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

88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September 2017, pp.104~125.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Copyright©201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금산사 미륵전 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진병혁·조재연·박진연·한성희·김용선*
한림보존테크
*Corresponding Author : fineart0311@naver.com

국 문 초 록

현재 비가역성 재료로 알려져 있는 Paraloid b-72의 제거방법으로는 대상재질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유기용매 및 가열

방식을 이용한 방법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으나, 흙벽화에 적용시키는 문제는 처리방법의 한계성과 손상위험 때문에 지금까지

적용되지 못하였고, 제거 효율 또한 검증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흙벽화에 사용된 Paraloid b-72를 가장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가장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되는 습포방식을 적용하여 실험하였다. Paraloid b-72에 대한 용해성이 확인된 용해제들을 흡착제인 활성탄소섬유와

Methyl Cellulose에 적용시켜 동일한 크기와 조건으로 제작된 흙벽화 시료표면에 일정시간 흡착용출 시킨 후 제거하여 안정성과
제거효과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과거 P araloid b- 7 2 로 보존처리 되었던 금산사 미륵전 벽화 및 다른 벽화 문화재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흡착제인 활성탄소섬유와 Xylene을 단독 또는 빠른 기화성을 가진 다른 용해제와 혼합하여 적용하였을 때 효과적이고,

그 중 Acetone:Xylene(1:1wt%)이 가장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향후 진행될 수 있는 금산사 미륵전 벽화의 Paraloid


b-72 제거와 그밖의 다른 벽화 문화재의 원형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주제어 벽화, Paraloid b-72, 활성탄소섬유, 습포법, 가역성

투고일자 2017. 04. 17 ● 심사일자 2017. 07. 26 ● 게재확정일자 2017. 08. 25


89 Jin Byung-Hyuk 금산사 미륵전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Ⅰ. 서론 의 프레스코 벽화표면의 Wax를 제거하였고,2 이 사례를 시


작으로 다양한 합성수지들의 제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
국보 제62호로 지정된 김제 금산사 미륵전은 우리나 다.3,4,5 또한 유기용제와 계면활성제, 흡착성젤이라는 3가지
라에 현존하는 유일한 3층 목조건물로서 한국건축사 연구 조건을 기본으로 비율과 종류를 다양하게 혼합 제조하여
에 있어 매우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미륵전 건 적용하는 등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6 그 결과, 각각의
물에 조성된 벽화는 전형적인 조선시대 사찰벽화의 구조 합성수지에 대한 제거시스템을 구축하였다.7
및 제작기법을 계승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벽화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문헌
미륵전 벽화는 1990년대에 처음으로 보존처리가 이루 상 자료에 의존한 인문학적 연구와 탈락된 벽화시편 및 비
어졌으며, 손상된 벽화 채색층을 아크릴계 수지인 Paraloid 파괴적 방법을 이용한 자연과학적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B-72를 2~10%(in Toluenee) 농도로 도포하여 강화처리한 왔다. 최근 들어 보존처리에 관한 실험적 연구가 일부 진행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 당시 사용된 Paraloid B-72는 시간 되기는 하였으나,8 실제 벽화에 대한 보존처리와 가역성에
이 경과함에 따라 주변의 환경적 요소들과 반응하여 채색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층 변색 및 박리·박락현상 등의 주요 요인으로 판단되고 이 연구에서는 금산사 미륵전 벽화에 과거 사용되어
있다. 2010년대에 들어와서 보다 과학적인 보존처리가 이루 진 Paraloid B-72의 안정적인 제거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어졌으나, 원형복원 및 지속적인 보존을 위해서는 강화처리 이미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용해제들을 흡착제인 활성탄
에 사용된 Paraloid B-72를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 소섬유와 Methyl Cellulose에 각각 적용시켜 습포방식으로
법을 확보해야하는 과제를 남겼다. 실험하였으며, 그중에서 가장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결과를
해외에서는 아크릴수지로 처리하였던 유물에서 문제 나타낸 흡착제와 용해제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점을 발견하고 일찍이 그 제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하였다. 이 결과는 향후 진행될 수 있는 또 다른 벽화 문화
1980년대에 나노기술을 이용하여 이탈리아 마사치오 바란 재의 보존처리와 원형복원 그리고 지속적인 보존을 위한 기
카치 예배당(Brancacci chapel in Florence by Masaccio) 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 한림보존테크, 2015, 「국보 제62호 금산사 미륵전 벽화 보존처리 보고서 上」, pp.79~91.

2 Michele Baglioni, Rodorico Giorgi, Debora Berti and Piero Baglioni, 2012, ‘Smart cleaning of cultural heritage: a new challenge for soft
nanoscience’, NANOSCALE No.4, p.45.

3 Michele Baglioni, Doris Rengstl, Debora Berti, Massimo Bonini, Rodorico Giorgi and Piero Baglioni, 2010, ‘Removal of acrylic coatings
from works of art by means of nanofluids: understanding the mechanism at the nanoscale’, NANOSCALE No.2, pp.1723∼1732.

4 A. Blee and J.G. Matisons, 2008, ‘NANOPARTICLES AND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MATERIALS FORUM Vol.32,
pp.121∼128.

5 Michelle Taube, David Chelazzi, 2014, ‘The removal of aged acrylic coatings from wall paintings using microemulsions’, ICOM-CC, 17TH
Triennial Conference 2014 Melbourne, MURALS, STONE, AND ROCK ART.

6 멕시코의 마야판 벽화 (Mayapan paintings in Yucatan, Mexico)의 vinyl polymer의 제거에는 EAPC 시스템을 적용하고, 시에나의 산타마리아 대성당
벽화(wall paintings in Santa Maria della Scala in Siena)의 Paraloid-B72에는 APGs시스템을 적용하였다. Michele Baglioni, Rodorico Giorgi,
Debora Berti and Piero Baglioni, 2012, 위의 책, p.48.

