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2022년 대한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42권 제2호(통권 제78집) 2022. 10. 26 ~ 10. 28

2022년 추계학술발표대회 : 대학생부문

원형 평면 공연장의 실내음향 개선 설계

Retrofitting Design of Room Acoustics for a Circular-shaped Auditorium

○전 상 은* 윤 성 환** 김 용 희***
Jeon, Sang-Eun Yoon, Seong-Hwan Kim, Yong-Hee

Abstract
In this study, acoustic retrofitting factors for a circular-shaped small auditorium which has acoustical defect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field measurements. Acoustical performance of the alternative design with the retrofitting design factors was predicted using computer
simulation method. As results, low and unbalanced reverberation with a lack of spatial impression in terms of lateral energy fraction was
found as the major acoustical defects. Then, it was predicted that the suggested retrofitting design showed the improved acoustical
performance in terms of reverberation and spatial impression due to the change of the finishing materials and the addition of the partition
wall. As a further stud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mproved acoustical performance through the field measurements after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with the suggested retrofitting design.
키워드 : 실내음향, 음향 설계, 음향 시뮬레이션
Keywords : Room Acoustics, Acoustical Design, Acoustical Simulation

1. 서론 2.1 평가 대상 공간
* 평가 대상 공간은 소규모 다목적 공연장으로서, 객석은
음악을 연주하는 공연장은 공간의 음환경이 연주자와 약 500석 규모이다. 그림1은 평가 대상 공간의 평면도를
청중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클래식 공연을 수행하는 나타내며, 평면의 형상이 원형으로서 무대에서 발생한 소
공연장은 전기 음향을 사용하지 않는 연주자의 특성상 음 리가 원의 초점 현상에 의해서 객석의 중앙부가 측면 반
악의 장르에 부합하도록 적절한 건축 음향 성능을 확보할 사음이 잘 도달하지 않는 결함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예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클래식 음악을 위한 공연장은 전 상된다. 현재 상태의 음향적 취약점을 분석하기 위해서
통적인 슈박스 형태나 시야각이 우수한 부채꼴 형태로 설 KS F 2864에 따른 실내음향 특성을 현장에서 측정하였다.
계하며, 최근에는 빈 야드(포도밭) 형태의 공연장도 설계
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공연장은 원형 평면으로 설계되
어, 음향 초점 등의 태생적인 음향 결함 요인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원형 평면으로 설계되어 있는 실제 소규모
공연장 한 곳을 대상으로 음향 개선을 위한 설계 요소를
도출하였고,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2. 평가 대상 공간의 개선 요인 도출

* 부산대 건설융합학부 건축학과 학생연구원


** 부산대 건설융합학부 건축학과 교수, 공학박사
*** 영산대 건축공학과 조교수, 공학박사
(Corresponding author :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Youngsan University, yhkim@ysu.ac.kr)
이 성과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그림1. 평가 대상 공간의 평면도(위: 1층, 아래: 2층)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22R1F1A1072690).

- 1317 -
www.dbpia.co.kr
3. 개선안의 음향성능 예측 결과

3.1 음향성능 예측 방법
개선안의 음향성능은 음선 추적방식의 ODE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예측 모델의 유효성은 현장 측정 결과
의 피팅을 통해 확보하였다.

3.2 음향성능 개선안 도출


현장 측정 결과로부터 도출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a) 잔향시간 (b) 측면반사음비율 그림3과 같이 1층 객석부 양 측면에 측면 반사음 보강을 위한
그림2. 평가 대상 공간의 잔향시간과 측면반사음비율 측정 결과 격벽을 설치하였고, 가시선 향상을 위해 측면 객석부의 바닥
높이를 상승시켰다. 또한 주파수 대역별 불균형한 잔향시간은
2.2 현장 측정 방법 및 결과 측벽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타공 흡음판이 그 원인으로 분석
현장 측정을 위해 무대 중앙 선단에서 높이 1.5 m, 1 m 이 되어, 단단한 목재 재료로 전체 측면을 교체하는 것으로 개선
격 지점에 음원 1개와 객석의 위치에 56개소의 측정점을 선정 안을 도출하였다. 그 외에도 1층 후열 발코니 하부의 반사음
하였다. 그림2는 현장에서 측정한 잔향시간(RT)의 주파수 대역 유입을 증가시키기 위해 발코니 전면부를 제거하는 것과 잔향
별 분포와 측면반사음비율(LFE4)의 공간분포(1층)를 나타낸다. 시간의 증가와 기타 음향 성능의 개선을 위해서 무대부의 형
그 결과, 그림2(a)를 보면 중주파수 대역의 잔향시간은 상 변경과 객석부 바닥재료의 변경 등이 포함되었다.
0.76 s로서 클래식 공연을 하기에 매우 낮은 수준이였으
며, 저주파수 및 고주파수 대역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낮아 3.3 시뮬레이션 예측 결과
음색의 발란스가 좋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그림 그림3은 기존안과 개선안에 대한 500 Hz 대역 잔향시간의
2(b)를 보면 측벽과 가까운 지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측면 예측결과를 나타낸다. 그 결과, 개선안의 500 Hz 대역 잔향시
반사음비율이 0.2 미만으로서, 공간감이 매우 좋지 않은 간은 1.48 s로서 기존안에 비해 0.72 s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
것으로 평가되었다. 었다. 한편, 그림4는 기존안과 개선안에 대한 500 Hz 대역 측
면반사음비율의 예측결과를 나타낸다. 개선안에서 1층의 측면
반사음비율 분포는 새롭게 추가된 격벽에 의해 기존안에 비해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3.4 소결
본 연구에서는 음향적으로 결함이 있는 원형 평면의 소규모
공연장에 대해 현장 측정을 통해 음향 개선 요인을 도출하였
고, 음향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하여 개선안의 음향 성능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마감재료의 변경 및 격벽 형성을 통해
클래식 공연에 적합하도록 음향 성능이 개선될 수 있음을 확
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개선안을 바탕으로 개선
(a) 기존안 (b) 개선안 공사를 수행하여, 실제로도 예측한 대로 음향 성능이 개선될
수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림3. 기존안 및 개선안의 500 Hz 대역 잔향시간(RT) 예측 결과

참고문헌

1. Barron, M. (1983). Auditorium Acoustic Modelling Now,


Applied Acoustics, 16, 279-290.
2.. Beranek, L. (2004). Concert Halls and Opera Houses,
Springer-verlag, New York, 536-537.
3. KS F 2864, 실내공간의 잔향시간과 음향변수 측정방법,
2012
4. Jeon, J., Ryu, J., Kim, Y. & Sato, S. (2009). Influence of
Absorption Properties of Materials on the Accuracy of
(a) 기존안 (b) 개선안
Simulated Acoustical Measures in 1:10 Scale Model Test,
그림4. 기존안 및 개선안의 500 Hz 대역 측면반사음비율(LF) Applied Acoustics, 70(4), 615-625.
예측 결과

- 1318 -
www.dbpia.co.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