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1

신화와 철학 2

강사 김 수진
연락처 oudemia79@gmail.com
신화와 철학

I. < 일리아스 > 의 역사적 배경

1) 인도 유럽어족 ( 페르시아 , 인도 , 유럽으로 흩어진 족속 : 같은언어사용 )

2) 미노아 문명

3) 미케네 문명 도리아인

4) 기 원 전 1250 년 경 미 케 네 인 은 소 아 시 아 서 부
트로이인과 전쟁하여 승리함

5) 트로이 전쟁 ( 경제적인 원인 , 아이올리스인 VS 아카이아인 )


( 약 500 개의 그리스 도시국가들 사이의 내전 )
I. < 일리아스 > 의 역사적 배경 신화와 철학

( 기원전 1500) ( 기원전 1000)


I. < 일리아스 > 의 역사적 배경 신화와 철학

( 그리스인의 이주 )
신화와 철학

II. 어떻게 < 일리아스 > 는 서양정신의


원형일 수 있는가 ?

1) 최초의 고전 ( 기원전 1000 년 – 800 년쯤 완성 )

2) 호메로스

3) 신화 , 전설
신화 텍스트
기본 :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의 서사시 , 그리스비극 ,
고대주석들 , 신화집들 ( 오비디우스 , 휘기누스 ,
아폴로도로스 )
호메로스 [ 일리아스 ] [ 오뒷세이아 ]
헤시오도스 [ 신들의 계보 ] [ 일들과 나날 ]
아풀레이우스 [ 변신이야기 ] 또는 [ 황금당나귀 ]
오비디우스 [ 변신이야기 ]
단테 [ 신곡 ]
아폴로니오스 [ 아르고호 이야기 ]
크세노폰 [ 소크라테스 회상 ]
신화와 철학

III. < 일리아스 > 의 내용


- 1) 트로이 전쟁

아브라함 블뢰마르트作 1638


< 펠레우스와 테티스의 결혼 >
III. < 일리아스 > 의 내용 ( 트로이 전쟁 ) 신화와 철학

루벤스作 1639-1640
< 파리스의 선택 >
III. < 일리아스 > 의 내용 ( 트로이 전쟁 ) 신화와 철학

레오나르도 다빈치作 1510-1515


< 레다와 백조 >
III. < 일리아스 > 의 내용 ( 트로이 전쟁 ) 신화와 철학

벤저민 웨스트作 1776


< 파리스에게 인도되는 헬레네 >
신화와 철학

VI. 신화를 철학적으로 읽는다는


것의 의미
1) 파리스의 선택

2) 신과 인간의 관계

3) 아름다움에 대한 동경
- 진리 , 선도 아닌 아름다움에 대한 동경
횔덜린 “서양에서만 민주주의가 가능했고 , 서양에서만 과학이 가능했고 ,
서양에서만 서양적 의미의 철학이 가능했던 것은 다른 이유 때문이 아니라
그리스인들만이 아름다움이 무엇인지를 본질적 의미에서 알고 있었다 .”
헤겔 “그리스 사유가 미학적이다 .”

- 서양 사람들의 자기이해 ( 낯설음 속에서 우리가 누구인지 탐구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