7 Michele Baglioni, Rodorico Giorgi, Debora Berti and Piero Baglioni, 2012, 위의 책, p.48.

8 진병혁·위광철, 2013, 「한국 흙벽화 보존처리에 따른 고착제 연구」 『문화재지』 46권 3호, p.151.
90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Ⅱ. 현황 및 연구방법 부터 순서대로 각각 2회씩 분사하거나 주사하였고 접착이


필요한 부위는 Paraloid B-72 10%나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를
1. 현황 주사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0
백제 법왕 1년(599)에 창건된 금산사는 신라 경덕왕 이때 사용된 Paraloid B-72 등의 아크릴계 합성수지
21년(766)에 중건하여 대가람을 이루었으나, 조선 선조 30 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변의 환경적 요소들과 반응하
년(1597) 정유재란(丁酉再亂)의 병화(兵火)로 미륵전을 포 여 벽화의 물리적 및 화학적 손상을 야기하였다.11 그로인
함한 40여 개소에 달하는 건물이 소실되었다. 미륵전은 인 하여 채색층과 마감층의 일부를 1~2㎜의 두께로 박리·박
조 13년(1635)에 다시 재건한 후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쳐 오 락시킴과 동시에 표면변색의 주원인으로 파악되고 있다.
늘에 이르고 있다. 건물은 총 3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1층
이 앞면 5칸, 옆면 4칸으로 약 261㎡, 2층은 앞면 5칸, 옆면 2. 연구방법
4칸으로 약 165㎡, 3층은 앞면 3칸, 옆면 2칸으로 약 93㎡ 현재 비가역성 재료로 알려져 있는 Paraloid b-72의
가량 된다. 건물은 총 높이가 20m 가량 되는데 내부는 통 제거방법으로는 대상재질의 종류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유
층(通層)으로 거대한 불상을 안치하기 위해 당초부터 계획 기용매 및 가열방식을 이용한 방법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
된 것으로 추정된다.9 었다.12 그러나 흙벽화에 적용시키는 문제는 처리방법의 한
미륵전 1층, 2층, 3층 전각 내외에 부속되어 있는 187 계성과 그로 인한 손상위험 때문에 지금까지 적용되지 못
폭의 흙벽화는 1992년부터 1993년, 그리고 1999년에 해 하였고, 제거 효율 또한 검증되지 못하였다.
체 또는 현 상태로 보존처리가 이루어졌으며, 당시 박리·박 이와 같은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흙벽화에 처리된
락 등의 손상이 나타나는 벽화 채색층에 대한 강화처리는 Paraloid b-72를 가장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모
Paraloid B-72(in Toluene)를 약 2%, 3%, 5%의 낮은 농도 색하기 위하여 이미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합성수지 및

그림 1. 1980
‌ 년대 금산사 미륵전 전경. 그림 2. 2011
‌ 년 금산사 미륵전 전경.

9 한림보존테크, 2015, 앞의 책 上, pp.40~46.

10 한림보존테크, 2015, 앞의 책 上, pp.124~127.

11 한경순, 2010, 「금산사 미륵전 벽화의 손상도 평가 연구」 『보존과학회지』 26권 3호, p.308.

12 한원식 외, 2010, 「토기·도자기 복원에 사용된 에폭시 복원재료의 화학적 제거방법과 그 안정성에 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26권 1호, p.26.
91 Jin Byung-Hyuk 금산사 미륵전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B C

D E F

그림 3. ‌금산사 미륵전 벽화의 손상 양상(A.건물 하중에 의한 벽체 파손 및 배부름 현상, B:이전보수물질, C.채색층 박리박락, D.아크릴계 합성수지에 의한 채
색층 얼룩 및 변색, E.아크릴계 합성수지에 의한 채색층 손상, F.충해).

A B C

D E F

그림 4. ‌Paraloid B-72에 의한 금산사 미륵전 벽화의 손상(A.채색층 및 일부 마감층 융기현상 B:채색층 변색 및 얼룩, C.채색층 광택 및 변색, D.Paraloid B-72
로 처리된 채색층 표면의 현미경 관찰, E.채색층에 의해 고형화된 Paraloid B-72양상①(SEM), F.채색층에 의해 고형화된 Paraloid B-72양상②(SEM)).

오염물 제거방법을 조사하였으며, 그중에서 흙벽화에 가장 표면에 일정시간 흡착용출 시킨 후 제거하여 안정성과 제
효율적인 방법이라 판단된 습포방식을 적용하였다. Paraloid 거효과를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해 과거 금산사 미륵전 벽
b-72에 대한 용해성이 확인된 용해제들을 문화재 적용사례 화 보존처리에 사용되었던 Paraloid b-72의 제거 가능성을
가 있는 흡착물질인 활성탄소섬유13와 Methyl Cellulose14 확인하고자 한다.
에 적용시켜 동일한 크기와 조건으로 제작된 흙벽화 시료

13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도자기 토기의 오염물 제거」 『문화유산융복합연구기술보고서』, p.60.

14 Michele Baglioni, Rodorico Giorgi, Debora Berti and Piero Baglioni, 2012, 앞의 책, p.47.
92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Ⅲ. 실험 Xylene을 각각 Acetone, Ethylacetate, MEK와 비율


1:1(wt%)로 혼합한 용제 6종, 총 11종을 선정하였다(표 1).
1. 적용물질 및 기기 시편 열화(劣化)는 KS M ISO 1150717을 참고하여 제
습포방식을 적용해 Paraloid b-72를 제거하기 위해 한 작된 자외선조사(照射)기를 사용하였으며, 색복원력 확인
국활성탄섬유공업(주)에서 생산된 활성탄소섬유(ACF)15와 을 위한 색차측정은 Minolta사의 색채 색차계 CM 700d
삼전순약공업(주)에서 생산된 Methyl Cellulose(4000cps) Model을 이용하였다. 표면상태 관찰은 육안 및 Scalar사의
제품 2종을 흡착제16로 사용하였다(그림 5). Paraloid b-72 SDA-1을 이용하였으며, 친수성 회복을 확인하기 위한 접촉
를 용해시켜 흡착용출에 이용되는 용해제는 Acetone, 각측정은 Cozybio사의 표면접촉각 측정기(P-PICO)를 이
Ethylacetate, MEK, Toluene, Xylene 5종과 Toluene, 용하였다.

그림 5. ‌활성탄소섬유와 Methyl Cellulose의 세공구조(Pore).

