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

학사학위청구논문

(2019학년도 후기)

파랑 특성에 따른 수중 부유 방파제의
소파 성능에 대한 고찰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해양공학과

201513409 노 윤 호
학사학위청구논문
(2019학년도 후기)

파랑 특성에 따른 수중 부유 방파제의
소파 성능에 대한 고찰
지도교수 최준명 

이 논문을 공학사 학위청구논문으로 제출함.

부경대학교 환경⋅해양대학
해양공학과

201513409 노 윤 호
심사란
A B C D
평점

노 윤 호 의 학사 학위 논문을 인준함.

심사위원 김헌태 
심사위원 김경회 
학과장 김경회 
목차
List of Figures ..................................................................................................................... ⅱ
List of Tables ..................................................................................................................... ⅱ
List of Symbols ................................................ ....................................................... ⅲ
Abstract .............................................................................................................................. ⅳ
1. 서론 ................................................................................................................................. 1
1.1 연구배경 ....................................................................................................................... 1
1.2 연구목적 ....................................................................................................................... 1
2. 가정 ........................................................................................................ 2
2.1 부유체에 대한 가정 ....................................................................................................................... 2
2.1.1 정적상태의 부유체 .................................................................... 2
2.1.2 동적상태의 부유체 .................................... 3
2.2 수리학적 모델 ....................................................................................................................... 5
2.2.1 수중 부유 방파제에 대한 해석적 분석 ....................................................... 5
2.2.2 수중 부유 방파제의 수치해적 분석 .............................................................. 6
3. 결론 .......................................................................................................... 10
참고문헌 ............................................................................................................................... 11

- iv -
List of Figures
그림 1. 정적 상태 힘의 균형.
그림 2. (A) 수직한 계류 (B) 경사진 계류
그림 3.설치 깊이와 입사파 파장에 따른 반사율과 투과율 해석적 해(실선), 수치해
적 해(부호)
그림 4. 1번 실험 이론값(선)과 실험값(부호)의 반사계수(― , △), 투과계수(­­­ ,
▲), 소산계수(­­­ , +) 비교
그림 5. 2번 실험 이론값(선)과 실험값(부호)의 반사계수(― , △), 투과계수(­­­ ,
▲), 소산계수(­­­ , +) 비교
그림 6. 3번 실험 이론값(선)과 실험값(부호)의 반사계수(― , △), 투과계수(­­­ ,
▲), 소산계수(­­­ , +) 비교
그림 7. 4번 실험 이론값(선)과 실험값(부호)의 반사계수(― , △), 투과계수(­­­ ,
▲), 소산계수(­­­ , +) 비교
그림 8 5번 실험 이론값(선)과 실험값(부호)의 반사계수(― , △), 투과계수(­­­ ,
▲), 소산계수(­­­ , +) 비교
List of Tables
표 1. 최대, 최소 반사율이 발생하는 위치
표 2. 경우에 따른 수심과 설치 깊이.

- v -
List of Symbols
W 자중
B 부력
T 장력
m 질량
 수평방향 힘
 수직방향 힘
 수평방향 가속도
 수직방향 가속도
 무게 중심에 대한 수평방향 힘에 의한 모멘트
 무게 중심에 대한 수직방향 힘에 의한 모멘트
 무게 중심에 대한 장력에 의한 모멘트
 케이블의 수직방향 길이
L 케이블의 길이
 케이블의 수평방향 길이
 부유체의 질량 2차 모멘트
 부유체 회전 각도
 케이블의 수평방향 이동량
 각 케이블 앵커 지점 사이의 거리
  반사계수
  투과계수
h 정수면으로부터 부유체 상단까지의 깊이(설치깊이)
d 수심
 수심과 설치깊이의 비
 무차원 파수
 무차원 매개변수
 입사파의 파장
 부유체 폭의 절반 길이
 


- vi -
A Study on the wave performance of submerged floating
breakwater according to the wave characterists
yun ho Noh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글자크기 10font] 빈칸, 내용 11font
In this study, we did an analytical and numerical analysis on the wave dissipation
performance of the submerged floating breakwater according to the wav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wave dissipation performance under
the wave conditions in two ways are as follows. submerged floating breakwater has
low wave dissipation performance for long and short waves and significant wave
dissipation performance for medium waves. However, it shows stable wave
dissipation performance rather than a breakwater in a fixed form. The depth and
depth ratio from the still-water level to the top of the submerged floating breakwater
influence the extent to which the wave dissipation performance works effectively.

