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8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성능평가 연구

Evaluating Performance of a Wall-Integrated Daylighting System

송 규 동* 이 주 윤** 유 정 연***
Song, Kyoo-Dong Lee, Ju-Yoon Yu, Jung-Yeon
………………………………………………………………………………………………………………………………
Abstract
Recently, various daylighting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buildings. However, existing daylighting systems
are of no practical use due to a high initial cost and difficulties in maintenance. In addition, there is a main problem of
securing sufficient additional space for collecting daylight and to be available in the overcast sky. A wall-integrated
daylighting system,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and doesn't need additional space for collecting daylight, is a very
useful daylighting system, because it can substitute for a vertical wall of a buil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aylighting performance of the wall-integrated daylighting system using two mock-up models. The performance of
the general windows were compared with that of the wall-integrated daylighting system placed on the windows in terms of
illuminance distribution on the work plane at the height of 75cm and luminance distribution on the south wall.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ethods to minimize glare problems of a newly developed wall-integrated daylighting
system. A total of six glare reduction methods were comparatively tested through measurements with physical scale
models. The six glare reduction methods included light-guiding ceiling, planer light shelf, parabolic light shelf, horizontal
louvers, vertical louvers and prismatic panel, all of which were attached to the wall-integrated daylighting system. Th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under direct sunlit conditions for the winter solstice, summer solstice and the equinox.
………………………………………………………………………………………………………………………………
키워드 : 자연채광, 벽 일체형 채광장치, 실물모형, 천공상태, 현휘문제
Keywords : Daylighting, Wall-Integrated Daylighting System, Mock-up Model, Sky Condition, Glare Problems
………………………………………………………………………………………………………………………………

1. 서 론1) 의 축적과 현장적용의 실용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2)


에너지 절약은 물론 쾌적한 시환경 조성을 가능하게 본 연구는 국내 C사에서 개발한 벽 일체형 채광장치에
하는 자연광은 매력적인 건축디자인 요소이다. 자연광을 대해서 실제 천공상태에서의 장기간에 걸친 측정에 의해
실내조명에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조망의 기능을 채광성능을 평가하고 집광된 자연광이 실내로 방사될 때
병행하는 일반적인 형태의 창문과 차양에 의해 채광하는 발생하는 현휘 현상을 줄이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안을
자연형 채광시스템과 태양광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 제시함으로써, 본 채광장치의 실용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
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는 설비형 채광시스템으 적으로 수행되었다.
로 구분 되어 진다. 설비형 채광시스템의 경우 현재 여러
가지 형태의 채광장치(Kuckelkorn, 2000; Molteni, 2001) 1.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가 개발되어있고 또한 상용화가 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경우 설치비용등의 경제적인 문제와 건물설계자들이 참 1) 일반 채광창과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실내 채광성
고할 수 있는 자료의 부족으로 실제로는 잘 사용되지 않 능을 비교평가하기 위하여 2개동의 실물크기 모형실
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국내의 상황을 고려하 (Mock-up Model)을 제작하였다.
여 초기설치비용이 과대하지 않은 채광장치의 개발이 필 2)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성능 평가는 일반 채광창이
요하며 자연채광 성능의 정확한 평가를 통한 설계 자료 설치된 실과 일반 채광창 및 벽 일체형 채광장치가 설치

* 정회원, 한양대 건축학부 교수, Ph.D.


** 정회원, 한양대 대학원, 박사과정 본 연구는 2002년도 에너지․자원기술개발사업(에너지관리공단)
*** 정회원, 한양대 대학원, 석사과정 의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2호(통권194호) 2004년 12월 195


송규동․이주윤․유정연

된 실로 구분하여 실내 작업면 조도 및 자연광이 유입되 1차반사판

는 실의 남측면의 휘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단열재


3) 채광성능 평가는 실제 천공을 대상으로 월별로 실 옥외입사창

행되었으며, 측정기간의 천공 조건을 구분하기 위하여 연


구가 진행되는 기간 동안 외부기상상태(일사량, 온도, 습
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였다.
4) 측정된 기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Perez 천공모델 실내 방사창
단열재
(Perez, 1993)에 의해 대기청정도를 계산하여 천공의 상 2차반사판

태를 청천공, 부분 담천공, 담천공으로 구분하였다.


