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그리스(헬라)어 역사

이영근 (비블리카 아카데미아 원장)

그리스어(또는 헬라어)는 주전 8-9세기경으로 추정되는 호메로스


(Homeros) 시대부터 현대까지 약 3천 년 가까운 역사를 갖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그 이전에는 그리스어가 없었다는 말은 아니다. 돌
이나 그릇 같은 데에 새겨진 명문(銘文, inscription)들을 통해 보다
오래된 그리스어의 흔적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그리스어를
말할 때는 일반적으로 호메로스 시대부터 시작하는 것이 통례이다.
왜냐하면 이 때부터 그리스어가 고전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전해져
오기 때문이다.

한편 “인도-유럽 족속들”(Indo-European tribes)에 속한 그리스인


선조들이 북쪽에서 그리스 반도에 들어오기 시작한 연대는 주전
2000년경으로 추정되지만, 이주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때는 주전
1200년에서 1000년까지이다. 그 이전에 그리스 반도에는 미케네 문
명이 주전 2500년경부터 먼저 자리 잡고 있었는데,1 주전 1150년경

1. 미케네 문명은 그리스 반도 남쪽에 위치한 크레타 섬에서 꽃피웠던


크레타 문명을 이어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크레타 문명은 이 섬을 다스
그리스(헬라)어 역사 103

미케네가 멸망하고 나서부터 그리스인들은 수세기에 걸쳐 이전에


살았던 원주민들을 정복하고 여러 공동체들, 또는 도시 국가들을
세웠다. 후에 그들은 오늘날의 그리스인들처럼 자신들을 {Ellhnej
[헬레네스]라고 칭했는데, 이 말은 {Ellhn[헬렌]의 복수 형태로서,
우리말로 옮기면 “헬라인들”이다.2 그리고 자신들의 나라는 ~Ella,j
[헬라스],3 언어는 ~Ellhnikh. glw/ssa[헬레니께 글롯사]라고 일컬
었다. 이 ~Ellhnikh. glw/ssa의 ~Ellhnikh,는 {Ellhn에서 나온 형용
사이고, glw/ssa는 “혀” 또는 “언어”를 뜻하는 명사니까, ~Ellhnikh.
glw/ssa는 “헬라어”라고 옮길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을 “그리
스人”, 그들의 나라를 “그리스”, 그들의 언어를 “그리스語”라고도
일컫는데, 이 이름과 유래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로마가 발흥하기 훨씬 전인 주전 8-6세기경에 헬라의 여러 부족


들은 이탈리아 반도에까지 진출하여 많은 식민지들을 세웠는데, 그
들 중 로마 인근 지역을 차지한 부족의 이름이 Grai/oi[그라이오이]
였는바,4 로마인들은 헬라인들 전체를 지칭하는 데 이 부족의 이름

렸던 전설적인 왕 미노스의 이름을 따서 미노아 문명이라고도 하며, 그 중


심지는 미노스 궁전이 있었던 크놋소스이다). 미케네 문명의 중심지는 미케
네이고, 그곳을 다스렸던 유명한 왕이 트로이를 함락시킨 “아가멤논”이다.
2. 호메로스 작품에서는 그리스 전체를 나타내는 명칭을 찾아볼 수 없다.
그에게 있어서 {Ellhnej는 나중에 텟살리아(Thessalia)라고 일컬어진 지방
의 남동쪽에 위치한 지역인 {Ellhn의 주민들을 가리키는 명칭이었다. 호
메로스는 그리스인들을 일괄해서 일컬을 때는 VAcaioi,[아카이오이] 또는
VArgei/oi[아르게이오이] 또는 Danaoi,[다나오이]라고 하였다.
3. 그리스 전체를 지칭하는 말로 ~Ella,j[헬라스]를 사용한 예는 주전
700년경에 활동한 그리스 시인 헤시오도스(Hesiodos)에게서 처음으로 발
견된다.
4. Grai/oi는 복수 형태로, 그 단수 형태는 Grai/oj[그라이오스]이다.
104 포룸 비블리쿰

