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84

E

D
U EDUMAC 교육시설 해외연수 자료집
M
A
C










학교 공간 조성 해외 사례
EDUMAC 교육시설 해외연수 자료집 학교공간조성 SCHOOL RENEWAL by REFURBISHMENT

해외사례
www. edumac.kr
01

CONTENTS
개요
A. 목적
B. 자료집 구성
C. 학교건축
D. 교수-학습 형태(20 Learning Modalities)
E. 미래학교시설 방향

02 학교공간별 우수 사례
A. 일반교실
B. 특별교실(과학실, 기술실, 가정실, 음악실, 미술실 등)
C. 지원공간(체육관, 도서실, 컴퓨터실, 시청각실, 식당 등)
D. 공용공간(홀, 로비, 복도, 계단, 화장실 등)
E. 옥외공간(옥상, 발코니, 옥외놀이공간, 생태학습공간, 운동장 등)

만든 이
조진일, 최형주, 이윤서, 신화주(이상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
03 기대효과 및 제언
A. 기대효과
B. 제언
CONTENTS 01 개요
A. 목적
B. 자료집 구성
C. 학교건축
D. 교수-학습 형태(20 Learning Modalities)
E. 미래학교시설 방향

02 학교공간별 우수 사례
A. 일반교실
B. 특별교실(과학실, 기술실, 가정실, 음악실, 미술실 등)
C. 지원공간(체육관, 도서실, 컴퓨터실, 시청각실, 식당 등)
D. 공용공간(홀, 로비, 복도, 계단, 화장실 등)
E. 옥외공간(옥상, 발코니, 옥외놀이공간, 생태학습공간, 운동장 등)

03 기대효과 및 제언
A. 기대효과
B. 제언
개요
A. 목적
B. 자료집 구성
C. 학교건축
D. 교수-학습 형태(20 Learning Modalities)
01
E. 미래학교시설 방향
목적 ▶ 본 자료집은 기존 학교에 적용 가능한 해외 선진국의 우수한 학교 공간 조성 사례를 소개하여, 학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학교 공간 조성 방향 및 방법을 기획하고 고민하는 학교에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음.

▶ 본 자료집에 수록된 해외 공간 조성 사례 사진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시설·환경연구센터(EDUMAC)가


2007년부터 실시한 해외 우수 교육시설 견학을 통해 수집한 자료임.

▶ 일부 부족한 자료는 해외건축전문 웹사이트에 소개된 내용 중 우리나라 학교 실정에 도입 가능한 학교공


간 조성 사례를 발굴하여, 수록함.

EDUMAC에서 수행한 해외 건축전문 웹사이트


해외 교육시설 연수사진 (Web Site) 조사

우리나라 학교실정에 적합한 해외 우수 학교공간 조성 사례 발굴

학생중심의 학교공간 조성 사례집 개발

[그림 1] 자료집 개발 프로세스

004
자료집
구성
▶ 본 자료집은 우리나라의 기존 학교가 대부분 보유하고 있는 공간을 다음과 같이 4가지 영역으로 분류하고,
각 세부 공간별 해외 우수 사례 사진과 함께 사례별 주요 특징을 설명하는 글로 구성됨.

▶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는 기존 교실명과 동일한 사례를 참고하거나, 잉여공간(교실)을 새로운 공간으로 조


성하고자 할 경우 관련 사례를 참조할 수 있음.

[표 1] 사례공간의 분류 체계와 종류

구분 공간의 종류
교수-학습 공간 일반교실, 교과교실, 특별교실(과학실, 기술실, 가정실, 음악실, 미술실 등)
지원공간 체육관, 도서실, 컴퓨터실, 시청각실, 다목적실, 식당 등
공용공간 홀, 로비, 복도, 계단, 화장실 등
옥외공간 발코니, 옥상, 옥외놀이공간, 생태학습장, 운동장 등

005
학교
건축
학교건축이란?1)

▶ 학교건축은 다음과 같은 가치적 요구조건, 사용자 요구조건, 미적(美的) 요구조건, 환경적 요구조건 등 총

1 4가지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함.