표 1. 용해도계수에 따른 ParaloidⓇ Acrylic resins 용해제 선정

Paraloid Grades

B-44 B-45N B-60 B-66 B-67 B-72 B-82

Solubility
Solvent
Parameters
9.4 9.3 9.2 9.0 8.2 9.3 9.4

Acetone 10.0 460 3000 320 110 94 200 140

Ethylacetate 9.1 1800 7700H 920 940 240 500 610

MEK 9.3 510 5300 310 200 110 250 200

Toluene 8.9 1400 5600 530 360 4603 590 530

Xylene 8.8 3600 5802 950 590 300 980 980

15 활성탄소섬유(Activated Carbon Fiber, ACF)는 아크릴, 페놀, 핏치 등의 전구물질을 유기섬유로 활성화하여 제조한 흡착성질을 지닌 탄소흡착제로서, 입
상 및 분말상 활성탄과는 달리 섬유상이므로 직포, 부직포, 종이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활성탄에 비해 흡착특성이 우수하다
고 보고되었다. 활성탄소섬유가 빠른 흡착속도와 큰 흡착용량을 가지게 되는 이유는 10Å 미만의 균일한 미세기공으로 이루어진 기공들 대부분이 흡착에 참
여하고 흡착제의 외부표면에서 내부로 직접 위치한 구조로 흡착질이 물질전달 되는 속도와 평형흡착량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이혜영, 2003, 「활성탄소섬유에
의한 우라늄 이온의 전기 흡·탈착 특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2.

16 흡착제의 기공크기, 비표면적, 세공도 등의 구조적 특성과 함께 흡착제 표면의 화학적 성질 또한 흡찪공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혜영, 2003, 앞의 책, p.36.

17 기술표준원, 2012, 「도료와 바니시 촉진내후성 시험 - 형광 UV 램프와 물에 폭로 -」 『KS M ISO 11507』.


93 Jin Byung-Hyuk 금산사 미륵전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B C

D E F

그림 6. ‌시편제작 과정.

표 2. 총 시편수량

Poultice Sovent Paraloid b-72 (wt%) Specimen quantity

Acetone(C-A)

Ethylacetate(C-E)
5%(10set)
MEK(C-M) 20
15%(10set)
Toluene(C-T)

Xylene(C-X)

Carbon Acetone : Toluene(C-AT) 44


Acetone : Xylene(C-AX)

Ethylacetate : Toluene(C-ET)
5%(12set)
24
Ethylacetate : Xylene(C-EX) 15%(12set)

MEK : Toluene(C-MT)

MEK : Xylene(C-MX)
88
Acetone(M-A)

Ethylacetate(M-E)
5%(10set)
MEK(M-M) 20
15%(10set)
Toluene(M-T)

Xylene(M-X)

Methyl Cellulose Acetone : Toluene(M-AT) 44


Acetone : Xylene(M-AX)

Ethylacetate : Toluene(M-ET)
5%(12set)
24
Ethylacetate : Xylene(M-EX) 15%(12set)

MEK : Toluene(M-MT)

MEK : Xylene(M-MX)
94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2. 시편제작 차를 줄이고 정확한 평균을 구하고자 조건별 각각 2개의 시


실험용 벽화 시편은 금산사 미륵전 벽화 보존처리 보 편을 제작하였으며, 총 시편 수량은 <표 2>와 같다.
고서18에 기록된 미륵전벽화의 벽체 입도분석에 대한 연구
자료를 참고로 지름 14㎝ 샬레에 중립질 이상의 모래와 세 3. Paraloid b-72 제거 실험
립질 이하 크기인 황토를 혼합한 벽체를 제작하였으며, 마 제작된 벽화시편 표면에 각각의 용해제들과 흡착제인
감층을 약 5㎜미만으로 형성하였다(그림 6A). 마감층 위로 활성탄소섬유와 Methyl Cellulose로 만들어진 습포제를 부
는 아교를 전색제로 사용하여 뇌록(磊綠, Bonghwang)으 착하여 반응시킨 후 완전 건조되면 제거하였다. 습포제를
로 바탕칠을 하고(그림 6B), 면적을 5등분하여 금산사 미륵 부착하기 전 화학섬유지(Rayon, Japan)를 시편표면에 부착
전 벽화 채색층의 주요 안료19와 성분이 같은 합분(蛤粉, 한 하여 채색층을 보호하고 습포제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였
림보존테크), 석록(石綠, Kailart), 석간주(石間朱, Kailart), 석 으며, 연질인 흙벽화와 용해제의 장시간 반응으로 인한 손상
청(石靑, Kailart), 송연(松烟, Kailart)등 5종의 안료를 채색하 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필름을 이용한 밀봉은 실시하지 않
였다(그림 6C, D). 채색이 완료된 후 전색제로 사용된 아교 았다(그림 7A, B). 제거율 확인을 위해서 Paraloid b-72 도포
의 분해를 촉진시켜 미륵전벽화 채색층의 보존처리 전 열화 전과 후, 제거 후 3단계에 걸쳐 색차계를 이용해 색차값의
(劣化)된 상태를 재현하기 위해서 자외선 조사기에 336시간 변화를 파악하여 Paraloid b-72 제거 후 색차 값이 제거 전
강제열화시켰다(그림 6E). 열화된 채색층에 대한 강화처리는 색차 값에 얼마나 근접하는지를 살펴보았으며, 육안 및 광
1990년대 금산사 미륵전 벽화보존처리에 적용되었던 합성 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시편표면을 관찰하였다. 또한 접촉각
수지인 Acrylic계 Paraloid B-72Ⓡ(Rohm&Hass, germany) 측정기를 통해 친수성 회복 정도를 파악하였다. 흙벽화 시
를 5wt%, 15wt%(in Toluene) 2가지 Type으로 각각 제조하 편의 특성상 표면이 일정하지 않아 채색층마다 각각 5지점
여 채색층 표면에 1차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재차 도포하는 을 포인트로 정하고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그림 7C).
방식으로 총 2회 도포하였다(그림 6F). 시편 수량은 측정 오

A B C

그림 7. ‌습포제 적용과 측정지점.

18 한림보존테크, 2015,「국보 제62호 금산사 미륵전 벽화 보존처리 보고서 下」, pp.164~170.

19 한림보존테크, 2015, 앞의 책 下, pp.10~105.


