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6권 제1호(통권 제50집) 2006. 10. 26~27

안도 다다오 건축물에 나타나는 공간의 전이현상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ransitional phenomena of space found in Ando Tadao’s architecture

* **
○ 윤 선 영 유 현 준
Yun, Seon-Young Yoo, Hyun-Joon

……………………………………………………………………………………………………………………………
Abstract
In modern architecture, the expression of space is being criticized for its fragmentary and regimental aspects as well as the
exclusion of the user's experiences. Therefore the loss of the conception of place leads to the necessity of an experiential space
which can contain user’s consciousness and emotion come from his own experience of the space. In this research, transitional
space would be a main subject that makes the transitional experience in space possible, and Ando Tadao, a Japanese architect,
who expresses it expertly is selected as the subject of study .It is the aim of this research to study Ando Tadao'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al phenomena in space appeared in his work.
……………………………………………………………………………………………………………………………
키워드 : 안도 다다오, 전이 공간, 장소성, 공간체험
Keywords : Ando Tadao, Transitional Space, Placeness, Spatial Experience
……………………………………………………………………………………………………………………………

1. 서 론 사고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의 건축물에서 자연과


건축과 인간사이 에서의 다채로운 체험인 전이현상이 어
1.1 연구의 목적 떻게 드러나 있는지 찾아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다.
현 시대는 건축이 또 하나의 미적 대상으로 인식됨에
따라 보다 예술적이고 보기 좋은 건축물을 표현하며 발 1.2 연구의 방법 및 절차
전하고 있지만 공간 표현에 있어서는 기능적인 효율성이 본 연구는 건축물의 다양한 사건을 체험 할 수 있는 공
나 경제적 합리성만을 추구하여 단편적이고 획일화 된 간 구성방식을 추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이와 같은 건축
공간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이 건축적 적 사고를 잘 표현하고 있는 현대의 건축가 안도 다다오
내용과 무관하고, 장소적인 관계도 상실되어 건축은 더욱 를 선정하여 그의 작품을 통하여 건축에서 다양한 현상
무미건조해지고 다양한 인간의 의식이나 감정 흐름을 담 적 체험인 전이현상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기에는 부족함을 보인다. 따라서 건축은 다양한 사건을 첫 번째로 안도 다다오의 건축적 특징에 관하여 분석하
체험 할 수 있는 공간 구성을 요구하고 있다. 고 두 번째로 전이현상의 일반적 고찰과 건축에서 나타
일본의 건축가 안도 다다오는 건축을 자연과 건축물과 나는 전이현상에 관하여 살펴본다. 세 번째로 전이현상이
인간의 관계됨을 파악하는 건축적 사고를 지니고 계획자 가장 잘 드러난다고 판단되어지는 안도 다다오의 작품을
적 입장의 건축관에서 벗어나 이용자의 체험적 측면을 선정하여 참고 문헌과 기존 연구문헌을 바탕으로 비교,
고려한다. 기존의 ‘작가-작품’과 같은 2차원적 사고로부터 분석하고 실제 답사를 통하여 이용자의 입장에서 이러한
‘작가-작품-독자’의 3차원적 사고로의 전환이 된다.1) 또 현상들을 체험해 보고 결론을 도출해 내고자 한다.
한 이와 같은 그의 건축적 사고는 다양한 빛의 도입, 시
각의 다양성과 같은 요소들을 공간 속에 엮어내어 공간 2. 안도 다다오의 건축적 특징
사건이 가지는 특징을 건축에 도입시켜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공간을 형성하고자 하였고 건축을 체험의 장으로 2.1 노출 콘크리트
서, 미적 대상으로 인식하는 사고의 확장을 이루게 한다. 안도 다다오의 건축에선 대부분의 건물에 콘크리트를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안도 다다오가 추구하는 건축적 사용하여 단순히 재료나 구조적인 성능을 뛰어넘어 그의
건축을 대표하는 어휘로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안도 다
* 홍익대 일반대학원 석사과정 다오의 콘크리트 사용은 세 가지 측면에서 볼 수 있다.
** 홍익대 건축학과 교수 첫째로 안도 다다오가 처음 콘크리트를 사용하게 된 것
1) 이석훈, 안도 다다오 건축에 나타나는 전이현상의 구조적 체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ⅰ, 1997 은 적은 건축 비용을 고려한 경제적인 문제와 큰 공간을

