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9

장소성과 장소체험

대구가톨릭대 조경학과
08103914 이경규
12104876 김예지
12104891 김한나
장소성 형성을 위한
장소체험과 이미지 구현 연구

12104876 김예지
목차
I. 서론
 배경 및 목적
 조사 범위 및 방법
II. 이론적 고찰
 장소성의 형성과 장소체험
 장소체험과 이미지 구현
 장소체험과 이미지 구현 구조
III.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 구현 요인
 시각체험중심의 이미지구현 요인
 신체체험중심의 이미지 구현 요인
IV. 도시공원의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구현 분석
 분석대상 도시공원
 사례분석
 소결
V. 결론
Ⅰ.서론
1. 배경 및 목적
장소성과 이미지 형성
20세기 이후 지속가능성과 삶의 질적인 향상에 대한 관심 증대
 양적 기능적 접근만이 아닌 공간의 질적, 정신적인 측면의 접근
 이미지는 장소 의미의 표현 방식으로서 체험을 결정하며 장소를
인지하는 효과적인 매개체
 공간에서 이미지 구현은 과거와 현재의 장소적 의미의 인식과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여 장소성 형성에 기여

A. 인간이 장소를 체험하는 과정에서 이미지 구현 요인 파악


B. 도시공원의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 구현 방식 파악
Ⅰ.서론
2. 조사 범위 및 방법
 아돌프 힐데브란트의 공간인식 이론

 시간적으로 역사, 전통, 장소성, 상징성


등을 중요한 디자인 개념으로 강조한
2000년대를 전후하여 국외에 조성된
도시공원을 대상

 공원 조성 전 다른 용도로 사용되었던
곳을 재생하여 조성한 공원 대상

 도출된 이미지 구현 방식을 토대로


도시공원 사례의 이미지 구현특성 분석
Ⅱ. 이론적 고찰

1. 장소성의 형성과 장소체험


 장소성은 장소의 인지에 의해 형성
장소의 의미는 인간의 행위과 관계

 공간 체험의 연속적인 속성은 인간의 눈이라는


시각의 인지와 움직임이라는 신체행위를 통해
환경과의 상호작용

 장소의 지각적, 의식적 연속의 인지는 장소의


이미지 요소가 그 매개체가 된다.
Ⅱ. 이론적 고찰

2. 장소체험과 이미지구현
 장소의 공간구성 요소들을 활용  장소의 맥락적 특성을
구현하는 이미지를 제공  장소이미지 형성

 장소 이미지의 반복적 체험이 장소성의 형성으로 연결

▲장소체험의 인지과정
Ⅱ. 이론적 고찰
3. 장소체험과 이미지구현 구조
 공간의 지각
1.고정된 관찰자의 존재에 의한 지각의 과정시각체험중심
2.관찰자의 신체적 이동에 의한 지각의 과정신체체험중심

 이미지= (직접적 감각 자료+과거의 경험들, 태도,


가치를 종합한 결과) + 주관적 지식

▲장소체험의 과정에서 이미지형성 구조


Ⅲ.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구현 요인
1. 시각체험중심의 이미지구현 방식
 장소의 고유성을 랜드마크, 결절점 같이 시각적으로 상징화된 장치를
형성하는 방법과 구심을 형성하는 배치를 통하여 형성된다.

1. 가시화를 통한 상징 형성
장소의 역사적, 문화적 의미를 은유적으로 시각화하여 그 성격을
추상화하여 표현

2. 장소영역의 성격을 가시화하는 구심형성


공간의 영역을 주변과 차별화시켜서 한정하는 방법과 공간의 배치
변화에 의한 대칭화, 고립화, 상승화 등을 통해 형성
Ⅲ.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구현 요인

2. 신체체험중심의 이미지구현 방식
 체험자의 행위 요소는 주변 환경과 매개할 수 있는 여러 요소와 정보
들의 변화 가능성과 다양함이 늘어날수록 신체와 공간이 다양한 관계
를 맺고 풍부한 장소체험을 형성하게 된다.

