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지중해지역연구|제10권 제3호 [2008.

9] : 157~174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예술, 학문, 종교적


상황과 인종적 대립

1)|정 규 영|*
Jung, Kyu Young

Egypt's Situations in the Sciences, the Arts, and the


Religions and the Ethnic Confrontation during the
Ptolemaic Dynasty

Ptolemaic Dynasty in Egypt began when Ptolemy I Soter declared himself


Pharaoh of Egypt in 305 BC and ended with the death of queen Cleopatra of
Egypt and the Roman conquest in 30 BC. The early Ptolemies followed the
religion or the customs of the Egyptians, and indeed built magnificent new
temples for the Egyptian gods for the Pharaonic traditions.
It seems that during the Ptolemaic periods the architecture descends directly
from the New Kingdom temples through the developments of the Late Period.
The temples of this period continued to be regarded as symbols of the cosmos
of the time of creation, houses for the gods and the goddess and ritual spaces
where the king , or priest interacted with these gods.

* 조선대학교 외국어대학 아랍어과 교수, 아랍언어학, 카이로대학교 대학원 아랍어과, (062) 230-6521,
kyjung@chosun.ac.kr
158 | 지중해지역연구||제10권 제3호 [2008. 9]

The Ptolemaic kingdom has the diversity in the people who settled and made
Egypt their home. During the dynasty, Greek troops under Ptolemy I Soter
were given land grants in Egypt and brought their families to settle the country
making themselves the new ruling class. Native Egyptians continued having a
role, but mostly in lower posts in the Ptolemaic government. During the reign
of the Ptolemaic Pharoahs, many Jews were brought from neighboring Palestine
by the hundred thousands and established an important presence there.

[Key Words: Ptolemaic Dynasty, Cleopatra, the New Kingdom, Ptolemy I


Soter, the Late Period]

1. 서 론

그리스가 고전기(the classical period)에 접어든 기원전 6세기 경 이집트는 페


르시아 캄비세스의 침공을 받아 점령되었다. 페르시아의 왕은 그 이전에 리비
아와 쿠시(Kushite) 출신1)의 왕이 그랬듯이 통치의 전략으로 이집트의 토착 종
교와 전통에 존경을 표하는 척 했다. 기회가 되었을 때 이집트인들은 점령자들
을 축출했으나 페르시아의 재침공을 받아 독립은 채 60년을 넘지 못했다.
혼란한 시기였으나 이 시기에 이집트와 그리스 도시국가들 사이의 교류는
점차 빈번해져 밀레투스의 탈레스, 철학자이자 수학자인 피타고라스, 정치가이
자 법률가인 솔론, 밀레투스의 헤카테우스, 역사학자인 헤로도토스 등과 같은
유명한 학자들이 이집트를 방문하기도 했다. 기원전 5세기에 이집트를 방문한
역사학자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페르시아 인들은 이집트의 신전을 무자비하게
약탈했다. 특히 캄비세스 대왕은 이집트인들을 대량학살 하는가 하면 이집트인

1) 백나일과 청나일강의 합류 지점, 오늘날 수단 공화국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쿠시 혹은 누비아로


불리기도 한다.
|정 규 영|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예술, 학문, 종교적 상황과 인종적 대립 | 159

들이 신성시 여기는 아피스(Apis) 황소를 죽이기까지 했다. 그러므로 기원전


332년 알렉산더 대왕이 왔을 때 이집트인들이 알렉산더와 그 군사들을 침략자
가 아닌 해방자로서 맞이한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것이다. 동기와 배경은 달
랐으나 마케도니아의 왕과 이집트인들은 적어도 페르시아에 대한 증오감을 공
유하기 있었기 때문이다.
이집트를 정복한 알렉산더 대왕은 시와(Siwa) 오아시스에서 아멘(아몬 혹은
아문) 신의 신탁을 받아 정통성을 확보하고2) 고대 파라오들의 합법적인 계승자
가 될 수 있었다(Peters 1970: 42). 또한 이집트의 잉여 물자를 아르키펠라고
(Archipelago)3)에 보내기 위해 지중해 연안의 작은 어촌이던 라코티스(Rakotis)
를 새 수도로 건설하고 자신의 이름을 따라 알렉산드리아라고 불렀다. 알렉산
드리아는 그 후 약 300년 동안 지속된 그리스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수도이
자 아프리카와 아시아 무역의 중심지로 번창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알렉산더 대왕 사후 부하이던 프톨레마이오스 장군
이 처음에는 총독의 자격으로 이집트를 다스렸으나 기원전 305년에는 스스로
를 이집트의 파라오라 칭하면서 시작되었는데 대체적으로 프톨레마이오스 왕
조 시대에 이집트는 고대 파라오 시대의 영광을 계승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시
기에 이집트는 그리스 적 요소와 고대 이집트 적 요소가 적절히 조화를 이루었
으나 때로는 두 요소 사이에 팽팽한 긴장과 대립이 발생하기도 했다.
본고는 위에서 언급한 시대적 배경을 참고하여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이집트의 학문적, 종교적, 예술적, 인종적 상황을 고찰하려고 한다. 시기적으로
는 프톨레마이오스 소테르(PtolemyⅠSoter; 367—283BC)가 스스로를 이집트의
파라오라고 칭한 305BC부터 30BC 클레오파트라의 죽음과 로마의 이집트 점령

