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

한국의문화유산

구중 궁궐 그곳에선 무슨 일들이?-궁궐문화-02
: 정원문화와 창덕궁 후원, 궁궐사람들의 삶

▣ 우리나라 정원과 창덕궁 후원

1. 한국의 정원
-자연경관을 주( 主)로 삼고 인공 경관을 종(從)으로 삼음
ex)이규보 “부귀의 힘으로 모을 수 있는 것은 기이한 꽃, 이상한 나무, 기이한 짐승뿐이요, 암석의 높고
크며 위엄찬 것 같은 것은 권력으로는 오게 할 수 없다. 어찌 다시 높고 그윽하며 기이하게 빼어난 천
연 그대로의 모습을 찾을 수 있겠는가”
: 경관이 좋은 한 대목을 골라 쉼터를 짓고 나무와 돌을 정돈하는 정도. 자연의 질서를 흐트러뜨리거

나 조작하지 않았음

: ( =경관을 빌려옴)의 원리를 이용하여 정원의 범위를 확대 시킴

*중국의 정원

: 정원을 대자연의 축소판처럼 구성. 담으로 구분된 크고 작은 공간 속에[억경]

: 감상용 경물을 배치하는 밀도 높은 배치

: 다양한 조원 수법에 의해 감상의 묘미를 극대화 시킴

*일본의 정원

: 상징적이고 비유적인 의미를 부여, 구성에 있어 규칙 多


무로마치 시기의 가레산스이( 枯山水)
2. 정원의 종류와 주요 구성요소
-궁원( 宮園), 향원(鄕園), 민간정원 특히 별서정원(別墅庭園)으로 나눌 수 있음
-정원의 주요 구성 요소

알아두면 좋아요!
정원 건축의 건물은 대(臺)·누(樓)·정(亭)·사(謝)·헌(軒)·당(堂)·재(齋)·각(閣)·단(壇)·문(門) 등으로 구
성되는데, 대(臺)·누(樓)·정(亭)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대(臺)는 흙과 돌을 높게 쌓아 평평하게 만들어 멀리 경치를 바라볼 수 있게 한 축조물
누(樓)는 대 위에 지은 건축물로, 땅에서 떨어지게 축조
정(亭)은 정자(亭子)라 일컫는데, 경치 좋은 곳에 조성한 건축물로 누·대와 비교해 규모가 작고 단층. 자연과의
동화를 위해 주위를 대부분 개방하고, 바닥은 마룻바닥으로 처리하며 난간을 돌리는 것이 일반적

경포대 광한루

- 1 -
겸재 정선-압구정 겸재정선-압구정 일부

①정원 건축물
: 정원의 주요 경치 감상이 가능한 지점에 목적에 따라 다양한 건축물을 조성함

②연못과 연꽃
-연못은 천원지방( 天圓地方) 개념을 반영하여 외형을 방형으로, 가운데에 동그란 섬을 조성함
-연꽃은 군자로 일컬어지는 이상적 인간상의 상징형
ex)주돈이. 국화는 은일, 모란은 부귀, 연꽃은 군자...연은 더러운 뻘에서 자라지만 물들지 않는다.

③삼신산(三神山)
-봉래산(蓬萊山) 방장산(方丈山) 영주산(瀛洲山)을 정원 속 경물로 조성. 자연 풍경에 이상적 세계를

의미를 부여하고 상징화함

④바위와 괴석
-돌을 가장 항구적인 것 중의 하나라고 생각했음

ex)이곡. 암석은 견고 불변하며 천지와 함께 종식되는 것이다.

-자연 상태의 바위 본래 모습대로 정원 속에 포함 시키거나 괴석을 옮겨 배치했음

창덕궁 낙선재 후원 괴석 경복궁 교태전 후원 괴석

⑤소나무 대나무 매화
-소나무 : 지조와 의리의 상징 / 세속을 떠난 은자 상징 / 신선 사상과 관련하여 불로장생의 상징물

등으로 다양하게 해석됨

-대나무 : 속이 비어 있으면서도 군자의 인품에 비유될 수 있는 겸허, 지조, 절개 등을 상징. 죽림

칠현은 대나무 숲을 은거지로 삼았음

-매화 : 봄에 가장 먼저 꽃을 피우며 흰색, 후각을 크게 자극하지 않은 은은한 향기의 특징이 선비

의 유교적 윤리관과 결합

ex)성삼문. 매화는 맑고 절조가 있어 사랑스러우며 맑은 덕을 갖고 있어 공경할만하다.

