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물성 표현으로서 긴장도의 정량적 분석 연구

A Study on Texture Quantification of 'Tensity' as Architectural Material Expression

*
김 소 희
Kim, So-hee
……………………………………………………………………………………………………………………………
abstract
It was examined how architects consider the materials through a questionnaire. With a questionnaire, the possibility of
quantificative analysis for tensity is evaluated by SPSS program. The study evaluates tensity that the texture of materials have
with psychological basis. While "tensity" means the condition of being tautness but of vitality, the opposite meaning, "laxity"
means the state of being comfort and static but of tediousness.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he architects who have more than
3 years of experiences responded to the level of roughness, hardness and psychological tension, regarding 10 basic architectural
materials. As a result, the tensity was 1.75 for woods, 3.02 for building stone, 3.12 for concrete, 2.49 for brick, 3.30 for glass,
2.86 for ceramic, 3.35 for metal, 2.21 for plastic, 2.17 for textile and 1.88 for paper. As an average of 2.5, the material which has
more than 2.5 was recorded as high tensity material, vice versa.

……………………………………………………………………………………………………………………………
키워드 : 긴장도, 조활감, 경연감, 재료, 정량적 분석
Keywords : tensity, roughness, hardness, materials, quantificative analysis
……………………………………………………………………………………………………………………………

1. 서 론 료는 공간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공간이 주


는 긴장도와 건축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 중 어느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것이 사용자에게 먼저 지각 될 것인가? 본 연구에서는
헤이리 아트 밸리 프로젝트1)에서는 사용가능 외장 재 설문조사를 통한 경험 인지의 측면에서 나온 데이터를
료의 범위를 사전에 지정하여 주었는데, 재료의 본질적인 중심으로 각 재료의 긴장도 수치를 찾아내고 긴장도의
성격을 그대로 보여주는 재료와 시간에 따라 변해가는 수치를 정량화하는 방법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건
재료, 사용된 재료의 물성을 유지하고 있는 공업 생산재, 축가는 그 공간에 맞는 긴장도를 갖는 마감 재료를 선정
첨단 기술에 의한 재료들 중에서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건축 재료의 사용이 디자인에 중요한 요소로 차지 본 연구는 건축 구성에서 공간, 형태와 함께 중요한 역
함을 의미하는 예라 할 수 있다. 할을 차지하는 건축 재료에 관하여 물리적 고찰이 아닌,
건축 재료의 재질감에서 느끼는 긴장의 정도는 재료에 건축 재료의 물성이 디자인에 어떻게 표현되고 또 건축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공원에 나무 의자와 콘크리트 의 가와 사용자는 건축 마감 재료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
자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면 사용자는 어느 의자에 가 고 있는지를 밝혀 건축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이론을
서 앉을 것인가? 처음에는 호기심으로 콘크리트 의자에 정립하는 토대가 되고자 한다.
가서 앉을 사람도 있겠지만 그 시간은 매우 짧을 것이고 또한 연구의 목적은 건축 재료의 물성 표현을 통한 디
대부분의 사용자는 나무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할 것이다. 자인 특성에 건축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라는 새
이렇듯 의자라는 동일한 형태로 디자인 되었을지라도 나 로운 개념을 적용하는데 있다. 재료의 시각적・촉각적 질
무와 콘크리트라는 다른 재료는 사용자에게 상당히 다른 감을 긴장도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정량화하는 체계를 만
긴장을 주게 되고 공간의 느낌과도 직접적인 관련을 가 들고 이를 통해 재질감의 정량적 접근 방법론에 대한 가
진다. 각각의 재료는 그 재료의 물성 자체가 가지는 독특 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한 성격을 표현함으로써 건축디자인에 상당한 영향을 미
친다. 1.2 연구의 대상과 방법
재료의 변화에 따라 공간의 지각이 달라지며 마감 재 건축의 조형적 질을 좌우하는 요소는 형태와 공간, 재
질, 색채라고 할 수 있는데 형태와 색채에 관해서는 많은
* 정회원, 동명정보대학교 건축학부 전임강사, 공학박사 이론들이 개발되어 실제 설계에 활용되고 있으나 재질의
1)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법흥리에서 2002년부터 진행 중인 문 디자인 원리에 관한 선행 연구는 그 양과 깊이에 있어
화예술인 독립주택단지 사업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9권 6호(통권176호) 2003년 6월 73


