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56

Mies van der Rohe

(1886 ~1969) and the Non Objectivity


Mies van der Rohe의 생애와 건축적 배경

1886 독일의 국경에 있는 아헨( Achen)에서 태어남

1905 ~ 1907 아헨을 떠나 부르노 파울( Bruno Paul)의 스튜디오에서 가구디자이너로 일함

1908 ~ 1911 피터 베렌스( Peter Behrens)의 사무소에 입사 (신고전주의 원리를 추구)

1912 ~ 1937 베를린에 건축사무실 개설

1926 독일공작연맹 전시회 대표 건축가. 독일 슈투트가르트 바이젠호프 주거단지 계획

1930 ~ 1933 뎃사우와 베를린의 바우하우스 교장역임

1938 ~ 1958 시카고에 위치한 일리노이 공과대학의 건축대학학장

1938 시카고에 건축사무실 개설

1948 시카고 고충건물 계획안에서 유리와 철의 커튼월을 처음 적용

1959 독일연방공로상 수상

1969 시카고에서 8월 17일 사망


Mies van der Rohe의 생애와 건축적 영향

1. Carl Friedrich Schinkel - 신고전주의 : 18c ~ 19c에 걸쳐 왕성하였던 복고풍의 양식

의 신고전주의의 영향 - 수단의 엄격성, 형태의 순수성, 비례의 완벽성, 세부 장식의 우아함, 표현의 장엄함

- 슁켈의 고대 미술관(Altes museum 1824 ~ 1828년경)

( 구조와 그것을 둘러싼 것의 실제적인 분리를 예시 )

- 미스가 골조구조의 원리를 발전시키는데 있어 착상의 원천이 됨


Mies van der Rohe의
생애와 건축적 영향

1. Carl Friedrich Schinkel

의 신고전주의의 영향

Peter Behrens A.E.G. 터빈공장 (1909 Berlin)

- Peter Behrens (1868 – 1940) : 아르누보의 지도적 제창자들중의 한사람

- 건축의 새로운 원리를 슁켈의 신고전주의속에서 발견함

- 고전적인 형태가 건물의 기념비적인 의의를 강조


2. 구조적 합리주의에 A. 비올레르 듀크 ( Viollet-le-Duc )의 구조적 합리주의
대한 영향
- 12c ~ 13c 에 걸쳐 세워진 프랑스의 모든 성당들은 구조의 절대적인

합리성과 경제성을 보여줌

- 고딕건축의 지적 기반인 구조의 근본적인 원리 : 새로운 건축양식의 창조

B. 베를라헤(H.P.Berlage)의 영향

- 건축의 재료란 중세에서 실천되었던 바와 같이 있는 그대로 피복하지 않고

그 성질에 따라 사용하여야 한다.

- 고전적이기 보다는 고딕적인 구조와 재료에 관심을 둠


신고전주의 구조적 합리주의

- Carl Friedrich Schinkel - Viollet-le-Duc


- Peter Behrens - H.P.Berlage
< 고전적 형태에 관심을 둠 > < 구조와 재료의 중요성 인식 >

Mies van der Rohe에 영향을 미침


3. Wright와 De Stijl 에 A. Frank Loyld Wrig의 영향

대한 영향
- 식물의 뿌리처럼 사방으로 증폭되는 라이트의 지상층 평면이 보여주는 개방성

- 주택 전체를 흐르는 하나의 공간 연출

= 미스의 후기작품

- 새로운 재료에 대한 루이스 설리반의 신중함

- 라이트의 주택에서 제시된 자유로운 지상층 평면

B. De Stijl 의 영향

- 파리의 레옹스 로젠베르그 화랑(1923넌 10월)에서 개최된 De Stijl파의 전시회

- 수직면과 수평면의 교차를 통한 흐르는 듯한 공간연출

- 직선 장방형, 사각형 처리법, 주택 작품의 선형 비대칭의 평면 구성


1920년대 유럽의 = 배경

국제주의 양식건축
- 18-19 c 의 프랑스 혁명과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적 발달

- 자유로운 표현의지와 합리적 사고

- 철, 유리, 콘크리트 등 신재료의 발견과 신 기술의 개발

- 고전적, 권위주의 장식을 버리고 기계적이고 추상적인 형태를 추구

= 국제주의 양식의 미학적 원리

- 볼륨으로서의 건축

- 대칭성으로서의 건축

- 부가된 장식의 배제

- 자유스러운 평면

= 국제주의 양식을 형성시킨 건축가

- Walter Gropius, Ludwig Mies van der Rohe, Le Corbusier


Mies van der Rohe의 1. 기둥

건축적 사고
- 기둥과 벽체의 엄격한 구분

- 기둥의 기능은 건물을 지지하는 것이고 벽의 기능은 공간을 분할

건축 구성요소들의 특성 - 기둥의 반사성

: 크롬기둥의 반사되는 빛을 통하여 공간을 보다 부드럽고 활동적이게 만든다.