2) 아랍어로 와하트 시와(wahat siwa), 카이로에서 약 580킬로미터 떨어져 있다. 고대 이집트인들은


이곳을 세크트-암(sekht-am), 즉 대추야자의 땅이라고 불렀다. 시와 오아시스에는 아몬 신전이 있
었고 헤로도토스 시대에 이곳에서 신탁을 받는 것이 유행했다. Ahmed Fakhry, The Oasis of Siwa.
Its Customs, History and Monuments, Cairo, Wadi el-Nil Press, 1950을 참고하시오.
3) 아르키펠라고(Archipelago)는 그리스어로 'arkhon(지도자, 대표)'과 ‘pelagos(바다)'의 합성어
로 일반적으로는 군도(섬 집단)를 가리킨다. 고유명사로는 에게 해를 의미한다.
http://en.wikipedia.org/ wiki/Archipelago 참고.
160 | 지중해지역연구||제10권 제3호 [2008. 9]

까지가 될 것이다.

2. 학문적 상황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동안 멤피스를 대신하여 이집트의 새로운 수도가 된


알렉산드리아는 얼마 지나지 않아 지중해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학문의 중심지
로 발전했다. 프톨레마이오스 1세가 팔레룸의 데메트리우스(Demetrius of
Phalerum; ca. 350 - ca. 280BC)의 제안을 받아 건설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과 부
속 연구기관(museum)은 학문 발전에 큰 역할을 했다(Peters 1970: 193). 초대를
받아 이곳에 온 저명한 학자들과 과학자들은 왕의 후원을 받았고, 도서관장은
왕자의 교육을 전담했다(ibid, 194). 왕의 초대를 받은 학자들의 수는 전성기에
는 백 명을 넘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가운데는 신경체계에 관한 과학적
이론을 최초로 세운 헤로필루스(Herophilus; 335~280BC), 과학적인 방법으로 봄
과 가을 사이의 적도(適度)를 최초로 규정한 힙파르쿠스(Hipparchus; ca. 190~
ca.120BC), 지구의 둘레를 정확히 계산한 에라토스테네스(Eratosthenes;
276~194BC), 금세기 초까지 교과서적 역할을 한 기하학 원리(the Elements)의 유
클리드, 오늘날 이집트 시골에서 관개작업에 사용되는 나선 양수기
(Archimedean screw)의 발명가이자 수학자인 아르키메데스(Archimedes;
287~212BC)가 있다.
조금 후대이긴 하지만 알렉산드리아 대학교에 가서 공부하는 것이 의학을
배우고 싶은 사람들에게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충고라고 말한 4세기의 역사학
자 암미아누스 마르셀리누스(Ammianus Marcellinus; 325/330-391)는 알렉산드리
아의 학문적 위상을 충분히 느끼게 해준다. 프톨레마이오스 1세의 뒤를 이은
프톨레마이오스 2세(Ptolemy Ⅱ Philadelpos; 285-246BC)는 이집트의 모든 고대
학문을 그리스어로 번역하도록 지시했는데 특히 마네토(Manetho)라는 이집트
|정 규 영|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예술, 학문, 종교적 상황과 인종적 대립 | 161

신관이 그리스어로 기록한 『이집트 사』는 오늘날까지도 고대 파라오시대 연


구에 커다란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Manguel, A. 2008: 26, 더 자세한 내용은
El-Abbadi 1992 참고).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알렉산드리아의 도서관에 원본 책자를 공급하기 위
해 큰 노력을 기울였다. 그 한 가지 사례로 알렉산드리아에 상륙하는 여행객들
이 소지한 모든 책들을 압수하여 도서관에 공급한 것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
를 위해 프톨레마이오스 3세(Ptolemy Ⅲ Euergetes; 246-222BC)는 책을 압수하는
대신 공식적으로 인정한 사본을 가져가도록 포고령을 발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가의 지원과 후원을 받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얼마 되지 않아 고대 세계
에서 가장 많은 책을 소장한 도서관이 되었다. 48~47BC에 로마 장군 율리우스
카이사르(Julius Caesar; 100–44BC)가 왔을 때 도서관은 무려 70만권의 책을 소
장한 도서관으로 발전해 있었다. 현대의 책이 보통 300쪽 분량이라고 전제할
때 대략 12만 8천 권에 해당하는 규모였다. 도서관의 중요성은 단지 책의 수뿐
만 아니라 이곳에서 일한 전문 큐레이터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사실상 각 분
야의 전문가들이었던 큐레이터들 중에는 과학적 비평과 분석으로 오딧세이와
일리아드를 최초로 간행한 제노도투스(Zenodoutus), 호머(Homer)로부터 핀다루
스(Pindarus)에 이르기까지 모든 서정시를 간행한 아폴로니우스(Appolonius)와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아리스타르쿠스(Aristarchus) 등이 유명했다.
알렉산드리아에는 두 개의 도서관이 있었는데 콤 엘슈까파의 세라피움에 부
설된 작은 도서관과 왕궁 지역에 위치한 큰 도서관이 그것이다.4) 특히 많은 천
문학자, 수학자, 지리학자, 역사학자, 시인과 철학자들은 도서관에 부설된 박물
관(Museum: 일종의 연구소)에 모여들어 실용적 연구를 주도했다. 상술한 두 기
관은 지중해 세계의 학문과 예술 활동을 약 700년이나 주도하다가 이슬람 시대