김소희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의 대상은 건축 재료 고전 건축에 있어서 재료의 문제는 자연의 일부로서
의 재질감이며 재질감이 주는 긴장의 정도를 파악하여 그 물성을 뛰어넘지 않는 범위에서 형상 또는 양식을 나
디자인에 적용시키는 기초적 연구이다. 타냈으나 근대건축에 들어와서는 재료가 갖는 사실적 가
연구의 방법은 건축가와 사용자,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치나 의미를 결정하는 인자
건축 재료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지각과 경험을 통한 설 가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게
문 조사와 실험에 의해 건축 마감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러시
긴장도를 분석하여 새로운 관점으로서의 재료에 대한 의 아 구성주의 작가들과 근대
장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먼저 비전문가를 대상으로 미술에서도 주요한 관심사
사용자의 입장에서 건축 마감 재료의 지각을 통한 반응 로 등장하였다. 타틀린의 실
과 건축 마감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의 상관관계 제 공간 속의 실제 재료 개
를 선행 연구2)에서 분석하였고, 다음으로 재료에 대한 지 념이나 장 드뷔페(Jean
식과 경험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각각의 건 Dubuffet)의 그림1에서 재
축 마감 재료가 주는 긴장도에 대해 설문을 통해 고찰하 료와 물성에 의한 표현으로
고자 한다. 재질감을 강조한 것이 좋은
그림 1. 장 드뷔페,
분석 방법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응용하여 전체적 예이다. 근대 건축에서도 순
아버지의 충고,
인 설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3) 실험・설문을 통해 추출 수성과 본질을 추구하는 근 메소나이트의 유채, 1954
된 수치를 가지고 공간 성격에 따른 긴장도의 적정선 및 대건축운동의 성격으로 재
긴장도의 정량적 분석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긴장도의 계 료에 대한 고유의 물성을 감추지 말아야 하며 솔직한 성
량화와 건축 재료의 이미지를 고찰한 결과를 이용, 이를 질을 드러내야 한다는 것이 그 특성의 하나였다.
건축 디자인에 적용하는 방법은 후행 연구에서 모색할 물성은 지각과 인지, 기억과 경험에 의해 시각적 촉각
것이다. 적으로 표현되어지며 이러한 물성 표현은 일정한 심리적
긴장을 가지고 있다. 물성 스스로 고유하게 긴장을 가지
2. 물성 표현과 긴장도 면서 사회적 문화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며 특히
긴장은 심리적인 것이고 상대적인 것이므로 그 긴장은
2.1 물성과 물성 표현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변화 할 수 있다.
물성(materiality)은 일반 공학적인 의미로는 재료의 화
학적, 물리적 성질을 의미한다. 그러나 건축적 의미의 물 2.2 바우하우스와 촉각 실험
성은 표현을 전제로 한 물리적 성질 즉, 재료의 질감, 색 바우하우스에서는 때로
채, 무늬, 광택 등 평면적으로 드러날 수 있는 성질과 가 는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
공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4) 물성은 인간의 감각에 하는 재료의 수집을 적용
의해 지각되는 물질의 느낌이며 작가에게 인식되는 것으 하여 재료의 체험을 통합
로 가시적이며 감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총체이다. 교육조직 제 1단계를 도입
표 2. 재료와 물성 (material & materiality) 하였다. 촉각 훈련이 기초
과정에 주어졌는데 예들
라틴어materials에서 유래,
어원 들면 그림 2의 바우하우스
재료, 물질을 의미
material 객관적 실재인 물질이 건축 내부에서 학생의 여러 가지 촉각을
건축적 그림 2. 루돌프 마르비쓰,
구체적으로 사용된 것 줄을 따라 대조적으로 구
의미 바우하우스, 1928년 제2학기
의식의 외부에 존재하는 객관적 실재 별하여 만든 회전식 촉각 과제물, 촉각 드럼
라틴어 materiarite에서 유래 드럼과 그림3의 부드러움
어원
재료의 상태, 성격, 특성의 추상적 의미
materiality 에서 딱딱함으로 매끄러움에서 거칠음으로 대조적인 촉
건축적 물질의 속성이며 감각으로 지각되는
각 가치를 병행으로 늘어놓은 2열의 촉각 회전판을 들
의미 물질의 내재적 속성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체험적 파악이라는 것은 보통의
학교나 전통적인 수업시간이나 문서에서의 지식으로는
2) 김소희,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긴장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
얻어질 수 없는 것이다.5)
축학회논문집 18권10호
3)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는 말 그대
바우하우스의 학생은 이렇게 해서 최초의 훈련에서 특
로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 프로그램을 말한다. SAS(Statistical 히 촉각기관에 의하여 재료를 다루고 있다. 가지각색의
Analysis)와 더불어 대표적인 프로그램 중의 하나로 SAS는 주 재료를 모아서 서로 다른 많은 감각을 깨달을 수 있게
로 자연 과학이나 공학 계통에서 많이 사용하고 SPSS는 여론 된다. 그들을 닮은 감각인 것, 대조적인 감각인 것을 포
조사나 학술 논문의 경험적 연구 등 사회 과학에 두루 이용되고 함하여 촉각판 위에 모은다. 짧은 시간 또는 오랜 시간의
있다.
4) 배준현, 현대 건축의 즉물적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 박사
논문, 2001 5) 모홀리 나기, 재료에서 건축으로, 과학기술, 1998, p.48

74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9권 6호(통권176호) 2003년 6월


물성 표현으로서 긴장도의 정량적 분석 연구

훈련을 마치면 이들 모든 요
소를 모아서 미리 의도하는
표현에 응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훈련은 기술이나 예술
의 영역에 있어서 재료에 관
한 논리적 발상의 좋은 기초
가 된다. 테마에 대하여 설명
하고 있을 때 학생의 눈은 재
료 색에 주목하고 이 상태에
서 천, 금속, 가죽, 종이, 도자
기, 스폰지 등 제공된 재료를 그림 3 월터 카민스키,
바우하우스, 1927년 제2학기,
손으로 만져보고 결정해야 한 촉각 회전판
다. 감각을 그림으로 표현하
려는 시도도 필요하다. 그림 4. 재질감의 이미지 스케일

