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유리재료

건축기술과 재료
임승민 smlim@kangwon.ac.kr
유리 Glaesum

▪ 기원전 2000년경 서아시아 지역에서 처음 제작.


▪ 1세기경 로마제국에서 블로잉 기법이 알려지면서 널리 보급.

Sasanian Glass produced between the 3rd and the 7th centuries AD
Roman Glass within the limits of the Sasanian Empire of Persia

임승민 smlim@kangwon.ac.kr
유리

▪ 기원후 80년 경 인류가 처음으로 창을 내기 시작하면서 유리를 건축재료로 인식하기 시작.


▪ 11세기 독일에서 실린더법에 의해 판유리가 생산.

Fensterglas, Roma Detail of a medieval window at Troyes Cathedral, France (14th century)

임승민 smlim@kangwon.ac.kr
유리
▪ 산업혁명이후 유리의 원료, 연료, 용융로 등에서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제조 기술도 획기적으
로 향상.
▪ 1903년 rue Franklin in Paris, 유리가 커튼월
의 주된 구성 요소.

Rue Franklin in Paris, France 1903

임승민 smlim@kangwon.ac.kr
유리
▪ ‘매스의 건축에서 볼륨의 건축으로 이행’
▪ 20세기 이후에도 건축재료로서 유리는 지속적인 발전: A. Pilkington의 플로트 유리공정 발명.

Fagus factory was designed by Walter Gropius and Adolf Meyer. It was constructed between 1911 and 1913, with additions and interiors completed in 1925

임승민 smlim@kangwon.ac.kr
유리
▪ 플로트유리 제조공정
유리
▪ 플로트유리 제조공정: 성형 (float 공정)
유리

▪ ‘규사,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등을 고온으로 녹인 후 냉각하여 생기는 투명도가 높


은 반영구적인 불연재료’

원료조합물
규사(모래) + 소다회 + 석회석 + 파유리 + 기타 (철분 등)
Batch

기타(철분 등 미량성분)
석회석
5%
10% 규사 (모래)
14%
71%

소다회
유리의 성질

▪ 비중: 유리의 성분에 따라 2.2-6의 범위에서 달라지는데, 보통판유리는 2.5 내외로 대리석과 비
슷한 무게.

▪ 경도: 유리의 성분과 열처리에 따라 달라지는데, 5-7 정도.

▪ 강도: 유리의 두께, 조성 및 열처리에 따라 차이가 큼.


• 압축강도 5000-12000 kgf/cm2, 인장강도 300-800 kgf/cm2, 휨강도 250-750
kgf/cm2

▪ 열전도율: 보통 판유리의 열전도율은 약 0.6 kcal/mh°C, 철재보다 상당히 작고 비열은 크므로


부분적으로 급히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면 파괴가 쉬움.

▪ 건조상태에서 부도체이나, 공기 중의 습도가 높아지면 유리표면 습기 흡착으로 절연성 저하.

▪ 철분이 유리의 투명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 높은 투명도롤 요하는 광학유리에서는 원료의
산화철 함유량이 미량 (6.1% 이하).
유리의 종류
▪ 일반용 판유리

보통판유리 • 건축물의 창호, 출입구 등에 사용되는 판유리. 맑은 판유리와 서


(sheet glass) 리 판유리로 구분.
• 두께 6 mm를 기준으로 얇은 판유리와 두꺼운 판유리로 구분.
무늬유리 • 장식적 효과를 위하여 투명유리의 한면이나 양면에 무늬가 새겨
(patterned glass) 진 반투명 유리.
• 미적인 효과와 더불어 프라이버시 확보.
연마판유리 • 두꺼운 유리의 양면 또는 한 면을 연마, 가공하여 평활하게 만든
(polished plate glass) 판유리.
• 투시성 및 투영성이 우수한 고급유리.
망입유리 • 유리 내부에 금속망을 삽입하고 압착, 성형한 판유리.
(wire glass) • 충격에 강하고 파손 시 유리파편이 금속망에 붙어 있어 안전에 유
리.
플로트판유리 • 플로트공법에 의해 생산되는 맑은유리로 연마판유리와 같은 정도
(float plate glass) 의 평활한 표면이고 광택이 우수.
유리의 종류
▪ 무늬유리 (patterend glass)

하부롤에 무늬가 있음.


유리의 종류
▪ 특수용 판유리
반사유리 • 유리 표면에 반사막으로 특수코팅하여 열과 빛의 반사에 따른 거
(reflectorized glass) 울 효과를 낸 유리.
• 빛의 반사에 따른 거울 효과로 주위 경관을 건축물에 투영시켜 빛
의 조건과 보는 시각에 따라 아름다운 외관 연출이 가능.
열선흡수유리 • 보통판유리 조성에 금속산화물을 미량 첨가하여 열선흡수를 크게
(heat absorbing glass) 하고 착색이 되게 한 유리. 일명 단열유리.

열선반사유리 • 유리 한 면에 열선반사막 (금속, 금속산화물)을 입힌 판유리.


(solar reflective glass) • 단열효과가 매우 우수.

강화유리 • 맑은 유리 등을 열처리한 후 급랭, 강화시킴으로써 투시성은 같으


(tempered glass) 나 강도와 내열성을 높인 안전유리의 일종.
• 일반적으로 보통판유리보다 5배 정도의 내충격강도를 갖고 무게
를 견디는 힘은 3-5배.
유리의 종류
▪ 특수용 판유리
로이유리 • 유리 표면에 얇은 금속막을 입힌 판유리로 열선반사유리의 일종.
(low-emissivity glass) • 태양열을 반사하는 열선반사유리와 달리 빛을 파장별로 흡수, 반
사하는 성질을 이용.
• 난방기구에서 발생된 열선을 대부분 창문에서 내부로 반사시켜
난방 효율을 극대화.

판유리 생산공정 중 600 °C 온도 부위에서 액상 혹은


파우더를 분사하여 제조
유리의 종류
▪ 특수용 판유리
스팬드럴유리 • 플로트판유리의 한쪽 면에 세라믹질도료를 코팅하고 고온에서 융
(spandrel glass) 착, 반강화 시킨 불투명의 장식용 유리.
• 열처리를 통해 일반유리에 비해 내구성 및 강도가 높고 열에 강함.
• 다양한 색상이 가능.
• 스팬드럴 부분의 보, 기둥 및 기타 구조재 등을 감추기 위해 창이
나 커튼월에 삽입.
건축용 유리의 발전


외관 외관
순 채 안
쾌적함
채 광 전
단열 소음차단

고층빌딩 외관이 미려한 빌딩 지능형 빌딩

• 대형창 • 배강도유리 • 반사유리 • 로이복층유리


• 소형유리창
• 강화유리 • 접합유리 • 로이유리 • 히트미러복층유리
• 스팬드럴유리 • 진공복층유리
• 인조대리석 • SPD
• SPG
건축용 유리의 가능성

Louis Vuitton Foundation, Paris France, Frank Gehry


건축용 유리의 가능성
▪ Structural glass

Cité des Sciences et de l'Industrie(City of Science and Industry),


Parc de la Villette, Paris, France
건축용 유리의 가능성
▪ Structural glass

Apple store, Glasgow


건축용 유리의 가능성
▪ Structural glass

Crystal Houses, Netherland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