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33

고전사회학이론: 마르크스

G. W. F. Hegel Karl Marx Ludwig Feuerbach


(1770-1831) (1818-1883) (1804-1872)

Friedrich Engels
(1820-1895)
•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생산체계의 발전과
그것이 초래하는 여러 결과에 주목했다.
그는 생산양식(생산력과 생산관계의 총체)
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관계를 탐구했으며,
자본주의를 비판하면서 공산주의의 이념적
기초를 제공했다.
• 마르크스의 사상은 20세기에 여러 가지로 큰
영향을 미쳤는데, 그를 이해함에 있어서는 공
산주의 사상가 이전에 자본주의 비판가로서
의 측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의 자본주의
비판의 요지는 크게 ‘소외’와 ‘불평등’으로 집
약된다.
전기와 사회적 배경

• 프로이센 트리에(Trier) 태생. 변호사였던 부친은


프로이센 당국의 유대인의 사회적 위치를 제약
하는 법률을 시행하자 기독교로 개종했다. 이웃
에 살던 옛 귀족 출신의 루트비히 폰 베스트팔
렌(Ludwig von Westphalen)은 마르크스에게 지적
영향을 준 인물이다.
전기와 사회적 배경

• 1835년 본 대학 입학 후 부친의 강권으로 법학을


공부했으나 1년 후 베를린 대학으로 옮겼고, 점차
철학과 역사에 관심을 가지면서 헤겔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철학박사 학위 취득 후 대학에 자
리를 잡고자 했으나 프로이센 정부의 급진적 청
년 헤겔주의자 탄압으로 인해 여의치 않게 됐다.
전기와 사회적 배경

• 이후 언론계 쪽으로 방향을 바꿔 『라인신문』


편집장을 지냈으나 프로이센 당국에 의해 강
제 폐간됐다. 중요한 것은 이 시기가 마르크
스로 하여금 사변적 철학을 떠나 사회정치적
현실문제들과 직접적으로 맞닥뜨리게 하는
계기가 됐다는 점이다.
전기와 사회적 배경

• 신문 폐간 이후 파리로 떠나 그곳에서 급진적


지식인들과 교류했다. 그리고 이 시기에 미래
의 중요한 동료가 되는 엥겔스를 만나게 된다.
그는 방직공장을 소유한 자본가였으나 공산
주의자로 전향했고, 런던으로 망명한 마르크
스에게 재정적 지원을 해 주었다.
전기와 사회적 배경

• 마르크스의 명성이 높아지자 프로이센 정부


는 파리에 있는 그를 감시하기 시작했고, 그는
결국 브뤼셀로 쫓겨 갔다. 『라인신문』 복간에
맞춰 잠시 독일로 돌아왔으나 결국 다시 추방
당했고, 이후 런던으로 망명해 그곳에서 남은
생을 보냈다.
전기와 사회적 배경

• 런던에서 마르크스는 궁핍한 삶을 살면서도 자


본주의 비판을 위한 연구에 매진했다. 원래 계획
은 총 6개 부분이었으나 후반부 3개(국가, 대외
교역, 세계시장)는 집필하지 못했고, 전반부 3개
부분(자본, 토지소유, 임금노동)이 『자본론』으로
출간됐다(제1권만 그의 생전인 1867년 출간).
초기 시절: 헤겔 관념론 비판

• 마르크스 청년기의 독일 지성계는 헤겔 관념


론 철학의 영향력이 강한 상태였다. 헤겔은
물질세계를 존재하게 하고 또한 물질세계 내
에서 자신을 표현하는 존재인 ‘절대정신’을
궁극적 실재로 인식했다. 마르크스의 유물론
은 헤겔 관념론에 대한 반발의 결과다.
초기 시절: 헤겔 관념론 비판

• 그러나 마르크스가 헤겔 철학을 거부하기만


한 것은 아니다. 그는 헤겔의 주장 중 인간의
삶을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성이 있
다는 것, 그리고 대립적인 것들 사이의 조합
과 종합을 통한 진보(즉 변증법적 과정)의 가
능성을 받아들였다.
초기 시절: 헤겔 관념론 비판