[표 2] 학교건축의 4가지 목적

목적 내용
학교운영, 교육과정, 교수-학습, 수업방식 등 학교 고유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
가치적 요구조건
하기 위한 가치적 조건 충족
사용자 요구조건 교사, 학생, 지역주민 등 학교 주사용자의 물리적, 심리적 요구조건 충족
학교로서의 순수한 미적 요구에 부응하면서 학교급별 학생정서, 감성 등을 고
미적(美的) 요구조건
려한 미적 조건 충족
교육과 관련된 법, 제도, 규정 등 인문사회적 환경 외 소음, 냉/난방, 조도 등 물
환경적 요구조건
리적 환경 요구조건 충족

1) 이호진(1991). 건축계획설계론. 산업도서출판공사 pp.17~18과 한국교육행정학회 편(2009). 교육시설행정론. 교육과학사 pp.205~208를 참조하여 정리함.

006
학교
건축
▶ 일반적으로 건축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이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나, 학교건축의 경우 건축계획과 건축
설계과정에서의 직접적인 사용자 참여가 매우 중요함.2)

2
학교 사용자의
직접적 참여 단계

설립 건축 최신
디자인
조건 목적 공법

건 건 건 건 유
축 축 축 축 지
기 계 설 시 관
획 획 계 공 리

[그림 2] 학교건축 프로세스

2) 한국교육행정학회 편(2009). 교육시설행정론. 교육과학사 pp.208~215를 참조하여 정리함.

007
교수
학습
▶ Fielding Nair International에서는 새로운 학교를 디자인하기 위해서 모든 교수-학습형태를 지원할 수 있는
20가지의 Learning Modalities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음.

형태
1

사진출처 : https://www.surveymonkey.com/r/ASBModalitiesSurvey (검색일 2017.12.02)

[그림 3] 20 learning Modalities(1)

008
교수
학습
형태
2

사진출처 : https://www.surveymonkey.com/r/ASBModalitiesSurvey (검색일 2017.12.02)

[그림 4] 20 learning Modalities(2)

009
교수
학습
형태
3

사진출처 : https://www.surveymonkey.com/r/ASBModalitiesSurvey (검색일 2017.12.02)

[그림 5] 20 learning Modalities(3)

010
교수
학습
형태
4

사진출처 : https://www.surveymonkey.com/r/ASBModalitiesSurvey (검색일 2017.12.02)

[그림 6] 20 learning Modalities(4)

011
교수
학습
형태
5

사진출처 : https://www.surveymonkey.com/r/ASBModalitiesSurvey (검색일 2017.12.02)

[그림 7] 20 learning Modalities(5)

012
교수
학습
▶ 미국 빌링스 지역의 공립학교(Billings Public Schools) 관계자를 대상으로 앞서 20가지 Learning Modalities에
대한 선호도를 설문조사한 결과,다음의 [표 3]과 같음.

LEARNING MODE
[표 3] 20가지 학습양식에 대한 설문결과
STUDENT TEACHER PARENT COMMUNITY
형태
6
Independent Study 13% 5% 21% 14%
Pear Tutoring 0% 5% 7% 0%
Team Collaboration 44% 42% 29% 0%
One-on-One Learning with Teacher 19% 11% 29% 14%
Lecture with Teacher at Center Stage 6% 11% 21% 0%
Project Based Learning 38% 53% 57% 86%
Learning with Mobile Technology 25% 5% 21% 14%
Distance Learning 6% 0% 0% 0%
Internet Based Research 6% 16% 14% 0%
Student Presentation 6% 5% 14% 43%
Performance Based Learning 25% 16% 0% 29%
Seminar/Roundtable Discussion 19% 16% 7% 0%
Interdisciplinary Learning 0% 16% 7% 43%
Naturalist Learning 6% 32% 0% 0%
Social/Emotional Learning 25% 5% 0% 0%
Art-Based Learning 0% 5% 0% 14%
Storytelling 0% 11% 0% 0%
Design-Based Learning 19% 5% 14% 14%
Team Learning/Teaching 6% 21% 43% 29%
Play-Based Learning 38% 26% 0% 0%
TOTAL SAMPLE 16 19 14 7
자료출처 : https://learningspacesforbillings.wordpress.com/2011/10/10/20-learning-modalities-survey-results/(검색일 2017.12.02)

013
미래
학교
▶ 미래 학교시설 조성의 기본방향3)을 살펴보면, 스마트한 학교, 창의적이고 혁신적 학교, 안전한 학교, 지속
가능한 학교, 지역사회, 세계와 연결된 학교 등 총 5가지로 정리할 수 있음.