2.3 재질감의 척도로서 긴장도 2.4 긴장도의 수치와 의미


재질감에 관한 연구는 시각에서부터의 접근이 대부분 인간의 피부 감각을 중심으로 감각에 대한 연구가 이
인데 일본에서는 주로 텍스처의 시각에 관한 연구6)에서, 루어지고 피부로부터 오는 모든 감각 경험 중 촉각에 대
보이는 요소의 구성요소 및 소재감을 명확히 하는 것을 한 고려를 본 연구의 척도 기준으로 삼아 전체적으로 기
목적으로 여러 조건하에서 시각적 거침을 입경(粒俓)으로 준‘0’을 피부 감각에 의한 촉감 상태로 보았으며 구체적
환산하는 식을 얻고 있다. 건축 재료의 텍스처의 시각 연 긴장도의 계산 방법은 그림 5를 기준으로 진행하였다.8)
구로서 인간의 발달에 의한 텍스처의 인지과정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시각적 특성이나 거침의 정도에 대한 고찰
뿐만 아니라 시각적 촉각적으로 인간이 재료를 어떻게
느끼고 경험하는지에 관한 방법을 강구할 수 있다. 나아
가 건축디자인에 있어 적절한 마감 재료의 선정을 위한
기초적 준비 단계로서 재료의 재질감에 대한 인간의 심
리적 감각적 緊張정도 즉 긴장도의 정량화가 필요하다.
다차원 척도법을 이용한 이미지 맵은 질감에 대한 정 그림 5. 재질감을 통한 긴장도 계산
량화에도 활용될 수 있다. 질감에 대한 이미지 스케일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건축 재료는 인
질감에 대한 느낌들은 보다 정량화하고 명확히 하여 그
간의 피부가 접촉하기에 용이한 것으로 선택되거나 인공
에 대응하는 각각의 소재가 갖고 있는 감성을 구체적으
적으로 조작하여 가까이 설치하고 생활하기에 편안한 상
로 파악 할 수 있어 적정한 마감재를 선정하는데 하나의
태로 만든다. -5나 5의 수치와 같이 감각영역의 단부에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미지 맵을 이용하여 마감재 계획에
위치하는 것들은 언제나 새로운 경험에 의해 다시 갱신
서 공간 내에 구성되는 재료의 색, 질감, 패턴의 적절한
되기 쉽고 또한 경험하고 학습한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조화를 꾀하면서 계획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 마감된 재
조사한 값의 분포가 분산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 논문에
료와 직접 접촉하여 스킨십을 나누므로 시각적 아름다움
과 함께 촉감을 고려하여 계획할 수 있다. 축학회논문집 18권10호 - 마감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의
그림4의 재질감의 이미지 스케일은 이와 같은 다차원 측정 시 사용자의 입장과 설계자의 입장, 즉 비전문가와 전문가
척도법을 근거로 재료에 대해 인간의 지각을 표피에서 의 입장으로 나누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비전문가를 대상
느껴지는 감각인 조활감(粗滑感)과 내부 재질에 의해 느 으로 재료에 대한 시각적이고 촉각적인 직접적 지각을 통해 추
출한 값으로 긴장도에 대한 기초적 조사와 타당성을 선행 연구
껴지는 경연감(硬軟感)으로 나누어 척도로 삼고 만든 것
에서 부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과 기억에 의해 재료를 인
이다. 여기에 긴장과 이완의 관계를 전체적 인간 감각의
식하는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일반적 재료에 대한 설문 조사
기준으로 삼았으며 긴장과 이완에 관한 심리적 근거 및 를 실시하였다.
구체적 설명은 선행 연구7)에서 다루었다. 8) 조활감과 경연감에 의한 건축 재료의 설문치를 가지고 긴장
의 정도를 정량화하는 작업에 있어 이것은 감성이 촉각을 도입
6) 이시카와 시카요(石村奎大), 실내분위기 평가에 미치는 색채, 한 예이지만 촉각 자체가 감성이 될 수는 없다. 재질감 측정 시
조명, 소재의 복합효과, 일본건축학회 학술강연집, 1997. 9 일반적으로 감성의 영역을 포함하지 않았고 그러한 문제점을 계
기타무라 시게고, 질감 평가척도 추출 및 단순한 텍스츄어를 산의 방법론에서의 도입 과정이 필요했다. 따라서 재질감에서 나
이용한 질감의 정량적 검토, 일본건축학회 계획계 논문집, 제511 온 수치들은 피부와 같은 중성적인 상태에서 멀어지는 정도, 즉
호, 1998.9 감성적으로 극단의 단계로 가는 개념을 적용하여 긴장도의 정량
7) 김소희,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긴장도에 관한 연구, 대한건 화에 타당성을 두었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9권 6호(통권176호) 2003년 6월 75


