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6

방송영상특별영상 세미나 : 매체철학

2020 가을학기

목요일 9:30 – 12:15


포스코관 354 호

최윤정
포관 410 호
Office Hours: 목요일 오후 1 시 – 3 시
Email: yunchoi@ewha.ac.kr
Tel: 3277-6684

수업의 목표

 현대사회에서 매체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미학적 중요성을 인식한다


 다양한 매체의 이용과 활용의 의미를 철학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 매체 철학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깊이있고 독창적으로 해석하는 능력을
키운다.

수업개요
본 강의는 문자, 영상, 인터넷, 소셜미디어, 스마트폰 등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활용을 철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적용하고자 기획됐다. 현대사회의 커뮤니케이션 대부분이 매체를 매개로
이뤄지는 만큼, 매체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세상을 인식하는 도구도 매체이고,
다른 사람과 의견을 나누는 채널도 매체이며, 자신의 과거를 기록하며 성찰을 돕는 기기도
매체인 셈이다. 본 강의는 매체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통해 현대사회와 인간을 이해하는 다양한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강생들은 이 강의를 통해 매체 중심의 현대사회 성격을 이해하며,
다양한 이슈의 해석과 깊이있는 자신의 의견 형성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교과서
 심혜련 (2012). 20 세기의 매체철학: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그린비.
 이광석 외 (2016). 현대 기술-미디어 철학의 갈래들. 그린비
 디터 메르쉬(문화학연구회 역) (2009) 매체이론. 연세대학교 출판부. (Reading packet)

<추천 읽을거리>
- 프랑크 하르트만(이상엽 등 역) (2008). 미디어철학. 북코리아.
- 박영식 (2008). 서양철학사의 이해. 철학과 현실사
- 김성재 (2013). 플루서 미디어 현상학(커뮤니케이션 이해 총서). 커뮤니케이션북스
- 진중권 (2016). 미디어 이론. 열린길.
- 박기현 (2006). 문화콘텐츠를 위한 미디어미학. 만남.
- 박영욱 (2008). 매체, 매체예술 그리고 철학. 향연.
- 천현순 (2012). 매체, 지각을 흔들다: 매체과 지각 사이. 그린비.
- 랄프 슈넬 (강호진 역) (2005). 미디어 미학. 이론과실천.
- 김성재 (1998). 매체미학(나남신서 581). 나남.
- 창홍 (정유희 역) (2010). 미학산책: 소크라테스에서 소쉬르까지. 시그마북스.

1
- 이동후 (2013). 미디어 생태이론(커뮤니케이션 이해 총서). 커뮤니케이션북스.
- 신혜경 (2011). 벤야민 & 아도르노: 대중문화의 기만 혹은 해방. 김영사.
- Meyrowitz J (1985) No Sense of Place: The Impact of Electronic Media on
Social Behavio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평가기준

과제와 시험 Points
수업 발표 100
Thought papers 10 X 12 번
연구 논문 100
출석, 토론 참가 50
Total 370

늦게 제출한 과제는 제출기한 1 주일 뒤까지 제출할 수 있고 10%에 해당하는 점수가 깎이게


됩니다. 제출기한이 1 주일 지난 뒤에는 과제를 제출 할 수 없습니다.
*학기가 진행 되면서 각 과제에 대한 자세한 가이드 라인이 제공됩니다.

수업 발표
한 학기에 4-5 번 정도의 발표가 있을 예정 입니다. 학생들은 reading list 에 있는 논문을 읽고
요약 및 분석하여 발표하여야 합니다. 단순한 논문 요약 보다는 본인의 크리틱이나 다른
연구들과의 비교를 통한 분석 등이 첨가되어야 합니다.

Thought Papers
수업이 진행 되기 하루전인 수요일 정오까지 학생들은 사이버 캠퍼스에 해당되는 주의 reading
에 대한 논문 분석 및 비평, 이론들의 적용을 작성하여 게시해야 합니다. Thought paper 를
바탕으로 수업시간에 토론을 하게 됩니다. 추가적으로 Thought Paper 에는 수업시간에 같이
생각할 질문 2 가지를 같이 올려주세요. Thought paper: 이론정리 및 분석, 비평, 커뮤니케이션
형상에 대한 적용, 질문 2 개로 구성됨.

연구논문
본 수업의 리딩과 관련된 방송이론및 매체철학과 연계된 논문을 작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방법론으로는 양적 방법론인 내용 연구, 설문, 그리고 실험 등의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Full paper 를 작성하거나 방법론 까지만 작성 할 수 있습니다.

출석 및 토론 참가
출석 및 토론 기여도에 따라서 평가를 하게 됩니다. 학생들은 토론에 적극 참여하는 것을 기본
원칙으로 합니다.

