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의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Application of 'Tensity' from Texture and Materiality

김 소 희*
Kim, So-Hee
……………………………………………………………………………………………………………………………
abstract
This study makes a system to quantify the visual and tactile texture under the name of tensity, searches applicable ways by
analyzing actual examples, and ultimately looks for the possibilities for theoretical approach of texture quantification. Finishing
materials with low tensity from texture make space more comfortable and let people stay longer in the area, on the other hand,
high tensity finishing materials stimulate people's curiosity and give caution and strong impact about the area. As the tensity
from texture of finishing materials may diverse the overall expression of architectural space, it is positively considered that this
study obtains excellent results in that the tensity can be used as one of the determiners to select finishing materials.
In conclusion, high tensity materials are suitable for public and active space and low tensity are for private and static area.
This principle enables us to use architectural materials a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which express the whol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by using two more materials which have different tensity each other, space may play an intentional role, or it
may give changes by using similar tensity materials. With the tensity figure and application of the social images into design
expression, this study introduces more reasonable guideline for material selection. However, the guideline given here is the
description of general trends derived by the research rather than an absolute index. Even, architects should avoid the general
framework and make efforts to show individuality.

……………………………………………………………………………………………………………………………
키워드 : 긴장도, 건축 마감 재료, 정량적 분석, 디자인 적용
Keywords : tensity, architectural finishing materials, quantificative analysis, design application
……………………………………………………………………………………………………………………………

1. 서 론 는 긴장도를 연구의 도구로 삼아 디자인에의 실제적 적


용을 도출하고자 한다. 건축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도를 건축 내 외부 공간의 성격과 이미지, 용도와 미학적
1) 의도에 따라 디자인에 적용이 가능한지를 고찰하고자 한
건축 설계 사무소에 입사하여 처음으로 실무를 접했 다.
을 때 공간에 재료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내 외부 선행 연구2)에서 실험과 설문을 통해 건축 재료의 재
공간은 많은 변화를 가지며, 특히 경제적인 이유에만 얽 질감이 주는 긴장도에 대해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는데 이
매어 구체적인 마감 재료의 분석 없이 습관적 재료를 적 를 통해 본 연구는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의 수치와 의미
용하는 예를 볼 수 있었다. 또한 경험이 적은 건축 설계 를 발전시키고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의 초보자일 경우 작은 공간의 벽 하나에도 어떠한 재료 많은 후속 연구를 파생할 수 있다.
를 선정해야 하는가에 매우 당황하게 되고 기존의 재료 재질감은 형태나 색채의 美를 추구하는 조형 원리와
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빈번하였다. 이러한 경우, 경 는 크게 다른 성격이 있으므로 선행 연구에서 정의한 건
험과 경제적 사회적 요건 외에 건축 마감 재료의 선정을 축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를 재질감의 美的 원리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청됨을 느꼈고 절대적이 로 삼아 공간 성격의 변화에 의해, 유사 반대 이미지의
지는 않지만 보편적인 측면에서 건축 마감 재료를 선정 변화에 의해, 또한 형태의 변화에 의해 직접적으로 디자
하여 디자인에 적용하는 방안의 마련이 무언의 과제로 인에 적용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사례 분석과 설문 조사
본 연구자에게 남겨졌다.
본 연구는 재료를 인간 감성적 측면에서 재질감이 주 2) 김소희, 물성표현으로서 긴장도의 정량적 분석 연구, 대한건
축학회 논문집 19권 6호,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긴장도에 관한
* 정회원, 동명정보대학교 건축대학 전임강사, 공학박사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8권 10호, 표피로서 건축 재료의 디
“이 논문은 2003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 신진교수연구과제 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 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34호에서
KRF-2003-003-D00492에 의해 지원됨.” 연구하였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1호(통권193호) 2004년 11월 33


김소희

를 통해 도출하여 건축 재료의 의장적 특성을 하나의 디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유사한 이미지의 재료군은
자인 요소로 이해하는데 구체적 의의가 있다. 매우 비슷한 수준의 긴장도를 가지고 반대 이미지를 가
지는 경우는 긴장도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것으로 분석되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었다. 이는 사용자가 건축 마감 재료를 인지할 때 유기
질, 무기질 같은 차이로 나누어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각
건축가는 물성 자체의 표현, 재질감의 표현에 의한 긴 각의 재료에 대한 그들의 느낌을 중심으로 인지함을 알
장, 공간의 긴장에 대하여 ‘긴장도’라는 척도를 의식하지 수 있다.
않더라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재료의 재질감이 주 표 1. 유사한 이미지를 가진 재료군
는 긴장도에 의해 사용된 재료의 디자인 표현과 사용자
재료 긴장도 유사 이미지를 가진 재료
사이에 일정한 분위기가 형성되어 공간에 특성을 부여한 목재 1.75 직물(2.18) 종이(1.88) 벽돌(2.49)
다는 것은 아무도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이러한 재료의 석재 3.02 콘크리트(3.12) 벽돌(2.49) 세라믹(2.86)
콘크리트 3.12 석재(3.02) 벽돌(2,49) 세라믹(2.86)
재질감이 주는 느낌의 정도는 인간의 감정이 포함되어
붉은벽돌 2.49 석재(3.02) 콘크리트(3.12) 세라믹(2.86)
있어 각각의 상황에 따라 매우 다르게 인지된다. 유리 3.30 세라믹(2.86) 금속(3.35) 플라스틱(2.21)
본 연구에서는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를 연구의 도구 세라믹 2.86 금속(3.35) 플라스틱(2.21) 유리(3.30)
금속 3.35 유리(3.30) 세라믹(2.86) 플라스틱(2.21)
로 하여 건축 재료에 대한 건축가의 인식을 설문조사를
플라스틱 2.21 세라믹(2.86) 유리(3.30) 금속(3.35)
통해 유사 이미지를 가진 건축 재료와 반대 이미지를 가 직물 2.17 종이(1.88) 목재(1.75) 벽돌(2.49)
진 건축 재료로 분류하였다. 또한 공적・사적 공간, 정적・ 종이 1.88 목재(1.75) 직물(2.17) 벽돌(2.49)

