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과학기술학 (STS)

이란 무엇인가
김환석
(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STS 의 문제의식

• 과학기술은 자체의 법칙에 따라 자율적


으로 발전하는 신비한 힘 ?
• 가치 및 사회구조와는 무관한 단지 중립
적인 도구 ( 선용 / 오용 = 사회의 책임 )?
• 과학기술은 실제 어떤 맥락에서 형성되
며 , 왜 어떤 사회적 결과를 초래하는
가?
STS 의 관점과 역할

낙관주의
성찰의 창

변증법적 민주적 통제
비관주의
종합
STS 출현의 역사적 배경

• 근대적 기획 (= 계몽주의 ) vs 비판적


반작용 (= 낭만주의 )
• 서구에서 1950 년대 냉전시대의 과학
기술적 낙관주의와 사회문화적 평온에
대한 반작용으로서 60 년대에 불길처
럼 번져간 사회적 반란의 시기에 출현
미국 유럽

• <Silent Spring> • <Little Science,


• <Unsafe at Any Big Science>
Speed> • 급진과학운동
• 재조합 DNA 논쟁 • 과학상점
• 기술영향평가 • 합의회의
STS 출현에 영향미친
다양한 지식인들

• 자크 엘륄과 루이스 멈포드


• 프랑크푸르트학파
• 스노우와 “두 문화”
• 토마스 쿤과 “과학혁명의 구조”
STS 의 흐름
• 1 세대 (1960s 중반 ~70s 중반 ):
운동으로서의 STS( 비판적 STS)
• 2 세대 (1970s 중반 ~90s 중반 ):
학문으로서의 STS( 탈정치적 STS)
• 3 세대 (1990s 중반 ~ 현재 ):
실천지향적 학문으로서의 STS
(STS 의 재정치화 )
2 세대 STS= 과학지식사회학
(SSK) 의 전개과정
• 지식사회학과 칼 만하임
• 로버트 머튼과 과학사회학 (CUDOS)
• 토마스 쿤과 ‘관찰의 이론의존성’
• 뒤엥 - 콰인의 ‘과소결정’ 명제 :
( 예 ) 18 세기 플로지스톤 이론
• SSK 의 ‘스트롱 프로그램’ 등장
에딘버러학파
과학지식
사회학 바스학파

담론분석
인과성
공평성 성찰주의 접근
대칭성
실험실 연구
성찰성

행위자연결망이론
SSK 의 파생적 접근들

• “ 포스트 - 머튼적” 미국 과학사회학


• 사회적 세계 (social worlds) 접근
• 미국의 민속방법론자들
• 스티브 풀러의 ‘사회적 인식론’
SSK 의 핵심적 특징 요약
• 과학과 기술이 자연 실재의 단순한 재현
이나 반영이 아니라 , 복잡한 사회적 상
호작용을 매개로 만들어지는 사회적 구
성물 (a social construct) 이라는 점
을 경험적 연구를 통하여 보여주는 것
• ‘ 사회적 구성주의’ :
과학 = 자연 * 사회
문제점
• 사회적 결정론의 위험 = 사회학적 환원주의 ?

• 방법론적 상대주의 = 비평가적 = 가치중립적


STS?

• 아카데미즘 = 비개입적 ( 비실천적 )

• 서구 , 남성 , 백인 중간계급의 관점 ?
다른 전통 : ‘ 비판적 STS’
• 기술사회비판
• 페미니스트 / 비판적 과학철학
• 급진과학연구 / 급진적 노동연구
• 반인종주의 연구들
• 환경 및 적정기술 연구
• 탈식민적 과학연구
전망 : ‘3 세대 STS’ 의 모색
• 비판적 STS 와 학문적 STS 의 건강한 결

• 실천지향적 학문으로서의 3세대 STS


원칙: 정치적 + 문화적 + 평가적 + 개입적

• 한국적 맥락 : 탈식민적 STS(?)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