주간 스케줄

1 주: 9/3
수업에 대한 소개

2 주: 9/10
매체의 개념과 매체론의 계보
 디터 메르쉬 (2009) 1 장, 2 장

2
<읽기 추천>

 유현주 ( Yoo Hyun-joo ). 2019. 예술 경계의 인식에 대하여 - 레싱의 『라오콘』과


상호매체성.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40(0) : 281-298
 배상식 (2009). 헤르더와 하이데거의 언어개념 비교연구: 언어의 기원과 청각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논문집, 51, 221-249.
 정은해 (2004). 언어의 근원: 헤르더와 하이데거의 차이. 존재론연구, 9, 138-172.
 정호찬 ( Jung Ho-chan ). 2017. 헤겔의 `예술의 종말`과 `현실`로서의 이념.
철학논집, 48(0) : 289-313
 정낙림 ( Chung Nak-rim ). 2017. 니체의 ‘예술의 종말’과 ‘미래예술’. 니체연구,
32(0) : 195-24.
 최성환 ( Sung-hwan Choi ) , 노영환 ( Young-hwan Noh ). 2018. 학문성의 새로운
정초시도로서의 카시러의 상징철학 : 카시러의 언어이해 및 상징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유럽철학연구 48(0) : 61-91
 김호영. (2009). 영화 이미지와 얼굴의 미학. 외국문학연구, (35), 69-90.
 오제명 ( 2007). 브레히트와 맥루언의 매체론 비교.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16, 9-31.
 김경란 ( Kyung Nan Kim ). 2006. 문학 : 엔첸스베르거의 비판적 미디어이론.
독일어문학, 34(0) : 21-42

3 주: 9/17
발터 벤야민: 복제와 아우라
 심혜련 (2012) 1 부 2 장 예술의 기술적 재생산과 아우라의 몰락 발터 벤야민
 이광석 외 (2016). 2장_기술복제의 시대와 그 이후 : 발터 벤야민의 예술과 아우라에
대한 사유(심혜련)
 벤야민 (2017). 기술적 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도서출판 b.

<읽기 추천>
 매체철학연구회 (2005). 매체 철학의 이해. 5 장 매체에 대한 미학적 접근/8 장
 진중권(2003). 현대미학강의: 숭고와 시뮬라크르의 이중주. 1 장 발터 벤야민
 박치완 (2016). 이데아로부터 시뮬라크르까지. 5 장

4 주: 9/24
푼크툼과 숭고미
 권정임 (2011). 숭고 이미지의 예술 철학적 의미.『인문학 연구』, 제 41 집, 67-111.
 김종헌. 사진 이미지와 철학읽기: 푼크툼과 아우라를 중심으로. 철학연구, 52, 193-208.
 박동찬 (1999). 숭고의 미학과 18 세기 프랑스 문학- 숭고의 미학의 이론적 형성과정.
한국프랑스학논집, 28, 57-74.
 롤랑 바르트. <밝은 방>/ <카메라 루시다>.

<읽기 추천>
 심혜련 (2017). 2부 1장 프로이드의 두려운 낯섦
 심혜련 (2017). 2부 2장 바르트의 푼크툼
 심혜련 (2017). 2부 3장 리오타르의 숭고
 심혜련 (2017). 2부 4장 감성적 지각들 간의 가족 유사성

5 주: 10/1
추석연휴 휴강

3
6 주: 10/8
테오도르 아도르노: 문화산업
 심혜련 (2012) 1 부 3 장 대중매체와 문화산업 테오도어 아도르노
 유주현(2002). 매체와 문화: 비판적 매체문화론의 과제. 철학논총, 29, 3-22. (*)
 정미라 (2012). 주체의 형성과 타자, 그리고 자기보존. 범한철학, 65, 123-143.

<읽기 추천>
 아도르노 & 호크하이머 (2001) 계몽의 변증법: 철학적 단상. 김유동 옮김. 문학과
지성사

7 주: 10/15
귄터 안더스: 팬텀과 매트릭스이론
 심혜련 (2012) 1 부 4 장 텔레비전 시대의 실재와 가상의 문제 귄터 안더스
 신강기 (2014). <팬텀과 매트릭스로서의 세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4 권 제 2 호, 60-71.
 이상엽 (2011). 귄터 안더스의 종말론적 미디어 철학. 사회화 철학, 21, 451-478.

