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붙임1)

2016년 발굴 40주년 기념 기획특별전

“신안해저문화재 대공개(가제)” 기획(안)

2016.4. 아시아부

Ⅰ. 전시 개요
1. 전 시 명: 발굴40주년 기념 기획특별전 “신안해저문화재 대공개(가제)”
2. 전시기간: 2016.7.26.(화)~9.4.(일)
광주박물관 순회전: 2016.11.22.(화)~17.2.19.(일)
3. 전시장소: 국립중앙박물관 기획특별전시실(1249.36㎡)
4. 전시유물: 도자기, 금속기, 동전, 자단목 등 우리 관 및 국외 소장품 400여 건
(*동전28톤, 도자기 1만여 점 별도 추가 전시 예정)
5. 국내외 차용 기관
- 중국: 절강성박물관, 영파박물관, 천일각박물관 등
-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국립역사민속박물관, 오사카동양도자미술관
- 국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화정박물관

Ⅱ. 전시 목적 및 의의
1. 발굴40주년을 맞아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전시로 구현하여 신안해저
문화재에 대한 관심 유도
2. 신안품 외에 중국·일본에 있는 관련 전시품을 차용 전시하여 동아시아
해상실크로드 문화교류의 대중적 공감대 형성
3. 이번 전시를 향후 신안해저문화재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의 계기로 삼고자 함

Ⅲ. 전시 방향 및 구성
1. 최근 연구 성과를 반영하고, 미공개 소장품을 대량으로 공개하고자 함
2. 공예품, 동전, 향신료, 자단목 및 선상생활을 보여주는 유품의 실제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당시의 생활문화, 특히 소비문화의 일면을 보여주고 함
3. 감응 영상을 설치하여 관람객의 이해를 돕고 적극적으로 전시에 참여하고

- 1 -
즐길 수 있도록 유도함
▣ 전시 구성안
전시유물
주 제
신안품 서화류
전시를 열며 항해의 돛을 올리다 청백자 유리홍 쌍엽문 접시

경원로명 청동추 宁波府志

지치삼년명 목패 朝野群載
1. 동아시아 무역경로와
신안선 ⓵ 도량형: 청동추, 저울, 자, 벼루, 붓, 나무상자 등

신안선, ⓶ 금전거래: 동전, 은정, 지폐(鈔印)



14세기
1 ⓵ 음식: 웍, 국수국자, 깔때기, 나무저, 세토매병,
최대의

무역선 주칠사발, 과일씨, 각종 향신료
2. 선상생활 ⓶ 종교: 바라, 동종, 경자, 보살상, 도사상
⓷ 오락: 주사위, 장기마
⓸ 생활용품: 칼, 칼코, 나막신(게다)

3. 침몰과 발굴 영상 및 모형

절강성, 강서성, 복건성 등지에


서 제작된 도자기
1. 도자기
고려청자매병, 대접, 베개, 연적
제 신안선,
2 보물창고
2. 동전 ‘大錢’ 명 목패, 동전 * 동전 28톤 전시 예정
부 가 열리다
3. 자단목 자단목(大형 小형)

4. 금속기 금속제 병, 대접, 향로 등

宣和博古圖,考古圖,
1. 14세기 동아시아의 금속제 및 도자
武林舊事,癸辛雜識,
복고풍 유행 향로, 병, 이, 대반
雲煙過眼錄
제 신안선에
3 담긴 문화
茶: 다완, 주자, 잔탁, 다연, 차합 宣和奉使高麗圖經
부 기호 읽기
香: 향로, 향병, 향시, 향저 慕帰絵詞,香譜,甁史,
2. 일본 상류층의 중국취향
花: 화병, 화분, 수반 甁花譜,君台観左右帳
畵: 목제축, 회화작품 記,格古要論,諸蕃志

전시를 마치며 기다림, 그리고 재회

- 2 -
Ⅳ. 주요 전시품
1. 전시를 열며: 항해의 돛을 올리다
- 신안선의 모형과 출발하여 순항하는 장면 영상
- 관람객이 신안선을 발굴 체험하도록 하는 인터렉티브 영상 설치

