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0

고려시대

국가 운영
1. 관료의 삶

나는 시골에서 쓸쓸히 지내니

세파의 곤궁함을 어찌 견디리

목 내밀고 한번 나가고 싶으니

부디 도와 주시면 얼마나 좋겠소

이규보: 1168년(의종 22)∼1241년(고종 28)


고려의 문신·재상. 1189년 사마시 수석.
- 관료는 당대 최고의 신분층
서긍 [고려도경] “고려에서는 사민 가운데 선비를 가장 귀하게 여긴다.”

- 권력 부 명예

- 녹봉 수령자 3000명, 토지 수령자 14000명


생활

- 관복: 비단 *한 필 은 10냥, 너울 한 근

자주색, 붉은색, 진홍색, 녹색 / 재료와 색깔 구분 / 9등급


이규보 “옷의 무늬로 귀천이 나뉘니 세상에서는 이 일이 가장 아름다운
것이라” , “옛날 푸른 적삼 입었을 땐 사람들이 쳐다보지도 않더니 이제
붉은 옷 입으니 뭇사람 다투어 따르네”

- 9시 출근 5시 퇴근

- 수입: 토지(전시과)와 녹봉(미곡)


전시과: 토지(田+柴) 18과

976년 제정->목종(997~1009) 개정->문종(1046~1083) 완비

지급 원칙: 인품과 공로->관등(목종)

지급 분량

- 최고 1과 100결+50결 -> 200석~400석 / 개간 가능

- 최하 17결+0

운영 방식: 수확의 일부 수령. 평생 보장.


녹봉: 물건

지급 분량: 최고 400석, 최하 10석

지급 시기: 정월 7일, 7월 7일

지급 물품: 곡물(쌀, 보리), 베, 비단

현직만 지급

*공음전: 고위직에게 주는 특혜
관료의 경제 기반: 토지와 노비

노비
고려 목종 때 경주사람 융대
양민 500명을 사서 노비로 만들어서 뇌물로 바쳤다.
2. 내시

환관과 내시의 차이는?

고려시대의 내시 :

- 귀족 자제, 용모 단정, 유학 지식

- 엘리트

- 최충의 손자 최사추,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 안향 등.


선발기준

- 문종 : 재능, 공로, 용모 수려한 사람 20명

- 의종 : 귀족 자제는 좌번 내시, 유신은 우번 내시

=>가문+재능+용모 + 왕의 총애 + 일반적 성격은 유학자

운영방식

- 문종: 특별 수당 지급.
내시 운영의 변화

무신집권기(1170년 이후 변화)
- 무신도 가능. 무신 최고 집권자의 측근 다수

원 간섭기
- 군인, 통역자, 환관, 군역 기피자
- 소수 엘리트 집단의 성격 상실

1391년 공양왕
- 좌우번 50명씩 선발
- 궁중 숙위 임무.
3. 황제국을 칭한 고려

최고 통치자 칭호

우리나라 : ‘왕’

중국 : ‘황제’ 3황 5제

- 221년 진나라 ~1912년


한국과 중국의 교류 : 책봉

고려는 제후국

- 책봉: 중국이 황제국의 입장에서 제후왕으로 봉작해 주는 외교적 의


례행위.
고려시대 국가 운영 방식

- 황제국 체제

- 諸王이 존재함 : 공작 후작 백작
- 경순왕을 낙랑왕. 이후 없음.

- 왕실 용어 : ‘폐하’, ‘짐’, ‘성지’ ‘조’ ‘칙’, ‘태후’, ‘태자’

- 황제는 7묘, 왕은 5묘 -> 의종 때 7묘

- 원구제(하늘에 지내는 제사) 봉행


4. 원나라 황후가 된 고려 여인

고려와 원나라의 관계: 이중적 성격

- 13세기 30여년 동안 전투.

- 강화와 협상 : 토풍, 왕실, 국호 유지

- 충렬왕이 쿠빌라이 딸과 결혼.

- 군대 철수, 독자적 호구 조사.


친원파 형성 예) 홍복원(1206~1258) 3대.

토색질, 고려에서 관직, 통역 장난.

친원파 증가. 기씨가 황후.

기씨는 기자오의 막내딸, 원나라 공녀. 1335년 황궁 궁녀. 1339년 아들

출산 후 제2황후. 1353년 아들 황태자 책봉.

고려 조정도 기씨 일파가 장악.


5. 공민왕의 개혁과 신돈

신돈(?~1371)은 1365년부터 1371년까지 정권 장악.

조선에서 ‘요사한 승려’로 묘사.

신돈 시기 : 사회 경제적 개혁.
어려서 중이 됨.

->1135년(인종) 노비는 중 안됨.

승려의 학식. 유학 소양 부족. 국정 식견.

1359년(공민왕8년) 중앙에 등장.

공민왕 즉위 후 반원 개혁.

신돈은 연고가 없는 인물.

정치 전반에 대한 권한 위임.
개혁-정치 세력이 필요함

신진사대부: 정몽주, 정도전 등 유학자


- 전민변정도감(田民辨整都監)

- 퇴직 관리가 백성을 침탈 못하게

- 권세가의 자제들 고속 승진 제한

- 성균관 재건립 : 사대부의 진출 지원


공민왕은 왜 신돈을 기용했나?

- 개혁은 공민왕의 의도

- 실패할 경우의 부담을 신돈에게 전가

- 전민변정사업으로 권세가들 원성

- 명나라의 등장, 국제질서 새롭게 전개

권세가 통제. 민의 입장에서 개혁

왕권 강화. 신진사대부의 성장 토대 마련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