95 Jin Byung-Hyuk 금산사 미륵전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Ⅳ. 연구결과 편의 경우 Paraloid b-72 5%에서 3.42의 차이 값을 나타냈


고, 15%에서는 2.73의 차이 값을 나타냈다. 활성탄소섬유
1. 색복원력 측정 적용시편과 Methyl Cellulose 적용시편 모두 제거 실험 후
색복원력 확인을 위해 색차측정을 통한 Paraloid △E*ab 값이 근접해지는 효과가 있었으며, 활성탄소섬유에
b-72 도포 전과 후, 그리고 제거 후의 △E*ab 값의 변화양 서 평균적으로 다소 우세한 결과가 나타났다.
상을 비교하였다. 용해제별로는 Paraloid b-72 5%에서는 활성탄소섬유
Paraloid b-72 도포 후 벽화시편 채색층의 평균 △ 와 Acetone:Xylene(C-AX) 시편이 제거실험 후 도포전과
E*ab 값은 Paraloid b-72 5%에서는 도포전보다 4.14의 차 의 △E*ab 차이 값이 1.68로 가장 근접했으며, 그 다음으로
이 값을 나타냈고, 15%에서는 5.77의 차이 값을 나타냈다. Methyl Cellulose와 Toluene(M-T) 시편이 2.55로 근접했다.
활성탄소섬유와 Methyl Cellulose를 이용한 Paraloid b-72 Paraloid b-72 15%에서는 활성탄소섬유와 MEK:Xylene(C-
제거 후 평균 △E*ab 값은 활성탄소섬유 적용시편의 경우 MX) 시편이 제거실험 후 도포전과의 △E*ab 차이 값이
Paraloid b-72 5%에서 3.25의 차이 값을 나타냈고, 15%에 1.64로 가장 근접했으며, 그 다음으로 Methyl Cellulose와
서는 2.41의 차이 값을 나타냈다. Methyl Cellulose 적용시 MEK:Xylene(M-MX) 시편이 1.75로 근접했고, 다음으로

표 3. 활성탄소섬유 적용시편의 △E*ab 변화값(Paraloid b-72 5%, 15% 실험)

White Malachite Azurite Ruddle Chinese ink


Paraloid
5%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C-A 4.20 2.99 5.78 4.19 4.77 2.09 4.39 2.90 3.02 5.04
C-E 4.64 1.35 4.52 1.36 5.49 2.29 4.68 3.45 3.04 5.73
C-M 3.72 1.17 5.20 3.12 3.91 1.66 3.59 3.77 4.20 5.66
C-T 3.31 1.40 3.79 0.96 4.81 1.63 4.90 2.73 3.67 8.32
C-X 2.96 1.39 4.31 1.19 5.03 1.29 3.51 3.35 3.84 8.57
C-AT 3.40 2.08 4.08 1.17 3.60 2.07 4.80 4.37 3.59 11.36
C-AX 1.93 1.07 3.12 0.81 4.42 1.95 4.05 1.56 2.11 2.99
C-ET 3.87 1.45 4.64 1.91 2.97 1.42 3.60 2.87 2.71 9.37
C-EX 3.90 1.66 4.09 1.46 4.30 3.45 3.56 3.41 3.50 7.40
C-MT 2.02 1.26 5.74 1.60 5.67 0.72 4.59 3.34 4.32 12.34
C-MX 3.01 1.85 4.38 1.04 6.22 1.48 3.91 5.08 3.73 8.46
White Malachite Azurite Ruddle Chinese ink
Paraloid
15%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C-A 4.98 2.33 8.41 2.21 4.51 2.93 4.33 2.15 3.22 2.26
C-E 5.98 0.79 7.62 2.42 4.52 3.54 5.09 2.32 4.05 4.09
C-M 6.31 1.30 7.39 2.43 4.11 3.08 6.36 3.01 4.17 3.07
C-T 5.82 1.45 8.57 3.08 3.04 4.27 6.91 2.58 2.73 0.66
C-X 6.64 1.56 8.71 3.43 5.86 2.02 8.76 1.65 3.85 3.38
C-AT 5.62 2.46 9.05 2.88 4.27 3.68 5.27 2.09 2.76 1.58
C-AX 6.18 2.14 7.31 1.76 8.96 2.76 7.07 2.00 2.48 2.40
C-ET 5.89 1.67 9.38 4.85 6.80 5.03 7.35 4.06 3.61 2.94
C-EX 5.87 2.16 3.68 1.92 5.79 2.89 5.98 1.39 1.73 0.76
C-MT 4.74 1.06 7.66 1.93 4.86 2.06 7.04 1.79 4.81 4.11
C-MX 6.25 1.66 8.05 1.01 4.09 1.99 5.33 1.48 3.52 2.08
96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Methyl Cellulose와 Toluene(M-T) 시편이 1.80로 근접했 하였다. 석록의 경우 5%에서 Acetone:Xylene(0.81)이 가장
다. 송연의 Paraloid b-72 5% 제거실험에서는 대부분의 용 근접했고, 15%에서는 MEK:Xylene(1.01)이 가장 근접하였
해제에서 도포 후 보다 제거 후 색차 값이 더 벌어지는 현 다. 석청의 경우 5%에서 MEK:Toluene(0.72)이 가장 근접했
상이 나타났다. 이는 유기안료인 송연과 용해제가 흡착용 고, 15%에서는 MEK:Xylene(1.99)이 가장 근접하였다. 석간
출 되어 기화되는 과정에서 Paraloid b-72 15% 보다는 5% 주의 경우 5%에서 Acetone:Xylene(1.56)이 가장 근접했고,
에서 상대적으로 안료가 용해제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반 15%에서는 Ethylacetate:Xylene(1.39)이 가장 근접하였다.
응하는 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흑색인 송연에서 백화현상 송연의 경우 5%에서 Acetone:Xylene(2.99)이 가장 근접했
이 극명하게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고, 15%에서는 Toluene(0.66)이 가장 근접하였다.
전체적으로 다소 우세한 결과 값을 나타낸 활성탄소 종합적으로 볼 때 활성탄소섬유를 적용하여 Paraloid
섬유 적용시편에서 각각의 안료별로 Paraloid b-72 도포 전 b-72를 제거할 경우 저농도 5%에서는 Acetone:Xylene(C-
색상과 가장 근접한 색차 값을 나타낸 용해제는 다음과 같 AX)을 적용하였을 때 색복원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고농
다(표 3). 호분의 경우 5%에서 Acetone:Xylene(1.07)이 가 도 15%에서는 MEK:Xylene(C-MX)을 적용하였을 때 색복
장 근접했고, 15%에서는 Ethyl acetate(0.79)가 가장 근접 원력이 가장 우수하였다.

