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한국의문화유산

부처님을 만나러 갑니다-불교문화2


: 석굴암

▣석굴암(石窟庵)

1. 석굴암

-석불사 또는 석굴암석굴

-국보제24호 /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

-통일신라 시대 불교건축의 최고 걸작으로 꼽힘. 그 조영 계획 및 실행에 있어 건축, 수리, 기하학, 종

교, 기술력이 총체적으로 실현된 유산

: 석굴 사원이라는 공간 + 불교 사상과 신앙의 깊은 이해가 기반이 된 불교 조각들의 조화로운 배치

+ 높은 기술력과 예술성

1-1. 석굴암의 원형으로서의 석굴 사원

-본래 석굴은 수도자들이 덥고 비가 많이 오는 때를 피하여 명상의 장소로써 이용한 것이 그 기원

: 인도의 아잔타 석굴 / 중국의 돈황, 원강, 용문, 맥적산 석굴 등이 유명함

-우리나라의 산은 단단한 화강암이 주류를 이루기 때문에 인도나 중국처럼 석굴 사원이 조영되기에는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기에 석굴 사원은 발달하지 ( )

: 백제의 서산마애삼존불처럼 바위에 새기거나 신라 때의 남산불곡 석조여래좌상처럼 작은 규모로 바

위를 깎거나, 통일신라 이후 군위의 석조삼존불처럼 자연석굴을 이용한 석굴사원이 있었을 정도임

: 석굴암에 이르러서 인공석굴을 조영하게 된 것

2. 우리나라 불상의 변천과 석굴암 불교 조각의 의미

①불교 전래 초기 시기의 불교 조각
最古 고구려 백제

뚝섬출토 금동여래좌상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서산마애삼존불

- 1 -
②신라~통일신라시대 불상의 변천과 석굴암 본존불
경주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

장창곡 석조미륵삼존불

경주 배동 석조여래삼존입상

군위석굴 삼존불

경주 남산 칠불암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

남산 불곡 여래좌상 군위 석굴 삼존불 경주 남산 칠불암

석굴암 본존불

3. 석굴암 구조와 불교 조각

-인공석굴. 즉 바위를 파서 만드는 인도나 중국의 석굴사원과 달리 화강암 판석을 쌓아 올린 구조

-전실, 주실, 통로로 구성

: 전실을 사각형, 부처의 세계를 상징하는 주실은 원형으로 형상화 함

-천장은 궁륭상으로, 중심에는 연꽃을 새긴 둥근 커다란 돌이 있어 무게중심 역할을 함

-전실과 주실, 통로 벽에 모두 38기의 불상 조각

-본존불을 비롯한 불교의 세계관에서 등장하는 주요한 신적 존재들을 하나의 공간에 종합적으로 배치

: 통일신라 시대 불교 사상과 신앙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줌

-불교 조각들의 조각 기법이 매우 수려하며 높은 완성도를 보여줌으로서 불교 예술사적 가치가 높음

- 2 -
사천왕 인왕역사 보현보살 11면관음보살

4. 석굴암 보존의 과학성과 현황

-연중 온도와 습기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오랜 시간 원형을 유지할 수 있었음

①바닥에 물이 흐름
: 바닥을 실내온도보다 차갑게 함 →공기 중의 습기가 바닥에 맺힘→조각상 보존
②원형 돔을 덮고 있는 자연 자갈
: 바깥의 덥고 습한 공기가 자갈층을 지나 들어오면서 제습됨 →차갑고 건조한 공기가 내부에 들어옴
→조각상 보존
- 3 -
: 바깥의 온도가 내부보다 떨어지면, 내부의 따뜻한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자갈층의 습기를 빼앗아

배출됨 →조각상 보존
-그러나 잘못된 복원으로 인해 현재 석굴암의 보존 상황은 긍정적이지 못함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