그림 1.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구성도
5) 채광장치의 실내 방사창에서 발생하는 현휘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6가지 현휘 감소방안(광천장, 평면형
일반 채광창
광선반, 포물선형 광선반, 수평루버, 수직 루버, 프리즘 패
널)을 선정한 후 대상실의 현휘 감소를 위한 설계안을 제 위층 바닥

시하였다.
7) 각각의 현휘 감소방안에 대하여 1/10 크기의 축소
모형을 제작하여 연간 대표일인 동지, 하지, 춘/추분 조건
자연광
에서의 실내 남측면 휘도 및 작업면 조도를 측정하였다.
실내 채광
2. 이론적 고찰

2.1.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개요


본 연구의 대상인 벽 일체형 채광장치는 그림 1과 같
이 외부와 실내측에 각각 옥외입사창과 실내방사창이 있 그림 2.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적용원리(좌) 및 적용사례
으며 내부는 포물면의 1차반사판과 원호면의 2차반사판 (우, 여성부 반포청사 어린이집)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 2와 같이 건물의 수직벽체를
대신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층건물의 외피에서 수직 벽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만큼 충분한 집광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초기 설치비 태양광 입사선
옥외입사창의 직사일광 법선면
의 경우 일반벽체의 재료비 및 시공 비를 제외시킴으로
써 시스템 설치에 따른 경비부담을 줄일 수 있다(박화랑, 정남향 수직
옥외입사창
2001). 집광면이 수직면으로 구성되어 먼지와 같은 외부
오염물질에 의해 쉽게 오염되지 않으며, 기존의 자연채광
시스템과는 달리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기계장
치나 인력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이며 유지관리
의 어려움이 없다.
그림 3은 옥외입사창의 직사일광에 대한 유효면적비의 그림 3. 옥외입사창의 직사일광에 대한 유효면적비 개념
개념을 보인 것으로, 유효면적비는 식 (1)과 같이 정의된
다. 그림 4는 옥외입사창이 정남을 향한 상태에서 각 월
1
별x시각별 유효면적비를 보인 것이다. 0.9
0.8
Eff e c t a r e a r a t io

0.7
옥외입사창의 직사일광 법선면적 0.6
유효면적비 = (1) 0.5
옥외 입사창 면적
0.4
0.3
그림 4에서 알 수 있듯이, 벽 일체형 채광장치가 정남 0.2
0.1
향의 수직면으로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유효면적비는
0
태양의 고도가 낮은 동절기에 증가하고 태양의 고도가 8시 9시 10시 11시 12시 13시 14시 15시 16시 17시
높은 하절기에는 작아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동절 1월 2월 3월 4월
Jan 21 Feb 21 Mar 21 Apr 21
기에는 유효면적비가 증가하여 하절기에 비해서 직사일 5월
May 21 6월
June 21 7월
July 21 8월
Aug 21

광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자연현상을 보완할 수 9월


Sept 21 10월
Oct 21 11월
Nov 21 12월
Dec 21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4. 옥외입사창의 직사일광에 대한 월별 각 시각의 유효면적비

196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2호(통권194호) 2004년 12월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성능평가 연구

벽 일체형 채광장치는 빛이 광학장치를 통과한 후 영


상이 맺히지 않는 비영상 광학장치(Non-Imaging Optical
System)로서 이와 유사한 자연채광 시스템으로는 담천공
조건에 유리하게 설계되어 천공의 확산광을 효율적으로
집광할 수 있는 유럽의 아니돌릭 자연채광시스템
(Anidolic Day- lighting System)이 있다. 아니돌릭 자연
채광시스템의 주요한 부분은 그림 5와 같이 Edge-ray의
원리에 기초한 복합 포물선형 집광부(Compound
Parabolic Concent- rator)로 구성된다. 이 복합 포물선형
집광부는 포물선형의 곡면을 이용하여 천공의 확산광을
그림 5. Edge-ray 원리에 기초한 아니돌릭 시스템의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실내의 현휘를 줄이기 위해서 반사
복합 포물선형 집광부의 반사판 단면도 구조
판의 각도가 정밀하게 설계된다(Scartezzini, 2002;
Welford, 1978). 벽 일체형 채광장치 또한 이러한 복합 포
단,  = 배경의 휘도(cd/m2)
물선형 반사판의 원리를 이용하여 동절기에는 낮은 고도
로 입사하는 직사일광과 천공의 확산광을 효율적으로 수  = 관찰자 시선 내 광원의 발광부 휘도(cd/m2)
집하고 하절기에는 주로 천공 확산광을 채광 하도록 설  = 관찰자 시선 내 광원의 발광부분 입체각(sr)
계되었다.  = 각 광원의 위치계수

