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5

‘뜻’ 을 나타내는 ‘意’와 ‘義’의 사용범위 비교분석

The Comparative Analysis against the Use Scope of the "意" and the "義" which Mean the "Meaning"

저자 朴胤朝
(Authors) Park Yun-jo

출처 중국어문학논집 ,(48), 2008.2, 233-246(14 pages)


(Source)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48), 2008.2, 233-246(14 pages)

중국어문학연구회
발행처
The Society For Research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Publisher)

URL http://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0955077

APA Style 朴胤朝 (2008). ‘뜻’ 을 나타내는 ‘意’와 ‘義’의 사용범위 비교분석. 중국어문학논집(48), 233-246

이용정보 경북대학교
155.230.47.***
(Accessed) 2021/10/14 14:00 (KST)

저작권 안내
DBpia에서 제공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누리미디어는 각 저작물의 내용을 보증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DBpia에서 제공되는 저작물은 DBpia와 구독계약을 체결한 기관소속 이용자 혹은 해당 저작물의 개별 구매자가 비영리적으로만 이용할 수 있습니
다. 그러므로 이에 위반하여 DBpia에서 제공되는 저작물을 복제, 전송 등의 방법으로 무단 이용하는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민, 형사상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Copyright Information
Copyright of all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belongs to the copyright holder(s)and Nurimedia does not guarantee contents of the
literary work or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same. In addition, the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may only be used by the users
affiliated to the institutions which executed a subscription agreement with DBpia or the individual purchasers of the literary work(s)for non-
commercial purposes. Therefore, any person who illegally uses the literary works provided by DBpia by means of reproduction or
transmission shall assume civil and crimin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applicable laws and regulations.
‘뜻’을 나타내는 ‘意’와 ‘義’의 사용범위 비교분석

朴 胤 朝*1)

〈目 次〉

1. 들어가는 말
2. ‘意’와 ‘義’가 나타내는 ‘뜻’의 의미영역 구분
3. ‘意’와 ‘義’의 음절위치
4. ‘意’와 ‘義’를 포함한 이음절어의 어휘구조 경향
5. 맺는말
參考文獻
中文摘要

1. 들어가는 말

우리는 흔히 ‘意’자를 ‘뜻의’라고 새기며, ‘義’자를 일러 ‘옳을의’라고 새긴다. 새김대로라면,


‘意’자는 ‘뜻’이라는 의미로, ‘義’자는 ‘옳다’는 의미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는 말이다. 그러나
한자 어휘와 좀 더 친숙한 사람이라면, ‘意’자뿐만 아니라 ‘義’자 역시도 ‘뜻’이라는 의미로

* 全州大學校 人文大學 言語文化學部 中國言語文化專攻 助敎授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234 中國語文學論集 (第 48 號)

사용된다는 것을 발견하였을 것이다. ‘定義’와 ‘廣義’가 이와 같은 것들이라 볼 수 있다. 그렇


다면, ‘뜻’이란 의미를 표시함에 있어서 ‘意’와 ‘義’는 서로 자유롭게 互用할 수 있는 것인가?
그렇지 않다면 ‘뜻’이라는 의미로 사용될 때 ‘意’와 ‘義’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
을 던지지 않을 수가 없다. 연구에 들어가기에 앞서 살펴본 본 바로는, 일반적인 사전적 의미
와 용례의 나열 이외에 ‘意’와 ‘義’의 차별된 사용에 관련한 비교적 정확하고 근거 있는 설명
이 보이질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의 출발점은 사전적 의미와 용례의 나열로만 설명하기 힘
든, ‘뜻’을 나타내는 ‘意’와 ‘義’의 차별된 사용범위의 구분에 있어 좀 더 구체적이고 정확한
해답을 얻고자 하는데서 비롯되었다.
우선 본고에서 진행하는 ‘意’와 ‘義’의 사용범위를 비교분석 하는데 있어서, 그 범위를 현대
중국어에 한정하는 바이다. 또한 범위를 한정하는데 있어서, 현대중국어에서 ‘意’와 ‘義’는 일
음절어로 사용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意’와 ‘義’의 의미영역을 분별하
기 위해서는 이음절어의 형태소1)로 존재하고 있는 ‘意’와 ‘義’의 의미를 파악하고, 그 사용상
의 차이를 분별해 내야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현대중국어에 존재하는 이음절어 중의
‘意’와 ‘義’의 사용범위의 차이점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현대중국어에서 ‘意’와 ‘義’가 형태소로 존재하고 있는 어휘를 수집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現代漢語詞典》(2007)중에서 ‘意’자의 항목과 ‘義’자의 항목을 검토하여 앞 음절에
‘意’ 또는 ‘義’가 들어가는 이음절어를 수집하였고,2) 다시 《現代漢語詞典》의 어휘를 바탕
으로 끝 음절에 맞추어 배열한 《倒序現代漢語詞典》(2002)을 검토하여 뒤 음절에 ‘意’ 또는
‘義’가 들어가는 이음절어를 수집하였다.3) 따라서 《現代漢語詞典》중에 실린 어휘 중 ‘意’

