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건축 기초설계2 10주차 레포트 1

20230033 황준엽

(서론) 비례의 정의
(본론) 비례와 관련된 건축물 소개
(결론) 건축물에 대한 나의 생각

부분과 전체, 부분과 부분 사이의 크기에 대한 차이를 비례라고 합니다. 비례는 건


축물을 설계하고 구성할 때 중요한 원칙 중 하나입니다. 건축물의 비례는 각 부분이
전체와 조화롭게 어우러져 보이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례를 이용한 건축물 설
계에는 확장과 축소, 인체의 비례, 기하학적 비례 등이 있습니다. 확장과 축소는 전체
높이에 대한 각 층의 높이 비율이나 건물의 길이에 대한 각 부분의 길이 비율을 통해
건축물을 나타냅니다. 기하학적 비례는 삼각형, 사각형 등의 기본 기하학적 형태를 이
용하여 건물을 디자인을 하여 조화로운 외관을 창출 할 수 있습니다.
비례를 사용한 건축물로는 시드니의 오페라하우스가 있습니다. 오페라 하우스는 다
양한 크기와 형태의 독특한 도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여러 개의 껍질이 겹쳐져
있는데, 이러한 껍질은 기하학적 비례를 기반으로 디자인되었습니다. 오페라하우스는
반짝이는 조개 껍질 같이 보이는데 콘크리트와 화이트 타일로 만들어졌습니다. 특히
화이트 타일은 해수면에 반사되는 빛 때문에 건물을 더욱 빛나게 만들어줍니다. 또한
오페라 하우스는 다양한 크기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간들은 전체적
인 건물의 크기와 비례적으로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습니다. 큰 극장부터 작은 전시
공간까지 다양한 규모의 공간이 하나의 구조 안에 조화롭게 통합되어 있습니다. 오페
라 하우스는 시드니 항구와 인근 환경을 고려하여 건물이 설계되었습니다.
시드니 오페라 하우스는 그 기하학적 비례와 조화로운 디자인 덕분에 건축학의 걸작
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례적 요소들은 건물이 주변 환경과 사용자에게 조
화롭고 아름다운 경험을 제공하도록 만들어줍니다. 가장 기본적인 요소일 수 있는 비
례적 요소를 잘 활용한 건축물들을 보며 다시 한번 감탄해 볼 수 있었고 외관적 요소
뿐만 아니라 내부와 주변화경과의 조화에서도 비례적 요소가 숨어있다는 것을 알게되
었습니다.
건축 기초설계2 10주차 레포트 2
20230033 황준엽

(서론) 스케일의 정의
(본론) 스케일과 관련된 건축물 소개
(결론) 건축물에 대한 나의 생각

건축에서 스케일은 건물이나 공간의 크기와 비율을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스케일은


주어진 공간이나 구조물의 크기를 이해하고 평가하는 데 도움을 주며, 관찰자나 사용
자에게 해당 공간의 실제 크기나 느낌을 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스케일
은 크게 실제 스케일과 시각적 스케일로 나뉘는데 실제 스케일은 건물이나 구조물의
실제 크기와 비율을 나타내고 시각적 스케일은 건물이나 공간이 어떻게 보이는지에
관한 개념입니다.
버즈 칼리파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로, 현재까지의 건축 높이 기록을 경신하고
있습니다. 이 건물은 높이가 828미터에 이르는 163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부르즈
할리파는 기본적으로 Y 모양의 단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개의 날개가 건물의 코어
구조에 붙어 있는 형상입니다. 이 Y모양은 거미 백합이라는 꽃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는데, 이 모양은 미적인 요소 이외에도 최대한 효율적으로 건물에서 바깥의 전망을
관람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부르즈 할리파는 위로 올라가면서 각각의
날개가 단계별로 나선형 패턴을 그리며 짧아 지는데, 이는 이 건물이 총 24개의 다른
주요 단면을 가지게 만듭니다. 이렇게 건물을 대칭형으로 만들지 않은 가장 중요한
이유는 바로 풍하중 때문입니다. 초고층 빌딩 구조 설계에서 최대 관심사는 건물이
받는 바람의 힘, 즉 풍하중입니다. 바람은 지면에서 멀어질 수록 세게 불기 때문에
초고층 빌딩이 받는 풍하중의 영향은 일반적인 건물이 받는 풍하중의 영향보다 기하
급수적으로 커지게 됩니다.
브루즈 할리파는 높은 스케일을 가지고 있어 빌딩풍에 취약하다는 점을 건물의 비율
구조로 고층 빌딩에서 발생하는 빌딩풍을 막아 줄 수 있게 설계되었습니다. 건물의
스케일과 비율을 통해 구조적 결함을 보완하였다는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