김소희

서는 재료별 상대적 비교치로 긴장도의 수치를 결정한 부여되고 그 공간은 제대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것이므로 즉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건축 재료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우리는 건축설계 시 형태적으로 공간의 많은
설문을 통해 그 상대적인 비교치를 추출할 수 있다. 변화를 주고 대각선이라든가 불규칙한 형태는 공간에 일
이러한 결과로 긴장도의 수치 2.5를 기준으로 건축 재 정 긴장을 유도하는데 특히, 형태적으로 변화를 줄 수 없
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의 수치가 그 보다 낮은 것을 을 때 재료 선택으로 공간에 긴장도를 줄 수 있다.
긴장도가 낮은 재료로, 높은 것을 긴장도가 높은 건축 재
료로 가정하기로 한다.9) 긴장도 2.5 수치는 절대적인 값 3. 설문을 통한 긴장도의 정량적 접근
이 아니며 다소 융통성을 발휘하여 보편적으로 인식해야
하며, 특히 건축 재료의 마감의 변화에 따라 구체적 상황 3.1 설문조사의 배경과 과정
에서 상대적으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건축가는 물성 자체의 표현, 물성적 표현이 주는 긴장
표 3. 긴장도의 수치와 의미 도, 재질감 표현에 의한 긴장도, 공간의 긴장도를 ‘긴장도’
라는 척도는 의식하지 않더라도 건축가들이 보이지 않게
긴장도 긍정적 의미 부정적 의미
상당수준 의식하여 작업하고 있다. 특히 재료의 재질감이
활력있는 긴장 흥분한 주는 긴장도에 의해 사용된 재료의 디자인 표현과 사용
즐거운 초조한 자 사이에 일정한 분위기가 형성되어 공간에 특성을 부
2.5이상
생동감있는 불안한
여한다는 것은 아무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재
흥미있는 낯선
료의 재질감이 주는 느낌의 정도는 인간의 감정이 포함
美 되어 있어 각각의 상황에 따라 매우 다르게 인지되며 본
2.5
연구에서는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를 설문을 통한 분석으
로 정량화하였다.
차분한 우울한 건축물의 디자인 적용 시 대부분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안정된 지루한
2.5이하 수행하고 있는, 건축 재료에 대한 인지와 경험을 가진 건
부드러운 무미건조한
편안한 이완 침정된 축 설계 실무 경험 3년 이상인 전문가 집단10)을 표본 집
단으로 하여 건축 재료에 대한 조활감, 경연감, 긴장에 대
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표본 집단은 재료 선정시
표 3과 같이 긴장도는 긴장과 이완의 상태로 나누어
재료를 직접 지각하고 건축 설계에 반영한다기 보다는
생각할 수 있는데 각각은 긍정적이고 부정적 의미를 동
그 동안의 학습되고 인지된 경험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
시에 가지고 있으며 건축가는 건축 공간에 적용 시 긍정
적인 요소들을 적절히 잘 선택하여 긴장과 이완의 의미 용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설문을 구
를 디자인적으로 구체화 시킬 수 있다. 성하였다.
모든 공간에는 그 공간의 성격에 적합한 긴장도가 있 표본 집단의 수11) 72명 중 설문 응답에 부적합자 2명
다. 예를 들어 관공서와 같은 공적인 공간은 다소 긴장도 을 제외한 7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는 전문가 집단
가 높아 엄숙한 분위기와 공권력을 상징해야 하고 주거 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상당한 신뢰도를 기대할 수
공간이나 휴게 공간일 경우 긴장도가 낮은 공간을 창출 있는 수준이다. 표본 집단 70명중 16명이 여자, 54명이
하여 그곳에 상주하는 사람들이 이완된 상태에서 편안함
을 느끼게 하여야 한다. 또 거대 오피스의 로비나 문화
10) 전문가 집단을 통한 전문 지식에 대한 구체적 설문 조사는
시설의 로비는 다소 긴장도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전반
일반 집단에 비해 그 신뢰도가 상당히 높고 특히, 본 설문 조사
적으로 로비에서의 움직임을 유도하고 그 건물의 대표성 에서는 조사자와 설문자의 직접적 대면과 설명이 포함되어 그
을 표현하며 방문자로 하여금 약간의 위축감도 느끼게 의미가 높다고 하겠다. 이것은 사물을 양적으로만 바라보는 분석
한다. 한편으로 똑같은 것이 반복되는 지루한 공간에 긴 철학의 반대되는 개념인 현상학의 상호 주관적인 확증(Inter
장도가 높은 재료를 부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공간에 활 subjective corroboration)과 연결시켜 생각할 수 있다. - 김기현,
력과 생동감을 줄 수도 있다. 건축 환경 인식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박
사논문, 2000, p1
단적인 예로 주거는 가장 긴장도가 낮은 공간으로서
11) 일반적으로 표본 집단의 수가 30명(n=30)이면 전체적으로
최근 재택근무가 많아짐에 따라 주거 내부에서의 업무량
그 조사치는 정규분포를 이루게 된다. 이 정규분포와 관련해서
이 많아지는데 흔히 오피스나 다른 공적인 장소에 비해
중요한 개념은 중심극한정리(central limit theorem)이다. 임의분
그 효율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는데 이때 긴장도 높은 포를 갖는(평균 μ이고 분산이 σ2)모집단으로부터 추출된 크기 n
재료를 부분적으로 사용한다면 공간에 적절한 긴장감이 (최소 크기가 30이상인) 표본의 평균값의 분포는 근사적으로 정
규분포를 하게 된다1). 단일 평균의 추정에 있어서 모집단이 알
9) 본 연구에서는 긴장도의 수치를 0에서 5까지로 보고 설문에 려져 있지 않는 경우에는 분포의 정규분포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의해 분석하는데 주로 긴장도 수치가 2와 3 사이에 집중되어 분 n>30이상이어야 한다. 특히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포하고 정량적 수치의 값으로도 중심 값인 2.5를 긴장도 수치의 표본 집단의 수가 30이면 그 신뢰도는 상당히 높은 것으로 평가
중간선으로 보겠다. 된다. - 여운승, 마케팅 조사방법, 민영사, 1997, p.623

