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4

건축의 자연채광

시대변천에 따른 비교…
빛의 의미

z 태양 – 자연환경의 절대적 요소
모든 빛의 원천
z 빛 – 불변의 절대적 요소
z 빛에 의한 내,외부 공간의 통합
z Louis, I. Kahn
z 일체의 사물은 없어진 빛이다.
z 건축계획 시 빛 유입효과의 중요성 강조

z F. L. Wright
z 빛은 건물 그 자체의 일부이다.
z Le Corbusier
z Ronchamp 교회–음영대비에 의한 공간지각
빛의 경로 - 개구부

z 개구부의 방향
z 동,서쪽 – 자연광의 유입이 길어짐
불쾌감 유발
z 남쪽 – 많은 양의 광을 유입

정신적, 육체적 행위 유발
z 북쪽 – 비위생적이나, 정서적 행위 유발

z 정신적 행위 – 이성에 기준을 둔 행위

z 육체적 행위 – 근로적인 면 치중
개구부 결정요소

z 자연적 결정요소 – 방위, 주변, 일기 등


z 미적 결정요소 – 외관, 인간심리, 실내, 창면적
의 배분
z 구조적 결정요소 – 채양, 처마, 발코니, 루버,
격자, 칸막이벽
z 재료적 결정요소 – 불투명유리, 확산유리, 유
리블럭, 대리석, 종이, 철
z 장치적 결정요소 – 파고라, 천막, 발, 커튼
창의 종류- (1) 측창

z 천창에 비해 채광량이 적다.


z 주광선의 방향이 거의 한쪽 방향
z 책상면의 반사 현휘현상이 거의 없음.
z 실내 물체의 입체감
z 양측채광
z 채광량 유리
z 분위기 둘로 나뉘어짐
창의 종류- (2) 천창

z 지붕부위에 채광 또는 환기를 목적으로


설치한 창
z 채광량 유리함
z 밀집된 시가지 주택 등에서도 유리
z 시선방향의 시야가 차단되어 폐쇄된 분
위기가 될 수 있음
창의 종류- (3) 정측창

z 지붕면에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까운 창


z Clerestory, Fan light window, Triforium,
Lantern 등
자연광 유입형태의 시대적 고찰

z 고대 건축 z 중세 건축
z 이집트 건축 z 로마네스크 건축
z 그리스 건축 z 고딕 건축
z 로마 건축 z 르네상스 건축
z 바실리카 건축 z 바로크 건축
z 신전 건축
z 공중목욕탕 건축
z 초기 기독교 건축
z 근대 건축
z 비잔틴 건축
고대 이집트 건축

z 직사일광과 눈부심을 막기 위해 벽과
지붕의 개구부 크기 최소화
z 두꺼운 벽체 – 사막기후의 적응
z 개구부의 다중측면 반사
– 직사일광 완화 및 확산
z 신전 – 경외감 표현
z 통로 양쪽의 열주를 높게 하여 고저차를
이용한 clerestory로 빛 유입
z 이집트 신전의 내부공간 빛 유입
z 중정에서 성소로 들어갈수록 바닥은 높아지
고 천장은 낮아지는 형태.
z 성소에는 신주를 안주시켜 천창(top light)을
통한 빛 유입
z 다주식(Hypostyle)에 정측창(Clerestory)을
이용한 빛 유입
z 종교적 효과 극대화
z 암몬 대신전
z 동향의 입구
z 입구에서 성소까지

축을 이루어, 일출시
축방향으로 성소까지
빛이 유입
z 암몬 대신전
z 룩소르 신전 z 람세스2세 장제 신전
그리스 건축

z 신상 – 신전내부
z 제례의식 – 신전외부
z 조망되어지는 외관의 열주성, 구성성의
형태미에 치중함
z 신은 빛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z 내부 공간 어두움
z 출입구가 유일한 광원의 통로
파르테논 신전- top light를 이용한 채광
로마 건축

z 건축구조(arch,
barrel vault 등)의 발달
로 광대한 내부 공간 창조
z 내,외부 공간의 연결을 위한 노력
z 자연광 및 태양열의 이용
z 대공간의 사용으로 큰 개구부 설치
로마 건축 - Basilica 건축