동적 공간 각각에 적합하다고 여기는 건축 재료를 표본 표 2. 반대 이미지를 가진 재료군


집단 7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공간 성격과 건축
재료 긴장도 반대 이미지를 가진 재료
마감 재료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설문 조사는 건축 재 목재 1.75 유리(3.30) 금속(3.35) 석재(3.02)
료에 대한 인지와 경험을 가진 건축 설계 실무 경험 3년 석재 3.02 직물(2.17) 종이(1.88) 목재(1.75)
콘크리트 3.12 종이(1.88) 직물(2.17) 목재(1.75)
이상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붉은벽돌 2.49 금속(3.35) 유리(3.30) 직물(2.17)
우선 선행 연구에서 기본적인 재료 10가지에 대한 설 유리 3.30 목재(1.75) 직물(2.17) 종이(1.88)
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긴장도 수치3)를 바탕으로 해당 건 세라믹 2.86 목재(1.75) 직물(2.17) 종이(1.88)
금속 3.35 목재(1.75) 직물(2.17) 종이(1.88)
축 마감 재료가 주는 이미지를 유사 혹은 반대의 이미지 플라스틱 2.21 목재(1.75) 직물(2.17) 석재(3.02)
를 가지는 재료군으로 분류하여 인간 감성적 측면에서 직물 2.17 금속(3.35) 석재(3.02) 유리(3.30)
찾아보고 동적, 정적, 공적, 사적 공간 각각에서 사용이 종이 1.88 금속(3.35) 콘크리트(3.12) 석재(3.30)

선호되는 재료를 조사하여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의 디자 표1에서와 같이 유사한 이미지를 가지는 재료군은 종
인 적용의 타당성을 유도했다. 이, 목재, 직물, 종이와 석재, 콘크리트, 벽돌, 그리고 플라
또한 건축 마감 재료를 디자인에 적용하는 방법을 중 스틱, 유리, 금속, 세라믹으로 분류되었다. 이것은 기존의
합・전체성의 원리, 병치・개별성의 원리로 나누어 고찰하 분류 방법에서 벗어나 재료의 이미지를 통하여 설문응답
여 디자인 적용의 적극성을 높인다. 건축 마감 재료를 중
자가 대답한 값에 의해 추출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심으로 국내외 건축물 및 건축가의 작품 사례를 조사하
자연재와 인공재로 나뉘어 지며 인공재 중에서도 상업재
고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와의 관련성을 찾아 건축 재료
의 성격이 두드러지는데 플라스틱, 유리. 금속, 세라믹의
와 디자인 표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했다.
유사이미지 군이 그 대표적 예이다.

2. 공간 성격과 건축 마감 재료 사용

2.1 유사 이미지와 반대 이미지

우선 설문을 통해 10가지 기본재료에 대하여 유사하


게 인식되는 재료와 반대의 이미지로 인식되는 재료를
각각 3개씩 선택하도록 하였다. 도출된 유사한 이미지를
가지는 재료군과 반대 이미지를 가지는 재료군은 다음의
표1, 표2와 같고 긴장도 수치와 비교해 볼 때 많은 연관 그림 1. 유사 이미지 그림 2. 목재와 유리의 반대 이미지

또한, 선행연구4)의 10가지 기본재료에 대한 긴장도 조


3) 김소희, 물성표현으로서 긴장도의 정량적 분석 연구, 대한건
활감 경연감 요인 분석에서 도출된 요인군 그룹1(유리,
축학회 논문집 19권 6호, p76 <표3>긴장도의 수치와 의미 참조,
p.78 표7 기본재료에 대한 긴장도의 t-검정 평균치 참조 - 긴장 세라믹, 금속), 그룹2(석재, 콘크리트, 벽돌), 그룹3(목재,
도의 수치를 0에서 5까지 보고 설문에 의해 분석하는데 주로 긴
장도 수치가 2와 3 사이에 집중되어 분포하고 정량적 수치의 값
으로도 중간값인 2.5를 긴장도 수치의 중간선으로 보았다. 4) ibid., p79. <표9>

