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40

서양사의 이해: 실용

로마의 공화정과 실용문화

최성철
(홍익대 교양과)
학습 목표

1. 고대 로마 역사의 전체 흐름을 파악한 뒤, 정치· 경


제· 사회의 기본 체제를 익히고, 문화와 예술의 중요
한 내용들을 학습한다

2. 고대 로마의 역사 중에서 정치체제와 실용문화가


현재 대한민국 그리고 나에게 갖는 의미와 가치가 무
엇인지 숙고하고 성찰한다
목차

1. 로마의 약사(略史)
2.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3. 로마 제국과 정치적 혼란
4. 로마 문화의 실상과 허상
5. 그리스도교의 성장과 그 이면
6. 결론
7. 토론주제
로마의 약사

로마의 약사(略史)

① 로마 건국 (BC 753)
② 왕정 몰락, 공화정 수립 (BC 509)
③ 포에니 전쟁 (BC 264~BC 146)
④ 그라쿠스 형제 개혁 (BC 133~BC 121)
⑤ 카이사르의 독재 (BC 46~BC 44)
⑥ 제정 수립 (BC 27)
⑦ 아우구스투스 사망 (AD 14)
⑧ ‘오현제’ 시대 (96-180)
로마의 약사

로마의 약사(略史)

⑨ 군인황제들에 의한 내란 (235-284)
⑩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제국 4분할 통치 (284-305)
⑪ 콘스탄티누스 대제 (306-337)
⑫ 기독교 공인 (313)
⑬ 콘스탄티노플 천도 (330)
⑭ 서고트족에 의한 로마 점령과 약탈 (410)
⑮ 서로마의 마지막 황제(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의
폐위 (476)
로마의 약사

개관

◈ 티베르강 기슭의 조그마한 도시국가에서 출발한 로마는


5세기 동안 3대륙에 걸친 전 지중해 세계를 정복하며 대
제국을 건설했고, 고대문화 종합, 라틴적 요소를 첨가하
며 유럽 고전문화를 완성

◈ Leopold von Ranke: “모든 고대사는 로마의 역사로


흘러 들어가고, 모든 근대사는 로마로부터 흘러나왔다.”
로마의 약사

개관

로마 로마 동로마
공화정 제정 제국

500년 500년 1000년


(BC 509) (BC 27) (476) (1453)
로마의 약사

로마의 기원

◈ 이탈리아 반도에 인도유럽어족은 BC 1700~BC 1500경 출현


◈ 이후 Latin족, Sabini족, Umbri족, Samnium족, 그리스인,
Etruria인 등 여러 민족이 이동
◈ 로마의 건국시조는 트로이 함락 때, 이탈리아로 건너온 트로
이 왕자 아에네아스(Aeneas)인데, 그의 후손인 Romulus와
Remus에 의해 BC 753년에 로마시가 건설됨
◈ 그 후 7대에 걸쳐 에트루리아인들의 왕이 로마를 통치
◈ BC 509년 로마의 원주민들이 에트루리아 왕을 추방하고 공
화정 수립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공화정의 구조
원로원 정무관 민회

• 정무관을 지 • 집정관: 2인, • 정무관 선출,


낸 사람들로 행정군사대권 법률제정, 재
구성(약 300 장악, 임기 1 판, 전쟁, 외
명) 년, 비상시 독 교 등 주요 국
• 임기 종신 재관( 최장 6 사를 투표로
• 공화정 최고 개월) 결정
의 권력기관 • 기타: 법무관, • 쿠리아회/ 병
감찰관, 조영 사회(켄투리
관, 재무관, 아회)/ 평민회
호민관, 신관 / 부족회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공화정의 구조

◈ ‘로마 공화정’ 국호: Res Publica Romana


◈ ‘공화정’의 의미: res [thing] + publica [public] => ‘공공의
것’, ‘공동의 부’, ‘공동선[공공선]’ 등을 뜻함
◈ ‘ 로 마 공 화 정 ’ 의 표 어 : S∙P∙Q∙R (Senatus Populusque
Romanus, 로마의 원로원과 인민)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공화정의 구조

◈ ‘원로원’(senatus): 순수한 자문기구, 고위 정문관 역임자들


로 구성, 집단적 권위, 재정 통제권, 정무관이 민회에 상정하
는 모든 법안 충고, 정무관 자문에 대해 ‘원로원 결의’를 내림
◈ ‘정무관’(magistrates):
(1) 집 정 관 (consul)/ (2) 독 재 관 (dictator)/ (3) 법 무 관
(praetor)/ (4) 조영관(aedile)/ (5) 재무관(quaestor)/ (6) 감
찰관(censor)/ (7) 호민관(tribunus)
◈ ‘민회’(comitia): (1) ‘쿠리아회’/ (2) ‘켄투리아회’(병사회)/
(3) ‘부족 인민회’(부족회)/ (4) ‘부족 평민회’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사회구조와 신분투쟁