2. 제1부: 신안선, 14세기 최대의 무역선


- 신안선의 출발항 영파의 상황, 시박사 무역허가 문서 등을 전시함
- 무역품 거래 및 선적 상황과 무역선의 구조 소개함
- 조리기구, 음식용기, 놀이 기구, 종교의식 등의 도구로 선상생활을 보여줌
- 침몰과 발굴 과정 영상 및 모형 설치함

‘慶元’ 명 청동추 元昏烂钞印 <寧波府志> <朝野君宰>


신안9937 절강성박물관 천일각박물관 국립역사민속박물관

청동주방용구 동제바라 청동자/목제자 주사위/바둑알


신안23219 신안13218 신안23509/신안23890 신안19476/ 신안23522

3. 제2부: 신안선, 보물 창고가 열리다


가. 도자기
- 총수량 2만여 점으로, 중국 전 지역 가마의 청자, 백자, 청백자, 흑유자 등
총망라하며 고려청자도 포함되어 있음
- 일상생활용기, 의례용기, 장식용기로 분류하며, 기종은 접시, 대접, 잔,
잔탁, 호, 주자, 병, 향로, 베개, 소조상 등이 있음
- 동 시기 중국도자기 및 금속, 칠기공예사의 편년을 확립하는 결정적 자료임
- 중국 전문가 초청 신안품 공동조사 결과를 전시에 반영하고자 함

청백자 흑유자 북방 흑유자 고려청자


청자
청자병 청백자베개 흑유잔 흑유호 고려청자베개
신도375 신도393 신안22664 신안9276 신안20336

- 3 -
나. 동전
- 출토량은 약 28톤, 갯수로는 약 800만개에 해당함
- 일본 현지 통용화폐 사용 목적으로 수입한 것임
- 당시 중국 동전은 아시아의 광범한 지역에서 통용되었음

‘大錢’명 목패 ‘奉加錢’명 목패 동전 동전
신안 신안23737 신안11065 등 신안9498

다. 자단목
- 총수량은 1,000여 본에 이르며, 용도는 불상과 가구 및 공예품 제작을
위한 것임
- 기록된 로마자 및 아라비아 숫자로 자단목의 이동 경로는 동남아시아에서
생산되어 이집트나 기타 유럽에까지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이 가능함

△ ▽ 표시 자단목 XlX 표시 자단목 lll 표시 자단목 | X , 大一 자단목


RS264 RS049 RS060 RS287

라. 금속기
- 성분 조사결과 성분 청동, 주석이 대부분임
- 기종으로는 향로, 병, 동경, 장식기 및 주석정 등이 있음

청동병 청동 사자형 향로 청동 필가 금속제 장식


신안24525 신안6639 신안23327 신안23168

- 4 -
4. 제3부: 신안선의 문화 기호 읽기
가. 14세기 동아시아의 복고풍 유행
- 송대 하상주 삼대 예제 재현 흐름, 하상주 고동기에 관심, 모방
제작하였음
- 휘종 때 宣和博古圖, 考古圖 편찬, 청동기의 표준을 삼음
- 원대에도 계속 유행, 도자기 재질로 청동기 형태 제작으로 대중화
선도함

청동 향로 청백자 향로 청동 향로 청자 향로
신안2002 / 신안2003 신안6682 신안6657 신안7246

나. 일본 상류층의 중국취향
- 차·향·꽃·그림(茶·香·花·畵) 생활 예술의 도구들을 전시함
- 종류는 일상생활용품을 포함, 다도구, 향도구, 화기, 서화 작품 등이 있음
- 중국 송원대에 상류층에서 크게 유행했던 생활 예술(點茶·燒香·揷花·掛畵
-四藝)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음