2.2. 현휘(Glare) 평가 기준 표 1은 UGR값에 따른 재실자의 주관적인 반응을 나타


현휘란 시야영역 내 과도한 휘도의 차이에 의한 시력 낸 것으로 UGR값 22이상은 재실자가 “받아들일 수 없
의 손상 또는 불쾌감을 말하며 크게 불능현휘와 불쾌현 는” 불쾌현휘를 느끼게 됨을 뜻한다(Akashi, 1996).
휘, 직접현휘와 간접현휘로 구분된다.
불능현휘는 시야 영역에서 25,000cd/㎡ 이상의 휘도 레 표1. UGR값과 주관적인 느낌
벨에서 인공광원 또는 태양을 직접적으로 볼 때 발생하 UGR값 주관적인 느낌
며, 주변 환경의 휘도대비에 의존하지 않는다. 불쾌현휘 31 참을 수 없는(Just intolerable)
란 상세한 부분을 보는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더라도 시 28 불편한(Uncomfortable)
각적인 불쾌감을 유발하는 현휘를 말하며 휘도대비가 10 25 단지 불편한(just Uncomfortable)
이상일 때 발생한다. 조명기구의 노출된 광원은 생활주변 22 받아들일 수 없는(Unacceptable)
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불쾌현휘의 예이다(Szokolay, 19 받아들일 만한(Just acceptable)
1979). 16 감지할 수 있는(Perceptible)
10 감지할 수 없는(Imperceptible)

    
휘도대비 =   (2) 2.3. 천공상태의 구분
    실내로 유입되는 자연광은 태양의 위치뿐만 아니라 외
부 천공의 청정도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한다. 따라서 본
단, Ld = 측정된 재실자의 시야 내의 최대 휘도값
연구에서는 각 계절별로 천공의 상태를 구분하여 벽 일
Lb = 측정된 재실자의 시야 내의 평균 휘도값
체형 채광장치의 자연채광성능을 평가하였다.
기상자료의 대기의 운량은 태양의 위치와 상관없이 천
또한, 실내의 불쾌현휘의 정도는 국제조명위원회(Co-
공에 분포되어 있는 구름의 양을 1-10 사이의 숫자로 나
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에서 제안된
타낸 것으로서 일종의 절대값의 개념을 갖는다. 동일한
대표적인 현휘 지수인 UGR 시스템으로 평가 하였는데,
운량으로 표현되는 천공에서도 외부조도 또는 일사량의
UGR 시스템은 현휘에 대한 인간의 반응을 가장 잘 나타
값이 커다란 차이를 보이게 되는데, 이것은 동일한 운량
내 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CIE, 1995). 식 (3)은
이더라도 구름의 위치가 태양을 가리는 정도에 따라 지
UGR의 계산식을 나타낸 것으로 주변 및 광원의 휘도값
면에 도달하는 직사광의 양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
과 광원의 크기 및 위치 등을 이용하여 나타내게 된다.
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기상데이터에 사용되는 운량
을 배제하고 외부수평면 일사량과 노점온도에 의해 정의
되는 Perez천공 모델의 대기청정도를 외부천공 상태를
구분하는 척도로 사용하였다.
  
       (3) 연구기간(1월∼12월)동안 측정된 일사량과 노점온도로
     부터 천공청정도를 계산하여 표 2와 같이 천공의 상태를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2호(통권194호) 2004년 12월 197


송규동․이주윤․유정연

청천공, 부분 담천공, 담천공의 3가지 천공상태로 구분하 표 3. Perez 천공모델의 청정도로 분류된 천공상태
였으며, 표 3은 서울지역의 표준 기상년 데이타를 이용하 (서울지역 표준 기상년 데이타 기준)
여 각 계절별 주간 시간대(오전9시∼오후5시)의 천공상태 동절기(1,2,11,12월) 중간기(3,4,9,10월) 하절기(5,6,7,8월)
별 발생빈도를 보인 것이다. 부 부 부
담 분 청 담 분 청 담 분 청
구분
천 담 천 천 담 천 천 담 천
표 2. Perez 천공모델의 청정도에 의한 천공의 구분 공 천 공 공 천 공 공 천 공
공 공 공
청정도 1 2 3 4 5 6 7 8 발생빈도 667 389 16 460 614 ?24 460 538 109
천공의 상태 담천공 부분 담천공 청천공 비율(%) 62.2 36.3 1.5 41.9 55.9 ?2.2 41.6 48.6 9.8