1) 中國語學 용어로는 ‘語素’이며, 중국어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음절, 즉 하나의 한자가 최소의 의미
를 나타내는 단위인 형태소가 된다.
2) 意表, 意会, 意见, 意匠, 意境, 意料, 意念, 意氣, 意趣, 意识, 意思, 意图, 意外, 意味, 意想, 意向,
意象, 意兴, 意义, 意译, 意願, 意韵, 意蕴, 意旨, 意志; 義倉, 義齒, 義地, 義憤, 義工, 義擧, 義捐,
義軍, 義理, 義賣, 義拍, 義旗, 義氣, 義赛, 義師, 義士, 义务, 義項, 義學, 義演, 義勇, 義戰, 義診,
義肢, 義冢
3) 本意, 笔意, 鄙意, 不意, 诚意, 春意, 措意, 达意, 大意, 得意, 敌意, 恶意, 公意, 故意, 好意, 合意,
厚意, 会意¹, 会意², 加意, 假意, 介意, 经意, 敬意, 酒意, 决意, 可意, 刻意, 快意, 来意, 乐意, 立意,
留意, 满意, 美意, 民意, 命意, 起意, 谦意, 惬意, 情意, 任意, 如意, 锐意, 善意, 深意, 生意, 盛意,
矢意, 诗意, 实意, 示意, 適意, 授意, 肆意, 随意, 遂意, 特意, 天意, 同意, 無意, 写意, 谢意, 心意,
蓄意, 雅意, 用意, 有意, 雨意, 寓意, 原意, 願意, 在意, 执意, 旨意, 致意, 中意, 主意, 属意, 注意,
着意, 恣意, 醉意; 褒义, 本义, 贬义, 大义, 道义, 定义, 廣义, 含义, 讲义, 教义, 结义, 就义, 名义,
歧义, 起义, 情义, 仁义, 释义, 首义, 侠义, 狭义, 信义, 演义, 要义, 疑义, 意义, 音义, 正义¹, 正义²,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뜻’을 나타내는 ‘意’와 ‘義’의 사용범위 비교분석(朴胤朝) 235

와 ‘義’를 포함한 이음절어는 모두 대상이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뜻’을 나타내는 ‘意’와


‘義’의 사용범위의 차이에 대한 비교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우선 이렇게 수집된 어휘들을 바탕으로 ‘意’와 ‘義’의 각 의미항목별 사용빈도를 조사해 보
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意’뿐만 아니라 ‘옳을의’로 새겨지는 ‘義’의 ‘뜻’을 나타내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의미항목별 분류 및 비교를 통하여,
‘意’와 ‘義’의 ‘뜻’을 나타내는 의미영역에 어떠한 차이나 제한이 있는지 고찰해 볼 수 있을
것이다.
‘意’와 ‘義’의 의미영역의 차이에 대한 분석이 진행된 후에는, 이음절 내에서의 각 형태소가
차지하는 음절위치에 제한이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려고 한다. 수집된 이음절어에서 ‘뜻’
을 나타내는 ‘意’와 ‘義’라는 형태소가 놓이는 음절위치를 분류하고 그 비율을 비교함으로써,
음절위치의 경향 및 그 차이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意’와 ‘義’가 ‘뜻’이라는 의미를 나타낼 때, 이를 포함하는 이음절어의 어휘구
조를 분류 분석함으로써, 어휘구조의 경향 및 그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본 연구는 ‘意’와 ‘義’가 ‘뜻’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데 있어서, 의미영역, 음절위치, 어
휘구조에 나타나는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사용범위를 구분함으로써, 사용자가 좀 더 확실한
기준을 갖고 ‘意’와 ‘義’를 구별하여 사용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하겠다.

