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3

강의 할 문화유산 목록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 관련 인터넷 포털
} http://heritage.unesco.or.kr/ 유네스코와 유산
}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이란?
} EBS 교육방송 TV 프로그램
} 문화유산 코리아 ttp://home.ebs.co.kr/culturekorea/main
} 제 2주 강의 ppt 내용
} 유네스코 등재 세계 문화유산 중 선택한 강의 주제
} 조별 과제를 위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목록
} 발표는 자율적 신청자에 한함
} 발표 주제는 강의 주제와 중복되지 않는 것으로 택함
} 자율적인 조원 구성
} 개인 발표 신청 가능
중국의 고구려 유적(북한 지역 포함)
} 강의 대상 문화유산
} 고구려(高句麗) 고분군(2004)
} 중국의 고구려 문화유적의 세계유산 등재
¨ 장군총(將軍塚)
¨ 광개토대왕비(廣開土大王碑)
¨ 중문명칭: 고구려 왕성 (高句麗王城)∙왕릉(王陵) 및 귀족묘장(貴族墓葬)
2014년 7월 등재
} 북한에 자리한 유네스코 등재 고구려 고분군
¨ 유산명: 고구려 고분군 / The Complex of the Koguryo Tombs
¨ 강서대묘(江西大墓)
¨ 안악묘(安岳墓) 등 등
? 생각해 볼 문제
Ø 지역사(地域史) 또는 일국사(一國史)적 접근에 관한 고민
} 북한과 중국의 ‘고구려 고분군’에 대한 세계문화유산 동시 등재
¨ 반쯤은 고구려를 지킨 것인가?
¨ 반을 빼앗긴 것인가?
¨ 고구려사는 누구의 또는 어느 나라의 역사인가?
경주(慶州) 역사 지구(2000년 등재)—신라
} 월성(月城) 지구(발표)
} 계림(鷄林,사적 제19호)
} 월성(사적 제16호)
} 경주 임해전지(臨海殿址, 안압지雁鴨池, 사적 제18호)
} 경주 첨성대(瞻星臺, 국보 제31호)
} 내물왕릉(奈勿王陵, 사적 제188호)
} 기타 월성지구에 있는 조선시대 유적 석빙고(石氷庫, 보물 제66호)
} 황룡사 지구(발표)
} 황룡사지(사적 제6호) http://www.gjucc.or.kr/ 경주문화원
} 분황사 모전석탑(국보 제30호) http://www.silla.or.kr/ 신라 문화원
} 산성 지구(발표) http://www.shilla.or.kr/ 사단법인 신라문화진흥원
} 명활산성(사적 제47호)
} 대릉원 지구(발표)
} 신라 미추왕릉(사적 제175호)
} 황남리 고분군(사적 제40호)—천마총(사적 제512호), 황남대총
} 노동리 고분군(사적 제38호)—금령총, 식리총, 봉황대
} 노서리 고분군(사적 제39호)—금관총, 서봉총, 호우총, 마총, 쌍상총
} 신라 오릉(사적 제172호)—박혁거세의 능으로 알려짐
} 동부사적 지대(사적 제161호)
} 재매정(사적 제246호)
경주 남산지구(선별 강의 또는 발표)
} 보리사 마애석불(지방유형문화재 제193호) } 남산 열암곡 석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 제113호)
}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36호) } 남산 약수계곡 마애입불상(지방유형문화재 제114호)
}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보물 제186호) } 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지방유형문화재 제158호)
}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87호) } 남산 삼릉계곡 선각 여래좌상(지방유형문화재 제159호)
}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보물 제913호) } 배리 윤을곡 마애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 제195호)
} 천룡사지 삼층석탑(보물 제1188호) } 남산동 석조감실(지방문화재자료 제6호)
} 남간사지 당간지주(보물 제909호) } 백운대 마애석불입상(지방유형문화재 제206호)
} 남간사지 석정(지방문화재자료 제13호) } 배동삼릉(사적 제219호)
} 남산동 동· 삼층석탑(보물 제124호) } 신라 일성왕릉(사적 제173호)
} 배리 석불입상(보물 제63호) } 신라 정강왕릉(사적 제186호)
} 남산 불곡 마애여래좌상(보물 제198호) } 신라 헌강왕릉(사적 제187호)
}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보물 제199호) } 지마왕릉(사적 제221호)
} 남산 칠불암 마애석불(보물 제200호) } 경애왕릉(사적 제222호)
}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보물 제201호) } 신라 내물왕릉(사적 제188호)
} 남산 삼릉계곡 석조여래좌상(보물 제666호) } 포석정지(사적 제1호)
} 남산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지방유형문화재 제19호) } 남산성(사적 제22호)
} 남산 삼릉계곡 선각 육존불(지방유형문화재 제21호) } 서출지(사적 제138호)
} 남산 입곡 석불두(지방유형문화재 제94호) } 나정(사적 제245호)
} 남산 침식곡 석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 제112호)
백제역사유적지구(선별 강의 또는 발표)
} 등재년도: 2015년 v https://www.facebook.com/unescob
} 분포 지역 aekje 백제역사유적지구 페이스북
} 충청남도 공주시와 부여군 v http://trip375.com/ 문화상상연구소
} 전라북도 익산시
v http://blog.naver.com/unescobaekje
} 공주시 / 백제역사유적지구 블로그
} 공산성
v http://gongju.museum.go.kr/ 국립
} 송산리 고분군
공주 박물관
} 부여군
v http://buyeo.museum.go.kr/ 국립 부
} 정림사지
여 박물관
} 능산리 고분군
}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v https://iksan.museum.go.kr/ 국립 익
} 나성 산 박물관
} 익산시 v https://baekjemuseum.seoul.go.kr/
} 미륵사지 한성백제박물관
} 왕궁리유적 v https://www.cheongyang.go.kr/mus
eum.do 청양군 백제 문화체험 박물

