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82

밭간동룩번호 11-1550197-

OOOO12-14
국립해 양문화재연구소 학슐총 서 저| 22집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Ta않nMa
doS피pwgkNo.
2
맨뼈발빠뱀함렘웹짧괴빼E
U
반*느깐: :냐끽・
! 」‘” ‘
1*’

!‘
낫 τr닝“5“j

:r
,:
;
|
1합 필‘
?
싹-i
g
;갚f
;;
펴;‘
폰펀El
fFf
’1i
;・
,
4t
1

E
꿰쁜f
n}도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 .등순 ll
Tl
C뼈

-ι ‘
돈i홍
t죠t

뀔컸
화am
§뚫뺑r
몇끊

발간 사

국웹해잉문화재떤구소는충청님도근흥띤마도해역에대한수증발굽조시-
결과20
09년마도1
호선.
201
0
년따도2
호선애이어2
Oll
년에는마도3
호선까지띨굴했습니다 마도해역은‘
난파선의공동묘지‘
이지-
-비디-
속 경주.
리는 딸이 」
듀색하지 않습니다.

미도2
호선은현재의전라북도고창일대에서거둬들인곡룹등을싣고개경으로헝:
하던증난파된고려
시대곡펀운빈-
선임니디 마도2
호선발굴성과흘간략하게정리하띤다음과같습니디.
첫째축설을n
ll
딜고나온왼형의n
ll
병2침입니다 n
l
l뱅이리는그릇은이흠다운형태로인해우리국민이
지팡스럽게생각히는문화유잔 중하나입니다 그런데이번띠도2
호선에서나온n
ll
명에는회렐표로죽침이
매달려있었고.
그내정「
을판독한깔과새로운사실두기지기밝혀졌습니다 즉고려시대시템들은떼병을
;
준(柳)
’이라고불렀디는시실괴놀함께도깎기름과팔등을팀은생젤용기았디는침입니다.
둘째마도l
호선괴l
까친-
기-
지로U
l도2
호선에서도4
7점의고려시대목긴과죽찰이발골되었습니다 복
간에는회뀔의빌송지,
수취인,
회울종류와수량등이구체적으로적혀있어마도2
호선의역시적성격을
밝힐수있게되었숨니다.특히수취인중이극서(
李표땀)
는l21
9년추밀원부시를 지낸인렐인데,마도2
호선판긴에서그는낭숭(
郞l|
l
)으쿄기꽉되어있습니디 따도2
호선의시기를유추할수있는매우종요한
단서 입니다

셋째꽉긴에적혀있는회물종二
류는다잉:
한데l
니와썰.
콩.머
l주등괴-
같은곡펀류와함께누
흑이나젓갈
종류도니옵니디 불콘따도2
호선에서는디%
댄l종류의곡물류도함께발굴되었습니다.
고려시대시템들이
무엇을백있는지이주 구체적으로파익할수있게된것입니디-
-
넷째미}
영외에도마답 호선에서는양질의고려청자꾸려nl
가니왔습니다 그증뚜껑이있는잔은유잭
이나모양이아름디운데강진괴더불어고려청자생산지토유l
성한부인에서만들이진것입니다.부안산고
려칭지-
안구의 중요한 지료 기-
될 것임니다.

수증발굴조사l
듀티보고서빌간에이르기끼지많은분블의노력이있었습니다.태풍곤피-
스로인해벨굴
조시딘이시용하던임시건불이훼손되기도히고.또한한치잎싱황도알수없는변호댐싱한 바다 날씨속
에서의수중말꿀작엠은만만치않습니다-
온갖어려윤을이겨내고안전하게유룹을발굴한빌필덤괴점-

사야러분의노고는이루땀할수없습니다 발굴된유둡의보존처리에정성을쏟은보존처리팀의노력액시
빼놓
을 수없습니디‘
특l휠히시간을내어유둡의분석괴-
논고를보내준김민구,
안덕임.
박기정선생님께도
깊은 감시를 드립니다

미-
도2호선말굴성과를서둘러공개하려는의욕에넘치발필 I
년내에보고서를펴내디보니소림r
힌-침이
없지않을것임니다.이점은주한l
필고등을콩해보완히고지합니다.

2011,
11.
30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장 성 낙 준
Director’s Message

Narional Research lnsri mre of Mari rime Cultural Hcrirngc co nducred underwarer excavarion in rhe warers of Mado.
Geunheung- myeo n‘ So u[ h Chungcheong Province. These projecrs led rn rhe exc꺼va rion of Mado Shipwreck No. I
in 2009 ‘ Mado Shipwreck No.2 in 2010. and Mado Shipwreck No.3 in 2011 끼ie warers of Mada are dubbed the
’cemerery of Shipw1eck ’ and 'underwarer Gyeongju ’ (Gyeongju was me capiral of the an디enr kingdom of Silla. A vasr
number of archaeological sires and culwral propenies remain in the ciry)
Mado Shipwreck No. 2 ‘ from [ he c。「yeo Dynasty ‘ was being used rn rran sp。 n crops c。 ll ecred f「om rhe present-day
Gochang area in North Jeolla Province [ O Gaegyeong when ir was shipwrecked. 끼ie fo llowing summarizes 버e OU [ come
of excavaring Mado Shipwreck No. 2
Firsr. rwo Meiping (Celadon Vase wirh a small slightly curl ed mourh rim. shon neck . round should er. and
co nmicred waisr) were di scovered in rh ei r complere form. rogerher with a bamboo rag attached The Meiping is
a cultural heritage [ hat Koreans have grea t pride for ‘ main ly because of its beautiful form. The Meiping rhar were
discovered on Mado Shipwreck No. 2 ha[ l Bamboo documem arrached ro diem. An analysis carried our 。n me bamboo
rag led ro rwo new discoveries . People of rhe Goryeo Dynasty αli ed rhe Meiping in a differem name - jun (햄) - and [ he
Mei ping fu nctio ned as a co ntainer used in dail y life ro sro re sesa me oil and honey
Second 47 wooden rag and bambo。 rag were found Wooden and bamb。o rag were also discovered on Mado
Shipwreck No. 1. There is detai led information wri [ ren on the Wooden rag. including where 버e cargo were sem from ‘
the in tended recipients‘ as well as the types and amount of cargo. The Wooden tag thus subsranrially conrribured ro
identifyi ng th e hisrori cal characrerisrics of Mado Shipwreck No. 2. One of the intended recipients was 나e Geuk-seo ‘
、vho was an official of rhe Security Co uncil in I 219. Lee's rank was written down 잉 Nangjung on rhe Wooden rag
disc。 vered. ”
-n1 is informarion was exrremely imponam in ascenain ig the period of [ he shipwreck
끼i i rd. various rypes of goods are written on 버e Wooden rag discovered on 끼iey include such crops as rice. beans.
and fermemed soybean lumps. as well as malr and salred fish In “ ct. various [ ypes of crops were found on Shipwreck
No. 2. ll1is d.iscovery led ro derailed knowl edge of whar people in rhe Goryeo Dynasty had for food.
Founh ‘ a grear number of high-qu떠 | 〔y Goryeo celadon wares were discovered. in add irion ro rhe Meiping. Cups
WI [ h a Lid are beauriful in [ heir color and shape. 끼1εy were made in Buan ‘ wh ich is famous as a producrion sire for
Goryeo celadon wares. roge [ her Wπh Ga ngji n They will provide imponam dara for research on Goryeo celadon θom
Buan
Many officials made grear effons [ hroughour 띠l sreps needed ro publish rhis reporr. beginning wid1 rhe underwater
excavarions A remporary building rhar was used by rhe excavarion ream was damaged by Typh 。on Kompasu
Underwarer excava rion proje다S were di 태 culr wirh rhc consra nr change in rhe wearher and marine environment.
Substantial efforrs were made by the excava [ ion ream and divers ro overcome such difficulties and excavate rhe relics
WI[ bout damage ‘ ll1e co nservation treatment re;u11 also worked hai·d ro ensure rhe proper conservation of [ he relics. I
쇠so rake d1is opponuni [ y to deeply thank Mr. Kim Min-gu ‘ Mr Park Gi-jung ai1d Ms. Ahn Deok-im for ai1alyLi ng
rhe relics and shari ng rheir analysis results
끼hi s repon is being published in less than a year si nce rhe excavarion of Mado Shipwreck No. 2 in [ he hopes rhat a
grea rer number of peo ple lea rn about [ he exαivat ion ourcome soo ner 끼ii s is why die repo n might bε missing so me
detai ls Shor[ comings will be add ressed in a separate report issued at a larer date ..

Novembe 「 30 2011
Direcror Seong Nack-jun
ar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 rural H eritage
일러두기

이보고서는2
010년5
웰4일부Ell
0월2
0일까지충남패안군미도해역에서실시한마딩 호선수증발굴조
사 내용을 딩은 것이다-보고서 기술 원칙은 디음 괴 걷다.

1.수중발굴조사의특성을 잘 드러내기 위해 기존의 출토’


대신 출쉬 出l
에’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2.원고는 흔딜 전용을 원칙으로 했으나 혼동의 우려가 있거나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한자를 병기했다

3용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필요한 경우에는 괄호 요뻐l적었다

4정자나 백자의 한자 묘기는 줌짧 白磁로 통일했다

5 유구도면의 축 척은 지 면 여백에 맞추어 정하고 각각의 도 면에 축척을 표시 했다

6.유물도면의 축척은 1
/3을 기본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도면에 축척을 표시했다

7지도와 유구도먼의 방위는 자원 磁北}


을 기준으로 했다
목차

002 발간사

006 주요사진

I . 머 리말 012 1. 조사개요
014 2 조사경과

014 3 수중발굴조사단구성

017 4 조사일지

036 5. 잠수일지

JI . 조사환경과내용 046 1. 조사해역의해앙환경


052 2 조사장비

063 3‘ 조사내용
096 4 선체

m 걷
흐Fλ
T、「。r경口를 158 1. 도자기
253 2 기와

264 3 목간

310 4 금속유물

323 5 석제유물

326 6 목제 죽제 초본류유물

336 7 식물류

342 8 동물류

N. 보존처리 및 분석연구 364 1. 마도2호선 출수 고려정자의 자연과학적 분석연구


381 2. 마g호선 출수 정X음끽변호떨지문매병의 복원
385 3. 마도 해역 출수 정동기의 금속학적 연구
402 4. 마도2호선 출수 목재류 및 초본류 수종분석
415 5. 마도2호선의 연륜연대 분석
423 6 방사성탄소연대측정

V , 고찰 434 1. 마도2호선 출수도자기의 특징


438 2. 마도2호선 목간의 분류와 내용 고찰
448 3. 마도2호선 잔존선체 구조 고잘

W , 맺음말 470
474 초록
|6

칭자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매병

상감매병과 함께 발견된 죽찰 정자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매병의 수중 매올 상태


7

정 자음 각연 화 질지문 매 병

음 각매 병과 함 께 발 견된 죽 찰 매병 과 죽칠 의 수중 매몰 상 태
18

원통목 수중상태 마도 2호선 줄 대구 멍

、 ‘

수중에서 볍씨를 수습하는 모습 통형잔 제토 모습


추;
L
절제솥과 그릇의 수중매몰 상태
-

- - - - -

따I
R 핸웰꽤셀
따뭘 탤휠활 과
따I
3 환활뿔 훨 희웰 맴핑

만맘 댈 웰딛꽤

략E
i 덤탤홈필때
1 l2

1.조사 개요

。같느A1
〈〉 니- -1

1
980
년대에마도잎바다에서양식암을히딘이민들이수차에걸쳐수종유룹을빌낀 신고하띤서당시
문화재관리국(
現,문화재청)
과해군이농
上동으로E
ll
안인근해역에대한수중문화재탐시를실시하았으나
가시적인성괴를거두지봇했다 그이후2
007년주꾸미가정자대접l
칩을끌어올려발굴조시가시작된
태안군근흥떤다
l섬의태인선발굴을계기로태안인근해역에대한관심이죄증되띤서수증문화재신고로
떤결되어신고건수기증기했디-그종의힌지침이태안마도해떡이다.
마도주띤인심선택씨기-
200
7.7
.9~72
9일마도해역에서어로작엽중3
치례에걸치그룹에걸려
올라오는청자대접등유불2
4점을발견하여신고했디.이를계기로우리연구소에서는2
007
년10
월과
2
008
년5월2
차려1
에걸쳐유물의매장이부판단을위한긴콰탐사를실시후이를토대로2
008
년7월부녁
본격적인 빌굴조시를 실시히케 되었디-

발굴조사지역은1
990
년대에건설된안흥헝과신진도의다리건설,신진도와마도를연결히는방파제
건설.
신진도형건설등대규모건설이이루어지띤서바다물길이비-
뀌게되었고,
비뀐뜰길에의해해지
지형의변호
l7}일어나게되었는데이때갯벌에붙혔던유물이서서히모습을드러낸것으로보인다.
200
9
년띠도인근해역에서싣시한팀사와시팔조사과정에서u
l-
도l・
2・3
호선이빌견되었고,
동년마도1
호선
에대한조사와선체인%t
을완료했다.

마도2
호선은2
009
년l0
월확인되어2
Ol0
년5월4
일부터본격적인조시를시작,
그해l
0월2
0일까지총
1
25일간조시카이루어졌다-
빌굴위치는N3
6。
4l
/2
33/
/
.E1
26。
08
/2
05/
지침이며,U
1고[
적잉-
호한상태의
고려시대고선박1
척과회불로써볍씨등각종곡식류.청자때l
칭,통형잔등도자류,
호}물의물표인옥간
과죽찰.
각종동뀔
-뼈,
선상용품으로써칠저l
솥과청동순가락,청동그풋,대니무짓기락등디-
종다$
댄f유
룹4
00여젠이출수되었다.
그중에서도특히싱질(
上앉)
의정자매병2
침(상감,
음각)
은각각수신지외 내
용물등을적은죽찰이힘꺼l
발견되어관심이십중되었디-
.그피고선체내 외부에서확인된디-
량의디듬
어지지않은대 소형원통목은여러수중빌꿀(
안죄선,마도l
호선등)
에서출수된비-
있으나그성격이
명확히지않았는데이번띠-
도2호선조시결괴-
회물의선적괴관랜된것이있음을밝히는성괴를거두었다
선빅에실린회물의불표로쓰인꽉긴은앞선마도l 호선에서와따진가지쿄마도2호선에서도디링출
수되었다 재질에따라나무를꺾이서만든것(
복간)
과대니-
무로띤든것(
죽칠)
의2종류가획인되었다-선
박의출헝지를추정힐수있는지역명으로현재의진리- 꼭도고칭군과정응시지역인고칭한( 띔
5%
UU
{연;
)
,무
송현O
X松縣),정치헌(長?
써땐)‘
고부군( 高」캄
뼈)의지L
성이나타나l
Jl
.화울종류는백미(
白米).중Ul
(I|
l米)
등의미곡괴-콩을돗히는태( 太),두(豆)
.매주콜뜻하는빌장(末鴻)
.이외에도난해(
9”
臨;일젓길) ,정밀
(
혜짧;꿀)
.진(파,참기름)
도있다. 이중팔과침기콤이적힌꼭간은대나무료만들어진죽칠인데, 아룹디-
운기형의매병에매달려있었디-
.매멍을고려시대시-
림들은준(
博)이라고불렀디는시실과술뿐아니라
끊이나참기름등귀한식재료를답는그릇으로쓰았디는확인힐수있는매우중요힌유물이다.
목간애는
또한개정에있는관직자계층이수신자로적혀있디-
-득히‘
李JE
{띔’
기적힌목긴을똥해서대략적인시기
를 파익힐-
수 있까l되었디.
13 I

이 띄고서는 문흰석의 책임 하에 신종국괴 임정희기 담당했으며 ‘ 전체적인 교열과 수정가필은 성닥준

이 했다. 발굴조시와출수유물정리 및보존처리 보고서작업에참여한실무인원은아래표와같다.

〈표〉 마5꼬호선 발굴조사 보존처리 보고서 작성 침여 실무인원 현황

구분 어
t=t-"r그- 인원

조사원(발굴/촬영/유물수습/실측등) 신종국, 앙순석, 모원종 노경정, 홍굉희

선박운영/조사보조/장비관리 등 김승삼, 박금수, 임기수, 박광수

발굴조사
강대흔, 김진헌 박용기, 박정원
민간잠수사(조사보조/제토ξ엠 등}
서진식‘ 신승구, 이동현, 주용삼

예인선운용/현장감시 문영남 김희재{신안호L 김상일 정치환(가야호1

정용화, 차미영‘ 김원장, 윤용희


보존처리
유물정리 임성태 1 박선영, 강승흐|, (〕 | 경로
보존처리
분류및정리 신종국1 앙순석 , 김원장, 김헌아, 초|영지, 노행정

검토 성낙준문환석

| 머리말 앙순석 1 1 -3 절[ 신종국1 4- 5절l

|| 조사환경과내용 앙순석 1 1 ∼2절), 신종국1 3절L 노경정14절)

김현아1 1 절L 신종국1 2 절L 임경희 1 3 절[ 이경로 강승희 1 4절l


川 출수유물
원고 빅선영15절[ 차미영 윤용흐11 6절L 김민구1 7절L 안덕임 18절l
~「f人
C;•>

박선영 임성태 1 1 절I. 박기정 이경로1 2절) ,이경로 강승희 1 3절}


IV. 보존처리및분석 치머영 윤용희14절}, 남태광1 5절I. Paleo Lab 서울대학교 AMS
분석실16절l

v 고잘 김현아1 1 절I. 임경희 1 2절 I. 최유리 1 3 절|

보고서
자성
VI 맺음말 문환석

도자,목제,금속류실측 일러人든 노행정, 박선옆 박초아, 잠수정, 김선희, 맹세환, 김훈

f
〔「긍며를
선체실측 일러 AE 30도먼 노경정 1 초|유리 , 임기수, 박광수, 김민주
도면

E
「f.'::」
a 박선영

유구
실측/일러스트 신종국
도먼

주요유물촬영 김선아1 윤동진


사진

E프t여
0
기타촬영 노행정

편집 교정 임경희
|14

2.조사 경과

20
077 데안따도근해유불빌견신고(
총3건,
24섞)
‘20
071
03 패안 씨도 근히ll
차 긴닫탐사

・20
085.
I3~5.l
4 태안따또근히1
2차긴급탐사(
청자6
6점수습)
2
00852
9 패안 따또해역 조시-
지문 위원회 개최

2
00877
~7.l
2 태안1
ll
도해떡l
차수종발꿀실시(
청자44
9점인양)
2
00872l
~200
9.1
.20시적기지정(
6개월마다사적기지정얀징)
2
0093.
l6~324 추가긴급팀사섣시(
청자대점등4
8침수습)
2
009.
430 긴긍팀시 겔과기자브리핑(
태안헌정)
2
009427
~ll
.l5 태안따도해역2
치수증띨굴실시(
고려청자빛선체편등유룹4
23침인양)
2
0097.2 페인미도발굴지문위원회및기자브리핑(
태안헌정)
2
009.1
0.1
5 1
!}
도l호선수증발팔지문위원회의(
태안현장)
-2
009 1
l.4 l
〕l
-
도1호선 띨굴 유렬 기자브리핑(
고궁딱렐관)

’2
OlO 5,
4 배인 마도해역 3
차 수증받굴조시-
칙수

‘2
OlO84 !
]1
-
도2호선줍수유뭘기지브리핑(
고궁빅룹관)
・2010 9 30 데안미도2
호선수중발꿀자문위원회(
E}
1인현장)
2010 lO 20 배인 마도2
호선 l
말팔조사 완료

・2OlO l1.5 태인 마도해역 3


차 밀굴조사 완료

3.수중발굴 조사단 구성

발팔 기간 2010 54~ lO 20

조시단정 ; 성낙준(
국굉해양문화재연구소정)
지문 위원 : 지건낄(
문회재위원.고고학)

윤 용혁(
공주대희교,역시혁)

최항순(
서울디1
희고l
.선박사)

김용한(
국립문회재얀구소.선박시)
・책 임조 시원 : 문흰석(
국림해앙문화재연구소수중발굽과장)
・조 시 원 : 신종국.양순석 ,
모원종,정
L굉희 ‘노경정‘빅금수.김승상 임성태.

임기수(
이상 수증발굴괴)

민간집수사 : 깅패흔.김진힌,박용기.박정원,서진식,이콩현,
신승구.이동현‘주용삼
에인선운 용 문영남,김희재(
신인호)
.낌싱 일 정치환(
가이:
호)
l5

팩책
펙f



r





:


굿
j7
j
5
:

T



}
7



|
품|꽉

T



i


느F





[

r
l
τ
:
j
;
!
h



-
; i
lj
------「

l
V 지구

1-
}--


F
}


=





j〕
7
1
펀l3
랜관
난f
f
「;
÷i 기十 }
지구


도연 2〉마5갖호선 및 시굴조사 현황도(
격자 1
간1Om)

1‘-----
‘ 》→

O구역
[구 역

f구 억
G구 역
H구역
1
구역

=====

ζ====←--- e====」--
M2E3

=====그

‘1

E그 2
010
년시굴지역
2OO9년 시굴지역
| l6


도면 3〉마묘깅호선 구획도(
격자 1
칸1m)
l7

4.조사일지

신 종국

미도2호선은20
09년미-
l
EH지구시굴조시괴정이|
샤델견펀것으로본격적인죠시는2OI
0년부터했으나
최초띈진l
죄획인은20
09년 l
0월에이루이졌디-띠리서 2호선조시는2
009년l
0월중순선처1넬깐시접부
터이미,빌낀피정을이히1
히기위해2
009년의l
l}
도n지구죠시괴정에디l
해서간럭히게언급히~
고지한디
딩초2
008년실시뭔 l
」l
도 l지구 긴급팀시 중신고지들은 l지구(
따도꽉쪽)
뿐l간이-
니리-l
l지구쪽(

도띈 똑 )
에서도유윌이발견펀적이있음을제보했고.이에2
009년3웰l
0일괴-
3월l
6일~2
4일끼지미도
n지구에대힌탐시를 설시했디 탐시결과칭지류오1백자류.침제순.l
셋펀등다양한유꽉들이출수도1
어4
웰띨부터는본격적인딸필조시괄 실시키로했다‘4웰2
7일부터 l I
I지구에디!
힌광약댐사기시작되었
고 그과정에서 I지구에서는미도1
호선이띤낀(
5웰1
임)되었으며.H지구에서는1
l
l또3
호선(
9월l
2일)
이잇띠파델깐되었디 유윌이디핑:
출수되는Ul
도ll지구에디1
해서는7
월부터기존의굉역팀-
사벙식에샤
잎정간격으쿄트펜치를구헥히띠조사히는 시끌죠시로조사빙법을 정멜회하았고‘기존의광익탐시-

벙행했다 시팔은똥서5
Oln.넘북23
m흘 하나의구떡으로삼고.너l
lll
In‘길이2
5m의트펜치를 5
~9m
간격으보구획히이제또히는 빙뱀으포진행했디-7월부터9월뀔끼지A B두구약에 대힌 시굴이완료펴
었고‘9월2
3잎부터C구익에대힌시뀔이시작되았다‘C구액에대한조사기거의완료필부웹인l
O웰I
3
일C구약판넘편모샤바의a
--
l드덴지히부에서선i
11일부파추정펴는복재기-
1l
二촌되띤서l
l}
도2호선이처
음으 갚 확 인되 있디

1
)2OO9년 조사

1
0월 1
2일(
월)구름 조금

C구익이l디1
힌시뀔죠사를원료히고,제토히지않은 니퍼지지씬에서던진및팀색조시플 실시했다
특히구약의님공 f
iL
샤테인Cal
지침트렌지에서는기공되지않고.수피(
樹jk)
기-그대쿄 넘아있는 직정
5~l
Ocm기링의원콩꽉틀이노출되어산지!
해있았디 팀섹피정에서‘
1
‘1지짐에서청지진1
진‘b
4지짐소
젠시 1
침‘a
‘그퍼드 외픽에서 데집 l
점을 벨낀 인잉했다,

1
0월 1
3일(
화)흐리고 비

조1
일원등
L긴F
뜰이펙인뭔;
ll지침주떤을 정넨히가1템-
낌 빛저1
토한 침과‘약 5
Ocm깊이로 시균히였던
l
르떤l
치히부에서추가코꽉지|
외지기류등의유불뜰이획인되어 l
~l5m깊이까지추기히강제또플설시
했디 띔l
l
|1
711
윌쿄조류의흐름이약해트넨치내부에서 정치1
뭔부유렐틀이흡래가지않아시이가극히
제한펴었디-
.히강Xl
l
lE괴정에서선체의일」
;L
로추정되는기공된복재가니E1
니기시작했으나1
.기공복주
변J
l1
-히J뷰에서정지잔l
깐,징지접시l
섬그피고지기피펀등의유물들이노출펴었디

1
0월 1
4일(
수)~1
0월 1
6일(
금)

al
지전의기공된꼭지1
기선체인지여부촬획인히기위해목재노릎을깊이로지l
토직엠을수행했다 l
0월
l
5일제토괴정에서니{
꽉에칭지접시6점괴 청자음걱뇌분진 I
점.그러고어류의l
뼈2점이딘끼져있는또
기호기월수되었다 1
O웰l
6엘에는저|
1
E작암피더붙어도층펙인을위해코이링작9
」을하고지했으니지
반이 단딘해 싣패했다
| 18

1
0월 2
2일(
목)~1
0월 2
4일(
토)

전치수에이어획인된목재를노출시커댄서트렌치남쪽으로제토작암을진행했다 그과정에서2
3일
에칭자접시2접‘24일에는도기호l
점이출수되었디-
-

1
0월 25일(
일)맑음

선체펙인을위한Xl
l
토직엽중목재히-
부에서짚단으로추정되는초본류기하니의 층을이루고있는것
이확인되었디-동쪽-
으로저1
토중도기호기-l
점노출되었으며,약2
n1정도떨어진지점에서도기호3침이
추기로 확인되었으니 수습히지 않고 그대로 두었다,

1
0월 26일(
월)맑음

추정 선체의 노출된 목재와 어저1획인된 도기호

등에 대한 수중 촬영을 실시했디 노출된 목재의 다

듬이진 상태나 크기,형싱이 조시-


증인 마도l
호선의

외판재와 거의 흡사히-
여 이 또한 선체의 외핀채 묘

추정되었다.제토작 엽 중 청자점시 3점‘청자대침 l

점.또기호 l
점.칭동숭가럭 l
침을 수습했다

1
0월 2
7일(
호”구름 조금
선체부근 출수유물{
1026
)
추정 선체 확인을 위한 제토작엠을 실시했디-
-제

토중 도기호와 청자반구정경병이 노출되었고‘그

하부에서 청자대셉괴-정자접시기 ]
l
l리띠 싱패 로 확

인됐다 꾸리미 이외의 청자점시 2침을 수습했으

띠.유물괴 부재 노출싱태 플 촬영하고,나퍼지 유룹

은 추후 정밀조사와 보호를 위해 다시 매몰시줬다.

1
0월 28일(
수)구름 조금
추정 선체펀 노출상 태(
1O견)
지난 2
5일 도기호 3점이 출수된 지점을 선체 내부

로추정하여이지점을임의의기준짐으로지정했다.그점을기준으로북쪽7m지침과서쪽약4I
1
1지점을
1
00g1
1내외의깊이로제토했디-제토괴정에서북쪽 지점에서는꽉재펀들괴꼭간 1
점,핏섬또는 멧짚으토
추정되는유기물괴-
새끼줄이빌견되었고,서쪽지접에서는청지음각띤회절지문때땅의편으로보이는양질
의 정지편 수 침이 출수되었다.
19

1
0월 29일(
목)구름 조금

선i
l1
가 획인 된 C구역 a
‘l지진의 제토구간을 정리

히고‘전널 설정힌 기준침의 죄-


표를 GPS
플 이용하

야 측굉:
했다.KTV에서 미도 n지구 또시-모습괴 씨

뮤즈호에서의 임수묘
L습 등을 촬영했다.

1
0월 30일(
금)구름 많음

[
ll
fEn지구의 비지선 칠수를 위한 선싱장 비를

정리히았고 l
까지선은 신진도 조사딘 시무소 잎 지
KT
V촬영 모습{
1Og)
점으로 이동하o1nxl
구에 대한 2
009년 조사를 u1

부 피했 디

1
1월6
일(금)구름 많음
씨퓨즈호를 이용히-
여 H지구 조시지 떡에 대한 디증셈 음향측심기 침앙을 실시했디

2)201
0년 조사

5월 4일(
화)구름 조금.1
일차

요전에 꼭포에서 테인으 쿄 훈l


발히여 바지선 2대에 받균 정비외-
불퓨듣을 선적하고 민간진수 시-
8냉괴

2
ll
익서를 작성했다 조사단은 죠시원4땅.선빅원 3냉.민간짐수시-
8땅과 예인선 2척으쿄 시작했다.

5월 5일(
수)흐리고 비‘2일차

씨뮤즈ξ촬 이용하。1l
;
ll
x1선을 l
I
}도 갚펑 짝 발필

지섞으쿄 이똥시켜 정빅했다 l


말전기외 제토용 흡엽

펜프 등 주요 장l
ll
콜 설치힌 후 테스트 했디 오후 6

정 직원J
l1
-잠수시뀔 때상으쿄 안전교육을 섣시했다

직원 및 잠수사 안전교육 실시 모습{


55)
5월 6일(
목)르림,3일차

오전에는 인개표 인히1춘헝하지 핏히고.l


l시 40

분정 씨뷰즈호에 장l
ll
를 선적 후 현장으쿄 쓸딸했

다 1
!}
도2호선의 U
|1
볼 위치 획인을 위한 수증팀색

적엽을 설시힌 후.3시경 게수채(


!
해y!
(쨌)
될 지냈다

개수저|
에는 성낙준 소장 등 조시단과 태인‘
콰립해양

분회재인구소깐핍추진위원회 E
l1
인신문사 관겨1

시 등 모두 3
。이망이 진석했디-

개수제(
開水쫓N56
)
|20

5월 7일(
금)맑음,4일차

수중시야(
水I|
l
dRl
댄)기좋지않았디-I
까또2호선위치를디l
럭획인하여선체추정지점과수띤위의바지
선을연걸하는싱승줍을 설치했디.선체의규모및댐향 등을파악하기위해동서방형의트렌치를구획하
이 제토작엽을 수행했다,조사과정에서 선체와 직침 관련이 있는지 여부는 확신할 수 없으나 청지팔 각침

시I
침과 동궐 뼈6침이 출수됐다

5월 8일(
토)맑음,5일차

직년에설치한선체기준점을획인하고.이를기준으로십지-
의트렌치를구획하여조시-
했다 t
까지선을
선체의꽉쪽 인침지짐으로지1
정딱히고,l
랄견된선차1
에대한수증촬앙을실시히였으니-수중시야가나오
지않아지l
데로촬영되지않았다.선체외픽부에서청자집시 l
점과종콰제북서1
영백자띨1
점을인양했다-
・ ←

#
- -


r
!
F

꽉j總 핸:
‘ Ll- l i

fr-“ -
‘,‘
F‘;
;it
iiIJ
it ; 1i」
ξ&‘
ii
갚←


r!- --
;

’장혐릉@ -
--- ‘- r‘

선체 외곽 출수유물〈
58)

5월 9일(
일)맑음,6일차

십자의트렌지제토직업을계속했다 트렌치내부기 l
~l.
5m깊이로제토되어흡임편프제토과정에서
생겨나는부「
우붙이흘근1
71지 않아시야가좋지 않있다 동쪽트렌치제토중선처|외핀으로추정되는 2

의 결구된 목재기 빌견 되아 앙싱-
촬영을 실시했디

5월 1
0일(
월)맑음,7일차

야저1
의심지-
드렌치리인을 획인된선체에 및추어 띤경했디-
.즉.남북방향으로 진행되는 선체를노출
시거는트렌치와이르펜치에서직교히는동서빙향의트렌치를구획하여전체적으로니:
fE잉을 띤다.트
렌치조시결과노출된선체의대략적인길이와 너비룹획인히-
았는데넘북길이 1
l7m내외.너비는5.
6n1
내외로추정되었디.그러고나침반을이용히이선체의매꼴망헝:
측정 결괴-정꼭을기준으로동쪽으로30
도 기울어진(
N-E30
1상태로,현재까지는 선수어삼首)
와 선띠애까
尾)를 구분힐 수 없었다‘

5월 1
1일(
화)흐리고 비,8일차

선kl
l윤픽을드러내기위해흡입펌프를이용한제토직엄을싣시하였으띠.선체방형:
에빚도록l
lf
지선
을이동 재정박시켰다 선제를중심으료히는 수종그리드구획작임을위한라인을제작했는데,그리드
의규쿄는 남북 l
8m(
A~l
샤,동서8
m(l
~8)
로정했다 그리드 외픽에2m간격으로 리인을고정시키기위
2l

한 이 얀깅핀 (
깅 섣피-
이프 )
을l팍있 다 선 처lul
l괄 댐헝 재측 정 결피 동쪽 으보 20(
N-l
:20、
)기윤 어진 것으 로 측

정되았으 나 향후 xl
l측 정을 콩 힌 보 징이 펼요히 디.섣 치된 그 피드훈 앙싱 칠영 했디

5월 1
2일(
수)맑음,9일차

어 저l
에 이어 그 리드 섬 치직 임을 제속히 。1펴 이프 l
꽉는 직엽 을 왼 료했 디 급 빈 차수릎 미부 리히기 위해

비 지선을 정리히 고‘팍 표쿄 운송 헬 유 룹을 포정 했디

5월 1
8일(
호U흐리고 비 1
0일차

l
jl
기 많이 내띠고.비템이 심해 헌정조 시는 콸기능 했디 신진도 한장시-
부싣에 밀깜정비와 월푼 정리를

위한 선빈 등을 제직했디 KI
3
S엑시스 퍼l
섣 저1
직템이 담요일끼지침영할 계획으코 한징을 방운했다

5월 1
9일(
수)흐림,1
1일차

2I
11긴 직의 피 이프 시이 lm 지침에 T 지형 의 스

터1
인리스 봉을 박고.5
ml1
1PP료프첼 이용히oll
m

긴격의 수증 그리드리인을 섣치했디.I


I1
1격지의 넘
쪽 증잉 지점에 그리드l
딩(Al
~AS Rl
~RS
)을 시각

이크델판에 씨서 부착했다 그 리드는 미1


볼 선지|

빙향(
정꽉기준 핀콩 207고1
-일치시갔디

그리드 방향설정 ξ영 (
519)
5월 20일(
목)맑음 1
2일차

안 개가 심해 부두 에샤 다|
기히 디가 9시40분 정 한l

정l
ll
지선에 도착했디 수숭 섣치 그리드 주l
펀을 정

리히고 ‘지1
토용 흡입만프달 직-
암에 용이히도꽉 이

동시켜 난짝의 A피인부터 지|


도를 시적했디 저|
]
료는

Al
~A8 B7
~8그러드에 대해 선체의 일꽉를 노출시
키는 정도쿄만 진행했고.획인뭔 유불은 일딘 수습히-

지 않고 렐앙 및 실측 등을 위해 원 위치에 l
l二
줍시컸、
다‘
그리드영 부착 ξ엽 (
519)

5월 21
일(금)짙은 안개 1
3일차

히루 총일 짙은 인깨기 끼어 P냉 시2
ll
기 좋지 않
았디 A B파인에 대힌 l
치 제또를 왼료히고 선처1

휠 증 진!
적으로 노춘시끼는 직-
임을 진행히키 로 했

디 A5
그리드에서 청지짐시 l
침 Bl
그리드에서 청

자접시l
점괴 청자유걱앵부운 점시 l
점.똥불l
뼈2점

을 딸뀔했디 직암핑경 을 쏟!
영히E1했으니 수종시
이 기 너무 니l
싸 싣 패했디 전 남 대학 괴 운회 지|
협동
전남대학교 현장방문{
521
)
괴 정 니징수 고[
수외 디1
학원생둡이 한정을 빙운했

5월 22일(
토)맑음 1
4일차

D5
.EjN5
~6그리드 제도직임 을 설시했다 X
|1
도괴정에서 기공히지 않이 수피따↑
l
k)기 그대로 남이있 논
l22

원통펀을 이 넓은 범위에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단 원통목틀을 노출시키면서 제토를 진행했디-


5월 23일(
일)비,1
5일차

비비펌이 심해 수중]
콩신장비를 시용힐 수 없었마,선체 외판을 중심으로 제토했으나 수줍시야기-
거의

나오지 않고.바가 계속펴어 오전 조시촬 마치고 칠수했다

5월 2
4일(
월)비,1
6일차

하루 종일 비가 약히가1내리고 안개가 걷히지 않있다 선체 부분을 중심으로 제토를 진행했고,그 과정에

서 F4
그리드에서 목간1
점,K3
그 리드에서 죽칠l
점이 출수되었다.유기유물은 훼손되기 쉬워비-
로 수습했다

5월 25일(
화)맑음,1
7일차
z al4 6

오 랜민 에 밝은 날씨 로 선 체가 전반적으 로 노출 되도 콕 제 토 했 으나 A 4
l?
ta
f
!B
수중시야기 좋지 못해 야려움이 있었고.촬영도 세부 모습만 부분적
|C

으로 이루어졌다 선체 구조피악을 위해 노출된 부분 에 대해 긴단하 D


i 」

까l약실측을 수행했다.

]
5월 26일(
수)맑음,1
8일차 ’
r +

헌재끼지 조사된 평떤을 1


차 노출떤으로 하고,전반적인 시진촬영

을 위해 지l
토작업을 실시했다.해치떤아래 50
~6O
디11
에서도 최근의 마

대.비널.낌통 등이 빌견 되고 있아 적어도 이 깊이까지의 층은 최근에

형성된 것으로 핀단된다 선처l


부에 싱당링:
의 원통꼭들 이 노출되고 있
O
으며,
각 그리드별수중 시진촬영을 실시했다-E2그리드에서 청똥숨기-
Pl
락1
점괴-
동물뼈 l
침이,L5
그리드에서 죽찰 2
침 D7
그리드에서 복간 l
q ----ι-‘

침.청동숨가락편 1
점을 빌괄 했다 R
-」-

노출연 약실측(
525
)

5월 2
7일(
목)맑음,1
9일차

선체 약싣측 및 촬영을 위해 지l
토직엽 을 진행히-

고,영싱 칠영을 실시했디 금번치수 를 마무리하고,

l
jl
지선을 정리힌 후 오후에는 현장에서 칠수했다

6월 3
일(목)맑음,
20일차

I
치 노출띤 상티l
에 대한 약실측괴 제토작 압을 뱅

행했디.시진촬영을 시도히 였으나 수종 시야기-



원통목 노출 ξ엽 모습 5 2
6)
지 않아 실패했디

6월 4일(
금)맑음.21
일차

l
l
二출된 원똥꼭괴 선체에 대한 약실측을 계속히-

고‘각 원롱관썩1해당 그러드와 번호룹 표기한 랴벨

부착을 완료했다 수중시이-


가 양호하여 각 그리드

띨사진침영을 실시했디-

라빌 부착이 완료된 원통목{


64)
23

6월 5일(
토)맑음,22일차

선제 L
ll
부(l
-
I3~5 I
2I5
)외 선2
11서편(
C8‘D7~8 E7~8
)에 대한 제토작암을 진행했디 그 괴정에사

l
f3~5그피드에서는 디|
미-구니외 도기호 청자딴구장정병ol빨견도1
았고.특히 도기호에서는 유기불이 확
인되어 수습했디 선자1서쪽인 D8
~E8
그리드에서는 뱃섬으로 추정도1
는 초꽁류와 생선l
뼈기 출수도1
었다.

l
2그피드에서는 정동순기-
락l짐.l
5그리드에서는 꽉제 진틱 〔
옳任)l
침을 인잉:
했디 유룹 1
l二
출상E
}l
와 유기
룹 수습괴정 등에 대한 영상 촬앙을 실시하고.섣측 완료된 원똥목들을 그피드 밖에 섣치한 그불l
잉으로 이

똥 시줬다 -

6월 6일(
일)맑음,23일차

H4그리드의 대l
l1
-
구니콸 노출시꺼기 위히l유룹 주띤의 흙을 제거했으l
t1
.l:
3‘E6.H5.l
3‘I
5그리드의

저l
또직엽 을 실시했다.저l
토증l
:
3그리드에서는 칭지정시 1
선 칭지진 l
침 디|
비늘 쿄 추 정되는 쭉제푼 l

이‘E
6그리드에서는동플뼈 1
O셈이힌까반에출수되었디‘그펴고H4그리드에서는즉참2섞 H5
그리드
에서는 칭자빈구장정1
영l전‘I
5그리드 및 주변에샤는 상당E
강의 탬씨기 출수되어 촬영 후 인잉:
했다-E6그

己1
드에샤는 디수의 원콩꽉들이 꽉집하거l영쳐 있어 f
l二
출 및 약섣측 후 그 리드 밖의 그플밍으로 이동시컸

6월 7일(
월)맑음,24일차

H3~5그리드.G7 H7그리드 지l
토직암을 진행히았으l
녀.그 괴정 애서 H그피드에서는 도기호 및 철제
솥 등이 노월펴았고,G7그퍼드에서는 꽉긴 l
침이.H7그리드에서는 핍씨기 획인 되이 수슴했디 그피고 E

구익괴 「
l구역의 원동팍을 그리드 밖으쿄 낌이냈으U1
.G7
그리드 직엽]
ι슴을 촬영했다 오후 3시정 성닉
준 소정 등 5
냉이 펀징을 l
잉운했디

6월 8일(
화)말음,25일차

H3~5 E4~5 I
3~4.Cj D5.E5
.G7.
]3~4.I
〈4그리드에 대한 제도직임을 실시했디.그 괴정애서 도

인앙 직후의 대바구니(
68) 인앙된 절제솥 이물질 제거 모습{
68)

기호 l
침 칠지1
솥l침 축칠「
2점 디{
바구니 l
침 칭동그풋 l
침 꽉서멍l
꾀지다{
짐을 인양했다

6월 9일(
수)맑음,
26일차

C4,L
4.F
4~6‘「
l3~5
그리드에 대한 지l
토작암을 진행했디 그 괴정에서 추정 대나쉬L
젓기락 7점괴 죽

칠편 l
선 그리고 H3그리드에서 청자집시 l
침‘정자완 1
침.정지전 l
접.대바구니 l
점,동불 의 낀낌꼴로

추정되는 l
씨l진 선상 취시릎 위해 l
l二
지의 바닥에 낄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기외편들을 인잉했디
|24

6월 1
0일(
목)맑음,2
7일차

C4~5,E5.L3
~4,
M4그리드제로작업을실시하면서기록왼료된원통꼭들을그리드외곽의그물망으
로 이동시켰다.제토 중 E5그러드에서 죽잘 2점과 맛줄의 일부가.M4그리드에서는 목제풍 1
점이 출수되
。,「l
μ 、- 1

6월 1
1일(
금)맑음,28일차

오전에 어지l진행하던 원동{


목 이동 작암을 실시히고 ,현장 절수를 위해 비치 선내 장비를 정리했다.

6월 1
6일(
수)비온 후 맑음,29일차

E3~4.I
6~7,M7,N7,O7
그리드와 F,G,H 구긴에 대한 제토직엽 을 진행했다 E3그리드의 처부 묵

서 도기호편에 데한 수중촬앙을 실시하고.M5그리드에서 청자점시 1


전을 인양했다.

6월 1
7일(
목)안개.30일차

오전에는 현 유구 노출싱태 촬영 을 위해 그 리드 내부의 해조류를 제거히고 ,제토직엽 을 진행했다 그

러나 수중시야가 좋지 봇해 휠앙을 히지 옷하고‘오후부더는 다시 K라인에 대한 제도작엄을 실시했다.K6

그리드에서 청자대침 익:
20여 점 이상이 꾸러띠로 묶여있는 상패로 노출되있다 특히 오전에 그리드 정리

작 업중 외곽쪽에서 지난해 발견되었던 칭자매뱅편이 추기로 수습되었고 2


호선 서북쪽으로 약 l
Om가량
떨어진 곳에서 선체편으로 추정되는 목재기 획인되었다.

6월 1
8일(
금)안개.31
일차

어지l발견된 추정 선체편에 대한 촬영 과 주벤부

를 제토했으나 추가 부재는 획인할 수 없었디 현재

빼꿇
g↑
훌싫

끼지의 2
호선 노출 상데 촬-
영을 위해 그리드 내부 정

리 및 저1
토적엽을 했으나 금일도 수증시야기 좋지
봇해 촬영힐 수 없었디 추기로 B7.O7
그리드 제토

작업을 진행했고,노출 띤에 대한 약실측과 원통목

의 수량을 파악했다
안개 낀 조사현장 모습{
61히

6월 1
9일(
토)안개.32일차

심힌 안개로 출항이불기능 해 기상 디1
기했으니 오후까지 안개가 걷히지 않았디.

6월 20일(
일)안개,33일차

현재의 2
차 노출연에 대한 익:
실측을 싣시하띤서.띠지1
토된 구간(
E4~5,L5
그 리드)
의 저1
토를 병행했다.
그 괴정에서 E4~5
,L5그리드에서 각각 l
진,총 3점의 죽찰이 출수되었으띠.
E5그리드의 청자빈구장경l

과 죽칠의 노출싱 패에 디{
한 칠영 을 실시했다

6월 21
일(월)안개,34일차

2치 노출떤의 원통목에 대힌 라벨링 직엽 (


출수위치 등 표시)
을 실시히고 ,남이있는 1
차 노출띤의 원똥

복을 제거하띤서 그퍼드에 대한 제토를 실시했디 D5그리드에서는 엿짚이,E5그리드에서는 볍씨를 수슴

하이 인양했다 오후에는 2치 노출띤에 대한 시진촬영 을 실시하고 K6그리드 꾸러미로 노출된 정자대점

들을 수습 ・인양히띤샤 그 과정을 비디오로 촬 영했다.


J7그리드에서 목긴 l
점을 수습했디-
25

,;」《를


1‘ 、


칭자대접 꾸러미 노출작업(


621
)

6월 22일(
화)맑음.35일차

K6그피드의 대집 꾸리U1인잉을 왼묘히고.2치 1


l
二판떤의 원똥곽을 수증 그블망으EL이콩시키는 직염

을 진행했디 o|
와 함께 ]
7 K6~7‘M4~5그리드 제토작임을 실시했고‘
17그리드에서 팍낀 l
침.K7그리드

에서 복깐 1
진,M5
그리드에서 청지집시 l
침윷 인잉:
했다 KBS역시스퍼1
셜팀이 띔영을 위해 요전에 현정

을l
앙분했디기-
R후에 섣수했디

6월 23일(
수)맑음,36일차

l
5.j
2 7.N4그피드 지l
토직엽을 싣시했으며‘그 괴정 에서 칭지접시 l
침 꽉긴 l
점 삐2
점.죽찰 2섞‘

c
l|
니무 l
침을 인영했다 K3~5
그리드의 2
차노출띤 원콩꽉을 이동시키고‘2호선 사꽉편의 추정 선지l
편노

촌싱E
H플 웰C
싱했디

6월 24일(
목)맑음.37일차

l
3~5]
3~4‘Fl
5그러드의 원4
띈과을 제가히고 제토직임 을 진행했디 I
3‘]
3그피드에서는 철저1
솥 2접이
1
l
二판펴았으l
녀.l
4‘5그리드에서는 뱃섣 추정 초판류외 댐씨쉴 j
3 4그피드에서는 정동순기럭과 대니무

잣기린 2낌을 수승 했디

6월 25일(
금)맑음.38일차

2
치 노출맨의 원원 수
을 그피드 외픽으 쿄 이동시키는 직업을 실시하고 E
3그피드의 꽉샤멍도기편과 E5

그피드의 정지1
간구징정땅을 인잉:
했디 금번 치수 의 죠시를 1
!1
우리히고 한징 정리 후-칠수했다

7월 1
일(목)흐리고 안개,39일차

오전에는 젤수기낀 동인 선지l니l


부에 쌓인 갯벨 저|
거직암을 심시했디 직엽 증 G6그리드에사동뀔의 턱뼈

가 수습되있다 오후에는 1
.D라인에 대힌 지l
토직염을 실시했고,
]5그리드에서 칭지점시 l
갱‘동펀l
씨l침‘
j6

그리드에서 축침 l
점을 수승했디.신종국 희이1
연구핀이 현장 조시원으로 새좀게힘츄했다
|26

7월 2일(
금)비 바람,40일차

아침부티비l
jl
람이심해서죠시 진행에어려움이있었디-
,F5,I
5,]
6그리드에대한제토작엽을실시했
고.]
6그리드에서 죽칠 l
접을 수습했다.F5그리드에서는 정교하게 상김된 문양이 시문된 정지매병이 빌-

견되었으l
꾀.이 자기의 구얀 쪽에서 쭉칠 l
점을 인양했다 심한 비바람으로 수증시이:
도 확보되지 않아 오

후에는 조시플 진행할 수 없었다

7월 3일(
토)안개 ・비,41
일차

인개가 심하야 평소보디 약 30


분 늦게 헌정에 도

착했디-
.F4~6,G4~5,H5,I
5그리드 제토작엽을
실시했다 특히 F5
그리드의 청지상 감때병의 노출을

위해 마1
병 출수지점 주변에 대한 히강조사를 히띤서

직엽 광경 앙싱 촬앙도 병행했디 H5
그 리드에서 정

지점시 3침.청자대빈 ]
점.I
5그리드에서 청자접시

2침이 출수 인잉:
되었디 깎수따스크의 조l
굉장 치
수중비디오 촬영차 입수 모쉴 73)
기 누수로 인해 고정을 일으켜 수리했디-

7
월 4일(
일)안개,4
2일차

F
4~6,G5,H4~5‘l
4그리드 제토직엽을 진행했

디 H4
그 리드에서는 도기편호 1
점괴 목제뚜껑.청

자디l
접I점‘청자칩시 5
점.청동숨기락 3점.I
4그리

드에서는 청지빈구장경병 l
점,대바구니 1
침,대니-

무짓기락 2
침괴 짓기락이 담껴진 다l
나무평을 ,H5

리드에서는 목간 l
전,청자죄시 1
점,대비규l
니I점.

대니무 젓가꽉 6점,솥뚜껑 1


점,석제풍 l
점을 인잉:
출수유물 재배치 후 정밀실측 모습(
74)
했다.또한 정자 매병 출수지점에서 인섞힌 G5
그리

드에서는 적재싱태 그대로의 통헝진 꾸러띠가 발견되었고,그 인근에서 꼭깐 l


점이 수습되었다 H4
~5구역

에서 출수되는 유꿇이나 취시용 노지의 바덕에 낄았 던 기와 등의 존재로 보아 이 부근은 주벙꽁 긴이었던 것

으로 추정되었다

출수되는유불의정밀실측을위해비지선위에 1
.5×l
.5m×03m의박스를제작,내부에모래를채우
고l
×1m의 그리드를 재현했다 인잉:
된 유둡을 딩초 수증에서 노줍된 상태 그대로 저l
직된 실측대에 배치

한 후 실물의 1
/IO크기로 실측키로 했다-오후에는 그리드 l
굉칭이 표기된 아크렬펀을 수거히-
여 룹이끼 등

을 제거힌 후 그러드땅을 다시 썼다.

7월 5일(
월)안개,43일차

출수유물의 페벨을 피익히기 위해서는 전체 그

리드선을 동 일힌 높이로 찢출 필요가 있었디 이에

호스에 불을 채운 후 수중으로 내려 각 그리드 모서

리의 페벨을 맞추고자 했으니 수암으로 인해 호스기-

임착 되띤서 높 이 비교기-
불가능 했다 결국 다이브

컴퓨 터에서 측정되는 수섭을 기준으로 전체 그리드

모서리의래벨을맞춘후수평계로보징하는빙법으 기준레벨확인작업(
7.
5)
27

로 그 리드 높 이콜 조 정했 다

7월 6일(
호”안개,44일차

어제에이어잔치1그피드의수평괴각도를재조징힌후그러드를지1
설치히→
고 F
3그리드의청자상낌U
H
땅노출싱데에대한영상찢사진침영을설시했디 상감U
ll
뱅히←
부에서정교하게음각힌또다른고급챙지
기획인되었디.그피드냉을표기힌이크필판을디시부착히는 직엠윷완료했다 성닉준소장등3냉이헌
정을 빙분했디

7월 7일(
수)맑음 45일차

칭지싱감n
l1
앵히부의또다콘청자기음끽U
l1
맹인것으보획인펴있디‘띠1
벙이1
대한수증설측을왼료히-

l

}1
괄싱태 l
싱인양장띤을촬영했디 F5그리드의정지생감D
|1
벙괴그히부의정지음각l
J
}l
벙 그리고음각메청
구얀퓨L
쪽에서즉찰l
짐을인잉:
했다 오후에는F
6.G6,H4.H6그리드에디1
힌 지1
토직업을 진행했으띠 그

1--- -

츰흘
흩~역、

---1I걷 를「 ---

‘.,

ι %

Fi!iF냥・」!
--;

인앙된 정자매병(
77)

정자상감매병 인앙 모습{
77) 정자매병 인앙 후 정리 ξ엽 (
7끼

괴정에샤 꽉긴 l
점.죽깔 l
짐과 대니무짓기꽉 l
점을 인양했다

7월 8일(
목)맑음 46일차

F
7.C6
‘l-
l3~5l
3그러드하강조시촬 했으R1
.l3
그리드에서칭지칩시l
점‘정지대점l
점이 G6그리드
에서죽짤l
점 f
i4그리드에서기외편괴칭자접시l
점을 H5그리드에서침자싼구장정벙l
점을 인잉:
했디‘
E
li
힌 G6그리드의 꾸El
ulE
Ell
二줍된 콩형잔에 대한 의:
실측과 시진 촬영도 설시했디
128

7
월 9일(
금)맑음.
47일차

오전에G6
그리드의통형잔2
꾸러미와포장복등을인잉히고,
K5~6
그리드제토작업을진행했다 그
런데수중시야가거의나오지않이-
유룹훼손의위험성이있어잠시조시플 중단했다-오후에K5
~6.F6
.
I
6,G6
구익을히강제토하았고.
K5그리드에서는도기호l
점.청지-
대접I
점.K6
그리드에서도기호l
점,I
6
그리드에서청자음각u
H벙펀괴칭지잔 I
점,F
6그리드에서도기호 1
침을 인잉:
했다 충북대학교박원규교

수 팀이 헌정을 방문했다.

7월 1
0일(
토)안개,48일차

금번치수기-
마무리되는날로수증그러드를정퍼하고,원똥목을그리드댐의그룹망으로 이콩시켰다
l
4그리드에서선체의윷구멍으로추정되는2개의구멍이확인되어약실측을진행하고,저1
토용-진공흡엽
펌프룹 그러드 깎으로 옮갔다-오후에는 현장에서 칠수했디

7월 1
6일(
금)비.49일차

오전부티징맛비기내렸다.D5.E5
,l4~6.K3
~4.F5
그리드제토직엽을 진행했으나오후부퍼빗줄기
가 굵이져 현장 정리 후 칠수했다

7월 1
7일(
토)~7월 1
9(월)비 바람,50~52일차

토요일은전날에이어심한비바람이쏠이치한장조시를 할수없있으띠 일요일괴월요일에도바람。


잦아들지 않고,파도기 심해 조시를 진행하지 못했디-

7월 20(
호”맑음.53일차

조시플 히지 않은 띠칠동인선처l내부에갯떨이싱딩량쌓여전반적인제토작엠을실시했디-직입증
D5
그 리드에서 죽침 2점을 인양했다-
29

7월 21
(수)흐림.54일차

H.l
‘O구약에대힌전띤적인정피직입을했으며‘C4~5‘D4
~5,H4
~5‘F
4.G4
~6그피드에디|
한저1
또직임을설시했디 그괴정에서청동순기픽1
침피꽉깐1
점윷인양했고.H5
그리드에서기와편을수습했
디-E4그리드에서는 소량의 띤씨를 펙인했다

7월 22(
목)흐림 55일차

E4~5.F
4~5.C4~5l
-
l5그리드정리직임을 실시했디-
.그괴정에서G5그리드에서f
rEil
점.청콩그
룻l
점을.E4
그리드에서 대니무젓가딱 l
침을 수숨했다

7월 23일(
금)흐 리고 약한 비,56일차

띈기기 좋지 않았지띤 l
jl
기 약하게 내려 조시쉴

진행했디 오전에는 3
차 노출띤 촬영을 위해 정리
작업과 F
4~5그리드에서 확인된 다1
ll
1
-구니에 대한
시진 촬영을 실시했디 3치 노출띤의 원똥목 을 이동

시키고‘디1
부분의 선제기 노줍되이 있이 유싣을 l

지하기 위해 모리l
주 떠니쿄 선체를 눌리 놓는 직엠을

진행했디‘오후에는 펀앙을 시또했으니 수증시야기~


g반 비 속에서의 조사모습(
723
)
좋지 핏히Q1양호힌 영상을 얻지 삿했고.수풍조사

도 진행한 수 없었디‘

7월 24일(
토)흐 림,57일차

이제에이어선제내부전만제토직엠을실시히고.요후에3차1
l
二줍싱티|
에디l
힌시진을침영했、
디-

7월 25일(
일)흐리고 비,58일차

선i
1l내부 제토직엠 섣시 후 긍l
낀치수 종료에 따

딘1수숭 및 l
lf
지선의 장l
l1
를 정리했디

7월 31
일(토)구름 많음 59일차

선il
l내부에 쌓인 l
믿 등을 전반적으로 제까히고‘

정리히는 직염을 진행했디 그리드 밖의 그렐에 보

관 증인 원콩꽉을 인잉:
힌-준t
l1
될 했디

8월 1
일(일)구름 많음 60일차 원통목 탈엽장 이동 모습{
81)

원통복괴 도기피펜을 인잉:


하여 신진도 현장 시

J
I
L싣의 틸염처리장으코 운빈했다 선i
ll
에 디l
한수

증 정l
필실측을 위해 지l
토 괴정에서 흘이진 그 피드

선을 지l
조정했다
8월 2일(
월)구름 많음‘61
일차

선치1내부 G~M 51
인 전띤 X
|1
토작임을 설시했

원통목 인앙모습{
81)
|30

8월 3일(
화)구름 많음.62일차

선제에대한 정띨실측을 시작했으l


져.한펀으로
는 노출싱태 에 대한 촬영을 실시했다.3
차 노출띤에

서획인된유둡L을수습했는데]
3,]
4그리드에서철저1
솥 2점,04
그리드에서 멧돌1
λll
르‘F5
그리드에서 대

비구 니 l
점을 인양했다.

선체 수중 실측 모습{
8 3)
8월 4일(
수)구름 많고 비,63일차

일기가좋지않아현장조시는히지 붓했으며.금번1
말굴성과에대한기지브리핑을서울국립고궁박둡
관 깅당 에서 개최했다.

8
월5일(
목)구를 많음,
64일차

선체에대한평띤실측을2
l1
속히고.선체인잉을 위해외곽부에다1
힌저1
토작엠도 병행했다.선체외곽
을 저1
토하는 괴정 에서 도기호 3
점을 인잉:
했다

8
월6일(
금)구름 많음,
65일차

선처1
실측과3
차노줍띤의유콸인양작업을진행했다.
H5그리드에서청지침시8
점,청자음각뇌문잔l
점,
도기호l
접.철제솥2점.청동그릇 l
점,H6그리드에서도기매벙1
침,도기호 l
칩을인잉:
했다 그리고선체외
픽부에 대한 제토직엽도 실시했디

8월 7일(
토)구름 많음,66일차

오전에는수중시야가좋지뭇해선체실측을거의진행하지옷히고‘선체외곽부에대힌제토작엽을실
시했다.오후에는실측을진행히띤서F5
.G5
그리드의유룹을 인영:
했는데,F5
그리드에서는청자진 l
침.
도기호2
점,철저1
솥2점‘G5
그리드에서청자접시 1
점.G6그리드에서도기호 1
점,]
7그리드에서복간 1
점,
]
8그리드에서 복간 l
침을 인양했디-
-

8월 8일(
일)구름 많음,6
7일차

선체 인양을 위한 외곽부 지l
EE와 평떤도 직성 작엠을 2l
l
속했디-
-선

체 우현 외곽부인 ]
7그리드에서 목간2점이 출수되아 시진 촬영 후 인

양했디.영국 옥스퍼드대의 김경규씨기 현장을 방문했다

8월 9일(
월)맑음,6
8일차

선처1평띤 실측작암괴 외곽 저|
토작 업을 벙행했다.G7그리드에서

도기호3
점,도기대호2짐.시루l
침을인양했으며,금벤치ζF완료에
띠리-
진공흡 입펌프 호스 빛 유물 정리 직-
염을 실시했다

8월 1
4일(
토)흐 리고 비,69일차

선체 내부 정리 직임 후 평띤실측을 마무리했디.선체 인%
t을 위해

선처1
의각부재떨로2
개의라벨을붙았고,내부정리중E
4그러드에서 i-----

완성된 선체 펑연 도연(
814)
죽찰 l
점을 ι
F습했디,
선체 단띤 실측을 위해 기준 페벨선을 섣치했디-
3l

8월 1
5일(
일)흐리고 비,7
0일차

흡임띈프를이정-
해선제내부플 정피히고.외곽부에 디l
힌 제토작암]
ll선지1l
f
LxH띈쿄 El
벨을부칙하는
직엠을진행했디 외곽부제토중]
9그리드에서죽짤1점,꽉간2점 추정조휴l
뼈일필이렐수되았디

8월 1
6일(
월)흐 리고 비,71
일차

선제단띤도섣측괴외픽부X
l1
토작암을수행했디-
.]9그리드에서추정조류뼈일괄.즉쥔 l
섞이출수되
었디

8월 1
7일(
화)맑음,72일차

어지|
외 미찬기자로선치l단떤섣측괴 외꽉부 제토작암을 실시했으띠 칭지접시2침이출수되었다 선
지1싱태에c
l1
힌수증칠앙을 진행히고 선i
|1내부의대형원통꽉음인양했디

8월 1
8일(
수)맑음 73일차

l
l
|1
불선제애디|
힌-수숭헬영을섣시하고‘내부의대형원풍꽉3점피선자1부재쿄추정되는5개의꽉부재
쉴 인잉했디‘오후에는선처1
내부및그러드외픽을조시히이]
2그피드에서꽉긴l
침 l
9그피드에서정지진
l
전‘정지집시 1전.그피드 l
ll
깥에서 칭지대침 등 9침이 출수되었다

8월 1
9일(
목)맑음,74일차

선체의저펀안결싱E
||
를획인히아평떤싣측도맨을보완히았고‘선i
l1인잉을준l
ll
하이떤지좌현쪽외핀
2띤의부지|
블음분파히-
는작염을진행했다 선체인잉l
E슴에대힌시진괴앙싱펠앙을 실시히→
고 오후에는
외픽부에대한저l
EE직임음2
ll
속했디 죄힌외핀2딘부재2짐.우현외판5
단부새1
침을인양했으마 지긍끼-
지인앙띈부재를태안시무소의띈엠정으쿄이동시컸디 KBS익시스피1
설첼영팀4멍이헌정을빙분했다

8월 20일(
금)맑음,75일차

선체 분리ξ엽 (
8 23)
|32

선처l좌현외판분리작임을실시히고 우헌외핀인잉을 위한제토작암을진행했디.


우현쪽에서정지음각
미1
병펀 1
점과 꼭간 l
젠을 출수했다.

8월 2
1일(
토)맑음,
76일차

우현 외곽부제토와죄한 외핀,지판(
중앙저판
기준동쪽제3열)부재분리작업을 실시했다 치관
은 좌측 3열 2개 부재 분 리기 완료되었디.안흥종혁

교 교장 등 8땅이 헌장에 맹문 했디.

8
월22
일(일)맑음,
77일차
안흥중학교 교사 현장 방윈 g21
)
증잉저핀 기준 동쪽 지판저1
2열(
2-1
)괴-제l
열(1
-
l-2
)분리직엽과그리드외곽제토작엠을 벙행했디.저핀분리작잉중 등;
쪽저판서1
2엘3번째부재히부
에서이형도기l
점이출수되었으며‘부재분리직업광정에대한영싱-
촬영을실시했다

8
월 23
일(월)흐림,
78일차

긍 벤치수 가 끝니-
는 널로 수증그리드외-
선처l
.정-
ul를 정리했디

8월 2
8일(
토)~8월 2
9일(
일)흐리고 비,
79~8
0일차

E
ll
풍곤파스의영형으로비기심하게내려현장조시를할수없았디.

8월 30일(
월)맑음,81
일차

꽁격적인선체인잉:
에잎서 인잉순서와방법.인원등을 결정하기위힌발필단원회의를실시했디-
-이
후동쪽 지핀저1
1띨~3웰의」
듀재l
0개를순자적으로인양하야소형바지선위에올리고,크기계측후건조

선체출수 모쉽 830) 출수된 선체 포장 모습{


83이

되지않도폭비닐료잘포징했디.헤리티지채널괴-
EBS극한직엽철-
영탬이촬영을위해현정에도착했다
8
월 31
일(화)흐리고 비,8
2일차

태풍곤피스가서해안으로이동중에있다는기싱특브기-
있어태풍대비회의를개최했다.현장에도착
하여일딘분리된선처l
진여분(
2개부재)
괴기룡목5
개를 인양하여어제인잉:
된것과함께신진도사무실의
틸엠처리장으로운반완료했다.진공흉입핀프의호스를바지선으로끌어올리고.수종의선체에도모래주
머니플얹어태풍에유실되지않도확했다.그리드외곽정랴중청자침시1
전,칭지진뚜껑을수습했다.수
중정리를왼료힌-
후바지선3척괴예인선2칙을신진항으로이동시쳐태풍에피해기없도록조치했디.

9월 1일(
수)맑음,83일차

태풍 곤파스의 이동정르를 주시하띤서 기상대기 했다


33

9월 2
일(목)
새벽 태풍상륙 오후 검,8
4일차

새벽l시정부터비l풍의직집적인앙형권에들띤서깅힌바딴이블기시직했으l t
1.새벽3
시경최고조에
이르렀디기6시부웹짐진해졌디 El
1풍으쿄인해신진도시무실의컨테이너3대기진꽉되거니한쪽벽떤
이널이갔으l야선처1틸암처리정의한쪽문도시라져바폈다 신진도항으쿄피항했덴발필l 까지선에설치
된전꾀도징한ll탬이l주저앉는피해를임았디오전부터잔꽉된칸데이너에lfL
핀증이딘징- l
j
1등을정리

태풍곤파스로전복된 현장 컨테이너(
92) 태풍으로 무너진바지선 천막(
92)

하고‘바지선의진씩도수리히는등 E
ll
풍피해꽉구작엠을실시했디,
9월 3일(
금)비 온 뒤 캠‘8
5일차

신진행의비지선을죠시현장으쿄이똥 정딱시기고‘
수증의선치l
싱패를획인했다.선지
1는이상없았
으니태풍으로각종해조류들이선i
l1내부에쌓여있어이훈지
1까히는직임을섣시했디

9월 4일(
토)맑음,86일차

E
l1
풍델로7
l4꽉
상히고있디는기싱정보애따테이에대l
j
l히기위해다시비지선을신진도항으로피헝
시키는 직임을 설시했디

9월 5일(
일)맑음.87일차

태풍에대t
ll
한 직염을마친후한정에서젤수했디

9월 1
0일(
금)비.88일차

오전에l
l
1기많이내러기싱대기히고 오후에는칠수했던비-
지선을헌정으쿄이동시켜다시정딱시줬
디 바띤이 심해비지선이똥괴-
설치에어러윤이있었다

9월 1
1일(
토)비 89일차

오진9시까지폭우기쏟이지기상디l기히디가9
시l0분헌정으쿄줍헝-했다 t
l
l지선을정리힌후진공홉
임펌프괄제설치히았고 수증선치l
위에얹았던표[리1
주l서니도지
1거했디오후에는선치1위의갯l
쉰괴각종
이펀짚블을지l
까히고‘우한Rl
펀외곽지1
도직엽을실시했다

9월 1
2일(
일)비온 후 검 90일차

중앙지핀과우한외편을분리하였고‘
4감딘
1작엽광정칠영을시도했으나수증시야기좋지않이실패했
다우현외픽쪽제토직임을설시하는도종청자유걱연화젤지문l
ψ성편2
섞을수습했디분리펀저판이양
성부럭을기지띠π1
윷라서l
I
LE|
1
주머니쿄렐러꽁았다
|34

9월 1
3일(
월)맑음,
91일차

종잉치판괴-
우현외판을분리하고,
분리된부재인%
뇨을준비했다.
선제분리작업모숨을촬영한후선
체를인잉-
했다 석남준조선일보기자가현장을방문히。
1빌굴단원과함께입수히-
여수종선체상황을획
인했다 성닉준소장등4영이현장을방문했다

9월 1
4일(
화)~9월 1
7일(
금)맑음,9
2~95일차

남아있는저판과우헌외핀을분리히고‘분퍼된부재에대한인양작염을9월l5일왼료한후, 9
월16일
신진도사무소의탈암처리장으로이동시컸다.
선체가모두인양된후주변및하부에대한토층조사( 시굴
트렌지조사)
를실시히고.니껴지부분에대한확인조시를따무리하기로했다 이에띠라9 월l
6일는 I라
인에너비lr
n의동서트렌치를5
라인에냥북트벤치를구획하여X|
!
모른시작했다.9월17
일에는정리작업
을 한 후 현장에서 칠수했다.

9월 2
7일(
월)~9월 2
9일(
수)9
6일차~9
8일차

구획된트렌치에대한제토작암과포층조시플실시했디.선수부인남쪽트렌치와우현쪽의동쪽트렌
치에서는패각과유불들이디수포힘된패각층이획인되었으나좌현쪽괴선미부인북짝-
에서는고운갯댈
층딴이획인되었다.
우현쪽의G8
그리드에서묵서1성목제푼3
점이출수되었다선체하부에대한제토작업
도탱행했다.9
월27
일에는중국광동성고고얀구소의석준회(
E俊會)
씨기교류차현장에도착했다.

9월 30일(
목)맑음,99일차

현장 지-
분위원회의를 실시했다 자문위원으로
지건길,윤용학.최항순,김용한 위원이침석하였
고,조시과정에대한설맹.인양된선체실견.현장
벙문의순서쿄 진행되었다-선수부쪽과 우현쪽 트
렌치 제토작염을 계속했디-

자문위원 현장 방문{
9 3이

1
0월 1
일(금)구름.1
00일차

선수부쪽에서확인된패각층노출상태에대한수종촬영을실시한후.실측을위해그리드라인을섣치
했다 토층등의실축을위해수증상태를확인하았으나시야가확보되지않이더이상진행하지뭇했고.
남이있던패각층에대한제토작엠을실시했으띠,그과정에서우헌쪽인I
8그리드에서목간1
침이출수되
었디.오후2
시무렘에는수증시이가진혀획보되지않아1시간동인조시플진행하지뭇했다

1
0월 2
일(토)흐립,1
01일차

선수부와우현쪽에패걱층이노출된부
판에대한평띤실측을실시했디.
선체내부를정리히고‘
토층실
측을위한레벨선을설치했다 현상태에대힌영상촬영후,
오후에는선수쪽의넘북트벤치와우현부의
동서트렌치에대한또층실측을실시했디

1
0월 3일(
일)~1
0월 4일(
월),흐리고 바람,
102
~103일차

오전에선처l
하부에대한정리작업을실시하였으나기상이악화되어R후에는현장조시를할수없었
고,그다음날인l
0월4일에도흐리고비램이심하여기상대기했다.
35

1
0월 5일(
화)맑음‘1
04일차

넘아있는유델표함층(
피!
걱층등)
을지l
l
E히는직업을했으나,
오후부터수증시야기전히팍꾀되지않아싱승했다 MB
c-n/
특종놀피운새싱.
촬영팀 2냉이 현장을 l
잉문했디

1
0월 6일(
수)맑음 1
O5일차

선카
二듀L
외선l
ll
꽉의폐각층을지l
lE히였고 금벤치수를l
l
l무리한후현장에서섣수했디

1
0월 1
2일(
화)흐림,1
06일차

선체하J
;
L외우한외곽의유뀔포함층을제토했으I
져‘우현외곽}
8그리드에서목간3
섞 족칠2
점을 수슴했다

1
0월 1
3일(
수)~1
0월 1
7일(
일)1
O7~1
11일차

선i
l하부외외곽의유불포힌층제토작임을I
I
}무리했디 1
0월l
4일에는태안보존센터기공식행시가신진도시무소에서개최되었고 침석했
던분화재칭낌진치장등이현정에l
잉문했다 l
0월l
7일에는2
호선의및판로추정되는2
침의석x
1
l퓨을인잉했디

1
0월1
8일(
월)~1
0월 1
9일(
화)1
12~1
13일차

l
l
l또2
호선에대힌조시흘1
싸우리하고.
수중그테드히|
제직업을싣시했다‘
탓으보추정펴는파X
l푼을인양했디 주변부에대힌제도직엠과수
종 토층에 다{
한 분석을 위해 도층시료흘 치!
취했디-

1
0월 20일(
수)흐림 1
14일차

2
호선에대한조시플모두왼화하고‘
진공흠입팎프를해처l
히있으l
L
1.바지선을3
호선펙인지점으쿄이동시겠디

발굴단을 방문한 김찬 문화재정 차장(


현 문화재정장)일행과 함께(
201
0101
4)
I 36

5. 잠수일지

일자 잠수자 잠수시간 ξH겁내용 일자 잠수자 잠수시간 ξ엠내용

김현수 08:40- 09 :50 C구역담짐및수색 정용익 10 : 19∼ 1 1 :27 ,,

저。요。이「 10:03- 11 :22 !’ 10/24 김현수 13 :02- 14:30 ,,


2009
10/12
김현수 13:32- 15:02 //
정용익 14:45- 15 :45 //

정용익 15:14- 16:42 //


홍광희 08 :25- 09 :30 노출선체수중촬영

김현수 08 :39- 09 :52 C-a ’ 1 지점 선체 확인조사 김현수 09 :00- 10:10 C-a ’ 1 지점 선체확인 조사

정용익 10:01 - 11 :25 ,, 10/25 정용익 10:20- 11 :27 ’


l

10/13
김현수 13:30- 15:02 김현수 13:00- 14:30 ,,

정용익 15:10- 16 :38 ” 정용익 14:45- 15 :50 //

2010
김현수 08:40- 09 :51 C-a ’ 1 지점 선체 확인조사 강대흔/주용삼 13 :20- 13:51 선체위치확인탐색조사
5/6

~도
C그g。
~ 10:06- 11 :27 I ’ 서진식 9 0 [] - 9:25 풀페이스마스크테〈든

10/14
김현수 13:39- 15:10 1 ’ 강대흔 9 : 30 ∼ 10 : 10 선체 위치확인, 상승줄설치
5/7
정용익 15:14- 16:44 ” 신승구/주용삼 13 :20- 14:45 트렌치제토ξ법

흥광희 08 :33- 08 :56 노출선체및유물촬영 주용삼 15:13- 15:35 2호선북서쪽탐사

김현수 08 :39- 09 :49 C-a ’ 1 지점 선체 확인조사 5/7 강대흔/서진식 14:50- 1615 트렌치제토작업

'2'그꺼도
J-。
~ 09 : 59 ∼ 11 : 20 ” 신승구/주용삼 08:20- 09 :30 선체위치확인 조사
10/15
홍광희 10:44- 11 :12 노출선체및유물촬영 강대흔/서진식 09 :40- 10:50 트렌치제토작업

김현수 13:30- 15 02 C-a ’ 1 지접 선체 확인조사 앙순석 10:00- 10:22 선체확인을위한 탐사


5/8
정용익 15:10- 16 :38 ” 신승구/주용삼 13:25- 15:00 트렌치제토작업

김현수 08:40- 09 :40 코어링ξ법시도 강대흔/서진식 15:15- 16:45 십자트렌치제토직업


10/16
'2'그{도J。
-「I 09 : 50∼ 11 00 C-a ‘ 1 지점 선체 확인조사 。。~-2-
」서「 16:20- 17:05 확인선체사진촬영

10/22 김현수 09 :00- 10:10 C-a ‘ 1 지점선체확인조사 신승구/주용삼 08:20- 09 :40 십자트렌치제토작업


0요C>~ 10:20- 11 :30 C - a ‘ 1 지점 선체 확인조사 강대흔/서진식 10:00- 10:55 //

10/22 김현수 13:05- 14:35 //


5/9 신승구/주용삼 13:30- 15:00 //

정용익 14:48- 15:40 //


강대흔/서진식 15:10- 16:40 ”

김현수 09 :02- 10:14 C-a ‘ 1 지점 선체확인 조사 앙순석 15:14- 15:40 선체외판재사진촬영

10/23 정용익 10:23- 11 :35 ” 신승구/주용삼 08 :50- 10:05 트렌치 제설치 및 제토ξ엠

~|흔ζ섭」-/「、 13:04- 14:35 ,, 강대흔/서진식 10:14- 11 :25 선체외곽획엔작업


5/10
10/23 정용익 14:47- 1545 //
신승구/주용삼 13:25- 14:35 트렌치제토직업

10/24 김현수 09 :00- 10 :12 c a ‘ 1 지점선체확인조사 강대흔/서진식 14:45- 16:10 선체규모파악, 트렌치 제토
37

일자 잠수자 잠수시간 ξ엠내용 일자 l 잠수자 잠수시간 l 작업내용

5/1 0 노켜
ζ〉저
0 15:40- 16:15 선체구조및방항확인 박용기/서진식 12:45- 14:23 원통목라벨부착
6/4
。。ιι
스λ「j 14:45- 15:10 죽간수습굉경촬영 주용삼 14 40∼ 1 6 00 원통목라벨부착

5/25 신승구/주용삼 08 :40- 09 :50 선체내부제토ξ업 신승구/주용심 08 :39- 09 50 Hιcs그리드 저|토즈니엉

홍광희 09 06- 09 :16 현조사상태촬영 노경정 08 :45- 09 45 ξ엽광경 및 그리드 영상촬영

5/25 빅용기/서진식 10:00- 11 :10 선체내부제토ξ엠 박용기/서진식 10 :05- 11 12 08. 88. H 3∼4그리드 제토작업
6/5
홍광희 10:10- 10:40 현조사상태촬영 신승구/주용삼 12 46- 14 10 15, 0 7- 8, E 7 - 8그리드 제토ξ엽

신승구/주용삼 12 40 ‘ 14:15 선체내부제토직볍 노경정 12 50 ∼ 1 4 : 10 。T긍~'


T 〈스B과
5켜。 여
。사。초
근f여

홍광희 1317- 1407 현조사상태촬영 박용기/서진식 1438- 15 55 원통목이동


5/25
빅용기/서진식 1430∼ 16 : 00 선체내부제토ξ엉 신승구/주용삼 08 :43- 09 52 H4, E 6그리드 제토 및 유물인앙
-」

노경정 14:35- 15:40 매몰선체구조확인 및 약실측 。d"」i


」A_,:j 08 51 - 09 :11 대바구니노출장면촬영

신승구/주용삼 08 38- 09 45 선체내부제토ξK겁 6/6 빅용기/서진석 10 10 ∼ 11 : 1 8 E6,13그리드제토

박용기/서진식 10:00- 11:10


- 선체내부제토작업 신승구 1 2 : 48∼ 14 : 0 9 H5, 1 5그리드제토

노경정 10:05- 11 :15 매몰선체구조확인 및 약실측 박용기/주용삼 1421 - 1550 E6, F 3그리드 저|토
5/26
신승구/주용삼 12:45- 14:15 선체내부저|토직법 신승구/주용삼 08 48- 10 02 H 3∼ 5, G 7그리드 제토

홍광희 13:05- 14 25 그리드별 노줄상태 사진촬영 노경정 09 0 [] - 09 40 G 7그리드출수유물촬영

박용기/서진석 1430∼ 16 : 00 선체내부제토ξ엠 6/7 박용기/서진석 10:14- 11 :22 E. H 구간원통목 이동 저|토

신승구/주용삼 08 30-09 :40 약실측 및 선체 내부 저|토ξ엉 신승구/주용삼 12 50- 14 22 H3∼ 5 G7, H 7그리드 제토

。。tζ
」」iλ
「↑ 09 :56- 1030 선체노출상태영상촬영 박용기/서진식 1437- 1605 H 3 - 5그리드 제토/E구간 원통목 이동
5/27
빅용기/서진식 1000-1110
-- 선체 내부제토 및 정리 ξ엠 6/8 신승구/주용삼 0837- 09 :50 H3-5, E 4 - 5그리드 제토

。dfrλ
-「j 11 :00- 11 :20 선체노출상태영상촬영 。〕L」스서「 08:38- 09 00 E 5 정동용기영상촬영

신승구/주용삼 09 :00- 10:05 1 차노출면약실측 6/8 노경정 09 05- 09 :42 조사광경 및 도기호 사진촬영

빅용기/서진식 10:10- 1120 촬영을위한정리 박용기/서진식 10 05- 11 11 13- 4, C5, 0 5, E 5그리드 제토

。J2
」A-「f 10:33- 11 :19 1 차노출면사진촬영 신승구/주용삼 1 2 : 45∼ 1 4 1 5 H4, G 7그리드제토
」-

신승구/주용심 12 50- 14:20 1 차노출면약실측및촬영준비 6/8 。Jf'-


」人-「 12 :50- 1310 H 4그리드유물노출 상태 사진촬영
6/3
。。hιiλ
「↑ 13:17- 13:30 1 차노출면사진촬영 박용기/서진식 14 30- 15 57 0 5, 」 3 - 4 , K4그리드 제토

。。t;」스λ
「j 14:40- 15:10 1 차노출면사진촬영 신승구/주용삼 08 30- 09 :45 H3- 4, F4 - 6그리드 제토

노경정 14 40- 15 15 매몰선체구조확인 노경정 08 40- 09 :38 H구간사진촬영

박용기/서진식 15 20- 16 O[] 촬영을위한정리 6/9 박용기/서진식 09 :56- 11 10 H3- 5, F4 - 6그리드 제토

신승구/주용삼 08 :38- 09 40 약실측 및 원통목수량파악 신승구/주용삼 12 41 - 14 02 C 4, H 3 ∼4그리드 제토


6/4
신승구 10:00- 10 42 1 차노출영사진촬영 | 빅용기/서진식 1425- 16 :00 I C4, 냐그리드제토
I 38

일자 잠수자 잠수시간 ·김엽내용 일자 잠수자 잠수시간 작업내용

신승구/주용삼 09 :05- 10:00 선체내부제토 박용기/서진식 14:34- 16 :0(] K6그리드 청자대접 인앙


6/21
박용기/서진식 1012- 11 :25 C4-5, L3-4.그리드원통목이동/제토 노경정 14:34- 16:00 K6그리드 청자대접 인앙광경 촬영
6/10
신승구/주용삼 12:40- 14:14 선체내부제토 신승구/주용삼 08 28- 09 :42 K6.그리드정자대접인앙/원통목제거

박용기/서진식 14:19- 15:54 선체내부제토 。


ζJf'-
」λ_.q 08:27- 09 :43 정자대접 인앙광경 영상촬영

신승구/주용삼 08 : 45∼ 10:00 E3 - 4그리드, N구간제토 6/22 박용기/서진식 10:00- 11 :08 원통목저|게K6- 7 , M 4- 5그리드제토

노켜。저。 08 : 50∼ 10 : 00 E3그리드묵서명 도기 촬영 신승구/주용삼 12:47- 14:20 원통목제거/J 7 , K 7그리드제토

6/16 박용기/서진식 10:14- 11 :20 F ,G구간 제토 박용기/서진식 1431 - 16:00 원통목제거

신승구/주용삼 13:02- 14:20 1 7 ,M 7 ,N 7, 0 7그리드제토 신승구/주용삼 08 :35- 09 :58 」 7‘ N4그리드제토

박용기/서진식 14:25- 16:00 1 6 - 7, M 7, N 7 ,0 7그리드 제토 노경정 09 :05- 09 :47 2호선 서펀노출목재 촬영

박용기/서진식 08:57- 10:02 그러드내부정리 박용기/서진식 10:10- 11 :15 K3, K4, K5그리드 저|토j원통목 제거
6/23
신승구/주용삼 10 :06- 11 :15 2차노출연 영상촬영/그리드 정리 신승구/주용삼 12 :47- 14:20 15, 」2그리드제토

노경정 10:45- 11:10 2차노출먼사진촬영 。J-2


」 A-,‘ 13 : 10 ∼ 1335 2호선 서편 노출목재 촬영

6/17 박용기/주용삼 12 : 48∼ 14 : 10 K구간제토 박용기/서진식 14:20- 16 :00 」, K구간제토 및 원통목 제거

노경정 13 :15- 14:10 K6그리드 정자대접 묶음사진촬영 신승구/주용삼 08 :35- 09 :42 13,5, 」3그리드 제토

서진식 14:25- 16:00 그리드내부정리 박용기/서진식 09 : 53∼ 11:1 3 H5, 」3 -4.그리드제토 및 원통목제거
6/24
신승구 14:44- 15:38 2호선 서쪽추정 선체 촬영 신승구/주용삼 12:47- 14:15 14 , 5그리드제토

신승구/주용삼 08 :40- 09 :53 2호선A쩔추정챈~I촬영tDl,07.그己E저l토 박용기/서진식 1 4 : 28∼ 16 : 0(〕 」 3 -4그리드 저|토 및 원통목 제거

박용기 10 :12- 11:12 그리드내부정리 및 제토 신승구/주용삼 08 :14- 09 :16 그리드정리 및 원통목제거


6/25
주용삼 10 :30- 11 :10 2호선 서쪽추정 선체 제토 박용기/서진식 09 :15- 1013 그리도 정리 및 원통목제거
6/18
신승구/주용삼 12:53- 14:18 2호선서쪽추정 선체저밀j그리드정리 신승구/주용삼 08:50- 10:00 C , O ,E,F,」 ,K.L.M구간정리작업

서진식 14:25- 15:30 2호선 서쪽추정 선체 제토 서진식 09 :15- 10:13 C . D . E.F구간 정리작업

노경정 14:40- 15 10 2차노출면 사진촬영/추정 선체 확인 7/1 박용기 10 : 04∼ 1 1 : 1 1 」‘ K. L.M구간정리ξ엠

신승구/주용삼 08 :40- 09 :51 2차노출면 약실측/그리드제토 신승구/주용삼 12 : 45∼ 1 4 : 1 3 D, 」구간제토

박용기/서진식 10:00- 11 :12 2차노출면 약실측/그리드제토 빅용기/서진식 14 : 24∼ 16 : 00 D,」구간제토

6/20 노경정/주용삼 10 : 35∼ 10 : 55 E 5그리드유물촬영 신승구/주용삼 08 :25- 09 :48 F5 , 」6그리드제토

신승구/주용삼 12:40- 14:20 2차노출먼 약실측/그리드제토 노경정 08 :50- 09 :40 F5, 」6그리드노출유물촬영
7/2
박용기/서진식 14:27- 15:55 그리드내부전먼저|토 박용기/서진식 09 : 55∼ 1 1 :05 F5, 15그리드제토

신승구/주용삼 0844∼09 : 55 2차노출먼 원통목 라빌 부착 신승구/주용삼 12 :40- 13:31 F5, 15그리드제토

6/21 박용기/서진식 10 : 01 ∼ 11 :10 원통목라빌부착/이동 신승구/주용삼 08:37- 09 :48 F5, H5, 1 5그리도제토
7/3
신승구/주용삼 12 : 50∼ 14 :10 2차노출면 사진촬영/원통목제거 。d"」;::.λ_.q 08 :51 - 09 :09 F5 정자매병 제토광경 촬영
39

일자 잠수자 잠수시간 ξH겁내용 일자 잠수자 잠수시간 ξH겁내용

홍굉희 08 :53 - 09 :28 조사광경 사진 및 영상촬영 7/7 서진식 14 30∼ 15 09 F6, H 6그리드제토

박용기/서진식 09 55 - 11 10 G4, G5, H5그리드 제토 신승구/주용삼 DB 4D- 1D:D1 1 3그리드유물인앙/G 6 ,H 4그리드제토

신종국/홍광희 10 42- 10:58 잠수교육실시 l피교육자 신종국l 박용기 1DD8∼ 1115 H J그리드제토

7/3
신승구/주용삼 12 45- 14 15 F4 - 6그리드제토 서진식 1D:49- 11 :16 G 6그러드제토

7/8

C그LL스-'-~ 1 2 : 45∼ 12 55 수중촬영l시계 물량으로 실매l 노경정 lDJD- 11 :15 G 6그리드 정자동형잔 실측 및 촬영

박용기/서진식 14:27- 16 DD F4- 6, H5, 1 5그리드 제토 신승구/주용심 12:46- 14:23 G6, H 4 , 5그리드 제토

신승구/주용삼 08:35- D9 :53 G5, H4. 1 4그리드 제토 박용기/서진식 14:3D - 16:DD F7, H 3,4그리드 제토

박용기/서진석 D9 55- 11 :10 F4- 6, H 4 - 5그리드 제토 신승구/주용삼 D8:40- 09 :55 G6, H 4,5그리드 제토

신승구/주용삼 12 5D∼ 1419 G 5 ‘ H 5그리드제토 빅용기/서진식 lDDD∼ 10 11 시계불랑으로조기상승


7/4
앙순석 13:4D- 14:52 그리드레벨확인 신승구/주용삼 12:43- 14:23 F6, K 5 , 6그리드 제토
7/ 9
호。고。}「히 13:50 - 14:53 그리드 레벨 확인 광경 촬영 박용기/서진식 14:28- 15:55 G6, 1 6그리드제토

박용기/서진식 15 DD∼ 1 6 O[] 그리드라벨교체 。。.ιiλ


「껴 14:29- 14:50 도기호사진촬영

신승구/주용삼 D8 :5D - D9 :55 그리드레벨확인 노경정 15:00-- 15:35 1 4그리드좋대구멍 촬영

박용기/서진식 1DD7- 11 DD 그리드레벨확인 박용기/서진식 08 :3D- D9 :37 그리드 정리 및 원동목제거


7/ 10
7/5 신승구/주용삼 12 :45- 14:35 그리드수평맞추기 신승구/주용삼 09 4D- 10:51 윷대구잉 약실측/그리드 정리

박용기/서진식 14 45- 15 35 그리드수펑맞추기 신승구/주용삼 D8:56- 10:11 05, E5, 1 4 - 6그리드 저|토

앙순석 1537- 160 [] 그리드레벨확인 7/ 16 박용기/서진식 10:20- 11 :27 F5, K3,4그리드 제토


d'-2-λ
-「껴 11 :DD - 11 2D F 5그리드 정자매 병 촬영 신승구/주용심 12 : 50∼ 13 : 30 D, E구간제토

박용기/서진식 1 245∼ 1410 그리드라빌교체 신승구/주용삼 D8:38- D9 44 0 4∼6 , 」4∼5 K3, L4- 5 제토

7/6 。
d'-2--"
-「f 12 :54- 13 19 라벨교체쟁촬영 박용기/서진식 1DD2- 11 :1D 12-3, L 2 - 6그리드 제토
7/2D
신승구/주용삼 14:15- 15:09 그리드라벨교체 신승구/주용삼 12:40- 14:07 E4 , 5그리드제토

노겨
0저0 15 15- 15:4D 그리드 라벨 교체 상태 확인 박용기/서진식 14:20- 15:40 그리내내부정리


J-2-人
--,• 08 22- 09 40 상감매병 실측 및 인앙광경 촬영 신승구/주용심 D8:18- D935 H , l,O구간 C4,5, 0 4 , 5그리드 제토

주용삼 D8 3D- D9 16 수중그리드라인조정 박용기/서진식 09 :42- 10:56 0 4 ,H 4그리드제토

7/ 21
7/7 신승구 D8 :4D - D9 :4D F 5그리드 상감매병 인앙 신승구/주용심 12:43- 14:11 Fι H 5그리드 저|토 및 유물인앙

박용기/서진식 D9 :45- 11 :05 상감매병및죽잘인앙 박용기/서진식 14:16- 15:58 E4- 5, G 4 - 6그리드 제토

앙순석 1D3D- 11 D6 정지음각매병 노출상태 촬영 신승구/주용삼 D8 24- D9 35 E4- 5, G 4 - 6그리드 제토

신승구/주용삼 12:40- 1419 F6, G6. H 4그리드 제토 빅용기/서진식 09 :54- 11 :D5 E5, F4- 5, H 5그리드 제토
7/22
7/7 신종국/앙순석 14:25- 14 :36 잠수교육 및 유물상태 확인 신승구/주용삼 12 41 - 1411 그리드정리직업

박용기 14 : 30 ∼ 16 Q(] H 4그리드유물인앙 박용기/서진식 14 25- 15:55 그리드정리작업


I 40

일자 | 잠수자 | 잠수시간 | ξ엠내용 일자 잠수자 잠수시간 ξH겁 내용

신승구/주용삼 08:30- 09 :44 F4 , 5그리드유물노출 및 촬영 8/ 3 박용기/서진식 14:30- 15:50 유물노출직법

박용기/서진식 10:00- 10:56 선체를모래주머니로고정 ξ업 신승구/주용삼 08:36- 09 :46 선체 내부정리/외곽제토

7/23 신승구/주용삼 12:36- 13:21 그리드내부정리 '2{-2-


」人 -「↑ 08:41- 09 :24 선체단면측량

박용기/서진식 14:15- 15:52 그리드내부정리 신종국 08 : 43 ∼ 10 : 35 선체단면측량

앙순석 1440- 15:01 선체노출상태촬영 박용기/서진식 10 :01 - 11 :10 선체 내부 정리/외광제토


8/1 7
신승구/주용삼 08 25-0931 선체내부제토 신승구/주용삼 12:40- 14:00 선체 내부 정리/오|곽제토

7/24 빅용게서진식 09 :40- 10:55 C 2 -ι F3 - 5그리드 제토 야


C그λ
나-서-「 13:12- 13 :33 선체노출상태샤진촬영

신승구/주용삼 12:40- 14:09 선체내부제토 。


Jf?-!>:j 1 4 : 08∼ 14 : 25 선체노출상태사진촬영

박용기/서진식 14:30- 15:57 선체내부제토 박용기/서진식 14:46- 15:45 원통목인앙


7/24
。。J~
」서「 13 : 40∼ 15 : 56 3차노출면사진촬영 。d"‘~λ
-「셔 08 : 10 매8 : 45 선체 노출상태사진촬영

신승구/주용삼 08:34- 09 :45 선체내부제토 박용기/신승구 08 :35- 09 :57 원통목인앙


7/25
박용기/서진식 10 : 08∼ 11 : 18 그리드 및수중제토장비 정리 。d"L스」λ
-「서 10:15- 10:41 선체 노출상태사진촬영

신승구/주용삼 08:46- 10:00 D , E,F,G,H구간제토 8/1 8 서진식/주용삼 10:17- 11 :02 내부출수선체 관련부재인앙

박용기/서진식 10:10-11 :20 G,H , I,」 ,O , P구간제토 주용삼 12 41 ∼ 1 4 : 1 9 선체내부및외곽조사


7/31
신승구/주용삼 12:46- 14:01 선체 내부 저|토/그리드조정 신승구 12 43- 13 42 선체내부및외곽조사

박용기/서진식 14:30∼ 15 : 53 선체 내부저|토/그리드조정 박용기/서진식 1431 - 15:55 선체내부및외곽조사

신승구/주용삼 08 :49- 11 :05 원통목인앙 앙순석 08:16- 09 :14 선체 결구상태 확인 및 실측

8/ 1 서진식/주용삼 12:45- 14:15 원통목및도기펀인앙 박용기/신승구 08:27- 10 58 선체 인앙준비{결구 선체 해처|}/인앙

신승구/박용기 14:40- 15:40 원통목및도기펀인앙 홍광희 09 28- 10 58 인앙준비광경영상촬영

신승구/주용삼 08 : 41 ∼09 51 선체내부제토 8/19 앙순석 0 9 : 28∼ 10 28 선체인앙광경촬영


8/2
박용기/서진식 10:08- 11 :20 선체내부저|토 박용기/서진식 12 44∼ 14 : 06 선체외곽제토

신승구/주용삼 12:45- 14 05 선체내부제토 신승구/주용삼 14:16- 15 50 선체외곽제토


8/2
박용기/서진식 14:20- 16 42 선체내부제토 。
C그~-2-
」L 人
--• 1 15 2 0∼ 15 : 38 조사광경사진촬영

신종국 08:50- 10:15 선체정밀실측 서진식/신승구 08 :25- 09 38 선체 좌현분리 및우현인앙준비

주용삼 08:52- 09 :57 유물인앙준비 박용기/주용삼 09 : 50∼ 11 O[] 선체 좌현분리및우현인앙준비

8/3 。
ζ~ζ~
「f 09 : 03∼ 10 : 15 유물노출상태촬영 신종국 09 :55- 10 55 선체 외곽트렌치확인

신승구 0936∼09 50 유물인앙준비 8/ 20 서진식/신승구 12:42- 14:10 선체 좌현 분리 및 우현 인앙준비

박용기/서진식 10:07- 11 :17 F, 」구간유물노출즈법 신종국 13 :14- 13:39 선체결구상태확인

신승구/주용삼 12 : 45∼ 1340 F, 」 1 O구간유물인앙 '?:그~~」i


」λ-「i 13 : 40 ∼ 14 : 40 조사광경 사진촬영
8/3
앙순석 1400- 1410 유물인앙광경촬영 박용기/주용삼 14 : 18∼ 16 : 02 선체 좌현 분리 및 우현 인앙준비
41

일자 l 잠수자 잠수시간 ξH겁내용 일;q l 잠수자 잠수시간 l ξH겁내용

8/20 신종국 14:19- 1442 트렌치토층사진촬영 9도C)


포λC] f 1245∼ 14 : 23 선체상부이물질제거

신승구/주용삼 08 27- 09 35 우현 외곽제토/저판 및 좌현 분리 신승구 1 2 : 45∼ 15 : 13 저판분리 ξ법

신종국 09 05- 09 33 유물출수상태사진촬영 9/12 서진식 14 27∼ 15 54 선체외곽제토

8/21 박용기/서진식 09 55- 11 05 저판분리/우현 외곽 제토 박용기 14 :53- 15 53 저판고정 ξ업

신승구/주용삼 12 35- 1410 우현외곽제토 。d"」스


'-A
-「f 14 :53- 15:43 부재고정 ξH겁및확인

박용기/서진식 14 25 ∼ 15 : 56 저판분리 신승구 08 : 37 ∼ 10 : 20 저판분리 ξH업


9/13
신승구/주용삼 08 22- 09 36 저판분리/우현 외곽제토 박용기/빅정원 08 :37- 10 :39 선체분리 ξ볍/인앙준비


ζ]"」'?λ
-「↑ 08 32- 09 :32 저판하부출수유물 영상촬영 신종국 08 :55- 09 :16 선체분리광경촬영

박용기/서진식 09 : 53 ∼ 11 :02 선체내부및외곽제토 。。kιi人「↑ 1050- 11 O[] 선체인양광경촬영

8/22 신승구/주용삼 1237- 14 O[] 선체부재고정작업


강대흔/
1103- 12 10 선체인앙
박용기/서진식
신종국/앙순석 12 50- 13 40 헌조사진행상태촬영
9/13
박용기/서진식 1410- 15 43 선체내부및외곽제토
박용기/박정원/
14 00- 15 27 선체인앙/저판분리
신승구
。 -'l
C그k」;:.λ 1408 ∼ 15 : 50 선체노출상태촬영

박용기/서진식 08 30- 09 24 그리드및선체정리 。


cl~λ
「껴 14 20- 14 55 선체인앙광경촬영
8/23
신승구/주용삼 0932 ∼ 10 : 20 그리드및선체정리 신승구 15:39- 16 :05 석남준기자안내

서진석/신승구 08 52- 09 :50 선체인앙 서진식/신승구 08 33- 09 52 저판분리/선체 내부 제토

서진식/신승구 1012- 11 :01 선체인앙 C〕εcf A-•1


。 08 43- 09 02 선체분리광경촬영
8/30
강대흔/박용기 12 50- 14 40 선체인앙 강대흔/박용기 09 06- 10:30 선체인앙

서진식/신승구 14:50- 16 0 [] 선체인앙 9/14 주용삼 12 40- 13 26 선체인앙을위한제토

신승구/주용삼 08 :43- 09 :56 가룡목 인앙, 태풍대비 장비 정리 신승구 12 : 46∼ 1420 선체분리

8/31 호。E고。}-등|, 09 02- 09 :58 수중조사광경영상칠영 서진식 13 30- 14 20 선체분리

박용기/서진식 10 06- 11 00 선체인앙 빅용기 14 31 - 15 46 선체분리

주용삼 1010 ∼ 1115 제토장비 설치/모래주머니 제거


강대흔/
0822- 1015 선체인앙
신승구/김진헌
신승구 1210- 14 10 선체상부갯벌제거
9/11
주용삼 12 : 43∼ 14 : 11 선체상부갯벌제거 。。t스」서「 09 12- 09 :50 선체현재상태촬영
9/15
박용기/서진식 14:21 - 15 53 선체상부갯벌제거 。
d"L스L느/-서「 10 : 39 ∼ 10 : 58 선체상태확인

신승구/주용삼 08 :30- 09 :40 저판및외판분리작업 강대흔/박용기 12 33- 14 06 선체인앙


C그~"L스
'-A
-「f 09 12- 09 :30 선체분리 ξ법광경칠영 신승구 12 38∼ 13 15 선체인앙
9/12
박용기/서진식 09 52- 11 :13 저판및외판분리작업 신승구 08 28- 09 :55 트렌치설치및제토
9/16
。〈그~~스」λ
-「↑ 신종국 10 :01 - 11 :00 제토과정확인
1035- 10:55 선체분리작업광경촬영
I 42

일자 잠수자 잠수시간 작업내용 일자 잠수자 잠수시간 작업내용

박용기 10:09- 11 O[] 트렌치설치및제토 q


。~.,cιi서「 09 :11 - 09 :31 수중영상촬영

9/16 신승구/주용삼 12:42- 14:10 트렌치설치및제토 빅용기/서진식 09 :59- 11 :01 선체하부및트렌치제토

박용기/서진식 14:22- 15:55 트렌치설치및제토 신종국 11 :58- 12:50 5차노출면실측

신승구/주용삼 08 :34- 09 :45 트렌치저|토직업 10/2 신승구/주용삼 1205∼ 13 : 33 선체하부정리


9/17
박용기/서진석 10 :02- 11 :16 트렌치저|토작업 박용기/서진식 13 : 45∼ 15 : 05 선체하부정리

신승구/주용삼 09 :30- 10 :25 선체하부제토 노경정 13:15- 14:13 트렌치및토층영상촬영

박용기/서진식 10:30- 11 :20 선체하부제토 。〕k」


~A「 14:20- 14:53 유물출수상태촬영

9/27 신승구/주용삼 12:42- 14:21 선체하부제토 신승구/주용삼 08 :26- 09 :41 선체하부정리

박용기/서진식 14:27- 15:50 선체하부제토 10/3 박용기/서진식 09 : 55∼ 11 :06 선체하부정리

신종국 14:00- 15:08 저|토과정확인 노경정/석준회 10 : 05∼ 10 : 31 조사광경참관

주용삼 08 :35- 09 :25 트렌치제토E업 서진식 10:13- 11 :05 유물포함층제토


10/5
신종국 08 :41 - 09 :42 트렌치제토작업 서진식 12:40- 13 :00 유물포함층제토
9/28
박용기/서진식 10:05- 11 :10 선체외곽제토 신승구/주용삼 08 :26- 09 :11 선체하부제토
10/6
신승구/주용삼 12:44- 13:20 선체하부제토 박용기/서진식 09 :34- 09 :50 선체하부제토

신승구/주용삼 08 :37- 09 :41 트렌치제토ξH겁 신승구/주용삼 08 :38- 09 :46 선체하부제토

박용기/서진식 09 :57- 11 :08 트렌치저|토ξ법 10/12 박용기/서진식 09 : 58∼ 11 :09 선체하부제토


9/29
서진식/신승구 12 :42- 14:12 트렌치제토ξ엉 신승구/주용삼 12:32- 14:00 선체하부제토

박용기 14:20- 15 :30 트렌치제토ξ엉 10/12 박용기/서진식 14:12- 15 :43 선체하부제토

신승구/주용삼 08 :27- 10 :00 트렌치저|토ξ업 신승구 08 :44- 09 :54 선체외곽매각층제토

박용기/서진식 10:07- 11 :10 트렌치제토작업 서진식 10:02- 11 :05 선체외곽매각층제토


9/30 10/13
신승구/주용삼 12:45- 14:12 트렌치저|토작업 신승구 12:38- 14:05 선체외곽때각층제토

박용기/서진식 14:27- 15:53 선수및우현외곽때각층노출 서진식 14:11 - 15:32 선체외곽매각층저|토

신종국 08 :20- 08 :35 제토상태확인 신승구 08 :37- 09 :53 선체외곽때각층제토

노경정 08 :36- 09 26 매각총 및 트렌치 제토상태 촬영 서진식 10:04- 11 :07 선체외곽매각층제토


10/13
신승구/주용삼 08 44- 09 33 그리드라인설치 서진식 1245∼ 14 : 20 선체외곽매각층제토

10/1 노경정 09 : 56∼ 10 : 52 매각총 및 트렌치 저|토상태 촬영 신승구 14 : 31 ∼ 16 : 03 선체외곽매각층제토

신종국 10:22- 11 :15 매각층평면및토층실측 신승구 08:38- 09 :24 그리드 라인 제거 및 서쪽선체 확인

신승구/주용삼 12:47- 13:53 매각총제토 서진식 09 :48- 11 :OD 서쪽외곽제토


10/16
박용기/서진식 15 : 05∼ 15 : 52 매각층제토 신승구 12:41 - 14:00 서쪽외곽제토

신종국 08 :20- 08 :38 5차노출면실측 서진식 1 4 : 1 4∼ 15 : 55 서쪽외곽제토

10/2 신승구 08 :36- 09 :47 트렌치저|토작업 신승구 08 :38- 09 :49 2호선맞돌인앙


10/17
주용삼 08 :42- 09 :47 선체부 정리ξ볍/토층 레빌선 설치 앙순석 09 :20- 09 :31 2호선주변확인
43

일;q I 잠수자 잠수시간 즈;엽내용

서진식 10 :01- 11:11 선체서쪽제토

신승구 12 :39- 14:04 선체서쪽제토


10/17
서진식 1413- 15:40 선체서쪽제토

노켜
0저ζ〉 1435- 14:55 2호선 서쪽 선체 상태 촬영

신승구/김진헌 08 53- 09 :44 서쪽선체펀 및 선체관련품 인앙

서진식 09 55- 11 06 수중그리드해체


10/18
신승구 12:46- 1430 수중그리드해체

서진식 1430- 1530 수중그리드해체

신승구 08 :30- 10 05 수중그리드해체

서진식 12 :46- 14 07 그리드외곽제토


10/19
신승구 1431 - 16 :01 그리드외곽선체인앙

노경정 1436∼ 1 5 55 선체인앙및코어채취

10/20 신승구 08 30∼ 09 : 10 수중제토장비해체


앉I
3 뻐훨웹룹E
핀圖않렬훨
만펄 홉렐펄 꽤

따힐 E
L탤멜웹
따I3 aL핸圖
|46

1
.조사해역의 해양환경

。*」느/셔
C3 L」 -1

충님 앞바다는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을 이루띤서 해인선의 길이기-l


.300
km에 이르고 크고 작은 섬
들이 2
00여개에 달한다.서해인 해역의 환경을 보면 마른 해역에 비하。1언중 조석 간만의 차기 때우 커 무

려9
n1에 달하고 수심이 일:
으며 조류가 빠르고.지역에 따라 내륙에서 흘러내리는 육지로부티 유입되는 토

사로 인하여 수심의 변동이 심한 편이다.또한 안개 발생 빈도가 높고 해난시-


고의 위험이 높다-복잡한 해

안선으로 인해 비-
람과 파랑의 변회기 심하게 나타나며,이로 인한 잦은 기상 악화가 구역별쿄 복잡 디양하

게 나티-
닌다

E
}1
안 따도 2
호선 침몰지역은 우리나라에서 헝해하기 이러운 4대 햄난처l
)
종의 한곳이며 충청 이넘지역

에서 거둔 세프+
을 왕도로 운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태안 앞바디의 안흉랑(
安興梁)
을 통과해야 했다 안

흥링:
은 태안 잎바다 미도 .가의도.관수각 일대의 해역으로 이 지역에서 해닌사 고가 많은 이유는 서해로

돌출된 지형과 안개,풍랑,암초,복잡한 해지 지형에 의한 급 조류 등 5


기-지가 주 요인이다 태안 앞바다는

이러한 4
기자 요인을 고루 깃춘 셋따f梁‘지역이었마.이러한 난행을 피하고 삼남지역에서 개경끼지 인전

한 조운을 위해서는 대책이 필요히였 다.이와 길이 안흉링 일대에서 침볼에 의한 조운선의 피해를 막기 위

힌1
대책이 이른바 ‘
인흉량 대책(
판策)
’이었으펴 고려왕조에서부터 조선왕조까지 운하(
週피I
)필착에 집착

했디

1
)기상조건

(
1)
수온 및 염분농도

태안 마도는 해인괴 근점한 지역에 위치히고 있으띠 육지에서 흘러들어오는 민물의 영향을 많이 받아

염분농도의 25~ 3.
1%끼지 의 변차룹 보이며 깅수 링:
이 많이지는 여름칠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안

흉 지역의 해수온또는 2월이 기장 낮은 것을 획인 할 수 있으며,5


월 ~6월이 지니야 수온이 1
0℃이상으로

싱승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표1〉2OO8년 ~ 2
010년 평균 조위관측소자료(
안흥)

(
2)조석과 조류

조석은 달과 지구 사이의 인력괴 딜의 공전체제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서 바닷물 이 오르고 내리는 현상


이디 하루에 두 번씩 규칙적으로 나타나는 조석현상은 그 원인이 지구의 증심에서는 달과 인력과 지구와

1)4대 험난처 황해 징연 인당수 강화 손룹목,태인 난행랑,진도 울돌목


47

딛의공전에의한 원싣꽉이균형을 이루지만지구의표띤에서는 이균형이무너진디 즉 딸쪽의해수띤


에유치l
임자는달의증력에끌려부플어오르고.I
널의먼표띤에서는원심력이커서딜로부터의l
될어지는
힘으로부풀이X르게되는것이디 조석이해수띤의상승‘하강운똥이라띤조류는 이라한조석괴펀련되
이니타나는히l
수의수평운동이디 외양에서의조류의우
「속은 l
Ocm/
s를 초피하지않으띠‘평균2~3
cm/
s
이디 일:
은해역의죠류는깅하l
다lO
O~l
5Oc
m/s
끼지 이르l
tl좀은해엽에서는5
00c
m/s또는그이상에이르
기끼지 한다 2
)

근흥떤의평균조치는2
99~668
CI
n(평균48
4)이고민리표에서는22
0~5Ol
cm의조치될 나타내고있디
뭔깥은 핑균35
시긴꽁안지속펴띠셈물은85시간이나 지속된디3
)조류는위치에따라다르지민l
발필해
악의 조츄는 띨꽉l
I
l1
는 꽉서방향으로 흐르띠 셈룹은 넘동방향으로 흐른다 〈표 2
〉측정갤괴에서 웰 수 있

듯이테인l
I1
-
도서쪽히1
익보다도느리지1
흐르는것을볼수 있다 l
!↑
도2호선발필헤액은마도망피치l
외신
진도헝이생기띤서조류의띤호1
기많이일어났으띠.조류가약해진것으로보인디

) \

‘1
1
2빼

〈그띤l
〉의조류 기1
항은조시구떡을증섬으효2
Ol1
년중의대죠기(
한달중죠치가콤띠l시리)
를기준
으로24
시긴풍인-연속지-
료 에측기콕이디 왼쪽의수지조류도는평균 디|
조기의닉조(
;쩌센l
.꾀닫고l그픔
에니타니는씌강닉죠류)
의속도외빙호댈 나El
낸것이고 오흔¥「은평균대죠기의칭조(
끼쐐l
‘];
L룬괴그
음에 니비니는 최깅 칭조류(
필띔)
)의 속도와 땅헝:
을 나타낸 것이다.

