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2

A study on the Utilized Attributes and Interactive Processes Acting on the

Negative form space

(Background and Purpose) Negative form space such as gaps, corners and holes created by buildings and facilities in
public space is used mainly to put garbage or private things. It blocks the way and gives bad image. I tried to find
alternatives by changing the perspective of space composition and cogn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ormation principle of the negative form space and the usage in the field and to find out basic data that can be predicted and
adjusted to positive function. (Metho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from field
observations. Observations were made on the traces using the negative form space found in the walking space. The concept
of the negative form space and the four structural types were defined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Based on the
perception theory of the behavioral response and visual experience of the object representation, facilities in public space is
used mainly to put garbage or private things. It blocks the way and gives bad image. I tried to find alternatives by changing
the perspective of space composition and cognition. (Results) The negative form space was divided into six types of
combination structure and four types of structural typ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losure. Thre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wo functional types, hidden, fixed, and custom are extracted and three utilization attributes such as closure, conformity,
and diffusion are derived. The perception of the duality is made when the actor 's purpose and the functional type of the
negative form space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structural types and the five utilization
attributes. As a result, the remaining traces are reproduced and recurrently spreading the negative form space.
(Conclusions) The negative form space cannot be completely removed because it is inevitably formed when objects are
placed. In the open space the utilization frequency is lowered when the frame or shape is unacceptable or is not suitable for
fixing and alignment purposes. When constructing the facilities in the space, it is possible to use the negative form space to
be suppressed, or can be intentionally created in the specific space, so that the utilization of the user can be maintained. If
you use a negative form space instead of a facility, you will be able to utilize the space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facilit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structures and facilities in the planning and
design process of the public environment, and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create a clean and comfortable space without
unnecessary regulation.

Keywords Negative form space, Affordance, behavior traces, visual experience


Received Jul. 31. 2019 Reviewed Aug. 00. 2019 Accepted Aug. 00. 2019
ISSN 1976-4405 www.kisd.or.kr

This study was funded by the research fund of Hankuk University in 2017.(KRF-2017-001-G00001)
음적 형태 공간의 활용 속성과 작용 과정 연구

(연구배경 및 목적) 공공공간에서 건축물과 시설물들이 설치되면서 생성되는 틈, 구석, 간격, 구멍과 같은 음적 형태 공간은
주로 쓰레기 폐기나 사유물의 적치 장소로 이용되며 보행을 방해하거나 미관을 해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그 때문에 문제가
심각한 장소는 관계 기관이 단속과 계도를 하지만 그 효과는 크지 않으며, 이용자에게 바람직한 대응은 아니라고 보았다. 따라서
공간 구성과 인식의 관점으로 전환한 방법적 제시를 통해 대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음적 형태 공간의 형성 원리와
현장에서 발생되는 이용 실태를 파악해 그 활용 속성과 작용 과정을 밝혀봄으로써, 향후 공공 환경의 기획과 디자인 과정에서 생
겨날 수 있는 음적 형태 공간의 형성과 유발 행위를 사전에 예측하고 조절하여 긍정적인 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는 기초 자료의
발굴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현장 관찰 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를 대입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었다. 관찰 조사는 보행 가로 공간에서 발견된 음적 형태 공간을 이용한 흔적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음적 형태 공간의 개념과 4가지의 구조적 유형을 정의하고 물체 표상에 따른 행동 반응과 시각적 경험의 회상 처리 기제에
대한 지각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현장 관찰 조사에서 수집한 행위 흔적과 행동 자료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리고 분석 연구를 통해 음적 형태 공간의 구조적·기능적 유형과 활용 속성을 도출하고 이를 종합하여 지각체계에 따른 작용 과
정으로 정리하였다. (결과) 음적 형태 공간은 6가지의 조합 구조와 폐쇄도에 따른 4단계의 구조적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용 유형에 따라 폐기·수납의 2가지 기능적 유형과 숨김·고정·맞춤의 3가지 세부 특성을 추출하였고 폐쇄성·적합성·확
산성의 3가지 활용 속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종합해 지각 체계에 따라 정리한 작용 과정에서는 행위자의 목적과 음적
형태 공간의 기능적 유형이 일치할 때 양뱡향 지각이 이루어지며 4가지의 구조적 유형과 5가지의 활용 속성의 상호 관계에 따라
구체적인 행위가 선택되고 이로 인해 남은 흔적이 음적 형태 공간을 재생성하며 순환적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음적 형태 공간은 입체물이 배치되면서 필연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그러나 폐쇄도가 낮은 열린
공간일수록, 이용되는 사물의 크기나 형태가 수용될 수 없거나 고정·맞춤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구조일 때 활용 빈도가 떨어
진다. 따라서 공간에 시설물을 구성할 때 음적 형태 공간의 활용이 억제될 수 있도록 배치하거나 반대로 특정한 영역에 의도적으
로 음적 형태 공간을 조성하여 이용자의 활용은 유지하되 미관을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을 대신해 음적 형태 공간을 이용
하도록 한다면 추가적인 시설물의 설치 없이도 공간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공공환경의 기획과 디자
인 과정에서 구조·시설물의 구성과 배치에 적용되어 불필요한 규제 없이도 깨끗하고 쾌적한 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되
기를 기대한다.

