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콘크리트의 진화

구축재에서 마감재로
콘크리트
정의

위키백과
콘크리트라고 부르는 것은 보통 시멘트 콘크리트로, 시멘트와 시멘트
풀(paste)에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를 결합해서 만든 돌 모양의 덩어리를
말한다. 이 명칭은 1900년 경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체적의 약 70%는 골재이고, 나머지 30%가 시멘트 페이스트이다.
시멘트 페이스트는 골재사이의 공극을 채우는 역할을 하며,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는 콘크리트가 유동성을 갖게 하고 굳은 콘크리트에서는 골재와
결합하여 강도를 발휘한다.
네이버
시멘트에 모래와 자갈, 골재 따위를 적당히 섞고 물에 반죽한 혼합물. 만드는 방
법이 간단하고 내구성이 커서 토목 공사나 건축의 주요 재료로 쓴다.


시멘트, 굵은 골재, 잔골재를 물에 섞어 혼합해 거푸집에 채워 넣어 모양을 주고
경화시킨
다음 탈영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혼화제를 넣어 사용하기도 함.
(라틴어 concretus_ 결합하다)
콘크리트
재료

Cement paste Mortar


시멘트 시멘트풀 시멘트+물 모르타르 시멘트풀+잔골재(모래)

+ + + → 콘크리트

물 모래 잔골재 쇄석,자갈 굵은골재


콘크리트
진화

고대의 시멘트 발견 로만시멘트의 발명 포틀랜드 시멘트 발명

B.C 3000 1756 1824


소석고 : 피라미드, Sakkara의 분묘 J. Smeaton 점토질 석회석을 구워 ‘수경성 J. Aspdin 포틀랜드 시멘트
B.C 150 석회석’
소석회+석회 → 포졸란시멘트 1796
A.D 126 J. Parker 로만시멘트
Portland cement
로마 판테온 신전의 돔 구조물
로만시멘트 + 물 → 800ºC 소성 → 클링커 →분
Roman cement 해
점토질 석회석을 더 높은 온도로 소성
↑시멘트 5 : 물 2 → 급결성 시멘트
점토분쇄 → 석회로에서 소성 →클링커 제조 → 다
시 분쇄

클링커
; 조합된 시멘트 원료를 반용융 상태로 소성하여 만들어진 암록색의
덩어리.
콘크리트
진화 콘크리트 자체가 구조재이며 마감재역할

특성 다양한 형태의 구조 표현 가능
유지관리가 쉬우며 내구성 ↑

철근콘크리트의 발명 노출콘크리트

노출콘크리트 _Exposed concrete


1855 20세기
종류 쪽널노출콘크리트 _Cedar exposed
J. L. Lambat 파리박람회_콘크리트 배 근대건축의 이념에서 출발
concrete
1897
컬러노출콘크리트 _Color exposed
J. Monier 철근콘크리트
concrete

건축물 본연의 모습이 그대로 드러남

매력 단단하고 웅장한 느낌
시간, 빛, 기후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Le Corbusier

출생

1887년 10월 6일, 스위스

생애

1900 _레플라트니의 가르침아래 건축


시작
1914 _도미노시스템발표
1922 _근대건축5원칙

기술자에 의해 발전된 콘크리트 구


조를 건축적 표현의 수단으로 만듦
Le Corbusier
빌라사보아 _1929
특징

필로티 _기둥의 독립
자유로운 평면 _내부 칸막이 벽의 자유로운 구성
자유로운 입면 _도미노 구조의 결과, 파사드의 자유로운 구성
옥상정원 _평지붕과 옥상정원을 권유, 옥상정원을 주택의 공간
적 연장으로 인지
수평 창

재료

콘크리트 스틸 유리
Le Corbusier
유니테 다비타시옹
_1945
특징

6m높이의 34개 필로티가 12개의 슬라브를 받치고 있


는 구조
→ 지중해와 인접해 습도가 높은 마르세유의 기후 특성
을 고려해 지상으로부터 건물을 올려 지상을 개방하고
통풍에 효과적
→ 조경과 주차공간 확보

다양한 입면 구성
빨강, 파랑, 노랑 세 가지로 구성된 외부 발코니
재료

표면질감의 표현은 거푸집 공사의 흔적과


콘크리트 결절점들에 의한 육중한 재질감이 건물자
체의 거대한 규모와 조화를 이룸
Le Corbusier
롱샹성당 _1950
특징

형태의 방향성 _진입방향강조 지붕선


포용적인 공간 _오목한 경사면이 예배실의 벽면을 향

구조체계 _삼각형의 수직구조체계에 의해 구성된 육중
한 매스가 지붕을 받침
채광 _빛은 예배실을 신성한 장소로 내부의 형태와 공
간을 변화시킴

재료

버트리스모양의 남측평면은 삼각형의 수직 철근콘크리트골


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골조는 거대한 지붕을 지지하고,
콘크리트
벽면을 관통하는 깔대기 모양의 창문과 경사면을 구성할 수
있도록 수평 구조보가 배치되어 있다.
Tadao Ando
실내에서는 자연광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외부에서는 자연과 잘 어우러지
는 신선한 건축양식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여백의 미가 느껴지는
콘크리트 벽면을 빛의 아름다움으로 승화시켜, 어느 장소에나 잘 어울리
는 건축물을 선보였다.

출생

1941년 9월 13일, 일본

수상

1955 _프리츠커상
1992 _칼스버그건축상
1987 _마이니치예술상

경력

1997 _일본도쿄대학 건축학과


교수
1990 _미국하버드대학교 객원
교수
Tadao Ando
빛의교회_1987
특징

외벽을 십자가모양으로 뚫어 그 틈으로 빛 들어옴


→ 성스러움, 몰입감↑, 경건함
외벽 내부 모두 노출콘크리트로 마감

재료

콘크리트 빛 물
Tadao Ando
물의 절 _1989
특징

지상에는 연못처럼 물만 있고 지하에 절이 있음.


→ 가장 먼저 나무가 보이고 나무를 지나면 벽이 나옵니
다. 벽을 지나면 하얀 돌이 깔린 정원이 펼쳐집니다. 미
로 같은 정원을 빠져나오고 나서야 연못이 보입니
다. 그 연못 사이 지하 계단으로 내려가면 본당입니다.

재료

답답하게 느껴질 것이라는 우려와는 반대


물 콘크리트 로 신비로운 느낌을 선사
Tadao Ando
포트워스 근대미술관
_1997
특징

5개의 직사각형 이중 콘크리트 상자를 유리로 둘러싸고


넓은 정원을 만들어 풍부한 녹지와 물을 끌어들였습니다.
그 중 일부는 호수 위에 자리잡고 있어 물 위를 부유하
는 듯한 신비로운 느낌을 줌. 또한 순수 기하학 형태를
선호하는 그의 취향도 강하게 드러납니다.

재료

표면질감의 표현은 거푸집 공사의 흔적과


물 콘크리트 결절점들에 의한 육중한 재질감이 건물자
체의 거대한 규모와 조화를 이룸
Tadao Ando
유민미술관 _2017
특징

현무암 _전통적이고 거친 느낌
+
노출콘크리트 _현대적이고 차가운 느낌
→ 주변 환경과의 관계 맺기를 시도한다. 바다, 일출봉
과의 관계를 벽의 일부를 덜어내 자연의 흐름을 건물 내
부로 유입시키며 이공간을 체험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새
롭게 자연을 볼 수 있도록 만들어 주었다.

재료

콘크리트 현무암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