삼국 및 가야 시대 참고문헌

} 일연(一然), 《삼국유사(三國遺事)》
} 고려 충렬왕 7년(1281)경
} 1281년(편찬), 1310년대(간행), 1512년(중간)
} 김부식(金富軾), 《삼국사기(三國史記)》
} 고려 인종 23년(1145) 경
} 두 사서 모두 보물 지정
} 중국의 정사(正史)
} 중국의 역대 왕조가 편찬한 정사 외국 열전(外國列傳)을 통해 한반
도에 존재했던 왕조에 관한 기록을 볼 수 있음
} 예: 《삼국지(三國志)》〮〈위서(魏書)〉 권30: 오환(烏丸), 선비(鮮卑)열
전 다음의 〈동이(東夷)〉 열전 속 국가들
} 부여(夫餘), 고구려(高句麗), 동옥저(東沃沮), 읍루(挹婁), 예(濊), 한(韓), 왜(倭)
} 사료 검색
} http://db.history.go.kr/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데이터베이스 한국고대사
료집성 중국편
고려시대: 개성역사유적지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세계유산 목록 중
} 발표 대상 북한의 문화유산
} 개성역사유적지구(2013년 등재)—총 12개 개별 유적
} 개성 성곽(북한 사적 제46호) 5개 구역
} 만월대(국보 제122호)와 첨성대 유적(국보 제131호)
} 개성 남대문(국보 제124호)
} 고려 성균관(고적 234호)
} 숭양서원(국보 제128호)
} 선죽교(국보 제159호)와 표충사(국보 138호)
} 왕건릉(현릉, 국보 제179호)과 7개 왕릉(7릉군, 7릉떼)과 명릉군
} 공민왕릉(국보 제123호)
} 북한의 아리랑(2014) 인류무형유산 등재
} 공식표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아리랑 민요(Arirang Folk song)
} 평양, 평안도, 황해도, 강원도, 함경도, 자강도 등 북한 주요 지역의 구전 아리랑 포함
} 생각해 볼 만 한 것
} 북한은 어떻게 문화재를 관리하고 선정하고 있을까?
} 우리의 역사 문화유산, 남과 북이 함께 노력하여 보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은?
북한의 문화유산 관련 참고 문헌

