강조하는 다소 일차원적인 과거의 접근방식

3.1 지속가능성의 개념 벗
에서 어나, 실비오 무탈( vlvio utal)의 표현대로 문화 S M '
지속 가능성의 개념은 오 전부 존재해왔지만, 현재 래 터 적인 이유만으로 보존이 이루어지면 보존이 지속가능하지
통용되는 의미로 정의된 것은 1 년 U 이 발간한 987 N 브룬틀 않 ' 편
다 는 인식이 보 적으로 자리를 게 되었다.33) 유산의 잡
란 B R
보고서( rundtland eport)에 의해서다. 당시 유엔 환경 보존과 관련된 활동은 더
이상 과거 상태를 지키는 것이
개발위원회( WCED
)의 회장이었던 노 이 리의 이름을 르웨 총 래 모
아니라 현재와 미 세대 두를 위한 지속가능한 성장과
딴 려 '
이 보고서에 실 있는 지속 가능한 개발은 미 세대 래 긴밀 하게 결속되고 통합되어야 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적응
가 자신의 요를 필 충족 킬
시 수 있는 능 을 생시키지 력 희 않 적 재활용의 역할과 장점에 대해 주목할 요가 있다. 필
고 현재의 요구를 충족
시키는 발전이다 라는 정의는 이후 '

수 이 인용되면서 지속가능성의 기본개념으로 확고하게 3.2 적응적 재활용의 지속가능성 판단기준

자리를 게 되었다.
적응적 재활용의 지속가능성에 대해서는 서 2장에서 앞
일반적으로 지속가능성은 3가지 주요 요소인 사회, 환경,
경제의 차원에서 논의되며, 사회적 형평성, 환경의 , 경제 질 고찰한 바와 같이 사회, 환경, 경제 등의 면에서 게 측 폭넓
적 개발에 대한 목표가 조화 게 롭 충족될 때
지속가능한 개

다루어지고 있는 , 그 중 구체적인 방 론과 관련된 주요 법

발이 성된다고 본다.31) 그 런데
, 각각의 요소들은 서로 연
기 준및 목표는 다 과 같다. 음

관되고 중 되기 문에 그들의 상 때 용에 대해 주목할호작 첫째, 유산의 중요성(heritage signi icance)을 하지 f 훼손 않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서로가 중 되어진 사회․ 첩 · 둘
고 유지 보존한다. 째, 변화된 환경과 수요에 맞고 지속적
환경, 환경․경제, 경제․사회의 차원들까지 추가해 각 영
인 활용이 가능한 새로운 용도(repurposing)를 는다. 째, 찾 셋

새로운 업에 있어서는 역사적 양식에 대한 방이나 파사 모
E L
27) Peter A. Bullen․Peter .D. ove. Residential regeneration and adaptive 즘f
디 ( acadism)을 지양하고, 현대적인 방식과 표현을 통해
L L
reuse - earning from the experiences of os Angeles. Structural Survey
별 갖
차 성을 는다. 이와 같은 내용은 지속가능성 분석의 틀
27(5). 2009. 11. pp.351-360
L
28) Nancy McCoy․Derek atham. Creative Re-Use of Buildings. APT 로서 제시된 <표 5>의 내용 중에서 보존 활용의 접 및 직
/
Bulletin 32(2 3). 2001. 1. p.77 법
적인 방 론과 연관된 5, V V6 항
목에 반영되어 있다.
29) Sean Zielenbach. The art of revitalization: Improving conditions in
distressed inner-city neighborhood. New York &L G
ondon. arland 32) UN의 브룬틀란 보고서와 Othman &E lsaay의 연구를 고하여 저자가참
Publishing. 2000. pp.175-222
L
30) ucia Della Spina. Adaptive Sustainable Reuse for Cultural Heritage: A
였 E
정리, 재구성하 다. Ayman Ahmed zzat Othman․Heba lsaay. E
Adaptive reuse: an innovative approach for generating sustainable values
Multiple Criteria Decision Aiding Approach Supporting Urban for historic buildings in developing countries. Organization, Technology and
Development Processes. Sustainability 12(4):1363. 2020. 2. pp.1-20 Management in Construction 10(1). 2018. 5. pp.1704-1718
L
31) John M. evy. Contemporary Urban Planning. 9th edition. Boston. 33) Dennis Rodwell. Conservation and Sustainability in Historic Cities.
Longman. 2011. p.294 Oxford. Blackwell. 2007. p.45

文化空間硏究 l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75호 _ 2021. 8 105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through Adaptiv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Heritage

4
<표 5>은 장의 사례 분석을 위한 주요 가치지표와 세 적 요소와 통합되어 있는 사회적 요소가 상대적으로 크게

부 평가 목들을 도출한 것으로,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부각되어 보이는 , 실제로는 문화를 포함한 각 영역 요 데 별
프 젝트
로 관계자들의 면접 내용을 반영한 결과이며, 위에서 르
소들을 고 게 분배 으며, 성 상 서로 영역이 중 되는 했 격 첩
언급된 기 들 이 에도 로 준 외 프 젝트
추진 주체들의 다양한 우
경 상대적인 비중과 전체적인 구조를 고 해 분 하 다. 려 류 였

시각과 차상의 고 사 , 파급 과 등을 려 항 효
게 반영하고 폭넓 여
또한, 기에 각 목이 계획개념이나 방향성, 은 로세 항 혹 프
있다. 다수의 관련 문 이나 자 에서 보 화되어 있는 분헌 료 편 스에 대한 것인지, 공간 조성후 운영결과에 대한 실증의 차
류 6
체계인 3개 영역, 개 요소를 그 범주로 다 보니 문화 삼 원인지에 대한 구분도 추가하 다. 였
<표 5> 적응적 재활용의 지속가능성 분석의 틀
요소 주요 가치지표 관련 연구문헌 세부 평가항목 계획
과정 운영
결과
집단 적 기억과 문화 정체성 L ewin & Goodman (2013) ; Mısırlısoy & Günçe ․집단적 기억의 보존
V1 (Collective Memory & Cultural Identity) (2016) 34)

35) ․문화적 다양성과 정체성
․사회통합을 위한 다양성, 친근감, 안전성 확보
지역적 가치와 삶의 질
V2 (Local Value & Quality of Life) Haidar & Talib (2018) ; Mitoula et al. (2013)
36) ․사회적 인프라(생활 SOC)로서의 활용 37) • •
․여가 및 휴식 공간 제공을 통한 생활만족도 향상
․지역적 수요에 대한 인식과 반영
V3 (Public공공의 인식 및 지원
Awareness & Outreach)
L oures (2015) ; Sutter (2008)
38)
․정보 및 지식, 가치의 공유와 확산
39) • •
커뮤니티 활동 및 참여 ․공동체 참여 및 과정의 투명성과 개방성
사회
(문화 포함) V4 (Community Alias et al. (2016) ; Yung et al. (2013) • •
Action & Involvement) ․사회적 네트워크 지원 프로그램의 제공
40) 41)

․유산의 문화적 중요성에 대한 유지·보존


문화적 유산의 보존 Kalman (2014) ; Tweed & Sutherland (2007) ;
V5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Zhang (2007) 42)
․지속적 생명력을 고려한 동태적, 건설적 보존
43)

․과거의 흔적과 기억에 대한 아카이브
44)

․유산의 물리적, 공간적 특수성에 대한 반영


창의적이고 적절한 적응 DEH (2004) ; Latham (2000) ;
V6 (Creative & Adequate Adaptation) Martinis & Kontoni (2017) 45)
․변화된 환경과 수요에 맞춘 적절한 용도변경
46)

․새로운 작업의 현대적 창의성과 차별성
47)

․유휴공간 방치에 따른 사회문제 대응


V7 (Response도시문제에 대한 대응
to Urban Problems)
Dogruyol et al. (2018) ; Zielenbach (2000)
48)
․쇠퇴한 도심의 지역적 활력 회복
49) • •
접근성 및 이용편의성 ․보행 친화도와 대중교통 접근성
사회․환경
V8 (Accessibility & Usability)
Ijla & Broström (2015) ; Tu (2020) 50)
․주변 상권 및 편의시설과의 연계
51) •
․대지와 주변환경의 효율적 이용
환경의 효과적 관리
V9 (Environmental Management) Rodrigues & Freire (2017) ; Yung & Chan (2012) ․자원의 재활용 및 폐기물 관리
52) 53) • •
환경 ․환경에 대한 인식 제고 및 실천 유도
환경에 대한 미적 접근 ․적용된 디자인 및 기술의 친환경성
V10 (Environmental Aesthetics)
Conejos et al. (2015) ; Powter & Ross (2005)
54)
․주변 환경과의 경관적 조화
55) •
환경을 고려한 비용효과 ․생애주기비용을 고려한 비용효과
환경․경제 V11 (Environmenttal Cost-effectiveness)
G irard & Gravagnuolo (2017) ; Della Spina (2020)
․기능의 개선과 사용의 편리성
56) 57) • •
경제적 타당성 ․사업비용과 일정의 경제적 효율성
V12 (Economic Feasibility)
G reffe (2004) ; Shipley, R. et al. (2006)
58)
․공간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운영의 건전성
59) •
․지역 일자리 및 경제활동의 증가
경제
V13 (Local 지역경제 활성화
Economic Revitalization) Kee (2019) ; Wang (2011)
60) 61)
․지역경제에 대한 기여와 커뮤니티에서의 활용
• •
문화 관광 활동 광 및 체험 프로그램 연계 운영
경제․사회 V14 (Cultural Tourism Activities)
Gholitabar et al. (2018) ; Forga & Valiente (2017) ․관
62)
․가로 활력 증대 및 상권 활성화
63) • •