34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1호(통권193호) 2004년 11월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의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직물, 종이)과 같은 결과를 가지며 긴장도와 유사한 이미 되어 행인의 걸음을 재촉시키고 긴장감을 유도한다.
지를 가지는 마감 재료와 연결시켜 이해하는데 상당한 벽 재료에 있어 동적 공간일 경우 그 선호하는 재료는
설득력이 있다. 금속, 유리, 세라믹, 석재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긴장
표2는 각각의 마감 재료에 대한 반대 이미지를 가지는 도는 각각 3.35, 3.30, 2.86, 3.02으로 높은 수치이다. 정적
재료가 유리, 세라믹, 금속의 반대 이미지는 목재와 직물 공간일 경우, 종이, 직물, 목재와 벽돌의 순으로 나타났으
로 석재, 콘크리트의 반대 이미지는 직물, 종이, 목재로 며 이들은 각각 긴장도가 낮은 1.88, 2.17, 1.75, 2.49이다.
붉은 벽돌, 목재는 금속, 유리 등으로 나타났다. 이를 긴 주거 공간의 대부분의 벽은 종이나 실크 벽지로 되어 있
장도의 수치 측면에서 살펴보면 반대 이미지를 나타내는 고 최근 레스토랑이나 병원 같은 곳에서도 정적이고 안
재료에 대하여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가령, 그림 2에서 정적인 느낌을 주기 위해 종전의 시멘트 몰탈에 수성 페
와 같이 목재의 반대 이미지인 유리, 석재, 금속은 목재의 인트 벽면 처리보다는 벽지나 천으로 마감하여 사용자에
긴장도 수치 1.75에 비하여 3.30, 3.02, 3.35의 높은 수치 게 편안함을 주려고 시도하고 있다.
를 보이는데 이를 통해 인간이 느끼는 재료 이미지가 재 정적, 동적 공간에 선호되는 재료는 그 선호 순서에서
질감이 주는 이미지에 많은 부분 영향을 받음을 알 수 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나 전체적으로 같은 재료를 원했
있다. 유리의 경우, 반대 이미지인 목재, 직물, 종이는 유 고 바닥, 벽의 구분에 있어서도 거의 같은 결과치가 나왔
리의 긴장도 수치 3.30에 비하여 1.75, 2.17, 1.88의 낮은 으며 다만 바닥과 벽이라는 기능적인 차이로 선호 재료
수치를 보이는데 이 역시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이미지 의 차이를 보여준다.
에 많은 부분 영향을 받음을 분석할 수 있다.

100%

2.2. 공간 성격별 건축 마감 재료 선호 80%

60%
건축 마감 재료가 가지는 긴장도는 건축 공간에서 디 정적바닥
40%
자인으로 표현될 때 그 공간의 성격에 영향을 미치는데 동적바닥

20%
그 예로 공적, 사적, 동적, 정적 공간의 사용 재료 선호
0%
목재 석재 콘크리트 벽돌 유리 세라믹 금속 플라스틱 직물 종이
정도가 긴장도의 높고 낮음과 상당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재료가 가지는 긴장도를 충분히 이해하
고 건축 설계에 반영시킨다면 건축 재료는 하나의 디자 그림 3. 정적/동적 공간에 선호하는 바닥 재료

인 요소로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공간의 성격을 합


리적으로 표현해 내는 수단이 된다. 100%

공간의 성격은 그 안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활동에 의 80%

해 동적 공간과 정적 공간으로 나눌 수 있고 그 활동의 60%


정적벽
사회성에 의해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으로 크게 분류할 40%
동적벽
수 있다. 또한 건축 공간은 바닥, 벽, 천장으로 구성되는 20%

데 건축 재료에 대한 인간의 체험은 바닥과 벽에서 주로 0%


목재 석재 콘크리트 벽돌 유리 세라믹 금속 플라스틱 직물 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공간 성격을 정적・동적, 공적・사적으


로 나누어서 바닥과 벽에 대하여 각각의 적정 재료를 살
그림 4. 정적/동적 공간에 선호하는 벽 재료
펴보고 긴장도와의 연관성을 밝히겠다.

(2)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n=70)


(1) 동적 공간과 정적 공간(n=70)
바닥 재료에 있어 공적 공간일 경우 그 선호하는 재료
바닥 재료에 있어 동적 공간일 경우 그 선호하는 재료
는 응답자 70명중 6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석재, 콘크
는 응답자 70명 중 60%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유리, 세라
리트, 금속, 유리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긴장도는 각
믹, 금속, 석재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긴장도는 각각
각 3.02, 3.12, 3.35, 3.30으로 높은 수치이다. 사적 공간일
3.30, 2.86, 3.35, 3.02으로 높은 수치이다. 정적 공간일 경
경우, 종이, 직물, 벽돌, 목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우, 종이, 직물, 벽돌, 목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긴장도가 낮은 1.88, 2.17, 2.49, 1.75이다. 정적 기능을 요 긴장도가 낮은 1.88, 2.17, 2.49, 1.75이다. 공적 공간을 대
하는 공간, 예를 들어 주거공간의 침실, 휴식 공간, 연구 표하는 관공서나 오피스의 입구 홀 부분은 대리석이나
공간 등은 대부분 원목 마루, 장판, 카펫이나 벽돌 등의 석회석 같은 것을 사용하여 권위와 신뢰를 드러내고 유
재료를 선호하며 사람의 이동을 요하는 아케이드나 로비 리의 투명성을 통해 기업이나 국가기관의 정직성을 드러
등은 대리석, 라임스톤 같은 석재나 유리바닥 등을 즐겨 내기도 한다. 또한 내 외부 바닥에 콘크리트를 그대로 사
사용한다. 실례로 서울의 삼성 아케이드의 바닥은 유리로 용하여 다소 거친 느낌과 함께 방문자들에게 긴장감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1호(통권193호) 2004년 11월 35


김소희

유발한다. 사적 공간은 대부분 원목 마루, 장판, 카펫이나 데 모방재료가 대부분으로 원래의 재료 이미지를 표현하
벽돌 등의 재료를 사용하며 특히 호텔 객실의 경우, 전체 는데 경제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된다.
적으로 직물로 마감되어 있어 긴장감을 낮추고 마치 집
에 있는 듯한 편안함을 주어 사용자가 최대한 긴장되지 2.3.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와 공간 성격
않은 이완된 상태로 머물도록 유도한다.
실험을 통한 긴장도의 정량적 접근과 설문을 통해 건
축 마감 재료에 대한 긴장도 수치의 체계화를 진행하였
다. 이러한 건축 재료의 긴장도 수치를 건축 공간에 적용
할 때 건축 공간의 대표적 성격으로 나누어지는 공적, 사
적, 동적, 정적 공간에 대한 건축 재료 선호에 대한 설문
을 함께 진행하였다.