3. 실험 개요
Shading curtain

Daylighting System
3.1. 실물크기 모형실의 제원
그림 6은 실물크기 모형실의 제원을 보인 것으로 실의
너비와 깊이, 높이가 각각 4m, 12m, 2.5m인 장방형 실로
서 샌드위치 패널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깊이에 따른
조도분포를 비교하기 위하여 단변측 벽을 정남으로 위치
시켰으며, 그림 7과 같이 일반 측창만 설치된 실과 일반 General Window
창 및 벽 일체형 채광장치가 설치된 실로 구분하여 2개
동을 제작하였다. 또한, 실내 채광성능 평가 시 외부 건 그림 6. 실물크기 모형실의 제원
물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H대학 건물 옥상에 (일반 채광창 및 벽 일체형 채광장치가 설치된 경우)
설치하여 그림 8과 같이 실물크기 모형실의 채광창을 기
준으로 남측 수평선상으로 충분한 천공을 확보하였다.
실내 조도 측정을 위하여 실 깊이별로 그림 9와 같이
실물크기 모형실의 바닥으로부터 75cm 부분에 총 27개의
지점에 대한 조도 측정점을 설정하였으며, 실내 구성요소
로서 칸막이를 적용한 경우에는 실 깊이 2m, 6m 지점에
높이 120cm의 칸막이를 두개 설치하였다.
휘도 측정의 경우는 실 깊이가 가장 깊은 지점으로, 남
그림 7. 실물모형실의 내부전경
측 벽면으로부터 10m지점에서 바닥으로부터 165cm 지점
(좌: 일반채광창, 우: 일반채광창 + 벽 일체형 채광장치)
을 기준으로 그림 10과 같이 창이 있는 남측 벽면에 위
치별 휘도 측정점을 설정하였다.

3.2. 현휘 감소 방안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실내 방사창의 경우 실내 벽면 South
wall
에 위치하여 남측에 외부에 설치된 집광부로 유입되는
자연광을 집광하여 실내로 방사시키는 원리로 광속밀도
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실내 방사창으로 방사
: 조도 측정점, : 칸막이 단위 : mm
되는 자연광은 실내 작업면 상의 조도를 증가 시키는 반
면 재실자들에게 현휘를 일으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 그림 8. 실물 모형실의 평면도 및 조도 측정점(2개동 공통)
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성능평가와 더불 Meas. Points on Light Emitting Component
어 실내 현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6가지 시스템
을 선정하여 실내 작업면 조도 및 실내 눈부심에 대한 Meas. Points on Window

실내 빛 환경을 비교 평가 하였다.
현휘 감소 설계의 기준은 채광장치의 실내 방사창에
새로운 시스템을 적용시켜 실험 대상실 내부에서 실 깊
이에 상관없이 재실자의 시야 내에 실내 방사창이 노출
되지 않도록 입사하는 빛을 확산, 반사시킴으로써 실내
Meas. Points on Side Wall Meas. Points on South Wall
휘도를 낮추는 것이다. 표 4는 설계방안별 적용된 시스템
의 형상과 특징을 나타낸 것이며, 각각의 방안은 실험대
그림 9. 실내 휘도 측정점 (2개동 공통)

19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2호(통권194호) 2004년 12월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성능평가 연구

상실의 제원에 맞추어 계획되었다. 표 4. 현휘 감소를 위해 적용된 시스템의 형상과 특징


광천장의 경우 실내 방사창을 통하여 유입된 자연광을 시스템 형 상 특 징
최대한 실 깊은 곳까지 도달하도록 하고 실내에는 확산 실 깊은 곳까지 자연광 유입
광천장
광만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기존 천장면은 반사율 현휘 방지
(Light-
0.98이상의 광학필름으로 마감하였고, 실내 방사창의 하 균일한 조도 분포
Guiding
설계 단계에서 인공조명과 함께
단에는 수평으로 반투명 막을 설치하였다. 반투명 막의 Ceiling)
고려되어야 함
천장을 향하는 면은 경면, 실측을 향하는 면은 반투명 확 실 깊은 곳까지 자연광 유입
평면형
산면으로 되어있다. 현휘 발생 억제
광선반
평면형 광선반의 경우 채광장치의 실내방사창이 시야 균일한 조도 분포
(Planer
내 노출되지 않도록 전체 길이 5.5m로 채광장치 실내 방 설계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함
Light
충분한 직사 일광이 가능한 창
사창 하단에 수평으로 설치하였으며 상단면은 반사율 Shelf)
에 적합
0.98 이상의 광학필름으로 마감하여 실내 방사창 통해 들 포물선형 담천공일 때도 유리함
어온 광선을 모두 천장면으로 반사시켜 천장면에서 다시 광선반 실 깊은 곳까지 자연광 유입
확산, 반사된 빛이 실내에 유입되도록 하였다. (Parabolic 균일한 조도 분포
포물선형 광선반의 경우 재질, 설치위치, 설계조건은 Light 현휘 발생 억제
기존 광선반과 동일하며 실내 방사창으로 들어온 광자와 Shelf) 설계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함
모든 창에 적용 가능
포물면, 천장면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포물면의 주축을 수
높은 고도로 입사하는 자연광
평면 기준 10°로 회전시켜 실내측으로 더 많은 자연광이 수평 루버
의 차단에 효과적
(Horizontal
유입되도록 설계하였다. 낮은 고도의 입사광 제어는
Louvers)
수평루버의 경우 현휘 제어를 위해 루버 길이 10cm, 어려움
수평면 기준 10°로 기울여 설계하였으며 루버의 표면은 설치 간편
완전 확산면이다.
수직 루버 낮은 고도로 입사하는 자연광
수직 루버의 경우 재질은 수평 루버와 동일하며 재실
(Vertical 차단에 효과적
자의 전방 시야 내 수평면 기준 45° 이하로는 실내방사창 Louvers) 설계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함
로부터 직접 자연광이 유입되지 않도록 설계하였다.
프리즘 패널의 경우 45°/45° 아크릴 프리즘 패널을 적 프리즘
각도별 자연광 제어에 효과적
용시켰으며 실내 방사창에 프리즘 면이 향하도록 하여 패널
현휘 방지
수평에 가까운 고도로 입사하는 광선을 제어하도록 설계 (Prismatic
설치 간편
하였다. panel)