Keywords 음적 형태 공간, 행동 유도, 행위 흔적, 시각적 경험


Received Jul. 29. 2019 Reviewed Aug. 00. 2019 Accepted Aug. 00. 2019
ISSN 1976-4405 www.kisd.or.kr
1. 서론 이렇게 사람들은 외부 환경에서 목적에 맞은 시설물
이 없거나 부족하면 주변의 환경을 원하는 목적에 맞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게 자의적으로 해석해 활용하려 한다. 따라서 이미 형

공공공간은 건축물을 비롯해 가로수, 가로등, 벤치, 성된 공간을 활용하는 행동을 제약하고 규제하는 방법

휴지통, 펜스 등 사람들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은 효과도 크지 않지만 이용자에게 온당한 대응은 아

수 있는 다양한 구조물과 시설물을 필요로 한다. 이렇 니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행동에 대한 직접적 대응 방
게 기능적인 필요에 따라 설계된 건축물과 시설물들은 식에서 벗어나 공간 구성과 인식의 관점에서 시설물의

입체적인 구조로 설치되면서 틈, 구석, 간격, 구멍과 형태와 배치의 조절을 통해 바람직한 행동을 유도할

같은 공간들이 생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공간들은 대 수 있는 방법적 전환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부분 쓰레기 적치나 사유물의 거치 장소로 이용되며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공간에서 음적 형태 공간이

보행을 방해하거나 미관을 해치는 부정적인 요인이 되 형성되는 원리를 이해하고 유형을 구분하여 현장에서

고 있다. 이런 현상이 빈번한 장소는 경고판과 감시 일어나는 음적 형태 공간의 활용 유형과 속성 및 작용

카메라, 장애물 등을 설치하여 단속과 계도를 하지만 과정을 밝혀, 공공환경의 기획과 디자인 과정에서 시

그 효과는 크지 않은 실정이다. 설물의 배치에 적용해 음적 형태 공간을 긍정적인 기

Akner-Koler(2007, p.105)는 3차원 공간에서 양 능으로 전환하여 행동을 유도함으로써 불필요한 규제

적(positive) 요소인 부피, 면, 선, 점을 갖는 형태들이 와 단속 없이도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놓일 때 양적 요소들이 상호 관계에 따라 조합됨과 동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발굴하는 데 있다.

시에 음적(negative)인 부피를 갖은 공간들이 종속적


으로 형성된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양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적 부피를 갖는 입체물을‘양적 형태’라 하고, 공간 본 연구는 문헌 및 이론 연구를 통해 파악한 내용을

에 양적 형태가 배치되면서 부차적으로 생성되는 공간 기반으로 현장 관찰 조사를 통해 수집한 현상에 대한

을‘음적 형태 공간’이라고 하고자 한다.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관찰 조사는 공공공간에

공공공간에서 음적 형태 공간은 시설물이 배치되면 서 사람들의 행위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보행 가로 공

서 의도치 않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 공간이 이용자에 간에서 발견된 음적 형태 공간의 활용 흔적을 대상으

게 어떤 행위를 유발할 것인지 미리 예측하기 어렵다. 로 하였다. 조사 장소는 대로변 보도와 이면 도로로

또한 <그림 1>처럼 같은 장소에 설치된 시설물도 한정하고 서울의 강북 4개구와 강남 3개구로 나누어

이용자의 의도와 목적에 따라 양적 형태를 인식해 시 무작위로 선택한 지역을 이동한 경로로 하였다. 보행

설물의 고유 기능이 이용되기도 하지만 음적 형태 공 자 관점의 체험과 예기치 않게 변화하는 현상을 수집

간을 인식해 부수적 기능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그 때 하기 위해 특정 장소를 지정하는 것보다 연구 수행과

