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2

연구결과서

팀명 Pat & Mat

연구주제 지구를 구하는 ‘지속가능한‘ 바이오 필터

지도교사 김보련 선생님

학생 1.최재영 2.강민준
기존 연구 검토 자료

No. 구분1) 팀명 연구주제 비고

1 바이오 Pat & Mat 지구를 구하는 ‘지속가능’한 바이오 필터

구분 내용

기존 연구
미생물 활성토탄을 이용한 암모니아 제거에 관한 연구, 정연규, 안준성, 1994
(연구명, 연구자, 연구년도)
미생물 활성 토탄이 암모니아의 악취제거에 자연토탄에 비해서 더 짧은 시간동안 더 높은 수준의 제거효율
기존 연구 내용 요약2)
을 보였다.

기존의 연구는 공기중의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쪽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우리팀의 연구는 수중에 용해되
기존 연구와
어 있는 암모니아를 제거하는 쪽에 초점이 더 맞추어졌다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미 흡착제로 널리 사
우리팀 연구의 차별성3)
용되고 있는 토탄이나 숯을 사용하는 대신 플라스틱 폐기물을 사용한다는 것이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다.
기존 연구 검토 자료

기존 연구 검토 자료

No. 구분1) 팀명 연구주제 비고

1 바이오 Pat & Mat 지구를 구하는 ‘지속가능’한 바이오 필터

구분 내용

https://scienceon.kisti.re.kr/srch/selectPORSrchArticle.do?cn=JAKO199417451624061&dbt=NART
URL 1
설명 : 미생물 활성토탄을 이용한 암모니아 제거에 관한 연구

https://doi.org/10.1063/1.5117094
URL 2
설명 : 플라스틱의 오염물질 흡착
https://www.climate-policy-watcher.org/nitrogen-removal/the-influence-of-ph-on-the-
nitrification-rate.html
기존 연구 링크4) URL 3
설명 : Nitrifying 과정에서 pH 가 미치는 영향 및 보정

https://pubmed.ncbi.nlm.nih.gov/17186207/
URL 4
설명 : 연구에 사용되는 박테리아 선택 이유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0960852411010431
URL 5
설명 : 박테리아에게 가장 적당한 pH
※ 기타 사항
타 대회 중복 수상 여부 없습니다.
목차
1. 문제인식 및 아이디어

2. 1차 연구

3. 2차 연구

4. 추가 연구

5. 연구 결과

6. 결론
2
문제인식 및 아이디어

아쿠아 포닉스*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바이오 필터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대량으로 사용되는 바이오 필터는 교체와 폐기가 반복되는데 이는 환경오염을 유발합니다.
재활용이 되지 않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합성플라스틱, 열경화성 플라스틱 등을
‘바이오 필터’로 재활용 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되었습니다.
*아쿠아 포닉스 : 물고기 양식과 수경재배를 결합한 합성어로 물고기 식물을 동시에 키우는 친환경 농법
3
연구 설계
가설 : 플라스틱 바이오 필터의 암모니아 분해율이 시판 필터보다는 작지만, 필터
1차 연구 가 없는 경우 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다.

자료 1. 해당 연구는 플라스틱이 오염물질을 흡착할 수 있고, 이것의 효율이 상당


히 높다는 것을 보이고 있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이 흡착제 역할과 바이오 필터의 역할 모두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ttps://doi.org/10.1063/1.5117094]

자료 2. 해당 연구는 charged된 플라스틱 입자가 산소 라디칼을 끌어올 수 있다


는 것을 보인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 필터가 정전기적 인력을 통해 암모니아 또는 암모니아 라디


칼을 끌어와 필터 표면의 농도를 높이는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https://doi.org/10.1038/s41565-020-0707-4]

5
연구 설계
가설 : 플라스틱 바이오 필터의 암모니아 분해율이 시판 필터보다는 작지만, 필터
1차 연구 가 없는 경우 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을 것이다.
자료 3. 해당 연구는 1차 연구에서 사용되는 박테리아들의 최적의 pH를 제시한다.
Nitrosomonas는 8.5에서 8.8, Nitrobacter는 8.3에서 9.3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반응이 가장 잘 일어나는 상태를 조성 할 수 있다.


[https://doi.org/10.1016/j.biortech.2011.07.092.]

1차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로 진행되었습니다.