4)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정확히 어디에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현재의 알렉산드리아 대


학교 부지와 비블리오테카 알렉산드리아(Bibliotheca Alexandria)에 있었다고 추정된다. 오늘날
의 엘실실라 구역과 라믈라 광장 사이에 해당한다. 도서관이 건설된 날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288BC~280BC, 즉 프톨레마이오스 1세와 프톨레마이오스 2세의 재위 기간 사이일 것으로 생각
된다.
162 | 지중해지역연구||제10권 제3호 [2008. 9]

에 비로소 바그다드에 그 역할을 넘기게 된다(Abdel Wahab 1963: 30).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고대 이집트의 언어와 법이 계속 사용되었으나
수도는 멤피스가 아닌 알렉산드리아였고 공용어는 그리스어였다. 이 시기에 새
로운 문자가 보편화된 것은 특기할만하다. 당시 대다수 이집트인들은 상형문자
의 흘림체인 민중문자와 그리스 문자의 2개 문자를 함께 사용하고 있었다. 상
형문자에 관한 지식은 소수의 신관들 사이에 제한되어 있었던 반면 일반 식자
층들은 민중문자만을 배웠다(Robins 1997; 235). 물론 이들의 수는 문맹자들에
비교할 때 얼마 되지 않는 수였다.
그러나 이집트인들은 이 민중문자도 배우기가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
런 분위기 속에서 필경사들은 그리스 문자에 없는 7개 음가는 이집트 상형문자
에서 차용한 후 이집트 상형문자를 그리스 알파벳으로 전사하기 시작했다. 이
새로운 문자는 콥트 문자로 불리고 있는데 출현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아비도스의 쿠시 왕조(Kushite dynasty; 750~656BC)로 소급되는 비문에 콥트 문
자가 있는 것으로 보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전에 존재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민중문자는 필레의 이시스 신전(로마 시대인 452년 경)에 낙서가 발견된
것으로 미루어 콥트 문자 출현 이후 한 동안 이집트인들 사이에서 사용되었음
을 알 수 있다(Emmel, S. 1992: 180-188).
한편 알렉산드리아에 거주하던 유대인 공동체는 그리스어를 사용했다. 유
대인들은 기원전 685년 바빌로니아의 왕, 네부카드네자르에 의해 예루살렘에서
추방된 이래 가장 큰 해외 공동체를 이집트에 수립하고 있었다. 그들은 히브리
어를 몰랐으므로 구약성경을 읽기 위해서 72명의 유대인 번역자들이 프톨레마
이오스 2세의 재위기간 중 알렉산드리아에 모여 그리스어로 구약을 번역하게
되었다. 이들이 번역한 구약성경을 흔히 70인 역(the Septuagint)으로 부르는데
유럽어판 구약성경들은 모두 이것을 원전으로 삼았다(Grayzel 1960: 56-57).
수 세기 동안 유대인들이 이집트에 살면서 이집트인들과 접촉한 사실을 감
안할 때, 이집트 문화의 영향이 구약성서에 존재한다고 해서 놀랄 일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집트어 파네시(pr nhsy; 흑인들)5)에서 파생된 피네하스(Pinehas)와
|정 규 영|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예술, 학문, 종교적 상황과 인종적 대립 | 163