문에 상황마다 이용자의 태도와 행태가 변화하는 구체 결과가 적용될 조건이 유사해 생태학적 타당도(eco-
적인 원인을 파악하지 못함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logical validity)를 올릴 수 있어야 한다(Matlin,
2013, p13)는 판단이었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문헌 조사를 통해 음적 형태 공간의 개념과 형성
조건에 대해 살펴보고, 같은 공간에서 사람들이 설치
물의 기능을 인식하거나 때로는 음적 형태 공간을 인
식하여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는 행동에 대한 지각 이
론을 탐색하고 이해한다.
2. 현장 실사 및 관찰을 통해 가로 공간에 형성된
음적 형태 공간의 이용 현황을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특성을 파악한다.
3. 관찰 연구와 이론 연구를 통해 파악한 내용을 기
반으로 음적 형태 공간의 유형에 따른 활용 속성과 작
<그림 1> 공공공간의 양적 형태와 음적 형태 공간의 인식과 이용
용 과정을 밝힌다.
2. 음적 형태 공간의 개념과 인식 생성된 면의 구조 관계로 형성된 공간을 말한다. 음적
형태 공간의 유형은 육면체를 기준으로 한 면의 조합
에 따라 6가지의 조합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폐쇄도를
2.1 음적 형태 공간의 개념
기준으로 4가지의 구조적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3차원 공간에 형성되는 입체 형태를 Akner-Koler
구조적 유형은 지면에 형성된 1개의 면을 기본으로
(2007, pp.104-105)는“실체적으로 확인되는 양적
하여 추가되는 면에 따라 폐쇄도가 가장 낮은 1개의
요소인 부피, 면, 선, 점과 이들로 둘러싸인 갇힌 공간
면이 추가되어 조합되는 열린 공간(Face 1: 이하 F1)
(spacial enclosure)안에 음적 요소를 이중적으로 포
과 폐쇄도가 가장 높은 4개의 면이 추가된 닫힌 공간
함하고 있는 시각적 구성체”라고 하였다. 음적 요소
(F4)을 기준으로 그 사이에 2개의 면이 추가된 부분
는 양적 요소들이 표상화된 개념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적 열린 공간(F2), 3개의 면이 추가된 부분적 닫힌 공
“양적 요소가 공간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호 관계에
간(F3)으로 구분한다. 조사 대상지인 가로 공간에 배
의존해 양적 요소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된다.”그 때
치되는 구조·시설물을 정형화한 음적 형태 공간의 구
문에 음적 요소는 부피를 둘러싼 양적 요소들의 조합
조적 유형에 따른 예시는 <그림 3>과 같다.
으로 인해 더욱 다양하게 형성된다. <그림 2>와 같이
“양적 요소는 부피, 면, 선, 점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만 음적 요소의 부피는 5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닫힌
부피에서부터 3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부분적 열린 부
피, 1개의 면과 1개의 선으로 이루어진 열린 부피까지
구분된다.”이렇게 음적 요소는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기 때문에“관찰자의 시점이나 공간 인식의 경
험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그리고“우리는
물체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보다는 물체 자체를 지각하
는 것에 익숙하기 때문에 음적 요소를 감지하거나 지
각하기 어렵다”라고 하였다.

<그림 3> 가로 공간에 형성된 음적 형태 공간의 구조적 유형에


따른 구분 예시 (주: Fn=면(face)의 개수)

2.2 물체와 공간의 지각과 행동


공공공간에서 사람들은 시설물의 양적 형태를 지각
하고 그 물체에 부여된 고유 기능을 사용하기도 하지
만, 부차적으로 형성된 음적 형태 공간을 지각하고 그
공간의 구조를 응용해 다른 용도로 이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두 가지 경우로 가정
해 볼 수 있다.
<그림 2> 3차원 형태의 시각적 구성요소
1. 행위자의 의도와 양적 형태의 고유 기능과 음적
출처: Akner-Koler, 2007, p.105 재구성
서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입체 형태에 대한 Akner 형태 공간에 형성된 부수적 기능의 적합성 여부에 따
-Koler의 해석에 따라 정의한‘음적 형태 공간’을 라 지각 대상이 달라진다.
관찰연구와 수집된 자료들의 분석 기준으로 사용하고 2. 음적 형태 공간의 부수적 기능이 지각되며 의도
자 연구 대상지의 공간적 조건을 고려해 구체적으로 가 발생해 선택되거나 차후 의도 발생 시 행동 기회로
정리하였다. 기억된다.
음적 형태 공간은 단일 입체형태에 형성된 면의 조 그렇다면 행위자가 대상을 지각하고 선택하는 과정
합 구조, 또는 복수의 입체 형태들이 조합·결합하며 에서 행위자의 의도와 경험으로 용도적 의미가 부여된
물체와 물체의 물리적 속성으로 인해 용도적 의미가
형성된 물체를 지각하는 기제에 대해 파악해 볼 필요
가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 물체 표상에 따른 행동 반
응과 시각적 경험과 기억이 물체에 표상화되는 신경
회로를 연구한 두 가지 연구 사례를 알아보았다.
첫 번째 연구는 신호에 따라 제시된 물체를 잡도록
훈련된 원숭이에게 다양한 물체(평판, 육면제, 원뿔,
원기둥, 구, 고리)를 제시하고, 지정된 명령에 따라 물
체를 잡을 때 복측전운동피질(PMv: ventral prem-
otor cotex)내의 F5 뉴런의 반응을 기록한 실험이다.
F5뉴런은 의도와 목적을 가진 행동에서 세부적인 손
의 동작과 움직임에 관여한다. 실험 방법은 물체를 잡
는 행위와 물체를 보기만 하는 행위로 나누어 실행되
었다. 물체를 잡는 행위는 빨간색 불이 켜지면 원숭이
가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물체가 들어있는 상자 안에
불이 켜지며 물체를 목격하게 된다. 이어서 녹색 불이
켜지면 원숭이는 물체를 잡기 시작하고 물체를 잡으면
수행은 끝난다. 물체를 보기만 하는 행위는 이전과 같
이 물체를 목격한 후 보기만 하다가 물체를 끄라는 불
이 켜지면 버튼을 눌러 상자 안의 불을 끄고 수행이
끝난다. <그림 4>는 그래프로 표현된 실험 결과이다.
물체를 잡는 행위에서 고리 모양의 물체가 육면체나
다른 물체 보다 뉴런의 반응이 매우 활동적이었다. 히
스토그램을 보면 물체를 볼 때부터 잡을 때까지 뉴런 <그림 4> 물체의 형태에 따른 행동에 대한 F5 뉴런 반응
의 활동이 격렬하게 반응하다 잡고 나면 멈추는 것을 출처: Murata et al., 1997, p.2228 재구성