- 133 -
자유롭게 만들 수 있고 세계 어디서나 간단히 구할 수 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있는 손쉬운 재료이기 때문이다. 첫째로 물을 조망의 매개체로써 수공간을 관찰하고 시
둘째로 안도 다다오는 콘크리트가 일본의 전통 건축이 각적, 청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였다.
보여주는 단순성과, 나무와 종이에 익숙하여 부드러운 소 둘째로 물을 건물에 진입부 주위를 거쳐가는 곳에 접근
재를 찾는 일본인들에게 가장 적합한 재료라고 생각했기 시킴으로 인간의 이동을 유도하고 이끌며 때로는 사용하
때문이다. 는 사람들이 직접 물놀이를 할 수 있게끔 하여 신체적
셋째로 콘크리트의 표면을 거울과 같이 부드럽게 하여 체험 요소로서 작용하기도 한다.
매끄러운 표면으로 마감하고, 그 자체를 마감재로 인정하 셋째로 물이라는 자연요소의 도입과 해석을 통한 자연
고 그것을 내부와 함께 노출시킴으로써 오늘날 그의 대 과 인공과의 조화 내지는 경계형성이라는 측면으로 나타
표적인 건축 재료로 자리하게 되었다. 나고 있다.5) 자연과 건축과의 관계에서 내부와 외부의 경
계영역인 동시에 건축을 자연과 인간 사이에서 수공간이
2.2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에 사용된 기하학적 구성 라는 자연요소를 도입함으로 인간의 감성을 유발시키고
안도 다다오는 엄격하지만 추상도가 높은 기하학 형식 자연을 건축화 하며 융화되기 위한 일종의 매개형성을
에 따라 다양한 공간을 구성해 낸다. 정사각형, 직사각형, 함으로써 중간 영역적 이미지 경향을 보이고 있다.
원 등의 단순하고 딱딱한 기하학적 요소들을 병치, 결합, (3) 바람, 하늘
분할, 첨가함으로써 공간의 리듬감을 부여해 주고 이러한 안도 다다오는 자연의 무형의 요소인 바람과 하늘을 건
요소들이 만들어 내는 각각의 공간들이 서로 조합이 되 축적 장치로 도입하여 또 다른 현상을 야기 시킨다.
어 다양하고 복잡한 전체 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건축물에 바람의 통로를 두어 풍부한 바람을 담아내는
또한 딱딱한 기하학 구성을 사용하면서 인간을 위한 공 상자로 작용하기도 하고 공간 안으로 하늘이라는 자연요
간을 창조해 내는데 공간의 연결 구성에서 벽이나 프레 소를 의도적으로 담아내어 건축물에서 비어있는 공간에
임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가두거나 자르는 방법 흘러가는 구름을 가두어 변화하는 그림을 계속 만들어
으로 추상화시켜 건축 안으로 도입한다.2) 그 속에서 인간 내는 듯한 장면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한다 .6)
이 건물과 자연을 동시에 체험하도록 유도하여 무미건조
한 건물에 생기를 넣어주고 인간에게 감동을 안겨주고 2.4 장소성
풍부한 감각을 이끌어 낸다. 안도 다다오는 그 건축이 세워질 곳에 장소의 특성이
가진 의미와 가치를 파악하여 꼭 그 땅에만 있는 건축의
2.3 자연 요소의 도입 논리로 이끌어 낸다. 주어진 대지 주변의 자연환경을 가
