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건축 환경 개론

[9 주차] 일조와 일사

- 일조: 빛이 들어오는 것 (양지)

- 일영: 빛에 그림자가 지는 것 (음지)

- 일조의 효과: 일반적으로 태양의 방사선 중 가시광선과 자외선으로 인한 효과를 이야기함


특히 자외선 중 290-320μm 의 범위는 아래와 같이 작용

 세포의 발육 촉진

 혈액 중 백혈구, 혈색소, 칼슘, 인, 철분 등의 성분을 증가시킴

 비타민 D 를 생성

- 일조권: 일조의 효과를 누리는 권리 => 직사광선의 이익을 향수할 권리

- 가조 시간(possible duration of sunshine): 일출부터 일몰까지의 시간

 건물 벽면에서의 가조 시간: 하늘이 푸를 때 건물 외벽이 직사 일광을 받는 시간

- 일조 시간: 태양이 산이나 인공 구조물, 구름 등의 장애물에 영향을 받지 않고 지표를 비추는


시간 => 일반적으로 직달 일사량이 120w/m2 이상인 일사를 말함

- 일조율: 가조 시간에 대한 일조 시간의 백분율

 일조율(%)=일조시간 / 가조시간∗100

★ 건물에서의 일조 및 일영은 설계 시 건물의 형태와 방향, 인동 간격 등에 영향을 줌

★ 건물의 방위 배치를 통해 종일 음영(하루 중 태양의 직사광이 전혀 없는 그늘 부분) 방지

- 인동 간격: (1) 집단 주택지의 계획에서 건축물 상호의 내면 간격과 (2) 필요한 일조 및


채광을 확보하고, 재해(특히 화재)에 대한 안전성, 개인의 사생활과 건강 생활을 즐기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두는 간격

 남쪽에 위치한 건물의 그림자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결정

 동지(건물의 그림자 최장인 시기) 오전 10 시에서 오후 2 시까지의 일조가


확보되어야 함

- 수조 면적: 창을 통해 실내 바닥으로
유입되는 직사 일광의 면적

 벽의 두께에 따라 수조 면적이
변화 A’-B’

 A’의 위치는 벽의 두께와 무관하나


B’의 위치는 두께에 따라 변화함
겨울철: 건물 안쪽으로 크게 형성 / 여름철: 창가 주변으로 작게 형성
남향
★여름철 일사를 차양으로 방지 가능해 건물의 주된 방위로 적합
봄-가을철: 안쪽 깊숙히 크게 형성
동서향
★여름철 일사 차폐 어려움
남동/남서향 남향 창 다음으로 바람직
북동/북서향 겨울철 일사 부족

- 일영 시간 곡선도: 건물에서 각 시간
일영선의 교점을 연결한 곡선 =>
건물 북측의 일조시간을 표시하는 데
사용

- 일영 분석 사례: 검토 대상인 건물의


도면(평면, 단면, 입면)에 주위 건물에
의한 일영을 표시

★ 일반적으로 동지일 기준 8-16 시까지 1 시간 경과 시의 일영 표시

★ 특정 날짜에 대한 평가만 가능하며 정량적 평가가 어렵다는 단점 존재

 평면 일영도

 시각에 따른 대상 건물의 일조 영향 깊이를


평면상 표시

 입면 일영도

 시각에 따른 피해 건물의 음영을


입면상에 표시

 피해 건물 개구부(창)에 생기는
음영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파악
가능

 단면 일영도

 태양 고도에 따른 피해 건물의
일조 영향 높이를 단면상에 표시

 좌우면에 대한 영향 평가는 불가

- 일사: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의 복사 에너지


★ 대기권에서의 태양 복사

(1) 오존(O3): 300nm 이하의 유해한 자외선 복사 대부분 흡수

(2) 산소(O2): 가시광선 흡수

(3) 수증기(H2O): 단파장 적외선 흡수

(4) 이산화탄소(CO2): 장파장 적외선 흡수

★ 대기권에서의 태양 복사 산란 -> 태양 복사의 색에 영향

- 레일리 산란(Reyleigh scattering): 산란 유발 입자의 크기가 빛의 파장보다 작을 때 일어나는


산란 -> 파장이 길어질수록 산란되는 빛의 양이 급격히 감소

 적외선에 비해 자외선의 파장이 짧기 때문에 푸른빛의 산란량이 많고, 그 때문에 하늘은


파란색으로 가시됨

- 미 산란(Mie scattering): 입자의 크기가 빛의 파장과 비슷할 경우 일어나는 산란 (ex. 수증기,


얼음 알갱이, 매연 등) 산란의 세기는 파장이나 입자 크기에 따른 차이가 없음

 산란의 세기와 빛의 파장이 무관하기 때문에 수증기로 이루어진 구름은 흰색으로 보임


(빛의 삼원색: 빨+파+노=흰)