2. ‘意’와 ‘義’가 나타내는 ‘뜻’의 의미영역 구분

먼저 ‘意’와 ‘義’가 나타내는 ‘뜻’이라는 의미에 어떤 차이가 존재하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


다. 이에 앞서, 우리는 ‘意’와 ‘義’의 사전적 의미를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
《現代漢語詞典》에 따르면, 현대중국어에서 ‘意’는 다음과 같은 의미항목을 지니고 있음
을 볼 수 있다.

主义, 转义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236 中國語文學論集 (第 48 號)

① 뜻(意思)
② 염원; 희망(心願; 願望)
③ 예상(하다); 예측(하다)(意料; 料想)
④ 성(姓)

사전상의 의미를 살펴보았듯이, ‘뜻’이라는 의미는 ‘意’의 주된 의미항목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義’의 사전적 의미는 어떠한지 살펴보기로 한다.《現代漢語詞典》에서
‘義’는 다음과 같이 條目이 구분되어 있는데, 이는 의미의 구분이 비교적 크고 확실하여 釋義
를 따로 분리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4)

義¹
① 공정하고 적합한 도리; 정의(公正合宜的道理; 正義)
② 정의나 공의에 부합하는(合乎正义或公益的)
③ 정(情誼)
④ 부양이나 의식을 통해 친족이 되는 것(因抚养或拜认而成为亲属的)
⑤ 인공으로 제조한[인체의 일부분](人工制造的[人體的部分])
⑥ 성(姓)

義²
뜻; 이치(意义; 道理)

사전적 의미를 살펴본 바, ‘義’의 의미에도 역시 ‘뜻’이라는 의미항목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우리는 《現代漢語詞典》이 ‘意’는 ‘意思’로, ‘義’는 ‘意義’로 의미를 구별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그렇다면 중국어의 ‘意思’와 ‘意義’는 어떠한 의미상의 차이를 지니는
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現代漢語詞典》에 나타난 ‘意思’와 ‘意義’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4) 《現代漢語詞典》의 凡例에서 ‘자형이 같고 음이 같지만 의미상 구분하여 처리해야 하는 경우


역시 조목을 분별하여 세우고, 字의 오른쪽 위에 아라비아 숫자를 표기한다(形同音同而在意义上
需要分别处理的,也分立条目,在字的有肩上标注阿拉伯数字)’라고 설명하고 있다.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뜻’을 나타내는 ‘意’와 ‘義’의 사용범위 비교분석(朴胤朝) 237

意思
① 언어문자등의 의미; 사상내용(语言文字等的意义; 思想内容)
② 의견, 희망(意见; 願望)
③ 선물이 대신하는 마음을 뜻함(指禮品所代表的心意)
④ 성의를 표시함을 뜻함(指表示一點心意)
⑤ 어떤 형세나 조짐(某種趋势或苗头)
⑥ 정취; 흥미(情趣; 趣味)

意義
① 언어문자 혹은 기타 기호가 표시하는 내용(语言文字或其他信號所表示的内容)
② 가치; 작용(價值; 作用)

살펴본 바와 같이, ‘意思’의 의미가 ‘意義’보다는 좀 더 포괄적으로 보이기는 하나, ‘意思’와


‘意義’라는 석의만으로 ‘意’와 ‘義’의 의미영역을 뚜렷이 구분하기는 어렵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본장에서는 사전적 의미로써 확연히 드러나지 않는 ‘意’와 ‘義’의 의미영역의 차이
를, 실제 두 형태소가 포함된 이음절어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좀 더 확실하게 구분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 우선 수집된 이음절어에 사용된 ‘意’와 ‘義’의 의미항목을 분류하고 ‘뜻’의
의미항목에 분류된 ‘意’와 ‘義’의 이음절어를 비교하여 그 의미영역의 차이를 구분해 보도록
한다. 또한 의미항목별 분류와 더불어 ‘意’와 ‘義’의 의미항목별 사용빈도를 분석할 수 있다.
이는 현대 중국어에서 ‘意’와 ‘義’가 지니는 의미 중, 각각 어느 항목으로써 사용되는 비중이
큰지를 분별해 낼 수도 있으며, 무엇보다도 ‘뜻’이라는 의미항목이 ‘意’와 ‘義’의 사용에 있어
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작업이기도 하다.
먼저《現代漢語詞典》과 《倒序現代漢語詞典》에서 수집한 ‘意’를 포함한 108개의 이음
절어의 의미를 살펴보고, ‘意’가 나타내는 의미항목별로 분류해 보았다.5)

