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5

Sociological Theory

2021년 1학기
주차별 수업계획

• 1주차: Introduction, 은유(metaphor)로 사회 읽기

• 2주차: 고전사회학이론 (1) - 콩트, 스펜서

• 3주차: 고전사회학이론 (2) - 마르크스

• 4주차: 고전사회학이론 (3) - 베버

• 5주차: 고전사회학이론 (4) - 짐멜


주차별 수업계획

• 6주차: 고전사회학이론 (5) - 뒤르켐

• 7주차: 현대사회학이론 (1) - 기능주의

• 8주차: 현대사회학이론 (2) - 갈등이론

• 9주차: 현대사회학이론 (3) - 상징적 상호행위론

• 10주차: 현대사회학이론 (4) - 교환이론, 합리적


선택 이론
주차별 수업계획

• 11주차: 현대사회학이론 (5) - 현상학적 사회학

• 12주차: 현대사회학이론 (6) - 실천이론

• 13주차: 현대사회학이론 (7) - 후기근대성 이론

• 14주차: 현대사회학이론 (8) - 지구화 이론

• 15주차: 기말고사(take-home 방식)


이 수업의 주요 대본

- 조나단 H. 터너. 2019.


『현대사회학이론』.
김윤태 외 16인 옮김.
나남.
참고문헌

- 대니얼 리그니. 2018.


『은유로 사회 읽기:
사회이론으로의 초대』.
박형신 옮김. 한울아카데미.
- 앤서니 엘리엇. 2020.
『현대사회이론의 모든 것』.
앨피.
참고문헌

- 강정한, 김문조, 김종길, 김홍중,


유승호, 하홍규. 2013. 『현대사회학
이론: 패러다임적 구도와 전환』.
다산출판사.
- 김덕영. 2016. 『사회의 사회학:
한국적 사회학이론을 위한 해석
학적 오디세이』. 길.
참고문헌

- 조지 리처. 2006.
『사회학이론』.
김왕배 외 옮김. 한올.
- 조지 리처. 2010.
『현대사회학이론과 그 고전적
뿌리』. 한국이론사회학회 옮김.
박영사.
참고문헌

- 김문조 외. 2015.
『오늘의 사회이론가들』.
한울아카데미.
- 크리스 실링, 필립 멜러.
2013. 『사회학적 야망』.
박형신 옮김. 한울아카데미.
참고문헌

- 알렉스 캘리니코스. 2015.


『사회이론의 역사』(제2판).
박형신 외 옮김.
한울아카데미.
- 루이스 코저. 2018.
『사회사상사』.
신용하 외 옮김. 한길사.
참고문헌

- 앤서니 기든스. 2008.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
박노영 외 옮김. 한길사.
- J. 휴즈, W. 섀록 & P. 마틴.
2018. 『고전사회학의 이해:
마르크스, 베버, 뒤르켐』.
박형신 옮김. 한울아카데미.
참고문헌

- 하르트무트 로자 외. 2019.
『사회학이론: 시대와 관점
으로 본 근현대 이야기』.
최영돈 외 옮김. 한울아카데미.
- 필립 스미스. 2008.
『문화이론: 사회학적 접근』.
한국문화사회학회 옮김. 이학사.
참고문헌

- 크리스토퍼 소프. 2015.


『사회학의 책』.
이시은 외 옮김. 지식갤러리.
- A. 기든스 & P. 서튼. 2018.
『사회학의 핵심 개념들』.
동녘.
참고문헌

- 레이몽 아롱. 1980.


『사회사상의 흐름』.
이종수 옮김. 홍성사.
- 제프리 알렉산더. 1993.
『현대사회이론의 흐름』.
이윤희 옮김. 민영사.
은유로 사회 읽기
은유(隱喩, metaphor)로 사회 읽기

• 대니얼 리그니. 2018.


『은유로 사회 읽기:
사회이론으로의 초대』.
박형신 옮김.
한울아카데미.
은유(隱喩, metaphor)로 사회 읽기

• 여러 사회학이론에서
묘사하는 사회의 상은
실은 은유적 상상력의
산물이다.
은유(隱喩, metaphor)로 사회 읽기

• 사회학이론이 사회를 이해하는 방식은 따지고


보면 유명한 고대 인도 우화의 한 대목과 별반
다를 것이 없다고도 할 수 있다. 여섯 명의 시각
장애인은 각자 코끼리를 만져보고 나서 코끼리
의 모습에 대해 서로 다르게 말하는데, 그 결론
은 다음과 같다.
은유(隱喩, metaphor)로 사회 읽기

그리고 이 여섯 명은

각기 아주 단호하고 강력한 자신의 소견에 근거해

큰 소리로 오랫동안 다투었다네.

비록 각자는 부분적으로는 옳지만

전체적으로는 모두가 틀렸는데도!

(John Godfrey Saxe가 1900년 영시[英詩]로 대중화)


은유(隱喩, metaphor)로 사회 읽기

• 이는 우리가 복잡하고 익숙하지 않은 현상을 보


다 단순하고 친숙한 용어로 환원하기 위해 사용
하는 ‘은유’(하나의 사유대상[A]과 다른 사유대상
[B]을 비유적으로 동일시하고 둘의 이미지를 융
합해 둘 사이의 연관성을 만들어냄으로써 A를 B
처럼 보게 하는 것)의 특징과 한계를 보여준다.
은유(隱喩, metaphor)로 사회 읽기

• 은유는 문학적 장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론


가의 사유체계 전반을 구조화하는 핵심적 조직
원리로 작용하지만, 전체가 아닌 부분적 이해에
그칠 가능성도 내포한다. 더 나아가, 은유는 특
정 정치적 메시지 속에서 일방적이고 그릇된 단
순화 수단으로 이용될 소지 또한 갖고 있다.
은유(隱喩, metaphor)로 사회 읽기

• 사회에 대한 은유적 이미지들

- 생명체(유기체)로서의 사회: 사회현상을 생물


학과 의학의 어휘로 해석하는 은유(콩트, 뒤
르켐, 초기 기능주의)

- 기계로서의 사회: 근대 과학 및 산업화의 진전


에 따라 나타난 은유(사회물리학, 사회공학)
은유(隱喩, metaphor)로 사회 읽기

• 사회에 대한 은유적 이미지들

- 전장(戰場)으로서의 사회: 사회를 전쟁터와 같


은 것으로 보는 은유(갈등이론 및 여타 ‘대결’
의 은유들)

- 법질서로서의 사회: 사회를 규칙, 규제 등의 체


계로 보는 은유(아노미 개념도 이에 해당한다)
은유(隱喩, metaphor)로 사회 읽기

• 사회에 대한 은유적 이미지들

- 시장으로서의 사회: 사회를 정교한 교환관계의


네트워크로 묘사하는 은유(고전경제학, 교환
이론, 합리적 선택 이론)

- 게임으로서의 사회: 사회를 이득 추구의 장으


로 보는 은유(게임 이론)
은유(隱喩, metaphor)로 사회 읽기

• 사회에 대한 은유적 이미지들

- 연극으로서의 사회: 행위자의 사회적 역할 수


행을 연극에 비유하는 것(고프먼이 대표적)

- 담론(談論)으로서의 사회: 사회를 언어학적 창


조물로 보는 은유(여러 미시사회학이론, 해
석학, 구조주의, 기호학, 포스트모더니즘)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