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04

제5주:

이집트 문명
동북아프리카 나일강 유역의 선사 문화
와 이집트 문명의 형성
 신석기 정착 농경 마을의 형성
 사회적 분화와 계층화의 발생
 전갈 왕의 곤봉도끼, 나르메르 왕의 화장석판
 상, 하 이집트의 통일

이집트 문명의 발전

고대 이집트인의 생활
길이: 6,650km
발원: 부룬디, 빅토리아
호수; 타나 호수
하구: 지중해
고저차: 2,000m
우기(6~9월) 범람

나일 강
고왕국

신왕국

선왕조

중왕국

이집트 문명의 연표
고왕국 시기에는
하이집트가 중요
한 역할
중왕국과 신왕국
시기에는 상이집
트의 테베지역이
중요한 역할

이집트와
나일강
이집트와
나일강
나일 강과 카이로 주변 지역
나일 강과 룩소르 주변 지역
나일 강과 엘 아마르나 유적(아케나텐 수도)
나일강 유역의 선사 문화
구석기시대의 수렵채집인 문화
아프리카 인류의 유라시아 대륙 진출 통로
바다리 문화: 기원전 4400-4000년
최초의 농경, 동물 사육, 어로; 토기 제작과 사용
나카다 1기 및 2기 문화: 기원전 4000-3100년
채색토기 제작, 구리 사용
관개 농업, 생산력 증대, 잉여 식량, 대규모 취락
사회적 분화, 계층화 발생
초기왕조기: 기원전 3100-2686년, 1~3왕조
전갈 왕의 곤봉도끼, 나르메르 왕의 화장석판
상형문자의 출현
서아시아 농경의 출현과 나일강 유역으로 확산
하마의 이빨로
만듬
나신의 형태
정확한 의미는
알수없지만 정착
농경마을의문화
에서 제작되고
사용됨

높이 14cm, 하마 이빨

바다리 문화(기원전 4400-4000년) 여인상


둘다 중요한 유적
히에라콘폴리스-> 독수
리의 도시라는의미

초기왕조기의 나카다와 히에라콘폴리스


나카다 1기(기원전 4000-3500년) 무덤 부장품
나카다 1기(기원전 4000-3500년) 현무암 그릇
나카다 2기(기원전 3500-3100년)의 토기
곤봉 도끼는당시의 높은권력을
나타내는상질물

길이 25cm

수로, 호미, 관,
부채, 전갈, 화판,
작물, 새, 깃발

전갈왕 곤봉도끼(좌)와 나르메르왕의 곤봉도끼


(기원전 3100년경, 히에라콘폴리스)
길이 25cm

수로, 호미, 백관,


부채, 전갈, 화판,
작물, 깃대, 새

전갈왕 곤
수평으로 문양을 구분하며
맨위에 자루를 끼워넣을 봉도끼
수 있는 구멍이 있고 제일
아래에는 수로,둑,물길 표 (석회암,

중앙에는 관을쓰고 있는 기원전
인물이 호미 들고있음 ->
전갈왕 스콜피온 3100년경,
여러식물들도 그려져 있음
맨위에는 깃대에 새들이매 히에라콘
달려 있음
폴리스)
노모스(지역) 깃대,

백관, 소꼬리, 호미
전갈, 화판
바구니, 깃대; 부채,
작물, 여인들

수로, 시종

전갈왕 (Scorpion King) 곤봉도끼 장면


백관을 쓰고있고 전
갈이 앞에 그려져
있음

전갈왕 곤봉도끼 세부 (상이집트 백관)


노모스의 깃대
나르(메기)+메르(끌)

적관(하)
도리깨
깃대
포로
전리품

나르메르왕 곤봉도끼 (히에라콘폴리스)


화장 석판
얼굴과몸을 화장하는
데 사용하는 가루를 가
운데 구멍에서 만듬

선왕조기
화장석판
같은형태의 문양
이 위에
-> 나르메르왕

64 x 42 cm, 실트암

나르메르왕의 화장석판 (히에라콘폴리스 출토)


소 -> 바트신

바트, 세레크
나르메르(백관, 상),
시종, 호루스, 포로,
파피루스(하)
포로, 부호

상이집트의 나르
메르왕 (백관쓰
고있음 )

나르메르왕
화장석판
바트, 세레크
나르메르(적관, 하),
시종, 신하, 깃발, 참
수된 적
뱀-표범, 화장공
황소, 성벽, 적

나르메르왕의화장석판을 통해
상이집트의 왕이면서 하이집트
의왕이기때문에 이집트를 통일
하였다고 할 수 있다. 스콜피온
의 전갈왕이 나르매르일수 도있
음을 알 수있다 .