5)《現代漢語詞典》에는 ‘기운, 기’라는 의미항목이 나타나지 않으나, 의미상 그 구분이 확실하며,


《中漢辭典》(1993)에서도 이 의미항목을 세운 예가 있어, 이 의미에 해당하는 항목을 따로 분류
하였다. 또한 ‘会意¹’과 ‘會意²’는 ‘회의자(六書의 造字法)’와 ‘생각을 모으다’는 서로 다른 의미를
나타내고 있으나, 모두 ‘意’가 ‘뜻’이라는 해당 의미를 지니고 있다.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238 中國語文學論集 (第 48 號)

<표-1>6)

의미항목 뜻 소원, 희망 예상(하다) 기운, 기

意会 意见 意匠 意境 意料 意念 意氣
意趣 意识 意思 意图 意味 意向 意象
意兴 意义 意译 意願 意韵 意蕴 意旨
意志 本意 笔意 大意 鄙意 诚意 措意 可意
达意 得意 敌意 恶意 公意 故意 好意 乐意 春意
意表
合意 厚意 会意¹ 会意² 加意 假意 介意 满意 酒意
意外
해당어휘 经意 敬意 决意 刻意 快意 来意 立意 惬意 生意
意想
留意 美意 民意 命意 起意 歉意 情意 適意 雨意
不意
任意 如意 锐意 善意 深意 盛意 失意 中意 醉意
诗意 实意 示意 授意 肆意 随意 遂意 属意
特意 天意 同意 無意 写意 谢意 心意
蓄意 雅意 用意 有意 寓意 原意 願意
在意 执意 旨意 致意 主意 注意 着意
恣意

개수(비율)
92(85.19%) 7(6.48%) 4(3.70%) 5(4.63%)
108(100%)

<표-1>에서 보는바와 같이, ‘意’의 의미항목별 비중을 정리해보면, ‘뜻’을 나타내는 의미


항목이 전체의 85.19%를 차지함으로써 단연 그 비중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소
원; 희망’의 의미항목이 각각 6.48%를 차지하며, ‘기운; 기미’의 의미항목이 4.63%, ‘예상(하
다)’의 의미항목이 3.7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意’의 주된 의미항목은 ‘뜻’이
라는 것은 의심할 바가 없는 사실이다.
다음으로는 ‘義’로 조합된 56개의 이음절어의 의미를 살펴보고, 의미항목별 사용빈도를 살
펴보도록 한다.7)

6) 본문 중 나타나는 수치 중, 소수점 세 째 자리 이상의 수는 반올림하였다. 또한 이 경우 ‘약 ○%’


라고 표시해야 하지만, 서술상의 편의를 위해 ‘약’자를 생략한다.
7) ‘正义¹’과 ‘正義²’는 ‘정의’와 ‘정확한 의미’라는 서로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으나, ‘義’자가 각각
‘공정하고 적합한 이치, 정의’, ‘뜻’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이음절어를 이루고 있으므로, 두 의미항
목의 분류에 따로 포함시킨다.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뜻’을 나타내는 ‘意’와 ‘義’의 사용범위 비교분석(朴胤朝) 239

<표-2>
공정하고 정의나 부양이나
인공적으로
의미항목 적합한 공익에 정 의식을 통해 뜻
제조한
도리; 정의 부합하는 친족이 되는것

义理 义项
义愤 义氣 义仓 义地 褒义 本义
义士 义勇 义工 义举 贬义 大义
义战 道义 义捐 义军 定义 廣义
教义 就义 义卖 义拍 义齿 含义 讲义
해당어휘 仁义 侠义 义旗 义赛 情义 结义 义肢 名义 歧义
信义 正义¹ 义师 义务 义冢 释义 狭义
义学 义演 要义 演义
义诊 起义 疑义 意义
首义 音义 正义²
主义 转义

개수(비율)
12(21.43%) 17(30.36%) 1(1.79%) 1(1.79%) 3(5.36%) 22(39.29%)
56(100%)

<표-2>에서 보이는 각 의미항목별 비율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우리가 ‘옳을의’라고 새기