동 해역은 l
ll
도외 신선도의i
앙EEx
l1공시외 인흉외항의 건섣쿄인히이3E
류기익해진 것으로꾀인디-
-
갯벨이피15
Ocm정도이떼지액에서유펀이확인되었고 그 위에패각층이획인되었디 이는동해역이빙-
조X
l1및 신형 건섣쿄 인히여 조류의 빙헝:
및 세기기 비뀌있고 갯l
쉰이 쌓인 것으쿄 l
ll
인다

이테 〈
표2〉
는U1
-
lE2호선빨끊지침의죠류방향 및흐름등윷측정한지료다 이자료흘l
f
Lll
연서해안의
일부평균 흐콘l
;[
디도의:
힌 지떡이디 조시빙멤은조류측정기환 이용하띠히루에4회측정했다 즉정깥
피수치죠류도에서보이는것처린0~2
Ocm/
s사이의조류를보。1
주고있다 조류의빙향은수치조류도외는
익깐 디콘 영:
싱을 보이기는 히나 띨월l
I
l1
는 꽉서.꽉동쪽으보 이동히는 것을 획인 힐 수 있었으l
r1엘불l
[
ll

닌샤.넘동쪽으로 흐르는 것을 일 수 있었디.

2)이굉우 앙 한섭 i
얹꼈 r
화 럭헤잉학J설문각 잉 쪽

3)근흥 먼지 먼신우|
윈호|2oopr그흥연시」7? 7
3쑥
|48


표 2〉2
011
년 마5깅호선 선체 발굴조사 지역 조류 측정결과


그림 2〉마도해역 위성사진

이퍼한 조류의 흐름 방향이 일정히지 않는 이유는 〈


그템 2〉에서 보이는 것처램 신진도와 띠-
도 사이의

방조제로물길이막혀졌고안흉과 신진도시이의물길과 기-
의도외마도 사이의불길에종간에위치히-

있어안흉괴신진도시이의물흐름이적어지띤서마도와 가의도사이의조류의영향을강히케 받이변화
한 것으로 보인다.

2
)해저지형

마도 2호선이 침볼한 지점은 층남 태인군 근흉 띤 띠도 북동걷 약 40


0m디.빌굽 현정의 평균 수심은
익:
5m이며 조석에 따라 5
m의 편치를 보이띠.마도 l
호선이 침불한 마도 서쪽 해역에 비해서는 둡의 흐름

은느리다.마도2호선 발꿀해역은인흥항에서관장목을 지나는중간지점으료.아래 디중범음향측심기


(
Mul
[i
bea
mec
hos
oun
der
sys
Iel
1
1)측정데이터그림을보아도알수있듯이수증여(
임초)
기발달되어있다 실
제측정한데이터활보이도이해역은수심이낯으며북동쪽으로길수콕수심이높이지는것을볼수있디.
l
ll
도2호선떤굳괴정진띤에걸치디종넨음향측심기를시용해수종싱횡에 대힌 자료를획득했디-마도
2
효선의띈팔 전다숭낀음형:
측심기자료를jL
떤고선빅의l
]
|1
룹싱E
ll
를 알수가 없었으l
r1
.수증 시뀔조시
펀똥히이펙인이기능히았다 기장은덴l
I↑
크lXl
5
SON시의S
cab
aI7l
25Mu
l〔
lt
ramFS
tem모델이디‘장l
l1

구성은크게니누떤음피플 송 ・수신히는디중 음피측심기.l
l
ll
에흔등럼에띠El띤회되이수신되는윤파
휠jL정히는히브 피치 괄센서‘수심에띠파띤호l
되는음피의속도룹파정히는충띨유속
{측정기 죠시
하는 위치플 정확히 획인 시커는 DCPS
U〕l
Hel
en[
l
alGP
S)쿄 이루어지있다‘

이페의죠시지-
료는섣제l
필깥괴정중 디증댐음향측심기할 이용히α1취득한 지료이며이정t
ll
는디중
유행:
신호판받시히고 이뜰디시수산하。1송 수피가능 법위의해지지형을섣시간으쿄3지원 앙상처리
플 콩히1
해자상비|
를 피익첼 수 있는 대표적인 해잉:
팀시 천단장1
ll
이디-


그림 4-1
〉시굴조사 중 마도 2호선 확인 지역 〈
그림 4-2〉발굴조사 중간 노출장연

〈그 림 4-3〉발굴 증료 후 〈
그림 4-4
〉마도 주변 수중여(
암초)
150

3)해저 퇴적물

선처l
주떤해저퇴적싱태는 선박을증심으로서쪽은갯벌2O
cn1밑부분쪽으로패각류가 일부획인이되
있디 그러나아래에서보인것처럼입도분석을위한시료채취부분 에는확인되지않았다.
입도는되적뿔이나암석속에들어있는 입자의크기를일컴는 말로 퇴적물입도의크기로 입도분석을
위한시료채취는선체내부에서는불가능히여 선처l
외부(
그리드끝)
에서해저퇴적둡의수직댄화를일아보
기위해PV댐 이프를이용해l
.2m깊이로채취했다
본시료를실험실쿄기-
져와서핸드그라인더를사용하여플라스틱파이프를세로로절단하여지l
취한코
이의퇴적층빛층위를육인-
관잘한결괴-
두시료모두구분된층위는없는짓으로확인되었다
퇴적층의 구분이 영확하지 않아서 입의적으로 l
Ocm씩 시료룰 채취(
구분‘
절단)
하。1l
25me
sh-
l
6Omgh.28
0m@h3
딘계로체질을한결과체에걸리는물절없이모두다통괴-
하였디-
-
매쉬를통과한 시료를관칠한결괴←
과래(
S떠1
d).SU
t-패걱류는관찰되지않았고갯벨(
mud)
만관칠되었
디 선i
ll주띤으로는패각류층이빌견되있지만코어링을채취한부분에서는 갯탤딴이관칠되어층위분
석이 불기능 했다


사진 1
〉채취 코어링 〈
사진 2〉코어절단

〈사진 3〉코어 내부 〈
사진 4〉코어 세부분류

-츄「봤「-
--
-


사진 5〉매쉬 분류 전 〈
사진 6〉매쉬 분류
5l

펴→
j |
X
코 어링 1지접
A1 A2 A5 A6

A8


B1 B2 B3 g4 85 B8

c1 C2 C3 C4 C5 C6 C7 C8

1
L lf+ /

D1 D2 D4 05 OF 07 D8

E1 E2 f
J E
3 EA E6 E7 E8

-
‘→↓
L {・’ ’← f

F1 F2 F3 F5 F6 F7 F8

‘| 1

G1 G2 G3 GA G5 G6 G7 G8

, 1 ,

H1 H2 H3 H6 H7 H8
6S

l1 l
2 l3 l5 l6 l7 l
8

J1 J2 J3 J4 j5 J6 J8

K1 K2‘ K3

i
I
r
f
J7
날 K7

-
K8

L1 L2 L3 LA L5 L6

-
LL8
M2 M3 MS M6 M7 M8

기 -
N2 N3 N4 N5 N7 N8

-」- 」

늑기
평 }|
。3 。4」 。8

P4 P8

-L 」-
Q1 Q3 Qa Q5 06 。7 。8

.
R
1
+ 4 -기-R2 R5
- -L-

R6 R8 R8

코 어링 2지접


그림 5〉코어링 채취 위치
|52

2.조사장비

。 k 느A1
C〉 니- -1

n1
-
도2호선딸굴조사에서는텔굴용 바지선괴 이에탑재된각종정비류,잠수시칙용장비.발굴괴정의
촬영괴실측등을위한기록장비,그러고발굽전 후의해저지형을조사히-
는음향탐사장비나좌표측링:

수숭환정 분석 장비기 있다.각 징비종류띨 세부 내용을 실펴 보띤 이래 와 같다.

1
)발굴용 바지선과 탑재장비

깥은지깎에서수개월또는수년동안이뤄지는수중벨굴조시-
에서는각종장비가팀재된바지선을 이
용한다 이바지선은예인선괴짝을 이루는데.예인선은비지선의이동.정박.띨굴이이루어지지않을때
비지선관리등의역헐을 딩당힌디 시 발굴되는조사지점에장기간정빅하는 비지선은높은파고나 태
풍과깥은악천후시에는피항지로이동했다가일기기좋이지띤디시 본래지침에정박하게된디‘실제미-
도2
호선 발팔아한창이던9월초에제7
호EH
풍・곤피스기 태안해액을 똥괴하게되어인근신진도형으로
이동히여정박히-
기도했디.바지선내에는꾀두l
7기정도의장비기탐재되어있다


도면 1〉 발굴 바지선 및 탑재 장비 평 입면도
53

C
D바지(
Bar
ge-바지선)

뉴L
선(땀船)
이피고도 하l
tl주보 깅괴 운히-
등에서 회콸 을 운딴히기 위하。1띤든 평평힌 배다.오랜 기긴

팡인 l
ll
디애 정씩히-
이 띈굳을 히기위해샤는 발쿄에 필요한 여러 기지 정비가 섣치되며 유뜰을 정리힐 수

있는 공낀이 필요히디 이테힌 공낀괴-


장lj
|를 정직히기 위해서는 l
ll
닥이 평펑하!
이:하고‘피-
도에 의한 롤 링
이니 피치의 앙형플 선빅에 l
ll
해 적가1받는 바지선이 적힘하디 비지선은 스스로 추 진기핀이 없어 예인선

의J
E음이 필요하다 2
호선 딸필。l
1시낸-
펀ll
l지선은 섣제쿄 기꽁 플을 만뜰고 젤X
|1사이에 스El
쿄폼을 넣

어 만든 것으로 2
008년 균신야ul
또l말필조사 띠l제직히-
았으l
t1
.크기는 l
4m×1
6m이다.스티로폼으로 만

든l
l1
지선은 침지1
로 만든 띠지선보다 흘수(
1
lε水)
기 낮이-
낮은 수심에서도 l
관-
뭘이 기능하l
녀수띤애 노줍되
는 높 이또 l
l|고[직 닛이 짐수시 의 쉰수 가 펀히가|이푸 。l
진다

@ 발전 기

l
뭔판에 필요힌 신원윤 생산히。l공담히는 정비쿄 제토용 홉임팎프 풍신정ul등 디잉:
한 발골징l
jl
를구

동한 수 있도확 전원을 공퓨히-


π1.l
5Ok
w의 진펙생산핑:
을 기지고 있디

£파=
3-


사친 1
〉바지선

@ 조사통제실

짐수시의 콩 제뀔 딛당히는 곳으쿄 수증조시원이 착용힌-풀페이스마스크에 설치펀 리이트.?1


44
lEl
-

(
ccn
I).콩선정l
l1
의 섣시긴 정hL
기 수신도|
이 조시광정을 수띤위에서 싣시긴으로 확인헬 수 있디 콩신이

기능히이 수숭에 있는 조시원 에게 지시히까 니 진수 사쉴 똥xl


l
하는 정소디.

@ 컨트 롤 박스

조시굉 저l
실에 실치되이 수숭조시원 괴 콩화기 기능 히l
r1
,조시원이 칙용한 조l
잉괴 CCTV의 영상픽회기

능이 있이 수종지l
l
E상횡 등을 꾀띤으로 보니터랭힐 수 있는 정l
ll
다.

놓늘

사진 3〉조사통제실 〈사 진 4〉컨트 롤박스
|54

@ 실측대

수증에서 촬영 이나 기콕이 완료된 유룹을 수띤

으로인양
히아본래노
출상패
로재배치
한후정!
T;
~
밀한 실측을 하기 위한 장 비디,각 변 l5
m.높이

3O
cm의 목제 박스로 내부에 모래를 채우고,
수중 그
리드의 크기와 길이 l×l
m로 구획했다 2
호선 발굴

시 처음으로 시용 했다.

ir I」 i・ :
a

@ 수조

장비세척용 민불을 받이두는 불통이디 바닷속에서시용된정비는 건조되띤서소금결정체가생기는


데 이 소금기룹 씻어내지 않으 띤장 비 훼손이 심해진다.이를 방지히기 위해 수증에서 사용된 장비를 수조
에서 세척한 다 .

@ 인앙롤 러 및 엔진

시림의 힘으로는 바지선위로 올 릴 수 없는 증량이 많이 나기-


는 유물의 인잉:
이나,비지 선의 위치이동이

필요할 경우 및줍을 감아올 릴 떼 시용 히는 장비다

@ 인앙대

수심이 깊어지띤 짐수사기 유둡인양 비스 켓을 직칩 기지고 올라오지 풋히고 인양백 등을 이용하여 수


띤으로 상승시키게 된디-
‘이때 인양비스켓 등을 바지선 위로 올델 띠l
시용 하는 장비로써 인양대에 도르래

를 설치히여 시용한다-


사진 6〉인앙롤러

@ 수면공기공급장치(
H∞ kah)

일정 길이의 호스를 통해 수종 조사원에게 공급

하는장치디 일반적인시용입력은 l
Okg
/m2
이며 수
심이 깊어지띤 압력을 높여 공긍히는 것이 기능 하

디 무한대의 공기공급이 가능하므로 공기부족에

의한 잠수시간 제한이 없디는 장셈이 있지만 호스의

길이에 따라 행동반경이 제한되며.여러 사람이 동

시에 잠수하거나 수종 그물이나 맛줍 등으로 인해

호스기 얽히띤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



사진 8〉수언공기공급장치
점이 있다 떼룹 선박 조시와 같이 활동 범위가 한정
55

도1
이 있고.주변이 정리된 상태에서는 공기탱크를 시용하는 것에 비해 휠씬 효율적이기 l
[
ll
운에 수증 띈굴

조시 시에는 주쿄 이 정치를 시용-


힌디

@ 워터셋(
Wal
e「-l
et)

육상 세치장에샤 시용 히는 고임분 시기와 김은 원리로 물을 고암으쿄 분시히 는 장l


j1
디 수중 조사 시 갯

띈 히부의 유월매장 의심지점에 대한 갯벨 X


ll
거용으쿄 시용한다‘그라나 깅한 수암으로 인해 유룹이 피손

될 위험이 늪으띠.갯벨 지|
거 괴정에서 수종시이기 니-
빠지기 쉬운 띤침이 있어 띨→
필 시에는 깔 시용 히지

않고‘조푸
1L
기 삐른 해역의 탬시에서 주로 사용-
힌디

@ 저|
토용 흘입펌프

펀지|수중 벨괄죠시 시 시용 하는 주 제토장비쿄 스크류의 회전력을 이용하。l호스릎 똥히1촬과 갯벨 등

을 함께 팔어 옴리는 맹식이다,흉입호스 속에 붙이 가득 지기 띠l
문에 수증에샤는 익:
긴의 음성과랙을 기진

디-20
08년군신이I
ll
도수증벨균시처음으쿄도입펀 것으코기존의주된수중제토장l
」1
였던에이리프트
에 비해 조정이 쉽고 정띨한 제토기 기능 히여 유물 손상을 최소회 헬 수 있으미 지1
토의 효융성이 높디 디-

민 지길이니 페각류기 넙은 지역에서는 스크류의 손싱 위험이 있고.이렐질을 힌씨|


흡입히떤서 호스의 l

힘 한싱이 비교적 지주 띨생히띠 정비 x


ll
직tl
l용이 애어리프트에 l
jl
해 헬씬 고가이디‘


사진 9〉워터셋 〈
사진 1
0〉제 토용 흘입 펌프

@ 호스

흡입팎프에 l
씬러 올러지는 제토펀의 운송 라인으로 흠임굉프에서 임꽉이 생기기 l
[1
l
문에 고임이 벌생 히}
도 수축이 되지 않는 깅한 지l
섣의 호스보 만틀어진디 보흉 직정 3인치외 6인지 두 기지 크기될 많이 시~
g-

힌디-2
호선 조시-시에는 흡 임펌프에는 6인치 호스룹 얀결하고‘수승에서 6인치 호스어l
3인치 호스 2개플

떤절시켜 직칩적인 지1
보는 3인지 흐스로 심시했디 충격에 약한 유펀 의 빌갚을 위해서는 흉잉엠위기 넓

고‘강랙힌 6인지보디는 3인지 호스기-


적딩히디

@ 진공탱크 및 펌프

해수l
f!
]l
|홉입팎프 시이의 공기공간을 저1
?|하고 진공딩l
크이|진공을 델생시켜 펌프끼지 해수플 끌야 올
피는 약힐 윷 힌 디

@ 전기제어판

비지선에 설치된 괴든 장l
11
의 전기제이징치쿄 기동 괴 웅지 l
l1
튼이 실치되어 있으띠 전기 누전이 생기
맨 전기뜰 치딘 시까는 인 진정 치 다
156


사진 1
1〉진공탱크 〈
사진 1
2〉전기제어판

@ 출수 대

흡입팎프에 의해 수중에서 지l
토된 갯발과 l
j1
-

붙이 함께 니오 는 곳으로 수증조시원 이 거름밍에 낄


린 직은 유룹이나 이싱체 등을 확인힌다.

@ 입 출수용 사다리

상수시-
기 입 ,출수 시 시용하는 시-
다리디


사진 1
3〉출수대
2)잠수장비

@ 잠수복(
Dl
Vl
ngS
매)

-습식 잠수복 ・
잠수복을 입는 이유는 보온괴-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임반괴-
산호초는 눈으로 확

인이 안 되는 닐카로운 것들이 많다 살찍만 닿아도 긁히 상처를 잉게 되며‘그 때문에 따뜻한 띨대비

다라 하더라도 집4
꽉을 입는 것이 좋다.두께빨로 보온능 력이 다르기 때문에 여름칠 수온이 2
0。전후

인 우리나라 꾀디에서는 원단 두께기 5~7


mm 정또되는 슈트가 적딩히 마 수온이 30
。기끼이 되는 열대

바다에서는 보흥 원딘 두께가 I5
~3l
nl
11정도인 슈트콜 칙용 한디-
,

-건식잠수복 일반적으로 l
5。이히포 수온이 떨어지띤 엄는 점-
수복이다‘룹이 전혀 스마들지 않기 때
문에 잠수복 안에 내피(
빙한 복)
를 임고 칙용한다 늦기을부 터 초봄끼지의 점수 시에 착용하떠 얼음

속에서도 다이빙이 기능 하디.우리니라 동해바다 는 여름칠에도 수심 2


Om이히는 수온이 7~8도로 내
펴기-
기 때문에 건식잠수복을 척용히-
여야 히며 수증발굴처펌 수중에서 장시긴 장수힐 때도 체온유지

를 위 해 건 식짐수 꽉을 많이 시용 한 디.

@ 호흘기(
Regul
at
。r)

호흡기는공기똥에둡어있는 고암의공기룹잠수시가호흡힐수있도록대기중의입력괴동일하게조
절하는징치로써이것을똥해룹속에서숨을쉴수있디.일반적으로잠수에입문히는 초보자도호홉기를
57

콩히이 임으프
로히는 호홉-
에 짐 적응힌디 ]
IL
EE호흡기는 개인직엽이 많은 수풍만땀에서는 짙 시용 히지 않

지민 l
ll
상 시에 시‘
용할 수 있기 띠1
분에 기급 적 부착히 여 시정 히는 것 이 좋 디

@ 납벨트(
Wel
ghtbe|
1
)

진수꽉 은 지 저1부 랙을 기 지고 있기 l
니l운 에 콸에 쉽 게 기라있 지 않는 디 그러한 양 성 부 력을 숭 성 부 력
니 l
j이1l
三 EL겨lj
二 ζ;λlxl
으로 넷추기 위히}직용히는 것이 답 펜트로 일빈적으쿄 납 l
개의 l
뮤지|
는 2k
g이디 tl ζl--- 1 /l1L→ l
:, -1 l
j

수복 보디 전식진수관L착용시 두께기 잃은 점카
파}보디 두꺼운 진ι
김꽉착용시 더 l
iL
끼워 지며 침수자의 i
l1

형괴 침수 정험에 띠리서도 편지기→


크디.지신의 상황에 빚는 무게의 넘벨프뜰 직용하는 것이 좋다

〈사 진 1
5〉입수준 비

@ 풀페이스Df
스크(
Ful
l
faceMask)
!r --「
풀 페이 스마 스크는 수숭싱 평피 수 띤싱 황을 서쿄

낀에 힐 수 있도꽉 똥 신징 l
ll릎 부칙힌 수 있는 미스

크 디 이 정 띠는 양 암식 으로 약 긴의 틈 이 생 기 더라

도 수 증암 벽과 깊은 임 팩으쿄 공 기를 보 내주 기 띠l

에 꽉이 뜰어오지 않는디-이 정치에 앙싱괴 똥신장


ul
둡 정-
착히|
수숭의 싱똥1
을 선수시외 수띤의 얀구원
이1
거1일 펴쓸 수 있고 .육싱 에 서 수 승조 시원 에가1작

잉지시듬 전딜힌 수 있디 이 정비는 。1


테 종류기 있
#홈

사진 1
6〉울페이스마스크 착용

으l
ll보콩 일균진넨을 덮는 수강 호흉기.프페인이
일 처l
효L구 성된 헝 E|
1이 디-

〈사진 1
7〉앞 모습 〈
사진 1
8〉뒷모습
|58

@ 부럭조절기(
BC-Bu。y
ancyCompensat
。r)

부력조절기는 점수사의 안전을 위한 가장 증요한 정 비 중 하나디.점수 중에 공기를 넣고 뺑 수 있어 음

성,중성.양성부펙을조절할수 있는정바로.기장많이사용되는종류는크게두가지인데전체직으로공
기가고루들어오는조끼형부력조절기와등 쪽민공기기-
들어오는후떤부력조절기(
Bac
kmOl
mt과p
리가
대표 적 이디-
-

@ 공기통(
AirT
ank)

렐속에서 숨쉬기 위하여 대기 중의 공기(


신소20
96,질소79
%,기티1
%)를 고암으로 압축하여 충전한 것이

다.대개 8
O큐빅피트짜리를 사용힌디-
-낀 시간 또는 깊은 수심의 상수를 위해 두개의 탱크를 연결하여 사용

하기도 한다 요즘은 감압괴-


싱해잠수를 위해 질소의 비율을 낮추고 산소의 분입을 높인 나이트록스(
Nit
ro
x)

탱크나 공기에 헬릅」


을혼합한 트라이믹스(
파imK)등의 디%댄f흔합기체를 충전해 시용히-
기도 한디

@ 다0|
브컴퓨터(
Dlv
eCompu
ter
)

수심과 침수 시간 및 잠수에 관힌 이러 기지 정보를 자동 으로 연산해 디지털방식의 수치로 표시해주며‘

점수 시 위험이 되는 요소들을 띠리 정고해 주고 잡수계획에 필요한 정보들을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디지

털방식의 게이지디

@ 오리발(
Rns
)

헝패에 따라 풀풋포켓형이나 오픈힐형 등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표연공급호흡정치를 시용 하는 잠

수에서는 활동 반정이 좁기 때분에 오 리발을 잘 시용 히지 않고 스쿠비장 비룹 이용한 잠수나 수중촬영이

나 탐사 등에서 많이 사용 한다

3)기록장비

@ 수중촬 영장비

크게 수중영상을 촬영하는 비디오 장 비외 일반시진 장비로 나눌 수 있디 육상에서 시용 히는 비디오카

떼라 흑L
은 일반적인 디지럴키메라에 방수기 되는 수증하우징이라는 케이스를 씌워 시용 하게 된다 수중

빌꿀 시 칠영 은 육상 에서 촬영 과는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배우 힘든 작 엠 。1


건에서 이루어진다.일반적으

로 £얘 에서는 수십띠티의 피시체도 선망하게 촬영힐 수 있지만.수종에서의 촬영은 부유 물에 의한 반사.

좋지 뭇한 기-
시거리 등의 여러 끼지 의 야려웅이 산재되어 있어 촬영을 위한 숙 련된 기술이 필요히다 이

러힌힌져1때문에수증발굴에서는주로근거리에서 넓은 면적을촬영힐수있는굉각렌즈를시용하는데,
일빈적인수증촬영에서시용히-
는광걱렌즈인1
5mm(
또는 l
4m )
렌즈를시용히나싱황에따라서는보다
더 굉각인 8
mm.I
Omm등의 초광각 랜즈(
아인렌즈)
를 시용 하게 된다 이런 어안렌즈를 시용하여 촬영하

띤 사진의 왜곡이 심해지나 대부분 기-


시도가 니-
쁜 수중 빌굴 현장에서는 불가피한 측떤이 있디-
,2호선 발

굴괴정 에서도 시진 촬영은 주로 8


lnm 어안렌즈를 시용할 수밖에 없었는데 1
5mm 렌즈로는 각 변 l
m크기
의 그리드 진제를 한 컷에 담기기 거의 불기능 한 환경이기 때문이었다.
59


사진 1
9〉수중 비디오카메라

@ 수중용 실측판

수증에서시용할수 있도콕 비줌 l
jL디는늪이음성부력을 기찌이-
히내.강또도좋이야하묘로두꺼운
투냉아크릴판으로제직하았다 듀
L칙되어시용되는실측용지는수숭에서u
1l
모가기능하고지울수있도
콕 드러l
판 정-
지에 」
i
t눈을 인쇄히이 시용한다

@ 수중용 메모장

빙수기 되는 코팅용지로 이루어진수접.백색의프라스틱재젤의편이니 여러기지형태기 있디 수중


에서는콩신정바없이음성으로의시소똥이괄기능히므로수종매표장을이용해서로긴의사소똥에도움
을 뜰 수 있다

i1
-‘1 --‘- ι

i」흐‘
t;i-

X j
.l A


사진 2
1〉실측판을 들고 있는 조사원
|60

4)탐사 측량 장비 및 기타

@ 측 면주시음 파탐지기(
SldeScans。na「
)

측띤주시음파탐지기는해지띤을 광학사진처럼수평촬영하여음영상회를 민드는시스렘이다.저주파


수인2
5,2
7,5
OkHz
를시용히는측면주시음파탐지기는수중에서멀리까지진행히여넓은범위를조시하
기적당히고‘빈대쿄3
00.40
0,l
250
kHz
의고주파수를시용하는측띤주사음피탐지기는적은탬위를조시
히지만고해상도의데이터를얻어낼수있으따 수심센E
l미퍼의목표뭘끼치도구분헤낼수있다.
이같은고해상도의시스템은주사(
Swa
th)
뱀위가단지수백미티에불과히-
기때문에침콸선이나심하
게부식된목표콸의탐색에시용되l
져,일반적으로 l
ook
Hz정도의종주피수의측띤주시음피탐지기를사
용한다 측띤주시음파람지기의기본적인시스템의구조는컨트롤러(
PC)
,데이티변환장치,토우피시(

피송수신기)
,얀결케이블로 이루어지 있다

: :
τ →
jl
휴품 렐 츠츠두←--페i


사진 22〉측연주A텀 따탐지기 본체 〈
사진23
〉토우피쉬및 데이터영상

@ 다중빔음항측심기(
Mul
t
|
beamE
ChoSou
nde
r)

현재는주로해저지형조시를 위하。1디중빔음향측섭기를시용한디.해저지형을조시히는데2
차원영
상을얻는측띤주시음파탐지기외틸리 3
치원의앙싱을 얻을수 있는 디종템음헝측심기를많이시용한다.
다중빔음피딘지기의특정은장비의특성에따라디소의차이는있지딴한변의음피플 띨시하이횡빙향으
로 수심의 7배71
-되는 지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디는 장침이 있다.

- - - - - -

--- -- ”τ「 」 누;---:-r : -


- --- -; ‘
i 」 ---
: ; 1 - - 4

↓f

| --;i-
걷- -;
1L 1

l
-‘「;
( } ;.
i
---igL ,---】fi--
」 ‘
ι


사 진24〉다중빔영상시스템 〈
사진 2
5〉다중빔영상
6l

〈사 진 26〉측연주 사음 마담지 기 본 체 〈사 진 27〉토 우띠 쉬 및 데 이터영상

@ X|
층탐사7|
(
Sub
-Bot
t
omPr
ofl
|
er)
전부 지짚구조플 얀구헐 l
I
ll시정-
힌다 이퍼한 징l
ll
룹 이용하여 취득된 지료는 윤원애서 수신기끼지의

거피 지이 및 디양힌 집음에 의히l왜곡펀 이l


Il
지뜯 l
I
[이주거1되l
rl이에 다|
힌li정이 뒤띠리야 고화젤의 정
ll
」 프츠。1
;늬 E -

i닐 스
1 。1
/λ 디1

@ 조류계,탁도계

밀불괴 쌀불 때운에 일이니는 l


l1
-
덧불의 빙헝:
괴 그 속도흘 측정하는 기계쿄써 수증문화재 발굴조시에

필요한 기호적인 지료를 쥐득히는 장비디

〈사 진 28〉조 류계 및 탁도계
|62

@ 위성위치측정기(
naps-Dl
Her
enl
1
a|G!
。balFbS|
t
lOn|
ngSyst
em)

일빈적으로 육상에서 시용 되는 네비게이션(


G.P.
S)을 생각히띤 된다.수종빌꿀조시에 사용 되는 위성

위치시스템은위성에서좌표를 받아그좌표를육상기지국과의 보정을 통하여목표까지오차가최소수


심센터미터 범위끼지도 죄근할 수 있도록 도외주는 정 비디,이 장비는 해양탐시를 실시하는 측띤주시음

피-
탐지기‘다중 빔음헝측심기 등괴 같은 해잉:
딘사장 비외 연동하이 운영되는 장비로 조시과 정 전 조시구 악

을 섣정히고 조사선의 항적을 설정하여 계획적인 조시를 할 수 있다


사진 29〉위성위치 측정기

@ 음항측심게 EChoSounder
)

바디의 깊이를 음파를 이용해 측정히는 장비다.음피를 해저에 발시하띤 응피는 약 l


.500
m/초의 속도

로 수중을 통과히여 해저에 이르고 해치띤에서 반시된 음파는 다시 동일한 경로료 수신기에 되돌아오는

더l
,그 사이의 소요시간을 계산해 수심을 측정한디-
-여기서 음피의 전달속도는 해수의 온도(
I℃ 4I
비s)
,염

분(
1%,1
m/s
).수압등의요인에의하여변하므로관측해역의음속을측정한후,얻어진수심에대한음속
을 보정해야 힌다

歸쁨
듀--
a
를”미
:
a
籍풀i
기- 를

-솔] - --- t
--
・ll・ ---


사진 3
0〉응항측심 개수심측정기)
63

3.조시-내용

신종 국

I
ll
-
도2호선획인 지점의수심은35
~7m정도로수증침수에서기장큰문제기펴는샘 부분
-에서상딩히
인전한유적이디O2
호선조시에는조시원2
~3l
상‘띤간잠수시4멍이싱시파임되었디-l
j1
고[적안전한침수환
정임을긴안히이민간짐수시는2l
상을l
조로하여걱조가오진에7
04관오후에9
0분씩점수죠시를수행했다
띔:
를히지않는나머지조는수띤에서수중조시팀을l
IL조히는 역할(
Rndc
l)
을땀당했디 조시원은획인된
선지1
와유랄을기확(
사진및영상원앙,실측등)
하고 띤깐침수팀은그리드와선처|내 외부제l
E선처l
분랴.
신치l
외유렐인%
별 단딩했디 조시원의침수는정해진시간없이필요에따파수시로이루어졌다 2
호선의
확인부터조시 완료끼지 집수E
E사어1
투임된총 인원은 8
22l
성이띠,짐수 시간은 5
6‘5
40분(
익942시긴)
이디

낀필선i
l1조시는 선i
1l
와 선처1내부 제토 및 노줍→・
시진 앙상 웬영 --
실측--
유뭘인잉:
의 피정을 거친

디 그런데선제내 외부유펀듣이모두짙은띤에서획인되는것이아니기때문에일징수량의유물둡이
출또되는 띤을 전민적으쿄지1
펴 。
μI二
출시낀후기콕괴-
유풀수슴을 진행히고.디시하부에대한조사뀔
l
안꽉적으쿄 진행힌다 미도2
호선은 1
i두 5
치에 낄쳐 지l
lE및 노출‘기록,유펀인영:
의 괴정을 거쳤디 l
~3

지는 신제와 선제 니l
부를 l
l
二쉰시키는 괴정이띠‘4치는 선치|
민 넘은 상E
ll
-마지파 5
치는 선i
|1
를 인$
댄r후

선처l히부 및 주변부에 c
l1
힌 조시쿄써 이 띤2
1l
룹 끝으쿄 조시가 1
까」뮤리 되었디 nl
또2호선의 조시내정은

순자적으쿄 진행펀 l
~5치끼지의 각 노출띤l
월잉싱을 똥해 냉확히가l
파악펠 것이므보 노월떤띈양싱을 기

술하고.이에 대한 도띤피 시진 을 수흑히있디

1
)1차 노출먼

1
Il
도2호선에 대한 조시는 2Ol
0년 5
월 4엘j
iL
E1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띠.선처1내부에서 디듬어지지

않은 원콩픽뜰이니티나기시작하。1일단싱부원통꼭이노출되는 띤(
l치노쓸띤)
끼지 히-
강지1
토를 섣시
했디 이 l
치-노줍먼에 대힌 조시는 6월 4임 완료되었디

조시 초기에는 밴지 선제의 빙향J


l1
-감보플 피익하기 위힌 트렌치 조시펄 실시했고.그 침괴-
선처l
는 남판
낌。1l
2n1내외.동샤 바 l
15.
6m 내외의 규모이 다 빙힘-
은관낮을 기준으료 깜쪽으로 2
0(N-
E20)가량 기

울이진 것으쿄 획인되았디 이를 김인히여 8×1


8ln의 그리드를 선처l
땅형에 맞추어 구펙히고.펀칙적인 저|

토작압을 심시했디 그리드내 직지는 시1


잉ln
1크기로 남에서 꼭으모 A~R행으보 서에서 동으로 l
~8띨로

나누어 각 격자는 Al
~R8그러드로 l
영멍하였다 지형상 Al
그리드 지침이 기정 늪이 이 그리드 넌동 모샤리

의 해저띤을 기준 높이(
L8M)
쿄 심았디.선처1
는 C~O행.
2~7띈 시이에서 노출되고 있야 이 그리드들을 풍

심으또 조시기 이후어갔디;C~F


구깐은 익 3O
cm 내외에서 디판어지지 않은 원똥꼭뜰이 노출되고 있어 그

깊이끼지 히강 제또 히았으띠‘G~F
l구깐은 유펀이 니-
타니지 않아 6
0~7O
cm까지 제또 하였다,디민 H6
~7그

테드 부근은 2
009년 l
O웰 선찌l
휠 획인하는 괴정에서 약 8
Ocm 깊이끼지 제도되어 도기호뜰이 노출되었으

1)토싱선g로 삼수 A 기심 주익해O↓한 시은 김잉영이디 삼수를 히게 되댄 수입의 증 7H해수 ’


Cm어|1
2l입m|
1따리 시셰익 문임 O 놈이져 치|

에 흠수되는 섣소외 산소으1
잉O 많Ol
X 데 급걱히게 수며으곁 싱승히게 되면 셰내이|녹아있디 물힐성J1
셰인 실수기 저|
외로 U
H돌되지 않고
기세싱태로 바뀌어 혈관이나 세모소식에 강이게 된다 이로 인해 혈관이 만61
거니 스경죠직의압빅 뼈니 관설 뭇직의 소싱 등을 일으키논데
이를 감입영(
혼히 짐수영)
0|
리 J힌다 따리서 감입영 에빙을 위해서는 싱승 시 일정히게 속도뜯 유지히고,
일전 수심에서 정a
HF 시간마큼 머
물러 실소를 배술 시〔 김압접지를 숭분5
1실시해야 하다 g
늘엘정지시간른 수심과 짐수人가 수숭환경 등이 [
디리 걸성되며 동
쉰 75
m수심에서
는 김압정X가 띨요 없는 최대 집수시간Oj
?얘문{
A시간 5
문 미해군 감입테이블 시순)짐도디 띠라서 3υ f
1
rl수심에서 실시한 마도2호선 수
승일굴은 특일히 잠시긴 집수조시기 이느|히 김압정지시간을 얼도로 갖지 않이도 김압영이 걸릴 가능싱이 〔
l
Hg 낮디」 룰 수 있다
164

니-
정확한 출토백락을 획인히기 위해 수숨히지 않고 때콸됐었던 부분으로 금년도에 디시 노출시컸디 북쪽

의I
~O구간은남쪽괴-
마찬기지르다량의원통목이노출되기시작하는3
0~6O
cm깊이까지히강했다
맨저선처|
의노출상데를보연C.D구간(
남단부)
괴N.O구간(
북단부)
에서선체의선수또는선미팎기
노출되기시작히고 있다 남단부는 약3
Ocm깊이에서대부운 노줍된반떤,북단부는 일부만확인되고있
는 앙상으포 북단부쪽 의 상부되적이 더 두껍다 남단부의 부지l
들이 비교적 너비가 넓고.크며‘끝부분은

노출되어훼손이심한상대디 외판재는선띠.선수부룹제외히고동쪽에서만확인되는데아l
ll
도전볼당
시 서쪽으로 기울어진 채로 해저띤에 매올되었기 띠l
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헌재 2단끼지 획인 되고 있으

떠.반턱이음으쿄 결구되었다 L2
~N3
그리드에서는 부후기 심힌 목재기 노출되었는데 아미도 1
단의 외펀

재가 해지띤 위로 노출되띤서 훼손된 것으로 핀단된디 외판재는 선체 내부쪽은 각재싱으로 다듬었으나

바낌쪽 은 원목의 형태와 낌이 둥글게 처리되었디.

선체 중앙부 똥쪽으lI
1.I
2그리드에는 크고 작은 맞돌 2점이 확인되나 과띤 이 텃돌이 2
호선의 딪돌인지

는분땅하지않C
디.A5
.B1
그리드에서도정지-
침시등이유룹이발진되었다.선체내부의D~F
구간(
님쪽구
간)
에는 두께5~1
5cm,길。lO5
~3m의나무찜질이그대뢰 님아있는 원똥욕들이 디수노출되었다 현재
노출면에서는 정앤한 규칙성은 보이지 않고 있으나 E4~F
4그리드의 원통목들은 선체 벙향괴-
직교힌 채로

놓여 있었다 아u
l도 상꽉의 원동걱끊 은 배가 침몰히는 과정에서 흘어지띤서 현재 상패로 놓여진 것으로

생각된다-
.D6~7.E5
그리드에서는 디듬 어진 싱태로 보이 선체 부재로 추정되는 목재들이 흘어져 있다-그

퍼고D3
~D4그리드에선체와직교히는 벙향으로직정2O
cm정도의원꽉이획인되는데다른원똥목에비
해 크고.어느 정도 디음 어졌디-D7그리드에서는 목간1
점괴 칭동숭 기릭 l
점이 출토되었으띠‘E5그리드에

서는 청동그풋이.F4
그리드에서 목간l
전이 발견되었디.F
7그리드에서는 선체 외판재의 일부로 보이는 대
헝 목재의 싱부기 노출 되기 시작했디-G~H구긴-
(종잉구긴)
에는 디른 곳에 비해 원통꼭이 거의 나티니지

않고 ,」
;L
러진 작은 원-
통목만이 몇 개 헥인될 뿐이어서 디른 구간에 비해 더 깊게 제토히았으나 원콩꽉이 나

El
-
나지 않고 있다.G5~G6
그리드에 걸쳐 선박부재로 추정되는 디l
형 목재가 가로짚퍼져 있디.2
009년 탐

사시에 깊게 제토되었던 H5
~H7그러드에는 도기호 2점괴 시루로 추정되는 도기 l
점이 노출되었다.한편,

G4~I
5그리드에 걸쳐 직경 I
Ocm 내외,길이 약 3
m 기량의 디듬 어진 복재기-
노줍되고 있는 데 아마도 선체

에 결구되어 기능했던 부재로 보이나 정확한 용도는 알 수 없다.갚팩 단부에 질록한 홉이 피여지 있다.H5

그리드 북쪽과 I
5그리드 넘쪽에서는 청자반구장정병과 칠제솥,윷질목기 등이 발견되었는네 비-
닥에서 적

이도4O
cm이싱떠있어원위치로보기는힘플디-반구벙주펀에는다링의볍씨기-
출토되었디
l
~O구긴(
꼭쪽구간)
에서는특히선체의챙깅꽉재(
센해떠j
J材)
인가룡꼭(
씹폐업〈
)27
}l
기확인되었다.I

간의기룡꽉은전체선처1
의중긴지침이띠.그로부티북쪽으로23m지침에서또히나의기룡목이노출되
었다.이가룡의두께는8~l
Ocm내외로붉은 빚을띠고 있어다른선벽부재와수종이디를 것으로추정된
디 넘쪽의 기룡 을 기준으로 그 북쪽으로는 디시 원통목들이 다수 나타나기 시직히는데 남쪽구간에 바해

비교적정띤한l
E슴으로확인되고있다.특히I
4그리드에서는하부에직정4O
cm기량의받침꼭이선처l방
헝:
괴 거의직교히여 놓여져있고,그위로다시 선체1
상형:
괴니란히원통목 8
개가 걸쳐져 있다.이원통목
들은 대체로선체에적재되있을당시의모습을유지하고있는 것으로보이마 복쪽으로더진행되고 있으
나아직노출되지않았다‘힌펀K6~M5
그러드에서는I
4그리드와는 반대로선체와직교히-
는1잉
-향으쿄일
정하게 놓인 원통꼭들의 서단부기 외판재에 얹어진 싱패로 노출되고 있다-그 리고 ]
구간에도 받침목이 놓
이 있는데 남쪽의 것괴는 0.
8m 간격을 두고 있디 기콩꼭을 경계로 그 넘편의 L3,M3
그리드에도 받침목

의 동단부가 노출되고 있디 결국 기콩닉꽉을 기준으로 한 건에 두 가1


의 받침목이 선체에 직교히는 빙헝:
으로
배치되고,그 위로 받침목을 가료지르는 원통꼭이 놓여지고 디시 이에 교차하는 벙향으로 원똥꼭들이 적

재되었을 기능 성이 있다 원 똥목둘 시이에서 3


점의 죽찰이 출토펴고 있으며.]
5~1
6그러드에는 판싱의 선

체부재가 노출되었다.특히 N4그리드에서는 넷똘 1


조가 출토되었는데 엣돌의 무끼로 펄 때 이 지전 또는

부근에서 시용되었거니 적재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디


G1

H1

l
8

J8

K8

L1 L8

M7 M8 C‘

Nl N2 N7 N8

。2 。3 。6 。7 。8
。1

Ao
요ζ잉i Ji--s
ι
κ~--r}--r R

뜸:줬 늄 솥/
다1
x

\ C3

ιr= £
;

C
갚→ 〔
용?욕 짤공황 r j=드


도면 1
〉마도2호선 1
차 노출연 펑 딘연도
!66


사진 1
-1〉C3그리드(
1차) 〈
사진 1
-2〉C4그리드(
1차)


사진 1
-3〉C5그리드(
1차) 〈
사진 1
-4〉C6그리드(
1차)


사진 1
-5〉D2그러드(
1차) 〈
사진 1
-6〉Da그리드(
1채


사진 1-
7〉 D4그리드(
1차) 〈
사진 1
-8〉 D5
그러드(
1차)
67

씨‘
f 를;
효」 」
;짧 ’,낭~~
‘ j

r, 톨강 r I

;lti i
a ’a
jr J
-/


a
a”감
1악
L
j써
;

i
l ” σζ JL i 섭
i
e

t
1 -
, ιi

깐 ・
;
.FF a강 8
qi
k
.「 I
i
〕 『 엠찌


‘않걱
t겉


사진 1
-9〉D6
그리드(
1차) 〈
사진 1-
10〉D7그러드(
1차)

록극를ι

3 1 ;j
,,
3

a
l


사진 1-1
1〉 당그리드(
1차) 〈
사진 1-1
2〉 E3
그리드(
1차)


사진 1-
13〉E4
그 리드(
1i” 〈
사진 1-
14〉 E
5그리드(
1차)


사진 1-15〉E6
그리드(
1차) 〈
사진 1
-16〉E7
그리드(
1차)
|68

i;!
J


사진 147〉 F
2그리드(
1i” 〈
사진 1-
18〉 F
3그리드(
1i”


사진 149〉 F
4그리드(
1차) 〈
사진 1-
20〉 F
5그리드(
1채


사진 1-
21〉F6그리드(
1차) 〈
사진 1-
22〉F7
그리특(
1채


사진 1-
23〉 F
8그리드(
2차) 〈
사진 1
-24〉G2그리드(
1차)
69


사진 1-
25〉G3그리드(
1차) 〈사진 1-26〉 G4그 리드(
1차)


사진 1-
27〉 G5그리드(
1차) 〈
사진 1
-28〉G6그리드(
1차)


사진 1
-29〉G7그리드(
1차) 〈
사진 1-
30〉G8그리드(
1차)


사진 1-
31〉H2그리드(
1차) 〈사 진 1-32〉 H2그리드 외 핀재 결구상 태
|70


사진 1-
33〉H3
그리드(
1차) 〈
사진 144〉 H4그리드(
1차)


사진 1
-35〉H5
그리드(
1차) 〈
사진 1-
36〉H6그리드(
1채


사진 1
-37〉 H7
그리드(
1차) 〈
사진 1
4 8〉|
1그러드(
1차)

;1


사진 1-
39〉 |
2그리드(
1차) 〈
사진 140〉 1
3그리드(
1차)
7l


사진 1-
41〉 띠그리드(
1차) 〈
사진 1
-42〉 1
5그리드(
1i”


사진 1-
43〉 6그리드(
1차) 〈
사진 1-
44〉P그리드(
1채

3
;?

灣;
t했
i
l
i
1랜나
‘j
tg

jl
j
f
며 익k


석 ‘P
ι꽉;i・


사진 1-
45〉J
2그리되 1
차)


사진 1-
47〉J
4그 리드(
1차) 〈
사진 1-
48〉J
5그리드(
1차)
172


사진 1-
49〉 J
6그리드(
1차) 〈
사진 1-
50〉J그리드(
1채


사진 1-
51〉 K2그리드(
1차) 〈
사진 1-
52〉K3그리드(
1채


사진 1-
53〉K4
그 리드(
1차) 〈
사진 1-
54〉K5
그리드(
1채


사진1-
55〉K6그리드(
1차) 〈
사진 1-
56〉 K7
그리드(
1차)
73

- ‘

ι・
.r -

〈사 진 1-57〉 딩 그리드(1
차) 〈
사 진 1-58〉 L3그 리드(
1£”


사진 1
-59〉L
4그리드(
1차) 〈
사진 1-
60〉L5그리드(
1차)

딛--------


사진 1-
61〉L
6그리드(
1i” 〈
사진 1
-62〉L
7그리드(
1차)


사진1-
63〉 M2그리드(
1차)
|74


사진 1-
&5〉 M4그러드(
1i” 〈
사진 1
-66〉M5그러드(
1i”


사진 1
-67〉 N3그리드(
1i” 〈
사진 1-
68〉N4
그리드(
1채

S;

〈사 진 1-69〉 N4그 리드 뱃돌 〈
사진 1-
70〉N5그리드(
1차)


사진 1-
71〉N6그리드(
1차) 〈
사진 1-
72〉。4그러드(
1차)
75


사진 1
-73〉E5
그리드 정동그릇 〈
사진 1
-74〉1
5그리드 광구병 및 절제솥

2
)2차노출면

6
월5일부터6
웰25일까지는 l
치-노출띤에서확인된원똥꽉-중침꼴괴정에서흔어진것등을저l
거히σ1
히-
부를노출시끼고.윈똥목이니타니지않는구긴은추기X|
1
토콜실시했디 이에l
나리l
지 노출띤에비해
다l
처1료l
5~3
Ocm기량하강히-
였으띠.6월2l
일무협에는노출상E
}!쉴영을진행했디.
선체의넘단부는 l
치노출 딩시와곤차이기 없으나표낮←은외펀재와저판뜰이25
~3m기량더노출
되었다 등측 외핀두단은노줍이왼료되있으띠.증잉저핀을 기준으로똥측 저판저1
3알또싱당부분 드러
났디 그리고샤측외펀4딘이잔반적인형패를알수있을정도쿄노줍되었디 남딘-
부의휘이진정도가북
딘듀L
보다 크고‘외판의 띤턱이음 결구 싱태 l
)등을 콩헤 띔 l
I
ll난딘부기 선수(
船쉴l
-
)북단부기 선미어암힐)

추정되머 지엔스럽게동쪽이좌헌(
2EM)
‘서쪽이우한(
右悔”1된다 또한선체의팽깅력재인기광고
-이l
:
구간괴N구긴에서확인됨으쿄써기룡이EL
두획인되았는데‘기룡을기준으로선제기 디섯칸으로구분되
고있으l
t1
‘걱킨빨쿄유월의촬토싱E
l1
기 디르게나타니고 있디 이와같이가펑-
에의해구분되는컨을선
수쪽부 터지1
l~5
칸으로 멍l
성히고.각 건탤 l
l二
줍상태를 실펴보도룩 하겠디‘

선수쪽X
1ll
칸의 F
3~4그리드에서는 직정40
~5Oc
ln기땅의받전꼭이 노출되기시작히여 l
치-노출시
확인된 남쪽의원똥목(
직정2
Ocm내외)
괴찍을이룬다 이무원콩꼭은 1
-2m정도의긴직을두고 위치한
디 배의곡쉴~을고펴히Ol원통꼭의수평을빚추기위해선수에기끼운쪽에는상대적으료기는 것을 증
앙으로 갈수록굵은 맏침복을 매치한 것낌디 이라힌잉:
싱은선씨쪽인네빈씨1칸도따찬기지디-받침꽉
상」
뷰에는이외평행히게평t
잉헝(
선처1
외 평행한l
잉형)
의원통꼭뜰이너
ll
치펴있디,침몰시우한쪽으쿄넘어
졌기l
다l
운인지서짝에서민니티니고있는데원{
Fi}서딘-
부는제딘상으로결구된우현외펀재에걸쳐져있
었을것으쿄추정펀다 디민선제종간에도이원똥꽉을지탱할수있는종빙향(
선제와직교히는빙향)

원봉꼭이있어야한것으쿄보이나현상패에서는확인힐 수없었다 횡빙향원통꽉 싱부쿄는 깊이2m내
외의종빙헝:
원통꼭 l
2가l
il
l정도기비고l
적정얀히카1확인펴고있다 l
치노출시정안히지는않지딴다수
의횡방향원똥옥 둡이획인된바있어대형원동옥 싱부쿄는적어도종 횡으로교차히는세 겹이싱의원
통옥들이 l
f
ll
치되있을 것으로추정권다 이원롱꽉둡을1
l二
출시키는 도증에5점의죽침괴셋줍,그리고 입
극L
를줄로단단히Jl
l팎은 청지빈구장정l
청등이획인되었디 수습펀꽉침은원통꼭위로 적재힌회플의물

1
)지금끼지 획인된 고려시대 고선빅 숭 선수외 선미가 획인된 것은 왼도선 딜리도선 인죄신으로 이 배들은 모두 선수쑥의 휘이진 정도가 더 크
고 외민새의 빈턱이음 길 나부의 잉싱이 선수쪽 부새기 히부로 선미쪽 부새기 싱무로 걸구되도록 히였다
176

표였을것이띠,청지벙또한호댐 이있을것으로추정된디‘E3그러드에서는북서가있는종국제도기의저
부편이발견되었는데.시굴과정에서이일대에서 다수확인된묵서멍중국도자기류와유사한 것으로2

선과직점적인관련이없이유입된것으보생걱된다-

제2
칸은가룡사이의거리기-
28m로내부는원통목의우
「부에따라두공간으로구분이가능하다 즉,
F
3-4.G3 4,H3~6그리드에서는원통꼭이거의확인되지않는반면.F5 6,G5・6
그리드에서는종
횡의원통목들이니녁나고 있다 ‘
L’지묘양의빈공간중H3~6그리드에서는 걱종도기호와시루‘칠제
솥.디1
비구니.대니무짓기릭괴 청동숨기릭 등이출토되고있으며.특히H34그리드에서는불에탄기와
편들이낌중적으로획인되어음식의조리기이루어진취시공긴으로판딘된다 이에반해F3 4,G3,
4에
서는출토유불이거의없는것으로보아상부감판괴연결되는흥행공간이었을기능성이있다
이킨의원똥{목들도침필시우헌쪽으로쏠렸으며.몇기-
지점에서 다른칸원통복괴는약간 다른점
이니타나고있디 먼저2
차 노출띤의디-
른구간에비해싱부의평방향원통복이심하게훼손된상태로.
과거 야느 시점끼지F5.6
그리드룹종심으쿄그주맨이해저띤위로 노출되었던것 길다.G5
~G6그리
드의비교적큰복재는 선빅의 부재일수도 있으니-
놓여진위치등으로 보이-
횡방향 원통목으로재활용
된부재일기능성이있다-횡1
잉헝:
원풍똑하부에는종빙향의원통목이있으며,이원통목의남단부는제
l
칸의팍쪽 받침꼭에걸쳐져 있었딘것으로 생걱되나꼭딘부의경우이를 지탱히는 받침목이 니-
타나지
않고있다.또한 이종방헝:
원통목「은수피(
해皮)
기그대로냥이있는 디-
른 것둘과딜리어느정도다듬은
곽재를 시용 했디

유불출토싱황을E띤H3
~H5
그리드에빌집해서분포히고 있는데깨진디1-중 ‘소형도기호들과시
루,대니-
무젓기릭들‘칭지-
겹시와왼.진,병.대니-
부비-
구니등선싱에서 이루어진조리및식생활과핀련
된것이뜰템없는유룹들이주류를이룬다.이유물둡은대제로우한쪽으보넘어진싱태로침몰당시의상
황을 반영히고 있다.힌편,H4
그리드에서죽절2침.I
3그리드에죽찰2침이출토펴었으나이구긴의특성
상디픈 칸의것들이침몰과정에서유임펴있을기능성이있다.
저1
3~4컨에는 평빙헝-
의받침목4개가각각 0.
78m,0.
9m,I
.3m간격으로배치퍼었으띠.선미쪽으로
가띤서굵기기가늘어진다.첫째칸과 마찬가지로 받침목위에평방향 원통목,그위로종빙향 원통목이
없아져3낌이싱의원콩꼭을종 횡으로적재하았다.종빙향원콩L
L은셋째칸에서 넷째칸끼지얀결되고
있으며.길이는최대3m정도쿄 싸고[
적낄다 이두칸 및주변에서는 다수의목간괴-
죽칠들이출토되고
있는데1
‘2자노출띤에서묘두1
2점으로디%댄f종류의회뀔이이두칸에적재되었음을 알수있디.또한
K6
그리드에서는2
0점의청지대짐한묶음괴청자접시및침이출토되었다 l
」l
록소량이지민청지들도 이
킨에 적재히여 운송히-
였던 것으로 추정된디.
77 1

8l B2 B3 84 | B5 B6 B8
n

「D

c1 C2 C3 C8

D1 D2 08

A.
A

E1 E8

F1 | F명히ll-I?I---F3-- ji----fa「-← i -------r F6→j」-i F1


ll 1 F8

Gl | 않 ” ”” ’ G3、‘ 1 G4、 1 i--------- -u ’


ll l l G7& 、 | G8

H7 | H8

;」

l
7 1 l
8

d/
Jl J3 j8

K1 K2 K8

Ll L6 L7 L8

c M1 M2 M7 M8 C’

N1 N2 N6 N7 N8

o1 。2 。3 。6 。7 08

빼 3쨌 눈는 &요
Q&
짧& gS i
Ir4三A

협;鍵든꿇흐
슴r=」=
뤘8
릎 %
羅 醫@
覆$g
) j=

〈도 연 2〉마5갖호 선 2차 노 출연 영 단연도
|78

「rf - -
1 L

jl-iI
1‘R

홈젠
f나」j
i
rE
fr
W’ r

jr j tl }i
. tI

r’
x샤1J
t ;i
펴나 q U

3 -
- ‘ - -n

,*


사진 2-1
〉 D2그리드(
2차) 〈
사진 2-
2〉D3
그러드(
2차)

i톨g

|
」~ ‘I

사진 2-
3〉D£그리드(
2차) 〈
사진 2-
4〉 D5그리드(
2차)


사진 2-
5〉 D6그리드(
2차) 〈
사진 2-
6〉 D7
그리드(
2채


사진 2-7〉타그리드(
2채 〈
사진 2-
8〉E3그리드(
2차)
79

3
l

’;껄

織;
휴헐鐘
r

사진 2-
9〉 E
4그리드(
2채 〈
사진 2-1
0〉E5그러드(
2차)

I l

q‘
’?-
i i t


사진 2-
11〉 E6
그리드(
2차) 〈
사진 242〉 E7
그리드(
2차)

1t
g
i 1 a

F ‘F‘」


」1


-
-

-i---

사진 2-13〉E8그리드(
2차) 〈
사진 2-
14〉 F
2그리드(
2차)


사진 2-15〉F3
그리드(
2차) 〈
사진 246〉 F
4그리드(
2채
| 80


사진 2-1
7〉 F
5그리드(
2차) 〈
사진 2-18〉F6그리드(
2차)


사진 2-1
9〉 F7
그리드(
2차) 〈
사진 2-
20〉F8그리되 2

μ
1/ J
、“r

t 딘
J 1 I
1
・1 ‘ 상1 jr
γ ’2 -
‘‘ ‘

4j
뀔까L t・’
k‘
it
‘ ,
Kr


사진 2-21〉G2
그리드(
2차) 〈
사진 2-
22〉G3그리드(
2차)


사진 2-
23〉G4그리드(
2차) 〈
사진 2-
24〉 G5
그리드(
2if
)
8l

〈사 진 2-25〉 G5그 리드 (
2차) 〈사 진 2-26〉 G7그 리드(
2차)

‘1

i ν、 r

i
‘ γ ‘l‘- 、
l - t ν ; ‘
l “ .


사진 2-
27〉H2그리드(
2차) 〈
사진 2-
28〉 H3그리드(
2차)


사진 2-
29〉 H4
그 러드(
2차) 〈
사진 2-3
0〉H5그러드(
2차)


사진 2-31〉H6
그리드(
2차) 〈
사친 2-
32〉H7
그리드(
2채
|82

-‘ ←


사진 2
-33〉H8그리드(
2차) 〈
사진 2-
34〉 l
1
그러드(
2차)


사진 2-
35〉1
2그리드(
2차) 〈
사진 2-
36〉1
3그러드(
2차)


사진 2-
37〉 |
4그리드(
2차) 〈
사진 2-
38〉 6그리드(
2차)


사진 2-
39〉1
6그리드(
2차) 〈
사진 2-
40〉 P그리드
83

據鐵

사진 2-
41〉J2그러드(
2차) 〈
사진 2-42〉J
3그리드(
2차)


사진 2-
43〉J4
그리드(
2차) 〈
사진 2-4
4〉J
5그리드(
2차)

놓기

‘!

‘---}

-거

?=1

i홉』 ‘

사진 24 5
〉J6그리드(
2차) 〈
사진 24 6〉J
7그리드(
2차)

j
J
I

1
r
i
.

‘아‘
‘、’
j

; t:;
f-i‘
f


사진 24 7〉g 그리되 2
차) 〈
사진 2-
48〉K3그리드(
2차)
|84


사진 2-
49〉K4그리드(
2차) 〈
사진 2-
50〉 K5그리드(
2차)


사진 2-
51〉K6그리드(
2차)

j
X| 생밍;
”“ f

꽃‘
L1‘ q
;;


사진 2-53〉녕그러드(
2차) 〈
사진 2-
54〉 L
3그리드(
2채


사진 2-55〉L
4그리드(
2차) 〈
사진 2-
56〉 L
5그러드(
2차)
85

랜;
?
J
f짧1
1

1 1
한ζγ’

떤ll
、t흩1
l
f
r
灣F?

j
fk

3 -
】 Aμ{“ ! 〔


사진 2-
57〉L6그리드(
2차) 〈
사진 2-
58〉 M2그리드(
2차)

l 도그

j


사진 2-59〉M3그리드(
2차) 〈
사 진 2-60〉 M4그 리드(
2차)

rk


1’ a ’


사진 2-
61〉 M5그리드(
2차) 〈
사진 2-
62〉N2
그리드(
2차)


I1’
r t
I

灣원
i

a
%폈한
;t
」i
;ι・
짧싸

1
;


사진 2-
63〉 N3그리드(
2차) 〈
사진 2-6
4〉 N4그리드(
2차)
l86

/
i
I !
l

@
j‘

. . 를i‘


사진 2-
65〉N5
그리드(
2차)


사진 2-67〉E5
그리드 정자 및 죽잘 〈
사진 2-
68〉 E5
그리드 죽찰


사진 2-
69〉H5
그러드 정자 및 도기 」 〈사 진 2-70〉 H3그 러드 도 기대호


사진 2-
71〉J2
그리드 죽찰 〈
사진 2-72〉K6그리드 칭자대접
87

3)3차 노출먼

2차l
l
二월띤끼지주로펙인되았던원콩꼭을 대부분걷어내고 선i
1|1
」1
닥의유물을노줍시켜기흑 인양
힌3차노헬띤조시-
는7월 l
일부터8
월9일까지진행했다 선제의전지l모슴을 확인힐수 있었으며 유물
은 주로 X
ll
2킨애샤 출토펴었다

선i1
1
는지편7딸 좌현외판2
딘‘우현외판5
딘까지획인되었디 침몰시우헌쪽으로기운어지띤서우한
외펀5
단의부재는선제에서떨이져나와있디 제2칸을지1
외한니껴지칸에는걱2개의받침꼭들이일정
한긴직윷두고선처1
외직교히는빙헝:
으쿄l
j
ll
치펴어있디 이대헝원통목의제원은아건
ll표와같디


표〉대형 원통목 제원표 단위 cm

섣」 124 74 132

*님}
ji
C그l

「 버
」 승
:t 느
」 나
C그--
:닙

받침꽉의 낌이와 직정은 종잉부의 3번이 기장 깊고 두꺼우l


녀.선즉
각L외 선nl
부쪽으로 가띤샤 크기기 작

이진디 숭잉J
;
L기기정깊고넓으l
녀.선수 선미로기띤서폭괴깊이가촌어드는선자1
의구조특정과정획히-
지1일지히고 있다 섣팍 선i
1|내 놓이질 위치에 알씻은 깜기의 니무를 선정하여 죄 우 외판 l
단 시이에 놓을

수 있는 길이쿄 짙피낸 깃으로 추정힐 수 있다 이라힌 받침복 위로 디츰 어지지않은 원통김펀 3


겹 이상 겹치

l
l
ll
치히→
였디 이퍼한 원콩꽉들의 기능은 그 l
j
ll
치니 정형 출또펀 꽉 ・쭉질의 니l
정으쿄 보아 콩이니싼괴 낌은

곡콸의 운송 시 호l
→한。1
델에 젖지않도흑 배 저편에서 이격시키기 위한 것으보 생각펀디
선처l비닥부의 유깥은 섣제솥 2진을 지1
외히→
고 또두 저l
2칸에서 출또되고 있다‘유꽉은 도기와 정자 칠

지1
솥,디l
ll
l
규L니 등으쿄 엎서 2
지 노출L
긴에서 기술했듯이 이 깐에는 선싱의 취시 및 식생휠괴 관련된 유물

J
ll회쉰이판재되어있는 것으쿄보인디-
.2차노출시원봉목들이획인된l
jl있는F5 6.G5 6그리드에
서 원콩꽉을 섣。1
내자 칭지l
l
ll
벙 2진고|
-똥헝진 2
J-
1
LEl
Il
l.각종 도기호와 준첼.그러고 여러 개기 점치있는

첼제솥등이월토되있디 이유물뜰은 호l
뀔의적재오1
-핀련된원콩꼭하듀L
에위치하며 공빈판토된목
족침의내용등으효꾀이-
같은저l
2깐출토픔이리히더파도H3~6
그파드출토관]
ll딜피운송증이던회플
EE생걱된디

2
치노펀띤에서어느정도윤곽이드라났떤「l
3~H6
그리드의출토퓨들은선싱-
추1시와식생짤과관펀된
유불둔이l
I1
.특히 H3
그리드에샤는 셈토와 기외 피편.괄로 딴든 노지 시설이 획인 되었디 노지는 l2

l
26m의 방형으쿄 선i
|1
의 숭신인 쫓대구멍에샤 좌현 족에 위치한다 저판부재 바로 위에 짐토를 낄고 그 위

모 임?1
외편을 위주로 한 기외펀괴 씬릎「
을낄냈 디 죠l
토는 요랫동인 콸을 맞이-
소갤되었으π1기와외 괄틀도

붉게 l
친섹띈 부분이 있디 1
IL
지 축조애 시용-
된 기외듬은 E
l1
퓨L분 듀L
문의 임키외편이l
녀.소수의 기와에 어팔문

이니 직xl
운‘시격X넨 등이 티날 되었다,뜯「
들은 모두 석영계의 치올 로 깨진 띤이 날키로운 헐석이다

이 노 지의 샤펀으로 선싱 취시외-
관펀펀 유불이 디수 출f
E되는데 l
4그리드에서는 데바구니 2접괴 청자

왼 침시 대니무짓기릭‘청동숨기럭등주쿄식기류기 있디 그리고꺼5 6그리그에서는비교적디|


형의
젤지|
솥l침.증 소형의 칠X
|1
솥걱 l
점 또기호 4
깎 시루l
점.정지 침시외 디|
칩 등이 획인되는데 솥에는

설까지에 시용 되았을 것으료 파이는 솔이 운어있다

지1
3칸의]
3 4그러드에서는젤제솥이렐토되었는데특히]
3그리드의것은 I
녕그리드의것괴l
lf
찬기지
로 힌 점이 아니라 두 진 이상이 포개진 것이고,월토 위치상 시용 되딘 것이 아닌호댄 이있을 것이다‘
188


사진 3-
4〉G6그리드 유물 노출상태(
3Z”


사진 3-
5〉 H5 6그리드 유물 노출상태(
3채 〈
사진 3-
6〉H5
그리드 유물 노출상태(
3차)

-」

~


사진 3-
7〉 H6그리드 유물 노출상태(
3차) 〈
사진 3-
8〉J
3 4그리드 유물 노출상태(
3채
S9

4)4차 노출면

선체 니{
부의유란을 ]
[두 인양히。l선체의 진꼬콜 노출시킨상네디-넘이있는 선처|
의규모는 길이
l
26n
1(
우측 저핀3
열기준)
‘최대폭44
ln(
G행기준)
.잔존최대깊이ll
6m이다 선제는우현쪽으로약
간기울이진싱패쿄U
ll
뭘되어있었으l
다.죄한외판은2단,우현외펀은5딘끼지넘아있있디,선꾀의침올
딩시우한쩍으료기울띤서외판이약간렐이진것으로꾀인다 。1때문에우힌작이갯l
쉴에때촬된부

이많이져서외편이5딴까지남아있을 수있었다 우한 외판5
단의경우히나의꽉재만이 넘아있았는데
외판4딘괴는분리되어있었고 기콩꽉이부E1
진채쿄결구된싱태았디 또한4딘외판에멍에형가창을
설치하고위쿄괄촬펀듀L
분괴의갤구를위해5
딘외핀의 히딘부에홉을만둡었다 아쇠가1
도이위치에결
구되있던 l
성이l
형 기~
향은 발낀되지 않았디

xl
판은 20
09년 딸딸되었띤 l
lf
도1호선J
ll유시힌 데 둡 디- .외판괴 얀결되는 죄 우 지판 지l
7암이다1 3열

이 비슷힌잉:
상이다 즉.선저|증잉부근애서는7열모두같은높이쿄구분되지않지민선수나선1
l1역으
로 기l
낀서 조l 우 자핀3엘이외핀처런의:
간치솟는 보슴이브이고 있으띠.선미」
뷰에서는외판재와 낌이
내띤을각지거l치복하。l
외판재외구분되지않는디.이전시기의고꾀선애서는외펀치l
와지판지{
릎떤갤
히는 딘띤 L지→ .2호선의 좌 우 저펀 저1
싱의 민곡종통재가 시용 되었는데 이마 도 미도l 3힐은 만픽종;
콩 xl
}

기소멀되는괴정애서지펀지1
와외판자1
의특성을동시에기지는피도가적인형E
}1
의괴L
재가아닌기생각된
디 저편 」
fL
xH들은 겸구되는 죄 ‘우 측면반을 빈-
듯히가1깎이내고 싱 하떤은 거의 찜질만 엣져내는 정도

의가공띤이이후이졌다 이에따리저핀의윗떤괴이넷띤이기존에l
말필띈고선딱괴는달리평평하게디→
뜯은 것이아니테둥근형E
H판갖고 있디 지관 부재블시이에서는 수띈을 위해빅아 넣은 꽉실이획인된
디‘한편 선수외 선l
ll쪽은 부후가 심해 정확힌 형다l
나 구즈를 펴-
악한 수 없었다

선지|
의전민적인구죠륜피악히-
고선처1
의Ul
l
괄상E
}1
에디1
힌실측을 실시한후선저1인잉작암을 진행했
디.선지l각부재에리l
빙을부착힌후 선제의 인잉:
은선체의진처1
적인규l
IL
나직엽 。1
건을 김인히아 히|
il
l
인잉-
을히기묘섣정히-
였디 각부지l
들의규모기-
상딩히三L
고무가l또한무거웠기l
[
l!
문에수증에서의직업
은많은시간이소요되있디.인잉:
은각부재룹을결구히고있던나부꽃들을콤을이용하。1칠단히는것부
터시작하였다 지1
일싱단부에노출이 되어있딘외떤뜰부터인잉하기시작히였는E
ll
‘기-
홍팩 이 겔구펴이
있던외핀은 씬자외펀듀L
재와 기끼운위치에서기굉조순을절딘한후 외판의니각멋 을젤단히이 인잉:
히였
디 젤딘히고닌부지1
들은수증에서셈첸대에훈핀후쓸과고무비를 이용히이낀고히7
|1고정하고,리프
텅백(
l
lF
ti
ngb
ag)
을이정-
히이수l
깐으로부상시켰디 수띤으쿄울리온부재는수띤이
1대기히고있덴잠수시
가三L
E|
1인직엽이용이한곳으로이꽁시키고드L
페인의고리외꽉재를깎은순음 얀갤히있디 드L
El
1인으모
부제흰틀어윤린후J
fL
재블은l
jl
지선외에서 정ι1
되었으l
꾀.젤앙피익:
설측을진행히였다 이리한과정을
빈꽉히여외핀을 j
L두인잉한1후에는 저편을 인양하였다 지판의경l
우{는니-
무붓의규놔도크고부재뜰의
규h
L또한외편에비해서훨씬크기l
[
l1
갚L이1
작임시간은더많이소요도
1았디 특히 증잉자편은젤극
L방식이
일빈적인 정」
듀이음l
잉식。1아니리정부이음숭간듀L
분。1
1평망헝:
애샤고정핫이 걸구되어 있이샤더욱직암
이 어 려웠디

이렇게인잉펀오든선i
ll
펀들은비지선위에서긴금]
긴존처리휠위해젖은부직포쿄진띤을덮고‘디시
그위에 비넘을이용히여E
J
E정을히있디-정El
뭔선처l
편들은딴조l
[
|1
에맞추어서비지션을이동하이태안
시-
으 /、의 l
든!여 자 o ξ!씌 7
」디
1 1 - → ← 1 ι ‘ J U - - - C lj /〈 1
|90

B1 82 83 84 85 86 87 B8

。 n
「D

Cl C2 C7 C8

L1
L6 t7 L8

M1 M2 M7 M8 l C‘

N1 N2 N6 N7 N8

O1 。2 。3 。6 。7 。8

Aq
D’

8
1
@ ”

C-
} C1

gbn $ m


도연4〉마5갖호선 4차 노출연 영 단연도
9l

L j
훌&

사진 4-
2〉저|
1칸 노출상태


사진 4-
3〉 제2칸 남펀 노출싱태 〈
사진 4-
4〉 저|
2칸 북면 노출상태


〈사 진 4-5〉 제3칸 〈
사진 4-
6〉 저|
3칸 북펀~저l
4칸 남편

-


사진 4-7〉제4칸 〈
사진 4-
8〉선미부
192


사진 4-
9〉중앙저판 동대구엉


사진 4-11〉중앙저판 장부이음 〈
사진 442〉 가룡목과 외판재 연결상태


사진 44 3〉저판재 분리 인앙 후 상태 〈
사진 4-
14〉 저판 단부 수밀재 상태


사진 4-1
5〉 외판재 분리 인앙 후 상태 〈
사진 44 6〉선미부
93

5)5차 노출면

선제 인양직엽이 l
l두 왼과-
된 9월 l
6일부터 1
0월 20띈끼지 센저1히」
듀오1주l
션에 디l
힌lE층조시와 잔존

히l있는 유물포힘층 지|
또직엽을 실시했다 선지1히부판 포함한 주변듀L
에는 단단힌 패끽층이 분포히는데
이 층에는 1
ll
도2호선괴 관펀된 유꽉들이 표한!
되어 있디 앞선 선처l인앙을 위해 주떤부플 지1
토히-
는 과정

에서 이u1패각층의 싱딩 부분이 저l
거되았으띠.포험띈 유불을 수슴하였다

패각층은 선수와 우한.선ul


부 외픽에서 니녁 니는데 특히 우헌부외 선수부쪽에 두텀거l형성되어 있었

디 페걱층상 히부에는고운갯델층이되적되었디-이층에는디수의패각괴함께꽉긴괴죽칠‘동뀔 뼈.
도가편 음각매탱펀 등 칭지류 부근1
진 원통꼭.그리고 벗션으로 추정되는 초본류 등이 포힘되어 있다-이
러한 출l
E유물의 양싱과 층의 분포탬우1
륜 콩해 볼 l
r
ll침원 당시 우힌쪽으로 기웰어지띤사 선적플들이 우

한괴-
선수 선U1
부ll
1
-낌으쿄 쏟이졌으 띠.이 호펀 에 디수의 패각류들이 서식하띤서 층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디 특히 이 층은 선저|
히부에서도 5
~1O
CI1
1두께쿄 형성되어 있으며.l
!l
찬기지료 ]
고기니 벗섬들이

줍토되었디 디민좌현쪽에서는거의획인되지않고 있어패걱층의분표범위가선적물의분포와 띨점한


핀2
|1
기 있음을 보01
준다.

선수」
fL
쪽은 선il
l인잉:
시 지1
토기 되지 않이 패각층의 분표를 정획히거l알 수 있었는데 선처1
로부터 남쪽

으로 l
.5I
1
1정도의 씬위끼지 패각층이 니티나미‘그 남쪽으로는 순수힌 i
앨층띤이 획인 된디 선수와 접해있

는」
펀 의 피l
걱층 두끼1
는 최대 3
Ocm 정또0|
lr
1님쪽으로 기띤샤 앓이지디기 사과전다 이 층 니{
부에는 다
땅의 원콩복 조각괴-
fE기펀등이 같i
EE되었으[
녀.득히 우지판 3
-1부재 히부에샤는 떳섬으쿄 추 정되는 초분

류가 획인되기도 히였다.

우현쪽은 선지|인잉:
과정에서 대듀L
분 제또기 이루이지 5
치 노출띤 조사 시에는 H8
‘l8.
]8그리드 정도에

서인 페각층이 넌이있았다-그테나 지|
1
E딩시 우현쪽에서 이 층을 전딴적으쿄 확인힌 수있었으R1
.층 내에
서 디수의 유불뜰이 줍수펴었디 대i
ll
EL선지1
로부터 서쪽으토 최대 25
m 띤위끼지 층이 분포하l
셔 두께는

선수부외l
ll
친기지로2
0~3
Ocm정도이디 특히]
7~9
그리드에서북간피죽짚 떳성으로추정되는초본류.
추정조류의l
씨27
1l
제등다수의유둡들이쓸f
E되있는데선처1
의사|빈찌l킨에심렀덴회윌낙들로생각된다
선n1
부쪽에서도 패각층이 획인 펴나 선수부에 l
ll
헤 잃디 씌측 지펀-
2-3부재 히부 에서 이형도기기 출

토되었는데 이 지역에 대힌 탐시괴정에서 인잉펀 유불괴 거의 동일힌 깃으쿄 2


호선에 심랬던 유룹일 기능

성이 있디 디콘 곳에 비해 우한쪽에서는 유띔이 표힌펀 패걱층이 거의 헥인되지 않고.선처l콩쪽으로는

거의 순까힌 l
밀층만이 니티나고 있디~
95

「 ‘〔

・ i

-
r -

L-

사진 5-1〉선수부 때각층 노출상태 〈
사진 5-
2〉선수부 때각층 노출 세부

1 - i

;」;f;-초 =‘ f a

η -i 훌 」
;ζ-

〈사 진 5-3〉 선수부 때각층 단면 상 태 〈


사진 5-
4〉우저판 3 1
열 하부 추정 벗섬

fir-----} ;L 1
ir

L
l
l
C1학
할 」
rι3


사진 5-
년;
r
總/*
현f
5〉우현 외곽 제토 상태 〈
사진 5-
*w
i

6〉우현 담색 트렌치 제토 상태

!
j i

약악느 t
iP

‘ 、


사친 5-
8〉5차노출연 토층도 작성 광경
|96

4.선체

노경정

충넘 태인 마도 해역에서 빌굴된 마도2


호선은 20
09년 마도 1
호선을 발굴히-
던 종 주띤해익 시굴조시에
서 발견된 선박이다.마도1
호선에서는 동쪽빙향으로 약 9
00m 기렁 떨어져 있어 거리가 비교적 기까운 펀

이고.전체적인 선체의 성격이 유사히여 따도1


호선괴의 연관성도 고려해 볼 수 있으나,현재끼지의 조사

결괴만으로는 섣부르게 판딘하기 어렵다

l
까도2호선은 l
3세기경에 침몰된 고려시대 선박으로 U
H볼 당시 길이 1
28m.증심폭 5
m 기핑:
의 규오였

으며.5
Ocm깊이에서 1
치,7O
cm2
차.l
OO~l
2Oc
m3치 노출띤 획인 및 발굽조시를 실시하였다-선체는 장

축방향이 동쪽으로 2
O。가링:
틀아진 싱 패(
북동-
넘서)
로 저핀과 외핀이 매몰되어 있었다.선박은 침올 당시

우현 쪽으로 기울어지떤서 점차 외판이 벨어진 것으로 보이며.이로 인해 2


단까지만 확인된 좌현에 비해

서 우현을 5딘끼지 획인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디.

마도2
호선끼지 인%E
함으로써 수증발굴을 콩해 인잉된 고려시대 선빅은 총 8
척이 되었다 따도2호선은

시기적으로 보띤 십이동파도선(
l1세기 후반~l
2세기 초반)
.왼도선(
l쩌1
71초종반)
과 대부도선(
l2~1
3세기)
.