표 3. 공간 성격에 따른 건축 재료와 긴장도 분석

공적 공간 사적 공간
그림 5. 사적/공적 공간에 선호하는 바닥 재료
公 건축기본재료 긴장도 건축기본재료 긴장도
바닥 벽 바닥 벽
Ú
100% 유리 금속 종이 종이
2.5 2.5
세라믹 유리 직믈 직물
80% 私 이상 이하
금속 세라믹 벽돌 목재
60% 석재 석재 목재 벽돌
사적벽
동적 공간 정적 공간
40% 공적벽
건축기본재료 긴장도 건축기본재료 긴장도
20% 動
바닥 벽 바닥 벽
0% 목재 석재 콘크리트 벽돌 유리 세라믹 금속 플라스틱 직물 종이
Ú 석재 금속
종이 직물
콘크리 석재 2.5 2.5
직믈 종이
靜 트 콘크리 이상 이하
그림 6. 사적/공적 공간에 선호하는 벽 재료 벽돌 목재
금속 트
목재 벽돌
벽 재료에 있어 공적 공간일 경우 그 선호하는 재료는 유리 유리
금속, 석재, 콘크리트, 유리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의 긴 설문 조사 결과 표3과 같이 공적, 동적 공간은 전반적
장도는 3.35, 3.02, 3.12, 3.30으로 높은 수치이다. 정적 공 으로 건축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 수치가 높은 건
간일 경우, 직물, 종이, 목재와 벽돌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축 재료가, 사적, 정적 공간은 긴장도 수치가 낮은 건축
이들은 긴장도가 낮은 2.17, 1.88, 1.75, 2.49이다. 공공건물 재료가 적합하다고 분석되었다. 이러한 경향을 건축 공간
의 경우, 예를 들면 관공서나 오피스에서는 파사드를 대 에 적용할 때, 건축 공간은 형태가 주는 성격 외에 건축
부분 화강석으로 처리하여 권위를 나타내었고 최근에는 공간이 기능적으로 감당해야하는 공간의 성격을 표현하
유리나 금속을 많이 사용하여 첨단적 느낌을 주고 있다. 는 중요한 디자인 요소로 건축 재료를 이용할 수 있게
사적 공간의 대표적 예인 주거 공간의 대부분의 벽은 종 된다. 공간의 성격에 따라 긴장도 수치가 다른 건축 재료
이나 실크 벽지로 되어 있고 주부는 집안 분위기를 더욱 를 적용함으로써 그 공간은 기능에 맞는 역할을 수행할
편안하게 하기 위해 천으로 된 커튼을 치고 벽돌로 된 수 있게 되고 비슷한 긴장도의 재료를 함께 사용함으로
벽난로를 집안 중심에 둔다. 즉 직물 커튼이나 일부에 벽 써 다양한 공간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돌이나 목재를 사용하는 등 긴장도가 낮은 재료가 선호 1차적 접촉이 강한 건축 재료를 통한 변화는 기존의
된다. 건물을 리노베이션 할 경우 그 효과가 노력과 경제성에
공적 공간과 사적 공간에 선호되는 재료는 서로 대비 비해 더 확실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즉 공적 공간으
되는 긴장도를 가진 재료들이었고 바닥, 벽의 구분에 있 로 사용하던 사무실 공간을 주거 공간으로 변화시킬 경
어서 그 선호 순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나 거의 같은 우 긴장도가 높은 재료에서 낮은 재료로 바꿔 적용함으
결과치가 나왔다. 전체적으로 바닥보다는 벽이 공간 성격 로서 그 공간은 확연히 다른 양상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에 따라 선호되는 재료가 구별되어 나타났다. 특히 금속 주거 공간을 재택근무가 가능한 공간으로 변화 시킬 경
과 석재의 공적 공간에서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우 사적 정적 공간에 주로 사용되는 긴장도가 낮은 건축
플라스틱은 앞장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그 물성이 가지 재료에, 부분적으로 공적, 동적 공간에 적용되는 긴장도
는 특성이 기존 재료의 모방에 의존하는 경향이 큰 산업 수치가 높은 재료를 병용함으로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재이므로 이미지를 통한 분석은 의미가 없을 것이다. 플 공적인 공간이면서 정적인 성격을 가지는 교육 시설의
라스틱은 동적 공간의 벽과 바닥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는

