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건축환경

가구및목창호재의
유해화학물질방출량특성

유복희과장 (환경연구지원팀)

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이 실내


I. 서론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며, 특히 최근에는 각종 사
무기기 사용의 증대로 건축내장재들이 다양화, 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급화되어 VOC, 포름알데히드, 암모니아 등에 의
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점차 커지고 있다.
최근 환경오염이 심각해지면서 숨쉬는 공기에 이러한 각종 오염물질은 재실자에게 질병이나
관한 관심도 점차로 높아지고 있다. 현대인은 하 두통, 현기증, 메스꺼움, 졸음, 집중력감퇴 등을 불
루 중 80%이상을 건물 내에서 생활하고 있으므로 러일으키는 건물병 증후군(SBS : Sick Building
우리가 숨쉬고 있는 실내공기의 질(Indoor Air Syndrome)을 유발시켜 건강을 크게 악화시킬 수
Quality)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도 있다(WHO 1982, Sterling 1983).
건축기술의 발달은 건축물을 점차 고단열화, 고 더욱이 복합화합물질로 구성된 건축자재들의
기밀화로 만들어 왔으며, 실내 공기환경은 이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자재의 내구성 향상이나
인해 상대적으로 악화되어 왔다. 미장효과, 작업의 편리성 등을 위하여 여러 가지
더욱이 건물의 유지관리 측면에서 단순히 에너 종류의 화학물질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지소비를 경감시키기 위하여 외기 도입량을 차단 건축자재나 가구 등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VOC을
하거나 경감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실내 공기환 실내공기 중으로 방출하고 있다.
경이 악화되었다. 국내에서는 2002년부터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
실내에는 거주자의 신진대사나 활동, 각종 건축 한‘다중이용시설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의 개정
자재와 마감재료, 가구, 조리기구 등으로부터 방 과 더불어 신축공동주택에 대하여 실내공기질을
출되는 열이나 이산화탄소, 먼지, 휘발성유기화합 관리하기에 이르렀다.

96 대림기술정보
따라서 이에 대응방안을 활발히 강구하고자 단 2. 연구 목적

가구및목창호재의유해화학물질방출량특성
기간에 많은 실험방법의 정립 및 대책의 실행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실내공기질의 효과적인 개선을 목적
선행연구에서는(유복희외, 2004) 실내공기질의 으로 가구 및 목창호재의 유해화학물질의 저감방
주요 오염원으로 가구 및 목창호임이 보고 된 바 안 수립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있으며, 이에 대비한 체계적인 대응 방안을 수립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 가구 및 목창호재의 복합자재를 대상으로 심

< 표 1> 심재의 종류 및 특성


종류 정의 특성
원목을 엷게 깍은 판재, 즉 단판(Veneer)을 건조 ▶ 장점
및 가공한 후 인접한 단판끼리 그 섬유방향이 서 : 넓은 면적의 판을 얻을 수 있다. 자연 목재의 홈을 제거할 수 있다. 단판의 교차 접착에 의한 수축 팽
로 직교되게 홀수(3,5,7장)로 구성 적층시킨 다 창을 줄일 수 있다.
합판
음 접착제를 각 층마다 도포시켜 열압체한 후 소 ▶ 가구용 합판의 부재별 적용
요치수로 제단하고 그 표면을 평활하게 마무리시 : 가구의 모든 부재에 사용된다. 무늬목 접착을 위한 대판으로 사용된다. 의자의 등판 곡면 집성용 소재
킨 제품 로 사용한다.
▶ 장점
: 일반 목재나 합판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합판과 동일 규격이 생산되어 가구용 주자재로서 사용이
중밀도섬유판 MDF는 목질재료를 주원료로 하여 합성수지 접
적합하다. 합판과 같이 목재의 결함인 수축, 팽창이 거의 없다. 곡면 가공이 용이하여 목재 대용으로
(Medium Density 착제로 결합시켜 성형, 열압하여 만든 밀도
많이 사용된다.
Fiberboard) 0.35~0.85g/cm3의 목질 판상 제품
▶ 단점
: 목재나 합판에 비해 나사못 유지력이 약하다. 목재나 합판에 비해 충격에 매우 약하다
▶ 장점
목재의 작은 조각(칩, 플레이크, 웨이퍼, 스트랜 : 목재, 합판, MDF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합판, MDF와 같이 거의 동일한 구격이 생산되어 가구용

파티클보드 드 증) 즉, 절삭편 또는 파쇄편 등을 주재로로 하 부재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목재의 결합인 수축, 팽창이 거의 없다.

(Particle Board) 여 합성수지 접착제를 첨가하고, 성형, 열압시킨 ▶ 단점


밀도 0.5g/㎤이상 0.8g/㎤이하의 판재상 제품 : 합판이나 MDF에 비해 나사못 유지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충격에 매우 약하다. 칩이 거칠어 곡면가공
하여 도장을 할 수 없다. 무게가 무겁다
▶ 장점
: 원하는 규격에 맞추어 목재, 판재를 얻을 수 있다. 목재의 홈을 제거하여 집성함으로써 가구용재로 사
제재 판재 또는 소각재 등을 사용하여 그의 섬유
용하기에 편리하다. 다양한 두께가 생산되고 있으므로 따로 목재를 구입하여 집성하지 않아도 된다.
방향을 서로 평행시켜 길이, 너비 및 두께 방향으
집성목
▶ 단점
로 집성 및 접착시킨 재료, 그리고 미관을 목적으
(Glued Laminated Timber)
: 목재와 같이 고주파 집성을 하여 접착을 하여도 수축, 팽창, 휨 등 목재의 단점을 극복할 수는 없다.
로 집성된 재료 표면에 치장한 재료
목재의 접합 부분이 떨어지는 경우도 있다. 목재의 목리가 짧게 집성되어 있어 외관의 이미지가 미려
하지 못하다.
단판 적층재 원목을 절삭기(Rotary) 또는 슬라이서(Slicer)에
너비방향의 휨이나 갈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약간의 직교층(Cross Band)을 삽입한 제품을 LVB라고 할
(Laminated Veneer Lumber) 서 절삭한 단판을 주로 그 섬유 즉, 목리방향이 평
수 있다. 다만, 평행층과 직교층이 정비율로 되어 있는 제품은 합판과 명확히 구분할 근거가 없다.
(Laminated Veneer Board) 행되도록 적층, 접착시킨 제품이다.
합판의 심재(Core)재료를 소편 제재 쪽목(Strip)
라민보드 을 평행으로 너비 및 길이 방향으로 간추려 구성 심재로 사용되는 쪽목(Strip)의 너비에 따라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Lamin board) 한 심재 양면에 그와 직교하는 가로무늬(Sort 라민보드(Lamin) : 쪽목 너비 7mm이하
블록보드 Grain)단판, 그리고 그 위에 심재와 평행하는 세 블록보드(Block) : 쪽목 너비 7-25mm
(Block board) 로무늬(Long grain)단판으로 구성된 겉판을 양 배튼보드(Batten) : 쪽목너비 25mm이상
면에 접착시킨 제품.