- vii -
1. 서론
1.1 연구배경
우리나라에서 항만의 이용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지리학적 특성 때문에 자연스럽게
발달하였고 현재에도 그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다. 과거에 자연적 조건에 순응하여 건설
되었던 항만은 복잡해져 가는 사회구조와 경제구조에 의해 자연적 조건에만 따를 수 없
게 되었다. 그래서 자연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구조물들이 사용되었고, 그 중에 대표적인
것으로 방파제를 꼽을 수 있다. 방파제는 파랑을 제어하고 차단하여 배후의 여러 시설들
의 기능과 안정을 유지하는 중요한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고정식 방파제의 파랑 차단 효과는 우수하지만 설치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고 환
경 및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설치 예정지의 수심, 지질, 육상으로 부터
의 거리 등 많은 제약을 받는다. 그래서 부유식 방파제는 고정식 방파제의 문제점을 어
느 정도 해결할 수 있지만 방파 능력 면에서 파의 부분적인 투과를 허용해야하고 입사파
의 파장에 따라 방파 성능이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1.2 연구 목적
입사하는 파랑의 특성에 따른 수중 부유 방파제의 소파 성능이 어떻게 변화하는
지 알아보고 수중 부유 방파제가 적절한 소파 성능을 작용할 수 있는 파랑의 특
성을 찾을 것이다. 또한 수중 부유 방파제가 부유식 방파제가 가지는 장파에 대
한 낮은 소파 성능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인지 생각할 것이다.

- 1 -
2. 가정
2.1 부유체에 대한 가정
2.1.1 정적 상태의 부유체
수중 부유 방파제는 부력이 자중보다 큰 부유체와 이것을 계류하는 케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정적 상태 하에 부유체의 부력은 자중을 상쇄하고 남은 부력은 케이블에 가해지
W 균형 상태를 이룰 때, 부유체는 그림 1과 같이 수중에 부유한 상
는 장력이 된다. 이러한
태가 된다.

T T
B

그림 1. 정적 상태 힘의 균형

2.1.2 동적 상태의 부유체


계류된 부유 방파제의 동적 거동은 이론적으로도 실험적으로도 연구되어 왔다.
파랑과 계류선의 장력으로 발생하는 수중 부유 방파제의 역학 관계는 그림 .과 같이 나
타낼 수 있다. 계류 형태가 수직한 경우와 경사진 경우에 따라 무게 중심에 대한 모멘트
의 합은 다르게 나타난다.
그림 . (A)는 수직한 형태로 계류된 경우로 계류선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두 계류
선의 회전 방향에 따른 수직 변위가 같아 부유체는 기울어지지 않기 때문에 무게중심에
대한 수평력, 수직력, 장력의 모멘트의 합이 0과 같다.

- 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림 . (B)는 경사진 형태로 계류된 경우로 계류선이 변형하지 않더라도 두 계류


선의 회전에 따른 수직 변위가 다르므로 부유체의 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  sin    

 

그림 2. (A) 수직한 계류 (B) 경사진 계류

- 3 -
2..2 수리학적 모델
2.2.1 수중 부유 방파제에 대한 해석적 분석
수중에서의 부유체가 가지는 방파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고정된 상태임을 가정하여 입
사파의 파장에 따른 반사율과 투과율을 나타내려고 한다.
유체는 비압축 비점성 비회전성 유체임임을 가정하고 계산의 간략화를 위해 물리적 변수
를 무차원수로 변환하였다.
     cos     sin   sin  

   
   
  sin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s    sin    
 cos    sin   
           

식(10)에서 나타내는 것은 입사하는 파랑의 에너지는 반사율과 투과율의 관계식으로 보


존되는 것을 의미한다.
입사하는 파랑의 특성 중 파장과 설치 깊이를 변수로 정하여 계산한 결과를 그림 3.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는 설치 깊이에서 입사파의 파장에 따른 반사율과 투과율을 나타나고 있다.
결과 값은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수치해와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고려해 볼 만한
신뢰도가 있다.
그림 3에서 반사율과 투과율은 파장에 따라 변하고 있는데 초기의 매우 긴 파장을 제외
하고 특정 파장에서 반사율이 ‘0’이 되는 경우가 있다. 이는 투과율이 1이 되는 것을 의
미하므로 특정 파장에 대해서 방파성능을 완전히 잃는 것이다.
방파제 설치 위치가 수면으로부터 깊어짐에 따라 최대 방파 성능과 장파에 대한 방파
성능이 감소하게 된다.
표 1.는 방파제 설치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최대, 최소 반사율이 발생하는 무차원 파수
 의 위치가 단파로 이동하고 다시 최대, 최소 반사율이 발생하는 간격이 증가함을 보여
준다.