달리도선(
13~1
4세기)
.안죄선(
14세기 후반)
의 사이에 위치히는 선맥이다.즉,저판괴 외판을 연결시켜 주던

만곡종;
통재가 시라지고,저판과 외판이 직섞 연결되는 직부형이 나티나 기 전의 선박으로 불 수 있는 것이다

미도2호선은 저판 2l
부재,외판 2
0부재로 총 4l
부재기 넘이-
있었으며,횡깅력 유지의 떡힐-
을 히었딘 가

룡복 5
점.받침목 6
침괴 탓돌 1
침이 각각 인양되었디-
-마도2
호선은 좌우 저판 3열의 경우 선수와 선미쪽으

로 갈수록 위로 치솟는 헝태를 이루고 있다.이는 바도l


호선에서 확인된 양싱괴 매우 유시-
하다‘따라서 현재

끼지의 띨굴성괴만으로 띠루아본디띤,마도2호선 역시 지핀을 7열로 간주하되,죄우 저판 3


엘을 괴도기적인

단계의 저판 혹은종통재로 보는 것이 타딩휠 짓이다 저핀의 각 부재들은 최소한의 접험부분민을 가공하이

제작히었고,외판의경우내부는 평평하게제작하였으나외부는 원목J


냥태로제직히아부재가두꺼우I
I1

강도를 고 려하여 제작한 것으로 보인디-
-

따도 2
호선의 내부는 마도 l
호선괴 유시하 게 받침목(
대형원통목)
이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었는데,이는

횡강랙 유지,회플 의 받침,선처1


내부의 구획 설정 등의 용-
도로 시용-
히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l
친마도2호선에서는 이쉽 게도 선수와 선미의 구조룹 파악할 수 있는 구죠물이 발친되지 않았다 하

지만 마되 호선에 이어서 또 디사 7열의 자편구 조를 갖는 선맥을 확인하는 계기기 되었으마 선체 내부에

서 발견된 원-
동목과 새룹게 빌진된 중앙치판의 구조 등을 통해 고선빅의 구조를 띤구하는 더|많은 자료를

제공해 주었다-
,뿐만 이-
니라 기존의 고선박들괴 낌이 부재간의 결착떤괴 붓구댐 시-
이에서 석회로 보이는

일종의 침칙제를 시용한 흔적이 재치 확인되었다

마도2
호선에서 확인된 평저헝의 횡단띤 구조,홉붙이 콜링커 이음방식을 채용한 외관 구조.기룡 목괴

원통꼭을 시용 하여 횡강력을 유지한 점 등의 구조적 특정은 우리니리 l


3세기 고선박의 형태플 확실하게

대딴하고 있디고 볼 수 있다

띠라서 미도2호선의 빌굽은 한선 연구에 있어서 그동안 발굴된 자료와 힘께 고선박의 구조와 고려시대
선박의 편년떤구。1
1중요한 지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디-특히 만곡종二
통재 시용 시기외 만곡휩 -
제를 사

용히지 않은 시기에서 l
까도l
호선괴 힘Yl
l고선박의 l
밀딜단2
ll
헬 설정하는E
ll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다1
된다
97

AZ A3 Aa A5 A6 A7 A8
A1

B1 B2 B3 B4 B5 B6 B7 B8

C2 C3 CA C5 C6 C7 C8
C1

D1 D7 D8

g1 E7 E8

F1

G1

H1

U
11 |8

|
6 J7 J8

K1 K7 K8

L1 L7 L8

M 1 M6 M7 M8

N1 N6 N7 N8

。1 02 。6 。7 08

P1 P2 P6 P7 pg

。1 。2 。3 。A 。5 。6 。7 。g

R1 R2 R3 R4 R5 R6 R8 R8


도연 l〉마도2호선 해저명연도(
격자 한칸은 1
m)
198

J
I그

1。

:
ji
U

- J

- J

‘ 。-

「。

1。

。 l
a1

므J
「 -

디l

1으 l

B
o 1 ‘

。 1
“ a

-。 1 ll--키 1--- lR --1| l 」 ==J| 1 1


l ll당

L
PJl r rl l ll | 1

Et | 1 ’ L- - 」 | | l ! ! 1
l 1 ;。
-a l

-。- ,
「 :q
E- 1d
PJ
:。

:。
따그
- t1 1 BB
l 15

。1 :。
므 1

’D

-연j !l |! :
。::
i!-
;。

:。

口 며
1E
-
口 ---
‘「E;

E‘

1。

--
‘R -

1。

50 1
m ZO
Om


도연i
l〉마5강호선 영면도
99

1
)저판 재

xl
핀은 7열로얀결되이있고 선수부분은약2
00c
In 선l
」1
」뭔L
은익:l
45c
m로 선수기선l
l1
보다넓게저1
직도1
았으며‘각」
fL
지1의폭은33
~47
CIn.두끼1
는30~37
cm이디 증
=앙자판에 가로 l
lcn
1‘세쿄2
7cn
1깊이
l
3cm의윷대구멍2
개기있으파 증잉저핀끼퍼의떤젤은장부이음방식을시용히였는데 두곳의장부이
음부E
L두측띤에고정응우1
힌나무못을빅은특이힌형태디-죄우의저판재는묘두3
부재가히니의열을
이루고있으띠 죄우 l
.3알은모뚜빚댄이음방식을시정-
히고있고.좌우2
엘은맛덴이음벙식괴반턱이음
빙식이모두 시-
-
용되었디 좌우지핀3
띈의정우2
009년에띨끊되었떤띠도l
호선괴유시한 잉:
싱을보이는
E
ll
-조1
우2열의저판에l
」1
히l잔치l
적으로익긴높7
ll칠구되어있으l
ll
.선수와 선ul
쪽으로길수콕위로지솟
는묘슴을꾀이고있디 저판얀1
겸부{
분의l
잉수처리는새끼흘꼬아빈들이선k
11조립시시이에넣어조림
을히고띠부리쿄수멜재약헬을하는유기불을추가로심입한깃으로보인다 x
1핀의연결땅법은정삭을
이용하이7
부지1
를연겔히였는데종잉X
1펀괴죄우지핀1
알이힌꺼번에관똥되어연결되었으며.저펀2

온저판l
열과얀결시끼고 3딸은2띈괴얀결시컸디 정식의크기는기로 1
0~1
3cm,세로5
~7c
m가핑:
의딴
띤을기지고‘길이는4
8~l
oom1
가링이l

1.산지는기보.
새로3
~5c
n1정도에l
5~2
Ocm기-
량의낄이룹기지
고 있디

1
00cm

i닐


도연l
l
l〉나무못 걸구 모석도

E:
?
: 펀-깐 쉰 큐받슨r

,
a1 1 , 1O1 i
。’
r
;:; Q;
Z二=r「
멸 ?

i
:
1T팬끓i
센 반] 쉰
( 1:。↓
:
oj J‘;
。i
E?
1。;
댄득/「;;

;
?
j
i패 1g:


‘。 1

;。‘ 。1 ;
9:
만츄←← ;
?
; ’oj
4 4 -

:
까꿇 그
3
E코
ε「
?? 뀔 E므

;。‘ ::b: b: b: ‘
。‘
:: r、
1 m1
ι-
‘ 갚포
댐휠뚫 1
i;::
{1;=== 극 r
l
1돼 ,
。‘ 1 1 j 1 。 1
1r :
。: 。1 1
n:
딴렐←-:
j 바과
핀특족= 뜰rL
」j 1
。1
는:f
I
=많 1
。; “ 1
。1

‘ 1 ,。1

‘ L£: ‘£
늘 ;
펴윌E :
김칸갇잉
50 100 2mc
m
f


도 연 w〉저판 재 펑연도
I 100

크기{단위 cm)
부재영 트「지。
길이 너비 두께

관통된 장삭구멍이 4곳 있으며, 측면상에서 보면 선수쪽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다

중앙저판1 237 47 37 부재는 약간 뒤틀려 있고, 옹이 부분과 이음부에 희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며, 바
닥면에 불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관통된 장삭구멍 01 7콧 있으며, 선수쪽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다 옹이부분과 앙 이


중앙저판2 701 45 35 음부에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획엔되며 , 바닥면과앙측면에 물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
다 돌대구멍이 2개 있고, 구멍에 호|를바른흔적이 있다

관통된 장삭구멍 01 3곳있으며 , 선미쪽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다 뒤틀림과휩 모두


중앙저판3 337 38 30 거의 없는모습이다 옹이부분과 이음부에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바닥면에
물에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관통 반관통된 장삭이 각각 1 곳씩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 산지로고정하였다 선수쪽


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고, 부재는 약간 뒤틀려 있다 이음부에서 회로 추정되는 물
좌저판1 - 1 136 38 32
질이 확인되며, 바닥면에 불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이음부에서 소랑의유기물이 확
인된다

관통반관통된 장식이 각각 6곳씩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산지로고정하였다 선수쪽


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이고, 부재는 선수쪽이 선체 중앙부로 치우쳐 있다 옹이부
좌저판1 - 2 602 41 35
분과앙이음부에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획인되며, 바닥면과앙 측면에 물에 그슬린
흔적이보인다

관통된 장삭이 5곳1 반관통된 장삭이 4곳에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 산지로 고정하였
다 선미쪽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이고, 부재는 심하게 뒤틀려 있는데, 이는 앙측면
좌저판1 - 3 477 34 33
의 부재와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옹이부분과 이음부에서 회로
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바픽면에 물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관통된 장삭이 3곳, 반관통된 장삭이 2곳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 산지로고정하였다


선수쪽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이고, 부재는약간 뒤틀려 있다 옹이부분과이음부에
좌저판2 - 1 238 39 36
서 회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며 바닥면과 측면 일부에 불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
다 특이하게부재의 상면에도약간그슬린 듯한 흔적이 보인다

관통 반관통된 장삭이 각각 6곳씩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 산지로고정하였다 선수쪽


으로갈수록 치솟는 형태이고, 부재는뒤틀림이 거의 없다 옹이부분과앙이음부에서
좌저판2 - 2 640 44 35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바닥면과앙측면에 불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한쪽
측면에용도를알수없는 반관통구멍 01 1 개있다

관통된 장삭이 4곳, 반관통된 장식이 2콧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 산지로고정하였다


좌저판2 - 3 344 33 33 선미쪽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이고, 부재는심하게 뒤틀려 있다 옹이부분과 이음부
에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바닥면에 물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관통된 장삭OI 1 곳 있다 선수쪽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이고, 약간 휘어져 있으며


좌저판3 - 1 99 33 33 부재는 거의 뒤틀림이 없다 이음부에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바닥면과앙
측면에물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관통된 장삭이 &곳, 반관통된 장삭이 8곳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 산지로 고정하였다
선수쪽으로 갈수록치솟는 형태이고, 뒤틀림은 거의 없다 옹이부분과앙이음부에서
좌저판3 2 638 35 37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바닥면과측면에 불에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선수에
서두 번째에 위치한잠식의 쐐기를박은앙싱이 특이하다

관통 반관통된 장삭이 각각 3곳씩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 산지로고정하였다 선미쪽


으로 갈수록치솟는형태이고, 부재는 뒤틀림이 거의 없으며 선미부분의 부식이 심하
좌저판3 - 3 431 33 32
다 옹이부분과 이음부에서 회로 추정되는물질이 획엔되며, 바닥면과선체 외부쪽측
먼에 불에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101

크기{단위 cm)
부재영 트「등X
〕|
길이 너비 두께

관통된 장삭이 3곳, 반관통된 장삭O I 1 곳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 산지로 고정하였다
선수쪽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이고, 부재는약간 뒤틀려 있다 옹이부분과앙이음부
우저판 1 - 1 170 41 32 에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 일부못관통구멍에서도확인된다 바닥면에 불
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이음부에서 회로보이는물질뿐만아니라유기물과작게 자
른나무조각이확인된다

관통 반관통된 장삭이 각각 6곳씩 있으며 , 반관통 정삭은 산지로 고정하였다 선수쪽


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이고, 부재는 선수쪽에서 약간 뒤틀려 있다 옹이부분과 앙
우저판1 2 608 43 35
이음부에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바닥면과측면에 물에 그슬린 흔적이 보
인다 특이하게 선수쪽빈관통장삭의 산지에도 쐐기를박았다

관통된 장삭이 5곳, 반관통된 장삭이 4콧 있으며, 반관통 징삭은 산지로 고정하였다
선미쪽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이고1 부재는 약간 뒤틀여 있다 옹이부분과 이음부에
우저판1 3 476 36 31
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바닥면과측면 일부에물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선미쪽끝부분상면에 선미재를 결구했던 것으로추정되는 반관통구멍 01 1 곳있다

관통된 장삭이 4곳, 빈관통된 장삭이 3곳있으며 반관통장삭은산지로고정하였다 선


우저판2 - 1 276 39 33 수쪽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태이고, 부재는 뒤틀림이 거의 없다 옹이부문과 이음부, 측
면에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획인되며 바닥면과측면에 물에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관통된 장삭이 7곳, 반관통된 장삭이 6곳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 산지로 고정하였다
선수쪽으로 갈수록 치솟는 형 태이고, 부재는 뒤틀림이 거의 없다 옹이부분과앙이음
우저판2 2 719 40 35
부에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 바닥면에 물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측면에
용도를알수없는반관통구멍 01 1 개있다

관통된 장삭이 4곳‘ 반관통된 장삭이 3곳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 산지로 고정하였다
특이하게 관통장삭을고정하는산지도있다 선미쪽으로 갈수록치솟는형태이고, 부
재는약간뒤틀려 있다 옹이부분과이음부에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바닥
우저판2 - 3 323 34 34
면에 물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선미쪽끝부분상면에 선미재를 결구했던 것으로추
정되는 반관통 구멍 01 1 곳 있으며 선미쪽에서 약 6Dcm 가랑 떨어진 곳의 상면에 4
× 4 cm 크기의용도를알수없는관통구멍 01 1 곳있다

관통된 장삭이 2곳‘ 반관통된 장삭이 1 곳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 산지로 고정하였다
선수쪽으로갈수록 치솟는 형태이고‘ 부재는 뒤틀림이 거의 없다 이음부에서 회로추
우저판3 - 1 193 38 33
정되는 물질이 확인되며 , 바닥면과 앙 측면에 물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모든 나무
못은사선 형태로 박혀 있으며 , 일부클링커 홈에서유기물이 확인된다

관통된 장삭이 6곳, 반관통된 장삭이 8곳 있으며, 반관통 장삭은 산지로 고정하였다
선수쪽으로 갈수록치솟는 형태이고, 부재는 선수부분 결구를 위해 뒤틀려 있다 옹이
우저판3 - 2 653 44 38
부분과앙 이음부에서 회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며, 바닥면에 물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관통된 장삭이 5곳 반관통된 장삭이 3곳 있으며 , 빈관통 장삭은 산지로 고정하였다


선미쪽으로 갈수록치솟는 형태이고, 부재는 뒤틀림이 거의 없다 이음부에서 회로추
우저판3 3 464 35 34
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 바닥면과측면 일부에 불에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나무못은
사선형태로빅혀있다
l lO2


사진 1-1
〉중앙저판 1


3D도면 1〉중앙저판 1
lO3

〈사 진 2-1〉중 앙저판 1

〈사 진 2-2〉졸 대구엉 〈사 진 2-3〉장부이음

〈3D도 연 2〉중앙 저판 2
llO4


사진 3-1
〉중앙저판 3


사진 3-
2〉장부이응 〈
사진 3-3〉초흔

윌활를르 「「걷듣뀔
g펠

뤘똘를 디 슨똘랙 50 1
m m,


도면 3〉중앙저판 3


3D도연 3〉중앙저판 3
프노
E그 §S

」 =르르I

〕떠
D;

C그

드증
7 1
00cm

i닙


도연 4〉좌저판 11

〈3D도 연 4〉좌저 판 11
1lO6


사진 5-2〉옹이부분 회흔적 〈
사진 5-
3〉좌저판 1
-2측면

/i
f-

-
←t -
‘ -


3D도연 5〉좌저판 1
-2
1lO8


사 진 7-1〉좌저판 2 1

〈사 진 7-2〉반턱 이음부 〈
사진 7-
3〉선수부

톨 븐
웰측 콸흘홉
그불
:u:; ;디 ;

맘험 면
펀토흘 흘E쫓 50 1
00c
m

〈도 연 7〉좌 저판 2-1


3D도연 7〉죄저판 2 1
109


사 진 8-1〉좌 저판 2-2


사진 8-
2〉맞댄이음부 〈
사진 8-
3〉측면


도연 8〉좌저판 2 2

〈3D도 연 8〉좌저 묘잉 2
llIO


사진 9-
1〉좌저판 2-3

〈사진 9-2〉선미부 〈
사진 9-
3〉초흔


3D도면 9〉
좌저판 2
-3
1ll

〈사 진 10-1〉좌 저판 3-1

「‘’


사진 10-
2〉맞댄이음부 〈
사진 10-
3〉클링커홍

〈3D도 연 10〉좌저판 3-1


1 ll2


사진 11-
1〉좌저판 3
-2


사진 11-
2〉잠식과 쐐기못 〈
사진 11-
3〉클링커홈

듣므a
욕홍
[그 g그 딛 다깅
a

,
{
[

p [

[

1‘ j
ot j디 1
;
민 ;
。: ,
。:

i
받늑한
:
。;

E口 [그디
ED ED E끄
흑돋칼 100m


도언 11〉좌저판 3-2


3D도언 11〉
좌저판 3
-2
ll3

〈사 진 12-1〉좌 저판 3-3


사진 12-
2〉맞댄이음부 〈
사진 12-
3〉선미부


3D도연 12〉좌저판 33
1ll4


사진 134〉우저판 11


사진 13-
2〉선수부 〈
사진 1
3-3〉정연

:
D;
휴빌 옛
1m cm


도면 13〉우저판 1
-1


3D도면 1
3〉우저판 11
l15


도면 1
4〉우저판 1
-2


3D도연 14〉우저판 1
-2
|1l6


시진 1
5-2〉우저판 1
-3

갖ah
l

사진 1
5-2〉맞댄이음부 〈
사진 1
5-3〉선미부


3D도연 15〉우저판 1
-3
ll7

〈사 진 16-1〉우 저판 2 1


사진 1
6-3〉흑연

돋츠듣

훨 틱 1디 1 ;
口:
효 앓
옳똘즘 렐똘캘
E그

1OOcm


도연 16〉우저판 2-1


3D도연 16〉우저판 2
-1
| 1l8


사진 1
7-1〉우저판 22


사진 17-
2〉맞댄이응부 〈
사진 17-
3〉옹이부분 회흔적


도면 1
7〉우저판 2-2


3D도연 1
7〉우저만 2-2
ll9


사진 184 〉우저판 2
-3


사진 18-
2〉바닥면 〈
사진 18-
3〉산지못

순꿇三슨 口

조廠7
빨--
←쉽-
말 툴」)벼
쫓뚫 날」
g구r굶괴 5
0 1
OOcm


도면 18〉우저핀 2
-3


3D도연 18〉우저판 2
-3
| 120


사진 19
-2〉초흔 〈
사진 19-
3〉클링커홀


3D도면 1
9〉우저판 3
-1
l2l


사진 20-
1〉우저판 3
-2


사진 20-
2〉맞댄이음부 〈
사진 20-
3〉클링커홈

록:
?
E〕 C그 C그
C그
C그

1。

i

1
1j디 1
L↓
;:;
o: 1
t
1o; ’。 i
L-4-』=
’ -‘----
,o

L
뭘끄 법
다- C] ff

란혼켠

도언 20〉우저판 3-2

〈3D도 연 20〉우 저만 3-2


1 l22

〈사 진 21-2〉맞 먼이음부 〈
사진 21-
3〉클링커홈

획빨즘펀 판츠를출캘
쫓펙콜
쏟 뚫 파격

;
디;
는그
U뽑
寶휩출 나
듀순 50 1
00c
m


도연 21
〉우저판 3-3


3D도연 21
〉우저판 3-3
l23

2)외판재

외관은 죄한 2
단 우현 5
딘만 마l
볼되ol있으 띠 선수 선nl
부의 기-
룡꼭은 l3.5
단에.풍잉부에는 2딘

에기황이섣치되이 있었고.4딘에는 l
성이1
형기룡이실치되어있었디 기룡은 외핀을관동시켜외판애서
쐐기를 이정-
히이 고정시킨 헝E
}|
디‘
외판 l
딘은 좌우 x1
판 3띨에 턱을 민들이 연칠하았으미,외핀의 좌우 이음 l
싱식은 띤턱이음 빙식으보

얀질되이 있었고,외펀의 상히단 얀걸은 훈뀔이클링커식이음으쿄 딛리도선 인죄선 등의 고헤선박과 동

일힌 빙법으로 지l
직히-
였다 득이하게 우현 l
단 외판 선미쪽의 부재둡은 맞댄이음빙식으로 연걸된다 피식

의 크기는 기-
쿄8~l
2cm 새로 3
~6c
m 기링 의 딘띤을 기지고‘길이는 35
~6O
cm 기핑:
이떠 신지는 기로,

새로 3~4cm 정도 에 l5~2Ocm 가굉의 길이룹 기지고 있디-


50 1
00 mom


도연v〉외판재 펑먼도
I 124

크기 l 단위 cml
부재명 E
;극
드~
길이 너비 두께

관통된 띠삭이 2곳 있다 선수쪽으로 갈수록 약간 휘어지는 형태고, 뒤틀림은 거


좌외판1 1 142 35 22 의 없다 이음부에서 회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며 , 외부면에 불에 그슬린 흔
적이 보인다 부식이 심하다

관통된 띠삭이 &곳, 반관통 피삭이 4곳 있으며, 반관통 띠삭은 산지로 고정하였
다 선수와 선미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 뒤틀림은 거의 없다 옹이부
좌외판1 2 506 41 24 분과앙 이음부에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외부면에 불로그슬린 흔적
이 보인다 클링커 홈의 일부에서 유기물이 확인되며 , 12 × 8cm 크기의 가룡구
멍이 1 개있다

관통 반관통 피삭이 각각 4곳씩 있으며 반관통 띠삭은산지로고정하였다 선미


쪽으로 갈수록 선미부분 결구를 위해 휘어지는 형태이고, 약간 뒤틀려 있다 옹
좌외판1 3 411 36 20
이부분과 이음부에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외부면에 불로그슬린 흔
적이보인다

관통된 띠삭이 3곳 반관통 띠삭이 1 곳 있으며 , 반관통 피삭은 산지로 고정하였


을것으로추정되나부식으로인해 없어진 것으로보인다 선수쪽으로갈수록휘
좌외판2 - 1 226 36 21
어지는 형태이고, 뒤틀림은 거의 없다 회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지 않으며,
외부면에불로그슬린흔적이 보인다

관통된 피삭이 5곳, 반관통 피삭이 4곳 있으며 , 반관통 피삭은 산지로 고정하였
다 선미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 뒤틀림은 거의 없다 회로 추정되는
좌외판2 2 389 33 22
물질이 확인되지 않으며, 외부면에 불로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10 × 8cm 크기
의 가룡이 결구되어 있는상태이며 , 클링커 홈과 반턱이음부의 부식이 심하다

관통반관통 피삭이 각각 3곳씩 있으며, 반관통피삭은산지로고정하였다 선수


쪽으로 갈수록휘어지는형태이고, 약간뒤틀려 있다 옹이부분에서 회로추정되
우외판 1 - 1 250 38 22
는물질이 확인되며 , 외부면에 불로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13 × 6cm 크기의 가
룡구멍01 1 개있다

관통된 피삭이 6곳, 반관통 피삭이 5콧 있으며 , 반관통 피삭은 산지로 고정하였
다 선수와 선미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 뒤틀림은 거의 없다 이음부
우외판 1 - 2 532 40 25 에서 회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며 , 외부면에 불로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12
× 9cm 크기의 가룡구멍 01 1 개 있다 가룡구멍 양측면에서도 회 추정 물질이 확
인된다

관통반관통 피삭이 각각 4곳씩 있으며, 반관통피삭은산지로고정하였다 선미


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 약간 뒤틀려 있다 우외판 1 - 4오눈 반턱이음
우외판1 3 428 36 25 이 아닌 맞댄이음으로 연결된다 옹이부분과앙 이음부에서 회로추정되는 물질
이 확인되며 , 외부면에 물로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11 × 8cm 크기의 가룡구멍
이 1 개있다

관통된 띠삭이 1 곳 빈관통 피삭0 1 2곳 있으며 , 반관통 피삭은모두 산지로 고정


하였던 것으로추정되나 1 곳은부식으로확인할수 없다 휩과 뒤틀림 모두 거의
우외판 1 - 4 110 28 23
없다 우외판 1 3와는 맞댄이음으로 연결된다 이음부에서 회로 추정되는 물질
이 확인되며 외부면에불로그슬린흔적이 보인다

관통된 피삭이 2곳 있다 선수쪽으로 갈수록 미세하게 휘어지는 형태이고 두|틀


우외판2 - 1 103 32 21 림은 확인할수 없다 이음부에서 회로 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외부면에 불
로그슬린흔적이보인다

관통된 띠삭이 5곳, 빈관통 피삭이 4곳 있으며 , 반관통 피삭은 산지로 고정하였
다 선수와 선미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 약간 뒤틀려 있다 옹이부분
우외판2 - 2 437 33 21
과앙 이음부에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외부면에 불로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125

크기 l단위 cm]
부재영 트「;.J<
。l
길이 너비 두께

관통된 미삭이 5곳, 반관통 피삭이 4곳 있으며 , 반관통 미삭은 산지로 고정하였
다 선수와 선미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1 약간 뒤틀려 있다 옹이부분
우외판2 - 3 408 34 21 과앙 이음부에서 회로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 외부면에 물로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12 × 9cm 크기의 가룡구멍 01 1 개 있으며 가룡구멍에도 회 추정물질이
확인된다

관통된 미삭이 4곳, 반관통 띠삭01 1 곳 있으며, 반관통 미삭은 산지로 고정하였
우외판2 4 308 32 21 다 선미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 약간 뒤틀려 있다 회로 추정되는 물
질이 확인되지 않으며 , 외부면에 물로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관통 반관통 미삭이 각각 2곳씩 있으며, 반관통 띠삭은 산지로 고정하였다 선수


우외판3 1 181 35 22 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1 약간 뒤틀려 있다 이음부에서 회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며 , 외부면에 불로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관통 반관통 피삭이 각각 6곳 있으며, 반관통 피삭은 산지로 고정하였다 선수와


선미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 약간 뒤틀려 있다 옹이부분과 앙 이음부
우외판3 2 630 38 25 에서 회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며 , 외부면에 물로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14
× Bern 크기의 가룡구멍이 1 개 있으며 가룡메 쐐기를 빅았으며, 회 추정물질을
바른흔적도있다

관통된 피삭이 3곳, 반관통 피삭이 4곳 있으며 ‘ 반관통 피삭은 산지로 고정하였
다 선미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 약간 뒤틀려 있다 옹이부분과 이음
우외판3 3 386 34 22
부에서 회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며 외부면에 불로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1 1 × 7 cm 크기의가룡구멍 01 1 개있다

관통된 피삭이 2콧 있다 선수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 뒤틀림은 확인


우외판4 1 81 33 20 할 수 없다 이음부에서 회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며, 외부면에 물로 그슬린
흔적이보인다

관통된 피삭이 6곳 반관통 띠삭이 5곳 있으며 반관통 띠삭은 산지로 고정하였


다 선수와 선미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 약간 뒤틀려 있다 이음부와
우외판4 2 588 38 24
외부면 일부에서 회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며, 외부면에 물로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폭 22cm 크기의 멍에헝 가룡구멍 01 1 개 있다

관통된 피삭이 5곳1 반관통 띠삭이 4곳 있으며 반관통 띠삭은 산지로 고정하였
우외판4 3 411 36 24 다 선수와 선미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 약간 뒤틀려 있다 이음부에
서 회로 추정되는물질이 확인되며, 외부면에 불로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인앙 당시 피삭 관통구밍 부분이 마손되어 두부재로 나누어졌다 관통된 피삭이


4곳l파손부분 포함[ 반관통 피삭이 3곳 있으며, 반관통 피삭은 산지로 고정하였
다 선수와 선미쪽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형태이고, 뒤틀림은 거의 없다 옹이부
우외판5 11 378 36 23
분과 이음부에서 회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지 않으며, 외부면에 불로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11 × 8cm 크기의 가룡구멍 0 1 1 개 있으며 쐐기가 박혀있다 下緣
內얘lj 일부구간에 용도를 알 n 수 없는 2cm 가랑돌출된 부분이 있다

우외판 5 - 1 의 파손된 나머지 부재이다 관통된 띠삭이 3곳{마손부분 포함I. 반관


통 피삭이 2곳 있으며 , 반관통 피삭은 산지로 고정하였다 휩과 뒤틀림은 거의
우외판5 12 231 34 20 없다 옹이부분과 이음부에서 회로 추정되는 물질이 확인되지 않으며, 외부면에
물로 그슬린 흔적이 보인다 폭 22cm 크기의 4단 외판 멍에헝 가룡을 덤는 홈이
있다
|126


사진 22
-1〉좌외판 1
-1


사진 22-
2〉반턱이응부 〈사 진 22-3〉측 면

[
디 며
二二=i
「?
E
선 ri D
략 =;7
50 100cm

〈도 연 22〉좌외 판 1 1


3D도연 22〉좌외판 11
127


사 진 23-1〉죄 외판 1
-2

디 q
-5 E묘 험 = ===
g
늄돈〕
갇r
I 다그

l
EF


-
-----
--
--
--
--
----
--
---‘

←-----。

E E l
픔필 m
펀그
E=그 --------
[그
c==그 r=그

5
0


도 연 23〉좌 외판 1
-2


3D도연 23〉좌외판 1
-2
ll28


사진 24-
1〉좌외판 1
-3


사진 24-
2〉가룡구엉 〈
사진 24-
3〉회흔적

걷 三프는순 변

확유]]~;
;며 ;
;폼 m
현二二느 口 口 |
口|
50 1
00c
m


도면 24〉좌외판 1
-3


3D도연 2
4〉좌외판 1
-3
129

〈사 진 254 〉좌 외판 2-1


사진 25-
2〉장삭 〈
사 진 25-3〉측 면

「길l
片콘5== 口 ~~격

엽훔늑二흐=파뼈
rj

[르 =;

50 1
OOm


도언 25〉좌외판 2
-1


3D도면 25〉좌외판 2
-1
1l30

를灣 ‘
3蠻 I
톨k
ν?
딘?
響싶
릎藝 l
l - …

ll ← 「
- -
ii i‘ E- - 1
a
-

i

1 -
-

ii와 ‘・함“ 꺼 ‘!

!
꽉?
f혹축

li‘- r- -‘
----“ .,--
」 「 I ‘---
- - -

‘ -l

l극r
;、l
|
승|

사진 26-
1〉좌외판 2-2


사진 26-
2〉가룡목 〈
사진 26-
3〉측면

E크
률륙
-잉S-
i i

1
t도코 투혼크
E그

면담 멸\
c=그

擊 -를콕휴속선펀 ”드 g퍼
를힘 m
먼二
E그
C二그 C그

던그
50 1
00g
m


도연 26〉좌외판 2 2


3D도연 26〉좌외판 2
-2
13l

〈사진 27-1〉우 외판 1
-1


사진 27-
3〉클링커홍

많二 c=그

걸략낀
3
륨뒷수
;! 앤급
〉m

E←L융완 불들꿇흐륨 50 1OOcn1


도면 27〉우외판 11


3D도연 27〉우외판 1
-1
l l32


사진 284〉우외판 1
-2


3D도연 28〉우외판 1
-2
l33

〈사 친 29-1〉우 외 판 13


사진 29-
2〉가룡구멍 〈
사진 29-
3〉이음부

〔루
ε=그


二끈쿄

훌고二二 페 꿇 )많

릎드윤 드 표그 E그 도극
률듣둘
급 50 1
mim


도면 29〉우외판 1
-3


3D도연 29〉우외판 1
-3
1l34


사진 30-
1〉우외판 1
-4


사진 30-2〉부식부분 〈
사진 30-
3〉클링커홈과 가룡

ε三

섣=ι편빽 E
3
-
Q
밀드듣
5O 1OOm

i닙

도연 30〉우외판 1
-4


3D도연 30〉우외판 1
-4
l35


사진 31-
1〉우외판 2
-1

‘앙
・ 』}

--i-- I・‘-‘---i


사진 31-
2〉이음부 〈사 진 31-2〉측면


듬 口T
:〉

나밟 :
〕Q
[디듀츠는

;:〉
50 1
mcn
n


도연 31〉우외판 2-1


3D도연 31〉우외판 2
-1
1l36


사진 324〉우외판 2
-2


사진 32-2〉반턱이음부 〈
사진 32-
3〉측연

二혹그람
----- --

〔르 f
二그

터도추; 4

꿈 뜨패 Q
뚫률늪 끓드三 E=1 륙꿇 틀

0 % 1
OOc
m
1 , , 1 1 1 .


도연 32〉우외판 2-2


3D도면 32〉우외판 2-2
137


사진 334 〉우외판 2-3
f
상gJ


사진 33-
2〉이음부 백색흔 〈
사진 33-
3〉측면

E二 E그
r「 ε그
E]

않도
누μ
E]
: U

펀 E꿇뇨 己 ζ흐 ζ:E =며 rrr- 률크
50 1
00c
m


도면 33〉우외판 2
-3


3D도연 33〉우외판 2
-3
1 l38


사진 344〉우외판 2-4


사진 34-
2〉반턱이음부 〈
사진 34-
3〉선미부


3D도면 34〉우외판 2-4
l
39


사진 35-1
〉우외판 3-1


사진 35-
2〉부식부분 〈
사진 35-
3〉측면

룹= 드쿠
二=그

다툴머활=그 뚫
닫 LF=
품 설 =?
o 50 1
00c
rn


도 연 35〉우 외판 3-1


3D도연 35〉우외판 3-1
|l4o


사진 364〉우외판 3
-2


사진 36-
2〉가룡구엉 〈
사진 36-
3〉이음부

E;
=루파펀
g극

뀔젝 댐
T

ED ,

딛꽉 4 ‘ l L--t===
::R:!

먼툴 굴굴 Eif

-

4
n
한 r=츠를 E:1 훌g
g 롤표율굴
〈도 연 3&〉우외 판 3-2


3D도 연 36〉우외판 3 2
l4l

〈사 진 374 〉우외 판 3 3


사진 37-
2〉가룡구 멍 〈
사진 37-3〉클링커홍

〈二 「
순그
7E그
펀〕

」 1
[그 i

펴뼈
E
〈== 포프높프줄 -[그 E=j -」E그 될글

50 100cm


도연 37〉우외판 3 3


3D도면 37〉우외판 3
-3
1l42

- -
-r
j
iEr
파--
??← ‘:}
:
환 慧웰
」뭇 ?;
:
숙」 채 讓 製廳sr
순 훌 몽 갖를톨틀톨l를톨훌 홉 ;
꽉i:
L
’.- -・!-----------------
lllIll--
・l --------- -- ‘
날」 * S꺼 팩 F앓 % f - ---------------------

빠£ E느「파;
펀 활닷

Rt
:3
r
C
f캘펠 ?
;:
;!
d싼
씌파!!II--!

찮:료A
t£
휴딛활활r
;
jjf
:
;파;
j;
확?’
강간
:」
-
c
꽉;늘페휴흙 필繼 ‘
?
-l
lll・-ll・--;
燮 잔;감;
평f합 ‘
안펴L;
F?
걷1i
i
.l
-----------r t .
ι:피i・
?
?rj?- -
- ;-
--

iiill.
치펀:
편웠IIll・-
Ill・-I환覆 펠꽉꽉L
녁 톰Ill・--l
|
;-‘
;.꾀l
剛웹 ・l

톰 禮뺀

사진 384 〉우외판 4 1


사진 38-
3〉이음부

口 검E〉

뽑讓i g
E上딛;?
o 50 1
00c
m

〈도 연 38〉우 외판 4-1


3D도연 38〉우외판 4
-1
l l44


사진 40-
1〉우외판 4 3


사진 40-
2〉이음부 〈
사진 40-
3〉측면

GE c=그
c=그
E그
E김

;
핵 미
-------

따흘 」 ]

ι 1
-

댈 玉;
며 -~ - - -- - - ←
→ ‘-- ---- ←
----------‘- 료큰 E三B
료i
L
J
i 품쫓푹휩
5
0 1
mcm


도연 40〉우외판 4-
3


3D도연 40〉우외판 4-3
l l46


사진 42・1
〉우외판 5-1
-2


사진 42-
2〉가룡홈 〈
사진 42-
3〉파손부


3D도연 42〉우외판 5-1
-2
l
47

3)가룡목


사진 43-
1〉가룡목 1


사진 43-
2〉측면 〈
사진 43-
3〉가공부분

L 、
--) --) ← τ 二그 。

rr--r---τ ” @
〉 ~~「
5
0 1
00m


도연 4
3〉가룡목 1
1l48


사진 44-1
〉가룡목 2


사진 44-
2〉측연 〈
사진 44-
3〉가공부분


사진 454〉기룡목 3


사진 45-
2〉측면 〈
사진 45-
3〉가공부분
149


사진 464〉가룡목 4

〈사진 46-2〉측 연 〈
사진 46-
3〉가공부분

ι;1
-i;→‘ i D

「-
----← ]

5
0 1
mcr
n


도면 44〉가룡목 4
1 l50


사진 47〉가룡목 5


사진 47〉측면 〈
사진 47〉가공부분
l5l

4)받짐목


사진 48-1
〉받침목 1

〈사 진 48-2〉측 면 〈
사진 48-
3〉가공부분

〔 혐‘ 壘 후그렐

ζ 壘순깅
5
0 1
00c
m

〈도 연 45〉받침목 1
1l52


사진 494〉받침목 2


사진 4?
-2〉측언 〈
사진 49-
3〉가공부분


사진 5
0-1〉받침목 3


사진 50-
2〉측연 〈
사진50-3
〉자귀 흔적
l53


사진 51-
1〉받침목 4

늘활활듭풀화흩혈 .
l
,----


사진 51-
2〉측면 〈
사진 51-
3〉단면 세부


사진 52-1
〉받칩목 5


사진 52-
2〉측연 〈
사진 52-
3〉옹이부분 회흔적
1l54


사진 534 〉받침목 6


사진 53-
2〉반턱부분 〈
사진 53-
3〉자구|
흔적

醫 는꿇-
一-
-훗
1

-
輯=혈
蠻「 )섣
50 1
OOc
m


도면46〉받침목 6
153

5)원통목

선처1내부전빈에낄쳐다수의원통꽉-
이템낀되았디.낌이05~3I
1
1.두끼15
~l3
cm료디양한크기를이
루고있으며‘니무낌질이그대로 넘이있는 정우기디1
부분이디 선처l
l
잉힘괴종E
l
i는똥l
l잉향으로l
l
}!
지되어
있는것과일부구간에서는그렇지않은것도있었디 선체내부의회쉰을적지l
한 띠l회물의받침또는화
펀이 젖지 않?1
1히기 위해 시용 한 것으로 꾀인디

〈사 진 54〉원통 목 수중 매몰 상태 1 〈
사진 55〉원통목수중매몰상태2

.함 -
-
i -
‘}~
- 1』‘-r
뜰 효1
깐・

$
kyt
;
1 f


J뿜
I
-’
t i ’

활품 쫓
l τ :훌「
i

1[
:
;
*
;:z

‘[
ζ :그;

〈사 진 5&〉원통목 수중 매몰상 EH3 〈


사진 57〉원통목수중매몰상태4

〈사 진 58〉원통목 인앙 모습 〈
사진 59〉원통목 달염장 보관
.

나: 心
L
少‘ÿ>화으:»'»ÿ

■家::

구V
1
透衣

158 1. 도자기

253 之 기와
冬'今
264 3. 목간

310 4 금속유물

323 5. 석제유물

326 6. 목제 죽제 • 초본류 유물

心乂>、


:_,、:.,변쐈 336 7. 식물류

M:: ‘
, 342 8. 동물류

삼轉■었:’:
: . . .. ;
: -、,
I 158

1. 도자기

김헌아

1) 마도2호선 출수 도자기 현황

미도 2호선에 대한 조사는 2009-2010년에 걸쳐 이루어 졌으며 선상과 선체 밖에서 총 203점의 도자기

가 발견되었다 유물은 청자가 157점으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이 밖에 도기가 28점 확인되었다. 배 외

곽에서 수습된 40접은 고려 -조선시대에 걸쳐 만들어진 것들로서 수량이 미미하고 마도2호선과의 연관성

이 크지 않다. 유물에 대한 분석은 선 내 출수품 163점을 대상으로 했다 이 중에는 완형뿐 아니라 편으로

수습된 것들 중 기종괴 기형의 구분이 가능한 접합 유물 또한 포함되어 있다 특히 연판문의 발과 잔은 포

장목으로 묶여 있어 복원이 비 교적 용이하다

발견된 기종은 발, 대접 , 접시, 잔, 병 등 대부분 생활용기다. 선상에서 시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그릇들

은조질이 대부분이고, 물품으로보이는연판문발과잔은 비 교적 양질 이 다.

〈표 1) 마도 2호선 출수 도자기의 기종 및 수랑

기증 2 009 년도출수유물 2010 년도출수유물 수랑1%1

정자완 110.61 1

정자빌 42 42125 77]

정자대접 2 21 1 231

정자잔 28 29117 791

청자접시 13 43 5613436]

정자병 7 71430]

정자대발 11061]

정자호 2 211 23]

도기병 1ID61 J

도기호 3 17 20112.271

시루 1ID61 I

도기저부펀 110 61 1

총 163 점 1 100 % ]

2) 형식분류

마도 2호 선상에서 출수된 유물은 청자가 대부분( 1 40점, 85. 36%)으로 기종과 기형이 단순하며, 도자

기 운반을 위한 선빅이 아닌 관계로 수량도 163점에 불괴하다 따라서 기종별로 유물을 따로 분류하지 않

고 문양 시문기법 구연(전)의 형태 · 크기 · 저부형식 · 내저형식 · 소성방식 · 기측선이라는 총 8개의

동일한 기준에 의해 기물 전체를 통일성 있게 나누었다. 분류의 속성별 특징과 그에 따른 기호는 〈표 2>와

같다 유물은청자와도기로先분류하고 각재질안에서기종별로 나누었다 그후세부특성에따라크게

그룹화하였디. 유물별로대표되는속성에차이기-있어,모든분류기준을동일하게시용하지않고의미있

는속성만을선택하여적용하였디. 분류기준의순서또한유물에따라달리하였다 그리고이와같은작업

방식에의해나원유물들을속성별로 I · II · m 등의형식으로크게묶고간략히그특징을기술하였디.
159

출수-유불중왼괴-호 대발등은 l 침씩 빔에획인되지 않이 형식분듀히지 않았디 도기의 정우도수링이

과지 않플뿐만아니리 형태기 디잉히여 유물소개에 초전을맺추었다

〈표 2) 분류기준 체계

분류기준 내용 기호

[그[그
-「τr
@

2중 a
연판문 @
드나프-。
d 3중 b

시문기법 뉴----
뿔上¥
드C프〕~ B
직립

외반

구연l젠으| 형태 「 LH만 Ill

밖으로말림 IV

꺾여벌어짐(전) v

크기 중 中

:!--

다리굽 I 1I
저부형식 안굽 111 I
펑저 11111

내저곡먼 @
내저형식 뉴-
내저원각 @

다」도「버」-不-
-끼」、'c서
3님c::i~ 뉴----
포개구이 2

사선 。
기측선 뉴-
끝에서외반 ( l」

CD 정자발

정사벌은 총 42 쥐 받견되었으냐1 시운 우서라외- 분양 소재에 띠라 언판운발( I )과 앵무운발( II )‘ 그러고

우운민( Ill ) 로 대분뉴 히았디, 띤펜운의 II 형식은 갚앙의 구성방식에 의해 소분류 하았고. 문양이 없는 Ill

형식은구띤의 헝더}판세부분뉘-기준으로선았다.

l 형식은떤펀운이 시운된빈로잉끽 (A)괴 음각( B) 기범으로표현되었디 연판은모두딘엠이며 2승(a)

괴 3숭(b) 의 꽉떤으로 나티냈디‘ I 형식 벨 중 KG 지전에서 발견된 25 전 (A 8 침 B 1 7 전)은 포장복에 묶。 1

싱패였고‘ 깨어진이 선해 진합 복원히였다 II 형식의 유각 앵부분 딸은 I 전 확인되었다 l 과 II 는 모두

내저 원각이 있고 내민히-는다리균에 기측선이 웬만히 랜어지는동인 형태디-

uj- 지믹으로 m 헝석은분양이 시분되지 않은발로 구띤의 형태에띠라 2기지로니핀디 하나는직띤-,

엔 ( i ) 이 ltj 디븐 히니-는 선딘이 도묶한 옥연구연 (iv) 인데 ‘ 노두 조짐이 l다 일부를 제외히고 대부분 포기|어

구웠디
160

〈표 3} 정자발의 기형분류

대분류 -λ‘‘-‘날~ 도면 개체수 내용 수량1 % 1

(2)- B-a

빨Z 2

연판문 발로 음각과 앙각기법으로

혔7
시문되었다 연잎은 모두 단업으로 30
(2)-8-b 19
표현되었으며, 2중또는 3중의 복련 171 43%1
으로나타냈다

(2)-A-b
폈7 9

II @-B
.쫓
<
음각앵무문이 시문된 발이다
1238%1

、 」/

℃r7
@- | 4
무문의 발로모두 조질이다 구연 11
||| 의 형태에 따라 2 개의 그룹으로 126. 19%)
나건다

단b7
CD iv 7

총계 42점 1 100 %)

@ 정자대접

대접으로 분류된 유물은 총 2점으로, 구연의 형태를 제외한 세부 특징은 표시하지 않았다. 소량 발견되

었고 기본적인 형태기- 앞서 언급한 발괴 유시함에도 불구히고 ‘대 접’이란 이름으로 띠로 나눈 것은 발괴 뚜

렷하게 대별되는 넓게 바라지는구연의 크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접 I 은 발 m0따 iv)과구경의 크기를 제외

한태질 , 기형, 번조방법 등에서 동일합성격을보여 입지름의 너비를의도적으로달리한것으로추정된다.

〈표 4) 정자대접의 기형분류

대분류 소분류 도면 개체수 내용 수랑1 % 1

\工7
직립구연의대접이다
150%)

닫흘7
II IV 옥연구언의대접이다
150%1

층계 2점1 100%)
161

@ 정자접시

청자점시는마도 2호선에서 벌견된 잔처1 기종중기장많은양을차지한다(56 점 34 .36%) . 개체량뿐만

이니리 형태 또한 다양히고 질에서도 치-이기 있어 양질에서부터 조질까지 디채롭게 발견되었다 접시는

우선 크기에 띠리 I (소형) Il (중형) III ( 대형 ) . 3기지 형식으로 나누었디 그러고 각각의 형식 안에서

서로 디픈 기준에 의해 세부적으로 분류히∼았디

소형인 I 형식은 다리굽(( i )) . 인팝((ii )) . 평저 ((iii)) 로구분한후. 내저 원각의 유무에 띠라세분하였

디 증헝 선시 H 는전의형태에의해 직립( i )과외반( ii ) 으로 I 치분류힌후 외반구연의 접시를다시 내

저 원각이 몰이기는 것괴 인바닥괴 측시면의 경계기 뚜렷하기는 히나 원각을 두르지 않은 것으로 나누었

디 대형 접시인 m 형식은 번조 빙법에 띠리 단독 소성힌 것( 1 )괴- 포개구이한 것 (2)로 대분되띠, 구띤의 형

태에 의해 세분된다 이 증 딘똑 소성힌 직 립구떤의 침시 증 2 전에는 은각 떤핀문이 시문되야 있는데(大- 1 -

I - 2.) 타 기형에 비해 운두기 높다

〈표 5) 정자접시의 기헝분류

대분류 '1_、 ~ 도면 개체수 내용 수량1 % 1

小-( I)-@
~g

\」뇨-;:?
小 Iii © 소형 접시로 다리굽, 안굽1 평저 3
가지 저부 형식이 확인된다 대부 33
분 조질이고 백색 내화토빚음 받침 [58 93%)
으로 번조한 것이 많으나 일부 고운
小 ( ii )-@
\」토?/ 흙물을묻혀 구운 것도있다

小-1111] © 30
tζ〕듀;·

中 1
\」낱?/
중형 접시로 모두 조질이며 포개어 4
II 中 ii -@
R들;7 구웠다 내저 곡면인 것과 내저 원
각인것이있다
(714%]

中 -ii- ©
\)」/ 2

大- 1 - i -φ
\놔)/

낯캡=/
大- 1- I -<2) 2 대형 접시는 연판문이 시문된 2 점
、*\、이 --
을 제외하고 모두 무문이며 포개어 19
Ill 구운 것과 단독 소성한 것으로 대 133 93%]
분된다
大- 2 - i
\〕틀7
大- 2 - ii
、그릎Z 15

총계 56점 ( 100 % ]
I 162

@ 정자잔

잔은 포장목에 묶여 발견된 통형잔과 선상에 흩어져 있던 팽이형잔. 두 종류기 확인되었다 따라서 외

견상확얀히구별되는형태를기준으로통형잔을 I 형식, 팽이형진을 R 형식으로하였다

통형잔은 총 20점으로 모두 외측띤에 단엽 연판문을 2단으로 양각하였다. 잔 위에는 뚜껑이 덮여 있는

데, 손잡이가연봉우리 모양이며 측사띤에 연잎의 잎맥이 음각되어 있다 통형잔은크기에 띠라대형(大)

과 소형(小)으로 대분되며, 소형의 경우 연꽃잎 안에 음각 선문을 넣어 장식한 L 형식과 문양을 넣지 않은

「형식으로 다시 나건다.

발견 당시의 포장상태를 보면‘ 뚜껑을 뒤집어 잔과 뚜껑을 번갈아가며 차곡차곡 겹치는 방식을 사용했

음을 알수 있다 포장목에 묶여 발견된 연판문 발과 마찬가지로. 마도 2호선 발굴품 중에서는 비교적 양질

로분류되며, 번조받침도규석 알갱이를 시용한것이 많다.

팽이형잔은 통형잔에 비해 다소 조질이 며 도기호 인에서 발견된 것도 있다. 무문(@)이 4접 . 뇌문(@)

이 5접이다--

〈표 6) 정자잔의 기형분류

대분류 A닙E
-」·~ 도면 개체수 내용 수랑1 % 1

같풀츠.
大 <Z; A

韓) ® 10

앙각 연판문이 시문된 통형잔이다.

옳는i 포장목에 묶여 인앙되었으며 대부

小 <J) A 「

탬J (@) 7
분 규석을 받쳐 번조하였다 크기
에 따라 대형과 소형으로 나뉘는데
연잎 안에 음각 장식을 더한 것도
20
168 97%)

보인다

小 - <Z;-A- 」
옳J@ 3

뿔끼
@-B 5

맹이형 잔으로 무문과 구연 외측


9
II 하단에 음각 뇌문을 두른 것으로
(3103%)
나검다

@
t입 4

총계 29점 ( 100% )
163

@ 정자병

청자병은크게 배병 ( I 형 식 )괴-빈구장경병 ( II 형식 )으로 나핀다 배병은음각과상감기맨 으로 시분되

야 있는앙질품이나‘ 만구징 정 l정은유태기 거칠고 기떤 위로 기포기-올리오는등 전처| 적으로 질이 좋지 않다

aH 탱은 총 3 침으로 기형이 동일히디 구떤은 반구형이띠 꼭이 짧고 어깨가 풍만히-거l 벌어지 최대경 을

이 룬다 동제는허리기 짙팍히고히단에서 외반히는볼듀낌 있는형 태이 디 매병 2 짐에는은각( B) 연관분,

1전에는 상감(C) 국화놔린유로죽운이 시문되어 있디

만구장경병은 저부형데에 띠리 인굽(( ii )) 괴 평저 ((iii)) 로 나펀다 전지는둥근 어깨에 긴장감이 있고

미교적 유태기- 안정 적 이며 내화토빚음으로 번조하였디 빈띤 후자는 잡붙이 많이 섞인 흙으로 거칠 게 만

들어졌으며 시유상태또한 불랑하다. 병의 바닥형식과질괴의상관관계가반드시 성립되는것은아니나.

u j-도 2호선유적에서 는 인권이 평지에 비해고급품으로제작되었다 평저의 병은세부적으로 기 측선이 사

선으로 좁아드는 것( 「 )괴- 외반히-는 껏( L)으로 구분된디

〈표 7) 정자병의 기형분류

대분류 A브E
{」 n 도면 개체수 내용 수랑[ % )

i”.、끽.

웠?
'll,.,.-

8

‘¥ 2

음각과 상감기법으로 시문된 정자 I 3


;.
”·” |l
-’ - - 매병으로 기형이 동일하다 I 142 B6%l
1
n
-,‘
.,4
‘ν

\
‘、

j
c

-
”」/


~l

I Ii) (Q

반구장경병으로 저부형식에 따라
4
I Ill) Gl 2 안굽인 것과 펑저로 만들어진 것으
[5714%)
로나쉰다

[ 111 ] 。

총계 7점 [ 100 % )
I 164

@ 도기류

도기는 총 23점으로 대부분 호류이다. 호는 기형상동체가 세장한장신호( I )와목이 짧고 배가 부른

단경호(II ) 그리고높이 80cm 가량의 대형 도기호(Ill )로 나컨다. I · II 유형은시유된 것이 다수이며 Ill

형식 의 것은 무시유 되었다. 이 밖에 도기매병과 시 루, 그리고 ‘吳뽑|)로 추정 되는 묵서멍이 적힌 도기 저

부편도발견되었다.

〈표 8) 도기류의 기형분류

기종 '='2
=rr 도연 개체수 내용 수량[ % )

건부가 넓게 벌어지고굽지름이 작은무시유



C> 1[4.35%)
도기매병이다

II 10
동체가세장한 장신호와목이 짧고 배가부
.2. 른 단경호, 놈O[ 80cm 가량의 대형 호로 | 2미86. 95%)
나컨다

Ill 2

시루
많 &개의 구멍이 뚫린 원통형 도기시루다 1[435%]

[ O

기타 묵서명이 적힌 저부펀이다 1[435%)

총 23점 [ 100% ]

1) 도기호 묵서영 판독은 국립해앙문화재연구소 임경희 학예연구사의 의견을 따랐다


l65

011
칭지잉 각 띤판문 발
1
듀泌‘
1
싸Zl
l
iE빼 Xt
4i
Cel
adonBow|Wl
lhL。t
usPct
alDesl
gn

형식 @ A l
) |쓸수위치 K
6그리드
높이 73-79on 임지름 l
62-l
6&1
11
답높이 (외m 9(L
H)03ml닫 지훈 5S〈
111

내저윈각지름2%1
11
무제3
79%

측시l
건이 완 넨한 시 선으로 벨 어 지디기 구 인이l
서 직럽

히는 빌이다 내저맨에 저정보디 작은 윈각이 있디 지부-는


내정히는 디El
곰으로 굽안바닥을 일:
게 낀r
아내어 긍 내외측
의 높이기 다르다 외띤애는 l
2정의 딘엽 연판운이 3딘으효
시 운 되이 있다 4
간양은 ul
텅-l
딘을 꺾 이 내는 양 각 기 l
입을 시-

용하여표현하었다 데토에 R때와 상뭘이섞o1있디 녹칭


섹 유익을 진띤 시유힌 후 쿄바닥의 유를 닦아내고 끔칩지
띤괴 감인쪽 가정자리에 l
IL
Ell
기 흔삼펀 U1
4l!내회토셋은 덴-
진을 3iL
li
ll받치 띤조히였다 유넨 위로 벙열이 가득하고
ol
리 편(
片)으호 깨어진 것을 접힘하이 이어한인 자파l
E넘
았다 n↑
도 2호선 K6지진에서 획인뭔 연핀분받(
@-A-
brp
-
B-b형식)25침은 표정꽉으로 팎이 일필 월수l
El었다

0
21칭자양각연판문발
l
!
r64
3l씨Zl
li
ij
3
-빼f
Xi4

Cel
adonI
3owI‘
Vlt
hLot
usPet
alDe
slgI
1

형식 2-A-h l 출수 위치 KG그 러드
높이 70~82cI
11임지콤 l
6l-l
7 k1
11
굽높이 (
외)OS(L
||)
02Cl
n 콰 지릉 6αl
n
내서윈각 지릉 27CI
11

무게3
9S7
g

측사 띤이 원딴힌 사선으보 벨어지다가 구얀에서 적힘


히는 딸이다 내지띤애 지정되디 직은 원킥이 있디 저부는
내정하는 다El
꾼으쿄 균인l
ll닥을 일:
게 꺾이내이 균 내외측
의 높이기 디프디 기벽이 렐끊 이기지 꽂히lEl
원형으로 후|
어졌다 외맨에는 l
O정의 딘엽 인핀는L이 3딘으쿄 시분되이
있다 운양은 바탕띤을 깎이내는 양각기렌을 사용-
히이 표
현되있다 hL
패외 장블이 섞인 태토로 성형되있디 녹정색
의 유익윷 진떤 시 유힌 후 균r
ll픽의 유힐 단!
이내고 ff
접지
변J
l}균인쪽 가정지리애 미색 내화I
E벚유 받낀을 3
군 더1받
쳐 멘조히였디 기띤 위로 빙염이 가득히고 이러 편(
1#)

쿄 끼1
이진 것을 이어렐인 지국도 남았다 I
점에샤 윷수뭔 얀핀갚l
밀(?/
4\
꽉으쿄 묶α1일관 쉴수펴있다
-
l) 징-
8-
1
l
}
도 2호선 K6지
)형식)25점은 표정 灣)
ll66

0
3|청자음각연판문발
큼중
磁I울X|
1
造辦 文앓
Ce
ladonBowlWI
thLot
usPet
alDeSl
gn

형식 @ l
3 b | 출수 위치 K6그리드
높이 79-85이1
1,입지릉 l
67-17KI
n
굽높이 (외)
lO(
내)02
m 1굽지릉 58CI
11
내저원각 지릉 2& I
n

푸까
l1
374O
g

측사 띤이 완만힌 사선으로 벌어지다가 구안에서 직랩


히는 발이다 내지띤에 저정보다 작은 원각이 있다 저부는
내정히는 다리굽으로 굽바닥면을 알게 깎아내어 급 내외측
의 높이기-
다르 다 외띤에는 12
정의 단엠 얀판분이 3딘으로
시문펴이 있디.연핀분은 선단이 뾰족히케 표현되었으띠. f、

칼을 뉘어 음각히여 잎이 교드라저 보이도꽉 하았다-E


}l

애 모래와 씹-
룹이 섞여 있다 녹칭섹 유익:
을 전면 시유한 후
굽인비픽 가장지리 에 모리1섞인 띠섹 내회토 빚음 받침 을 3
군데 받쳐 번조히었다 유 떤 위로 빙열이 기득 하고.여러 편
(
片)으로 깨어진 것을 칩합하여 이이붙 인 자국도 남았다
마도 2
호선 K6지침에서 확인된 언판문발(
@-Ab
,@-
B-b
형식)25
점은 포장목으로 묶띠 일괄 줍수 되었다

0
4|청지음각연판문발
감f
l효1
월*l
l
迎辦文앓
Ce
lado
nBo
‘A
rl
wIt
hLot
usPe
ta|
DeS
Ign
형식 @ -l
3-b | 출수 워지 K6그 러드
높이 81-84cm 입지름 l
68-l
69cm
굽높이 (
외)1l(
내)02
on굽지릉59
cm
니!
지원각지흘 28。n
무거l
4여8
g

측사떤이 완만한 시선으로 l


발이지다가 구언에서 직립
히는 발이다.나1
저띤에 저정보다 작은 원각이 있다 저부-는
내경히는 다리굽으로 굽바닥띤을 일:
게 깎이내 어 굽 내외측
의높이가 다르다 외띤에는 I
O정의 단엽 연판문이3단으로
시분되어 있다 연판문은 선딘이 뾰족하게 표현되있으며.
낄을 뉘아 음각하여 잎이 도드라지 보이도확 히였마.데도
에 EL래외 잡물이 섞여 있디,녹청섹 유약을 진띤 시유한 후
굽안비-
닥 기장지리 에 l
;L래 섞인 미색 내회토빚음 받침을 3
군데 받쳐 번조하였다 유띤 위로 빙열이 가득 하고.요변 현
신이 생21일부 횡길섹으로 띤했다 여러 펀(
片)으로 깨어
진 것을 침함하。1이이붙 인 지국도 넘있다-띠-
도 2호선 K6
지점애서 획인펀 연판문발(
@-A-
b.@-
B-b형식)25점은 포
장꼭으로 묶여 일괄 출수되었디
l67

0
51청자음각연판문발
!
!
r6i
j1
’321
l
ii
lJ
뻐fJ
kiF
Cel
adonBowlnr
lt
hLol
Ll
SPet
a|DeS
lgn

형식 i l
3-l
1 |쓸수위치 l
lj그피드
높이 69-7fl
n 임지릎 l
63-l
7lO1
1

곱높이 (
외)O”(
내)Ol
C1
11갚지팡 5(
X11
1
내지윈각 지릎 jOC
lI
1

무?|
1%익7μ

측시변이 원낀한 사선으쿄 띈어지디기 구안에샤 직럽


히는 밀이디 내서년에 서징모다 작은 원각이 있고 그 증앙
이 뀔꽉히γ
ll솟았다 서부는 내정히는 다ιl
퓨으로 규ul믹
맨을 암게 깎이내이 균 내외측의 늪이기 디르디 외띤애는
딘엽 연핀운이3딘으로 시운되이 있다 회정색의유약을 전
띤 시유한 후 l
사닥 전지떤의 유를 닦이내고 l
l
LE|
|섞인 내화
토빚유 받침을 데이 맨죠히였다 발 인l
l
l닥에도 검은섹 받
침 X|
5f이 4iLU
ll남았다 유띤 위jLYl
꾀L 집렐 요띤현상
。1ι[
이ll
↓외측 히딘애 얀린 유쓴 완죠1
히 약 시잉이 풍쳤다
K6지전에샤 포장꽉에 팎이 촌수띈 동임 행식의 인핀분받
에 비해 죠진이다

0
61정지음각연관분받
!
!j6
찌 2%1
l
ili
빼 Xi4
Cel
adonBol
v1wl
thLol
ll
SPct
a|Desl
gn

형식 a ,
「l1 | 쓸수우l
ill
1←
l그리드
높이 72--ι
lC
11
1‘임지운 |
67-l
7(kl
n
if
높이 (
외)OS(
Lll
)Ok1
11굽 지씀 6 KI
n
내지원각지됨 5So1
1

우게섯(
)2μ

측시낸이 원만힌 시선으쿄 씬이Xl


다가 구언에서 직루}
하는 발이다 내지띤에 저정l
;
L다 직은 원각이 있다 저부는
내정하는 디리퓨으쿄 퓨지름이 크다 또한 규1
l
l닥떤을 일:
χl
l꺾이내아 끔 내외측의 늪이가 다르디-외띤에는 단엠 언
핀운이 3딘으로 잉각되었디 산팔이 많은 E
||
lE쿄 L
간뜰어졌
다 화칭색의 유익윷 전떤 시유한 후 바닥 진지민의 유뜰 닦
이내고 l
1
터|1
섞인 펑섹 내회토씻음 받진을 디l
이l낀조히였
디 K6지진에서 포장석-
에 깎여 꽉수펀 동인 행사의 q1
핀분
l
필에 1
l1
히li섬이다
1l68

0
71청자음각연판문발 r상?
?*-
:hi
@、
해磁1
쏠X1
l
述細3
k£{
i
Ce
lado
nBowlwl
thL
otusP
eta
lDe
Slg
n ,i‘IA: 1

형식 @ l
3-a | 출수위치 lI
5그 리드
높 이 66-7&I
n 엔지릉 l
53-1
7lcm
굽높 이 (
외)07(
내m KI
n-굽지릅 56c
Il
1
니l
지원각지흠 35。1
1

무거l
3386g

측사띤이 완띤한 시선으로 l


펄이지디기-
구연에서 직립
히는 넬이디-니}
지띤이l저정보디-
작은 윈각이 있다 지부
는 내정히는 다El
굽이다.기벽이 불을 이끼지 옷헤 타원형
으로 휘있다.외띤이l
는 딘엽 연펀문이 2
딘으로시문되어 있
다 밝은 녹청색의 유익이 두깡게 시유되어분양이질 드러
니지않는다 지화상태기-
좋고 기띤 또한 매끄러우나.기측
띤한쪽이 녹길섹으로 변했고 그 위로 빙열이 생겼다 굽인
바닥과 굽접지연을 노태시키고 백색의 내회토빚음 받침을
4군E
ll받처 번조히였디.

0
8|청지음각연판문발
휩!
滋1’
용Xl
l
갔l-
搬文짧
- -

「 1

Ce
lg
ld
。nBowl
wimL。
tusP
eta
lDe
Sl
gn ・r

형식 @ B ” l출수우1치|5그리드
높이 75
-7&li
1‘입지릉 l
57-
16l
Cl
n ‘

굽높이 (외)
09(
내)03cm‘굽지룹 5& 1
1
내저원각 지름 2k1
11

무게 3
24O
g

측사띤이 왼딴한 사선으로 벌어지다가 구엔에서 직랩


하는 발이다 내지띤애 지정보디 작은 원각이 있디 저부
-는
내정히는 디리굽으로 굽l
j
}픽띤을 알?
ll
꺾이내이끔 내외측
의 높이가 디르다 외띤에는 7징의 딘 엽 연판문이 2딘으로
음걱되어 있다 꽃잎은 총 I
5장으로구성되어 있는데.시문
되는 띤이 정확히 나뒤지 않아 히딘의 잎 하니를 둘로 나누
어표현히였다 태토에묘래외 잡물이섞여 있다 어두운 녹
청색의붉은 유약을 전띤시유하였다 유면 위로 빙엘괴 기
공이 보인다 굽안바닥 중잉부분 이 노태되었으며 그 옆으
로 검은색 내화토빚음 받침자국이3
군데확인된다
l69

0
9|청지음 걱앵무문 받
!
!
fng딴Zl
j
l굉뼈X£
4
Cel
adonI
3。wl‘
Vlt
hPal
,otDC
Slgn

형식@-l
3 |줍수위치 l
l5그러드
높이 64-7k1
11임지릎 l
58~1
72C
In

굽높이 (
외)09(
L|
1)
03t
11
1‘관지흠 55
Cl1
1
내저윈각지픔 iC
KI1
1
무게 &영 l
g

측시띤이 원인힌 시 선으로 벨이지디기 구 인이l


샤 직띄
히는 넨이다 내저!
인에 지정보다 작은 윈각이 있다 지부
→는
내정한 디리끔으로 퓨l
j
f닥띤을 일:
게깎아내이 규 내외측의
곰이기 다르다 구떤 내측 히딘에 음각 선이힌 똘 될아가
고.그 이례로 앵무쉰 힌쌍이 잔략히 유각되어 있다 앵무새

의 널게외j
J리는 츄촌힌 빗실이딸린시문도규
L흔 이용하이
한번에 긁어표현히었다 회칭색의 유약을 진띤시유한 후
내화l
E빚유 믿침을 3균데 받치 띤i히었다 짐렐이 많고 Yl
공이유띤 진i
ll
에 분포도
1이 있디 二
1
L인히단에는 요l
긴힌상
이 생겼으l
셰 그 위로 밍엘l
E획인펀다 가U↑인에서 웰을
이기지 꽂히l기l
씩이 티원형으쿄 후1
었디

1
Ol칭지-

!
!j
64
i£{
i
Cel
adonBow |

형 식 l-l 1 줍수 위치 ll
i|
그리드
높 이 72-77
cm 임지뜸 l
66-l
6%I
11
f
f높이(
외)09(
니|m6
〈l1
1,굽지릉 55
cll
1
내지원각지뜸 3kl
11

쉬L
거|2
873
μ

측시띤이 시선으로 l
쉰어지디기 구 언에서 직립하는 필
이다 내지띤애 자정l
I
L디 직은 원각이 있디 t
ll
틱은 내정히
는 다리규이다 구얀 내측 하민에 유걱 션이 한 출 필이긴
디 권은사짚괴 침꾀이섞인 거진 E
ll
l
E쿄l
j뜰이섰디 기벽
이 입고 기씬다 유E
E는 란은 회록색을 띠l
ll‘신띤 시유 후
ff칩지멘의 유를 빔이내고 낀은색 내화토빚유 넨친으쿄 멘
죠히였디 인l
ll
믹 니1
지 원끽 우1
쪽으쿄도 똥일힌 민조받친
지팍이 5
균FE
ll
낚있디 유l
딘일부기띄픽되어 회씨l
J
lEl
l
토기
드러나 보인다

]i
1 l70

1
1|청지발
품磁앓
Cel
adonBow l

형식 (
D 1 | 출수 위치 l
〈5그 리드
높 이 78-82
cln 입지릉 1
64-l
6&n1

굽높이(
외)08(
내)04
m 감지룹 61
on
내저 윈각지름 27cm,

무께 4
OS5
g

측시띤이 사선으로 벌어지다가 구연에서 직랩히는 발


이디 내지띤에저정보다 직은 원각이 있다 바닥은 내정한
다리굽이마.짙은 녹청색의 유약을 진면에 임힌 후 굽집지
띤의유를 닦아냈다 유띤위로 빙열과 기공이보인다 외축
사띤일부에 발린유약이완진히녹지 않이광택이 없고 유
약이 뭉쳐있다

1
2|청자발
팎I
滋**
Cel
adon Bowl

형식C
D-l
V |쓸수위치 H5
그러드
높이72
-75
。n 임지흘 l
66-l
7@1
1,
굽높이 (
외m9(
L|
1)
05m ‘굽지름 6k1
1
1
니|
저원각지릉 ‘
iKI
n,

무게3
%5g

기측선이 사선으로 벨어지는 칭자l


밀로.구연이 밖으로
도톰하게 띨려있다 저부는 디리굽이다‘발 안바닥에 군지
름보다작은 내저원각이 있고.
측사띤종앙괴 구연하단애
응각선이 뜰아간디-굵은 사질과 장물이섞인 거친 흙으로
만들이졌디 유익:
은 맑고 붉은 녹황섹이띠기뜰 진떤에 시
유되었디 ”l
믹젠지면괴 내저 윈각 위로 내화토빚음 받침
이5
군데 획인된다 유연 잔치1
에 벙열과 울례 돌이간 자국
이 있다
l7l

1
31청지발
J
r6쉽4
Cel
ad。nBow l

행식 C
D-l
v | 출수위치 |
3그리드
높이 69-7k11
1 입지른 l
64-l
6@1
11
굽놈이 (외m9(t
|1
)OKI
n 굽지릎 63cm
내 저원각지흠 ‘l
un
무게 3
757
g

기측선이 시선으보 멀어지는 칭자발EL


‘구엔이 밖으쿄
도환히게 딸El
있다 굽은 다El
굽이디 펀 안비닥 괴 측사띤
증앙에 음각 선이한 준씩뜰아간다 꼼은 시짐과 잡풀이 섞
인 끼친 흙으로 딴뜰어갔다 녹색이 도는 붉은 유약을 잔띤
애 시유하았다 굽집지띤과 인바닥 내지 원걱 위쿄 팡섹 내
화l
E빚음받진4
개기확인된다 유띤전처1
이l빙열이보인디

1
41청자발
1
!j
{l
값써‘
Cel
adonBon1l

형식 l/ l
V
높이 7j-77。n 잉지릉 1
68-l
69cm
굽높 이 (외)
08(내)
Okl
n 곱지픔 5km
내 저원각지판 42CI
11

무게2
460
μ

기측선이 시선으포 딸이지는 칭지-


띨쿄 측사넨의 l
/3
기핑 이 질실되었디 구엔은 밖으로 도룹히%|
1넨렸고 지부
는 다E1
콰이디 딸 안바픽에 균 지판 보디 작은 내지 원각이
있디 측시떤 증잉괴 구엔 하단에는 유Z!션을 힌 쓸씩 뜰렀
다 권은 시 젤과 잡불이 섞인 끼친 흙으쿄 띤들어졌다 유
조는 밝은 늑황색을 띤다 xl
l뷰에는 유약을 바르지 않고 띠l
토를 노숲시켜 기l
!}안에서 기블이 l
ll
닥 띤이1딘E|
4닫지 않가1
히었다 내저 원각 우1
보 내회토 씻은 맨침 자국이 4균데 획
인된다 여러 편으쿄 깨어진 것을 침힘하o1이어쏟인흔적
이 낚았디
|172

1
51청자대접
품않大媒
Cel
adon Bow I

형식 l
V
높이 72-75cm,?l지픔 1
8l-182cm
잠높이 (
외m 9(내m 5C
l1
1답지릉 5% I
n
내지원킥지릉 4@ n

무게 3
439g

내저띤이 깊고 기측선이 사선으로 넓게 밀어지는 대점


이디.구연은 1
페으로 도룹히게 말렀으 며,상단을 편평하게
지리히였다 내측 시띤 중앙에 음걱 선 인l
j}
닥 기정자 리에
원각이 돌아간디.유조는 셈은 녹색을 띠띠 지부괄 제외한
진띤에 시유하었다.씬조받침으로는 띠색 내회토 빚응을 측
사만괴 굽이 띤니는 경계에 울이 시용 하었다 대칩 내지띤
에도 동일한 번죠빔침 자국이 5군데 남았다 유띤 위로 굵
은 시절괴 젤점이 l
i
L인다‘
따lV형식의받과 기형.
유태‘딴
둡 새 등 이 동 일히-

1
6|청자대접
l
룹G값大앓
CeladonBow l

형식 l l 출수위치 H4그 리드
높이 69-74cn1.입지름 1
76~18kl
n
균높이 (오l
m 9(내)OK1
11
‘잠지름 57Cl
n
내저원각 지름 26cm

무게 3
929g

내저떤이 줍고 기측선이 사선으로 넓게 넬어지는 대침


이다 구언은 직렘히!
이lj
l닥은 내정히는 다리굽이디 안바
픽 종앙이1작은 원각이 돌아긴디 구엔 내측 하단에도 음각
선한 줍을 둘렀다 기벽이 앞고 가볍다 염은 녹칭섹의 유
익을 전띤시유한후 비픽접지띤의 유를 댐이내고 회색렛의
나1
회토빚음 l
받침을 대이 구웠다.내저 떤이1
도 동 일한 멘조
받침지국이5
군더1
낭았디‘빙알,시절.기공이 보이고기공
주변부의 유띤이 주횡섹으로 띤했다
l73

〈도 면 1 1〉마도 2호 선 출수 빌 대집 도 언 1

O1정자앙 각연판 문발 02 정자앙 각연판 문발 03정자음 각연 판문 빌

04정 자음각 연핀문 빌 05 정지음 각연판문 빌 06정지음 각연 판문 일

07칭지음 각연 판문 발 08 정지음 각연판문 일

5 1
Ocm

09정지음 각엉무문발
1l74


도연 1
-2〉마도 2호선 출수 발 대접 도면 2

10정자발 11정자 빌 12정자 발

13정자 빌 14정자 발 1
5정자대접

16정자 대접

1
Om
175

〈표 1) 대표유물 이외 빌 대접 제원표

내저 굽지
높OlicmJ 입지를lcml 굽높OlicmJ 번조받침
원각
번호 T。
T무E프 며
0 형식 트-르 굽형태 tg£J己
<IA「” 무게 (gl
지름
長 ~ll 長 短 ;.~ 內 lcml 내l종류/수| 오|{종류/수l
lcml
17 정자대접 1 - IV 7.4 7.2 17.0 16.9 3.6 0.7 0.5 6.0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응 5 내화토모래빚음 5 290.5

18 정자대접 ,, ι/ 7.8 6.8 17.2 17.1 3.6 1.0 0.3 6.7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5 내화토모래빚음 5 341 .1

19 정자대접 ‘ I r IV 7.5 7.0 16.7 16.6 4.3 0.8 0.4 6.0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5 내화토모래빚음 5 298.9

20 정자대접 I -IV 74 7.1 17.1 16.8 3.8 0.8 0.4 5.9 다리굽 황백색 LH 화토모래빚음 5 내화토모래빚음 5 302.8

21 정자대접 、1 -I I 7.6 6.8 17.2 16.7 4.5 0.7 0.3 5.6 다리굽 횡갈색 내화토모래빚음 5 410.1

22 정자대접 IJ I 7.5 6.8 16.3 15.5 3.5 0.9 0.4 5.9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5 내화토모래빚음 5 321 .4

23 칭자음각연판문대접 :;>1 B b 7.4 71 16.2 15.5 2.9 0.7 0.2 5.8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20 5

24 정자앙각연판문대접 '.2:-A- b 8.3 7.8 17.2 16.4 2.8 0.9 0.2 5.9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93.8

25 칭자앙각연판문대접 2,i-A-b 8.1 7.5 16.4 16.2 2.5 1.1 0.2 5.8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58.2

26 정자앙각연만문대접 2J Ab 7.9 7.0 16.9 16.0 2.5 0.9 0.2 6.0 다리굽 횡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91 .4

27 정자앙ζ뻔판문대접 £!-A-b 8.0 7.7 16.4 16.3 2.6 1.0 0.3 5.8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67.3

28 정X텀ζ뻗판문대접 r2- B-b 8.2 7.9 16.6 16.3 2.6 1.1 0.3 5.9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벚음 3 402.9

29 정자음ζ앤판문대접 (2) 8 b 8.2 7.9 16.5 15.9 2.6 1.1 0.3 5.9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80.7

30 정자앙ζ앤핀문대접 0 Ab 8.0 7.7 16.5 16.3 2.9 1.1 0.5 5.9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43.7

31 정자음각연판문대접 (?; 8 b 8.3 7.8 16.6 16.3 2.7 1.2 0.3 6.0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64.5
•---
32 정자음각연판문대접 Cf.- 8-b 8.0 7.9 16.6 16.5 3.0 1.0 0.3 5.9 다리굽 횡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71 .5
-」

33 정지음각연판문대접 0- 8-b 8.5 8.1 17.1 16.3 2.7 11 0.3 6.1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403.5

34 정자음ζ뻔판문대접 '21- 8 -b 8.3 8.0 16.7 16.5 2.4 1.2 0.3 5.9 다리굽 횡백색 내회토모래빚음 3 390.4

35 정자음ζ앤판문대접 :2)‘ -8-b 8.1 7.8 16.9 16.8 2.8 1.1 0.3 6.0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69.4

36 정자음각연판문대접 '.2.: 8 b 8.4 7.8 17.3 16.7 2.9 1.1 0.2 5.8 다리굽 횡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79.0

37 정지음각연판문대접 '.2.1- 8-b 8.3 8.1 16.9 16.6 2.6 1.1 0.2 6.2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87.5

38 정자음각연판문대접 (잉 8 b 8.2 7.8 16.5 16.0 2.6 1.1 0.2 5.8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95.5
-」

39 정자음각연판문대접 Cf.i 8 b 7.9 7.8 17.1 16.9 3.0 1.0 0.2 6.0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71.7

40 정자음ζ뻔만문대접 £:- 8 b 8.2 7.7 17.1 17.0 2.8 1.1 0.2 5.9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68.2

41 정자음ζ앤판문대접 Z' B b 8.1 7.6 16.9 16.4 2.8 1.1 0.2 6.1 다리굽 황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50.9

42 정자음각연판문대접 '.21- 8-b 7.9 7.7 16.7 16.5 2.5 1.1 0.2 5.8 다리굽 횡백색 내화토모래빚음 3 354.2

17 정자대접 18 칭자대접
1 l76

1
9정자대접
옳l 20 정자 대접

紙혐 펴
-
Sl

21정 자대 접

훌 22 칭자 대접

I ‘
- - -

l- g , ,
그 ,
1-
---& -‘
--ft &g.
、llll i 、“.; ・ιlllr

2
3정자음각연판문대접 24청자 앙각 연판문 대접


I
‘t 찌/」
1

戰 짧1
25 칭자앙 각연판문 대접

빼 26정자앙각연판문대접
l77

27칭자앙 각연 판문 대접

篇 28 정지음 각연 판문 대접

29정지음 각연판문대접
1
織 30 성자 앙각 연판문 대접

t 뤘

31정 지음 각연판문 대접

繼 32 정자음 각연 판문대집

33정자음 각언핀문대접
繼 34정자음각연판문대집


1l78

3
5정자음각연판문대접 36정자음각언판문 대접
옳해

3
7정자음각연판문대접 38정자응각연판문대접

i
l훈;

”!톨톨

39정자응각연판문 대접 40정지음각연판문대접
ω

41정지음각연판문 대접 42청자 음각연 판문 대접


l79


p 은 강p
ik-@ - 건二二 ‘

ξ
슐누한노

4
31청지잉:
각연펀문유개통형잔 〈
통 헝 잔〉

!!
fU깊띠/
껴ll
ili
써야jc「
li김찌j
fZ‘
* 기측선이곧추선콩형진으로,구언부에서 의긴폭윷 핀히고동차|
하딘에서깅히X
ll깎이권
CeladonLlddedCupWl t
l1Lot
usPet
alDes
lgn 괴 얀결되는 형셰이디 오l
떤이|l
l정의딘임 엔판운이2딘으쿄 시문되어 있디 분영은 l
ll
딩띤을
형식太 l
끽 A|줍수위치 G6
그리드 깎이내는 양직기밥으포 니티냈고 꽃잎 내l
건은 죄우 대칭이 되도복 일게 띤각하았디 지부는
전제높이 lll
Cln 디리규인E
|1
-관인l
jl
닥이 E
l졌다 츠
f칭섹의유익을 진띤 시유힌후 굽안바픽에규석을 3
균데 받
〈잔〉높이 78-S l
c1
11엽지륜 S7-8k1
11
치 번죠히있디 통행진 2
0진은 포정픽으로팎。l
등일지침(
G6)
애샤 일팔쓸수되었다
콰높 이 (
외)07(L|
l)0“m 잠 지등 6(
3c1
11

부거li
ll→
μ
〈뚜껄〉높 이 25--
l(kI
11입지늪 76-l
Oi11
1 〈
뚜껑〉
부지|l
Z5!
μ 윗띤이완낀히 옆으쿄 l
펀어지고.7
1측선이둥끌까
!내꾀온 후 깎。1진을 이루는 뚜껑이다
내띤에는 낀을 고이도꽉 샘거l내만하는 드띤부월두었디 손상이는 연농
L우간1행티|
보 새로 선
과 띤원형의 선을 유각히이 꽃봉우El
인을 표현히였디 뚜껑 싱-
부에는 잎맥이 유각되어 있는
E
1|낌고 쇄은 션을 깎으쿄 그어 니바냈다 낙정색의유익이 잔맨애 고르거|시유되었다 뚜껑
인바닥으파 비교적 곤 규석을 3군 더l넨치 구운 흔 적이 띄인다
ll80



:・f

r
표훨

L
학략l --
ι;
I
t
]i
ii ・

4
4l청지-
양각연판문유개통형잔 〈
동헝잔〉
좁l
i
겠l싸X|
|
표li
搬 X;
;힘펌 f
염il
ν흙 기측선이곧추선훈형잔으로.구얀」
뷰에서 약간폭을줍히고동체히단에서 강히커|
꺾여굽
Ce
lad
onLl
dde
dCupwi
thL
。hl
SPe
tal
DeS
lgn 괴 연결되는 형태이다 외띤에 l
1장의단암 연핀문이2단으로 시분되어있다‘
문양은 바팅연을
형식 大-@ -A |출수 위치 G(
ζL리드 Z
쉐 L
|
}는 영각기법으포 나타냈고 꽃잎 내띤은 조l
우 대칭이 되도혹 암꺼l연각하였다 저부는
전처|
높 이 lll
cm
다El
굽이다.
녹청섹의유약을 진띤시유한 후굽안바닥에규석을 3
군데받쳐댄조하였다 똥형

잔〉높이 75-7(
KIn-잉지픔 84-8% n
잔 20점은 포장목으쿄 묶여 동일지점(
G이에서 일괄 출수되었디
굽높이 (
외)06(
니l)Okm.굽Xl
름 64
m1
무게 2
564
g

뚜영〉높이 25-44cm 임지흔 70-95m1 〈
뚜 껑〉
무게 1
06l
g
윗띤이 왼민히 옆으로 벌이지고.기측선이둥글거!내려옹 후 꺾。1잔을 이루는 뚜껑이다
내띤에는잔을고이도확짧게내만하는드렌부활두었다.
손깝이는연봉
우리형태포,
세로선
과반원형의선을 음각히에핏봉우리임을 표현하였다 함께출수된 디-
른 뚜껑들괴는 딜리상부
에문양이 시문되지 않았다 녹칭섹의유약이 전띤애고르꺼1시유되아 있다 뚜껑 인비닥으로
t
1l
교적큰 규석을 3
군데믿쳐구운 흔적이보인다 유띤진체에 벙열이 있고‘
유가 고인부분은
진히게 필색되었다
I8l



仁二 ;최織 삐
k

활웰 능

4
51청자잉각얀판문유개통헝잔 〈
통헝 잔 〉

1
!i
ugμ}
*|1
,
li%야X fl
좌띠j
f
?I항 끼측선이 곧추션똥형잔으쿄 구안부에서약간 폭을 판히고 동처|
히단에서강히게깎여콰
Cel
adonLl
ddcdCL
lPl
Vlt
l1Lot
usPel
alDGSl
gn J
l|안결되는 형E
||
이다.(
1)-
大-@-
A형식의 진괴 동기형이니 크기가 작디 외!
낀에는 딘염 연판

헝식 /
1、
-/1-시 1)1출 수우|지 G6그El
드 문이 2딘으쿄 잉각되어 있디 핏잎은 총 21
징으쿄 시운되는 띤이 정펙허 니뉘지 않아 하딘의
진제늪이 l
Oim 잎 히나를 뜰로 나누어 표현히있디 핏잎 내떤은 조l
우 디l
칭이 l
;1
도복 한 1
1띤각히였다 x1
듀l는
〈잔〉 높이 6S~69ιI
n 잉 지씀 7 l
-8k I
n
다E1
퓨이디 이두운 녹칭색의 유익을 진떤 시유힌 후 균인l
l|닥에 규석을 3군 데 믿치 벤죠히였
if높이 (
외)OS(
내)Okl
n 긍 지판 6l
un
다 똥형잔 20침은 표정꼭으로 팎。lC6지진에서 일펀 츰수 도1
있디
부지l2
(써l
μ

뚜껑〉높 이 Zδ-iOG1
1인 지씀 61
-S7
(11
1

우?
l1%)3
g 〈뚜 껑〉

윗띤이 왼낀허 암으쿄 떤이지고.기측선이 등달거|내려온 후 직각으화 꺾여 전을 이푸는


뚜껑이디 내띤에는 진윷 고이l
E꽉 씹까|내띤히는 드댄J
F판 두있디 손상이는 연봉우 리 형E|
1
로,새쿄 선괴 빈원형의 선을 유Z!

히여 핏꽁우 리인을 표현히었다 뚜껑 싱l
뷰에는 잎맥이 음각
페이 있는데 진고 셉은 선윷 건으쿄 그어 니타내있디 녹팡섹 유익을 전떤 시유한 후 규식을 2
균데 받치 구웠디 기띤 위쿄 빙열피 잡괄이 ]
;[인디
1 l82

4
6!청자양각연판문유개통형잔 〈
통 형잔 〉

감rR
효|없Xll
i파搬3k7흉옳¢3
lν§§ 기측선이곧추선 통헝진으로.구연」
뷰에서약간폭을좁히고동저1
하단에서강하게꺾여굽
CeladonLlddedCupw1t
hLot
usPet
alDe
sign 과 연결되는 형태이다,(
1)
-大-
@ A형식의잔과 동기헝이나 크기가 작다 외떤에는 단엽 연판
형식 /
j、 @ A(「) |출수 위치 G6그 리드 문이 2딘으로 영각되어 있다 꽃잎은 총 l
9장으쿄.시문되는 띤이 정확히 나누!
지 않아 하딘의
전체높 이 7&m 잎 하나를 둘로 나누어 표한하였다 꽃잎 내띤은 쪼}
우 대칭이 되도록 얄게 띤걱히였 다.저부는
〈잔〉 높이 72-74m1입지릉 78-85CI
n
다리균이디 유익을 전연 시유한 후 굽접지떤의 유를 닦아니1
고 모래플 받쳐 구웠다 잔의 하단
굽높 이 (
외)o7(
내)Ob 1긍지룹 6l
m

무게 2
454g 부에 낼런 유약은 완전히 녹지 않이 굉택 이 적고,굽안h
l}닥의 유 띤을 인위적으로 긁어낸 흔 적

뚜껑〉높이 23~3Sm1입지픔 69~95m 이 보인다 구언부가 타원헝으로 휘었고,내측 안바덕괴 내측시면 에서는 벙열이 확인된다 똥
무게 l
O87
g 형잔 20점은 포장옥으로 묶여 G6지침에서 일괄 출수되있다


뚜 껑〉

윗띤이 완만히 앞으로 빨어지고.기측선이 둥글게 내려온 후 직각으로 꺾여 진을 이루는


뚜껑이다‘내띤에는 진을 고이도펀 짧게 내만히는 드템부를 두었다 손잡이는 연봉우리 형데
로.
세로 선과 반원형의 선을 음끽하여 꽃동
L우리임을 표현하였다 뚜껑상부에는 잎맥이음각
되어 있는 데,길고 씹은 선을 것l
으로 그어 나타냈다 진 부분에도 음각 선을 두 군데 넣어 장식
하였다 유조는 녹횡색으로 진과 뚜껑의 유색 치가 크다 유약은 전띤애 고루 발렀고 안싸닥에
모리l
섞인 내회토빚음을 3군데 받쳐 구웠다 유 띤 위포 벙열이 보인다.
183

η‘

훨빼


*
슴씀느4--
i4

4
7|청지양걱연판문유개통헝잔 〈
통 헝잔 〉

,!
i6
갚|씨;*1
li
i
li
쩌fXfl*
;t
따jI
Z1
* 기측선이곧추선콩형잔으로‘구얀부에서약긴폭을 쏟히고등채히딘에샤 강하게깎여공
Ce|ad。nLlddcdCtl
PWlt
hLot
usPEt
alDes
lg|
1 괴 인질되는 형E
l}
이다 외띤에는 l2장의 딘엽 언판운이 2딘으로 잉각되이 있디 꽃잎 내띤은

형식 /
l、
-3 -A(L)|슴수위 지 G6그E|
드 씌우 디|
정이 폐도꽉일게 떤각히였다 하딘얀핏잎증잉에는 핏숨 형E
}|
의곡선 무늬기~상딘연
전제높이 9i
km 핏잎증잉이|
는 세쿄 선이 음각되있디 지듀되E디리규이다 는
주정색의유약윷 전떤에 두껍게시
〈잔〉높 이 ’9~6(
X11
1 엽지판 7S-7%1
11
유히여 운잉:
의 일부가 흐릿히디→굽안U
l닥에는 규석을 3
근LE
ll받치 번조한 흔적이 남아 있고
굽 높이 (
외)06(
내)Ol
on iL지콩 56c
ln
유익이웅치울동
놓핀증히다 똥똥1
잔2OY
l
l는포정꽉으로 팎이 G6x
|진애서일관 쓸수l
E|
었디
부게2|
15g
〈뚜껑〉높 이 22
-,im 임지훈 65~9Oun
무가ll
O2l
μ 〈
뚜껑〉

윗떤이완띤히 옆으로 벨어지고 기측선이 뚱말 l


l내려온 후 직각으로 깎이 전을 이루
一는
뚜껑이디 내띤에는 죠}
을 고이도록 씹개 L
ll
l
팬l는 드떤부룰 두었디 손잡이는 연핑우 E1형E
ll
쿄.새로 선과 딴원형의선을 유걱하。l
꽃똥우리임을 표현히였디 뚜껑싱부에는 잎맥이 유각
되이 있는데,김고 쇄은 선을 겹으쿄 그어 니티 냈다 진 부분에l
E유각 선을 군데군데 넣이정
식히였다 녹칭색 유익을 진띤 시유힌 후 인Ul
닥에 규석을 3균더l띤치 벤죠히였다 유년 위쿄
밍띈이 l
;L
이ll
l유의이 두;
검xl
l발린 곳은 진힌 정색을 띤디
1l84

4
8|청자음각뇌문잔
검;
n효I
옐X|
|
캄’
‘ 文옳
Ce
la
donLI
Ci
cl
edCupWI
t
hLo
tusP
eta
lDe
sig
n
형식 @ l
3 1출수위치 H5그리드

높이 45-46cm,임지픔 80-81CI
n‘
굽높이 (
외)06(
L1
|)
03。n 굽지릉 36
Cli
1
무게 9
06g

기측선이 동글게 올라기-


는 평이헝 잔이다,니1
저띤이 좀
고‘구언은 내만한c1
-지특L
는 디리굽으로 l
j띄 띤 증잉이 볼
룩하거|솟있다‘외측 구언 히딘 에 음각으로 뇌문대를 둡 렀
으나 간적은 일정하지 않다 유약을 진떤 시유한 후 굽접지
띤의 유플 닦이내고 내화토빚응을 받치 구웠마 번조받침
을 잘 떼어내이 접힘부가 매끄럽다 유떤 위로 빙열과 기공
이 보인다.

4
91청자음각뇌문잔
f
lTE
값I쏠*1
l
需 文짧
Cel
adonLl
dde
dCupwl
thLot
usPet
alDeSl
gn

형식 @ -l
3 |쏠수 위치 c-a’
l그 러드
높이 46~47CI
n 입지릅 78-79。n
굽높이 (
외m 6(내m 2on.굽지릉 3&I
11

무게 9
53g

기측선이 둥골 게 윷 라기는 팽이형 잔으보.도기호(l


41
띤)인에서 출수되었다.내치띤이 좁고 구언은 내만하다l

바닥은 다피굽으보 꺾었다 외측 구연 히딘애 음걱으 로 뇌
문대를 돌렸으나 간직은 일정히지 않디 유약을 진띤 시유
한 후 미색의 내회도 빚응을 3군E|
1받치 구웠다 떤조 후 받
침을 잘 떼어내어 침함부가 n
|1
끄럽다 유섹이 고르지 않아
군데군데늑
객 으로 l
말색되었디 유띤 위로 빙열과 기공‘이
물 질이 l
fL인다
l85

5
01청자잔
1
!f6
찌1*
Cel
ad。nCup

형식 l l 슬-
수위 치 1
6그리드
높이 Sl
~5jCl
11
‘임 시츰 76-7S{
111
주}놈이 (
외m 5(
니lml
c11
1닫 지름 35cl
11

푸게 l
O7Og

기측선이 농끌7|
1올라기는 팽이헝 잔이디 로l
분이 시운
펀(
2)-
ι-B형식의 잔에 비해 구 정이 판JJ새장하디.저부
논 안바닥띤을 일개 꺾이낸 다리규이디-회칭색의 유익을
전1
인시유한 후,균 점지떤을 닦아내고 l
l£E
ll
섞인 내호l
lE빗
유을 3균데 믿쳐 구웠디 유맨 위로 렐레기뜰이간 지곽괴
꼬U
1|
‘상불 빙띨이 l
a인다

5
11청자잔
,
!이상,

Cel
ad。nCup

형식 l l i
i-
수위치 ll
j그 리드
높 이 59-6km ?lx1
쉰 91
-9Scn1
if놈이 (
외” 6(
내m k1
11쿄 지름 3(
X11
1
무게 lh l
μ

구정이 92c
I1
1가땅인 미괴적 크기가 큰 진이디 기측션
은 풍관고 넓게 델이 지다가 끌에샤 내만힌다 ut
닥은 디E1
규이다 구경에 l
jl히l지정이 직이 진i
l|적으쿄 위는 풍l
낀히
고 이떼는 판짝히디 규L연 내측 히딘애 한 뜰의 유직선 이 판
이간다 유조는 녹칭색을 띠니,일부황색으쿄 떤힌 튜
L관도
있다 띤조받침으쿄는 내회토넷응을 시 g-
히있다 구안뉴L

께이진 싱E
11
로 시유 밴죠히이 손싱펀 부분 위jL유떤이 형
성뭐이 있디 기민 선지l
에l잉띈이 섣L
Ei
E힌다
l l86

5
2l청지잔
휩R효짧
Cel
adonCup

형식 (D| 출 수위치 F3그 러드


높 이 68-7(
hn 임지름 82-8KI
n
굽높이(
외m6(
내)02
cIn 굽지름 3&1
1
무게 l
726
g

운두가 높고 내치띤이 좀은 세장한 형태의 잔이다.측


시면이 지부에서 급하게 올라오다가 끝에서 내민힌다 구
연 내측 하단이l음각선이 한 줄 돌아간 디 잡불과 모래가 섞
인태로로 거질게 만들이졌다 짙은 녹회색을 띠는 유약을
진띤 시유힌 후 굵은 모패빚음 받침을 3군E1
1대어 규L웠다‘
벙열이 기떤 진처l
애서 확 인되띠,유띤 위로 사질이 만져진

l
87


도연 2〉마도 2호선 출수 잔 도연

£뚫직
〉옳 E
i 짧늑
i짧늑

43 정자앙 각연판 문유 개통형 잔 4


4정자앙각연판문유개통헝잔 4
5정자앙각연판문유개통헝잔 46정자앙각연판문유개통형잔

혐=
f / 넓/
/ 혐i
4
8정자음각뇌문잔 4
9정지음 각뇌문잔 50 정자잔

輪 =、

47정자앙각연판문유개통헝잔 51정자잔 52정자 잔

1Oc1
11
I 188

〈표 2) 대표유물 이외 잔 제원표

높Oll c m) 입지를(cm) 전체 굽높Oil cm) 굽지 번조받침


번호 f〔「룰
a 「-a 형식 높이 트
a응 굽형태 ~:gA-「H 무게 lgl
長 ~il 長 ~il [cm) 外 內 [cm) 내 l종류/수l 왜종류/수l

정자앙각연판문잔 7.2 6.9 8.7 8.4 0.6 0.4 6.7 다리굽 규석 3 281 .5
53 10.7
정자음각선문진뚜껑 4.7 2.5 10.1 7.5 규석 3 130.2

정자앙킥뻔판문잔 7.3 7.2 9.0 8.8 0.6 0.2 6.2 다리굽 규석 3 284.9
54 10.8
정지음각선문잔뚜껑 3.8 2.5 9.4 9.1 규석 3 114.0

정자앙각연판문잔 7.8 7.5 8.2 8.0 0.7 0.4 6.6 다리굽 규석 3 264.9
55 11.6
정지음간선문잔뚜껑 4.1 2.7 10.3 7.7 규석 3 130.1

정자앙ζH연판문잔 8.0 7.7 8.8 8.3 0.7 0.4 6.6 다리굽 규석 3 286.8
56 11 .1
정자음각선문잔뚜껑 3.8 2.5 10.1 7.5 규석 3 131 .6

정자앙ζ뻔판문잔 7.7 7.5 8.6 8.2 0.7 0.3 6.4 다리굽 규석 3 263.6
57 11.0
청자음각선문잔뚜껑 3.8 2.5 9.4 6.7 규석 2 112.1

정자앙각연판문잔 7.7 7.5 8.6 8.4 0.7 0.3 6.6 다리굽 규석 3 258.0
58 10.9
정지음각선문잔뚜껑 3.7 2.4 10.2 7.8 규석 3 123.3

정자앙ζ앤판문잔 7.6 74 86 8.5 0.7 0.2 6.1 다리굽 규석 3 235.6


59 10.7
정자음각선문잔뚜껑 3.5 2.1 10.3 7.7 규석 3 116.1

정자앙킥뻔판문잔 7.4 7.2 8.0 7.8 0.7 0.4 5.9 다리굽 규석 3 221.3
60 10.2
정자응간선문진뚜껑 3.4 2.2 9.4 6.5 규석 3 104.1

정자앙ζ뻔판문잔 6.9 6.7 79 7.8 0.7 0.2 5.4 다리굽 규석 3 212.4


61 9.7
정지음각선문잔뚜껑 3.3 2.1 9.1 6.6 규석 3 89.2

정자앙각연판문잔 7.7 7.6 7.9 7.7 0.7 0.2 5.7 다리굽 규석 3 201 .3
62 9.7
정자음각선문잔뚜껑 3.6 2.2 9.2 6.6 규석 3 101 6

정자앙ζ앤판문잔 7.1 7.0 7.8 7.7 0.7 0.3 6.0 다리굽 규석 3 230.5
63 10.2
정지음각선문진뚜껑 3.6 2.1 8.9 6.4 규석 3 92.7

정자앙ζ앤판문잔 7.7 7.5 8.1 7.7 0.9 0.3 6.1 다리굽 규석 4 278.9
64 10.7
칭지음각선문잔뚜껑 3.6 2.4 9.1 1.6 규석 3 99.6

정자앙ζ뻔판문잔 6.5 6.4 7.5 7.4 0.6 0.2 5.7 다리굽 규석 3 184.9
65 10.0
정자음각선문진뚜껑 3.9 2.4 9.6 6.7 규석 3 103.3

66 정자음간뇌문잔 4.9 4.7 8.1 8.0 0.5 0.2 3.5 다리굽 황백색 내모 3 90.6

67 정지음간뇌문잔 4.5 4.4 8.1 8.0 0.4 0.2 3.7 다리굽 황백색 내모 3 85.1

68 정지음각뇌문잔 4.7 4.5 7.7 7.6 0.5 0.2 3.5 다리굽 횡백색 내모 3 87.0

53 청자앙각연판문잔 54 정자앙각연판문잔
189

:
웬클활빼 뤘했
훌폐
55정자앙 각연판문 잔
!

짧繼 56정자앙각연만문잔

꿇훨없

;
M뿔繼 燈顧
織했

57정자앙 각연핀 문잔 58정자 앙각 연판문잔


했(
흙짧 l1

篇睡j
59정자앙 각연 판문 잔 60 정자앙 각연 판문잔

k
體훌혈 뺑
활틀훌

혔뚫혔 뽑
짧훌행
61정자앙 각연판 문잔 62정자 앙각 연판문 잔
ll90

톨톨.
훌 $
・・&

63 정자앙 각언판문 잔
j
{
훌훌톨
뿔j 64정자앙 각 연판문 잔
;
i
薦활j


斷렐
65정자 앙각언 판문 잔 66정 자음 각뇌문 잔

67정지음각뇌문잔 6
8정자음각뇌문잔
l9l

6
91청자접시
!
!f
6값았j
lL
Cc|
adon Dl
Sh

형식 小 -(
l)
-b | 쓸수 위치 l5그리드
높 이 zs-3&I
n ?l
시판 l1l
~ll2CI
n
답놈이 (
외”6(
내mz
cl1
1냥지릉 l
9tl
l
1
내윈각지릉 35cI
11
푸게 l
37l
g

기측선이 시선으보 벨어지는 작은 집시이다 저부는 다


E1
균으쿄 굽폭이 두 낌x!
1깎았디 곡띤을 이추는 인l
ll픽 중
앙애는 암은 유각 선 힌뜰이 뜰아간디~녹색을 띠는 유약을
신띤 시유한 후 굽침x!
넨의 유룹 닦아내고 백색의 내회토씻
은을 3군데 넨i|구웠다 온|
성 후 벤죠l
받추!
을 비J
Il적 깨끗
히 떼이내어 선힌부기 nl
|]I펌다 거진 E
ll
IE쿄 만뜰이졌으
띠 유띤 우l
EE1
잉열과 쉰긴l
l뀔이간 지파이 1
;[인다

7
0|청지접시
l
lr
u값!
i
잉tE
Cel
adon Dl
Sh

형식 /|
、-(
1)
-n | 줍수 위치 N‘
1그 리드
높 이 j3-on 입지름 1
OO~l
Olc1
11
if높이 (
오lm 이(
니lm scl
11
‘잡 지릉 l9Cl
n

무게 l
jO5
g

구얀이 외띤히고 운두 가 높은 내지팍 띤의 j:형 접시이


다 바닥은 다E1
규으포 관폭이 넓게 꺾였디 E
}|
쿄에 시 짙괴
장불이 많다 이두운 녹갚섹 유약을 진멘 시유한 후 l
l|
닥진
지띤에 백섹 내호1
lE씻은 반진을 3군데 덴치 듀L웠디 인l
l1닥
에도 풍일한 번죠넨친 지팍이 4군대 낚아 표개구이 했은을
알 수 있디

L 戀|
|192

7
1|청자접시
f
릅E효操싫
L
Cel
nd。nDlsh

형식 /l
、-(u)
-@ |출수 위치 l
l5그 러드
높 이 20-2&m 입지룹 llO-ll2cm
답높이 (
니! 외)
05α1굽지름 46
내지원각지릉 6KI
n

무게947
g

내측띤은 지연습럽게 시선으로 벨이지고.외측띤은 두


먼 필곡져 올El
오는 소형 접시이다 나1
저떤에 넓은 원각을
한 출 돌렀디 바닥은 인굽 으로 띤늘 어졌으띠 굽안비-
닥중
잉에 음각 원문이 암게 새껴졌디 붉은 회록색의 유약을 진
띤 시유한 후 바닥칩지만의 유를 닦아내고 백색 내회토렛음
받침을 4군데 대이 구웠다 구연 외측 하단의 일부 유띤이
빅락되어 회청섹 E
HlE기 드러났다

7
2|청자접시
,
l
j磁않j

Cel
adonD1sh

형식 小 (
ll
l)@ |출수위 치 C-a’
l그 리드

높이 17
-2km 입지룹 85
-8&1
11
굽지릉 38
Cl1
1
내지원각지픔 45。1
1

무게6
33g

전이 밖으로 도통하게 딸린 소형 접시로 도기호(


14l띤)
인에 뜰어있었디-안l
사닥 가장지리 이l내저 원킥이 돌아가
고.이 선을 정치l
로 측시띤 이 둥글게 올 라낀다 바닥은 평지
인데 내저를 깊게 돌려깎이 중잉부분이 들 El
도록 히-
았다
상불과 굵은 사질이 섞인거친 티|
로보 만들어졌디 법고 붉
은 녹색의 유약을 진 띤 시유힌 후 콰가장자리의 유약을 살
짝 닦이내고 백섹 내화토씻음 받침을 3
군데 받치 구웠디
내저 원각 선에 유약이 고01주변부보다 진한 섹을 띤다 유
띤 위로 l
잉열과 콸레 돌아간 자국이 보인다
l93

7
3|청자접시
!
!ih
dY빙j
iE
Cel
adon Dl
S|1

형 식 /|
、-(1
ll)
-@ | 줍수 위치 ll

|그리드
높 이17~2l
on 입 지를 87-SSC1
11
잠 지름 3SCl
11
내 저원각시흠 ←
|6〈l
11
부 게 59Sg

전이 밖으 쿄 도 폼하 까|말 린 소 형 집 시쿄 도기 호(l
4l떤)

안이|뜰이 있었디.안바닥 기징자리에 내저 원각이 룹이가


고 이 선을 경계로 측사띤이 등긍게 올라낀다 ul
픽은 평지
인데 내저흘 깊게 뜰려깎아 숭잉부분이 들리도콕 하였다
깝불 괴 굵 은 사실 이 섞인 까 진 래토로 l
긴들 어샀 디 밝 고 붉

은 꽉팽섹 의 유익을 진띤 시유힌 J


한갚 기장지리의 유약을
살짝 닦이니}
고 백섹 내회도벚음 받침을 3군Ul
l받쳐 구웠디
내X|원직 선애 유익이 고이 주 낸부IL디 진힌 색을 띤디 유
띤 위jE땅일과 란퍼l깥이진 지국이 확인펀디

7
4|청자접시
l
!j
6i
j얘UL
L
Ce|
ndon Dl
sh

형식 小 (
ll
l)1l
ι |풍 수우l
지 C jl
그 러드
높이 l7-2(
)〔
111
‘잉지굉 90-9k1
11

콰지릎 jkl
11
내저윈각 지츰 →-
lCl
l1
무게 (
FlSq

전이 깎으효 도펀히거1넬던 소형 짐사로 도71


효(l
4l띤)
인애 틀어 있었다 안l
’1닥 가장자리에 내지 원각이 똘아기
고 이 션을 정2
l|
쿄 측시맨이 둥끌거|올테낀다 l
!}닥은 평저
인데 내저들 깊l
ll깥El
꺾이 중:
영부분이 뜯El
도확 히였디
짐웬J
ll관은 시-
짐이 섞인 거낀 E|
1도쿄 l
j들이졌다 년!
고쉰
은 늑i
gl섹의 유약을 진띤 시유힌 후 끔가장자피의 유익을
싣찍 닦이내고 ul
색 내화l
E빚유 넨 친을 4균데 받치 구었디
유직펀 네시 원각 산에 유약이 고여 주띤쉬L
hlc1전힌 섹을
띤 디 유 띤 위로 벙 열J
l1렐 버l팔 이킨 지팍 이 확 인 된다
1l94

7
5|청자접시
흙n
양41
£앓
Cel
adon Dl
Sh

형식 小 (l
ll
) @ |줍수위치 C a’l
그러드
높 이 20-Zki
n 입지름 9l-92cl
n
굽 지름 3% I
n
내저원각지릉 4%I
n

무게7
65g

전이 밖으로 도똥하게 띨린 소형 접시이다 안바닥 기


정자리에 내저 원각이 똘아가고,이 선을 정계로 측사 띤이
둥글게 올라간다.바닥은 평치인데 내저를 깊게 돌 려꺾아
증잉부분이 늘리도록 하였디,잡물과 굵은 사 질이 섞인 거
친 태토로 민들 어졌다.밝고 붉은 녹색의 유약을 전떤 시유
한 후 굽집지면의 유를 닦이내 고 고운 흙물을 묻혀 구웠다
음각된 내지 원각 선애 유약이 고여 주띤부보디 진한 색을
띤디 유 면 전체에 잔 빙열이 있고 윌레 돌아간 자국과 흙찌
꺼기,모래 등이 보인다

7
6|청자접시
하짧 l
밟웰
CeladonD I
sh

형식 小 -(l
ll
)-@ l출수 위치 C-a1
1그 리드
높이 17-22cl
n 임지룹 86-87
m1
굽지름 37CI
n
내지 원각 지름 44
cm

무게 6
37g

진이 밖으로 도통히케 말린 소형 접시이다 안바닥 가


장자 리에 내저 원각이 돌아기고,이 선을 정께로 측사면이
둥글꺼1올 리-
간디‘l
ll픽은 평저인데 내측 떤을 깊게 돌려깎
아 증앙부분 이 들리도록 하였디 집물과 굵은 사짙이 섞인
거친 태토로 만틀이졌디‘밝고 붉은 녹잭의 유익띨 전띤 시
유한 후 굽기장자리의 유약을 살찍 닦아내고 백색 내화토 빚
음 받침을 4군데 받쳐 번조하였다‘음각된 내저 원각 선에
유약이 고이 주띤부보다 진한 색을 띤다.유띤 위로 벙열과
물레 돌아긴 자국이 확인된다
l95

7
7|정자접시

!
jO값{
f
tJl
l
L
Cel
adon Dl
s|1

형식 /
1、(
ll
l)
-ι |줍수위치C-‘
1
1l그리드
높이 20~2l
。n 입지룹 l
57~1
6l。n
굽지릉 3SCl
I1

내저원각지릉45
Cli
1
무게 6
9lg

전이 밖으쿄 도힘히-
xl
l말린 소형 집시이디 인1
l}
닥기
장지리에 내지 원각이 꼴이가고,이 선을 정계로 축사띤이
둥달게 올파긴다 l
!}닥은 평Xl
인데 내저판 깊지|돌 려깎이
종잉부분 이 들리도꽉 하았디 굵은 사질이 섞인 거친 대토
깊 딴뜰어졌다 회꼭섹의 유약을 신띤 시유한 후 끔진지만l
의유를 팀이내고고운흙불을 붙혀구웠다 팡택이좋지않
고 기변에 잡쏠이 띨El
뀐 어 있다

7
8l청지칩시
l
!rh
4jJ
많jι
Cel
adon DI
sh

형식 小 -(1
ll)
-fb l 출수우|
시 M5그 러드
높이 lS-25cl
n 잉지뜸 96~97cm
굽지릉 32
m1
내서원각지씀 97C1
11

부게6
65g

진이 수평으표 짧게 벨이시는 소형 짐시이다 넓고 펀


펑한 인바닥 종앙에 내지 원각을 힌줍 뜰 렀다‘l
l띄 은 평저
인데 끔지룹이 비교 적작디 유죠는 L
1}
은 녹섹을 띤디 기렐
전치1
에 유약을 붉게 임힌 후 공l
ll
픽 기정지리에 낌은섹 내
회토껏유을 37l
l받찌 구웠디 침시 /
1、-
(ll
l)
-lv외 구언을 지l
외힌 7l
판적인 형E
|1
가 동일하니 l
;[디 양질이다
|196

7
9|청자접시
팎6
양t않£E
Cel
adonDlSh

형식 야1
-ll-@ 1 출 수위치 H3그러드
높。l37
-43α1입지릉 l
43-l
45m
굽높이 (
외)05(
니!)
Okm 굽 지름 55
CIn
내저원각지릉 84cm

무게 l
922
g

구 연이 외반히는 점시로 비교적 운두기 높디,내지띤에


는 원각,구 연 내측 하단에는 음각 선 힌 줄이 돌아간다 회
칭섹의 유익을 전연 시유한 후 김은섹 내화토빚음 받침 4개
콜 대어 구웠다.안바닥 중앙에도 띤조받침 흔적이 4군데
보인디 유약이 앞게 입혀져 부분 」
:L
분 태토의 붉은 빛이 드
러나 보인디-유변 위로 사질과 빙열이 획인되[
t1,흙찌꺼기
도 운어 있다.