2006.봄호 97
건축환경

< 표 2> 표면재의 종류 및 특성


종류 정의 특성
무늬목이 슬라이싱은 수직 수평 절삭기, 원목고정 절삭기나 완전한 회전 가공 기계에 의하여 절삭
무늬목은 원목, 큰각재, 조각재로부터 회전삭,
이 이루어지고 절삭방법은 수종과 요구되는 목리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무늬목(Veneer) 슬라이싱 또는 제재 등의 방법으로 생산되는
무늬목은 다양한 종류가 생산되고 있으나 주로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수입되어지고 있다. 무늬목
균일한 두께의 얇은 목재판
의 종류에는 천연무늬목, 인조무늬목, 염색무늬목 등 세 종류가 있다.
▶ HPM의 구조
① 표면지(Overlay paper) : 모양지의 보호, 내구성 증가역할
② 모양지(Pattern paper) : 색상과 디자인결정
HPM은 한쪽 면에 자연 및 인공 무늬가 인쇄 ③ 심재지(Core paper) : 강도 및 완층유지, HPM 두께 결정
고압멜라민 화장판
된 종이나 섬유질의 기재에 열경화성 수지인 ④ 응력지(Balancing paper) : 응력유지, 접착을 위하여 배면에 연마처리
(High Pressure
멜라민, 페놀수지용 함침 적층하여 다단 프레 ▶ HPM의 분류 및 규격
Melamine)
스(multi daylight press)에서 50kgf/㎠) 이 일반용(General purpose) : 수평 및 수직면용으로 135 이상의 내열도를 갖는 HPM이다.
상의 열압에 의해 성형된 판상재료 주로 주방가구, 사무용가구, 식탁, 테이블 등에 사용.
포스트포밍용(Postforming): 일반형과 유사하나 열경화에 의한 포스트포밍이 되어야 하며,
사무용가구, 주방가구, 학생용 가구의 천판재로 사용.
▶ LPM의 함침수지
LPM의 함치수지는 멜라민수지가 대표적이다. LPM용 모양지는 제품이 직접 일광에 노출되
저압멜라민 화장판 LPM은 종이에 그라비아(Gravure)인쇄를
기 때문에 광학적인 내성이 우수하고 원지에 접착, 처리 등이 되어 있지 않아야 하며 인쇄용
(Low Pressure Melamine 하여 모양지를 만들고, 이 모양지에 멜라민수
잉크의 부착 및 흡지력도 좋아야 한다.
Impregnated Paper) 지를 함침시킨 성형용 수지 Sheet
▶ LPM의 접착
LPM은 시트 자체의 함침수지가 접착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별개의 접착제가 필요하지 않다.

재의 및 표면마감 차이에 의한 유해화학물질 환경보호, 원자재의 가격상승으로 인하여 소재로


의 방출량의 특성을 파악한다. 서는 한계점에 다다랐다. 이러한 요인을 극복하고
2. Mock up 실험을 통하여 가구류의 심재 및 표 자 대체 소재인 인공표면재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면마감 차이에 의한 유해화학물질 방출량의 있는데 천연소재 및 인공소재의 종류와 특성을 알
특성을 파악한다. 아보면 <표 2>같다.

Ⅱ. 가구 및 목창호재의 일반적 특성 3. 표면마감 공법의 특성

1. 심재의 종류 및 특성 표면마감 공법으로 도료 및 도장, 멤브레인,


Post-Forming 가공기술 등이 있다.<표 3>
심재의 종류에는 합판, 중밀도섬유판(MDF),
파티클보드(PB), 집성목, 단판적층재, 라민보드/ 4. 접착제(Adhesives)
블록보드 등이 있다.<표 1>
어느 물질을 개입시켜 두 고체 사이를 결합시키
2. 표면재의 종류 및 특성 는 현상을 접착(adhesion)이라 하고, 이때 사용된
물질을 접착제(adhesives), 접착시킨 고체를 피착
가구의 기초 소재였던 목재는 삼림자원의 고갈, 제(adherent)라고 한다. 즉 접착은 접착제에 의한