표 4. Methyl Cellulose 적용시편의 △E*ab 변화값(Paraloid b-72 5%, 15% 실험)

White Malachite Azurite Ruddle Chinese ink


Paraloid
5%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M-A 2.67 2.31 4.30 3.08 4.55 3.93 4.95 2.93 4.76 5.32
M-E 3.94 2.52 4.18 2.89 6.18 4.03 3.78 2.01 3.86 5.22
M-M 3.32 1.98 2.69 1.45 5.26 2.64 4.50 2.40 4.74 8.15
M-T 4.42 1.70 4.17 1.55 3.51 2.06 4.03 3.16 3.43 4.27
M-X 3.91 0.99 5.59 1.34 4.32 2.94 3.49 3.30 3.97 7.18
M-AT 4.65 2.60 4.22 2.97 6.11 3.20 5.00 3.57 4.63 8.10
M-AX 2.28 1.35 5.22 2.98 4.50 1.90 2.70 2.93 3.25 7.61
M-ET 4.54 1.82 5.20 2.48 4.78 1.85 5.16 2.89 3.97 8.44
M-EX 3.37 1.84 3.76 1.70 4.51 1.27 4.61 3.78 4.13 13.51
M-MT 3.52 1.63 4.96 2.57 5.02 1.86 3.26 2.86 4.09 7.42
M-MX 2.65 1.25 4.09 0.84 5.87 1.69 4.65 3.51 4.87 8.37
White Malachite Azurite Ruddle Chinese ink
Paraloid
15%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M-A 6.21 3.19 7.76 5.78 6.90 5.52 5.70 3.56 3.75 3.45
M-E 4.85 3.14 7.96 5.15 3.88 2.93 4.71 1.91 3.02 2.93
M-M 6.12 3.28 6.89 3.32 8.22 5.60 6.65 2.99 4.32 2.41
M-T 4.41 0.78 7.81 1.17 6.69 1.81 7.73 1.08 5.17 4.15
M-X 5.08 1.00 4.61 0.78 3.65 1.54 5.79 2.43 3.48 4.12
M-AT 4.20 1.72 8.31 4.83 7.48 4.94 4.66 1.47 3.54 2.37
M-AX 5.38 1.46 8.58 3.12 6.29 3.32 5.55 0.58 4.44 2.44
M-ET 5.07 1.58 7.52 3.83 3.78 2.36 7.14 1.92 3.73 5.31
M-EX 5.23 1.05 11.12 4.02 2.78 1.10 5.86 2.33 4.34 3.60
M-MT 4.79 1.96 9.15 4.20 5.93 2.80 7.05 1.76 4.24 3.36
M-MX 4.96 1.04 11.87 2.47 6.07 2.04 7.71 0.88 3.29 2.30
97 Jin Byung-Hyuk 금산사 미륵전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그림 8. ‌활성탄소섬유 적용시편의 △E*ab 변화값(Paraloid b-72 5% 실험).

그림 9. ‌활성탄소섬유 적용시편의 △E*ab 변화값(Paraloid b-72 15% 실험).


98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그림 10. ‌Methyl Cellulose 적용시편의 △E*ab 변화값(Paraloid b-72 5% 실험).

그림 11. ‌Methyl Cellulose 적용시편의 △E*ab 변화값(Paraloid b-72 15% 실험).


99 Jin Byung-Hyuk 금산사 미륵전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2. 표면상태 관찰 표면상태 관찰결과, 활성탄소섬유와 Methyl Cellulose


활성탄소섬유를 적용한 시편과 Methyl Cellulose를 모두 Xylene이 단독 또는 다른 용해제와 혼합하여 사용하
적용한 시편의 표면상태를 육안 및 광학현미경(x100)을 통 였을 때 Paraloid B-72에 대한 제거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
해 관찰하였다. 활성탄소섬유를 적용한 Paraloid b-72 5% 로 확인되었다. 또한 활성탄소섬유와 동일한 시간을 반응하
시편에서는 공통적으로 백화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 였음에도 불구하고, Methyl Cellulose를 적용한 시편의 제거
며, 15% 시편의 경우 Paraloid B-72가 잔류하여 생긴 얼룩 효과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점으로 미루어 볼 때, Methyl
이 5%에 비해 더 많이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다. Paraloid Cellulose의 반응시간을 증가시켜야 할 것으로 추측된다. 하
b-72 5%와 15% 모두 제거효과가 가장 뛰어난 시편은 지만 Methyl Cellulose를 사용한 시편에서 용해제가 확산되
Acetone:Xylene(C-AX)이며, 5% 시편에서 공통적으로 발견 어 얼룩이 발생한 것은 Paraloid B-72를 용해한 후에 용해
되는 백화현상도 나타나지 않았다. 제의 기화 속도가 더디어 시편 채색층 표면에 오랜 시간 잔
Methyl Cellulose를 적용한 시편의 경우 농도에 상관없 존하였기 때문이므로 Methyl Cellulose보다 활성탄소섬유가
이 Paraloid B-72를 도포한 범위 바깥쪽으로 확산된 형태의 Paraloid B-72를 제거하는데 더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얼룩이 발생하였으며, 제거정도도 활성탄소섬유에 비해 떨 <그림 12>에서는 안정적인 제거효과가 확인된 Acetone:
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완전히 건조된 후에 채색층 표면 Xylene (1:1wt%) 용액을 사용하여 과거 Paraloid B-72로 강
에 잔존한 Methyl Cellulose 분말에 의해 백화현상이 발생 화처리 된 실제 금산사 미륵전 벽화에 적용시켜 보았다. 그
한 것과 같은 표면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중 Paraloid 결과, Acetone:Xylene(1:1wt%) 용액이 적용 된 부위에서
B-72를 도포한 범위 내의 제거효과는 Toluene(M-T)과 Paraloid B-72가 안정적으로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cetone·Xylene(M-AX) 순으로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5. 활성탄소섬유와 Methyl Cellulose의 Paraloid b-72 제거 후 표면관찰(5%, 15%)

Carbon Methyl Cellulose

Fomentation Paraloid 5% Paraloid 15% Fomentation Paraloid 5% Paraloid 15%

C-A M-A

C-E M-E

C-M M-M

C-T M-T
100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Carbon Methyl Cellulose