나르메르왕의 화장석판
세레크 방식,
직사각형

카르투슈방식 ,
타원형

왕이름 상형
문자 (세레
크, 카르투
슈)
제5주:
이집트 문명
동북아프리카 나일강 유역의 선사 문화
와 이집트 문명의 형성

이집트 문명의 발전

고대 이집트인의 생활
나폴레옹의 이집트원정시 발견됨
로제타 스톤에는 세가지 서로 다른
문자로 새겨져 있음
아래- 그리스문자
중간 -이집트 필기문자
위- 상형문자
아래,중간바탕으로 -> 위 해석

높이 114cm

로제타스톤
(기원전
196년, 프톨
레미 5세;
상형문자,
디모트, 그
리스)
이집트 문명의 주요 연표
고왕국(4~6왕조): 기원전 2686-2181년
수도 멤피스; 기자의 피라미드
조서, 쿠푸, 카프라, 멘카우라
중왕국(11~13왕조): 기원전 2055-1650년
멘투호텝 2세 재통일
신왕국(18~20왕조):기원전 1550-1069년
핫셉수트
아케나텐과 네페르티티
투탄카문
람세스 2세
수도 테베 (룩소르, 카르낙 신전구) 상이집트 지역
지상에 돌로만든 구조물
지하에는 무덤칸
-마스타바 석묘 라고함

마스타바 수혈식 석묘
마스타바 수혈식 석묘
3왕조 조서 왕의 계단식 피라미드 (사카라)
125x109+62m, 6단
임호텝 건축

조서(기원전 27세기)왕의 계단식 피라미드


520x290m, 15만㎡

조서왕의 피라미드 유적군


기자에 위치한 4왕조 파라오의 피라미드
왕들의 피라미드
옆에여왕의 피라미드도 작지마
존재

쿠푸 230x230+140m

카프라 + 스핑크스

멘카우라

기자 피라
미드 배치
쿠푸 230x230+140m

쿠푸(기원전 2589-2566) 피라미드의 현실 입구


왕석실 1047x523+582cm
왕비석실 575x523+623cm

쿠푸 피라미드의 왕과 왕비 현실 연도
무덤길의모습

쿠푸 피라미드의 현실 연도
쿠푸 피라미드의 왕석실 석관
초대형의 파라오상을 썰매를
이용하여 운반
피라미드 축조를 할때도 썰매
이용했을 것으로 예측

썰매를 이용한 초대형 석상의 운반 (벽화)


피라미드를 축조하는데 경사로를 이용해 쌓았을 것

쿠푸 피라미드 2,583,283㎥
230만개 석괴
석회암 550만톤, 50만톤 회반죽, 8천톤 화강암

피라미드 축조에 사용된 경사로 (가설)


카프라 215x215+136m

카프라의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카프라의 피라미드와 스핑크스 (2004년)
네메스 두건, 턱수염

네메스라고 하는
독특한 두건

카프라(기원전 2520-2495년) 석상
4왕조 멘카우
라와 하토르
여신(좌), 바트
여신(우)
상이집트를 나타
내는 백관

적(하)백(상) 이중관
하이집트를 나타
내는 석관

이집트를 재통
일한 중왕국 11
왕조 멘투호텝 2
세(51년 재위;
기원전 2046-
1995년)
백관, 왕홀

12왕조 세소스트
리스 1세 (기원전
1971-1926년)
이집트 전성기(신왕국, 기원전 15세기)의 영역
서쪽에는 죽은
사람들의 공간

궁전 구역 룩소
르 신전 구역 나
르나

테베 룩소르의 유적 배치
18왕조 아모스
1세(기원전
1549-1524년)의
도끼
18왕조 핫셉수트(기원전 1479-1458년) 사원
18왕조 핫셉수트 사원(장제전)
델엘바리의 핫셉수트 사원
네메스 두건을
쓰고 있음

18왕조 아멘호텝 3세(기원전 1388-1350) 사원


적백 이중관, 코브라,
네메스 두건, 장식용
턱수염, 갈고리(왕권)
와 도리꺠(풍요)

18왕조 아케
나텐(기원전
1351-1334년)
아텐 신에게 봉헌하는 아케나텐 일가
18왕조
네페르티티
왕비(기원전
1370-1330년
경)
네페르티티
왕비 석상
투탄카문 (기원전 1332-1323년)의 관을 여는 카터
독수리와 코브라, 네메스
두건, 장식용 턱수염