L G
34) Susan Spencer ewin․Craig oodman. Transformative renewal and pp.62-69
G
urban sustainability. Journal of reen Building 8(4). 2013. 9. pp.17-38 44) Song Zhang. Conservation and adaptive reuse of industrial heritage in Shanghai.
ğ Gü ç
35) Damla Misirlisoy․Ka an n e. Adaptive reuse strategies for heritage buildings: E
Frontiers of Architecture and Civil ngineering in China 1. 2007. 10. pp.481-490
A holistic approach.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26. 2016. 6. pp.91 98 – E
45) Department of nvironment and Heritage. Op. Cit. pp.3-15
L
36) aila Haidar․Anuar Talib. Traditional Neighborhood Adaptive Reuse in L
46) Derek atham. Creative reuse 1. Shaftes-bury. New York. Donhead
E
the Old City Sana’a, Yemen. Asian Journal of nvironment-Behaviour Publishing. 2000. pp.125-148
Studies 3(10). 2018. 8. pp.187-197 47) Spiros Martinis․Denise-Penelope N. Kontoni. Sustainable urban planning
E
37) Roido Mitoula․ leni Theodoropoulou․Barbara Karali. Sustainable Development G
interventions in the historical center of the reek town of Kalavryta,
V
in the City of olos through reuse of industrial buildings. Sustainable Habitat International 63. 2017. 5. pp. 131-148
Development, Culture, Traditions Journal 2B. 2013. 1. pp.154-167 E
48) Kagan Dogruyol․Zeeshan Aziz․Yusuf Arayici. ye of sustainable planning:
L L
38) uis oures. Post-industrial landscapes as drivers for urban redevelopment: A conceptual heritage-led urban regeneration planning framework.
Public versus expert perspectives towards the benefits and barriers of the reuse Sustainability 10(5). 2018. 4. pp.1-22
of postindustrial sites in urban areas. Habitat International 45. 2014. 7. pp.72-81 49) Sean Zielenbach. Op. Cit. pp.175-222
G
39) lenn C. Sutter. Promoting sustainability: Audience and curatorial perspectives ö
50) Akram Ijla․Tor Brostr m. The sustainable viability of adaptive reuse of
on the human factor. Curator the Museum Journal 51(2). 2008. 4. pp.187-202 historic buildings, International Invention Journal of Arts and Social
40) A. Alias․Z. Zyed․W.W. Chai. Revitalising critical components of urban Sciences 2(4). 2015. 8. pp.52-66
decay features. Journal of Building Performance 7(1). 2016. pp.125-132 51) Hung-Ming Tu. The Attractiveness of Adaptive Heritage Reuse: A
E E X
41) sther Yung․ dwin Chan․Ying u. Community-initiated adaptive reuse of Theoretical Framework. Sustainability 12(6). 2020. 3. pp.1-15
historic building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Inner City of Shanghai.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140(3). 2014. 9. p.05014003
E
52) Carla Rodrigues․Fausto Freire. Adaptive reuse of buildings: co-efficiency
assessment of retrofit strategies for alternative uses of an historic building.
42) Kalman. Op. Cit. pp.73-114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57. 2017. 7. pp.94-105
43) Chris Tweed․Margaret Sutherland. Built cultural heritage and sustainable E E
53) sther Yung․ dwin H. W. Chan. Implementation challenges to the
L
urban development, andscape and Urban Planning 83(1). 2007. 11. adaptive reuse of heritage buildings: Towards the goals of sustainable,

106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Serial No. 75 _ 2021. 8
적응적 재활용을 통한 유휴 산업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재생

4. 사례 연구 원기능과 전체 공간의 구성이나 설비, 배치 등에 있어서


른 모
4.1 사례의 선정
는 서로 다 유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두 사례 두
세종시의 ‘ 청춘
조치원’이라는 원도심 지역재생 로그 의 프 램
민 삶
지역사회와 지역 의 을 반영하는 지역적 특성과 사회 일환으로 문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과 주 들의 민
문화적 가치에 주목한다는 본 연구의 지에 맞추어 사례 취 삶 질
의 모
향상을 도 한다는 공통 목표를 가지고 거의 동시
분석의 대상으로 최근 문체부 ‘ 산업시설 문화재생 사업’ 폐 에 추진되었다. 지리적으로 도보접근이 가능한 인접 생활 권
에 잇달
아 선정되어 지역 거 스를 중심으로 재생사업이 버넌 내에서 위치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지역적 정체성이나 공동
진행된 세종시 조치원 의 두 로 를 선정하 다. 읍 프 젝트 였 체 문화를 상당 부분 공유하고 있어서 유사한 배경과 조건

<표 6> 사례의 개요


하에서 진행되었 에도 로음 프 젝트
각각의 개 적 특징과 계 별
획의 방향성 차이가 만들어내는 과정과 결과의 유사성과
구분 조치원 정수장 문화공간화사업 한림제지 폐공장 활용 문화재생사업 별 효
차 성을 과적으로 비 할 수 있었다. 교
읍 길 일 ㎡ 조치원읍 남리 60-1번지 일대 6,169㎡
조치원 수원지 75-21 대 3,957
존 함 ㎡ 4.2 조치원 정수장 프로젝트
대상지
(기 수원지공원 포 시 10,656 )
시설물 정수 관련 건물 8동과 부속구조물 7개 공장동과 실험동 6동과 학사관
유형 산업인프라형 (도시기반시설) 산업구조물형 (제조업 생산시설) 4.2.1 조치원 수원지 정수장의 역사성과 지역성
- 1935년 정수장 본관 건축 - 1927년 산일(山一) 제사공장 건축 과거 이 일대는 조천(鳥泉)변을 중심으로 저소득층이 몰
- 1970년대 증축
산업유산의 - 2013년 정수시설 폐쇄
- 해방후 삼중(三重)편물공장 운영
- 한국전쟁기 조치원여고 임시교실
려와 판자촌을 이루었던 주거지역으로, 일제강점기인 1935
특징․가치 - 주요 정수시설 본관내 압축적 보유 - 1974년부터 제지공장 30여년 가동 년 상수도 공사를 하면서 늪이 있던 현재의 부지를 매립하
- 지역 생활수 공급원이자 마을의 자 - 2000년대 중반 임의 폐업후 방치
랑스러운 시설로 인식(‘甘泉流如藍’) - 2019년 등록문화재 제754호 등록 고 수목을 식재하여 수원지를 설치하고, 정수장 본관 등 최
2016년 문체부 폐산업시설 2017년 문체부 폐산업시설 초의 시설물들을 지었다. 당시 정수장은 지역의 생활수 공
사업계기
문화재생 사업 정 선 문화재생 사업 정 선 급은 물론, 조치원역 증기기관차 운행에 요한 물을 공급 필
사업기간 2017년∼ 2019년 ∼ 2019년
2018년
하던 국가의 주요 시설이었으며, 광 후에도 지속적으로 복
총 55억원 총 130억 8천만원
(국가보조금) 20억원+(시) 35억원 (국가보조금) 27.5억원+(시) 103.3억원 운영되다가 2013년 광역상수도 공급체계로의 전환을 맞아
사업비

- 폐쇄된 정수시설과 인접 수원지공원 - 방치된 폐공장 문화공간으로 재생


압 외
가 시설을 제 한 정수시설은 두 되었다. 모 폐쇄
병합해 문화정원으로 재생
- 문화공간화 설계공모 + 시설공사
- 문화공간화 설계공모 + 시설공사
- 전국의 창조그룹이 소통·교류하는
정수장은 지역 내 오랜 기간 생활수를 공급 던 시설로 했
주요내용
- 청년문화기획자 주축 문화공간 활성 예술창작의 장 (아트컬리지) 서 장소적 상징성을 가지고 있으며, 본관 현 의 문구 ‘ 판 감
화 프로그램 운영
- 지역커뮤니티 다양한 문화활동 제공
- 지역 주민의 만남과 소통을 위한
‘마주침 광장’
천류여람 甘泉流如藍
( )’에서도 엿볼
수 있 이 물, 름과 듯 푸르