2. 벽

- 비대칭적으로 자유롭게 배치

- 흐르는 듯한 공간의 연속성을 유도

- 지지의 기능보다는 공간의 구분기능이 강하게 나타남

3. 지붕

- 벽체와 기둥들에 의해 제약을 받거나 기능적 관련성을 갖지 않음

- 수평적 지붕선은 하늘로의 상승감을 극적으로 유도


Mies van der Rohe의 = Universal Space

건축적 사고
- 장대한 스펜의 가능성에 의해 얻어지는 갖가지 기능에 대응할수 있는

유연하고 경제적인 공간

- 기능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영속하는 것은

오직 융통성과 가변성이라고 주장

- 근대 건축의 목적인 자연과 내부 공간의 일체화를 유리에 의한 표현으로 시도

- “ Less is more ” (단순성의 추구) : 무한한 순화와 승화는 '절대'라는 진리를 의미

- 기둥과 외피의 솔직한 표현


Mies van der Rohe의 = 20세기초의 기능주의

건축적 사고 - 생물학자 라마르크 (J. Lamarck) <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

- 미국의 조각가 그린노우의 : 유기주의

- 한네스 마이어 : 사회생태학적 관점을 부가시켜 기능주의를 한층 확고히 함


기능주의와 미스의 건축미
- 형태는 자연의 조건과 가능에 따라 결정 < 인간의 팔과 다리, 물고기의 유선형 >

= 미스의 입장

- 건축은 하루 혹은 영원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에 속하는 것

- 모든 개인적인 표현은 부정되고 오로지 시대적인 표현만 남음

- < 기능은 형태를 따른다 >

- 건축은 대상의 성격과 사용한 구조 및 재료의 표현

<< 기능주의의 이념을 관철하는 한 가장 기능적인 건축이란

다양한 기능에 대응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

UNIVERSAL SPACE
Mies van der Rohe
at Work

- The Weissenhof - Siedlung in Stuttgart (1927)

= 의의

- 산업의 발달로 인한 수공업적 구축방식에서 공업화로의 전화

- 새로운 생활방식에 대한 예고
- Weissenhof Housing
Mies van der Rohe
at Work

Concept sketch

- Tugendhat House (1928 ~ 1930)

- 개방되어 있으며 동적으로 자유로이 유동하는 공간이 주된 형태요소


- 3개의 독립된 mass로 구성

- 침실 등 privacy가 강한 공간의 배치

Plan of upper level

- 단일한 mass로 통합되어지는 느낌

- 개방적인 공간의 배치

Plan of main living level


- 단일 volume으로 인식되는 1층 mass

- 대지의 context에 따른 공간 구성

- 유리 커튼월로 입면구성
German Pavillon, International Exposition, Barcelona (1929)
Plan

- 지붕, 벽, 기둥의 독립성에 의한 공간구성

- 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벽은 비대칭 균형을 이루면서 연속적인 공간을 형성


- 강한 수평선을 나타내는 지붕선과 강한 수직선을 나타내는 기둥과 벽에 의한 비대칭적 균형
- 재료의 이질성
게오르그 콜베(Georg Kolbe) “ 무희 ”
- 우리나라 전통건축과의 비교

- German Pavillon, International Exposition, Barcelona

- 獨樂堂
- Villa Savoye, Le Corbusier

- 浮石寺
- German Pavillon, International Exposition, Barcelona

- 潭陽 瀟灑園
- Farnsworth House, Plano, lllinos (1945 ~ 1950)
Mies van der Rohe
at Work

Farnsworth House,

Plano, lllinos (1945 ~ 1950)