18왕조 투탄카문
(기원전 1332-
1323년) 황금 마
스크
투탄카문
왕과 왕비
투탄카문 왕릉 출토 채색상자
풍요의 상징 괭
이를 들고 있음

투탄카문 왕릉
부장인물
구약성경에나오
는 모세의

19왕조 세티
1세 (기원전
1290-1279년,
아비도스 신
전; 모세의
출애굽?)
신왕국 이집트와
히타이트 제국의
충돌
19왕조 람세
스 2세 (기원
전1279-1213
년)의 히타이
트 제국과의
카데시 전투
이전 복원된 아부 심벨 람세스 2세 사원 (2004년)
아부 심벨 람세스
2세 사원 (1967년
이전 복원)
아부 심벨
람세스 2세
사원
아비도스 람세스 2세 사원
람세스 2세의 부인 네페르타리 왕비
(기원전 1250년경 사망)
클레오파트라 7세(기원전 69-30년)와 케사리온
클레오파트라/안토니우스 대 옥타비아누스의
악티움 해전(기원전 31년 9월 2일) 그림 (1672년작)
이집트 문명의 주요 연표
고왕국(3-6왕조): 기원전 2686-2181년
수도 멤피스; 기자의 피라미드
조서, 쿠푸, 카프라, 멘카우라
중왕국(11-13왕조): 기원전 2055-1650년
멘투호텝 2세
신왕국(18-20왕조):기원전 1550-1069년
핫셉수트
아케나텐과 네페르티티
투탄카문
람세스 2세
주요 수도 테베
제5주:
이집트 문명
동북아프리카 나일강 유역의 선사 문화와 이
집트 문명의 형성

이집트 문명의 발전

고대 이집트인의 생활
 사후 세계
 살아있는 신들
 이집트의 지배층
 평민의 일상 생활
아누비스, 마트, 아미트, 토트

기원전 1275년경 파피루스 사자(死者)의 서(書)


죽은이의 심장을 마트신의 깃털과 저울질하는 아누비스
오시스와 남매관
계의두여인

호루스
이시스
네프티스

오시리스 신에게 인도되는 죽은이


목관 (21
왕조)
죽은이를 미라 처리하는 아누비스신
장례 절차

미라의 입을 여는 의례
이집트 미라
사람의 장기를 단
지에넣어 보관
독수리(장, 서), 사람(간, 남),
카노푸스 단지 재칼(위, 동), 원숭이(폐, 북)
네메스 두건, 코브라, 장
식용 턱수염, 와스 지팡이,
동물머리를 간략화한 앙크
와스 지팡이

얼굴 측면, 눈동자 정면
상반신 3/4 정면
다리 측면

생명물을 상징으
로 한 앙크라는
장신물

이집트의
파라오
녹색 피부(부활), 백관(상)
과 타조 깃털, 갈고리(권위)
와 도리깨(풍요)

오시리스의 발
-한꺼번에 뭉쳐
져있음 ,미라와
유사하게 표현

오시리스(Osiris):
풍요, 농업, 죽음,
부활, 사후 세계,
지하 세계
소뿔 ,원형 디스크

왕좌; 소뿔, 원형 디스크,


코브라; 파피루스 지팡이,
앙크

아들 호루스

이시스(Isis): 모
성, 다산, 왕권,
주술, 지혜; 오
시리스의 누이
이자 아내; 호루
스의 어머니
독수리 머리, 적백 이중관, 와
스 지팡이, 앙크

호루스(Horus):
왕실, 태양, 하늘;
오시리스와 이시
스의 아들; 하토
르의 남편
짐승(?) 머리, 와스 지팡이,
앙크

오시리스와 경쟁
관계에 있는 신
오시리스의 동생

세트(Seth): 혼란,
사막, 폭풍, 폭력,
악의 신; 오시리
스의 동생
노랑 피부, 황소 뿔, 코브라
및 빨강 원형 디스크, 와스
지팡이, 앙크

하토르: 하늘, 음
악, 무용, 사랑,
성의 여신
따오기 머리, 와스 지팡이,
앙크

토트(Thoth):
달, 지식, 지혜,
기록, 정의,
타조 깃털(진실), 파피루스 지
팡이, 앙크

마트(Maat): 진실
과 정의의 여신
두 깃털 장식, 원형 디
스크, 장식 턱수염, 와
스 지팡이, 앙크

중요!!!!!!!!!!!
태양의 신
아문라의 신이 가장
중요한 신으로 숭배
되는 시대가 있었음
(종교개형)
신들의 신 ,태양신

아문-라: 태
양신, 창조,
신들의 왕
아멘호텝 3세 (기원전 1388-1350) 의
소똥구리 (재생 부활 상징) 조각 및 사자 사냥 명문
생명의 상징, 앙크
거울을 담는 상자

앙크(Ankh,
생명) 문자 형
상 거울상자
최상류 지배계
층, 재상
초대형의 피라미
드 쿠후 왕의 재
상 ,피라미드 축
조관여 가능성

쿠푸왕의 재상
헤미우누 (기
원전 2570년경)
이집트의
서기
핫셉수트 여왕 신전의 교역사절단 장면
젊은 부부
가족(5왕조)
농경 장면
목축 장면
수공업 생산
고대 이집트는 유
리 생산의 중심지

이집트
신왕국의
유리병
춤 추는사람

악사와 무희
전쟁 포로
제5주:
이집트 문명
이집트 문명의 특징과 영향
관개 농경의 발전
통일 문명의 완성
제정일치의 사회와 다신교 및 유일신교
매장 의례 및 사후 세계에 대한 막대한 투자
미라의 처리와 보존
아프리카와 서아시아 문명의 융합
고대 문화유산의 현대적 활용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