• 마르크스는 베를린에 오면서 청년 헤겔주의자


집단의 일원이 됐지만, 헤겔의 관념론을 전적으
로 수용하지는 않았다. 이 과정에서 그는 바우어
(Bruno Bauer)와 포이어바흐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그의 유물론(唯物論, materialism) 철학의 기
반을 구축하게 된다.
초기 시절: 헤겔 관념론 비판

• 특히 포이어바흐의 종교비판은 마르크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포이어바흐는 종교는 인간
에게서 나왔지만 어느 순간부터 인간이 종교를
그 자체로 주체성을 갖는 것으로 인식하면서
결국 그렇게 객관화, 절대화된 종교에 종속되
고 세계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한다고 주장한다.
초기 시절: 헤겔 관념론 비판

• “인간은 자신의 지식과 사유를 신 안에 조정하


면서 그의 ‘인격성’을 포기한다.”
• “신은 인간 자신으로부터 추상화된 최고의 주
체성이다. 그러므로 인간은 인간 자신으로는
아무 것도 할 수가 없고 모든 선(善)은 신으로
부터 나온다. 신이 주체가 되면 될수록 인간은
더욱 자신의 주체성을 상실한다.” (이상 『기독
교의 본질』에서 인용)
초기 시절: 헤겔 관념론 비판

• 또한 마르크스는 국가가 인민의 일반의지를 표


현하는 것이라는 헤겔의 생각과 달리 권력을 가
진 자들의 이익을 방어하기 위한 것이라는 입장
을 취했다. 이는 그의 언론인 시절 경험으로부터
유래한 것이기도 하다.
초기 시절: 헤겔 관념론 비판

• 앞서 언급한 과정들을 통해 마르크스는 역사적


발전 과정은 관념들 간의 투쟁이 아니라 현실의
물질적 욕구와 이해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
들 간의 투쟁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게 됐다. 이
는 그가 당시의 경제제도와 그 근간으로서의 노
동에 주목하는 계기였다.
정치경제학 비판

• 마르크스는 당시의 경제이론(정치경제학)으로부


터 ‘사용가치’(실제적 효용)와 ‘교환가치’(시장에
서의 가격) 개념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그는 인간
노동은 이른바 ‘잉여가치’를 생산하며 자본가들
은 이것을 착취해 이윤을 획득한다는 것을 기존
경제학이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정치경제학 비판

• 아울러 마르크스는 기존 경제학이 ‘사적 소유’가


자본주의라는 역사적으로 특수한 생산양식 하
에서 국가권력에 의해 뒷받침되는 것임을 간과
하고 마치 원래 보편적인 것인 양 잘못 보고 있
다고 비판한다. 마르크스는 사적 소유가 인간들
사이의 갈등, 소외, 불평등의 원천이라고 본다.
정치경제학 비판

• 마르크스는 『경제학-철학 수고』(1844)에서 자


신의 철학적 관점을 경제적 삶의 분석에 적용
하는데, 그 핵심은 자본주의적 생산관계가 노
동자의 소외(疏外, alienation)를 초래한다는 것
이다.
정치경제학 비판

• 자본주의 노동과정이 효율성 증대를 위해 분업


을 확대하면서 노동자의 통제력을 박탈하며, 그
에 따라 노동자는 생산과정, 생산물, 자기 자신,
유적 존재(類的存在)로부터 소외된다. 이로써 인
간의 삶의 궁극적 실현이어야 할 노동은 그 의
미를 박탈당한다.
유물론적 역사관

• 마르크스는 사회가 두 부분, 즉 토대(base)와 상


부구조(superstructure)로 이루어져 있다고 본다.
전자는 사회의 경제구조(생산력, 생산관계, 생산
양식)를, 후자는 그 외의 법, 정치, 철학, 종교 등
의 구조를 말한다. 마르크스는 한 사회의 법률,
정치구조, 사고방식, 종교형태(상부구조) 등은 그
사회의 경제상태(토대)의 반영이라고 보았다.
유물론적 역사관

• 생산력(生産力), 생산관계(生産關係), 생산양식


(生産樣式, mode of production)에 대한 논의는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의 주요소다.

