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

[십자군 II]

제7강 십자군 시대 서유럽인들의 이슬람세계에 대한 인식과 태도

1. 현대판 십자군? (서구와 이슬람의 갈등의 뿌리)

(1) 십자군은 서유럽 기독교 세계가 종교 권력의 승인과 권장 아래 추진한 군사행동


→프랑스와 신성로마제국 등 로마가톨릭이 지배하는 서유럽에서 모집된 군대가 이슬람 세력
을 상대로 싸운 전쟁

(2) 주로 12~13세기에 서유럽이 팔레스타인 지역 이슬람 세력을 상대로 한 전쟁을 지칭


→십자군 전쟁 무대: 중동지역(팔레스타인, 시리아, 이집트 북부)

(3) 그러나 십자군이 꼭 12~13세기 팔레스타인에만 해당되지는 않음


① 11세기 이후 유럽 내의 이베리아 반도, 시칠리아 등에서 이슬람과 벌인 전쟁
② 15세기 오스만 튀르크에 대한 서유럽의 공동전선
③ 이교도나 이단 등 로마 가톨릭 외의 세력을 상대로 한 전쟁도 십자군으로 부름
→사례: 발트해 연안 슬라브족 이교도인 벤드족(1147), 프랑스 남부 카타리파(1209-1228,
알비파, 영지주의, 이원론), 교황의 정적들에 대한 무력행동

(4) 오늘날에는 십자군이란 말이 종교를 넘어 이념 전쟁을 지칭하는 보통명사처럼 쓰임


① 냉전시대 미국은 ‘자유의 십자군’이라는 구호 하에 공산주의에 맞서는 운동을 펼침
② 2001년 9•11 사태 직후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테러와의 전쟁’을 ‘십자군’으로 지

③ 아랍인들은 ‘십자군’이라는 표현에 강한 반감과 피해의식을 느낌

2. 십자군 시대 서유럽의 이슬람에 대한 인식과 비전

(1) 십자군 이전 ‘무지의 시대’


→ 서유럽 기독교 세계에 이슬람은 정의하기 어려운 낯선 존재였음

(2) 십자군 시대를 거치면서 서유럽은 이슬람을 보다 익숙하게 여기게 된 계기


→12세기 르네상스를 거치면서 서유럽 기독교 세계는 이슬람 학문의 진가를 발견
ex) 아비센나 이븐시나(980-1198, 사라센 페르시아 제국 철학자, 중세 그리스 + 아라비아 철
학을 집대성)의 이름이 교부 아우구스티누스와 나란히 언급되고, 아베로에스(=이븐 루쉬드,
1126-1198)의 영향을 받아 그의 이름을 붙인 학파가 등장할 정도로, 그리하여 단테가 살라딘
과 더불어 아비센나와 아베로에스를 선량한 이교도의 림보에서 마주칠 정도로 기독교 세계는
이슬람 문화를 괄목상대하게 됨

- 1 -
(3) 그러나 십자군 이전과 이후를 ‘모름’과 ‘앎’으로 구분하는 것은 지나친 단순화
→왜냐하면 십자군시대 이전부터 접촉이 있었다. 비잔티움 제국과 동방기독교 사회, 이베리아
를 통해서도 그러한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고 또 실제로 이들로부터 적지 않게 영향을
받았다.

(4) 십자군 시대에 유행한 이슬람에 대한 서유럽의 관점은 크게 세 가지(=이슬람 담론)

① 오해와 편견, 왜곡된 인식


• 이슬람에 대한 무지 혹은 고의로 인해 나타남
• 현지에서 이슬람을 접해 알게 되었음에도 자신들의 생각에 맞게 이슬람을 바라봄
• 기존의 편견, 오해뿐만 아니라 전쟁을 치르면서 고조되는 분노, 피해의식의 영향
• 이슬람을 다신교, 우상숭배, 성적 문란, 패륜의 주체로 부각시킴
• 정확한 지식보다는 대중의 정서에 영합하여 이슬람을 부정적으로 묘사

② 이성적 접근
• 이슬람에 대한 자신들의 무지를 깨닫고 그들을 정확하게 알고 개종을 지향
-아랍어 전문가들로 하여금 코란을 라틴어로 번역시킴
-클뤼니 수도원장 ‘존자 피에르(Pierre le Vénérable)’→“무지가 아니라 말로, 폭력이 아
니라 이성으로, 증오심이 아니라, 사랑하는 마음에서” 무슬림을 공격하며 “구원에 초대”
하고자 했다.
• 그러나 정확한 이해가 관용, 평화로 이어지지는 않았음
• 오히려 이슬람을 비판, 공격하는데 사용
• 학자들은 기독교와 이슬람 사이에서 여러 공통점 발견
• 두 종교 간의 공통점은 오히려 무슬림들을 개종시킬 수 있으리라는 낙관을 불러일으킴
• 실제 무슬림의 개종은 매우 어려웠음