8
Ol청자접시
좁R
값밟 ;
l
lE
Cel
adonD l
sh

형식 l
#
3-l
1-@ |쓸수위치J
5그리드
높 이 36~4l
m1 입지릉 l37-l
4Ocm
굽높 이 (
외)11(
내)0(
hn‘굽지흘 56cl
11
내저원각지름 97
cm

무게2l
O8g

안바닥이 넓고 구언이 외반히는 접시이다 측사띤은 내


지애서 꺾여 사선으로 벌어진다 l
’}닥에 높고 두꺼운 디리
굽이 달렀디-유약은 밝은 녹색을 띤다 f
표침지띤에 백섹 내
회토씻음을 받치 구웠다 접시 안바닥에도 번조받침 흔적
이 남았다.유떤 위로 굵은 시절 괴 빙엘이 보인다
l97

8
1l청자점시
!
!l
U“셈t
j
iL
Cel
adon Dl
sh

형식 1
l1
-llφ

높이 3j
-3&I
n 임지판 l
38-l
t
ilc
In
Ef
높 이 (니l
m km 굽지름 5l
CIn
내저 윈각 지판 S9(
J11

우?l
ll8
3%

구얀이 외띤히고,기측띤이 내저5


21분L
싱힌 정x
l1
를두
고l
밀어지는 집시이디 l
ll픽은 인if
으로 가젠가|꺾있디 호1
칭색의 유익을 전띤 시유힌 후 l
l1
닥침지l
전의 유뜰 닦이내고
깎은섹 내화또빗유 받진을 4군데 받j|구웠ι|인l
ll닥 증앙
애도 동일힌 댄죠넨침 흔적이 4군데 낚있디 E|
1
lE애 집뀔이
많고 유띤 위로 시진이 보인다 l
l}낌쪽 시띤에 덴린 유약은
일부 융 쳤고 노티1
펀 곳도 있디

8
2|칭 지은 각 얀 펀-
운 섬시
l!
rh
4j딴Xll
iE%야X씨Sj
dL
CeladonDl sh‘
Vlt
|1Lot
usPet
alDesl
gn

형식 太-l
-l @ l ii
수 위치 l|
5그리드
높 이 45-5〔
kI1
1,?l
지판 l
응S-l
5%I
11
잠높 이 (
외” 5(
내)Okl
n 잠 지흠 61
cm
내지원각 지판 1
Okn1
무 게 jQ47μ

운1-지 l
ll
고[적 높고 측시넨이 왼인한 시선으로 떤이지
는 침시이다‘X|
듀넉능낮은 디El
굽이디 인l
ll닥은 곡띤으로
딴뜰어갔으며 기징자리에 은각 선을 한 졸 될렀다 외측 사
l
낀이11l
정의 딘엮 얀판문윷 2단으파 시갚히였다 얀핏잎은
선단이 뾰족하거|표현되었으l
ll
.갇을 뉘어 유각히여 잎이
도드라지 l
;[이도록 히있다 내외맨의 유색이 띈라 인쪽은
약섹을 띠고 l
ll낌쪽은 칭색으모 반섹I
E1컸다 감인l
l|덕l

의 유플 닦이내고 황섹 니l
화1E빚유 믿친윤 4균이1믿지 떤죠
히였다 유띤 위쿄 빙열이 1
;[이l
ll일뚜 유익이 능 친 곳도 렌
낀펀 다
|198

8
3|청자접시
f
닫E효媒J
[
&
Cel
adonD l
sh

형식 大 -l
- l-@ 1 출수 위치 !!
5그 러드
높이 39-4l
m1입지흘 l
34-l
S7。1
1
굽높이 (
외”4(
내)Okl
n 굽지름 58
cm
내저원각지름 l
O2CI
n

무게 l
981
g

운두가 비교적 높고 측시띤 이 사선으로 발어지는 칩시


이다 저부는 낫은 다리굽이다.안바닥 가장지리 에 음각 선
을 힌 줄 돌렸다.회청색의 유익:
을 전떤 시유한 후 바닥접지
면의 유흘 닦아내고 모래섞인 황색 내화토 빗음을 4군데 받
쳐 번조하였다.유 띤 위로 기공과 벙알.잡콸이 보이고 유익:
이 몽치거나 흐른 곳도 있다

8
4l청자접시

틈R효ea
}&
Cel
adonDl
sh

형식 大 -2- l 1 출수위치 ll
5그 리드
높 이 40-45m1임지룹 l
55-l57。n

굽높이 (
외m4(
내)04
CIn굽지름 6KI
n
니|
저윈각지릉 l
O5m1

무게2
089
g

기측선이 완만한 시선으로 벌어지는 내저 곡띤의 칩시


이다 안바닥 가장지-
리와 구연 내측 하단어|음각 선을 한 줄
씩 돌렀다 비-
닥은 다리군인데.물 러1중심이 맞지 않아 굽
폭이 일정치 않다 굵은 모래외 장풀이 섞인 태토로 만들어
졌다 회흑색 유약을 전연에 시유한 후 비닥 띤의 유를 닦이-
내고 모래가 혼합된 내회토 빚음을 5군네 받쳐 구웠다 칩시
안l
ll닥에샤도 심킥형 의 낌은색 내화로 빚음 l
김침 흔적이 5
군더l확인된다 붉은 유약을 사용 히여 붉은색 태토기-얼룩
덜룩하게 비치 보인다
199

8
5|청지접 시
1
!
]6강많산
Ce|
ad。n Dl
sl1

형식 太-2-l
l | 출수위치 l
l5그리드
늪이 42-46on 입 지판 1
59-1
6l〔
In
굽높이 (
외)O7(내)
04mL균 지츰 SSC
l1
1

내서원각 지릉 9&l
n
부가|239t

내2|
띤이 고프지 않고 운동관÷
」응힌 전시이디 인l
ll닥기
정자리이l넓은 원각이 룹아기고‘기측선은 내저에서 꺾여
완만히 l
쌀이진다 구언은 외딴한다 바닥은 디리답이며 굽
l
ll픽 종잉에 칼자국이 니선형으로 상l
갔다 긁은 1
ι피|
와집
렐이섞인 티1
또효 띤뜰어졌다 밝은 녹색의 유약을 전l
낀시
유힌 후 백색 내화도뱃유을 밴치 듀L웠다 전시 내지띤이l
fE
표게이 구운 덴침흔적(
1ll
섹 내회토씻유 ?l
l)
이 있다 내저
원끽띈 듀L갚에 유익이 고。1주 띤부l
ι다 진히X
1l‘
관색되었
고 기띤 진처1
에 빙열이 보인디

8
6l청자칩시
1
!lh
“Ri
t}
dE
Cel
adon Dl
sh

형식太 2 l
l 1월수위치l
l4그러드
높 이 3S-42
cm 입지룹 l
5← l
56cm
ff높 이 (외)
06(
니1)
Okm 갑지릉 54〔1
11
내저원각 지핑 9SL
111

우게2
06%

인1
lf픽 기징자리이1넓은 원각이 돌아기고 기측선이 완
만히 벨어지다가 구연」
뷰에샤 외반히는 침시이디 l
l|닥은 다
피끔이디 권은 l
l래외 집월이 섞인 E}
lf
E로 민뜰이졌디 밝
고 늙은 녹색의 유약을 전띤 시유한 후 회섹렛의 내호l
EE셋
음 4기l
를 빔져규L
웠디 진시 내지띤에도 꽁일한 넨낌 흔적이
3군데 넘았다 유1
인위쿄 l
싱옐괴 진렐‘물퍼|
흔이 l
E인디
|200

8
7|정자접시
f
닫U효밟앓
CeladonD l
Sh

형식 j;-2 ”
높이 4l-4KI
n 입지픔 l
S9-l6l
cIn
굽높이 (
외)O7(니l
mkm,굽 지름 6OCl
n
내지원각지 뜸 l
O2α1

무게 2
186
g

내저맨이 살짝 오목힌 접시이다 안비빅 기정지 리에 넓


은 원각이 돌아가고 기측선이 왼띤히 벌어지다가 구연부에
서 외반히는 기형이다 싸틱은 디리굽이디 굵은 모래와 깝
붙이 섞인 패토쿄 만들어졌디 받!
고 붉은 녹색의 유익:
을진
띤 시유한 후 회색빛의 니}
화토빚음 4개를 받쳐 구웠다.집
시 내지띤에도 동일힌 받침 흔적이 4군데 넙았디 내저 원
직된 부분에 유약이 고。1주변부보다 진하게 빌섹 되었고
기떤 위로 빙열괴 둡러|
흔이 발낀된디.여퍼 펀으로 깨어진
것을 접힘하 여 이어붙 인지국도 보인다
2Ol


도연 3〉마도2호선 출수 접시 도연

R끊 二7? 펀 납/ 받 三날?/
69정자 접시 70 정지접 시 71정지접 시

숫드낱7? f슨륨갖 t= 노?/


72정X업 시 73정자접시 7
4정자접시

핫료 ;/ t=후 ;Z t 슨노/
75정지접 시 76정자 접시 77칭 자접시

、ζ上γ?
?
78 정자집 시

\든 뿔 // ~날즘/ 핫뜸 늄r/
79정자 접시 80 정자접 시 81정지접 시

혔$
씬L 82정자음 각연 판문접 시
도 불/ \」
-」;
83정자 접시
/ 84정지접 시

직같듣불/
/ 자능밟/ 자도폭듬7
85정자 접시 87정 자접시
8
6정지접 시

1Om 1
I 202

〈표 3) 대표유물 이외 접시 제원표

내저 굽지
높Olfcml 입지름fem I 굽높OlfcmJ 번조받침
원각
번호 뉴
〔를며”
S‘ 형식 트-응 굽형태 받침액 무게 lgl
지름
長 短 長 短 外 內 lcml 내{종류/수l 외{종류/수}
fem I
88 정자접시 4.2 3.8 15.7 15.4 9.6 0.5 0.3 56 다리굽 황백색 내모 3 내모 4 217.9
89 정자접시 4.4 4.1 15.3 15.2 10.0 5.0 0.3 5.4 다리굽 횡백색 내모 4 내모 5 217.3
90 정자접시 4.4 4.1 15.7 15.5 9.8 0.6 0.4 5.8 다리굽 황백색 내모 5 내모 5 237.1
91 정자접시 4.0 3.4 15.5 15.2 9.7 0.5 0.3 5.5 다리굽 횡백색 내모 3 내모 4 217.5
92 청자접시 4.5 4.2 15.7 15.5 97 0.8 0.3 5.6 다리굽 황백색 내모 3 내모 4 204.7

93 정자접시 4.1 3.9 15.5 15.4 9.6 0.6 0.3 5.3 다리굽 황백색 내모 4 내모 5 199.5
94 정자접시 4.6 4.3 16.2 16.1 10.1 0.6 0.4 5.8 다리굽 황백색 내모 5 내모 5 224.5
95 정자접시 4.6 4.4 15.5 15.3 9.2 0.4 0.4 5.4 다리굽 횡백색 내모 5 내모 5 205.8
96 정자접시 4.6 3.9 15.6 15.5 9.6 0.6 0.3 5.6 다리굽 황백색 내모 5 LH 모 5 231 .9

97 청자접시 ιι 4.0 15.6 15.5 9.9 0.7 0.2 5.6 다리굽 횡백색 내모 5 내모 5 235.0
98 정자접시 4.6 4.3 15.5 15.2 9.7 0.5 0.2 5.7 다리굽 황백색 내모 4 내모 4 240.7

99 정자접시 3.5 3.0 14.0 13.8 9.3 0.6 0.3 4.3 다리굽 황백색 내모 4 내모 4 146.2
100 정자접시 。JjE'
「τ。
r 4.7 41 15.9 15.6 10.7 0.3 0.4 5.3 다리굽 황백색 내모 4 220.0
101 정자접시 연핀문 5.6 5.4 16.5 16.4 10.8 0.5 0.2 5.8 다리굽 황백색 내모 4 243.1
102 정자접시 2.0 1.7 8.4 8.2 4.6 4.0 평저 황백색 내모 3 71.3
103 정자접시 2.2 1.8 9.1 9.0 4.6 3.9 명저 황백색 내모 3 73.0
104 정자접시 2.1 1.9 9.2 91 4.4 3.8 펑저 황백색 내모 3 71.0

105 정자접시 2.1 19 89 8.8 4.4 3.8 펑저 황백색 내모 3 71.3


106 정자접시 2.1 1.8 9.1 9.0 4.5 3.9 펑저 황백색 내모 3 73.3
107 정자접시 1.9 1.7 8.9 8.8 4.5 3.9 펑저 황백색 내모 3 62.1
108 정자접시 2.1 1.8 9.1 8.9 5.0 4.1 평저 황백색 내모 3 73.4
109 정자접시 2.4 2.2 9.6 9.5 5.1 3.8 평저 황백색 내모 3 77.9
110 정자접시 2.2 2.0 9.0 8.9 4.4 3.8 영저 황백색 내모 3 65.4

111 정자접시 2.2 1.9 9.2 9.0 4.8 4.3 명저 황백색 내모 4 70.6
112 정자접시 2.1 1.8 9.0 8.9 4.8 3.8 펑저 황백색 LH ‘모 3 71 .8
113 정자접시 2.1 1.4 8.2 8.1 4.6 3.6 평저 황백색 내모 3 60.8
114 정자접시 2.3 1.9 8.9 8.8 4.6 3.5 영저 횡백색 내모 3 72.4
115 정자접시 1.9 1.6 9.1 9.0 4.8 4.1 영저 황백색 LH 모 3 60.2
116 정자접시 2.5 1.9 9.0 8.0 4.6 3.8 평저 황백색 내모 3 74.9
117 정자접시 2.1 1.7 9.2 9.1 4.6 3.7 평저 횡백색 내모 3 67.2
118 정자접시 2.2 1.9 8.9 8.8 4.7 3.8 펑저 황백색 내모 4 67.6

119 청자접시 2.1 1.6 8.9 8.8 4.8 4.6 평저 황백색 내모 3 58.5
120 정자접시 2.0 19 8.8 8.7 4.6 3.7 펑저 황백색 내모 3 72.8
121 청자접시 1.9 1.7 8.9 8.8 4.9 4.0 명저 황백색 내모 3 64.1
122 정자접시 2.0 17 9.2 9.1 4.9 4.0 펑저 황백색 내모 3 73.8
123 정자접시 2.1 1.8 8.9 8.8 4.6 3.8 영저 황백색 내모 3 66.2
203

1뭔 F 「
90정 자접시 91칭자 접시

t
92 정자집 시 93칭자접 시

蓋싶
i
94정 자접시 95정지접시
|204

ξ훌i
4
96정지접시 9
7청자접시

剛흙
98 정자접 시 99정 지접 시

議廳}

를l.톨
1
OO정지음각엉무문접시 1
01정자응ζ변 판문접시

i ll- R Ii” ‘

-
’힌・r 록i 、
- - - i ・

i훌 I|
1

도」-- --듬「 τ그과

뭔틀튿 틀! 득흰ii등

102정자접 시
麗 1
03 정자접 시
홉펼
205

1!를r

1
04정 자접시

;
鐵 105정자 접시


lragII ιf 』 II 1
--‘jI I ‘ l・・ l
빠 i1lL? jI lj
、훌훌훌l l % Z
Y
2 - J

민띔 F
g-i
*i흩 「
혔藝 짧醫
106정지접 시 1
07정지접 시


I;
톨 -F gJ
1 11
‘ ’・l ‘i ‘ii ‘ ll”l j1

t
특폐훌핸 I
f

/2;?
?킬 훌 핸、
lti4 년r!taa률Il
- - -- - - - -

1
08정자접시 109정자 접시

r “

‘’‘!ll・-- ‘- --‘

l ! ” ・1 ‘ 1lF ‘ l
i 4- - - (
1 ! , j
t 냉니li : ‘4U ‘ ιIjl
‘s・・i“ i , ‘’1 t iV

혔績
1
10정 자접시 11
1침 자접시
|206

t피
麗풋
[-j
j
필다
꽤 톨‘
강깅
1
12정자접시 1
13칭자접시

t폐
릎 투r직j
&
;안
‘?

1
14정자접시 1
15정자 접시

뚫폐
펠풀츰ii」
1 -- ---- ----

1
18정자접시 1
19청자접시
207

훌뿔
i

획활흠훌폼
헥별틀『 짧
1
20정자접시 1
21정자접시

1뭔 톨V 1.틀 젠V
績짧
122정 자접시 123 정자접 시
|208

1
24|청지응 각연화절지문매병 꿀을 담았딘 청지매l
성이디 구언은 소민처펌 꺾여 외민하는 반구따용Cl
)형태이며.그 이-
i
휩6강l용Xl
|連7
Em技文梅꽤 래로 셈은 정부가 이어진다 이깨는 앞으로 벌어진 후 둥글게 내려외 동체와 만닌디‘창체는 폭
CeladonMelpi
ngVas
eWI
thL。t
usVI
neDe
slgn
을좁히띤서 연결되디가 끌에서 다시 외만한다.
바닥은 굽폭이 넓은 인굽이다 문앙은 음각기
형식 I
, 1 출 수위치 F5그리드 템을 시용 히여 3딘 구성하였다 씬지 정부에는 여의두문.동처1히딘 에는 뢰문과 에의두관 이 장
높이 390-391
m1,입지릉 68-7kI
11
식되었다,이의두에는 꼬리가 딸려있어 동적이디-중심 분잉:
은 연회절지(
述花析**)
로.콩치l
굽늪 이 (내)
03m1.굽 지흠 l
5km
사방에 시문히였 다 분양의 네두리는 각화 기댐으로 깊게‘문양 안쪽의 세부 잎백은 획화 기범
무게 ‘
i2k
g
으로 알게 니타내이 입치l
김이 실아있다 연줍기 밑동은 유띤 위애서 뾰족한 도구를 사용 해 접
을 찍는 빙식으로 시실 감을 주었다.유조는 녹청색을 띤다‘유약은 기띤 진체에 시유되었으 나
바닥집지띤의 유는 닦이내었고.EL래섞인 황색 내화토빚음을 받치 번조하었다 유면 위로 빙
열이 보이며 일부 유약이 흐르거나 팽길 섹 빛을 띠는 곳도 있다 이 벙은 죽칠(
27번)
을 목애 단
채 인앙되었는 데.그 내용은 디음과 걷다 (
펄房者f
”|
g校핏k;
힘 /;
E-h해짧盛 博封)
209
1210

1
25|
청자상감국화모란유로축문매병 참기흠이 담갔던 정지-
때병이다 규L연은 소딴처텀 꺾여 외띤히는 반구(
짧 디)헝태이며,그
f
광U값4
%i펴갖한
4Et
j;}
if쩌n
젊;竹文4
때뼈 아래로 짧은 정부가 이어진디 이깨는 옆으로 벌어진 후 둥달게 내려와 동체외 띤닌다 동체는
CeladonMeipi
ngVas ewl t
hInlal
d 폭을좀히띤서 얀결되다기-
끝에서 디시 외딴한다.바닥은오댐 이다 문양은 크게3
딘으로구성
Chi-
ysant
hemun1,Pheony/lVl
ll
。WlRee
d
되어 있는데 묘두싱김기법을시용하여 나타냈디 우선 정부애는 이의두핀 지부에는 연판문
andBambooDe SIgn
괴 뇌문이 시문되었고 그 사이의 동체띤이l
는 국화 모란 대니무 갈대 배드니-
무 믹핏을
형식 C l 출수 위치 F5그러드 표현히 였다 각각 의 호펙 은 기면에 골을 파서 6등분 한 후 능화형의 칭(
똥)을 두르고 그 안쪽 에
높 이 389-391
。n 입지름 71。1
1
시문되었다 녹칭섹 유약을 기띤 진체에 바른 디음 ‘비픽접지연의 유룹 닦고 모리l
섞인 황색 내
굽높 이 (
외)(
내)03。n 긍지룹 l
42on

무게4O
kg 화토빚응을 l
O군데 받쳐 번조하었다 빙띨괴-
집콸 없이‘
유띤이깨끗한 편이니 지부쪽유기 빌
려 때토기 군데균C
ll
드러난다.이 l
칭은죽찰(
23댄)
을 복에딘 채 인양되있는데.그 L
뱀은 다음
과 낌디‘(
;
떤힘빼將校핏:
文찮2
E-|
;i
il
&뺑£
;
t)
2l1
| 212

1
26|청지음각연화절지문매병 크기가 디소 직은 청자UHl
청으로 。1
리 펀으로 깨어진 채 발진되어 접합괴 팍원의 괴정 을 거
좁R
&P흥Xl
j
파 花折技 文*
따fR
i 쳤다 구언은 소반처럼 꺾여 외반히는 반구않&
디)형태이I
I1
.그 이래로 짧은 경부가 이어진다.
CeladonMeipingVase 어깨는 옆으로 벌어진 후 급히게 띨어저 동체외 만난디.동i
1l
는 폭을 함히연서 연결되디-
기-끔
wi야1Inlal
dChlysant
hemum,Pheonyl 에서 다시 외반힌다 바닥은 굽폭이 넓은 인굽 이다 분양은 음각 기법을 시용-
히여 3단 구성하
Willow/ReedandBambooDeSIgn
였다.벤치 경부에는 이의푸푼 .동처1하단에는 뇌분괴 여의두문이 장식되었다 중심 분양은 연
회절 지(
週花}
R상)
로,동처l사빙에 동일히게 시분되었다 문양의 테두리는 각회 기법으로 깊게
음각문양 인쪽의 세부 잎맥은 획화 기법으로 양게 나바내어 입체감이 살이-
있다 앞서 기술한
청자 연회칠지분n|
1병괴 딜리 아의두분에 꼬리기-달려있지 않고 마소 각지게 표현하였다.유조
는 밝은 담칭섹을 띠l
녀‘기띤 진체에 고르고 앓게 시유되었다,단 비-
덕섭지떤의 유는 닦이내었
고 객E
ll
섞인 황섹 내회토벚음을 받쳐 번조하았디-
2l3

12
7|처 xlH};1lXL 겨 냥1


1」 。 。 。

l
!l{
1
44땀 1l
lx때 l
f
k


Cel
adonB。ttl
e

형식 (1
ll
)-@ 1 출수위치 ll
5그 리드
놈이 2
74-2Sl
c11
1gl
지름 7*1
11
긁 시굉 S‘
b1

l
유가|l3l

・힐iaz -

구엔의 꺾임이 분l
잉힌 칭지민구정경밍이다 이깨는 시
선으로 씹게 띈어지[
까.똥지1
는 견팎이|
샤 깎아 지뚜까지 폭
을좁히l
l내려온디바닥은평저이디굵은시
섣괴침렐이 |-
;
섞인 거친 떼토보 띤뜰이졌다 전지1
적으로 씬은 녹색을 띤
다 유약은 동차!
하딘끼지띤 임혀졌고 l
낀조받침이 획인되지
않는디 팡k
ll
에 깊은 균열이 보이l
뎌 기표기 부뀔어 오콘
곳이 이 E1
균매디 유의이 쉰이 흐르끼니 노마|
판l곳도 펙인
뭔다 더|
5E기 넓게 드러닌 진부쪽 71
띤은 l
l1
늄 처민 뜯뜨고
김닌l
졌다

1
28|
청자반구장정병
1
!j{
l
값!3|1
lf?
rll
1
H ]:;:=::::
m
- ”--‘----

Ce|
adon Bott
le

형식 (l
ll
)-(
기 l 쓸수 위치 1
시그 간1드 - - -

높 이 27l
-277c
m gl
지릎 SO~S l
CIn

if지륜 92
C11
1 --‘ιfa・-
→ i ‘ -

-1
- - - - ‘

부가1l3
5kg .끼-
--Y
‘7--「 -

운 일→ ;
k 힌-i ι ‘ ’

i i i ← i

규L
얀의 깎인이 분냉힌 칭지l
l
‘!
구정정l
잉이다 이깨는 시
선으료 씹게 l
쉰이지l
lf 동il
l
는 낀부애샤 깎여 자부끼지 폭
을 츄히l
l1내El
온디 Ul
-
픽은 평지이디 권은 시섣J
ll침펀이
섞인 거친 떼l
료쿄 만뜰이졌디 전i
|1
적으쿄 씬은 녹색을 띤
다 유익은 동처l히딘끼지안 l
펀댔고.번죠받침이 획인되지
않는다 동처l
애 깊은 남엘이 ]
lL이l
녀 기표가 우풍어 오륜 곳
이 。l
간1코F
Ell
디 유익이 붉이 흐프가니 노태된 곳도 펙인원
디 똥il
l아렛쩍~
온왼전히 유려진호1펴지 않아 굉섹이 잉다
|2l4

1
291청자반구장경병
좁(
磁縣口長잊껏塊
Cel
adon Bottl
e

형식 l
l-O | 쓸수 위치 l
l5그 리드
잔존 높이 235-264ι
1n 굽 지릎 104cI
n

l
유거|l2
3kg

구연이 결실된 청자빈규L


정경병이다 경부외 견부의 경
xl
|
가 뚜 렸하고 어끼|
흘 꺾음 정 연하여 단이 생겼다 꽁체는
사선으로 폭을 줍히띠 내려가나가 치부애서 외빈한디.바
닥은 인굽 으로 보래섞인 내회토 빚음을 4군데 받쳐 규L
웠다
호l
칭색의 유약이 전떤 시유되었으띠 유 띤 위로 빙엘.불페
가 돌이긴 흔적‘유가 흐르거니 풍친 자국이 보인다

1
30|청자반구장경병

른R효t
gk디長 짧째
Celadon Bott
le

헝식 (
ll
1)
-。 |출수위치 E
5그리드
잔존 높이 273~2
85C
In
곱지룹 98cm

무게l찌 〈
g

구띤이 겔실된 칭자반구징경병이다 어깨가 좁고 동처l


하단이 외만히-
는 세정한 헝데이다.경부와 동처1
를 따로 띤
들이붙인침합흔이 맹 내측띤에서 확인된다,바닥은 평저
이다 어두운 녹색의 유약이 시유되었고,번조받침으로 쓰
인모래가끔바닥애 윤어있다 유가 골고루 딸El
지 않아 E
ll
토가 일부 드퍼났다 유띤 위로 시질과 빙띨이 맨 다.
2I5

1
311청자호

Cel
adonj
al

출수우l
illl
5그 러드
높이34S-3
5lnn 잉지릉 l
O(3
-lO7
c11
1
굽지룡 l
‘lh1
11

부거1
44k
g

동지1
가 세정힌 칭자호다 정부기 익 25
CI1
1쿄l
ll고[

김고 구인 선딘이 수핑으로 l
싼이져 진을 이룬다 이깨는 등
필까
|1내려오고 동저|
는 사선으로 딸이진디 h
ll덕은 펀평히
디 E
|1
토는 회섹 유익은 짙은 늑색을 띤다 잔띤 시유 후 l
ll
틱을 닦이내었다 장처lx1
부에는 l
11
픽을 띠쿄 만뜰이 쉰인
깃으로 과이는 흔적이 있다 71
년1우l
EL굵은 사짚이 l
I[이l
tl
.
콩i
|1한띤의 유기 힐부 녹지 않있다

1
32|청자대발
!
!l
{i
ι太짜
Cel
adonLar
geBowl

출수 위치 l
15그리드
높이 ll9-l26CI
n 잉지판 Z
S6~29αm
Ef지름 l
내7cl
11
내 지원각지뜸 l
ι1α1
11
겨L게 l68kμ

청지쿄 민든 대띤이다 Ql
E|편으로 께이진 치}넨진되
어 침합 과정을 거쳤다 l
|1닥은 편평히고,측시 띤은 사선으
로l
밀어지디기 구얀 하딘에시 싶찍 오묘E|든디 구인은 딘
띤 시각형의 전을 이훈디 E
l|
또애 사짙괴 심꽉이 많다 유조
는 셈은 꽉칭색이다 바덕진지띤은 노E
|1
씌있으l
Ll 낌은색
과레기 띔이있다 구인 상딘에도 G|
뚜운 펑섹 내효l
EE셋유
을 ll
게 운려 디콘 기센피 표기1
이xl
1인히였다 기월의 니1

띤으파 렐G
|1자국이 넘았고 사질과 집같l
ElI
L인다
|2l6


도연 4-1
〉마도 2호선 출수 병 호 발 도연 1

1Om

1
24정자음각연호}
절지문매병
2l7

1Ocm
l2I8


도연 4
-2〉마도 2호선 출수 병 호 발 도연 2

1
25칭자상감연화절지문매병

o 5 1
Ocm
2l
9


도면 4-3〉마도 2
호선 출수 병 호 빌 도면 3

1
26칭지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매병 훨藝↓


0 5 1
Ocm
|220


도연 4-4
〉마도 2호선 출수 병 호 발 도언 4




l

l l
l
l

l
l

l ’

l l

l l

I 1

l ’
/

/ ’
/ ’
l ’
I
l
l
/
/

1
27침자반구장경병 1
28정자반구장경병 1
29칭자반구장경병



l
l

I
/

l
/

l

l
/

1
30칭자반구장경병 131정 자호 1
32정자 대발
221

1
33|
도기때벙
1
써2}
냐따j

Pol
tel
yMCl
PlngVase

출수위치l
{6그리드
높이 290-ι
95c1
11입지늪 52-5km
답지름 l
OKI
l1

무게 22
kg

흑호l
섹의 부시유 도기nl
|멍이디 구얀은 반구헝으로 깎
임이 분 명히고 이깨가 시선으로 넓게 l
쉰어진디 동처1
는친
부어|
샤 꺾@1내El
외 좁아둡다기 끝에서 싣찍 밖으로 띈어진
디 l
jl닥은 펀펑 히 디 기 년 위로 쉰 러l
픈이 l
a인다 니-
부걱:

껑이 잎히진채쿄 렐수l
Fl
었디

1
34l
도기잉띤편호
1
”l
J”샤|
애lh
ll;’


;t
Pot
tel
yjal

쓸수 위치 l
l4그퍼드
높이 2
89-2
9l〔1
11 %l
지릉 l
O6-l
O7C1
11
닫 지룬 l
4α11
1

우?
llil

동il
l잉떤을 누콘 2띤 편효이다 구얀은 템으쿄 외반
히l
rl짧은 꽉을 가셨디 」
강저1풍상딘애 부게 증심을 두고
풍띤히거|1
;
셈이졌다가 폭을 휴히따 내려긴다 바닥은 핑지
이디 낌붉은 색의 더|
또쿄 성형꾀았으냐l유조는 짙은 녹
낌섹 이디 유약은 굽침지띤을 제외힌 전민이|시유되았다
내외띤으릴 터1
쌓기 흔이 보인디 나부뚜껑이 덮혀진지l
EL
출-
수 도1
았다
1 222

1
35l도기호

#쇄용섬

p。t
ter
yIaI

출수위치 H4그 리드
높이 299~308CI
1L 입지 릉 100-102cI
n
굽지릉 1
23。1
1
무게 28
kg

동처l
가 세장한 도기 정신 호이다 구얀은 구얀단 종앙
이 살찍 들이간 반구형이띠 그 아래로 짧은 경부가 이어진
다 어깨는 둥글게 내려와 최대경을 이루고 똥체는 시선으
로 좁이든다.저부는 평저인데 t
ll틱떤을 따로 만들어 접합
하있디 흑길색을 띠는 유약을 굽바닥을 제외힌 전띤에 시
유히였다.동체 히딘을 중심으로 데쌓기 흔적이 보인다.

1
3&|도기호
隔 {
&최찬
Pot
ter
yJai

출 수위치 G6그 러드
높 이 312~3l7CI
n‘입지름 I
O5~1
06cm

균지릉 l
OSm

무게 2l
kg

동채기 세장힌 도기 장신호 이다 규L언은 구연딘 중잉-


이 실짝 들어간 만구형이며 그 아래보 짧은 정부기 이어진
다 이끼1
는 완만하게 내려외 최대정을 이루고.동체는 사선
으로 좀아든다 저부는 평저인데 바닥띤을 따로 낀둘어 집
함히-
였다 1
34민 유촬괴-꽁기형이나 최대정괴-
굽지름의 크
기가 다소 작다.흑갈섹 유약을 굽바닥을 지l
외한 진면에 시
유하았디.유떤 위로 공기기 부끓어 오른 곳이 여러 군데디
불이 괄고루 닿지 않이 굉팩이 덜한 곳도 있다.
223

1
37|도기호
l

시싸 써
p。t
lel
y}ar

출수 위치 G5그러드
높이 2!
)6-29SCI
11임 시뷰 l
O3~l
OlCl
l1
갚지릉 llαn1
우꺼119kμ

기 고에 l
il히|굉 il
l의 폭이 작은 도 기 정 신호 이 다 규L얀

은 구연단 증잉이 삼짝 뜰이간 빈규L


형이l
t1그 이E|
1
로 씹은
정부기 이어진다 어깨는 동닫게 내려외 최대정을 이푸고
등처l
는 사선으쿄 좀이든다 비닥은 편핑하다 흑낌색을 띠
는 유 익을 굽 바덕 을 제 외힌 진 엔에 시유 하 았으 니 굉 텍이

충지 않고 터1
쌓기힌 흔적이 J
I[인다 j
E안에서 생선 l
l1
늘이
믿견되이 젖낌J
류릎 단았던 X|
장 정기였을 것으쿄 추정펀디

1
38|도기호
l

i

f
써”
이 싸
샤.、


5
P
I
〕。
mt
nl
인’
E v}
al

출수위 치 C ;
l1l그 리드
높이 2
99-3Ol
CIn 입 지판 l
O5-l
O&m
잠지릉 1
2l〔1
11

무거1
26k
μ

동지l
가 새정힌 도기 장신호이디 구언은 구언딘 증잉
이 샅짝 뜰어긴 반구형으로 꺾임이 분 l
싱하다 어깨는 원낀
히게 내E|
외 최대정을 이루고 등지l
는 사선으쿄 흙이든디
지J
TL는 평Xl
인데 ”1
덕변을 l
다로 딴출이 이어띔인 흔적이 난
있다 유조는 흑김색을 띠l
녀진띤 시유힌 것으쿄 jL이니 동
체 히딘에는 굉맥이 없디 기맨 위쿄 공기가 부풀어 오륜 곳
이 여테균데디
|224

1
39|도기호
|
뼈器뚫
Pot
ter
y}ar

출수위치 G5그 리드
높이 227-22SCI
11 입지름 92-9KI
n
굽지름 88Cl
11

무께 14
kg

불흉김이 작고 세장한 형태의 소헝호다 구연은 외반


하며 이깨를 살짝 깎음 정띤하였디 폭이 작은 똥처1
는 저부
로 내려오띤서 좁이든다.비틱은 편펑하다 유조는 어두운
회록색을 띠며 바닥접지띤을 제외한 전떤에 시유되어 호 내
부까지 유약이 발렸다

‘ -

- -1

’“
. ” /

1
40|도기호
I
f
써짧j

Pot
ter
ylar

출수 위치 C a’
l그리드
높 이 35l-357cm,입지릅 149-15Ctn1
굽지룹 204cm

무게64
kg

구얀이 외반하고 배가 부른 풍만한 형패의 도기호다.


바닥은 펜평힌데.기고에 씨해 폭이 넓고 따로 만들어 이어
붙인 흔적이 보인디 굵은 모리l
가 섞인 거친 흙으로 민들어
졌으며 기벅이 두껍고 둔증히-
디 저부를 제외한 기띤 전체
에 섣은 북색의 유의t
을 시유히였다.유익이 붉어 흘 러내린
자국 이 생겼고 데쌓 기포 띤들어져 기표띤이 을좀팍플퉁히~
디 청지음각뢰분진(
49번)
과 칭지점시6
점(보고서에는 7
2.
7374번 3접딴 수 록)
이 늘어 있는 상패로 발견되었다
225

1
41l도기호
I
써25’
G
1:
Pot
ter
ylal

형식 (1
ll)
-@ 1 출수위치 ll그 러드
놈 이 33Z~3←
|4。1
1,임지흠 l|5~ll& l
11

굽 지릅 1‘5cI
i1
무게4-
lks

구 언의 꺾 인이 분 l
싱한 칭자반구 정 경 영이 다 어 깨는 시

선으로 씹게 l
밀어지며 동처l
는 낀부에서 꺾여 저부끼지 폭
을 좀히l
t|내펴온다 바닥은 평지이디.굵은 사질과 집블이
섞인 거진 데토로 띤늘어졌다 진체적으로 셈은 녹색을 띤
다 유-
익은 동i
11히딘까지만 밀렸고 씬조받침이 확인되지
않는다 동처l
애 깊은 균 일이 보이띠,기포기 부풀어 오른 곳
이 이 라군 E
ll디 유 익이 붉 어 흐 르거 니 노 더1
띈 곳 도 확 인뭔

다 동차|이랫쪽은 왼전히 유리질회 되지 않아 광택이 없다

1
421
도기호
|
”l
씨싸;
U
PoNEI
y}al

쓸수 위치 ll
5그 리드
높 이 353-38l
C11
1‘잉지릅 l
6S-l
7-i
c11
1
굽 지픔 1
S6c1
11

뚜기1
55k
μ

구 얀이 외반하고 그 아래쿄 씹은 정부기 언깥되는 도


기호이디 동 처1
는 비1
기 펀랴 풍l
닌힌E|
1‘윤을 이기지 삿히고
주 지 앉이 정획힌 생긴새륜 알 수 없디 기불 증싱딘에 음각
선이 3줍 꽉이가고‘도구룹 이용→
하o1기백을 다진 El
널자
국이 내외띤으로 넘있다 기벽이 않고 끼l
어진 딘띤 시이로
보이는 데토는 흑회색이다 짙은 늑감섹 유익을 진띤 시유
한후 l
j}
닥침지띤의 가장지리 애 끼친 l
ι리|
4틀L|
1어 구웠다
동지1
애 디픈 기렐의 구연피 광지1
편()
#)이 딛E1
쉰 이 있는데‘
띤조시 기꽉이 서로 빚텅 이 생긴 흔적이디
|226

1
43|
도기호 늪이기 약 8Oc
m에 이르는 대형 도기호다.여러 편으로 새어진 채 빌견되어,침합과 복원의
|
쩌땀꿇 과정을 거쳤디.규L연은 수평떤을 이후띤서 팎으로 크게 벌어지고.그 아례로 짧은 정부가 이이
p。t
ter
yIar 진c1
-기측선은 목과 분영한 경2
1l
를 두고 꺾여 사선으로 넓어지다가 동체 증
:상딘에무게 중심
높이 7
4l-73o。n 입지름 348-352。1
1 을 두고 폭을 좁하 띤서 내려온다 진체적으로 배가 부른,볼휩-
감 있는 형태이다 바닥은 평지로
무게 2
64k
g 따쿄 만들어 부-
착히였고.가운데 부분 이살찍 틀렸다 경부와 동처l
상단에 암은 음각 파상문을
돌 리고,최대정 바로 윗부분 에 졸대 3좋을 등간적으로 붙였다.단딘하고 앓은 기벽을 만들기
위한 타닐지 국(
직자문)
이 기외띤에 태쌓기한 흔적이 기내띤에 낭았디-기심이 회청색을 띠는
경질도기이다
227
|228

1
44|
도기호 높이가 약 8Om 。|
1이르는 대형 도기호다 여러 편으로 깨어진 채 딸견되어 접힘과 복원의
!
쩌심융찮 과정을 거쳤디 구연은 수평띤을 이루면서 밖으로 크게 벌어지고.그 아래로 짧은 경부가 이어
Pot
ter
y1ar 진다 기측선은 목과 분땅한 경제를 두고 깎여 사선으로 넓이지다가 동체 증상딘에 무게 중심
높이 7l5-74km‘입지릉 % 4-352cn1 을 두고폭을휴히면서 내려온다 전i
ll
적으로 배기-
부르고 위아래가줍은 형태이디-바틱은 평
굽지릎 26&I
n 치로.따로 만들이 부착히였다 경부에 음각 피성-
문을 돌리고 최대정 바로 윗부분에 돌대 2줄
을 붙았디 딘딘하고 않은 기벽을 만둘기 위한 바날지국 (
격지분 )
이 기외띤에.데쌓기한 흔적이
기내띤에 납았다.기심이 회청색을 띠는 경질도기이다
229
1230

1
45|
도기시루
뼈器염k
Pot
ter
ySt
eal
nel

높이 273~27&I
n 입지름 322-342m1
굽지룹 288cm

무게42
kg

밀폭이 약간 좁은 원통형의 흑회색 도기시루디 바닥


띤은 따로 만들어 콤 였으파 6개의 구영이 뚫렀디-숭앙의
투공 1개는 원형으로 그 가장지 리에 똘아가는 5개의 투공은
기물의 기벽 생김새에 맞추어 반원형으로 만들었다 구 연
이 도룹히며,동치l양쪽에 넓찍힌 손잡이를 붙 였다 여러 편
으로 깨어진 것을 칩협하 여 이어룹인 지-
국이 보인다.

1
46l도기저부편
짜냉*
Iti
-핍’
1수
Pot
ter
yWare

출 수위치 E3그 리드

저부만 남아 있는 도기편이다,굽은 평저이며 안비-



종잉이 익:
긴 들렸디 급바닥에 ’
吳造’
으로 추정되는 북서영
이 적혀 있다.
231


도연 5-1
〉마도2
호선 출수 도기 도면 1

醫 힐훈찮관응?
@혔

1
33도 기매 병 1
34도 기앙연 펀호

135도 기호 136도 기호

1
0 2Oc
m
l232


도연 5
-2〉마도2호선 출수 도기 도먼 2

137도 기호 138도 기호

l
------------ --------------- /

/
/

/
I
/

/
~‘~

140도7|
호 1
39도기호

1
Ocm
233


도연 5-3〉마도2호선 출수 도기 도언 3

1
41도1l
호 1
42도기호

- r ----「 - - - -

146도 기저 부면

1
45도 기시루
1234


도연 5
-4〉마5갖호선 출수 도기 도면 4

-- -- - -- - /

143도 기 대호

t
235


도연 5
-5〉마도2
호선 출수 도기 도언 5

l
l

l
l

l
l

l
/

/
/
/
/
/
/

/
/

/
/

144도기 대호

4Ocm

t
236

〈표 4) 대표유물 이외 도기 제원표

높Ol(cm)
내저원 굽지
입지름lcml 굽높Ol(cm) 번조받침
7
「}
번호 。T무
a 며。 혀
0시--, 굽형태 닙J~A-「H 무게lgl
ξ,,;
T
지름
長 ~ii: 長 短 (cm) 까 內 (cm) 메증류/수! 외l종류/수l

147 도기호 37.8 37.4 13.5 13.3 15.8 펑저 모래 4.2lkg)

148 도71호 38.0 37.2 17.5 영저 모래 5.8(kgl

149 도7 1호 38.4 37.1 14.8 14.6 17.7 펑저 모래 5.7lkgl

150 도기호 34.8 34.4 16.7 펑저 모래 2.8(kgl

147 도기호 148 도기호

149 도기호 150 도기호


|238

0
1l청자발
좁E
양화
Cel
adon B。w l

높이 82-8km
굽높 이 (외)l4(
내)l2。n
내저 원각 지릉 84cI
n
굽지룹 61
α1

내지띤이 편평히고 가장지-


리에 원각이 돌아기는 말이
다 기측선은 저부에서 둥글 게 이어져 급경사로 올라온다
구언은 빔으로 꺾여 짧은 진을 이루띠 비픽에는 외빈히는
높은 디리굽이 달렸다 청색 유약을 전떤 시유한 후 바덕접
지먼의 유를 닦아내고 백색 내화토빚응을 5개 받치 구웠다
유연 위로 빙띨이 보인다

0
2|청자접시
담T
I값;
밟앓
Cel
adon Di
sh

출수위 치 B1그리드
높이 3O~35c
m.입지릎 l38-l
4km
굽높 이 (
외)06(내)
03m 굽 지릎 4KI
n
내저 원각지륜 9km

무게 l
462
g

안비픽이 넓고 기측선이 완만한 사선으로 올 라가는 접


시이다-L
H지띤에 음각 선이 한 줍 돌아간다 밝은 녹황색
유의k을 시유한 후 군점지띤에 백색 내회토빚음을 받쳐 구웠
다 칩시의 내축 비덕변에도 포개구이한 꽁일 번조받침 흔
적이 4군데 넘있다 기띤 위로 진 빙열이 보인다‘
239

0
3|처 지l띠
」E L
7 Lou디 디 x-
→1 。 「τ r
l
λll

f
ti
6찌2*1
l
밍때↓
X짜j
iL
Cel
ah。nDl
sl1‘
、I
ll|
1Pal
,。lDCS
lgn

출수 위치 l
,1그러드
높이 ←
l1-‘
lR11
1 임지릉 l
56-l
59nn

굽높이(
외)04(
니1)
Okl
n 곱지룹 53
cn1
내저 원각지픔 l
O7c1
1
1

무거l
220
q

넓은 안바닥 기징자리에 음각 선이 괄이기고 축사딴이


왼띤히게 필이지는 집시디 Ul
믹은 닛은 다E1
균으로 내외
측의 놈이가 다르게 깎았디 구연 내측 히단에 음각 선을 힌
줍 두프고 내저떤에 앵부새 한 l
ll
El를 유각하였디 앵부세
의 널Y
ll
외 꼬리는 점;
츄 힌 셋샅이 딸린 시관 E구룹 이용히ol
힌번에 긁어 니타냈디 은걱 선 벚개f
E이루이전 비땀표한
은 앵쉬L는L씻은편에 위치한다 기l
f!이 않고 가l
쉽디 녹칭색
의 꼼은 유약을 신넨 시유힌 후 팡섹 내회또씻유 받진을 57
l1
믿쳐 l
낀조하였다 유익이 웅지거나 호콘 지국 사질‘괄 래
흔이 보인디 접시 안쪽 시띤에는 관찌꺼기가 렐어있고 그
위쿄 유띤이 형성되어 있다
?
驚:1

0
41칭지팔걱접시
l
ll
떠/Uf
l싹j
GE
Ce|
adonOct
agonalDl
sh

높이 -
lZ~17
Cln 입지룹 l
l3-llkl
11
잡높 이 (외)
07(
내)OKI
n
내지원각지룹 55〔1
11

무게 2l

|2μ

내저띤이 펀펑하고 기측선이 안미닥에서 꺾이 사선으


쿄l
쉰어지는 필각점시디-l
ll닥은 디리콰이다 시설피 상갈
이 많은 흙으쿄 성형되었으l
tl‘유조는 회록색을 띤디 기만
우l
쿄 빙열괴 사짚이 파이고 안바덕이 터졌다
|240

0
5|청지-
뚜껑
f
듀n효蓋
Cel
adonLld

높이 19-
-2KI
n 임X|
룹 66-s@ 1
1

무게62l
g

곱형태의 손잡이기-
딜린 작은 뚜껑이디-측사 연은 사선
으로 내려오다가 꺾여 진을 이푼다 인쪽 에는 짝이되는 기
물을 고이도확 고안된 짧은 드림부기 있다-기댁이 암고 가
댐디 유조는 회록색을 띤디 일부 유약이 발리지 않아 노 태
펀 곳도 보인다.뚜껑의 내측 바닥띤과 손잡이 부분에 적황
색 오래섞인 내화토빚음을 3개씩 받쳐 구웠다.

O
&l청자접시
I
얄磁 썼;

Cel
adonD l
sh

높이 2l
-2km 임지릅 85-88。1
1
답지릉 43cn1

무게833
g

내저띤이 넓고 기측선이 짧게 올라오는 소형 칩시디


바픽은 평저이다 녹청색의 유약을 전떤 시유힌 후 바덕 정
지띤애 규석 37l
1
를 받쳐 구웠다 유 떤 위로 빙열이 보인다
241

0
7|청자칩시
|
!i
j찌찌t
;
CE
Cel
adon Dl
sh

높이 20~22c
11
1임시판 92-9jcn1
갚지흠 3SC1
11
내지 원각지관 5αm

뚜꺼l
77O
g

진이 밖으로 도판히게 말린 스형 점시다 안비닥 가정


자리에 내저 원각이 쏠아기-
고‘이 선을 징계로 측사띤이 풍
글게 올피긴다 l
ll
딘은 평지인데 내측띤을 깊게 둡펴깎이
증잉J
f닉i
L이 들 리도꽉 히었나 침쉰괴 굵은 시질이 섞인 가
낀 녁l
보포 만둡어졌디 밝고 붉은 녹색의 유약을 진띤 시유
한 후 맥색 내회도빚음을 3군데 빔쳐 구웠다 음각된 내지
원직 선 에 유 의이 고 α1주 l
신부 jL디 진힌 색을 띤다 유 1
인 우1

보l
싱일과 jL레기 획인펀다 ul
도 2호 선싱에샤 l
펀전뭔 소
행 침시(
/1、
-(l
ll
)-1
v)외 동잎 형식으쿄.비1안에서 흉러 나온
것으쿄 추정펀다

0
81청자점시
l
ij
6값f
Utj
iL
Cel
adon Dl
sh

출수 우1
지 서 그리드
늪이 l7-2(
jCl
11 입지흰 S2~84c1
11
당지릉 4α:
1
11
내저원각 지릉 46ι
11
1
무게 7lj

인l
lf닥이 검(곽-뜰이간 평X|
의 소형 집시디 기측선이
사선으로 띈어지디기 끔에서 진을 이운 디 녹색이 샅찍 낌
도는 칭섹 의 유 익을 진l
쉰시유힌 후 l
ll닥 침 지띤 의 유륜 댄

아내JlhLU
ll
섞인 내화쿄빚음을 3균F
Ell받치구웠다 유띤 잔
체에 ‘
잉엘이 l
I[이l
l1인씨딘 가장자리에 내회토뜯 강진 덩
이리기 콤이 있 디

‘ -
「간? ‘
”’
?‘
*. . ,

I a A - /

r J끽느-- ↑ ν ;ι.-

g:
Ij[.
ν-
‘・‘
:k
;안
f뺑 * / - 、 I1
t!향 /・ ‘
I ‘

‘ 야i-! γ
1242

0
9|청자접시
흙I
효傑짧
Celadon Dl
sh

높 이 37~4OCl
n 입지릉 102-1
07cl
n
굽높 이 (
외)09(
내)04cm 굽지룹 58m1

무게 l
483
g

운두가 높은내저 곡떤의 소형 접시다,측사연은 사선으


로 띨어지며 저부는 굽폭이 넓은 다리굽이다-잡붙이 많은
거친 흙으로 제작되었다.어두운 녹씩의 유익:
을 시유힌 후
굽접지띤의 유를 닦아내고 백색 내화로 빚음을 4개 받쳐 구
웠디 안바닥에또 똥 일한 띤조받침 지국이 4군데 남있다
유떤 위로 굵은 사칠과 밍열.물 레흔이 보인다

1
0|청자접시
팎!
i
ZZ;
Etj
&
Cel
adon Dl
sh

높이 30-33cm 입지릎 1
07-1
0& m
굽높이 (
외)07
-(내)
0,2
cm,굽지릎 5rI
t
1
니l
xl원각지룹 35。1
1
무게 l
61%

기측선이 완만한 사선으로 올라오다기-선딘에서 밖으


로 벌어지는 소형 접시다 저부는 다리굽으로 굽폭이 넓다
집콸 이 많은 거친 흙으로 제작되었고.녹색을 띠는 유약이
시유되었다 군접지띤은 유플 닦이내어 노태되었으며 주변
에 모래가 붙어있다.접시의 안바픽에는 백색 내화로 빚음
받침 지국 。14군데 넘았다.유떤 위로 굵은 사질과 빙열 칠
정,풍레흔이 보인다


|
활j싫;
t
xlt
243

1
1|청지접 시
까6
강.Ft

Cel
adon Dl
sl1

높이 l8~5OC1
11 gl지릎 l
72-l
7%1
11
굽높이 (
외)05(L
ll)
0-i
on 콰 지침 5Xl
11
내저윈각 지릉 ‘
lttn1

부게 3
→S6
μ

내지띤이 편평히고 기측선이 시선으쿄 l


쉰이 지디가 꽁
에서 외센히는 집시디 안비닥에 두 좋 전 내측 히단에 힌
뜰의 음각 선을 필렸디 저부는 디리굽인U
|1
‘끔 안밖의 높이
기 디르게 꺾였디 。1
두운 호l
청색의 유익을 전떤 시유힌 후
ff
접지띤에 ii레섞인 똥l섹 내회토벚유윷 3균El
l받치 l
낀조
히였다 자화 상E
ll
기렐왼진하이 벌섹이좋지않다

1
21정지-
칠화초문매병

l

!

l“

4

21값l
J




!
Ce
티l

ac
di
ml
on1A
M4e
윈l
p
냐p



〕m
l
n
I1gVase
Wlt
l1Pl
antDesl gn
lnUndc,glazeIIOn-
bronr
npal
nted

높이 255-25S〈1
11입 지름 53-5l
CIi
1
급지등 9-
lO1
1

l
F거1lO
5kg

섣화 초운이 시문펀 칭자ul


l벙이다 l
낀구호1구안의 꺾인
이 분냉히고 이깨기 팽인히이 부거1풍심이 기웬 상단에 위
지히는 기형이디 동제는 폭을 판히띠 후1
이 내려오다가 이
넷부는L
애시 삼짝 외민힌디 서」
lL
는 인l
사닥엔을 깎아 속갚
으쿄 낀뜰있는데 끔폭이 일정지 않디 낀부에 쉰화 안료쿄
필팍있는 싣지형더l
의 초눈을 그려 넣있다 굽안바닥 풍잉
을 지1
외한 전변에 황길섹 유약이 띈댔고‘ul
픽접지l
낀에 원
은1
1Lg
|l
기 섞인 주황색 내화토넷은을 3군데 빔치 구있다
기띤위쿄사짙과 렐페기똘아간지팍이l
iL
인다
|244

1
3|분청시-
기인화연국문대접
*
상품沙}
!
싹l
EI
]
花迎행又大傑
Bunche。ngWar
eBowIWl
thSt
ampe
dDeS1
g1

높이 75-89cm‘입지룹 1
85~l
87cm
굽 높이 (
외” 9(내” &l
n 굽지름 6 l
cn1
무게 5
502
g

안바닥이 넓고 기측선이 둥필게 댈어지는 대접이다 구


언은 외반히며 저부는 다리굽이디.기띤에 연호l
운 ,연판문.
집딘 국화운 .니비문을 시문하였다 분양은 무늬 도장을 찍
고 백토를 마콘 후 긁어내는 인화기멤으로 표현히였다 회
청색의 유의t
을 전떤 시유하였다 저부
→쪽유떤의 지-
회-싱패
가 좋지 않아 광택이 없고 탁하다 군안바닥을 인위적으로
긁어낸 자국이 보인디‘

1
41백자발
l
견6값칩i
Wl
ute Porcel
aln Bow|

높이 95~9% n gl
지름 l
75-17&l
n

굽높이 (
외)13(
L||
)lo
。n 군지릉 73
Cl1
1
내저원각지픔 69c
m

무게 5
573
g

안바닥이 깊은 맥지믿이디-내저 증앙에 원각이 돌이기-


고.기측선은 사선으로 벨이지다기 끝에서 외반한다 끔은 익
심각형담으로 딘징히게 꺾였 다 회백색 유익을 전떤 시유한
후 바닥점지연의유를 닦아내고가는모래를받치구웠다 유
떤 일부가 기!
]}안에서 연기를 맞이 회색빚으로 띤했다
245 1

1
5|백자점시
|
1|
6값짜j
iL
l
Vl1l
tc POrel
aln Dl
s|1

높이 36-4o。n 잉지판 l
36-l
j8cm
답높 이 (
외)07(
Lll
)07cI
1L잡지릎 5Scm

l
뷰가|
2355
g

측시맨이 시선으로 셈이지는 l


꾀사진시디 떠l
토에 삼울
이 많고 회맥색의 쉰은 유익을 시유히있다 띤조받침으로
는 흙웰J
lf권은 l
A피l
륜 시~
용히있다 인l
ll
픽 증잉에도 모여|
r

활 덴쳐 표기l
어 구운 지곽이 풍골까|난았다
f

Rt아 ‘


장¥
?
、i
F
¥t쌀잉?
krr
- ‘1
r* !잔「
:zt

-
, ‘

-、

멀Wγ
--
‘t ・

1
6|백지접시
「l
찌 많깐
UVl
1ll
ePOlCel
aln Dl
sh

높이 34-3*m gl지륜 l
67-l
6‘*1
11
굽높이 (
외)l아 l
l)lk1
n‘굽시판 lb 1
내서원각 지릎 l
O(k1
11

부지l2
49S
g

운두가 닛은 맥자침시로 기측선이 시선으쿄 벌이지니


가 끔에서 외반한디 l
l|
닥온 역선각헝굽이디 유조는 넌}

한릎二?
「「 l
뚫혹듀
걷캘
→했훌톨 훌짧 r- i
회칭색을 l
니1i
l‘전l
긴시유 후 규진지맨이l기는 1
,LE
l1
룹 넨쳐
떤죠하였디 민둡λl
}가l
시교적 딘정히니 유l
낀위코 진꽉이 戀r률 F날뭘홉 顧활r
J
;L인다
l246

1
7|백자뚜껑
임磁蓋
VVhlt
ePorcel
alnLl
d

높 이 40-42cI
n 입지릎 1
26-127cm
굽높이 (
외)l3(내)09。n,굽지릉 57CI
11

무게 2
422
g

굽형EH의 손짐이기 딜린 백자뚜껑이다 손잡 이는 기고 ‘


繼→;
에 배해 높게 오목f
균형식으로 깎였다‘측사띤은 시-
선으로
내려오디가 끝에서 꺾여 짧게 내려온다 회백색 유익을 전
띤 시유한 후 손잡이 상단과 뚜껑 안l
사닥에 패토빚음을 넨
쳐 벤조하였디 유익이 붉어 흐른 지국 이 남았고 기떤 위로
집콸이 보인다.

1
8|
도기반구장경병 |
1
쩌%앓&口長짧뼈
Pot
teryB。t
tl
e

높이 236-244Cl
n.입X|
릅 52-5@ 1
1
굽지릉 84cr
n

무게 0%g

구언단이 낮고 아 렛럭이1돌 대기 돌이가는 반구장정탱


이다 어깨는 시선으로 길게 벨어지며 동i1
1는 지부로 깔수
콘 폭을 츄힌다 비덕 띤은 따로 띤들이 이어붙였는 E
|1일그
러져 편펑하지 않냐 이두운 회록섹 의 유약을 전떤 시유한
후 굵은 모례를 받쳐 구웠다 기연 위로 유기-빅락펀 무판 이
보이고.진부를증심으로 백탁 현상이생겼다 발견 당시 벙
9l
구에 니-
무띠게가 꽂혀 있었다.
247

1
9|도기사면편병
1
싸ja
4l
; l
니l1
ll
h1
1i
)뻐
Poner
yja!

잔존 높이 262-2
72cl
n 잉지 를90-9k1
11
굽 지릉 l
Of1
11

무게 17
kg

동i1
14띤을 눌러 띤든 부시유 도기병이다 픽이 씹고 어
께 기 사 선으쿄 넨이 지 l
rl 저부로 낌수꽉 폭을 쥬 히는 콩 처1

플 가졌디 구연은 민구형이있올 것으로 추정되나‘깨어져


정획힌 형태흘 일 수 없다 바닥은 평저이다

2
0|기대형도기
2
샤싸l
tl
1l
씨싸
Pott
erv LVare

높이 262~2
65Cl
n 입지등 1
2j~l
25〈I
11

무게OS
kg

용f
ii
플 알 수 %1
는 기대형도기다 증긴은 긴 원동행이
고 잉 선딘은 나팔처린 깎으로 벌어진다 시유되지 않았으
U1기띤 위로 불레기 궐이간 흔적이 있디
|248

〈도 연 1-1〉마도 2호선 외광 출수 도자 7|도 언 1

) 느늄;
Z \느
01정 자알 02칭자접시 03정자 음 ζ뺑 무문 접시

싫싫꺼 →擊 、? L노드」
04정지팔 각접 시 05정자뚜껑 06정자접시

t= 늘7/ ℃=』X 숨£f/


07정자 접시 08정자접 시 09칭자접시

특듀늘/
1
0 정자접 시 1
E
7/
1청자 접시 1
4백자 발

1
Om
249


도연 1
-2〉마도 2호선 외곽 출수 도자7|
도면 2

二듀F갖/ ζ뜨뜰 u
\낼 ?/ τ 1
1
5 백X업 시 1
6 백자접 시 17백자뚜 껑

18도 기반구 장경병 1


9도 기사 연펀 병 20 기대형 도기

5 1O
cm

1Oc
m

1
2정자칠화초문매병 1
3분정시기인화연국문대접
I 250

〈표〉 마도 2호선 외곽 출수 대표유물 이외 도자기 제원표

내저 굴지
높O l lcm) 입지를(cm) 굽높O l lcml 번조받침
원각
번호 유물영 름 굽형태 받침색 무게 lgl
지름
f흘 短 長 短 (cm) 外 內 (cm) 내l종류/수l 외{종류/수l

21 정자대접 7.8 7.5 17.1 16.8 0.8 0.4 6.5 다리굽 황백색 내모 4 내모 4 313.2

22 정지접시 4.0 3.8 11 .6 11 .3 0.7 0.3 5.3 다리굳 황백색 내모 3 149.2

23 정자접시 2.4 2.0 9.5 9.4 3.9 영저 황백색 내모 3 내모 3 87.2

24 백자발 10.3 9.5 17.2 17.0 6.5 0.9 0.6 7.2 오목굽 황백색 내모 5 656.2

25 백자대접 8.1 7.5 15.4 15.1 08 0.6 7.0 오목굽 황백색 내모 12 내모 12 554.1

26 백자대접 6.6 6.5 3.0 0.7 0.5 5.5 오목굽 황백색 내모 5 내모 5 148.9

27 백자접시 4.6 40 15.8 15.5 10.1 0.8 0.5 5.7 오목굽 모래 모래 269.0

28 백지접시 4.1 3.5 16.5 16.4 0.5 0.5 5.4 오목굽 모래 모래 269.9

29 백자접시 2.6 2.5 14 3 14.2 0.4 0.1 6.3 오목굽 '흥르lliJj"1j 내모 5 내모 6 145.3

30 백자접시 3.4 3.2 16.0 15.8 0.4 0.2 6.6 오목굽 황백색 내모 5 내모 5 189.8

31 백자접시 3.0 2.2 14.9 14.7 0.4 0.2 5.8 오목굽 황백색 내모 5 내모 5 158.1

32 백자접시 3.5 3.1 11 .1 11 .0 0.8 0.9 6.5 오목굽 모래 모래 206.0

33 도기호 9.5 9.2 11 .6 11 .5 12.6 펑저 0.7[kg)

34 도기호 30.1 29.9 10.6 10.5 12.1 펑저 2.6lkg)

21 정자대접 22 청자접시

23 청자접시 24 백자알
25l

II경T=~
,nt .

li ;
ιti
-‘ g --

25백자 대접 26 백자 대집

a i! Fi m ‘
lF IIf.f r aπ 1
l 1g ・ Il |
1 ‘t r I ’

-
-농 츠 ?
:rfF ←

κ露눠
췄→떻
27백자접 시 28 백자접 시

1
갖펀 건 댔 찮원
햇숙흰흉
/J 댈」 짧 ’
29백자접 시 30 백자접 시

갔편 짧평
‘「를i-
- - ggr
? 둔}tX
쓰’
흑i」t
::-
i」ix
1뭔 l・r


「?1
x~-i//

31백 지접 시 32 백X업 시
1252

33도 기호 34 도 기호
253

2.기외-

신종국

1
)유물현황

미1
E2호 선 출 수 기외류는 l
l두 X
112칸 풋 대구 멍 주 l
깐의 노 지에사 출수 되었 다 침토 플 l
j1닥에 깥고 그 위

에 기외편괴 소굉의 도기편‘그러고 똘을 깔아 노지괄 만블었디.노지에서 획인된 기와는 모두 펑기와쿄

임키와편이 l
62점‘수꺼외편 2
4침이디 암키외-
중 문잉이 있는 것이 l
O전.무푼양이 l
42점이며.수 키와는
모두 무문양이다 할수된 기외플 은 포두 피편 싱배이니 칩힘되 는 것이 까의 없어 본래 깨져있던 피편틀을

휠용힌 것으료 피악펀다


임카 와의 문잉은 어골문,시직 자문.직지분 .선문.복합문 등이 니타 니고 있고.니
{띤에는 포흔이 넘아

있으떠 분첼은 대지1


쿄 인쪽에서 l
l
}낌쪽으로 l
회의 외도질흔이 핀침된디.수키와는 띠구 수키외만 이 확인

된디 색조는 대」
;L
분 회흑색을 띠l
까.일부 황섹인 것도 있고 노지에서 재활용되띤서 낌게 그을린 것이 많

이l
Jl
인디-

무문 암키와 따펀(
1Oc
m미만) 무문 암카와 펀(
1O~2Oc
m)

흘‘
學‘협/
(뿔훌 i
4
훌灣흉護첼휠

L홈톨\
ιi떼
훌擾흩톨뿔 훌i뭘t
」\i!

훌/훌
『훌f
톨톰톨
톨 ‘
훌훌활
j피*
흩똑훌

무문 암카와 펀(
2Oc
m이상) 수 카와 펀
l254

2)출수 유물

(
1)무문 암키와

무문임키와의하단부로,외띤은 띠상으로 낌게그을렸다-외띤에는종빙향불손짚흔적이역력하며,


히단에서 l
Ocm 위쪽으로는 횡빙향으로 눌러 롤린 흔적이 있다.내띤도 외떤괴 같이 낌게 그을렸고.나1

지는 황색을 띤디.포흔이 선명한데 l×1
cm 내에 9~1
0개의 눈이 나타난다 내연 히단은 잃:
게 정연하았으

며,
측단띤쪽에는눈터l
흔이남아있고.협칠흔과낌은 디른포흔은확인되지않는디 기와분리플위한와
도짙은 안에서 밖으쿄 l
번 실시했고.두께의 빈 정도는 파띤이 나타니-
고 있다

출수위치 H3
그리드 l잔존길이 2
Ocm |잔존너비 1
6cm |두께 19c
m |하단부 두꺼|1
tm

(
2)어골문 암키와

어골문 임키 와 편이디 외띤의 반쪽에는 이골문이 정안히케 타날되었으나 나머지 부븐


「은문잉:
이 없다.

내면에는 포흔이 희미하고.시빙헝의 쏠린 흔적이 역력하디 힌쪽 측단l


뷰에 기외 분힐흔이 안에서 밖으로

획인 되나 지-
른 깊이기-
o3c
m정도료 일:
고 나머지는 피띤이디

출 수위 치 H3그 리드 | 잔존 길이 105cm |잔존 너비 1


4cm l두 꺼|19cm
255

(
3)어골문 암키와

어골문 암카와 편으로 외띤에는 비교적 굵은 어골문이 시문되었으나 윌손질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지워

지기도 했다.내연에는 l
cl
n내에 ll
~l2개의 눈이 있는 포흔이 나타니지만 외동 에서 분리한 후 쓸린 자국

이 역텍히디.측단띤에는 외도로 깥끔히까l


분할하여 파띤이 전혀 없으l
다‘외도칠 빙향은 일 수 없디-하딘

부 쪽에는 불에 그을 러 낌 게 떤한 부분 이 있다 .

F

擾뀔『
맹Iq

홈탤
했;
출수위치 G3그리드 |잔존길이 1
75cm |잔존 너비 1
81cm l두꺼|1
5cm

(
4)어골문 암키와

이골분 임키외의 싱딘-


부 편이다 외띤에는 선멍힌 어골문이 타닐되었으나1
.싱딘에서 5
cm까지는 분양

이 지워졌으며.부관 적으로 포흔괴 횡방향 윌손질 흔적이 확인된다 내면에는 1


cm당 1
2개 정도의 눈이

있는 고운 포흔이 선명하나 상단부쪽 2jc


m 기량은 희미히디 딘부쪽에는 뀔에 그을 려 낌거l벤힌 부분이

있디

團- &
짧뭘환
「-I


싫넨I
술灣 뚫

출수위치 H3그리드 |잔존길이 1
35cm |잔존너비 1
04m |두께 19~21
cm
|256

(
5)어골문 암키와

아골문 암키와 편이다,외띤에는 비교적 긁은 어골문이 시문되었으며,중간은 종방향 물손질에 의해

문양이지워진부분이있다.내띤에는1
cm당8개의눈이있는성근포흔이선영하다-
-

출수위치 H3
그리드 |잔존길이 1
3cm |잔존너비 1
05cm |두께 13
~15
cm

(
6)격자문 암키와

사격지문과 격지문 이 타날된 암키와 핀이다 내띤에는 1


cm딩 1
27H정도의 눈이 있는 포흔과.시절흔

이 선멍하디.

출수위치 H3그리드 |잔존길이 1


58cm |잔존너비 258cm |두께 2.
7cm |하단부 두께 o5
cm
257

(
7)선문 암키와

선문 임까외의 하단부 편이디‘외l


,
넌어1
는 너비 35~5
cm 정도의 딘위로 선문이 타닐되었으며 히단부

짝은 정띤되어 분양이 지워졌다 내l


1
[1
에는 l
CI
11당 ll
~l2
개 정도의 l
l1
세한 포흔이 비교적 질 남아있으나

히띤부 쪽판 않게 다룹는 과정에서 잎어졌디 측딘떤 에는 인에서 범으 쿄 l


회 와도 분헐흔이 니타 니펴 전

처1두끼1
의1/
3정도 깊이이마 니마지는 피띤이디

출수위치 H3그리드 |잔존길이 1


58cm |잔존너비 258
cm |두께 27
cm l하단부 두께 05
cm

(
8)복합문 암키와

선문 임끼외의 히딘 부 핀이디 외띤에는 너l


」135
~5c
ln정도의 딘위쿄 선분이 l
斗널되었으1
다.하단부쪽

은 정띤되어 분잉이 지워갔다 네띤에는 l


cn1당 l
l~l
2개 정도의 l
ll
새한 표흔이 l
ll
교적 설 넘이있으나 히

단부 쑥은 잃7l
l다듬는 괴정에서 없이졌디 측딴띤에는 인에샤 꺾으로 1
회 외도 분할흔이 나더나며 진지1

두꺼1
의l/
3정또 깊이 이l
니.나l
너지는 파 띤이다

출수위치 H3그리드 |잔존길이 9cm |잔존너비 8c


m |두꺼|
26cm
1258

(
9)복합문 암키와

격자문괴선분‘
중호문이복합된임키와의상딘부편이다.상단부와측단부로볼 때짐토판을2번에걸
쳐와통에돌려성형힌흔적이보인다.상단에서3c
m아래까지는물손질로문양이지워줬다 내띤에는
1
cm당8~9
개의눈이있는포흔이선영히다.측단부비로옆에는눈태흔이확인되며,외도짚은안에서밖
으로 이루어졌으띠.깊이는 0.
2~0.
4cm정도로 히단 부로 기띤서 깊어지는 잉:
상이다.

출수위치 H3
그리드 l잔존길이 1
55cm |잔존너비 1
t5c
m |두께 17
cm

(
10)무문 수키와

수키와의 히딘부로 인강부분 이 님이있 디 외띤은 종벙헝:


의 렐손질로 지워져 거의 무문회 되었으나 부

분적으문 희띠하게 격자문이 남이있다 내1


낀에는 1
cm 당 7개의 눈이 있는 포목흔이 있으며‘중간에는 종

빙향의한칠흔이선땅하디-
.측단면에는안에서밖으로와도흔이 있으띠.이래로내려기띤서와도질이깊
어지는 잉:
싱이다

출수위치 H3
그리드 l잔존길이 1
68cm |잔존 너비 1
35cm |두께 1
4cm
259

(
11)사 격자 문 수 키와

수카와의하단부로언깅부꽁이 남이있디 외l
션은종빙형의윌손설로 지워지거의듀L
분회되었으니부
관적으쿄 희l
Jl
히J|
1직지문이 님아있다 내띤이1
는lC
l1
1당 7개의 눈이 있는 표꼭훈이 있으U1
.증긴에는 종

l
잉형의합칠흔이선1
딩히다.측딘띤에는안에서꺾으로와또흔이있으띠‘이래쿄내려기→
띤샤와도절이깊
이지는 잉상 이다

출수위치 G3그리드 |잔존길이 1


7cm |잔존너비 9cm |두꺼|1
9cm
|260


도연 2
-1〉마도2호선 출수 기와탁본과 영 ・단면도 1

(
1)무문 암키와

(
2)어골문 암키와

o 5 1
Ocm

(
3)어골문 암키와
26l


도언 2-2
〉마도2호선 출수 기와탁본과 영 딘언도 2

〈 〕

(
4)어글문 잉카와

ζ ~=>

(
5)어글문 암키와

ε=二二그
‘ - “
“ -’e L ・

?
,‘
적?e
춰3?
상??
;tj
f?¥
・1
/; c
f
rμ,
fκ?
낭if
:;」;ι
꺼‘ζF?5
ι‘
μ-
:J ;-3;“5 ‘ -‘ ;‘、ι
tf i‘
- Pi
---,
i・r‘l
at 1er」:선 .f
?’-
: ““ 1
-
-
Jt:
피J폐 찮 양t
J딛?
상FJ;
: J/1
fF센앤
IFτζr:;f
ι;;
ff‘
’‘짧 ζ‘
r;k?나fi’
r 4? ;rt
t
- ι「 Fι--- - -‘,?? ν-? ・‘ t ,、
、, ;ι ” --
/ι -/“ -‘--‘- - ‘A ‘
;r←j - ‘- t ← i - J
?r「i i-s;.gf ---- !t2,-‘」
; ;J
----
,‘ ‘J 꺼;
--「,-rltι:
r;)(-‘j
ι r--‘-‘ari f’
「‘・r;-1二-
”-z-〉JJ:
!r→v;
fr;
4・
〈3:-’
‘r
;; 、
-
i;
:,i“--
-
,r;r?tJr
r
양;F;」J--;꺼;
t
r r , 상 시 2 ; ~

ξ,
μ .--
:‘”‘1-” ”
;?.
κ ・r-
”--
,--
J -
f
-;:;-‘ 「ι’JJ ι- 、.」 ‘t‘, -
-τ -; --
‘μ -- : i“ rz ; r rr- ----
-] J; -C :
/‘
;」‘
:;.’
” f‘
t’「,
,rt
-‘
ri,;-
-r.;
r・
. “-
-j’
「; ν‘
----
;--칸 r걱 ι, -
「l?
; 「;‘
--γ:‘
1t---:.‘
;; ;τ ‘
:i
i
、・ 、」- -:: - J‘ ’ fr
--t》・:
‘、 ‘
- ‘ - ’ff - -
:;* ・:- ,-ι
、- 1 ‘ ~ -
- :--
e :
” r ----: ←
、 - →- 」c: ..‘
-
- 、. - ’i-

-;않;
i-
‘-
1Oc
lrn

(
6)격자문 암키와
|262


도연 2
-3〉마도2호선 출수 기와탁몬과 영 단면도 3

ξ낭 j;

(
7)선문 암키와

도i i닙

(
8)복합문 암키와
263


도연 2-4〉마도2호선 출수 기와탁몬과 평 단연도 4

c==당

(
9)복합문 암카와

fN

-,~、

(
1이 무문 수키와

ζ二 〉

t
g순,
싼씬헐헬ι’

薰? 鎭 펴54
;;
텍쫓 헬쌀쏠눴;

1:
f얀&jf;;헐
델節 製摩
;옳듀
빼 쩌8
:;

ι-
셋싫;
J
μ횟첼、繼 ?
1
Ocm
도극
(
11)사격자문 수키와
|264

3.목간

。|
71등 |
口 。 i l

마도2호선발굴괴정에서꼭간괴죽칠로추정한짓은총58
침이디-하지만그종ll
점은고려시대화둡
표목깐의가장큰특정이라고할수 있는묶음홉이없으파 적외선칠영으료도북흔이보이지않는다 따
라서이글에서는목간임이확실한4
7점민에대한형태상특정과판독문을제시했다.
서숨은1
발굴일지-
순으로했디-유물변호는l
발팔일지-
-벨굴구역-
재질을적이구벨했는데,예를들어1
05
24-
F4-
목간은2
010년5
월24일F4구역에서 발팔된니-
무로 만든 목간이리는 의띠다 띤번은목간으로
획정한4
7점을발굴일지l
펄로정리한것이냐 히지만수중띈굴 죠시특성싱띨굴구역을알수 없는경우
도 있디.이 정우 띨굴 구액은 nl
성이라고 적시했디.

편:
F「문에서X는 결꽉‘()
는추정,디는펀독중이라는의미다 판독중인것은글자수대쿄口을적었
다 .는적외선촬영결과묵흔이있디는 기호지만 글지수를의미하는 것은이니디.크기는가로외새로
를적었고‘단위는c
m디 걱목간l
떨로앞‘뒷띤의사진괴적외선시진을치례로제시했다-
265

한 lllE껄웰 톱톨ll. 판독 校텀 口口口흰上長沙縣 |


퍼tl
j太콸石各入업{
五i|
-
크기 339c
m〉〈309c
m
해석 교위口口口 댁에 올림 장사한 전출 콩 한 섬 각 1
5밀을 담음.

마도I
호선괴미도2
호선에서빌끌권꼭간블의형태적특징은일띤적으쿄〉
〈꾀양의흠을정겨1
로머리외
땀콩을구웬힐수있으며.흡은E
ll
」쁨 꽉간윗부분에있디 히지민이복깐은특이하거l목낀가운데]

에〉〈
모양의꽉을폈디.홉에끈을묶어꽉긴을화물에때딜기위한것이므로.흡의위치기큰의미흘갓지
않는 다

전제적으료직시각헝형태쿄.상단괴하딘I
E두인위적으쿄디듬은흔적이있다.옥간양측띤에는튜L

적으쿄 수피가 남이 있디

북흔은잎띤에민있고총20
자디 호}
쉰 수취인의관직은교위쿄口口口는편독이진행중이지띤수취인
의성l
잉(4
싫)을 적이꽁은 것으로추정된디 빌송지는정시한(
현재 진리꽉도고창)
이띠‘호탬종류와수량
은콩한선인데.각각l
5딸씩을담았디-
|266

파 l l 판훨꿇 멸 l l 판독 x・f
몹郞中毛上 田出中米좋石各入엽f
五斗
크기 30 1m x3.
Ogn

해석 (
이극)
서낭중댁에올림.전출중미한섬.I
5말을담음.

마도2호선목간은〉
〈모양의홉을 경계로 머리와몸통으로구분되는 것이일반적인형태다.이때흠은
주로목간의윗부분에있다.하지만이죽잘은흠이목간아랫부분에있어,다른목간과는몸통과머리위
치가반대다 매우독특한경우다,하지만흠은끈을사용해목간을회물에매달기위해판것이기때문에
그 위치가정해져있는것은아니었다.윗밝은은 일부유실되었고,아랫부분은 결락이없다.상하부에각
각 대나무 마디가 하나씩 있다.

묵흔은앞변에만 있으며남아있는글자는 총 1
6자다 맨앞에는적외선촬영결과묵흔이남아있는것
을확인힐수 있다.이어서價와郞中이적혀있는다.I
3번목간에서나오는이극서낭중이라는 것을추정
할수 있다.수취인인이극서는마도2
호선의연대를추정할수 있는매우중요한사람인데.이는 1
3번목
간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을↓


1

267 1


흐ll・-ι낼필 낼흩품겔ll・- 판독 ・ El
tE大 ・ E 各入 .
339cmx2.
8cm
해석 . 전 출 콩 . 섭 .각 .을 담음 .


〈la양의 흠을 정겨l
로 U1
피와 몸J
콩으보 구분할 수 있다 l
껴리부분은 성단 오른쪽부 터홉까지 걸락되었

마 판콩은 직시각 형 형태았으나.종긴 부분{부터 오른쪽 일부기 땀어져 나갔다 잎변 은 군데군데 나무 겔

대쿄 갈딘
1-
졌으띠.뒷띤은 해양층에 의해 구 멍이 뚫려 있는 곳이 많다.
윤안으로도 나이태를 확띤하게 구분

혈 수 있 cl

묵서는 잎띤에띤 있으띠 육인으쿄는 田出과 入자만 보이지만.적외선 촬영 결과 몇 글자를 더 확인할

수 있었디.호넌한종류는 알 수 없지덴 l
I|
tl
j괴 관련된 것이미.건괴 찜入이 낚아 있어 화물의 수링:
괴-포장단

위기 적혀 있었디는 것을 알 수 있디
l268

|
04--- 빼 끊 훌Ill 판독 꺼|
1
;|
總|’
元 맺l
l
sE上 l
퍼出末趙 훌石 各入 ・ x
크기 31.
2m ×2.
8cm

해석 별장정원경댁에올림.전출머l
주한섬.각.을담음.(
이하결락)


〉〈’
묘양의 흠을 경계로 머리와 옴똥으로 나눌 수 있다.따도2
호선 목간의 일반적인 형태다.흠 아래 부

분에 대나무 띠디기 있디.아랫부분 은 칠락되있는데 대나무의 표떤으로부터 찢겨져 나갔다.

묵흔은 앞띤에만 있으며,대니무 마디 이래부터 적혀 있다.판독이 기능 한 글지는 총 1


5지다.띠지 막 부

분은 적외선 촬앙결과 묵서를 획인 했지만 편뜩은 되지 않는디;수취인은 별장 정원정이고,


호던 종류와 수

량은 메주 한 섬이다.디른 목간 용례를 보띤 판독이 되지 않는 북흔은 호}


불의 포장 단위일 기능 성이 크다
269

05ll ・ - 뿌 훌 훨I l l
판독 口口 三Fl日 口
크기 9.
8cm×22cm
해석 디口 삼 월 일 口

위.아래 관
L분 이 모두 걸락되어 진체적인 형태는 알 수 없다 대니-
무1까디 아래부터 달을 직었던 것 같

다‘처음 델꿀되았을 U
|1첫 먼찌1분흔괴 두 번째 글지위로 갯벨이 덮야 있었는 데 보존처리 과정에서 자연

스럽게 빗겨졌으띠 글지-


는 펜독이 진행 중이디-

획인 기능 한 북흔은 총 6x1
-
다 짓 번째와 두 l
낀째 글지는 현재 판독이 진행 중이다 세 번째 글지는 표자와

三지 뚜 기자 쿄 읽을 수 있디‘첫 번째 --
괴 두 번째 --
를 잇는 J이 지언스럽게 이어지고 있으띠 벨다른 획

이보이지는않아三지로 판독했디-三)
극|]이리는 날찌기적혀있어.잎두달자는긴지일기능성이있디

먼Ell・-ιι믿렐댐흩월I--- 판독 군 데 군 데 묵흔 있음
크기 279c
m〉〈2.
5cml
제원표 확인}
해석

위외 아리|1
묘두 낄실되이 진처|
적인 형E
ll
를 일 수 앞다.윗l
츄분에 대니무 마디기 하니-있디-발굽 딩시부

터 두 쪽으쿄 길피-
졌으1
니.표l
넌군데군데 4
꽉흔이 있으나 판독은 렐기능 하디


講탠
편l

1270

|
07lll!
꾀펴i
훌헐Ill 파 도
」 「 ff松 縣킨E京口 디校 운;
I信l
끄Ej
햇 口口 毛’
上 末짧 口 .
크기 11.
2cmx 38cm
해석 무송헌에서 개정에 있는 口口 교위똥정 유 口디 넥에 올림.떼주 口.

〉〈
모양의 흠을 경계로 머리와 몸동-
으로 구분힐 수 있다.복긴을 회물 에 매달았던 끈이 홉에 묶。1
진채

로 빌굴되었다 머리부분에는 대니무 미-


디가 히나 있다 몸통은 직시-
걱형 형태디-이래 부펀은 새 길래로

갈리-
졌으며‘표만 일부기 유실되었다

글지는 앞띤에만 있으 띠 적외선 촬앙으로 확인한 글지는 총 l


9자다.마지막에는 판독이 되지 않는 묵흔

이 있디.회물 의 발송지는 무송현(


현재 전라북도 고칭군)
이다.수쥐인은 개경에 있는 口口교위동정 유[
]

口디.회물종류는메주다 이히-
판독이진행중인글지는 회울의수링
t을적은것으로추정되띠,묵흔아래
글지는 대나무 수피가 벗겨지면서 떨어져 나기-
유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
*5
27l 1


용ll・-뭔 핍 표룰 화톨--- 판독 X숨上太좋石入엽f
五斗印 間三
234cmx 1.
6cm
해석 (
싱부 결락)댁에 올림.콩 한 섬 1
5말을 담음 한삼.

윗부분 이결꽉되어전체적인형태는알수없디.이래는일부만결락되었는데묵서기있는부분은모두
넘아 있디 .

명분은앞면에만있으띠.현재남아있는것은총1
2자디 수취인이적힌부분은유실되었고‘화물종류
는콩힌섬으모.1
5발씩포징했디 마지꾀閔三은빌송자의이룬이다.미도2
호선목긴에서발송자가問三
으로나오는것은8.
26.2
8번복간총3
침이다.이증26번과2
8번목간에적힌수취인은모두기낀룡이다.
또한마도2
호선목간증발송자인뽕祚인목간은 l
6,l
8.31
.32
번5점인데,수취인이모두大따I
l
俠로동일
히다 이El
한 점을 고 펴한디떤 8번 꼭간에서 유실되어 니바니지 않는 수취인은 기견룡일 기능 성이 크다.

써1

-
i・

t

쫓 / 1
{


/ 4
|272

I
i동l l E 펠짧 훌 l l 판독 싸O
뽕)材戶f
:1
El出.
크기 274cm〉
〈2.
1cm
해석 전(
응)재집에붙임.진출.
(이하판독불가)


〉〈’
모양의홈을정계로머리와홉통이구떨된디.몸통 l
/3지점에대나무 띠다기-
하나 있다.아래부분
에서 2c
m기량 오른쪽 일부기 파손되었으나 전체적인 형태는 유지하고 있다

영문은 앞띤에만있으며,헌재묵흔이획인되는것은총7자디.흡이 있는곳부터시작하여대나무마


디까지는묵흔이뚜렷한데반해마디이래는적외선촬영결과묵흔만확인될뿐펀독은되지않는다.회
물의수취인은진응재디 戶f
τj
라는표현이 나와 발송인과대등한관계이거나하위직에있는 인물로추정
된디.
호낼 종류와 수량은 일 수 없지만,Ul
出괴 관 련된 어떤 둡건이었을 것이다.

ji
・L
.‘
273

Rfll 맨파훌 멸 l 판독 f
ig*
잉땐 .口
크기 12.
8cmx2.
7cm
해석 무송 한 . 口


〈묘양의 흠을 정겨|
로 퍼리외 띔콩으료 규L
분된디.흙 바로 위에 대나무 따디기 히나 있디 맏 흥」
1
관은

일부민 넘아 있다 글지는 퍼리꽉더 l


ll
로 적혀 있으l
tl적외선 촬영 결과 펀독 가능힌 4개의 묵흔이 확인됐

디 처음의 두 끌지는 뚜렷하거li


꽃松이리고 적혀 있고 디-
음 긍지는 맨의 이래 획민 겨우 냥이 있다 縣괴-
Ri핏힌 곽 흔이 」
E이는 [
l1
-지 딱 닫자 시이 에는 떳 달지 기 있 었지 일 수 없고 l
까지막 달지는 꼭 흔은 또 랫히

디 펀독이 진행 증이디

,
.
ν 야f’‘

EEll・-밑씌밭혹훌 휠를-- - 판독 .
167cmx3,
1cm
해석 묵 흔은 있으 나 판독 불기

화깥에 꽉낀을 u
ll
딛기 위한 〉
〈포영의 홉을 폈다.이라1부분은 결락되었다.육안핀침괴 적외선 촬영칠

과 북흔이 획인되지민 J
F슨 긍자인지는 일 수 없디-

t
:

|274

|
12--- ml
!
R훌 훨를-- 판독 .毛 上 . 太 -石 入 .
크기 359c
mx21c
m
해석 .댁에 올림.
콩 한 섬..을 담음.

〉〈
모양의 흠을 경계로 머리와 몸통으로 구분된다 머리는 팔각형으로 디듬 었으 며 머리 부분에 대나무

마디가 히나 있다.
꽉간을 회물에 매딜았던 끈이 묶여져 있는 상태로 발굴됐다.형태상 결락은 전혀 없다
적외선 촬영 결괴-
북흔은 꽤 많이 확인되지만 현재 판독。1기능 한 글지는 총 6자다.택상 위 글자는 수

취인이 적혀 있었을 것이며 호}


궐 종류는 太 즉 콩이고 수링:
은 한 섬이다.入 자 다음에는 포징단 위기-적

혀 있었을 것이다.
275


조ll・- ι칩봐훌훌 휠Il-- 판독 李꼬 {
쩔郞 l
|l흰上 |
f|L
EX
크기 16.
3cmx 2.
2cm
해석 이극서 낭종 댁에 올림.진출 (
이하 칠릭)

〉〈
‘묘잉의 홉을 정2
l1
로 띠리와 렘콩 이 구띈된다.홉에는 초관류 로 민든 끈이 팎여자 있어 꼭긴의 시용

띤을 알 수 있디 흥 아례에 데나무 마디기 있다 4번째 글지 이래에 시선으로 눌린 자국이 있다 판통 아래

l
듀관-
은 겔럭되 었다

잎떤에만 땅문이 있으띠‘현재 획인힐 수 있는 글지는 총 8자다.육인으로는 네 밴째 달자끼지딴 뚜 렷

이 !이고,디섯 빈씨l글지팎비는 적외선 칠영으로만 펀독이 기능히디-


-수쥐인은 주j
Ef쩍인데.2빈 목간

의 수취인과같디 이극서는r
高麗짜」
。1
1니오는 인윌쿄.이유똘을 통해 1
l}
도2호선의 띤대콜추정할수
있게 되았디 이극서는 I
2l9년에는 밟짧I
짜김l
l
f핏였고.l
220년에는 Z
F쉰펀가 된다.옥간에서 이극서의 관

직이 따 |
|1으쿄 적히 있어 l2l9년보 다 잎 선 시 기El
는 것을 알 수 있디 또 힌 따도 2호선 꽉 긴에 자주 나오

는大삐l
멧흘함Pl
lJl참히띤대략적인시기를추정할수 있다 회렐종류는전줍과관련된것으로.유실되
이 샤 일 수 았다 ,


*월a
i

?



짱β ‘ 」’
‘--
jt
ι ’
주、
’-
!「‘

l
i짧h
f
l.
j
1

;
itr 1‘i

F4
rl?

!i

’》 lf・ 1 i

’ \A
|276

t
jEll맴 펄활훌l l 판독 口 毛 上몇 松 l
fl出太졸石 入 .
크기 354cm×2.
3cm

해석 디댁에올림.무송(
현)전출콩한섬.(
몇말을)담음.
.

회울에목간을매달기위한 〉〈
모양의흠을랐다,홈위의머리부분은둥글게다듬었으며,대나무마디
하나기있다.오른쪽흉아래부분이일부 떨어져나갔다.폼똥에서연한색으로보이는부분은발굴 당시
갯벌이 묻아 있었던부분으로,보존처리 괴정 에서 갯벌이 자연스럽게 떨어져 나갔다

육안관칠괴 적외선 철영 결괴-


총11
지의 묵서기-
확인되었으며,판독힐 수 없는 분흔이 아래 부분 에 더

있다 특이한 점은 숨上앞에 현재로서는 한 글지의 묵흔만 확 인되는데 원래 그런 것인지 아니띤 진혀 흔

적이 남아 있지 않은 것인지는 일 수 없다.다만 29번 복간과 마찬가지로 姓만 적은 경우도 있야 한 글자였

을 기능 성도 배제할 수 없다.발송지는 무송현인데,이 목간과 함께 1


5,2
4번 복간에서도 무송 다음 에 縣자

가 생략된 예흘 획인 할 수 있다 호떨 종류는 콩이고 수굉:


은 한 섬이다.포장 단위는 알 수 없다.
277

EE
Jll・- ιμ밀 훌 훌 l---l
판독 끊 松까I
E・
31.
9cmx37
cm
해석 무송한에서 (
아디에)있는 .

목간을회풀。
lll
l
|1
딜기 위해〉
〈또잉의홉을폈디 머리」
펀r은둥달거|디듬었으나군데군데디1
니무조각

이떨어져나갔으떠.
가운데애대나무1
l
l디기히나있다.
판통은히-
단왼짝일부가떨어져나갔고‘
약간의
균열이있으나진딴적으로형배를갖추고있다‘
적외선촬영시전에는꼭흔이많이니다나지딴판독이가능한달지는총3
자다 발송지인1
훗松이적혀
있는데l
4.2
4번꽉긴괴마찬가지로땀지흘 생략했디 在지이히는 판독되지않는디-
l278

1& - - - 끊 R 룰 쩨 - - -
판독 〈앞띤〉X柳快 .
크기 31.
6cm×4.
Ocm

뒷띤〉X次知果祚

해석 〈
앞떤〉X(
대)경유l

〈뒷띤〉치지 과조

윗띤은절펙되었다.허-
딘은다듬은흔적이뚜렷이남아있야유실부가 없는것으로보인다.그런네상
단결락부위형태기 1
8번꼭깐과거의흡시히다.모두끈을묶기위한흡을깊게피서 머리부분괴의 연결
부위기기늘어생긴현상이아닌기하고추측한다,목간은직사각형형태로디듬지않고나무모양그대로
를 싣러 자엔스 러운 S
자 곡선 형태다

묵흔은앞띤과뒷띤모두있지만,잎떤의묶흔증판독기능한글지는 두지뿐이다 첫번째글자는윗


부분이유싣되었지만.넘아있는획으로보아뼈l
자다.디음 글자는까자다 화물의수취인이大떼맺일기-
능성이크디-
.아래꼭흔은 판독은 되지않지만毛」
二이적혀있을것으로추정한다.나무옹이바로 위에는
묵흔이뚜렷히케 낭이있지만핀독이되지는않는다.
뒷띤은4
자로호
펄발송지로과조라는인물이다.

런데마도2호선목간에서차지과조가나타나는것은 이꼭간과 1
6.1
8.3l
,32,42번총5전으로.수취인
은 모두 大쩨l
俠라는 공똥침이 있디
279

|
17llI맺헬품 쩨ll 판독 f
훗松 縣 在 京3|
1
將 口. 石入 |
--
크기 34.
1cm×3.
1cm
해석 무송현에서 개경에 있는 별장 口・(
몇)섬.열 (
몇)말을 담음.