Fomentation Paraloid 5% Paraloid 15% Fomentation Paraloid 5% Paraloid 15%

C-X M-X

C-AT M-AT

C-AX M-AX

C-ET M-ET

C-EX M-EX

C-MT M-MT

C-MX M-MX

표 6. 활성탄소섬유와 Methyl Cellulose의 Paraloid b-72 15% 제거실험 현미경관찰(호분, 석록, 석청, 석간주, 송연, x100)

Carbon Methyl Cellulose


Solvent Pigment
before Apply After before Apply After

White

Malachite

Acetone Azurite

Ruddle

Chinese ink

White

Malachite

Ethyl acetate Azurite

Ruddle

Chinese ink
101 Jin Byung-Hyuk 금산사 미륵전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Carbon Methyl Cellulose


Solvent Pigment
before Apply After before Apply After

White

Malachite

MEK Azurite

Ruddle

Chinese ink

White

Malachite

Toluene Azurite

Ruddle

Chinese ink

White

Malachite

Xylene Azurite

Ruddle

Chinese ink

White

Malachite
Acetone
Azurite
Toluene
Ruddle

Chinese ink

White

Malachite
Acetone
Azurite
Xylene
Ruddle

Chinese ink

White

Malachite
Ethyl acetate
Azurite
Toluene
Ruddle

Chinese ink

White

Malachite
Ethyl acetate
Azurite
Xylene
Ruddle

Chinese ink
102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Carbon Methyl Cellulose


Solvent Pigment
before Apply After before Apply After

White

Malachite
MEK
Azurite
Toluene
Ruddle

Chinese ink

White

Malachite
MEK
Azurite
Xylene
Ruddle

Chinese ink

A B

C D

E F

그림 12. 미륵전벽화
‌ 포벽 Paraloid b-72 제거 Spot teST(A, B 제거 전 > C, D 제거과정 > E, F 제거 후).
103 Jin Byung-Hyuk 금산사 미륵전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3. 친수성 회복 측정 5.53° 상승한 69.40°를 나타냈으며, Paraloid b-72 5% 실험


색복원성과 표면관찰 결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활성 과 마찬가지로 모든 용해제에서 Paraloid b-72 15%가 제
탄소섬유 적용 시편을 대상으로 친수성 회복 정도를 접촉 거된 후 도포 전보다 접촉각이 하락하여 친수성이 종전보
각 변화로 확인하였다. 다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석청은 Paraloid b-72 15%
Paraloid b-72 5% 도포 후 호분은 도포 전 42.93° 도포 후 58.08°에서 평균 15.35° 상승한 73.43°를 나타냈
보다 평균 14.80° 상승한 57.73°를 나타냈으며, 가장 뛰어 으며, Paraloid b-72 5% 실험과 마찬가지로 Paraloid b-72
난 친수성 회복력을 보인 용해제는 Acetone으로 Paraloid 15% 제거 후 모든 용해제에서 종전보다 친수성이 높거나
b-72 5% 제거 후 56.08°에서 13.88° 회복한 42.20°를 나타 비슷하게 나왔다. 그중 가장 뛰어난 친수성 회복력을 보인
냈다. 석록은 Paraloid b-72 5% 도포 전과 후 접촉각에 별 용해제는 MEK와 Toluene 그리고 Xylene이다. Toluene은
다른 변화 없었으며, 모든 용해제에서 Paraloid b-72 5% 74.64°에서 27.12 회복한 47.52°로 가장 높은 회복력을 나타
가 제거된 후 도포 전보다 접촉각이 하락하여 친수성이 종 냈다. 석간주는 Paraloid b-72 15% 도포 후 27.04°에서 평
전보다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석청은 Paraloid b-72 균 48.11° 상승한 75.15°를 나타냈으며, 가장 뛰어난 친수성
5% 도포 후 58.08°에서 평균 4.57° 상승한 62.65°를 나타 회복력을 보인 용해제는 Ethylacetate로 74.29°에서 27.06°
냈으며, Paraloid b-72 5% 제거 후 모든 용해제에서 종전 회복한 47.23°를 나타냈다. 송연은 Paraloid b-72 15% 도
보다 친수성이 높거나 비슷하게 나왔다. 그중 가장 뛰어난 포 후 56.34°에서 평균 18.60° 상승한 74.94°를 나타냈으
회복력을 보인 용해제는 MEK와 Ethylacetate:Toluene(C- 며, Paraloid b-72 15% 제거 후 MEK:Toluene(C-MT)을 제
ET) 그리고 Ethylacetate:Xylene(C-EX)이다. MEK는 64.76° 외한 모든 용해제에서 종전보다 친수성이 높거나 비슷하게
에서 12.05° 회복한 52.71°로 가장 높은 회복력을 나타냈 나왔다. 그중 가장 뛰어난 친수성 회복력을 보인 용해제는
다. 석간주는 Paraloid b-72 5% 도포 후 27.04°에서 평 MEK와 Toluene 그리고 Xylene이다. Toluene과 Xylene은
균 33.04° 상승한 60.08°를 나타냈으며, 가장 뛰어난 친수 각각 31.84°와 30.15° 회복한 44.54°와 46.32°로 가장 높은
성 회복력을 보인 용해제는 Acetone과 Ethylacetate 그리 회복력을 나타냈다.
고 MEK이다. 그중 Acetone과 MEK는 각각 26.75°와 26.55° 종합적으로 모든 안료에서 친수성 회복력이 가장 뛰
회복한 31.14°와 30.41°로 가장 높은 회복력을 나타냈다. 어난 용해제는 Paraloid b-72 5% 실험에서는 Acetone,
송연은 Paraloid b-72 5% 도포 후 56.34°에서 평균 8.51° Ethylacetate, MEK이고, Paraloid b-72 15% 실험에서는 모
상승한 64.85°를 나타냈으며, Paraloid b-72 5% 제거 후 든 용해제에서 종전보다 친수성이 높아지거나 어느 정도
Acetone:Toluene(C-AT)을 제외한 모든 용해제에서 종전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MEK가 가장 뛰어난 친
보다 친수성이 높거나 비슷하게 나왔다. 그중 가장 뛰어난 수성 회복력을 보였다. MEK는 Paraloid b-72와 정확히 일
친수성 회복력을 보인 용해제는 MEK와 Toluene 그리고 치하는 용해도계수(Solubility parameter)를 가진 용해제로
Xylene이다. Toluene은 69.82°에서 17.18° 회복한 52.64°로 서 Paraloid b-72 제거효과 또한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
가장 높은 회복력을 나타냈다. 지만 제거실험 후가 Paraloid b-72 도포 전보다 접촉각이
Paraloid b-72 15% 도포 후 호분은 도포 전 42.93° 더 하락하여 종전 보다 높은 친수성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
보다 평균 32.08° 상승한 75.01°를 나타냈으며, 가장 뛰어 았고, 더 높아진 친수성은 반대로 보존성(소수성)을 더 잃
난 친수성 회복력을 보인 용해제는 Acetone으로 Paraloid 어버린 것일 수 있으므로 접촉각 하락폭과 효과적인 친수
b-72 5% 제거 후 75.67°에서 40.22° 회복한 35.45°를 나타 성 회복력을 연결시킨 결과에 대한 한계성도 있었다.
냈다. 석록은 Paraloid b-72 15% 도포 후 63.87°에서 평균
104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표 7. Paraloid b-72 도포 전 접촉각(θ)