1. 다양한 장소체험을 형성하는 시퀀스형성


연속적인 공간경험이 축적되어 장소에 대한 이미지가 형성되고,
공간 경험을 형성하는 움직임의 유발은 공간체험에서 시퀀스개념
으로 파악

2. 활동프로그램을 위한 공간장치
이용자의 활동 유형에 따라 관람형, 여가활동형, 참여형으로 분류할
수 있고 각 프로그램에 적합한 공간 장치를 구현해줌으로써 특정 장소
안에서 의미를 형성시키는 매개체의 작용
Ⅳ. 도시공원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구현 분석

1. 분석대상 도시공원
Ⅳ. 도시공원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구현 분석
2. 사례분석
1) 베르시공원 - 프랑스
 산책로는 기존의 동선인 사선과 호를 고려하고 여기에 평행한
산책로가 겹치도록 구성

 공원 내에 포도주 과수원을 조성하여 기억장치로 활용

 수공간의 조성과 다양한 바닥레벨의 구성으로 입체적 동선을 구성

 다양한 체육프로그램이 이루어지는 공간 장치 조성


1) 베르시공원
◀포도과수원
조성

입체적공간 ▶
조성
Ⅳ. 도시공원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구현 분석
2) 뒤스부르크 노드파크 - 독일
 공간감의 입체적 변화와 분절과 다시점의 체험을 형성

 적철광판을 이용해 광장을 조성하여 은유적 기억장치이자


시간의 흐름을 반영하는 공간을 형성

 대비되는 재료, 형태를 이용한 수직이동


장치를 조성하여 체험적 요소 조성

 산업시설을 활용한 수영장, 암벽등반 등의


체험형 활동장치로 활용
2) 뒤스부르크 노드파크
Ⅳ. 도시공원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구현 분석
3) 노리다케 공원 - 일본
 공장 건물을 활용한 다양한 전시와 문화예술의 공간 형성

 물과 오솔길, 잔디밭, 나무들로 도심 속의 휴식공간 형성

 지형의 높이차를 이용한 다양한 브릿지를 조성하고 순환형 동선을


형성하여 연속적인 흐름과 다시점의 체험을 형성
3) 노리다케 공원

굴뚝을 없애기보단 노리다케의 시작점을


알리는 상징적 의미로 활용되고 있다.
3) 노리다케 공원
Ⅳ. 도시공원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구현 분석
4) 프롬나드 플랑테 - 프랑스
 벽돌로 된 72개의 아치로 구성된 육교는 뱅센성 고딕스타일의
돌출회랑 보존

 고가구조를 활용하여 조성된 녹지가 도심 내 녹지공간을 상징화하는


장치로 조성

 철도 침목을 활용함으로써 과거 이미지를 상징하고 기억하는 장치형성

 선적 공간 구성은 수공간, 소정원, 소광장 등을 조성하여 분절하고 입체


화함
4) 프롬나드 플랑테
Ⅳ. 도시공원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구현 분석
5) 하이라인 공원 – 미국
 쇄석, 침목, 철로 등 남아있던 기존 구조물은
방치된 기간 동안 식물들이 자라 경관형성

 상징적 장치로 레일 이동형 벤치가 조성

 기존 고가 철도 통과로 인한 건물의
분절 형태와 보이드를 보존

 선적 공간의 중간에는 휴게, 광장 등을 조성


하여 분절적 요소이자 구심적 장치로 활용
5) 하이라인 공원
Ⅳ. 도시공원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구현 분석
3. 소결
Ⅴ. 결론
첫째, 장소는 인식과 경험으로서의 공간 개념

