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자연채광 계획 1

3. 자연광의 특성

?건물에서의 자연광원

: 직사광 (direct sunlight), 반사광(reflected light)

천공광 (skylight) = 청천광 (clear skylight) + 담천광 (overcast skylight)

[ 그림 13] 건물에서의 자연광원


?대표적인 천공의 종류 : 담천공 (overcast sky), 청천공 (clear sky)
(위의 두 천공상태에서 효과적으로 자연채광 할 수 있는 건물이면 다른 천공
상태에서도 마찬가지임)
?담천공
- 천정(天頂 ) 휘도는 수평면 휘도의 약 3배
- 수평면 조도는 약 500 ˜2,000fc (약 5,350 ˜21,400lux)
: 실내 요구 조도수준의 10 ˜50 배
- 자연채광 계획시 주안점은 빛의 양이 됨

[그림 14] 담천공하의 휘도, 조도분포


?청천공
- 천공에서 가장 밝은 곳 (태양 방향) 의 휘도는 가장 어두운 곳 (태양 방향과
90°
지점 ) 휘도의 약 10배
- 수평면 조도는 약 6,000 ˜10,000fc (약 64,200 ˜107,000lux)
: 실내 요구 조도수준의 100배
- 청천공에서 직사일광은 휘도가 매우 높고 입사각도가 계속 변화하므로
유의해야 함
- 자연채광 계획시 주안점은 빛의 질이 됨

[그림 15] 청천공하의 휘도, 조도분포


?청천공시 자연광의 구성
- 청천광 (clear skylight) : 확산광, 저휘도
- 청천광에는 스펙트럼 에너지 분포에서 청색 파장이 많이 포함되어 있 고(특 히 북향의 청천
광 ), 연색성 (색을 잘 볼 수 있게 하는 능력) 이 우수
- 직사일광 (direct sunlight) : 직사광, 고휘도
- 직사일광의 경우 현휘, 고휘도비, 실내 과열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나 , 가장 우수한 인
공 광원보다 광속 대 복사속 효율 (lumen/watt)이 높고, 연색성이 좋으므로 잘 활용해야 함
?반사광
- 지면, 주변 구조물 등으로부터의 반사광이 주요 자연광원 되는 경우 많음
- 반사광의 경우 지면, 주변 구조물 등의 표면 반사율에 큰 영향을 받음
[그림 16] 반사광 유입 예 (남향보다 북향 창에 더 많은 자연광 유입되는 경우도 있음)

4. 주광율(Daylight Factor)

?주광율의 정의
- 담천공하의 외부 조도와 실내 조도의 비
- 실내로 자연광을 유입시키는 능력을 의미함
- 자연채광 계획을 위해서는 모델 테스트가 매우 효과적임, 이러한 모델 테스트는 보통 최악
천공조건 (겨울의 담천공)에서 실시해야 할 필요가 있음 , 그러나 주광율을 이용하면 실내외
조도의 상대적인 비를 구해 실내로 유입되는 자연광 정도를 평가할 수 있으므로 년중 아무
때의 담천공하에서 모델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게 해 줌
- < 표 2>의 필요 최소 주광율보다 측정된 주광율이 크면 년중 충분한 자연광이 실내로 도입된
다는 의미임
- <표 2>의 필요 최소 주광율과 <표 3> 의 담천공 평균 조도를 곱하면 해당 장소 및 위도별로
자연광에 의한 최소 평균 실내 조도를 알 수 있음

[ 그림 17] 주광율의 측정(주광율 = (A/B)*100)


<표 2> 필요 최소 주광율 <표 3> 위도별 담천공의 평균 조도

5. 빛과 열

?빛 : 복사 에너지 , 열을 수반함

?자연채광은 동계에는 열적으로 유리하나 하계에는 불리함

?자연광 유입시에는 실내 빛환경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외선(태양 복사에너지의 약 50%)

이 수반됨 , 만약 자연광 유입시 적외선 영역의 파장은 반사시키고 가시광선 영역만 통과시키는

창이 있다면 하계에 매우 효과적일 것임, 이러한 창을 low-e glazing 이라고 함 .

?열적 관점에서 본 자연채광 계획 원칙

- 하계

필요 이상의 자연채광 피함

실내로 유입된 자연광은 균등하게 분포되게 함

- 동계

현휘, 고휘도비를 유발하지 않는 한 최대로 자연광 유입

- 온화한 기후 지역의 내부 발열이 많은 건물 : 하계의 원칙을 따름

[ 그림 19] 남향의 수직창은 수평창(천창)보다 태양열 활용면에서 유리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