같은 정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었다. 하지만 2013년 폐
쇄 저
된 이후 방치되어 미관을 해할 만 아니라 노 자 문 뿐 숙
low carbon cities. Habitat International. 36(3). 2012. 7. pp. 352-361 우 우려
제와 범화 등 안전상의 문제점을 안게 되었고, 이
54) L E
Sheila Conejos․Craig angston․Jim Smith. nhancing sustainability through 때 민
문에 주 들을 중심으로 인접한 수원지 공원과 연계해
55)
designing for adaptive reuse from the outset. Facilities 33. 2015. 6. pp.531-552
A. Powter․S. Ross. Integrating environmental and cultural sustainability for 커뮤니티 공간을 만들자는 의 들이 제기되기 시견 다. 작했
heritage properties. APT Bulletin 36(4). 2005. 1. pp. 5-11
56) L G G
uigi Fusco irard․Antonia ravagnuolo. Circular economy and cultural
/
heritage landscape regeneration, Circular business, financing and governance
E
models for a competitive urope. BDC 2017. 2017. 1. pp.35-52
57) Della Spina. Op. Cit. pp.1-20
58) X G ?
avier reffe. Is heritage an asset or a liability .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5(3). 2004. 7. pp.301-309
59) Robert Shipley․Steve Utz․Michael Parsons. Does adaptive reuse pay ? <그림 2> 과거 정수장 (촬영연대 미상) <그림 3> 상수도 정수시설도(1938년)
A study of the business of building renov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Heritage Studies 12(6). 2006. 11. pp.505-520 4.2.2 지속가능한 재생을 위한 논의와 노력
2013년 대부분의 시설이 가동 중단되고 폐쇄되면서부터
60) Tris Kee. Sustainable adaptive reuse: economic impact of cultural
heritage.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9(2). 2019. 3. pp.165-183 주변 지역의 급격한 쇠퇴에 대한 우려가 커지기 시작했고,
61) Stephen Wang. Commercial gentrification and entrepreneurial governance 한편으로는 장소적 역사적 가치를 지키면서 부지 내 다양
한 공간들을 커뮤니티 시설로 재활용할 수 있겠다는 관심
in Shanghai. Urban Policy and Research 29(4). 2011. 12. pp.363-380
62) G
Shahrbanoo holitabar․Habib Alipour․Carlos Costa.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management implications for 도 관심도 생겨났다. 타운홀 미팅과 도시재생대학 활동 등
을 통해 지역 내 예술인과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생활
tourism. Sustainability 10(1). 2018. 1. pp.93-125
é G à V
문화공간으로 재활용하자는 방향이 세워졌고, 중앙 및 지방
63) Jos Maria Prat Forga․ emma C noves aliente. Cultural change and
industrial heritage tourism. Journal of Tourism and Cultural Change
15(3). 2017. pp.265-286 정부 보조금과 융자, 주택도시기금, 도시재생 추진기금 등

文化空間硏究 l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75호 _ 2021. 8 107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through Adaptiv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Heritage

을 활용하자는 구체적인 재원조 방식도 논의되었다. 달 울 록천


었다. 내부공간은 새로운 전시공간 용도에 어 리도 장
로프 젝트 직
추진의 접적인 동 을 게 된 것은 201 년 력 얻 6 철 트
의 반자들을 거해 목조 러스 구조를 노출시키고 벽쪽

문체부 산업시설 문화재생 공 사업을 비하고, 그 결과 모 준 명 써 감 우
으로 조 을 추가함으로 전체적인 공간 을 키 면서 과
지원사업으로 선정되면서부 이다. 이 과정에서 사업추진을 터 붕
거의 지 목구조와 새로 마감 벽 닥
된 체와 바 이 조화되도

위한 ‘ 산업시설 문화재생 의회’라는 지역 거 스를 협 버넌 록 였
하 고, 증축동의 기계실과 같은 기능적 공간들은 미장
구성하게 되었고, 재생사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감 졌
으로 추어 던 내부의 벽돌 벽
체 원형을 러내는 한 드 편
정수장 시설 자체는 물론 인근의 한 제지 공장이나 다 림 폐 워 숍
기존의 설비들을 유지하면서 크 공간이나 자 실로 사 료
른 ·
역사 문화 관광자원과 함 연계하 지역 전체의 활성 께 여 록 였
용하도 하 다.

화를 도 하자는 논의들이 함 이루어 다. 께 졌 외 및
부 공간계획 환경적 관점에서는 장을 담 인접 없애
켜 트
한 수원지 공원과 연계시 전체 사이 를 개방적인 공공
4.2.3 정수장 시설의 적응적 재활용 써
공간으로 조성함으로 접근성을 높이고 이용 의를 향상 편
2017년부터 시설의 재활용을 위한 건축적인 논의와 함께 켰
시 다는 점과 주변 환경과의 물리적 연결 관계와 경관적
정밀안전진단과 아카이브 용역, 총괄건축가(MA) 선임 등이 복 려 력
조화를 회 하 는 노 이 계획과 성과에 나타 다는 점이 났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현재 분절되어 있는 기존 특히 인상적이다.
정수장 부지와 공원을 하나의 열린 공간으로 연계시키고
남아있는 옛 건조물들과 새로운 건축적 행위가 조화를 이
루도록 한다는 설계공모 지침이 마련되었다. 특히 정수장
본관을 비롯한 각 시설물들의 보존 가치와 상태를 판단해
보존과 철거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설계지침에 제
시하고 공모 참여자들이 새로운 용도로 재활용될 수 있도
록 창의적으로 제안하도록 한 것은 주목할 만한 부분이다. <그림 5> 조치원문화정원 프로젝트 (출처: 이엠에이 건축사 사무소)
4.2.4 문화공간 활성화 프로그램
도시재생을 위한 논의가 시작될 때부터 조치원 원도심
내 부족한 문화예술 인프라를 고려해 정수장을 전시관, 소
공연장 등으로 쓸 수 있는 생활문화공간으로 조성하자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사업 초기부터 공간을 활용해 지역의
다양한 주체들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에 대한 논의
가 이어졌고, 지역의 자원을 조사하고 기록하는 아카이브
<그림 4> 정수장 본관 보존 및 철거가능 영역 (설계지침 발췌 편집)
사업과 지역 예술가 지원 프로그램 등이 함께 추진되었다.
듬 8
이 해인 201 년 초 설계공 를 통해 당선안을 선정하 모 였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사업 초기부터 문화전문가
6 월
고, 개 간의 기본설계와 실시설계 과정을 거 201 년 쳐 9 7 를 총괄기획가로 위촉하고 문화재단과 협약을 체결하는 등
월 완공되었다. 당선안은 역사적 가치와 기 을 고 있는 억 담 소프트웨어 지원이 이루어졌던 것이나, 공간 정비에 앞서

기존 시설들을 하나의 ‘단( )’으로 보고 기에 새로운 ‘단’ 여 기존 시설을 적극 개방해 다양한 파일럿 프로그램을 운영
더 · · 래
을 해 과거 현재 미 가 조 하면서 조화하도 한다는 우 록 하고 이를 통해 청년활동가들과 주민공동체의 역량을 키우
개념을 제안하고 있다. 정수장 본관과 과기들은 현상의 여 는 과정을 거쳤던 것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접
보전을 통해 역사적 가치를 남 다는 인식 하에 적 적으 긴 극 근이라 할 만하다.
편 머
로 보존하는 한 , 나 지 부분들은 ‘비 ’의 대상으로 보고 움 력불
그러나 이러한 과정상의 노 과 건축적 성과에도 구하

현재의 과도함을 제하면서 미 의 가능성에 대해 어 래 열 고, 시설 조성 이후 공간 운영주체 선정과 상시적인 운영
놓았 다.64) 프 램 놓 민 워킹 룹
로그 의 방향을 고 행정과 일부 간 그 사이
살펴
주동인 본관에 반영된 적응적 재활용 개념을 보면, 갈 였 9
의 시각차와 등이 노출되기도 하 고, 코로나1 로 인해
우 손 외 붕
선 탈락이나 파 이 있는 장재와 지 은 전체적인 형 했 모습
문화활동 전반이 위축되면서 당초 목표 던 활기있는
태와 색감 료교
을 유지하면서 구조 보강과 재 체를 통해 보 효 직 감 려
이나 파급 과를 아 까지는 체 하기 어 운 실정이다. 다
존하는 한 ,편 샌드 판넬
위치 덮여
등으로 입
있던 증축동 면 월 탁
만, 2021년 3 새로운 위 운영사업자가 선정된 이후 비
철 흔 잘드 낼
은 거 후 증축동의 구조체와 적을 러 수 있는 규모 벤트
대면, 소 이 클래
중심으로 기획전시, 공방 스, 지역
외 교 여 감
유리 피로 체하 개방 있는 현대적 공간으로 바 꾸 행사 등의 활용이 재개되면서 활성화에 대한 기대는 서서
히 높아지고 있다.
엠 무
64) 이 에이 건축사 사 소 설계설 서에서 부분 인용 명

