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2

대전동신과학고등학교

2022학년도 1학년 1학기 ★국어★ 1학년 ( )반 ( )번 이름 :

2. 능동적 읽기와 주체적 해석

(1) 사회적 대화로서의 글 읽기


- 등나무 운동장 이야기

 제재 개관

갈래 수필 성격 비평적, 서사적, 체험적

제재 등나무 운동장(무주 공설 운동장) 주제 감응* 통해 만들어진 ‘등나무 운동장’

① 등나무를 활용하여 공설 운동장에 그늘지붕을 만든 과정과 완공 이후에 생겨난 변화를 ( 시간 )의 흐름에 따


특징 라 순차적으로 서술하였다.
② 등나무 운동장을 만든 경험을 구체적 사례로 삼아 글쓴이의 ( 건축관 )을 보여 주고 있다.

◦ 감응 : 어떤 느낌을 받아 마음이 따라 움직임.

 글의 구성

인간과 자연의 교감, 자연을 존중하는 태도에 바탕을 둔 바람직한 건축의 사례로서 ‘등나무
처음 51p 처음~52p 5행
운동장’ 소개

◦공설 운동장 관중석에 등나무 그늘을 조성하는 ‘등나무 운동장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된
중간 계기 52p 6행~54p 26행
◦감응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등나무 운동장 설계

끝 등나무 그늘이 완성된 이후 공설 운동장에 일어난 많은 변화와 등나무 운동장의 가치 54p 27행~56쪽 끝

 사회적 상호작용으로서의 ‘읽기’


① 개념 : 글 읽기는 작가와 독자는 물론, 글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상황, 관습, 전통, 역사 등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소통을
하면서 함께 의미를 구성하는 사회적 대화이자 사회적 상호 작용의 행위임.

독자의 개인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

글을 읽으면서 형성한 생각을


사회적 상황, 문화적 관습,
경험, 배경지식 다른 사람과 나누면서 서로
언어 관습, 역사, 전통 등
주고받는 영향

의미 구성 행위,
사회적 행위로서의 ‘읽기’

② 특징 : 상호작용의 주체와 맥락에 따라 글의 의미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

- 1 -
대전동신과학고등학교
2022학년도 1학년 1학기 ★국어★ 1학년 ( )반 ( )번 이름 :

 주요 내용

바람직한
글쓴이의 건축관 인간과 자연의 교감, 건축물과 자연의 조화에 바탕을 둔 건축
건축이란?

◦‘사람 – 사람’ 간의 감응
( 군수 )가 기존 운동장에 대한 ( 주민 )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주민들을 위해 대안을 고민함. ⇒ 관중석에 ( 그늘 )을 만들려는
계획을 세움.
◦‘사람 -자연 ’ 간의 감응
감응의 허공에서 허우적대는 듯한 ( 등나무 )의 순을 보며 작가가 등나
등나무 조성 과정
작용 무를 위한 ( 집 )을 지어주기로 결심함. ⇒ ( 식물 )을 닮게 설
운동장
계하여 등나무가 편안하게 타고 오를 수 있는 구조물을 만듦.
◦‘건축물 - 자연’ 간의 감응
( 철 )로 된 구조물이 등나무의 자라려는 힘과 의지를 자연스럽
게 떠받쳐 줌. ⇒ 등나무의 성장하려는 힘과 철골 구조물의 힘
이 서로 조화를 이룸.

◦세상에서 하나뿐인 아름다운 운동장


이후 일어난 변화
◦주민들의 사랑을 받는 장소

 자연, 인간을 배려한 구조물의 설계


① 등나무를 ( 닮음 )
: 등나무 가지가 자라는 모양을 본따서 여러 개의 작은 원형 파이프를 묶어 큰 줄기처럼 만듦.
② 등나무를 배려함
: 등나무 줄기가 타고 오르기 쉽도록 ( 원호 ) 모양의 지붕을 만들고 그 위에 ( 가는 ) 쇠줄을 엮음.
③ ( 관객 )들을 배려함
: 관중의 시선과 관중이 받을 햇볕을 고려해 원호의 꼭짓점의 높이를 적절히 정함.

- 2 -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