z Basilica 건축 - 상가재판소
z 법정의 신성함을 나타내기 위해 내부에 열주
를 세워 신랑(nave)과 측랑 (aisle)로 구분
z 신랑부의 빛 유입: 2층 측면 열주 보랑
(loggia)과 신랑 상부의 clerestory에서 빛
유입
z 양측벽의 상부에 정측창 사용
로마 건축 – 신전 건축

z 신전 건축 – 판테온 신전
로마 건축 - 공중목욕탕 건축

z 티투스 욕장 z 카라큘라 욕장
z Clerestory와 천창
을 이용한 빛 유입
로마 건축 – 초기 기독교 건축

z Clerestory 의 Ring
window 와 Atrium사용
z 광대한 규모의 내부에 밝
고 가벼운 분위기 조성
z 옛 베드로 성당(St.Petrus
cathedral. Vaticano)
z 좌우 측랑을 갖고
clerestory의 높은 창으로
부터 빛 유입
로마 건축 - 비잔틴 건축

z 비잔틴 건축
z 사각형의 평면을 덮기 위해 네 점을 지지하
는 돔을 사용함
z 내벽이나 천정에 모자이크 장식을 하여 정측
창을 통해 유입시킨 빛을 반사시켜 내부의
은은한 빛 공간 연출
z 돔 아래의 많고 작은 스테인드 글라스로 들
어온 빛에 의해 지지하는 구조물 위로 떠 있
는 듯한 환영을 만듬
로마 건축 - 비잔틴 건축

z 하기아 소피아 성당
z 수많은 개구부와 관
통된 신랑의 벽이
레이스로 된 커튼과
같은 투명효과 연출
z 내부 금빛 모자이크
는 정측창을 통해
유입된 빛을 반사
하여 내부 은은한
빛 공간 연출
로마 건축 - 비잔틴 건축

z 성비탈레 교회
z Clerestory를 통한
빛 유입을 비롯하여,
clerestory밑의 신랑
벽을 반원형으로 구
성함으로서 각층에
커다란 창을 내는
것이 가능
z 내부로의 풍부한 빛
유입
중세건축

z 로마네스크 건축
z 고딕건축
z 르네상스 건축
z 바로크 건축
로마네스크 건축
z 조적조 건물의 구조적 안
정(벽체의 횡력 문제)을
위하여 개구부는 작은 형
태를 취함.
z 벽체 상부에 Clerestory
를 만들어 측창 채광 함
z 내부 공간으로 빛의 유
입을 적극적으로 시도
z 천창에서 측창을 통한
채광기법으로 변화
로마네스크 건축

z 녹색,적색,백색,금색
등 그 자신이 빛이
되어 빛나는 스테인드 글라스를 사용
z 후에 장미창(rose window), 차륜창(wheel
window)등으로 발전하며, 채광 및 장식의
효과를 가짐
로마네스크 건축

z 오텅 대성당
z 벽면의 아케이드(blind
archade) 또는 경간마
다 3개의 개구부를 가
짐으로서 트리포리움
(triforium) 의 채광창
의 형태
고딕 건축

z 플라잉 버트리스, 리
브 볼트 등 새로운 구
조기법에 의한 횡력
의 보강으로 인해 더
많은 개구부를 낼 수
있게 됨
z 빛으로 충만한 내부
공간을 추구
고딕 건축

z 빛에의한 내부공간의 통합을 완벽히 수


행한 최초의 건축양식
z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내부공간의 단절을 해
소하기 위한 노력은 고딕에서 그 완성을 봄
z 색유리의사용으로 외부공간의 빛과 내
부공간의 빛을 차별화 함
고딕 건축

z 외부의 빛을 스테인드 그라스를 이용하


여 부드럽고 풍부한 형태로 내부로 도입
z 스테인드 글라스
z 남측창-광선의 흡수가 잘되는 적색유리
z 북측창-빛 투과가 잘 되는 청색 유리
z 어두운 부분-백색유리
z 고딕건축은 외광의 움직임에따라 ‘스테
인드 글라스+자연광’의 혼합으로 다양한
내부 빛 을 연출
고딕 건축