98 대림기술정보
< 표 3> 표면마감 공법의 특성

가구및목창호재의유해화학물질방출량특성
종류 정의 특성
▶ 포리 우레탄(Poly Urethane)도료
주제인 포리올(Polyol: -OH)과 경화제인 포리이소시아네이트( Polyisocianate:-NCO)기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여 도막을 이루는 이액형 도료로서 침투성, 소지 밀착성이 양호하여 목재형 도료
도료란 안료를 포함하는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도료이다.
물질로 바탕에 도장하며 바탕 보호 또는 겉모양 ▶ 불포화 포리에스테르(Unsaturated Polyester)도료
도료 및 도장 장식 기능 또는 특수한 기능을 갖은 것을 말하며, 무수말레인산(maleic Anhydride), 푸말릭산(Fumaric Acid)등과 같은 불포화산 등의 다가알콜을 주
도장이란 물체의 표면에 도료를 사용해서 도막 또 원료로 에스텔화 반응을 거쳐 얻어진 액상의 수지에 촉진제(금속염: Co-Naphtenate)와 경화제
는 도막층을 만드는 작업의 총칭 (MEKPO)를 사용하는 3액형 도료로서 비교적 짧은 시간에 경화되는 도료이다.
▶ U.V(Ultra Violet: 자외선) 도료
빛 중에서 자외선 (250~400nm)을 도료가 흡수하여 반응성을 띈 후 단시간에 경화되는 도료를 말하
며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장점이 있다.
▶ 멤브레인 공법의 공정
① 절단: 저해진 문짝 규격대로 MDF를 절단하는 공정이다.
② CNC가공: 문짝의 MDF표면에 지정된 형상으로 홈가공 등을 하는 공정이다.
③ 표면 및 가공부위 연마: 멤브레인 접착 후 문짝의 표면을 평활하게 위한 연마 공정 특히 EDGE면 절
단부의의 연마는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열을 공급하는 장치와 진공 발생 장치 및 에어 압
④ 접착제 도포: 수성 또는 유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스프레이로 접착제를 도포한다.
력을 주는 튜브로 구성된 멤브레인 프레스를 이용
⑤ 문짝 세팅: 멤브레인 설비의 하부 정반에 문짝을 올리기 위한 침구셋팅과 문짝셋팅 공정 또한, 접착
멤브레인(Menbrane)공법 하여 열 가소성시트(비닐시트)를 평면 또는 곡면
제의 가건조중 발생한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등의 원하는 형상태로 고압, 진공공법으로 접착
⑥ 멤브레인 시트 셋팅: 정해진 멤브레인 시트를 셋팅하는 공정이다.
성형하는 공법
⑦ 진공 프레싱(압착) : 셋팅문짝을 진공프레스로 압착하는 공정, 멤브레인 시트의 접착력을 90% 이
상 유지하는 공정, 압력, 온도, 시간 등을 설정하여 관리한다.
⑧ 칼질 : 프레싱 후 나온 멤브레인 시트를 절단하고 모서리면의 날카로운 부분을 없애는 트리밍 공정,
일반적으로 이 공정에서 문짝의 최종 검사가 가능하다.
⑨ 포장 : 출고를 위한 포장 공정이다.
▶ Post -Forming의 작업 공정
① 절단: 정해진 구격대로 원자재를 절단하는 방법이다.
② HPM 접착(도포): 파티클보드위 접착제 도포후 HPM을 접착하기 위한 공정이다. 사용되는 접착제
는 초산비닐에멀젼 접착제(PVAc: Poly Vinyl Acetate)가 주로 사용된다.
HPM(High Pressure Melamine: 열경화성 수
③ HPM 압착: 파티클보드와 HPM을 압착하는 공정이다.
Post-Forming 가공 기술 지 화장판)을 접착제 및 열을 이용하여 원하는 형
④ 양생 : 프레스 후 접착제의 경화를 위한 양생 공정이다.
상 및 성형부의에 접착하는 가공방법
⑤ 투입 : P/F을 위해 Conveyor에 투입하는 공정이다.
⑥ 접착제 도포 : 원자재의 P/F부위에 스프레이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이다. 주로 사용되는 접착제
는 초산비닐에멀젼 접착제(PVAc), Rubber접착제이다.
⑦ P/F 및 압착: 도포 후 HPM을 녹이고 압착하는 공정

유동체의 고화 현상을 이용하여 고체(피착제) 사 1. Mock up 실험


이를 붙이는 것을 말한다.
가. 실험 내용
Ⅲ. 실험내용 및 방법
방통, 천정마감, 창문과 현관문이 시공되고, 가
실험은 가구 및 목창호재에 대한 Mock up실험 구이외의 다른 내부마감자재의 시공은 이루지지
과 건축자재 방출강도 실험으로 구분하여 수행하 않은 사항에서 가구의 사양 차이에 의한 유해화학
였다. 물질의 방출량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2006.봄호 99
건축환경

< 표 4> 접착제의 종류 및 특성


종류 정의 특성
▶ 장점
: 작업방법에 따라 원액의 조절이 용이하다. 가사시간에 제한이 없다. 광범위한 피착제를 접착
초산비닐수지 접착제 초산 비닐단량체와 과산화벤조밀 등을 소량
시킬 수 있다. 수용성이므로 독성이나 화재의 위험성이 없어 작업성이 우수하다. 건조후 무색
(Poly Vinyl Acetate 첨가해서 얻어진다.
투명하게 되므로 오염성 없다. 내구성 및 내곰팡이성이 우수하다.
Flush 접착, HPM, Paper접착, Post
Emulsion Adhesive) ▶ 단점
Forming에 이용
: 내열성 나쁘다. 내수성 나쁘다.(목욕탕이나 옥외의 용도에 사용 불가) 구조용으로 사용 불가
능하다.
주로 2액형으로서 내수, 내알카리성 및 기계 ▶ 장점
적 특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재질에 우수한 접 : 내수성, 내열성, 내알카리성 있다. 접착력이 우수하고 상온에서 경화된다. 사용온도 범위가
에폭시 접착제
착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널리 이용된다. 넒다.
(Epoxy Adhesive)
씽크대 몰딩용으로 주로 사용 ▶ 단점
: 내충격성이 약하다.
팰릿(pallet) 이나 칩(chip)으로 된 고형 접착 ▶ 장점
핫 멜트형
제로서 사용시에는 열로 용해하여 파착재에 : 속건형으로 고속화, 자동화 작업에 응용된다. 내열성이 있다. 무용제이어서 작업조건이 뛰어
(Hot-Melt)
도포한다. 나다. 접착범위가 매우 넓다.
폴리에스터 에지 접착, 라미네이트 에지 접착, ▶ 장점
베니어 에지 접착에 사용 : 유연성, 가소성, 속건성, 내노화성 우수하다. 피착재의 적용범위가 넓고, 높은 접착강도가 얻
합성 고무 접착제 용제의 휘발작용으로 인하여 오픈타임을 올바 어진다.
(Rubber Bond) 르게 잡느냐 아니냐에 따라서 성패가 좌우되 ▶ 단점
므로 주의 필요하다.주로 아파트 F/Door, : 용제 확산에 따른 냄새가 난다. 피착재 오염 발생 가능성이 있다. 경화제 사용시 가사시간이
Wood edge 및 Sofa용으로 사용 짧다.