- 4 -
그림 3 .설치 깊이와 입사파 파장에 따른 반사율과 투과율 해석적 해(실선), 수치해
적 해(부호)

표 1 . 최대, 최소 반사율이 발생하는 위치

- 5 -
2.2.2 수중 부유 방파제의 수치해 분석
여기서는 해석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웠던 부유체의 동적 거동을 고려하고 수중 부유 방
파제의 방파 성능을 계산할 것이다. 유체는 비압축 비회전성 유체임을 가정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exp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체적으로 매우 긴 장파의 경우를 제외하고서 방파 성능을 상실하는 경우는 발


생하지 않았다. 장파에서 단파로 파장이 감소함에 따라 방파 성능은 증가하다가
감소하게 된다. 무차원 파수가 2와 4사이의 지점인 중간 주파수에서 높은 방파
성능을 보여준다.

- 6 -
표 2. 경우에 따른 수심과 설치 깊이

그림 6. 1번 실험 이론값(선)과 실험값(부호)의 반사계수(― , △),


투과계수(­­­ , ▲), 소산계수(­­­ , +) 비교

- 7 -
그림 7. 2번 실험 이론값(선)과 실험값(부호)의 반사계수(― , △),
투과계수(­­­ , ▲), 소산계수(­­­ , +) 비교

그림 8. 3번 실험 이론값(선)과 실험값(부호)의 반사계수(― , △),


투과계수(­­­ , ▲), 소산계수(­­­ , +) 비교

- 8 -
그림 9. 4번 실험 이론값(선)과 실험값(부호)의 반사계수(― , △),
투과계수(­­­ , ▲), 소산계수(­­­ , +) 비교

그림 10 5번 실험 이론값(선)과 실험값(부호)의 반사계수(― , △),


투과계수(­­­ , ▲), 소산계수(­­­ , +) 비교

- 9 -
3.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입사하는 파랑의 특성에 의한 수중 부유 방파제의 소파 성능에 관하여 조
사하였다. (1) 방사파와 회절파가 고려할 정도로 상당히 발달하고 180°의 위상차를 가질
때, 투과계수는 최소값을 가지게 되는데 이는 방파제의 surge 고유 주파수에 근접한 경
우 발생하여 에너지 소산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방파제의 설치 깊이 즉, 정
수면으로부터 방파제 상단까지의 깊이가 작을수록 중간 주파수에 대한 소파 성능이 향상
한다. (3) 방파제 상단과 정수면이 일치하는 경우, 장파에 대한 방파 성능은 낮아지고 장
파에서 단파로 파랑 특성이 변화함에 따라 소파 성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 10 -
참고문헌
-조일형 (2002) : 계류된 사각형 부유식 방파제의 파랑제어성능 , 한국해양환경·
에너지학회지, 5(3), 35-44
-Medina-Rodríguez, A., Bautista, E., & Méndez, F. (2016). Asymptotic analysis
of the interaction between linear long waves and a submerged floating
breakwater of wavy surfaces.
-Evans, D(1991) : submerged floating breakwater , Journal of Offshore
Mechanics and Arctic Engineering Volume 113 Issue 3
-Rahman, M. A., Mizutani, N., & Kawasaki, K. (2006). Numerical modeling of
dynamic responses and mooring forces of submerged floating breakwater.
-Williams, A. N., & McDougal, W. G. (1996). A Dynamic Submerged
Breakwater. Journal of Waterway, Port,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122(6), 288–296.
-PENG, W., LEE, K.-H., & MIZUTANI, N. (2011). NUMERICAL STUDY ON
DYNAMIC RESPONSE OF SUBMERGED FLOATING BREAKWATER
WITH IMPERMEABLE MOORING PLATE.
-Mizutani, N., Rahman, A., & Shimabukuro, H. (2004). EXPERIMENTAL
STUDY ON INTERACTION BETWEEN WAVES AND SUBMERGED
FLOATING BREAKWATER SUPPORTED BY PERFORATED PLATES

- 11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