〈모양의흡을정치1
로머리외낌」강으쿄구분한수있다 흠과 머리부분은잘디음었으니.봉통부분에
는니부옹이가그대쿄넘아있다 흑화힌상으로 인히1
육인으로는글자룹거의볼수없으니적외선활영
사진을통해글자를 판독힐수있다
달자는잎띤에띤있으파 핀똑기능힌글지는 1
l자디-l
필송지는무송현이고수쥐인은 개정에 있는지1
!
;
|
양이디 ¢l
:
名은알수없디 화둡은종류는알수 없으띠다만열몇말을단위로포장했음을 알수있다.
|280

|
18lll않웰꿇필lll 판독 〈
앞펀〉X떼l
快毛上古벌채뻐 出[
|l
米졸’
石入給f
li
i|
-
크기 308cm× 5cm

〈뒷띤〉X次知찢:

해석 〈
잎면〉(
대)경유댁에올탬.고부군전출증미한성.l
5딸을담음.
〈뒷 띤〉치지 과조

싱단은결럭되어있으나.‘
〉〈‘
모양의흡을 폈던 흔적이남아있어.이를경제로판통괴 마리로구l
렐된
것을추정할수 있다 잎의 l
6l멘목간괴-
싱단의결락부위가형태상유시힌데.흠을 깊게파서머리와띔
동의 연결부위기가늘었기때문이이닌가생각힌다.위부분은완만한 S
자형굴곡이 있다.목간을제직
힐때니무 요양을 그대로실띤 것으효‘불리적인힘이가해져생긴것은아니다.뒷띤은나무 나이데기
때우 선영하다.

멍문은잎뒤모두있으미.잎핀은I
7자뒷띤은4
지총2l
자디 수취인은앞글지기결락되어있기는하
지만大떼임이획실히-
디.대섬목간의i
걷大%|
l
.1까도l
호선목간에서도 짧R
I따l
처럼성+
관직으로수취인을
표시하는경우기-있는데.마도2호선복간도관직+
성(大剛햇)또는성+
핀직(
奇짧g
깥)구조로수취인을적은
것이디수 있다.회물의델-
송지는고부꾼이!
꾀.호}
쉴종류와수링은중nl한섬으로l
5말을 딩았다
뒷띤에는회괄빌송을l
맡아힌괴조리는 이름이나온다.미도2
호선목간에서치지과조가나타니는 것은
총5
침(1
6,l
8,31
,32,
42번)
으로수취인이大떼l
핏로묘두동일하디-
j -


281

E
fllli캘휠홉 훨톨l-- 판독 ・ g
kj쩌;
IEF審’口 E
E上觀 - 裵 入 디口 I

307c
m×34cm
해석 (
고)칭한 사심口 댁에올림 누룩한꾸러미.口口근을담음


〈ll잉의흠을경제로l
머리와꽁
펑으쿄구분힐수있다 훈은목간을호
댄에n
H띨기위해펀것이다 퍼
E
1부분에데나무1
l
l디기히나있디 히딘에서약간깊리지기는했지띤.
상히-
단모두완형으로남아있다
북서는총 l
5지디.저1
일잣닫지는육
-인으코는보이지않으니-
적외선촬앙시진을꾀띤흐릿히Jl
l
나nl
-
분흔이있cl형더1
외니{
정-이거의유시힌20떤죽첼을통해묵흔은힘지로추정된디 이플통해회렐의넬‘
송지는고칭이리는것을알수있다 수취인은고창한시심口이디 시심디-
음긍자는펀꽉이진행증이디.
회울종류]
는누판이u1
.수랭은힌꾸리미디 꾸러미콜의미히는 짧자의→는생릭하고적었디‘뒤월이어
랫근을 담았다는 시섣이 적혀 있는 데.현재 두 달지는 판독증 이다,
1282

{
iil l 맏 웰활 훌 l l 판독 高i
빠!생事審 口;E觀一 뚫 入 口口 j
f
크기 255cmX2.
7cm
해석 고장헌사심口댁(
에올림)
.누룩한꾸러미.
口口을담음.

1
9번죽찰괴-
헝패와내용이7
벼 유시하디.〉
〈모양의홉에목간의시용법을알수있는끈이묶여진상
태로빌굴되었다.
합동-가운데부
분애패나무마디가있다 뒷띤에서대나무마디아래색이다르게나타
니는부분에갯벨이붙어있었으나보존처리과정에서자연스럽게딸어져나갔다
글지는 상단부티적었고‘앞띤에만있다.총 1
4자다.발송지는고창헌이고수취인은고칭한 시심디이
다 회물종류는누룩이고수량은한꾸러미인데,
뚫지의-
L는생략하고적었다.
총및근을담았다는것을
적었지만.숫자는 현재 펀독 중이다.

l i
--ii ‘-- -“ ‘ ’



컨;Fi J

:
츄?r
j i
f
쫓J ← “

;
쫓if ‘
;3 I:
i」*1π‘


Ji;
Lft

l

{.
‘」・
‘-t
283


fll・-ι않 희랴흩똘겔ll・- 판독 Xl
댐;
견E京郞將1
El
표林 口存-
EE上이l
米一石入十五斗
34 2cm〉
〈2.
6cm
해석 X헌에서개정에있는낭정동정임口촌댁에올림.중미한섭 1
5말을담-

싱단에서\과잉으로윗부분은 결꽉되었디.두편으로분리된 지l발꿀되었다 꽉간을호댄 에U


}1
달lI
}
{
줍을팎기위힌홉은왼쪽싱단에아주않거l파아져있는것을확인할수있디.앞띤에서는획인히-
기어럼
고뒷띤에서자세히보떤나타닌다 쉰F
통에는놓펀지국4개가있디
흑화현상으보인해육인으로는북흔을읽을수없지딴‘적외선촬영젤괴잎띤에만총2
0지기있디 싱딘
은결딱되어발송지는알수없으마 수취인은개경에있는닝징동정임口존이다 옥간4
7번과수취인이낌
디 회울종류는중l
〕1
고 수량븐한섬인데l
5띨을담았다.일반적으로회촬표꽉긴에서수량을적는한지는
갖춘X}
흘쓰는더1
.떨및옥간에서는그렇지않은정우기있디 이목간에서도숫자는-과 |죄로 적있디.

-

폐‘ j


i
11l

l
혔;

짧i
|284

|
22--- ul
l
톨홈흙Ill 판독 끊松縣(
표피 빗겨짐)口口1
司正李 (
作t섬)
毛上l
죄出末짧뚫石各入업↑
五i|
-
크기 220cm× 1.9cm

해석 무송(
현)에서口口동정이(
작균)댁에올림.전출메주한섬.1
5말을담음.


〈모잉:
의흠을 경2
ll
로퍼리외-굉
풍 으로구분할 수 있다 몸통-
이시작되는부분에 대니무 마디기히나
있디-
-하단의 오픈쪽 일부기 걸릭되었디-
.다|
나무 마디 아래 표피가 빗쳐진 부분이 있어 글자기-딸아저 나

갔으며,오른쪽 왼쪽애 약간씩의 갤락이 있다

글지는 잎띤에만 있으며,표피기 빗껴져알수 없는 부분을 제외히고 남아 있는 달자는총 2


3지다.하
딘부결락으로 인해斗자기-
일부없어졌으나핀독에어퍼움은없디.대나무 미디 이래에는 일부획만남아
있지만,縣자로보인다-회불의벨송지는무송헌이고수취인은口口동정이(
작균)
이다 표피가떨어져나
간부분에는‘
값京’
이쓰여있었을가능성이크다.회물의종류는전출떼주이고.수링은한섬인데l
5말을
딛있다

--

2S5

|
23---!
U!
옐표홉
Ill 판독 〈
앞띤〉重房都將校강文寫
크기 134때 ×1.
4cm

뒷띤〉毛上쉴盛悔封

해석 〈
앞떤〉중벙-
도장교 오문부

뒷띤〉댁에 올림 참기름을 단지에 채움-t
r

2
7번 죽찰괴 내용이니 형태 등이 거의 동일한 데 크기가 약간 크다.‘
〉〈‘
모양의 홉을 경제로 머리외 옴동-

으로 구문힐 수 있디-결릭된 부분은 없으니 }


!
앙자 증긴에 금이 기있디 히지만‘디l
니-무 섬유가 이어져 있

이 섣딘되지는 않있디 함께 밀팔 한 청자상김u


H벙 주등이에 미!
딜퍼 있었는데.제토괴정에서 묶은 줄은 사

리진 것으로 보인다 하지인.발굽괴정이 모두 영싱으로 펠영되어 있어 싱감l



ll
l영에 연결되어 있었음은 확
섣히 가1알 수 있디

잎띤과 뒷띤 l
E두 골지-
기 있으U1
.앞띤은 8
자.뒷l
션은 6자 총 l
4자디 수춰인은 증빙에 소속된 도정고[

요분부이고 회플 종류는 힌인데!


i
ii[
t
l즉침기룹이디 바지먹의}
:t
은 정확히무앗을의미히는지는일수
없디.」
:
:1
은ll
l
-도l
호선 꽉긴 증 i
겉R[
여그펀」(
땐!)
縣첼떠]이
j“에서도 정-
펴1기 있다 헝이리나 단지에 액지1
플담

온 후 펙織했다는 의미외 올린디는 의미 두 가지로 생끽할 수 있디 히지 만 이미 E


Et이라는 용이에서 올

린디는 의U1
기 들이기므 로 £1
은 괴微의 의l
ll또는 수갤일 기능 성이 있디 2
3만1
괴27띤 죽짤을 콩해 고려시

다|
에는 +
따jf
k을 쩍이리고 펀렀디는 시섣괴 U
ll
맹이 숲병뿐 이-
니파 팔괴 침기릉 등 먹거리를 딛는 용-
기였디

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어.고려시디!
또지기 얀구이1매우 획기적인 유월이디.
|286

년 ・ ・ u!
핸할 I ll 판독 f
훗松??
E京 싸 口 各入 太 f-
八 斗-
En
크기 27cm×2.
2cm

해석 무송(
한에서)개정에있는박口(
에보낸)
.콩을각각 l
8딸씩팀음.끝.


〈모잉:
의 홉을 정계로 머리와 판똥으로 구분할 수 있다.세 밴째 글자인 在자 옆이 결락되었으 띠.마지

딱 印자 오른쪽도 약간 결실부기 있디 하지민 따라와 폼통 모두 제 형배를 유지하고 있다.펀통 중간에 대

나무 마디기-
하나 있다

글자는 잎떤에만 있으며 총 l


3자다.발송지는 무송현으로 純지는 생랙:
했다.이점은 l
4번과 1
5번 목간
에서도 픔 적으로 나타니는 특징이다 수쥐인은 개경에 있는 빅마 .이 유불은 이제끼지 말굽된 목간과

는 디른 분장 구조를 가지고 있어 독특하다 즉 디른 목긴은 수취인 다음에 택상 (


또는 택)
과 호부(
또는 호)

등이 나타나고,보통 호댄 의 수량이 나온 다음에 各入이 적혀 있다 그런데 여기에서는 수취인의 이름.씀

入,회플 종류로 콩이 적혀 있다 그리고 l


8말을 딛있음 을 적이 놓았다.다른 용례기 없이 단순 실수인지 또

디-
른 의미기 있는 것인지는 알 수 없디-회뜰 표리는 U}
도2호선 목간의 성직을 생각하면 최대힌 간릭히까1

적기 위해 일부러 생략한 것 일수도 있디-


,따지막에는 문장 종결사로 印을 적었디

‘ -
t 1

쫓 j

t


l
-


-; if- -
287

단E------I!ιιg학굉E꽃il------ 판독 |
劉 E싸표 . 씀 入 .
249cm〉
〈3.
7cm
해석 대정박정(
댁에올립).각각-
・(흘)담음.


〈묘앙의홉을 경제로 퍼리와검」
동-으로구분힐수있다‘띠라는둥글거1디듬은흔적이있지만증긴종
긴니무조각이넬이져니갔다.판똥은두조각으로니눠진싱태쿄발굽되었디 달을쓰기위해잎떤은평
평하게디뜸었지딴‘4
F
F통은 직사각형 l
;
L양으쿄다등지는않있다 믿으로 내펴갈수록두꺼워져하단이점
치 넓어진다 이래 부분은 결락이 있는 것으쿄 보인디

목긴-표띤의 흑회현상으로 인해 육인으보는 필지플 펀꽉힐 수 없지만 적외선 할앙 결괴-6


자를 판독할

수있었으띠‘풍긴중간팍흔이있디.글지는앞띤에만있다.수취인은다l
정박정이디‘화플의종류외수량
은 일 수 없고 디만 일 l
ll띤큼 씩을 도!았다는 의 띠의 -
씀入 ‘
민 획 인할 수 있다
| 288

|
26lll!
Ul
뀔i빡펀Ill 판독 〈앞띤〉奇쫓能毛上떼臨-紅入二피-

크기 19 3cm× 2.
Ocm


뒷띤〉五口使者閔三
해석 〈잎띤〉기 진룡 댁에 올림.알젓 한 항아리.2
말을 담음 口

〈뒷 띤〉오 口 시-
자 한심-

〉〈
모양의 흡을 경제로 머리와 폼동으로 구분힐 수 있디 글을 적기 위해 윗띤은 펑평하게 다듬 었지딴.

길라져나간직은기씨 등은잘라내기만히고 정띤하게디듬지는않았다.앞띤에는수피도일부냥이있다.


목간의 흑화현상으로 인해 육안으로 글지를 보기는 쉽지 않지만,적외선 촬영 사진에는 매우 또렷하

게 보인다 앞띤에는 l
3자,뒷띤에는 6
자총 1
9자기 적혀 있다 수쥐인은 기 진룡이고.화뀔종류는 알짓이

디.힌헝아리에2말을담았다.앞띤마지믹글지는 북흔이비교적뚜렷한데판독증이다.
뒷띤의 첫 번째 글자는 五자고.두 번째 글지는 묵흔은 매우 뚜핏히-
지만 아직까지 판독 중이다.짜춰

는 수취인에게 회울 을 보내는 일을 딩딩 한 시럼 인데.閔三이라는 이름만 적혀 있다 따도2


호선 목간에서

발송자가閒三으로니오는것은8,2
6,28번목간총3침이다.이종8번은앞부분이결락되어수취인을알
수 없지만.2
6번괴-
28빈 꽉간에 적힌 수취인은 모두 기진룡이다-목간 벌송인 중 짧祚 기 적힌 목간이 5

이 있는데 수쥐인이 모두 大떼l
俠인 점과 동일히다
289

텅--맺맺활캘 l・ 판독 〈
앞면〉훨房都}
|
양校앓文힘’
크기 142
cm〉
〈1.
6cm
〈뒷면〉毛上해짧 盛橋封

해석 〈
앞면〉중방 도장교 오문부

〈뒷면〉댁에 올림.좋을 꿀을 딘지에 채용-封.


〈.EL
양의 흥을 경제로 따리와 퓨「봉으묘 구분할 수 있다 따리 싱단을 AEL
양으료 디듀 이 l
까치 핏봉오

리낌다 발꿀과정을첼영힌영상을확인히띤 힘찌1말균힌청자음걱U


}l
맹에n
ll
달러있었던것으띄끈은저1
토과정에서 시라진 것으로 꾀인다
앞띤괴 뒷띤모두글자기-있고.잎떤8지뒷만7자총 1
5자다.수쥐인은중빙도정고[오분부고.회뜰
종류는챔짧로좋은꿀을의미한다‘!
까지믹의封은23번복깐에샤섣l
성했듯이]
가微또는수섣일기능성이
있다 2
3띤 꼭긴과 마찬기자 쿄 고러시디1
에는 떼멍을 傳이파고 펀 렀으니-낀기륜이니 필 등 먹거파를 댄는

데도 시용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게 되었디-


- - - - - - - - - -

|290

l
ia- - l
U!
뻐뀔 I l 판독 〈
앞띤〉츰꿇龍毛上떼臨-t
J;
入二i|
-디
크기 207cmx22cm

〈뒷띤〉五口使者附三
해석 〈
잎면〉기견룡 댁에 올림.일-
젓 힌 헝아리.2밀을 담음.

〈뒷띤〉오 디 사지 힌 심


〉〈‘
모잉의홉을경계로머리와띔통으로구별된다.머리는A모양으로디듬었디.
흠은 깊지않고,앞떤
보다는뒷띤을 더깊7l
l랐다.봄통-중간부분이절단된채발굴랬다.이래 부분의명문이적힌부분은결락
되지않있지만.나무파편이군데군데떨어지니간흔적이있다.또힌뒷면은니-
무나이태기획연히다.
L
성문은앞뒷띤모두있으며.잎떤 l
3자뒷면6
지총 1
9지다.내용상으로는앞의26번꼭간과완전히동
일하다‘수취인은좀꿇號으로・
성+관직’
을적은 것이다.호댈 종류는에廳인데,생선알로 만든젓갈이라
고 추정할 수 있다.한 헝아리에 2
두를 딩았다 마지딱 글자는 판독 중이다.

뒷띤 첫 번째 달자는 五자이고.두 1
친째 글자는 묵흔은 매우 뚜렷하지만 현재로서는 무슨 글자인지는

일수 없다.使춰|
폈三은발송자로8번‘2
6번꼭간괴동일히다.8번똑간은잎이결락되어수취인을 정확
히게 알 수 없지만,26
번과 복간과 28변은 수취인과 딸송인이 동일하다 시자 는 기견룡괴-개인적인 관계

를 맺고 있는 인물로 보이는데,잎의 五口는 무엇을 의l


〕l
히는 지 알 수 없디.
29l

냄 ll 뽀렐활 I . 판독 〈앞 띤〉똥 씬 !
댄;
킨E京덴E
E|l
lf|
1末없 좋・
石l各 入r
t}令피|
-
크기 304cm×21
cm
〈뒷띤〉f
핏춰金j
l

해석 〈
앞띤〉무송현에서 개정에 있는 한 댁.전출 u
11
주 힌 섬 각 20
딸을 담음.

〈뒷떤〉사자 김순

위아퍼l모두 유실펀 부분이 없는 완형의 꼭간이디.꼭간을 화함을 n


11
띨기 위해 피→
는 홉은 없었던 것으

로보인다 l
/3지점에서‘
〔‘
모양의깔럭부분이있디 기운데이1대니부띠고1
가히나있디 대니l
fL
를빈으쿄
지든 후 표1
씬부 티 달을 적기 시직 했다

팍서는 매우 또랫히거1닝이 있는E


ll
-잎띤 l
8지 뒷띤 4지-
총22자디-효l
불의 l
밀송지는 무송현이고 수취

인은 기l
정이|있는!
꾀某디,회렐종류는진줍떼주로수량은한섬이고.2
0띨을담았디 뒷맨에는호l
룹의발
송 지인 시 지 김순이 적혀 있다

이복낀은수취인을적는빙탬이l
매우독특한사례다.
배인선북긴을포함해서마도l
호선과2
호선복간
의수취인은일낀적으쿄 성l
성+관직(
또는핀직+
성l성)
.성+관직(
또는관직+성)
.핀직등으로 표현뭔디 또
는 태안선의핫j
k처린이름딴적허있는 경우도있다 하지민3l
먼꽉간처템¢K
Il
f적혀있는 경우는 유일
l
히디 꽉낀에성민적어도누구인지를알수 있디는것으로.따도2호선의성격을피익하는데시시점을 딘
x1
주는 유깥이다

L
|292

|
3Olll빌댄웰 폼lll 판독 디 송 이으
τt
rτ= λA디
크기 31.
9cmx3 5cm
해석

〉〈
모양의흠을경제로 머리와봄통으로구분할수있다.상단과하딘모두-자로반듯히-
게디듬었디.
룹동윗부분 에‘
〕.
모양의얄은결락부기있으며‘이래부분에는대나무U1
-
디기하나있디 대니무 인쪽띤에
일부 묵서가 있지민 펀독은 되지 않는디-
-


293 1

l
31--- 뼈R함훤Ill 판독 〈
앞띤〉大때l
맺EEt古j
찰뼈田出大할죄入업↑
五i|
-
크기 354an×36。n


뒷 띤〉次%]
果祚
해석 〈
앞딴〉대정 유 댁에 올림 고부군 전촬 콩 1
셉,1
5띨을 담음-

〈뒷띤〉치-
지 과조


〉〈’
5L양의홉을경2
ll
Ef나l
피외펌콩으로구벨띈다.디른목간애비해I
!
{리부
관 이큰편이다‘몽」
강은이-
래쿄 내려길수걷二죠긍씩않아지지딴거의직시각형에가낌디.이랫J
펀본에서는 헤치이1
서이띤델건에놓
린흔적이있다 꽉깐옆만은둥근형E
|1
인더1
.지l
거되지않은수펴기-
일부남아있디-
글지-
는잎띤파뒷넨에5L
두있으l
Il
.잎딴I
7자뒷띤4지-
총2l
자디←수취인은大%l
l俠로유씨성을가진
디|
정직위에있는시램이다.호l
불종류는 전출大라고적혀있는데.이는太와같은의l
]년동
L을 의미한다.
수땅은한 섬이고,1
5빌을딘았다.뒷띤에는차지괴조이나타나는데‘1
6.l
8.3
2‘4
2떤괴동일한깃으쿄
회물의l
밀송자디-이경우수취인은E
|1
경유쿄꾀두풍일하디-

펼J
:
!
r
|294

|
32-
-- 避 룰꽤ll 판독 〈앞띤〉大聊1
햇毛上핀훨젠!
Fl
tU티米꿇石入쇄f
끄피|
-
크기 36.
4cm×33c
m

뒷면〉次f[
l
뽕祚

해석 〈앞띤〉대정 유 댁에 올템.고부군 진출 백띠 l
성.l
5말을 답음
〈뒷 띤〉치-
지 괴조


〉〈:
모잉:
의홉을경21
1
로머리외-
펀똥으로구벨된디.오른쪽흠L
은거의‘
〕’
모양에가낌다.꼼동의l
/3지점
에서둘로칠단된채로받굴되었다 잎띤은평펑하게다음었는데띈으로내려길수록그띤이좁이-
져히단
에이르러서는거의세모꼴에기낌다 꼭서가적힌곳은결락되지않았지만하단에서나무기-
일부뜯져나
간 것을 획인할 수 있다.

글자는잎띤괴뒷띤이1모두 있으며,잎면 1
8지-뒷띤4
자료총22
자다.수취인은大따I
l
俠.즉유씨성을
기진대경 직위에있는시램이디-
-회물종류와수량은고부군에있는대정유의토지에서거둬들인백미1
석으로 포징단위는1
5두였다.뒷띤에는차지과조기적혀있는데l
6,l
8,31
,42번괴길은 것으로회물의
빌송자디-이둘꽉간은수취인도대정유로모두동일히다
295


호ll・- 헤넬월롤 갚를--- 판독 앉松 j
샘짜I
;・
34.
7cm〉〈3.
1cm
해석 무송헌에서(
개경에)있는.


〈묘잉의훈을정계보!
너리외관
평으묘구분힐수있디 머리는싱딘오른쪽을시선으로디듬었으나왼
쪽은시끽헝헝패다.
흙이때우크게피여져있디-니]
듀는진기지를잘리내고다룹은흔적이있디 뒷띤에
는니무옹이기하나있디.
전체적으쿄직시각헝형태지민기운데부
권운 약깐넓은형태디-
흑화한싱으르인히1
육인으뢰는긍지-
기보이지않지만 적외선칠-
영결과편독가능힌필자4
자와o
1퍼
개의꽉흔이보인다 l
f
L송한은회렐의l
필송지디-까
I;
지디음에는京자로추징된디‘
아래부분에묵흔이군
데군 데 있 지띤 펀독 이 되지 않는 디-

:
췄↓t
1
짧i
i
I
i
뱀,

!내
때:
;
?
1
f
팩1
|296

|
34lll펙 흩웰ll 판독 묵흔이 있으나 판독 불가
크기 318m x3.1m1

해석

성딘은 유실되었으나히단은기공한흔적이넘이-있는것으로보아유실부가없는것으로추정된다 나
무지i
1l
모C8
t을살E
l직시-
걱헝으포디듬었으며,
힌쪽띤에는나무니아태가선팽히게보인디-
-나이데가확
실히게보이는띤에서는증긴부분에길리-
진흔적이있지만칠단되지는않았디-
적외선뀔영칠괴-
한쪽띤
에서 꼭서가 니타니-
지만 판독 룹기다.
297

녀톤llIi
헤빠홉웰-- 판독 F
뤘상l
짜낀E
1 京”l
l
將同正잦l
[]해戶付 I
견米一7
5쯤入+八斗
크기 35c
m×2.
7cm
해석 무송현에서개정에있는띨장동정윤口정짐에보냄 백미한섭.각l
8밀을담음,


〈모양의홉을정겨
|로미퍼외걷
똥부분으로규
Ll펼힐수있ι
1.퍼리는필각형형데다 몽콩은직사각형
이지만 하딘오른쪽은시-
선으쿄깎이있디-
.수증에서물리적인힘을받이각L
분적으로눌린흔적이있다
!
성분은앞1
낀에만있으l
서총23
지다.1
발송지는 지금의진과북도고창군에 있딘꽃암땐이고 수추1
인은
개정에있는 1
칠정콩정윤口정인E
ll戶꺼리-
는표헌이 있는 것으로객이-벨송지외 대등히거나히위 져1
층에
있는시띔이디-호까한종류는벡l
ll
고수량은힌섣‘l
8띨을딘았디 n
l도2
호선꼭간에서한섬플렛띨씩딩
있다논표한이있으1
건E1
년L분l
5밀을 적혀있는데.24번고13
5씬꼭간에서는 l
8두파고나온디.꽉간의저-
괴i
|의 핀2
11
에대한띤구릎 진행할펀요기있다 또한l
!1
도2호선꽉간에서는회플의수굉:
을니l
il
낼띠l

로갖춘자촬시용하고있지!
간 이목간처럼일반숫지를 시용히고 있는정우도있디

e
?
T행
/

|.
훌 ;
j

讓1
환l
a
F


3?


-
53
찮할


j

라i
1298

l
36lll!
i
5i
뀔꿇 혈Ill
판독 북흔은 있으나 판독 불기
크기 384cm×1.
5cm

해석

윗부분의일부흘제외히고는세로로길게갈라져1
/3정도만남아있는채로발굴되었다.목간의전체
적인형태는알수 없다.묵흔은 대니-
무마디룹정계로아랫부분에많이남아있는데,획만획인할수있어
판옥은 되지 않는다

i’
299

년fll・-E파률 표 흘뀔 ll・- 판독 X 田出 l
|그
米 릎石
1
90c
m〉〈2.
7cm
해석 X진할 증 nl힌 섬 (
이하 판독 불 기)

〉〈
]묘잉:
의흡을 정겨1
로l사리와땀콩으로구분힐수있다 머리」
편 은\형태쿄유실되있고.몫통은 결
럭부 위가 임는 것으쿄 l
fL
인디
적외선촬앙결괴펀독기능한달자는5
지기넘이-
있디.죽짤의정우네니무표띤의큐딘층으쿄인해백
이 스l
!
}들지 옷히고 심개 띈어져 나가는 특성이 있는데 이 즉침 E
E힌 그떻다 띠리 서 꽉흔은 진혀 보이지

?
4-
지만 l
잉운이 적히 있었을 것이디 긍자는 유섣띈 다l
테 부분부터 적혀 있었을 것으쿄 보인디 회플 종류

f
E진촬증!
」1
파는것을획인할수있고,수핑:
은힌-
성이었다 분흔이없이전」
;L
분。l
l
는포징단위기적혀있
。l A 까 。 Fl l :l이 디
/λ Ei /、 -→- ‘- ‘
→ L」


Ft
?;-
R

F
/J
잖-
¥흉
-J간

7
쫓:흙;
흉r

F
$
웰 --:e
c
;

- l

‘r

‘--‘「 * /
|300

!
38--- i
i
l댈품 깜Ill 판독 〈앞띤〉入米九斗
크기 13.
3cmx22cm


뒷면〉I
|
3米六斗

해석 〈앞띤〉쌀 9딸을 넣음


뒷떤〉중ul6말

이X
ll
끼지 수종에서 빌굴된 고 려목간괴는 형태기-
매우 다르다.상딘은 “
「”꼬양으로,히단은 V모양으

로 뾰족히게 다띔 은 것이다.

I
잉문은잎띤괴-
뒷띤모두있는데 총8지El
-
-수취인이니-
빌송인.발송지등은모두나티나지않고,디-

쌀9
두,증nl6
두를 넣었디-
는 내용만 있디-
.‘
入‘은 /\
으로 볼 여지도 있지민 入으로 판독했다 그런데.잎변
入米j
L피오1
-뒷띤 中米六jl
-
기-무엇을 의n1
히는지는 알 수가 없다-향후 띤구가 필요힌 부분이다.
301

닫flllE필흩필홉 Ill 판독 入 米九 피|
12cI
n〉〈2.
8cm
해석 썰 9빌을 넣음 ,

싱딘은・
/ll
잉으쿄 디듬있디 하단은일부기-결설되어정획한 형E
}l
는일수없다 3
8벤목간괴 따찬
기지쿄 윗」
편 은 결팍펀 깃이 아니리 일부테 디듬었디

냉문은앞띤에만있으띠.총4
지다 수취인이나발송인 발송지등은5L
두니페나지않고 디-
만쌀9두
훈 넣았디는 내용인 있디 38
빈괴39l
친꽉긴은헝E
}1
기ll
l
l우특이히셔 야떤식으쿄시용했을지 정획히알
수 없지딴‘싱딘이나 하딘이 뾰족한 것으로 보아 이딘기에 꽂이샤 시용했디고 생각힌다
|302

단Rll ・-밑 U률 힘 홉캘 ll・- 판독 1


그흐L이 -
=t
r」

λA口
cm× cmx cm

해석

4
핀으로나눠진채발꿀되었다.군데군데묵흔이있어꼭긴이라는짓은 알수 있지만,묵흔도일부획
만 남아 있고,피손이 심해 헝패상 특징이나 내용은 일 수 없다-

떻훌
k쫓i
L
훌i|

‘←
303

Jill펀 괜흩꽤ll
1 판독 킨E京光 |
止펀 |
-|Jl
}H・
크기 273cn×2.
7cm
해석 개경에 있는 굉세 댁에 올템.전출..


〈모양의흠을경제로따리와띔통으로구분힐수있디 따리는띠로묘잉을디듬지않아시각형형태다
다만오른쪽잎부기띨어져나갔다 싱단겔싣여부는확정할수없다 l
펀목간에서설냉했듯이마도2
호선
꽉긴에서 핑의 위치기 다잉힌 데‘이 목긴 역시 가운데에 훈이 있었던 것이라고 힐 수도 있기 때분이다 봄콩

오콘짝은 갤릭된듀L
분이많지만묵서기저낀부분은질남아있다 3
편으코니눠진치1
발팔되었디
북서는육인관찰괴적외선촬앙결괴뀔이일치한디 1
바자」
;L
El히단의북사시이는적외선활영시진에
서도꾀이지않는디.꽉서는총판꼭이기능한글지-
기8지고 아래에펀독이되지않는북서가 l
~2자보인
다 수취인은기1
정에있는굉샤1
라고적혀있고.毛上이라는표현이바로뒤에 있디.수증빌꿀고려복간에
서수춰인디음에는毛上(
또는毛’
)과戶꺼(
또는戶)
이나와발송인과수취인의상히관계흘보여준다.그런
데이목간에서수취인이성멍이이닌光바라는이름만나오는데텍싱의용례흘생각하띤서매우독특하
다.
회울종뤼는 진출피핀련된뭘푼일것으로추정되는데,뒤의글지가 보이지않아종류는알수없디
|304

단E
;lllI핍파뀔 품톨l--
판독 〈
앞떤〉大때|
l
俠毛上파헨웹|
조l
出太졸石入샘↑
五斗
378cm×4.
Ocm
〈뒷띤〉次*u・祚

해석 〈앞띤〉대경 유 댁에 올펌.고부군 전출 콩 한 섬.1


5말을 답음

〈뒷띤〉차지 (
과)조

상단이일부유실되어정확하게는알수없지만 인공적으로 디듬은흔적이있어‘


〉〈’
모양의흡을폈을
것이다 머리」
펀은 유실되고일부민님아있다 몽동운 직시각형형태로하단부오른쪽일부기-
결락되었
다.히지딴땅분이적혀있는부분은유실되지않았다.
폼통뒷띤에는나무옹이가하나있다.
냉문은잎떤과뒷먼에모두 있디 앞띤은 l
7자.뒷연은 판독이불기능한묵서를포함해서총4
지다 화
불의 수취인은 대경 유로 회물종류는 고부군 진출 콩이다.수량은 한 성이고 1
5말을 담았다.뒷면의 세 벤

째글자는묵흔민-남아 있지만.수취인과지역1
정,그리고차지외마지믹글자인祚가 있어l
6.1
8.3l
.32
번 목간괴 마찬가지로 자지 과조로 추정할 수 있다.

l

L

305

딘EJ
ll・-ι바딛랴따늘한를---
판독 옮松 縣在 |
・x
11,
4cm〉
〈2.
Ocm
해석 무송현에서 (
개경에)있는 (
이하 걸묘R

아 랫 부 분 이 유실 펀 드}
간편 이다 〉〈EL양의 판을 정 계보 l
!!피와 봉똥으 포 구 분한 수 있디 u1리 싱 딘 표

른쪽은 \포잉인데‘결릭된 것은 이 니고 원래부녁 그떻게 디듬은 것이디 흡二


은 깊고 크게 피여자 있디.핑
통은 직시각형 형테디 앞띤은 글을 적기 위해 평펑하게 다듬었지딴.뒷띤은 둥「근 니무 형E
}l
가 그대토 남

아 있디

묵서는 총 5
자로‘마지막 글자는 획 하니-
띤 남아 있지딴 핑지로 추정된디 호l
팔 의 벨송지는 무송현이

다‘이히 내용은 유실되어 일 수 없디

!
|306

|
μ・ll
빠&g
뿔 뿔동웹l 판독 좋웹(
奇)숨上 .
크기 37Ocmx2.
3cm

해석 전룡(
기)댁에올림.
.

회물 에 목간을 배달기 위한 흠을 펀 흔적은 없다.상단 또는 히단에 결락부위가 있었을 기능 성도 있지


만.현재 냥이 있는 상태로만 본디띤 왼형이라고 핀단하고 있디 호}
물 에 어떻게 배달았는 지 일 수 없다.

묵서는 앞띤에만 있으띠 판독이 가능 한 글지는 5


자다.뚫龍 다음글자는 일부 획만 남아 있지만 奇로 추

정했다 팩상 다음 글지들 은 분흔은 뚜렷히카1


남이 있지만 현재로써는 판독이 되지 않는다.


307

|
45l 톨 l
!
i!
l
밑 현 Il 판독 좀 쩔딩龍;
E上 口 l
1
1米 훨건 入 X
크기 208cmx1
.2cm
해석 기견룡 넥에 올탬 口중미 한 성.답음 (
이히-
걸락)


〈노잉의홉을정제로Ul
피외농콩으쿄듀L
분할수있다.죽깔과l
」1
진기지로Uf
fE2호선복깐도잎띤괴-

띤구분이일정히지가않디 능근 니무플민으로길래앞뒷띤을모두 평평히게디쉰거니혹은띤으로가흔
띤」
;L
터 달을 적이나간 태안선괴-
마도 l
호선 꽉긴과 딸리.마도2
호선은 디%댄 -
형패기 니터 닌디 특히 이 꼭

간의 정우풍근니핫가지를빈으로 자흔뒤뒷띤의수피를제거히고둥근형태콸 그다l


로남기고글을적야
나갔디.띠라서 죽찰의 잎 뒷l
간구띈i
ll
-마찬기지쿄.이 꽉간 약시 글이 처음 적힌 띤을 잎띤으로 구분했디

북서는 잎띤에빈-님이-
있으며 총 l
1지기 난이 있디-호틴윤의 수취인은 기전황이디-
.26.28‘4
4번 복간피
동일하디 회뀔 종류는 l
|1
米 다 디만 l
|
1지-
앞에 힌 글지-
기 더 있어 확정헐 수는 임디 수핑:
은 힌 섬이고.결

락된 부분에는 표징 수굉-
이 직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디 뒷연에는 북흔이 없디-
-앞띤 또는 뒷띤 결꽉부

분에기견룡이수추l
인으포니티나는디-
른꽉낀괴 n1
-
찬기지도혹시|
쩌三이라는벨송지기-
적혀있었융기능
성이 크ι|

/%,

I‘.
il
i1,!・
tg i
*
흘#뺀
활 fi


i’
핵-

r ‘
r
,
,4

1
.윤래‘
혈r
;‘ I
1 ・


t
iι ’‘

ii

!
, -
4

;’
F.τ
a

f£
↓J
rf힌ι
~
←*
t

t j
j
-l.

l
l308

|
4&llI l
l
l앨i
i
활펠ll
판독 딩1
j
將劇元9
en
毛上f
풋松縣 I
또l
出cf
I
米 口石各入 口口斗
크기 37.
Ocm×3.
Ocm

해석 별장정원정넥어l
올림.무송현진출중미口섭.각口디말을담음.

〉〈
모양의 흠을 경계로 떠리와 몽롱으로 구분힐 수 있다.북서가 적혀 있는 위치로 보이-
싱하단 결락부

가전히없는완형의죽찰이다 첫번째와두 번째글자사이에대니무마다기-있으며,이-


랫부분에도하나
더 있디

묵흔은 잎띤에만있으띠총2
6자다.다만마I
米와石자시-
이는적외선촬영시진에도북흔이전혀보이
지않은깨끗한상태지만.마도2호선목간내용의일반적인구조를생각히떤 죄의수링:
의적혀있었을것
으로추정해서 띠판독글자로넘겨놓았다.또한 이점은대나무의특정상기능한추론이라고생각힌다
즉대나무는니무와는 달리표띤을 덮고 있는큐티클층이있어먹이대니무 표피가스며들지못한상태포
남아있다가.갯벨이떨어져나가띤서글씨가같이없이지는경우기-
있다 이정우에해딩히는 것으로추
정된디 수취인은떨장정원정인데,4먼목간괴동일하다 회물의발송지는무송현이다.회울종류는종Ul
다 디만 포정단 위플 니-
티내 는 숫지는 아직까지 펀독이 진행 중이다.

.
309 1

다듀ll 빠 헬 품웰 l l 판독 f
훗松!
땐1?
E京§|
l
}|
용1
꾀iE林 口存펀 上 I
|1
.
크기 cm× cmx cm

해석 무송현에서개경에있는낭징-
동정임口존댁에올띔.중(
띠)・


〈모잉:
의홉을정치1
로머피외쉰
F」ξ으로구분힐수있다 위이E
l
|모두결럭부위기없는왼형의유원이
다‘잎띤은펑펑히지l
j뒷띤은둥
단 형E
l다.
이는니무를빈으쿄길파인쪽에골을쓰고뒷띤은표피띤빗
겨내고[
L1
-
쿄디-
듬지않았디는것을알E
-1
준디 뒷띤애는3
군데에걸치나무옹이가그대로넘아있디‘
긍지는앞띤애민있으l
!
}.판꽉기능한긍지는 총 l
5지고 이래표판흔이남아있다 호
」쉴F
의발송지는무
송현이고.
수쥐인은개경에있는닝장동정임口존으쿄2
l벤녹간괴동일하디 회펀종류-
와수굉:
이적혀있
는듀나관은현재북흔민획인할수 있다 디민판꽉기능한l
까지꾀팔자|
1I마음달지는 米일가능성이크다.
|3lO

4 그소 o디
口 「 TT딛i

1
)정동유물
7 }
i5:등 |
C〉c:〉→;
-l

(
1)정동숱가락

ul
도2호선에서는총8점의청동숨기-
락이출수되었다.술부의형네는모두유엽형이다.벙단부의형태
는술목부분에서술지-
루종간끼-
지기늘어지디-
디-시술총부분이넓어지는능형의형태와술총이제비꼬리
처럼길라지는떤u
l형의형태로구분할수있다 「
싱부의측떤형태는대부분 맹단부기-
연띠형의형태를가
진숨가텍-
은심한‘
g・자를 이루nl
‘능형의헝더l
를가진숭기팍은완민한 .
”.자를 이룬디.

Q)연미형 정동숨가락

D구액에서출수된칭동숨가럭으로벙단부는 두길래의제바꼬리모잉인연미정식으토미무리했다.술
부의2
/3이상이결실되어그형패를알수 없다.병부의측띤형테는완만힌‘
α‘지를 이루띠땅단부에이
른디-
.벙단부는술총에핏U
l쳐한번딘이둥그스룹하게져서닐개플이루며숨총에서두갈래로갚라진
다 디른 얀ul
형 숨가력에 비해 장식이 단순하다.

|길이1
69c
m |술부길이36cm |병부길이1
33cm |두께 (
술목)
13(
술총)
1Omr
n |중랑88g l

@ 연미형 정동숨가락

H4
-l2
구역에서줍수된유염형의숨부를지닌칭동순 가릭으로병단부는 두깔래의제비꼬리모양인엔
U1
장식으로 마무리했다.술부 알부기-겔실되었으니-거의완형을 이룬다.병부의측띤형태는완만한‘
∞’
지를 이루며벙단부에이른디 다른얀1
]l
형의숨기릭과 띨리술총부분의징식이단순회되어‘
V’자상으로
떨어지여 끝을 풍글게 미무 리 했디.

|길이 2
17cm l술부길이7tm l병부길이 1
46cm |두께(
술부)
03(
술목)
1o(
술층)
07mm l중랑 1
6Og l
311

@ 능형 청동숨 가락

E구역에서 춘수된 유암헝의 숨l


fL
를 지닌 완형의 창똥순 기릭 으표 t
영부-는 일직선싱을 이루다기-
탱단부

EE낌수꽉 점점 l
펀어지Dl편핑히게띠무리했다 l
성부의측핀펑패는일직선싱을 이후디기 탱단부에 이르
E1익:
하거1휘이진다 병」
fL
의길이기디픈순기럭에t
ll
헤짧이숨부외거의 ll
을이푸l
녀벙딘부가끝으토
강수록넓게퍼져시디리필모양을이룬다

|길이 1
55cm |술부길이62
cm |영부길이93cm |두께 (
술부)
12(
술목)
2J(
술층)
OEmm |중랑 1
7.
5g l

@ 능헝 정동숨가락

l
2구액에서출수된유엠형의원 L
를 지닌청동숨기딱으쿄 벙부-는l
갱단부끼지일직선싱으로뻗으띠능
형으로마무리했다 l
킹부의측띤헝E
ll
는 심힌‘
∞‘지료.영부에서부터치츰 곡떤을취히띠오르다손짐이
끝에서 l
l
}1
를 나}
및어 심한 곡1
낀을 형성히-
니.그 선은 유려히다 .


i톨붙룰

|길이 2
33cm |술부길이83c
m |병부길이 1
5Cc
m l두께 (
술부U6(
술목)
07(
술층)
15mm |중랑 88g l

@ 능형 정동숨가락

]
3구역에서출수펀유염형의술부를지닌정동숭기릭으포밝L
는l성
딘부까지일직선상으로뻗으며능
형으EL미-
부리했다.술부일부가갤섣되었으니-거의왼형을이룬디.벙부의측띤형E
}1
는왼넨힌・
α‘지를
이루띠l
청단부에이른다 r
성부의끊딘에4조의죽섣띠디기새겨져있다

|길이 1
97c
m |술부길이 62
cm |병부길이 1
35cm |두께(
술부)
03(
술목)
14(
술층)
09mm |중랑 1
13g|
|3I2

@ 능 형 정동숨 가 락

H4-
8구역에서출수된유엽형의술부를지난왼형의칭동순가릭으로병부는 일직선상을이루다가벙단
걱L
로낌커
:콕점점떨아지펴편평히-
거l마우리했다.l
앙부의측펀형태는왼만한‘
∞‘지플 이루며l
헝딘부에이
른다-벙부의폭이거의일정히며 끔딘은편평하게미무리했다

!길이1
89cm |술부길이64cm |병부길이 1
25cm |두께 (
술부)
05(
술목)
10(
술총)
12mm |중랑 1
27gl

@ 정동숨가락

H41
3구역에서줍수된유엽형의숨부를지닌청동순기락으로,벙부의8
.6c
m띤이남이-
있다.술부 일
부기결실되었으니거의왼형을이룬다 l
영부의대부분이갤설펴어형데를알수없디-
-

|길이 1
59cm |술부길이73
cm |병부길이86
cm |두께 (
술부)
06(
술목)
24(
술층)
24mm l중랑 1
60g |

@ 정동숨가락

]
9-5
구역에서출수된유엽형의술부를 지닌칭동숨기락으로.뱅부기-결실되어술꽉민남아있디 술부
일부가 결실되있으니 숲부의 헝데를 짐직힐 수 있디

|길이 72
cm |두께 (
술목)
05mm |중랑 46g |
313

(
2)청동용기

칭콩순가락괴한!
끼1정똥량 기4칩도함께출수되었다.칭팡유물의수링이적은 것으로보아회뀔품이
이닌 선원들이 시용히있덴 것으로 꼬인디‘

(
D정동접시

H4구익에서춘수된내저띤이넓고운두는 낮으[
니측시띤이내저이l
서깎이시선으쿄짧게올라기는청
똥칩시이다 저부의금속심이거의닙아있지않으며,니머지부분은꽉식회합펀이형제흘이루고있어형
데는추정힐수있다 바닥은평저이l
바.구얀부 내띤에l
조의음각선을깊게시문했디

|길이 1
45cm |높이 29c
m |두께 17mm |중랑 9
31g|

@ 정동발

G5
구역에서출수된측시떤이바닥에서깎여둥글게사선으로직럼히-
는청동l
발이디‘동처l
와저부일부
기쉰설되었지만넘아있는」
펀 을콩히1헝E
ll
를추정힐수있다 남아있는지부바닥에못자리토보이는구
멍이 촌지l
하는E
ll
-콰이 있었띤 것으로 보인디

|길이 1
45cm |높이 71
cm l두께 1
3mm |중랑 652
g |
l3l4

@ 정동그릇 굽펀

G5
구역에서출수된측시띤이‘
八’자상으로벌어지는청동그릇의굽으로추정된다.윤르는낮으며접지
띤을둥글게말아외딴히는 형태다.내저띤의바닥일부가결실되었으며,앙쪽끝단에4
개의구멍이보이
는데,이는굽과동체를연결시가는4개의못자리로보인다,

|길이 8Ocm l높0|


16cm |두꺼|
11mm 1중량 307
g 1

@ 정동그릇

G5
구익에서출수된동체기결실되어구연부만남은청동그릇이디 구연단은직램하며올라오는것으
로 추정되며‘끝단은 둥글게 처리했다.

|길이 1
45cm |두께 12
mm |중랑 336g |
315


도연 1
〉 마도2호선 출수 정동숨가락 펑 단언도

E> 」각
잖좀느 」」EK

C
D연 미형 정동숨 가락 @ 언미형 정동숨가락

때;순 τ
그 홍짧鍵끈
풍擊호 『

@ 능 헝 정동숨 가럭 @ 능 형 정동숨 가 락

묘〉 「「 α=> D

@ 능형 정동숨가락 @ 능형 정동숨가락

훨똥〉 I



혈감>
@ 정동 숨가 락 @ 정동숨 가락

0 5 1
Ocm
13l6


도면 2〉 마E깅호선 출수 정동용기 평 단연도

/
/
/
/

\ | /
/
/
/
/

/
J

G)정동 접시 @ 정동 빌

\ 다늑늑I 짧t

@ 정동그 릇 굽 편 @ 정동그릇

도 iii
317

2) 철제 유물

이경로

마도2호선에서는 총 11점의 철제 유물이 출수 되었다. 이 중 8점은 철제 솥이며 3점은 철제 솥뚜껑이


다. 철제 솥 8점 중 2점은 도기 및 자기류등이 고착되어 복합유물의 형태를 띠고있다.

① 철제솥 뚜껑
B_e2에서 출수된 철제 솥뚜껑이다. 윗면은 원형을 이루며, 중앙에 손잡이가 있다. 표면에 부식화합물

이 고착되어 있지만 완형을 이룬다.

I 마도2호선 B_e2 I 높이 7.0cm I 폭 26.0cm I 두께 0.7cm I

② 철제 솥

B*d5에서 출수된 철제 삼족솥이다. 저부는 완만한 곡선형으로 제작되었으며. 구연부로 을라 갈수록 내


반된다. 전은 대부분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다리는 모두 부식되어 흔적만 관찰된다. 유물 표면은 갯벌에
의하여 고착된 상태이다.

I 마도2호선 B_d5 I 높이 21.0cm | 폭 39.0cm | 두께 1.3cm |


|3l8

@ 철제 솥

H5에서 출수된 철제 삼족솥이다.지부는 둥글고 구 연부 아래에 진이 제작되었다.구연에서 전까지 음

각선이 관찰되며,다리는 3개 모두 일부 결실된 싱 패이디.

|마5강호선 H5 1높이 1
6Ocm |폭 39Ocm |두께 0.
4cm

@ 절제 솥뚜껑

H5에서 출수된 칠저1솥뚜껑이다.윗면은 원형을 이루며,중앙에 손잡이가 있디 중심부와 바 깥쪽 사이

에 3졸의 음각선이 관칠된 다.표띤의 부식화합룹이 고칙되 어 있지민 완형을 이룬다.

|마도2호선 H5 |높이 85cm |폭 2


64cm |두께 03cm
3l9

@ 절제 솥

j
3-l
에서출수된칠제삼족순이다 저부에솥뚜껑이부직된싱태로출수되었디.저부는완만힌곡선형
으로X|
1
작되었으!
다.진은대부분형패를 깃추고있디 디리는3
개증2개는일부결실되었으미 l
개는결실
되어흔적띤이관찰된다.솥뚜껑은왼형을이루띠중심부에손잡이흔적이관잘된다

|마도2호선 J
3-1|높이 21
5cm 1폭 31Oc
m l두께 15c
m

@ 절제 솥

]
4-l
에서출수된첼지l
심-즉솥이디 저부에솥뚜껑이부착된상E
l로출수되었디 저부는왼만한곡선헝
을이루l
니.진은대부분형E
ll
를갖추고있다 구얀부와전시이에4줍의음각선이관찰되1
Il
.디리는3개모
두일부깥실펀싱E
|1
디‘솥뚜껑은완형을이루1
까중심부에슨까」이7l핀칠된디

|마5깅호선 J
4-1 |높이 1
65cm l폭 2
73c
m |두께 04
cm
|320

@ 절제 솥

H5
-1에서출수된칠X
l
1솥이디.저부는완만한곡선형으로제작되었으며,구연부로올라갈수록폭이
넓어진디.전은 대부분 형태룰 갖추고 있으떠,구얀부와 진 사이에 음각선이 핀칠 된디.절Xl
l솥의 비닥 띤

에는 암석이 갯벌과 함께 고착되어 있다.

|마도2호선 H←1 |높이 349c


m |폭 4
6Oc
m |두께 O&m l

@ 절제 솥

]
5-2에서출수된철제삼족솥이디-
.지부는오꼭한 형태를나타내며.전은 대부분형패를갖추고있다.
구띤부와전시-
이에음각된3
줍의선이핀침도l
파 다리는3개중2개는 일부결실되었다.솥뚜껑은완형을
이루며 중심부에손잡이 흔적이 관찰된다.


‘--l틀
|마도2호선 H5
-2 |높이 295cm |폭 3
38cm |두께 0.
3cm |
32l

@ 절제 솥

H5
-lO
에서 출수된 칠제 상족솥이다.저부-는 등글고 구떤부 이례에 진이 제직되었다 디리 는 3개 모두

결실되었고.저부에 유기룹이 갯벌괴 함께 고척되어 있디

1마도2호선 H5 1
0 |높이 1
58cm l폭 3
35cm |두께 11
cm |

@ 절제 솥

F5
-6에서 출수펀 젤지1심족솥이디-
.뚜 기l
의 솥의 구안부기 포개지 출토 되았으며‘솥의 지」
뷰에 솥뚜껑

이 부착되어 출수되었디 두 개의 섣새 솥 모두 지듀L


는 왼만한 곡선형으쿄 지l
직되었으띠.동처1
부에 음각된

선이 핀칠된디 전은 네부분 형E
ll
를 갓추고 있으l
까.디리는 일부 부식 퍼있디‘유물 표띤은 갯벨에 의하。1

고착펀 싱E
|1
이디.

-

|마도2호선 F
5-6 |높이 2
88cm |폭 299cm |두께 0.
5cm l
|322

@ 칠제 솥뚜껑

F
a-4
에서 출수된 칠제 솥뚜쩡이다.윗면이 원형을 이루며.중앙에 손잡이는 획인이 되지 않는다.표떤

에부식화합붙이고착되어있지민왼형을이룬다 상태이디.

|마도2호선 닮-4 |높0|


57cm |폭 2
41cm |두께 25c
m
323

5.석제유물

박선영

1
)숫돌
이임으로 제작힌 숫돌되 선싱에샤 선원들이 시용 했을 것으로 추정된디,윗띤은 중간부의 폭이 제일 크

고%볕 으보갚수꽉좁이지는형태이띠측띤은반월형이디 윗띤은질다듬고매끄랩까l갈았으며나머지띤


은 기공히지 않은 듯 필곡이 있고 거질디 특히 u
l|
끄럼게 디듬 어진 윗띤은 중간부가 질록히케 따띨되어 사

용하던 숫룹임을 짐작헐 수 있다

|길이 1
6Cm |폭 49Cr
n |높이 33Cm |

轉 쫓흙좋
f
펴좋쩔
蠻훨뚫뀔

O 1Ocn
n
|324

2)뱃돌
화강암을 기공하여저1
작한뱃돌로윗돌괴-
아랫돌의풍회정도가디르지만지름이비슷하며유물출수상
황으로 보아 하나의 멧돌입을 추정힐 수 있다.윗꼴은 길 것을 넣는 짜인 구멍이 있으며 윗면을 오목하게 기

공하았다-
.이-
랫돌은윗면이평평하띠정중앙에바닥까지뚫린구멍이있다.이구멍에일부목질이남아있
는것으로 보이나무심을 끼워윗돌피 아랫돌의중심을맞줬을 것으로추정된다.윗돌은풍화가진행되어
일부결실되었으띠균열과박락이심하디 이랫돌은패각류가조긍붙어있을뿐상태가양호하다

|윗돌 지름 3
25mm,높이 97
mm |아랫돌 지름 330mm,
높이 97
mm |


K
] L‘

2Oc
m
325

3)맞돌

I
l~l
2그피드,선치l죄현중앙부에l
l1
로 인접해서출수된딪펀이디;이부근에대한시팔조시괴정에서디
수의탓뀔이출수되이이딪-
둡을2
호선과직침적으로연관시키기는힘들다 핑1
건은장빙형에기깝지만좌우
측딘의형패기샤모싱이히기띠
1분에헝E
l적정형성은J
f
L이지않는디→증잉에서죄측으로치우친지점에E
샤피l
편 민익:
한홉을내이맛좋쿄팎기편히도콕띤든원 L
흠。1l
개씩형성되어있다 두씨1
가비교적잃:

판석형이다1
‘내외떤f
iL
푸평평히다 자연석을약간만기공히여및돌료시용한것으로추정된다

|길0|1

#擬
$cm |너비 31
cm |두께 8cm |

췄i*
|
|326

6.목제 ・죽제 ・초본류 유물

차미영 ・윤용희

1
)목제 유물

(
1)목제 잔탁

잔을놓는잔죄-
盧座)
를잔모양으로만든목제진닥이다.잔좌의 밑부분에진을 끼워사용하도록고안
되었다.잔와의아랫부분이풀려있고득냄 과이어지며,접시형폼체의구띤부인탁구연부는 위로휘아
올리가는접시형태로연결되어있디-
.버드나무과시-
시나무속의나무를기공하이만들었는데,
진좌의바
깥띤은니무를깎을 때사용한룹페의칼날흔적이OO5
cm간격으로 남아있다.잔좌의인쪽잔을끼워시-
용하는 부분은 0.
3cm,02c
m,OI
cm간격으로조각도와같은도구를시용하여마무리한것을확인할수
있다.탁굽의높이는 l7c
m이고,진좌구연의지름은83
cm,탁구연부의지름은 l
4Oc
ln이다.잔좌,탁구
연부가일부유실되었으나전체적인형태는알수있다.또한닥굽의바닥면이마모된것으로보아사용흔
적을획인할수있었으며광학헌미정관찰을통해약3번질을한흔적을확인하였다.

꿇륙
0
누댐f 5 1
Om
327 1

(
2)자귀자루

침나J
fL
Jl
1상수리니무속나무의줍기부외기지부의특정을이용히。1딴든 1
복식(
-木;
t)의“-
1”자헝지
후디 E
|1
과(슨핍1
3
)는윗띤을평펑하게디듬었으!
I
f딘띤은직시걱형의형E
11
로깔끔히7
1l가공되있고 소형의
칠저1
도구플장착힐수있도꽉딴들었디 지귀자루에는도구흘장칙했을띠!
눌린것으로추정되는흔적이
2
곳에서관침-
펀다 E
|1
부의뒤쪽은두드렌괴깥은충격으쿄목짚이손상되있으며.장착각도는82
。이디‘벙
부의표띤에서기공흔적이관칠되지않는것으로꾀아수피를빗치낸후그디l
로시용하았으펴단딴은원
힘이 다

1
0 2Oon

(
3)목제품(
십자홈)

[
1
l또2
호선우한외핀-
4단외곽에서룹수된복제퓨이다 얀륜이작은나무의가지플수룹중심으로하。
l
l
/4등분한후가공하여민든판저1
관으로한쑥 끔은기공흔적이멍확히지딴.반대편이유싣되어진체적인
형E
ll
외크기는일수없으미,
현재는83
cm만진존한디 심지흠폭제푼의표띤에는 도구를이용힌새김방
식으로 XX ‘
의부호기표기되이있으며이것은숫자와핀련된부효일것으료추정된디-

覆옳


)。
l
l
랬t
5om
|328

(
4)나무뚜 껑

따또2
호선에서는목재로딴들어진뚜껑총3점이출수되었다.

$
!
t’

@ 나무뚜 껑 1

도기호뚜껑으로소니무류를길이벙헝의수직으로가공하。
l만들있디.
뚜껑의단띤은시다리꼴로다
듬었으며단이없이자얀스럽게기공히였다.
따라서뚜껑이도기호에단딘하게밀착되지않고도기호구
연에뚜껑을얹이서시용한것으로추정된다 뚜껑의윗면은평펑하고원형으로지룬은8
.5~87
cm이고,
뚜껑의 비닥띤도 평펑하따 원헝으쿄 3.
5~ 4.
Ocn
]이디

@ 나무뚜껑 2

종심이볼록하고윗띤과이랫띤은 핑평한형태의뚜껑으로소나무류를길이빙향의수직으로가공하여
만든것이다.뚜껑의중심부 지콤이2.
5cm이므로구연의지름이2.
5cm미만인벙의뚜껑으로 추정되며
뚜껑의 높이는 l
.4c
m이디.
329

@ 나무뚜 껑 3

도기nl
l
i성의 뚜껑으쿄 U
ll
1영예 정-
칙된 상E
ll
EE출수되었다 뚜껑은 원기둥 형태쿄 옹이가 5
가1관찰되는

것으로보아진가지기짧은소니무류의줍기또는기지를 기공하。1딴둘었다 앞의뚜껑2기l


는꼭재의길
이방향에 평행히까l가공히。l띤든 것이비하。1이뚜껑은 길이방향으료가공했다.높이는55
m1이고도
기뚜껑의윗떤과아렛떤시이어ll
가l의단을두었다.이단을기준으쿄하아뚜껑의l
/3은미l
땅위로올라오
고.2
/3은때l
영인으보뜰어가서뚜껑이U
l}
벙인으쿄들어기지 않고용기에질띨착될수있도록했디-
-
|330

(
5)통형잔 포장목

마도2호선에서출수된통형잔을 포장했던포장목으로일부가결실되었으나 비교적길이가긴포징목


4
침이출수되었다.
찍 모두소나무류룹길이뱅향으로길게가공하여통형잔의포장에용이하도록민들
었으며포장복의딘띤은대부분 직사각형이다-포장목중2점에는 머리부분에-
-
〉”의흠이있는데이것은
포장을용이하게하기위해만든것으료추정된다 포장목의표변에는”
-”
형으로도자기가눌린지-
국이있
어.포정했딘 똥형잔의 높이를 일 수 있디.

@ 포장목 1

머리 부분에 3”
모양의 홉이 있다,소나무류를 기공 하여 딴들었으펴 꼬리부분 이 결실되어 전체적인 길

이는알수없지만,머리부분 에서꼬리부분으료감수록폭이줄어드는형태로포장목이부러져 l
점2편이
마.포장복은길이8
85c
m,폭3.
4cl
n,두께0.
5cm이다.

@ 포장목 2

표띤에는 도자기기-
눌렀던임훈이국부적으로남이있다.연속적으로남아있는부분은 약83c
m간격
이디-
.또한포장목의머리부분에는“
〉・‘
모양의흠이있디 포장꽉의꼬리부분이결실되어전체적인길이는
알수 없고.머리부분과꼬리부
관 의폭이비슷하다 포장목은길이88
cm.폭2Rm.
두께07
cm이다

@ 포장목 3

!
]1
리부분이결실되이전체적인형태는 알수 없지민포장목의꼬리부분은기공이잘 되었고잔촌히는
포장목의폭괴두께가 일정한형태의포장목으로부러져 1
점2편이디,함께출수된3점의포장목은반듯
하지않고휩이있는데비해이것은폭과두꺼1
가일정하다.포장꽉의표면에는도자기가눌렀던암훈이국
부적으로관찰펴띠9.
5cl
1
1간격이다.포장목은 길이7
3.9
cm,
폭2.
Ocm,두께0.
9cm이다

@ 포장목 4

포장목의 머리부분 괴꼬리부분이모두결실되고중긴만남아있다 소나무류플기공하여만들었으띠


잔존하는 포장복의 윗부분괴 아랫부분의 폭이 일정히지 않다.표띤에는 도자기기 눌렀던 압흔이 부분적

으로관잘되떠83
cm간격이다 포장목은길이72
.1c
m.폭2.
Ocm,두께09
cm이다-

.
33l
l332

(
6)젓가락

@ 대나무 젓가락(
추정)

대나무를길이빙향으로쪼개서만든 젓가락으로완형으로촬수된것이1
8점이다.이증 가공형태에따
라 일자형과 한쪽 끝을 뾰족히커l만든 것으로 구분힐 수 있다.

일지형은 이래에서위로올라갈수록폭이좁아지는형태로모두 1
4점이출수되었다.길이는3lKI
n-
아랫 지름 0.
5C미 윗지름 04c
m와 길이 3
08c
m.아랫지름 0.
6cm.윗지름 05
cm로 깊이기-
모두 비슷하

다.일자형 중 길이기-
조금 작은 것 3
침이 촬수되었는데 26
C따 2
7cm이다.또한 형태가 완진하지 않고 일

부 겔실된 대나무 젓기락이 1


2점 줍수되었디

한쪽끌을뾰족하게 민든 젓가락은모두3
점이출수되었는데226c
m,2
42c
m,21
.1c
m의낌이로 일자
형 짓기-
락에 비해 길이가 짧다

- - - - - - - - -

- - - - - - - - - ‘- - - - i ←


iSi・
1F-「:
’- -
~

τ-호 - -i -
→ - -← = 『
。 ε듣릎E드둠드;
료 C〕

@ ζξ=====

e ‘-;-←← }

ac= == r :=:: 포

e ‘ 1 → ’ -・
‘ - -

。‘
--“‘-
-----
-r← -i 1
0

---관; 1rgk* i 퉁- .
‘-=a i::i・

sg 드트 - - - - --- ) }1 -- -@
b

1
Ocm
333 1

@ 나무 젓가락(
추정)

어린 니무의 기지 의 수피를 제거한 후 원형과 타원형 단떤형태를 가지는 기다란 목제품이다 나무 젓

기락의 히딘꽉외 상딘부는 기공히-


여 따무리하였으띠,이래 에서 위로 올라 길커
二룩 앓아지는 형태다 출수

딩시3~4개의 편으로꼬두 부El


져서니-
왔으나l
.집힘을봉해7점은전체적인형태를확인하였고.나머지
는 칩합이 되지 않아 진체적인 수링은 확인하기 야렵디 나무 젓가락의 길이는 전체적인 형태가 잘 남아
있는 것으로 전체낌이를 추정해 보았을 때 3
2.KI
n-3
26c
m로 구분되며,하단 지룹은 07
cm.상부지콤은

0.
6cm다.

대나무 짓기꽉에샤 처템 힌쪽 끌을 뾰족하게 기공 하여 딴든 나무젓가락이 l


점 출수되었다 낌이는

2
34c
m 히단의 지름 05c
m르 유시힌 방식으로 가공힌 대나무 짓기락과 낌이가 비슷하다


를튼E====- 1 호드


흩 =듣그

=5 =


g: - iZ ==3

1
Ocm

2)죽제 유물

(
1)대바구 니 1

2
OI0년 6월 8일 f
l4그리드에서 출수된 대l
ll
구니다 저부에서 약 l
2cm높이끼지는 일정한 폭을 유지하

디기 구얀부로 올리가딴서 띈어지는 형태다 잔존 높이는 345


cm고 최대폭은 3
4cm디-누운 싱태로 출수

되았는데 바닥이 둥큰 것을 획인할 수 있다.동체는 앞 뒤로 놓렸고,구얀부는 눌리띤서 대니무 살이 플

어진 상데로‘샤1
척이 되지 않아 마깜처리기 l
상법은 획인할 수 없다.대k
il
규L니는 세워섣 수 있도록 저부에

다리기 4개 있었는미)2개는 원형싱테콜 유지히고 있으나ll


개는 부퍼져있디 나머지 l
개는 완전히 손실되

었으 나 위 치는 일 수 있 디

앞은 디|
니무대외 디l
니무실쿄 만늘어졌디 비구 니에 민들 때 l
ll
덕은 대니무대를 밍시형으쿄 펴놓은 상

E
|1
에서 대나무대의 벨어지는 튜이 생기는 부분에서부터 잃은 대나」
핍 。l
러 개플 넣야 엮었으I
져.바닥을

짜고님은 대니무대기그대로동체부안쪽에구부러져있는것을확인힐수있다 비닥띤고정을위해시용


한 대니무대꾀디 츄 더 폭이 넓은 대나무다1
기 바닥 종심부를 기로섣퍼 가띤서 바닥을 좀 더 단딘히 고정시
켜 주고 있디 똥i
l1
부는 잃은 대니각낸 이 진처1
적으로 엮어져있으며‘표떤에 않은 대나무대 여퍼 가1
를 총판

히 세쿄로 고정시켜준 후,암은 대나걱L


살 4~5개 이상을 히나의 띠를 만들이 꽁처l
부를 기로쿄 팔이-
기띤서
고정시키고 있디 다1
바구니의 디리는 무거l
지탱괴 고정을 위해 이느 정도의 두께기-있으며 현 상패에서는

어떻게 고정되어있는지는 획실히게 알 수기 없다


|334

(
2)대바구니 2

2Ol
0년 8
월 3일 F
5그 리드에서 출수된 둥근형태의 대바구니다.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으며 위의 테두 리

부분과동체부가 님이있으나절빈은부리지반데편에위치히고 있다.세척이되어있지않아바닥끼지질


넘아 있는지는 일 수 없다 앓은 대나무대와 대나무잘을 이용하여 비구 니를 만들었다 잔존 높이는 l
2cm이
고 최대폭은 31.
Rm이다 ,

대바구 니 1 대닙규 니 2

1
0 2Oc
m
335

3)초본류 유물

(
1)매듭

2
Ol0년6웰 l
0일E3
구역에서목재외초꽁류기함께줍수되었디-호본휴는현지|옥자1
외 떨어져있이서
어떤싱핀관계출껏는지일수없으띠둘다용도미상이다.초관류는크게3부분으보니뉘는데매듬이짚
남이-
있는부분과 U
|1
듭이디웰린채흐트리저형데기진혀남이-있는 않은두부문-
으쿄니번디 짙남아있
는부분의잔존크기는 최다l
폭이약3jc
l1
1낌이73
cm 두끼1
가약 15
cm이다.위에서아래로 내려올수록
왼만하게 좁아지는 형E
}|
로 새끼줍L을 양길래띠기를 히l
꽁은 듯한 보양이다
꽉지1
의 낌이는 익 2
4cn
t 최대 폭 O8c
I1
1.최데높이는 의 l
cm이다.꽉재는 거칠게 다픔이 표띤이 고르지

않으I
겨위에서이례로좁이지띤서완만히거1곡선을그리는E
ll기공했디기보다는원래의꽉재형태료보인
다 양끝은한쪽은한띤딴시선으료뾰족하게디듬었으며빈대편은3띤을뾰족하게디듬었다

(
2)섬유조각
실을꼬이띤든 것으로추정되는 직물쿄 조직은 편성렐(
編成찌)
과유시히지만편성불의시용 시기및
굵은 섣의 형태쿄 파이선 수작엄으쿄 씬 것으쿄 추정된다
|336

λ 1n 근
7 「 걷iTr

김민구 (
전남대학교 인류학과)

국립해양문호}
재띤구소가발굽한 마도2호선괴 인근트벤치에서출수된씨앗류를검경히고 형태직특
정을 파으
!하 o1동정을 실시하었다.확인된 식물은 총 l
3종이며 벼 기장 ,조와 같은 곡류와 함께 떼밀

들깨 두류 ・때죽나무종자등이발견되었다.확인된집초류는피・강아지풀 ・마디풀 올챙이고랭이


빙동시니 등이다.아래에동정걸고}
를 정리하고종자의형태적특정을제시히였으며.각시료띨로출현종
자의 수량을 정리하였다(
〈표l
〉참고)
.


표1〉마묘갖호선 출수 종자류의 수랑

*수치는 종자의 개수를 기준으로 함


**〉
는 이상을 나타냄
337

1
)시료 및 분석 방법

줍수된 식불유처l
는 외형에 의한 분류가 대체쿄 완료된 싱태 로 필자에거l잔딜되 았다.인수펀 시료는 총

3l
개이며,각 시료미디 적게는 l
~2렘에서 많게는 수백 개 정도의 종 자유제기 존재히았다 각 시료는 증

류수에 함침한 상태로 냉장(


2℃)
보관하았디 실체헌ul
경을 이용-
한 검정은 종자유처1주 변의 물기룹 저1

한 후 싱온 에서 ×1
O~ ×1
00정도의 배율에서 실시하였디

2)형태적 특징 및 동정

(
1)작물 및 열매

@ 벼(
Ory
경 Sa
hvaLS니
bspj
apo
mea)

에는 남알 부녁뜯은 앞어지고 외앙(


外뒀9과 나1
영(이1
*찌띤이 잔쓴힌다 벼깐l
질에서 보이는 형데적 특징괴

장폭비로띄이자포니카(
Ia
pon
lca
)타임임을일수있디 냥1
낌젤형E
}1
나젤낌에서ul
세한지-
이점들이보이
기도 히지만 아종(
RE젠i
)단위 이히로 세분히는 것은 기능 하지 않있다

됐輕합힐횟 「

때 첼f


사진 1
〉벼 (
시료 1
)

@조(
Sef
arl
algh
ca(
니 P Beauv,
),기장 (
Fm cum ml
l
laceum 니 ,피 (
EChl
ncochl
oacms-ga川Eeauv.
)

밀견 된 조 기정 피 역시 t
t1
외 띠친가지로 딛알은 없고 내외영(
이l外짜!
)띤이 전쓴힌디 조는 내외영

표띤이 흥1
백섹이고 굉팩이 나머 내외영의 표피세포애서 젓꼭지 1
;L
잉의 유두뜰기(
*떠3
突il
쿄)가 한저히가1

관침된 다 피는 내외앙 표떤이 때끄러우미 표띤에 징세표(


長써川띤)
기-」
;[
이고 외앙의 끌부분이1
는 널깨가 네

개 딛린 석영세표(
감핏*
|l
l
ll
젠)기 존재힌다.기징 역시 내외영의 표띤이 미1
끄댄지만 낌질이 조니 피에 l
l1

。1두껍다(
짧뼈차代 l
993
)

1nvn
-

1r
mn

〈사 진 2〉조 (
시료 4) 〈
사진 3〉기장 (
시료 1
2) 〈
사진 4〉띠 (
시료 6
)
l338

@ 메밀 (
딩go
py띠m e
scul
ent
um Mo
enc
h)

때l
밀수과O
짧果)
는 끝이 예리한 심각형 모양이디.길이는 4.
5~6.
5mm 폭괴 두께는 2.
5~ 4
.6l
mn정도

이다(
쩌-κ江 외2
009
).종자외형상으로관칠할 수는 없지만 앓은자엽이배유 내부에부정형으로빌려
있디는 특정이있다(
ME디na
ndB따Me
y20
04)
.

@ 들깨 (
Fer
Il
l
a”r
uescensa non)

크기는 정폭이 묘두 2
lT
1I
11이내로 그물싱으 로 얽혀있는 종자 표면이 특징적이다

1 n1
n1
1n1
n1


사진 5〉메밀 (
시료 낀 〈
사진 6〉들깨 (
시료 1
0)

@ 두류 콩끽지 (
Gly
Cl
nef
7BX(
니 Mer
n|
1
)

연한 연두 빛깥을 띠고 있디-잘게 부서져 있지만 전빈적 인 형태로 보아 콩끽치 임을 알 수 있다.

@[
[
H죽나무 (
Sty
raxj
a¢nl
r
aS e
tZ)

때죽나무속의 종지는 전체적인 모양이 포틴형이고 표면에 장축 방향으로 2-


3열의 구(
벼-)
가 형성되어
있다.이울 러 표떤이 점열망시의 형태를 보여 매끄랩지 않다.

〈사진 7〉콩 끽지 (
시료 3)
설」 〈
사진 8〉때죽나무 종자 (
시료 31
)
339

(
2)잡초류

@ 강아지풀속 (
Set
arl
asp)

종지형태는난형또는타원형이디 낌이 폭 두께기~
최대2l
mIn×l
JInn
1×09
lnl
n인깅아지풀・
갯깅이지뀔 수깅이지풀괴최소24I
1
1l
n×l4n
1l
11×l
‘ln
1l
11
인기을깅아지플 균깅아지풀 주름긍깅아
지풀의두듀L
류로니-
눌수있는데(
낌칭석외20
02)
.띠도2호선의개체는전지에해당하는 것으로판딘된다.

@ 마디풀속 (
Fbl
ygonum sp)

크기기작고표띤이때끄러운갈색 종자로 횡단띤상에서 띄이 삼각형이디 종자는 길이 2


l1
1l
n‘폭
l5
mI1
1내외이다‘종지끌 부분。1건 고 뾰촉해X1
띠표띤。11
41
끄렘디 한반도에3l
종이싱이분포히며
주로 습지나 물기에 지란다(
이영노 2
007
).

1 n1n1
1l
nnn


사진 9〉강아지풀속 (
시료 5) 〈
사진 1
0〉마디풀속 (
시료 끼

@ 고 랭이속 (
SCl
r
pussp.
)

고랭이속의 수괴로 추정되는 종지는 낄이와 폭이 모두 15l


T
1l
T1니1
외이디 정띤에서 띄이 원형애 가깝지

민 한 끌이 룹출되이 있고 측 띤에서 보띤 볼콕펜즈 모양이다 한반도에 고랭이속 식물은 l


6종이 분포히펴

디1
찌1로 습지에 나는 디년초이다(
이영노 20
07)

@ 방동사 니속 (
Cylemssp,
)

빙콩시-
니속의 수괴는 깊이 1
.5ml
1
1정도료 난형이띠 광택 없는 갈색을 띈다

|
‘ ・l

1n1
n1

“ ‘・


사진 1
1〉고랭이속 (
시료 8) 〈
사진 1
2〉시료 6출현 증자@들깨 b빙동시니속,
cn|
,
d조 e고랭0}
속)
|340

@ 닭의장풀과 (
Commel
mace
ae)

종지는 난형으로 길이는 35mI


1
1내외 폭은 25
Inm 내외이디-표면은 거칠고 총자 중앙에 깊은 고땅이
보인다.


사진 1
3〉시료 1
5출현 종자 (
f달의장물과)

(
3)미상

따도2호선 시료에는 위에서언급한종자 외에도 동정이기능하지않은 개체들이 일부 포함되어 있었


다.띠상으로 분류된 유기물들은 다음과 길디-

훌빼



醫뿜
1 n1n1 1 n1
n1


사진 1
4〉미상 (
시료 9) 〈
사진 1
5〉미상 (
시료 1
4,스케일 눈금=1
m)

1mm
禮훌
룹 1m m

1n1n1


사진 1
6〉미상 (
시료 2
8) 〈
사진 1
7〉미상 (
시료 2
9) 〈
사진 1
8〉미상 (
시료 3
0)
34l 1

3
)정리

E
ll
안띠l
E2호선에샤수슴띈식월유치l
를핀참한겔괴최소 l
3종의식판을획인할수 있었다-밀견된직
룹은 l
다 조,기징 l
l
l띨‘
콩등으로그줍헌잉:
싱은미도l
호선괴l

}1
우흉시하디.이울리마도2
호선시
효에서는룹끼1
가확인되었ιl숲펀힌침초휴]
는깅아지플속,마다플속,고굉이속등5
종이상이디.

참 고문 헌
김장석 국용인 -
정영재 오세문1
2OO
2,「
SH가지물속(
벼과l
식물의분류학적 정리」
,한잡초지 2
2!1
l,2
1-2
5쪽

이영노,
2OO7
,r새로운 한국식물도감|
,|
|」
,교학사

*li江 빠桂 죠 孔B
ll 낌옮,
20%,
r植柳考古 *
l|
l
子和果윗깨f
찢」,
科풍出版피
t」

複t
@했代,
199
3,「
77七工:
FE‘
@同定」
,r좀U
h
좀昌 先生還땀‘
記;운:
論集先史행tl
갖1
i重科E
F’
」,
농뼈昌 先
生還뺨 記;
ξ論 集刊行 장,261
-281쪽

Ma
「[l
n,AC,
andW D Ba「
kle
y-2
OO4,
See
dlde
ntl
f
leamnMa
nual
,Th
eBl
ackb
u「nP「
ess
|342

8.동물류

안덕임(
한서대학교 문호}
재보존학과)

1
)머리말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2
010년에실시한 E
H안마도2호선조사에서는다%댄f동물유체가출수되었
디 총l
80여점의똥물유체기출수되었는데이가운데동물종.부위가동정된것은 1
50점이다.동정된동
물유체는크게포유류.조류.어류로나뉘며,포유류 7
2점(
48%)
,조류49
점(327
96)
.어류29
점(l
93%)

로포유류의비중이기장 높다(
도띤1
.표l
).포유류는시슴,돼지,개,소,고라니,고래의6종이확인되었
으며,
시승(
3l점)
과돼지(
30점)
기대부분을차지하고있디-어류는농어,
숭어,
성대과,
가오리류,
민어과,
돔발상어과.흉상어과.넙치,참돔등9종이확인되었다 l
0점이출수된참돔을제외하면모두l~5점의
소량이출수되었을뿐이다.조류로는 닭.가마우지,오리류3종4
9접(
3279
6)이확인되었으나일괄로출
수된오리류를제외하면소량에불과히-
다 각종별.부위별출수양상을살펴보기로한다l
)

. 농어 . 사슴

. 숭어 . 돼지

l 성대과 개

. 가오리류 . 소

대 민어과 . 고리니

. 돔발싱어과 . 고래
. 흉상어과 . 닭

. 넙치 l 기마우지

침돔 l 오리류

20


도연 1
〉마도2호선 조사지역 출수 동물유체 증별 빈도(
%)

1
)시료의 크기 계측에 있어 다egh(
1
9E)
의 계측방법을 따른 것은 크기 값 앞에 If
음과 같이 계측점을 표기하였다
G니Gg 엉 앙@h
) 최대 길이
G태@ea1
eSbgij
1h) 최대 너비
BdBe없l
hd1
% αn
잉때 |
e띠)근위골딘 너비
없(
Ek
gijl
hd 1
re d잉ag잉) 원위골딘 녀비
「g벼 잉h
ta81
glr
esp「
e)견갑골 높이
G벼 Geagi
eng
lhdl
r
eRα$ asan
cuan
s) 견갑골 관설돌기 최대 길이
B
R엉(
Be∞t
hdn
eR£f
slgml
nal
sa j
j$ )후딘면 너비
G미G
뼈 l
e잉en
glhd|
벼 녕1
%|t
Bn) 옆쪽 최대 길이
dL
(αgal
eng
h)등쪽 길이
ι(
Lengh이1
% Q엉a잉em1
)흉글능 길이
BF
(Bea
dlhdl
% R£esa
이C따 Sα§
at αg!
anK뼈 rs
ua:
e) 기저관절연 너비
343


표1〉마도2
호선 조사지역 출수 동물유체

jr
A Et
합계 상대빈도
Il。
- ‘
부위 」-1-「 「 -。
〈그
(
동정가능표본수l {
%l

복추 3
농어 4 27
C〉
7}
그그
-「 E르 -「

숭어 두개골 07

성 대과 두 개골 3 3 2

가오 리 류 미극 07

C3
주상악골 -T-

민어과 3 2
C〉
7}
二쿄 -「 2
-「 t:S

드드닙 f
tj E므 등지느러미 07
어류 상어과 ?}

척추 07
흉상어과
복추 3
넙치 5 33
하미글 2

걷으人t
。}그l C〉
2 10 67
T C〕 「 己 -「

치글 좌
;tf
E드 C〉
C그 C그 전새 개골 -「 2
10 67
의쇄골 좌

미추 4

λf
。f;E
J
C그 -「 c::

하악골


흉추 3

요추 3

건갑골 좌

?1LT7

Z그 근
C〉


완골근
위부다
상완글 원위부 l좌
요골 전체 |조f


요고
EE 그 위1-「
L- 1- 닙-

요글 원위부 31 207
사슴
척골 전체

대퇴골 전체
포유류 죄
대퇴골 원위부
-「 2

경골 전체

경골 글간부
거골

종글

중수글 전체 조j
f
C3
중족골 전체 -「

제 3지골

기절골

저|
4지글
ZE Z4二a 좌
ζ〉 EEEE

두 개글 6


/
샤 。f
:zl
C3 -「 E르
돼지 2 30 20

상악골 치아

하악골 좌
|344

2)동물유체 줄수 앙상

(
1)어류

어류로는농어.
숭어,
성대괴-
,기오리류,
민이괴-
,돔발상어과‘
흉상어과,넙치!
참폼등9
종이확인되었다.

@ 농어 (
Lat
eoBbI
axj
a∞n
cus
)

농어는척추꼴3침과각골 1
점등모두4점이출수되있다.척추골은모두복추 골로최대 직경87~
1
93 m
m디-

@ 숭어 (
Mug
llc
epf
Blus
)

숭어는두개골편만1
점빌진되었을뿐이다(
시진 1
-5)
.두개골편은전두골을포함하며길이로반분되어
죄측 부분민 넘아 있다.길이 8llm
m‘너비 3
71mI
n
cl.


사진 1
〉농어 뼈(
1~4)
,숭어 뼈(
5)

@ 성대과 (
T「
lg|
|
daegenet
sp,|
nde
t)
전두골편 3침이 발견되었다

-진두골1
(사진2
-3)・비교적왼형에기껍다.길이4
35m
m,너비23lm
m
-전두골 2
(시진 2
-2):길이 380I
n
m.너비 243m
m

-
전두골 3
(사진 2
-l):길이로 빈분되어 죄측 만 있다-길이 30
8mm

@ 가오리류 (
Raj
f
lor
mesf
am.
etg
eni
nde
t)

미극O
친찌)I
점이발진되었는데선단부는피손되었다(
시진 2
4)길이6l
.9m
m다.

@ 민어과 (
SCae
nlda
egene
tspl
ndet
)

우측 걱골 2점과 주싱악골 1
점의 총 3침이 출수되었디-
-

-걱골 l
(사진2-
5):
우측 후딘부는파손되어결싣되었디.낄이469m
m
-각골2
(사진2
-6):
우측 후단부는파손되어결실되었다 길。l
4l.
3mm
-주상악골(
시진2-
7):우측 근심부를포함히-
는부위기-
남아있다 길이5
55l
n
m
345

짧뿔훌

3
뚫듀
,
藝f흙

사진 2〉성대과 뼈(
1~3)가오리류 뼈(
4),민어과 뼈(
5~7)

@ 돔발상어과 (
Squ
aba
ege
nets
pln
dei
)

등지느라I
ll
기시(
뽑隨싸)l
점이있다(
시진3
-1)
.한길이는6
68m
m이띠각질부까지의길이는455
mm이디

@ 흉상어과 (
Car
char
t
11
nl
daeg
en-e
lsp
.1nde
t.
)
책추골 l
점이 있디(
시진 3
-2)타원형을 이루떠 직정 1
55~1
69m
m디

@ 넙치 (
F김gl
l
Cht
hys이Wac
eus
)
넙치 빼쿄는 히{l
1
골 2,복추골 2침,띠추필 1
점이 출수되었디

하미골 l
(사진 3
-6) 낌이 3l9m
m/히씨골 2(
사진 3-
7) 낌이 3
37ml
l
1

--
꽉추 I
(시진 3-
3):직경 1l5
~13lm
ln

-복추 2(
시진 3-
4):직경 l
jO1
n
m

-l
Il
추(시진 3
-5) 직정 l
43~l
5Om
ln


사진 3〉돔발상어과 뼈(
1)흉상어과 뼈(
2),넙치 뼈(
3~끼
|346

@ 잠돔 (
엄gmsme
vor
)

참폼뼈는주상악골2.의쇄골 1
.치골 l
,전새개골2,척추골4점등모두1
0점이출수되아이류증가
장 많디.

-주싱악골 1
(시진 4
-l) 우측,길이 4l
.lm
m

-주싱익골 2
(시진 4
-2) 우측.길이 3
34 m
m

-치골(
시진4-
3).죄측,길이4
29l
n
m
-전새개골 1
(시진 4
-4)・
우측 ,높이 657m
m
-전새개골 2(
시진 4
-5):우측.높이 4
47I
n
m

-의쇄골(
사진4
-6):죄측,높이7
66m
ln
-미추골 l
(사진 4
-8) 직경 1
28m
m

-nl
추골 2(
사진 4
-7).직경 8.
3ml
n

-미추골 3(
시진 4
-9)・직경 l1
.2m
m

-
미추골 4(
시진 4-
lO).직정 l
1.4m
In

8
6


사진 4〉침돔 뼈

(
2)포유류

포유류는시숨.돼지,개,소,고라니,고래기확인되었으띠이가운데시슴과돼지뼈가싱대적으로많
고.니머지 동물은 소링:
출수되었을 뿐이다.

@ 사슴 (
Cer
vusn
lP@n)

시숨은특정부위에짐증되지않고싱악골,하익골.척추골.견갑골,상완골,
요골,척골,
관골,대퇴
골,경골.종골.거골.중족골,지골등 다%댄1
-부위의뼈3I
점이출수되었다.포유류중돼지와 바슷한비
중 으로 발견 되었다

상악골(
사진5
-2)・
P4,
Ml,M2,
M3를포함히는 죄측편1
점만빌견되었다.
P4,M3
는현재맹출증인데
347

M3
는거의완쿄직전단2
11
이디 이로U1
루이27
개월정도뭔개체로추정된디2
))한길이683m
m이다

하익골 히악끌은죄측 1
점괴우측 1
침이띨낀되었디.치아넬이단겨l
로미루아똥일개제는아니다
-하악관조딱 (
사진5
-l)・dm2
.ψ1
13‘dm4‘MI
‘M2를포혐히띠낌이 l
7l1
n
m이다 M2는마모진행
전의상데이다 M3
는띨이초기보보인다.치아말이단겨1
갚띠루어대략2
상전후로추정된다.
-히악괄우측 (
시진5-
3);P2P3.P
4.Ml
.M2,M3휠포힘히며P2
는결설되었디-마l
E도에띠라약
3
싣 진후로 추정된디 낄이 l
73l
n
m이다

‘ - -

,l ‘ J・

하「Tf


사 진 5〉A넘 하악글 뼈

척추골 흡二
추 3셈.요추 3섞이 확인되있디‘

흉추 I
(시진 6
-4)l
3F
cd3
7‘lmn
-흡추 2(
시진 6
-5);I
3Fc
d335m
11
1

-휩걱=3(
사진 6
-3):BF
cd357I
I
1
ln

요추 I
(시진 6
-8)-BF
αi27.
Imm

-요추2
(시진 6
-6)추제는nl
꽁함으료결실되었다.현BFc
d245m
In
-요추 3
(시진 6
-7) 에리한 도구에 의해 종으로 반분되었디-
-

낀겁골 ‘죄측 1
점이출수되었디(
시진7-
l)극하와부위에이1
리힌 도구쿄자른지국이길이로남아
있디 HSl
78I
mn

관넬 조l
우각 1
침。1l
벌낀 되었다 크기로 l
〕l
루어 팡일 가l
k1
1의 것은 이니다,

-핀골 l
(사진 7
-3) 죄측 정꼴 부위딴 넙이 있다 낌이 l
OO2l
n
m

-핀곧 2(
사진7-
2)‘
우측 잉팔부.취골부.죄골부를포함한다 현GL2
45mm

2)치이 의 빌아 및 미모도에 따른 시슴의 인 렁시정은 Hkp며1


앉%)
과 大총司(
1명O}
를 토대로 하였다
|348

상완골 :
죄측 2점이 발견되었다.

-상온F골1
(사진7
-4):원위골단을포함히는 조}
측편 1
점이발견되었을 뿐이다.골단은봉합되었다
길이1
484m
m,Bd405mm
-싱완골2까진7-
5).죄측.어린개체의것이다.%
t골단은미봉합으로결실되었다 길이l
O5.
1mm

요골 ・죄측 2
점,우측 2점으로 4점이 확인되었다

-요골l
(사진7
-7).죄축,
근위골단을포함하는펀으로길이로가른것이다.길이l
50.
lmm이다.
-요골2
(사진7
-6).좌측 완형이나원위골단은미봉합되어유실되었다.김이21
2mm
-요골3
(사진7
-9):우측.원위골단부를일부포함한다.길이l
356mm

-요골4
(사진7
-8):
우측.
근위골단부를포함하며지름자국이있다.
길이7
56m
m,B
p46
.2m
m

척골 :우측l
침이출수되었다(
시진 8
-1)
-완형이나양골단은미봉합으로탈락되었다.길이25
33m
m

대퇴골 .조l
측 1
점,우측 3점 총 4점이 발견되었다

-대퇴골 1
(사진8
-2)・죄측 원위골을포함히는 대되골펀이나원위골단은미봉합으로 결실되었다.
길이 835m
m,한 Bd376m1

-대퇴골2(
시진 8
3):우측.원위골단을포함히는 편으로원위골단은미봉합으로결실되었다.길이
l
387m
m,현 Bd3
8.lm
m

-대퇴골3(
시진 8
4);
우측.양골단은미봉합으로결실되었다.길이2
34m
m,현Bd3
72m
m
-대퇴골4(
사진8
-5)・원위골단을포함히는 우측편이다.원위골단은몽합되었으나작은크기로미
루어 작은 개체의 것으로 보인다.길이 1
59m
m,Bd429m
m

경골 ・
우측 2점이 발견되었다.

-경골 l
(사진8
까 .근위골단은 미봉합으로결실되었다.경골체와 경골능에도구를이용한자름 자
국이 있다.길이 2
845m
m,Bd358m
m

-정골2(
사진8-
6):
골간부편이다.길이l
55m
m

종골 :
우측 1
점이 확인되었다(
사진 61
2)GL951m
m

거골.우측 1
점이빌견되었다(
시진 69
).GLl
438m
m,Bd2
76m
m

중수골 ・죄측 1
침이출수되었다(
사진6
-2)
.근위골단부는파손되었으며원위골단은 미봉합으로결
실되었디.어린개체의것이다.길이1
223m
m,헌Bd21
.8m
m

중족골 :
우측 1
점이포함되어있다(
사진6-
1)원위골단은미봉합으로결실되었다.현GL21
45l
n
m
Bp274m
m

지골・2
점이발견되었다.이가운데l
점은죄측 제3
지골기절골이며(
사진6
-10
)Bp1
6.4m
m,GL
5
21,B
dl5
.lm
m이다 나머지1
점은죄측 제4
지골중절골로(
시진 6
-11
)Bpl
49l
삐 GL3
53.B
d
11.
4mm이다 .
349

〈사진 7〉A념 뼈
|350

@ 돼지 (
aJSSCr
o섬)

돼지는 두개골,상악꼴,히악골,척추골,견집골,관골,상완골,요골,대되골.정골,비골,거골,중족
골 지골등3O
침이출수되었다.이가운데두개골(
6),싱악골(
3),히-
악골(
2)의떠리뼈와대퇴골(
4)의빈도
가 높고 다른 부위는 대부분 l
점 정또로 소링:
포힘되어 있다

두개골 모두 6점이 발낀되었다.


두정골,측두골로 미루어 최소 6마리로 추정된다.

-두개골 1(
시진 9、l
O) 비교적 완형에 기끼우 며 좌우 상악은 P2
-4.M1
-3를 포함한다 진두골에

는 또구로 내리치서 낌라 진 자국이 있다 지아 발아 빛 미-


모단계로 미루어 I
V단계(
43447
}1
월)정도

어미료 추정된디 3
))두정골 길이 5
01l
n
m,전두골 최대 너비 8
05 m
m죄측 M2.길이 l
8 8m
m.너비

1
47m
m,죄측 M3 길이 29m
m.너바 l
7.8m
m


사진 9〉돼지 두개골 〈
사진 1
0〉돼지 두개글

-두개골2(
사진11
-7)・
두정골,전두골일부,죄측 측두골등을포함한디 전두골최대너비7
41m
m,
헌 최대 길이 l
15.
9mm.두정골 길이 3
33 m
ln

-두개골 3(
시-진l
1-8).
두정골 좌우 측두골을 포함힌다 .두정꼴 길이427m
m.진두골 최대너비745m

-두개골 4(
사진 ll
-2):우측 측두골편

-두개골5(
사진1l
커 :죄측 측두꼴펀.
-두개골 이사진 lI
-9):두정골편을 포함한다 길이 516m
m

싱악골 .죄측 l
점,우촉 2점과 유 리된 견치 l
접이 출수되었디-

-상익골 l
(사진 l
1-5).죄측 .P2
-M3를 포함하는 것으로 P2
는 유결 되었다 치아 발아 및 따모단계

로 띠루어 W단계(
43447
H월)정도 어미로 추정된디 M2:길이 I
8.2m
m.너비 1
4.lm
m.M3-길이

2
72m
ln
,너비 1
68m
m

-상악꼴2(
사진 1
l-6
):우측 P3
-M2
를 포함하며P3
는유실되었고,M2
는 빌아종에 있다 M2

l
9~20
7H월에맹출이완료되므로그이전에도살된것으로보인디.
M2:길이1
83m
m,너비l
4.5m
m
-상악골3(
사걷1l
1-4
)‘우측.P4.M1
-2를포힘히는 것으로P
4는결실퍼었디.M2-길。l
203m
m,너
비1
53m
m

-견치(
시진 11
-l):
수컷의 우측 견치이다.높이 3
77I
n
m,너비 1
54m
m

3
)치아 발아 및 마모도에 따른 돼지의 연렁사정은 新美(
1991
)
와 **등(
1
9η}
을 토대로 하였다
35l

〈사 진 11〉돼지 두개골 sκ각골

하익골 ,수컷의 좌우측 하익골 이 l


점씩 출수되었으니 동일 개체의 것은 아니디

-히익골 l
(시전 l
2‘I
3-1
):우I
l-3.죄 I
l-
3.C.P
2-4Ml
-3괄포함히는죄측(@)하악골이디.영:

l
3‘Pl
은 결설되었다 M2
는 90
도 뜰어져서 l
갱출하였디.치아 빌아 1
싱 미-
모단계로 미루어 35세 이

싱I
V단겨1
(43
447
l}
월)정또의 어띠로 추정된디 길이(
절치부 지1
외)I
99m
m‘P
2잎 히악골 높이 3
72

I
n
m.Ml잎 허악꼴 높이 3
48m
mM2 낄이 l
6.6매1
1
.너비 l
26 m
m,M3 낌이 31
5mI
n 너비 I
4.6l
mn

히익팔 2(
사진 l
2‘l
}2) 우측(
3)C,Pl
-4.Ml
-3휠 포힘하나 I
)l
은 낄실되었디-히의 지」
펀 이1

널키로운 지휴 지국이 다수 있디.지아 벌이 및 마모단지|


로 띠푸어 W 간겨1
(4
3447
H월)정도 이l
]l

추정띈디 P2
-M3길이9
42I
n
m.P
2옆히익골늪이3
62mn
.Ml잎히-
익골높이352m
mM2 낄이
l
8,3I
n
m,너t
llI
22m
m.M3-
낄이 3
09m
In
.너비 l
4.4l
n
m

졌했L
摩f
k랜

사진 1
2〉돼지 하악골 〈
사진 1
3〉돼지 하악골

척추곧 정추 l
.흉걱
-2전이 출수되었디

-경추(
시진 l
4-l
)・고6
38m
ll
1
-흡추 l
(시진 I
4-3
).BFc
d354I
l
l
In

-흡추 2(
시진 l
4-2
):현 BF
cd2
2l떼I
l

낀갑골 .우측 l
점이 빌진도l
있디(
사진 l
4-4) 견갑정에 예피한 도구로 자른 흔적이 3줍 있다 HS

l
30.
7mm.GLP256l
nm
l352

관골 :죄우 각 l
점씩 발견되었으나 동 일개체의 것은 아니다

-관골 1
(시진 1
45)좌측.길이 l
Ol.
5mm

-관골 l
(시진1
44):
우측.길이l
9Om
m


사진 1
4〉돼지 뼈

상완골 ‘좌측 l
점이 출수되었다(
사진 1
5-2)
.근위.원위골단은 미봉합되어 탈락되었다.싱온뉴
골 근위

골딘은3.
5살.원위골단은1.
5살 정도에봉합되므로1.
5살이전에죽은개체의것으로추정된다4)
).
낄이 l
O45mm

요골 :우측 l
점이 빌견되었다(
사진 l
54)
.이린 개체의 것이다.현 길이 4
63 m

대퇴골 죄측 3
점.우측 1
점이 빌견되았다.
-대퇴골 1
(시진 1
51):죄측 .꼴간부에 예리한 도구 자국이 있다 양골단 띠봉합으로 유실되었다.

양골단의 봉함 시기는 대략 3.
5살 경이므로 그 이전에 도살된 것으로 추정된디 길이 l
74m
m

-대퇴골 2
(시진 l
5-8
).죄측 .골긴부 에 예리한 도구 자국 있으떠 %
t골단은 Ul
봉힘으로 유실되었다

3.
5살 이전의 개체이다.길이 1
395메n

-대퇴골3(
시진 1
59):좌측.원위골단부를 포함한 피펀이나원위골단은 미봉합으로결실되었다
길이 849l
nm

-대퇴골 4(
시진 l
5-l
O).우측.미봉함으로 유리된 원위골단이다.Bd3
38 m
m

정골 :우측 1
점이 있을 뿐이다(
사진 l
5-1l
)근위골단을 포함하는 편으로 종으로 갈라졌다.근위골
단의 봉합시기는 35
살 무렵이므로 생후 42개월 이상된 개체이디 길이 1
785m
m

비골 우측 1
점 뿐이다(
시진 1
5-1
2).%F
골단이 미봉합되어 털락된 상태이다.원위골단은 2.
5살 정에
봉힘되므로 대략 2.
5살 이전의 동불로 추정된디 길이 l
436m
m

4
)돼지‘개 소 등 가축동물 사지글의 봉합연렁은 αx
meM1
97a
)에 따랐다
353

거골 죄측 l
점이 있다(
사진 1
53)
,GLl
459m
m,Bd2
7ll
m

중수골 .우측 저1
4종수꼴 l
점이 있다(
시진 l
5-5
)어린동될의 것이다.낌이 43
3ml
n

증족골 죄측 저1
4종족골 l
침이 발견되었다(
시진 1
5-l
)원위팔딘은 U1
봉힘으쿄 털럭되었디 원위골

단이 띠봉힘인 것으르 미루어 2살 이전의 개체로 추정된디.길이 779m


ln

지골 죄측 딸젤골 1
침이 있다(
사진 l
5-6)낄이 306m
m

찬 /
r
[」 l /
l、

2 7 8 1
0 1
1 1
2

〈사 진 15〉돼 지 뼈

@ 개(
Camsf
armh
arl
s)

견김골.싱왼꼴 ,적골‘대퇴곧이 각 l
점씩 빌진되었디

견김괄 :조}
측 완형이다(
시진 l
6-5
)-내외띤에 자릉 흔적이 있는데 특히 외측연의 견깝극 측띤에 4

의 지4른자 국 이 길게 냥이 있다 HS99lml
n,GLP243 mm

싱완 곧 :우측 상왼팔 이l

:1근위필딘은 미꽁힘으쿄 결실되었디(
시진 l
6-6
)상왼골 의 근위끌단이 봉

힘되는 것은 l
2개월 원위곧단은 6
~8개월 정도이므로 대럭 6~8개월 이전의 개제쿄 추정된디-길이

l2l-
2mm.Bd25.lmm

척골 :조}
측 이며 영:
골단은 미봉힘으 로 겔실되었디(
사진 1
6-7)
‘척골의 잉:골단이 봉힘되는 것이 l
5

개월 정도이므로 그 이전에 도실된 것으보 추정된디 GLl


22m
m

대되딸 완형의 우측 대퇴골이디(시진 l


6-8
) 대퇴골의 앙 골단은 l
8개월 정에 봉합되므로 그 이후

에도살된것으로보인다 GLl
6Om
mBp31
.4m
m,Bd2
27m
m
|354


사진 1
6〉소뼈(
1~3)
,고라니뼈(
4),개뼈 (
5~8
)

@소 (
B。st
aums
)

소뼈는 하익골 2
점,경골 1
침,기절골 1
접,중절꼴 l
점 모두 5
점이 빌견되었디.

