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7

목재료

건축기술과 재료
임승민 smlim@kangwon.ac.kr
경북 안동 봉정사, 672
Mjø stårnet
Height: 85 m CTBUH
Opened: March 2019
Floors: 18
Town or city: Brumunddal
Architect: Voll Arkitekter
Structural system: Lumber
목재

▪ ‘건축이나 가구 따위에 쓰는, 나무로 된 재료’


▪ 가장 손쉽게 얻고 운송이 쉬우며 값싸고 가공이
편한 재료.
▪ 주 성분은 셀룰로스 41~43%, 헤미셀룰로스
20~30%, 리그닌 20~23%로 구성.

심재 변재

성장한지 오래된 나이테의 성장한지 오래되지 않은 나이테의


모임으로 비중 크다. 모임으로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다.

신축이 적다. 신축이 크다.

내후성, 내구성이 크다. 내후성, 내구성 약하다

강도가 크다 강도가 약하다. 나무의 구조


목재
목재의 분류 및 종류
▪ 성장에 의한 분류
• 외장수: 길이와 두께가 모두 성장
• 내장수: 길이만 성장하는 것으로 대나무, 야자나무 등

▪ 수종에 따른 분류
• 활엽수: 무겁고 내구성이 좋고, 건조가 더디나 가공성이 우수 (단풍나무, 밤나무, 참나무 등)
• 침엽수: 가볍고 부드러워 건축용, 펄프재료로 주로 사용 (소나무, 해송, 전나무, 잣나무 등)

▪ 재질(비중)에 따른 분류
• 연재: 침엽수 류
• 경재: 활엽수 류

▪ 용도에 의한 분류
• 구조용재: 침엽수(전나무, 삼나무 등) 류, 건물의 뼈대
• 장식용재: 침엽수활엽수 류, 수장재, 창호재, 가구재
목재
목재의 성질

▪ 비중
• 목재의 기건밀도는 0.3-0.9
• 함수량에 따라 밀도가 변함
• 목재의 강도는 밀도에 비례

▪ 함수율
• 공기 건조시 함수량은 대략 15% (13-18%)
• 섬유 포화점의 함수량은 30%
• 생재함수율은 수종, 산지 등에 따라
30~200% 범위로 매우 다양
• 목재의 함수율과 강도는 반비례

(목재의 함수율과 물리적 성질)


목재
목재의 성질

▪ 수축팽창
• 섬유포화점 이하에서는 함수율에 비례하여 수축 팽창
(섬유포화점 이상의 함수율에서 수축과 팽창의 변화 없음.)
• 접선방향 > 직각방향 > 섬유방향
• 비중이 큰 목재는 신축이 작고, 신축과 비중은 반비례 관계

▪ 열적 성질
• 인화점: 가연성 가스가 발생되는 온도 (180 °C)
• 착화점: 화재 위험 온도 (260-270 °C)
• 발화점: 자연발화 되는 온도 (400-450 °C)
목재
목재의 성질
▪ 강도
• 섬유 방향에 대한 강도가 크고 섬유 직각 방향에 대한 강도는 작다.
• 인장강도 > 휨강도 > 압축강도 > 전단강도

종류 섬유 방향 섬유 직각 방향

압축강도 100 10~20

인장강도 200 6~20

휨강도 150 10~20

전단강도 침엽수 16, 활엽수 19 -

▪ 경도
• 압입에 저항하는 목재의 성질
• 일정 지름(10 mm)을 갖는 강구의 반지름과 같은 깊이 까지 표준속도로 압입한 후 측정
• 압입면(움푹 패인 흔적)의 면적을 하중으로 나눈 값
목재
목재의 활용
합판
▪ 얇은 판인 단판(veneer)을 3, 5, 7매 등의 홀수로 섬유 방향이 직교하도록 접착제로
붙여 만든 재료.
▪ 합판의 특성
• 함수율 변화에 의한 신축 변형이 적으며, 방향성이 없다.
• 균일한 강도의 재료를 얻을 수 있다.
• 뒤틀림이나 변형이 적은 비교적 큰 면적의 평면 재료를 얻을 수 있다.
• 표면 가공법으로 흡음 효과를 낼 수 있다.
목재
목재의 활용

집성목재
▪ 두께 1.5-3 cm의 제재목을 섬유방향
과 평행하게 집성 접착한 재료.
▪ 집성목재의 특성
• 필요한 치수와 형태를 가진 단면을 쉽게
만들 수 있다.
• 강도의 편차가 적다.
• 비틀림, 변형 등이 생기지 않는다.
• 방부성, 방화성, 방충성 높은 부재 만들
수 있다.
목재
목재의 활용
섬유판 (파티클보드)
▪ 식물성 섬유를 원료로 합성수지와 접착제를 섞어 판 모양으로 만든 재료.
▪ 특성
• 강도가 크며, 방향에 의한 강도차가 10% 이하로 작다.
• 표면이 평활하며, 내마모성이 크다.
• 비틀림이 작으며 가공이 용이하다.
목재
목재의 활용
코르크판 (Cork board)
▪ 표면은 평평하며 가볍고 단열성, 흡음성, 탄성이 있다.
▪ 방송실 음악 감상실 등의 안벽 흡음판이나 냉동고의 단열판
으로 사용.

중밀도섬유판 (Medium Density Fiberboard)


▪ 나무 섬유를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시켜 성형, 열압한 판상
제품.
▪ 표면이 평활하여 도장성 및 접착성 우수.
▪ 안정성과 기계 가공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높다.
목재
목재의 건조
목재의 건조는 대략 생나무 중량의 1/3 이상 경감할 때까지로 알려지고 있으나, 구조
용재는 함수율 15% 이하, 마감 가구재는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함.
▪ 건조목적
• 부패균 발생 방지
• 수축 및 균열 방지
• 강도 및 내구성 증진
• 방부제 등 약제 주입용이
• 중량경감으로 취급용이

▪ 건조방법
• 자연건조법 : 침수건조법, 대기건조법
• 인공건조법 : 열기건조법, 증기건조법
목재
목재의 내구성
▪ 부패
• 목재가 부패하는 것은 주로 균류의 작용에 의한 것
• 부패균이 침입 번식하게 되면 강도 저하되고 목질은 변질 분해
• 목재 부패 시 성분의 변질로 비중이 감소, 부패로 인한 강도 저하율은 비중 감소율의 약 4~5배

▪ 충해 및 풍화
• 흰개미 등 유해 곤충류에 의해 목섬유인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성분 조직이 분해, 비중 감소로
인한 강도 저하를 발생
• 풍화로 인하여 흡수율이 증가하고 균류의 생육이 가능하게 되어 부패

▪ 목재의 방부법
• 도포법: 목재를 충분히 건조시킨 후 솔 등을 사용하여 표면을 도포
• 침지법: 상온에서 방부제 (크레오소트액 등)에 목재를 몇 시간 침지하는 것으로 액을 가열하면
더욱 깊이 침투
• 가압주입법
• 표면탄화법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