귀족 평민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사회구조와 신분투쟁

◈ 신분투쟁: ‘귀족-평민-노예’의 엄격한 신분제 사회였던 로마


공화정 초기, 자유인이었던 평민이 벌인 법적인 평등과 정치
권력에의 참여를 위한 노력과정
◈ 내용: BC 5세기에 평민회 탄생, 호민관 설치, 12표법(BC
451), 귀족과의 통혼 허용(BC 445), 중방보병밀집대(Phalanx)
전술, 병사회 조직, 집정관 중 한 사람 평민(BC 376), 모든 관
직 평민에 개방(BC 300), 평민회의 결정이 법으로 인정(BC
287)
◈ 신분투쟁의 결과와 의의: 귀족과 평민 동등한 권리 획득, 로
마 팽창의 거대한 힘으로 작용(절충과 타협)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이탈리아 반도 통일과 지중해 세계 정복

이탈리아 포에니 헬레니즘


반도 통일 전쟁 세계 정복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이탈리아 반도 통일과 지중해 세계 정복

◈ 라틴 동맹(BC 493) → 에트루리아 주요도시 Veii 점령(BC


396) → 에피루스와 피루스 격퇴(BC 272) → 이탈리아 반도
통일
◈ 포에니(Poeni) 전쟁: 로마와 카르타고 사이의 지중해 패권 다
툼(1차: 264-241/ 2차: 218-202/ 3차: 149-146)
◈ 헬레니즘 세계의 정복: 마케도니아 전쟁(BC 215~BC 168) →
그리스의 아카이아 동맹 진압(코린트 파괴, BC 146) → 소아
시아 정복(BC 133) → 로마에 헬레니즘 문화 유입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공화정의 위기와 몰락

•사회변화
위기 •그라쿠스 형제 개혁

•군벌 등장
내란 •내전

•카이사르 독재
몰락 •공화정 몰락 → 제정 등장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공화정의 위기

◈ 사회 변화: 로마의 대제국으로 팽창 → 노빌레스 계층과 에퀴


테스 계층이 정복사업 열매 독점 → 대토지 소유 및 대농장 경
영 → 자영농민층 몰락 → 사회 기강 해이 → 개혁 필요
◈ 그라쿠스 형제 개혁: 주된 목표 → 자유 농민층 부활, 사회 불
안 일소, 로마 군사력 강화/ 개혁 방향 → 토지개혁/ 결과 →
실패
◈ 그라쿠스 형제 개혁의 의미: 로마 공화정 위기의 표현/ 개혁
실패 이후 로마의 지배층은 벌족파와 민중파로 분열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공화정의 내란

◈ Marius(BC 157~BC 86): 북아프카 누미디아와 소아시아의 폰투스


반란 진압/ 게르만족 침입 분쇄/ 모든 동맹시에 로마시민권 부여
◈ Sulla(BC 138~BC 78): 마리우스의 참모/ 술라 중심의 벌족파와 마
리우스 중심의 민중파로 내전 돌입/ 술라의 승리와 반대파 숙청/ 공
화정의 전통 깨고 종신 독재관에 취임(BC 82) 후 독재 단행
◈ Pompeius(BC 106~BC 48): 술라의 부하장군/ 이베리아 반도의
마리우스파 제거/ 스파르타쿠스 잔당 토벌/ 크라수스와 함께 집정
관에 취임하며 로마공화정 복귀(BC 70)/ 소아시아 정벌
◈ Caesar(BC 100~BC 44): 크라수스, 폼페이우스와 삼두정치 구축/
갈리아의 총독/ 로마의 모든 정적 제거 후 단독 종신 독재관에 취임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공화정의 내란 - 제1차 삼두정치(BC 60)

카이사르
(갈리아)
폼페이우스 크라수스
(에스파냐) (소아시아)

로마
로마 공화정과 정복전쟁

공화정의 내란 - 제2차 삼두정치(BC 43)

레피두스

옥타비아누
안토니우스

(동방)
(서방)

로마
로마제국과 정치적 혼란

제정의 성립과 로마의 평화

◈ 새로운 정체: 원수정(元首政: Principate/ 황제정치)