z 아미앙 대 성당
z 창의 층을 강조, 벽 전체
가 하나의 높은
Clerestory로 되어 수직
성 및 반 투명성을 강조
고딕 건축

z 샤르트르 대 성당
z 스테인드 그라스 창
을 사용하여 반투명
한 소량의 빛을 유

르네상스 건축

z 스테인드 그라스의 표현적 화법에 대신


하여 프레스코화가 건축적 표현의 주역
이됨
z 벽 - 프레스코화를 위한 큰 벽면의 형태
z창
z pediment type(삼각 박공형 창)
z order type(중앙주 2연창)

z arcade type(연속 홍예형 창)


르네상스 건축

z 이전의 로마네스크와 고딕 양식의 영향


으로 로마 고전의 법칙을 새롭게 응용
z 고딕에 비해 내부공간으로의 빛의 유입
에 대해 절제를 가함.
z 풍만함 보다는 절제된 빛을 위한 구조기
법을 창안
z 돔의 중심부에서 채광을 하며, 드럼을 개
발, 절제된 Clerestory를 사용함
초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건축

z 산 로렌초 성당
z 대칭성과 규칙성
을 강조
z 채광층이 전혀 없
으며, 측랑 외벽
상부에 뚫려있는
원형의 창으로 빛
유입
전성기 르네상스 건축

z 템피에토
z 외부 공간에서의 빛 효
과에 의한 음영효과
z 캄피톨리오
z 수직과 수평의 힘을 조
형화 하여 그 힘을 내
부와 연결시킴으로서
그에 파생되는 빛 효과
에 의한 내부 긴장감
연출
바로크 건축

z 건축의 mass는 복잡한 요철과 곡선으로


처리하여 빛의 율동에 의해 동감이 강한
공간으로 연출
z 다방향으로의 빛 유입,혹은 유입되는 빛
에 의한 섬세한 명암 효과 연출 함
z 빛과 그림자의 극적 유희를 보여 줌
바로크 건축
z 제수 교회
z 빛 자체가 건물의 적극적
요소로 사용
z 네이브는 채플위의 유리창
으로 균일하거 차분한 빛
유입
z Dome앞의 마지막 bay는
다른 실보다 짧고 덜 개방
적이게 함으로서 어두운 공
간 연출
z 빛의 축소 효과를 주어 드
럼의 유리창으로부터 쏟아
지는 빛줄기의 극적 효과
연출
바로크 건축

z 성 로렌스쪼 성당
z 최상부의 첨탑은 빛을
섞는 교반 장치로 이용
z 원주상의 격자 스크린으
로부터 유입된 빛은 그
하부의 여러 방향으로부
터 들어온 확산광과 혼
합되어 백색의 현광의
형태로 내부로 유입
근대 건축

z 18세기 산업혁명
z 철, 시멘트, 유리 등의 새로운 재료의 도입
z 건축에 있어서 ”철 + 유리” 를 사용하므로서 다량의
빛의 내부공간 유입이 가능해짐
z 유리를 사용한 건물내의 대량의 빛 획득에 이
어 난반사, 난굴절로 인한 산란광을 만들어 내
부공간에 새로운 효과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계속 되어 짐에 따라 형유리, 색유리, 판유리
계통의 것과 glass block, glass blick, prism
glass, glass lens 등이 제작되어짐
근대 건축

z 수정궁(crystal palace)
z 유리+목재+철제로 구성되어 실내로의 많은 빛
유입이 가능하게 됨
근대 건축

z 마르쉐 백화점(Bob
Marche)
z 주철을 건물 전체에
사용하여 거대한
open공간의 반투명
유리천장 사용
z 산란광을 만들어서
다량의 빛 유입을
가능케 함
현대 건축

z 자연의 빛 – 선택 사항
z 에너지 절약 관점에서의 자연채광 이용
z 인공조명의 발전
z 신기술의 개발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