- 태양 복사 에너지의 구성:

(1) 자외선(UV, Ulra Violet): 5%

 파장대: 200nm-380nm

 화학선: 220nm-300nm (살균력)

 건강선: 290nm-320nm (피부에서 비타민 D 생성)

(2) 가시광선(Visible Light): 46%

 파장대: 380nm-780nm

 눈의 시신경 자극, 빛으로 감지

(3) 적외선(Infrared): 49%

 파장대: 780nm-3000nm

 파장이 길어 에너지가 낮은 편이기 때문에 자외선과 같은 화학정, 생물학적 반응을


일으키지 못함 / 열 전달 (열선이라고도 불리움)

- 일사량: 단위 시간 및 면적당 받는 열량 [W/m2]

 구성: 직달 일사(Direct irradiation) + 천공(확산) 일사(Diffuse sky irradiation) = 전천공


일사(Global irradiation)

 직달 일사 Direct irradiation: 대기 중 수증기나


자은 먼지에 흡수, 산란되지 않고, 태양으로부터
직접 지표면에 도달하는 일사
 직달 일사량: 대기로 인한 산란 없이 태양으로부터 직접 받게 되는 일사량 =
지표면에서 태양과 수직한 평면(법선면)에 도달하는 일사량

 수평면 일사량은 여름에 크고 겨울에 적음 / 남면 일사량은 반대 경향

 천공(확산) 일사 Diffuse sky irradiation: 산란되어 천공 전체로부터 복사하여


지면에 도달하는 일사, 구름이 없는 경우 전천 일사량의 1/1 보다 작음

 전천공 일사 Global irradiation: 수평면에 입사하는 직달 일사 및 산란 복사를 합친


- 일사 조절과 이용의 필요성

 일사 => 겨울철: 실온 상승 및 결로 방지 / 여름철: 냉방 부하 증대

 직사광에 의한 과도한 조도는 대비/글레어 등 시환경 악화로 이어짐

 자외선의 강한 화학 작용은 가구 등의 색 변질

- 일사 차폐의 목적 및 효과

 직달 일사로 인한 열량의 과다 실내 유입 방지 -> 간접적 피해 방지

 실내 온도 상승 억제 -> 냉방 부하 경감 및 냉방 에너지비 절약

★ 일사 차폐 장치가 채광 혹은 통풍에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되며 조도 분포를 균일하게(루버,


통풍요 조절판 등 사용) 해야 함

 차양: 건물 외부 설치, 여름철 일사 막고 겨울철 일사 유입 가능할 각도 설정 필요

 루버: 건물 벽면 설치

 블라인드: 각도를 조절하여 일사 차단, 확산광으로 바꾸어 활용 가능

- 건물군 계획

 건물 내의 용도, 기능을 고려해 방위 결정

 주요 건물의 일조 침해 않도록 인동 간격 결정

 주택 단지의 경우 다중 이용 시설(놀이터 등)에 일조를 침해하지 않도록 함

 건물의 일사열 취득은 시간, 계절, 방위에 따라 달라지므로 1 년 간의 조건을 고려하여


방위 결정 (일반적으로 남쪽 벽면이 난방 기간 중 최대의 일사량, 냉방 기간 중 최소의
일사량을 받을 수 있도록 함)

- 자연형 태양열 시스템

(1) 직접 획득 방식: 일사를 내부로 직접 쐬어 태양열 획득

 설계 및 시공 단순, 초기 투자비 저렴, 작동


및 사후 관리 용이, 수명 반영구적(건물
수명과 동일), 외관 우수 및 개수 용이

 유리창의 위치 및 크기를 통해 수조 범위
고려하여 축열 부위의 용량 및 배치를 설정
(2) 간접 획득 방식: 실내 공간과 태양 사이 축열부를 두어 일사를 흡수, 축열하고, 이 부위에
축열된 열을 실내로 방사 => 축열부 용량에 따라 유입 열량 설정 가능

 집열과 축열을 실내 공간과


분리하여 획득하는 경우 존재

 개구부를 두어 열량 조절, 혹은 자연
대류 이용

- 설비형 태양열 시스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