장소성은 장소의 이미지가 이용자의 체험 과정을 통해 형성

둘째, 인간의 공간인식 체계는 순수시각과 동적시각의 관점

장소체험을 위한 이미지형성 방식을 시각체험중심의 이미지형성과

신체체험중심의 이미지형성 방식으로 파악


Ⅴ. 결론
셋째, 시각체험중심의 이미지형성 : 장소가 가진 특징 요소를 가시화하는
방식 (1)상징 형성 방식 (2)구심 형성방식

마지막으로 연구를 토대로 한 도시공원 사례의 분석결과 시각체험 중심


의 이미지 형성은 기존 시설물 또는 인문적 요소를 활용하여 시간성을 혼
재하는 방식과 장소의 기존요소에 식재, 수공간, 조명 요소 등을 결합하여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유기체적인 상징 형성
홍대지역의 장소성 형성에 있어서
인적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12104891 김 한나
목차
I.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대상지 선정 및 연구 방법
1) 대상지 선정
2) 연구 방법

II. 선행연구 검토, 홍대지역 장소성 형성 요소의 도출


1. 선행연구 검토
2. 홍대지역 장소성 형성 요소 도출
III. 홍대지역 장소성 인식 특성
1. 설문조사 개요
1) 사전 조사
2) 설 문 조사
목차
2. 응답자 이용특성
1) 인구통계 학적 특성
2)방문특성
3. 장소에 대한 인지 특성
1) 장소성 형성 요소별 인지도
2) 방문객이 생각하는 홍 대지역

IV. 장소성 형성요인과 인적집단 간 인식의 차이


1. 장소성 형성요인의 추출 및 인적요인과의 관계
2. 장소성 형성요인의 인지차이에 따른 집단구분
3. 장소성 형성요인의 인지차이에 따른 방문객 이용 특성
V. 결론
I. 서론
I. 1.연구의 배경 및 목적

‘장소성’이란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에 기반.


오랜 시간 사람들이 그곳을 점유하면서 했던
다양한 경험들 속에서 생겨난 인식과 가치.

 장소성을 생산하고 이를 인지, 소비하는 인적집단의


특성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함
I. 2.대상지 선정 및 연구 방법
 대상지 선정
홍대지역은 홍익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 미술,
예술 그리고 클럽문화를 기반으로 형성된
복합문화지역
 연구방법

첫번째, 홍대지역 대상지의 장소성 형성 요인 추출

두번째, 설문조사를 통한 방문객의 장소 인지와

이용행태 분석

세번째, 장소에 대한 사람들의 인지를 심층적 분석


II. 선행연구 검토 및 홍대지역 장소성 형성 요소의 도출

II. 1.선행연구 검토
도시환경 속에서 장소성을
형성하는 요소

장소성의 인적기반을 중심으로


심층적 연구
II. 2.홍대지역 장소성 형성 요소 도출

<홍대지역 장소성 형성 요소 분류>


 기능적 요소문화기능
 기능적 요소상업기능
 환경적 요소건축물(건물 파사드)
 환경적 요소벽화(그래비티)
 활동적 , 인적요소클럽문화
III. 홍대지역 장소성 인식 특성

III. 1.설문조사 개요

 사전 조사

• 향후 ‘홍대지역 이미지’와 ‘홍대지역 사람들


이미지’와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하는 목적

• 떠오르는 자유연상 형용사를 묻는 방식


설문 조사

(A)구간 - 홍대입구 5번출


구’에서 ‘걷고싶은 거리’

(B)구간 - 공용주차장거리
<설문 문항 구성>
III. 2.응답자 이용특성
인구통계학적 특성
여성의 비율(66.89%) > 남성의 비율(33.11%)
20대의 비율 (74.17%)
학생의 비율 (58.94%)
<거주지역, 학교>
방문특성
월1-2회 (35.10%)
월3-4회 (17.22%)

<대상지까지 소요시간>

홍대 지역의 장소성이
강하다는 추정
매우 드뭄(1점) ~ 매우 자주(5점)
III. 3.장소에 대한 인지 특성

장소성 형성 요소별
인지도

인지하지 못함(1점)~강하게
인지함(5점)
 방문객이 생각하는 홍대지역

전혀그렇지 않다(1점)~매우그렇다(5점)
 홍대지역 인지
• 만남의 장소 • 클럽문화의 장소
상업기능을 기반으로 형성 방문객이 자주 찾는 시설이
방문객이 주로 이용 아님에도 불구하고 장소성에
강한 영향을 주고 있다.
IV. 장소성 형성요인과 인적집단 간 인식의 차이