평면형 광선반, 포물선형 광선반, 수평루버와 같이 수


평부재를 이용한 현휘 감소방안의 경우 실의 가장 깊은
곳에서 재실자의 눈높이를 170cm로 가정하여 벽 일체형
채광패널의 실내 방사창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실의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재실자 시야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조건
을 기준으로 설계하였다.
각각의 설계안에 대하여 그림 11과 같이 1/10 크기의
축소 모형을 제작하여 년간 대표일인 동지, 하지, 춘/추분
조건에서의 실내 휘도 및 작업면 조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된 벽
일체형 채광장치만이 설치된 실(이하 기준실)의 실내 방 그림10.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현휘 발생 예
사창 휘도 및 일반 채광창의 휘도값과 비교하여 각 방안
에 대한 휘도 감소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휘도 감소 효과
에 따른 실내조명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 깊이별 작
업면 조도를 비교하였다.

4.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채광성능 평가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채광성능 평가는 동일한 시간에


대하여 채광장치와 일반 채광창이 설치된 실과 일반 채
광창만 설치된 실에서 각각의 실내 작업면 조도분포 및
그림 11. 현휘 감소 방안에 대한 실내 휘도 측정 장면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2호(통권194호) 2004년 12월 199


송규동․이주윤․유정연

창이 설치된 실내 남측 벽면에 대한 휘도값을 측정하여 100,000


비교하였다. 실내 작업면 조도 및 실내 남측 벽면에 대한 담천공
휘도 측정은 2003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을 동안 주간 10,000

Illuminance [lx]
시간대(오전 9시∼오후 5시)를 대상으로 1시간 간격으로 300lx
측정하였다. 1,000

4.1. 실내 조도 100

그림 12는 각각의 천공상태별 실 깊이에 따른 실내 작


10
업면 조도를 보인 것이다.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개요부
1 2 3 4 5 6 7 8 9
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정남을 기준으로 태양의 위치 Distance fromthe south wall [m]
변화에 따라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집광부 유효면적이 100,000
증가하는 겨울철에 실내로 유입되는 광량이 증가되고, 이 부분담천공
에 따라 실내 작업면 조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는 10,000

Illuminance [lx] ]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벽 일체형 채광장치를 통하여 실
300lx
내로 유입되는 빛은 대부분 천장면을 향하게 되어 실 깊
1,000
이가 가까운 곳에서는 일반창을 직사광의 영향으로 실내
작업면 조도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실 깊이가
100
깊을수록 벽 일체형 채광장치를 통한 채광효과로 두 실
험실의 작업면 조도가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10
일반 사무실 환경에서의 KS최소권장조도인 300lx를 기 1 2 3 4 5 6 7 8 9
준으로 두 실물 모형실간의 자연채광에 의한 유효조명 Distance fromthe south wall [m]

거리를 비교할 경우 천공상태별 1m 내‧외의 상대적인 차 100,000

이를 나타내어 KS권장조도에 의한 조명 성능 보다는 실 청천공

깊이별 조도분포를 고려하여 실내 균제도 향상에 큰 효 10,000


Illuminance [lx]]

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300lx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실내 조명효과를 명확하게 비교 1,000

하기 위하여 표 5와 같이 계절별, 천공상태별 일반 채광


100
창이 설치된 모형실의 평균조도에 대한 벽 일체형 채광
장치와 일반 채광창이 설치된 모형실의 실내 평균조도의
10
비로써 조도증가율을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태양의 고도 1 2 3 4 5 6 7 8 9
가 낮은 동절기에 천공의 상태가 청천공인 경우 조도증 Distance fromthe south wall [m]
가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절기로 갈수록 태양의 Winter(General Window ) Winter(Daylighting System)
Spring(General Window ) Spring(Daylighting System)
영향도 크게 작용하여 천공상태의 변화에 따른 조도증가
Summer(General Window ) Summer(Daylighting System
율 차이가 커지는 경향이 있었다. 전체적인 조도증가율의
그림 12. 천공상태별 실 깊이에 따른 실내 작업면 조도 분포
평균값은 1.64의 값을 나타내었다.