108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Serial No. 75 _ 2021. 8
적응적 재활용을 통한 유휴 산업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재생

4.3. 한림제지 폐공장 프로젝트 6 작 묶


부지 내에는 개의 크고 은 부속시설이 인 공장동과

4.3.1 구(舊) 한림제지 공장의 역사성과 지역성 료 험


재 실 동, 그리고 북쪽 입 편 층
구 동 의 2 목조건물인 사 학
1927년 일본인에 의해 산일제사(山一製絲) 공장으로 건
측 저 94
관과 공장동 남 의 2개 수조가 있다. 이 중 1 2년 건축

립된 것이 역사적 출발점이다. 한국전쟁 중 소실된 조치원 학 외 손


된 사관은 형 상이 심하고 붕괴 험
의 위 이 있어 가장

여고를 대신해 1950년부터 1956년까지 임시교사로 사용되 먼저 9 마


원형보존 공사가 진행되어 201 년 무리 되었는 ,데
기도 했으며, 이후 1958년 8월부터는 각종 편직물을 생산하
록 염 황 충
당초 문화재 등 을 두에 두어 현 을 실히 아 이 카 브
는 삼중편물공장으로 운영되다가 1969년부터 폐업 시까지
하고 방들로 구획된 기존 구조를 그대로 살려 복 했원 으나,

크래프트지를 생산하는 한림제지 공장으로 사용되었다.



결과적으로는 공장동만 등 문화재가 되었다.

2019년 등록문화재로 등록된 공장동은 고유한 톱날형 지


붕 구조를 유지하고 있어 근대 공장 건축양식을 이해할 수
있는 건축사적 가치가 있으며, 전통시장과 조치원 성당에
인접하고 있고 한 때 여 교
조치원 고 사로 사용되는 등 지역
민들의 생활과 밀착 억
되어 있는 기 의 장소라 할 수 있다.

4.3.2 지속가능한 재생을 위한 논의와 노력 <그림 7> 학사관 복원공사 (출처:세종시)


이 폐공장도 역사적 가치와 장소성에도 불구하고 폐업후 공장동은 크게 톱니형 지붕의 학사관 인접동과 장스팬의
10년간 방치되다가, 2017년 문화재생사업 대상으로 선정되 트러스 구조 경사지붕을 가진 주동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면서 도시재생을 위한 논의와 노력이 본격화 되었다. 중 등록문화재인 학사관 인접동은 과거 누에에서 실을 뽑
재생사업의 추진은 정수장 프로젝트와 유사하게 지역 거 던 제사공장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동서로 길게 배치된 주
버넌스인 ‘한림제지 문화재생 협의회 전략 포럼’을 중심으 동은 원래 두 개의 별동 사이에 위치한 외부공간을 1980년
로 이루어졌는데, 2018년 4월부터 주간 정례모임을 통해 대 지붕을 씌워 증축한 것으로, 입체의 쌍대공 트러스를 기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공유·홍보하고 지역사회의 의견을 수 본으로 하여 중앙의 포스트 사이를 가로재로 연결하고 가
렴하는 역할을 하였다. 2018년 겨울부터는 ‘아트 컬리지’라 운데 대공을 설치해 왕대공과의 절충적 모습을 보여준다.
는 이름으로 문화재생 기획단이 만들어지고, 청년 예술가 이들 공장동의 공간은 산업시설 특유의 트러스 지붕구조로
들이 중심이 되어 문화를 생산하는 장소로 만든다는 기본 층고가 높고 내부가 오픈되어 있어 다중이용 문화시설이나
구상도 마련되었다. 특히 청년 문화기획자와 활동가들을 대형 창작공간, 카페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는 공간적 잠재
중심으로 SNS를 통해 대내외적으로 소통하고, 아카이브 력을 가지고 있다. 다만, 목재 트러스들의 보존상태가 좋지
전시, 스토리텔링 투어, 문화예술 컬리지 프로그램 등 크고 않아 부재 교체 등 대대적인 보수가 필요하며, 보존가치가
작은 모임과 이벤트들을 통해 지역사회의 참여와 협력을 상대적으로 낮은 부분은 공간의 구조나 형태적 흔적은 유
도모한 점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지하되, 새로운 건축재료나 구법을 과감히 적용해 신구 요
소가 양립하는 전면적인 개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4.3.3 폐공장 시설의 적응적 재활용
황폐해진 외부환경에 대한 정비가 2017년부터 우선적으
로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울타리를 걷어내 전체 단지를 개
방적인 광장 구조로 바꾸어 접근성과 외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였다. 또한 체계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정수장과 마찬가
지로 시설 사업에 앞서 정밀안전진단과 아카이브 용역을
먼저 진행해 2018년 완료했다. <그림 8> 공장동 톱니지붕 측창 <그림 9> 공장동 지붕 트러스 구조
4.3.4 문화공간 활성화 프로그램
정수장 프로젝트와 취지와 방향성, 추진시점과 과정 등
저수조
공장동 이 겹치다 보니 공통된 주체들에 의해 유사한 방식으로 진
행되었다. 다만, 정수장이 보다 주민생활과 밀착된 지역 중
등록문화재 재료실험동 심의 개념으로 진행되었다면 한림제지는 조치원역을 중심
학사관 으로 한 교통 입지를 바탕으로 전국의 창조그룹들이 소통
하고 교류하는 플랫폼을 마련한다는 보다 광역적인 시각에
<그림 6> 한림제지 폐공장 전경 서 추진되었다. 이 때문에 한림제지의 경우 준비 과정에서

文化空間硏究 l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75호 _ 2021. 8 109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through Adaptiv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Heritage


지역 소재 간 문화재단이 보조사업자로서 각종 파일 럿 측면에서도 공동체의 다양성을 담고 사회적 교류와 통합을
프 램 맡
로그 의 운영을 아 진행하기는 지만, 실무지원 차원 했 지원한다는 방향성과 지역민들의 다양한 여가활동과 휴식

을 넘어 사업의 실 적인 기획과 관리, 운영을 지속적으로 을 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이 어 가기에는 일정부분 한계를 러 면도 있다. 드 낸측 기여하는 사회적 인프라6 를 만든다는 목표 및 전략에 있 5)

프 램 격
각종 문화 로그 들의 본 적인 운영은 201 년 8 겨울 어서 상당한 유사성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그 결과에 대
트컬
‘아 작 격
리지’ 사업이 시 되면서 본 화되었다. 1, 2차에 해서는 한 제지의 경 아 림 로 우 직 프 젝트 마
가 무리되지 은 않
걸쳐 각종 파일 럿프 램
로그 들을 거의 주간 단위로 운영 했 데 우
다 정수장의 경 도 코로나1 로 인해 활용에 어 9 을 려움
데 량
는 , 1차 사업에서는 주로 역 강화활동의 일환으로 현장 겪 다 최근에야 운영이 재개된 상태 서 부분적으로만 그 여
답 투
사 어, 공유회의, 문화 살롱
, 지역 예술
가 공연 및 전시 성과를 확인할 수 있다.
행사 등을 진행하는 한 , 스 리편 토 텔링 투 청
어, 소년 대상 공공적 인식과 커뮤니티의 를 반영하는 지표인 3 참여 V