고 있는 ‘義’가 ‘공정하고 적합한 도리; 정의’ 또는 ‘정의나 공의에 부합하는’이라는 의미항목
보다, ‘뜻’이라는 의미항목으로 사용되는 비중이 큼을 발견할 수 있었다. 수집한 56개의 ‘義’
로 구성된 이음절어 중 22개의 이음절어에서 ‘義’는 ‘뜻’이라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어, 전체의
39.29%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 다음으로 ‘정의나 공의에 부합하는’이라는 의미항
목이 30.36%를 차지하고 있고, ‘공정하고 적합한 도리; 정의’라는 항목이 21.43%를 차지하며,
‘인공으로 제조한’이라는 항목이 5.36%, ‘정’과 ‘부양이나 의식을 통해 친족이 된’이라는 항목
이 각각 1.79%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옳다’의 의미와 관련된 ‘공정하고 적합한 도리; 정의’와 ‘정의나 공의에 부합하는’의
의미항목이 전체의 60.72% 차지하여 ‘義’를 새길 때 ‘옳을의’로 새기는 것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意’와 구별된 ‘義’ 역시도 ‘뜻’이라는 의미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사용
비중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240 中國語文學論集 (第 48 號)

그렇다면 이음절어에 사용된 ‘意’와 ‘義’의 의미영역의 차이를 비교해 보도록 하자. 본고에
서는 《現代漢語詞典》, 《倒序現代漢語詞典》에서 수집된 이음절어를 살펴본 결과, ‘意’와
‘義’가 ‘뜻’을 나타낼 때, 그 ‘뜻’의 범주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음에 주의하게 되었
다. 즉, ‘뜻’이라는 의미는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문자적 ‘의미’의 범주와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생각, 마음’의 범주로 나눌 수 있는데, ‘意譯’에 사용된 ‘意’는 전자에 해당하고, ‘意見’에 사용
된 ‘意’는 후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우선 ‘意’와 ‘義’의 ‘뜻’의 범주를
이 두 가지로 나누어 분류해 보았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3>

의미범주
생각, 마음 (문자적)의미
형태소 意 意 義
意会 意见 意匠 意境 意料 意念 意氣
意趣 意识 意思 意图 意向 意象 意兴
意願 意韵 意旨 意志 本意 笔意 鄙意
诚意 措意 达意 得意 敌意 恶意 公意
义理 义项 褒义 本义
故意 好意 合意 厚意 会意² 加意 假意
意味 意义 贬义 大义 定义 廣义
介意 经意 敬意 决意 刻意 快意 来意
意译 意蕴 含义 讲义 名义 歧义
해당어휘 立意 留意 美意 民意 命意 起意 歉意
大意 会意¹ 释义 狭义 要义 演义
情意 任意 如意 锐意 善意 盛意 失意
深意 疑义 意义 音义 正义
诗意 实意 示意 授意 肆意 随意 遂意
主义 转义
特意 天意 同意 無意 写意 谢意 心意
蓄意 雅意 用意 有意 寓意 原意 願意
在意 执意 旨意 致意 主意 注意 着意
恣意
85(92.39%) 7(7.61%)
개수(비율) 56(100%)
92(85.19%)

<표-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뜻’의 의미를 두 가지 범주로 나누어 ‘意’가 구성하는 이음절


어를 살펴보면, ‘뜻’을 나타내는 ‘意’를 포함한 92개의 이음절어 중 92.39%의 어휘에 사용된
‘意’가 ‘생각, 마음’이라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으며, 문자적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는 7.61%에
불과하였다. 이는 ‘뜻’이라는 의미를 나타낼 때, ‘意’는 문자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도 보
이나, 대체로 주관적인 ‘생각, 마음’의 의미영역을 담당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그
런 반면, ‘뜻’을 나타내는 ‘義’로 조합된 이음절어를 살펴보면, ‘義’가 나타내는 바가 모두 문자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뜻’을 나타내는 ‘意’와 ‘義’의 사용범위 비교분석(朴胤朝) 241

적 ‘의미’의 범주에 속함을 알 수 있다.


즉, ‘意’와 ‘義’가 나타내는 ‘뜻’의 의미영역을 주관적인 ‘생각, 마음’과 문자적 ‘의미’의 영역
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意’가 나타내는 ‘뜻’은 ‘생각, 마음’을 나타내는 경향이 매우 짙고,
‘義’가 나타내는 ‘뜻’은 문자적 ‘의미’에만 제한된다고 볼 수 있다.