} 『북한의 사회와 문화』, 전영선, 도서출판 역락, 2006


} 『조선향토대백과』(전 20권), 한국 평화문제연구소·조선 과학백과사전
출판사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6
} 『조선대백과사전』(전 30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95
} 『개성의 문화유적』(사진집),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발간, 2013
} 『사진으로 보는 북한 국보유적』,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 『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 조선유적유물도감 편찬위원회, 서울대
학교 출판부, 2000
} 통일부 평화문제연구소 http://www.ipa.re.kr/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http://nkinfo.unikorea.go.kr/nkp/main/portalMain.do
} 기타 역사 인물 관련 각종 종친회 싸이트 등
} 예: 포은 정몽주 http://www.poeun.com/ 정몽주 관련 유적을 조사 할 때 참조
가능
} 동영상: 북한문화유산답사기(지식채널e)—EBS 교육방송
https://jisike.ebs.co.kr/jisike/
대한민국의 세계유산 목록(문화, 자연, 복합유산)

} 한국의 갯벌(2021)—5개의 갯벌, } 조선왕릉(2009)—18개 지역, 40


4건 기(基)
} 서천, 고창, 신안, 보성-순천 }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2007)
} 한국의 서원(書院)(2019)—9곳 }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
} 소수, 남계, 옥산, 도산, 필암, 도 (2000)
동, 병산, 무성, 돈암
} 경주(慶州) 역사 지구(2000)
} 산사(山寺), 한국의 산지 승원 } 창덕궁(昌德宮)(1997)
(2018)—7개 사찰
} 화성(1997)
} 통도사, 부석사, 봉정사,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 해인사 장경판전(1995)
} 백제(百濟)역사유적지구(2015) } 종묘(宗廟)(1995)
} 남한산성(南漢山城)(2014) } 석굴암(石窟庵)과 불국사(佛國
}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河回)와 寺) (1995)
양동(良洞)(2010)

http://map.unesco.or.kr/
대한민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

} 탈춤(2022) } 가곡(歌曲), 국악 관현반주로 부르는 서


} 연등회(燃燈會), 한국의 등 축제(2020) 정적 노래(2010)
} 씨름(2018)—남북 공동 등재 } 매사냥(2010)—한국을 비롯한 몽골, 스
페인, 프랑스, 아랍에미리트 등 11개 나
} 제주해녀문화(2016) 라 공동 등재
} 줄다리기(2015)—대한민국, 베트남, 캄 } 대목장(大木匠), 한국의 전통 목조 건축
보디아, 필리핀 공동 등재 (2010)
} 농악(2014) } 영산재(靈山齋)(2009)
} 김장, 김치를 담그고 나누는 문화(2013) } 남사당놀이(2009)
} 아리랑, 한국의 서정민요(2012, 남) }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2009)
} 조선민요 ‘아리랑‘(2014, 북)
} 강강술래(2009)
} 한산(韓山) 모시짜기(2011)
} 처용무(2009)
} 태껸, 한국의 전통 무술(2011)
} 강릉단오제(200
5)
} 줄타기(2011)
} 판소리(2003)
} 종묘제례(宗廟祭禮) 및 종묘제례악(宗廟
祭禮樂)(2001)
대한민국의 세계기록 유산

} 동학농민혁명 기록물(2023) } 새마을운동 기록물(2013)


} 4.19 혁명 기록물(2023) }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 광주 민
} 조선왕실 어보(御寶)와 어책(御 주화 운동 기록물(2011)
冊)(2017) } 『일성록(日省錄)』(2011)
}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기록 } 『동의보감(東醫寶鑑)』(2009)
물(2017) } 조선왕조 『의궤(儀軌)』(2007)
} 조선통신사(朝鮮通信使)에 관한 기 } 고려대장경판(高麗大藏經板) 및 제
록-17세기~19세기 한일 간 평화구 경판(諸經板)(2007)
축과 문화교류의 역사(2017)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2001)
} 한국의 유교책판(儒敎冊版) (2015)
} 『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
}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 要節)』하권(2001)
다'기록물(2015) 202
} 『훈민정음(訓民正音)』(1997)
} 『난중일기(亂中日記)』: 이순신 장군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의 진중일기(陣中日記)(2013)
(1997)
한국의 역사와 문화유산