문화 로그 , 대 생 램 학 콘텐츠 톤
해커 , 창고 파티 등과 같은 와 V4
과 관련해서는 두 사례 두 사업 발 과 계획 단계 모 굴
이벤트 였
들을 개최하 고, 2차 사업에서는 도시재생 심포지 엄 터
에서부 지역 커뮤니티의 인식과 을 기반으로 진행되 협력
콜 움 워 숍
이나 로키 , 공간 상상하기 크 등 사업 실행계획 수 어 왔고, 거 버넌
스의 구성과 운영도 자 적이고 개방적인 율
립및 운영과 관련된 실무활동들을 주로 진행 다. 했 졌
구조에서 이루어 으며 그 역할 또한 의사결정의 주체로서
상당히 확대되어 있다는 점에서 정적 평가를 내 수 있 긍 릴
4.4 비교 분석 및 소결 다. 다만, 향후 사회적 네 트워
크의 확대와 활성화라는 면 측
에서는 정수장이 계획 당시부 지역 문화행사를 두에 터 염
두 사례의 추진배경과 과정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한 두고 공동체의 요구들을 수용해 왔고 현재 운영방향 또한
개요는 사례연구 서두에 제시된 <표 >과 다 의 <표 > 6 음 7 자발적 참여 교
와 연대가 비 적 수 한 구조인 반면, 한 제 월 림
에 요약 정리되어 있다. 우
지의 경 는 지역 자원에 기반한 실용적 활용이나 공동체
중심의 자생적 운영보다는 전문가 그 에 의존하는 비중이 룹
<표 7> 추진 프로세스 요약 비교 높고, 운영 주체와 방식을 고 이미 거 스 내 이 과놓 버넌 견
구분 조치원 정수장 문화공간화사업 한림제지 폐공장 활용 문화재생 갈 등을 노출 다는 점에서했 되는 면이 있다. 우려 측
타 홀미 통 합 월
- 운 팅 한 주민 의(’16.5 )
추협 월
타 홀미 통 합 월
- 운 팅 한 주민 의(’16.5 )
추협 월
문화적 유산의 보전을 의미하는 5와 관련해서는 일단 V
거넌버 스
- 사업 진 의체 구성(’17.1 )
립 월
- 운영계획 수 (’17.1 )
- 사업 진 의체 구성(’17.1 )
립 월
- 운영계획 수 (’17.1 ) 심미적, 건축적 가치만으로 중요성(signi icance)을 평가하 f
구성
협 월
- 폐산업시설 문화재생 의회(’17.2 ) 협 월
- 폐산업시설 문화재생 의회(’17.2 )
럼 월∼ 기 보다는 과거 산업건축의 시대적 보 성과 양식상의 전 편
토지·건물 유휴 국공유지 활용
- 한림제지 문화재생 포 (’18.5 )
- 보상 추진계획 수립(’17.1월)

형성을 보 주는 역사적, 문화적 가치와 지역 들의 과 민 삶
매입 - 토지·건물 매입 및 이전 완료(’17.3월)
- 부지 내 국유지 매입 완료(’17.7월)
밀착 되어 있었던 지역적 가치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관

- 정밀안전진단 (’17.8∼9월) - 유휴공간 아카이브(’17.10∼’18.5월)



점에서 과거의 기 을 지키면서 지속성과 생 을 는 명력 갖
- 실측 도면화 용역 (’17.8∼9월) - 정밀안전진단(’17.11∼’18.3월) 현대적 활용에 가치를 부 하는 두 로 여
의 전 적 방 프 젝트 략
- 총괄건축가 선정 및 위촉 (’17.6월) - 3D스캔 도면화 용역(’17.11∼12월)
- 세종문화정원 설계공모 공고(’17.11월) - 학사동 복원공사 (’18.9∼’19.3월)

향성은 대체로 적 해 보이며, 변경 업이 본 화되기 전에 작 격
시설사업 - 설계공모 당선작 선정(’18.2월) - 등록문화재 등록 신청 (’18.10월) 카 브
아 이 를 통해 과거의 적은 물론 현재의 상태와 요구 흔
(HW) -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18.3∼8월)
- 리모델링 공사(’18.10월∼’19.7월)
- 총괄건축가 선정 및 위촉(’18.12월)
- 리모델링 설계지침 수립(’18.12월)

에 대해 기 화한 로세스 또한 프 정적이다. 매우 긍
- 문화공간화 사업완료 및 개방(’19.7월) - 한림제지 설계공모 공고(’19.1월)
- 기본 및 실시설계 완료 예정(’19.5월)
유산의 현대적 재활용을 위한 적응(adaptation) 개 및 입
- 리모델링 착공 예정(’19.6월)
(intervention)의 방 론에 대한 법 의 면에서는 새로운 V6 측
- 기본구상 용역(’16.10∼12월) - 문화재단 대행사업 추진(’18.2월∼)
적응의 과정에서 지역 공동체를 중심으로 공적인 논의를
- 총괄기획자 위촉(’16.12월) - 총괄기획가 모집공고 및 선정(’18.3월)
문화 - 1차 시범프로그램 운영(’17.5∼10월) - 민간 보조사업자 선정(‘18.11.15)

거 고, 이를 통해 기존 산업시설이 가지고 있는 물리적,
프로그램 - 2차 시범프로그램 운영(’17.7월) - 1차 시범프로그램 운영(’18.12∼´19.3월) 립
공간적 특수성과 양 할 수 있는 용도변경을 추진 다는 했
(SW) - 문화재단 대행사업 협약(’17.8월) - 2차 시범프로그램 운영(’19.4월∼)
- 코로나19 운영 잠정중단(’20.2∼‘21.3월) - 재생사업방향 조정에 따라 아트컬리지
점에서 전반적으로 유사하며 정적이다. 하지만, 정수장이 긍
- 비대면, 소규모 운영 재개(’21.3월∼) 프로그램 잠정 중단(‘19.8월∼) 과거의 기능과 정수과정을 그대로 보 주는 설비들을 여 잘
보존하고 있어 체 험·교육
형 공간으로서의 재 이 크고, 잠 력
앞서 분석의 틀로서 도출된 가치 지표들을 중심으로 진 각 시설물의 형태나 구조에 있어서도 원형을 그대로 리 살
행과정과 결과를 구체적으로 비교 분석해 보면, 우선 V1의 초 프
관점에서 두 사례 모두 오랜 시간동안 지역 주민들의 삶과
65) 국내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기 생활인 라’, ‘생활 SOC’와
일 만 람
유사한 개념 수 있지 , 사 들의 교류 방식을 정 고 사회적 유대 결짓
밀착되어 있었던 산업시설로서 과거의 기억과 역사적 상징 관계와 공동체를 형성하도록 하는 물리적 공간이 조 이라는 의 로 나 직 미
프 였 E
을 담고 있어서 지역의 집합적 자아인식과 그에 따른 가치
‘사회적 인 라’라는 용어를 사용하 다. ric Klinenberg. Palaces for the
People: How Social Infrastructure Can Help Fight Inequality, Polarization,
를 보존하고자 하는 계획 목표와 의지가 분명하고, V2의 L
and the Decline of Civic ife. New York. Crown. 2018. p.16

110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Serial No. 75 _ 2021. 8
적응적 재활용을 통한 유휴 산업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재생


거나 과적으로 노출할 수 있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은 많 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에서 유사하며 또한 정적이다. 긍
데 림
에 반해, 한 제지의 경 는 지 우
러스 구조나 니형 붕트 톱 정수장 계획에서는 기존의 물리적 경계를 없애
인접한 공

고 창 등 과거 공장 건축의 유형적 특징들이 기본적으로 원과 연계시 켜 지역사회를 향해 열려 메
있는 어 니티
유지되어 있지만, 폐허
로 10년을 방치되다 보니 야 수 외저 듦 써
(amenity)를 만 으로 사회적 교류 늘린
를 다는 도시적

조 등 일부를 제 하면 생산시설의 원형이나 설비 적들 흔 관점이 담겨 림 프 젝트
있고, 한 제지 로 역시 기존의 타 울
이 거의 남아 있지 고, 지 , 않
등의 형과 구조 부 붕 외벽 외 걷
리를 어내 전체 단지를 개방적인 광장 구조로 바 어 꾸
재들도 심하게 훼손
되어 대대적인 보수와 체가 요한 교 필 편 였
접근성과 이용 의성을 높 다. 다만, 정수장의 경 사 우
상태라는 점에서 서로의 건과 과제가 차이가 다. 여 난 트 입 편
이 진출 을 위한 의성이나 인접부의 보행환경은 상

정수장은 과 한 용도 변경과 현대적 표현을 추가하는 교
당히 개선되었지만, 위치상 대중 통 접근성이 어지고 떨
적응적 재활용을 추구하면서도, 기본적으로 ‘비 ’이라는 태 움 천 鳥川
조 ( 쪽
)변 간선도로 으로는 확장성과 연결성 면에서

도로 과거의 적을 존중하고 새로운 개 을 상당히 제 입 절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한 제지의 경림 우입지 상 중심지의
·
하면서 신 구가 서로 조화하는 구조를 보 주고 있다. 선 여 우 교 절 워 교
통 결 점과 가까 대중 통 접근성이나 주변과의 연

본관의 경 역사적 가치가 높은 형을 부분적 수리를 통 외 결성 면에서는 유리하지만, 부지 주변의 인접도로 체계가

해 실히 보존하면서 기존 실내공간의 구조와 설비의 흔 흡
미 하고 고 적인질 불법 주차 문제를 안고 있어 보행 화 친

적들을 적 활용해 새로운 문화적 용도를 수용함으로 써 력 복
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가로의 활 을 회 하기 위해서는
즘 벗 났
단순한 파사디 에서 어 고, 증축동의 경 과 하게 기 우 감 력 필
추가적인 노 이 요할 것으로 보인다.
입 외 교 여
존 면을 유리 피로 체하 과거의 적을 부분적으 흔 효
환경의 과적 관리에 해당하는 V9 측
의 면에서는 두 사
로는 노출하되 전체적으로는 본관과 대비되는 개방적이고 모
례 두 추진과정에서 환경에 대한 공공의 인식을 환기시

