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4

자연채광 계획 2

1. 자연채광 계획의 목표

?빛환경 계획 (인공 조명 및 자연채광) 의 목표 : 직접 현휘, 장막 반사, 과도한 휘도비가 생기지 않

게 하며, 충분한 양질의 빛 제공

?자연채광 계획의 목표

- 실내 깊숙한 곳까지 자연광 유입 => 실내 수직면상의 조도 변화율 줄임

([그림 1] 참조)

- 창 등으로부터의 직접 현휘 발생 방지

- 직사 일광 등에 의한 과도한 휘도비 발생 방지 ([그림 2] 참조)

(a) 수직면상의 조도 변화율 큼 (b) 광선반 두어 수직면상의 조도 변화율 줄임


(실 깊이 깊어지면 자연채광 활용 곤란) (실 깊이 깊어져도 자연채광 활용 가능)
[그림 1] 실내 깊숙한 곳까지 자연광 유입한 예

[그림 2] 직사 일광에 의한 과도한 휘도비 발생 예


- 장막 반사 발생 방지 (특히 천창 등에서와 같이 재실자 머리 위로 빛이 유입될 경우 장막반

사 발생하기 쉬움, [ 그림 3] 참조 )

- 직사광을 확산광으로 바꾸어 활용 (직사광과 같이 방향성이 강한 빛은 어두운 그림자 발생시

킴 , 따라서 천장, 벽 등에서의 다중 반사, 산란장치 등을 통해 직사광을 확산광으로 바꾸어

줄 필요가 있음)

- 자연광의 심미적 특성 활용

[그림 3] 자연채광에 따른 장막반사 발생 예

2. 자연채광 계획 수법

?자연채광 계획 수법 : 여러 디자인 단계들에 적용 가능함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의 고려 사항 : 향, 외부 및 내부 형태 (불투명한 내부 칸막이의 경우 자연

채광을 방해하는 요인이므로 이에 대한 고려 필요)

?효과적 자연채광 위해 미리 고려해야 할 사항 : 마감재의 반사율

- 자연광의 분포와 유입 깊이 좋게 하려면 밝은 마감색 필요

- 실내 각 면의 요구 반사율 순위 (내림차순) : 천장- 뒷벽- 측벽- 바닥-小가구

(천장 : 가장 밝게, 소가구 : 어두워도 됨)


[그림 4] 자연광 분포, 유입 깊이 좋게 하기 위한 실내 각 면별 반사율 중요도(<표 1> 참조)
< 표 1> 실내 각 면별 요구 반사율

2.1 향, 형태

?남향 => 자연채광 활용에 가장 좋은 향

- 하루중, 년중 비교적 고르게 직사 일광 유입

- 특히 동계에는 난방효과 큼

- 일사 조절 장치 (차양 등 ) 에 의한 효과가 가장 큼

?북향 => 자연채광 활용에 두 번째 좋은 향

- 입사 자연광의 성질이 균일함 (하지경 일출 , 일몰시 일부를 제외하면 태양이 북쪽에는 전혀

오지 않으므로 하루중 , 년중 입사 자연광의 성질이 균일함)

- 광량은 부족할지 모르나 광질은 매우 우수함 (가장 균일한 백색광원)

- 직사 일광 없으므로 현휘 우려 매우 적음
- 매우 더운 지역에서는 남향보다 오히려 자연채광 활용에 더 좋은 향임

?동 , 서향 => 자연채광 활용에 좋지 않은 향

- 하루중 일부 시간대에만 직사 일광 유입

- 직사 일광은 동계가 아닌 하계에 최대가 됨 (열적으로 불리)

- 동서향의 태양은 고도가 낮아, 복잡한 현휘 문제 발생

[그림 5] 자연채광 활용 및 태양열 조절을 위한 가장 이상적인 건물 평면

?수평면 상의 창

- 광정 (light well, 아트리움 등과 같이 여러 층을 관통하여 빛을 받아들이는 자연채광 방법)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1 층 건물 혹은 다층 건물 최상층에만 적용 가능

- 수직 창은 창으로부터 4.5m(15ft) 정도 깊이까지만 조도를 높게 해주나, 지붕 수평 창은 넓

은 실내에 대해 비교적 균일한 조도 분포를 얻게 해줌

- 수직 창에 비해 보다 많은 자연광을 유입하게 해줌, 반면 동계보다 하계에 더 많은 자연광을

유입하게 되므로 열적으로 불리 , 또한 차양 등에 의한 유입량 조절도 수직 창에 비해 곤란

- 이런 이유로 인해 지붕에는 수평 창 대신 고측창 (clerestory window), 모니터형 천창

(monitor), 톱날형 천창(sawtooth) 등과 같은 수직 창을 설치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경우