시설
1 기본 방향
[표 4] 미래학교시설의 기본방향

시설 조성 방향
무선네트워크, 모바일 등 첨단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교수-
스마트한 학교
학습 환경
창의성과 협업능력, 공간 및 소통 등 미래 핵심역량을 키워줄 수 있는 교수-
창의/혁신적 학교
학습이 가능한 환경
외부로부터의 침입이나 각종 재해 등으로부터 학교 이용자들의 안전이 보장
안전한 학교
되고, 보안이 강화된 환경
친환경적이며, 생태지향적인 학습환경과 지속가능한 각종 설비 시스템 및
지속가능한 학교
환경 조성
온/오프라인 상으로 지역사회 및 세계와 인적, 물적, 공간적 상호 유기적인
네트워킹 학교
네트워크가 구축된 환경

3) 조진일 외(2016). 학교시설 선진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한국교육개발원, p. 23 내용을 요약함.

014
미래
학교
▶ 최근 4 차 산업혁명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4C(Critical Thinking, Creative Thinking, Communicating,
Collaborating)가 충분히 활성화될 수 있는 학생중심의 학교시설을 계획하여야 함.

시설
Critical Creative
2
Thinking Thinking

학생중심의 학교시설계획

communi- Collabo-
cating rating

[그림 8] 4차 산업혁명시대에 요구하는 학교시설의 방향

015
미래
학교
▶ 한국과 일본의 학교건축 전문가는 미래의 학교건축계획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함. 특히, 공통적으로 ‘가
정과 같은 학교’, ‘주거로서의 학교’처럼 안락하고 편안한 학교환경 조성을 중요한 계획방향으로 보고 있음.

시설
3 일본 우에노 준(2004)
[표 5] 미래학교건축의 계획방향(한국과 일본)

한국 이호진(1998)
(1) 학습센터 중심의 학교계획 (1) 교수-학습방법의 충족
(2) Open Space, 공간의 다양성 (2) 가변성, 다양성 충족
(3) 교과교실형의 중등학교 계획 (3) 가정과 같은 학교
(4) 주거로서의 학교 (4) 건물의 내외적 표현의미
(5) Community와 학교 (5) 학생의 Leisure Activity 충족
(6) 지역공공시설과 학교 복합화 (6) 학생의 미적(美的) 감각 충족
(7) 학교와 고령화시설의 연계 (7) 교육환경의 정보화
(8) 지구환경공생과 학교건축 (8) 실내조도, 소음, 환기, 냉/난방
(9) 학교선택제와 학교분할 (9) Community School

016
미래
학교
▶ OECD CELE(Center for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s)에서 주관한 최근 학교시설 전문가회의(GNE) 및 각종
컨퍼런스에서도 앞으로 학교시설이 나아갈 방향의 키워드를 ‘Creativity’와 ‘Innovation’을 강조함.

시설
4
Creativity
Innovation
[그림9] 학교시설 방향의 키워드

017
학교공간별 우수 사례
A. 일반교실
B. 특별교실(과학실, 기술실, 가정실, 음악실, 미술실 등)
02
C. 지원공간(체육관, 도서실, 컴퓨터실, 시청각실, 식당 등)
D. 공용공간(홀, 로비, 복도, 계단, 화장실 등)
E. 옥외공간(옥상, 발코니, 옥외놀이공간, 생태학습공간, 운동장 등)
일반교실 A
일반 South Region Elementary School, USA

교실 일반교실에도 컴퓨터를 설치하여 수업중간에


정보나 자료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함.

학생의 이해수준과 눈높이에


맞는 교재, 교구를 활용함.

학급당 학생수 감소로 발생


하는 잉여 책/걸상을 수준
별 학습에 활용함.

출처 : http://www.architizer.com/en_us/projects/view/south-regionelementary-school-9/45842/?sr=1
022
Holy Cross Primary School, Australia
일반
초등학교 저학년 교실의 경우 학급당 학생수 감소로 인해
여유면적이 발생하면, 따뜻한 패브릭 재질의 소파, 스툴 등
을 설치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형태를 유도함.
교실

초등학교 저학년 교실 내부
색채는 아동의 정서와 감성
등을 고려하여 온화한 난색
계열로 조성함.

책상 상판을 부드럽고 , 다
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1~2
인용 또는 조합이 모두 가
능하게 함.

출처 : http://qoharchitects.net.au/projects/educational/glendale
023
일반 Kastellet School, Norway

교실 일반교실을 “⊥”형태로 조성(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교실


면적과 동일)하여 최소 4가지 이상의 다른 교수-학습공간
을 확보할 수 있음(교실 내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 공간).

편안한 소파와 러그(rug)등


을 설치하여 이야기 방식의
수업과 쉬는 시간 학생들이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함.

학급교실 내에서 조별학습


이나 간단한 공동실습 등을
행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함.