하악골 :하익골은 좌우 1
점씩 출수되었으나 동일 개체의 것은 아니다.

-하악골 I
(사진 l
7-2
).조}
축 하악골로 절치부 히익치 등 일부기 손상되었을 뿐 거의 완형에 기끼우

며P
24,M1
-3의 치이를 포힘히고 있다.치아는 모두 마모기-
상당히 진행된 싱태 로 치이-
발이 찢 미

모단계로 미루어 3
살 이상의 아미 소로 판명된다 도처에 예러한 도구로 자른 흔적이 남아 있다.길

이3
5lm
lnP
2앞 하익골 높 이 3
57I
n
m.Ml앞 하악골 높 이 5
33mm
.M3앞 하악골 높이 716m
mM2:

길이 2
7.1m
ln
‘너비 1
75m
m.M3:길이 439m
m.너비 I
6,5mm

-하익골 2까 진 1
7-l
),우측 히-
익골로 P2-
4.M1
-2의 지이를 포함하고 있다.M3
는 결실되었다.치아

는모두마모기싱당히진행된상패로치아발아 및마모단계로띠루어3살이상된어미소로추정
된다.후두얀과 구지부에 에리한 도구로 자른 지-
국이 보인다.길이 2
93m
mM1잎 히익 골 높이 5
3.1
m
m.P2잎 히악골 높이 3
47m
mM2・길이 3
0.1ml
n
.너비 l
7.7m
m

-
£,깐I
t

& n‘


사진 1
7〉소 뼈
355

정꼴 우
측 정꼴근위골단을포함하는것으로골단은nl
꽁함으로결실되었디(
시진 l
6-l
)정골의근
위골딘은 35~ 4
살 무 웹에 봉힘되 므로 이 연령c
l1이진에 도상된 것으로 꾀인다 골간」
뷰에 예러한

도구지국이남아있고.특히부서진띤에도끼등으로가격을기해자든지-
국이있다 길이2l
6mm

기칠골 :죄측 1
점이 넬낀 도1
었다(
시진 l
6-2
)GL5
38l
l
l
ln
,Bd2l
‘8m
m

증칠골 죄측 l
점이 있디(
사진 l
6-3
)GL3
88m
m.Bd2l
‘lm
m

@ 고라니(
Hyd
nqPI
esl
neml
S)
죄측 낀갑골 l
침이 줍수되었디(
시진 l
6-4)현고 926l
n
m‘GLP256m
m

@ 고 래류

고래류척추골l
점이받견되었디(
시진 1
8)직정25
5mm.김이2
03m
m로대형종의것으로보인다



뚫 織5
사진 1
8〉고래 뼈

(
3)조류

조류로는 닭‘기띠우지.오己l
류기확인되었디-
‘모두49셉이펙안되었는데오리휴기46점으로 디-
수를
차지하고,닭(
2점)
.기미-
우지(
1점)
의 뼈는 많지 않디

@ 오리류 (
Ana
l1
daegenet
spme
t-
)

오E1
류는풍일지점에서일필쿄줍수된두묶음의뼈와벨도의두개골l
침이포힘되어있디

오리류 l 듀L
위띈보 l
쇠고l
적 고르게 출수되l
져크기보 미루어 동일 개저1
의 것으로 추정된다

-두개골(
시진 1
9-1
)l점‘GL7

74m

-a
히!
악골(
시-잔
진1m
9-
깅기
2
)l점 GL6
86m
m
-흡끌(
시진 l
9-8
)l점 L
C709m
m

-관골 (
사진 I
9-9
)l침 GL6
77l
nl
n
-쇠1
골(시진 l
93)l
점 낌이 3
05m
m

-오구끌(
시진 l
9-5
)우측 l
점,GL4
52m
m.BFl
64mm

-견깝골 좌(
사진 1
9-l
5).우(
시진 I
9-l
6)l
썽 조덕 GL582m
ll
1

-싱완골(
사진l
9-6
)죄측 l
점 GL6
84m
m‘Bp1
66m
ln
‘Bdl
O3m
m
-척골 죄(
사진 l
9-l
2).우(
사진 l
9-l
3)l
썽,죄측 GL5
99l
n
m

-요골(
사진 I
9-l
4)죄측 1
캠 GL55
.6m
1n
.Bd48m
m

-대펙골 좌(
시진l
9-1
0).우(
시진 l
9-ll
)l쌍 죄측 GL436m
m Bp9
5mm BdI
Oll
n
m
킹 골(
시진 l
9-l
7)우측 l
짐.GL6
88m
m.Bd82m
m

-증속골 우측 (
시진 l
9-4)l
점 GL3
47m
m.Bp84m
m‘Bd8m
ln
-기타 칙추팔(
시진 l
9-7
)l9
점과 늑꼴 이 디수 있디
|356


사진 1
9〉오리류 뼈

오리류2:동일개체의것으로추정되떠오리류 1
과유사한크기이다.
-흉골(
사진 20
9)1
점 dL720m
m

-관골(
사진20
-l0
)1점.GL703m
m
-쇄골(
사진 20
5)1
전 길이 323m
m

-오구골(
사진2
06)우측 1
점.GL447m
m.BF1
64m
m
-견갑골(
사진 2
013
)우측 1
점.GL5
94m
m

-대되골좌(
시진2
0-l
l),
우(사진2
0-l
2)l
쌍.죄측GL4
46m
m,B
p9.
5mm
,Bdl
Omm
-경골(
사진 2
0-l
4)좌측 1
점,GL725I
I
1
m,Bd79mm

-지골(
사진2
01、8
)2짐.GL2
4.1m
m‘GL1
76m
m
-기타 늑골이 다수 있다.

-오리류3:두개골 1
점만분리된채발견되었다(
사진2
04)
.길이424mm
,현GB2
6mm
3571

@ 닭(
Gal
l
usdomest
l
CUS)

죄측 싱왼 골 2침이 출수 되었다

-상완꼴 1
(시진 20
-2):GL6
4 6m
m,Bpl
6mm
,Bd1
24m
m

-싱완」
골 2(
시-진 20-l
)・GL663 mm Bpl
65mm.Bdl25mm

@ 가마우지 (
Phal
acα oa f
l
ament
osus)

조}
측 대펴골 l
점이 출수되었을 뿐이다(
시진 2
0정 GL6
28m
m.Bpl
65m
m‘Bdl
66m
m

(
4)기타

이상종및부위가확인된표본이외에어류ul
확인종의전두골2점.t
l1
늘일괄,포유류의늑골 l
6접
t5
-二
trE
r
L IX4
므 ln 전꼴 l
점,소등1
껴펀 l
점,소경골펀 l
점등이있다.바늘은2칩의도기안에서출수되었는데.
두도기술수 비늘의성격은 유시하다.크기로 보아소형의짓이다l둥근바늘(
사진2l
)과 빗비늘(
시진2
2)
이흔재하므로적어도2
종이상의어류가섞여있는것으로보인다.또힌 비늘의크기빚출수상황으로띠
루어 젓갈로 담은 어류의 것으로 추정된디.


ν 빼
뿜 ‘
.
〈사 진 낀〉어류 둥근 비늘 〈
사진 22
l쁨 출l
〉어류 빗비늘
‘i

(
5)골각기

따도2호선 조시지역 출수 동펠 유체 기운데 2


점의 골각기기 확 인되었디
-골각기 1
(사진23、2
40.포유류의 늑골을 빈으로 낌라 장빙형 으로 만들었다.낄이 9
65~9
76m
m.

너비 176~l9lmm.두께 2.
6~42ml
n

-골걱기2(
시진2
3‘2
4-2
);포유류의사지골을길이보자르고안쪽의히l
띤골을 제거하여손질하았
디 진체적으보 넙작한 유엠형이다 길이 l
3851
m1

찮 議 議3

R5
그 훨 훌폴 황“ ← -「 ‘’
혈첼롤?
첼파-
깐쫓쪽L
;두그

〈사 진 23〉글 각기 〈사 진 24〉골 각기
|358

3)종합

이상 태인마도2
호선조시-
지댁에서출수된동둡유치1
에대힌동정결괴를실펴보았다.출수된동윌-
유처l
1
80。1
점가운데동정된짓은 1
50점이며이밖에골각기2침이확인되었다.동정된동뀔-
유체는 어류29점
(
193%)
.포유류 7
2전(
48%)
,조류49
점(327
%)으로포유류의비중이가장높다 어류는농어,숭아,성대
과.기오리류.민어과.폼발상어과,흉싱어괴,넙치,참돔등9
종이확인되었다.참돔(
lO접)
을제외하띤모
두1
~5점의소량만출수되었을뿐이다-포유류는사슴,돼지.개.소.고라니.고래의6
종이확인되었디-
이가운데시슴(
31침)
괴돼지(
3O침)
가대부분을차지하고있다.조류로는닭‘가마우지.오리류가확인되
있는데오리류가46점으로디수를차지히고.닭(
2점)
.기마우지(
1점)
의뼈는많지않다.이러힌동물류는
선시-
시대이래패총유적등에서흔히빌친되는종으로서예로부티주요식료대싱이되어옹동쉴들이디
출수수량이많은오리류의정우동일개체의것으로보이는 뼈가일팔로출수되었기때문에뼈수량에
비히여 개제수는2~3
마리정도로많지않은것으로추정된디.시슴의 경우 부위별출수링:
이가장많은
우측대퇴골수량(
3셉)
으로미루어최스3
마리로생각되나상요낼 .중수골등어린개체의뼈가포힘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어린동물이추가될것으로생각된다 돼지는두개골 수량으로미루어최소6마리로
추정된다 그러나시슴과마친가지로이주 어떤개체의뼈기-
포힘되어있으므로이러한동불의개체수가
추기될 것으로 펀단 된디

포유동물의얀령구성을보면사슴의경우치아빌이-
빛마모도에띠라연령추정이기능힌싱악골,하악골
3
점은2~3
살정도된풍물의것으로판단된디.뼈부위탤로보띤다수의뼈가꼴딘부가봉합되지않이-
유실
된것수로나녁나 어린동뀔이다수포힘되어있음을 알수있다 특히이주 어린개체의싱완골,
중수골이포
함되어있다 페지는새끼패지부터4
2개월이상된어미돼지까지연령구성이디양하며특정띤령대에집중
된양상은보이지않는다 치아말아및마모도에따라띤령추정이가능한상익골.하악골5
점가운데4
점은
4
3~4
47H
월정도이며1
점은 1
9~2
0개월이전의개체로추정된다.오늘날육돈의도축연링이6개월정도인
것을감안할때비교적오랫동안시육되었던것으로추정된다 개의경우6~8
개월이전l
접.1
5개웰이진I
침,1
8개월이상 l
접이포함되었다 소의하익골 2
점은치아빌아렛마모단계로미루어3
살 이상된개체의
것으로추정된다 한편근위골단이ul
봉협된정골로미루어3.
5~4
살이전의동물도존재하는것으로생각
된다.


표 2〉마도2
호선조사지역출수 돼지제2 제3대구치 계측 값(
m)

출수된동물은 대부분야생종이미기축동룹로는 소,개,돼지,닭정도이다.이기운네특히흥미로운


것은 돼지 뼈이다.돼지는모두3O
침이확인되었는데두개꼴(
6점)
.상악골(
3점)
,하악골(
2점)
의머리뼈기-
ll
점을치지하고 있아상대적으로높은비증을보인디-
.머리뼈에비해다른부위는 대퇴골(
4)을제외하떤
대부분 l
점정도로소링포함되어있디 이처럼따리뼈기다수출수된것은항해의안녕을 기원히는 제의
행위와 관 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359

l
l침의미리뼈기운데멧되1
지와집돼지의구분기준이되는제2대구치또는제3대구치가넘아있는것
은6침이디 이러한대구치의크기를 제측해판 겔괴 그크기값이씌돼지의덴주(
May
eIe
t피 l
998
)에속
하는 것으로드러나(
표2)출수된돼지는집돼지일것으로핀단된디 특히송곳니기띨딜된수킷의하익곧
2
점이주꽉된디,한재는집돼지기-
운데이처럼송곳니기→
말띨된것을보기이렵기때분이디j
)따라서송곳
니기밀딜된이러한표본은고테시대의되!
지시육l
싱식이오늘날괴딜렀음을과여주며기축 시좌방식의떤
전괴밀전과정나아가우리나리-
토종돼지의겨1
-
동을연구히는데좋은지료기-
i힐것으로생각된다
(
본마도2
호선조사지익출수동룹유처l
동정에도움을주신띤세대학교박물관최심용선생님께감사드린다,
)

잠고 문헌
大泰司 紀之 1
980
,「遺빠出土二木νY기φ下뽑骨|
二ck&性別 年顧 死亡季節좁定法」
1r考古學t

自然、
科學 」1
3151-
73쪽

新美倫子,
1991
,「愛知縣伊川連遺빠出土二7
kν4/ννe年顧及I
fPE亡8
좀期좁定l
二?L、
t」,
r國
立歷 史民↑
십t형#
健 홈6
升究報告」29.123148쪽

*
*良博 西田隆雄 望月公子,1
977,
「日本훌4/ννe짧牙l
二&죠年餘t性았 |
1
定」,
「日本默 醫學
*힘$、
」391165 174쪽

CO「
nwa
lllW1
197
41Bo
nesf
O「t
heA「
Cha
eol
o9l
StL
ondo
n 」M Den
l&So
nsLt
d

D「
1es
ch1An9el
avonden,1
976jr
A Gu1
det
otheMe
asU「
ernen
tofAnl
malBoneshor
n

A「
Chae
olo9
lcalSl
te
s,Pe
abod
yMu
seum Bul
le
tl
n1」
,Pe
abod
yMu
seum ofA「
Chae
olo
gy

a
ndEt
hno
lo9
yHan
/a「
dUnl
ver
sl
ty
Hl
l
lsO「
LS1
199
01T
eet
h,Ca
mb「
ldgeMa
nua
lsl
nA「
C/
1a
eol
ogy,
Camb「
1d
geUmv
e「Sl
t
yP「
ess

Ma
ye「
1」」,」M No
vac
k,andlL B「
ls
b1n」「,1
9981
「Ev
alua
uono
fmol
a「Sl
zea
saba
S|5f
O「
dl
Stl
n9Ul
shl
n9Wl
l
dboa「f
「Om domes
tl
CSWl
ne empl
oyl
n9t
hep「
esentt
ode
Clphe
the

pa
st」
1|nS Nel
sonl
ed)
,An
cest
O「Sf
O「t
hePl
9S Pl
gsl
nP「
ehl
St
Ofy pp39-
53,MASCA

Resea「
ChPape「
SlnSCl
enceandA「
Chaeol
ogy,
V。l
ume15

Sc
hml
d,E.1
9721
Atl
asofAr
uma
lBone
s Fo
rP「
ehEt
onan
s,A「
Chae
ologl
st
sandQt
l
atemaI
y

Geo
log
lSt
s,El
sev
le「Pubu
shl
ngComp
any

5
)헌재는 어미의 젖을 보호히고 서로 μ띔 을 하다가 다치는 깃을 빙지히기 위해서 새끼 돼지의 송곳니를 인위적으로 자른다고 한대종남대학교
헝질전환 복지|
돼지 연구센 터 박상식소장 님과의 시 담)
I 360

〈부·〉 마도2호선 조사지역 출수 동물유체 사진 목록

연번 사진번호 동물종 -t「•,


。l 출수위치 연번 사진번호 동물증 -t「•,。l 출수위치

1-1 복추 2호선 E6 36 6-4 흉추 2호선‘ G8


2 1-2 복추 2호선, C 5 37 6-5 흉주 트렌치
농어
3 1-3 복추 트렌치 38 6-6 요추 2호선,E6

4 1-4 각글 R 2호선, G 8
2호선주변선체밑부
39 6-7 요추
5 1-5 숭어 두개글 2호선,G8 분수습

6 21 ~꺼」E「=그
2그 2호선‘ G8
2호선주변그리드외
40 6-8 요추
7 22 성대과 :;'::1」E='
「그 2그 2호선, G 8 고-「i

8 2-3 전두글 2호선, G 8 41 6-9 거글 R 트렌치 ,D구역

9 2-4 가오리류 미극 2호선,G 8 42 6-10 저13지골기절글 L 2호선, G 8

10 2-5 각골 R 2호선, G 8 43 6-11 저14지글중절골 L 2호선,G 8

11 26 민어과 각꿀 R 2호선,G 8 44 6-12 종글 R 트렌치

12 2-7 주상악골 R 2호선,G 8 45 7-1 겨'-카


l=t고
21」 2호선,H 3

¥-
그님드t 46 7-2 관골 R 2호선, G 8
13 3-1 등지느러미가시 2호선, G 8
상어과
47 7-3 관골 L 2호선, G 8

14 32 흉상어과 척추 2호선,G 8 48 7-4 상왼골원위부 L 2호선,N 5


사슴
15 3-3 복추 2호선,G 8 49 7-5 상완꿀 L 2호선, G 8

16 3-4 복추 2호선,G 8 50 7-6 요골 L 2호선, E2

17 35 넙치 미추 2호선, G S 51 77 요글근위부 L 트렌치

18 3-6 하미글 트렌치


2호선주변선체밑부
52 7-8 요골근위부 R
19 37 하미꿀
{:E-A
「;g-
트렌치

20 4-1 주상악골 R 2호선, C 5 53 7-9 요글원위부 R 2호선, 8 1

21 4-2 주상악골 R 2호선, G 8 54 8 1 척글 R 트렌치

22 4-3 치골 L 트렌치
2호선주변선체밑부
55 8-2 대퇴골원위부 L
23 4-4 전새개꿀 R 2호선,G 8 분수습

24 4-5 전새개골 R 2호선,G 8 56 8-3 대퇴골원위부 R 2호선 G 8

25 4-6 잠돔 의쇄골 L 2호선,C 5


2호선주변선체밑부
57 8-4 대퇴골 R
26 4-7 미추 2호선‘ E6 분수습

2호선 주변
58 8-5 대퇴골원위부 R 2호선,N 5
27 4-8 미추
그리드외곽
59 8-6 경골글간 R 2호선, E6

28 4-9 미추 2호선, E 6 60 8-7 경글 R 트렌치

29 4-10 미추 2호선,E 6
2호선주변저판밑부
61 9 10 두개골
30 5-1 하악골 L 2호선 , G 8 분[ 141

2호선주변선체밑부
62 11-1 상악견치 [ tiR 2호선 N5
31 5-2 人
ζ그}。
-「κE다므 」
I
{:E-/、「ι는~
63 11-2 두개글 2호선 N 5

32 5-3 하악꿀 R 트렌치, l -d 1 64 11 -3 돼지 두개골 트렌치


사슴
33 6-1 중족골 R 2호선,G 8 65 11-4 상악골 R 2호선, G 6

34 6-2 중수골니 ? J 트렌치 ,0구역 66 11-5 ~각골 L 2호선주변 ,1 10

2호선주변 , 그 리 드
67 11-6 ~κ각골 R 트렌치
35 6-3 ε
걷¥「;
외곽
68 11 -7 두개골 트렌치 ,E a 1
36 1

연번 사진번호 동물종 부위 출수위치 연번 사진번호 동물종 부위 출수위치

69 11 -8 두개글 트렌치 101 18 고래 척추 트렌치, F-61

70 11 -9 두개글 트렌치 102 19 1 두개골 2호선,」 9 - 6

71 12 13-1 하악골!;~I L 2호선, N5 103 19-2 등〕↓’。


-기f二i므
i 2호선, 」 9 - 6

104 19-3 쇄글 2호선,」 9 - 6


72 12 13-2 하악골i;t;] R 2호선,N 4
105 19 4 중족골 R 2호선,」 9 - 6

106 19-5 오구골 R 2호선」 9 - 6


트렌치 , 도자기내부
73 14-1 경추
수습
107 19-6 상완골 L 2호선 」 9 - 6

74 14-2 흉추 2호선, G B 108 19-7 척추1 19점) 2호선,」9 6

75 14-3 흔~;「
ξ 2호선, G B 109 19 8 τ걷~그E그므 2호선, 」 9 - 6

76 14-4 견갑골 R 트렌치 110 19-9 표멸 2호선,」 9 - 6

2 호선 주 변 그리드 111 19 10 대퇴골 L 2호선,」9 6


77 14-5 관골 L
- 외곽 112 19 11 대퇴골 R 2호선‘」9 6

78 14-6 관골 R 트렌치 11 3 19 12 척글 L 2호선 , 」 9-6

79 15-1 중족골 L 2호선, G B 114 19 13 척글 R 2호선, 」 9 - 6

돼지 2호선 주변 선체 밑 115 19-14 요골 L 2호선, 」 9 6


80 15-2 상완골 L 오리류
-t「그τ는:E 116 19 15 건갑골 L 2호선 , 」 9-6

81 15-3 거골 L 트렌치‘ G 니 117 19-16 견갑골 R 2호선‘」9 6


82 15-4 요글 R 2호선 ,E 6 11 8 19-17 7ζ3그
E그긍 ”P 2호선, 」 9 - 6

119 20 4 두개골 2호선,H 5


2호선주변선체밑부
83 15 5 중수골 R
z亡~-/「
κg.
120 20-5 쇄골 2호선,」 9 - 4

84 15 6 口
d'큰인그
E그므 」
I 2호선 , G B 121 20 6 오구글 R 2호선」 9 - 4

85 15-7 대퇴골 L 2호선, K 6 122 20-7 지골 2호선‘」9 4

트렌치
123 20 8 지글 2호선, 」 9-4
86 15 8 대퇴골 L
IB바지 D구역 l
124 20-9 흉골 2호선, 」9 4

87 15 9 대퇴골원위부L 트렌치 125 20-10 τ


τ1그k그
E그E 2호선,」 9 4

88 15 10 대퇴골원위부R 트렌치 126 20-11 대퇴글 L 2호선 1 」 9-4

127 20-12 대퇴굴 R 2호선」9 4


2호선주변선체밑부
89 15-11 ~겨J 그
E그르=L그 j ”p
_ ,。- 1 -"「
~」
j
128 20-13 건갑골 R 2호선」 9 - 4

90 15-12 비꿀 R 2호선,」 5 129 20-14 경글 L 2호선, 」9 4

91 16-4 고라니 견갑글 L 트렌치 130 20 -1 상온멸 L 2호선, G 8

92 16-5 켜
'-fl고
E므 |」 2호선, E 6 드
.-I"
2호선주변선체밑부
131 20 -2 상온낼 L
93 16-6 상완글 R 트렌치
iE-/「κ;t스j느

94 16 7 척골 L 2호선 ,G 8 132 20-3 가마우지 대퇴골 L 2호선,E6

2호선주변선체밑부 2호선, G5 3 도기호


95 16-8 대퇴글 R 133 21 둥근비늘
분수습 내
어류
96 16-1 경골근위부 R 트렌치 ‘ F-a3 2호선, G5-3 도기호
134 22 빗비늘
97 16-2 기절골 L 트렌치

98 16-3 ± 즈
0드;~그
,J 」
I 트렌치 135 23 24 1 트렌치‘ D구역

99 17-1 하악글 R 트렌치 ,E a1 글각기


트렌치
136 23 24-2
17-2 IB바지 D구역}
100 하악골 L 트렌치
-
.
-
.

.,■ . j .

w
.
令:•:,:
i
,상 ,

效、,

J샵今象.
乂;

?가 ,
-:
•",이
’ rj

冬:
I
-ÿ
,•.

유 爲'
- - - - - - - - -
- - - - - -

. -、:,始''::
> 아 法?文'■‘
-

• *

• .?

“-
364 1. 마도2호선 출수 고려청자의 자연과학적 분석연구
: vÿl
一 . ,:

V 其在 V 、,.八, x
381 之 마도2호선 출수 청자음각연화절지문매병의 복원

385 3. 마도 해역 출수 청동기의 금속학적 연구

402 4. 마도2호선 출수 목재류 및 초본류 수종분석


■.,
:각起쟁쟁H 415 5. 마도2호선의 연륜연대 분석

於: ;
• \ 나. 、:,■:、- 423 6.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 세,K •'
?니
%
자 ?,;-

.■양;,:.、,■策
.

7 •

산:
■:、: '於',A
r’


,: *•ÿ?
.
?
*
첫*?
* 、

<4
-
W:ÿ;낳 乂,V:,'
, 드,
?요、, . ,:?
.
;
t

:,ÿv
- 1?냥 -• , .於 - 보

;次。
• 그 •

次U

. ,
1364

1
.마도2호선 출수 고려청자의 자연과학적 분석 연구

박선영 임성태

1
)연구목적

도자기는 수많은 벤수들을 내포하고 있으 띠,복잡 한 공정에 의해 매우 다잉한 물 리 ・화학적 변화가 일

어난다.그러므로생산딩시에시용되었던원료나제작기술등의규명이필요하며,과학적이고체계적인
실험과다%댄l장비를이용하여역추적함으로서유물이지닌기술적인측떤을재조명하는것이과학기술
적 분석 연구라 하겠다.초기에 이러한 연구는 원료와 기술의 모방과 개발에서 시작되었으며.이후 학문적

관심으로 발전하여 패토 빛 유약 성분,미세구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시대와 지역에 띠라 원료와


제작기술의 특정 등을 규 팽히는 연구 등또 수행되었다

본고에서는 201
0년 충남 태안 마도2호선 수증발굴조시에 서 출수된 고려청자를 대상으로 자연과학적

분석 빙법을 이용하여 제작 기술 및 특정을 획인 하였다.

2)연구시료 및 방법

(
1)연구시료

연구시료는충낚태안마도2호선에서2
Ol0년출수된고려청자중기형,유잭,태토층의소성상태등을
기준으로선정하았디 청자대접편을영:
질과조질의2
그룹으로7점씩,양질 조질로분류하기어려운 기
타그룹에서5점을선별하였으떠정지접시편을양질3침괴-
조질4침을한그룹으로7점,총4그룹으로2
6
점을 선별하였다 〈
표1〉
.


표1〉연구시료
365

구분|시
료번호| 시료사 진
|구분|시
료번호| 시료사 진

(
2)연구방법

C
D물 리적 특 성 분 석

1)색도 l
김 빈시 도 측 정

문굉측색겨1
(Sp
ec[
loPh
O〔OMe
rr-Ml
no|
m‘CM-
3700
d)와소프트웨이(
Spe
c〔l
aMa
gl
cNX,CM-
slO
Ow)
를이
용히이 유약띤과 태또띤에 다{
히1각각의 색도와 빈시도뜰 측정히있디→
‘시료의 전처리는 칭자편의 동처1종

간부분애서 3×3c
n1크기로 시료플 젤딘한 후 초음파세척기로 이물짚을 왼진히 제거히고 ll
O℃土5℃에서

2
4시긴 건조한 후 측정히였다 색도 및 반시도는 표준굉원 D65.시야각 1
O。‘분석띤적 8l
I
l
ll
l
로.유약층괴 래
토층 모뚜 I
지침 3회‘
3지점 총 9회를 측정히여 평균값을 구하았디

l
l)겉보기비증 l
쇠부피l
ll
증.홉수윷.겉보기기꼴 측정

칭자편의 낌보71
비중 찢 부피l
」1
중.흡수융 .낌보기기꽁 클은 분석용 저울(
GX-
600
)과 비중측정기(
GX-

l
3)흘 이용히있디.측정l
잉l섭은 KSL4
008에서 규정히는 빙댐을 이용하았으니.측정시편이 유깔이라는 저1

익l
I
|1
문에규정에샤요구히-
는5O
g이상으1시편은이용하지핏히고 1
g이상의시료에대해측정하여평균값
을 지|
시히-
였다

@ 번조특성 분석

l
)띠세구조 측정

광희현미정(
MiC
IOS
Cop
e‘Ca
rlZe
is
s.Ax
lop
lan2
)으로관찰히았으며.상분석정치(
Cal
|Ze
ls
sKS40
0소프
트웨어)
를 이용하여 유약 층의 두께 등 을측정하았디.

시료의 전처리는 칭자편의 동체 증간부분 에서 일정한 크기로 시료를 절단히여 에폭시 수지로 정칙시

켜시편을제직히-
고‘S
andP
ape
lNo.4
00.8
00.l
200,2
000과Dωnon
dSu
spe
nsl
Ol
13u
m.l
in
n로각각엔미하
았디.각 딘제에서 시료기 오엠되지 않도확 초유파 세척기로 5
분간 3회씩 세척하았디
|366

니)결정구조분석

X-
선회절분석기(
X-Ra
yDi
Hia
C〔Ome
ter
-P때 띠y
tl
때,X:
Per
rPROMPD)
를 이용하여 태토의구성광불
과소성시변회된 지시굉물의종류를동정히였다 분석시T
없gC
〔Cu
를시용하았으며,
분석조건은4
OkV.
3O
InA,s
caml
lngs
pee
dOO
O3。
/s
로 제측히였고.계측 후분석데이티는 Xi
Per
tHl
ghSc
ore피크매칭(
pea
k
ma
[Ch
ing
)프로그램을이용하여걱피크를동정하였디.
시료의전처리는칭자편의동체중간부분에서 일정한크기로시료를절단하고,유약층을키바이드 연
마기를 이용하여 저l
거한 후 태토 편을 1
5분씩 1
차 증류수로 2회.초순수로 1
회 초음파 세척하였다 세척된
시편은 1
05℃에서 2
4시간 건조히-
고,알루미나 시발을 이용하여 2
00m엉h이하로 분말화 하였다.분말화

된 시료는 유리vl
띠에 담아 1
00±5℃에서 2
4시간이상 건조하댔다

3)분석결과 및 고찰

(
1)물리적 특성 분석

CD색도 및 반사도 측정

도지-
기는 입자.입껴l
.기공.이상(
異샤l
)등이 들어간 복깝한 미세구조를 하고 있다.특히 유약은 때토와

같은 석영.장석.점토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장석의 영을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하고 있어 이들이 소성

과정에서 자호f
됨에 띠라 유리화가 진행되고,번조 분위기나 변조,냉각 속도의 떤화에 따라 디양한 상태도

를 형성하게 된다.일단 유 리화 된 유약층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빚에 의해 반사와 산란 등이 일어나게 된

다 청자의 유익:
층에 임시된 빚은 맨저 표떤의 요철에서 일부 난반시-
가 일어나고‘투과된 빚은 내부에 존

재하는 크고 직은 기포나 빙렬들에 의해 흡수와 신란이 일어난다.또한 태토외 유약의 정계면에 새로 생성

될 수 있는 회장석(
anor
thi
t
e,Ca
Al2
Si2
08)
이나 M띠l
it
e,규회석(
woU
$tO
I1
l〔
e.Ca
SlO3
)등은 난반사와 굴절을

일으킨다.일부 태토의 내부끼지 투과된 빚은 패도내에 존재하는 결정입자의 엽겨l


나 기공,불균질 구조부

에 도달하여 광학적 작용을 일으커며.이들 또한 청자의 색도 영헝을 미치게 된다.

색도 분석은 육안관칠의 색상을 객핀적인 수치로 제시히기 위한 측정 빙법으로,


L*a
*암 표색제를 선팩
히-
여 표 시하 였디 .L*은 1
정도 로 측 정 범위가 O~ l
O0으 로 표 시 되띠 50을 기준으 로 측 정값이 높 을수 록 흰

색(
W/h
it
c)
.낮을수록집정섹(
Bl
ac
k)에가끼운것을의미한다.채도를나티-
내는f,b
*는-
60~+
60의수치로
표시되며.a
‘가(
+)일수록 적색(
Red
),(
-)
일수록 녹색 (
Gre
εn)
,F기-
(+)
일수록 황색(
&ll
ow)
,(4일수록 청색

(
Blu
e)에 가까운 색상이다.

반시도 측정은 가시광선 영역인 3


60~7
20n
m에서 피장 에 따른 빈시율 의 변회에 띠라 소성 분위기를 확

인할 수 있디.일반적으로 5
60~72
0nm파장에서 빈사율 이 감소하면 환원소성.증기하 띤 산화소성잎 가능

성이 높다.

유익층의 U 측정값으 로 살펴본 L


g도는 A그룹은 5
40~587.B그룹은 444~6
02,C그룹은 5
02~

635,D그룹은494~600
의값으로측정되었다.A그룹의맹도는평균567로백색에기끼우며표준편치-
가1
.8로 영도기 서로 유사한 값으묘 측정되었디-
,B그콤의 명도는 평균 530으로 A그분 과디 낮으며 표준

편차기 5
.4로 시료 간 편차가 크게 측정되었다-C그룹의 벙또는 평균 5
74로 백색에 가까우나 표준편차가

5
.2로 시료 간 편차기-
크게 측정되었다.D그룹의 영도는 평균 56l
이마 표준편차가 3.
7로 시료 낀 편치-

크게측정되었다 a
*,b*
값으보나다니-
는 채도를그래프로도시하였을 때,F
lg.l
과같은경향을보여주고
있다.전반적으로 모든 그룹의 채도기→
ai값은 -
26~21사이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으며 b’
값은 모두 (
+)값

으로 측정되어 Gr
een
괴 &l
l
ow-Re
d와 Y
el
lo
w에 분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육안으로 도자기의 유색을 기

준심아그룹을 분류 히였을 때와 딜리확연히분류되지않는다.유약층의빈사도는Fi


g.2,3,4,5
로도시
367

히었디-A그룹은 J
I
L든 시료기 5
60l
l
m이후에 빈시도기 감소하는 정헝이u1
‘A3시료만 5
60l
l
m이후에도 증기

히는 것으로 꾀인다 B그름은 B2,B3‘R5


시료의 경우 5
60!
l
ll
1
이후 맨시도기-
감소히는 경헝을 나타내고 있

으나 나l
너지 시료는 5
60n
m이후에도 증기하는 것으로 니바났다 C그룹은 C1
.C2시료의 경우 5
60n
m이후

띤시도기-
김소 히는 정헝을 니티내고 있으나 나미지 시료는 5
60l
l
m이후애또 중기하는 것으로 나퍼났 다 D

그관은 l
lL
든 시료기 5
60n
m이후에 빈시도기 겁소히는 정헝이l
l1
‘D6시료민 5
60n
m이후에또 증기하는 것으

로 보인 다.

티1
토층의 L-측정값으료 실펴분 냉l
또는 A그룹은 6
85~734.B그츰은 63.
9~743.C그룹은 5
89~

70
9.D그룹은6
03~75
6의값으로측정되었다,모든그룹의밍1
도값이5
0이싱으로백색에가까우며유
익층의냉도와마찬가지로그훤간분류가잘되지않는디 A그룹의냉도는평균7l
j이따표준펀치가l
.6
으로 시료간 펀치기 적은 것으쿄 측정되았디 B그판의 r
싱도는 평균 7I5
쿄 A그룹 냉도의 평균값과 일지

히나표준편치-
기37로A그룹에비해시료긴편차기 디소판 것으로측정되있다 C그판의평균은6
20이
l
냐표푼펀자기 5l
모 A.B그참에 l
l1
히1냉도가 낮고 시료긴 펀지가 크디 D그렐에서는 육인핀깔에서 죠질

로분류한D4D5.D6.D7시료의태도에흉반(
써;따)
이관찰되는것을특징으로판단히여 회색을띄는부
관괴 적색을띄는부분을각각3지점씩측정하。-
1평균값을구하았디 회섹을띄는부
녁관은g
(gl
a”‘직색을
띄는 부분운 r
(l
cd)
쿄 표기히였디 D그훤은 평균 6
73이며 표준펀치 50으로 C그판과 [
!}
친가지쿄 A.B그
판에 비해 l
성도가 닛고 시료간 편차기-
크디-D4~D7시료의 회섹부분과 적색샤닉븐을 각각 평균낸 결과 회

섹부분은 평균 6
86이띠표준펀치5.
2‘적색듀L
펀F은평균6
30이ul표준펀치3.
2로 멍도에서는유시한값
으로측정되었음을알수 있었다 a
t.b
r값으로나타나는채도에샤는그리1
프쿄도시히였을떼 l
:
lg6괴검
은 분포를 보이주고 있디 진처1시료로 보았을 때 a
i는-
03~l
5.Oj‘
는 26~1
84로 측정되이 맺몇 시료

룹 제외히고는 진싼적으로 l
Xe
d외 Y
ell
。w에 꽁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그룹의 ;
1
’는 OO~O5.b・
는 08~

70
으쿄 a
‘외 b‘모두 l
j1
고[적 낮은 제도값으쿄 측정되었디.B그룹은 a
-는 OO~l7.b
’는 l3~88
로 측정

되이 ;
l
t값은 A그휴괴 유시하니 b
、값은 A그콤에 l
jl
히|꾀디 높게 측정되었디,C그판은 a‘
는-O3~I
50.l
f
는-
26~l
84로 측정되이 시쿄간 편차기 큰것으보 나El
났디.D그판은 a
‘는 OO~ l
1.9
.bt
는 l4~1
SI로

C그판피 마찬기지로 펀치기-큰것으로 니El


났으니 육안관칠에서 양질로 분류된 DI D2
.D3시료는 A그

꽉괴 유시힌 지l
도쿄 측 정되었디 조낄로 분류펀 D4 D5.D6.D7
시료를 회색부분괴 적섹부분으로 분류한

결괴회색부분의a
-는02~24l
f는33~1
24쿄.적색l
펀 의a
i는58~l
19.l
f는1l3~l
8l보측정되
이 회색부분괴 적섹」
fL
분 이 획실히 분류됨을 볼 수 있다

E
||
토층의반사또는F
ig.7.8.9.1
0으쿄도시히-
였다 그래프에서A그룹은A3시료콜제외한과든시료
기일정힌딴시-
도를유지히는완만힌곡선으로도시되이전체적으로무채섹제엘임을일수있디 B그콤은
및떳시료의정우A그판괴-유시히-
거|나네났으나56
0l1
l
n이후에도 딴시-
도가계속증기히는 정향이다 C그
펀의정우시료긴콩일성이없으며Cl
‘C2‘C4
시료의 정우-는일정l
만시도를유지하는완민힌곡선으로
C3.C3시료의 경우 5
60l
l
m이후 띤시도기증기히는 곡선으로도시펴었디 D그룹의 정우양질로분류힌
D1
.D2 D3시표와 죠짙쿄 분류한 D4 D5 D6 D7시료의 회섹부분이 유시히 제 도시되었으l
녀D4.D5.

D6.D7시료의 적색J
;L
펀F은5
60l
1
n1
이후 빈시도기 증기하는 곡선으쿄 니티났 디

유약층괴 E
}|
토층의채도 반사도그래프흘살펴보았을l
대A그판의A3
시료 B그룹의B2B4‘B6.B7시
료 C그룹의C3C5시료 D그룹의D4D5D6D7시료의적섹부분이산회분위기에서소성되었을기능
성이 있으l
LL니l
J1
지 시료는 흰원분위기에서 소성되었을 기능 성이 있는 것으로 니티났디
|368


표 2〉색도 및 반사도 측정시료

시료사 진 시료사 진
구분 시료 번호 구분 시료 번호
유약층 태토층 유악층 태토층

TM |
|-A1

讓뀔
|灣; TM |
|-B1

|
離|원
{
TM |
1-A2

톨|
띔된l TM l
|-B2

f
톨|.
TM |
1 A3

l
費|픔3 TM |
1-B3

&
?
聲!|
1
:


A그룹 TM |
1 A4

i
擊1|
뿔li B그룹 TM |
1 B4

!
톨|쫓
TM |
|-A5

費|톨률 TM |
|-B5

헬훌:
|
學j
TM l
| A6

률||
률j TM |
|-B6

醫|
l 「聊]
|
TM l
l A7

f
띔딛 TM l
1-B7


댈|學
TM |
1-C1


」뽑L4 TM |
|-D1

|
壘|풋]
TM l
1-C2

F’
IM l TM |
1 D2


했|醫
TM |
1C3
I톨훌듀
l TM 1
1-D3

톨톨
C그 룹 TM |
1-C4

후캘훌=
I D그룹 TM l
1-D4

響|
i
|

TM 1
1-C5

Ig
I홉 TM |
1-D5

뽑|
L

TM 1
| D6

률|
펠J
TM |
1-D7

龜|
遭]
표준
Ta「
get 훌 「M
율l|
웰j 빼 | J
:
?|
「M
Ta「
9et1 Ta「
9et2 Ta「
9et3 Ta「
9et4
369 I

〈표 3) 유약층 및 태토층 색도 측정값

Glaze Body
구문 시료
L*(065) a*!D65) b*!D65l L*!065) a*(D65) b*(D65)

TM ll A1 58.7 -2.4 7.4 71.8 0.1 1.6

TMll-A2 58.4 -0.7 10.9 72 .2 0.1 1.3

TMll-A3 57.4 1.2 15.2 720 0.5 7.0

TMll-A4 57 .7 -2.7 76 72 .5 03 1.3

A그룹 TMll-A5 55.3 -1.7 8.0 70 .2 0.0 1.2


TMll A6 55.3 2.0 7.2 68.5 0.1 0.8

TMll A7 54.0 1.6 10.6 73.4 0.2 1.4

Ave 「 56.7 1.4 9.6 71 .5 0.2 2.1

Std 1.8 1.3 2.9 1.6 0.2 22


느===--= =
TMll 81 55 .0 03 11 .2 70.5 0.0 1.6

TMll-8 2 49.0 2.1 12.6 63.9 1.7 6.6

TMl l 83 60.2 - 1.7 8.5 74.3 0.3 1.3

TMll 84 53 .9 1.2 12.7 74.3 0.3 6.4

B그룹 TM ll-85 58.0 -0.9 9.3 729 0.3 1.7

TMll -86 44.4 1.3 9.9 70.4 1.4 8.8

TMll-8 7 50 .4 1.0 9.9 74.0 0.4 6.6

Ave 「 53.0 0.4 10.6 71 .5 0.6 4.7

Std 5.4 1.4 1.6 3.7 0.7 3.1

TMll-C 1 61 .4 -2.3 5.6 7[] 9 0.0 0.6

TMll-C 2 50 .2 -1.1 5.7 59 .4 0.3 0.3

TMl l-C3 56.4 0.4 9.0 61.5 5.2 12.8

C그룹 TMll-C4 55 .5 0.9 12.2 59 .4 0.7 -2.6

TMll-C5 63 .5 0.3 9.4 58 .9 15.0 18.4

Ave 「 57.4 0.4 8.4 62.0 4.1 5.9

Std 5.2 1.3 2.8 5.1 6.5 9.2


====== 느=

TM ll-0 1 57.3 -2.6 8.3 70 .5 0.1 1.4

TM ll-02 56.7 -1.0 9.1 729 0.2 1.9

TMll-03 53 .0 -1.1 11 .4 71.0 0.0 1.4

TMll-Dι 9 75.6 0.3 3.4


58 .4 0.9 14.5
T Mll-0 4- 「 66.9 11.9 18.1

TMll 05 g 64.5 2.4 12.4


57.7 -0.1 11.6
D그룹 TMll-0 5 - 「 60.4 8.1 17.7

TMll-06-g 65.0 1.9 5.7


49 .4 -0.4 8.3
TMll-0 6 - 「 64.3 5.8 11.3

TM ll-07-g 69.4 0.2 3.3


60 .0 -1.4 8.0
TMll 07 「 603 8.1 13.6

Ave 「 56.1 -0.8 10.2 673 3.5 8.2

Std 3.7 1.1 2.4 5.0 4.2 6.6


|370

?b’
n-
-u。“)

-3-

(
Gre
e이
-
3|
0

-b‘

@l
ue}

100o

잉Oo

8oo

70o
l Tf
All
-A
6oo
l TMl1
-a
5oo
- TA’11
-c
4oo
l TMl1
-O
30o

3oo

1o o

oo

A1 a2 A3 A4 AS A6 A7 81 8Z a3 84 a5 86 87 C1 CZ C3 C4 C5 01 oz 。3 04 05 。6 07

〈Fl
9.1〉유약층 색도 분포도

이도Z효신 도지기 A그. 유익§ 인사i 이도lI션 도자기’그. 유익§잉!


샤오

;
§
i
“ ‘- - -‘ ・ “ 1


F|9.
2〉A그룹 유약층 반사도 〈
F|9.
3〉B그룹 유약층 반사도

마도2호신 도자기 〔그. 유익§ 인사도 이£2효선도져기 。그. 유익e 인시오

l“ (

U l 2/- if
--;- --
-- -“ =----- ~‘~ 「~‘-

f m| /i 7 /rrr -~ 〈늑 ;
S 1 / /4/’/ //’ ------←
i 1 / ι ?;ζ;r--
l’‘ 1
-Ml
m

---
s m e,
--ru lm
- M p,

ig @ @ @ @ @ ig RI li
4 ‘@ ‘g X@ ’” ‘’ i
W Rg

‘ ・
‘-i ’ -.
‘・@ 1


Fig.
4〉C그룹 유약층 반사도 〈
F|9.5〉D그룹 유악층 반사도
37l

looo

9oo

goo
・ T‘’1
l-;
?0o

ioo ・fk1l
lg

5o o
・TAA”C
4oo
・7‘1l
l-D
30o
・ Tκ1l
l0-a
2oo
l Tκ↑l
l0-r
1oo

oo

i
〉융 i
〉,?양 i
iiif
〉상 장 *
?* * 9 ‘
:、강 강 강 @ @ 장 강。‘
。。,
’셔 μ서‘
Fb‘
ib‘’이μ、‘
〈, c 。 〈’ ‘ 。


Fi9.6〉태토층 색도 분포도

이도2흐션오지기A그・ qag 잉시오 이도2호성도져기8그. 예l§ 인사£

-
:===
-

- ~
~

i
;
:갖롤: ;
;
쫓를드

~

~ -

- n m m
- n 。lA1
- @ e
- n m “
- n m . ‘
- n al‘ ’

- rg IA‘ - n m ’

- M e i
- r
w 서
- M Ii
- n m ‘。

- rg lA? - 5 gl
l,

o
0

’@ @ ‘
i i
@ - ’& a - 6
@ ’
@ “@ l
& & - ‘% ’
@ . ,& 6
@ . ‘& *“ i


Fl9.7〉A그룹 태토층 반사도 〈
Flg 8〉B그룹 태토층 반사도

이오2효성 도지기 C그. i


la흩 인사도 이S2g잉도자기 。그・ q‘g 잉샤오

j-
Jj
II
-
1

-
-
-
--
rr

i
;
:;~-
ι7ι「;
:
;
r - M lC ‘
-

-
M

n이 。,
。,

5alι ,
-

-
n

i
m

i@ @ .

imo‘・
o

- naiP‘i- r
ial@ ,
- nm i - nm o ’

。 ’
%i- ‘
여- “・ ’

*- ’
”‘ t
i [ IS
ii *- ‘-

& @ @ & . ,& @i 싸 *i ”g
・.,
i,i i

〈FI
g.9〉C그룹 태토층 반사도 〈
Fig.10〉D그룹 태토층 빈사도
|372

@ 겉보기비중 및 부피비중,흘수율,겉보기기공률

비중은부피에대한상대적질량을수치로표현한값으로물질이지닌가장기본적인물리적특성중의
하나이다.
도자기의비중은소성과정에서원료광붙인점토가변화되고,이들변화에서흡착수나결정수,
이온수 등의탈수반응과유리질회되는과정에서기공률이감소되고.치밀화되어비중이증가하게된다.
즉,자화정도와치밀도,시용원료의특성등에띠라 달라진다는 것이다.이러한특정은고려청자에서도
각도요지나시대별생산기술의차이와시용원료의상이함에따라물성이디르게나타날것이띠,이를이
용한 간접적인산지 추정이 기능 할 것이다.

비증은겉보기비중괴부피비중으로나뀐다.
겉보기비중은표떤의기공만을고려하이측정된값이며,
부피비중은표면및내부기공끼지를모두고려한값이디.정자는 초기제작과정에서 내・외부에기공이
불규칙적으로형성되어있으며,측정을 위해진처리하는 과정에서도자기표면에기공이형성될기능성
이크므로부피비중을그 비교 대상으로선정하였다.비중 및흡수율‘기공률은도자기의자화정도와 치
밀도를나타내는증요한지표로서시용 원료,원료의수비과정,소성온도.소성분위기및온도의유지시
간등요인과연관된다 그러므로이들이도자기의제작기법빛소성분위기를어느정도반영할수있다.
A그룹청자는겉보기비중220~23I
,부피비중2.
l1~22
8.흡수율05
7~2%,겉보기기공률 l
.24
~508이며,B그룹 청지는 겉보기 비중22
3~238,부피비중206~220.흠수율 20
9~5
.%,겉보기
기공률 46
0~1
229이다.C그룹 청자는 겉보기비중230~238,부피비중20
2~230,흡수율 1
01~
74
7,겉보기기공률 227~l
508이며‘D그룹청자는 겉보기 비중22
4~2%,부피비중 1
.97~22
6,흡
수율 0.
60~89
4,겉보기기공률 l
.33~1
758이다.측정결과는 표4에 나타내었다.

A.B두그룹에서부피비중은큰차이가없으며,흡수율과겉보기기공률에서B그룹시료가좀더높은
것을확인히-
였다.이것은A와B그룹 시료의소성과정에서자화도・치밀도에치이기발생하였다고추정
할 수 있다.

B.C.D그룹의 경우 시료마디 흡수율과 겉보기 기공률의 편차가 크며,특히 D그룹의 경우 육안관찰에

서양질로분류한Dl
.D2.D3시료는A그룹과유사한 양상을보이띠,조질로분류한D4,D5
.D6
,D7

료는 B그룹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 00

18 OO

16 OO

14OO

12 OO

-- 겉보기비중
1OOO
-- 부 피 비중

8 OO -*-릅 수율 (
%)

---겉 보 기 기공 률(
%)
6-
。。

4OO

2-
。。

o oo

A1A2A3A4A5 A6A7B1 82 B3B4 85 B6 B7 C1 C2C3 C4 C5D1D2 D3D4 05 D6D7


Fig.11
〉겉보기비중 및 부피비중,홉수율,겉보기기공률
373 I

〈표 4) 겉보기비중 및 부피비중, 흡수율, 겉보기기공률 측정값

구분 시료번호 겉보기비중 부피비중 홉수율1 % 1 겉보기기공률1 %1

TMl l-A1 2.22 2.11 2.28 4.81


TM ll A2 2.20 2.17 0.61 1.32
TM ll-A3 2.24 2.13 2.39 5.08
TMll -A4 2.31 2.28 0.67 1.53
A그룹
TMl l-A5 2.25 2.17 1.69 3.67
TMl l-A6 2.21 2.19 0.57 1.24
TMll A7 2.30 2.22 1.68 3.72
AVER 2.25 2.18 1.41 3.05
TMll-8 1 2.23 2.09 2.99 6.25
TMll - 82 2.28 2.13 3.07 6.56
TMl l-83 2.29 2.12 3.59 7.59
TM ll- 84 2.38 2.10 5.59 11 .74
B그룹
TMll -85 2.30 2.20 2.09 4.60
TMll - 86 2.33 2.20 2.60 5.72
TMll-87 2.35 2.06 5.96 12.29
AVER 2.31 2.13 3.70 7.82
TMl l-C1 2.30 2.14 3.42 7.30
TMl l-C 2 2.31 2.26 1.01 2.27
TMll -C3 2.38 2.13 4.94 10.50
C그룹
TMl l-C4 2.38 2.30 1.44 3.31
TM ll-C 5 2.38 2.02 7.47 15.08
AVER 2.35 2.17 3.66 7.69
TMll-0 1 2.29 2.26 0.63 1.43
TMll-0 2 2.24 2.19 0.96 2.10
TMl l- 03 2.24 2.21 0.60 1.33
TMl l- 04 2.30 2.06 5.03 10.36
D그룹
TM ll-05 2.39 1.97 8.94 17.58
TM ll-06 2.32 2.11 4.19 8.85
TMll -07 2.30 2.07 4.82 9.97
AVER 2.29 2.12 3.60 7.37
|374

(
2)번조특성 분석

@ 미세구조관찰

시료의미세구조관잘결과는표5
-1,2,3,4에나타내었으며,유약층의평균두께는 1
50~2
50u
m로측
정되었다 유약층상태를관질한결과A그룹과B그룹의유약층은크게다르지않으나,B그룹의유약층이
A그룬의유약층보다A그룹보다자화상태가불량하며.유약층의두께기고르지못한것을봉수있다.또
한크고작은기표가더많이흔재되어있어소성후기포가배출되지봇한싱패에서냉각되었음을알수
있다 C그룹의유약층의 정우A,B그룹보디크고작은기포가 디량흔재되어있으며,자호냉 태가불량하
다.특히C3
시료의유약층은표면이고르지못하띠‘C5
시료의유약층에는 기포와석영이소량관찰되고
있다.D그룹의Dl
.D2,D3
시료의유약층은 기포기-
소량존재하고.투명한A그룹의유약층과유사히펴,
D4D5,D6.D7시료의유약층은크고작은기포가다링:
존재히는 B그룹의유약층과유사히다
배토층의관칠결과A그룹과 B그룹묘두크고작은 기공이흔재하며,B그콤에서는미용융된석영입자
가관찰 되었다.또한 태토부분에발생되어 있는균열은 유리질로채워져있어고온소성되었음을일수
있으며,패토의기공은 시료에띠리 디잉한 싱-
태로니타나고있다.하지만A3시료의경우미용융된석영
임자기관잘되었으띠기공이비교적많은 것으로보아.다른A그룹시료에비해지화가덜된것으효꾀인
다 C그콤의태토의경우,전반적으로크고작은 기공이디량흔재되어있으l
까.미정융된석영입자가존
재하고 있다 다만A그콤과B그룹과길은그룹간통일성은보이지않고석영의상태나기공의양은시료
마다차이기있다 특히C1
시료의경우는미용융된석영입자가관칠되기는하나.C그룹의다른시료에비
해기공이적으며회색질의태토로,B그룹과유시-
하다.D그룹의Dl
,D2,D3
시료의태토층은A그룹의태
토층과유사하지만A그룹의태토층보디-
기공이적다.D4.D5‘D6.D7시료의패토층은크고작은기공이
혼재하며,미용융된석영입자가관창되는B그룹괴-
유사하다-
,
흡수율 및겉보기기공률의실험결괴와 비교하았을때A그룹와B그룹대부분의시료기-
큰차이기없으
나A그룹이좀더치밀하다.C그룹은통일성이없으띠Cl
시료의경우흡수율과겉보기기공률이B그콤과
유사히커l
측정되었디 D그콤의경우Dl
,D2.D3시료는 치밀하며,D4,D5,D6,D7
시료는치밀하지못
한 것으로 보인다.
375


표5-1
〉GmupA단연관찰

| 2
5배 50배 1OO배 200배

l
繼짧
한;r-
--:
it-
-파 :
앓‘l

TM|
1-A1
택 헬g
뚫젤i
P
;「
i-웰;;
i、
擺:

깅씩 ,
ι
;
L혔 ”
싹 ’‘
극γ・;
’ri:1・ i’
:‘I

→q
핑「이
한챈덩
션랐F
r
*i!
-
-
1말함센 퍼;
F
l
rj꿇뿔뻐색폈’
, ‘ f」
짧j
.i ν 13 」! ‘
r ‘

잃繼l
셔“
i서・

‘、:3
‘τt
i-‘
*・
,、 t
ι1 ・i ‘ rr .1
1,

TM l
lA2 꽉・
C
갚・i
”:-

「F
‘;
‘-
-: -← £
L‘’・ ‘・

・]
‘닫1--
-ι-
- -1
?’
‘암; ;5b’
TM |
1-A3 R・1
:t「i
‘a 、r,
1

f
f
“‘;
-l

않흘쾌
-
ι Ji
1냐 i 1,ι

・1・
책 앤;,ζ i ‘
「r;「
때; ;
・“삭 -
-f.
L‘
TM 1
lA4 “ ・r
‘ a‘ ! f! 1i
헐・
.? 」
1.f ;“ : f
ij
← ;

l
??;:f
f「
i

잔g :
「 ・

/・
-r‘1I4
FiF* 1
-、-꿇隱
」 」i톨i 훨 앙ii

표풍 £i

--
--- - i -i ai 톨 .

「직 받훤 걷&r
문?기
體體騙
l
辦곽웰
j
t g, r
1 ‘퍼 ‘gj

TMl
|A5
;
헬i냥?ι;
:
,-r/ 까
?T 1J
F홉 -
2r-느
합듀깅??
;!
;
펴,ιA’I
l --I조r, i :3
ι -1」- ‘ ・- 」 냐 휠 철숱윌파 파;펴

TM|
1-A6

|
誌繼l
TM |
|A7

l
繼짧
|376


표5-2〉Gα pB단연관찰

256
H 50배 1OO배 2008H

TM |
|B1

I
藝편7
말했
l・ 、
l‘

f
h
i--
lf
늦;
?한념:

‘-「
ι
C찮 ξ-
j?
쩔찬획

’i;;

.
「, ;
F‘l
- - - -l

l
i
;
、짧l
-- ‘ 、 - - -- ll

l ‘;’ ” - ‘-‘ -l
l . t - -
TM|
1-B2 l - ’ -~- ‘- -“ l

l
져‘;‘-‘l
Ii?
?;를

TM|
1-B3

l“.
’‘
-、 i 은,--,
l

鐵l
tι r/- -- - 써
,- - ‘- ?・ ”J
TM |
lB4 ・r‘ 냥 .v ι
1 fi

파r
;
쉰뜰;
」?
1

TM |
1-B5

TM |
|-B6

|} |
篇책짧

TM |
lB7
377

〈표 5-3〉Gr
。upc 단 연관찰

25배 50배 1008H 2008H

TMl1
-C1

I
L
:
fr
:
;체
:l;엿|
편l
l l
rJ:
훨 l

* - -
’‘
e ‘ -‘

・ , - -
TM |
1-C2 -
- ‘ i
* .

c
“ . ‘ i r


t

- -

TM l
l-C3

l
f「;l충lijFl
l
획-
짧l
l;ll냐
F
:쉰l
|
:펀l
| ‘ ”£;
d- ‘ ‘l
TM l
!C4 l ・ 띤 ‘ ? .
l ’ ‘- -
、 ι?・ ‘ ll
l? ?
; ・‘ I .rf?l・
I
l’
.?~

‘、3‘

1.・
:k.
’ ‘ 、 ・‘・・
. ‘ - ← -

・νι , - - l-

|‘rl
폼편
l |
斷議;
꽃r
:l
/ , ι、 1 ‘ -- l-

l
r;fl
- - 、- -i- -
; , “ t -
‘ , ・ l‘τ

-l
-

i f -

TM|
|-C5
- .
?il

驚鐵繼
’ Ill

I‘ lll
|378


표5-4〉Gr
aJPD단연관찰

25배 100배 200배

’ ‘ ’ ‘- “’ ‘i
r .r
l 1-
;; ‘
--쇠 : r
:

짧폐
J
「 「」・r‘L・ -
--ji; I
-한 .
객jξ J ?ir--

TM |
|D1 - ‘ ii “ ‘rra ‘ i
L ’

¥ a~g
‘ r‘
at
1仁fi
;
.“ γ‘ 1 Ji-

를・ “

j
;S
U
P
-
;;i
?f?
단・L‘ ‘ - -

TM i
lD2
〈+4
‘암1
,,
x‘
j용엔iJ
J:

TM|!
-D3

體룹
繼뤘
뚫덴

?
훨훨

Ai냥: ‘’
r31
l
l :s: ‘ . 3-‘..
TM|
|D4
l
f‘’
?ζ;
4한 ;
faj
;c

:tl

l
첼힐F
ri
훨鎭 l

TM |
|D5

FJ」・
IF τ;
깐 수--
’1

TM l
|-D6 펀;

쉰f궐판
i
;{‘
rJE
‘ &-i

TM l
1-D7
379 1

@ 결정구조분석

X-
선회칠분석법을이용히-
여광물을동정하고 번조온도를추정하는 기법은고대토기에 대한현미경
추정기멤이후 l
970년대초기부터시직되었디 이러힌결정구조분석은분석다l
상시료에대한성분의화
핵원소로사가 아니라 시료 증에 실제료 존재하는 물질 자체와 깥은 렐질의 동소체를 구별 할 수 있는 분석

법이므로도자기내부에존재하는온도지시광물의결정생성과 떤호벌 간칩적으로분석히여번조온도를


i x1
-「 。하
d 〈
-「 이
λA다1

정자펀에서는 펀조 조건상 고온성 지시광룹 인 월라이트(


mul
l
lt
e)
와 크리스토빌라이트(
C따r
ob외l
I
e).트

리디l
〕l
이르(
〔r
ldy
mi찌 등이주로생성됨으로 이들의존재여부와존지}
랑을 이용하고있으l
져.이들광룹이
온도 와 초 건에 따피 디영한 상 변 이를 하 기 때문 이El
--

X-
선 회절분석결과는 F
lgl
2.l
3,l
415와낌이 그래프로도시하였으따 모든 시료에서Qu
art
z와고
옹젤정상인 Mu
ll
it
e기 동정되었디.온도와 죠건에 띠른 광뭘의 상번이 과정괴 지시광물의 생성옹도로 닝l

고l
하았을l
I
H,A,B,C.D그룹시료들의소성온도는 l
.OO
O~l
.20
0℃료추정해볼수있디 소성온도1
.200
~1400℃의지시광불인크펴스토발라이트(
cIl
sr
ob뇌i
re
)기동정되지않았고 도지기의 평균소성온도가
l
,200℃이상이파는것에비추어볼때.청자의스성조건 빙댐,재쿄에침기펴는용융제등에차이가있을
거 。 -I츠 저 되 다
〈 - - ( 1 o 」 1

61

・J

e,
ν
’‘
M Mu1
”・ ‘’ l1uI
”‘
.?

Q Quit
: Q Quar lZ


Fi9.12〉A그룹 결정구조분석 결과

。 1
。I 0?
Ol
CJ o‘

여 --- 。,

또필필
06
kl k1
ull
le ,
Q Quart
z

Q영 QQ


Fl9.1
4〉C그룹 결정구조분석 결과
|380

4/)매으
:I그 마
?t E큰

자연과학적분석방법중물리적특성(
색도 및반사도,비중등)
,변조특성(
결정구조 및ul
세구조)분석
을통해얻어진충남태안마도2
호선적재출수고려청자의제작기술특징은다음과같이요약할수 있다.
첫째,물리적 특성 중 색도 및 반시도 분석에서 A,B,C,D 그룹 유약층괴-태토층 1
정도는 흰색에 기-

고,유약층과 패토층의 채도.반시도는 A그룹의 A3시료.B그룹의 B2,B4,B6,B7


시료,C그룹의 C3,C5

시료,D그룹의 D4,D5,D6
,D7시료의 적색부분 이 산회분 위기에서 소성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나띠지

시료는 흰원 분위기에서 소성되었을 기능 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중 ・흡수율 -겉보기기공률-걸괴에서 A.B두 그룹에서 부피 비중은 큰 차이가 없으며,흡수율과 겉

보기기공률에서 B그룹 시료가 좀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A와 B그룹 시료의 소성과정에서 자

화도 ・치밀도에 차이가 발생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B,C,D그룹의 정우 시료마다 흡수율과 겉보기 기

공률의 편차가 크며.특히 D그룹의 경우 육인관찰 에서 양질로 분류한 D1


,D2,D3
시료는 A그룹과 유시한

양상을 보이며.조질로 분류한 D4.D5.D6,D7


시료는 B그룹과 유시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번조 특성 중결정구조의분석결괴로그룹A.B.C,D진체 시료에서Qu


arg와고옹결정상인
Mt
버lt
e가 동정되어,지시광물의 생성온도를 반앙히였 을 때 소성온도는 l
,OOO
~1‘
200℃로 추정된디.미세

구조를관찰한 결과,유약층의평균두께는 1
50~25
0um를이루고 있으띠,A그룹과D그룹의D1
,D2,D3
시료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의 태토층에서 미용융된 석영덩어리와 장석이 잔존하고 있음이 관찰된다.B,

C그룹과 D그분의 D4,D5


,D6,D7시료의 경우,유약층의 자화상태가 불량하며,기포 잔존량이 많고 불
순물이 다수 확인된다.

참고 문 헌
정용화 임성태,2009,「
고려정자의 자연과학적 분석 연구」1
「고려정자 보물선-
태안대섬 수중발굴조사보고

서」
,국 립해앙문화재연구소

정헌생 ・김종오,19961r
세라믹스화학」
,반도출반사181-
248쪽

이영은 ,
1998,「
조선분정의 성분 및 미세구조연구」,
중 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44-91

Vandl
ve「
,P B]990,r
Am entGl
aze」,
SCEnt
lf
lcAme「
ican,8084쪽

오영우 ,1998,r
세라믹스의 분석과 계산」
,경남대학교 출판부,33473쪽

문종수 ,
초|태현,2
OO31r
도자기공학 | 기초펀-
」,두앙사 1
83-
210쪽
한국표준협회,1996,「KSL4008-
도자기의 흥수율,
부 피비중 ,
겉보기비중 및 겉기공률의측정방법]

r
한국산업규격」
C〕 늑 L〈
tri l-「 이기길 1996,「
조선시 대 기와 ・전돌과 질그룻의 재료와 구운온도 분석」
,r한국고고 학보34」

161 1
94쪽

한봉희,19991
rX-
선회절」,
반도출반사,496497쪽

임성태 ・
이경로 강승희 정용화,
201
01「
고려정자의 자연과학적분석 연구-
태안마도 |
구역 해저출토
도자 기」,
r태안 마도 1
호선 수중발굴조사 보고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한민수,20061
「해저인앙 고려청자의 산지추 정에 관한 과학기술적 연구」
1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l

2.마도2호선 출수 청지음 각연화절지문매병의 복원

박기정(
서울역사박물관) 이경로

1
)머리말


청자음 걱언화 칠 지문 l
!l
l벙‘
은 패안 마도 2호 선 수 증빌굴 조사괴정 에 서 피-
펀으쿄 수슴 되 었디 해양 수증

싱태 에서 오랜 기간 때장된 유플의 경우 발굴 이후 기용성 엠류의 재결정에 의한 손상이 l


말생되기 때문에

신속 한 꾀 쓴처 리가 필요하 디 해 잉:
이|서 파펀으 로 수습 된 청지음 각 연회 쉴지문 Ul
ll
청의 보 존 처피 괴 정을

소개히고자 힌다

2
)보존처리

CD처리 전 조사

어떤 유물이든 ]
다존처리를 꽉적으로 한다띤 제

일먼저 수행히-
는 일이 유물의 상E
}1
를 정확히까1피악

히여 정보휠 기콕히-
는 것이디 이휠 처리 진 조시 라

히띠 이렇게 피악된 정l
;L
흘 콩해 처리빙향을 섣징
힌다

먼저 육인 씻 현미정관섣을 콩히여 제작기l


셉,파

손상데.문잉.재질 등을 피악한 후 처리 전 싱태룹

시진 휠영 히고‘기확카드에 유깥의 규직괴 주요 특



사진 1
〉처리 전 상태
정 처리계획 등을 기꽉힌다

청지음 걱얀회칠지문 n
}1
탱’은총 3
7개의 피편 으보 수숨되었으[
녀 예l
jl
침합 후 유델의 형태와 분잉을 획

인할 수 있었다 형E
ll
」를확인한 질괴 작고 예러한 각을 지닌 구얀부와 풍만한 동처1
부와 잘룩한 폼-
동-의 헝

태룹 니티낸다‘문잉:
은 어끼l
에는 운문.동i
ll
부는 연회칠 지분‘저부는 뇌문을 음각했디

@ 해앙염 제거

해잉:
에서 출토된 유룹은 수용성 염에 오랜 시간 노출되어 있었기 때문에.허|
양엠을 제거하지 않을 경우

유익층 내부의 결정화로 인히여 유약층이 박꽉될 수 있디 따라서 본 유뭘의 경우 4주간 수조에 증류수를

넣고 도자기룹 침적시켜 깥을 순환시끼는 빙렘으로 해양염을 제거했다

@ 서|

세척직 임은 유플의 표띤피 피단 띤에 부칙되 어 있는 이쉴칠을 지l


거히는 것으쿄 보존처리과정의 실질적

인 첫 단계파 할 수 있디 세칙을 히는 주된 이유는 표l


씬의 경우 이물섣료 인하。l유룹의 종요한 문양과 색

상을 기필 수 있고 파단l
렌에 부착된 이불짚은 낌힘 괴정 에서 점척력 에 문제기 생낄 수 있기 때분이다 세

척 시 주의할 시헝으로 학숨적으쿄 증요한 문양괴 색상 이 지워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청지음 각띤화절지문 !
]
1}
땅 의 정J
?-유젤의 정도가 높고.열에 의힌 팽칭도가 낮기 l
대분에 스텀분시기룹

이용한 세칙을 실시했다(


시진 2
).스팀분시기를 이용한 세척은 피딘 면에 스띠든 이끓짐을 쉽게 지l
거힐 수

있고 U
H우 효괴적이다 또한 룹을 시용 히기 때분에 회학약품을 시용할 때 보다 유뭘에 인진한 장침이 있다
|382


사진 2〉스팀분사기를 이용한 세척 〈
사진 3〉세척 전 후 비교

@ 접합

침힘은 조각들의 유실을 막아 주고 형패를 복원하여 유물의 가치를 부여하기 위해 실시한다

유불의 점함과정에서 시용 되는 칩착제는 디음 시헝 을 고려하이 선팩히여야 한다.깨진 조각들이 충분

히 붙을 수 있는 접착깅도 를 유지히-
여야 히며.도토기의 기공에 스며들지 않는 알맞은 점성을 유지히-
여야

한디-
-또한 접착 시 수축에 따른 응력이 발생되어 손상이 빌-
생되므로 수축력이 작아야 하띠,제거할 때 유

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가익성이 높은 재료를 시용하여야 한다.그리고 가급 적 접합

선이거슬리지않는 투명한 재료가좋으며.적절한경회속도를유지하여야 한다.본유물의경우Cy


ano
-
a
cI
yl
a[
e계 접착제인 I
ρcur
e4Ol
을 시용했다


칭지음 각연회절 지문 매벙’
의 경우 예비접합을 통하여 접합순서를 확인했고,예비접합 시 시용 힌 접착

태이프는표면에지국이남아지저분해질수있기때문에확인후비로제거했다(
사진4
).
접협-
은 예비접함을 통해 획인 된 접합순서에 따라서 진행했으며.치부에서 구연부 방향으로 접합을 실

시했다.또한깨질 때충격으로‘
sp
rl
ngi
ng‘
한상이발생하o1박리부분이어긋나고 벌어진곳은조임밴드를
이용히여 접힘띤이 일치하도록 힘을 가한 후 접힘하였다(
사진 5
)접합 시 주의 시항은 조금이라도 어긋나

게 되띤 니중 에 파편간에 틈이 벌어져 형태기 어긋나므로 세심한 접합이 필요하다


사진 4〉예비접합을 통한 접합순서 확인 〈
사진 5〉접합 후 조임밴드를 이용한 고정

@ 복원


정지음 걱엔화칠지문 배벙‘
의 경우 유물의 형E
H추정이 기능 히-
고 복원 후 전시에 활용히기 위하여 원형

으로 복원히기로 결정했다.
복원 방법으로는 유불의 피편이 많고,결손부위가 많기 때문에 여러 가지 재료

와 벙법을 이용하여 복원했다.

구연부의 경우 남아있는 부
분 을 시용 하여 S
ll
ic
onr
ubb
er로 거푸집을 딴들어 결손부에 동일 형태로 제작

했다μ}
진 6.7
)동체부의 경우 l
/3정도 결손 된 상태로 출토기-되었기 때문에 결손부 반대편에 주석박으

로표띤을보호한후S
il
ic
onr
ubb
er로거푸집을제작히-
여결손부위에대고충진히여 복원했고(
시진 8
).동
383

체부 상단의 경우 접함 후 S
N-S
hee
I로 보강하。!
복원했다(
사진 9
).이때 결손부위 내부의 형태도 유지할 수

있도록 우선순위를 정하여 작임했다

꽉윈저l
는Ep
oxy수지인L-
3O괴충진저1
인T떠c
촬흔합히여 시용했으나l
.왼전 정회후고운사포외베스
등 도규L
를 사용히에 표딴 얀마작업을 실시했다(
시진 1
O‘l
l),

*
1
4ιLi4
-‘

〈사 진 &〉구 연부 결손 부위 거푸 집 제작 〈
사진 7〉동일 형태로 저|
ξh하여 복원

〈사진 8〉S1
|
lc。nmbber
를 사 용한 복원 〈
사진 9〉Sf
*S%et
로 보강


사진 10〉표연 연마 ξk
겁 〈
사진 11〉복원 후 사진

@ 색맞춤

보존처리규뱀에 의히-


L
l

고 진시되었을 정우 일반 관립객이 식열하지 핏힐-


정도가 되도꽉 권장히고 있디.‘
칭지음 각연화칠지문 매

벙’
의 꽉원부의 색맺춤은 유물의 색상괴 조회를 이루도록 싣시했고.분양은 집합 시 연결부분만 최소한으

코 그려 넣었으떠 결손과위를 복원한 부위는 확인이 기능하도콕 그려 넣지 않았다

청 자음각연화절지문 U
H벙’
의 색맞춤 재료는 주로 아크릴 풍감을 사용 하였는 데 수용성이어서 기룹을

사 용하지 않기 때문에 건조기 삐르고 시용 이 간편히-


디‘또힌 부착력이 강해 모든 바당재료에 칙색 할 수가

있고 건죠 시 피딱이 형성되어 자외선에 의한 변색과 퇴색의 엠려가 없으띠 내구성이 강하여 보존처리 시

색맞춤 작 엄에 유용히게 쓰인디-


1384


사진 1
2〉에어브러시를 이용한 색맞충 〈
사진 13〉색맞충 완료 후 사진

색맞춤 방법으로는 에어브러시로 물감을 분사히-


는 벙식을 주로 사용하았다 광택이 있고 딘색으로 이

루어져 있는 유물의 바탕색은 에어브러시로 색맞춤 하였는데 붓을 시용할 경우 자국이 남기 때문에 표현

이 어려운 부분의 색맞춤에 효과적이다(


시진 1
2.1
3).

3l)매으
?〈 I그 마
EE

태안 미-
도2호선 수중발꿀 조사를 통히이 빌꿀된 ‘
청지음각얀화절지문 매벙’
은 보존처리괴정 을 풍하여

제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세척 시 기급 적 약품을 시용 하지 않고 물을 이용히여 증기의 형태로 사용 히였으

며,색맞춤시 정확히 알 수 없는 부분의 문양은 표현하지 않았다.

본 유풀은 과존처리를 통하여 안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힌 유물을 통해 발굴지역의
해석과 당 시대플 연구하는데 지료로 제공된디는 접에서 중요히디-
할 수 있다.

참고 문 헌
박기정,
20071「
삼천사지 출토 도자기의 보존 및 연구」,
r문화재보존연구」4집

앙필승 ,2OO51「
도 토기의 보존과 복원 -보존과학기초 연수교육」
,국립문화재연구소

Wl
ll
amsNl
gelandLHo9an M B「
uce-Ml
tf
O「d,
2002,PO「
Cel
anRepal
「andRest
orat
lon,

Unl
v ofPenns
ylvanl
a
385

3 마도해역 출수 청동기의 금속학적 연구

이경 로 ・강 승희

1
)서론
청동은구리를기본 소새로사용히고 주석‘아얀.님등을첨기하아제작하는후
묘f이다 청동합금은전
세계적으로고대로부터널리시용되있으며.우리나라의정우식기.÷
늙L.익기등 다양한용푼에시용되
었는데.이러한 제품들을 유기’
리고 불렀다

이리한 유기의제작과정은X
ll
련.주조.딘조 알처리의딘계효구분된디 제련딘2
|1
에서는힘곰에포
힘될재료와함량이결정되I
져.주조 단계에서는 띠리제적된뜰에협곰을부어형패를저l
작한디-주조청
동기의경우이딘계에서x
ll
작이완료되지민단조칭동기의경우단조 및열처리를거쳐서제품으로제작
된디 정동기X
11
작괴정에서힘곰비율괴제작공정은정등기기습체2
11
를밝히는데증요한지료기된디.
이에띠라서패안마도해역수종발월조사플 통하여출수된청동기5
0점중에서 l
2점을선정하이당시
고해시대 선박에서 시용 된 청동기의 제작기술 처1
21
l출 밝히 고자 한디.

2
)유물 및 분석방법

C
D시료 및 분석위치

페인 미도 해역에서 발필펀 청동기 총 5


0점 증에서 칭동
순 기꽉 6점.청동용-
기 6점을 선정했디.시편의

채취는 유물의 외형을 손싱시키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아 피-


손된 부위에서 지1
쥐했디-
.분석 위치는 칭동

숭기락 의 경우 숲부와 숨지루‘청동용-


기의 정우 구연부와 지부에서 분석을 실시했다.

@ 시펀의 전처리



f속조직관잘시n
m
1m
。m
u
l
m

l

m
n
l1

n
cl
멍,
l 웬
g



r”
i
n
l1

d
c
h
im
l

n
r땅
1
g’!

p
m
J


。h
l5
l
S

h
lm
u
1
m
l앵
n
I

1
g’c

K
〔이
C
hm

l

n
!땅
1
g의괴정으프

E전i

l리
랴1
룰실시한디-각각의시편은
E
pox
y수지를이용히여Co
ldmo
unt
l
ng을실시하았으며S
andP
apC
l#4
00‘
#80
0,#l
200
.#l
500
‘#2
000
끼지
Gl
l
l1
이ng
을싣시하있디 이후6
um.l
ul
n의Di
a
mon
dsl
때e떠O
I1
을시용히아 P
이ls
l
끼멍을한뒤Et
ch
ll
1g
을실시
히았디 E
rch
lng-
용액은증류수I
2OI
nl
,Fl
Cl3
Olnl
‘Fc
Cl3l
맹을흔힘히이제조히있디

@ 미세조직 관잘 및 성분분석

시편의띠세조직관질은핑학한l
〕l
경(Ax
lOp
l띠12,Ca
IlZc
ls
s)
을시용했고.이촬획대히여관침할 펼요가
있을띠l
에는주사전자헌띠정648
00.Hl
I
acl
1l
)의기속전압을 l
5Kv
로히-
이분석을실시했다
미세조직에 니타닌 화학 조성은 주시잔 지현미정에 부착된 EDS(
Oxf
ord65
06.Hor
lb
a)를 사용히여 분

석을했다 띤분석의경우3회이싱실시히아 평균값을구히였으l


上1
.바금속개재물의 경우포인트분석을
실시하였다
|386

3)분석결과

(
1)정동숱 가락

@ 마도 |
|지구 1
5번 정동숨가락

마도 n지구 l
5빈 청동숨기락 술부 l 2의 결정립

내부에서는 썽정이포힘된 a싱-


。l관찰되며,기지조
직으로 침상의 ma
rt
ens
m기 관칠된 다.
술지루의 경우

4:삐
l
기지조직에서는 ma
r떠l
Sl
te
기관철되지 않는 y
상이
,
관찰된다.Q싱-
의 정우 비교적 고온에서 딘초직업 을 술자 루

수행했을 때 나타나며.ma
rt
ens
lt
e는5
86~7
99℃의 온 그

도인 G영익에서 담금질할 때 발생한다 따라서 본 정

동숨기락의 정우 고온에서 고온 단조직업 후 담금질



사진 1
〉마도 1
l지구 1
5번 정동숨가락
을 하여 제작히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개재물분석결과S와F
e가힘꺼l
검출된것으로보이서 제련시사용된원굉석은황동광(
CuF
cS2
)또
는 반동굉 -
(Ct
feS4
)으르 추정된다.


사진 2〉사진 1
의 각 부위멸 미세조직 및 SEM 사진


표1〉사진 2의 EDS분석 결과
387

@ 마도 |
|지구 1
6번 정동숨가락

u1
-
도 U지구 I
6번 청콩숨기픽 숲부 1 2
는 o상피

기지조직으로 침싱의 ma
rrc
nSI
〔C
기 관짚펀다 EDS

분석의 결과 일딴적인 방씨유기의 화학적 조성 비율

인 78・
22와 인집히-
는 것을 알 수 있다-l
jl
금속개재
늘 릎 윷활흩톨툴
1
물 분석결과 술부 l
(a
) 2(
a)지점에서 평균적으로 S 빼 뽑톨l훌- ・l
--
・l
--
・・

기 76
2%.F
c기 I3
45% 짐출댔다.

이 유꽉의 미세조직을 관칠한 낄과 쌍정괴 길게

늘어진 비금속 개제룹의 형E


|1
로 보아서 l
쇠고l
적 고온

사진 3〉마도 |
|지구 1
6번 정동숨가락
에서 단조직업을 수행힌 후 딩긍질 직업을 실시하。1

저1
직히였음을일수있디-또한비균속개재물분석갤괴X
l1
랜시시용된원굉석은횡회동일것으보보인디

‘i ‘-,.

ii”- , |

휴씌
’‘ ・
‘、

4 ‘ 」?
? “
. th
‘l

t、

j . “ -----
셔 늦킹1

繼繼.

・ lm m힘 R톰 폐 현 WR M힘 Rl- - - - -- - - -톨 RR를 .
I-- ---→--------------------------‘-- -------------,--”-- ----------

- … Il-- … … Ia ・-- um --
--


사친 4〉사진 3의 각 부위별 미세조직 및 SEM사진


표 2〉사진 4의 EDS분석 결과
|388

@ 마도 |
|지구 1
0번 정동숨가락

미세조직 관찰시 술부에서는 쌍정이 포함된 Q

상이관잘되며,기지조직으로는 담금낄 조직인침


상의 ma
rte
nsl
te조직이 판잘된다.EDS분석결과
술자 루
Cu・
Sn의 %바율이 숲부는 7
736:2
264,술자루는

7
769 2
23l
로 방짜 유기의 조성 비율인 78 22

-i 삐i -
거의 일치한다.비금속 개재물 분석결과 S가 술부와

술자루에서 38
4%.88
4%가 검출됐디

이유풀의미세조직관찰결과 단조작암이후금

사진 5〉마도 |
!지구 1
0번 정동숨가락
속의 경도를 높이기 위히여 열을 기-
한 후 담금질이

수행되었음을알수있다 비금속개재물에서S
가 짐출된것으로보아제련시시용된광석은횡호많 일것
으로 추측된다.

i --- -→ 」 --( ‘ l

l딘수/~l
“---←

|
.\|
l
if二
릇!-Ill---
맨 ~~
、‘
、、-
」:r

‘r
|
、!!1
....... \
「?-

」‘/「X
「 ~d
ll ’
---a


사진 6〉사진 5의 각 부위별 미세조직 및 SEM사진


표 3〉사진 6의 EDS분석 결과
389 1

@ 마도 |
1지구 1
1번 정동숨가락

술부와숲자루에서는둥글게보이는 Q
상괴침상
의n
1ar
IC
l1
Sl
tc
가 핀칠된디 EDS분석 칠과 S
n의 힘-

이 숲l
뷰에서는 2l3l
%‘술지-
루에서는 2393
%기-

술지루

정되어일반적인땅-
씨유기죠성비윷괴일치힌디-닝1
긍속개재월분석결괴S기숲l
뷰에서는 ll
.96
%.습자 A [

클흐규;

루에서는 평균 l
239%기 측정됐다 ・}삐‘-
이 유물은 딘조작엽을 실시한 이후 담금질 직엽

을 실시했다 술부에서 술자후쿄 길수록 ma


lre
nsu
e

사진 7〉마도 l
|지구 1
1번 정동숨가락
가 감소히-
고.비금속개재불의 연신된 폭이 작이지

는것은딘죠직엠피-
딘긍질이습부에집증되었음을모아준다 기!
재룹에서S
가낌출펀것으로보아황회동
을 원굉석으쿄 시용 한 것으쿄 추측된디


사진 8〉사진 7의 각 부위별 미세조직 및 SEM사진


표 4〉사진 8의 EDS분석 결과

깅5~펀쉰 S Fe Cu Sn
|390

@ 마도2호선 1
번 정동숨 가락

술부와 숲자루에서 α싱괴 침상 의 ma


rte
nsl
te가

관찰된다.EDS분석결과 술부와 술지루에서 S


n이
2
2l8
%.23
.22
%기 겸출되았는데 이는 잎빈적인 방
술자 루
짜기법함랭:
에근접힌다 비급속개재물분석결괴-
S ↓

가술부에서는1
233
가 측정되었디.
%,술자루에서는 평균 l
8,45
% 헬톨 i
i
-i
특.삐』F・
술부에서 술자루로 갈수록 ma
rte
nsl
re
기-감소하

고,비금속개재룹의 연신된폭이작아지는 것은딘



사진 9〉마도Z호선 1
번 정동숨가락
조작엠괴담금질이술부에집중되었음을 보여준다.

비금속개재불의경우S
가검출된것으토보아사용된구리광석으로S
를포함한횡회동일것으로추정된디.


사진 10〉사진9의각 부위별 미세조직 및SEM사진


표 5〉사진 1
0의 EDS분석 결과
39l

@ 마도 l
l지구 1
3번 정 동숨 가 락

습과외 숨꽉.습지루에서 내부애 쌍정이 포힘된

o싱이관질되띠.술부와숨자루에서는기지조직이
침싱인mMI
enS
lt
e기판딸된디 성분분 석겸고lS
n함
술부 술목 숨지루
량이방짜기법인2
2%에근접하았고.술부에서는 S 4때i ‘ μ-」 ←」 i
-
-ii
가l
345
%‘술지루에샤는 S
기l40
6% F
c기-
93l
% -- - r →--g
;z
1l츠
= 도l
l디1
L ‘
-』 l】 -

술듀
L애샤 숲옥으로 낄수콕 ma
rtε
I1
Sl
te
가 김소히-

다1
숱자루모 낌쥬
:꽉 증기히 는 것을 괄 수 있디 이는

사진 11〉마도 |
|지구 1
3번 정동숨 가략
딘조작엽 이후 습l
;L
와 습자루에서 덤담질을 히있음

을일수 있디 또한바긍속개재펀은S와F
c기검출펀것으로꾀이 제련시원광석으로평호}
콩을시용한깃
으로 추정젤 수 있디-
-


사진 1
2〉사진 1
1의 각 부위별 미세조직 및 SEM사진

김「~펴r| S Fe Cu Sn
|392

(
2)청동용기

(
D마도 |
|지구 1
번 정동접시

구연부와 치부의 미세조직 사진에서 비들 형상 의

ma
nenS
lI
etl
l
딩 에 썽정이 포함된 α싱이 관찰된다

단조작 업 이후 5
86℃ 이상의 온도에서 담금질 처리
지 부
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EDS분석결괴 평균적으로

S
n함땅이 빙찌 기뱀인 22
%에 근점했고,비금속개재

불 분석결과 S
와Fc
기 검출되었는 데 S와 Fe
를 포함

히는 황회동 광석을 사용하여 저1


련했을 것으로 추정 ・냥-냥-

된다-

사진 13〉마도 |
1지구 1
번 정동접시


사진 1
4〉사진 1
3의 각 부위별 미세조직 및 SEM사진


표 7〉사진 1
4의 EDS분석 결과
393

@ 마도 |
1지구 4번 정동발

구안부외 저부 미세조직 내부에 썽정 을 포함힌 Q

싱괴 기지조직으로는침싱의n
m
l띠
an
l
떠1
t 잉
S
m
n
lm
r
c기l관잘된디
7
EDS분석낄괴 평균적으쿄 주성분인 Cl
l
기783
6%,
Sn
은 2l36
%가 핀깔되는데 이는 방짜기렘으로 지l

직한 정동 임을 보이준다 비금속개재물 분 석결괴 동체부



L얀」
듀오1
-저부에사 모두 S외 Fe
가 관찰되는데‘제

렌시에 원굉석으보 평호l


풍을 시용한 것으로 추정된

다.띠리서 청동용기의 X
ll
작시 단조작입 후 8
상을 L

사친 15〉마도|
l지구4번정동빌
-}!.F・

지1
거히-
기 위히여 딩금짙을 한 이후 가질을 똥히→
。1
U1
부래작임을 힌 것으로 판딘된디-
-


사진 16〉사진 1
5의 각 부위별 미세조직 및 SEM 사진


표 8〉사진 1
6의 EDS분석 결과


판 ~펀tI 5 Fe Cu Sn
|394

@ 마도 |
1지구 2번 정동접시

구띤팎에서는 Q
싱과 내부에 시선 헝태가 존재하

는y싱이관찰되며,지부는Q싱파 L
H부의기지조직
으로 ma
rt
ens
lt
e기 관찰된디 EDS분석결과 구연부

와저부에서방짜기법에근집하는비율이나티났으
며,비금속개재물의경우S와F
e기-
검출됐다.
nl
세조직분석결괴-
구떤부에 v
상이 관칠되는데
담금질옹도가 58
6℃이상에서 B
싱을 급냉시낄경 -}{IF

저부
우I
m
n
n
Y
m
1따
an
r

r
te

n
l1

사진 17〉마도 |
|지구 2번 정동접시
지않을 경우 G
싱의일부가v싱으로 변하였기때문
이다.
띠리서담금질을수행했을당시치부와구연부의온도차이기나타났음을알수있다 비금속개재룹
분석결과S,F
e가검출된것으로보아황햄 을 사용한것으로보인다.


사진 18〉사진 1
5의 각 부위별 미세조직 및 SEM 사진


표 9〉사진 1
8의 EDS분석 결과
395

@ 마도 |
1지구 6번 정동그릇 펀

칭동정시의 동처l
부와 자부의 u1
세초직에샤는 Q

상내에부분적으로흰섹의G+6
의공석조직이관찰
된디-이퍼힌 공석조직은 Sl
1
힘땅-
이l0
% 이상인 청

동합담을 서서히 냉각시킬 정우에 니티닌다.비곰

속개재물 분석결괴 동처1


부외 저부의 a
영역에서는

Pb
가 낌출되있고.b영액에서는 S기 낌출됐디-
-

이 유델은 주조공정으코 제직 되었으!


다520℃ 이

히의 온도에서 서냉했고 유월의 형태를 제작한 이



사진 19〉마도 |
1지구 6번 정동그릇 면
후 기질 을 통히-
。1표띤을 디뜯은 것으로 보인다 청

동힘긍시Pb
를침기히이주조성을용이히케 한것으로보인다

. R빼톰폐훌R聊꽤튜・----III--R뻐 l

사진 20〉사진 1
9의 각 부위별 미세조직 및 SEM 사진


표10〉사진 20의 E
DS분석 결과
l396

@ 마도 |
1지구 5번 정동발

동체부의 미세조직에서 a
지침은 S
n함량이 닛은
i … lll・-‘

Q
싱이고 b
지점은 Sn힘-
량이 높은 8
상이 흔합되어 있

는 공석조직이다 이러한 공석조직은 고온에서 주

또후5
20℃ 이히-
에서 서냉힐 경우 출현힌다.비금
속개재물 분석결과 S
가 접출된 것으포 보아 횡동광
1- -- i l i --- -- iX |부
을 시용 하여 제랜한 것으로 추정된다,또한 P
b기 낌

출되는데 Pb를 침가히게 되면 주조시 유동성이 증 、


z 카 f 닙!
F

동체부
가되어 주조기 용이하지만.취성이 발생되어 단조

사진 21
〉마도 |
|지구 5번 정동발
작염이 어렵다

| “ ‘
짧 - - j i ι ,l

Li
l? 「 」r
、P짧i쇄}
↓?
현*‘휠c
‘;if
져。악i |
L
훨쫓1
-*쫓‘
蠻-
휩;
g「 }
(
;
JZt
!g
耐홉핵
짧」
;
j펴
f;
t
;
$1
Jl
U’씬
짧i?싫뽑”;‘
g
‘γ 、
*I

사진 22〉사진 21
의 각 부위별 미세조직 및 SEM 사진


표11
〉사진 2
2의 EDS분석 결과
397

@ 마도2호선 2번 정동발

정동그릇의 구연부와 자부의 미세조직에서는 바

늘형싱의 ma
lr
eI
1S
II
e비땅에 쌍정이 포힘된 α이 관설
된다 따 라서 단조 공 정 이 후에 고온 에서 딘금 짚 처

리기 되었음을 일 수 있다,EDS분 석결괴 Sn함링 이

L
g씨-
기법인 22
%에 근접하았으띠‘비금속개재꼴의

경우 S
와Fe
기 침줍된 것으로 보이 저1
련시 사용 된 원

핑석은 횡호}
동 일 것으료 추정펀다 저부에는 3개의

구땅이 관찰되는데 이는 지부와 콰을 서로 연결한



사진 23〉마묘깅호선 2번 정동발
흔 적인 것으로 판단된 다

〈사 진 24〉사진 23의 각 부 위별 미세 조직 및 SEM 사진

김〔 각 t| S Fe Cu 5n
|398

4)고찰

(
1)제작공점에 대한 고찰

칭동유물의 회학적 조성비율괴 제작기법에는 서로 밀접한 떤관성을 지니고 있기 때분에,미세조직관

잘괴 성분분석을 통히-
。l제직기뱀을 추정할 수 있디.
제작기법은 크게 주조공정괴-
딘조공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단조기법은 구 리78%와 주석 22
%를 흔합

하이 제직힌 후 고온에서 단조직엽을 똥하이 제작한다 주조기뱀은 우선 저1


직하고지 히는 제품에 빚는 주

형을 제직한 후.미리힘금 한 윗물을 주형에 부어 냉각시킨 후 표띤과 세부를 다듬 어서 따감히는 기법이디-

본 논고에서 분석을 실시한 청동기는 총 I


2점으로 딘조공정을 통하여 제작한 청동기는 1
0점,주조공정

을 통하여 지1
작된 청동기는 총 2점으로 밝혀졌디-
-

@ 단조공정

단조공정으로 제작되는 청동기는 Cu


-Sn이원함곰을 시용 히여 제작한다.전똥적으로 7
8% Cu
와22%의

Sn의주석을 정획한 비율로 힐념 하고 반복적으로 단조히-


여 만든 농제품을 총칭하이 망짜유기리고 부른다

단조공정으로 제작된 청동기 1


0칩 종 마도 R지구 l
5번 청동숨기락 술지-
루.마도 R지구 2번 청동침시

구연부를 제외한 모든 조직에서 침상의 ma


rt
ens
lI
e기지조직에 a싱-
내의 쌍정이 관칠됐 다 Cu
-Sn이원합금

상태도 내에서Cu의함량이2
2%이상이되띤7
99℃에서포정반응이 일어나BCC(
체심임벙정)
의B상이
생성되며,5
86℃ 이싱의 온도에서 담금질을 히게 되띤 ma
rt
ens
l[
e가 생성되띠 52
0~5
86℃에서 딛급질을 히-

게되띤8
읍Q+
V상으로공석변태기 일어나게되며이때생성되는Y
은FCC(
띤심입방정)칠정구조를형성
한디 팀
담-
급질을 하지 않을 경우 6
상-
싱 이

이1출현하。
。 이
1정동기의 취성을 증기시커는 원인이 된다
나’담금질을 할 때

출현하는 l
m
n
n
1
m
1따
an
r

r
t히
e

n
I1


A
상정은 고온에서 단조작업으로 인한 재결정으로 생성이 된다

태인 따도 해역에서 발굴된 청동기 중 단조공정으로 제작된 청동기는 고온에서 단조공정을 실시했으

마 5
86℃ 이상에서 담금질 처리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α상내의 쌍정이 엔신되어 있는데 이는 반복

적으로 단조로 제작하았음을 나티낸 다.