1. 플라스틱 필터 제작
2. 필터 표면 관찰 및 비교
3. 색소를 이용한 필터 별 흡착능력 비교

4
연구 수행 – 플라스틱 필터 제작

다공성 구조에 따른 정화 능력을 실험하기 위한 대조군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녹여 다공성


구조를 제작하였음.
플라스틱을 알루미늄 틀에 넣고 열풍기를 활용해 녹인 후 수용성 결정 ( 여기선 소금 결정 )을
융해된 플라스틱 위에 붓고, 압축 후 물로 냉각하여 다공성 구조를 제작함.
6
연구 수행 – 바이오 필터 관찰

실체현미경을 활용하여 제작한 바이오 필터와 시판 세라믹 필터의 다공성 구조를 관찰함.
세라믹 필터는 미세 세라믹 볼을 접착제로 압축하여 놓은 형태로 제일 다공성 구조가 작았음.
플라스틱 필터는 PLA < PP < PET 로 다공성 구조의 깊이가 깊었음.

7
연구 수행 – 색소를 이용한 흡착능력 비교

앞서 현미경으로 관찰한 필터 중 세라믹필터와 깊이가 가장 깊은 PET, 가장 얕은 PLA 재질의


흡착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각 실험군에 식용색소 1g을 뿌린 후 동일 량의 물 (300ml)로 색소를
씻어냄. 이후 남아있는 색소를 현미경을 통해 관찰함.
세라믹 필터에서 가장 많은 양의 색소가 남아있었음. 세라믹 필터 > PET 필터 > PLA 필터
8
연구 해석
플라스틱을 녹여 필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재질에 따라 융해된 플라스틱의 녹는점, 강도의 차
이로 인하여 다공성 구조의 깊이의 편차가 발생함. PLA < PP < PET 로 PET에서의 깊이가 가장
깊었음.

식용색소를 활용한 실험에서 플라스틱을 녹여 만든 ‘닫힌 다공성 구조‘에서는 쉽게 색소가 빠져


나감. 깊이가 상대적으로 깊은 PET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색소가 남아있었음.

스펀지형 구조 ( 내부에 구멍이 뚫려있는 구조 ) 를 지닌 세라믹 바이오 필터에서 가장 많은 색


소가 남아 있었음. 실험 후 색소를 빼는 과정에서도 가장 많은 양의 색소가 내부에 잔류해 있던
것을 확인함.

흡착력은 세라믹 바이오 필터 > PET 필터(깊이 깊음) > PLA 필터(깊이 얕음) 순서임을 확인함.

9
연구 수행 – 바이오 필터의 정화 측정

바이오 필터의 정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pH를 활용한 측정을 고안함.

박테리아가 암모니아를 정화하는 과정에서 암모니아를 질산, 아질산염으로 분해하며 pH가 감소함.

실험군으로 설정한 어항중 한 어항에 바이오 필터를 넣어 pH 변화를 관측함.

초깃값 7.45~7.47에서 1일 후 필터를 넣은 어항은 7.50, 나머지는 7.58, 7.58, 7.56을 보임.

박테리아가 암모니아를 분해하며 pH가 감소하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함.


10
연구 수행 – 필터에 따른 정화능력 비교

자연군 : 여과기를 제외하고 별도의 수질정화과정을 거치지 않음


실험군1 : 플라스틱을 열로 가공한 재활용 바이오 필터 + 박테리아
실험군2 : 시중에서 판매중인 세라믹 바이오 필터 + 박테리아
실험군 3: 바이오 필터 없이 박테리아만을 사용
바이오 필터의 정화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동일 환경의 어항, 4개의 대조군을 제작
박테리아 앰플을 활용하여 각 필터의 정화 능력을 비교함.
11
연구 해석

전체적으로 데이터 수치 상의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세라믹 바이오필터의 경우에는 0.1이라는

상대적으로 큰 변화를 보였지만, 그에 비해 직접 제작한 바이오필터는 0.03이라는 아주 미비한

변화만을 보였다. 또한 담체 없이 박테리아만을 투입한 것의 pH가 더 높게 측정되기도 하였다.

추정한 오차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 금붕어 사료의 자체적 박테리아 포함

- 일정하지 않은 금붕어의 크기, 배변량

- HCO3와 H2CO3 등의 이온들에 의한 완충용액 효과

12
연구 설계
2차 연구 가설 : 통제된 변인에서는 플라스틱 바이오 필터가 자연군보다 낮은 pH를 보일 것이다.
이전의 연구에서 몇가지 변인(금붕어의 크기, 먹이의 양, 이산화탄소의 유입)이 통
제되지 못하고, 환경에 의해 실험의 결과값이 오염되었고, 오염되지 않은 값을 얻
기 위해서 고려해야할 변수를 줄이고 다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료 1. 해당 연구는 Nitrifying 중에 양성자 농도가 암모니아 뿐만 아니라 이산화


탄소의 산화 와도 관련이 있음을 보인다. 이 때문에 pH는 감소 폭을 보이다가 다
시 증가하게 되고, 몇몇의 경우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또한 Nitrifying의 효율에 대해 다루는 연구들은 pH를 조정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
다고 전한다.