많음

- 머리위의 모든 광원은 장막반사의 원인이 될 가능성 있음

[ 그림 6] 수직 창, 지붕 수평 창과 실내 조도 분포와의 관계
[ 그림 7] 지붕 창의 여러 가지 형태
?건물 형태 : 수직 및 수평 창의 가능 면적과 위치, 실 바닥의 자연채광 가능 면적에 큰 영향 미

- 외피로부터 4.5m(15ft) 까지 : 완전한 자연채광 활용 가능

- 외피로부터 4.5˜ 9m(15˜ 30ft) 까지 : 부분적인 자연채광 활용 가능

- 아트리움 등을 도입하면 자연채광 가능 면적 넓어짐

[그림 8] 건물 형태, 요소에 따른 자연채광 가능 면적의 변화


(세 건물 모두 바닥면적은 동일하나 자연채광 가능 면적은 다름)
?아트리움 : 자연광 받아들일 수 있는 외피 표면적을 넓혀줌

?아트리움 바닥에서의 자연광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아트리움 천장의 투명도

- 아트리움 내벽의 반사율

- 아트리움 자체의 형태 (폭과 깊이 비 )

- 아트리움의 크기가 작아 공간으로서의 활용성이 작은 경우에는 light well (광정 )이라고 부름

[그림 9] 아트리움에서의 자연채광 형태

2.2 채광 창 계획

?일반 창 (보통의 수직 창 ) 의 채광 특성

- 조도는 창 내측에서 최고가 되고 깊이가 깊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함

- 하늘이 보이는 창은 직접 현휘를 유발하기 쉬움

- 창을 통한 직사 일광은 과도한 현휘비를 유발하고 여름철 실내를 과열시킬 수 있음

?일반 창의 계획 원칙

- 창 높이는 높게, 위치는 여러 곳에, 창 면적은 적절하게 (창 면적은 보통 바닥 면적의 20%를

넘지 않게 하는 것이 하계 열획득 및 동계 열손실 방지 측면에서 유리, 반사판 등을 이용하

면 작은 창면적으로도 많은 자연광 유입 가능)

[그림 10] 창 높이와 실 수직면 조도 분포 (창 높을수록 자연광 유입 깊이 깊어지므로,

가능하다면 천장고를 높게 하고 창을 높이 위치시킴)


[그림 11] 창 위치와 실 수평면 조도 분포 (하나의 넓은 창보다 두 개의 좁은 창이 실

수평면 조도 분포를 더 좋게 해줌)

[그림 12] 벽 상단의 띠 창(strip window 혹은 ribbon window라고 함) 을 두어


실내 빛환경을 효과적으로 계획한 예 (Maison LaRoche by Le Coubusier)
- 자연광이 천장에서 반사되게 (유입 깊이 깊게 하고 균일한 조도 분포 얻을 수 있게 함)

(a) 1층 건물에서 천장으로 빛 보내는 방법 (밝은 바닥 이용)


(b) 다층 건물에서 천장으로 빛 보내는 방법 1 (넓은 창문 턱 이용)

(c) 다층 건물에서 천장으로 빛 보내는 방법 2 (시선 상부에 위치한 광선반 이용, 광선반
상부 창으로부터의 현휘 방지 위해 루버 사용하기도 함)
[그림 13] 자연광을 실 천장으로 보내는 방법 예

? 광선반 (light shelf) : 자연채광 활용에 매우 효과적인 건축 요소

? 광선반 상부 표면으로부터의 반사 현휘 방지하려면 시선 높이 위에 위치해야 함

? 광선반 하부 창은 주로 조망용으로 쓰임

? 광선반 하부 창을 통한 직사 일광의 유입을 막는 수평 차양 역할도 함, 하부 창을 통해

밝은 하늘을 볼 수 없게 하여 현휘를 방지해 주기도 함

? 광선반 상부 창으로부터의 현휘는 루버를 설치하여 방지할 수 있음 ([ 그림 13] (c) 참

조)