흑유찻잔 청동향로 청자어룡식양이화병 목제축


신안1912 신안2001 신안6558 신안7649

5. 전시를 마치며: 기다림, 그리고 재회


- ‘流紅記’라는 시가 적힌 청백자 접시의 사연을 소개하여 전시를 마치고자 함
- 당나라 궁녀의 사연이 적힌 이 접시는 원래 한 쌍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아직 찾지 못한 다른 한 짝을 찾는 것이 바로 우리의 숙제라는 메시지를 전
달하고자 함
- 14세기부터 21세기인 지금까지 동아시아 문화교류의 중심이 되고 있는 신안선이
50주년, 100주년에는 더 알찬 내용으로 우리 앞에 나타나갈 기대함

- 5 -
Ⅴ. 영상제작(안)
1. 개요
가. 영상수량: 대형 3, 소형7개
나. 영상종류: 라인 그래픽, 인터렉티브, 슬라이드식, 에니메이션 영상 등
다. 모니터: 대형(75인치 터치 LED TV) 및 소형(전시내용에 따라 크기선택)

2. 제작내용(안)
위치 제목 및 내용 영상 종류 비고
신안선 모형 및 라인
1. 신안선의 출항과 항로 그래픽 영상 대형
전시를 (2~3분)
열며
2. 신안선을 내 손으로 인터렉티브 영상
대형
(관람객 손으로 신안선을 발굴 체험) (2~3분)

3. 출항지 영파 슬라이드식 영상
소형
(무역항 영파의 역사와 신안선) (30컷)

4. 전시품으로 본 선상생활 에니메이션 복원


제1부 소형
(각종 생활도구로 선원들의 선상생활 유추) 동영상(2~3분)

5. 침몰과 발굴 다큐멘터리 편집
소형
(침몰과정 및 발굴과정 영상(2~3분)

6. 동전의 활용
작품 사진
(일본에서 동전으로 물건을 구매하고 동
제2부 슬라이드식 영상 소형
전을 땅에 파묻는 장면 등 동전관련 자료
(5컷)
로 당시 동아시아 중국동전의 유통 이해)

7. 향도香道 모형제작, 시연장면


(신안선 발견 향로를 모형 제작하여 시연, 촬영 및 영상 제작 소형
향도 시연 장면) (5분)
시연장면 촬영 및
8. 건요 흑유잔 금속구 제작
제3부 영상 제작 소형
(보존과학과 협조 금속구 제작 과정 촬영)
(2~3분)
10. 화병으로 사용된 고려청자베개 모형제작, 일본측
(고려청자 베개 모형 제작하여 실제 곷병 제공 화면 편집 소형
으로 사용하여 전시) (2~3분)

11. ‘流紅記’
전시를 영상
(시 구절 원문과 번역문 화면이 잔잔하게 대형
마치며 (1~2분)
위로 올라가며 마지막 여운을 남김)

- 6 -
Ⅵ. 전시도록 구성(안)
1. 개요
가. 도서명: 신안선, 새로운 항해의 돛을 올리다(가제)
나. 규격 및 면수: 국배판, 360면 내외
다. 발간부수: 1,500부(업체와 협의 후 변경 가능), 800부 구입
라. 발간방식: 위탁발간
마. 발간일: 2016년 7월 25일(예정)

2. 구성(안)
구분 내용
일러두기 및 목차
인사말
전시를 열며 항해의 돛을 올리다
신안선, 14세기 최대의 무역선
1 동아시아 무역루트와 신안선
1부
2 선상생활
3 침몰과 발굴
신안선, 보물 창고가 열리다
1 도자기
2부 2 동전
3 자단목
4 금속기
신안선의 문화기호 읽기
3부 1 14세기 동아시아의 복고풍 유행
2 일본 상류층의 중국취향
전시를 마치며 기다림, 그리고 재회
1 신안선과 주변 정세 (이강한/한국학중앙연구원)
2 원대 화폐 제도와 유통 (李曉萍/절강성박물관)
논고(가제)
3 신안선의 금속기의 성분과 특징 (이용진/부여박물관)
4 건요 흑유완 금속구 분석 (황현성/보존과학부)
부록 Abstract
지도: 동아시아 지도/ 중국 가마 지도
신안선 발굴연표
도판설명
참고문헌

- 7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