024
International School of Stuttgart, Germany
일반
교실의 용도와 사용자 환경에 맞춰 다양한
학습 교구를 비치하거나, 학생들의 성과물
을 게시, 전시할 수 있도록 조성함.
교실

학생들의 키에 맞게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다목적 칠판
을 조성하여 사용 편의성을
높임.

책상을 활용하여 팀별 , 조
별, 그룹 학습 등 다양한 학
습규모가 가능하도록 충분
한 크기의 교실 공간을 조
성함.

025
일반 Hillyfield Primary School, UK

교실 학생들의 학업성취 결과물을 전시할


수 있는 충분한 벽면 게시판 또는 행거
(hanger)를 설치함.

필요 시, 원하는 정보를 검
색할 수 있는 컴퓨터를 교
실 내에 설치함.

026
오가타(緖方)중학교, 일본
일반
동일 학년 또는 동일 교과교실이 인접
할 경우, 필요 시에는 두 교실을 통합,
운영할 수 있도록 중간 문을 설치함.
교실

교실 사이의 중간 문은 칸
막이의 기능뿐만 아니라 칠
판 , 화이트보드 같이 가급
적 판서나 게시판 기능이
가능한 것으로 설치함.

학생 개인의 신체발달 수준
에 맞게 높낮이 조절이 가
능한 책/걸상을 설치함.

027
일반 Soldala Skolan, Sweden

교실

초등학교 저학년 교실의 경


우 바깥활동이 많으므로 ,
교실에서 직접 외부로 나갈
수 있도록 문을 설치함.

저학년 학급교실 내 여유면


적이 있다면, 이야기방식의
수업도 가능하도록 바닥에
러그 또는 카펫을 설치함.

028
Erika Mann Grundschule, Germany
일반
교실의 용도 및 사용 시간 등(특히, 바른 자세와 집중이 요구
되는 수업 시)에 따라 필요 시 스툴(hokki stool ; 바닥이 편평
하지 않고 곡면진 의자) 사용을 고려할 수 있음.
교실

팀별/조별 학습 시 넓게 펼
쳐야 하는 학습도구 , 교재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필
요 시 바닥에서도 학습활동
이 가능한 재질로 마감함.

교실은 가급적 바닥 냉/난


방이 가능하도록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029
일반 Futurum School, Sweden

교실 교실벽면을 활용하여 학생
개인의 성과물 / 과제물이
게시될 수 있도록 조성함.

초등학교 학급교실 내 교사
공간은 보다 아늑하고 포
근한 가정과 같은 분위기로
연출함.

030
메구로구립 이시부미초등학교(目黒区立碑小学校), 일본
일반
낮은 층고 ( 천장고 ) 의 경우 개방
감을 확보하기 위해 천장 마감을
노출로 하는 경우도 있음.
교실

노출 천정이지만 전등을 설
치하기 위한 격자(목재) 프
레임을 설치함.

031
일반 Wartburg Grundschule, Germany

교실 저학년 교실의 경우 학생들의 신장


을 고려하여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칠판을 설치함.

지상 1층에 위치한 교실의


경우 옥외활동이나 위급 시
대피 등을 위해 교실에서
옥외로 직접 나갈 수 있는
출입문을 설치함.

032
세다가야구립 교우사이초등학교(世田谷区立京西小学校), 일본
일반
일반 학급교실에도 학생들의 신장을
고려하여 가급적 높낮이 조절이 가능
한 칠판을 설치함.
교실

교실 중앙부를 가로 지르는
커튼을 설치하여 교실에서
도 남/여 탈의가 가능하도
록 함.

033
일반 John Perryn Primary School, UK

교실 일명 ‘오렌지 프로젝트’라고 하여 학교에 보급되는 고가


의 기자재는 생산시부터 오렌지색 커버로 생산됨. 이는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임.

2인용 책상 배치로 일반 강
의도 가능하며, 책상 두 개
를 붙여 4 인 팀별 / 조별 학
습도 가능하도록 충분한 면
적의 단위교실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

034
미나토시립 시바우라(港区立芝浦)초등학교, 일본
일반
실제 학교시설(교실)에 설치된 각종 설비기기(공조기, 열교
환기 등) 및 설비라인 등을 상시 점검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
해 의도적으로 노출시키기도 함.
교실

각종 설비기기 및 설비라인
등을 수업에 활용하기도 함.

학생들의 손이 닿는 부위는
목재로 보호하되 , 이를 교
실의 게시판 용도로 활용하
기도 함.