페스-헤르(ps-Hr; 호루스의 일부)에서 유래한 퍄슈르(Pashur)와 같은 이름이나


린넨과 나트룬과 같은 이집트 고유의 이름이 존재하는 것을 통해서도 알 수 있
다. 뿐만 아니라 이집트 특유의 표현과 상상력은 성경과 놀라울 정도의 유사성
을 보여준다(Kamil 1988: 23). 예를 들어, 이집트 제19왕조의 현자 아메네모페
(Amenemope)는 “신의 팔 안에 너희들을 안겨라”라고 말한 반면 모세는 이렇게
축복했다. “영원한 신이 처소이니 영원한 팔 아래이니라.” 또한 잠언 21:2에 기
록된 “여호와는 심장을 저울질하시느니라(여호와는 심령을 감찰하시느니라)”는
구절은 고대 이집트의 오시리스 신화와 비슷하다(Clayton 1994: 178). 성경의 잠
언과 아메네모페의 어록 사이의 유사성은 직접 차용이 있었음을 시사하는 것으
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인간의 심장을 진리의 깃에 올려놓고 저울질 하는 행위
는 지하세계의 오시리스 궁에서만 행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야훼가 진흙으로
빚어 인간을 창조했다는 성경적 묘사는 크눔 신이 나일 강의 진흙으로 물레를
빚어 인간을 창조했다는 고대 이집트의 신화내용과 비슷하다.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에 알렉산드리아에 광범위하게 보급된 『코르푸스 헤
르메티쿰』(Corpus Hermeticum;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의 비서)이라고 불
리는 문학전집은 고대 이집트의 토트 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주지하듯이 그
리스인들은 고대 이집트의 지혜의 신 토트를 헤르메스라고 불렀다.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투스(Trismegistus)』 즉 헤르메스의 비서는 그리스 철학, 고대 이
집트의 지혜, 내밀한 가르침, 우주적 개념과 신비주의를 종합한 책이다(Fowden
1986 참고). 헤르메스의 비서는 그리스와 이집트의 이단적 글들과 마법을 망라
했으므로 나중에 기독교인들이 읽는 것이 금지되고 본문들은 밀봉(hermetically)
되었다. 그렇지만 초기 교부들 가운데 하나인 클레멘트(Clement)는 그 내용에
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그에 따르면 비서에는 42개의 헤르메스의 계시
가 포함되었고 이집트 신관들의 교육을 위해 지리학과 의학적 내용을 포함한
모든 지식을 담아냈다. 현재 전해지는 『헤르메티카』(Hermitica)는 로마 시대

5) 상형문자에서는 자음만이 표기된다.


164 | 지중해지역연구||제10권 제3호 [2008. 9]

에 정확하지 않은 여러 가지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진 것이다. 원본의 저자는


비교적 최근까지도 위대한 스승으로 불렸으며 플라톤은 그의 이름을 토트
(Theuth)라고 옮기고 문학자라고 칭한 바 있다. 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토트 신
을 지혜의 신으로 간주한 전통에 따른 것 같으며 42란 숫자는 이집트 노모스
(nome; 놈)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3. 예술적 상황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그리스인들은 사후에 알렉산드리아의 알렉산더 대


왕 무덤 주변에 묻혔다. 알렉산더 대왕의 시신은 바빌론에서 멤피스에 옮겨와
묻혔다가 다시 알렉산드리아로 이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Fraser 1972:
15-16).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무덤들은 현재 전부 없어진 상태이나 그 무덤
양식은 이집트 양식이라기보다는 헬레니즘 적 양식이었을 것이라는 것이 일반
적인 견해이다(Robins 1997: 232).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왕들은 고대 파라오들의 전통을 따라 오늘날 이집트
에서 가장 잘 보존된 신전들을 건설했다. 이런 신전들은 덴데라(Dendera), 에드
푸(Edfu), 필레(Philae)에서 확인할 수 있다6).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기간에는 새
로운 건물을 부속시키거나 구조변경을 하기도 했으나 구시대의 건물을 해체한
돌을 새 신전 건설에 사용하는 경우도 많았다. 외국계 통치자들에 의해 건설된
신전이긴 하지만 헬레니즘 신학이나 예술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은 점과 파라
오 시대의 전통적 구조를 따르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대체적으로 이 시
기에 건설된 신전들은 파라오 신왕국 시대의 신전들이 후기 시대의 발전 단계

6) 덴데라는 근대 도시 께나의 남쪽 5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마을로 그리스 로마 시대에 건설된


하토르 여신의 신전이 있다. 에드푸는 근대도시 에스나와 아스완 사이에 위치하며 이곳에 237-57
BCE 사이에 건설된 호루스 신의 신전이 있다. 에드푸의 호루스 신전은 이집트의 신전들 중에서
가장 보존이 완벽한 신전으로 유명하다. 아스완의 필레에는 유명한 이시스 여신의 신전이 있다.
현재 남은 대다수의 유적은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인 282-145 BC에 건설되었다.
|정 규 영|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예술, 학문, 종교적 상황과 인종적 대립 | 165

를 거친 후의 모습으로 보아도 크게 무리가 없다(Robins 1997: 235). 프톨레마이


오스 시대에도 신전은 창세 신화의 우주의 모습을 계속 상징했다. 또한 파라오
와 파라오의 대리인으로서 신관들이 신과 소통하는 장소이자 신들의 집으로 간
주되었다(Baines 1976; Finnestad 1985 참고).