알 수 있다. 그리고 물체를 보기만 하는 행위에서도 주변 맥락에 따라 의도한 공간에 물체가 배치되면서
유사한 뉴런 활동이 일어났다. 물체를 보기만 하는 것 목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간과 물체의 구조적 조건
은 행동 의도나 목적이 없는 행위이다. 이 실험 결과 에 의해 유용성이 지각된다. 이렇게 물체의 형태와 공
는 F5 뉴런이 특정한 시각적 특징을 갖는 형태의 물 간의 구조를 지각할 때 용도가 부여되거나 잠재된 유
체에 선택적으로 반응하였고, 물체를 잡을 때와 단순 용성이 인식되기 때문에 행위자의 이전 경험이나 학습
히 보기만 할 때도 반응하였다는 사실로 볼 때 목적 된 지식이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
지향적인 의도나 운동 계획과는 관련 없이 잠재된 운 라서 관찰자의 이전 경험과 작동 기억에 의해 연합된
동 행동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고 해석되 표상을 회상하는 하향식 처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조건
었다(Murata et al., 1997). 이는 물체가 가지고 있는 에 대한 연관성을 파악하면 좀 더 분명해질 수 있을
시각적인 특성이 행위자의 행동 계획이나 의도에 앞서 것이다.
유용 가능한 운동 행위가 잠재될 수 있다는 해석이 가 다음은 원숭이에게 시각적으로 짝을 이룬 자극 대상
능하다. 즉 물체 형태의 시각적 특성과 물리적 속성으 (A-B, C-D)의 연합을 학습시키는 과정에서 하측두
로부터 가능한 행동 유형이 지각되고 행동으로 이어진 피질(IT: inferotemporal cortex) 뉴런의 평균 발포
다는 것이다. 따라서 물체의 형태가 신체적 움직임과 율을 측정한 실험 사례이다. 실험 방법은 <그림 5>상
기능적 목적에 적합할수록 그 물체에 부여된 고유 기 단의 자극 표본 중에서 하나의 자극 단서를 보여준 후
능이 지각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나머지 두 개의 대상을 보여주고 선택하게 한다.
그런데 음적 형태 공간에 형성되는 부수적 기능은 만약 연합된 대상을 선택하면 보상을 주어 강화시키며
이처럼 물체를 직접적으로 작동하는 기능과는 다르다. 동시 과제나 순차 과제 형태를 사용하였다. 이렇게
이상 연구 사례에서 파악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물체에 부여된 고유 기능은 물체가 가지고 있는
시각적·물리적 특성(형태, 크기, 구조)이 그 기능을
위한 신체적 움직임(작동, 조작성)에 적합할수록 지각
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
2. 특정한 목적과 의도가 없어도 물체의 시각적 특
성을 통해 그 물체에 잠재된 유용성(부수적 기능)이
지각되며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3. 시각적·의미적 요소가 연합된 대상은 물체 지각
과정에서 물체의 시각적 단서로부터 특정한 의미(고유
기능)와 범용적인 의미(부수적 기능)를 함께 지각한다.
음적 형태 공간의 지각은 행위자의 의도와 이전 경
험에 따라 부수적 기능이 포착되며 지각되기도 하지
만, 이전 행위자가 남긴 흔적으로 인해 그 물체의 의
미와 공간 구조와의 기능적 연관이 시각적 경험으로
기억되며 의도를 유발하거나 이후 의도 발생 시 행동
기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제는 공간 구조
<그림 5> 물체표상과 경험이 연합된 범주적 지각 에 대한 범용적인 유용성과 음적 형태 공간의 구조적
출처: Messinger et al., 2001, pp.12240-12242 재구성 특성과의 적합도와 행위자의 작동 기억과 시각적 경험
572번의 훈련 과정을 거치면서 하측두피질(IT)의 반 에 의존한다고 할 수 있다.
응을 기록하였다. <그림 5>하단의 그래프로 표현한
실험 결과를 보면 초기에는 A, B, C, D의 모든 자극 3. 음적 형태 공간이 활용된 유형과 속성
들이 비슷하게 발포했지만 학습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론 연구를 통해 정의한 음적 형태 공간의 개념과
A-B, C-D로 연합해 유사한 발포 반응을 보였다. A
지각 이론에서 도출한 내용을 기반으로 현장 관찰을
나 B 어느 것을 보아도 동일하게 반응하였고 C와 D에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한 자료들을 2.1장에서 규
서도 마찬가지였다. 이 결과는 하측두피질(IT)이 선택
정한 음적 형태 공간의 구조적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