◈ 옥타비아누스의 여러 별칭: ‘프린켑스’(Princeps: 제1시민)/
‘ 아 우 구 스 투 스 ’(Augustus: 존 엄 한 자 )/ ‘ 임 페 라 토 르 ’
(Imperator: 개선장군)
◈ 아우구스투스: 초대 황제/ 집정관과 호민관 독점해 실질적인
황제로 군림/ 군대와 재정 통제 관리권
◈ 로마 제정기 시대구분: (1) 프린켑스 시대(BC 27~AD 284)/
(2) 도미네(Dominatus) 시대(284-476)
◈ Pax Romana(로마의 평화): 아우구스투스 사후 200년간 지
속됨/ 5현제 시대
로마제국과 정치적 혼란

제정 시기 로마의 사회와 경제

◈ 사회구조: 원로원 계층 - 에퀴테스 계층 - 평민 - 노예


◈ 경제체제: 로마 번영기의 경제발전은 분명 정복사업의 결과/
정복 사업이 끊기자, 생산기술, 산업구조 등의 개량, 발전 등으
로 자체 성장을 이루어야 했으나 그러지 못했음/ 여전히 농업
과 목축 위주의 산업/ 라티푼디움(Latifundium)도 노예공급
이 줄자 소작제로 변함/ 광업, 공업 발전 미미/ 그러나 상업/무
역은 그 어느 때보다도 활발히 이루어짐
로마제국과 정치적 혼란

제정의 붕괴와 로마의 몰락

◈ 군인황제 시대: 1세기에 걸친 5현제 시대에 이어 이후 1세기


는 살육과 혼란과 무질서의 시대
◈ 제국의 재편
(1) Diocletianus(284-305): 두 명의 황제와 두 명의 부제를 둔
‘4제통치제(tetrarchy)’ 도입/ 행정구역 개편/ 증세/ 고정직업
제, 직업세습제/ 콜로누스(colonus)제도/ 물가와 임금을 동결
시도 → 실패
(2) Constantinus(306-337): 단일 황제로 등극/ 기독교 공인
(313, 밀라노 칙령)/ 니케아 공의회(325)/ 동방군주제 강화/
로마에서 콘스탄티노플로 천도(330)
로마제국과 정치적 혼란

서로마 제국 멸망

◈ 게르만족의 대이동 시작(375)


◈ 게르만족을 방어하던 Valence 황제 전사(378)
◈ Theodosius 황제 기독교를 로마의 국교로 제정(380)
◈ 서고트족의 로마 약탈(410)
◈ 반달족의 로마 약탈(455)
◈ 명목상의 마지막 황제 Romulus Augustulus 폐위(476)
로마제국과 정치적 혼란

서로마 제국 멸망의 원인

◈ 다양한 원인 제시: 기독교의 유포(E. Gibbon)/ 토지 생산력


고갈/ 납중독설/ 기후변화에 따른 한발의 지속/ 저질의 이민
족과의 혼혈로 인한 로마 인종의 타락 등
◈ 진정한 원인: 정치, 경제, 사회, 종교적 원인의 복합 작용/ 황
제권은 원래 로마의 전통에 없던 이질적 제도/ 군대 국민병의
사병화로 군인의 충성심 약화/ 대농장제도는 소작제로 전환/
페스트 등의 질병과 내란의 지속/ 정복사업과 노예공급 중단
으로 노동생산성 악화/ 인구 감소, 자영농 몰락, 기간 산업에
서의 기술 혁신, 발전 증가 미약/ 직업과 신분의 고정화, 세습
화로 일상생활의 경직화 초래/ 모든 계층의 애국심 저하/ 몰락
로마 문화의 실상과 허상

로마 문화의 특징

그리스적
요소
라틴적
실용성
요소

고전
문화
로마 문화의 실상과 허상

로마 문화의 특징

◈ 로마인들은 현실적, 실제적인 사람들


◈ 법, 제도, 행정력, 조직력 등에서 탁월
◈ 군사문화 → 정복, 제국
◈ 그리스 문화 수용 → 로마의 헬레니즘화
◈ 그리스적 요소 + 라틴적 요소 = 고전문화 완성
◈ 후기: 기독교 문화 수용
로마 문화의 실상과 허상

문학

◈ 라틴 문학의 형성기: Quintus Ennius(『연대기Annals』, 호


머의 서사시 모방)
◈ 공 화 정 말 기 : Lucretius(『 사 물 의 본 질 에 관 하 여 』)/
Cicero(라틴 문학 최고의 산문 작가, 『노년에 관하여』,
『우정론』, 『국가론』, 『법률론』)
◈ 라틴문학의 황금기(아우구스투스 시대): Vergilius(서사시
『아에네아스(Aeneid)』)/ Horatius(전원시)/ Ovidius(사랑
시)
◈ 라틴문학의 은대기: Seneca(비극 작품)/ Lucanus(서사시)/
Juvenalis(풍자시)
로마 문화의 실상과 허상