현대적인 공간으로 바 었다. 한 제지의 경 는 서 언급 림 우 앞 민 참여 천
키고 지역 들의 했
와 실 을 유도 다는 점과 기존 주
한 물리적, 구조적 문제들로 인해 보존과 활용의 가치에 대 략
요 구조물과 시설들을 재활용하는 전 을 통해 자원 활용

한 확한 구분과 평가를 바 으로 원형 보존 또는 회 이 탕 복 폐 측 친
과 기물 관리 면에서 환경성을 확보 다는 점에서 했

요 되는 부분과 범위에 대한 분 한 정의와 제한이 선 명 우 찾
공통적 의의를 을 수 있다. 또한, 대상지와 주변이 폐쇄
시 된다. 붕괴 험
위 이 있었던 사관 건물은 원형에 근거한 학 절 저 저
적으로 단 되어 현 하게 하되었던 지이용 상의 토 효율
복원정비를 마친
상태이지만, 등 문화재인 사관 인접동 록 학 질 준
을 높이고 환경의 전반적인 적 수 을 개선시키는 과 효
을 포함한 전체 공장동 및
부속 건축물에 대해서는 수리와 명
또한 분 해 보인다.
복 필
원정비가 요한 일부 부분들을 제 하고는 창의적인 태 외 V
환경에 대한 미적 접근을 의미하는 10에 있어서도 대
도로 보다 광범위하게 개 과 변형을 시도할 요가 있다.입 필 체로 우호 릴
적 평가를 내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변화된 시대

개 적인 건축요소들의 원형에 하기보다는 공장 건축 집착 친
적 요구에 적응해 환경적 개념과 계획 원리가 설계에 폭

특유의 공간 과 공간구조 상의 특징을 유지하면서 대공간 넓 될 밖 없 술 측
게 적용 수 에 고, 기 적 면에서도 강화된 현재

의 장점과 통성, 가변성을 부각시 수 있는 현대적 문화 킬 의 환경 및 너 준 록 작 필
에 지 성능기 에 부합하도 하는 업이

생산공간으로 바 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옛
수적으로 동반된다. 또한 ‘ 것’과 ‘새로운 것’의 가치를 미
V7
의 도시문제에 대한 대응과 해 면에서는 산업시 법측 립 려
적으로 양 시키 는 의도와 주변 경관을 고 해 스 일이 려 케

설로서의 용도가 기된 후 사 들의 생활환경으로부 단 람 터 호
나 공간적 상 관계에 있어 조화를 추구하고 있다는 면 측
절 채
된 장기간 방치되었다는 공통적 배경에 주목할 요 필 긍 우 천
에서 정적이다. 다만, 정수장의 경 조 변 경관이 지형
가 있다. 이는 단순히 경관을 해하는 물스러운 존재라 저 흉 차이와 차 음벽 절
으로 인해 단 되어 있고 주변 경관이 아 직
는 의미를 넘어 공동체의 안전을 위 하는 범지대로 전 협 우 못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하고 있다는 아 쉬움 림
이 있다. 한 제
락할 수 있고 주변의 쇠퇴를 가속화 시 수 있다는 점에 킬 우 낙
지의 경 도 도시 미관의 차원에서 후된 주변 지역의 체

서 은 사회적, 환경적 문제를 내포하고 있으며, 이 문 때 필 여
계적인 정비가 요하다는 과제가 전히 남아 있다.

에 사업 초기부 시대적 변화와 커뮤니티의 새로운 수요 · V
환경 경제적 요소에 해당하는 11은 전생 주기에 애 걸쳐
를 반영한 적응적 재활용에 대한 요구가 높 다. 또한, 았 황 f 너
발생되는 비용(li e cycle cost)과 내재에 지(embodied
폐해진 유휴공간을 정비해 주변 환경의 안전성과 접근성, 판 필
energy)의 관점이 반영된 단이 요하다. 히 로 흔 프 젝트
쾌적성을 개선한다는 일관된 방향성을 , 사회적으로나 볼때 의 경제성을 고 할 려 때 토 매입지 비나 건설비용 등과 같은

환경적인 면에서 커뮤니티에 정적인 영향을 가 오는 긍 져 초기 투입 판 쉬 데
비용에 한정해 단하기 운 , 적응적 재활용을
방향으로 사업이 추진되었다. 얻
통해 을 수 있는 가장 명백한 장점 중 하나는 건물의 생
접근성과 이용의 의와 관련된 편
의 관점에서 보면 V8 애 주기를 연장시 으로킴 써 철 및 폐 따른
거 기에 비용과 환
두 로 프 젝트 모두 개개 시설물의 보존과 활용을 넘어 도 담 줄
경적인 부 을 일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전체적 방향

시 인 라로서의 기능과 커뮤니티 내에서의 지속적 활용 더
성이 같 라도 노후도나 공간의 구조적 특성 등의 물리적

文化空間硏究 l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75호 _ 2021. 8 111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through Adaptiv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Heritage

프 램
속성이나 로그 요구사 에 라 그 용의 크기와 범 항 따 효 반면에, 한 제지 로림 프 젝트 우
의 경 는 보다 광역적인 관점
위가 다를 수 있고, 단순히 적응 과정에 소요되는 초기 비 에서 추진되다 보니 지역 경제주체들의 역할이 상대적으로

용 에도 결과로서 게 되는 기능의 개선과 사용상의 얻 편 제한되고, 그 성과를 지역 경제에 선순환 시 다는 방향성 킨
익 ·
또한 환경 경제적 성과로 고 해야 한다. 려 은 있으나 실제로 지역의 경제 생태계 내에서의 접 면을 촉
V
12의 경제적 타당성 면에서는 정수장의 경 지방자 측 우 늘 효
리고 소비와 생산, 유통의 순환 과를 키 수 있을 지 울
치단체 소유의 유휴자산을 활용해 20 원을 약간 상회하는 억 는아 직불
확실하다.

상대적으로 은 시설공사 비용을 들 리 과 신축, 여 모델링 가로 및 권 효 V4
상 활성화 과는 1 의 문화관광과도 접 밀
공원의 조경 개선까지 상당히 포괄적이고 광범위한 환경개 하게 연관되어 있다. 시설 조성에 경제적 상따른과가 승효

선을 다는 점에서 비용 -편익
이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 객
나타나기 위해서는 방문 증가와 인 증대가 요하고,흡 력 필
다. 다만, 향후 조성된 공간을 경제활동에 과적으로 활용 효 별
이를 위해서는 공간 자체의 차 성과 역사적 상징성은 물
해 자생적 운영 모델
을 만들고 수 이 지역사회 내에서 선 익 론 지역 관광및 체 험프 램
로그 과의 연계가 수적이다.68) 필

순환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우선 정수장은 과거의 적들을 흔 잘
보존하고 활용해 역사

이에 비해 한 제지는 전체 사업비의 반 이상이 대상지 절 험
와 문화적 체 이 공존하는 문화공간으로 조성되었고, 한 림
매입 에 소요되었고, 구조적 보강이나 보수 업의 범위가 작 프 젝트
제지 로 편
는 제사공장, 물공장, 조치원 고 시 실, 여 임 교
크다는 점, 현재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는 점에서 시설 조성 쳐
제지공장을 거 왔다는 역사적 서사와 등 문화재로 지정 록

과정의 비용 과가 상대적으로 어 수 에 다. 하지 떨 질 밖 없 켜 객 늘 려 략
된 유산이라는 점을 부각시 방문 들을 리 는 전 을
만, 주변 정비나 유휴시설 활용을 통해 발생하는 이적 편익 가지고 있다. 두 사례 두 모 청춘
조치원 어, 스 리 투 토 텔링

지 고, 제조시설 특유의 공간적 스 일과 공간구조 등을 케 투어 등의 주요 코스로 활용되는 등 대체로 정적인 긍 모습
려 때
고 할 익
향후 보다 수 성 높은 사업에 활용 수 있기 될 도 보이지만, 산업유산의 특수성이 부각되는 공간형 콘텐츠
때 문에 구체적 운영계획에 라 평가가 라 수 있다. 따 달 질 나 다양한 방문자들이 소비할 수 있는 특화된 문화 상 의 품
V 13에서 다루는 경제적인 파급 과와 관련해 그동안 국 효 직 흡
개발에 있어서는 아 미 한 부분이 남아 있다.
내 연구들에서는 주로 지역 투입 모
산출 형(regional input
<표 8> 두 사례에 나타난 적응적 재활용의 지속가능성 평가 요약
output model) 기반의 산업간 연관관계를 통해 생산 유발
효 효 효 여 요소 가치 세부 평가항목 정수장 한림제지
과, 부가가치 유발 과, 고용 유발 과 등을 추정하 정 지표 과정 결과 과정 결과
량 -
화하는 산업연관분석(inter industry analysis)을 사용해 집단적 기억의 보존
V1 ․․문화적 다양성과 정체성 ○ ○