8 주: 10/22
중간고사 기간 휴강

9 주: 10/29
마셜 맥루한: 미디어는 메시지
 심혜련 (2012) 1 부 5 장 구텐베르크 은하계의 종말과 매체에 의한 인간의 확장 마셜
맥루언
 이광석 외 (2016). 4장 SNS시대의 미디어철학 : 마셜 매클루언과 인터넷 미디어의 미래
(백욱인)
 오창호(2004). 맥루한과 벤야민: 탈근대적 커뮤니케이션 양식에 대한 탐구.
한국언론학보, 48(3), 410-435.
 이동후(2010). 제 3 의 구술성: ‘뉴 뉴미디어’ 시대 말의 현좀 및 이용양식.
언론정보연구, 47(1), 43-76.

<읽기 추천>
 매체철학연구회 (2005). 매체 철학의 이해. 1-4 장
** 프로포절 제출

10 주: 11/5
프리드리히 키틀러: 기록체계
 심혜련 (2012) 1 부 6 장 기록매체와 정신분석 프리드리히 키틀러 
 최소영 (2015). 키틀러 매체론에서의 정신분석학 연구: 라캉의 개념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미학예술학 연구, 43, 239-265.
 안상혁 (2005). 자크 라캉의 거울단계와 영상미디어의 매개과정과의 연관성.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8(4), 147-154.

<읽기 추천>
 프리드리히 키틀러 (2015). 기록 시스템 1800-1900. 문학동네
 프리드리히 키틀러 (2011). 광학적 미디어. 서울 : 현실문화연구

4
11 주: 11/12
장 보드리야르: 시뮬라크르
 심혜련 (2012) 2 부 2 장 시뮬라크르, 하이퍼리얼 그리고 실재 장 보드리야르
 이종한(2004). 영화 매트릭스에서 보이는 보드리야르의 가상 세계와 시뮬라시옹.
만화애니매이션 연구, 10 권, 163-178.

<읽기 추천>
 장 보드리야르 (1981). 시뮬라시옹. 하태환 역. 민음사
 진중권(2003). 현대미학강의: 숭고와 시뮬라크르의 이중주. 8 장 장 보드리야르
 박치완 (2016). 이데아로부터 시뮬라크르까지. 3 장
 박치완 (2016). 이데아로부터 시뮬라크르까지. 6 장 –재현파괴 논쟁과 실재에 대한
되물음
 박정자 (2011). 마그리트와 시뮬라크르. 7 장 보드리야르
** 이론제출

12 주: 11/19
빌렘 플루서: 텔레마틱사회
 심혜련 (2012) 2 부 3 장 탈역사 시대의 기술적 이미지 빌렘 플루서
 이광석 외 (2016). 3장 테크노코드와 커뮤니케이션 혁명 : 빌렘 플루서의 기술적 형상과
코무니콜로기(김성재)
 이찬웅 (2014). 플루서의 매체 이론과 포스트휴머니즘. 기호학 연구, 39, 97-118.
 유현주 (2013). 현대 매체이론에서 문자의 개념과 역할. 인문과학. 97, 320-343.

13 주: 11/26
폴 비릴리오: 속도/ 노르베르트 볼츠: 감성학/ 괴츠 그로스클라우스: 매체공간
 심혜련 (2012) 2 부 4 장 속도에 의한 공간의 소멸과 편협된 시각의 강화 폴 비릴리오
 심혜련 (2012) 2 부 5 장 디지털 매체의 확산과 새로운 예술의 의미 노르베르트 볼츠
 심혜련 (2012) 2 부 6 장 매체에 의한 시공간의 재편과 매체공간 괴츠 그로스클라우스
 김성재 (1993). 체계이론과 언론연구. 언론과사회, 12, 5-47.
 김성재 (2005). 매체학의 확장: 철학정 성찰. 커뮤니케이션 이론, 1(1), 63-93.
**방법론 제출

14 주: 12/3
미디어·기계-인간의 앙상블
 이광석 외 (2016). 1장_인간과 기술의 공생이 우리의 미래를 개방한다 : 질베르
시몽동의 새로운 휴머니즘(김재희)
 이광석 외 (2016). 5장_시간, 기억, 기술 : 베르나르 스티글레르의 기술철학(이재현)
 이광석 외 (2016). 6장_테크노사이언스에서 ‘사물의 의회’까지 : 브뤼노 라투르의
기술철학(홍성욱)

15 주: 12/10
기술의 사회적 구성과 실천
 이광석 외 (2016). 7장_테크노젠더와 몸의 미학 : 도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이지언)
 이광석 외 (2016). 8장_여성과 과학 기술 화해시키기 : 주디 와이즈먼의 테크노페미니즘
(오경미)
 이광석 외 (2016). 9 장_기술의 민주적 합리화 : 앤드루 핀버그의 기술 비판과 대안적
실천(이광석)

5
16 주: 12/17
연구논문 제출 및 발표 I

 스케줄과 reading 은 학기 진행 상황에 따라서 바뀔 수 있습니다. Reading 의 경우 추후


수정될 수 있으나, 이론들은 유사할 것입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