IV. 1.장소성 형성요인의 추출 및 인적요인과의 관계


IV. 2.장소성 형성요인의 인지차이에 따른 집단 구분
IV. 3.장소성 형성요인의 인지차이에 따른
방문객 이용 특성
V. 결론

• 미술관련 공간, 클럽 같은 시설에서 유발

• 인적기반들이 융합되어 독특한 분위기 형성

• 자유롭고 개방적인 외국인, 대학생등 다양한 방문객


유입 촉진

∴ 지역의 장소성이란 사람과 공간의 상호작용


주제가로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
소선택에 미치는 영향
대구시 약전골목을 중심으로

08103914 이경규
목차
 서론
• 배경 및 목적
• 범위 및 방법
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인
•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정의
• 약전골목(대상지)의 개관
• 약전골목의 장소성의 형성요인
 장소성의 형성요인이 장소선택에 미치는
영향
 결론
서론

 배경및 목적
• 지방자치가 본격화된 이후 각 지역의 문화적 특
성을 강화하여 지역특화의 전략으로 채택.
• 장소는 인간의 인식체계를 통한 사회적 가치와
역사성이 상징화 된 공간.
• 장소성의 형성 요인을 깨닫고 그에 따른 경제적
가치 측정.
• 장소성을 고양시키는 요인이 지역의 가치를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근거제시.
서론

 범위 및 방법
• 문헌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약전골목의 구성요소
를 토대로 장소성 형성요인을 규명.
• 약전골목의 장소성을 형성하는 요인 파악.
• 장소성 형성요인이 약전골목의 선택에 미치는 영
향 분석.
서론
 범위 및 방법(조사대상)

2007, 5월, 한달동안 241명(남성115, 여성 126)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 요

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정의(장소의 구성인
자 3가지)
• 공간 이란 장소를 형성하는 3차원적인 조직, 인간의
활동을 담는 그릇 역할.
• 인간 은 장소를 만드는 주체로서 공간이라는 물리적
기반 위에 인간의 활동이 기억으로 남게 되면 장소
형성.
• 시간 은 신간과 공간의 관계에 개입되는 4차원적인
요소로서 소위 과거 , 현재, 미래라는 시간적 틀 속에
서 장소가 존재.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

 장소와 장소성의 개념정의(장소감, 장소성)
• 장소감 사람들이 장소를 경험하고 회상할때 느끼는 감
정으로서 사람과 장소를 묶어주는 요소인 나무, 공원, 벤치,
역사적사건, 역사적 분위기, 냄새 등.
• 장소성 이란 인간에 의해 일정 기간 체험됨으로서 가치
와 의미가 붙여진 특정 공간을 말하며, 이러한 성질은 다른
장소와 구별하게 한다.

다른장소와 차별화되어 만들어짐으로서 장소성 구현.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인

 대상지(약전골목)의 개관.
• 350년이 넘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전문한약시장.
• 우리나라 전역을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와 한약재를 교역하던 국제
무역의 거점.
• 약재의 수급과 관련되는 유무형의 다양한 한방문화 전승과 대구광
역시의 대표적 관광자원.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