적인 자극의 학습에 의존한 변화가 지속되는 것으로
다. 분석 과정에서는 유형별로 분류된 자료 및 미분류
대뇌피질의 시각과 관련된 기억 회로에 연결됨을 의미
자료를 포함한 관찰 기록 자료의 교차 비교를 통한 세
한다. 또한 학습된 연합을 처리하는 뉴런 간의 시냅스
부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결 강도에 특정한 빠른 변화는 해마와 내측두엽, 전
전두엽에서 시각적 연합기억을 저장하는데 하측두피질
3.1 조사방법 및 대상지 설정
(IT)에서 기억 연합의 강화 회로가 작용할 수 있다는
관찰 조사 대상지는 서울의 강북 4개 구와 강남 3
해석이다(Messiner et al., 2001).
개 구의 대로변 보도와 이면 도로를 무작위로 선택해
이 실험은 학습 전에는 각 대상의 표상에 반응하던
도보로 이동한 경로에서 발견된 행위의 흔적을 대상으
뉴런이 학습 이후에는 하나의 대상에만 자극을 받아도
로 하였다. 수집한 자료 중 유의미하다고 판단된 자료
연합된 다른 대상을 회상하여 반응한다는 것인데 이러
는 동일 장소를 1주 이상의 간격으로 2회 이상 방문
한 기제를 물체의 형태 지각이 마무리되는 하측두피질
하여 유사한 흔적이 반복된 것을 유효 자료로 채택하
(IT)에서 상당 부분 관여하고 있다(Kandel, 2013,
였다. 유효 자료가 채택된 지역은 강북구(미아동, 수유
p.633). 이는 물체의 시각적 요소와 의미적 요소가 연
동), 성북구(길음동, 월곡동, 삼선동), 동대문구(전농
합된 표상은 시각적 또는 의미적 단서 중 어떤 단서의
동, 청량리동, 회기동), 종로구(종로, 창신동) 일대와
자극에도 연합된 시각적 표상이나 의미가 회상될 수
강남구(신사동, 역삼동, 청담동), 서초구(서초동, 양재
있고 이는 물체를 지각하는 과정에서 동시적으로 일어
동), 송파구(성내동) 등이었다.
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2 가로 공간에서 음적 형태 공간이 활용된 유형 <그림 6>은 분류 자료 중 대표적인 유형을 40건
관찰 조사에서 수집한 284건의 자료 중 중복·유사 의 자료로 압축하여 정리한 것이다.
자료를 정리한 154건의 자료를 채택해 음적 형태 공 관찰 과정에서 발견된 흔적은 주로 쓰레기봉투, 재
간의 폐쇄도에 따른 4단계의 구조적 유형으로 분류한 활용품, 자전거, 오토바이, 수레 등이었다. 주로 공간을
후 다시 기능적 유형으로 재분류하였다. 고정적으로 점유하지 않는 유동적인 물체로 사유물에
대한 임시적인 폐기와 수납을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음
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기능적 유형을 폐기와 수납의 2개 유형
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용된 공간 구조와
흔적이 배치된 양태로부터 숨김·고정·맞춤 세부 특
성을 추출하여 구분하였다.
추출한 세부 특성을 구조적 유형에 따라 구분해 보
았을 때 숨김은 열린 공간(F1)에서 2건, 고정은 닫힌
공간(F4)에서 1건이 적용되었다. 이렇게 폐쇄도가 가
장 낮거나 높은 구조적 유형에서 현저한 빈도 차이가
나타난 결과는 숨김과 고정의 세부 특성이 구조적 유
형의 폐쇄도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3.3 음적 형태 공간의 활용 속성
분석 과정에서 음적 형태 공간의 활용 유형에 따라
다음의 5가지 속성을 도출하였다.
1. 음적 형태 공간은 폐쇄도가 높은 구조적 유형이
우선 선택된다.
<그림 7>의 펜스 앞은 열린 공간(F1)과 이어서
가로수가 배치되며 부분적 열린 공간(F2)이 형성되어
있다. 펜스 앞의 F1 공간보다 폐쇄도가 높은 펜스와
가로수 사이의 F2 공간에 쓰레기봉투가 폐기되어 있
다. 이러한 현상은 ①의 펜스와 펜스 사이에 전신주로
인해 형성된 부분적 닫힌 공간(F3)이 우선 이용된 사
례에서도 확인된다. 관찰 과정에서 ②와같이 폐쇄도가
높은 F3 이상의 공간들을 확인했을 때 폐기나 수납으
로 이용된 흔적을 대부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③
과같이 수납의 용도로 이용된 자전거는 앞바퀴를 가로
수와 펜스 사이에 밀착시켜 부분적이라도 폐쇄도가 높
은 닫힌 공간을 이용하려 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속성으로 미루어 보면 ④의 벽면 앞의 공간
은 원래 열린 공간(F1)이었으나 운동기구가 설치됨으
로 인해 F1보다 폐쇄도가 높은 부분적 열린 공간(F2)
이 형성되며 양적 형태인 고유 기능보다 음적 형태 공
간이 인식되며 쓰레기 폐기의 부수적 기능으로 이용되
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폐쇄도가 높은 공간이