4. 종교적 상황

프톨레마이오스 1세는 그리스인과 이집트인들을 통합할 연결 고리로서 새로


운 종교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생각해 낸 것이 세라피스(Serapis)
숭배사상이다. 세라피스는 당시 이집트인들 사이에 널리 숭배되고 있던 오시리
스와 황소 신 아피스를 인위적으로 합성하여 만든 신이었다. 의미적으로는 오
시리스-아피스(Osiris-Apis)에서 오세라피스(Oserapis)로, 오세라피스에서 세라피
스(Serapis)로 발전했다. 새로운 신을 정립하기 위해 프톨레마이오스는 자신의
꿈에서 신으로부터 거대한 동상건설을 계시 받았다고 공포했다. 그 직후 만들
어진 세라피스 신상은 곱슬머리에 긴 턱수염과 자애로운 표정을 한 남자의 모
습 즉 헬레니즘 적 영향을 받은 이집트 신상이었다. 세라피스 신앙은 그리스,
소아시아 전역, 시칠리아, 심지어 로마에서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집트에서도
멤피스의 사카라 묘지에 건설된 세라피움이 곧 유명해졌다(Kamil 1988: 20).
그러나 알렉산드리아와 멤피스를 제외한 다른 지방에서 새로운 신 세라피스
가 숭배되었다는 기록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이로써 추정할 수 있는 사실은
세라피스가 알렉산드리아와 멤피스에서만 숭배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추정
컨대 프톨레마이오스는 멤피스에서 아피스 황소가 숭배되는 것을 목격하고 아
피스 숭배가 이집트 전역에 널리 퍼져 있다고 오해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
집트의 다른 지역에서는 아피스가 아닌 다른 신을 주신으로 숭배했었기 때문에
세라피스 신을 받아들이지 않은 것이 당연하다.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에 특기
166 | 지중해지역연구||제10권 제3호 [2008. 9]

할만한 사실은 이집트의 많은 신들이 그리스 신들과 동일시되었다는 점이다.


테베의 신 아몬-라는 올림포스의 최고신 제우스와 동일시되었고, 아멘의 아내
무트(Mut)는 제우스의 아내이자 하늘의 여왕 헤라 여신으로 간주되었다. 이집
트의 호루스는 그리스의 아폴로와 함께 태양신으로 여겼고 기록을 발명한 것으
로 유명한 지혜의 신 토트는 제우스의 사자 헤르메스와 동일하게 간주되었다.
지하세계의 신 오시리스는 그리스 지하세계의 하데스, 오시리스의 사랑받은 아
내이자 호루스의 어머니인 이시스는 데메테르(Demeter)와 동일시되었다. 이집
트의 신이 그리스 신에 영향을 주었다고 단정하는 것은 학계의 논란거리이다.
하지만 분명한 사실은 적어도 이름만 달랐을 뿐 이집트인들과 이집트화된 그리
스인들은 사실상 같은 신전에서 같은 신을 숭배할 수 있었다(Kamil 1988: 20-21,
더 자세한 내용은 Redford, D. B. 2002 참고). 후대의 로마가 그리스의 신들을
대부분 수용한 사실에 입각할 때 로마의 신들은 이집트의 신들과 크게 다르다
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프톨레마이오스 2세가 아스완 남쪽의 필레 섬에 이시
스 신전을 건설한 후 이시스 숭배는 지중해 세계를 풍미했을 뿐만 아니라 지중
해 세계의 치료 중심지로 명성을 날렸다.
일반적으로 말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이집트를 자신들의 조국으로 간주
했으며 이집트의 합법적인 왕으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새로운 수도, 알렉산드
리아에 거주했지만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왕들은 지방의 신관들에게 적지 않
은 급여를 주거나 그들의 세금을 면제해 줌으로써 고대 이집트의 신전의 유지
와 관리에 관심을 보였다. 건축가들이나 예술가들은 새로운 신전의 건축과 구
시대 건축물의 복원에 열심이었다. 전술한 대로 이 시기에는 전통적인 방식으
로 신전이 건설되었고 고대의 신전 터에 재건하는 일도 흔했다. 왕들의 이름
역시 고대 파라오의 전통대로 상형문자를 이용하여 벽면에 장식되었다. 고대
파라오들이 그랬듯이 그들 역시 자신들에게 주어진 종교적 사명을 소홀히 하지
않고 나일 강 상류에까지 올라가 정기적으로 신전들에 공물을 바쳤다. 프톨레
마이오스 왕조는 파라오가 갖는 권한이자 의무이기도 한 지상에서 신의 대리인
이라는 고대의 전통을 지속했다.
|정 규 영|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예술, 학문, 종교적 상황과 인종적 대립 | 167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말기의 왕들은 무능하고 연약했다. 특히 프톨레마이오


스 6세(Ptolemy Ⅵ Philometer; 180-164BC) 때는 마케도니아의 필립과 시리아의
안티오코스에게 시리아 영토를 상실함에 따라 대외무역은 큰 타격을 입었고 이
로 인해 경제적 문제와 사회적 침체가 뒤따랐고 이집트의 번영은 쇠퇴했다. 이
시기에 세속적 관심사를 버리고 명상과 기도생활에 전념하는 경건한 사람들이
출현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이들은 이집트에서는 사막이나 고대의 무덤에서,
팔레스타인에서는 사해 근처 동굴에서, 페르시아와 인도에서는 동쪽 내륙에서
고행했다. 그리스인들은 이들을 은둔자(anchorites)로 불렀는데 그 어원은 ‘은퇴
하다, 물러나다’의 그리스 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원래 노동을 멀리하는 사람들
을 가리켰던 이 용어는 곧 고립된 지역에서 사는 반 물질주의적 수도사들을 의
미하게 된다.