이를 통해서 1차 연구에서 pH의 변화가 잘 드러나지 않은 것은 탄산이온에 의해


수조의 물이 완충용액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Influence of pH on the Nitrification Rate, (2021)]

13
연구 수행 – 암모니아를 사용한 실험

실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25% 암모니아 수용액을 3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pH 8.2로 희석하였다.

2. 100mL 용액을 담은 비커 3개에 각각 박테리아만 넣은 자연군, 세라믹 필터와 박테리아를 넣은

실험군과 재활용 필터와 박테리아를 넣은 실험군을 만들었다.

3. 30분 간격으로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14
연구 해석

30분 간격으로 세 번 측정하였고, 이 때 각 실험군마다 pH의 변화량을 통해 암모니아 분해량을 구

해낸 결과, 세라믹 바이오 필터가 분해양이 가장 높았고, 재활용 필터와 자연군이 유사한 수치로 그

뒤를 이었다. 이 연구에서 재활용 필터가 담체로서 기능이 현저히 적다는 것을 확인했다.

15
연구 설계
가설 : 흡착률이 낮은 플라스틱으로 만든 바이오 필터의 TDS 값이
추가 연구 세라믹 바이오필터보다 높을 것이나, 자연군보다는 낮을 것이다.

이전의 연구와는 다른 접근법으로 이 문제를 알아보려 하였다. pH 미터기는 물 속의 양성자


의 양을 측정하는 반면, TDS 미터기는 저항을 통해 물 속의 이온들의 총 양을 측정한다.
2차 연구에서 시판 세라믹 필터를 사용하였을 때, 30분이 지난 후부터는 필터의 암모니아 분
해능력이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이것이 세라믹 바이오 필터의 표면의 암모니아 농도가
순간적으로 높아지면서 전체 액체의 암모니아 농도가 급감한 것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하였다.

16
연구 수행 – TDS를 활용한 측정

1. 1차 연구에서 사용된 수조 4개의 물을 100mL 씩 서로 다른 비커에 담는다

2. TDS 미터기로 측정한다.

3. 측정한 값을 기록한다.

17
연구 해석

세라믹 필터와 자연군의 수치는 가설에 맞는 대소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제작 필터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플라스틱 바이오 필터를 제외하고는

모든 수조의 TDS 값은 약 200~300µs/cm 사이로 측정된 반면, 플라스틱 바이오 필터가 있는 수조

의 TDS 값은 1623µs/cm로 측정되었다. 이는 예측에는 없던 어떤 물질이 플라스틱 바이오 필터에

서 누출되어 물을 오염시킨 것을 의미한다. 이 물질을 두 가지 물질로 추정한다. 하나는 플라스틱의

열가공 도중에 누출된 첨가제이고, 다른 하나는 하전된 플라스틱 조각들이다.

18
연구 결과
본 연구를 통해 크게 두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1. 바이오 필터가 ‘닫힌 다공성 구조’일 경우에 흡착력이 약해 담체로서 기능하지 못하였다.

쉽게 water flow로 물질이 떠내려가는 닫힌 다공성 구조와 다르게 스펀지형 구조에서는 모세관 현

상으로 액체를 흡착하여 담체로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2. TDS 측정을 통해 플라스틱으로 제작한 바이오 필터로 인한 물 오염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플라스틱은 열을 통한 재가공에서 첨가제 등의 물질을 방출하는데 이로 인해 환경, 수질 오염이 발

생할 수 있다. 열가공을 제작 과정에서 생략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19
결론
저희는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을 토대로 하여
열을 통한 재가공 없이 물리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바이오 필터를 설계하였습니다.

금속 망으로 ‘재활용 과정에서 생성되는


플라스틱 particle’을 감싸 스펀지 구조 형성
모세관 현상으로 박테리아, 암모니아를 흡착,
박테리아의 질산화 작용을 촉진합니다.

기대효과
-재활용되지 않는 폐플라스틱을 재활용
-’플라스틱 담체’와 달리 쉬운 재활용 가능
-에너지 적게 소모, 새로운 원료의 투입 방지

20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