<그림 6> 음적 형태 공간이 활용된 유형 (주: 세부 특성 추출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속성은 기능적 세부 특성 중‘숨
건수는 154건의 분류 자료 기준, 적용된 세부특성은 ■표기) 김’의 특성이 작용된 현상으로도 해석된다.
<그림 7> 폐쇄도가 높은 구조적 유형의 음적 형태 공간 선택 <그림 8> 동일한 구조적 유형에서 폐쇄도가 높은 위치를 선택
2. 동일한 구조적 유형의 공간에서도 폐쇄도가 높은 3. 의도한 목적 또는 처리 대상물의 물리적 특성에 적
위치가 선택된다. 합한 구조적 유형의 공간이 우선 선택된다.
<그림 8>과 같이 건물 사이에 형성된 부분적 닫힌 <그림 9>와 같이 가로수와 펜스 사이의 공간에 탄
공간(F3)을 4등분으로 나누어 폐기로 남긴 흔적들의 성이 있는 물체를 끼워 고정하거나 쓰레기봉투가 넘어
위치를 구분해보면 공간 폐쇄도가 높은 2/4 이상 안쪽 지지 않게 기대고 구석에는 작은 쓰레기를 폐기하는
구간에 흔적이 밀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①의 등 관찰 과정에서 의도한 목적에 맞는 기능을 수행하
경우에서도 차량을 2/4 이상의 안쪽 구간에 밀착해 주 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추고 있는 공간을 활용한 유형
차되었고, 좀 더 깊은 1/4의 구간에는 폐기 흔적이 발 이 다수 발견되었다. 이러한 활용 유형들은 특정한 기
견되었다. 이 장소는 1대 차량의 주차만 가능한 공간 능 수행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 양적 형태들로 공간이
으로 어느 구간에 주차를 해도 상관없다. 형성되었거나 이용될 대상물의 물리적 조건과 해당 공
관찰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부피가 적어 폐쇄도가 높 간의 구조적 형태나 크기가 유사한 구조적 유형을 가
아지는 공간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발견될 것으로 예상 진 음적 형태 공간에서 주로 발견되었다.
하고 확인해 보았다. ③의 부분적 닫힌 공간(F3)은 판 먼저 기능적 구조를 가진 공간의 활용은 ①과 ②의
자로 인해 공간이 분할되며 협소한 공간이 생성되었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①은 재활용 폐기물이 고정
다. 이렇게 분할된 공간에 폐기의 흔적들이 늘어나고 될 수 있도록 가로등의 기둥을 이용해 묶어 놓은 흔적
있음이 확인된다. 또한 ④와 같이 벽면 앞에 배치된 이다. 바로 뒤쪽에 가로수와 가로등으로 폐쇄도가 높
에어컨 실외기로 형성된 좁은 폭의 부분적 열린 공간 은 부분적 열린 공간(F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로
(F2)에도 폐기의 흔적들이 확인되었다. 수 기둥도 묶을 수 있는 기능이 가능한 구조다. 그러
나 가로등이 가로수에 비해 묶기 용이한 둘레의 크기 4. 음적 형태 공간이 이용된 흔적은 규칙적인 배열
를 가졌고, 가로수보다 보도 가장자리에 쪽에 배치되 과 배치를 수반한다.
어 보행 구간을 조금이라도 적게 점유할 수 있어 폐쇄 <그림 10>은 대걸레와 음식물 쓰레기 수거함, 보
도는 적지만 가로등 앞의 열린 공간(F1)을 선택한 것 관함이 부분적 열린 공간(F2)에서부터 열린 공간(F1)
으로 해석할 수 있다. 자전거의 거치로 주로 이용되는 방향에 따라 간격을 유지하며 1열로 맞춘 규칙적인 배
펜스 앞 공간도 이 사례와 같이 자전거를 기댈 수 있 열을 보이고 있다. 관찰 과정에서 발견된 흔적들은 정
고 자물쇠로 고정하기에 적합한 조건을 가진 양적 형 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규칙적인 배열이나 배치를
태가 형성한 공간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보이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음적 형태 공간이 의도적
다음은 대상물 물리적 조건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 목적을 가지고 주변의 상황을 의식한 판단에 따라 활
공간의 활용 사례이다. ③은 원통형의 음료수 캔과 형 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①은 물체가 가로수 보호대
태 크기가 모두 유사한 닫힌 공간(F4)이 활용되었다. 에 원형으로 형성된 닫힌 공간(F4)에 맞춰 가로수 기
④는 두 개의 전신주 사이의 폭과 비슷한 의류 수거함 둥을 둘러싸며 규칙적으로 배열되었고 ②, ③, ④ 또한
이 배치되었다. 이는 공공공간의 이용자뿐만 아니라 공간의 구조적 형태에 맞춰 배열되고 있음을 알 수 있
공간의 설계자나 관리자 또한 음적 형태 공간을 인식 다. 이 장소들은 방문할 때마다 유사한 흔적이 발견되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렇게 행위 의도와 대상물의 었다. 그리고 ③, ④에서 와 같이 폐쇄도가 높은 공간
물리적 특성과 유사한 구조의 공간이 선택되는 속성은 에서 낮은 공간 방향으로 배열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
‘고정·맞춤’의 기능적 세부 특성이 작용되는 것으 다. 이렇게 규칙적인 배열과 배치의 속성은‘맞춤’의
로 해석할 수 있다. 기능적 세부 특성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림 9> 의도적 목적과 대상의 물리적 특성에 적합한 구조 선택 <그림 10> 규칙적인 배열과 배치를 수반한 행위 흔적