또한, 실험은 가구의 심재에 해당되는 자재의 파 로 2005. 10.21~11. 23일 까지의 시간경과에 따
티클보드(이하:PB)와 중밀도섬유판(이하:MDF) 른 유해화학물질의 변화를 파악한다.
1)
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의 적용 등급인 E0 급과 실험세대내 주방가구와 일반가구(드레스실, 신
E1급의 적용을 통하여 실내오염농도에 대한 심재 발장, 거실장)을 설치하고 각 실험세대내 구성재
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실험세대는 총 4세대 < 표 6> 실험세대내 주방가구 주요 구성
구분 1101호 1102호 1201호 1202호
< 표 5> 실험세대내 드레스실 가구 주요 구성
심재 MDF E1 MDF E1 MDF E0 MDF E0
구분 1101호 1102호 1201호 1202호 문짝
표면재 UV도료 수성도료 UV도료 수성도료
심재 MDF E1 MDF E1 MDF E0 MDF E0 심재 PB E1 PB E1 PB E0 PB E0
문짝 몸체
표면재 UV도료 수성도료 UV도료 수성도료 표면재 LPM LPM LPM LPM
심재 PB E1 PB E1 PB E0 PB E0
몸체
표면재 LPM LPM LPM LPM
< 표 7> 실험세대내 신발장. 거실장 주요 구성
심재 MDF E1 MDF E1 MDF E0 MDF E0
하단서랍제
표면재 LPM LPM LPM LPM 구분 1101호 1102호 1201호 1202호
심재 PB E1 PB E1 PB E0 PB E0 심재 MDF E1 MDF E1 MDF E0 MDF E0
하단문짝 문짝
표면재 LPM LPM LPM LPM 표면재 PVC PVC PVC PVC
심재 PB E1 PB E1 PB E0 PB E0 심재 PB E1 PB E1 PB E0 PB E0
틀 몸체
표면재 PVC PVC PVC PVC 표면재 LPM LPM LPM LPM

1) PB 또는 MDF에서 E0와 E1의 표시는 포름알데히드 방산량에 따른 구분이며 E0기호는 0.5㎎/L이하, E1기호는 1.5㎎/L이하의 방출량을 의미한다.

100 대림기술정보
< 표 8> 실험세대 측정일과 온습도 조건 나. 시료의 포집 및 분석방법

가구및목창호재의유해화학물질방출량특성
측정일 1101호 1102호 1201호 1202호
05.10.21 16.1 75% 16.1 75% 16.2 74% 16.2 74%
05.10.26 15.7 67% 15.3 69% 17.5 66% 17.2 69%
포름알데히드의 포집ㆍ정량법은 DNPH-
05.11.05 16.2 72% 16.1 70% 16.4 70% 16.7 66% HPLC법 을 사 용 하 여 , DNPH (2,4-
05.11.23 8.1 64% 8.1 64% 8.3 58% 8.1 60%
Dinitrophenylehydrazine)카드리지를 이용해 포
의 사양은 <표 5>와 같다. 집한 뒤, HPLC(High Performance Liquid
1101호와 1102호는 일반가구 및 주방가구의 심 Chromatography)에 도입하여 정성ㆍ정량분석을
재로 E1급으로 적용하고, 일반가구 표면마감은 실시한다.
모두 동일한 적용을 하였다. 그러나 주방가구의 VOC의 포집은 Tanax TA 포집관의 한쪽면에
문짝에 대해서는 1101호는 UV도료로, 1102호는 츄브를 붙이고 펌프로 공기를 흡입시켜 VOC를
수성도장을 마감 적용하였다. 흡착시겼다. 이와 같이 포집된 공기는 GC(Gas
또한, 1201호와 1201호는 일반가구 및 주방가 Cromatography)에 도입하여 정성ㆍ정량한다. 검
구 심재 E0급을 적용하고, 일반가구 표면마감은 출기는 MS(Mass Spectrometry)를 사용한다.
모두 동일하게 하였으나, 주방가구의 문짝에 대해
서는 1201호는 UV도료로, 1202호는 수성도장으 1) VOC 포집 및 분석방법
로 마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SO, KS, 공정시험방법(환경부)
실험세대의 측정은 측정전 30분간 환기를 실시 의 실내공기질 측정에 따른 분석방법의 근본원리
하고 5시간 밀폐후 실내의 공기를 포집하였다. 측 와 특성에 준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VOC시료 채
정 장소는 거실중앙부에서 측정하였다. 측정은 총 취를 수행하였다. 시료의 채취는 0.6cm 9cm 스테
4회 이루어졌으며 실내의 온습도 조건은 <표 8>과 인레스 튜브에 Tenax TA 200mg을 충진한 흡착
같다. 관을 저유량시료채취용 펌프에 연결하여 실험세
대내 거실의 공기를 100㎖/min으로 30분간 포집
하였다.
표준시료 및 방출시험시료에 함유된 VOC 대상
물질의 분석에는 자동 열탈착장치(ATD-400,
Perkin Elmer, UK)가 GC칼럼으로 직접 연결된
GC/MS을 사용하였다.
각 흡착관의 특성과 칼럼의 특성에 따라 분석조
건이 달라져야 하므로, 방출시험 시료 채취시 동
일한 조건으로 채취하였던 예비시료를 이용하여
분석조건을 결정하였다.
[그림 1] 실험세대 가구 설치 모습 GC/MS의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다.

2006.봄호 101
건축환경

< 표 9> GC/MS의 분석조건 였다. 시료의 추출은 DNPH와 반응하여 형성된
Instrument Instrumental Model and Conditions DNPH-카르보닐 유도체는 농축 바이알(10㎖)을
Diluter Entech, 4600
HP-6890 / HP-5973N
이용하여 HPLC 등급 아세토니트릴 3㎖로 추출하
∙Column : HP-1 capillary column(60m 0.32㎜ 5㎛) 였으며 추출액은 갈색 바이알에 담은 후 테플론
∙Column temp : 40 (5min) 70 (5min) 150 (5min)
GC/MSD → 200 (5min) 220 (5min)
캡으로 밀봉하여 곧 바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Ramp rate : 5 /min to 200 , 10 /min to 220 추출시의 오염을 막기 위해 모든 유리기구는 아
∙Column flow : 1㎖/min
∙MS ion source temp : 230
세토니트릴로 세척한 후 60 에서 건조하여 사용
하였으며 공기중 노출을 최소화하였다.
추출된 DNPH 유도체로부터 카르보닐화합물의
분석은 HPLC를 이용하여 행하였다. DNPH 유도
체는 자외선 영역에서 흡광성이 있으며 350-
380nm에서 최대의 파장을 360nm에 고정시켜
분석하였다.