(1) 빛과 그림자 능한 파괴하지 않고 그 장소가 가지고 있는 힘과 같은
안도 다다오에게 빛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사용된다. 그 것을 끄집어내고 살려서 눈에 보이지 않는 것과 교감할
는 건축의 본질을 빛과의 관계로부터 파악하고 빛을 통 수 있도록 유도하며 또한 주어진 대지뿐만 아니라 그 지
해서 공간을 연출한다. 또한 공간의 힘을 빛의 힘으로 해 역의 사람과 문화적 환경등도 고려한다.
석하여 그의 건축물에서 빛에 대한 철학3)을 드러낸다. 이러한 안도 다다오의 건축에 있어서의 장소성은 크게
공간에 의도적으로 빛을 끌어들임으로써 콘크리트가 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들어 내는 차갑고 조용한 공간에 소재 자체를 초월한 부 첫째로 자연과 건축의 관계에서 건축물과 주변 환경의
드럽고 투명한 공간을 연출하고 빛의 각도에 따라 움직 조화로 인한 경관적인 요소와 빛, 물, 바람, 하늘 등의 자
여 바닥에 떨어지는 그림자 형태를 통해서 어두움과 밝 연 요소들이 건축에 추상화 되어 건축과 이미 존재하고
음의 대비를 통한 공간을 극대화 시키고 자연과의 관계 있는 자연과의 관계를 부드럽게 융화하도록 만들어 낸다.
를 나타내기도 한다. 두 번째로 도시와 건축과의 관계이다. 안도 다다오는 대
(2) 물 지와 건축물과의 관계를 도시와 길에 관계로 부각시켜
안도 다다오는 물의 도시로 불리 우는 오사카 태생이다. 도시속의 복잡한 길의 구조를 그의 건축물에서 미로적
어릴적 부터 물과 친숙했고, 그의 개인적인 경험이 내재 동선으로 표현하여 체험적인 이동과정을 갖게 한다.
되어 그의 건축에 담고 있는 중요한 자연 요소 중의 하 표1. 안도 다다오의 건축적 특징 요약
나로 표현되고 있다. 그가 추구하는 정신과 감성을 담아 구 분 특 징
경제적이고 손쉬운 재료, 일본의 전통성 부여,
내는 건축공간은 변화하는 자연의 속성을 담은 물이라는 콘크리트
내부와 함께 노출
자연 요소에 의해 구체화 된다.4) 그에게 있어서 물은 세 기하학 형태 리듬감 부여, 다양한 공간구성, 자연요소 도입
자연요소 도입 공간의 지각적, 체험적 경험 부여
2) 강민구, 안도 다다오 건축의 기하학을 통한 공간구성방식에 관한
건축과 주변 환경의 조화, 도시 속 길의 구조
장소성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2001.10 도입
3) 이용관, 안도 다다오의 건축 철학과 작품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8, 2004 5) 김영훈, 안도 타다오(安藤忠雄)의 작품에 나타나는 水空間의 共
4) 손광호, 안도 타다오와 제임스와인즈 작품에 나타난 물의 의미 연 生的 解析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권9호 p.170, 2001.9
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35호, p51, 2002.12 6) 임채진, 안도다다오 건축의 누드작가, 살림, p.28, 2004

