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3

반구대 암각화

모형지형 제작
김동현 , 신서윤 , 안정환 , 노경보 ( 담당조교 ), 신호성 (
담당교수 )
반구대 암각화 모형지형
제작
☞ 연구 배경

☞ 이론적 배경

목차 ☞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법

☞ 연구 과정

☞ 반구대 암각화 전경 3D 프린팅


결과
☞ 결론 및 제언
연구배경
‘ 댐’이란 ?
→ 기후 , 지리적 특징을 바탕으로 한 수자원이용을 위해 건설되는 토목구조물

현재 ‘반구대 암각화’의 피해 정도
→ 사연댐의 영향으로 침식되어 훼손이 현재도 진행되고 있음 . 이에 대한 보존 방안들이 다양한
문제점으로 인해 진행되지 못함
‘ 본 연구’의 목적
→ ‘ 반구대 암각화’ 훼손에 관한 관심과 이미지 기반의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모형 제작으로
기존 보존방안을 재고 및 추가적 보존 방안 마련
이론적 배경Ⅰ
•암석의 분류
화성암 : 마그마가 식어 굳어진 암석으로 화산암과 심성암으로 구분가능

퇴적암 : 퇴적물이 쌓이고 다져져 굳어진 암석으로 서로 다른 퇴적물이 쌓여 이루는 지층이


관찰됨

변성암 : 암석이 열과 압력을 받아 성질이 변하는 암석으로 엽리가


관찰됨
→ 엽리
이론적 배경Ⅱ
•기계적 풍화 작용
1. 동결작용 : 지하수에 녹아 있던 광물 성분이 결정으로 변하면서 압력을 가해 암석이 잘게 부서지는 작용

2. 박리작용 : 압력의 감소로 인해 부피가 팽창하여 표면이 껍질처럼 앏게 벗겨져 부서지는


현상

3. 결정작용 : 암석의 틈으로 유입된 물이 증발하며 결정의 크기가 성장하며 암석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작용

4. 식물에 의한 풍화작용 : 식물 뿌리가 성장하며 암석에 압력을 가해 부서지는 작용

5. 기온의 변화 : 기온차가 심할 때 팽창과 수축의 정도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수축 , 팽창이 반복되어 부서지는
작용
이론적 배경Ⅲ
•화학적 풍화 작용
산화작용  : 암석 속의 금속이 물이나 대기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되는 작용

용해작용  :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지하수에 의해 석회암이 녹는 풍화 작용

가수분해작용:물속에 존재하는 수소 이온 (H+) 이나 수산화 이온 (OH-) 이 광물을 구성하는 이온으로


치환하는 현상
반구대 암각화 보존 방법
1.사연댐 해체 방식 2.사연댐 유지 방식
1 . 사연댐의 수위 조절 수문 설치 : 태화강 홍수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수위를 낮추면 유효 위험과 사연댐 붕괴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저수량의 1/3 밖에 사용할 수 없어 용수를 위해 암각화를 부결되었다 .

포기하면서 사연댐을 유지하는 것은 손해라고 판단

2 . 생태 제방 : 반구대 암각회의 직접 훼손 가능성으로


세계 문화유산 등재가 어렵기 때문에 부결되었다 .

3 . 카이네틱 댐 : 수압을 견대지 못해 투명판 이음새


부근에서 물이 시면서 실패함

4 . 터널형 유로 변경 : 문화재청이 원형보존 기조를


연구 과정 Ⅰ
1.반구대 암각화 3D 프린팅하기 전 시범모델링을 시행

2. Pix4D Catch 앱을 이용하여 대상의 사진을 최대한 많이 촬영

3.촬영한 사진을 Pix4D Catch 에 업로드 하여 모델링 처리를 시행


연구 과정 Ⅱ
4.불필요한 배경은 삭제하고 3D 모델링 파일의 확장자를 obj 파일에서 stl 파일로 변환함

5. Stl 파일을 Cubicreator 4 프로그램을 이용해 프린팅 함


반구대 암각화 전경 3D 프린팅
결과
결론 및 제언
‘ 반구대 암각화’ 모형에 관하여
제작된 3D 프린팅 모형에 대한 아쉬운 부분은 밑의 사진과 같이 반구대 암각화의 조각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점이다 .
결론 및 제언
• 연구과정
• 반구대 암각화 3D모델링 및 프린팅하면서 기존의 방안들을
재고하였고 새로운 방안에 대해 토의하였다.

• 연구결과1
• 경로 변경 등과 같은 현재까지 제시된 방안들 이외에 반구대 암각화
• 일대를 깊이와 너비를 깎아서 침수되는 것을 막자는 등 토의를
통해 여러
의견들을 제시
• 이에 사연댐에 수문을 설치하여 부족한 용수는 조달해오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안이라고 판단

• 연구결과2
• 본 연구를 통해 반구대 암각화 문화재의 중요성에 대한 생각이
감 사 합 니 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