사상

◈ 스토아 학파: 의무(시민적 의무)와 절제 강조/ 로마인의 미덕


과 보 수 적 성 향 과 맞 물 려 발 전 / Lucretius, Seneca,
Epictetus(『어록』), Marcus Aurelius(『명상록』)
◈ Plotinos(204-270): 신플라톤 철학 전개/ 사색과 물질 세계의
근원으로서 이념적 신(일자) 제시
로마 문화의 실상과 허상

역사

◈ Livius(BC 59~AD 17): 건국 이래의 로마사 서술(142권)/ 그


중 35권 현존/ 산문 작가로서는 뛰어나지만, 역사서술가로서
는 부정확한 기록으로 큰 인정을 못 받음
◈ Tacitus(c. 55-117): 『게르마니아』, 『역사』, 『연대기』

◈ Caesar: 『갈리아 전기』 저술
◈ Plutarch(46-120): 『비교영웅전』 저술
로마 문화의 실상과 허상

기타 학문

◈ 자연학: Plinius(『자연사』)
◈ 지리학: Strabon(『지지(地誌)』) Pausanias (『그리스 주
유기』)
◈ 의학: Galenus(『의학전서』)
◈ 그 밖의 분야에서의 학문 발전은 거의 전무
로마 문화의 실상과 허상

법률

◈ 서양사에 끼친 로마인들의 가장 뛰어난 업적 분야


◈ 3대 법체계: ① 시민법(jus civile): 실정법(12표법, 리키니우
스법, 호르텐시우스법 등)/ ② 만민법(jus gentium): 국제법
(로마 팽창의 결과)/ ③ 자연법(jus naturale): 모든 사람들에
게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현실의 모든 법의 토대가 되는 정의
와 형평의 원리에 입각한 최고 이성의 법
◈ Justinianus(527-565): 『로마법 대전(Corpus juris civilis)』
(529-534)을 완성한 동로마 황제
◈ 로마법은 이후 유럽사에서 최고의 권위 유지, 존속됨
로마 문화의 실상과 허상

법률

만민법

시민법

자연법
로마 문화의 실상과 허상

미술과 건축

◈ 로마네스크 양식: Dom 양식(로마의 Pantheon)


◈ 실용건축: 원형 극장, 목욕장, 개선문, 재판소와 상거래를 겸
한 공공건물인 basilica 등 다양한 실생활의 건축물
◈ 그밖에 도로, 교량, 수로 등(콘크리트 공법 사용)
그리스도교의 성장과 그 이면

그리스도교의 성장

◈ 로마의 종교: 다신교/ 그리스의 종교 수용


◈ 그리스도교: 유대교를 모태로 삼음
◈ 그리스도교의 성장과 박해
◈ 교회조직과 이단설: 콘스탄티누스가 니케아(Nicaea) 공의
회 (325)에 서 아리우 스 (Arius)파가 아니 라 아타나 시우스
(Athanasius)파(‘삼위일체설’)를 정통으로 인정
그리스도교의 성장과 그 이면

그리스도교의 성장

◈ 교부(Fathers of the Church): 기독교 초기 이교도나 이단설


로부터 교회를 지키고 정통 신앙과 교리의 확립에 공이 큰 사
람들
① 오리게네스(Origenes): 그리스 출신/ 그리스 철학과 그리
스도교의 융합을 시도한 최초의 창조적인 신학자
② 암브로시우스(St. Ambrosius): 밀라노 주교/ 금욕적인 도덕
의 준수를 강조한 성직자론과 빈민구제론 제시
③ 히에로니무스(St. Hieronimus):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
④ 아우구스티누스(St. Augustinus, 354-430): 히포의 주교/ 로
마 말기 가장 위대한 교부/ 『신국론』과『참회록』
결론

로마 역사와 문화의 특징

◈ 로마는 작은 도시국가에서 출발했지만, 빠르게 성


장하면서 유럽, 소아시아, 북아프리카 등 지중해 일대
의 세 대륙을 모두 점령하면서 대제국으로 성장함

◈ 로마는 결과적으로 실용문화를 이룬 것은 맞지만,


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로마의 실용문화의 바탕에
는 기본적으로 ‘군사문화’와 ‘정복문화’가 놓여 있음
토론주제

토론 주제

◈ 로마 공화정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로마의 공화정


과 공화정인 우리나라의 정치체제를 비교해보자!

◈ 로마의 실용문화가 로마의 군사문화에 연원한다면


그 둘 사이의 연관성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 기독교가 로마제국에서 공인되지 또는 국교화되지


않았다면 이후 역사는 어떻게 전개되었을까?
질의응답

Q&A
종결

감사합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