다. 결과 및 분석

Mock up 세대(총4세대)에 대하여 일반 및 주방


[그림 3] GC/MS 분석기기
가구의 설치지구 에서부터 33일이 경과된 시점에
2) 포름알데히드의 포집 및 분석방법 서의 방출량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cm (i.d) 4cm (total length)의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시간경과에 따라 감소하
폴리프로필렌 튜브에 350mg의 2,4-DNPH- 는 결과를 나타났다.
coated silica (1mg DNPH)를 충 전 한 33일 경과시점에서 급격히 농도가 감소한 것은
LpDNPHS10L 카트리지(Supelco Inc. U.S.A) 실내온도의 하강으로 인한 방출량의 감소가 원인
를 사용하여 카르보닐 화합물을 채취하였다. 이때 으로 판단된다. 초기의 포름알데히드의 농도는 환
유량조절장치가 부착된 저유량시료 채취용 펌프 경부의 실내농도 권고기준치인 210㎍/㎥을 초과
를 사용하였으며, 700ml/min 으로 30분간 채취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재의 설치만으로 고농
하였다. 도의 포름알데히드 농도를 나타내고 있으나 5일
또한 오존에 의한 방해작용을 제거하기 위해 경과 측정시점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
1cm (i.d) 4cm (total length)의 폴리프로필렌 튜 났다.
브에 KI 결정을 채운 오존 스크루버를 LpDNPH 설치직후의 농도치는 각 세대별 뚜렷한 차이를
S10L 카트리지 앞에 연결하여 시료를 포집하였 나타내지 않았으나, 33일 경과된 시점에서는 심재
으며 채취된 시료는 추출 전까지 냉암소에 보관하 E1급에 주방가구 문짝을 수성도료 처리한 1101

102 대림기술정보
호가 가장 높은 농도치를 나타냈고, 심재 E0급에 대는 뚜렷한 구분 없이 거의 동일한 농도 수준을

가구및목창호재의유해화학물질방출량특성
주방가구 문짝을 UV도료 처리한 1102호가 가장 보였다.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즉, 유해화학물질별로 시간 경과에 따른 상이한
톨루엔의 경우 설치직후 심재 E0급을 적용한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설치직후 또는 33일이
1201호와 1202호가 심재 E1급을 적용한 1101호 경과된 시점에서 권고기준치를 초과한 포름알데히
와 1102호보다 낮은 방출량을 나타냈다. 시간경과 드와 톨루엔, 자일렌의 경우를 종합하면, 톨루엔
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33일이 과 자일렌의 경우 심재의 E1급을 적용하고 주방가
경과 된 시점에서는 심재의 E1급 적용과 주방가 구의 UV도료를 적용한 1101호의 경우가 33일이
구 문짝 U.V도료를 적용한 1101호가 가장 높은 지난 시점에서 가장 높은 농도치를 보이고 있다.
농도를 나타냈으며, 심재의 E0급 적용과 주방가 그러나 같은 등급인 심재 E1급을 적용하고 주방
구 문짝 UV도료를 적용한 1201호가 가장 적게 나
타났다.
또한, 톨루엔은 주방가구와 일반가구의 설치만
으로 33일이 경과된 시점에서도 환경부의 권고기
준인 1000㎍/㎥을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틸벤젠의 경우, 세대별 구별없이 실험기간내
계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심재 적용이나 마
[그림 4] Mockup 실험세대별 포름알데히드 농도 변화
감재의 차이에 의한 방출량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
타나지 않았다.
자일렌의 경우 설치후 15일 경과시점까지는 세
대별 차이 없이 약간의 증가추세를 지속적으로 나
타났으나 33일이 경과된 시점에서 세대별 농도치
의 차이를 뚜렷하게 나타냈다.
심재의 E1급 적용과 UV도료를 적용한 1101호
[그림 5] Mockup 실험세대별 톨루엔 농도 변화
세대가 가장 높게 그리고 심재 E1급 적용과 주방
가구의 수성도료를 적용한 1102호가 가장 적은 농
도차이를 나타냈다.
스티렌의 경우 설치직후에서 15일이 경과된 시
점까지 세대별 뚜렷한 구분 없이 증가 추세를 보
였으나 33일 측정시점에서는 감소경향을 보였다.
E1급의 심재를 적용하고 수성도료를 적용한
1102호가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다른 3세 [그림 6] Mockup 실험세대별 에틸벤젠 농도 변화

2006.봄호 103
건축환경

의 변화 특성 등을 고려하여 이를 관리하는 것이
실내유해화학물질의 저감에 유효한 것으로 판단
된다.