3. ‘意’와 ‘義’의 음절위치

2장에서는 의미상 존재하는 ‘意’와 ‘義’의 사용범위의 차이를 구분하여 보았다. 본장에서는
‘意’와 ‘義’의 음절위치상에서 존재할 수 있는 사용범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다음에서는 ‘뜻’을 나타내는 ‘意’와 ‘義’가 이음절어 중에 놓이는 음절위치를 분류하여 비교해
보기로 한다.

<표-4>

형태소 意 義
의미항목 생각, 마음 의미 의미
음절위치 앞 음절 뒤 음절 앞 음절 뒤 음절 앞 음절 뒤 음절
意会 意见 本意 笔意 鄙意 褒义 本义
意匠 意境 诚意 措意 达意 贬义 大义
意料 意念 得意 敌意 恶意 定义 廣义
意氣 意趣 公意 故意 好意 含义 讲义
意味 大意 义理
意识 意思 合意 厚意 会意² 名义 歧义
意义 会意¹ 义项
意图 意向 加意 假意 介意 释义 狭义
意译 深意
意象 意兴 经意 敬意 决意 要义 演义
意蕴
해당어휘 意願 意韵 刻意 快意 来意 疑义 意义
意旨 意志 立意 留意 美意 音义 正义
民意 命意 起意 主义 转义
歉意 情意 任意
如意 锐意 善意
盛意 失意 诗意
实意 示意 授意
肆意 随意 遂意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242 中國語文學論集 (第 48 號)

特意 天意 同意
無意 写意 谢意
心意 蓄意 雅意
用意 有意 寓意
原意 願意 在意
执意 旨意 致意
主意 注意 着意
恣意
18(21.18%) 67(78.82%) 4(57.14%) 3(42.86%) 2(9.09%) 20(90.91%)
개수(비율)
85(100%) 7(100%) 22(100%)

<표-4>에서 ‘意’와 ‘義’가 해당 의미를 나타낼 때, 이음절 중 앞 음절에 오는 경우와 뒤


음절에 오는 경우를 나누어 그 비율을 비교해 보았다. ‘意’가 주관적인 ‘생각, 마음’을 나타낼
때는 앞 음절에 위치하는 경우가 21.18%이고, 뒤 음절에 위치하는 경우가 78.82%로, 뒤 음절
에 위치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그에 반해, ‘意’가 문자적 ‘의미’를 나타낼 때는 앞 음절에
위치하는 경우가 57.14%이고, 뒤 음절에 위치하는 경우가 42.86%로 뚜렷한 음절위치의 경
향을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문자적 ‘의미’를 표시하는 ‘義’가 앞 음절에 위치하는 경우는 9.09%이며, 뒤 음절에
위치하는 경우는 90.91%로, 뒤 음절에 위치하는 경향이 매우 두드러짐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문자적 ‘의미’를 나타내는 ‘意’의 음절위치와 비교하여, 같은 의미를 표시할 때 ‘義’의
음절위치가 훨씬 제약적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4. ‘意’와 ‘義’를 포함한 이음절어의 어휘구조 경향

본장에서는 ‘뜻’의 의미를 나타내는 ‘意’와 ‘義’가 이루는 이음절어에 나타날 수 있는 어휘


구조의 경향을 파악하고 비교해 보고자 한다.
다음의 <표-5>에서는 ‘意’와 ‘義’가 위치하는 음절별로 나누어 각 어휘구조식이 차지하는
비중을 비교하였다. 따라서 ‘뜻’을 나타내는 ‘意’와 ‘義’의 음절위치 경향과 함께, 그 음절위치
에서의 어휘구조 경향을 함께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뜻’을 나타내는 ‘意’와 ‘義’의 사용범위 비교분석(朴胤朝) 243