왔다.66) 하지만, 지역 세분화된 산업연관표가 구축되지 ․사회통합을 위한 다양성, 친근감, 안전성 확보
않 아 국가차원의 연관관계를 지역에 동일하게 가정함으로 V2 ․사회적 인프라(생활 SOC)로서의 활용
․여가 및 휴식 제공을 통한 생활만족도 향상
○○○△
써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기 어 고, 대 렵 규모
지역사업이 아
V3 ․지역적 수요에 대한 인식과 반영
◎○◎△
닌 규모
소 재생 사업에서 투입 예
되는 산을 산업분 에 맞 류 사회
(문화 포함)
․공공적 정보 및 지식의 공유
V4 ․공동체 참여 및 과정의 투명성과 개방성 ◎ ○ ○ △

추어 분 하고 이에 라 따 편익 략
을 개 적으로 산출하는 것 ․사회적 네트워크 지원 프로그램의 제공
․역사적 고유성과 희소성 보존
효 떨
자체가 실 성이 어지는 면이 있다. 라서 본 연구에측 따 V5 ․심미성과 문화예술적 가치의 발견과 반영 ○ ○
서는 시설 조성에 따른
사회적 경제67) 관점에서의 주 민 ․과거 산업에 대한 기억의 아카이브
물리적, 공간적 특수성에 대한 반영
편익 과 환경 개선에 가로 따른 및 권
상 활성화 과에 대 효 V6 ․유산의
․재활용 계획 및 설계의 창의성과 적절성 ◎ △
․유휴공간 방치에 따른 사회문제 대응
해 논하고자 한다. 시설 사업을 통한 지역공동체 차원의 V7 ․쇠퇴한 도심의 지역적 활력 회복 ○○○○
사회경제적 편익
은 공간 로그 의 설정이나 운영방향과프 램 사회․환경
V8 ․보 행 친화도와 대중교통 접근성
․주변 상권 및 편의시설과의 연계 △ △
깊 게 관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각에서 두 사례는 볼때 ․대지의 효율적 이용
큰틀 에서 공유하는 가치가 유사하면서도 실행 방향성에 V9 ․자원의 재활용 및 폐기물 관리 ○○○○
있어서 다소 상이하다. 정수장의 경 문화 을 만들기 사 우 마 환경 ․공공의 환경 인식 및 실천

V10 ․적용된 디자인 및 기술의 친환경성 ○ ○


업과 문화 샘터
사업 등 기존의 소 지역 단위 로 규모 프 젝트 ․주변 환경과의 경관적 조화
․생애주기비용을 고려한 비용효과
들과 연계해 지역 주 들 스스로 사회경제적 역할을 도민 찾 환경․경제 V11
․기능의 개선과 사용의 편리성 ○○○○
록 데 했
하는 에서 출발 고, 지역의 문화 소비나 체 관광 험· ․사업비용과 일정의 경제적 효율성
V12 ․공간 프로그램의 타당성과 운영의 건전성 ○ △
등으로 연결되어 지역 경제에 영향을 가 개연성이 크다. 질 경제
V13 ․지역 일자리 및 경제활동의 증가
․지역경제에 대한 기여와 커뮤니티에서의 활용 ○ ○ ○ △
․관광 및 체험 프로그램 연계 운영
66) 윤병훈․남진. 도시재생사업의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대한국토․ 경제․사회 V14
․가로 활력 증대 및 상권 활성화 ○△○△
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제50 제8호. 2015. 12. pp.19–38
67) 사회적 경제란 사회서비스의 질 개선,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지역 공
동체 재생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우위에 두는 경제활동을 의미한다. 광 붐 거 후 미
Global Social Economy Forum 및 서울 사회적경제 포털의 설명 참조 68) 서 영․박진아. 도시재생 업사업으로서 점시설 조성 전 지역이 지
효 울 권 –
변화 및 시설 과 분석. 서 도시연구 제19 제2호. 2018. 8. pp.11 12

112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Serial No. 75 _ 2021. 8
적응적 재활용을 통한 유휴 산업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재생

5. 결론 인다.
엇 금
그리고 무 보다 지 까지 공공이 지원하는 거점시설 조
본 연구는 최근의 시대적 흐름과 사회 문화적 배경에 · 예
성사업들에서 산과 일정에 대한 경 성 문에 향후 지 직 때
주목해 산업유산의 적응적 재활용에 대한 기본개념과 이 마
속가능한 운영 구조를 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
론적 배경에 대해 고찰하고, 지속가능성의 주요 축인 사회 식하면서도 물리적 시설 조성 자체에 치중하는 경향성이
적, 경제적, 환경적 차원에서의 주요 가치지표와 세부 평 있었다. 다행히 두 사례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 으로 공 탕

가 목에 대한 분석의 을 도출한 후, 실제 사례에 적용 틀 간을 채우
고 상시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로그 과 프 램 콘텐
교 했
해 비 분석을 진행 다. 사례연구는 세종시 조치원의 두 츠 민 터
에 대한 고 을 사업추진 초기부 계속 해왔고, 단순히
대상지를 선정해 지역 커뮤니티를 중심에 새로운 시각 둔 충
문화시설 확 만이 아니라 사회적 경제활동과 연계시 지 켜

에서 산업유산이 는 지역적 특성과 적응적 재활용의 지 겠 프
속가능한 사회적 인 라를 조성하 다는 방향성을 가지고
속가능성에 주안점을 두고 이루어 다. 졌 모 여 긍
있었다는 점에서 정적인 면 을 보 주고 있다. 다만, 현
사례 분석의 결과에 대해서는 서 소결의 내용과 <표 앞 직
실적으로는 원도심의 문화공동체 조 이나 사회적 경제조
8 므
>에 요약되어 있으 로 생 하고, 이를 통해 도출할 수 략 직 량
의 역 이 아 직충
숙 못했
분히 성 되지 고, 과정상의 노 력
있는 시사점에 대해 논하는 것으로 결론을 하고자 한 갈음 불 질
과 건전한 방향성에도 구하고 실 적인 성과를 내지 못

다. 선 두 사례는 최근 중 정부의 공 사업 선정을 계기 앙 모 한채 버넌
지역 거 갈
스 내의 시각차와 등도 일부 노출하고
로 로 프 젝트 직
의 접적인 추진동 을 기는 지만, 선정 력 얻 했 떻 질
있어서 향후 어 게 커뮤니티 내에서 실 적인 성과를 만

이전부 유휴공간 정비에 대한 지역 들의 지속적인요구 민 잡 록
들고 그 성과가 지속적으로 자리를 도 할지에 대해서
와 산업유산에 대한 보전과 활용에 대한 관심이 사업 추진 여
는 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의 거름이 되었다. 사업 선정후에는 기존의 관( )주도의 官 앞 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는 후속 실증연구가 정 예
프 벗
로세스를 어나 사업 추진의 실 적 주체로서의 거 질 버넌 측
되어 있는 정성적 선행 단계의 면이 있고, 현 단계의 분
스 구성과 운영에 노 을 기 으며, 거 력 스에 하는 울였 버넌 참여 석과정과 결과에 있어서는 부분적인 한계를 노출하고 있는
각 주체들도 각자의 관심과 전문성에 라 다양한 목소리 따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개 로 별 프 젝트
의 공간계획 분석이
를 내고 서로 히 소통하고 긴밀 다는 점 역시 주목할 협력했 나 전반적인 활용 유형 및 했
경향성에 치중 던 선행연구들