76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9권 6호(통권176호) 2003년 6월


물성 표현으로서 긴장도의 정량적 분석 연구

남자의 성별 분포를 보이고, 실무 연수 상으로는 일반적 으로 세라믹, 금속, 플라스틱을 매끄럽게 인식했으며 콘
으로 실질적인 설계 작업의 대부분을 담당하는 3-5년이 크리트와 벽돌을 어느 정도 거칠게 인식하고 목재, 직물
31명, 재료 선정의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6-9년이 21명, 종이 등은 거칠거나 매끄러운 정도의 폭이 적은 피부에
오랜 경험과 연륜으로 전체적인 진행을 하는 10년 이상 가까운 수치를 보였다.
12) 표 4. 기본 재료에 대한 조활감의 t-검정 평균치
이 18명이 본 설문에 응답하였다.
평균의 검정값=0
표준편
조활감 평균 표준 자유 유의 비고
차 t
오차 도 확률
목재 -0.5286 1.8394 0.2198 -2.404 69 0.019
석재 -1.3188 2.4040 0.2894 -4.557 68 0.000
콘크리트 -2.6571 1.4831 0.1773 -14.990 69 0.000
벽돌 -2.5294 1.2396 0.1503 -16.827 67 0.000
그림 6. 표본 집단의 그림 7. 표본 집단의 실무연차별 유리 3.8841 1.5198 0.1830 21.228 68 0.000
성별 구성비율 구성비율 세라믹 2.9000 1.7541 0.2097 13.832 69 0.000
금속 2.9286 2.0023 0.2393 12.237 69 0.000
통계에는 각각의 설문에 대한 차이를 묻는 기술통계와 플라스틱 2.4493 1.7196 0.2070 11.832 68 0.000
서로의 관련성을 묻는 추론 통계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 직물 -0.4429 1.7498 0.2091 -2.117 69 0.038
종이 0.7143 1.4953 0.1787 3.997 69 0.000
다. 기술통계에는 t-test와 분산분석 등이 대표적이고 추
(n=70, 유의확률 P<0.01: 99% 유의도, 유의확률 P<0.05: 95% 유의도)
론통계에는 상관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이 있으며
표 5. 기본 재료에 대한 경연감의 t-검정 평균치
이는 제 3의 현상에 대한 적용이 가능한 특성이 있다. 우
선, t-검정을 통하여 정규 분포에 대한 평균과 표준 편차, 평균 검정값=0
표준편 의
분산을 도출하여 평균값 내에서의 흩어진 정도와 유의 경연감 평균 자유 유의 비고
차 표준 t
수준 확보 내에서의 상한, 하한의 범위를 빈도 분석하였 오차 도 확률
다. 도출해낸 평균치를 중심으로 긴장도를 찾아내고 상관 목재 0.8000 2.1031 0.2514 3.183 69 0.002
석재 -3.5143 1.4620 0.1747 -20.111 69 0.000
분석과 요인분석, 선형회귀분석을 통하여 건축 재료의 재
콘크리트 -3.4571 1.4314 0.1711 -20.207 69 0.000
질감이 주는 정도에 따른 긴장도의 정도에 대한 수치화 벽돌 -1.9851 2.0337 0.2485 -7.989 66 0.000
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각각의 재료들 간의 상대 유리 -1.9420 2.3694 0.2852 -6.808 68 0.000
세라믹 -1.6515 2.3171 0.2852 -5.790 65 0.000
적인 수치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금속 -3.1857 1.9656 0.2349 -13.560 69 0.000
플라스틱 -0.3188 2.0615 0.2482 -1.285 68 0.203
3.2 조활감, 경연감에 따른 긴장도 직물 2.6286 1.8507 0.2212 11.883 69 0.000
종이 2.2286 1.9124 0.2286 9.750 69 0.000
10가지 기본 재료는 디자인 재료학 및 기타 실무 재료
(n=70, 유의확률 P<0.01: 99% 유의도, 유의확률 P<0.05: 95% 유의도)
학 교재를 중심으로 건축 재료의 기본적인 분류에 의해
가장 대표적인 재료들을 선택한 것이다. 기본적 재료에
다음에는 재료 구성의 성질인 딱딱하고 부드러운 느낌
대한 각각의 세부적 분류가 가능하나 여기서는 우선 10
을 경연감이라 하고 그 척도를 역시 인간 피부를 기준으
가지 기본 재료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하였다.
로 삼아 ‘0’으로 잡고 그보다 더 부드럽게 느껴지면 +1에
먼저 재료 표면의 거칠고 매끄러운 느낌을 조사하였는
서 +5, 더 딱딱하게 느껴지면 -1에서 -5로 응답하게 하였
데 이를 粗滑感이라 하고 粗滑感의 척도는 인간의 피부
다. 조활감과 마찬가지로 11단계 척도로 조사한 것이다.
를 기준으로 삼아 ‘0’으로 잡고 그보다 매끄러우면 +1에
각각의 재료에 대한 t-검정 평균과 표준편차, 평균의 표
서 +5로, 그보다 거칠면 -1에서 -5로 하여 모두 11단계로
준오차, 유의확률은 표5과 같다.
나누어 응답하게 하였다 .각각의 재료에 대한 t-검정 평
유의확률 P는 P<0.01에서 99%의 유의도와 P<0.05에서
균과 표준편차, 평균의 표준오차, 유의확률 등은 표9와
95%의 유의도를 가짐을 의미하므로 표의 값을 비교해 볼
같다. 11단계로 응답한 점수를 합산하여 모집단수로 나눈
때, 플라스틱을 제외하고 경연감에 대한 각각의 재료의
값이 표 4의 조활감의 평균값이다.
수치는 상당수준 이상의 유의 수준을 확보함을 알 수 있
유의확률 P는 P<0.01에서 99%의 유의도와 P<0.05에서
다. 여기서 플라스틱은 경연감에서 유의 수준 0.203을 가
95%의 유의도를 가짐을 의미하므로 표의 값을 비교해 볼
져 95%의 유의도에 미치지 못하는데 플라스틱은 종류가
때, 조활감에 대한 각각의 재료의 수치는 상당수준 이상
다양하여 설문 응답자가 특정한 재료를 떠올리기 어려운
의 유의 수준을 확보함을 알 수 있다. 조활감에 대한 평
점이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균치를 보면 유리가 가장 매끄럽게 인식되었고 그 다음
경연감에 대한 평균치를 보면 직물과 종이가 가장 부
드럽게 인식되었고 석재, 콘크리트와 금속은 매우 딱딱하
12) 연차별 등급을 나누는 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를 검증하 게 인식되었다. 벽돌, 유리, 세라믹을 어느 정도 거칠게
여 각각의 성별 연차별 구성에 대한 대별된 설문 결과를 차후의
인식하고 목재, 플라스틱은 딱딱하고 부드러운 정도의 폭
연구에서 다루겠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9권 6호(통권176호) 2003년 6월 77