Pigment White Malachite Azurite Ruddle Chinese ink

Contact angle

42.93 63.87 58.08 27.04 56.34

표 8. 활성탄소섬유 적용시편의 Paraloid b-72 5% 제거 전·후 접촉각(θ)

White Malachite Azurite Ruddle Chinese ink


Paraloid
5%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cetone

56.08 42.20 64.19 53.75 60.28 59.52 57.89 31.14 63.02 56.18

Ethyl acetate

56.47 49.92 62.81 59.41 66.65 57.54 57.88 37.67 60.65 58.84

MEK

54.39 49.04 61.10 54.84 64.76 52.71 56.96 30.41 67.30 55.20

Toluene

58.30 52.84 68.57 53.11 61.79 56.32 58.50 56.71 69.82 52.64

Xylene

57.39 53.86 64.65 52.57 64.24 59.90 60.30 57.31 65.78 52.90

Acetone
Toluene
57.41 52.26 60.06 51.19 60.57 55.82 56.26 53.84 68.30 68.94

Acetone
Xylene
59.93 47.88 63.76 56.23 61.12 58.13 69.30 62.06 60.19 52.60

Ethyl acetate
Toluene
59.52 54.05 62.83 54.19 61.34 52.69 64.23 54.45 61.13 57.24

Ethyl acetate
Xylene
58.62 48.38 65.79 57.01 61.46 52.12 61.55 61.41 64.63 59.00

MEK
Toluene
58.95 51.27 62.05 57.77 62.69 60.11 51.53 50.85 69.78 58.31

MEK
Xylene
57.99 57.60 60.04 56.16 64.20 61.30 66.47 63.07 62.79 56.48
105 Jin Byung-Hyuk 금산사 미륵전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표 9. 활성탄소섬유 적용시편의 Paraloid b-72 15% 제거 전·후 접촉각(θ)

White Malachite Azurite Ruddle Chinese ink


Paraloid
15%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pply After

Acetone

75.67 35.45 64.05 55.13 75.73 56.08 77.32 67.58 75.18 54.93

Ethyl acetate

75.19 63.33 71.30 50.97 72.31 53.71 74.29 47.23 75.49 50.34

MEK

73.42 44.82 69.07 46.33 73.76 48.80 73.08 52.93 76.00 46.24

Toluene

76.46 52.85 72.86 49.18 74.64 47.52 76.00 53.33 76.38 44.54

Xylene

75.40 51.99 68.82 49.55 75.17 50.59 74.45 56.97 76.47 46.32

Acetone
Toluene
74.80 57.47 65.49 46.01 70.41 51.49 75.96 56.05 75.98 46.96

Acetone
Xylene
74.62 61.96 69.46 53.42 73.12 54.65 74.59 54.17 73.95 52.27

Ethyl acetate
Toluene
75.66 53.24 69.92 53.63 71.39 50.62 76.69 54.28 73.43 48.11

Ethyl acetate
Xylene
76.42 56.54 71.64 53.90 71.57 54.76 71.32 62.92 71.50 42.98

MEK
Toluene
72.44 59.18 67.70 52.01 76.12 67.46 76.61 58.54 75.48 61.04

MEK
Xylene
75.07 63.69 73.08 51.34 73.55 50.25 76.36 61.01 74.43 57.65
106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그림 13. ‌활성탄소섬유 적용시편의 Paraloid b-72 5% 제거 전·후 접촉각(θ).

그림 14. ‌활성탄소섬유 적용시편의 Paraloid b-72 15% 제거 전·후 접촉각(θ).


107 Jin Byung-Hyuk 금산사 미륵전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Ⅴ. 결론 및 고찰 수성 회복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5% 실험에