2. 건축자재의 방출강도 실험

[그림 7] Mockup 실험세대별 자일렌 농도 변화 가. 실험 내용

본 실험은 가구와 목창호재의 심재와 접착제, 표


면재등이 복합적으로 적용된 복합재료(성형자재)
를 대상으로 한다.
가구재의 시험편은 PB 원자재의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등급인 E0급과 E1급의 적용과, PB 또는
[그림 8] Mockup 실험세대별 스티렌 농도 변화 MDF E1급에 각기 다른 표면재(PVC시트, LPM,
UV도장, 수성도장, PP시트)마감방법의 차이에 의
가구의 문짝에 수성도료를 적용한 1102호의 경우 한 방출량의 차이를 평가하도록 제작한다. 가구재
심재 E0급을 적용한 1201호와 1202호보다 오히 시험편의 구성 및 시험일은 [표 10]과 같다.
려 낮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심재의 등급이
< 표 10> 가구재 시험편 구성 및 시험일
최종적인 완성품으로 적용된 경우에 실내농도에
시험편 제작일자 시험일
뚜렷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PB E1급 +(접착제)+PVC 05.03.04 05.03.14
PB E1급 +LPM 05.03.11 05.03.24
또한, 포름알데히드의 경우도 심재를 E1급으로
PB E0급 +LPM 05.03.25 05.04.04
적용하고 주방가구 문짝을 UV도료를 적용한 MDF E1급 + UV도장 05.04.02 05.04.18
PB E1급 + 수성도장 05.04.27 05.04.29
1101호가 가장 높은 농도치를 나타내고 있는 반면
PB E1급 +(접착제)+ PP 05.05.16 05.05.27
같은 등급의 심재를 적용하고 주방가구 문짝에
UV도료를 적용한 1101호세대가 E0급을 적용한 목창호재의 시험편은 원자재들의 보관 및 관리
1201호와 1202호보다 낮게 나타나, 심재의 방산 에 의한 적용성을 검토한다. 시험편의 구성은 각
량 등급의 차이가 실내 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지 기 다른 보관기간을 가진 라왕집성목, MDF,
못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HDF에 대하여 각각 PVC시트, 페이퍼시트, 무늬
즉, 각 원자재를 조합하는 완성품으로써 가구의 목 등을 가공함으로써 심재 및 표면재의 보관기간
경우, 실내오염물질에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을 달리한 원자재를 이용하여 시험편을 제작한다.
심재의 유해화학물질의 방산량 차이보다는 각 표 목창호재의 시험편 구성 및 제적일자, 시험일은
면마감의 방법과 완성품으로써 의 실내의 방출량 [표 11]과 같다.

104 대림기술정보
< 표 11> 가구재 시험편 구성 및 시험일 또한, 각 시료에 알루미늄 은박(빛나는 면을 바

가구및목창호재의유해화학물질방출량특성
시험편 제작일자 시험일 깥으로 하여)의 포장재로 싸고 테프론백이나 폴리
라왕집성목E1+(접착제)+PVC 05.07.18 05.08.02
라왕집성목 E1+페이퍼시트 05.07.18 05.08.02
에틸렌 봉투에 넣어 보관한다.
라왕집성목 E1+(접착제)+무늬목 05.07.18 05.08.02
MDF E1+접착제+PVC 05.09.14 05.09.22
MDF E1+페이퍼시트 05.09.14 05.09.22
3) 가구 및 목창호재의 시료 선정
MDF E1+무늬목 05.09.14 05.09.22 : 164×164 크기의 edge부분은 처리하지 않
HDF E1+(접착제)+PVC 05.10.11 05.10.14
HDF E1+페이퍼시트 05.10.11 05.10.14
은 최종 완제품 시편을 제작한다.
HDF E1+무늬목 05.10.11 05.10.14 : 시편 제작 후 2번사항의 포장 및 운반 수칙
HDF E0+무늬목 05.10.11 05.10.14
에 따른다.
시험일은 챔버의 블랭크 농도 측정 시기이고, 챔 : 시료 채취로부터 폴리에틸렌 봉투에 넣기까
버내 1일 경과와 7일 경과후의 포름알데히드와 지의 작업을 1시간 이내로 한다.
TVOC 및 개별 VOC의 방출량를 측정한다.
본 실험에 적용된 주방가구재 PB의 경우 수입
한 후 1개월 이하와 마감재인 LPM와 PP,
PVC는 20일 이하, 도장은 시료제작전 3일전에
시공하는 등 일반적인 가구재 제작 시기와 동일한
과정으로 제작한 것이다.
목창호재는 라왕집성목 3개월, MDF, HDF의 6
개월 이상, 그리고 표면재인 페이퍼, 무늬목, PVC
는 2개월이상 경과된 원재를 사용하였다.
[그림 8] 복합재료 시편 제작도
나. 시편제작 과정
다. 챔버설치 및 공기포집
1) 제품의 샘플링 방법
시험 대상이 되는 제품은 일반적인 수순에 의해 각 시험편의 발생량 실험을 위한 챔버설치 및 챔
제조되고 포장 및 취급하여야 한다. 샘플 채취한 버내 공기 포집과정은 [표 12]과 같다.
건축 재료는 바로 포장하여 신속히 시험기관에 보
낸다. 라. 시험조건

2) 시료 포장 및 운반 측정은 챔버내 시료 투입전 블랭크농도 측정과


시료는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 또는 열, 습기 등 시료 투입 후 1일 및 7일이 경과된 시점의 오염물
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보호한다. 질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시험조건은 항온항습실

2006.봄호 105
건축환경

< 표 12> 챔버설치 및 화학물질 측정 과정


순서 비고

- 방출시험챔버를 해체하여 세정한다. - 물로 세정하고 증류수로 헹군다.

- 오븐에서 26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한다.

- 챔버내에 시료틀을 설치하고 24시간 환기 후


Background 농도를 측정한다.

- 표면에서 방출되는 것을 측정하므로 뒷면


- 시험편을 준비한다.
과 옆면은 seal을 한다.

온도 25 , 습도 50%, 환기횟수 0.5회/h를 유지하 (Ct-Ctb, t)×Q (Ct-Ctb, t)×nV n


EFa= = =(Ct-Ctb, t)×q=(Ct-Ctb, t)× L
였다. 시료부하율은 2.2㎡/㎥, 시험편의 면적은 A A

0.044㎡이고 결과는 JIS에 따라 방출강도를 산출 A : 시험편의 표면적(㎡)


하였다. Ct : 시간 t에서의 방출시험 챔버내의 VOC와
시험편을 방출시험챔버에 넣은 후, 측정을 시작 알데히드류의 농도(㎎/㎥)
한 시간 t 에서 방출속도 EFa는 다음식에 의해 구 Ctb, t : 시간 t에서의 블랭크 농도(㎎/㎥)
해진다. 시험챔버내의 농도 Ct 는 시간 t 에서 대 EFa : 단위 면적 당 방출강도(㎎/unit∙h)
상 VOCs와 알데히드류 혹은 TVOC의 농도를 나 L : 시료부하율(㎡/㎥)
타낸다. n : 환기회수(회/h)