김소희

이 작은 피부의 딱딱하고 부드러운 정도와 흡사한 수치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통해 얻어낸 긴장의 수치를 ‘긴장’
를 보였다. 값이라 명명하고 조활감과 경연감의 절대치를 통해 얻어
낸 계산된 긴장을 ‘긴장도’값이라 정의하겠다. 긴장도 값
3.3 긴장과 긴장도의 정량적 분석 방법론 은 이후 긴장도라 칭하며 긴장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디
기본 재료에 대한 조활감과 경연감에 대한 11점 척도 자인 표현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가를 분석하는 기준
법에 의한 질문 후, ‘긴장’에 대한 기본적인 정의를 설명 으로 사용할 것이다.
해 주고 각각의 재료에 대한 긴장의 정도를 설문값 표 7. 기본 재료에 대한 긴장도의 t-검정 평균치
0,1,2,3,4,5, 즉 긴장의 정도가 클수록 그 숫자가 큰 값을
적도록 했다. 6점 척도법으로 얻은 점수치를 합산하여 모 평균의 검정값=0
표준편
긴장도 평균 표준 자유 유의 비고
집단수로 나눈 값이 긴장도 평균치이고 그 밖의 자료가 차 t
오차 도 확률
표 6에 기술되어 있다. 목재 1.75 0.8918 0.8918 16.418 69 0.000
표 6. 기본 재료에 대한 긴장의 t-검정 평균치 석재 3.02 0.9350 0.9350 26.911 68 0.000
콘크리트 3.12 1.1283 1.1283 23.199 69 0.000
평균의 검정값=0 벽돌 2.49 1.0551 1.0551 19.044 64 0.000
표준편
긴장 평균 표준 자유 유의 비고 유리 3.30 1.1168 1.1168 24.377 67 0.000
차 t
오차 도 확률 세라믹 2.86 1.0097 1.0097 23.040 65 0.000
목재 0.92 0.93 1.12 7.396 56 0.000 금속 3.35 1.1394 1.1394 24.652 69 0.000
석재 2.72 1.18 1.16 17.451 56 0.000 플라스틱 2.21 0.9196 0.9196 19.847 67 0.000
콘크리트 3.09 1.18 1.16 19.682 56 0.000 직물 2.17 0.8848 0.8848 20.600 69 0.000
벽돌 2.16 1.25 1.17 13.028 56 0.000 종이 1.88 0.9860 0.9860 16.001 69 0.000
유리 3.30 1.24 1.16 20.102 56 0.000 (n=70, 유의확률 P<0.01: 99% 유의도, 유의확률 P<0.05: 95% 유의도)
세라믹 3.00 1.09 1.14 20.863 56 0.000 이상에서와 같이 재료의 재질감에 대하여 계산된 긴장
금속 3.95 1.04 1.14 28.592 56 0.000
도와 설문에 의한 긴장이 거의 동일하며 긴장과 긴장도
플라스틱 2.77 1.09 1.14 19.272 56 0.000
직물 1.04 1.25 1.17 6.236 56 0.000 의 차이는 조활감과 경연감 등의 재질감에 의한 긴장의
종이 1.23 1.27 1.17 7.312 56 0.000 수치와 더불어 사회적 물성으로서의 재료의 영향력을 설
(n=70, 유의확률 P<0.01: 99% 유의도, 유의확률 P<0.05: 95% 유의도) 명하는 것이다.13)
표 8. 긴장과 긴장도 상위값 하위값 비교
설문에 의한 긴장의 정도는 금속이 가장 높은 3.95, 그
다음으로 유리, 콘크리트, 세라믹이었다. 긴장의 정도가 긴장 긴장도
목재 0.91 1.75
가장 낮은 것은 목재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직물과 종
석재 2.72 3.02
이가 차지했다. 다시 말해 인간은 금속, 유리, 콘크리트, 콘크리트 3.09 3.12
세라믹으로 마감된 건물에서 목재나 직물로 마감된 건물 벽돌 2.16 2.49
에서보다 더 많이 긴장한다고 할 수 있다. 유리 35 3.30
세라믹 3.00 2.86
본 연구에서는 -5의 값을 5로 -4의 값을 4로, -3을 3,
금속 3.95 3.35
-2를 2, -1을 1로 치환하여 각각의 절대값의 수치로 조활 플라스틱 2.77 2.21
긴장값과 경연 긴장값을 계산하는데 이는 -5에서 5까지 직물 1.19 2.17
의 건축 재료 물성 자체의 성질인 조활감과 경연감의 수 종이 1.23 1.88

치에, 긴장이라는 개념으로 감정을 정량화하는 방법을 도


입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출해 낸 조활 긴장과 경 석재와 콘크리트 비교 시 석재가 콘크리트 보다 긴장
연 긴장의 값을 2로 나누어 본 연구의 주제인 긴장도 수 도가 낮은데 그 이유는 자연 재료이기 때문이다. 내추럴
치를 얻었다. 다시 말해, 긴장도(조활긴장+경연긴장)/2 (natural)한 이미지에서 석재가 콘크리트 보다 앞서고 이
[계산값]는 조활감의 -5,-4,-3,-2,-1의 값을 절대값으로 것이 긴장도를 완화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로 다
치환하여 각각의 점수치를 합산하여 모집단수로 나눈 값 루는 긴장도는, 조활감과 경연감을 인간 감각을 정량화하
을 ‘조활긴장’, 경연감 -5,-4,-3,-2,-1의 값을 절대값으로 는 방법으로 수치화하여 계산에 의해 도출한 값으로 표
치환, 각각의 점수치를 합산하여 모집단수로 나눈 값을 8에서 긴장의 상위값 군과 하위값 군, 긴장도의 상위값
‘경연긴장’이라 가정하고 이 둘의 합을 더해 2로 나눈 값 군과 하위값 군이 일치했다. 따라서 계산에 의해 도출된
이다. 계산에 의해 도출된 긴장도의 평균치는 표7과 같
다. 13) 그 차이 간격의 정도는 후차에 고려되어질 사회적 인식에 의
한 재료 이미지와 관계된 영역이라 하겠다. 우리가 건축물을 보
계산에 의한 긴장도는 금속이 가장 높은 3.35, 그 다음
고 경험하고 일반적으로 서술하는 대부분의 형용사들은 고급스
으로 유리, 콘크리트, 석재의 순이었다. 긴장의 정도가 가
럽다, 현대적이다 등 그 사회적 물성으로서의 역할에 많은 부분
장 낮은 것은 목재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종이와 직물
을 할당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건축 마감 재료에 대한 사회
이 차지했다. 이 수치는 전문가들에게 긴장이라는 개념을 적 문화적 이미지의 차이는 본 연구에서는 간과할 수 없는 부분
설명한 후 얻어낸 수치의 흐름과 거의 흡사한 결과이다. 이다.