36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1호(통권193호) 2004년 11월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의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교실은 긴장도가 높고 낮은 재료를 적절히 배분하여 선 또한 휴식, 수면, 개인적인 연구와 안정을 주로 하는 주거
정해야하며 이러한 경우 바닥과 벽 재료 선정의 변화를 공간이나 노인공간의 침실, 호텔의 객실, 보육실, 병원의
통해 교실의 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움직임을 줄일 수 입원실, 개인 연구실 등은 긴장도 2이하의 편안하고 이완
있는 안정된 분위기를 유도하기 위해 바닥 재료는 긴장 된 상황이 요구된다.
도가 낮은 재료를 선정하고 벽 재료는 공적인 분위기를 이러한 건축 재료의 공간 성격에 따른 긴장도 적용은
나타낼 수 있는 재료를 선정한다. 일반적인 경향을 도출한 것이지 절대적인 기준이 될 수
최근에는 건물이 갖는 기존의 이미지에 변화를 주고자 는 없으며 건축가는 오히려 이러한 일반적 틀에서 벗어
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기존의 방식에서 이탈된 나 개성적인 감성의 발휘가 필요하다. 이 연구가 제시하
예를 들면, 바닥과 벽의 구분 자체가 없다든지5) 같은 공 는 긴장도 수치는 건축 재료의 이미지에 대한 충분한 고
간에 다양한 대립적인 건축 재료가 전혀 다른 방식으로 찰을 함께 건축 재료의 선정에 대한 하나의 보편적인 지
겹쳐지고 왜곡되어 사용된다. 또한, 권위적이던 관공서 침을 제시할 수 있다.
건물이 친근감을 주는 시민을 위한 건물로 변화를 추구
한다든가 대표적 사적 공간인 주거 공간에 새로운 재료 3. 긴장도의 디자인 적용
를 적용하여 개인의 개성을 표현한다든가, 차갑고 깔끔하
3.1. 공간 성격에 따른 긴장도의 적정선
게 느껴졌던 병원 건축의 내부 공간을 주거와 같은 분위
기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향이 그것이다. 기존의 인식에 의한 외부 재료와 내부 재료의 사용을
바꿈으로서 공간에 활력을 부여하여 긴장감을 높일 수
표 4. 공간성격, 건물용도, 행위, 긴장도에 따른 건축 재료 선정
있다. 또한 유사 이미지의 재료 사용은 형태적으로 복잡
공간성 사적-동적

공적-동적 공간 공적-정적 공간
공간
사적-정적 공간 한 장식 속에서도 재료의 통일감을 통해 부드러운 이미
체육시설(체육관, 지를 줄 수 있고 반대되는
개인연구실
로비) 종교시설(예배실) 이미지의 재료 사용은 새
주거(침실)
업무시설(로비) 호텔(라운지) 주거
호텔(객실) 로운 감흥을 관찰자에게
건물용 문화,집회시설(로 교육시설(교실) (거실,부엌)
어린이시설
도 및 비,집회공간) 병원시설(진찰실) 공동주택(로비)
(보육실) 주어 형태 변형 이상의 효
공간 기념관(로비) 전시공간 작업실
노인시설(침실)
병원시설(로비,접 (전시실) 운동실 과를 자아낸다. 가공의 정
병원시설
수대기실) 집회시설(회의실)
관공서(로비)
(입원실) 도에 따라서도 구분이 가
대규모의 휴식 능한데 재료 자체의 마감
교육, 전시 노동
구체적 집단이동 수면 에 변화를 주어 나무 같은
관람, 예배 작업
행위 집회, 대기 안정
회의 운동 콘크리트, 콘크리트 같은
체육, 관람 개인, 독립
그림 7. 나무의 변주곡
권장긴 돌과 같은 효과를 냄으로
장도수 3이상 2.5이상 3이하 2이상 2.5이하 2이하
치 써 재료를 통한 의장적 효과를 증폭시키며 다른 방법으
금속(3.35) 로는 표피 자체의 사용 방법의 변화를 통해 관찰자에게
기본 벽돌(2.49)
유리(3.30) 종이(1.88)
건축재 세라믹(2.86) 플라스틱(2.21) 새로운 인상을 주고 기존 재료에 대한 일반적 인식의 틀
콘크리트(3.12) 목재(1.75)
료 직물(2.17)
석재(3.02) 을 깸으로서 긴장의 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림7은
한 공간 안에 다양한 텍스처와 형태를 갖는 목재를 사용
대규모의 집회, 대기, 집회, 관람을 주로 하는 공적이고 하여 공간이 전체적으로 하나로 통일되면서 변화감을 주
동적 공간의 해당 용도는 일반적으로 업무 집회시설, 관 고 있는 예이다.
공서의 로비 공간 및 체육시설 등이며 주로 긴장도 3이 모든 공간에는 그 공간의 성격에 적합한 긴장도가 있
상의 재료를 적용함으로써 그 공간의 성격을 보편적으로 다. 예를 들어 관공서와 같은 공적인 공간은 다소 긴장도
표현할 수 있다. 교육, 전시, 예배, 회의 등을 주로 하는 가 높아 엄숙한 분위기와 공권력을 상징해야 하고 주거
전시실과 교실, 회의실, 종교 공간과 노동과 작업이 주로 공간이나 휴게 공간일 경우 긴장도가 낮은 공간을 창출
행해지는 주거 공간의 거실과 부엌, 작업실, 운동실과 병 하여 그곳에 상주하는 사람들이 이완된 상태에서 편안함
원의 진찰실 등은 공적이고 정적이거나, 사적이고 동적인 을 느끼게 하여야 한다. 또 거대 오피스의 로비나 문화
공간의 대표적 예로서 긴장도 2에서 3사이의 재료를 기 시설의 로비는 다소 긴장도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전반
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물론 이것은 그 사용 적으로 로비에서의 움직임을 유도하고 그 건물의 대표성
하는 마감 재료의 상세와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을 표현하며 방문자로 하여금 약간의 위축감도 느끼게
한다. 한편으로 똑같은 것이 반복되는 지루한 공간에 긴
5) 바닥, 벽의 구분 자체가 없는 경우 경우의 디자인 효과를 배 장도가 높은 재료를 부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공간에 활
가시키기 위해 디자이너는 같은 재료를 바닥과 벽, 천정에 동시 력과 생동감을 줄 수도 있다.
에 사용하기도 한다.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1호(통권193호) 2004년 11월 37