5. 인종적 상황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헬레니즘 기간 중 알렉산드리아는 동양과 서양의 문


화적 교차점으로 발전했다. 이 당시 알렉산드리아의 거리에서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인종을 목격하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주민의 구성을 살
펴보면 일부 주민들은 알렉산드리아의 건설 초기부터 살았으나 상당수의 주민
들은 소아시아인, 페르시아인, 아랍인, 시리아인, 아비시니아인, 니그로 등이었
다. 인종과 언어의 다양성의 원인 가운데 하나는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외국
인의 이주를 장려하고 유능한 외국인에 의해 왕조의 통치를 공고히 하려고 했
기 때문이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알렉산드리아에 이주의 문을 개방했으며(Abel
Wahab 1963: 32) 델타 지방의 나우크라티스(Naukratis)7), 멤피스의 특정 구역,

7) 알렉산드리아에서 내륙으로 약 72킬로미터 떨어진 나일 강변의 고대 이집트 도시. 고대 이집트


168 | 지중해지역연구||제10권 제3호 [2008. 9]

방대한 주거지로 발전한 파이윰에도 외국인이 정착했다. 기독교 이전에 이미


알렉산드리아는 그리스인 왕족들과 관리들, 수천 명의 그리스와 마케도니아 군
사들, 상인과 사업가들은 물론 다양한 외국인 공동체들로 구성된 다양한 인종
과 계급의 모자이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외국계 주민의 숫자 면에서 유대인들
은 그리스인들 다음으로 많았다. 2세기 경 알렉산드리아의 유대인 수는 약 100
만 명에 달했다(Peters 1970: 296). 유대인들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로부터 시민
권을 누리지 못했으나 유일신 믿음 때문에 그리스 인들과는 다른 자치 조합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스인들과 달리 토착 이집트인들은 구도시인 라코티스 구역에서 살았다.
하지만 그리스인과 이집트인들의 거주지역이 지역적으로 확연히 분리되었다고
해서 일상생활에서까지 그런 것은 아니었다. 예를 들어, 항구를 굽어보는 라코
티스에 살던 이집트 장인들은 제품을 사가는 그리스인 수출업자들과 접촉해야
만 했다. 또한 세라피스 신전에 그리스인들과 이집트인들은 함께 다닐 수 있었
다. 하지만 알렉산드리아가 아닌 상 이집트에서 이집트인들이 이집트어를 모르
는 그리스인들이 함께 신전 의식을 행했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아야 한다
(Baines 1995: 41-44).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에 그리스인들과 토착 이집트인 간에는 엄연한 차별이
존재했다. 공식적으로 이집트 사회의 상류층을 형성한 민족은 그리스인들이었
으며 이들만이 알렉산드리아 시민으로 간주되었고 여러 가지 특권과 혜택을 누
릴 수 있었다. 예를 들면, 다른 인종들은 불가능한 시의회의 위원이 될 수 있었
고, 고위 행정직에 임용될 수 있었으며, 부역이나 일부 세금을 면제받았다. 그
리스인들은 이집트인들이 그리스 도시인 알렉산드리아 시민이 되는 것을 원치
않았다. 알렉산드리아의 그리스인들은 이집트 전통 문화의 우수성을 인정했으
나 이집트 언어와 문자를 배우지 않았으며 대체적으로 이집트인들을 경멸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리스인들이 살았던 도시에서 발견되는 파피루스 문서들은 그

시대에 그리스 식민지였다.


|정 규 영|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예술, 학문, 종교적 상황과 인종적 대립 | 169

리스 인들의 반 이집트인 정서를 보여준다.


그리스인들처럼 토착 이집트인들 사이에서도 그리스 계 이집트인들을 경멸
적으로 보는 시각이 존재했다. 2세기 중반까지 알렉산드리아의 세라피움에 보
관되어 있던 많은 파피루스 문서에는 이런 기록들이 상당수 존재한다. 예를 들
어, 희생양의 머리를 자른 다음 저주를 퍼붓고 그 머리를 나일 강에 던지거나
아니면 그리스인들에게 팔라고 이집트인들에게 가르치는 내용은 그리스인들에
대한 경멸감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증거라 하겠다(Kamil 1988: 25). 이미 페르시
아 시대에 헤로도토스가 언급한 바 있듯이 이집트인들은 파라오 시대의 문화적
자부심이 강했고 자신들의 언어를 알지 못하는 외국계 이주자들은 존경하지 않
는 편이었다.
이집트 신관들과 관리들이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 협력한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반 그리스 정서를 가지고 있던 이집트인들이 자신들이 피정복민인 것처
럼 대우받는 데 분개하여 자주 봉기를 일으킨 것도 사실이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시대에 이집트인들 사이에는 외국인들은 곧 쫓겨날 것이라는 예언들이 널
리 회자되고 있었는데 이 예언들은 물론 상류층 그리스인들을 지목한 것들이었
다. 상 이집트의 대표적 도시인 룩소르는 민족적 분위기가 가장 강력한 주였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차별적 대우 때문에 통치세력에 대한 존경심과 복종심
은 점점 줄어들었고 후기 들어 이집트들의 봉기는 더욱 빈번히 야기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새로운 도시의 건설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중부 이집트의 나일 강 서안에 위치한 프톨레마이스(Ptolemais; 프톨레마이오스
가 자신의 이름을 따 건설한 도시)와 델타 지방에 있던 기존의 그리스풍 도시
나우크라티스(Naucratis)를 제외하면 전통적 의미의 그리스 도시국가는 알렉산
드리아 하나뿐이었다. 대신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용병들(그리스인, 마케도니
아인, 페르시아인, 기타 헬레니즘의 영향을 받은 아시아인들)을 대도시나 그 주
변으로 이주하도록 하여 이집트인들과 함께 거주시켰다. 이 도시들이 ‘폴리
스’(polis)라는 지명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사실은 작은 마을에 불과했고 자치정
부도 없었다. 헤르메스의 도시, 헤르모폴리스(Hermopolis; 현대의 아슈모네인
170 | 지중해지역연구||제10권 제3호 [2008. 9]