7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9권 6호(통권176호) 2003년 6월


물성 표현으로서 긴장도의 정량적 분석 연구

긴장도의 값은 거의 설계자의 인식과 일치하는 것으로 문하여도 다음과 같은 결과가 계속해서 나올 수 있는 정


나타났고 이것은 선행 연구의 실험 조사에 의한 결과와 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0.6이상이면 그 신뢰도가 채택 가
도 일치한다. 능한 값이다. 그런데 조활감의 요인 분석 그룹 2, 그룹3
에 대하여 Cronbach's alpha 값이 0.5119, 0.5660로 신뢰
3.4 긴장도와 기본재료의 관계성 도 계수가 낮은 경향을 보이고 목재와 종이, 직물은 긴장
기본 재료에 대한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도출된 긴장 도와 경연감과는 달리 다른 요인으로 묶여졌다. 전체적으
도, 조활감, 경연감의 내재적 차원을 각 항목의 요인분석 로 볼 때, 유리, 세라믹, 금속, 플라스틱이 한 요인 집단으
을 통해 검증하였다. 요인분석 방법은 주성분 분석 방법 로 벽돌, 석재, 콘크리트가 한 요인 집단으로 직물, 종이,
에 의해 직각 회전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요인수의 결정 목재가 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이상의 요인 분석을 기
을 아이겐 값(eigenvalue)이 1.0 이상인 것만을 선택하였 반으로 선형 회귀 분석을 진행하여 그 타당성을 높이고
다. 아이겐 값 즉 고유치는 분류된 요인들에 대한 적어도 자 한다.
한개 이상의 변수의 요인을 설명해 주는데 이것은 묶여 표 10에서는 조활감이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
진 요인에 대표성을 제공한다. 회귀 분석하였다. 독립변수 조활감 그룹 1은 유리, 세라
믹, 금속, 플라스틱을 조활 요인 구성 변수를 가지고 있으
며 종속변수 긴장도 그룹 1에 영향을 미친다. 독립변수
표 9. 10가지 기본재료의 긴장도, 조활감, 경연감 요인 분석
조활감 그룹 2, 3, 4는 종속변수 긴장도 그룹 2에 현저한
Cronb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독립변수 조활감 그룹 3은 종속
요인 고유 분산
분류 요인 요인구성변수 공통치 ach's
적재값 치 (%) 변수 긴장도 그룹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선형
alpha
유리 0.816 0.692 회귀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z 그룹 세라믹 0.645 0.590
3.404 34.042 0.7794
1 금속 0.786 0.676 표 10. 조활감이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선형회귀분석(stepwise)
플라스틱 0.737 0.606
석재 0.754 0.596 종속변수 독립변수 회귀계수
긴장도 z 그룹 구성변수 t값 유의도
콘크리트 0.876 0.772 1.814 18.140 0.7700 (긴장도) (粗滑感) (베타값)
2
벽돌 0.771 0.647 유리
목재 0.508 0.373 세라믹
z 그룹 z 그룹 1 0.420 3.603 0.001
직물 0.898 0.824 1.381 13.806 0.7261 그룹 1 금속
3
종이 0.895 0.823 플라스틱
유리 0.855 0.746
상수= -3.27E-04, 수정 R2= 0.214, F변화량=4.943, 유의도= 0.002
z 그룹 세라믹 0.770 0.698
2.600 25.999 0.7887 석재
1 금속 0.829 0.781
플라스틱 0.592 0.728 z 그룹 2 콘크리트 -0.686 -7.952 0.000
석재 0.686 0.636 벽돌
z 그룹
粗滑感 콘크리트 0.766 0.637 1.819 18.191 0.5119 그룹 2 직물
2 z 그룹 3 -0.239 -2.755 0.008
벽돌 0.733 0.581 종이
z 그룹 직물 0.798 0.699 z 그룹 4 목재 -0.236 -2.720 0.009
1.450 14.503 0.5660
3 종이 0.826 0.702 2
상수= -1.20E-02, 수정 R = 0.569, F변화량= 20.140, 유의도= 0.000
z 그룹
목재 0.877 0.773 1.112 11.121 - - - - - -
4 그룹 3 2
유리 0.904 0.822 상수= 1.235E-02, 수정 R = 0.014, F변화량=1.202, 유의도= 0.321
z 그룹 세라믹 0.795 0.715 (종속변수 긴장도의 그룹 1의 요인은 유리, 세라믹, 금속, 플라스틱, 그룹
3.272 32.732 0.8173
1 금속 0.805 0.697 2의 요인은 석재, 콘크리트, 벽돌, 그룹 3의 요인은 목재, 직물, 종이이다.)
플라스틱 0.636 0.678
목재 0.655 0.509
硬軟感 z 그룹
직물 0.918 0.853 2.104 21.039 0.7602 표 11에서는 경연감이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을 선형회
2
종이 0.898 0.807 귀분석 하였는데 독립변수 경연감 그룹 1은 유리, 세라
석재 0.802 0.678
z 그룹 믹, 금속, 플라스틱을 경연 요인 구성 변수로 가지고 있으
콘크리트 0.853 0.748 1.652 16.520 0.6970
3
벽돌 0.697 0.523 며 종속변수 긴장도 그룹 1에 영향을 미친다. 독립변수
(요인추출방법: 주성분분석, 회전방법: Kaiser정규화가 있는 베리멕스) 경연감 그룹 1과 그룹 3은 종속변수 긴장도 그룹 2에 영
표 9의 10가지 기본재료의 긴장도, 조활감, 경연감 요인 향을 미치며 그 유의도가 높다. 독립변수 경연감 그룹 2
분석에서 긴장도의 경우 3개의 그룹으로, 조활감의 경우 는 직물, 종이, 목재를 경연 요인 구성 변수로 가지고 있
4개의 그룹으로, 경연감의 경우 3개의 그룹으로 묶여졌으 으며 종속변수 긴장도 그룹 3에 현저한 영향을 끼친다.
며 각각의 요인변수는 0.6이상의 공통치를 가지고 있는 이상은 요인추출방법이 주성분 분석이며 Kaiser 정규화가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목재의 긴장도 수치의 공통치가 있는 베리멕스 회전 방법에 의한 요인 분석에서 도출된
0.373으로 낮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 시 고려하기 그룹을 선형회귀 분석하여 얻은 결과이다.
로 한다. 요인 적재 값은 0.4 이상이면 적절하다고 보는
데 전체적으로 0.6이상의 수치를 보이고 있다.
Cronbach's alpha는 신뢰도 계수로서 몇 번을 다시 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9권 6호(통권176호) 2003년 6월 79