김소희

단적인 예로 주거는 가장 긴장도가 낮은 공간으로서 플러스마이너스 효과에 의해 마감 재료의 물성 표현은


최근 재택근무가 많아짐에 따라 주거 내부에서의 업무량 이해되는데 긴장도가 높은 재료와 긴장도가 낮은 재료가
이 많아지는데 흔히 오피스나 다른 공적인 장소에 비해 같이 사용된다면 그 긴장의 정도가 공간에서 서로 상쇄
그 효율이 떨어진다. 이때 긴장도 높은 재료를 부분적으 되어 적정한 긴장을 갖게 되고, 또 긴장도가 높은 재료가
로 사용한다면 공간에 적절한 긴장감이 부여되고 그 공 한께 사용된다면 서로를 강화하여 공간의 긴장도는 더욱
간은 제대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우리 높아진다. 물성 표현이 합쳐
는 건축 설계 시 형태적으로 공간의 많은 변화를 주어 져서 공간 전체의 성격을 규
대각선이라든가 불규칙한 형태는 공간에 일정 긴장을 유 정한다. 그림9은 평범한 나무
도하는데 특히, 형태적으로 변화를 줄 수 없을 때 재료 계단에 거친 콘크리트 파티
선택으로 공간에 긴장도를 줄 수 있다. 션을 둠으로써 공간에 긴장
긴장도를 건축적 상황에 적용하는 데는 크게 두 가지 감이 생기고 일반적인 공간
의 메커니즘으로 나누어 고려할 수 있는데 하나는 중합・ 이 생기를 받는데 이는 긴장
조합에 의한 전체성의 원리이고 다른 하나는 병치・강조 도가 낮은 목재와 긴장도가
에 의한 개별성의 원리이다. 이들은 거의 대부분의 상황 높은 콘크리트가 만나 서로
에서 적용되며 디자인에 있어 구체적 재료의 물성을 통 플러스마이너스 효과를 일으 그림 9. Alte Muhle, Eine
Kinder-Idylle, Tubingen,
한 긴장도 및 마감 상세를 고려하는 기준이 된다.6) 켜 적정한 긴장도를 유도한
1994
그림8은 흔히 볼 수 있는 화강 것이다.
석으로 된 건물로 벽의 화강석 마 그림10에서는 독일 스튜가르
감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재료가 트에 있는 투명한 도시 오피스
더욱 더 병치되어 개별적으로 강 건물에 나무 그릴을 설치하여
조되는데 이는 강조・대비・병치의 빛의 차양적 기능 뿐 아니라
개별성 원리의 메커니즘이다. 바닥 입면의 긴장도를 낮추어 부드
을 살펴보면 다소 긴장도가 있는 러움을 준다. 즉 유리의 높은
석재와 긴장도가 낮은 흙을 동시 긴장도와 목재의 낮은 긴장도
에 적용함으로써 긴장도의 플러스 가 서로 만나 중합하여 건물에
마이너스 효과를 이루어 전체적으 그림 8. 긴장도의 적용 거주하거나 방문하는 사람들에
메커니즘 그림 10. Behnisch,
로 재료에 의한 공간의 긴장도가 게 적정한 긴장도를 유발하며 Transparente Prasenz,
균형을 이루는데, 이를 중합・조합의 전체성 원리의 메커 차갑고 현대적인 유리의 이미 Stuttgart, 1994
니즘에 대한 예로 보고 이하 몇 가지 예를 들어 부연설 지에 편안함을 준다.
명을 하고자한다 그림11의 명지대 방
공간의 기능과 용도에 따라 긴장의 적정선이 다르다. 목기념관에서 보도블록
그로 인해 디자인 효과가 나타난다. 적정선을 지나치게 길과 콘크리트 계단 길
넘길 경우 그 효과는 증폭되어 더 많은 긴장감을 연출한 을 차례로 오르면 마지
다. 예를 들어 긴장도의 수준이 낮은 사적 공간에 공적 막으로 나무 데크에 이
공간에 사용하는 재료들을 사용하여 긴장도를 주었다면, 르게 된다. 이때 앞의
같은 재료가 공적 공간에 사용되었을 때 보다 긴장감을 두 길을 이동하는 과정 그림 11. 이종호, 명지대
방목기념관, 경기도 용인시, 1999
느끼는 폭은 더 클 것이다. 재료를 중요한 수단으로 하여 에 일정한 긴장감이 만
건축가가 어떤 공간을 유도하는가에 따라 공간 체험의 들어지고 있다. 일직선 길을 가다가 갑자기 180도 꺽어져
유형은 달라진다. 또한 대부분의 건축물은 주재료와 부재 서 다시 긴 일직선 길을 오르는 등 이 같은 긴장된 오름
료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주재료와 부재료의 관계를 규제 뒤에 나무 데크에 이르면 그 동안 쌓인 긴장은 일순간에
하는 메커니즘이 존재한다. 그것은 중합・전체성의 원리와 풀어지고 편안한 마음이 된다. 여기서 나무 데크의 자연
병치・개별성의 원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적인 이미지와 낮은 긴장도 그리고 오르고 난 후에 벌어
지는 借景은 단순한 감상이 아니라 긴장을 풀어주는 심
3.2. 긴장도의 디자인 적용 메카니즘 리적 작용을 함으로써 그 효과가 극에 달한다.7)
알바로 시자(Alvaro Siza)는 전체적으로 변화를 시도하
(1) 중합・전체성의 원리
는 작가로서 그림12의 갈라시안 센터(Galician Center of