마을), 파이윰 남쪽의 헤라클레스의 도시, 히에라클레오폴리스(Hierakleopolis;


현대의 에흐나시아 마을)가 이런 도시에 속한다.
프톨레마이오스의 군인들은 서부사막의 비옥한 저지대 파이윰에 넓은 토지
를 하사받았다. 많은 정착민들이 이집트인들과 결혼했고 제2세대와 제3세대의
자녀들까지 그리스 식 이름과 이집트 식 이름을 가졌다. 역사학자 마네토가 그
랬듯이 이 시기에 토착 이집트인들 역시 그리스 식 이름을 채택하는 일이 흔했
다. 이 때문에 후대의 문헌에 언급된 이집트인들의 이름이 대부분 그리스 식이
므로 토착 이집트인들이 과학과 신학 등의 분야에서 어떤 역할도 하지 않았다
고 보는 오해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집트인들의 불만과 민족적 감정이 극에 달한 프톨레마이오스 4세(Ptolemy
IV Philopator: 221–205BC) 통치 기간에는 중앙정부가 지방의 몇 도시를 통제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런 혼란은 오래 가지 못하고 뒤를 이은 프
톨레마이오스 5세(Ptolemy V Epiphanes: 205-181BC) 때 진압되었으나 왕조 말엽
에는 봉기가 다시 빈번히 발생했다. 역설적이지만 정치적 봉기와 투쟁 결과 왕
조 말엽에는 이집트인들도 그리스인들과 비교적 대등한 지위를 누렸다. 이집트
퇴역군인들도 그리스인들처럼 토지를 하사받았고 그 결과 넓은 땅을 가진 이집
트인 부유 계층이 출현하게 된다. 이들은 외국계 정착민들을 존경하지 않은 열
렬한 민족주의자들이었고 로마 지배 하에서 가장 모진 고통을 당한 사람들이기
도 했다. 콥틱 기독교의 위대한 정신적 지도자들도 이 계층에서 나왔다.

6. 결 론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말기에 클레오파트라 7세는 나이 18세에 이복동생


프톨레마이오스 14세(Ptolemy ⅩⅣ Kaisaros; 41-30BC)와 공동으로 이집트를 통
치했다. 그러나 두 사람 사이에 벌어진 불화의 결과 프톨레마이오스는 누이를
|정 규 영|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예술, 학문, 종교적 상황과 인종적 대립 | 171

이집트 밖으로 몰아냈다. 시리아로 도주한 클레오파트라는 다시 왕위를 되찾을


길을 모색하던 중, 기원전 47년 알렉산드리아에 온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쫓겨
난 여왕의 편을 들어 그녀를 왕위에 복귀시켰다. 그러나 카이사르 암살 후 절
친한 친구였던 마르코스 안토니가 클레오파트라와 다시 사랑에 빠지고 옥타비
아누스는 군대를 진군시켜 악티움 해전에서 안토니를 패배시킨다. 이집트 사상
마지막으로 상하이집트의 주인이란 칭호와 함께 왕권의 상징으로써 독수리와
코브라를 착용했던 클레오파트라가 독사에 스스로 물려 자살하니 프톨레마이
오스 왕조도 멸망한다.
로마의 속주로 전락하기 전 약 3세기 동안 그리스 계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알렉산드리아를 수도로 삼고 왕조 내내 고대의 종교와 관습을 존경하면서 이집
트를 통치했다고 볼 수 있다. 수도 알렉산드리아가 그리스 로마 시대에 지중해
세계의 중심이었다고 단언할 수는 없으나 적어도 지중해 세계의 학문을 주도한
도시 중 하나였던 것은 분명하다. 학문적 발전은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의 왕들
이 적극적으로 학문을 장려하고 해외의 유명한 학자들을 초대하고 환대하는 정
책을 취하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는 토착 이집트인들과 그리스계 이집트인들을 정신적
으로 묶을 연결고리로서 새로운 신 세라피스를 도입했다. 그러나 새로운 신앙
의 도입은 절반의 성공에 그쳤다. 알렉산드리아와 멤피스를 포함한 하이집트에
서는 세라피스가 성공적으로 수용되었으나 상이집트에서는 다른 신 토착 신들
을 숭배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헬레니즘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는 세라피스가
토착민들의 큰 저항없이 뿌리를 내릴 수 있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초기에 특권층인 그리스인들과 하류민인 토착이집트
인들 사이에 심각한 분쟁이 없었으나 후기에 들어서 차별에 항거하는 봉기가
자주 발생했다. 그 결과 토착 이집트인들도 그리스 인들처럼 토지를 하사받음
으로써 대토지를 소유한 이집트인 지주가 출현하게 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멸
망의 직접적 원인은 인종 간 대립이 아니라 오히려 왕조 내부의 부패와 타락,
강력한 제국으로 성장한 로마의 침공을 그 원인으로 보아야 한다.
172 | 지중해지역연구||제10권 제3호 [2008. 9]