10000
표 5. 계절 및 천공상태별 평균조도 증가율

구 분 동절기 중간기 하절기 평균


(11,12,1,2월) (3,4,9,10월) (5,6,7,8월) 1000

담천공 1.38 1.71 1.51 1.53 300lx


I l l umi n a n c e [ l x ]

부분담천공 1.75 1.62 1.49 1.62


100
청천공 2.02 1.68 1.56 1.76
평균 1.72 1.67 1.52 1.64
10

또한, 실제 실내공간과 같은 조건에서 실내 조도분포를


1
비교하기 위하여 두개의 실물크기 모형실에 동일한 조건 0 1 2 3 4 5 6 7 8 9
Distance from the south wall [m]
으로 남측창으로부터 2m, 6m 지점에 각각 1.2m 높이의
Without
칸막이 설치전 a
일반partition
채광창 실험동 Without
칸막이 a partition
설치전 벽일체형 집광패널 실험동
칸막이를 설치한 후 실내 조도 분포를 측정 비교하였다. (General Window) (Daylighting System)
칸막이 설치후 일반창 실험동 칸막이 설치후 벽일체형 집광패널 실험동
With a partition With a partition
칸막이에 의한 조도측정은 9월 15일 하루 동안 실시하여, (General Window) (Daylighting System)

계절 및 천공변화에 따른 조건은 고려되지 않았다. 실내 그림 13. 칸막이 설치에 따른 실내 작업면 조도분포


조도분포는 2개의 모형실에 대하여 칸막이 설치 전‧후로 (측정일: 2003년 9월 15일, 천공상태: 부분 담천공)
측정하였으며, 실내 조도 측정기간 외부천공상태는 청정

200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2호(통권194호) 2004년 12월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성능평가 연구

도 6의 비교적 맑은 부분 담천공이었다. 표 6. 계절별 실물크기 모형실의 현휘 평가


측정 결과 일반채광창이 설치된 모형실과 일반채광창 동절기 중간기 하절기
및 벽 일체형 채광장치가 설치된 모형실 모두 칸막이 설 실물크기 (11,12,1,2월) (3,4,9,10월) (5,6,7,8월)
모형실 구분 휘도 휘도 휘도 휘도 휘도 휘도
치에 따라 칸막이가 설치된 위치에서부터 조도분포가 급 UGR UGR UGR
[cd/m2] 대비 [cd/m2] 대비 [cd/m2] 대비
격히 감소하였지만, 칸막이가 없는 상태에서의 조도 증가 일반 최대 10,740 10 22 7,407 10 20 5,925 10 20
율 보다 칸막이 설치 후 벽 일체형 채광장치에 의한 조 채광창 평균 789 7 19 676 7 19 437 9 19
도 증가율은 실 깊이 증가에 따라 2배 이상의 차이를 나 벽 최대 336,400 57 37 73,230 14 27 25,140 10 22
타내었다. 그림 13에 나타낸 조도분포는 9월 13일 부분 일체형
채광장치 평균 5,066 7 27 3,044 8 21 2,007 6 19
담천공 조건에서 측정된 것으로, 실내 칸막이를 고려한
벽 일체형 채광패널의 정확한 성능평가로 나타낼 수는
없지만, 표 5에 나타난 중간기 부분 담천공의 조도증가율 표 7. 설계방안 별 현휘 분석 결과
이 연간 모든 천공상태에서의 평균 조도증가율에 가까운 설계
동 지 춘․추분 하 지
점을 고려할 경우, 칸막이에 의한 벽 일체형 채광패널의 방안 휘도 휘도 휘도 휘도 휘도 휘도
[cd/m2] 대비 UGR [cd/m2] 대비 UGR [cd/m2] 대비 UGR
실 깊이별 조도증가율 변화를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광천장 1,102 6.3 23 596 3.6 14 336 8.1 18
평면형
4.3 실내 휘도 2,128 2.8 20 521 4.2 16 646 3.7 15
광선반
실내 휘도측정은 각각의 모형실에서 재실자의 시야 내 포물선형
1,578 4.1 24 319 7.5 17 348 7.7 17
광선반
에 높은 휘도값이 예상되는 위치로 총 18개 지점에 대한
수평루버 13,113 0.6 18 1,971 0.4 10 1,211 1.5 13
휘도값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인 벽 일체형 채광장치는 그림 14와 같 수직루버 1,744 3.6 25 739 2.7 12 334 8.1 18