@ 주조공 정

주조로 제작되는 청동기는 Cu


-Sl
낸 b심원 힐땀 을 사 용하。1제작힌다 .태안 마도 해댁에서 딸굴된 청동

유불 증 본 연구에서 조시된 l
2점 증 주조공정으로 제직된 2
점은 9~l
4%의 Sn
과 1l
~25
%의 Pb
를 침가하
여 으 -으 。 F〈 이 1-1
λA1그 E E -「 λλ」1

단조공정괴-
달리 주조공정에서는 Pb
를 침기하여 용융온도를 낮추고,유동성을 높여 주조성을 향상시

킨다.그러니 주조공징애 침기된 P


b에 의하여 취성이 발생되어 단조기공 이 어렵게 되기 때문에 힘띔 시 주

조공정을 선택하이 지1
작한 것으로 핀란 된다.또한 S
n보다 구하기 쉽고 지램하기 때문에 Pb
를 의도적으로

침기한 것으로 보인다,


399

〈표 13) 태안 마도해역 정동기의 분석결과 및 제작공정

。T묻
T i르며
C> 위치 Cu Sn Pb 개재물 미세조직 제작공정

술부 1 84.40 15.51 S, Fe a +M
마도 II 지구 15 번
술부 2 79.88 20.12 S. Fe a+ M 주조-→고오」다」조-담그
]질
정동숨가락
술자루 83.38 16.62 5. Fe a+'i

마도||지구 16 번 술부 1 76.64 23.36 s a+ M


주조-→고온단조--담금질
정동숨가락 술부 2 75.87 24.13 s a +M

마도 II 지구 10번 술부 77.36 22.64 s a+M



"""」~-→→
「_s
」;cc
니f」
~-c
디仁C그,"'
르|
정동숨가락 술자루 77.69 22.31 s a+M

마도 I I 지구 1 1 번 술부 78.69 21.31 s a+M ;:;>.?'」---


「_s
」;cc
니t」~-다
디;디그χ
근|
정동숨가락 술자루 76.07 23.93 s a+M

마도 II 호선 1 번 술부 77.82 22.18 s a+M



"""?'」---「-오」다
L」?'」--다
g그a치
g
정동숨가락 를
〈를/\'「-그
F 76.78 23.22 s a+M
술부 7740 22.60 s a+M
마도||지구 1 3 번
술목 75.37 24.63 5. Fe a+M Z'
「?'」---「-오」다〕」~-·단
며그C그~
정동숨가락
술자루 79.23 20.77 a+M

마도||지구 1 번 구연부 81.47 18.46 S, Fe a+M


주조-고오」다
-조-담
〕근〕질
-
정동접시 저부 75.25 24.26 5. Fe a+M

마도 I I 지구 4번 동체부 78.15 21.62 S. Fe a+M



"""?'」---→「_s
」:cc
〕f→~-도
口t;口그Z
금|
정동발 저부 77.99 21.75 5. Fe a+ M

마도||지구 2번 구연부 76.65 23.35 s a+'i


주조-고온단조 ·담금질
정동접시 저부 77.22 22.78 5. Fe a +M

마도 II 지구 6 번 동체부 72.35 9.93 17.72 s a+[a +ol


주조 ·서냉
정동그릇편 저부 79.90 9.29 11.01 s a+[a+ol

마도 II 지구 5번 동체부 71.39 12.74 15.86 s a+la+ol


주조--서냉

d도C> ~므}
저부 59.49 14.73 25.22 s a +[a+ol

마도| | 호선 2번 구연부 78.22 21 .78 S. Fe a+M


Z'
「"'」〈-→-「-~즈C
」~?'ι-→C
d」C그];은
<I
{';꺼'~드;〉님d 저부 74.41 25.59 5. Fe a+M
I 400

(2) 비금속 개재물에 대한 고찰

비금속개재물을분석한결과 S, Fe 등이 검출됐다. 이러한불순물은정동기의 기계적 성질을저하시키

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반복적인 기공을 통하여 제거를 실시했다 그러나 정동기에 남아있는 불순물을 통

하여 제련과정에서 사용된 원광석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단조유물의 경우 모든 유물에서 S가 검출되

었으며, Fe는 7점에서 검 출됐다 개재물관잘결과 S가검출된경우는황회동광석으로제련하였을기능성

이 있으며 , S와 Fe가 검출된 경우는 황동광또는 반동광으로 제련했을수 있다 또한 비금속 개재물의 형 태

가단조공정에서 나타나는길게늘어진형태를 나타냈다

〈표 14) 태안 마도해역 정동기의 비금속개재물 성분조성

유물명 위치 Cu Sn Pb s Fe
술부 1 85.15 15.12 3.53 0.21
마도||지구 15 번
술부 2 81 .16 12.62 5.85 0.37
정동숨가락
술자루 79.83 2.24 16.38 1.55

마도||지구 16 번 술부 1 75.92 12.96 11 .12


정동숱가락 술부 2 70.32 22.87 4.12 2.69

마도||지구 10 번 술부 77.23 18.94 7.67


정동숱가락 술자루 80.87 10.29 8.84

마도| | 지구 11 번 술부 8110 6.94 11 .96


정동숨가락 술자루 79.63 7.97 12.40

마도 II 호선 1 번 술부 87.67 12.33
정동숨가락 술자루 81 .60 18.40

술부 86.55 13.45
마도 II 지구 13 번
술목 69.01 7.62 14.06 9.31
정동숨가락
술자루 79.06 20.94

마도||지구 1 번 구연부 78.51 1.83 17.55 2.11


처 '=' 'A、 I
C>도〈;〉저 저부 71.70 12.61 14.00 1.69

마도| | 지구 4번 동체부 70.69 5.21 17.00 5.10


정동발 저부 73.47 1.26 20 .61 4.66

마도| | 지구 2번 구연부 78.43 17.54 4.03


정동접시 저부 72.23 20.39 6.38

마도| | 지구 6번 동체부 95.34 4.66


정동그릇펀 저부 40.36 50.00 9.66

마도||지구 5번 동체부 6.22 91 .49 2.29


청동발 저부 100.00

마도 II 호선 2번 구연부 78.63 31 .03 8.26 6.30



C>도
C> 닙J
저부 78.07 8.74 12.19
4Ol

5)결론

관 엔구는 데인 미도 해역에서 줍수된 청콩기를 대싱으로 미세조직 관찰괴-


성분분석을 설시히。1
.긍속

학 적으로 엔구힌-결론은 디-
음괴 낌τ1
-

칫찌1E
}1
안[l
l또해역발필 청콩기는 Pb
괄첨기히여주조공정-
→기질을 통히이저1
작힌주물유기 주조
공정--
단조작암--
담금질괴정을거쳐저1
작한빙짜유기제직기술체제기획인되었다
둡째‘주조공정으로 저1
작된 청동기는 l
0% 내외의 S
n괴 Pb
를 흔합힌 Cu,S
n,Pb
의 심원힘금을 사용하

았다 Pb의침기-
는유동성을증기시켜주조성을좋게하지만.춰성을증가시켜딘조공정이어램기l
r
ll
분에
힘긍 설제 및 제작괴정에 있어서 Pb
플 인위적으로 첩기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단조공정으로 지|
직된 청동기는 Cu
-SI
1의 이원힘긍을 시용 히여 저l
작히였으l
이,2
0%를 상회하는 Sn

을 표힘히이기공 했다 미세조직핀깔 결피-


586℃ 이상에서 단조기공 후 댐금섣 피정을 똥하이 제직되었디

넷째‘비곰속개재불 분석결과 S.Fe등이 검줍 랬다 가1


재펀 핀-
섣 젤과 S가 낌촬된 경우는 황호}
동 광석으

로제련히었을기능성이있으며.S
와Fe
기겹출된경우는황똥광또는반동광으쿄제련했을기능성이있다
데안마도인근해역은고려시대많은 선딱들이침몰된지의이디.이곳에사는연대를 일수 있는목간
괴죽찰이공빈되어출수됐는데‘이를똥히。l당시선박에서시용했던유뀔들 에대하이엔대를추정할수
있디 띠라서형후 태안따도인근해액에서출수된칭동유렐에대하야체제적으로띤구한디떤.당시청동
기 지l
작 기숲i
ll
계를 밝히는E
l1중요힌 지-
료기-
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 헌
김기영 김정근 박해웅11999,
r금속현미경 조직학」
,도서출판 골드

염영하‘19951
「한국전통 기술의 국제화에 관한 연구 정동기분야」1한국과학재단

최광진,
2OO
31「
절기 및 정동기유물 제작에 관한고고금속학적연구」
1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Dav
ldASco
tt
,19
911
Met
all
og「
aph
yandml
C「
Ost
rumJ
「eof
ane
len
tandHl
St
O「l
cme
tal
s,Th
eGet
ty
Conse「
vatl
On m sm ut
e

Ma「CH Rl
chman 2001‘
r금속학개론」
,명민사
I 402

4. 마도2호선 출수 목재류 및 초본류 수종분석

차미영 · 윤용희

1) 서언

고목재란인간이특별한목적을위해상당기간시용했던목재로써과거문화활동의흔적을갖고있는

오래된목재를말한다. ” 이 러한고목재는목재가놓인입지의수분함량에따라건조고목재와수침고목재
로구분할수있는데, 2010 년 태안마도발굴조시를통해 발굴된목간및 목제품은수침상태에서 출수되었

으므로수침고목재로분류할수 있다.

이러한수침고목재는당시의 생활상과자연환경에 대한 정보를 기지 고 있어 수종분석을통해 얻을수

있는 정보는 다양하다. 연구지들은 수종분석을통해 당시 시람들이 선호한 나무의 종류, 출수된 유적의 성

격 및 식생에 대한정보와2) 보존처리에 앞서 목재의 상태 및 특성을 알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마도2호선선체편, 2호선출수목제품 및 초본류의 종분석을통해 선체편, 목제품, 초본

류로사용된수종의확인빛보존처리를 위한기초자료로활용하고자한다.

낀실험방법

2010년 태안 마도2호선 출수목간 목제품 선체편 및 초본류에 대하여 종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세부목

록은 〈표 1 )과같다.

〈표 1) 마도2호선 출수 목재 및 초본류 수증분석 목록

시료명 *~ 시료영 수랑

외판 21점 목간 30접
선체펀
저판 21점 목제잔탁 1점

자귀자루 1점
가룡목 1점
목제뚜껑 3점
키추정구조물 1점
기타 기타목제품 십자헝목제품 1점

부재 맞추정 1점 통형잔모장목 4점

선체구조물 1점 나무젓가락추정목제품 1점

외판미상 1점 죽제품 1점

원통목 2점 초본류 빗줄,포장용등

층합 91 점및초본류일괄

목간에서 수중식별을위한시료는목간의 형태 및 판독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극소량만을

채취하였다. 또한목제품 빛 선체편은 연륜이 최소 1 개 이상포함되도록 3단면 시료를채취하였다. 죽제품

은세척 후 떨 어진 편을수종식별용시료로사용하였다.

목제품의 수종식별 시료는 2% paraform꾀dehyde + 2% 빙u〔araldehyde in 0. 05M cacodylare buffer(pH 7. 2)

로 4시 간 고정 후 동일 buffer로 2회 세 척하였다 S뼈때m으로 염색 후 알묘올로 탈수하여 pa때I잉〔로 포매

하였다. 포매한 시료는 14 ∼ 18µm 두께로 삼단면의 절편을 제작한 후 canada b뇌S때1으로 봉입하여 영구

프레파라트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영구 프레파라트는 광학현미경 (Olympus BX50)하에서 그 특정을 관찰

한 후 기 발표된 흔댁과 일본산 목재의 해부학적 자료를 참고한 후 차상분기법을 적용하여 수종을 분석하
403

였다 3
l7)
죽제품의수종분석은 시료를 I
ol
1sp
ure
r(EMI
TECH K5
50)
를 시용히여 4OmA에서2
분낀g
old
ma
ung
을힌후주시전자한U
1경(
Sc
때l1
gel
e
monl
1
1l
cr
os
co
pe-
SEM;
HII
ac
l
1l
.S-
246
0N)
을시용히여그특징
을 핀침힌 후 수종L
을 분석히였다 3
)

U}
도2호선출수 맛줍 표정용 수띨재쿄 시용띈초본류는 한기지재료룹 시용하지않았을 기능성이 있
으므로여러샤L
분에서시료를지}
취히았디 i
|1
취한시료는s
cht
l
IZ용액에침적힌후 l
~2주빙치후해섬하
았으띠s
af
la
ml1
ε으로암섹히。
1일시프러l
피리트룹제작하았디 현재보유히고있는초본류데이터베이스
될 침고 히。1종二을 분 석하 였디 ‘

3)분석결과

(
1)목제

마도2
호선빌랄선제핀인외관2
l점 저펀2l
점.기타부재5
침.윈통꽉2
점,팍간3
0점빚기E
l-옥저|

l
2점의수원 분석하였으띠그특정은다음괴낌다

@ 소나무류

외관부재 및 저관과지1
42짐‘외핀-
l
〕|싱1
점‘커추정구조렐 l
점.원봉목 2침.꽉긴 l3 l
820.27.3
0.

35
‘37‘3
9% 4
7‘꽉제뚜껑 1
.2.3
.콩형진포징꼭 l
,2,3
.4는소니무괴(
Pin
cea
c)소나무속(
꺼lI
ll
s)소나
무류로 식l
펼되었디
횡단띤에서는가도관이9
096이상으로조민재의이행이급히-
고빅벽의수직수지구가핀칠되었다 l
잉-
시단띤에서망시유세포와축망향기도관이고[
차히여만뜰이지는분이댁공은칭상벽공이았디 또힌 빙시
기도관의내깅에서는까지싱 비후기l
빌딜하였다 칩선딘띤애서는 단알땅시조직괴수평수지규
L콸포힘한
방추헝l
잉시조직이관칠되있으띠유엔펙공은 l
엘이있디


사진 1
〉소나무류 횡단언(
x1OO) 〈
사진 2
〉소나무류 접선단연(
×1O(
〕)


사진 3〉소나무류 빙사단연(
×1OO) 〈
사진 4〉소나무류 방사단연(
×40이
|404

@ 상수 리나무류

기룡목l
점,선체구조물1
점,복긴5
1.5
4.자귀지루는참나무괴(
Fag
ace
a리창나무속(
Que
κll
샤상수리나
무아속(
lzpi
dob뇌외I
ll
샤상수리나무류로식l
펄되었다.
환공재로공권의핀공은지름이크며l
~2열로배열하며,타일로시스가발달하였다.방사조직은복합
빙사조직으로단열방사조직과 방사조직의폭이넓은광빙시조직이함께분포히여 모두 평복세포로만구
성된동성형이다 도관요소는단천공이며.도관요소상호간벽공은교호상이고,도관과방시조직이만나
는 도관 방시-
조직간벽공은 책성이다


사진 5〉상수리나무이속 횡단언(
×40) 〈
사진 6〉상수리나무아속 접선단연(
×100)


사진7〉상수리나무아속방사단면(
×1OO) 〈
사진8〉상수리나무아속 방사단먼(
×2OO)
405 1

@ 오리나무속

받추정l
점。1지작니무과(
Beml
ac
eae
)오리나무속 (
jUn떼으또식l
펼되었다
산공재쿄 고템관 공고ll
캉시빙향 으보 2
~3로 된 꽉힘관공이 연륜 내에 균등히가1분포하며 얀륜경계는

파상이다 접선딘띤에서의빙시조직은단열방사죠직괴2
~3띨의다띨빙시조직이주플이루며짐합방사죠
직이l
냐빙시조직은 동성헝으로 관찰되었다


사진 9
〉오리나무속 횡단연(
×4이 〈
사진 1
0〉오리나무속 망사단연(
×40이


사진 1
1〉오리나무속 접선단연(
×1OO
) 〈
사진 1
2〉오리나무속 방사단연(
×2OO)
|406

@ 밤나무속

목긴l
9,23,
28,3
8,40,
50,5
3,5
9,60
,62먼은침나무괴(
&ga
αa리밤나무속(
Cjs
cI
Ig)
으로식띨되었다.
밤나무속(은휠엽수재로 관공의공권은 l
~2띨로 배알하여고립핀공으로 티원형이며방사방향으로 배
열히는 경향이강히다 방사조직은동성형으로평복세포로만구성되어있으며또관내 벽공은교호상이
다.도관과방사조직이만나는부분의도관벙사조직상호간벽공은책상이디 접선단띤에서방시-
조직은단
열방시-
조직으로 관칠되었다.


사진 1
3〉밤나무속 횡단연(
×4이 〈
사진 1
4〉밤나무속 횡단연(
×1OO)


사진 1
5〉밤나무속 접선단연(
×2OO)
407

@ 굴 피 나무속

꼭간4
3.4
4번은가래나무피(
1
Ll
gl
an
dac
me)굴피나무속(
P“q
cl젠l
)
으로식벨되었다
흰공재로공권의핀공은l
~2엘로고덴관공괴빙사방향으로2
~3개의복합관공이혼재한다 공권외소관
공은집단으로분포힌다 t
앙시조직은점선단띤에서 l
~4열이고다일부는 평꽉세포로구성되l
져 단띨빙시
조직의 싱하기정 자리에 방형세표기 분포히는 이성m형이디 축l
잉헝:
유죠직은 짧은 칩선상으로 관찰된디


사진 1
7〉굴미나무속 횡단연(
×40) 〈
사진 1
8〉굴띠나무속 접선단연(
x100)


사진 1
9〉굴띠나무속 방사단면(
×1OO
) 〈
사진 2
0〉굴띠나무속 방사단면(
x200)
l408

@ 사시 나무 속

옥저l
잔탁은버드나무과(
S외l
ac
cac
)시시나무속(
Pop띠u
s)으로식낼되었디.
산공재로관공은고립관공과2~3가빙사방향으로복합되어연륜L
H어l
균둥하게분포하며관공의수가
많다.도관요소는 단천공이고도관요소싱호간 벽공은교호상으로배열한다.벙사조직은단열동성형으
로 관절되 었다

!,.


사진 낀〉사시나무속 횡단연(
×40)


사진 2
4〉사시나무속 방사단연(
×20이
409

@ 현삼과 오동 나무속

꽉간52번 목간63번은한싣고}
(Sc
lop
l1
ula
ll
ac
eae
)오동니부속(
Pau
lown
ia)
으로식멸되었다
훤공재로공권의관공은3~4열로고림관공이주를이루띠2기l
씩복합관공이흔재한디 공권에서공권
외로의핀공의지름 빛이행이완민히고공권외핀공은신채싱이다 도관 내깅에티일로시스가말딜히았
디.도관요소는딘진공이고.도관싱호간벽공은고[
호상벽공이디.방시조직은 l
~2엘이띠띄두평복세포로
구성된 동성형이디-


사진 2
5〉오동나무속 횡단연(
×1OO
) 〈
사진 2
6〉오동나무속 방사단연(
×10이


사진 2
7〉오동나무속 접선단면(
×1OO)

@ 대나무아과

육인 관참시 대니무로 확인되있던 대나무비구니.슴


슨짤은 회본고1
-(
Glami
nea
e)대나무아과
(
Bmnb
lmI
dea
c)로 식l
필되었디-

횡단띤싱에서는후딱의성유집단인유핀→
속초(
bll
nndl
csh
ca〔
l
1)기-H여유핀속을 이루고 있었으띠.유
핀속은유죠직내에신재히는것으쿄관찰되었다 길이단띤에서는방시-
조직은관잘되지않았으떠망문도
관.유세포‘유관속초기 관짤되었다


사진28〉대나무아과횡단면(
×25이 〈
사진 2
9〉대나무이과 길이단연(
×9이
|4IO

(
2)초본류

@벼

수빌재로시용된초본류를해랴한결과표피세포는장세포의J
a양이모서리기-
둥근장방형에똘기물
이나있으며기공은1
열로배열하며공변세포모양은아링모양이다.
실리카B
ody
는or
yz
a모양으로코르크
세포와 함께 관찰되었다-
-

현생과비교한겔괴표피세포의장세포기-
돌기불이나있는모양의장방형모습과싣리키Bo
dy의O
Iyz
a
모잉을 통해화본과(
Gr때i
ng리여속(
0%a
)의벼(
OIy
zaa
m)로최종풍정하였다.

鷹 .
-
-펜
4
i‘


사진 30〉벼의 표피조직(
X때 이

@il
E1

벗줍 및포장재를헤리한결과 현생얽의표피세포와같이표피조직의장세포는일정한모양이아닌
세포들로이뤄져 있으며헤어들이 있었던흔적이남아있어헤어기많이분포히고 있음을 보여준다.또한
기공세포는타원형이미2
개의공떤세포로둘러씨여현생칩의기공과같은모양이띠섬유,
도관요소들도
관잘되었다.헌생침의표피조직과도관-
쏘는들과길은 모양을하므로 콩과(
Faba
cae
)얽속(
Puc
mri
aDC)
칩(
Puta
naThu
nbe
rgI
a
UIaBc
II
th)
으로똥징하였다.


사진 33〉칠의 기굉 ×1
m o)

@ 미식 별

마도2
호선출토목간3벤,4빈,26l
멘빛십자훈꼭저1
품은시료기-
미l우직았으띠,나무짓기락추정목제
품은연륜이2개인유령복으로이는모두해부학적특정이명확하게관찰되지않아수종식별결괴를 도출
하지못했디-
.이에대해서는향후추가적인연구기진행되이:
힐것이다
4ll l

4
)걸론

l
!}
도2호선 벨굴 선처1
편‘옥간,꽉저1
품 및 초판류의 수종은 〈
표2〉
와 같디 〈표 2
〉.〈
표 3〉
에서와 낌이 마

또2호선 선처l
편의수종은 모두소나무류로식l
힐되었디-선제를 구성히-
는 외판새,저판재기-모두하나의
수종으갚 민들이전 줍토 고선빅은 펀지!
끼지 I
ll
-
또2호선피 인좌선 뿐이디 마도2호선의 선처1
를 얀결히는

나무풋은상수리니무류쿄식l
펄되었는E
ll
-상수리나무류는한선의힘을 받는기룡이나나무풋괴깥은부재
에서 많이 사 용되었디-
-뒷-
추정 구조물은 오리나무속으로 식렐되었는데‘재실이 연히여 가공하기가 수월

히므로 꽉기자l
작에 많이 시용 되아 왔고 이느 지역에샤니 질 지리는 나부이다

띠도2호선 줍토 꽉간은 소니무류 빔나무속 상수 리니J


듀류.굴피나무속,오동나무속의 니-
부를 시용 하

여만들었다 소니무류 밤나무속.상수리나무류및광피나무속은한반도어느곳에서나자생하는수종이


띠.오팡니무속은 이 수종은 우 리니라 이느 곳에서나 찰 지라는 니무 이고 오동나무속은 우리나라의 평남

괴경기이넘어1
서지생히는나부로주떤에쉰가1점힐수있는나무를시용하야꽉간으로사용히였을것이
리고 추정힐 수 있디

꼭지l
푼 종목제진탁은시시니무속으로식띈되었으띠헌미정관잘을 콩해잔탁의 내띤과외띤애서칠
흔적을 관찬히았디 시시니무 속의 니무는 재젤이 균일히고 연히이 건조 및 젤식이 쉽고 침질을 짚 받는 것

으보 일펴져 있디

각각 f
iL
양이 디콘 꽉재 뚜껑 3섞괴-
똥형진 포정꽉은 소나관L
류로 민둘이졌으l
까.자귀자루는 싱수퍼나무
로 민들 이졌음을 획인 헐 수 있었는데 생훨과 띨집하게 관펀이 있는 도 구들은 일생생펠에서 쉰거l구힐 수

있는 나무를 시용 히여 민들었을 것이라 생각된디 3.4.2


6번 꼭간괴 섭자헝 복제품과 나뚜짓기락 추정 목
지l
퓨에 대해서는 수종을 분석 깥괴를 도춘해 내지 핏했디-복깐 3침괴 심지형 복제퓨은 극소량의 시료쿄

상딘띤을 만들어서 단띤을 관칠했지만 관찰되는 해부혁적 특정으보는 수종을 분석하는데 어펴웅이 있었

디 또한 니-
퓨L젓기락 추정 꼭저1
푼의 경우 연륜이 2개인 유령목으로 조직이 성숙히지 못해 목재의 수종 분

석을 위한 특징을 l
성획히게 핀침히지핏했다.이 5
침에 다}
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힐 것이디-

씻룹이니-
포정재는 주로 칩으쿄 만둡었으l
이수띨재니 작은 앗룹은 폐를 이용히-
여 딴들었다 하지띤 한
기지의 재료를 시정히지 않고 여러 기지룹 사~
§히았다.이직 초본류L
에 대한 많은 데이터베이스기-
많이 축

적되지 않은 상데이므쿄 Ul
식l힐의 종류기 l
꽃가지 있았디 이를 꾀왼할 수 있도확 많은 초본류이|데힌 데

이터베이스 Ul
련이 필요히디

참고 문 헌

1Fl
O「l
an,M LE,1
9901
「Sc
opean
dh1
St
or
yofa
「Ch
aeol
o9l
eal
wood
」,A「
Chaeo
lo9l
calWoo
d‘P「
Ope
「tl
esi

Che
rmst
r
yan
dPe「
Ser
vat
lo
n,Ame
ncanChem|
5t
qSO
C|e
ty,
Wash
ln9t
on,
DC1
pp3~
32

2j
j;
誠-郞,
200
0,r
考古렇t植物쭈,
考古캉:
t自然科형:3」
1同成社,
東京,
pp1
51-
152
3박상진 이원용 이화형.1
999,
r목재조직과식별」
,항문사
4이원용,1
997
1r한국산목재의조직구조」항문사
5이팔우,1
997
1r한국신목재의성질과용도1
(1
)목재의구조 및성질과 용도,
(1
|l목재 현미경사진도집」
,
서울대학교 출판부

6경북대학교 박상진 명예교수 홈페이지1


htt
p//
bhk
nua
ck「
/~S
jpa「
k/

7Da
tab
aseo
f」ap
ane
sewoo
dsh
。me
pa9
e‘ht
tpνf
O30
091f
fp「
laf
f「
C9。j
p/
I 412

〈표 2) 마도2호선 출수 목제품과 초본류의 종 분석 결과

시료영 스조
0며0

외판[2 1 점l 소나무류 소나무과[ Pinceae) 소나무속[Pinus)


선체편
저판[ 2 1 점) 소나무류 소나무과[Pin ceae l 소나무속[Pinus l

상수리나무류 참나무과[Fagaceael 참나무속[Qu e「cusl


가룡목[ 1 점}
상수리 L
나f뮤무Of싹속{ι
Le태pid
빼dob
떠 려l녀
a anu

us )

키추정구조물[ 1 점l 소나무류 소나무과[Pinceael 소나무속[Pi nus I

기타
부재 딪추정[ 1 접l 오리나무속 자작나무과[Betu la ceael 오리나무속!Alnus l

선체구조물[ 1 점} 상수리나무류 참나무패 Fagaceae l 참나무속[Qu e「cusl

외판미상[ 1 점l 소나무류 소나무과[Pinceae l 소나무속[Pinus I

원통목[2점} 소나무류 소나무과[Pinceael 소나무속[Pinus I

목간 소나무류 소나무과[Pinceael 소나무속[Pinus l

목간 밤나무속 참나무과[ Fagaceae l 밤나무속[Casta n ea)

목간 드「프?」} 상수리나무류 참나무과[Fag aceael 잠나무속[Que「cusl

목간[ 2접l 굴피나무속 가래나무괴l」 uglandaceael 굴피나무속[Plalycarya)

목간[ 2점1 오동나무속 현삼과[Sc 「ophula 「iaceae) 오동나무속[Paulownia )

목제뚜껑 [ 3점 l
소나무류소나무과[Pi n ceae l 소나무속[Pin us I
통형잔포장목[ 4점)

목제잔탁[ 1 점) 사시나무속 버드나무과[ Sa li aceae ) 사시나무속[Populus )

목제품

자귀자루[ 1 점) 상수리나무류 참나무과[Fagaceae) 잠나무속[Quercus)

죽제뭄 대나무아과화본과[G 「amineael 대나무아과[Bambusoideae)

박실및포장 벼 화본과[G 「amineae ) 벼속[Oryzal

초본류

빗줄 칠 콩과[Fabaceae l 질속[Pue「a「ia DC.I


413

〈표 3) 마5깅호선 선체 및 기타부재 수증 분석 결과

연번 부재영 수종 연번 부재명 수종

우현외판 1 1 소나무류 26 중앙저판 2 소나무류

2 우현외판 1 - 2 소나무류 27 중앙저판 3 소나무류

3 우현외판 1 - 3 소나무류 28 좌측저판 1 1 소나무류

4 우헌외판 1 - 4 소나무류 29 좌측저판 1-2 소나무류

5 우현외판 2 1 소나무류 30 좌측저판 1 3 소나무류

6 우현외판 2 - 2 소나무류 31 좌측저판 2 1 소나무류

7 우현외판 2 3 소나무류 32 좌측저판 2 - 2 소나무류

8 우헌외판 2 - 4 소나무류 33 좌측저판 2 3 소나무류

9 우현외판 3 1 소나무류 34 좌측저판 3 - 1 소나무류

10 우현외판 3 - 2 소나무류 35 좌측저판 3-2 소나무류

11 우현외판 3 3 소나무류 36 좌측저판 3 3 소나무류

12 우현외판 4 - 1 소나무류 37 좌현외판 1 - 1 소나무류

13 우현외판 4 - 2 소나무류 38 죄현외판 1 - 2 소나무류

14 우현외판 4 3 소나무류 39 좌현외판 1 - 3 소나무류

15 우현외판 5 - 1 소나무류 40 좌현외판 2-1 소나무류

16 우측저판 1 - 1 소나무류 41 좌현외판 2 2 소나무류

17 우측저판 1 2 소나무류 42 죄현외판 2 - 3 소나무류

18 우측저판 1 - 3 소나무류 43 외판미상 2 소나무류

19 우측저판 2 1 소나무류 44 가룡목 1 상수리나무류

20 우측저판 2 2 소나무류 45 키추정구조물 소나무류

21 우측저판 2 - 3 소나무류 46 다
;c-숭「저。 오리나무속

22 우측저판 3 - 1 소나무류 47 선체구조물 1 상수리나무류

23 우측저판 3 - 2 소나무류 48 원통목 0 3 1 소나무류

24 우측저판 3 - 3 소나무류 49 원통목 4 소나무류

25 중앙저판 1 소나무류
I 414

〈표 4) 2010년 태안 마도2호선 출수 목간의 수종

연번 정리번호 출수정보 수종 연번 정리번호 출수정보


.’‘ ‘=··
1

20100524 20100808
소나무류 16 40 밤나무속
마도2호선,F4 마도2호선, 」 7 - 3

20100526 20100815
2 3 소나무류 17 43 굴피나무속
마도2호선,0 7 마도2호선,」 9 - 2
2010 [] 607 미식별 20100815
3 8 18 44 굴피나무속
마도2호선,G 7 활엽수재 마도2호선, 」 9 - 3

20100618 미식별 20100818


4 14 19 46 소나무류
트랜치 활엽수재 마도2호선,」 2 1
20100621 20100820
5 18 소나무류 20 47 소나무류
마도2호선, 」7 마도2호선,F7 1
20100622 20100916
6 19 밤나무속 21 50 밤나무속
마도2호선, 」7 마도2호선, 118
20100622 20100928
7 20 소나무류 22 51 상수리나무류
마도2호선, K 7 마도2호선주변

20100929
20100623
8 23 밤나무속 23 52 마도2호선. 저판밑 부분 오동나무속
마도2호선,」 7
확장조사
20100704 20100929
9 27 소나무류 24 53 밤나무속
마도2호선, G 5 마도2호선,G 8
20100704 20100929
10 28 밤나무속 25 54 상수리나무류
마도2호선 ,H5 마도2호선, G 8

20100707 20101001 미식별


11 30 소나무류 26 55
마도2호선, F6 마도2호선 ,18 훨엽수재
20100721 20101012
12 35 소나무류 27 59 밤나무속
마도2호선,F4 마도2호선, 」8
20100807 20101012
13 37 소나무류 28 60 밤나무속
마도2호선,」8 마도2호선,」8

20100807 20101012
14 38 밤나무속 29 62 밤나무속
마도2호선,」7 1 마도2호선, 」8
20100808 20101012
15 39 소나무류 30 63 오동나무속
마도2호선, 」 7 - 2 마도2호선 ,」8

〈표 5) 마도2호선 출수 기타 목제품의 수종

연번 T。
T듀.€며。 수종 연번 〔r른
"f '1-a 수종

목제잔탁 사시나무속 7 통형잔포장목 1 소나무류

2 자귀:X:f루 밤나무속 8 통형잔포장목 2 소나무류

3 목제뚜껑 1 소나무류 9 통형잔포장목 3 소나무류

4 목제뚜껑 2 소나무류 10 통형잔포장목 4 소나무류

나무젓가락추정목제 미식별
5 목제뚜껑 3 소나무류 11
품 활엽수재
미식별
6 십자홈목제품
활엽수재
415

5. 마도2호선의 연륜연 대 분석

남태광

1 ) 분석대상

20 10 년에 인양된 마도2호선 선체 에 시용된목재의 벌채시기 를 밝히기 위해 원통목 3점 ‘ 저판재 9점 . 외

판재 l 접 등 1 3 접을 대상으로 연륜(年輪. 나이 태) 의 연대 (年代)를 분석을실 시했다.

〈표 1) 분석대상 및 시강H취 방법

시료영 시료채취방법

외판 우외판 1 4 접사촬영

우저판 1 2 접사촬영, 코에co「e l채취

우저판 2 - 1 접사촬영 , 코어채취

우저판 2 - 3 접사촬영

우저판 3 2 접사촬영
선체펀
저판 좌저판 2 1 접사촬영

좌저판 2 2 접시촬영 i 코어채취

좌저판 2 3 접사촬영

좌저판 3 3 코어채취

중저판 1 코어채취

원통목 4 코어채취

선체부재 원통목 원통목 5 접사촬영코어채취

원통목 6 접사촬영

총계 1 3점

2) 분석방법

CD 시료채취 및 측정 방법

시 료는 유물에서 비파괴 적으로 연륜시 료를 획득할 수 있는 시-진촬영법으로 채취했다. 하지만. 촬영 이

용이하지 않고 시진촬영 이 기능한 부분보다 띤륜이 많은 곳은 생 장추를 시용히여 연륜 묘어 (cor리를 채쥐

히는묘어 링 법 을실 시했다--

〈사진 1) 접시촬영 전 연륜 확인 〈사진 2 ) 접시촬영


I 4 16

1 ) 분석대상
사진촬영법은대상시료의 양끝부분에서 연륜의 경계가잘보이도록표면을면도칼을이용하여 처리

한 후 접시촬영을 하였다. 접시촬영을 통해 얻어진 연륜이미지를 Phoroshop으로 합성한 후 OSM 3(0n

Screen Measuring Image Analysis Sofu뻐e)을 시용하여 각 연륜 폭을 측정하였다.

〈사진 3) 언륜 접사촬영 후 이미지합성

코어링법은외관을살펴수피가있다면수피가있는곳을 수피가없다면되도록최외각연륜이수피에

가까운부분을 선택한후생장추를사용하여 연륜묘어 (cor리시료를채취하였다. 채취된 연륜코어의 횡단

면상에서 세포 및 연륜경계가 잘 보이도록 면도칼을 이용하여 매끄럽게 처리하였다. 횡단면의 표면

을 처리한 연륜묘어의 각 연륜의 폭은 컴퓨터에 부착된 연륜폭측정기 (Lintab 5)와 연륜폭측정프로그램

(TSAP-Win)을사용하여 0. Ol mm 정확도로 측정하였다

〈사진 4) 연륜 코어(c。re) 채취 〈사진 5) 채취된 연륜 코어(c。re)

〈사진 6) 연륜 코에core) 표면처리 후 마운팅(mot」ntir빙)

@ 크로스데이팅(Cross-dating)

크로스데이팅은 연대와 지역이 동일한 목재들의 연륜패턴을 조사 비교하여 위연륜(1:寫年輪)과 실연륜

(失年輪)을찾아낸 후, 알고 있는 기준연대(현생목의 채취연도)를 이용하여 정확한 생육연대를 각 연륜에

부여히는것을말한다

크로스데이팅이 기능한 것은 수목의 생장이 환경 , 특히 기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마치 지문과 같이

시대별로 독특하게 니-타난 연륜패턴을 인접한 지역의 수목들이 공유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 지역에 자

라고 있는 임목으로부터 연륜패턴을작성할수 있으며 고건축물이 나 출토복재로부터 작성되는 연륜패턴

을현생수목의 것과비교하여 연결함으로써 장기간의 연륜패턴을만들수있디.


417

@ 통계분석

작성된 연대기간의 싱호 유의성을 알기 위해 분석 계신된 상관계수(r), r값, G값등의 통계 값을 계산하

였다 (Baillie. 1982; 박원규 등 20 11 ; 국립문화재 연구소‘ 20 10)

@ 상관계수(샤 =표본(S : s입i1ple) 괴 비교샘플(R: reference) 간의 상관계수를 아래 식으로 계산한다. 유의

성 김정을하기 위해 계산된상관계수값을이래의 식으로 이용하여 t값으로 변화시킨다.

ε (& S) × (Ri - R ) +二 r X ~
r= v ε (Si - S)2 × (Ri- R )2 (1 r2)

(Si 묘본시리즈 연륜폭. s: 표본시리즈 연륜폭평균. R’ 비교샘플시리즈 연륜폭, R: 비교샘플시리즈 연륜폭 평균, r: 상관계수,
n: 비교결과 겹치는 년 수)

@ G (G leichJaeufigkei r) 값‘ 부호일치도로두 연륜폭시리즈간 sign resr 값이다,

3) 분석결과

미도2호선 선체편 및 선처1부재 1 3 접을 대싱으로 연륜떤대분석이 이루야졌으띠 . 그 상세정보는 표2와

같디 분석대상각 시료기-보유히고 있는 연륜의 수는 48∼69개로분석되었디- 선체부재인 원통목 3점에

는수피 (b잉k) 가확인되 었으니‘ 선체편 10점에 서 는수피가획인되지 않았다.

〈표 2) 분석대상 시료의 연륜정보

언륜폭lllYlll -」「、 수피
시료명 분석번호 언륜수
최소 평균 초|대
(pith] (ba 「kl

우외판 1 -4 M2SW02DA 61 0.81 2.84 8.7[] 4Hf 4Hf

우저판 1 - 2 M2SWP25A 46 0.38 3.82 8.16 용표 뾰표

우저판 2 1 M2SWP 12A 69 0.58 3.06 6.21 휩표 휩표

우저판 2 - 3 M 2 SW」 28A 52 1.21 3.28 6.20 有 휩표

우저판 3 2 M 2 SW」 24A 53 1.16 3.60 9.03 有 휩표

좌저판 2 1 M2 5」 P03 0 63 1.30 3.22 6.76 有 휩표

좌저판 2-2 M 2 SJ」 29 A 54 1.06 3.52 8.90 휩표 회표

좌저판 2-3 M2 5」」 23A 53 1.03 3.09 7.62 有 4Hf

좌저판 3 3 M2 5」 P 22 A 56 0.36 3.8 1 8.22 E표 E표

중앙저판 1 M 2 S」」 19A 45 1.12 3.32 6.64 無 無

원통목 4 M2SWT 1DA 48 1.32 2.86 5.28 최표 有

원통목 5 M25W「020 61 0.89 2.08 4.67 有 有

원통목 6 M2 SV\π010 48 0.27 2.21 5.47 有 有

연륜폭측정 을통해 각시료낼 정획한 연륜수와 O.O l mm 단위의 연륜폭을측정할수 있었다. 선체부재인

원통목 3잠은 48∼617H 의 연륜이 원통복 2점(원통목 5, 6) 에 서 수(p1버)와 수피 (bar셔가 모두 확인되어 48

년생과 6 1 년생 목재를 시용되었음이 분석 되 었다 평균 띤륜폭은 각각 2.86mm ‘ 2.08mm‘ 2.2 l rnrn 이었으며‘

최대 연륜폭각각 5 28mm ‘ 4.67mm ‘ 5.47mm 이 었다.

선체편인 저핀 9 점괴 외판 1 점은 수피 (bark) 부분이 모두 기공되어 확인할 수 없었으며 ‘ 연륜수는


|4l8

/
/l


사진 7〉마5갖호선 원통목 6의 횡단면

훌〈
사진 8〉마도2호선 우저판 2
-1의 횡단언

45
~697
}1
로 분적 되었니 평균 연륜폭은 28
4~38
2mm
이었고,가장 좁은 연륜폭은 우외판 l
-4였으며 가정

넓은 연흔」휴은우저판 l
-2로분석되었다.또한,최대연륜폭은62
0~90
3mm
로우저판3-
2가가장 넓게,
우 지판 2
-3이 기-
징 좁게 분석되었다

횡단떤을관찰히였을때수(
plt
h)를중심으로고르게자란것과한쪽으로치우치자란것(
편심생장,
f덤
,
L、
生長)
을 획인 할 수 있디.이것은 수꼭이 생장하는 장소에 영향을 받는 다 고르게 자란 수목은 경사지나

경사되어 생정한 것이 아니라.펑펑한 곳에서 지랐 다는 것을 한 쪽으로 치우쳐 자란 것은 경시지 나 경시-

되어 생장힌 것으로 추정할 수 있디-


-
4l9

〈그 림〉마도2호 선 선체 편의 연륜 때턴

6
00+ - --
-‘--
-‘-
------
----
---
---
---,
-- ---
----
‘-----
-’-- - -
- ‘ - ; r- ‘
s
oo4--
--「→r-
}---
----
-k--
-}---
;---
4--아-
----
--}-
--;-
-4-
--1
----
---
-r--
-;--
-;--
-;--
---
---
F--
-;--
---
-;--:
----
P- ι J ‘ 1 r r--
-,-
-{-
-

4
OO+-J
\ --
-?--
-\-
----
---
?끼--
---
?---
;---
---
----
--?-
--;-
--J-
---
----
---
----
-:--
-‘--
----
----
----
---
--;-
---
: ; --
?---
i--
;--
:--
-;--
-÷-
--F--
-:--
-:

3OO+ ---f--- ---f-〕 F ι f--U --- -;셔 ζ-- - -----:---!--- ---J--------‘---r---f---J-------“ ---?--- ---f ‘ ? ” -‘f --f------ -r---, --{

200+ ---‘--- ‘---------------g--- ---‘-------‘yZ-------、--‘----/-- ---、r---------------------------- ---‘

1
Oo4 -
----
-;--
-;-
----
---
;--
-;----
--ι--
;--
----
--;-
--;-
--:-
--‘
----
---
-r--
-;:1 5f낭Ftf 、J--
-;-
---
--; : ; ;-
o4 -
-?--
-’--
---
---
---
〉--
-----
;---
----
---
----
--?-
--;-
---
----
----
---
----
-;--
-‘--
----
---
----
-----
--Fτ
;‘-
--;
----
F--
}--
;--
4--
-÷-
-----
;--;

o ? ‘ 5 8 1
0 1
2 14 1
8 1
8 2
0 2
9 ?4 ?
8 ?8 3
0 3? 34 3
6 3
8 40 4
? 44 4
6 48 SO S2 S
4 SS 5
8 SO 62 6
4 66 68 7
O
H2Sl
JTO1O Tae-an Haci。 piDE p 。 q8 1 48

500f - r ‘ f r : ‘ : f r r : ----- ‘~‘- -‘- -‘ -ι---J -- 「- ‘- -‘ -,---:-- -‘ r r : t t ? ? ? --’ --


4
50+--
-;-
A-;
---;-
----
---
?--
-;--
----
;-‘J--
----
--;-
--;-
--;-
--↓-
-----
-;--
-;--
-;--
-;--
---
---
;--
-;‘
-----
;---
-----
;---
;---
;---‘
--,--
-:--
--;- ; 1
400+~-
-iι-f-
-f-
----
---
‘--
-}---r-
-----------
--f-
--?-
-‘~--J
------
-‘--
-r--
-f--
-J--
---
---
F--
-,-
--,
---f---
-----
r---
f---
1---
J---
J--
-?-- !--
-↓--J
3SOf--
f--‘--
-:-
----
---
r--
-:--------
-----
----
--:-
--:-
--‘-
---
----
---
-:--
-:--
-:--
-γ----
---
r--
---
--- --
:---
-----
r---
:---
:------
--- - : : ,
go4-ι;

--
{--
-‘----
---
;--
-;---;-
-----------
--}-
--;-
--1-
--ι-----
-rr ;--
-{--
-;--
---
---
r--
-ι--;
---{------P---
}---
;---
1---
1-----
-}---;--
-{-- ’ “ .

2
SOf-:-r
---νι-:、-;---rx-:
r ?r5f-- 4--’‘ -r-
--:-
A-:-
r‘;ι、y---
-r r--
-:--
-1--
---
---
r---r
7삭:---
:---
-----
r--‘
r---
:---
:---
γ-r : : :
Z
OO4-
---r
--; --
---” ““j(j¢ --;-
--、-
--「--
----
-X‘-」Z-\1ι‘「--
-X“-/;-
-U--;--
-←; --
---
L-?Y- -
Y---
;---
----;---
;x-Li4- --
4-- L ; -;
---:-
-
1
so+--
-‘--
-:--
-J-
----
---
‘--
-r---
r----
----
----
--t-
--?-
--!--f
-----
t-ι→-
pι 「CJ
---
‘ι 즈F--
-r-
--!
、/f~; -
---
?---
γ--
1--
J-i껴1-;
----
f--
-!-
-f-
-
1
m+ -
----
-!--
-‘-
----
---
P--
-?---
;---
;---
9----
----
L‘-
;---;--÷ --
---
-P--
-5--
-3--
-÷-
---
--P--
-;--
-;---
f---
… →‘/:-
--i-
--f-
--1--
-;-
--i--
-; -3-
-
so+ ; ; ; ι →--}
---
;--
4--
;--
--‘
---
;--
i---
;--4-
-:---
;--
↓--
-;-
-4--
-:-
--;--r
- , 、 1 r r , 1--
「--
---
--;--
-;-
-;-
-
o z 4 6 8 1o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 34 36 38 40 42 44 a6 ‘8 50 52 54 S6 S8 60 62 64 66 68 70

H2SUTO2O Tae Rn Heel


。 PIDE P o uK? 6l l 6i

o 2 j 6 8 1o 12 14 16 18 ?O Z? ?4 96 28 30 3? 34 36 38 40 49 44 46 48 SO 5? 54 S6 58 60 6? 64 66 68 7O

n2SJPO3o Tae an I
1acl
。 PIDE P o 63 1 63

Sm

4m

o j 4 6 8 10 1j 14 i6 18 ?O 22 24 26 28 @ 32 34 36 g 40 4? 44 4S 48 SO S? S4 S6 58 60 6강 64 66 68 ?O

II2SUTlOA Tae-6n Had。 PIDE O “K? 98 1 98

0 2 4 6 8 10 η 14 16 18 20 깅 % Z6 28 30 32 34 38 38 40 42 44 46 48 SO 52 54 56 58 60 62 64 % 68 7O

II
2S‘Pl2A Tae-an F
lad。 PiDE - o --- 69 1 6g
---- ‘----」… ・l

|420


그림〉마g 호선 선체펀 및 선체부재의 연륜때턴

o 2 4 6 8 1
0 1Z 14 1
6 1
8 2
0 2
2 24 ?
6 28 g 32 34 36 3
8 40 4
2 44 4S 4
8 S
O SZ 54 5S 5
8 6
0 62 64 6
8 68 7
O
H2SJJl9A Tae-an Had。 pIDE o 4S l 95

1OOO

o ? 4 6 8 1
o 1
2 14 1
s 18 Z
O Z Z
4 26 2
8 3
0 32 3
4 3
S 38 40 4
2 44 4
6 48 5
O S
Z S4 5
6 g 6
O S2 6@ SS 68 7
O
R2SH。2OA Tae-ari }
Iado PIDE - o --- 6l 1 6l

goo

gmft-
--;---!
---f
---J
----
----
‘--
-t--
-:---
{---
J---
----
-‘---
?---
?---
f--
-J--
----
--r-
--r
---f
---f
-----
---
r--
-t--
-?-
--f-
--f-
----
---
?---
,---ν--f
---f
----
----
7oo+-
-/‘
\--;---;
---;
----
----
;--
-;--
-;---
;---
;---
----
-L---
;---
;---
;--
-4--
-↓------:
---;
---4
----~
--;--
-;--
-;-
--;-
--4-
----
---
;---
;---;
---;
---;
---L-
∞of /-
--、t;--
----
----
----
-----
----
-;---
----
----
----
-----
i---
?---
---
----
----
----
--?
--아----
-----
---
F--
-;--
-;-
--;-
----
---
---÷-
--;-
--’
---’
---÷ :
잉04 --
;---\
」~4---;--
----
-----
----
-:---
:---
;---
파 --
-----
----
:---
;--
-」--
----
----
--:
---;
---」
-----
---
L--
-;--
-:-
--;-
----
--‘
-
4OO*-
--;-
--;
---4、 ;--
------r--
----;---
;---
、ι--1-카、---
hν세-- -
;--
-4--
----
-----;
---;
---;
-------
-F--
4---;-
--;-
--1-
---- p ; ; - ;---4
----
---
-
xm+---;-
--:
---;--
iLι ζ~ - ;--
-ιx :---
;--ι---
-ιX ‘N간二 -;\--
;--
-」--
-λ---;-
--;
---;
---」
----」--
-L--
-;--
-;-
--;-
--」-
----
---
‘---
‘---‘
----
---」
---ι--
-
xn4---;-
--:
---;--
-:--
-----\η」 ,--
-? --
;ι ;---
----
-r---
;---
;↓겨、--」;iJ --ι rTSi---;
------ :、-
-;--
-;-
:-;-
--ν즈 - ;-- ;---;
---;
---4
---i
1
mf-
--}-
--t
---f
---f
----
----
r--
-t--
-tti --
J---
-r--
-F---
1---
,---
f-Xf
----
-ιι‘-
--f
---4
---싹 ;7ι-
-r--
-t--
끽-이fy
ιf-
----
---
F---
i---i
---f
---f
---÷--
-
o4-
----
--:
---;
---;
----
----
←--
----
-:---
:---
;---
-L--
-----
;---
:--
-;--
-」-
----
----
--;
---;
---」
-ζ-
---
-L--
-:--
-:-
--x--
」---
--
-1OO4 ・ : , , ” ”
o 2 4 6 8 1
0 1
Z 14 1
S 18 2
0 ?2 24 2
6 Z8 @ 3Z 3
4 3
6 38 40 % 44 4
6 48 S
O 52 S4 56 S8 6
0 62 64 66 6
8 7
0
”2SJP22A Tae an Had。 PIDE - o --- 56 l S6

8OOT ; ; ;-;- ---


;--
-;--
-:-
--;-
--;-
---
L---;---
;---
:--
-4--
--ι-
--L-
--;--
-;--4 μ ; J-- -:--
-;-
---:
----
;---
;---
:---
;---;
---ι-
--;--
-:--
-;--
-
7m+- zC -
S」; ;-
----
---
L--;--
-;-
--‘-
--;-
-------
;---
;---
、--
-;--
----
--;-
--;--
-;--
-4---
----
-;--
-;--
-;--
/4-
-------
L- ; -;---
;---;
---ι-
--;--
-:--
-:--
-
∞o4-
--;
---:
--、1-
--「-
---
;--
-;--
-;-
--、-
--1-
----
---
;---
;---
‘--
-4--
----
--;-
--;--
-;--
-←--
----
-;--
-;--
-J-
-;L-
----
-;- ;-
--;-
--;-
--;
----
:
----
:---:
---:
---
잉O+-
--;
---;
---k-
----
---
;--
-;--
-;-
--,-
--1-
-------
;---
;---
、--
-、--
----
--P-
--;--
-;--
-1---
----
-r--
-;--
/;--
- ↓-
-----
r- ; ; -
‘---;-
----
--;--
-;--
-‘--
-
4
OO+-
--;
---;
---;아---
---
;--
-↓--
-;-
--、-
--‘-
-------
;---
;-----
-1--
----
--↓-
--;--
-;--÷------
-r--
-}-4
-;--
--‘-
-----
L -; ; ; 4 - - ;--; --‘--
-
%0+-
--;
---;
---1-
----
--〉--
-;--
-;-
--1-
--、-
----
---
;;샤←
--1--
-4--
----
--F-
--;--
-」--
-수--
--Fτ〉
y--↓
/--;-
--1-
L ι ν - }--
;--
{---;
----
----
;--
-;--
4--
-
2m7- --}
---;
---;-
----
--、 ;ιr셔 γ -;---
‘---
-----
X---
;、;늬--
닛Z-- -\키↓즈*τ--{ ;ιr、4 --
-f-r:---;
---、-
----
---
L---;-
--;-4 ; -
- } ; ‘-
-
1m f --}
---;
---‘-
----
---
〉---}
---;-
-아 -끽 ---
-R -}---
i---
、--
-、--
------
F---
;--
-;--
-4---
----
-r---;
---;
--------
---
F--4---;-
--4- ; -
- ; ; 4-
-
o1 : : : : ; ‘ ’ “ ・ ‘ ” ’ 1 ’ 1 1 ; : : : ’ ‘ 1 j , , , , 1 ”
o 2 4 8 8 1
o 12 1
4 16 1
8 Z
O ?
? ?4 2
6 28 3
0 32 3
4 3
S 38 40 4
2 44 4
6 48 g 5
? 54 56 5
8 6O S
2 6
4 66 6
8 7
O
R2SJJ23A Tae-an Had。 PIDE P o - - 53 l 53

1Kmr t : i-?---「-
--?-
--r-
--f--
-j--
-、--
-----
-r--
-r--
-i-
--t-
--‘-
----r r , --1--켜-
---1
---
-r---
r---
:---
j---
?-----
--「--
-r--
-t---
t---
잊m4 -
-」--:
---
;---
L--
---
--L-
--;-
--:--
----
----
-----
----
-;--
-;-
--;-
--」-
---
L---
----
---
----
-;--
-;--
-」-
------
-;---
;---
:---
;---
;--
-L---L--
-;--
-:---
L
gmff-/-
-t;---f---
----
---
------
;---?---1
----
----
--------;
---’-
--←----
-------
---÷--
----
-i--
아---------
---
h---
;---;-
--‘-
--÷-----
--F--i--
-;--
→---
7l
O+-/-,
--\:
---;---
L-----
--L---
L--; ----
---4
----
----;---;
---:-
--;-
--」-
---L---
----
---
-,--
-:--
-;--
-」-----
---
L --
;--
6〔
mff---
---t--ι --
----
---
--- --
?---?-F-i
----
----
--「-----}
---i-
--f-
----
-------
----
〉--
----
-‘--
-;--
-------
---
〉---
----’-
--←--÷-----
--F--
-?--
-;--
-‘---
sm4---;
---:
x ;~‘ι-- 」-ιi r--
;---:/--;
\--」
----
-A ; A -;
---:-
--;-
--」 ------
----
;--
----
-;--
-;--
-」---」-
---
;---
;---:-
--;-
--」--
-L---;--
-;--
-:--
-:--
4O
O+--
-;--
-:-------
-jr-
--/--
-~-?-
-----‘
-\--
----
{--
-F--
\i---;-
--4-
--t-
--/-
---
---
A ----
--→’
---‘
-----
----
-------
;---
:---
f---
÷-----
--?--
-?--
-;--
-’---
xm4 -
-;--
-:---;---
LLJ - --
--시 /4;
---;
--L /r4--
-,--
-b\--;-
:-;-
-ι---”L--
-4- ;
\---
---:
-샤 :----
--J-
---;---
;---
:---
;---
;--
-L---L--
-;--
-:--
-;
2
OOf--
----
-’--
-----
----
---
----
--F-
--?--
-1--
----
-----
----
-?--
-!-
-、이-
-F--
-----}쉰--÷-5‘ -
?ι-----
- -
---
--jr
--‘
←A- : ‘-J 」 ι ! ’ f
1
OO4--
-;--
-:--
-:---
L-----
--L-
--;-
--;--
-;--
-‘--
-」------
-;--
-:-
--5ι;----;
----
----
;---
;r-;--
-;--
-L?
느hιL--- ;-
--:-
--:-
--;-
--L-
--L--
-;--
-:--
-:---
oJ ‘ ” 1 1 1 1 ‘ . , , , , 1 ” : : J J 1 1 1 l - - “ ι l l
o 2 4 6 8 1
0 1
? 1
4 16 1
8 ?O 22 Z
4 2S 2
8 g 3Z 34 3
6 38 4
0 42 44 4
6 48 S
O 5? 54 S
6 S8 6
0 62 64 6S S8 ?
O
RZSWJ24A Tae an ”ado PIDE P D --- 53 i S3
42l l

gmf
t---r
---,-
-‘-
--‘
---
-r--,
-----
-: 1 r -
r---
r--
-1--
-γ-
-기--
-r--
-t--
-、- t ; r --
:---
:---γ -T-
--r-
--r--
-: ‘ 『 r--
-r--
-:--
:---
eoo+ --F---L;--f--------‘---,---i---f---J--------6---ν --f---f--------‘---r---f---f--------r--- ---,---i---ι ---‘--←‘-- ‘ f f -- f --‘ --‘

7
mff-R-r-γi-tγ---
」-- -r---:---
:--/1-
--γ---
---y-1-:
---1
---γ----
---
r--
-:---γ--γ----
---
r----
--:
---:---:-
--「 : : t r -r--
-r--
-:
6
oo4--5 ι-!--μ-
--fr \-‘---‘---
i-/-f--J
----
---}‘-
-,---f
---f
-----
→--
‘--
-}---f-
--f-
----
---
F----
--!
---f--
-f---F-
--t
- ’ J J-ι---r--
-i--
g
5
@ + --r--
-f--f-
-f- --\r---r---
?-- γr j
---κ - r-
-- 71t--γ----
---
r--
-:---γ--1-
----
---
r----
--:
4
m 4--
-;--
-;---
‘--l
÷--、 --
;---
/---
뉴「 、ι---
;---;
:-씨-
----
---
----
----
--t --
----
----
-F-
----
--;--;
----
:
----
; ; ?
---‘--
;---
4---
-;--
-;-
--f
xm +---?---?---긴 -------싹 --「--f ---r---「----
r---「---?---t-‘; ----「---r---7“ tt -1---2‘ζ -----;7 『 ---- - -
「 r :
xm4-- -;
---;
---
----
----
--아÷ 7 시---f-
-→-
----
----?-
--’
---J
----
、------? 까 ---
--~ -/----
}r- ---!--f
----
:
----
?--ι , 、--~--→ --’---
‘---
1m +---r
---r
---
t---
----
-←“ i - :-
--:-
--γ---
:---r-
--:
---:
----
---「i 7---,---
‘---
1---
----
---
----
--:--:
----
:
----
r---:
---:
---
: 1 r -: ---:
o4 --?
---;
---
----
----
-----
!---;-
----
---
----
------
--:
---J
----
-----
------
-----
----
----
----
-F-
--r-
--; j 1 F- -→---;
---
‘---
4---
÷ } i 」

0 ? 4 6 8 1
o 1
? 14 1
6 18 ?
O 깅 24 Z
6 9
8m 3
Z 34 $ $ 40 4Z 4
4 46 4
8 5
0 52 S4 S
6 58 6
O SZ 64 % 6
8 7O
H2SUP25A Tae-an Had。 PIDE o --- 46 1 q6

7OO

0 2 4 6 8 1o 1
2 14 1
6 1
8 20 갱 ?
4 96 2
8 30 32 3
4 $ $ 4
0 42 4
4 46 48 S
O 5
2 54 S
6 S8 S
O 8
Z 6
4 66 6
8 7
O
H2S‘J2gA Tae-an Had。 PIDE P o --- s2 1 52

H2SJJ2SA Tae-an Had。

섣디l
연대기부。1
되지는않았지만수피기존재하고 있음으로 벨차l
한7l
l칠은추정힐수 있었다.판재는
최외각얀환의생장에따라죠재(
춘재)
외 만재(
추재)
의형성 단계,만재의형성완료정도를세포의크기
및형태콸통히1확인한수있디 조재기형성중인목재의경우초봄~。l
름시이에벨채된꽉재이며,만재
기형성증인꼭지l
의경우Q1
룹~초가을시이에 발치l
된목재이고,만재의형성이완료된목재는생정정지
기인늦기을~디음헤초판시이에벨채펀목새라고헐수있디.
(권성띤등 2
005,박싱진 등,20
06)
원똥
」F3점의시료에수피가존재하았으며,수피기-있는 최외각 띤륜의현띠경분석을통해만재의형
성이완료펀것을획인힐수 있었다.띠라서시료들은생장정지기인늦기을에서다음 해초봄사이어느시
점 즉,겨울에 벨채한 후 시~
용히었다고 추정할 수 있었다

l‘

:. “
- -.:
-
-
・;
;l
T----‘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l・
--------------------------------

“「 - - -- - - - - - -- ‘ - ----
1- - - -‘ - . r - - -- llll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Ji:l
”・ i - f・ ・ r・ j・- .-.; ?・;.‘・ ・; - -‘: ,」 l
l:.,-

-・;- --- -
-- - - ‘ - - - ’ -
-- -」 - - --i -
- -‘ - - -- --
・?
-
・ - -- -
- -l
-J
!?i… ; : 4-.: ;: i - E・; ;;・‘.‘’- ・ ; . ; ; i.;l
d:;
;.!::i;::!
’i-
i ? ;:Eti::i::rj;-i.・
;:l
・・;r ;i;i::r:;:・! ig ;:i
i:;‘.
i;・:ι -; ! i;・!l
:‘・
i!,:.・i
・;i
‘i・ ・활・
LV ’‘-
----il
・i ・ ,
;l
!‘
・・‘
・..!
・:・,
・.・l
t--
,..
“‘’
… ’------
-“l
덴;파;
:;;
낀・!
;갇책념띤쉰떤한원;i
암피
끽하꽉핀웰원; :
;g
월짜!렌?
;!
겸한젤힐l

사진 9〉원통목 6의 수n|
(
bak밤 분 현미경 사진 | 〈
사진 10〉원통목 6의 수n|
(
bar
k뷰 분 현미경 사진 |
1
|422

띠 결론

연륜연대분석을통해태안마도2
호선의선체편l
0점과선제부재3
점을분석한결과는다음과같이요
약할 수 있다.

첫째.띤륜수는48
~69개.평균연륜폭은208
~382
mm로분석되었으며.선체부재인원통목중2
점(원
통꼭5,
6)에서수(
pi미)
외수피(
bE싸기확인되어48년생괴-
61년생목재를시용하였음이밝혀졌다.
둘째,분석대상 시료의적은연륜수 때문에특징적인얀륜 패턴을일치시카기가어려워연륜얀대분석
을 통한 절대연대 부여할 수 없었다

셋째,선체부재인원통목3점의시료에수피(
b따k
)가존재하였으띠‘최외킥연륜의현미경분석을통해
만재의형성이완료된것을확인할수있었다.띠라서원통목은생장정지기인늦기을에서다음 해초봄시-
이어느시침즉,겨울에벨채한후시용하였다고추정힐수있었디.

본 얀륜연대분석을통한 절대년대를부。1힐수 없었지만,분석을통해 얻어진마도2


호선의연륜데이
더는향후인양될고선빅핏빌굴목재띤륜엔대분석의귀중한자료기-
될것이디-
-

참고문 헌

Bat
t
le,
M G L1
1982
‘T「
ee-
Rln
9Dat
l
ngan
dAr
chae
olo
gy,
C「O
O「nHel
m,L
ondon
이규식 외 ,
2010,r
목재문화재 보존 」
,국 립문화재연구소i176~200쪽

권성민 ・
김남훈,
2005
,「춘천지역에서 생εh
하는 주요 수종의연륜형성l
11)
」,
r목재공학」33l
4l
,1-
7쪽

손병화 김정훈 ,남태광 -이광희 박원규,


201
1,「
앙펑지평항교 대성전 목부재의수종 및연륜연대분석」
,
r
목재공학」39(
3),213~220쪽

박상진 이원용 이화영,


200
6,r
목재조직과 식멸」
,항문사
423 l

6.방사성 탄소연대 측정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서는 따도2호선 수중딸굴조사 이후 출수유물의 연대측정을 위해 일본의


P
메eol
AboAMS연대측정그룹과서울대학교AMS분석실에측정을 의뢰했다.그결과보고서를여기에옮
져싣는디.다만두기관의결과보고서의마도I
I구역과마도2
구역은모두마도2호선을의미한다

放射-
,
1
‘E
F
j월素年代펴|
j

/
fL가 ・5*‘
MAS年代껴|
j
定 7j
L-7

伊홉
훌훌 ・尾홉大훌 ・판生越子 ・廣 田正史 ・山形秀樹

/
j애**
t- ・ZaurL
ornt
at|
dze・l
nez
aJor
phan|・fL智賢

1.l
aU φ l

함l
좋l
lJ立置7
T&J
F
!
;.
팀 nl
X꾀k£η俠 }
|1
;Fht5
il
;f
il
l}?L‘
τ、지l
]
迷겸용
댄뭘分析ii
(AMSi
£)(
)*&放射1
3
1i

i윷素年f
ti!
ll
l
ii
E장行 ?fι。

2.試 料 t方 法


ll
l
ii
E試料η팎댄、
쾌製f’
一 ?(
$表 l
O〕a
:E ‘
7τ‘
£&。
il;
{
작($、
?、‘
1j?Fl
5h、
6앉퇴X용4
1fι4수l
3펴(
5a;

2|
E:
1i
k-1
、PLD-
l652
0)£、
싱-서l
lF、
(5
it
料2l
Et넷-
2、PLD-
l65
2l)
T£&。
챈料l
$펌핑9
後、j
j[
1
迷짧헬환分析란(
/ξν

-・긍7
j
;、그ν/
f? fAMS NEC製 l5
SDH)
윈!1
L1τi
!
!l
l
;i
;‘
Lt。
셈lihtl
4Cf
劉홍ι?ντl
El
f立休分꺼|
1

갔!
핑O〕
補IE장行 ?f
ι後、
l4Cf
FftJ
짤iFf
tξ앞t
|}Lt。


表1〉 껴l
j
定試科及U:
빠理

;
R
l
定훌묻 li

뻐F-9 試料 F- ? 前R
E理

3.結果
깜2μ、
1
늠lf
立찌i
分기l
l
췄j뽕0
까ll
i
IE(
;j텀L
、gl
것素同↑
立休 比(
8l3C)
、l
El
f立셔i
分치l
l
았j굉:
η해J
[장行 ?τ1
쯤fFi

i
IE
l;j
i
llL、
tf1
E代떠 、
憶R1
(4t?τf
|5
代따 ι談할 장j
L&0τ表示 Ltl
4C年代、
l4C年代 장땀 年代 l
;l
校iEL

tf
I:
ftm
lGlI
fl
tk、
l
회ll
;}찜年較正*
;S
폈 융」
ehξ、

*1示7
「。땀r
f
!드
l
|핏i
l5
lJl
lL、
f;
;f
Ii
ftf
펴l£l
;l찌f
*jL앙
)τL、
1ZL
LfU
X

Ta
iV)、
今後]
쯤年較 표-
f
l|
1綠fi
F웬 흔4
1t|
際l;;0
〕fFf
t{펴장j
점Li
τj짤i
Fi|
핏]:
E*行 jt에
〕(펴런|
않Lt。
I
4Cf
IE
代ltADl
9504
l:
깐꽃/
렌l;Lτ何年I
FI
h、찰示 Lf
ι年代τ、
£&。
I4Cf
Fft(
ylBP)
η算t
lj
l;(
$、l
4Cη半


媒lεLτLl
bby
U〕半減期5
568f
l二
섬폈 l
Lt。
농t꺼記Ltl
4Ci
l드
代談헬(
土lo)
($、
밴|
1定η統럼談헬、
標현샘
쫓얄(
;싫?‘
L‘τX
때j용4
1、5
t*|
0)l
4C年f
tfξηl
4C年代談첼 I
;
i
il
l;入&h
t씌3
f682
%τ£ aζιξ示#。

1
Zji
、、}
짤年i
EU王η흠Y*|
l
l($以下 O
〕ιtf‘
7τ‘
£Zi。

R
촉fl
二較i
l:&
:($、
大줬!
|l
ηI4Cj
뽑Jt
f -
iEτ‘
半減때1
f556
8fFεLτ월l
r
j
j용htl
4C:
年f-
t
:(;처 L、
過去O

|424

宇E
늄練彈E
훌」?地球E
효t易φ젖3
5jl
;*a大웠r
끼ηl
4Ci
農度 η쪼動、
及Ij

;半減期η違 L
i(I
4Cη半減期5
730±

40
年)혼較i
ELτ、
£i?훗I
際ηf
!E
代↑파l
;近Li
£η훈算出1
rziζι℃‘
4bg。

1
4C年代mj
룹fI
E較正l
;t£Ox
Cal
4.1
(較표曲綠f、
-?:I
l1
tca
lm)
*使朋Lt。
양$、
1o}
짤年代純뻐l
$、
Ox
Cal
O〕짧率法 한使用 Lτ算出혼j
ltI
4C年代誤쫓l
객|3
펀才g68
2%信賴限界 η}
쯤年代純l
용lτ‘
& η、

樣l
;2of
짤年f
tmEl
표ll
$954%信훼|
3
많界ηj
짤年代$
Eaf
lτ、
a5g。
力 ?그|
;
i
90〉펀分率 φf
El$、
ξηm
E뼈 씨(
;牌

年代f入 gb
f〔
率 깐찮I
1
ji
jTZ
i。?
“57l
f
303
%f뿌l
i
I
上O〕曲線 l
£14C年代η짜率分布 창示 L、
二훨 曲綠l
$땀年較
표 曲綠 장示 #。


表 2〉放射性빚素年代測定及U.
層年왔표@結果

R D-
,ga--p ±11gp R D-,ga,.a t,1BP
・lZ‘--“ ii ・l?‘---till
fEg--z‘ t・b ・m ”n ・・z‘ giI・”。
li.‘---‘ii ・s.‘・・ll--
I
e -8・‘II・‘’・Iii‘D ”풍 ,a.,‘gzaI’D
g ”2SQB‘”’ICiU디
g
”s,。.3’‘gft・ω

g
ε --


6

훌 1,
.
7l・
-- -‘

--
--- }
- - ’II ,,. ,fl g . Ig- ’I・ ,.. ll・ ,.. ,fl gl・ Ial tI ・

Ciha- -- tIin, a gi -- ti쩌

PL
I}-
1652
이試料2
E域-1-4*m*
꺼뒀) R D-1
6521
(試셔2E域 1 生材)

4.a
sb |
J(=

,
딴j품nE1
a
kη?‘l
j? FI
5h、6出土 Lt4*
、(試 料2E:
域-1、
PLD-
l65
20)l
$、l
oτ“l
$ll
55-
l21
0ca
l

AD(
682
%)、
2o℃‘
l$1
050-
lO83al
AD(
174%)
、11
251
l36al
AD(
33%)
、11
5l-
l21
5αlAD(
745%)
찌짧
代@
Eaf
l(
;含좋4
1t。
生材(
試料2E域-
2、P
LD-
165
21)
lt、
1oτ、
l$1
l71
-l2l
Oal
AD(
682
%)、
2oT‘
($1
l55
-12
22
αl
AD(
95.
4%)
m땀‘
쇠i代拖I
갚lt
;含뚱j
1t。
껴ll
iELf
ι4*、
l$落下d
igLi
l때X種흔*
lf;
;年代、
材l$柱死뚱f
ιl$
f
tf짜흔ht年代τ내 1
l
R〕용*
ltf
F代 l
;近 L
i£考 i
L‘ihg。

參考文敵
B「
OnkRams
ey,
cl2
009
}Ba
yes
lanAna
lys
lsofRa
dlo
ca「
bond
ate
s,Ra
dio
ca「
boπ51
(1L3
37-
360

中村俊夫(
2000
)放射性벚素年代測定;
去@基짧 日本先史8
좋代@1
4C年代,
3-2
0

Re
lme
「,P」,
Ba|
l
Ue,
MGL1
Ba「
d1E1
Bayl
|
SS,
A1Bec
k,」W ,
Blac
kwel
l
iPG,
,B「
OnkRams
ey,
C,Buc
k1CE’

BU「
「,GS,
Edwa
「ds
,RL,
F「l
ed「
1C
h,M,
G「O
otes
,PM1
GUl
l
de「
SonTP,
Haj
das
.|,
Heat
on,
TJ,
Ho9
9,AG,

HU
9hef
tKA,Ka
lSe「
,KF,K「
Ome「
‘B-
iMcCO「
mac
,FG,Man
nlngSW ,Re
lme「
,RW ,Rl
Cha
「ds,DA,

So
uth
on,
」R1
Tal
amo
1S,
TU「
ney,
CSM,v
and
e「RI
Cht
,」an
dWe
yhenme
ye「CE {
20%)1
nt
Cal
O9a
nd

Manne
O9Ra
dlO
ca「
bonA9
eCal
l
b「at
l
onCur
ves
,0-5
0,OO
OYea「
Scal
BP Ra
d!o
ca「
bO「
L51
,11
11-
115
0
425

방사성 탄소연대측정

F
S|e
oLaboAMS연대측정그룹l
)

번역:
공지헌

1
.머 리말

충남패안군근흉띤신선도리에위치히는마도(
馬烏)H구역에서 김줍펀시료이1대해기속기낄량분석
1
낌(AMS법)
으로방시성탄소연대측정을실시히였다

2.시 료와 방법

측정시료에 대한정보외조제(
펌핑9
)데이더는〈표 l
〉애 기재해두었다 시료는그리드 l
5에서 지|
취한
버l
3점(
시료2
구역-
l.P
LD-
l65
20)
과생꼭지}1
침(시료2
구역-
2.P
LD-
165
21)
이다 시료는조제후기속기
섣링분석제(
필레오・리보.
COMP
ACrAMS.
NEC製l5
SDH)
를시용하o
1측정하았디 얻어진l
4
C농도
에다1
해서동위지1
분띈효괴보정을설시한후1
4C얀대 익연대0
혐年代)
를산줍하였디-


표 1〉측정시료 및 처리

3.결과


표2〉에는동위처|
분벨효과의l
E정에사용되는 린소동위치1
비(61
3C)동위체분벨효과띄정후 역연교
정(
1
참年較n
i)에시용되는연대치‘
관용에따라얀대지와오치플조정하여표시한l
4
C연대‘l
4
C연대룹역
언디|
보고l
정한 연대뱀위를 기재히았다,〈
그댐l
〉에는 역연고[
정갤괴플 각각제시히였디 역안교정용안대
(
yr
B[)
土lo
)는엔대치와오치의 l
자릿수를조정하지않은수치로향후악연고
[정곡선이갱신퍼었을정우에
도 이용젤 수 있도콕 기지}
히!두있디
l
4
C안대는ADl
950년을기점으쿄히여 I
경년전인지룹나타내는띤다1
이다 l
4
C연대(
yrBP
)의산출에는리
비(
Li
bb
”의1
4
Cl낀낌기5
568
년을시~
용하았디-
.부7
10에記)
힌l4
C앤데오자(
±lo
)는측정통계오차.표준편
치등을비팅으로하띠산춘히았으펴 시료의1
4
C연디|
71
-1
4C연대오차뱀위인에뜰어깔확괄이6
82%인것
을니l
斗낸다 역연고[
정에다|
힌싱세한내용은아래와같다
1426

역연고
[정이란대기중의l
4
C농도기일정하디는전제하에반감기5
568
년으로t
닿해왔딘l
4
C연대에대
하여과거의우주선강도(
宇힘練弼풋)
와지구자정@l
E
체磁場)
의댄동에의한대기중의l
4
C농도변동및반
깎기차이(
l
4C의딴김기5
730±4
0년)
를교정함으로써실제의연대치에기까운연대를산출히는것이디.
l
4
C연대의역연교정에는Ox
C떠4
.l(
교정곡선데이더 I
NTCAO
9)
을샤용히였다.l
o(
OneS
ig
ma)
의역
떤대탬위는Ox
Cal
의 확률법을시용하。1산출한 l
4
C얀대오치에싱당히는 6
82%신뢰한제의익안대법위
이며,2o(
TwoSl
gma
)의역얀대범위는95.
4%신뢰한계의 역엔대범위이다.필호안의 백분율의수치는 역
얀대가각각의신뢰한계의 템위안에들이길흑떨을 의미힌다.(
그립l
)의그래프인의 종축(
總빼)
싱에 있
는곡선은l
4
C얀배의확률분포플니-
타내며.
이종곡선(
=重曲f
체)은역띤고[
정곡선을나바낸다.


표 2〉방사성탄소언대측정 및 역연교정 결과

R IL’‘g ・・I ±,7BP RD 1ig ,:


・R t 11BP
・lZ‘” “ i・ ・l2’‘----i.
”룰 ・・z’‘g-- -n ”n ・・z’“ 2・c・m
li・‘”・‘tii lS・‘p・・ti.
・ 3 ‘”‘ ’・IIi D ”ggaat“ gztiM,
”Z QE‘”’Ic・D
’I7‘iR” tZfti‘D

---

71
-

----‘

---
‘샤 }
lIl ’”‘ ’-- ,
1l tZI ’Il ’l・ ”‘・ ,.. ,!i
・ c,. ‘ei Il-

Cig- “ ‘ ** m Ciiig -- tI‘m

PL
I←1
652
0(시료2구역-1 엽씨 P니〉-
16521
(시료2구역-2:생목재)

4 매
?〈으
C그 마
EE

마E
ER구역의 그리드 I
5에서 출토된 메(
시료 2구역-
l,PLD-l
6520)
는lo에서11
55-
l21
0ca
l
AD(
682
%).
2o어씨 l
O50
-lO
83잉l
AD(
l74%)
,1l
25-
ll3
6gl
AD(
339
6).l
l51
-12
l5al
AD(
745
%)의역
연대벙위에포힘되있다.생목재(
시료2
구역-
2.P
LD-
l65
2l)
는1o
에서1
171
-l2
lO때AD(
682
%).
2o에서
1l
55-
122
2때AD(
95% )
의역연대맨위에포힘되었디‘측정한 벼는닉하 혹은수획된 연대.목재는 고사
@킴死)혹은댈채(
f
tf짜)
된떤대로이용-
된연대에기까운 것으로볼수있다.
427

참고 문헌
B「
OnkRams
eyC(
200
9)Ba
yesl
anAn
aly
SlSo
fRadl
oca「
bonda
tes1
Rad1
oca
「bon1
51(
1L3
37360
中村俊夫(
2000
lE뼈#
性벚素年代껴l
j
定;去@基짧 日本先史B
폭代@1
4C年代1
3-2
0

Re
lme
「,P」1
Bal
lU
e‘MGL,Ba「
dE1
Bay
l|
SS,
A,Be
ck,
」W ,
Bla
ckwe
ll
1PG,
B「On
kRamse
y,C1

Bu
ck1
CE,
BU「
「1GS,
Edwa
「dsRL,
F「l
ed「
lCh,
M‘Gmot
es,
PM,
GUI
l
de「
SOn1
TP1
Haj
dasl
1

He
aton,
T」,
Ho99
,AG,Hugh
en‘KA,Ka
lse「
,KF,
K「O
me「
.B1
McCO「
mac
jFG1
Mannl
n9,

SW ,
Rel
me「
‘RW ‘
R1c
ha「
ds,
DA,
Sou
tho
n,」R‘
Tal
amo1
S,Tu
「ne
yCSM,
vand
e「Pl
l
Cht
,」a
nd

We
yhen
mey
e「cE(
2OO9
l|n
tCal
O9an
dMa
nneO
9Ra
dlO
ca「
bonAg
eCal
l
b「at
l
OnCur
ves
,0-5
0000
Yea「
ScalBP Radl
oca「bon 51 1111-1150
|428

AMS 측정에 대한 결과 I
SNU1
0-R1
64l

시 료 점 수 일 :2010년 8월 13일 결과 보 고 일 :2010년 9월 14일


시 료 제 출 자 :국 립 해 앙문 화재 연구 소
결과:

특 기사 항 :


- 의 뢰자 의 시 료 추 정 연 대 :고 려시 대

전처리 사항:

탄산엽 제거를 위한 산 및 엽기 처리를 함.그 후 남은 유기물로부터 ce| |


u|ose추출을
위해 NaC|
02처리를 거쳐 mi ne「a|
을 제거하기 위한 2차 산 처리를 하고,남은 유기물로부
터 탄소를 얻기 위해 combusti
on과정과 reduct
lOn과정을 거쳐 g「
aphi
te화 됩

* 우|
의 결과는 세 번의 측정 결과를 평균한 값으로 시료 준비 과정과 측정 과정에서 발생
하는 동위원소 비의 변화(
fr
act
ion
ati
on)
를 기준치 81
3C=-25%로 보정하여 나온 것임니
다.시료의 연대는 Li
bby의 1
4C 수명 803
3yr
를 사용하여 도출되었으며 방사성 탄소연대
(
「adi
ocar
bonage)
의 단위인 BP(
bef
O「e p「
esent
)로 나타내었습니다.오차의 산출은 표준편
차 에 근 거 하 였습 니다 .분 석 결과 에 대하 여 문 의 사 항 이 있으 시 면 연 락 바 랍 니 다.몬 분 석 의

결과를 기초로 논문으로 발표하시는 경우 발표된 논문의 사본 1부를 우리 기관으로 보내


주 시 먼 고 맘겠 슴 니 다.

* 이 보고서의 내용 및 결과는 연구 목적에만 활용할 수 있으며,이해 관계나 범적 관계의


증 빙 자 료 등 으 로 사 용 되 거 나 제 출 될 수 없습 니 다.

* 처 U ・ 여l니
대l 누 그 D}i ?j간l
」- ?;f5 E 」」
I

서울대학교 기초과학공동기기원
정전가속기연구센터(
02-880-5782)
꺼율대학교 기초과학공동기가원장
429

l 연대 눈금 맞춤 결과 (
Ca|
ibat
edAges
)

7《

I
l
αmBP
〈、1 $I
I
10-
R16
4:7
60
土5O
BP
。 l 682% pr
obabl
ht
y
、 /→ 《 l220
AD( 682%)l2
80AD
i

e3
ζ
F
F
) 、~ -
、 954% pr
obabu
1ty
「、
}( I
l6O
AD(
938
%)l
3mAD
-

ι.
OJ
-‘
800BP

『그
l
360AD(l
.6%)l
380
AD
:

」i
ιi

υ

τj
c。

400BP
、?\-

、、

l
αxx al
AD l
2α℃ al
AD l
4αX때AD l6αE a
lAD

Ca
libmt
eddat
e

註 )Ca|
ibr
ati
on 결 과 는 l
ntCa|
04 ca|
ibmuon CU「
ve와 OxCa|v3.
10을 사 용 하 여 구 힌 것 이 며

B「
Onk Ramsey C.
‘Radi
ocar
bon 37(
2) (
1995) 425 430과 B「
Onk Ramsev C.
,Rad|
0car
bon

43(
2A)(
2001)355 3630
||근 거를 두 고 있습 니 디 .
1430

AMS 즉정에 대한 결과 I
SNU1
0-R1
65l

시 료 접 수 일 ・2010년 8월 13일 결 과 보 고 일 :2010년 9월 14일

시료 제 출 자 :국 림해 앙문 화재 언구 소
결과 ・

특 기사 항 :

I 의 뢰 자 의 시 료 추 정 연 대 :고 려 시 대

전처리 사항:

탄산 엽 제 거 를 위 한 산 및 염 기 처 리 를 함 그 후 남 은 유기 물 로 부 터 cel
lu|
ose 추 출 을
위해 NaC|
02처리를 거쳐 mi
ner
a|을 제거하기 위한 2차 산 처리를 하고,남은 유기물로부
터 탄소 를 얻 기 위해 combust
|0n 과정 과 「
educt
|0n 과 정 을 거쳐 gr
aphi
te화 됨

* 위의 결과 는 세 츠 저
먼의 --1 〈=, 결 과 를 평 균 한 값 으로 시료 준 비 과정 과 측정 과정 에 서 발생
하는 동 위 원소 비 의 변 화(
fracti
onat
|0n)를 기 준 치 81
3C =-2
5%로 보정하여 나몬 깃입니

다.시 료 의 연 대는 으| 1
니bby 4C /、oj
-「 〈j 를 사 용 하 여 도 출 되 었으 며 방 사 성 탄 소 연 대
8033 yr

(
radi
ocar
bon age)
의 단 위 인 BP(
bef
ore pr
esent
)로 나타 내 었습 니다 오 차의 산출 은 표준 편
차 어|근 거 하 였 습 니 다 .분 석 결과 에 대하 여 문의 사항이 있 으 시 면 연 락 바 람 니다 본 운석 의
?j 71l드르 뇨:드프 。|
드크 」-lE근 기 초로 논 문 으 로 발표 하 시 는 경우 발표 된 L- L」 -- 1 사 본 1-디르
「 ξ크 우 리 기 관 으로 보 내
주 시 면 고 맘겠 습 니 다.

* 0| 보 고서 의 내 용 및 결 과 는 언 구 목적 에 만 활 용 할 수 있 으 며,이해 관 계 나 법적 관 계의

증 빙자 료 등으 로 사용 되 거 나 제 출 될 수 없습 니 다 .

* 점 부 :연 대 눈 금 맞춤 결과

서울대학교 기초과학공동기기원
정전가속기연구센터(02-880-5782)
셔율대학교 가효과학공동가가원장
43l

~
삐S
l 연대 눈금 맞춤 결과 (
Ca|
ibr
atedAges)

Al
m sp|
1
cncd‘
l
luf
mm Re
lI1
rrcla
l(2004LOx
C;l
l、31
OBmI
1kKn
nse
yQOOS)C
ubr5s
dl2pmbus
plc
hmn}

、?
、、 s
w1뼈6
5:8
00
퍼OB
P
、각\ 6
82% pr
oba
bil
i
ty
、 ‘- ll
85AD(37%)I2
OM D

、7V、~
、 94
짧ag
앓i펌)
l
27
5A
D
x、
「l
O
5
l
l
5O

때(
O(2
2
%%
%l
2O
l
28

%A
D

〉\
\ \、‘

l|
1

L J L

8αE al
AD l
αXK;
rUAD l
2아X al
AD l
4% C외AD

Cal
Ihat
eddat
e

註 )Ca|
|br
ati
on 결 괴 는 |
ntCal
O4 CE
ll
ib「
ati
on CU「
Ve외 OxCalv3.
10을 시 용히 여 구 힌 것 이며

Br
onk Ramsey C.Radi
oca「
bon 37(
2)(
1995)425-430과 B「
Onk Ramsey C.Rad|
0car
bon
43(
2A)(
2001)355-3630
||근거 를 두고 있 습 니 디-
훨빠 뻐파덜훌훌휠활흙댈휩램흩웰

흩굉 홉따렐쫓뿔될휠돼홉릎렐밟콸

af
3 흩
$멜릎탤훌핍풀훨짧밤혐획웰
1434

l 마도2호선 출수 도자기의 특정

김 현아

미도2
호선괴 선싱 밖에서 발견된 도자끼는 총 20
3침이다 마도1
호선고1
-마찬기지 로 지-
기 운l
만선이 아

닌 곡물을 주로 싣는 배았기 때문에 바안도니-대섬 등에서 조시된 다른 침몰선에 비해 개처1


량이 많지 않

다 더욱이 근침 지점이라고는 해도 네1밖에서 수습된 40점의 도자기류들은 고려-


조선시대에 걸쳐 만들

어진 것들이며 수량이 미미히고 성적상 선상 유뭘들과 띤결시킬 수 없어 배에서 흘러나온 것으로 볼 수 없

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선상에서 확인된 도자기류를 중심으로 간략히 고찰히고 지 한다

1
)마도2호선 출수 자기의 종류 및 양상

마도2
호선에서 발견된 자기류는 총 1
40점으로 전량 정지다.기종은 발 ‘대접 、점시 ‘잔 、1
칭 ‘호 등

생활용기기 증심을 이룬다.이 종에서도 칩시기 5


6점(
3436%)
.빌이 4
2점(
2577
96)
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

고,그 다음으로 잔이 29
진1077
9%)획인되었다.대접괴 병은 각각 2점과 7
점으로 소량 출토되었다.마도

l
호선에서 띨전 되었던 항,회분 ,정병,만,주자 등괴-
길은 특수 기총 없이,2호선의 지카류는 떼우 단순한

구성을 보인다.
빌은 바낌쪽 측사띤에 연판문이 시분된 I형식이 4
2침 중 30점으로 7I23
%를 차지하고 있디.문영은

딘엽으로 3
단 구성히였으며 음각과 양걱 기멤으로 나타냈디.내화토 빗음을 번조받침으로 시용 했고,구연

이 직립히-
고 내저에 원각이 돌아기따 굽 내외측의 높이를 다르게 깎이-
낸 내만 니리굽이 달렸디 이들 증

2
O섞은 포장목에 묶인 싱패로 델견 되었는 데 대부분 깨어진 상페였으므로 접합 과정을 거쳤디.

이 외의 연판문빌들은 선상 여러 지점에서 다른 도지기류들괴-


힘께 확인되었다.이들은 동일 분양이 시

문된 동기종 임에도 불구히고 태토에 잡물이 많고 시유싱 패기 좋지 않은,보디 조질품들이다.유패외 민둡

새 등으로 볼 때 생산지 또한 포징목 안에서 일팔 출수 된 발들과 달렀을 것으로 생각된디-

진은 크게 콩형진(I)
괴 팽이형잔(R)
으로 대분된다.통형잔은 2
0점 진탱 포징목에 묶인싱태로 확인되

었으며,띨괴 마친가지로 기외면에 양각 연판문이 시문되어 있디-연판은 단엽으로 2


단 구성되었고,꽃잎

내떤을 죄-
우 대칭이 되도록 일:
게 면각히였 다 규석을 번조받침 으쿄 시용 히았고,유가 뭉치거나 집풀 이 보

이기는 하지만 비교적 잉:


질이다

팽이형잔은 횡녹색 유조를 보이며 음끽 뢰문이 구얀 외측 하딘에 돌아가는 것 외에 띨다른 문영:


장식이

시문되지않있다.통형잔에비해질이상당히떨어져,태토에잡물이많고유잭이좋지않다.
접시는 출수지점이일정히지않고기형과번조방식‘크기,유섹 등이서로조금씩달라복잡히커|
분류
되었다 그러나 이린 디-
양함 속에서도 /
1、
-(l
il
)-
@라는 형식(l)
으로 그룹화된 접시류가 눈에 띈디 우선 개

저1
렁이30
점으로과반수이상이며(
접시의5
3379
6)이들중 일부기-
도기호인에서발견되는등.당시의생
휠상을 정획히 알 수 없디는 점 때문에 어떤 용도로 쓰았는지는 불분멍히나 일상적으로 많이 시용 펴딘 형

태의 기불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청은 매뱅과 반구장정뱅으로 니-
쉰디-
.반구장경명은 동체의 떨어짐이 크지 않고 평저의 지부형식을 보

이며,바닥과 목을 띠-
로 민들 어 붙이는 등 도기적인 성형빙-
식으로 만들어졌다

매땅은 총 3점 발견되었디 이 종 두 점에는 음각앤화문,다른 한 점에는 상감국회모 란유로죽문이 시문

되어 있디 문양과 시분기법에는 차이가 있으나 기형은 모두 동일하다.구띤은 반구형이띠목이 짧고 어깨

기 풍만히-
게 벌어져 최대정을 이룬다-
동체는 허리가 잘록하고 하단에서 외반히는 볼륭김 있는 형태다.저

부는 인굽 형식이며 모래섞인 내화토 빚음 받침으로 번조되었다.


435

U
H벙은따도2
호선에서 띨견된여러도자기류중 기-
정주목되는유물이다 그이유는 무엇보다도이들
이꼴과기환을 땀았었다는즉칠을목에매딘 지l출수되었기 때문일 젓이다 청자음걱연화절지문매벙에
는‘
흥I
i힘都;
|
엄校핏文힘‘
毛‘上찌!
j
쫓않博j
:j
“청자싱김국 회모린유쿄즉문U
ll
벙에는 ・
한房都}
|
핸校꽃文힘’
毛上따

盛쩍」
-
;1
‘이적힌룹픔표기묶。l있었디 그래서그간용도를 정획히알수없었던매벙이라는 기풀이저장
괴운반의믹할도했음이밝히졌다.지기질의l
I
H맹은소비지뿐이나라생산지에서도발견개처1
량이적고
시문 비-
율이높으며비교적잉짙의것이많다 그패서용례는 정획하지않으나막얀하게특수한꽉적을위
힌기물로디루어갔、
을 것으로생각되어지왔디 그러니금번조시를 통해이듣을‘
춘(쩍)
‘이라칭했으며일
싱생훨 공긴에서 쓰였음이 획인 되었디

이뿐민이이니리2
호선출토띠1
맹은도자시적으로도높까l평기-
된디‘우선매멍자제기흔히출토되는기
종이이니고‘특히이벤에발낀된 매멍뜰은기형이단정하고유색이읽으l
져분양또한 섬세히-
기띠1
문이다,
연회분이시분되어있는두 전의매벙은기물의크기가약긴디플 뿐진반적으로 똥일한구성을 보인디
분양을실펴꾀l
딘먼저경부에여의두분‘동처1히단에뢰분괴 에의두문.그리고그사이에증심 문양으로
연화섣지(
파花析校)
를음각하였다.문양의테두리는각회기맙으료깊게‘
문앙안쪽의세부잎액은획화
기템으쿄일게나E1
니l어임지|
낌을주있디.그증왼형으로둡수된매땅의경우.엔줍기 밑둥을유띤위에
서 뾰족한 도규L
를 시정-
해 점을 찍는 빙식으로 시실감을 주어 약긴 디픈 표습을 보인디

싱감기l
l
닝으쿄 정식펀n
l!
벙에는국회‘모란、디l
니무‘갚대‘!
너드니뚜 ‘되꽃이표현되어 있다 각각
의회목은 기띤에끌을파서6
등관한후능화형의칭(
갚)을두르고그안쪽에시문되었디.지뷰L쪽에입혀
진유약이 밀려 태l
E기-
군데군데 드 러니기는 히지만 정성스템거1빗어졌음은 물콘 문잉:
또한 섬세히다.

때병을저1
외한 미도2호선싱유불증애는상낌기렘의지기휴기잔혀빌견되지않았다.이처펌일견싱
낌 분잉의 도지기기 맡견되지 않으띤 콩싱적으로 시기를 조금 올 려꾀는 경향이 있디 그러나 이번 조사를

콩해서도알수 있듯이기띤에시문되는정식 기댐은시기뿐민아니리기종괴 찜‘시용처등에l


[1
-
리디르
게 적용될 수 있으므쿄 종힘적인 판단이 펼요힐 것으쿄 펀디

2)마도2호선 출수 자기의 특징

미도2호선에서l
앞견펀청자는그성칙에띠과 두그룹으토 디}
분된디 히-
나는포장꼭으로묶여있딘지
기류이고다흔하니는선싱이곳저곳에서발견원‘즉선상이리는실제생활공간에서쓰임이라는특정꽉
적 히에 싣 린 것들이 디-
-

벤자운반을똑적으효배에실린자기류를살펴보떤기종은델과진 두기지이다 각각2


07H
씩묶。1있
었고묘두기외띤을얀핀문으쿄장식히있디-
-이 얀핀분받들은 1형식이1속하는데.잎서인담한것처럼측
사띤이왼만한사선으로 떨어지다가구띤에서 직립하고 내저띤에저정보다작은원각이있으떠굽인바닥
을암거l꺾이낸디리쿄을 갖고 있디 번조받침으로는내회토셋음을 시용히였디 문양은3딘구성의딘엽
얀펀문으로음각기l
섭(1
2점)
과양각기법(
8섞)
으로나타냈는E
l1
.잎의수기-기룹에따라 l
0-l
2정으로일정히-
지않디 형E
}|
나유색.분양의시문빙식등으로판때꽁일지역.동시기이1민둡어진것들로보인다 마도2
호선에서 빌낀된 딸 기운데 기장 양질이디

진은EL
두똥헝잔으로크기에띠랴대1
O침‘소 l
O침이발낀되었다 잔에는 연봉우리쿄양의손-
잡이기-
달핀뚜껑이덮여있었는데‘점쳐서힌줍쿄씨기위하。1뚜껑을뒤집어포징하았디 잔의크기와뚜껑은
반드시일치하는 것은아니이서.진에 l
jl
해뚜껑이크거나직기도히고유색이서로 빚지 않은 경우가디-
수이다 힌 떨의 세트 개념 없이 우직위로 묶여 배에 실펀 것으로 생각된디

진의 기외띤이1
논단엠연펀문이양각시문되었는데‘안잎의수기-1l
징 또는 l
2징으로 기물에 띠라 디-
르게표현되었디 뚜껑에도안잎의잎맥이이종선으로율동깜있거l음각되어 있디 맨조받침으로는커디
1436

란규석3
개또는내화토빚음등을시용하였다 규석이리는 고급자기에쓰이는요도구를받진만큼,
타기
물에비해유잭이놓고유층이안정적이띠문양이단정한편이다.
이들연판문이시문된기물들의생산지는깅진이나부안등고급자기를만들이내던기마로추정해볼
수있다.특히이중에서도고부군.무송현등꼭간 ‘죽찰에적힌지명그리고배의이동경로를근거로부
안일기능성에조심스럽게무게가실리기도한다.그러나두기마는서로공유하는특성들이많이.고펴시
대대표기종증하나인통형잔이라는기불만을기지고정확한지냉이확인되는기록자료없이단언하기
는 사실상 어렵디-
-

또한(
1)
-小-
@-A(
「)으로형식분류된소형통형진중유물번호4
6번(
보고서번호를의미함)
의경우에
는다른잔들괴-
딜리 유약이어두운하늘색에기깝게발색되었고규석이아닌모래를받쳐구웠으며굽안
바닥의유변을 인위적으로긁어낸흔적이있다 다량생산,반복작업이라는도자생산의시스템속에서는
이처럼전혀다른방식으로기물을생산해내는 일이거의없다는점을고려해볼때.이통헝잔은다른곳
에서만들이져강진또는부안산 자기류들과힘께 포장되었을수도 있다.따리서 이들은강진이나부안이
라는생신지에서반드시배에실렸디고는볼수 없을 것이마 목간에등장히는 또는제3의어딘가에서묶
여운반되는중이었을기능성또한생각해보지않을수없을것이다
포징목에묶이지않고배의여러지점에서빌진된자기들은 대부분 조질이다.태토에잡붉이많고앓은
녹정색 유약이시유되아있으며포개어구운 것이많다.기형도 단정하지못할뿐만아니라문잉:
도거의
찾아볼수없디.또한 번조받침류를깨끗히케 떼어낸것들이않고도기호인에서발진되는등,기물의특
성상상푼이라기보다는매인에서사용되던렐
(푼이있을것으로생각된다.
생산지는태질괴유약,번조벙
식등에서약간씩치이를보여동일지역이아닌,다%댄f지방기마에서만들어쳤을것으로추정된다.
그러나이처럼조질품들속에서도다소질이좋은정자기가수점발견되어주목된디.그한예로78변
의소형칩시를들수 있디.이유룹은인바닥이편평하고내치에원각이돌아가며평저의지부형식을갖
고있는小-
(l
il
)형식에속한다 이형식을따르는소형접시들은크기와모양등,
외견싱의큰치-
이기없어
동일한복적으로생산 、소비되었을 것이다.그런데그가운데서도유독7
8번유물만이유태가깨끗하고
고운모래받침의타집시들과는달리내화토빚음으로번조되어질적차이를보인다.
이외에도 유붙번호8
2변접시에는기외띤에연판분이시문되어 있고,9맨발에는앵무문이음각되어
있다 그리고굽바닥에는 내화토빚음흔적이있다 유태가깨끗한유번변호 l
76청자접시의경우에는 번
조받침으로 규석을 시용하였다.

이들 양질자기류들은물콘소량 발견되었지민.질적인띤에서 타기물들과확엔히구벨된다 따라서


걷은 선상용품이라할지라도동일한양상을 보이는것이아니라,그안에서시용하는사림의 신분이나용
도등에따라저급품과상대적인고급품으로다르게인식되었을것으로생각된디.

3)마도2호선 출수도기의특성

2
호선에서 발견된 도기류는 호,시루,매병등이다.이 중 중심이 되는 기종은 도기호로 (
20점.
8696
%)기형에따라동체가세정한 장신호와배가부르고목이짧은단경호,높이8
Ocm기링의대형호로
나변다.기내외면으로테쌓기힌-
흔적이남아 있고 바닥면은 띠로 만들어부착하였으며흑갈색유약을 시
유한것이다수이다.시루와매벙은흑회색을띠는무시유도기로l
점씩확인되었다.
따도 l
호선괴 마찬가지로2호선에서도생선비늘과 뼈등이도기호인에서발견되었다.생선비늘괴뼈.
종류는 알 수 없지민 정횡상 짓길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이에부합히는 내용이적힌목간도 확인되어이를뒷받침히고 있다.목긴의 내용은 디음과짙


다.
奇쫓龍毛上깨臨-紅入二斗-
(기견용댁에올림 알젓한항아리.2
두를담음)
-현시침에서이젓갈이
437

담겨있던 도기호룹 특정 할 수는 없으나.줍토 기물의 크기로 볼 때 충분히 용적 할 수 있는 내용물이었을

것으쿄 본다

도기호증에는안에소형침시나팽이형잔이들어있는싱태로발진된것도있다 이기물들이침올한
후조류에의해쓸려들이간것인지아니떤선싱에서설제로그렇게시용한것인지.그쓰임새에대해서는
추후 지-
료기 E
l보총되고 띤뭔힌 조사기 이루어진 후 밝혀 짙 것으로 본다

회청색의대형호도2점출토되었디-
-이들은외반구연에정부가짧고 배가 부른형태이다 편평한바
닥띤은 따로 만들이 부착히였 다 동처1기-
운데 부분에 돌대를 돌려 징식했고 단딘하고 앓은 기벽을 딴들기

위한 티날자팍(
격자문)
이기외띤에,데쌓기한 흔적이기내떤에넘았다 여러편으로깨어진채발견되어
접합괴-
복원의 과정을 거쳤디

세꽉 장식에서 익:
긴의 지이기 있으나 이와 동일한 유룹이 이미 l
!
}도l
호선에서도 딸견된 바 있다 그러
고r
고펴도정」
,r고퍼시」
와 낌은 분헌 자료를 똥해 이와 낌은 디!
형 도기호가 물을 저장하는 용도로 시~
용되

었음이추정되었디‘
1
)편으로말낀되어정확한 기형은일수 없으나이와유시한기물의조각뜰이따도 인
근의해지에서지긍도제속빌친되고있다 이는대헝도기호가선상생활에서꼭필요한기물이었음을말
해각二
는 것으쿄서 잎으로 그 용도에 대해 좀 더 흥미룹 갖고 연구해야 힐 것으로 분다‘

1)암의 보고서 때 $ 5-507


|438

2.마도2호선 목간의 분류와 내용 고찰

。,
:져 등|
Cj C〉iil

마도2호선수증발굴조시-
에서도태안선l
)
,따도1
호선기
과미찬가지로회물의운송표로쓰인목간이디량
출수되었다.발굴조사팀은총58
침을꼭간으로파악했지만글을쓰기위해나무를다듬은흔적괴-
끈을묶
기위한흠이없으며,육안관찰파적외선촬잉 사진으로도묵흔을찾을수없는것이 l
1셈이있었다.따라
서 향후 변동이발생힐수도 있겠지만,현재목간이라고확정한유불은4
7점이다 이글에서는4
7점딴을
대상으로목간의형태빨 ・내용별분류외-
묵서내용에대한고찰을하도록히겠다.