• 생산양식: 한 사회의 경제구조를 결정짓는 기


술수준, 노동력의 성격, 생산활동의 조직 등.
유물론적 역사관

• 마르크스는 토대와 상부구조의 결합양태에


따라 역사적으로 원시공산제→고대노예제→
중세봉건제→자본주의 생산양식으로 이행
해 왔다고 하면서, 각 단계는 적대적인 사회
적 관계 증대에 의해 다음 단계로 변화했고,
자본주의 또한 같은 이유로 전복되어 사회
주의(공산주의)로 이행할 것이라고 보았다.
유물론적 역사관

• 『정치경제학 비판 서문』(1859): “인간들은 자신


들의 생활을 사회적으로 생산하는 가운데, 자신
들의 의지로부터 독립되어 있는 일정한 필연적
관계들, 즉 자신들의 물질적 생산력들의 일정한
발전 단계에 조응(照應)하는 생산관계들에 들어
선다.” (이어서 계속)
유물론적 역사관

• “이러한 생산관계들의 총체가 사회의 경제적


구조, 즉 그 위에 법률적 및 정치적 상부 구조
가 서며 일정한 사회적 의식 형태들이 그에 조
응하는 그러한 실재적 토대를 이룬다. 물질적
생활의 생산 방식이 사회적, 정치적, 정신적 생
활과정 일반을 조건 짓는다.” (이어서 계속)
유물론적 역사관

• “인간의 의식이 그들의 존재를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사회적 존재가 그들의 의식을
규정한다. 사회의 물질적 생산력은 그 발전의
특정 단계에서 기존의 생산관계와 충돌하며
이는 생산력 발전의 족쇄가 된다. 그러면 사회
혁명의 단계가 시작된다. 경제적 토대의 변화
와 함께 전체 상부구조가 급속히 변화한다.”
마르크스의 계급론과 공산주의론

• 마르크스는 사람들이 자본주의적 생산관계에서


‘생산수단’을 소유했느냐 여부에 따라 부르주아
(bourgeois)와 프롤레타리아(proletariat)라는 두 계
급으로 나뉘며, 프롤레타리아의 궁핍화가 심해
지는 가운데 양 계급은 적대적 관계가 된다고
본다.
마르크스의 계급론과 공산주의론

• 따라서 마르크스는 계급의식으로 무장한 프


롤레타리아의 혁명을 통해 자본주의적 생산
관계를 전복하고 생산수단의 사적(私的,
private) 소유 철폐를 바탕으로 불평등과 소
외가 없는 사회(공산주의 사회)로 이행할 것
이라고(또는 그래야 한다고) 주장한다.
해석상의 쟁점들

•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1844-1848년 사이에 쓴


저작들(『경제학-철학 수고』, 『신성가족』, 『독
일 이데올로기』, 『철학의 빈곤』, 『임금노동과
자본』, 『공산당선언』 등)에서 자신들의 사상의
기초가 되는 주요 관념들을 발전시켰다. 그러
나 이들 중 상당수가 그들이 살아있을 때 출간
되지 않았다는 점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해석상의 쟁점들

• 이 초기 저작들이 후에 출간되면서 해석상의 쟁


점들이 부각됐다. 이는 마르크스가 초기와 후기
에 걸쳐 일관된 사상을 유지했다는 견해와, 초기
의 인간주의적이며 철학적인 단계에서 경제적
분석에 주력한 후기의 보다 성숙한 단계로 이행
했다는 견해로 대별된다. 그러나 그러한 ‘인식론
적 단절’이 뚜렷하다고 확언하기도 쉽지 않다.
마르크스의 유산

• 자본주의의 향배에 대한 마르크스의 예상이 다


들어맞은 것은 아니지만, 그의 사상을 구체적인
검증 가능한 명제라기보다 ‘일반적 수준의 이론
적 모델’로 본다면, 차후의 연구를 위한 지침으
로서의 역할은 충분히 할 수 있다고 봐도 될 것
이다.
마르크스의 유산

• 마르크스는 경제학의 개인주의적 가정을 거부하


고 이를 보다 사회학적인 가정으로 대체했으며, 그
럼으로써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이해의 틀을 제공
하고 ‘근대성의 어두운 이면’을 볼 수 있게 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