이 채광장치의 실내 방사창에서 심각한 현휘가 발생하여 프리즘


패널 2,211 2.7 18 450 5.0 17 346 7.8 17
동절기에서 중간기에 걸쳐 평균 UGR 값이 22이상이며
기준실 336,400 57 37 73,230 14 27 25,140 10 22
하절기에도 최고로 현휘가 발생할 때는 UGR 값이 22에
달하여 불쾌현휘의 문제를 가진 것으로 판단되었다.
표 6은 계절별 각각의 모형실에서의 측정된 휘도값과 발생할 때 UGR값이 22이상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불쾌
휘도대비 및 UGR값의 최대치 및 평균치를 나타낸 것으 현휘가 발생한데 반하여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현휘 감
로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실내 방사창에서 과도한 현휘 소 방안으로 채광장치가 설치된 실내에 광천장을 적용시
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벽 일체형 채 킨 경우 현휘 지수인 UGR값이 동지일 정오의 경우 23이
광패널 설치에 따라 실내 조명성능 향상보다는 실내 시 고 나머지의 경우 15∼20으로 현휘 설계기준인 UGR값
환경을 크게 악화시키는 결과로서 벽 일체형 채광패널의 22미만을 만족시켜 현휘 문제가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
현장 적용을 위해서는 현위 개선을 위한 방안이 고려되 다. 또한 실내 창측의 조도는 감소하였으나 실내측의 조
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가 크게 높아져 실내 균제도가 크게 향상되었고, 실 전
체로는 평균 1.08배의 작업면 조도 증가를 보였다. 그러
4.4. 현휘 감소 방안별 실내 시환경 평가 나 평면형 광선반의 경우 UGR값 15∼18로 현휘 설계기
표 7과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벽 일체형 채광장치만 준인 UGR값 22미만을 만족시켜 현휘는 개선되었으나 작
이 설치된 기준실은 모든 계절에 대하여 최대로 현휘가 업면 조도가 0.68배로 크게 감소하였다.

표 8. 측정결과를 통한 각 설계안 별 현휘문제 개선 및 실내 조명환경 개선 결과


현휘문제
구 분 (동지∼춘 추분) 실내 작업면 조도 분포 전체 성능 분석
평균 정오
UGR 24 UGR 34 균제도 : 0.12 현휘 문제 심각
기준실
(27∼21) (37∼27) 작업면 조도 증가 (일반채광창 기준 1.64배) 실내 조명환경 향상
UGR 22 미만 UGR 23(동지) 균제도 향상 (1.60배) 현휘 문제 개선
광천장
(20∼15) (23∼14) 작업면 조도 증가 (평균: 1.08배, 실내측: 1.28배) 실내 조명환경 개선
평면형 UGR 22 미만 UGR 22 미만 균제도 유사 (1.03배) 현휘 문제 개선
광선반 (18∼15) (20∼16) 작업면 조도 감소 (평균: 0.68배, 실내측: 0.68배) 실내 조명환경 악화
포물선형 UGR 22 미만 UGR 24(동지) 균제도 향상 (1.38배) 현휘 문제 다소개선
광선반 (19∼17) (24∼17) 작업면 조도 감소 (평균: 0.81배, 실내측: 0.90배) 실내 조명환경 유사
UGR 22 미만 UGR 22 미만 균제도 유사 (1.08배) 현휘 문제 개선
수평루버
(16∼11) (18∼10) 작업면 조도 유사 (평균: 0.93배, 실내측: 0.97배) 실내 조명환경 유사
UGR 22 미만 UGR 25(동지) 균제도 악화 (0.92배) 현휘 문제 다소개선
수직루버
(19∼14) (25∼12) 작업면 조도 감소 (평균: 0.89배, 실내측: 0.88배) 실내 조명환경 악화
UGR 22 미만 UGR 22 미만 균제도 유사 (1.09배) 현휘 문제 개선
프리즘 패널
(18∼16) (18∼17) 작업면 조도 감소 (평균: 0.89배, 실내측: 0.94배) 실내 조명환경 유사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2호(통권194호) 2004년 12월 201