을 사용했다고 한다. 이 명칭을 라틴어로 옮기면 단수는 Graius[그


라이우스]이고 복수는 Graii[그라이이]이다. 따라서 어간은 grai-인
데, 라틴어에서 헬라어의 이중모음 ai는 보통 ae로 표기되므로, 여기
에 형용 접미사(adjectival suffix)인 -cus, -ca, -cum을 붙이면, Graecus
(남성), Graeca(여성), Graecum(중성)이라는 형용사가 파생된다. 그
리고 이 라틴어 단어에서 Greece 또는 Greek라는 영어 단어가 나오
고, 이것이 우리말에 그대로 들어와 “그리스” 또는 “그리스어”라는
말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면 헬라어나 그리
스어나 다 똑같은 말이고 아무런 차이도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
이다. 또한 본명인 “헬라스”를 “그리스”라고 일컫는 것은 서구 사람
들이 우리나라를 한국 또는 대한민국이라 하지 않고, “고려(高麗)”
라는 이름에서 나온 Korea로 부르고, 중국을 중국이라 하지 않고
“진”(秦)이라는 이름에서 나온 China로 부르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사실 서구 중심적인 국제 사회에서는 저들이 붙인 이름이 표준이 되
었고, 우리는 그러한 명칭들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지만, 같은 한자
문화권 안에서는 서로가 중국, 한국이라고 칭하는 것처럼, 헬라인들
의 언어를 배우는 우리 입장에서는 그리스어라는 표현보다는 헬라
어라는 표현이 더 낫지 않을까 생각한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헬라
어라는 용어는 될 수 있으면 쓰지 않고, 그리스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또 그렇게 하기를 권장하는 추세이기는 하나, 이러한
사정을 알고나면, 그리스어를 헬라어라고 해도 전혀 거리낌을 가질
필요가 없을 것이다.5

5. “헬라어”를 “그리스어”라고 하는 것은 “한국어”를 “코리아어”라고


하는 것과 같다. 그런데 왜 굳이 “그리스어”라는 표기를 표준으로 삼는지
필자는 이해하기 어렵다. 더욱이 헬라어는 코이네 그리스어 또는 신약성
경에 사용된 그리스어를 특별히 구분해서 일컫는 명칭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많이 있는데, 독자들은 이러한 오류를 범하지 않기 바란다.
그리스(헬라)어 역사 105

한편, 헬라어의 언어 계보를 따져 보면, 그것은 인구어족(印歐語族,


Indo-European family)에 속하며,6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방언으로 분
화된 것을 우리는 고대 문헌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 1) 여류 시인 삽
포의7 작품에 잘 나타나 있는 아이올리스語(Aeolic); 2) 핀다르와 테
오크리투스의 시에 사용된 도리스語(Doric); 3) 호메로스, 헤시오도
스, 역사가 헤로도토스, 의사 힙포크라테스의 글에서 사용된 이오니
아語(Ionic). 또한 이오니아語의 자매어(sister language)로서 아티카
語(Attic)가 있는데, 이는 주전 500년에서 300년 사이 아티카 지방의
중심지인 아테네의 전성 시기에 활동했던 대문호들과 철학자들, 예
를 들면 소포클레스, 아리스토파네스, 크세노폰, 플라톤 등이 사용