개요
사전적 의미

} 문화:
① 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삶을 풍요롭고 편리하고 아름답게 만들
어 가고자 사회 구성원에 의해 습득, 공유, 전달이 되는 행동
양식. 또는 생활 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해 낸 물질
적, 정신적 소산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
풍습, 도덕, 종교, 학문, 예술 및 각종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
하는 개념
② 높은 교양과 깊은 지식 또는 세련된 아름다움이나 우아함, 예
술 풍의 요소 따위와 관계된 일체의 생활 양식. 등등 여러 가
지 해석이 있음
} 문화유산
} 앞 세대의 사람들이 물려준, 후대에 계승되고 상속될 만한 가치
를 지닌 문화적 전통

문화재청 문화유산 채널 보기
http://www.k-heritage.tv/문화유산으로 보는 한국사(참조 할만한 사이트)
문화유산(文化遺産) 이란?

} 우리의 역사, 문화적 우수성, 조상들이 남긴 문화적 산물


} 유형 문화재
} 형태가 있는 문화적 소산물과 이에 준하는 고고학적 자료
} 역사적〮학술적〮예술적〮기술적 가치가 큰 것
} 문화재 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문화관광부 장관이 지정
¨ 지정문화재
¨ 국보와 보물-국보는 보물의 가치가 있는 것 중에서 으뜸인 것
} 제작 연대가 오래되고 그 시대의 표준이 될 수 있는 것
} 제작 기술이 우수하여 그 유례가 적은 것
} 저명한 인물이 제작하였거나 또는 유서가 깊은 것
} 기타 역사를 알아보는데 필요한 것 등
¨ 미지정문화재: 주로 국가기관의 직접 보호 아래 있는 동산문화재
} 무형문화재
} 무형의 문화적 소산: 연극, 음악, 무용, 공예 기술 등
} 인류의 정신적 작용에 의하여 창조된 기술 또는 기술을 주요소로 하
여 표현되는 것
문화유산(文化遺産) 이란?

} 기념물
} 사적지(史跡地)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
} 경승지(景勝地)로서 학술적•경관적 가치가 큰 것
} 동물, 식물, 광물, 동굴 등 생성물로서 학술적 가치가 큰 것
} 사적(史蹟)
} 인류의 역사상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고적
} 국보와 보물에 비해 역사적 현장성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 역사적 가치가 높은
것을 사적으로 지정
} 명승(名勝)
} 자연미를 대표하는 이름난 경승지를 말하며 인공미를 가미한 것도 포함
} 사적 및 명승: 역사적 가치와 경관적 가치가 혼재된 곳으로써 중요한 것
} 천연기념물
} 자연유산으로서 일상생활 및 삶을 풍요롭게 하는데 중요하며 보존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
} 학술 및 관상적 가치가 높아 보호와 보존이 필요한 동물, 식물, 지질, 광물 등
} 민속자료: 민족의 생활 문화의 특색을 나타내는 것
} 문화재 자료:시•도지사가 국가 또는 시•도 지정문화재가 아닌 것 가운데 향
도 문화 보존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
문화유산을 통한 우리의 활동

} 역사를 알기 위해 참고 할 수 있는 것들
} 각종 역사적 자료들
} 사료
} 역사서
} 문화유산
} 역사와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 역사 여행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지식 탐구를 더한 여가 생활
생각할 문제들