 대상지(약전골목)의 개관.
• 일제 강점시기부터 사람들이 모이는 집회장소로서의 역
할.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인
 대상지(약전골목)의 개관.
• 1978년 이후 약전골목의 특화전략으로서 매년 대구약령
제가 지역문화축제로서 개최.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인
 대상지(약전골목)의 개관.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인
 대상지(약전골목)의 개관
• 2000년 부터 110억원 투자로 소공원 조성, 공용주차장
건립, 보차분리시설 설치, 도로포장, 간판정비, 서장대 건
립등. 환경정비와 한방테마거리 조성.
• 2004년 말 지역특화사업의 하나인 ‘한방특구’로 지정.
장소성의 정의와 형성요인
 약전골목의 장소성의 형성
요인
• 활동을 통해 장소를 만드는 것 – 한
방축제와 행사, 한약재 상점과 한의
원.
• 기존의 환경에 대하여 물리적 환경
을 새로이 변화시켜 장소를 만드는
것 – 진입관문인 서장대, 휴식공간
• 주어진 환경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행위-대구읍성자리, 이용계층, 근대
역사건축물, 업무시설, 근린상가 및
상업시설, 요식업소, 노점상
• 새로운 장소를 만들기 위해서 의도
적으로 설계하는 행위- 한방테마거
리, 보행위주의 도로와 주차장.
장소성의 형성 요인이 장소 선택에
미치는 영향

• 현상적요인-한방테마거리로서 이미지
강화, 약전 골목 선택 확률 상승

• 역사적 요인- 다른 조건이 일정할 때


역사적 요인을 한 단위 증가시키면 약
전 골목의 선택 확률 상승.