- 3개의 수평판이 수직적 위계를 가지고 구성

- 지붕, 바닥판, 기둥, 벽의 독립성 강조

- 수평 슬래브에 의한 명확한 윤곽을 가진 유리박스의 순수한 형태의 추구

- 순수미, 단순미

- 구조적 관계의 역동성


- Plan

- 기둥의 외부로의 노출 - Detail

- Universal space의 개념 실현

- 지붕선과 그 하부구조의 연관성이 커짐


- Crown Hall
lllinois lnstitute of Technology, Chicago (1950 ~ 1956)
Mies van der Rohe
at Work

Crown Hall

Chicago (1950 ~ 1956)

- 고전적인 표현성의 강조

- 슁켈의 신고전주의 형태

- 기둥과 외피의 일체화된 입면형식, 수직요소의 반복적인 리듬

- 입구의 들어올려진 바닥판에 의해 강한 중심성이 얻어짐


- Interieor view
- L ake Shore Drive, Apartment Houses

Chicago, Illinois (1951)


Mies van der Rohe
at Work

Lake Shore Drive,

Apartment Houses

- 강한 수직성의 강조, 기둥, 외피의 일체화

- 장식없는 입면의 순수함, I형강에 의한 반복적인 리듬감


- Main entrance
- Seagram Building, New York (1958)
- Main entrance

- Detail
PHILHARMONIC

POTSDAMER PLATZ

NEW NATIONAL GALLERY

SITE
- Mies가 태어난 자국으로부터 의뢰받은 처음이자 마지막 건축물.

-그림자가 없다면 대지의 일부분인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킨다.


- New National Gallery, Berlin(1963)
- 대부분 회화, 조각의 특별 전시

- 약간 경사진 부지의 이점을 활용


- 넓은 기단부와 계단은 Schinkel의 영향
- MAIN ENTRANCE VIEW
- DETAIL VIEW
= 금속과 유리로 된 평탄한 외벽면으로의 발전
후대에 미친 영향
- SOM의 Lever House(1951-1952)
- 에로 사리넨의 제네랄 모터스 기술 센터(1948-1956)

- 야르네 야콥센의 평탄한 전면 처리 방식의 사무소 건물

= 금속, 유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외벽을 3차원적인


조형물로 분절하는 방식으로 발전

- 사리렌의 존디어 회사 사옥(1961-1964)

- 폴 루돌프의 예일대학 예술 및 건축학부 건물(1958)

- 제임스 스털링의 레스터 대학의 공학관(1963)

= 미스의 형태주의적 접근방식을 다른 재료로 확장시키는 경향

- 필립 존슨의 글래스 하우스


Conclusion 슁켈과 베렌스의 신고전주의와 비올레르와 베를라헤의 구조적 합리주의

의 영향하에 자신의 건축적 기반 완성

뛰어난 비례감과 재료에 대한 높은 식견


진 가 텅 텅
실 득 재료 뿐만 아니라 공간속에서의 간결하고 명쾌한 단순미 추구
로 비 비
찼 어 었 하나의 요소는 전체와 동등하게 처리되어야 한다.(구조의 중요성 인식)
비 을 을
운 있 때
다 때 기 시간적 변화를 수용하는 공간계획 (universal space)
는 보 비
다 때 로
것 문 소 건축의 가능성은 새로운 형태에서 뿐 아니라 경제적 구조와 기술에 나타남
은 더 에

무 충 오 만
엇 만 히 하
인 하 려 다
가 다
.
.

<< 건축은 구조에 기반을 둔 가장 순수한 형태의 추구 >>






참고문헌 - Space, Time and Architecture, by S, Giedion < 시공문화사 >

- Mies wan der Rohe의 건축세계 I, II < W.H >

- Mies wan der Rohe at work < Phiadon >

- 20세기의 건축양식 I, II < 화영사 >

- 서양건축사 비난트 클라센 지음 < 대우출판사 >

Web site - http://www.tu-harburg.de/b/kuehn/lm2.html

- http://www.miesbcn.com/Pabelloneng01.htm#

- http://glssee.com.ne.kr/archi/mies/1.htm
- Pilip Johnson, Glass House (1949)
- James Stirling, Cambridge University의 역사학부 건물 (1964 ~ 1967)
- Paul Rudolph, New Haven 에 있는 예일 대학의 예술 및 건축학부 건물 (1958 ~ 1964)
- SOM Lever House (1951-1952)
- Altes museum 1824 ~ 1828년경 - Peter Behrens A.E.G. 터빈공장 (1909 Berlin)

- Crown Hall (1950 ~ 1956)


- Lobie House plan

- Falling Water, 1floor plan

- Brick Country House 1923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