송규동․이주윤․유정연

포물선형 광선반의 경우는 동지 정오의 경우에만 24이


기준실 수평루버 수직루버
고 나머지의 경우 UGR값 17∼19로 현휘 설계기준인
UGR값 22미만을 만족시켜 현휘 문제가 다소개선된 것으
로 분석되었다. 실내 조도의 균제도는 크게 향상되었으나
작업면 조도는 0.81배로 감소하였다. 수직루버의 경우는
동지일 정오의 경우는 25이고 나머지의 경우 UGR값 14 광선반 프리즘 광천장
∼19로 현휘 설계기준인 UGR값 22미만을 만족시켜 현휘
문제가 다소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실내측의
조도가 감소하여 실내 조도의 균제도는 다소 악화되었으
며 작업면 조도는 0.89배로 감소하였다. 프리즘 패널은
UGR값이 16∼18로 현휘 설계기준인 22미만을 만족시켜 그림 14. 기준실에 대한 설계방안별 실내 남측면 전경 비교
현휘 문제가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고 실내조도의 균제
도는 향상되었으나 작업면 조도는 0.89배로 감소하였다. ○ 프리즘 패널과 수평루버를 적용시킨 경우는 실내 조
수평루버의 경우는 UGR값 11∼16으로 현휘 설계기준 조 분포는 기준실과 유사하나 현휘 문제가 개선되고 실
기준인 UGR값 22미만을 만족시켜 현휘 문제가 개선된 내 설치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광천장을 적용시킨 경우
것으로 분석되었다. 균제도 또한 향상되었으며 작업면 조 보다 좋은 설계안으로 평가되었다.
도의 증가는 0.93배로 기존과 유사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 향후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현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다 ○ 총 6가지 현휘 감소방안에 대하여 각 방안이 실제 채
양한 시스템의 적용 결과, 실내 현휘를 개선하는 동시에 광장치가 설치된 실에 적용되었을 경우의 실증결과가
실내 조명환경이 향상되거나 유사한 시스템은 광천장, 포 요구된다.
물선형 광선반, 수평루버, 프리즘 패널이며, 현휘 감소 및
실내 조명환경 개선이 가장 우수한 시스템은 광천장으로 참고문헌
분석되었다. 이는 광천장의 경우 채광장치의 실내방사창
이 시야에서 가려지고 실내측의 작업면으로 더 많은 광 1. 박화랑, 2001, 집광채광 패널의 상용화 개발 및 이용 시스템
선이 유입되기 때문이다. 수직루버와 평면형 광선반의 경 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
우 현휘 문제는 해결되었으나 실내 조도와 균제도를 떨 대회 논문집, pp. 279∼282.
어뜨려 자연채광 성능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평면형 2. Akashi, Y.; R. Muramatsu; and S. Kanaya. 1996, Unified
Glare Rating(UGR) and Subjective Appraisal of Discomfor
광선반의 경우는 현휘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선반의 길이
t Glare. Lighting Research and Technology 28(no.4), pp. 1
가 너무 길게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99∼206.
그림 15는 기준실에 대한 각 대안별 실내창측 전경을 3. CIE, 1995, CIE Technical Report: Discomfort Glare In Inter
나타내며 현휘 설계 결과 실내 남측면의 현휘가 많이 개 ior Lighting.
선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4. Ganslandt, R. and H. Hofman. 1992. Handbook of Lighting
Design.
5. 결 론 5. Kuckelkorn, T. and T. Herzog. 2000. Non Imaging Optics
for Daylighting Devices, Eurosun 2000 Conference.
6. Mistrick , R.G. and Choi, A.S., 1999, A Comparison of the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Visual Comfort Probability and Unified Glare Rating Syste
○ 일반 채광창이 설치된 모형실에 대한 채광장치가 설
m, J of the IES, Vol. 28, pp.94~1
치된 모형실에서의 평균 조도증가율은 1.64이며 동절기 7. Moltani, S.; G. Courret; B. Paule; L. Michal; and J. Scarte
로 갈수록 집광성능이 높아져 벽 일체형 채광장치는 효 zzini. 2001. Design of Anidolic Zenithal Lightguides for Da
과적인 자연형 자연채광시스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ylighting of Underground Spaces, Association for Applied
○ 벽 일체형 채광장치의 설치에 따라 자연채광 효율은 Solar Energy v.69 Supll.6, pp. 117∼129.
크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집광패널의 실내 8. Perez, R.; R. Seals; and J. Michalsky. 1993. Modeling Skyl
방사창에서 발생하는 높은 휘도값으로 인해 재실자들에 ight Angular Luminance Distribution from Routine Irradia
nce Measurements, Journal of the IES, Vol.22, No.1, IESN
게 불쾌현휘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할
A, pp.10∼17.
수 있었다.
9. Scartezzini, J. and G. Courret. 2002. Anidolic Daylighting
○ 실내 불쾌현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설계 방안으로 Systems.
광천장, 광선반(평면형, 포물선형), 루버(수평, 수직), 프 10. Szokolay, S. 1979. Environmental Science Handbook for Ar
리즘 패널의 총 6가지 시스템이 적용되었으며 그 중 광 chitects and Buildings, p.91.
천장을 적용시킨 경우의 현휘가 개선되며 동시에 실내 11. Welford, W. and R. Winston. 1978. The Optics of Non-Im
작업면 조도와 균제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실내 시환경이 aging Concentrators: Light and Solar Energy.
(接受: 2004. 2. 5)
가장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2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20권 12호(통권194호) 2004년 12월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