• 토지이용 요인- 약전 골목을 선택할


확률이 가장 떨어짐.
결론
 장소성은 사람들의 장소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구
성되어 있고, 여러가지 경제적이나 마케팅적으로 가치를
지니고 있다.
 특정 지역의 장소성 고양은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지역경
제 활성화에 유용한 전략적 방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다른 지역의 장소 마케팅 전략구성에 지역의 장소성 요인
파악과 경제활성화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며, 장소
성이 갖고 있는 가치를 산출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유용
한 장소마케팅 전략을 구성할 수 있다.
참고논문과 문헌.
 장소성 형성을 위한 장소체험과 이미지구현 연구 6) 최원령, “미술관 전시공간에서의 관람객 행동에 관한 연
• -재생된 도시공원 사례를 중심으로- 구”, 산업기술종합연구소 논문집, Vol.2, p.17, 1986.
김 미 영⋅문 정 민* 7) 김미영, “도시공원의 장소체험과 이미지형성에 관한 연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실내디자인전공 강사 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27, 2013.
조선대학교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실내디자인전공 교수* 8) 안우진, “건축의 장소성을 체험하는 공간시퀀스 구조에
Reference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46, 2003.
[1] 김영재, “일상의 재생과 보존”, 건축학회지, Vol.51 no.5, 9) 권영걸, 「공간16강」, 도서출판 국제, p.75, 2001.
2007. 10) 최현철, op. cit., p.19.
[2] 이석환․황기원,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11) 김미영, op. cit., p.28.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Vol.32 no.5, 1997. 12) 본 절은 김미영․문정민, “장소성 형성의 공간구현 전략
[3] 임승빈, 「현대건축사고론」, 시공문화사, 2001. 과 실행요소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v.22n.6,
[4] C. N. Schulz, 김광현 역, 「실존․공간․건축」, 태림문화 2013과 김미영, “도시공원의 장소체험과 이미지형성에 관한
사, 1985. 연구”,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을 토대로 작성함
[5] C. N. Schulz, 이정국․진경돈 역, 「건축의 의미와 장소성」, 13) 김미영, op. cit., p.34.
Spacetime, 1999. 14) 나인영, “실내디자인의 장소성(장소-Identity) 표현을 위
[6] Yi-Fu Tuan, 구동회․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대윤, 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60, 1997.
1995. 15) 임승빈, 「환경심리와 인간행태」, 보문당, p.116, 2007.
Endnote 16) 김신애, “현대건축에서 나타나는 은유의 개념과 특성에
1) 김창수, “테마파크의 이해”, 대왕사, p.18, 2007.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86, 2012
2) 어정연, “도시수변공간의 공공영역 장소가치 평가에 관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논문, p.44, 2011.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3) 박민선, “공간상관구조에 나타나는 공간체험형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3, 2008.
4) ibid., p.14
5) 최현철, “기억의 재구성에 의한 건축 공간 인식의 불연속
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8, 2002.
참고논문과 문헌.
참고논문과 문헌.
 주제가로의 장소성 형성요인이 장소선택에 미치는 영향  16. 이석환․황기원(1997),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 - 대구시 약전골목을 중심으로 -  연구, 『국토계획』 제32권 제5호, pp169-184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Factors and Economic Value of 'Placeness'  17. 임하경⋅최열(2004), Poission regression을 이용한 주거지 장
- Yak-Jun Street in The City of Daegu -  소애착 결정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홍 경 구*  18. 최막중⋅김미옥(2001), 장소성의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Hong, Keong-Gu  관한 실증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제25권 제1호(통권243호) 2009년 1월
 19. 최열⋅임하경(2005), 장소애착 인지 및 결정요인 분석, 대한
 국토도시계획학회
참고문헌
 20. 최영은⋅하재명(2001), 대구시 도심의 접근 특성과 가로이용
1. 거리문화시민연대(2007), 『대구신택리지』, 07남성로, 북랜드
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2. 경북통계연보(1928), pp.253
 21. 황보영⋅강양석(2003), 지역특성에 따른 간판 색채에 관한 연
3. 김대익(2000), 『정보화시대 도시주거의 장소성에 관한 시
 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론』, 한경대학교  22. 홍경구⋅김도년(2005), 대학로 지역특화정책이 건축물 용도변
4. 김동근⋅이한울⋅안건혁(2007), 주거지에 대한 장소애착 개념  화에 미친 영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고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23. 홍경구⋅안건혁(2001), 지역활성화정책으로 인한 대학로지구
5. 김일진․윤재웅(1990), 대구지역 근대 상업건축의 유입과 변천  토지이용 변화과정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에 관한 연구, 대구건축학회  24. Carter E.․J. Donald․ J. Squires(1993). Space and Place :
6. 김지인 외 3인(2006), 장소의 진정성 개념에 기초한 전통문화  Theories of Identity and Location, Lawrence & Wishart
거리의 이미지 조성에 대한 연구- 대구광역시 약전골목을 중  25. Feldman․ R. M.(1990), Settlement-identity: Psychological
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 bonds with home places in a mobile society, Environment
7. 김지인⋅하재명(2005), 장소의 진정성 개념에 기초한 전통문화  & Behavior, vol.22, pp.180-229
거리의 이미지 조성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 26. Giuliani, V.․R. Feldman(1993), "Place attachment in a
8. 김창환⋅최내영(2003), 성남시 모란 재래시장의 장소성을 고려  development and cultural context", Journal of
한 설계대안 모색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 Environmental Psychology, vol.13, pp.267-274
9. 김태진⋅구자훈(2004), 장소관점에서 본 도시 내 특화된 재래  27. Kearns, G.․C. Philo(1993), Selling Places : The City As
시장의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Cultural Cpaital, Past And Present, Pergomon Press
10. 서준원⋅안건혁(2001), 상업가로에서 “만남의 장소”의 특성에  28. Kotler, P.․D. Haider, and I. Reing(1993). Marketing Place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 Attraction Inverstments, Industries, and Tourism to
 Cities, States and Nations, The Free Press: Jacmillan, Inc
11. 안건혁⋅서준원(2002), 상업 가로에서 나타나는 만남의 장소
 29. Kyle․G. T․ Graefe․A. R․Manning, R․J. Bacon(2004),
의 특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 "Effect of place attachment on user's perception of social
12. 약령시부활추진위원회(1984), 대구약령시, pp.169
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natural setting", Journal
13. 이경동⋅정재용(2007), 도심개발에 따른 장소성의 변화와 변
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24, pp.213-225
화 요소에 대한 분석 - 청계천 지역을 중심으로 - , 대한건  30. Tuan․Yi-Fu(1979), Space And Place : The Perspective of
축학회  Experience, Univ. of Minnesota Press
14. 이석환(1997), 장소만들기의 구성요체로 본 “마로니에 공원”  (接受: 2008. 10. 30)
의 장소만들기,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15. 이석환(1998), 도시가로의 장소성 연구: 대학로의 사례를 중
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