} 창조를 위한 재능과 보존을 위한 애정


} 문화의 원류
} 문화의 창조
} 문화의 보존과 육성, 그리고 전수
} 세계화와 민족적 주체성의 관계에 대한 논의
} 세계문화유산과 차별화 될 수 있는 한국문화의 특수성 찾기
} 동북아의 대륙세력과 해양세력, 그리고 한국문화의 생존력
} 개발 제일주의와 민족문화의 상실에 대한 우려
} 고유의 문화유산이 있다는 것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 문화의 보존, 계승 발전이 중요한 이유?
} 윈스턴 처칠(1874~1965, 전 영국 수상)
} “힘을 동반하지 않는 문화는 내일이라도 당장 사멸하는 문화가 될 것이다. ”
} 호암(湖岩) 문일평(1888~1939, 한학자이자 사학자)
} “문화가 있는 민족은 죽지 않는다. ”
대한민국의 문화재 보호법

} 제1장 총칙
} 제1조 (목적)
이 법은 문화재를 보존하여 민족문화를 계승하고, 이
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문화적 향상을
도모함과 아울러 인류문화의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
로 한다.
} 제2조 (정의)
① 이 법에서 “문화재”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
성된 국가적·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 산으로서 역사적·
예술적·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다음 각 호의
것을 말한다.
세계 문화 유산

} 인류 역사의 귀중한 문화 및 자연유산


} 세계문화유산 지정
} 1972년 총회: “세계 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협약”
} 선정 기준
1.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품을 대표하는 작품
2.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 등 인류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유산
3. 현존하거나 또는 사라진 희귀한 문화적 전통
4. 인류 역사에서 중요 단계를 예증(例證)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
5. 자연이나 인류에 의해 파괴되기 쉬운 전통적인 건축양식, 건설방식, 인간주거의 특징
적인 문화를 보여주는 유산
6. 역사적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중요한 연관이 있는 유산
} 관련 인터넷 포털: http://heritage.unesco.or.kr/ 유네스코와 유산
}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이란?
} 한반도의 유네스코 등재 세계 유산의 소개
문화재를 지켜야 하는 이유

} 문화재청이 해야 할 일?
} 문화재에 담긴 시대정신이란?
} 같은 문화재 다른 흥미: 이것은 무엇일까?
} 문화재를 통해 쉽게 다가가고 이해 할 수 있는 역사: 역사와 문화재에 더 많은 관심을 갖
게 할 수 있는 방법이 될까?
} 문화재를 즐길 수 있는 방법을 찾자: 많은 사람이 평소에 즐기고 참여해야 가치를 더 발
휘 할 수 있는가? 잘 보관하여 두고 보는 것이 보존법인가?
} 외국으로 유출된 문화재 환수의 의의는? 꼭 돌려 받아야 하는가? 국제법 문제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 개인 소장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은?
} 문화재 복원의 의미는 어디에 있는가? 복원, 복구 방법은 전통적인 것을 고수해야 하고
현재의 모습대로 유지하는데 더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가? 가능하기만 하다면 현대적
기술을 접목하여 복구해야 하는가?
} 부실 복원, 복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은?
} 자신이 좋아하는 우리의 문화재를 꼽고, 그 이유를 설명해 보자.
} 한국국학진흥원 http://koreastudy.or.kr/
참고할 만한 관련 사이트

} http://www.koreanhistory.or.kr/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 문화재청 http://www.cha.go.kr/
} 문화유산채널 http://www.k-heritage.tv/
} 국가문화유산 포털 http://www.heritage.go.kr
} 국가기록유산 www.memorykorea.go.kr
} 한국문화유산정책연구소 http://www.chpri.org/
} 국립문화재연구소 http://www.nrich.go.kr/
} 국립무형유산원 http://www.nihc.go.kr/
} 유네스코 세계유산 http://www.unesco.or.kr/heritage/
} 각 시도별 또는 문화재 보유 장소 관련 정보 사이트
} 예1) 서울시공식관광정보사이트http://www.visitseoul.net/kr/index.do?_method=main
} 예2) 성남시 문화관광http://www.seongnam.go.kr/city/1000283/10176/contents.do
http://seongnam.grandculture.net/?local=seongnam 디지털 성남 문화대전
} 예2) 강화도 정족산 전등사 http://www.jeondeungsa.org/
} 한국관광공사 http://kto.visitkorea.or.kr/kor.kto
} KBS 역사스페셜 – 북한문화유산시리즈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