- 2 -
3. 궁원, 창덕궁 후원
-궁궐 북쪽에 왕실 구성원의 휴식 공간으로 조성. 그러나 공적 활동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함

-창덕궁의 후원은 주변 자연환경과의 완벽한 조화와 배치가 탁월하다고 하여 세계문화유산에 선정

: 숲의 자연 상태를 그대로 살리면서 적당한 위치에 인공물을 배치

: 6개의 연못과 정자 25동이 있음

-( ) 주변 : 부용정, 주합루, 영화당 등

: 우리 정원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곳

주변의 영화당은 일대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 숙종 때(1692) 재건한 것. 영조의 어필 현판

( )는 정조 즉위년인 1776년에 지은 2층 누각. 아래층은 규장각 서고, 위층은 열람실

▣궁궐사람들의 삶

1. 세자(世子 : 대를 잇는 아들)
탄생→세자 책봉→혼인→즉위→국가제사 주관, 경연 참여, 행차 등의 정치활동→승하
①세자의 탄생
-출산시기가 가까워 오면 산실청(産室廳)이 설치

-탄생 3일 후에 종묘에 고하고, 7일 후 백관의 하례가 있음

-원자로 탄생하는 순간부터 그 존재가 신성시 됨

: 국왕의 태를 봉안한 태실(胎室)이 만들어진 것에서 잘 드러남

*태실

: 출산 후 태는 깨끗이 씻겨 져서 백자 항아리에 태를 봉안하고 기름종이와 파란 명주로 봉한


다음 빨간 끈을 묶어 밀봉하고 이 항아리를 다시 큰항아리에 담고 빈 공간을 솜으로 채워,

안태(安胎), 즉 태를 안치함
: 왕세자의 태실은 석실을 만들고, 국왕으로 즉위하면 태실을 가봉(加封)함

: 태실은 8명의 수호군사를 두어 관리. 태실 주변은 금표로 접근을 제한함

: ( )에는 조선왕실의 태실 53위가 함께 모아져 있는데, 전국 각지에 산재해 있던 것들

일제가 왕실과 지역민의 연결고리 중의 하나였던 태실을 없애고 한 곳에 모아둔 것

- 3 -
책봉의례도 춘방의 현판 왕세자입학도첩-입학도

②세자의 교육
-세자의 ( ) 입학
: 국가와 백성을 다스리기 위한 교육이 이루어짐. 그 상징으로 입학의식을 치룸
: 세자의 입학의식 : 출궁하여 성균관에 나아감-작헌례(성균관의 문묘에서 공자에게 잔을 올림)-왕복

의(세자가 스승에게 수업 받기를 청함)-수폐의(스승에게 예물을 드림)-입학의(세자가 박사와 마주

앉아 스승과 제자의 관계를 맺음)-수하의(문무관료로부터 하례를 받음)


-왕세자의 교육을 담당한 기관은 세자시강원[별칭 春坊(춘방)]

: 인성교육을 중시. 효를 가장 중점을 두어 가르침. 정치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역사관에 중점을 둠

-세자의 교육을 ( )이라고 함

: 관료 중 명망 높은 유학자를 스승으로 선발

: 교재는 유교 경전과 역사책

천자문, 동몽선습, 소학, 효경을 익힌 후 사서오경을 배우고, 역사서로는 자치통감, 국조보감 등

-매일 아침, 점심, 저녁 3번 정규적으로 강의함 : 조강(朝講), 주강(晝講), 석강(夕講)

-한달에 한 두 번씩 스승을 비롯한 시강원의 관원이 모두 참석하여 배운 것을 평가함

2. 궁녀
-궁중여관( 宮中女官)의 줄임말
-궁중에 머물면서 일정한 지위와 ( ) 받는 여성. 내명부의 품계를 받음. 넓게는 여관들의 시녀

로 궁중의 잡역을 담당하는 비자(婢子)나 무수리 등 품계가 없는 천비들까지 포함됨

․궁녀에는 3가지 등급이 있었음 : 상궁·나인·애기나인으로 나누어짐


-애기나인 : 정식 나인이 되기 이전의 나인. 상궁들에게 맡겨져 궁중 예절과 언어, 걸음걸이 등 궁중

의 법도와 일상사를 배움. 한글을 읽고, 기본적인 서적을 읽고 궁체를 배움

-나인[내인] : 관례를 치른 나인. 관례를 치르면 두 사람이 함께 쓰는 방이 배정됨. 두 사람은 상궁이

되어 독방을 갖기까지 동거동락. 품계가 주어지고 정기적인 월급이 나옴

- 4 -
-상궁 : 궁에 들어와서 15년 정도가 지나면 상궁이 됨. 거처에 각심이와 침모가 한 명씩 배치됨
-지밀(至蜜)․침방(針房)·수방(繡房), 세수간(洗水間), 생과방(生果房), 소주방(燒廚房), 세답방(洗踏

房) 등 역할에 따른 부서에 소속
-입궁연령은 지밀이 가장 어린 4∼8세, 침방과 수방은 6∼13세, 그 외에는 12∼13세가 일반적

3. 내시(內侍)
-궁궐에서 근무하는 모든 사람을 가리키는 한자어
-고려시대의 내시는 시문(詩文)·경문(經文)에 능통한 문과 출신으로 임명

: 즉, 환관과 내시는 ( )되는 존재였음

-조선시대부터 환관과 내시의 개념이 ( )해짐

: 내시는 궐내 음식물의 감독, 왕명의 전달, 궐문의 수직, 청소의 임무를 맡는다고 규정

-상선이 내시부의 최고 관직

-중국은 죄를 지은 사람을 거세하는 궁형이 있어 그들을 환관으로 할 수 있었으나, 우리나라는 뜻하지

않은 사고나 인위적으로 거세된 자들이 환관이 되었음

-기본적인 소양을 갖추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 평가를 받았음

-궁궐에서 근무하는 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궁궐 밖에서 살면서 출퇴근했음

양자를 두어 가정을 꾸리기도 하였음

- 5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