김소희

된다. 즉, 긴장은 본질적으로 양적인 특성을 가진다는 것


표 11. 硬軟感이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선형회귀분석(stepwise)
이며 질적인 특성은 미학적인 이야기이고 긴장은 질적이
종속변수 독립변수 회귀계수
구성변수 t값 유의도 기 보다는 양적인 개념이므로 긴장감의 정도를 정량적으
(긴장도) (粗滑感) (베타값)

유리 로 측정하는 것이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세라믹 선행 연구에서 재료의 지각에 의한 실험을 비전문가를
z 그룹 1 -0.429 -3.565 0.001
그룹 1 금속
플라스틱 대상으로 서울 시립미술관에서 구체적 상황 하에 실시한
상수= 1.105E-02, 수정 R2= 0.161, F변화량=4.700, 유의도= 0.005
결과 치를 통해 조활감과 경연감의 절대 수치가 거의 같
유리
은 양상으로 나타났고 긴장도가 높은 재료와 낮은 재료
세라믹 에 대한 대략적인 인식이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
z 그룹 1 -0.188 -2.329 0.024
금속
구에서 조활감과 경연감에 의한 긴장도 수치와 직접 설
플라스틱
그룹 2 문을 통한 긴장의 수치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 재질감
석재
z 그룹 3 콘크리트 -0.772 -9.588 0.000 에 대한 인자로서 조활감과 경연감의 적용가능성과 타당
벽돌 성을 밝혔다.
상수= 1.593E-02, 수정 R2= 0.624, F변화량= 33.095, 유의도= 0.000 본 연구에서 논의된 건축 재료는 어떠한 건축물에 어
직물 떠한 마감으로 사용되느냐에 따라 그 재질감이 주는 긴
z 그룹2 종이 0.704 7.506 0.000
그룹 3 목재 장도가 변화할 수 있으며 또, 같은 목재에도 재질에 따라
2
상수= -1.62E-02, 수정 R = 0.490, F변화량=19.563, 유의도= 0.000 경연감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 사례의 표본 제시
(종속변수 긴장도의 그룹 1의 요인은 유리, 세라믹, 금속, 플라스틱, 그룹 가 필요하다. 따라서 향후 같은 기본 재료도 마감 상세에
2의 요인은 석재, 콘크리트, 벽돌, 그룹 3의 요인은 목재, 직물, 종이이다.) 따른 다양한 변화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구체적 재료
33가지에 대한 추가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의 정밀
도와 구체성을 높였다. 그 밖에 건축 재료가 주는 사회적
4. 결 론
이미지와 유사 혹은 반대의 이미지를 가지는 재료 군을
인간 감성적 측면에서 찾아보고 동적, 정적, 공적, 사적
건축 재료에 대한 정보와 경험을 가진 설계 실무 경험
공간 각각에 사용이 선호되는 재료를 설문, 긴장도의 디
3년 이상인 건축가를 대상으로 10가지 기본 건축 재료에
자인 적용 관점에서의 타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대한 조활감, 경연감, 긴장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
건축가가 건축 재료를 선정할 때, 건축주로부터 원하는
다. 건축 재료가 주는 재질감의 척도로서 조활감과 경연
건축물의 용도와 기능, 이미지를 요구받고 그것에 대한
감의 수치를 각각 11단계로 나누어 조사하였고, 건축 재
대안을 형태와 공간을 통한 작업으로 진행해 나가는데
료가 주는 긴장도를 각각의 절대치의 평균값으로 보았으
이러한 경우 건축물의 실제 사용자가 직접 접하고 촉각
며 여기서 절대치는 평온의 상태에서 긴장하는 정도를
적 시각적으로 바로 파악이 가능한 건축 재료에 대한 긴
정량화한 것이다.
장도와 이미지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은 건축
10가지 기본 재료에 대한 긴장도 수치는 목재 1.75, 석
재 3.02, 콘크리트 3.12, 벽돌 2.49, 유리 3.30, 세라믹 2.86, 설계 진행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금속 3.35, 플라스틱 2.21, 직물 2.17, 종이 1.88로 나타났
다. 2.5를 중간으로 하여 그 이상을 긴장도가 높은 재료 참고문헌
로, 그 이하를 긴장도가 낮은 재료로 설정하였다. 건축가
가 건축 재료를 선정할 때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1. 김기현, 건축 환경 인식의 현상학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 박사논문, 2000
공간의 기능과 성격에 따라 긴장의 정도를 재료로서 조
2. 배준현, 현대 건축의 즉물적 표현에 관한 연구, 홍익대 박사
정한다면 보다 직접으로 디자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논문, 2001
것이다. 3. 김소희 윤도근,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긴장도에 관한 연구,
건축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를 조활감과 경연감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권 10호, 2002
을 통한 수치를 적용한 계산 치로 도출해 내었는데 그 4. 김소희, 표피로서 건축 재료의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한
척도는 0에서 5사이의 값을 가진다. 수치 분포 상 2와 3 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 34호, 2002
사이에 긴장도 수치가 모여 있으며 이것은 피조사자들이 5. 이시카와 시카요, 실내분위기 평가에 미치는 색채, 조명, 소
최대치와 최소치에 대해서는 기피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재의 복합효과, 일본건축학회 학술강연집, 1997
6. 기타무라 시게고, 질감 평가척도 추출 및 단순한 텍스츄어를
것이라 볼 수 있다. 즉 재질감이 주는 극단에 대한 두려
이용한 질감의 정량적 검토, 일본건축학회 계획계 논문집,
움과 막연한 생각에서 주로 1에서 4 사이 값으로 재료에
제511호, 1998
대한 재질감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7. 모홀리 나기, 재료에서 건축으로, 과학기술, 1998,.
긴장은 물리학적 측면에서 재료 자체의 속성의 문제이 8. 여운승, 마케팅 조사방법, 민영사, 1997
며 이것을 인식하는 주체자의 감성과 시대 장소 기능 역 9. 채서일, 사회과학 조사방법론, 학현사, 1993
할과 같은 주변 상황과 그 상황 설정의 합일체로서 유지 (接受 : 2003. 4. 3)

8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19권 6호(통권176호) 2003년 6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