5. 음적 형태 공간에 흔적으로 남은 양적 형태는 또 4. 음적 형태 공간의 활용 속성과 작용과정
다른 공간을 생성하며 확산된다.
분석을 과정을 통해 발견한 5가지의 음적 형태 공
<그림 11>은 건물 사이에 형성된 부분적 닫힌 공
간의 활용 속성을 개념적으로 정형화하여 폐쇄성·적
간(F3)이다. 이 공간에 배치된 에어컨 실외기, 의자,
합성·규칙성·확산성의 4가지 활용 속성을 도출하였
오토바이들은 양적 형태가 되어 또 다른 구조의 음적
고 이를 이론 연구를 통해 파악한 지각 이론의 내용을
형태 공간들을 생성하고 있다. 그런데 재생성된 음적
기반으로 공공공간에 형성되는 음적 형태 공간의 활용
형태 공간들 또한 행동을 유도하며 흔적을 남기게 된
속성과 작용 과정을 정리하였다.
다. 의자와 오토바이 안쪽의 공간을 확인해 보면 ①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에어컨 실외기와 벽면 옆의 받침대가 놓이며 닫힌 공
1. 폐쇄성은 폐쇄도가 높은 닫힌 구조의 공간과 부
간(F4) 2곳과 부분적 닫힌 공간(F3), 부분적 열린 공
피가 협소한 구조가 우선되며 같은 공간에서도 폐쇄도
간(F2)이 재생성되었다. 그리고 이 공간에 수납과 폐
가 높은 위치가 선택되는 속성이다. 대상물에 대한
기의 흔적들이 남았음을 알 수 있다. ②에서도 1차 흔
‘숨김’의 기능적 세부 특성이 작용된다.
적으로 재생성된 공간으로 인해 남은 2차 흔적들이 다
2. 적합성은 대상물의 형태나 크기와 같은 물리적
양한 구조의 공간을 재생성하였다. 이렇게 남긴 양적
조건과 공간의 구조적 유형이 유사하거나 목적과 의도
형태들은 앞서 밝힌 폐쇄도가 높은 위치가 우선 선택
에 적합한 기능을 갖추고 있은 양적 형태로 형성된 구
되는 속성이 적용되어 대부분 닫힌 구조의 구간에서부
조적 유형의 공간이 우선 선택되는 속성이며 공간의
터 열린 구조의 방향으로 배치되며 음적 형태 공간과
폐쇄도에 우선한다. 대상물과 공간 구조의‘맞춤’과
양적 형태가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정’의 기능적 세부 특성이 반영된다.
3. 규칙성은 음적 형태 공간을 이용한 흔적들이 규
칙적인 배열과 배치를 수반하는 속성이다. 공간의 구
조적 형태에 맞춰 배치되며 폐쇄도가 높은 공간에서
낮은 공간의 방향으로 배열되는 성향이 있다. 공간 구
조에 대한 대상물의‘맞춤’의 기능적 세부 특성이 작
용된다.
4. 확산성은 음적 형태 공간의 이용으로 남은 양적
형태로 인해 공간이 재생성되는 속성이다. 재생성된
공간은 또 다른 행위를 유도하는 기회가 되며 음적 형
태 공간과 양적 형태가 확산되며 공간을 점유한다. 이
는 음적 형태 공간에서 유사한 행위의 흔적이 반복되
는 현상 해석의 단서가 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공공공간에 형성된 음적 형
태 공간은 4가지의 구조적 유형과 활용 속성의 영향에
따른 상호 작용을 통해 행위자의 의도적 목적에 따라
선택되고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그
림 12>와 같이 음적 형태 공간의 지각과 작용 과정을
정리하였다.
행위자가 의도한 목적과 음적 형태 공간의 기능적
유형이 일치할 때 양적 형태 보다 음적 형태 공간을
탐색한다. 이때 음적 형태 공간이 부수적 기능과 적합
한 시각적·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면 행위자에게
특정한 의도가 없어도 음적 형태 공간이 포착되며 의
도를 발생해 활용되거나 차후 시각적 경험과 작동 기
<그림 11> 물체 배치로 인한 음적 형태 공간의 재생성
억으로 잠재되는 양방향 처리가 이루어진다. 이렇게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이는 행위자의 시
음적 형태 공간이 지각되면 기능적·구조적 유형이 재 각적 경험과 작동 기억에 의존한 하향식 처리에 따르
인되고 4가지 활용 속성의 영향으로 구체적인 행위가 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음적 형태 공
선택된다. 행위의 결과로 남은 흔적은 양적 형태로 배 간에 잠재한 부수적 기능과 구조적 유형과의 상호 관
치되며 새로운 음적 형태 공간을 재생성하고 이는 다 계가 음적 형태 공간의 활용 유형과 작용을 이해하는
른 행위자의 행동 기회가 된다. 이렇게 행위와 공간의 단서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현장에서 발
재생성은 공공공간에서 음적 형태 공간에 유사한 행위 견한 행위의 흔적과 행동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용 유
의 흔적이 반복되며 확장하는 요인이 된다. 형에 따라 폐기·수납의 2가지 기능적 유형과 숨김·
고정·맞춤의 3가지 세부 특성을 추출하였고 폐쇄성,
적합성·규칙성·확산성의 4가지 활용 속성을 추출하
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결과물로 음적 형태 공간의
구조·기능적 유형과 활용 속성의 상호 관계를 종합해
지각 체계에 따른 작용 과정으로 정리하였다.
음적 형태 공간은 양적 형태가 배치될 때 필연적으
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음적 형태 공간이 폐쇄도가 낮은 열린 공간
일수록 그리고 이용되는 대상물의 크기·형태가 수용
될 수 없거나 그 대상물을 고정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물리적 조건을 갖추면 활용 빈도가 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에 시설물을 배치할 때 폐쇄도가 높