- 134 -
3. 전이공간의 일반적인 고찰 다.11) 이는 인간이 장소에 대해 감각적으로 자극을 주어
명확한 공간을 인지하게 하며 장소에서 나타나는 수평적
3.1 전이 공간의 개념 인 공간과 수직적인 공간이 교차, 혼합, 중복되어 나타난
전이란 사전적로는 ‘옮겨감, 이전(移轉), 사물이 변하여 다. 이러한 물리적인 환경 요소들에 의하여 공간의 형태
감’ 이라는 의미이고, 심리학에서는 ‘어떤 내용을 학습한 나 기능들이 지속적으로 변화한다. 물리적 전이공간은 수
결과 직접 훈련하지 않아도 다른 정신적, 운동적 기능이 직적 요소, 수평적 요소, 복합적 요소로 나눌 수 있다.
향상하는 일’, 감정을 전가함 등의 표현7)으로 나타나고 표2. 전이공간의 물리적 경계요소
구 분 특 징 구성 요소
있다. 즉 이전, 변화, 기능의 향상 등을 의미한다.
수직적 인위적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로 담, 대문, 벽,
건축적 의미에서는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이질적 요
요소 주공간과 타공간의 구획을 지어준다. 창호, 기둥
소의 변화에 따라 이질감을 완화시키고 갑작스러운 상황 자연적인 요건이나 인위적인 기단, 지형의
수평적
의 전환을 조절하고 완충 또는 매개하는 기능의 공간이 요건으로 단차를 두어 경계를 고저, 공간의
요소
며, 이런 요구를 수용하는 공간을 전이 공간8) 이라 한다. 짓는다. 바닥 높이차
복합적 새로운 공간에 진입했다는 심리적인 아케이드,
또한 공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건물이 위치한 대지에 진
요소 변화가 일어남 필로티, 게이트
입하여 건물 입구에 도달하게 될 때까지의 공간 변화 과
정에서 관찰자가 공간의 이동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여 3.3 전이공간의 구성 형식
인간의 행위의 흐름에도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데 이때 건축에 있어서 단일한 하나의 공간만으로 건축물을 구
인간의 움직임이나 시간적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장면이 성시키는 예는 극히 드물다. 자연과 건축물과의 관계, 건
전개되고 주변 환경과 직접 대응하며 건물로 향하는 시 축 공간간의 관계, 그리고 이동을 위한 통로에 의해서 서
퀀스적인 의미로도 말할 수 있다. 로 연관 되어 여러 공간들로 구성이 되고, 전이 공간은
이과 같은 건축의 관계되어짐으로부터 출발한다.
3.2 공간의 경계구조로서의 전이 공간 (1) 자연과 건축 사이에서의 구성형식
최초의 견축 행위는 내/외의 구별이며 공간과 공간이 분 건축이란 인간이 자연 속에서 필요에 따라 그 자연을
리되고 연결되는 점이 경계이다. 경계란 영역을 연속적인 점유하고 그들의 영역을 물리적으로 한정하는 행위이
하나의 공간 단위로 인지하게 할 뿐만 아니라 한 영역과 다.12) 따라서 인공적인 건축물과 자연이라는 대립적인 요
다음 영역을 매개하는 전이적 역할을 한다.9)전이 공간은 소가 경계를 이루기도 하지만 건축물 속에 주변 자연 요
이러한 경계의 서로 다른 두 가지 성격을 결합하는 매개 소를 끌어들임으로 건축은 자연과의 경계를 완화시키고
체로서 심리적인 것과 물리적인 것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인간의 감각기관을 통하여 가장 넓은 의미의 전이공간으
(1) 심리적 측면에서의 고찰 로 인지하게 된다.
심리적인 특성은 공간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때 인간의 (2) 외부공간에서의 구성형식
감각기관을 통하여 지각하는 심리의 상태를 말하며 공간 외부 공간의 관계에 있어서 다수의 공간이 결합될 경우
의 성격, 공간에 대한 느낌을 수 없이 변화시키고 또한 서로 다른 구성 간에 전이 공간이 생겨난다. 배치시에 주
시간과 장소, 인간의 행위 변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변 환경과의 조망을 고려함과 지형의 고저차를 끌어들임
이용자는 서로 다른 공간적 변화에 따라 심리적인 전이 으로 공간의 변화를 줄 수 있고 건물의 진입-건축물-내
를 인식하게 되는데 인간의 심리 상태가 변화는 지점으 부공간에 이르기 까지 동선을 유도하는 흐름에 따라 다
로서의 전이공간은 공간을 역동적으로, 보다 운동감 있게 른 외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관찰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에 전이공간의 활용은 공간에 또한 의도적인 바닥면의 고저차, 벽, 기둥, 내부공간과의
동적 효과를 부여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10) 공유 공간 등으로 복합적이고 다양한 공간이 연출되고
이는 전이 공간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된다.
(3) 과정적 공간으로서의 구성형식
과정적인 공간은 주공간 사이에 존재하여 주 공간의 특
그림1. 심리적 전이 체험
징을 적절히 중재하여 각각의 공간적 성격을 유지시키고
(2) 물리적 측면에서의 고찰 공간들간의 이질적인 부분을 완화시켜 공간의 연속과 분
공간은 물리적인 환경 요소와 인간 행위 사이에서 상호 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중간 과정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표3. 전이공간의 구성 형식
간의 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물리적인 환경 요소에
의해 나타나는 인간 행위의 특징을 물리적 특징이라 한