6. 인구어족에 속한 언어들은 다음과 같다: 1) 아나톨리아語(기원전 삼천


년경부터 기원후 초기까지 아나톨리아 지방, 즉 지금의 터키 지방에서 쓰
였던 언어이다. 그런데 오늘날 터키에서 사용하는 언어는 우리말과 같이
알타이어족에 속한다); 2) 아르메니아語; 3) 토카라語(주후 500~1000년경
에 타림 분지의 투르키스탄 북부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3) 인도語(힌디語
를 비롯한 인도의 여러 방언들로서 산스크리트語가 그 모태이다); 4) 누리
스탄語(아프가니스탄 힌두쿠시 산맥 지대와 파키스탄 치트랄 지역에 사는
소수 종족의 언어); 5) 이란語; 6) 알바니아語; 7) 헬라語; 8) 로망스語(라틴
어에서 갈라져 나온 모든 언어들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서, 이탈리아語, 프
랑스語, 스페인語, 포르투칼語, 루마니어語 등이 여기에 속한다); 9) 켈트語
(현재는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및 웨일즈 지방에서 사용되는 언어지만,
로마 시대까지만 해도 서유럽의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었된 세력이 매우
큰 언어였다); 10) 게르만語(영어의 모태인 앵글로-색슨語와 독일, 화란, 덴
마크 및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분포하는 언어가 여기에 속한다. 영어는 앵
글로-색슨어에 프랑스어를 매개로 라틴어가 뒤섞인 언어이다; 11) 발트語
(발트 해 동쪽 해안 지방에서 사용되는 라트비아語와 리투아니아語가 여
기에 속한다); 12) 슬라브語(러시아 지방에서 사용되는 언어).
7. 삽포는 주전 610~580년경 소아시아의 “레스보스”(Lesbos) 섬에서 활
동했는데, 삽포를 중심으로 모인 여성들이 동성 연애를 했다고 전해지므
로, 그러한 성적 성향의 여성을 “레스비언”(lesbian)이라고 일컫게 되었다.
106 포룸 비블리쿰

했던 언어로, 다른 그리스 방언들보다 매우 세련되고 정교하며 아름


다운 특징을 지녔다. 일반적으로 “고전 그리스어”(classic Greek)라
고 하면, 바로 이 언어를 지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더욱이 주전 4세기 말엽에는 알렉산더 대왕이 그리스 반도뿐만 아


니라 팔레스타인을 포함한 소아시아 및 이집트를 무력으로 정복하
고 언어와 문화적으로도 통일된 헬레니즘 제국을 건설한 여파로, 그
제국에서 통용되는 “코이네 방언”(h` koinh. dia,lektoj)이8 등장하
였는데, 이는 아티카語(Attic)를 토대로 형성된 방언으로서 고대가
끝나는 주후 6세기까지 사용되었다. 참고로 이 방언을 사용한 유명
한 작가들로는 폴리비오스, 플루타르코스, 스트라보,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 등이 있고,9 히브리어 성경을 번역한 칠십인경과 신약성경
도 바로 이 방언으로 기록되었다. 어떤 학자들은 코이네 방언을 “헬
레니즘 방언”(~Ellhnistikh. dia,lektoj)으로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
용어는 헬라인 혈통은 아니지만 헬라어를 배워 사용하는 사람(특히
유대인)을 일컬었던 말인 ~Ellhnisth,j[헬레니스테스]에서 파생된
단어이다.

코이네 방언의 근간이 아티카 방언이었던 사실에서 보듯이, 헬레


니즘 세계에서 아티카 방언이 그처럼 우세하게 된 데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있었겠지만, 그 가운데서 제일 먼저 지목해야 할 것은 아티
카 지방의 중심지인 아테네에서 활동한 작가들의 천재성이다. 물론

8. “코이네”(koinh,)는 “일반적인”, “대중적인”을 뜻하는 형용사이다. 따


라서 라틴어 성경을 일컫는 “불가타”(Vulgata)와 뜻이 통한다고 할 수 있
다. 왜냐하면 vulgata도 “일반 대중”, “서민”을 뜻하는 vulgus에서 나온 형
용사로, “평범한”, “속된”, “대중적인”이란 의미를 지니기 때문이다.
9. 헬라인 이름은 “―오스”(-os) 또는 “―우스”(-us)로 끝나는 경우가 많
은데, 전자는 헬라어식 표기이고, 후자는 라틴어식 표기이다.
그리스(헬라)어 역사 107