은 부분적 닫힌 공간(F3) 이상의 공간과 협소한 부피
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조절하여 폐기로 이용되는
<그림 12> 음적 형태 공간의 활용 속성과 작용 과정
부수적 기능의 활용 빈도를 줄이고, 해당 공간에 자주
거치 또는 적치되는 사물을 사전에 파악하여 그 사물
5.결론
의 크기보다 작거나 고정할 수 없는 구조의 공간으로
본 연구는 공공공간에서 형성되는 음적 형태 공간의 조성할 수 있다.
개념을 규정하고 현장에서 벌어지는 이용 실태를 조사 반면, 특정한 영역에 음적 형태 공간을 의도적으로
하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사람들이 음적 형태 공간을 조성해 이용자의 활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미관을 정
인식하고 활용하는 속성과 작용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 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 음적 형태 공간을 적
다. 그리고 이를 공공환경의 기획과 디자인 과정에서 극적으로 활용한다면 시설물의 설치 없이도 해당 공간
적용하여 음적 형태 공간의 형성과 유발될 행위를 사 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예
전에 예측하고 조절하여 긍정적인 기능으로 전환할 수 를 들어 간단한 처리만으로 음적 형태 공간을 휴지통
있는 기초 자료를 발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대신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는 이미 형성된
문헌적 이론의 근거로써 Akner-Koler의 형태 개념 공간이나 시설물 설치 과정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을 도입해 음적 형태 공간을 면의 조합에 따른 6가지 한 펜스나 벤치, 가로등의 시설물을 조절해 자전거나
유형으로 나누고 이를 다시 폐쇄도에 따라 4가지의 구 기타 사물의 거치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
조적 유형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Murata와 Messi- 이다.
nger가 제시하는 물체의 시각적·의미적 표상에 따른 공공공간은 기능과 목적에 따라 편의와 안전을 위해
행동 반응과 시각적 경험과 기억의 회상 처리 기제에 다양한 시설물들을 필요로 하지만 고정적으로 설치되
대한 이해를 통해 공공공간의 음적 형태 공간은 범용 기 때문에 환경 조건의 변화에 따른 자유로운 변형과
적인 부수 기능이 잠재되어 있으며 행위자의 의도나 제거가 어렵다. 또한 시설물이 설치될 때마다 생성되
상황적 맥락이 부수적 기능과 부합할 때 양적 형태가 는 음적 형태 공간들은 예기치 못한 부수적 기능을 수
가진 고유 기능의 지각과 분리되여 포착되고 행위로 반한다. 따라서 요구되는 필요에 따라 시설물을 설치
하는 것도 방법이지만, 공간 형성을 중심으로 관점을
바꾸어 시설물의 설치 없이도 이미 형성된 공간을 이
용하거나 최소한의 시설물을 설치하며 이로 인해 생성
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 좀 더 넓고 깨
끗한 공공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
대한다.
본 연구는 보행자의 관점에서 현장에서 선행된 행위
로 남겨진 흔적들을 그 유형과 활용 속성 및 작용 과
정을 문헌적 이론 자료들을 근거로 하여 실제 관찰한
내용을 정성적으로 분석·추론한 결과이다. 따라서 향
후 실제 행위 과정에서 벌어지는 세부적인 요인과 공
공공간에 설치되는 시설물과 구조물의 법규와 매뉴얼
에 따른 조건을 고려한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후
속 연구들을 진행하고자 한다.

References
Akner-Koler C., (2007). Form & Formlessness.
Stockholm: Axl Books
Kandel E., (2013). Principles of Neural Science(5nd
ed). New York: McGraw-Hill. / Kang, Bongkyun
Trans., (2017). Principles of Neural Science(5nd
ed). Seoul: Pummun.
Matlin M., (2013). Cognitive Psychology(8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 Min, Yungi Trans.,
(2015). Cognitive Psychology(8nd ed.). Seoul:
Pakhaksa.
Messinger A., L. Squire, S. Zola, & T. Albright, (2001).
Neuronal representations of stimulus associations
develop in the temporal lobe during learning. Proc
Natl Acad Sci USA, 98, 12239-12244.
Murata A., L. Fadiga, L. Fogassi, V. Gallese, V. Raos,
& G. Rizzolatti, (1997). Object repressentation in
the ventral premotor cortex(area F5) of the
monkey. J Neurophysiol, 78, 2226-223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