<표-5>

의미 어휘구조식
형태소 음절위치
항목 편정식 병렬식 지배식 진술식
意匠 意境 意见 意念
意料
意图 意向 意氣 意趣
앞 음절 意会
意象 意兴 意思 意韵
意识
意願 意旨 意志
18(100%) 7(38.89%) 8(44.44%) 0(0%) 3(16.67%)
措意 达意
本意 笔意
得意 合意
鄙意 诚意
会意² 加意
敌意 恶意
介意 经意
公意 故意
决意 刻意
好意 厚意
立意 留意
생각, 假意 敬意
命意 起意
마음 快意 来意
任意 失意
美意 民意
뒤 음절 心意 旨意 示意 授意
歉意 情意
肆意 随意
如意 锐意
遂意 同意
善意 盛意
意 無意 写意
诗意 实意
蓄意 用意
特意 天意
有意 願意
谢意 雅意
在意 执意
寓意 原意
致意 注意
主意
着意 恣意
67(100%) 31(46.27%) 2(2.99%) 34(50.75%) 0(0%)
85(100%) 38(44.71%) 10(11.76%) 34(40%) 3(3.53%)
意味
앞 음절 意译 意义
意蕴
뜻,
4(100%) 3(75%) 1(15%) 0(0%) 0(0%)
의미
大意
뒤 음절 会意¹
深意
3(100%) 2(66.67%) 0(0%) 1(33.33%) 0(0%)
7(100%) 5(71.43%) 1(14.29%) 1(14.29%) 0(0%)
앞 음절 义项 义理
뜻,
義 2(100%) 1(50%) 1(50%) 0(0%) 0(0%)
의미
뒤 음절 褒义 本义 意义 讲义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244 中國語文學論集 (第 48 號)

贬义 大义
定义 廣义
含义 名义
释义
歧义 狭义 音义
演义
要义 疑义
正义 主义
转义
20(100%) 15(75%) 2(10%) 3(15%) 0(0%)

22(100%) 16(72.73%) 3(13.64%) 3(13.64%) 0(0%)

위의 <표-5>에서 음절위치별로 ‘意’와 ‘義’의 이음절어 어휘구조식을 분류 분석한 결과,


‘생각, 마음’을 나타내는 ‘意’가 앞 음절에 오는 경우에는 편정식, 병렬식, 진술식의 구조식이
나타나며, 뒤 음절에 오는 경우에는 편정식, 병렬식, 그리고 지배식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앞 음절에 위치할 때에는 병렬식이 44.44%, 편정식이 38.89%로 그 비중에 큰 차이가
나지 않으며, 뒤 음절에 위치할 때는 지배식이 50.75%, 편정식이 46.27%로 그 비중이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또한 우리는 ‘意’로 조합된 이음절어에서는 ‘義’로 조합된 이음절어
에 비해 지배식 구조의 비중이 확연히 크고, ‘義’가 이루는 이음절어에는 없는 진술식이 나타
남을 볼 수 있다.
‘의미’를 나타내는 ‘意’가 이루는 이음절어의 수는 비교적 제한적이어서, 구조식의 경향을
다루기에 용례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앞 음절에 위치할 때는 편정식이 75%, 병렬
식이 15%를 차지하며, 뒤 음절에 위치할 때는 편정식이 66.67%, 지배식이 33,33%를 차지한
다. 따라서 ‘의미’를 나타내는 ‘意’는 음절위치에서는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어휘구
조상에 있어서는 편정식의 경향이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의미’를 나타내는 ‘義’를 포함한 이음절어에서는, ‘義’가 앞 음절에 오는 두 어휘
의 경우 각각 편정식과 병렬식의 구조를 띠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반면 ‘義’가 뒤 음절에
오는 경우에는 75%가 편정식으로 그 비중이 매우 크고, 지배식이 15%, 병렬식이 10%를 각
각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의미’를 나타내는 ‘義’는 이음절어에서 뒤 음절에 놓이는 경향이
매우 강하며, 더불어 이 경우에 편정식의 구조를 띠는 경향이 짙다고 할 수 있다.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뜻’을 나타내는 ‘意’와 ‘義’의 사용범위 비교분석(朴胤朝) 245

5. 맺는말

본고에서는 이와 같이 ‘意’와 ‘義’의 사용범위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뜻’이라는 의미를