7) 이희승 편저,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p3195, 1982


8) 김억중, 대한 건축학회지 ‘건축’, p.21, 1993.5 자연과 건축 외부 공간 과정적 공간
9) 윤갑근, 경계구조 유형과 공간적 효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조사연
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26호, p.43, 2001.3 11) 정주대, 공동주택단지의 전이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
10) 안경환, 알바알토(Alvar Aalto)의 공간의 동적효과 구축요소에 술발표논문집, p.32, 2000.10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9권 12호(통권182호), p.149, 2003.12 12) 이석훈, 앞의 논문, p.37

- 135 -
제 4장. 안도 다다오 건축물에서 나타나는 전이현상 5. 결 론

앞에서 고찰한 안도 다다오의 건축적 특성과 전이현상 이상으로 안도 다다오의 건축적 특징과 그의 건축물에
의 일반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그의 건축물에서 나타나는 서 나타나는 전이 현상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전이현상에 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분석의 틀은 먼 건축물에서 안도 다다오 자신만의 확고한 건축적 사고가
저 건축물 내에서의 동선구조를 분석하고 진입 방향에 표현되어 각각의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안도 다
따른 시퀀스를 단계별로 나누어 각각의 공간을 분석한다. 다오의 건축물에 나타나는 전이현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건축물에 노출 콘크리트라는 재료를 사
용함으로써 콘크리트가 가지는 육중함과 다른 재료와의
의도적인 대조를 이루어 공간의 부유함과 가벼움에서 표
현된 전이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둘째, 기하학적 형태의 벽을 통하여 이용자 동선에 방향
성을 주고 미로식 길의 구성으로 이동상에 풍부한 지각
적 체험을 유발하여 영역의 전환을 인지케 한다. 또한 의
도적인 벽의 개폐를 이용하여 주변 환경과 건축물의 차
단과 연결로 다채로운 공간감과 기대감을 준다.
셋째, 건축물 내에 의도적인 빛의 유입으로 밝고 어두움
의 대비에서 오는 공간의 연출을 느낄 수 있고, 수공간
도입으로 공간의 지각적, 체험적 경험을 부여한다. 또한
자연요소 도입으로 자연이 건물의 또 하나의 요소로 인
그림2. 명화의 정원(Garden of Fine Arts) 식되어 자연과 건축의 풍부한 관계함이 나타난다.
이과 같이 안도 다다오는 인간을 건축 디자인의 테마로
설정하여 건축과 인간과, 자연환경의 관련성을 중요시하
고 있다. 이러한 안도 다다오의 건축적 사고는 단편적이
고 획일화 된 현시대의 건축 공간에 다채롭고 풍성한 공
간감을 부여해줄 것이다.

참고문헌
1. 이석훈, 안도 다다오 건축에 나타나는 전이현상의 구조적 체
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2. 강민구, 안도 다다오 건축의 기하학을 통한 공간구성방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계획계),
2001.10
3. 이용관, 안도 다다오의 건축 철학과 작품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4. 손광호, 안도 타다오와 제임스와인즈 작품에 나타난 물의 의
미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5호, 2002.12
그림3. 히메지 문학관(Museum of Literature) 5. 김영훈, 안도 타다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水空間의 共生的 解
析에 관한 硏究,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7권9호, 2001.9
6. 임채진, 안도다다오 건축의 누드작가, 살림, 2004
7. 안도 다다오, 황준 옮김, 안도다다오 그의 건축 이야기, 미건
사, 1993.1
8. 이희승 편저, 국어대사전 민중서림, 1982
9. 김억중, 대한 건축학회지 ‘건축’ 1993.5
10. 윤갑근, 경계구조 유형과 공간적 효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조
사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6호, 2001.3
11. 안경환, 알바알토(Alvar Aalto)의 공간의 동적효과 구축요소
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9권 12호(통권182호),
2003.12
12. 정주대, 공동주택단지의 전이공간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2000.10
13. 이정수, 한영덕 공저, 쉽게 찾아가는 안도 다다오의 건축, 세
진사, 2000
그림4. 효고 현립 어린이관(Children's Museum)

- 136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