③ 계시론과 종말론
• 다가온 종말 앞에 이슬람을 적그리스도로 보는 시각
• 이슬람 자체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그들의 역할을 종말의 징조로 해석

3. 십자군에 대한 상이한 시각과 태도

(1) 11~13세기 당대 유럽인들의 평가


→ 긍정적으로 평가
① 예루살렘은 기독교 성지, 성지 탈환은 기독교 세계의 가장 중요한 과제였음
② 성지 순례는 개인의 신앙심을 고취시키는 인생의 목표였음
③ 그러므로 십자군은 개인의 신앙을 위한 ‘무장 순례’인 동시에 서유럽 기독교 세계의 목표
를 달성할 수단
④ 더불어 출세, 신분상승, 물질적 이득 등 개개인의 야망을 실현할 기회이기도 했음

- 2 -
⑤ 십자군에 참여한 모든 이들이 같은 생각과 태도를 지닌 것은 아니었다.
‣영국왕 사자심왕 리처드 1세(3차 십자군): 무슬림 포로들 2,700명을 처형시켜 호전성을 드
러냄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2세(6차 십자군): 싸움보다 조약으로 성과를 냄
‣클레르보의 수도원장 성 베르나르: 십자군 시대를 통틀어 성전 이데올로기를 가장 선명하
게 표명하고 주장하며 하나님의 심부름꾼 전사로서의 사명감을 고취시킴 →1120년에 전사
와 수도사 신분을 아우르는 최초의 수도기사단인 템플기사단(Knights Temple) 창설
‣성 프란체스코(5차 십자군): 칼보다 말씀으로 복음 전파하는데 주력 → 십자군을 통해 구원
을 성취하고, 종교적 대의를 이루려고 함

(2) 18세기 계몽주의


① 계몽사상가들은 십자군 비난: 종교적 대의라는 허울에 가려진 참혹한 사건이라고 평가
- 볼테르는 십자군을 맹신, 욕망, 선동 비판
- 에드워드 기번은 십자군의 정당성을 부정하고 십자군의 탐욕, 불관용, 편협함을 비판

(3) 19세기 낭만주의


① 십자군을 긍정적으로 평가
② 민족의 특수성과 자부심의 뿌리를 찾으며 십자군에 주목(십자군의 용맹함과 낭만을 긍정
적으로 묘사)
③ 진보주의와 결합하여 십자군을 ‘문명화 사명’을 이해하는 예시로 꼽음
-샤토브리앙은 십자군을 야만과 무지, 압제에 대한 투쟁으로 평가
-미쇼는 십자군이 이슬람 세계에 문명과 자유를 가져다주었다고 평가
-스코틀랜드의 윌리엄 로버트슨은 십자군의 결과로 상업과 이탈리아 도시가 발전하여 문화
예술의 진보를 가져왔다고 평가

(4) 오늘날의 평가와 인식


① 십자군에 대한 복합적인 인식이 이루어지고 있음
② 현대인들은 십자군의 폭력성과 비이성을 경계하면서도 종교적 대의를 내걸고 두 세계가
충돌한 사건에 주목
③ 종교를 넘어서 이념적으로 다른 세력 간의 갈등이나 충돌을 표현하는데 사용되기도 함
④ 한편 십자군에 대한 인식은 크게 종교적 요인을 중시하는 쪽과 경제적 요인을 중시하는
쪽으로 나뉜다. 전자는 십자군을 종교적 열정에 의거한 전쟁으로 모는 한편, 후자는 종교를
구실로 내세운 지중해 세력 간의 패권 다툼으로 해석한다.
⑤ 오늘날 십자군에 대한 모든 이슬람 세계의 기억은 이슬람 지하드를 정당화 → 오늘날 지
정학/석유 관련하여 서구와의 분쟁을 십자군의 연장에서 종교와 문명의 근원적 충돌로 보는
시각이 존재

4. 십자군원정의 역사적 의의

① 유럽 기독교 세계와 이슬람 세계 사이에 관계의 다변화를 보여주는 역사적 사건


② 유럽의 기독교 정체성을 갖게 한 사건 ♣

- 3 -
- 4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