나타낼 때, ‘意’와 ‘義’의 사용을 구분하는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뜻’의 의미를
나타낼 때의 ‘意’와 ‘義’의 의미영역의 차이, 음절위치 경향, 어휘구조상의 특징을 고찰한 결
과, 그 구분되는 사용범위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뜻’의 범주를 상대적으로 객관적인 문자적 ‘의미’와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생각, 마
음’의 의미영역으로 나누어 보면, ‘意’는 두 영역의 의미를 모두 표시할 수 있으나, 주로 주관
적인 ‘생각, 마음’의 의미를 담당하는 경향이 짙고, ‘義’의 경우에는 문자적인 ‘의미’를 나타내
는데 제한되는 경향을 보인다.
둘째, ‘意’와 ‘義’가 ‘뜻’의 의미를 나타낼 때, 위치하는 음절을 비교분석한 결과, ‘意’가 주
관적인 ‘생각, 마음’을 나타낼 때는 뒤 음절에 위치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그런 반면, ‘意’가
문자적 ‘의미’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그 뚜렷한 경향이 나타나지는 않는다. 그러나 문자적 ‘의
미’를 표시하는데 제한되는 ‘義’의 경우 뒤 음절에 위치하는 경향이 매우 두드러짐을 볼 수
있다. 문자적 ‘의미’를 나타내는 ‘意’와 ‘義’의 음절위치를 비교하면, ‘義’가 훨씬 제약적이라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뜻’을 나타내는 ‘意’와 ‘義’가 포함된 이음절 어휘의 구조식을 분류 분석한 결과, ‘생
각, 마음’을 나타내는 ‘意’가 앞 음절에 위치할 때는 주로 병렬식과 편정식의 비중이 비슷하
게 나타나며, 뒤 음절에 위치할 때는 주로 지배식과 편정식의 비중이 비슷하게 나타나는 것
을 볼 수 있다. ‘의미’를 나타내는 ‘意’의 경우 음절위치의 경향은 뚜렷하지 않지만, 어휘구조
에 있어서는 편정식 구조의 경향이 짙다. 그런 반면, ‘의미’를 나타내는 ‘義’는 이음절을 이룰
때에 뒤 음절에 놓이는 경향이 뚜렷하고, 또한 뒤 음절에 놓이는 경우 편정식의 구조를 띠는
경향이 짙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의미영역에 있어서 ‘意’가 주관적인 ‘생각, 마음’과 문자적 ‘의미’ 영
역을 모두 나타낼 수 있는 것에 비해, ‘義’는 그 의미가 문자적 ‘의미’에 국한되었다. 또한 문
자적 ‘의미’를 나타내는 ‘意’와 비교할 때, ‘義’의 뒤 음절에 위치하는 경향은 절대적으로 높으
며, 또한 이 경우에 편정식의 어휘구조를 띠는 경향도 짙다. 따라서 ‘意’와 ‘義’는 모두 ‘뜻’이
라는 의미를 지니지만, 그 사용범위에 있어서 ‘義’가 훨씬 제약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246 中國語文學論集 (第 48 號)

〈參考文獻〉

中國社會科學院語言硏究所(2007), 《現代漢語詞典》, 商務印書館


中國社會科學院語言硏究所(2002), 《倒序現代漢語詞典》, 商務印書館
漢語大詞典編輯委員會(2006), 《漢語大詞典》, 漢語大詞典出版社
[漢]許愼 撰/[淸]段玉裁 注(1988), 《說文解字注》, 上海古籍出版社
高大民族文化硏究所中國語大辭典編輯室(1993), 《中韓辭典》, 高大民族文化硏究所
民衆書林編輯局(1998), 《漢韓大字典》, 民衆書林
符淮靑(2004), 《現代漢語詞彙》, 北京大學出版社
朱彦(2004), 《漢語複合詞語義構詞法硏究》, 北京大學出版社
劉月華外 著/尹和重外 譯(2000), 《現代中國語文法》, 大韓敎科書株式會社

〈中文摘要〉

“意”和“义”都包含“意思”这一义项,但是,众所周知,在使用“意义”这一词彙的时候,“意”
和“义”之间是不能随意互换的。那么,用什么样的标準来界定“意”和“义”的使用呢?在这個问题
上,目前还没有確切的解释和严格的规範。因此,本文把同时带有“意思”这一意项的“意”和“义”
两者在使用範围上的区别列为研究对象,通过对“意”和“义”分别组成的雙音节词彙进行分类分析
的方法来探求两者在意义範圍、雙音节词彙中的位置、词彙结構倾向等三個方面的差别。

主題語(Key words) : 意,义, 意义範围, 音节位置, 词彙结構

경북대학교 | IP:155.230.47.*** | Accessed 2021/10/14 14:00(KST)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