6) 여기서 각각의 재료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는 재료를 통한 공


간의 긴장도를 유지하는 촉매제의 역할을 한다. 7) 임석재, 한국적 추상논의, 북하우스, 2000, p.185

3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1호(통권193호) 2004년 11월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의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Contemporary Art)의 내 고 지붕은 스테인레스 박판 처리를 하였는데, 도산 기념


부 공간을 보면 장방형의 관의 이미지는 덩어리와 투명체의 조합에 의한 건축 환
내부 공간이 아닌 매스의 경적 배열로 창출될 수 있다. 주변을 투명체의 유리 튜브
변화가 있는 공간인데 대 와 불투명체인 콘크리트 벽으로 가로 막았고 건물의 외
리석의 고급스럽고 긴장 부는 주로 금속재로 마감하였는데 이는 흔히 구조재로
도가 높은 재료를 적용하 인식되어 오던 스틸을 구조재로서 만이 아니라 건축마감
여 더욱 내부 공간의 긴 재로 이용하여 그 인식을 확장시키고자 한 것이다. 파사
그림 12. Alvaro Siza, Galician
장도가 높다. 그러나 건 Center of Contemporary Art, 드에서 보듯이 콘크리트 벽면과 푸른빛을 보이는 유리는
물 입구에 자연친화적이 Santiego, Spain, 1998 서로 산업재를 대표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재료의 물성이
면서 긴장도가 낮은 목재 잘 조화되고 있다. 즉 긴장도가 높은 2가지 재료가 동시
플로링을 도입하여 전체적 에 보이면서도 불투명과 투명이라는 반대적 이미지에 의
으로 긴장도에 있어 마이 해 서로 병치・강조되고 있는 것이다. 그림15에서와 같이
너스 효과를 주고 있다. 즉 공간 신사옥의 구사옥에 대한 재료적 대비는 시대적 대
긴장도가 높은 재료인 대 표성의 관점에서 해석될
리석과 공간 형태에 목재 수 있는데 공간 신사옥은
를 사용하여 공간에 부드 투명성을 극대화한 건축물
러움과 변화를 주고 있다. 로서 이런 대비는 새 세대
기곤 과이어(Gigon & 의 시대적 정체성을 만들
Guyer)의 워크샵 하우스 그림 13. Gigon & Guyer, 고 싶어하는 의지의 표현
(Maintenance workshop) Maintenance workshop, Davos, 이다. 그림 15. 장세양, 공간신사옥,
Swizerland, 1997-1999
에서는 금속과 목재를 건 서울, 1998
캘리포니아 라 호야(La
물 외관에 동시에 사용하고 있는데 금속의 높은 긴장도 Jolla)에 있는 솔크생물학
와 목재의 낮은 긴장도가 서로 중합하고 또 자연재인 목 연구소(Salk Institute for
재와 산업재인 금속 사이의 조합에 의해 건물의 외관은
Biological Studies)에서는
불안하지 않게 지각되며 특히 형태적으로 캔트레버 구조
칸(Louis Kahn)의 재료를
를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 재료의 융화로 긴장감이 완화
다루는 방법이 목재와 콘
되어 보인다.
크리트가 가지는 재료의
특별한 속성을 통해 잘 나
(2) 병치・개별성의 원리 타나있다. ‘강한’ 콘크리트
는 ‘가벼운’ 목재를 버티는 그림 16. Louis Kahn, Salk
건축물의 내외부에 사용된 건축 재료는 앞서 언급하였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듯이 서로 합쳐져서 새로운 이미지로 다가올 수도 있고 부재로서 작용하여 ‘따뜻한’ California, 1959-1965
각각의 재료의 물성이 병치・강조・대비되어 개별적으로 나무와 ‘차가운’ 콘크리트간
인식될 수도 있다. 즉 재료의 긴장도와 사회적 물성 표현 의 대립을 분절하였다.9) 노출 콘크리트 표면에 줄눈이나
이 각각의 경우에 서로를 더욱 돋보이게 하고 개개 재료 시공연결부분은 부드럽게 손질되지 않은 채 남아 있고
가 가지는 물성의 정도를 더욱 강하게 지각하도록 한다. 정면에서 나무 결은 더 작은 요소로 구성된 것으로 이
현대 건축은 대체로 통일 두 가지 재료를 다르게 다루는 방법을 알 수 있다.
된 외피를 사용하던 근대 기곤 과이어는 한 가지
건축과는 달리, 외부 재료
재료를 한 벽이나 한 요소
자체의 이질적 병치로 급격
에만 적용하지 않고 벽과
한 단절의 초현실적 효과를
바닥, 혹은 벽, 바닥, 천장
추구한다. 이를테면 도쿄 라
에 동시에 적용하여 그 재
이즈 빌딩(Rise Building)은
료가 가지고 있는 물성을
금속제 기둥과 패널, 와이
그림 14. 아추시 기타가와라, 사용자에게 최대한 전달하
어, 섬유질, PVC, 유리 등 그림 17. Gigon & Guyer,
의 이질적 요소를 혼합함으 라이즈 빌딩, 도쿄, 1986 려고 하는 경향의 작가라 Kircher Museum, Davos,
로써, 에밀리오 암바즈(Emilio Ambasz)의 뉴저지 메르세 Switzerland, 1889-1992