프톨레마이오스 왕조가 헬레니즘 적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그렇


다고 이 시기에 이룩한 예술적 발전을 외부적 요소로 돌리는 것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인들은 인종적으로는 비 이집트인이었으나
건축과 예술은 이집트 전통을 본질적으로 벗어나지 않았으며 오히려 바로 직
전인 후기 왕조 시대의 특징을 계승함으로써 문화의 연속성을 보이고 있기 때
문이다.

[주제어: 프톨레마이오스왕조, 신왕국, 클레오파트라, 율리우스 카이사르,


세라피움, 나우크라티스, 오시리스, 토트]

참고문헌

정규영 2005. “고대 이집트 문명과 그리스 문명” 지중해지역연구 제7권 제1호.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45-60
El-Abbadi, M. 1992. Life and Fate of the Ancient Library of Alexandria, 2nd edition,
Paris: UNESCO
Abdel Wahab, L. 1963. "Alexandria Under Ptolemaic Rule". The History and
Civilization of Alexandria Across the Ages. Kalyoub : Al-Ahram
Commercial Press.
Baines, J. 1976. "Temple Symbolism",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News 15,
10-15
1995. "Kingship, Definition of Culture, and Legitimation", in : D.
O'connor and D. Silverman(eds), Ancient Egyptian Kingship, Leiden, 3-47.
Burstein, S. 1994. "Hecataeus, Herodotus and the Birth of Greek Egyptology."
Graeco-Africana: Studies in the History of Greek Relations with Egypt and
|정 규 영|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의 예술, 학문, 종교적 상황과 인종적 대립 | 173

Nubia. New Rochelle : A.D. Caratzas.


1996. "Images of Egypt in Greek Historiography." Ed. A. Lopriero.
Ancient Egyptian Literature. Leiden: Brill.
Diop, C. A. 1974. The African Origin of Civilization. Chicago: Lawrence Hill Books.
Fakhry, A. 1950. The Oasis of Siwa. Its Customs, History and Monuments, Cairo;
Wadi el-Nil Press.
Finnestad, R. G. 1985. Image of the World and Symbols of the Creator: on the
Cosmopological and Iconological Values of the Temple of Edfu,
Wiesbaden.
Fraser, P. M. 1972, Ptolemaic Alexandria, Ⅰ, Oxford.
Freeman, C. 1999. Egypt , Greece, and Rom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Clayton, P. 1994. Chronicle of the Pharaohs, Thames & Hudson Ltd.
Grayzel, Solomon, 1960. A History of Jews. Philadelphia, PA: Jewish Publication
Society.
Emmel, Stephen. 1992. "Languages (Coptic)". In the Anchor Bible Dictionary, edited
by David Noel Freedman. Vol. 4 of 6 vols. New York: Doubleday. 180–
188.
Fowden, Garth, 1986. The Egyptian Hermes :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Late
Pagan Mind. Cambridge/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Kamil, J. 1988. Coptic Egypt History and Guide. AUC: Cairo
Lane, E. W. 1978. The Manners and Customs of the Modern Egyptians. London:
East-West Publications.
MacMullen, R. 1965. "Nationalism in Roman Egypt." Aegyptus 44.
Manguel, Alberto. 2008. The Library at Night.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Osman, A. 1998. Christianity an Ancient Egyptian Religion. Rochester: Bear &
Company.
Peters, F. E. 1970. The Harvest of Hellenism.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74 | 지중해지역연구||제10권 제3호 [2008. 9]

Redford, Donald B. 2002. The Ancient Gods Speak: A Guide to Egyptian Relig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Robins, G. 1997. The Art of Ancient Egypt.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University Press.
Said, E. 1978. Orientalism. New York: Pantheon Books.
Alexandria Governate. 2000. The History and Civilization of Alexandria Across the
Ages. Alexandria.
http://touregypt.net/instructionofamenemope.htm

논문접수일 : 2008년 7월 24일


심사완료일 : 2008년 8월 21일
게재확정일 : 2008년 8월 27일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