? 광선반은 실외, 실내 , 혹은 실내외에 둘 수 있음

? Ventura Coastal 빌딩에서의 자연채광 활용 사례

? 천장을 경사지게 하여 남북향 창 크게 하고 높게 위치할 수 있게 함

? 북향 고측창을 통해 건물 중앙으로 자연광 유입하여 자연광에 의한 조도 분포 고르게 만

들어줌

? 설비 요소들은 높이가 높아 여유공간 많은 중앙 천장 상부에 집중시킴


(b) 내부 (동서 단면)
[ 그림 14] Ventura Coastal 빌딩
(광선반, 기운 천장, 고측창, 북향 창, open plan 적용하여 자연채광 적극 활용)
? 실내 베네시안 블라인드 (venetian blind) 혹은 외부 루버 : 외부 자연광을 실 천장으로 보

낼 수 있는 유용한 도구, 고정식보다는 가동식이 훨씬 효과적임

[그림 15] 베네시안 블라인드를 이용, 실 천장으로 빛 보내는 예

? Hooker office 빌딩 (Niagara Falls, NY, 미국)

? 창으로 된 이중 외피 적용, 창 사이에는 컴퓨터로

제어되는 백색 루버 설치 => 주간에는 직사광을

실 천장으로 반사시킴, 야간에는 단열위해 루버

닫힘

? 하계에는 창 사이 더워진 공기 지붕으로 배출, 동계

에는 창 사이 더워진 공기 건물 북쪽으로 보내 자

연형 난방

[그림 16] Hooker office 빌딩,

Niagara Falls, NY, 미국


? 실로 빛을 반사시키는 천장은 반드시 확산 반사판이어야 함 , 반면 천장으로 빛을 보내기

위한 장치(창 문 턱, 광선반, 베네시안 블라인드, 루버 등 ) 는 표면을 광택이 있게 처리할

수도 있음

? 경면 반사판 (표면 광택이 있는 반사판 , specular reflector)

: 빛을 특정 방향으로 보냄 , 반사된 빛을 받는 곳만 밝아짐

? 확산 반사판 (표면 광택이 없는 반사판 , matte reflector)

: 빛을 여러 방향으로 고르게 확산 반사함

[그림 17] 경면 반사판 적용시 빛을 넓게 반사시키는 방법

- 창은 두 면 이상에 설치할 것

? 두 면 이상에 창 설치하면 빛 분포 좋게 하고, 현휘 감소시켜 줌

? 인접한 벽에 창을 설치하면 현휘 감소에 효과적

? 창은 인접한 벽을 밝게 해주므로, 창과 인접 벽간의 대비를 줄여줌

[ 그림 18] 창의 배치 (두 면 이상에 창 설치해야 효과적)


- 창문턱, 반사판 등을 이용, 빛을 실 깊숙히 들어가게 할 것

[그림 19] IBM 빌딩, Southfield, MI, 미국 (창 크기 작아도, 실내로 많은 빛을 유입)

- 내벽 근처에 창을 위치시킬 것

? 창 근처의 내벽은 빛의 방향성을 감소시키는 반사판 역할을 함

[ 그림 20] 창 근처 내벽에 의한 빛의 재반사


? 내벽 근처에 창을 두면 내벽과 창이 설치된 벽이 밝아져 창으로부터의 현휘가 감소됨

[그림 21] 창 위치에 따른 실내 벽의 밝기와 창으로부터의 현휘


- 직사 일광은 반사 등을 통해 확산광으로 만들어 실내로 유입되게 할 것 (로비, 라운지, 거실

등과 같이 시작업이 중요하지 않은 공간에서는 심리적 , 생리적 만족을 위해 직사 일광을 유

입할 수도 있음)

[그림 22] 수평차양에 의한 직사 일광 유입 조절 (차양의 아랫면은 지면 반사광을

실내로 유입하기 위해 반드시 반사율이 높아야 함)

[그림 23] 수평, 수직 루버에 의한 의한 직사 일광 유입 조절

[그림 24] 수직차양에 의한 직사 일광 유입 조절


- 빛과 열의 유입을 조절할 경우 가동형 차양 장치를 쓰는 것이 효과적임
[그림 25] 가동형 차양 설치 예 (Bateson 빌딩 동서면
? , Sacramento, CA, 미국)

- 벽과 창의 대비를 줄이려면 창문 주위 벽을 넓게 벌어지게 하는 것이 좋음 => 눈을 덜 피로

하게 함, 창 주위 벽이 밝으면 현휘가 덜 함

[그림 26] 넓게 벌어진 창문 주위 내부 벽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