106 대림기술정보
Q : 방출시험챔버의 환기량(㎥/h) 폴리프로필렌 튜브에 350mg의 2,4-DNPH-

가구및목창호재의유해화학물질방출량특성
q : 단위면적당 환기량(㎥/㎡∙h) coated silica (1mg DNPH)를 충 전 한
t : 시험 개시 후 경과 시간(시간 또는 일수) LpDNPHS10L 카트리지(Supelco Inc. U.S.A)를
V : 방출시험챔버의 용적(㎥) 사용하여 카르보닐 화합물을 채취하였다. 이때 유
량조절장치가 부착된 저유량시료 채취용 펌프를
마. 시료의 포집 및 분석방법 사용하였으며, 채취량이 167ml/min을 40분간 포
집하였다. 또한 오존에 의한 방해작용을 제거하기
포름알데히드의 포집ㆍ정량법은 DNPH- 위해 1cm (i.d) 4cm (total length)의 폴리프로필
HPLC법 을 사 용 하 여 , DNPH (2,4- 렌 튜브에 KI 결정을 채운 오존 스크루버를
Dinitrophenylehydrazine)카드리지를 이용해 포 LpDNPH S10L 카트리지 앞에 연결하여 시료를
집한 뒤, HPLC(High Performance Liquid 포집하였으며 채취된 시료는 추출 전까지 냉암소
Chromatography)에 도입하여 정성ㆍ정량분석을 에 보관하였다. 시료의 추출 및 분석방법은 3.1.2
실시한다. VOC의 포집은 Tanax TA 포집관의 한 절과 같다.
쪽면에 츄브를 붙이고 펌프로 공기를 흡입시켜
VOC를 흡착시겼다. 각 챔버의 공기유츌구에 이 바. 결과 및 분석
와 같이 포집된 공기는 GC(Gas Cromatography)
에 도입하여 정성ㆍ정량한다. 검출기는 MS(Mass 1). 심재 차이에 따른 방출량 비교
Spectrometry)를 사용한다. 가구재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LPM의 동
일 표면마감재에 PB E1과 PB E0을 적용한 경우,
1) VOC 포집 및 분석방법 포름알데히드 및 TVOC의 방출량의 차이를 평가
본 연구에서는 ASTM, JIS, EU의 건자재 관련 하였다.
방출시험에 따른 분석방법의 근본원리와 특성에 TVOC의 경우 시간경과에 따라 방출량이 증가
준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VOC 방출시료 채취를 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것은 LPM의 마감
수행하였다. 시료의 채취는 0.6cm 9cm 스테인레 방법은 제작 특성상 열압을 하여 성형한 후 일정
스 튜브에 Tenax TA 200mg을 충진한 흡착관을
저유량시료채취용 펌프에 연결하여 소형챔버내
공기를 167㎖/min으로 20분간 포집하였다. 시료
의 분석 조건 및 방법은 (나. 시료의 포집 및 분석
방법)과 같다.

2) 포름알데히드의 포집 및 분석방법
본 연구에서는 1cm (i.d) 4cm (total length)의 [그림 9] PB 등급 차이에 의한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2006.봄호 107
건축환경

HDF E0를 적용한 경우가, E1을 적용한 경우보


다 7일경과 후의 TVOC 방출량을 제외하고 높게
나타났다. HDF의 경우 수입 후 6개월의 보관된
것을 사용하였고, 표면재인 무늬목은 2개월 이상
존치된 것을 사용하여 제작하여 방출량은 상대적
으로 낮게 나타났다. 동일 무늬목마감에서 HDF
[그림 10] PB 등급 차이에 의한 TVOC 방출량 E0에서 더 많은 방출량을 보이는 것은 접착 과정
즉, 제작과정의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이 원
인으로 지적된다.
즉, 복합자재의 경우, 제작과정의 안정성 및 일
정기간의 방산유도는 낮은 방출량을 확보하는데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1] HDF 등급 차이에 의한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2) 표면마감 차이에 의한 방출량 특성


가구재에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PVC 또는
PP 랩핑과 LPM, 수성도장과 U.V도장를 표면마
감방법으로 선택하고 심재는 PB E1의 동일 등급
을 적용하였다.
심재의 동일 등급(E1)에 대한 표면마감재 차이
별 포름알데히드 및 TVOC 방출량을 측정한 결
과, PVC시트> PP시트> LPM>수성도장> UV도장
[그림 12] HDF 등급 차이에 의한 TVOC 방출량
순으로 낮은 방출량을 나타냈다. 수성도장 및 U.V
기간(보통 28일 이상)의 냉각기간이 필요하나, 본 도장의 경우 제작과정에서의 건조 및 시험시작일
실험에서는 이러한 냉각시간을 갖지 못하여 시험 까지의 운반과정에서 유해화학물질 방산이 이루
기간 중에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판
단된다.
[그림 10]과 [그림 11]에서 볼 수 있듯이 심재
PB에 대한 등급의 차이는 뚜렷한 방출량의 차이
를 보이고 있어, PB E0급에 LPM마감이 PB E1
급에 LPM마감한 경우보다 낮은 방출량을 나타
냈다.
그러나, HDF에 무늬목을 접착한 시험편에서는 [그림13]가구재의표면마감재의차이에의한포름알데히드방출량비교

108 대림기술정보
가구및목창호재의유해화학물질방출량특성
[그림 14] 가구재의 표면마감재의 차이에 의한 TVOC 방출량 비교 [그림 15] 라왕집성목 E1급과 표면마감 차이에
따른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 비교

어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가공방법의 특성과


일정기간 방산의 유도 과정은 표면마감재의 유해
화학물질 저감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분석된다.