1
)마도2호선목간의형태별분류와 특징

마도2호선목긴의재질은대나무와니무 두종류로복간은2
2점.죽찰은2
5침이다.꽉간이나죽칠은형
태상.내용상특성이차이점이없어재질별분류는무의미하다.따라서운류는하니로묶어서했다,
헝패 분류의 첫 랜째 기준은 이전 마도 1
호선과 마친가지로 목간을 회플 을 매달기 위한 흡의 유무 다.흠

이있는것은 I형.흡이없는것은 U형으로나눴다.두 번째기준은홉의위치디-


-I형은모두;
〉〈’
모양의
흠을 기지고 있는데,목간윗부분에 있는A형,증간부에있는B형.아래쪽에있는C형으로분류했다.R
형은띔통 f
E양을기준으로심아직시끽형형태의1
헝괴,
싱단또는하딘을뾰족히케 다픔은 2
형으로니눴
다.분류기준을 적용해 분류하띤 〈
표l〉
과 같다.

복간 상딘어1
;〉〈
‘형태의 흡을 판 I-
A형이 기정 많다.47점 중 33
침이 여기에 해당한다-홉은 초본류 끈

을묶어목간을 호펄 에배달기위해판것이다-1
2.l
3,1
9,20등의목간은끈이묶인채로발굴되어정확
한 시용 법을 확인힐 수 있다.

그런데끈을묶기위한흠의위치는정해진것이아니었던것같다 때문에 I-
B형이나C형과같은것
도민들이진것이디-흠은관례적으로윗부분에폈지띤시‘
용목적에민부합한다띤어떤위치든지상관없
어 임의대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끈을묶기위한흠이없는 U형은 I형에비해수량이배우적다 그중 직사각형 형태는흡을피지 않고


끈을 묶었을 기능성도 있지딴 어떤 방법으로 시용 했는지는 알 수 없다 주목되는 것은 상단 또는 하단을 뾰

족히케 디듬은 H-
2형태다.픽물류는r
高麗圖*
휩에나오는훤힘처럼3
)풀을엠어만든것으로운빈했을것이
다.이점은 파도1
호선괴2호선에서발견된벗섬을통해서도확인힐수 있다.그렇다띤뾰족하게디듬은 목
간은 렛섣 또는 초섬에 꽂아서 시용했을 기능성을 생각할 수도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1
)임경희 최연식,
XXg 「
태안 정자운반선 출토 고려목간의 현횡과 내용J*簡과 文字」
칭간호
임경희 2
αg 「
태인 대섬 고려목간의분류외 내용」
r홈뚫좁없i
I4깨삶 국립해앙문화재연구소
임경희.
201
1「태인선 목간의새로운 만독 -발굴보고서를 보완하며-
J해앙문화재J
4(근간)

2
)임경희 최연석.
X% ,
「태안 마도1
호선 발굴 목간의 연횡괴 내용j木簡과文字」
5
임경희 2
010「
마도1
호선 목간의 분류와 주요내용」
r태안마도1
호선「수중발굴조사보고서」
마묘깅호선목간의판독과 형태적특짐에대해서는띨자가국립해앙문화재연구소‘「
목간 죽간」
r태인마도1
호선」
의34
6~41
7쪽에 자세히서솔해
놓았다 다만죽칠은보존처리용 용액에담져져있는상태여서판독에도움이될수 있는 좋은사진을제공하는데한계가있었다 항후 새로운
글을 통해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3
)-草동之用뼈中國之有布I
I也 其RZ
gn絡 結훌옳之 凡米짧쫓
Ftt
之aga
&用以짧 山行不利車 多以짧馬앓i
t而行.
(r
高옳職 잎」
卷32器m3
)
439

형태분류의 기준이 되지는 않았지만 한 가지 지적히-


고 넘어길 문제는 마도2호선 옥간 약시 크기기-

양하다는 점이다 3
Ocm내외의목간이 디수를차지하지딴,완형으로남이-있으띤서 l
2~l
5cm크기도 있
디‘특히때병에 깨딜펴있던죽칠2점은디른 딸필꼭간에너l
히1크기가작고미1
우잘다듬어졌다,꼭간을
세작한 사덴들은 이디에 매띨아 이:
히는 기에 띠라 크기플 죠절하。l제직했 다는 것인데.이 점은 회풀 운송
-

표 로서 의 마도2호선 꽉긴 의 특 정을 잘 ]
긴여주 는 것이 디.


표1〉마도2호선 목간의 형태열 분류

분류
기호| 특
징 도식 유물변호(
수량l


은섣은 미-
도l호선에서도 나왔는E
ll
-형태상 특정은 영:
유적 발깔 유펀이 동일히지만 묵서기 어떻게 적

혀 있는기 하는 점에서는 차이기 있디 I


l
l-
도l호선 족침은 대나뚜룹 빈으로 기른 후 약간의 가공을 히고 대

니무 안쪽부터 글을 적어 나갔으1
이‘추가 내용이 있는 경우나 혹은 발송 자딴을 뒤에 적었다 마도2
호선 죽

칠 역시 데나무흘 반으로 가흔 후 기녕上


을 한 것은 동임히지만 대니무 바깥쪽부터 또는 그곳에만 글을 쓴

것이 있다 따리샤 바도2
호선 죽칠의 앞띤괴-
뒷띤은 형태적인 특정이 이-
니라 묵서기 이디에서부터 적기

시직했는기플 기준으로 삼아 구벨했다


|440

2
)마도2호선 목간의 내용별분류

마도2
호선꼭간은선박에실린회물의운송표로.
수취인의관직괴성땅,
발송지와발송자,
호낼의종류
와수량,포장단위등이적혀있디-
.모든내용이적혀있기도하고일부딴있기도한다 내용에따른분류는
마도 l
호선과 띠찬 가지 기준을 적정-
했다 첫 번째 기준은 수취인과 넬송지 또는 발송자기-적혀 있는기의

에부다 수취인과 발송지또는빨송자가힘께나타나는 것을 I헝으로,수취인만나타나는 R형,모두 나


타나지않으띤 m형으로분류했다 결락이많거나 미판독 병문이많아현재로서는문장구조를 알수 없
는 정우-는저1
외했다.

l형은발송지외발송지-
기함께나티나띤A형,발송지만있으띤B,발송자만있으1
건C형으로나눴다.
다음으로수취인과띨송인의관계를유추할수 있는펀上과戶付를분류기준으로삼아 랙싱은 l
형,호부
는2
형이라 했디-위와 같은 기준으로 띠도 2
호선 목간을 내용탤르 분류하띤 〈
표 2〉
와 길다 .


표 2〉마E
a호선 목간의 내용별 분류

수취인과발송지,발송자가모두 나타나는 I-
A-1
형목간중 大때俠가수취인이며.벨송지는 高훤때,
벨송지는 次싸l
핑祚디 형태와 내용은 동일하고.서체끼지유시한 목간4점(
l8,3l
,32,42
)은한사람에
의해작성되었다고생각한다 I
-C-
1형복간은북서가모두남이-
있는26
,28맨괴함께8변,4
4번도 포함시
컸다.
26.2
8번 목간도 수취인은 좀 쫓爾,발송지는 閔三이다.4
4번꼭간은 수취인으묘 기견룡이.8먼복간

은발송인한삼민-님이있지만동일한형태로생각했다.가장 많이나티나는형식은발송지와수취인이적
혀있는 I
-B-
l이디.

내용별 분류에서 기-
정 특정적인 것은 m형의 3
8,3
9번 목간이다.선적월의 운송표로 시용 된 목간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수취인이다.이점은 테인선이니마도1


호선목간도미잔기-
지다 때문에극히일부를
제외하고는 수취인은 반드시 적혀 있다.
4)
하지딴 3
8번과 3
9번 복간은 결락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
入米

jL
斗.만을 적은 것이다.어떤 이유 때문인지 향후 띤구가 필요히디,

4
)태인선 목ξ}
에서 수취인이나타나지 않는 것은2점인데‘총수량이적혀있거나 부호와수걸이적혀있는것들로 다른목간과 용도가 달렀기
때문이다.
또한 마도1
호선목간 7
3점 중 결락이 없으면서 수취인이 적히지 않은 것은 단 한 점만 있다
44l

3)마도2호선 목간의 주요 내용

(
1)화물의 발승지역과 발승자

미도2호선 꼭간 증 지l
잉이 나E
l니는 것은 총 2O침이디 이종 무송현이 l
3점으쿄 기장 많고.디음은 고

듀L
군4침.고창현2진 정사헌 1
점이다 〈
표3〉
은지1
영과해당꼭간을정러한것이디.


표 3〉마도2호선 목간의 발송지역과 발송자

발송지 모가버승
「 」 」 - ‘ 수랑

l
F송한 고칭현‘정사한은오두 전라4
콰도고칭군이고 고부군은 인근의정음이디.목간에나오는 지멍
은회쉰의띨송지암기능성도있고 또한호l
물의수취지역.즉田出곡물의정우토지기있는지역으로볼
수또있디 5
)이느힌기지쿄특정히기꾀디는회촬의수한지역괴t
관송지두기지 EL
두를의미힐수도있디
또힌 지땅을등해띠도2호선의출항지훈추정할수있디 고창과정음은모두수운을콩헤줍포만으로띤
결되고,미도2
호선은 이 근밍에서 줍형했을 기능 성이 크디

(
2)수취인

4
7전의꼭긴풍수취인을파악힐수있는것은총3O
침이다‘그중2펀꽉간은잎이칠랙되고꼭흔만흐
리게 담이 있지민 관직이 떠I
|l
이며 댐 지플 쓰고 있어서 l
3번 목간의 이극서와 동일히다고 보았디 다음으

료l
6맨.l
8번복간은오두떼l
짜만님아있지만,디른수춰인이적혀있는꼭긴에는없는밀-
송인次앗
[1
뽕페:
기풍일히게죄히있는것으로보이大9
(l
|
l맺기확싣히디.〈
표4〉
는 따도2호선목간에니티니-
는수취인을
정리힌 것이다

회쉰의수취인을적는빙법은태안선이나l
l1
도1호선목간괴U↑
친기지로판직괴-
성벙(
또는¢l
3을적은
것이디-
수이디-
‘즉탤징 정원갱‘이극서닝증.증l
앙또장교오문부-대정박정등이그것으료괜직과성뱅이
순서기-
l1
l뀌기도힌디 다음으로는관직괴따민있는경우로는奇떻龍,太맺|
ll
핏가해당한디 역시순서는
바뀌기도 힌디-

가정빈빈히나비나는수취인은大띠|
l
俠외감꿇龍이다 대정유가수취인으로 니티나는목간은 l
6,l
8.
31
,32
‘42총 5침이디 대정F
「는 후습히-
겠지만 l
핏췄젠 이다 이들 목간에는 또한 벨송자도 ;
썼I]핑祚로 똥

일하l
니.형태상특징도유사히다,또한샤처1
또비슷히디 이룹통해힌시럼에 의해직성된 것을일수 있
는데‘이l
!
}도 치지 과조기-
나1용을 적았을 것이디

5)임 검희 m m 「마도2호선 일굴 목간의 민독괴 문류」r


옥간과 문지」6
|442


표 4〉마도2호선 목죠뻐|나타난 수취인

그런데그동안의수증출수목간에서는콜수 없었던수취인을적는방법이보인다 바로29번목간이


다 앞떤에“
앉松땐까E
京암홉’
l
fl出末짧좋石各入찮쇄피-
; ”이뒷띤에는“
{핏행金j
l
댄--
이라고적혀있는이복간
은무송현에서개정에있는就 댁에진출띠1
주힌성을올리는데.발송자는사자김순이라는인룹이디-한E
이라고만적어도수취인이누구인지일수있다는 것으로使쉽외수취인이배우 밀점힌-
관제라는 것을추
;씬흘1
-수 이 다
〕 i 1 / 〉、 1

디음은수취인뒤에적혀있는毛上과戶付에대해싣펴보지-태안선 따도l
호선목간부터몇점을 제
외히고는거의모두수취인다음에는毛上(
흰)또는戶hl
(戶)
가적혀있었고이를통해발송인과수춰인간
의 상하관계를 일려 주는 지료로 생각했다

그런데41
번목간을 살펴보띤약간의의문점이 있다.“
在京光世숨上任|
出l’
이리는 영문이남이-있는
이목간은상단부 결실여부를 알기가어렘다.하지만설령홈의위치가중간부에있디고가정해상부 걸
락이많이있었다히더라도수취인을 적은 부분은결락되지않았디.즉 개정에 있는光世라는 인룹이수
취인이다‘성은없고이룹만적혀있는경우는태안선목간에서는-
-
隊lE仁守”
.마도1
호선목간에서는“

되디”
이있는데모두뒤에戶서가적혀있다 그런데마도2
호선41번목간에서는 이름으로추정되는光世
뒤에毛上이적혀있어색다르다 k
fl
i이누락되었거나.
혹은승려일기능성도생각할수 있다.헝후연구기-
펼요한 부분이다

(
3)발송자

마도2
호선목간에서발송자는총3
멍이다 수취인이大뼈l
俠로적힌목간에서는‘
차지괴조‘
가,기견룡
이수취인이띤‘
使챔!
%l
三’이,2
9번목간에서는使휴金順이나티닌다.발송지-
잎에적허있는次앗[
l
와{핏者
는 어떤 의미일끼.

次知는 패인선과 마도1


호선 복간에서도 나티나는데‘
次知i
|
않船‘
또는 ‘
次知+
9ll
5
名’으로 적혀 있있다
2011
년출수된마도3
호선목간에서도次知용례는보이며특이하게도;
次知毛上’
이적혀있다 차지는‘

엇을 맡아한다.
라는의미즉담당자를 말한디 載船이나毛上처럼멍시히는 경우도 있지만次%n다음에이
름만적은것도있다 따라서선적책임자나택상책임자만으로한정짓지않고발송전반에걸쳐역할을한
443

넬송 지 라고 볼 수 있 디

;
k’
知는 크게 보아 빌송책임지에 해딩히는 시람이디-그런데 현재끼지 관독한 nl
또2호선 목간에서 次

”기 어떤 신분인지휠 일펴 주는 자료는 없다 치지가 적혀 있는 목간은 모두 펀・


上이라는 용이를 쓰고 있어

수춰인이 싱위 제층인 것반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짜겪 디음 에는 쩡페:
와 金l
!
따두 멍이 나온디-시자 역시 ;
k・
*Il
외~마찬기지로 빌송 전빈에 관

여한 사린이디 그펀데 그 성격에 대해서는 아직끼지 획언하기 어렵지민 아무래도 수취인과 사적인 관계로

맺어져 있는 인월일 기능 성이 크디-이 침은 특히 2


9번 꽉간에서 뚜 렷하게 드러니는데 수취인을 단순히 함

이라고민적어도인지기기능히디는것은때우빌칩한관제이기때문에기능한표현이라고생각한디.

(
4)화물 증류

마도2호선 꽉간에서 호}
뀔 의 종류를 획인 할 수 있는 목간은 총 3
9접인데.이 종 3
9번 복간만 두 가지기

적히 있고.나따지는 모두 딘옐 품목이 적혀 있디 그 종류는 곡물이 대다수고‘누룩‘젓갚‘참기름.꿀 등

도 니온 디 〈
표4〉는 복긴에 꾀이는 회뀔종류를 정리한 것이다


표 4〉마도2호선 목간에 나타난 호멸 종류

호l
렐은도류(
총l2셉)
와두류(
총l2침)
기디수를차지히고 있다 수취인俠大때l
은 白米(
32번)
.I|
1米(
18
번)
.太(
3l변.43번)등3종류를받고있고,奇꿇펌은太(
8l펀)
.이‘
l
臨(2
6반 2
8번)
,마l
米(45번)
를받고있디‘
똥일 수취인이라고 히너 라도 따라 불푼을 받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디 이 정은 도정고l오문부도 마찬

기지쿄 각각 깎기룬(
23번)
과 딸(
27펀)
이 덤쳐진 u
ll
병을‘떨장 정원경은 U
l1
주(4번)
와 종Ul
(46번)
을 받는다

호H블잎에는 田1
바이리는 용어기-
깜어 있는 경우가 많이 토지를 때개로 한 수추l
룹이라는 침은 일 수 있

디.그텐데 곡렐종류임에도 렐구하고 E


日出이테는 용야기 펀지 않은 것도 다수 있다(
7.8 l
?20 2l35.

4
7밴 총 7점)
‘띠리서 진출이 써있는지의 。1
」뷰에 띠-
라 성적이 구분권디고는 볼 수 없다 또한 곡환류의 경

우 특히 토지외 얀핀되이 수힘붙인데.그것이 |


fl
페인지 t
tl
L
代인지는 1
성확하지 않다-이점은 지속적인 분석

과 연구룹 진행할 필요기-


있는 부분이디

쓸수 위치플 통해 선딱 내 회윤 선적구간을 분석해 봤지딴.특정 구간에 동일 수취인의 호발 을 모두 실

었다고 띄기에는 어테웠다 오히러 l


l
ll
냉이나 도기호 등이 집증적으로 출토되는 선빅의 제3
칸은 렐푼 특성

싱인전한선적을위한공간으효。1
El수취인과회렐종류기분포히고있었디.선적시수취인떨구분은 없
었디고 파 인디

l444

(
5)수랑과 포짙딴 위

따도2호선목간에서는그진의배안선괴-
띠도1
호선목간과마찬가지로회물띨로수량괴포장단위를적
어놓았다.하지만,마도l
호선목간에서는 1
석,3
석,l
O석,2
4석등 다양하게나오지만,마도2호선목간에
서는모든호뽑당1
E.1
紅.l
處로표시했다.
호않 표가좀더상세히고 세밀히게달렸다는점을알수있다
숫지는 갖춘 자 (
졸)를 쓴 젓이 대다수지만 1l
,19,20
,2l
,26,35.3
7번처럼 7
점은 일반지를 썼다.수량

을 갖춘 지로 쓰띤 포장단위도 역시 갖춘 자로 썼다.

곡월류는 수량단위는 石 으로,포장단위는 iL


로 적었다.포징 수량은 l
5두기 기장 많지만,1
8두(
24.

35
)와9
두(39
.%)
와 6두(
38번)
도 보인다.20
두(2
9번)
는 한 짐이디 호}
불종류별로 포장수량이 구별되지

는 않는다.l
5두와 20
두는 마도 1
호선 복간에서 밝혔듯이 일반적으로 시용 되던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Q1
8

두는 어떤 의미였을까.9두와 6
두는 각각 l
8두의 l
/2.l
/3수량인데 어떤 정해진 규칙이 있는 것인지 우연

인지는일수없다 현재로서는뚜렷한결론을 내리기는 어렵고,호}


물종류에따른차이인지,포장용기(

섬)
의치-
이인지.1
5두.
20두처럼정해진약속이있었는지는좀더연구해보}
야할것이디.
누룩은 마도2
호선 목간에서 처음 나온 호떨 인데.수량을 꿇로 표시했고 포정딘 위는 f
f으로 적었다.짧

는 이미 태안선 꼭긴에서 도자기 수링을 나타내는 용어로 나옹 적이 있는데 도자기와 마찬가지로 누룩은

꾸러띠 형태로 파익히띤서 단위는 근수로 표현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판독 이 진행 증인 부분 이 명확해

진디떤 누룩 한 꾸리띠에 대한 정획한 수량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기호에 닫아서 이동했던 짓길은 값으로 세고.포징수 링


t을 명시했다 고려 도기의 용적량을 일 수 있

는 종요힌 자료디.〈
표 6〉
은 회물 별 수링:
과 포장단위를 정리한 것이다.


표 6〉호}
울열 수랑과 포장단위

4
)마도2호선의 연대

목간 중 ;
;
李克↑
샘郞이
그”이 적힌 2번과 1
3딴을 통해 마도2호선의 연대를 파익할 수 있었다.李파偶는 r

麗찢j
어l디-
음의 기록이 나옹다

6
)임경희 2
010,
「마도1
호선 목간의분류와 주요내용」r
태안마도1
호선 수중발굴조사보고서」
445

A-
1.추필원부사 이팍서는 종군을 거느리게 히고.이적유는 후군을 거느리게 하고.낌취펴는 우군을 거
느 리게 히-
여 의주 의 적을 쳤디 7
)

A-
2,2
월 신미일에 이극샤를 뀔퍼 평정시로 심았다.김쥐려는 중군 병따시-
.오수기룹 우군벙미시로 걱

걱 삼았 디 8
)

A-
I은 고종 6년(
12l
9)에 義州에서 합j
|
체 多智기 난을 일으키자.추띨원부시 이극서와 김취려 등을 보

내 진임하 도록 한 기시-
다.A-
2에서는 이룹 히1고종7년(l220)2월 에 이 극서룹 불 러둘 여외 평장사 에 임l
딩한

사설을 전히고 있디 이극샤는 두 기꽉 외에는 보이지 않아 l


2l9년에는 추밀원부사,l
220년에는 평장시플

지낸 인웰이라는 깃딴 알 수 있다-
-
9)2먼과 l
3먼 꼭간에서 이극서의 핀직은 낭증이다.그떻디연 마도2호선

은 이극서기-낭종으로 있었던 시기로,그기 추띨원부시로 나오는 l


2l9
년보다는 이진이라는 시실은 획실
하디.

또한 5점의 목간에서 수취인으쿄 니오는 大떼l


짜를 통해서 마도2호선 떤대를 츄 더 좁힐 수 있다 大9
en

찌는모두띤1
윌뼈과 띤관되어있는데.또디-
른발송지로 나오는무송현.고창현.장시현과는인접한 지역
이디 고려시대 우송한.
정시한‘고부균괴 긴띨힌 관제가 있는 俠앙는.유땅 귀족기운 인j
꽂센텃f
끗다 이들

증 이극서 활꽁시기에 대경을 지낸 무송 유씨는 어떤 인렐이 있었을끼-디음 시효플 띄지

B-
l무송현은 원래 백제의 송띠지한인데 신리 정되왕이 지금 l
성칭으로 고치서 무령군의 관할히에 헌

으로 딴둡었다,고려에 와샤도 그대로 소속시켰으마 후에 장사 깜부로 겸임케 했니 l


0
)

B-
2‘[
인렐}
고려 유꽉숭(
맺隊젤) -
(증릭:
)-유지링(
짜줬1
55i
).고종 l
I
l1시림 인데‘떠슬은 싱서 죄복 야에
이르렀다 (
이하 생꽉)
ll
)

B-
3.이러 관직을 거치띤서 어시‘싱의봉이‘시아사.호부닝증.어사잡단이 되고 금지를 하사받았다

터!
부소정‘1
갱 형부시핑,데듀
L경,지심-
사시,판E
ll
부 사재시-
,미l
자첨시.판힘문사.지디방시을
펙임했는더|
관계는 모두 정의대부기-
되었다.싱서우곽 야가 되고 관계기 굉록대부에 이르렀다.이

것이 공이 관직을 지낸 순서디-
12
)

유씨는 무송현의 유력 사1
랙이었고.또힌 유록숭부터 유필.유지-
량에 이르기까지 고관을 연달이 배출한

고려시대대표적인귀족기-
분이디까)
「新땅댔!
똥l
與it
l
lj
俠fi」l
F정한인렐조에도여러l
성이올라있다(
B-l
.2)
-
부송 유씨 중 이극서 등징 시기와 기정 가끼운 시점에 大때l
을 지낸 인둡은 텃윗합 이유 일하디-

유자량(
ll5
0년~l
229넌)
은 음서보 출시한 이후 ol
러 관직을 지냈고‘그 중 j
이‘f
%|l
을 거쳐 이퍼 관서의

7)i
以樞EE5짧 1
땐 종형 댐將 中뭘 5
Fii
gf關 염f
&:1
f金就빼 엉Ef
Ir
:1꿇州 ‘
(r
高옳 史」
卷22Hi家22高宗 앙F1
O月 F
FE)

8
)-二月 E
g未 김주克{
품휠平章짧 以;
gpj야찢
옳cP軍兵馬↑
훗吳합뼈없右i
융兵톤↑
훗]r
高麗잊
3」卷22t
g家2
2高宗 7年)
9)기즌 필자는 목ζ뻐 |보이는 i
F克 f
품가 r高앓se」어|등εnif
는 인울과 동일인이라는 전제히에 유대경이 유X밭’
인것괴 마도2호선의 연대를 추정
해왔다 (
임경희 201
O 「마도i
호선 목간의 만독과 내용」「목간과 문지」5)이와 힘께 이 잭의 6절(
빙시성틴소연대즉징)
에서 밝혔듯이 마도2호선
이 11
m 1
2CC년대리는 것이 얽혀져서 띨자의 전제가 타당히다는 집을 획신할 수 있게 되었다

10)-
EPi% 4、百l
경원상쨌 Z떠%?
5羅景{
행조改 今名휠띤;
i§S8
領 영*흠麗仍之 後以長沙용g
% 來갖F-
(「高옳SEJ卷g 志 1
1地 l
휠2魔州얘 §
§光없 )

11)-
人物 흠않 텃앙 종 (
中略 ) j
헛갑겹、홈宗 8
휴人 합쪼 尙델左f
쫓gf (
下略 )
-(
「%t
홉핏國 맺地 陽賢」환36ξ 隱i
휠 EiI
흥% 人@
깨앤)

12)累REnps
E尙 衣꿇 f
빼링때史 戶ggeB며3%P
5gggj옮陽金쌓 大府 少뼈P兵 R1
j
ggf
츄郞 大R빽 P知三 司事 %1
l大쩌 司ggag大子훌 훌 *1
j
閔 門 知;s

房별 8
뚱뿔正諸 尙휠石f
쫓af8
홉jti
3此公之PR
gE흩序也(
r東國李相國뚫」
卷36훌誌 銀룹光綠大夫尙휩左f
*aj
됐f±E
Q公흉誌엎)

13)사뚫풍 1
987 「
高짧8펌代 의 잖 쇄 t
iEt家門 分 샌」
r斗j
찢EFF
qgR1
핀土九힘紀운、
짧탱 史쩡論 뽑」
,*많앓훌월dt
|446

*1
j
홉J와 fn
흉i를 역임했다 강종 2년(
l21
3)싱서 우복야로 致↑
土히고 l
229년 80
세로 쭈했다 大柳은 少때이

있는콸 藍의뼈을밀히는데M
)태부경도 이에해딩한다.유자량의태부경재직시절은정확하게알수 없
지만 1
2l3년에 致삼히고 그때 상서우복야였다띤 종3
품의 태부정을 지낸 시기는 그 이진이었다.따라서

마도2호선 의 띤 대는 잎의 이극서를 콩 해 1219년 이전이 라는 것을 일 수 있었는 데 유자 량을 핀력 을 통해

1
2l3년이전이라고좀 더좁힐수있게되었다1
5)

5)맺음말

이상으로 2Ol
0년 마도2호선 목간 4
7전에 대한 형태 내용탤 분류외-
중요 내용을 살펴보고,마도2
호선

의 편년을 제시했다.앞의 내용을 긴략하게 정리히-


는 것으보 글을 마무리 짓도록 하겠다

따도2
호선 목긴은 홉의 유무를 제l
기준으로 심고 .흠의 위치와 몸통의 모잉:
을 지l
2기준으로 삼이-
형패

띈로 분류했다.훈이 꼭긴의 윗부분에 있는 형태기-대부분이지만.가운데 또는 이래 있는 것도 l


점씩 있

디.목간을 회울 에 U
H달기 위해 판 홉이라는 침을 생각하띤 위치는 중요히지 않았지만,관려l
적으로 윗부분

에 펀 것을 파악할 수 있다.흠이 없는 목간은 대부


판 직시각형 형태이지만 끝을 뾰족하게 다듬은 것도 2

점 있었다.아미도 벗섭이나 초섭 등에 꽂아서 시용했을 기능 성이 있디.

내용별 분류는 수취인과 빌송지 또는 발송지가 나타나는 것을 첫 번째 기준으로 삼아 모두 있는 정우와

수취인만 있는 경우,둘 다 없는 것으로 니눴 다 여기에 띨-


송지와 발송지를 구별하고.수취인과 발송자와

의 관계를 나타내는 훤上과 戶付를 니눠 분류했디.수취인괴 발송자기-


함께 나타나띤서 E
E上이 쓰인 것이

가장 많다.

마지막으로 ‘
李克댐 郞將’
이 적힌 꼭간을 중심으로 따도2
호선의 얀대를 밝힐 수 있었디-
-李克{
띔는 高

宗代 추빌원부시(
12l
9)와 핑장시-
(l
220
)를 지낸 인물 이디 또한 이극서 헬-
동시기를 진후해 무송현.징-

현.고창군.고부군과 연관성이 높고,大얘l


이라는 벼슬을 지낸 수취인 大柳俠기 댄윗줍임을 밝혔다 @5
資F
S는 1
2l3년 상서우복야로 致f
士하는데,묘지1
영에 그가 j
대f꿀외-
司댈꿈맺[
l
을 역임한 사실이 나옹다.

따라서 우리는 따도2


호선이 적어도 유지-
량이 치사히-
는l2l
3년 이전에 난피한 선박이라는 시실을 알 수
있다.아직까지 북서 중 일부는 판독이 진행 중임으로 판독이 완료되면 마도2
호선의 떤대는 더욱 정획해

칠 것이다.

미지댁으 로 마도2호선 목긴에 적힌 회물은 마도l


호선과 미찬기-
지로 패出 곡식이 대다수다 전출이라

는 용-
어기-
전조와 지대라는 두 가지 의미플 모두 갖는다는 것은 이미 마도l
호선 목간에서 밝힌 적이 있다.
따라서 마도2
호선은 공적인 성격-
조운선-
과 개인의 지대를 팀고 가던 시적인 성격 두 기자 모두 기능 하다.

향후수중발굴고려목간에대한종합적인분석을진행한다띤선박의역시적성격은더욱땅확해질것이
다-특히 2
Ol1
년 마도3호선이 발굽되었고‘그 안에서 30
점의 목긴이 또 발굴되었다.자료기-
계속 축적되

고 있어 연구의 좋은 제기기-
되고 있다-

14)임경희 X% ,「
태안 대섬 고려 목간의 분류와 내용」
r홈麗 품없뀔物船 J4없 쪽

1
5)띨자의 이전 글{
임경희 2
01Or
목간과 문자j
3뻐 서는 마도2호선의 연대를 마도1
호선 보다 약간 앞서는 1
Xn년 전후라고 밝혔다 항후 연구를
더욱 진행해 이극서(
낭중-추밀원부A”유자료R
종3움 관직들-정3
움 관직)
의 승진 연한을 일댐 내면 더욱 영확해 질 것으로 생각한다 후고를
기약한다
447

참고문헌

朴龍雲 ,19871
「高훌륭8
촉代 의 않쇄1
헛EE家 門 分 析」
r斗;
쫓李因驚 博士九 包紀;
운:韓國 史學論 흉
흉」1슷D識훌 業社

김태은12008,
r高麗8
멸代 *敏E6
升究」
jO|
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경희 최연식,
2OO
8「태안 정자운빈선출토 고려목간의현황과 내용」
1r
木簡과 文字」
창간호
임경희 2009,
「태안 대섬 고려 목간의 분류와 내용」
r高麗 좁磁 寶物船 」
,국립해앙문화재연구소

국 립해앙문화재연구소,2OO9,r
高麗 좁짧 寶物船 」

국 립해앙문화재연구소,2010,r
EH안마도1호선 수중 발굴조사보고서」

임경희 최언식,
200
9,「
태안 마도1
호선 발굴 목간의 현황과 내용」
,r
木簡과 文字」
5
임경희,201Oi
「마도1호선 목간의 분류와 주요내용」
r태안마도 1
호선 수중발굴조λf
보고 서」

임경희,2010,
「마도2호선 목간의 판독과 분류」
r木簡 과 文 字」
6
l448

3.
마도2호선 잔존선체 구조 고찰

최유리

1
)서론

현재끼지 대한민국 인근 해역에서 빌-


굽된 선박은 총 11
척이다-그 중 외국선박으로 밝혀진 신안선과 진

도선 2척을 제외한 9척 모두 고려시대 선박이디.9척 중 달리도선.안좌도선.대부도선 3


척은 썰물이연 드
러니-
는 갯띨에서,니-
머지 6
척은 수중에서 발굴되었다,

우 리나라의 발굴선체 인양빙법은 발굴현장에서 잔존부를 해체하여 인양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게다기 주 발견처가 서해기 때문에 수증빌굴 시 시야 확보기-
쉽지 않은 등 수증환경으로 해체 전 선체구조

를 완벽히 기록히-
는 것은 섬지 않다 띠-
라서 발굴당시 결합싱태 의 재헌을 통해서만 잔존부에 남아 있는 선
체 선형의 특정괴 결합빙식 등의 세부구조를 확인 할 수 있어 이는 선체 띤구에서는 펼수적인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육상으로 옮긴 후의 개별 선체획인도 쉬운 작업은 아니다 선처l한 부재가 사람 커를 흘쩍 넘어,큰 부

재의 정우 6
~7m 정도 되며 작은 부재라도 혼자 힘으로 옮기기엔 힘에 부치는 무게를 깃고 있기 때문이

다.게디가 부재의 형태는 남아있으나,목재 조직이 약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파손되기 쉬우며,수분

이 마르지 않게 유지시켜 줄 수 있는 흰경 을 갖추어야 한다.게디-


가 개별 선체부재는 만곡이 심한 편이어

서 평떤적인 2
D도띤으로 인양 전 결함상태를 재헌한다는 것은 거의 불기능 한 일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선

체실측괴-
동시에 컴퓨티 프로그램을 시~
용하여 입체적인 3D도연으로 기록히고 있다 이 작업을 통해 발굴

당시 결합싱 태 재현은 불론,개떨 선체의 형태나 구조를 쉽게 획인 할 수 있다.2


Ol0년 발굴된 마도2
호선

역시 최근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해 말룹 전 결협상 태플 재헌히였 으띠,이를 통하여 발팔 당시에는 기록

하기 어려웠던 선체의 구조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글에서는 2
D -3
D프로그램을 시용 하여 마도2
호선 선처l
구조를 획인하였던 방법을 소개하고,기존

빌꼴 된 고려시대 선빅구조를 실펴본 후.마도2호선 구조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다.

2)2D・3D프로그램을 활용한 선체구조 고잘방법

2D 3D프로그램을 활용한 선체구조 고찰은 크게 다섯 단체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개별

선체를 직점 실측히여 수치를 확인히-


고 두 번째 단계는 실측 결과값을 2D도띤l
)으로 기록한다.세 번째
단계는 진 단제의 결과값으로 3D도띤2
)
으로 기록하띠,네 번째 단계에서는 각 개별선체를 결합하여 벨굴

당시의 모습으로 재현힌다 .미치 막 다섯 번째 단계는 다시 2


D도떤으로 결함상태를 기록히는 것이디.

2D도떤의 경우,부재의 구조와 크기를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장침이 있으나,휩이 많은 선체의 각 부재

의 결합을 재현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또 3D도변의 정우에는 부재의 형태와 휩을 쉽게 인지할 수 있

는 장침이 있으나,보는 방향에 띠라 왜곡이 되기도 하며,이미지로 인식되어 도띤의 기본인 구조체의 규

모나 결함부의 구조 등을 한눈에 인지히-


기 어려운 침이 있다.그러므로 두 작업의 병행은 꼭 필요하다.

1)마g 호선은 An∞ AD프 로그 램을 사용하였다

2
)마g 호선은 %j
πg f
t8프로그램을 시용하였다
449

(
1)잔존부재 실측

3D 복원을 위한 실측 은 부 지l걱 지 침의 낌 이‘높 이.폭 의 값 이 필요하 디‘정확한 값의 실측을 위 해서 기

분적으로 수평선괴 수직선 2


개의 축을 정획히 섣정히띠야 한디-
-그 후 낌이 높이 폭의 0점 기준점을 정

한디 벨굳선처1
는 수분을 유지시켜야 히α|무겁고.파손이 쉬워 이동이 어램디 그러므로 실측은 탈엠장

내에서 이뤄져이 힌다 미도2호선 설측시 시용 한 l


앙ll
낀은 다음괴-
깥다
만저 높이기 낌거1제직펀 첼재받침대를 싱부기 수떤위로 니오게 하。
13~4지점 설치한디-그 위에 수

평으로 제직된 실측대를 섣지힌다 이것이 수평선의 기콘이 된디 수직값은 실측대의 수평띤에 직각지플
대어 그 높이를 측정한디 실측대 위에 선제를 움직이지 않거l
고정한 후.레이져 기기를 시용 히이,선제 송

땅형으보 직션을 정힌다.이 선을 줍지를 이용하여 표시해 놓는데‘이 선이 폭을 실측히는 기준침이 되l


£l

0점이 길이의 기준점이다 3


)높이는 실측대 상과를 기준침으로 잡는디

선처1
는 일반적으로 한 부재내에서 횡단띤의 형테가 크게 딜라 지지 않는디 그러므쿄 길이빙헝으쿄 실
측 간격을 정히이 그 평단맨 각 지침의 높이외 폭을 측정히이 기콕힌다.실측간격은 일빈적으로 변칙적인

구조가 없는 한 5
0~l
oom
n간격으로 정하며 부재의 시작 끔 띠구리 듀[
분과 l
펀칙적인 규L
죠가 나티나는


;낸 은 그에 찢추어 섣측기준을 정힌디


그림 1
〉기준점 및 실측지점 구상도


사진 1
〉레이 져 기기로 기준선 잡기 〈
사진 2
〉각 횡단연 수치 확인

3)헌재의 실촉 법은 선체 의 선형 때문 에 길이빙향으 로 1
%(최대&:
m)이내의 오치 가 발생히기도 한다 히지만 횡이 심한 부 재의 경우에 최대치를 보
이며 도연회 작업 후 구조를 확인히는 데는 큰 영항을 미치지 않는 수치이다 하지만 이 오太뻐|대해서는 앞으로 개선빙법을 강구해야 할 것으
로 샘각한디
|450

(
2)잔존부재 2D도면작성

현장에서실측한수치를 컴퓨터2D프로그램에서도띤화하이,각부재의구조 및크기를 인지하기쉽


게만드는작엽이다,딴저2D프로그뱀싱에길이 폭 높이의기준선을집은후 실측값을넣어실측지점
의위치를표시힌후그지점들을선으로이아2D도띤을왼성한다 일반적으로평띤도,조}
측띤도.우측 떤
도,횡단떤도의 도 띤을 작성한 다.


그림 2
〉2D도면 작성과정 1-실측지점 표시 〈
그림 3〉2D도언 작성괴엠 2-형태 완성

(
3)잔존부재 3D도 면작성

각각의 부재를 3D프로그램으로 재현히는 것이다.2D도면에서는 할 수 없었던 부재의 부피낌을 부여

하여.다잉:
한 각도에서의 부재의 형태와 휩 등을 확인힐 수 있게 하는 작엽이다 2D프로그램에서 민든 도

띤을 기준으로 형태를 만든다.

. ・이!


그림 4〉기준이 되는 2D도연 〈
그림 5
〉형태의 외곽선 만들기


그림 6〉형태 만들기 〈
그림 7〉재질 입히기

(
4)부재결할 3D도면작성

3D프로그램으로 직성된 개별의 부재들을 결합히여 발필당시의 결합싱태룹 재헌히는 작업이다.이 작업

을 통하여 부재를 연결히는 방식 등의 개l


힐선체에서는 획인 하기 어려웠딘 선체의 구조를 확인할 수 있디.


그림 8〉중앙저판 결할 〈
그림 9〉좌 우저판 결할 〈
그림 1
0〉외판 걸합
45l

(
5)부재결합 2D도면작성

3
D프로그램에서직성된띨굴당시의결합상태플2D도띤으토댄환히는과정이다 이직염은 전체형
E
|l
외내부의정식얀결.각구긴의횡딘띤등을2D도떤으료직성히이.규R니나1
부장식등선처l
의구조플
힌눈이1일이보기 쉽게 히-
는 직임이디


그림 1
1〉3D프로그램 상의 평면모습 〈
그림 1
2〉외곽선 추출


그림 1
3〉추출선을 기준으로 도연 작성 〈
그림 1
4〉물필요한 선을 제거하여 완성

3)고려시대 발굴선박의 구조적 특징

현재발굴선빅을똥히이획인힐수 있는구조는지판 외판,기티구조렐등이디.그종마도2호선에서


획인힐수있는구조는지편괴외펀이다,본정-
에서는마도2호선의구조를살펴보기진에.기존에발꼴펀
고려시대의 선박의 구조를 살펴판으쿄써 마도2호선 구조에 대해 이해를 돕기로 한디.

(
1)저판 구조

선체의히부구조로기-
정기본이되는구조이다.태안선을지|
외한6척에서저핀구조기확인되었디‘힌-
선의저핀의형E
|1
는평저형이다 히지민평저형이리고하。l평펑힌 l
셋목낌은 형태는아니다-말굽선박들
을실펴보띤‘저펜의종1
앙형:
의헝태는증잉부분은평평히지만선수와선띠가꺾어올리간형태이다 횡빙
향의형태는대부분평평하지띤 마도l
호선에서는선미」
뷰에서바깥쪽열이올라가는형태가획인되었디-
또힌저판의폭은중앙부기기정넓으띠 선수의폭이선띠의폭꾀다넓게나타난디
각선지1
의저판은3.
5.7개알로이루어저있다‘기-
장중앙의알을증앙저펀.이를중심으로좌 우지판
으호분류히-
는데‘3개열로 이루어진선박은딸리도선.십이동피도선.안좌선이다l57
11
열로 이루어진선
박은완도선괴대부도선1
)이고.7개열로이루어진선박은Ul
-
도l호선이다 그중왼도선과심이동피도선은
딴곡부종똥재5
)휠시용하았는데.왼도선에는 I
딘 섭이동파도선에는2단이 빌견되었다 각 열은증앙저

4
)대무도선은 죄지민은 빌건되지 잃댔 지민 중앙저만괴 우저민 2열이 빌견되어 원래5열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5
)저핀괴외민의 연길에 사용되는 L지헝 부재로 왼도선에서 처음 빌견되었다 이 부재는 연길외에도 저핀의목괴 외만의 놈이에도 영힐을 미친다
|452

펀괴좌 ・우지판제1
열의3개열을 1
개의장삭으로관통하여고정히는 것이기본구조이며.5열이상의저
판을시용할때는그잉옆으로1
열씩을붙여가는형식인데.
중앙측의열에는반관통,외측의열에는관통
으로구멍을뚫어장삭으로고정하고반관통상부에서산지를꽂이-
결구한다.


그림 1
5〉저판의 장식연결 모식도

중잉저판괴-
죄 ・우저판은구조기-다르디-중앙저판을 구분하는 가장쉬운방법은상부에남아있는쫓
대구조를십입하였던1
1자묘양의두개의구맹이다 현재까지빌굴선박은모두 1
개씩발견되었다 대부
분의선박은중앙저판상부에구멍을낸형식이지만,인좌선에서만독특히케도 이부분을사다리꼴모양
으로 높인 후 구멍을 낸 형태다.


사진 3
〉마도1
호선의 좋대구조 흔적 〈
사진 4〉안좌선의 돌대구조 흔적

중앙저판은2~3개의부재로띤결되어있는데,3
부재를 엔결한것은완도선하니디 각열의부재연결
은장부이음과 턱걸이징부이음을시용하았다.장부이음은왼도선,심이꽁파도선,마도l
호선에서나타니
따,턱걸이장부이음은 달리도선괴 인좌 도선에서 나타난다.

6
)대부도선은 부후되어 연결빙법을 알 수 없다
453 |


그림 1
6〉장부이음 모식도 〈
그림 1
7〉턱걸이장부이음 모식도

좌 우저판각열은2~4개의부재호 떤결되었으띠‘잎률적인공식을기자고있지는않은것으로보인
다 끽열부재들은빈턱이음괴.씻넨이음으로 연갤한디 그중빈턱이음은상하로반턱을두는 경우와수
평으료반턱을두는정우두기지형식기이니-
타나는데.맞댄이음과수평반턱이음은함꺼l
쓰인것으료보
인다8
)수평반턱이음을시용힐때에는 이음부위에산지를꽂았다‘수직반턱이음은달피도선과안좌도선
에서쓰였으며.맞댄이음과수평빈턱이음은 나머지선박에서쓰였다


그링 1
8〉맞댄이음 모식도 〈
그림 1
9〉S면뻔 턱이음 모식도 〈
그림 2
0〉수영반턱이음 모식도


표1〉빌굴선박의 저판구조

7
)이직끼지빌굴보고서에서이두이음의영칩을분리하여사용하지잃댔다 몬연구에서는면의싱S「
히빈턱이음과수영반턱이음으로나눠부르
도록 한디 하지민 이 영성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자들의 의견조율이 밀요히다

8
)완도선과 십이동미도신의 맞댄이음은 좌우 지|
1
열 부재의 마구리에서 맞댄이음 흔적이 확인된다
|454

(
2)저판과 외판의 연결 구조

저판과외판의연결구조는치판외측상부에l
자형턱을두어연결히는경우와저판외측싱부를사선
으로칠단하여연결하는방법으로나타난디-또지핀과외판을직접연결하지않고만곡부종통재를시용
하기도하았는데.이역시외측싱부에U아형턱을두어떤결하았다.


그림 낀〉L자형 턱 연결 모식도

대부분의선박이Ul
형 턱을두어띤결하였으띠,사선으로 절단히는 방식은 미도1
호선에서만사용되
었디.딴곡부종홍
-재는 완도선괴 십이동파도선에서시용되있는데,왼도선에서는 I
단.십이동파도선에서
는2
단이사용되었다 민곡부종:
통재는두선박모두2
부재로떤결되어있는데,빈턱이음을 시용히-
였다.


사진 5
〉완도선 만곡부종통재


표 2〉발굴선박 저판과 외판의 연결 구조
455

(
3)외판 구조

외핀은선처1
에샤떡i
l1
의액할을히는 」
;L
자1다.넬필선딱의경우외편재기왼형으로 님이있는 정우
눈 힌
건도없으미‘인죄선이우측7
단으로기-
장많이남이-
있고,십이동파또선은외판재기빌진되지않았다 또
E
H인선은외판만빌진되었다 띨궐선빅의 외판잔존딘-
수를샅펴보띤왼도선괴딜리도선에서는좌우4단.
안죄도선은조}
측 2딘과우측7단,대부도선은우측 l
단.태안선은4단.띠또1
호선은죄측 2단 우측3단이
발견펴었디.
9)

외핀의각딘은2
~4개의부재기남이있으띠.
각부재의연결은반턱이응을시용-
하았다.
외판을쌓아올
리는빙식은하단의싱부외측에L
지형턱을따샤싱단을을라는콜링커이음을시용하고 있다 외판은상
하단을피삭을꽂아고칙시끼는데L
자형턱부분에규
L멍을뚫어떤결한디.얀결은2
단씩을모율로하여,
하딘에는 빈관풍 구L
잉.싱단에는 판똥 구l
성을 내이 하단 l
jl
깥측에서 산지로 고정시낀다 장삭구맹은 강도

를위해상 ‘하단에서서로잇길린 곳에위치시킨것으쿄꾀인다


그림 2
3〉외판 반턱이음 연결 모식도 〈
그림 24〉외판 Sh
하단 연결방식 모식도

이와낌은 외편의구조는벨필선빅에샤거의에외잎이나더니는데,유독 E
}1
인선에서민변칙적인형식
을꾀이고있디 띈굴선딱들을설펴l
IL
떤외편의두끼1
는lO~2O
CI
n내외이미.힌선치l내에서는두께나크기
기거의유시힌 부재를시용히고있디,히지딴.때안선외판의두께기저1
l단은 I
2cn
l제2.
3단은7c
m‘4

은1
Ocm쿄각기디르게나타난디 또힌데인선에서는 피삭을ν아흉부분에꽂지않고싱단의외측에서히
딘의니}
측빙향으로꽂았으며.하단의윗부분에서산지를 꽂이고정히고 있다 피삭은2
X4c
m정도의작은
크기의 것을시용했으며 간격은45
cm정도료좁게니더니고 있디-보통힌선에서는콸핑카이음의L
자형
턱을히딘의싱부외측에팎는데.E
H인선의경우저1
3만괴저l
4딘의얀결을저1
4단의히부내측에l
자형 턱을
뚜어 연갤하고 있다

또안좌선의외펀지1
1딘의선수」
펀은 삼걱형 모양으로두템게기공되야있는꼭특한형식을보인디.

1m
.


그럼 2
5〉태안선 단언 〈
사진 6〉안좌선 우외판 1
-1부재

9
)십이동마도선은 외핀이 일견되지 잃댔 g며 태인선은 외핀만 일견되어 좌우빙항에 대한 민딘은 어럼디
l456

힌선의횡깅력 구조로는기룡과 멍에기 있디 멍에는 최싱단에설치되는 부재로.외핀의 상딘에턱을


두어걸치는방식으로결구히며.
기흥L
은그외의외핀에설치되는부재로,
양측외핀증앙부구멍에꽂아서
겔구히는댐-
식이디.멍에는최싱딘애올라기는부지l
에서이직까지빌굴선빅에서띨견되지는않았다.그
외횡깅꽉부재로 멍에형가룡이있다 외판의중간단에설치되나,외판의상단에턱을두어걸치는 빙식
을 시~
용하고 있는 부재 이디-

-」」rr -」

사진 7
〉달리도선 외판과 잉에형 기룡 결구모습

--Ift믿-
극:영같


사진 8〉달리도선 발굴당시 엉에형 가룡과 당아뿔 〈
그림 2
6〉달리도선 멍에헝 가룡 추정구조

멍에형가룡이잔존힌선박은달리도선과안좌선인네.멍에형기콩에는윷대구조를집아주는 구조물
인당이뿔이설치퍼아있디.하지민그구조는두선박이각각디-
르게나타난다
달리도선의딩이뿔은앞쪽이길고리같은형태로윷대와구레짝을감씨-
지지한형태로추정되며‘안좌
선의당아뿔은 자형부재2
개를 l
lx}형태로멍에형기룡에고정한후쫓대구조앞부
분을다시-자형
부재로 박아 고정한 헝패토 추정된디-
-


그림 27
〉안좌선 멍에헝 가룡 추정구조
457

(
4)선수 ・
선미구조
저판에서 선수 선미 띤결구조가 나타나는 것은 달라도선과 인죄선이다 두 선박 모두 선ul
부분은 선

비판재일부기걸힘된 채로l
말필되었으니.선수관재는함끼1띨굴되지않았다 히지만십이동피도선괴따
도l
호선에서 선수핀재로 추정되는 구조가 빌견되었다

댄지선수구조에대해서섣펴보띤,딸리도선과안좌선지판에나타니는구조는거의유시하다 선수쪽
저판 싱」
뷰에 E지헝 흠을 일델로 내어 선수펀지l
를 삽잉히였던 것으표 보이진디 두 선백-저판 lL
두 선수핀-

재를받치기위하。1
판의잎부분이높게올라오는구죠이며.이부분정띤에서산지플핏아고정히였다


사진 1
1〉안좌도선 알굴당시 사진(
선수)

선수펀재의 형E
ll
는 섭이동파도선괴 띠도l
호선에서 니온 추정부재틀로 획인 힐 수 있다 두선박 모두 세

로쿄 각 」
fL
xH를 연칠하였으며.자펀괴의 연겔은 자판의 cx1
-
판에 심엽 하았고.외편은 선수핀재에 톱니피

잉 의 홉을 피샤 십입힌 것으 쿄 꾀 인다

-기

、l
1
는=± =그」--3


그림 2
8〉십이동따도 선수판재 추정구조 〈
사진 1
2〉마도1
호선 선수판재 추정구조

선미구조는 딜테도선과 안죄선에서 선u1


편재기-일부분 결협펀 싱태로 델필되었다 자판파의 언결은

인죄선에서는 암은 V자형의 홉을 일헐보 니{


어 얀결히있으I
에 달라도선애서는 저판싱부에 l
펼디콘 구조 없
이 앉은 형식이디 외판과의 안결은 외판l
단에 I
二자형 훈을 내야 기로형 선띠판재플 끼워 넣었는데‘질구

를 위해 외관을 핀콩하는 선미장쇠l


0
)를 흔 용히였디 선미펀지l
는 싱부로 운E1
-
갈수꽉 넓어지는데,딸리도

선괴 인죄선의 경우 선미의 잉:
측띤이 약 5
。정도 l
힐어지는 헝E
}1
이디

1
0)딜러도선 보고서에 저음 언급되는 용어로 민재의앙 즉면에 돌졸부위를 두어 외민을 관통시켜 고징힐수 있게 만든 부새이디
|458


사진 1
3〉안좌선 선미판재 삽입 홈 〈
그림 2
9〉달리도선 선미판재(
선미장소|
부분 유실)

4)마도2호선 구조의 특징

(
1)잔존부 전체형태

마도2호선의 선체는 우측벙향으로 쓰러진 채 발견되었으며.잔존부재는 7열로 된 저판과 우외판 5

딘-
.좌외판2단이 남아있다.최장진존길이는약 l
2.5
8m로,우저판제3알에서나티닌다 중앙저판은약
I
196m가 남이있다 진존 부의 기정 넓은 부분의 폭은 익:
4m정도이며,지핀의 폭은 7단 모두 왼전히 남은

부분을 기준으로 선수부분이 약 24m.


선미부분이 약 1
.75
m.가장 넓은 곳이 약 271
m이다.


그림 30〉잔존부 평먼도

저판종벙향 형배는중앙부분은펑펑히고 선수는 약24


도각도,선띠는약 1
7도각도로휘이올라가는
모습이다

훌 흩휠 ti
졸촬 흘
觀 SCA다
a5iia


그림 31
〉저판 좌측연도
459

저핀의횡방헝:
형페는선수외증잉부는 펑펑히고 선미부는 t
l1
낌쪽으로낄수록풍닫게윷리가l
서연결
되고 있다 이는 마도1
호선의 저편과 유시한 모습이다

A-
A’

C-Cl D-D’

SCALE
iegiii


그 림 32〉저판 횡 딘연도

(
2)저판 세부구조

l
I}
도2호선의 저펀은 증잉의 증앙지핀을 기준으로 좌 우에 3
가1엘씩.총 77
}l
열을 시용 히였 다 각 열은

3
71i
의 부재쿄 얀결하았는데,얀겔이음 빙식 은 증잉- 죄 우 저판에 서 디-
저판괴- 르 까l나타닌 다

종잉치 판은 3개의 부재를 정-


부이음으로 얀결하았는E
ll
-정부이음 측띤에서 산지보 고정히-
고 있다 장

부이음에서 신 지를 쓰는 것은 마도2호선에서 처음 받진된 구조이디 중앙저펀 지l


2부재 상부에는 뚫대구

조흘 상임했던 lI
자 모양의 흠이 l
기l넘아있다,
좌 우저편의 경우 각 일 부재의 결힘은 1 빈턱이음을 시용히였디 반턱이음은 좌 우 저판 2
갔댄이음피-

열의 제l
부재와 지1
2부지l연겔에서만 나티니고 나l
껴지 부분은 씻댄이음을 시용 하였다

지편의각엘은정식을이용히이고정히았다 l
!f
도2호선도기존의빌골선박둡괴-미찬기지로 증앙저판
괴 좌 우저펀 저l
l띨의 37
11
띨을 l
71
1의 장식으보 고정힌 후 그 잉앞으쿄 l
띨씩을 뜰에기는 구조를 시용한다

A’
! C1

r r-

Di
SCRLE
Ai Bi FF극


그 림 33〉저판 영연도
1460

하지만미도2
호선의선미」
휴분에서는증앙저판과 좌우저판X
ll
1,2열총 5열을한징식으로 연결히여,
죄--우저판제2엘성부에서산지를꽂아고정한형태가확인된다 또한선미부의부후된부분에서도5

장식의흔적이보이나.이곳에서는싱부산지는보이지않는다.


그림 34〉저판 선미 5열관통장삭 부분

또힌 저판 선띠부 상단에는 정확한 용도를 알 수 없는 구조들이 남아있다.죄 ・우저판 2


-3부재에는 저

판의상 하부를 수직으로관통하여징삭을 꽂은구조기 있으띠.저핀부의선띠부(


좌 우지핀-l
-3부재)
상부에는수직벙향반관통,우저핀2
-3부재에는미-
모꿀부분에사선방향빈관통의흔적이남아있다.


사진 1
7〉우저판 13부재 선미부분 〈
사진 1
8〉우저판 2
-3부재 선미부분
46l

(
3)저판과 외판의 연결 구조

지판괴 외판의 연결은 저판 저|


3엘 바깥l
뷰분에 L자형 턱을 두어 얀결히는 방식괴 시선으료 칠삭히여 연

섣히는 땅식을 훈정히있디‘이 역시 마도2


호선에서 처음 나타니는 구조디-현재 발균선박의 대부분은 [

형 턱으쿄 연결하는 방식을 사용-


히따 따도l
호선민 시선으로 절식하이 떤결힌 형식을 사정히고 있다‘마

도2
호선의 [
지형 턱은 선수에서 시작히이 중잉부 를 넘어서까지 있으며.이로 인하여 외판 채l
딘의 X
l1
l.2.
3부재는 L지헝 턱부분에서 연결되었고.제4부재는 시선으로 칠삭힌 부분에서 얀결된디


사진 1
9〉우 저판 3 3부재 〈그림 35〉저판외 판의 연 결

(
4)외판 세부구조

미도2호선의 외편은 우외판 5단.좌외핀 2


딘이 냥이있디 l
ll
도2호선 외핀 걱단의 부재얀결은 일빈적
인 경우와 길이 대부분은 빈턱이음을 시용 히였으나.죄 우외판 l
-3괴1
-4부X}
l
의 연결에서 유일하게 맞

덴이음을 시용 히고 있디-좌외판에서는 부후기 심히이 확인힐 수 없으나.우외판에서는 확싣히 나타난디

또힌‘이는 잎샤 실펴본 치판괴-


외편의 얀걸이 떤화되는 부분괴 일치하고 있디

외판 걱딘은 일빈적인 한선의 구조에서 시용 히듯 이 외판의 싱-


부외측에 l
찌 형 턱을 두이 상단을 쌓아올

리는콸랭커이음을시용한디 또외판은상히단을징식을꽂아고칙시키는E
11턱」
뭔 어1장삭구멍을뚫어
연결한디 2딘-
씩을 기펀 l
;
L둡로,히딘 에는 민핀통 구멍.싱딘에는 핀통 구멍을 나|
어 하단 바깥측에서 산지
로 고정시킨디 징식구멍은 깅도콸 위해 싱 하만에서 서로 엇낄린 곳에 위치시키는제 일반적인 구조다‘

히지만띠도2
호선에서는3단이얀결되고있는구조가3」
펀 에서나타난다 첫번째부분은우지판3
-l‘우
외판 l
-l,2
-1의 세 푸재기 인깔되었으따 두 번째 부분은 좌지판 3
-2.좌외판 l
-22
-l의 세 부재이l
까세

번째 J
셈 운 우외관 3-
2.4-
3‘5
-l의 세 부재이다 히지만 3
단의 떤결을 히나 의 정삭으로 꽂이 한 것은 이니

다1
‘디른 부분과 1
]l
잔기지 로 2개의 정식을 꽂으나‘중간단부분에서 신지가 내부에서 꽂히는 점띤 디르 다

씨 진 2O
〉를 꾀 띤 우외펀 4-
3부제를 싱-
부에샤 본 lL
습인데 위쪽의 네모부
관 이 제5
단괴 연결되는 부분-

고,아래쪽의 네씌 L
분이 지1
3딘괴 연낄되는 부분이J
L〈사진 2l
〉이 내부산지 구멍이디

넉 낸것 -τ

f
j
꽉」;월
펜」펀 - -


사진 20〉우외판 4 3부재 상부 〈
사진 2
1〉외판 4
-3부재 내부 산지
장삭구멍 모습 (
3단 연결부분)

죄외펀괴 우외핀의 얀겔은 기참-


과 멍에휠 시용 한다.미도2호선 잔존」
FL
재에서는 기룡 5
개,l
잉에형 기-

l
개기 펙인되는데‘선수부‘증잉부.선띠부으|
3」휴분에 설치되이 4개의 내부의 구역이 설정된디-선수부에
l462

는 선수l
l
)에서 약 2.
7m정도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띠.죄 우외판 l
-2부재.우외판 5-
1부재에 기룡 구멍이

있다.증앙부에는 쫓대 뒤쪽부분 에 우외판 2-


3(좌외핀 2
-2)
부재에 기룡 구멍이.우외판 4
-2부재에 땅에형

기룡구 멍이 있다.선띠부에는 선수에서 약 8.


2m 떨어진 곳에 위치히며 ,죄 ・우외판 l
-3부재,우외판 3
-3

부재에 가룡-구멍이 있다


잉l
쓸퍼 - F

E
니爾 f
F→

선수
신이
SCALE
g5iie


그림 37
〉가룡,멍에형 가룡 위치

(
5)기타구조

마도2
호선의 잔존브
「분에서는 내부구조의 실마리기 될 수도 있는 몇 가지 흔적들이 있다.이직 이 구조

들에 대해서는 연구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는 나타니는 현상만을 기록한다.

마도2
호선 선수에서 약 5
m 정도 떨어진 우외판 2
-3 3-
24-
2부재에는 내부에 약 3×4c
m크기의 관똥

구뱅이 있디-
.발굴딩시에는 우외판 5
-1부재도 같은 위치에 관콩 구멍이 있었다

〈그 림 38〉우측 외판 내부 의 연속된 관통구 멍 〈


그 림 39〉좌 외판 저|1
단의 반관통 구 엉

비슷한 형태로 좌외판 1


-2부지l
에서는 반핀통 구멍이 획인 되나.위치는 선수에서 약 43
m로 우외판 구

조와는 같은 것으로는 보기 어램다


우외핀-l
-2부재에는 둥그렇게 눌린 자국과 붉은 흔적이 있는데 둥그렇게 눌펀 자국은 선수에서 4.
5m

정도 떨어진 위치에 1
3X1
5cm크기로 넘겨져 있으띠,붉은 흔적은 부정형으로 돌출된 채 나타난디-철풍이

박혀 있는 것은 아니미.내부 적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빌굴당시의 칠붉 적재상 태외 일치하지


1
- 。1
-
L-「L
τ= Uδτ= 「

1
1)중앙저판을 기준으로 한다
463


사진 22〉우외판 12
부재의 눌린 흔적 〈
사진 23〉우외판 1
-2부재의 붉은 흔적

또한 우저판 2
-3부재의상하부핀풍부분괴 그 주변에 연결되는 우저판 3
-3부재에서도 원은 흔적이 있다


사진 24〉우저판 2-
3부재의 붉은 흔적 〈
시진 25〉우저판 3 3부재의 붉은 흔적

5)결론

미도2효선은 발낀딩시의 젤합싱태를 3


D로 재힌하야 구조를 획인 하았디 이흘 통히여 ul
또2호선이 갖

고 있는 선형의 특 징과 결힘방식 등을 싣펴팔 수 있었다

마도2호선의 구조적 특정을 긴략하게 살펴객1


넌‘먼저 저핀의 종방향의 형E
l1
는 중잉듀
나관은 평평히-
나선
수와 선미부분 이 후l
아 윷리가 는 오숨이[
다.횡1
잉헝 의 형E
l}
는 선수와 증잉부분은 평평하니-선씨부분에서

둥글거1
올피기며 안낄되는 모슴이디 이는 따도 l
호선괴도 유시힌 형태이띠 선제를 해제하여 인양히-
는현

지}
의 벌딛땅식에서는 3
D재한 없이는 획인히기 이러운 구조이기도 하다.

또한서관에서5띈을핀통히는장식을시용히는것.저판과외판의얀갤멍식이다}
형턱괴시선칠삭의
두기지빙식을흔용하。
-l시정하는 것.외핀의 부재얀결에반꽉이음외에잊댄이음도시용하는것등부재
의 결힘l
잉식 에서도 미도2
호선민의 득징적인 l
잉식 들을 획인 힐 수 있았디‘

벨꿀선저1
의 구조에 대힌 정획한 기록은 고선박얀구의 기본이 되는 이-
주 종요한 지료 디 l
]1
-
도2호선은

3D호 결힘싱E
l|
를 지{
한함으로써 개l
필부재에서는 알아J
fL
기 이러웠던 선체의 구조적인 특정을 확인젤 수

있었지만 한재의댐법이왼벽하디고는괄수 없디 거의n


}1
해한 척씩선박을딸필해나{
는현상황에샤는.
이를 보완힐 수 있는 땅댐에 대한 고띤괴 도임은 삐를수콕 좋을 것으보 생각된다,
|464

B’
! C1
Al
!
D’
!

g므

Di
Ai
Bi Ci

S
HlPMME
.마도2
효섭 S
CAL
E1/
5OA4
)

잔존부 평면도
。.q ”。‘・1

국씌에양룬1*
제입구소

A-Al

C-C’ D-D,

S
HlPN
AME O
}도2
효섭 용 똑」 면 앤 l

횡단면도
。“ ”。..,

국링에양동화제g구소
465

A’
| B’
! C’
!

선수 싱미

Bi Ci

SHI
PNAME 마도2호섭 훨뿔님월씬l

저 판 펼 면도
owg‘。 ,1

국링에양훈화찌연구소
|466
467
i 、 - ,

|470

I
]11걷LDF
7 ;口 E

문환석

마도해역은 우 리나라 수종문화재의 보고로 널리 알려져 있디.20


09년 마되 호선 빌L
굴에 이어 2m0

에는 마도2
호선을 발끓했다.따도해역에서 계속해서 수중유룹이 발굴되는 것은 자연적인 환경과 역사적

인 요건이 결힘된 겔과마.이 해역은 조석 간만의 차기-


크고 조류기-
빨리 예로부티 선박 침몰 시고기-
잦이-


닌행핑:
〔핏
따f梁)
’이라 불혔디.그럼에도 뀔카L
하고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 수도인 개정이니 한양으로 호t

던선박은 반드시 지나이:


민하는증요한 길목이었다.삼님지역의곡끓이나생신된도자기,중국과의시-
신교류와 무역을 위힌 선빅 출입이 잦았딘 지역이기 때문에 침몰 사고는 더욱 빈번할 수밖에 없었디-또한

이 지역은 갯벌이 폭넓게 발달히여 선박이 난파되연 갯벌 속에 피묻 히게 되어 유뀔이 고스란히 보존될 수

있는 환경을 갖추었디-
,

따도2
호선은 20
09년 1
0월 우리 연구소 빌굴조시-
단에 의해 그 존재기 처음 확인되었디 2
Ol0년 5월부티
본격적인 조시플 시작히여 I
0월 2
0일까지 총 l
25일간 이루아졌다 발굴지역은 N36
。4l
/23,
9/
/.E1
26。
08/

2
05”
지점이며,l
jl
교적 잉:
호한 싱태 의 고려시대 선박 l
척괴 회물 로씨 볍씨 등 각종 곡식류.청자n
ll
벙,통
헝잔 등의 도짜 류.회물 의 불표인 꽉간괴-
죽찰,각종 동물 뼈,선싱용품 으로 추정되는 칠제 솥과 청뚱숭 가

락,칭동그릇 ,디1
나무젓기릭 등 디잉힌 유물 40
0여 침이 출토되었다 그러고 선체 내 ・외부에서 확인된 다

링:
의 디듬 어지지 않은 대 ‘소형 원홍목 은 회물 의 선적과 관련된 것이었음을 밝히는 성괴플 거두었다.다

음으로 마도2호선의 선처1


와,배에 실린주요유뀔떨로 내용을 간략히 정리하았다

미도2
호선은 쌓j
중l2
.6n
1!중심 폭 44
m의 규모다.선체는 장축l
잉향 이 동]쪽으로 20
。기량 틀어진 상태

(
북동-
-남서)
로 저핀과 외핀이 n
H몰되어있었다.저판21
부재,외판20
부재로총4l
부재가남이있었으띠,
기룡목 5침,원똥욕 7침,및구조물 1
점,딪돌 l
점도 출수되었다.

저판은 7열로 연결되어 있고 선수가 선띠보다 넓게 저1


직되있다.각 부재의 폭은 2
2~4
Ocm,두께는

2
2~32
cm이다 종앙저핀에 2개의 윷대구뱅이 있으띠 중잉저판끼리의 연결은 장부이음땅식을 사용 했다.

외핀은 죄현2딘-
.우헌5딘이빌견되었다.기총 꽉은선수 ,선미는 l
,3,5
단이l
,중잉부는2
단에기룡이4
단에는 멍에형 기콩 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외판의 상 하단 연결은 콜 링카 이음으로 달리도선.

안죄선 등의 고려선박괴-
동일한 방법으로 지l
직-히였 다

따도2
호선의 내부는 마도 l
호선과 유시하게 대헝 원똥옥이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었는데.이는 횡강력 유

지,회물 의 받침,선처1내부의 구획 섣정 등의 정-
도로 사용-
히았을 것으로 추정된다.따도2호선에서 확인된

평저형의횡단띤구조,클랭커이음빙식을채용한외판구조,기뽕목과원통목을사용하。1횡강력을유지한
점 등의 구조적 특정은 우리나라 1
3세기 고선박의 헝패를 획실 히거l대변하고 있디고 볼 수 있다.
471

일반적으로 우피나파에샤는 수종넬필 고선빅은 수증에서 부지1


떨로 헤치l
한 후 인잉:
히고 있디.또한 조

시지역의해양환경으로인해해체전선처1
구조흘왼벽히기록히는 것도쉽지않고.이때문에1
일닫딩시결
힘싱태출X
}|
현히았고,선처|
선형의특징괴칠함댐식의등의세부구조뜰획인하는작업이필요하다 l
〕1
도2
호선은 쥐퓨터프쿄그램을이용해띤‘
굴 전겸힘상태흘재현히였고.이를똥해 선체의구조적특정을새롭
게밝혀내는성괴를 얻었다.

ul
도2호선의 지관의 종빙헝 형태는 증잉부분은 펑펑히나 선수와 선nl
」f
L분이 휘어 올라기는 모습이1

1.

평빙향의형데는선수와종앙부분은 평평하니선미부분에샤풍골게 윌리기띠 떤결되는 l


R슴이디 또한
저핀에서5열을관콩히는장식을시용하는것‘자관괴외핀의얀결빙식이μ}
형덕괴시선섣식두기지방
식을흔용히아 시용히는침,외판의부재연젤에맞덴이음을사~
§히는 점등부재의결합방식등에서도마
도2
호선민의 특징적인 빙식늘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띠도1
호선괴도 유시힌 형태이l
냐.선체를 해처1

이 인잉:
히는 펀자l
의 딸필빙식에서는 3D재한 없이는 획인하기 어러운 구조디

선i
ll
에 대한 수종분석결과 주로 소나무류외 잣나무휴기-쓰았으며,맞으로 추정되는 구조팝의 경우 오

테니무속 선지1
흘얀결하는니-
듀L봇은상수리나듀
L류았다 끼추정구죠물괴원똥목은소니듀덤 로식l
훤되었
으!
녀선처l
구조렐은싱수리니무츄였다 선수재추정재.원똥꽉은소니퓨닉루로식펠되었디-선제의얀륜연
대의 꽁석깜괴-
48년생과 6l년생 꽉재를 시정 했음이 밝혀졌다

미도2
호선에서는 도지-
기류가 l
펀필되지민 마도 l
호선과 ul
찬기지로 기판적으로 곡물을 운빈하던 배로

수링은 그리 많지 않다 미도2호선에서 말견된 지기류는 총 l


40점으로 전량 칭지이다 기종~은벨 대점

점시 진 t닝
。 호 등 생휠용기기 중심을 이룬디.이 증에서도 점시와 넬이 높은 l
j1
융을 보였고‘그 디-
음으

효 잔이 디수디‘디1
점괴 l
성은 걱걱 2침과 7점으로 소량 출토되었고.특수 기종 없이 지기류는 때우 단순한

구성을l
fL
인다 ul
도2호선에샤필견된창지는그성격에띠E1
-두그츰으쿄 대분된디 히나는포장꽉으로
팎이있던지기류이고디른히나는선상이곳저곳에서발낀펜.즉선싱이라는 실제생젤공간에서쓰임이
피는 특정 복직 히-
에 실린 것둡이디

n
l1
뱅은[
!l
도2호선에서벨진된여러도자기류중기정 주꽉되는유룹이디-그이유는 무잇꾀디도이들
이필괴깎기름을딩았었디는죽찰을똑에때딘 채춘토되었기때문일것이다 칭지음각얀회절지문매병
에는 ‘
iI
i
j힘센;
|
쩍校 吳文훈lS
E타펌짧죄
휴4펙j
t--청자싱「
낌국화되린유로쥔문U
l1
i:
잉에는 댄 房都}
|
%校 핏文힘・
;El
:

l
i
iJ힘쩍j
1’이적힌즉섣이묶。1있었다.그래서그깐용도룹정획히일수 없었딘때벙이저정괴운반의역
|472

할도했음이밝혀졌디-
.자기절의매뱅은소비지뿐아니라생산지에서도발견개체량이적고,시문 비율이
높으며비교적양질의것이많다 그래서용례는정획하지않으나막얀히케 특수한목적을위한기물로다
루어졌을것으로생걱되어져왔다.그러나급번조시를 통해이들을‘
준(梅)
’이라칭했으며일싱생활공간
에서쓰였음이획인되었다.구연은반구형이며목이짧고 야깨가풍만하게벌어져최대정을이룬다.동체
는허리기-질록히고 하단에서외반하는볼륨갑있는헝태이디-
-저부는안굽형식이며모래섞인내회토빚
음 믿-
침으로 번조되었다-

마도2
호선에서발견된도기류는호,
시루,매벙등이디-
.이중중심이되는기종은도기호로기형에띠라
동체가세장한장신호와배가부르고목이짧은딘정호,높이8O
cm기량의대형호로니렌다.기내외연으로
데쌍-
기한흔적이넘이-
있고바닥띤은따로만들어부착하였으띠흑갈색유의뇨
을시유한것이디수이다 시루
와때탱은흑회색을 띠는무시유도기로1
점씩확인되었다.도기호의쓰임새에대해서는같이발굴된복간
을똥해서젓갈류와같은액체를팀아수취인에게발송하기위한용도로사용한것이라는것이밝혀졌디-

띠도2호선에는 태안선 따도1


호선과마찬가지로회불의운송표로쓰인목간4
7침이나왔다-
.꽉간에
는호}
물의수취인괴빌송자,종류.수링.포징단위기모두또는 일부기-
적혀있어회울표의성격이뚜렷
이드러난디-Ul
도2호선목간의헝패는대체적으로홉을파서끈을팎은후화물에매달은형태지민,일
부는흡이없는것도 있다.홉은없는것은꿀을뾰족히케 다듬있는데뱃섭이나초섬등에꽂이-
서시-
용한
것으로 추정했다.

똑간에는출항지또는실린회물의생산지로추정되는 고창헌(
高fb
C땀;
),무송현O썼잉맨)
,장시헌(
長沙
땐‘헌지1진라북도고창)
,고부군(
高웰젠,한전라북도정읍)
이적혀 있디.호1
물 종류는백미(
E|米)
,중미
(
lF米)등의미곡괴콩을뜻하는태(
太),
두(豆)
,메주를뭇히는말징(
末錯)
괴술을빚는데넣는누룩懶)

적혀있다.이외에도난해(
떼臨;
일젓갈)
,정띨(
해짧;
꿀),진“
학 참기름)
도있디-
.

목간을똥해일수 있는중요한시실 종의하나는마도2호선의얀대다.회물 수취인중하나인이극서는


고종대추띨원부λ1
021
9년)
와평장사(
122
0년)
를지낸인둡이디.그런데목간에서이극서의관직은낭중
(
Rl
k|I
)
으로적허있어마도2
호선은 1
2l9
년과다는잎선시기리는 시실을알수있다 미도2호선은마도1

선과마찬가지로지방에서나오는곡물을개경에있는관직지에게운빈히-
딘곡불운반선이라고할수있다.
473

l
lf
fE2호선에서는 디링의프랜 류와동물뼈 금속,석저|유펀이출수되었다 이증식물류에 대힌 검정
괴형E
l1
적특정을파익히α1동정을실시했고 총l
3종을분류해낼수있있디 직-
룹류로는벼 조 U
ll
띨.들
깨‘콩끽 지와 l
t
ll
죽Ll
무 기꽉과 대튜
L분잎치한디.띠-
도2호선에서는포유류.조류-이류등 l
8o。1
점의동펼
유i
11등포유류는시숭.폐지.기1소‘고리니 고례의6
종류기헥인되는더1
‘이증시슴괴돼지가대부
관을
치지히고있디 어류
순 능어.
숭아 참관.
싱이등9
종류기확인되지민침돔이대부분이다 죠류로는읽고l
오리기 디1
부분이디

이외에도마도2
호선에는선싱에서시용한것으로추정펴는유풀이디수‘
필팔되있디 대니부짓기릭괴-

l비구니.뱃사린들의생휠도구또한미도2
호선에는석재숫돌과멧돌이각한섞씩.
정기알2
점또빌끌되
았디‘3
i판은한떤은연따되어반듯히고‘증긴부기낄콕히|
서섣저1선상에서시용힌유펀로]
단인디‘또한
정?1
일-l
E출수되있는데 차(
1|
i)
‘기잎뒷띤에적혀있는것괴 장(
께정)
이앞뒷l
넌에적혀있는것2
침이디
선싱애서1
셋시템늘이야기쿄장기릎즐겼음을 추정할수있다
|474

국문초록

국랩해양문화재연구소는2
Ol0년5월부티l
0월끼지마도2호선에대한수중발굴조시플 실시했다.고려
시대선박l
척과탬씨등각종곡물류,고려청지와도기호,목간,각종동둡뼈.칠제솥등4
00여점의유물
을 발굴했다.

nl
도2호선은 길이 l
2.6n 폭4-
4l
11
,깊이 l2
m규모로.동쪽으로2O
。기량 틀어진상태로갯벨에묻혀
있었다.
총4l
부재로이루아져있으며.외윷의 핫대구멍이있다.선체는3D프료그램을이용해구조적특
징도밝혀냈디.저판선미에서5열을관통히는 정삭을시용했고,저핀괴 외판엔결방식이μ}
형턱과사선
절삭두기지벙식을흔용-
한 점,외판은맞댄이음의연결망식도사용한것등은마도2호선만의특징이다.
선체의 수종은 모두 소나무류였다.

선박에실린회쉴의둡표로쓰인목간에는발송지와수취인,호}
불의종류와수량등이지세히적혀있
디-
.목간나
l용분석으로우리는1
까도2
호선의연대와성격을밝힐수있었다.수쥐인중이극서(
李克價)

유대정때大9
[l
n‘
맺젖합)
을봉해띠도2호선이l
200년을전후한시기의선박임을알수 있다.또한마도2호
선은현재의전펴북도고창군일대인고창한(
高f폐폐‘무송한(
f
풋松꽤 ,장시한(
長沙꽤괴-
고부군(
폐l힘m)
에서거둬들인쌀,콩,
누룩,l
페주,짓걸류등을싣고가1
정으로향하딘곡룹운딴선이었다.

마도2
호선에서는고려청자1
40점과호,
시루등6
3진의도기기발굴되었다.
실려있던청자는부안에서
생신된것으쿄추정힐수있다 점시.빌.잔등일빈적인기종이대부분을이루고있으며,
도기는젓갇류
등을담았던것으로보이는항아리가대부분이다.이증가장관심을끄는것은동형의최상급상감괴-
음각
매병2점으로.쭉찰이매딜려 있는채로딸굴되었디.죽찰판독 결과매벙은증빙의히급무반이수취인이
었으!
너,꿀괴-
참기름을탐고있었다.
또한배병을당시사펌들은준(
博)이라고괄렀다는시실이드러났다
매벙의쓰임새외 멍칭이새롭게 밝혀진때우 의미있는유불이다.이외에도 마도2
호선에서는 대비구니,
청동숨기꽉‘그릇.절지1
솥등이빌굴되었는데모두뱃시람듣의생활용품으로추정된다-
4
75

Abstr
act

Na
[i
ona
lRe
sar
chI
l
1SUI
tl
I
eofMa
ll
[l
meCul
mra
lHe
nra
gec
ondu
cte
dli
nde
nνa
re
rex
camu
onp
r이e
cEf
orMa
do
S
hlp
wre
ckN。2f
lor
nMa
yIhl
oug
hOc
tob
el2Ol
0.까1
epr
。j
ecI
Sle
sl
umdl
nd1
eex
cav
a〔l
。no
fas
hlpwr
ec
k6。I
n
[
l
1eGoI
yeoDy
nas
Iy.v
ari
ousg
rai
nss
tl
cha
sri
ccs
ecd
s.a
I1
dap
pro
xima
Iel
y40
0re
li
cs
,in
chl
dl
ngGol
yeoc
el
adon
wa
Ie
s,t
eap
os‘、
mode
l1do
cume
nIS
,ani
mal
bon
es,a
ndas
tIl
Ol
1ca
uld
lon
s

Ma
doSh
ipwr
eckNo2h$al
eng
tho
f126me
m .wi
dt
hof4.
4me
m .a
ndd
ept
hofl2me
ter
sIIW$
bu
rl
edu
nde
ramu
dHa
[.[
wis
tc
dar
ound2
Ode
gle
eS〔
OWa
rds다
1ee
ast
-Co
nsi
su
ngo
f41k
eyl
n;
umi
ak‘[
l1
eve
ss
el
ha
sama
sth
ole
.TheS
〔r
ucr
ura
lcha
rac
ter
lS
〔l
cso
f〔l
1
ehu
llwe
lea
sce
rta
ine
duS
lng3DPl
ogr
ams
-Wh
atma
kes
Ma
doS
hip
wrc
ckN0
.2비1
i
quel
S[
heu
seo
fki
ngs
ak(
l
arg
c,띠
h
l
m
o멍
n
l

1g[


em
n

m

o미
n
1)[
m
oC
mm
o
m
n
Im
l
I
버es
K

m
〔잉
e
m
n
ln
l
L
1’I
m
n
m
n
1
U
1l
xe
dus
eofn
vome
d1od
sIoC
ol
umC
〔meb
ono
m pl
at
esa
nds
ldepl
;
l[
C3-L-
sha
pedr
ls
ε;l
l
1ci
ωago
n꾀

C
urt
in
g;;
l
l1
d바1
elol
l
1l
l1
gof
si
depl
ar
gwi
마abunpi
nI.Wo
odu
sedf
ord
1ehu
lll
spmu
s.

Thew。。
denc
loc
umc
l1
rswa
sus
edr
ola
belar
go-Tl
1e
lei
sde
tai
le
dll
1f
orma
tl
OnWI
nce
nont
hewoo
den

do
cul
neI
1〔
S,l
ncl
udl
l
1gwhe
le[
hec
al
gowe
res
ent6。
m.r
hcl
nre
nde
dre
cl
Pl
enI
s.a
swe
ll엄마C[
ypc
san
damot
u1
〔OF
ι
ugo.
Al1a
l1
;U
ysl
sof〔
hci
nf
orma
〔l
OI
1ont
l
1ewo
ode
nd。
cun
tI1
〔Sl
CS
띠Ic
dlnr
hei
den[
l6
α[l
Ol
1of
[hec
l1
aI
aC[
er
is
ri
α
ofMa
doS
l1
lp
wre
ckNo2
,inc
hld
lngwh
eni
[wa
sma
de-I
ncl
ude
dln[
hel
l
S〔ofl
CCl
Pl
eI
1[
Sal
eLe
eGe
uk-
se
o‘mc
l
Y
boDa
e-ge
ong(
al
son
잉11
edY
oo]
a-따1
빙.T
파1
꺼N
h

nj
Sl

m뼈
n
I

1
&rm
m
n
Im
n
i
a
1a
삐o
m
Uml
1l

k

ed[
m
o바마eC
m
mI
o찌
n1
wa
scα
ra
e
am
[e
dlm
n
n
l
1a
m
;u
l
m
l
ml
o m
u
m
u
l
n
l띠
1
dl띠
200 I
twa
sus
edt
o[r
ans
pOl
tCl
opss
ucha
sri
ce
‘aswe
lla
slrms
-ma
l〔
,fe
rn1
enI
eds
oybe
an

l
ump
s,a
찌sa
lr
ed6
shc
oll
cc
red6omt

d
h
l
r
1epI
g
eS
m

c따
n
l
1

M
h
4띠
u

l
s
ml

on땅
1
g」
-

h
iW
1
ycm

o
n
IL
1
’J
μm
a
ng않
s
a-

h
lW
1
yem
o
n
IL
1
’a
때뼈
n
l
1
dGo


b
tm
n
)
u

l
-양
g
m
u
L써
u
l
I

At
ota
lI4
OGoI
yeoc
ela
donwa
resa
nd63po
rre
ri
esi
nch
ldl
l
1gs
te
ame
rsa
ndh
ogwe
redl
s
cov
ere
donMa
do
Va
ss
el2I
ri
sas
sm1
ed〔
l
1art
hec
el
adonwa
lgwe
rema
del
nBu
an Mo
sra
red
is
hes
,bo
wls
.cu
ps-a
l1
dot
her
gen
era
l

l
r
ems
.Mos
IoF[
hep
one
rl
csd
is
cov
er
eda
lej
aI
S[h
arpr
oba
bly∞l
1때l
1
cds
뇌〔e
d6s
hOf[
hcs
eNOI
M
h


4잉

i
p띠
i
ngVa
se
κ

(
K
f〈
mr
o g

e
a1
An
”v
1 않s
g바

ek
l
Sw
씨i

π

d
rh
l
1aS
m

m
n
lm
n
r
1a
ll

sU
li
핸h
g바
m따

lyC
ω
Q

m
U
l꺼
π
l

rk
l

edr
m
n
n
r1
이L
m
o뼈
u
l
S
ll
bj
ecrof
gre
a〔i
l
1Ie
Ie
stThe
yha
vemcs
ames
hap
ean
dar
eof[
l
1et
이)C
l$ Onel
sal
1l
I1
la
ldMe
ipi
ngVa
se,whi
l
e
r
heor
heli
sani
nt
agl
l
ode
si
gn-
bas
edMe
ipl
ngVa
se-]
11e
yl1
adab
amb
oodo
cume
ntsa
tt
ach
edwhe
n바e
ywe
re
e
xca
va〔
edRe
sul

sofa
nal
yzi
ng〔
l1
eba
mb。
。do
cume
ntsl
ndi
ca
ter
l
1atd1
cMe
lPl
l
1g\
성scc
onmi
nedhon
eya
nd
s
esa
IR oi
lm1
dwer
etob
바ede
데l
리U
m
n
l、

a
ls
od야
g
lx
s
m
cw
om
v

el떠
e
dd미
m
1따
acp

c때p
φ
o미
k
leo

Fd
바r
1
cGo
ml

Ye

oDy
깨r
까n
1
$
aSq

y
)
r떼1
a 때
l

K
ed

l미

마m
1
ch
M4

elp
μl
m
n
l

1gVa
seb
yac

d
h
ii
빠c

H잉I

em
n
l
n
1〔I
n
1
없nme-1

μ
m

um
l
n
l
1(橋
*
영)
J.T
Rhc

m
l
d
eU
l

iαMCe
g
xtr
emc
lyS
lg
nl6gI
1Il
nd1
aI[
hcyl
edt
ol1
ewdi
sc
ove
li
esa
bourmeU
sea
ndn
ameof버eMe
lPI
ngVa
se
Od
1CIl
[C
lns며a
〔We
redl
sc
ove
redonMa
doS
hlp
wre
ckNo2I
nch
ldcl
ar
geb
aSKI
s-br
onz
espo
onsa
ndc
h。p
sti
ck
s:

bo
wls
,andc
aS[l
r
onc
aul
dron
sIti
spl
es
ll
lT
Ie
d바a
r〔l
1
esel
r
emswe
lea
llu
sedb
ySa
lk[
Sasda
il
yne
ces
sl
〔l
CS
.
476

妙、

털l
立海i
쑤文化財mf
究FRl
$、2
010年 5月bil
ilO月 좋τ‘
、馬,
홉2띔船 l
;처 #@7
kcF
’짧網調좁 장꽃施 Lt。

高麗n
¥代η쩌돼l
5lE
뚱εJ젠£ak
t£ε‘
η各핸0
〉殺物類 、
高麗좁U
값ιR
셈뽑η꿇、
木簡、
各種 η떼物η骨、
왔 쏠t

ε400,
딩5£ 좋 i
?0〕펄物 b;3ff
屆흔h f
ι。

馬,
원2띔船 l
$全 동l
2.6
m、船h
감4.
4m、
深 용l2me大흥흔T、
束{9
ll
l;2
0。(
£ε‘
fl
|
1f‘
?t캔態f 千鴻l
;뱉
좋 ? τν t。
合 計41η흙|

材 τ‘
橫ji
k흔h τ E ‘
?、핸|
1
바O〉1
|
A柱 O
l 〕;;i
;b;ab&。
3D7。디?、
、7A f
r*|
lj
검Lτ船 4
21
iO〕

構退的양特徵 £究 비l
흔htJ
EE板l
;(해삼尾b、65잣|
l장貴迎T
rg長짧(
木製O
〉£T)
f{햇f
I]
혼h、
l
i호板 &外板

0
기필結 (
;L字型突起 £*4
**切챔|
j
η 2種類 ”方조
th니j
fj
껴흔ht퍼‘
、外板 l
;l$突 혼꺼 l
f接合方l
t£f
ECbhτ

L‘
g!꽉t
xε、
tt띤 텔2뭔船f
:lfl
;faβhgf
바徵 Td
bg。
船씨s
;
0〕材料 εt
£?t樹種 t
$??類 」
?千 B?t ν
그、
‘크?類 hS
‘大꼼I

分 τ、
£ g。

제{
쐐lt
ll
;채&i
ι좋hf
ι않物 O
거‘힘 L£Lτf
5l
ibhf
ι木術 l
;($3f送t
t!
}£受다
XA、
貨物 η챈했 P했할7

hf
詳 L〈뿔-
h‘hτLi
&。木節η內容 장分析-
#gζιτ、
、됐 ?t
$‘띤島 2J
뭉船η年代 ιf
댐tf
|
i혼究H
Fl
#a;ι

bf
τ、흥t。
꽃・펙
XAm#l
η李克{
힘Pl
햇大뻐(
맺 줬E
京)&Li5名디
t1
h‘δ、
馬폼 2뭔船f1
200年前後0
〉時期O
〕船
船τ‘
£&;εb너?b‘
증。좋t‘
띤J품2광船 l
$£없?
EO〕全품北造 i
힘i
f때f
m-7

fl;a
5taE
헬歐평、
f
꽂松명、
長沙명 ι

高1
할뼈 τ、
l
|X種 흔j
1f;
;米、
大豆、
짧、大豆O
〕짧、
힘3깎類7
Zε‘
장행 Aτ、
開京 (
開따‘
)(
;向h‘?τLl
fι줬物運搬船f
:

?f
ι。

馬,
픔2띔船 껴、
il$高F
f
윌좁l
i
t
것140,

it뚫、
엠Rtε6
3.벡η빼器 센윷
gfE
E흔ht。
행i&j
ι좋hτLi
t둡I
효l$

快安τ‘
生j표용j
lfι£η&推定 성 1@。
ln
L삶、
杯7Zε-般 的t
t器類bf
大꼼l
3
分 &핀에
〕τj
s‘?、
쩌器 l
t펌辛쨌 t
i

ε혼入hf
ι$η ε& δj
1장製 h;
大흙|

分τ、
£a。
;ηc
|l
℃‘£펴
갖£興P
未장텅|
bihg£0
〕l$、
同形 0
3最上級η

찢t
하&|
쏠젖|
η*때R
i2많f、
竹*L
fb、
(ft
iht;
{
f態T 짧템 흔hf
ι。
↑1*L정냉l
j
誌 Lf
;
;結뽕、
:0〉
*tF
빠($훌房O

下級武Uff受HX
A ε7
양?τj
sη、
훌 ε:‘
좋?I
l
I센入 ?τLi
t。좋f
ι梅麻 &꼼|
H¥ηA 성(
$「橋」
£n乎/
νf‘
Lit

tL)?事핏 £bb‘?t。
悔 拖η使 Li
道 k名훼;
b;*
Rfιl
;明6b‘
l;찮 ?t3
F常(
;펀I
싸ηd
5g펄物 1
?‘
dig。
ζ
ηf
ml;£j
딴덮 2뭔船 져、
jl$竹j‘
;r
、、
주뜰쩨 η많 、
짧、값숲 7
Zε‘
센짧 f
屆흔ht。
;h6l
$후/
〈τ船乘 Ot5η

E
EV핀道具→
15
‘4
i?tt}
佳定흔hτLi
깅。
477

f
南要

댈|
立海‘
洋文物冊f
E1i
R사2
OlOf
IE
5月至l
O月,X
『EiS
b2-
당船j
Jl
i
行7海j
똥友펴考古工作。其옮폈,냄
土T高1
i
i1
Hf代的船船l
願,以2
kf깜*
IP
等各#유f
¢l、i
확”i
i주
당쯤E*
[|
|힘|
겸Si
E、各利l
덩j物띔關、f
%i
fRJ
쏠400
쌍꺼:
文物 。

되l
녔!
2뭔船-
l
il2.
6米、魔4.t
l
米、j
핑l.
2米,4
jEj
i{렛料2
Ol흥,j
댄규:
펌沙之r
|l。船只댔有41
↑까!

짧成,쥐-
l
ML柱孔。我{
|‘
]利用E
Eni
i
ifn
三維軟件,重째了船찌i
Irl
t꼼+
i
J特狂:I
힐板船j
휠使Rf7윗j
힘五排
f
l
?ti¥
]-;l
E
§板차|
外板 的j
또接方 式;
많-「추型 X
j接자l
料짧 따l
힘l
li
쩌%1
|
l方式‘
混用 :싸 J
따폈用X
f接方式 。船


木用기이꺼大 部分是松훼 。


|거팀깎附較1
Rai
끼l
情況t
얘기l
f원上F
t*U
li
E載촬友윗삐、l
收껏人、껏物l
*I
P쫓fn
썼量。i
떠jj;
分析木倚l

容,可以%[
l
i훨콰않2
뭔船的年代*[
l↑
生fE。j
떠j立收껏人李克{
힘和j
것大때(
텃찢i
京),1
:
iI以%nj
효과‘
땐2륨
朋是 1
200
年前j
늠따船 只。커外 ,k
EKl
l
j쉴되l
f
b2핑H
f}
끼:찌j
츠*l
a
j船 ,;
앓뤘훤 꺼f
5f
l
lfEa
잊jhi
휠高 꺼
k겸1
3
- 램的
i
형ii
때굉 、E
£4;
상월 、-
κkl
、용*[
|高템컴I
씨k했 的大米 、f
한豆 、패 l
뭔、3
£醒 따헛→
豆快 、f
쉴꿇-
짤物 f
,l
l,팽3
낀E

ffi
친 (까 ;
|t파|
;升城 )。

긴E과 l
홉1
2뭔船上 出:
|:了l
4O써;
高而 좁經처l
iE、짧f
{
처쏠 63
V|:
l
쐐器 。{
햄推 i
깨휩-
줍E켜쳤 安l
t 。않子 、

林、杯쌓찌-般감상具,쐐g
E大部分처암I
갖,f
{t
께是盛:
탤l
휩f에。J
3-
l#,때;
l
EI
딩l人|
隔미的是l
司形;
8t的
I
쩌f|
:
짧l하자l
Mj갖|
1
水iF짜굉I
Wj梅j
m,t
H±|
1
;l
上패하}
또者竹*L。分析得知,梅휴
E的q
tit人;
많켈l
힘 (]

I
1
11H
1代最 ]
힘j콩武 I
쥔2且및 ) r
I
”下g
gzt굉l,盛 者峰 震자l
香‘때。3
점外 ,-
i
Ef[
l
j휠:
7 뜯l
fl
1人↑
[]짜悔 願져;

뺏。7f
f
따到;
悔j따R
bfl用途*
|1
名利;
,1?
i
I以ji
;뚱-;
k;
qt%l
i。此外,I
퍼앞2핑船上j
E出j:了大앞子、합
倒傑子 、!
때、앉f
펴얄 ,f
it
i씨찌꺼
Gf린젠j
生活F
Rl되l

조사보고서 초
초록로

보고서명 태안 마도2호선 수중발굴조사보고서 발간일 2011 년 11 월 30일

명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발간기관 주소 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136

Tel. -
061) 270 2060 Fax. -
061) 270 2079

성낙준,문환석,신종국, 양순석,임경희,차미영,노경정,최유리,임성태,윤용희
집필 • 편집자
이경로. 박선영, 강승희. 김현아, 김민구. 안덕임. 박기정

조사연유 태안 마도2호선 학술발굴

조사자 성낙준, 문환석,신종국,양순석,노경정,홍광희

조사기간 2010년 5월 4일 ?
10월 20일

유적소재지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신진도리 마도 해역

조사면적 144 m2

유구종별 시대 수량 중요유물 특기사항

선체 고려시대 1척 선체,고려청자, 목간 등
E
R안nf 도
T
혈헛
뤘싶책
녔2호선
월 1 성막순(
팍if
l해양운화지l
연구소장)

기 획 | 운훤석(
수증넨균과장)

당 딩 | ↑1
종차(
수승 l
l!균과 혁이1
인구깐 )

인싱희(
수증 l
시균괴 회애인구 사)

펀집 ’교장 | 임싱흐1

집 띨 | 운환석 신종국 앙순석‘잉경흐1자1


11
영‘l
i정정‘
운 용효|임성E
||
낌현이 이징보 빅선영 강승희 넘E
||
핑(이상 수증발필과)
초|
유E|
(해양유 원인구파)

y!
민구(전남[|
1학교)‘안 덕임(
한 시대학고l
)‘빅 가정(
샤흘 시린역시믹블핀)

실 흑 l ↑l
씀팍 ]
l
:강정 홍굉 희 최유이 잉7|
수 이E
|1
호 U!
선영 노행성 남E
ll
팡 끼Q
l!

긴민쑤(전남대학괴 운한세 회힘동괴 정 l
」!사과 성)

민rZ:이 정수 정 μ선희(
꽉포 i
1}학대 한 ?j)

일 러스 트 | 신종:국‘h 경성 홍팡 희 판 |
l팡 김팩준

탁본 3〕
도연 | 폐유리‘박선 잉 1
빙시|
흰 김훈(
꽉 포내학교 고고학괴 )

사 진 | 긴선아 {
운동진

번 역 | 서울 외파이내학 원내학고[풍역 민역센E1

디 자 인 | 。1
1백(
02 745S334)

인 쇄 | E
E인프테크

일 행 일 | 2
Oll ll 3
0

발행 펀집 악 댄l
해양운화 지l
엔구소

5
30839진넘 꽉 포시 남농쿄 l36

-
Iil C6l270 2060 l
hx O6l270 2079


vwwS
Camu
scg
。l〈
l

씬간3
등꽉 띤]3
iEll
-l550l
97-
OOOOl2-1
4

l
Sl3N 978-
89-
6325181-
5 9391
O

c
opyl
l
sl1
lf2
Ollh
yNl
ll
。lmlR
sca
rchl
nsu
nncof
Mar
l
luneCu
ll
ll
nil
Her
mgc。
「KOREA
이책에수확띈 닫피도판을 비풋한1
ι든내용은
운화지l
싱파넨헤잉운화지|
연구소와 힘의없이 무단선세 및꽉시l
뜰긍힘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