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7

장자(莊子) 속 성심(成心)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홍상수의 영화 제작 방식 속 즉흥성
: <옥희의 영화>를 중심으로

고태영

국문초록
I. 들어가며

이 글은 오늘날 첨단 이미지 사회를 구축한 기술이미지(


II. 장자(莊子)의 성심(成心)

『장자』 내편 중 제물론(齊物論)에 등장하는 성심(成心)이라는 단어는 장자 전편에


걸쳐 단 한 차례 언급된다. 그럼에도 성심은 장자의 글 속에서 다른 논의들과 적잖이
연결되어 해석됨으로써, 장자 철학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우화의 형식을 취하는 장자의 글에서 성심을 어떻게 해석하는 지에 따라, 그것과
연결되는 다른 논의들의 해석 방향 또한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성심의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어, 단어 혹은 성심이 언급되는 문장 자체에 집중하는 것뿐만 아니라
성심과 연관되어 해석될 수 있는 다른 논의들과 연결하여 해석되어야 할 필요가
대두된다.
성심에 대한 해석은 주석가에 따라 차이를 보여왔다. 이때 해석은 크게 두 가지
양상으로 나뉘어지는데, 하나는 성심을 사람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참된 마음
혹은 자연스러운 마음으로 해석하는 입장이며, 다른 하나는 성심을 굳어진 마음으로
보면서 그것으로 시비를 따지는 기준과 선악과 같이 이분법적인 가치 평가를
발생하게 하는 근거로 여기는 입장이다.1 여기서 전자의 입장을 취하면, 성심을
하늘의 이치에 따라 인간이라면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본연한 마음으로 보기
때문에, 하늘의 역할은 없는 것이 된다. 그렇게 되면 제물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언급되는 ‘참된 주재자(眞宰)’ 혹은 ‘참된 군주(眞君)’와 같은 세계의 궁극적 근원자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면 궁극적인 진리와 가치의 근원에
위치하는 도(道)의 존재론적 근거마저 잃게 된다.2 반면 후자의 입장을 취한다면,
개인의 감정적 경험과 모순되는 생각들에 의해 구성되어 굳어진 성심을 따르는
방식이 아닌, 세계에 대한 대안적인 인식 방법으로서 참된 스승의 필요가 대두된다.
이러한 인식 방법은 제물론에서 밝음으로써 대상을 있는 그대로 바라본다는 의미를
가지는 ‘이명(以明)’과 연결되어 해석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는 세계의 사태와 대상의 다양성과 무궁함에 반응하는 방식인 ‘도추(道樞)’와
연결되어, 삶을 살아가는 태도로 이어진다. 이러한 방식들의 가치를 파악하고자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다 보면 ‘도(道)’를 마주하게 되는데, 이는 참된 주재자 혹은
참된 군주와 연결되어 도의 존재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이와 같이 성심을 부정적으로
바라보았을 때, 제물론 내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개념들과 유기적으로 해석되며, 이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모순을 최소화한다. 또한 성심에 고착된 상태를 자각하는
1
정민영 (2017), 「장자(莊子) 성심(成心)과 성심고착(成心固着) 연구(硏究), 『한국사상과 문화』, 86 권,
pp. 487-488.
2
동양미학특강 참고
것으로부터 세계에 대한 인식만이 아니라 삶의 태도와 행동 양식의 변화가 시작되기
때문에, 성심의 의미를 올바르게 파악하는 것은 장자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하다.
좁게는 제물론 내에서, 넓게는 장자 내편의 범위 내에서 성심은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성심은 장자 내편 중 인간세(人間世)의 ‘심재(心齋) 그리고 대종사(大宗師)의 ‘
좌망(坐忘)’과 연결하여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와 같은 해석을 취하면,
성심과 같은 불완전한 인식에 대한 한계를 바탕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내면의‘수양’
에 관심이 집중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양을 통해 장자에 드러나는
이상적 경지로 향하는 방법에 해당하는 수양론에 대해 논하기 보다는,

본 연구에서는 성심이 유일하게 언급되는 제물론 내 해석에 집중하고자

1. 「제물론(齊物論)」 속 성심(成心)의 의미
2. 대안으로서 이명(以明)과 도추(道樞)
3. 참된 스승으로서 도(道)
III. 홍상수의 영화 제작 방식 속 즉흥성 : <옥희의 영화>

1. <옥희의 영화>의 제작 및 연출
(1) 배우를 중심으로
(2) 촬영 현장을 중심으로
(3) 이야기를 중심으로
(4) 편집을 중심으로

2. 제작 방식 속 즉흥성과 결정의 기준
IV. 성심(成心)과 즉흥성, 도(道)와 결정의 기준
V. 결론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