데스 벤츠 전시장 계획(1987)은 거대한 흑색의 석재 벽과 8) 김원갑, 메트로폴리스, 아방가르드 예술과 건축에 관한 13가
굴곡진 유리 블록 바닥을 병치시킨 예이다.8) 지, 열린 책들, 2002, p.544
도산기념관은 아연도금 패널 벽과 바닥에 통자갈을 심 9) 베르나르드 루펜 외, 건축디자인과 분석, 도서출판국제, 2000,
p.16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1호(통권193호) 2004년 11월 39


김소희

하겠다. 또한 공간에 두 가 인자로만 여겨왔던 건축 재료의 선정에 관한 구체적인


지의 대별적인 재료를 사 디자인 적용 방법을 고찰하였다. 또한 소수의 재료를 건
용하여 각각의 재료의 물 축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반복하는 기성 건축가들에게 건
성을 더욱 정확히 발휘하 축 마감 재료에 대한 다른 시각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
고 있다. 커셔미술관 과는 향후 다양한 건축 마감 재료의 구체적인 상황에 대
(Kircher Museum)의 내부 한 종합적인 고찰을 통해 기존의 건축 재료의 물리적이
공간을 보면, 바닥, 벽, 천 고 구조적인 특성을 위주로 하는 입장에서 보다 의장적
그림 18. Gigon & Guyer,
정 모두가 콘크리트로 마 이고 미학적인 면의 적극적 발전이 가능하게 한다.
Kircher Museum, Davos,
감되어 공간 전체가 하나 Switzerland, 1889-1992
로 보이며 미술관 안의 조각품에 대한 상징성이 상대적
으로 증가하여 콘크리트가 가지는 물성을 철저히 파악할
수 있다. 거기에 멀리 전시실의 목재 바닥이 시선을 끌어 참고문헌
동선을 유도하는데 이는 긴장도가 높고 산업재인 콘크리
트와 긴장도가 낮고 자연재인 목재가 서로 대비되어 강 1. 김소희, 물성 표현으로서 긴장도의 정량적 분석 연구, 대한건
축학회논문집 19권6호, 2003
조되고 공간은 재료적 풍만감으로 가득찬다. 전시실 내부 2. 김소희 외, 건축 마감 재료가 주는 긴장도에 관한 연구, 대한
의 천정은 은은한 빛을 포함한 반투명 유리로 되어 있는 건축학회논문집 18권10호, 2002
3. 김소희, 표피로서 건축 재료의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실내
데 바닥의 목재 플로링과 함께 부드러운 분위기를 연출
디자인학회논문집 34호, 2002
한다. 4. 베르나르드 루펜 외, 건축디자인과 분석, 도서출판국제, 2000
그림19에서는 한 공간에서 곡선의 나선형 계단에 나무 5. 김원갑, 메트로폴리스, 아방가르드 예술과 건축에 관한 13가
지, 열린 책들, 2002
재질의 디딤판이 바닥의 투명유리, 콘크리트 벽과 동시에 6. 임석재, 한국적 추상논의, 북하우스, 2000
사용되어 서로의 물성을 강조 7. Xavier Gonzalez, Materials I II, a+t, 1999, 14, 15
8. Elizabeth Wilhide, Materials a directory for home disign,
하면서도 개별적인 재료 이미
Quadrille, 2001
지를 잘 구현하고 있다. 이상의 9. Jessica Cargill Thompson, 40 Architects under 40, Taschen,
사례는 재료의 병치에 의한 강 2001
10. Philip Jodidio, Building a New Millennium, Taschen, 2000
조뿐만 아니라 서로 대비를 이
11. Ezio Manzini, The Material of Invention, MIT, 1989
루면서도 전체적으로 긴장도를 (接受: 2004. 5. 6)
중합하는 경향이 함께 보이는
데 이렇듯 건축 공간에서 두
가지 메커니즘은 동시에 적용 그림 19. concrete, glass,
wood의 재료 병치와 중합
될 수 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 시각적 촉각적 특성인 재질감이 주는 긴


장도를 연구의 도구로 하여 건축 재료에 대한 건축가의
인식과 공적․사적, 정적․동적 등의 공간과의 관계를 설
문 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건축 재료의 재질감이 주는
긴장도를 건축 내 외부 공간의 성격과 이미지, 용도와 미
학적 의도에 따라 디자인에 직접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공간의 기능과 용도에 따라 긴장의 적정선이 다르며
그 적정선을 지나치게 넘길 경우 그 효과는 증폭되어 더
많은 긴장감을 연출한다. 긴장도를 건축적 상황에 적용하
는 데는 크게 두 가지의 메커니즘으로 나누어 고려할 수
있는데 하나는 중합・조합에 의한 전체성의 원리이고 다
른 하나는 병치・강조에 의한 개별성의 원리이며 또한 건
축 공간에서 두 가지 메카니즘은 건축 재료에 대한 디자
인 분석 과정을 통하여 동시에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인 경험과 경제적인

4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1호(통권193호) 2004년 11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