3) 원자재 보관기간과 유해화학물질 방출량과의


관계
[그림 16] 라왕집성목 E1급과 표면마감
원자재 보관기간의 차이에 의한 발생량의 차이 차이에 따른 TVOC의 방출량 비교
정도를 파악하였다. 라왕집성목 E1급의 경우 수
입하여 3개월 보관기간을 유지하였으며 무늬목, MDF의 경우, 수입하여 6개월의 보관기간을 가
페이퍼시트, PVC시트의 경우 생산 또는 가공되어 졌으며 PVC시트, 페이퍼시트, 무늬목은 생산 및
1개월이 경과 된 시점에서 시료가 제작되었다. 각 가공한 후 시료제작까지 45일이 경과된 시점의 시
시료는 시료제작 후 8일 이내에서 실험에 사용되 편을 사용하였다. 제작후 시험일까지는 7일이 경
었다. 과되었다.
동일 등급의 라왕집성목에 대하여 PVC시트, 페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7일 경과시점에서 페이퍼
이퍼시트, 무늬목을 접착하여 포름알데히드 및 시트가 가장 높은 방출량을 나타냈고, TVOC의
TVOC의 방출량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무늬목과, 경우 PVC의 경우가 가장 높은 방출량을 나타냈
페이퍼시트의 경우 핫멜트계 접착제를 사용하고 다. 심재 및 표면재의 보관기간이 라왕집성목의
있으며 PVC시트는 수성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경우보다 3개월 정도 길었던 심재 MDF의 적용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무늬목의 경우가 가장 높 경우가 TVOC 방출량이 보다 낮게 나타났다.
게 나타났으며 시간경과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으 즉, TVOC의 경우 심재 및 표면재의 보관기간에
며 상대적으로 저농도가 감출되었다. TVOC의 경 따라 방출량의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우 PVC시트를 접착한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 포름알데히드의 경우는 심재와 표면재의 보관기
며, 시간경과에 따라 방출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간에 따른 뚜렷한 경향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나타냈다. 무늬목, 페이퍼시트 등을 접착하는 경우가 높게

2006.봄호 109
건축환경

HDF E1급의 경우, 수입후 6개월 이상의 보관


기간이 유지되었다. 또한 PVC시트, 페이퍼시트,
무늬목은 생산 및 가공후 시료제작까지 70일이 보
관되었으며 시료 제작후 시험일까지는 3일이 경과
되었다.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페이퍼시트가 가장 많은
[그림17] MDF E1급과표면마감차이에따른TVOC의방출량비교 방출량을 보이고 있으며, TVOC의 경우 PVC시트
를 접착한 경우가 가장 높은 방출량을 나타냈다.
이 경우 MDF+ 표면재 적용의
경우와 비교하여 표면 원자재의 보관기간이 30
일 정도 길었던 HDF + 표면재의 경우가 상대적
으로 낮은 방출량을 나타냈다.

[그림18] HDF E1급과표면마감차이에따른TVOC의방출량비교 Ⅳ.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실내공기질의 효과적인 개선을 목적


으로 가구 및 목창호재의 유해화학물질의 저감방
안 수립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Mock up 실험을 통한 가구류의
심재 및 표면마감 차이에 의한 유해화학물질 방출

[그림 19] MDF E1급과 표면마감 차이에


량의 특성을 파악하고, 가구 및 목창호재의 복합
따른 포름알데히드의 방출량 비교 자재를 대상으로 심재의 및 표면마감 차이에 의한
유해화학물질의 방출량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가구의 Mock up 실험에서는 방통, 천정마감,
창문과 현관문이 시공되고, 가구이외의 다른 내부
마감자재의 시공은 이루지지 않은 사항에서 가구
의 사양 차이에 의한 유해화학물질의 방출량의 차
[그림20]HDFE1급과표면마감차이에따른포름알데히드의방출량비교 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가구의 심재에 해당되는 자재의 파티클
나타났다. 이것은 제작공정상 접착제의 안정성을 보드(이하:PB)와 중밀도섬유판(이하:MDF)의 포
유지하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지적된다. 름알데히드 방출량의 적용 등급인 E0급과 E1급

110 대림기술정보
의 적용을 통하여 실내오염농도에 대한 심재의 영 원자재를 대상으로 하였다.

가구및목창호재의유해화학물질방출량특성
향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원자재 보관기간의 차이를 가진 복합자
실험 결과, 각 원자재를 조합하는 완성품으로써 재의 유해화학물질 발생량의 차이를 파악한 결과,
가구의 경우, 실내오염물질에 농도에 영향을 미치 TVOC의 경우 심재 및 표면재의 보관기간에 따라
는 것은 심재의 유해화학물질의 방산량 차이보다 방출량의 저감되는 뚜렷한 경향성을 나타냈다. 그
는 각 표면마감의 방법에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러나, 포름알데히드의 경우는 심재와 표면재의 보
판단된다. 따라서 가구는 완성품으로써 실내의 방 관기간에 따른 뚜렷한 경향성을 나타내지 않고,
출량의 변화 특성 등을 고려하여 이를 관리하는 제작공정상의 접착제의 사용유무 및 양에 관련하
것이 실내유해화학물질의 저감에 유효한 것으로 고 있는 것으로 제작공정상의 안정성 유지가 중요
판단되었다. 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또한 충분한 원자재의 보
한편, 가구 및 목창호재의 건축자재 방출강도 실 관기관을 확보한 경우 낮은 방출량을 안정적으로
험에서는 심재와 접착제, 표면재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냈다.
적용된 복합재료(성형자재)를 대상으로 하였다. 즉, 가구 및 목창호재의 경우 완정자재의 제작공
시험편은 포름알데히드 방출량 등급인 E0급과 정의 안정성 확보 및 원자재의 보관기간에 영향을
E1급의 적용과, PB, MDF E1급에 각기 다른 표 받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완성자재에 대한 유
면재(PVC시트, LPM, UV도장, 수성도장, PP시 해화학물질의 방출량 관리는 제작공정 특성과 원
트)마감방법의 차이에 의한 방출량의 차이를 평가 자재의 보관기간 등의 관리적 측면에 강화가 효율
하도록 제작한다. 적 관리방안으로 판단된다.
실험 결과, 심재의 동일 등급(E1)에 대한 표면
마감재 차이별 포름알데히드 및 TVOC 방출량은
PVC시트> PP시트> LPM>수성도장> UV도장 순
으로 낮은 방출량을 나타냈다. 수성도장 및 U.V도
장의 경우 제작과정에서의 건조 및 시험시작일까
지의 운반과정에서 유해화학물질 방산이 이루어
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가공방법의 특성과 일
정기간 방산의 유도 과정은 표면마감재의 유해화
학물질 저감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원자재 보관기간의 차이에 의한 발생량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라왕집성목의 경우 수입
하여 3개월, HDF와 MDF의 경우 6개월이상의
보관기간을 유지하였으며, 표면마감재의 경우 재
료별 30일~70일까지의 보관기간의 차이를 가진

2006.봄호 11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