선 모든 용해제가 기존보다 친수성이 높아지거나 어느 정도
일반적으로 Paraloid b-72를 제거하는 데에는 물리적 회복되었다. 특히 Paraloid b-72와 정확히 일치하는 용해도
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이 활용된다. 하지만 흙과 채색층 계수(Solubility parameter)를 가진 MEK는 가장 뛰어난 친
으로 이뤄진 금산사 미륵전 벽화의 경우 재질적인 한계가 수성 회복력을 보였다. 하지만 제거 실험 후 도포 전보다 높
있어 그렇지 않은 문화재와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은 친수성을 나타내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전보다 높아
이에 본 연구에서는 흙벽화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진 친수성은 보존성(소수성)을 잃어버린 것으로 판단될 수
있는 흡착제인 활성탄소섬유와 Methyl Cellulose를 각각의 있는 만큼 실제 벽화에 적용할 때에는 Paraloid b-72 제거
용해제들과 조합하여 습포방식을 이용한 Paraloid b-72 제 후 채색층 표면에 추가적인 강화처리가 필요할 것이다.
거 효과 및 그에 따른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활성탄소섬유는 10Å 미만의 균일한 미세
먼저 색복원력 확인을 위해 색차측정을 통한 Paraloid 기공으로 이루어져 있어 입자형태의 Methyl Cellulose보다
b-72 도포 전과 후 그리고 제거후의 △E*ab 값의 변화 양 흡착량이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습
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활성탄소섬유를 적용시킨 습포 포방식에 의한 Paraloid b-72 제거에는 활성탄소섬유가 더
제가 Methyl Cellulose를 적용시킨 습포제보다 전체적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 느린 기화성을 가진 Xylene를
우세한 색복원력을 보였다. 활성탄소섬유를 적용하여 제거 단독 또는 빠른 기화성을 가진 용해제와 혼합하여 적용하
한 경우 용해제는 5%에서 Acetone:Xylene(1:1wt%), 15%에 였을 때 Paraloid b-72 제거에 탁월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
서는 MEK:Xylene (1:1wt%)이 가장 우수하였다. 다만 송연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중 Acetone: Xylene(1:1wt%)이 가
의 경우 Acetone:Xylene(1:1wt%) 적용시편을 제외한 시편 장 안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들에서 일부 백화현상이 나타났다. 이에 실제 흑색 채색층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진행될 금산사 미륵전 벽화의
이 있는 벽화에 이를 적용할 때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Paraloid b-72 제거와 그 외 벽화 문화재 원형복원을 위한
다음 육안과 현미경 관찰의 경우 Methyl Cellulose 기초자료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보다 다양한 종
는 활성탄소섬유와 동일한 시간을 반응하였음에도 용해제 류의 재료들을 혼합 제조하여 적용하고 체계화하는 연구가
에서 확산된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그러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로 Paraloid B-72를 제거할 때에는 활성탄소섬유가 더 적
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Xylene은 활성탄소섬유와 Methyl
Cellulose에 상관없이 단독 또는 빠른 기화성을 가진 다
른 용해제와 혼합하여 사용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효과
를 보였다. 특히 Acetone:Xylene(1:1wt%) 용액이 가장 안정
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Acetone:Xylene(1:1wt%) 용
액을 금산사 미륵전 벽화에 적용해본 결과, 해당 부위에서
Paraloid b-72가 안정적으로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활성탄소섬유 적용 시편을 대상으로 친수성 회복 정
도를 통한 Paraloid b-72 제거 효과를 확인한 결과, 5% 실
험의 경우 Acetone, Ethylacetate, MEK가 모든 안료에서 친
108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참고문헌

●●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도자기 토기의 오염물 제거」 『문화유산융복합연구기술보고서』, pp.56~65

●● 기술표준원, 2012, 「도료와 바니시 촉진내후성 시험 - 형광 UV 램프와 물에 폭로 -」 『KS M ISO 11507』

●● 이혜영, 2003, 「활성탄소섬유에 의한 우라늄 이온의 전기 흡·탈착 특성」,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2~36

●● 진병혁·위광철, 2013, 「한국 흙벽화 채색층 보존처리에 따른 고착제 연구」 『문화재지』 46권 3호, pp.150~171

●● 한경순, 2010, 「금산사 미륵전 벽화의 손상도 평가 연구」 『보존과학회지』 26권 3호, p.308

●● 한국기술표준원, 2012, 「도료와 바니시 촉진내후성 시험-형광 UV 램프와 물에 폭로」 『KS M ISO 11507』

●● 한림보존테크, 2015, 「국보 제62호 금산사 미륵전 벽화 보존처리 보고서 上」, pp.40~46, 79~91, 124~127

●● 한림보존테크, 2015, 「국보 제62호 금산사 미륵전 벽화 보존처리 보고서 下」, pp.10~105, 164~170

●● 한원식 외, 2010, 「토기·도자기 복원에 사용된 에폭시 복원재료의 화학적 제거방법과 그 안정성에 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26권 1호, p.26

●●
A. Blee and J.G. Matisons, 2008, ‘NANOPARTICLES AND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MATERIALS
FORUM Vol.32, pp.121∼128
●●
Michele Baglioni, Rodorico Giorgi, Debora Berti and Piero Baglioni, 2012, ‘Smartcleaning of cultural heritage: a new
challenge for soft nanoscience’, NANOSCALE No.4, pp.42∼53
●●
Michele Baglioni, Doris Rengstl, Debora Berti, Massimo Bonini, Rodorico Giorgi andPiero Baglioni, 2010, ‘Removal of acrylic
coatings from works of art by means of nanofluids: understanding the mechanism at the nanoscale’, NANOSCALE
No.2, pp.1723∼1732
●●
Michelle Taube, David Chelazzi, 2014, ‘The removal of aged acrylic coatings fromwall paintings using microemulsions’,
ICOM-CC, 17TH Triennial Conference 2014 Melbourne, MURALS, STONE, AND ROCK ART
109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Vol. 50 No. 3, September 2017, pp.104~125.
Jin Byung-Hyuk 금산사 미륵전벽화 채색층의 Paraloid b-72 제거방법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Copyright©2017,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Study on Removing Paraloid B-72


from Painting Layer on Mural
of Mireukjeon Hall at Geunsansa Temple
Jin Byung-Hyuk·Cho Jae-Yeon·Park Jin-Yeon·Han Sung-Hee·Kim Yong-Sun*
Hanrim Conservation & Technology
*Corresponding Author : fineart0311@naver.com

Abstract
As the technique to remove Paraloid B-72, which is known as an irreversible material, the method using
organic solvent and heating, though the ways vary depending on the kind of material to be removed, has been
usually used, but it has yet to apply to mud mural because of the technical limit in processing and the potential
risk of damage and, moreover, the removal efficiency which also remains unproven, .
Thus, in a bid to seek the way to safely remove Paraloid B-72 contained in mural, the test was conducted
in a way of applying a compress method, which is deemed most efficient. The solvents which are proven to be
Paraloid B-72 were applied to the absorbents such as active carbon fiber and methyl cellulose and then were
eluted to the surface of mud mural sample which was prepared in the same size and condition for a certain time
before evaluating the stability and removal efficiency. Such tes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to the
mural of Mireukjeon Hall at Geunsansa Temple, which had been treated with Paraloid B-72 for preservation in
the past.
As a result, the way of mixing the absorbent such as active carbon fiber and Xylene alone or with other quick
vaporable solvents proved to be most efficient in removing Paraloid B-72 from mud mural and particularly
Acetone:Xylene(1:1wt%) was found to be the most stable among others. Such a test outcome is expected to be a
useful data for removing Paraloid B-72 from the mural of Mireukjeon Hall at Geunsansa Temple as well as for
restoring other mural cultural assets in the coming days.

Keywords Mural, Paraloid B-72, Carbon, Cataplasm, Reversibility


Received 2017. 04. 17 ● Revised 2017. 07. 26 ● Accepted 2017. 08. 25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