만하다. 그 에도 아 운 점은 이러한 지역 거 쉬 스의 관 버넌 달 더욱
과는 리, 최근 강조되고 있는 지속가능성과 지역 커
심과 참여 불
에도 구하고 현실적으로 보조 등이 지원되는 금 뮤니티 중심이라는 두 가지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주제에
모 밖 없
공 사업 등에 의존할 수 에 었고, 추진체계나 방식에 했 찾
접근 다는 점에서 의의를 을 수 있다. 또한, 기존 연구
있어서도 실 적 재원을 질 책임 지고 있는 공공이 주도적 역 풀
에서 되 이 되고 있는 결과물에 대한 정태적 분석에 무 머
밖 없
할을 할 수 에 었다는 점이다. 이는 국내 대다수의 산업 르 않 프 젝트
지 고, 로 의 전 과정에 걸쳐 프
그 로세스를 추
유산 보존 재생 로및 프 젝트 편
에서 보 화 되어 있는 한계이 · 록 겠
적 기 하고 결과를 실증하 다는 시도라는 점에서 차 성 별
데 렇
기도 한 , 이 다 보니 유휴 산업시설들을 재활용할 주 때 찾
을 을 수 있을 것이다.
로 공공적 용도에 부합하고 포괄적이고 보 적인 운영 계 편
우 좋
획을 세 기 은 문화 관련 합커뮤니티시설로 중되는 복 편 참고문헌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해 사례에서 외 처럼 마 료 민 욱 울:
1. 야 자키 (2012). 커뮤니티 디자인 ( 경 역). 서 안그라
세제 혜택 금
이나 보조 등의 인 티 를 통해 간의 를 센 브 민 참여 픽
스.(2011)
려 69
장 하는 방안 이나 부동산 리 나
) 방식을 통해 공 츠 펀드 마 료 누 4 작 마
2. 야 자키 ․이 이 구미코(201 ). 은 을 디자인하기 ( 염

공과 간이 개발비용과 이 을 분 하고 공유하는 방식 익 담 혜 울: 우
은 역). 서 디자인하 스. (2012)

려 볼 측 K E 9 떻 삶 꾸 민
3. linenberg, .(201 ). 도시는 어 게 을 바 는가 (서종
등도 고 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건축계획적인 면에
역). 서울: 웅 우 8
진지식하 스. (201 )
서는 원형 보존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적은 산업유산의 경 4 법

. 강동진․이석환․최동식 (2003). 산업유산의 개념과 보전방
, 새로운 적응(adaptation)의 차원에서 보다 창의적이고 토 학 「 토 」 8권 호
분석. 대한국 ․도시계획 회지 국 계획 . 제3 제2

적 적으로 기존 형태나 용도를 바 수 있도 실 성 있 꿀 록 효 법
5. 강동진 (2010). 산업유산 재활용을 통한 지역재생 방 론 연구.
준 드
는 기 과 가이 라인이 련되어야 하며, 증개축이나 용도 마 학
한국도시설계 회지 제11 제1권 호
변경 등에 대해서도 보다 유연한 접근이 요할 것으로 보 필 6. 강동진 (2013). 도시재생 관점에서의 도시유산 개념 정의에 관
토 학 「 토 」 48권 6호
한 연구. 대한국 ․도시계획 회지 국 계획 . 제 제
각 센브 참 할만 미 7 김 호 입
. 현주․이상 (2012). 지 유형에 따른 유휴 산업시설의 재
69) 해외 국의 인 티 에 대해서는 다음 연구들을 고
E
하다. 국 사례
ugene Choi. Adaptive Reuse of Religious Buildings in the U.S.: 학 집
활용 계획 특성. 대한건축 회논문 계획계 제2 8권 4호 제
Determinants of Project Outcomes and the Role of Tax Credits. TD E 8 김 호
. 현주․이상 (2013). 문화공간 조성 사례에 나타나는 유휴산
Archive Paper 66. 2010 ; 캐나
다 사례 Shipley et al. Op. Cit. pp.505-520 ; 법 학 집
콩 L E
홍 사례 Craig angston․Francis K.W. Wong․ ddie C.M. Hui․ i-Yin L 업시설의 재활용 계획 방 연구. 대한건축 회논문 계획계
제2 9권 6호

Shen. Strategic assessment of building adaptive reuse opportunities in
E
Hong Kong. Building and nvironment. 43(10). 2008. 10. pp. 1709-1718 9 박 민 천
. 재 ․성종상 (2012). 산업유산 개념의 변 과 그 함의에 관

文化空間硏究 l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75호 _ 2021. 8 113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Regeneration through Adaptive Reuse of Abandoned Industrial Heritage

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21권 제1호 32. Ij A & B ö T


la, . T
rostr m, . (2015). he sustainable viability o f
10. 박소연․이경훈 (2015). 구도심 내 근대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f :T x
adaptive reuse o historic buildings he e periences o t o fw
문화클러스터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w ;B P
orld heritage old cities ethlehem in alestine and isby V
제 24권 6호 in Sw I I J
eden. nternational nvention ournal o f A rts and
11. 왕세학․서동진․김주연 (2014). 근대산업유산의 재생을 통한 Social Sciences 2(4).
예술창의공간 공간구조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 33. Loures, L. (2017). P ost-industrial landscapes as drivers for
회논문집 통권 48호 urban redevelopment : P x
ublic versus e pert perspectives
12. 우승현․이지혜 (2016). 문화시설로 재활용된 도심산업유산의 w f f
to ards the bene its and barriers o the reuse o f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통권 53호 I 4
postindustrial sites in urban areas. Habitat nternational 5.
13. 유희정․김주연․신혜원 (2013). 근대산업유산의 유휴공간을 활 4 w S S &G
3 . Le in, . . C T f w
oodman, . (2013). rans ormative rene al
용한 컨버전디자인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J fG B 84
and urban sustainability. ournal o reen uilding ( ).
논문집 제8권 1호 35. M S & K
artinis, . D 7 S
ontoni, . (201 ). ustainable urban
14. 정민주․이찬 (2014). 근대산업유산 재생을 위한 커뮤니티디자 f G k
planning interventions in the historical center o the ree
인 특성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제 23권 4호 w fK I
to n o alavryta. Habitat nternational 3. 6
15. 채혜인․박소현 (2015). 문화유산 국제보존원칙에서 나타난 역사 6 Mı ı ı D
3 . 6 A f
s rl soy, ., et al. (201 ). daptive reuse strategies or
도시경관의 보존개념.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31권 제2호 heritage buildings :A S C
holistic approach. ustainable ities
and Society 26.
16. 최강림․이승환 (2009). 역사문화환경을 활용한 도시재생계획 사
례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국토계획」. 제44권 제2호 37. Mitoula, R., et al., (2013).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17. Catling, C. (2013). Constructive Conservation: Sustainable
City of Volos through reuse of industrial buildings.
Growth for Historic P laces. London: English Heritage. Sustainable Development, Culture, Traditions Journal
2(2013(B)).
18.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Heritage(2004). Adaptive
38. Tweed, C. & Sutherland, M. (2007). Built cultural heritage
Reuse. Commonwealth of Australia: Canberra.
19. Kalman, H., (2014). Heritage planning: P rinciples and
and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Landscape and Urban
process. London: Routledge.
Planning 83(1).
39. Yung, E. H. K. et al. (2013). Community-initiated adaptive
20. Latham, D. (2000). Creative reuse 1-2. Shaftes-bury: reuse of historic building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Donhead Publishing. the I nner City of Shanghai.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21. Levy, J.(2011). Contemporary Urban P lanning (9th ed.). Boston: Development 140(3).
Longman. 40. Zhang, S. (2007). Conservation and adaptive reuse of
22. Mallach, A. (2011). Bringing buildings back: F rom industrial heritage in Shanghai. Frontiers of Architecture
abandoned properties to community assets. New Jersey: and Civil Engineering in China 1(4).
Rutgers University Press.
23. Mason, R. (2002). Assessing Values in Conservation
P lanning : Methodological issues and choices. Los Angeles: [논문접수 : 2021. 02. 01]

The Getty Conservaion Institute. [1차 심사 : 2021. 04. 28]

24. Reiner, L. (1979). How to Recycle Buildings. New York:


[2차 심사 : 2021. 06. 04]

McGraw-Hill. [게재확정 : 2021. 06. 04]

25. Rodwell, D. (2007). Conservation and Sustainability in


Historic Cities. Oxford: Blackwell.
26. Zielenbach, S. (2000). The art of revitalization–I mproving
conditions in distressed inner-city neighborhood. New York
& London: Garland Publishing.
27 Alias, A. et al. (2016). Revitalising critical components of
urban decay features. Journal of Building Performance
Simulation 7(1).
28. Bullen, P. & Love, P. (2009). Residential regeneration and
adaptive reuse-Learning from the experiences of Los
Angeles. Structural Survey 27(5).
29. Bullen, P. & Love, P. (2009). F actors influencing the
adaptive reuse of buildings, Journal of Engineering. Design
and Technology 9(1).
30. Cano, M. et al. (2013). Historic preservation, GIS, & rural
development: The case of Almería province, Spain. Applied
Geography 42.
31. Haidar, L. & Talib, A. (2018). Traditional N eighborhood
Adaptive Reuse in the Old City Sana’a, Yemen. Asian
Journal of Environment-Behaviour Studies 3(10).

114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Serial No. 75 _ 2021. 8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