아테네의 정치적 ․ 상업적 중요성이 끼친 영향도 간과해서는 안되겠


지만, 그보다는 작가들을 통한 문화적인 영향이 훨씬 컸다고 말할 수
있다. 사실상 아테네는 주전 5세기 말경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10 스
파르타에게 패하여 쇠망하기 시작했고, 그 후 약 반 세기가 지난 주
전 4세기 중엽에는 마케도니아의 필립 왕의 지배를 받았다. 하지만
마케도니아는 아테네보다 미개했기 때문에, 무력으로는 아테네를
정복했을지 몰라도 문화적으로는 정복당했다고 말할 수 있다. 더욱
이 마케도니아가 아테네 문명을 얼마만큼 받아들이고 또 그 영향을
어떻게 받았는지는 필립 왕이 아테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를
자신의 아들 알렉산더의 가정교사로 삼았던 사실만으로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알렉산더가 왕위를 물려받은 후 단기간에
정복한 광활한 지역에는 그의 헬레니즘화 정책에 따라 아티카식 헬
라어가 널리 퍼져나가게 되었고, 그로부터 나온 코이네 방언이 헬레
니즘 세계의 공용어 (lingua franca)로 자리잡게 되었다.

그 후 주전 마지막 두 세기 동안에는 로마인들이 세력을 확장하


여 헬레니즘 문화권인 지중해 동쪽 지역을 정복했지만, 그들은 헬
라어 사용을 억제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그 정복자들도 이전의 마
케도니아인들처럼 문화적으로는 정복당한 입장에 처해 있었다. 따
라서 로마 제국의 언어는 라틴어라기보다는 오히려 헬라어라고 해
야 할 정도였고, 로마에서도조차 헬라어를 사용하는 인구가 많았으
므로 로마 교회에 보내는 바울의 편지가 라틴어가 아닌 헬라어로 씌
어진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었다.

10. 펠로폰네소스 전쟁은 주전 431년부터 403년까지 약 30년 동안 아테


네를 중심으로 한 동맹국들과 스파르타를 중심으로 한 동맹국들이 싸운 전
쟁이다.
108 포룸 비블리쿰

이와 관련하여 여담으로 한 가지 덧붙이자면, “그리스도의 수난”


(Passion of Christ)이라는 영화에서 유대 총독인 빌라도가 라틴어로
말하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그 때는 유대 지방도 헬레니즘의 영
향권 아래 있었으므로 헬라어 대사를 사용했다면 그 당시 상황에 더
잘 맞았을 것이다. 더욱이 유대인이었던 예수님의 제자들도 복음서
나 서신을 쓸 때 히브리어나 아람어가 아닌 헬라어를 사용한 것을 보
면 그 당시 유대인들의 언어 생활의 형편을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헬레니즘 세계를 계승한 로마 제국이 수세기에 걸쳐 세력을 확장


해 나감에 따라 라틴어가 점차 코이네 방언을 대체하게 되었고, 헬
라어는 그리스 반도와 소아시아 지역으로 그 세력 범위가 좁혀지게
되는데, 주후 6세기 중엽부터 동로마 제국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플
이 멸망한 1453년까지 사용된 헬라어를 “중세 그리스어”(Medieval
Greek), 또는 “비잔틴 그리스어”(Byzantine Geek)라고 분류한다.11

한편 주후 11세기부터는 문학적 그리스어와 일상생활에서 사용


하는 구어적(口語的) 그리스어가 분화하기 시작하는데, 문학적 그리
스어는 고전 형태로 되돌아가려는 경향을 보였으므로, 일상생활에
서 사용하는 구어적 그리스어와의 차이는 점점 더 벌어지게 되었다.
따라서 오늘날 그리스인들은 매우 다른 두 가지 형태의 그리스어,
즉 공식적 언어인 kaqareu,ousa[카타레우사]와 일상 생활에서 사용
하는 언어인 dhmotikh,[데모티케]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한 나라
에서 두 가지 언어를 사용한다는 것은 상당한 불편을 초래할 수밖에
없으므로, 그리스 정부는 1976년에 dhmotikh,를 국어로 확정하여 오
늘날에 이르고 있다.

11. 비잔틴 그리스어는 오늘날에도 그리스 정교회의 예배의식에서 사용


되고 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