035
일반 Erika-Mann Grundschule, Germany

교실 잉여교실이 발생할 경우, 학교여건에 따라 필요한 교실로 재구조화하기도 함.(본 사례는 이민


지역에 위치한 학교로서 그 나라 언어소통능력이 부족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오디오 기기 등
을 통해 언어구사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조성된 교실임.)

우선 , 교실의 용도에 적합
하게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며 , 더 나아가 공간
을 이용하는 학생들에게 편
리하고 재미를 줄 수 있는
가구 등을 설치하는 것 역
시 매우 중요함.

출처 : http://www.baupiloten.com/projekte/erika-mann-grundschule-2
036
Wartburg Grundschule, Germany
일반
지상 1층뿐만 아니라, 모든 층의 교실에서 위급
상황 발생 시 직접 외부로 대피가 가능하도록 계
단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교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 지
상 2층 이상의 교실에서도
직접 외부공간으로 진 / 출
입이 가능하게 하여 옥외
활동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
요함.

037
열린 하카다(博多)초등학교, 일본

교실 열린 복도 등에 커튼을 설치(교실바닥으로부터 일
정간격을 띄움)하여 남/여 학생들이 탈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줌.

열린 복도는 학년별 행위/


활동에 맞게 다용도 / 다목
적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
직함.

038
하카다(博多)초등학교, 일본
열린
열린 교실일지라도 교실과
복도 사이에는 이동이 가능
한 가구 등을 설치함.
교실

열린 복도에 교사 스테이션
을 설치하여 쉬는 시간에도
생활지도, 관리, 상담 등을
할 수 있도록 함.
스테이션 뒤편에는 별도의
실로 구성된 교사공간을 확
보하고 있음.

039
열린 메구로구립 이시부미초등학교(目黒区立碑小学校), 일본

교실 열린 복도의 끝에는 수준별 수업이 가능한 공간


을 조성하거나, 탈의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커
튼을 설치할 수 있음.

열린 교실일지라도 필요에
따라서는 완전개폐가 가능
한 문을 설치함.

출처 :
040
특별교실
(과학실, 기술실, 가정실, 음악실, 미술실 등)
B
과학실 North Sydney Boys High School, Australia

이론과 실험, 실습을 병행할 수 있는 과학실은 블록타임과 같은


수업운영방식이 전제되었을 때 활용도가 더 높음.
본 과학실의 경우 이론 교과서도 과학실 내부에 비치되어 있음.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야 하


는 과학실의 경우 이론수업
과 실험, 실습(조별)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하나의 공간 안
에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042
The Jo Richardson Community School, UK
과학실
교단 쪽으로 열린 ‘□’자 형태의 맞춤형 교구를 제작
하여 이론과 실험, 실습이 모두 가능하도록 함.

이론수업시에는 ‘□’자 형
태의 변에 학생들이 앉아
수업을 하고 , 실험이나 실
습시에는 모서리에 조별로
모여 앉는 형태임.
모서리부위 팔각형에는 실
험, 실습에 필요한 각종 설
비 ( 전기 , 가스 , 수도 등 ) 가
설치되어 있음.

043
과학실 Kingsdale Foundation School, UK

과학실의 뒤쪽에 극장식 의자를 설


치하여 최소한의 이론수업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높임.

교사의 실험 , 실습 테이블
은 이론공간과 실험 , 실습
공간 사이에 배치하여 양쪽
모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

모든 실험 , 실습 테이블에
는 과학관련 실험 , 실습이
가능하도록 각종 설비 ( 전
기, 가스 등)를 설치함.

044
Friedrich 2 Highschool, Germany
과학실
실험, 실습에 필요한 각종 설비(가스, 전기 등)는 교실 상부에서 공급받
을 수 있도록 관련 설비를 천정에 설치, 조성함. 이는 각종 설비라인이
바닥에 설치되었을 때보다 학생들의 안전에 보다 유리함.

과학수업 내용에 따라 필요
시, 학생들의 실험, 실습 결
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
록 이동식 모니터를 등을
설치하기도 함.

045
과학실 Friedrich 2 Highschool, Germany

과학실에 필요한 각종 고가의 장비, 실험, 실습기기, 기구,


시약 등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최소 교
실의 0.5칸 규모)의 준비실을 과학실과 인접해서 설치함.

이론수업 후 학생들이 바
로 실험, 실습에 임할 수 있
도록 조별 실험 , 실습기구
등을 안전하고 , 편리하게
옮길 수 있는 이동식 카트
(cart)를 비치함.

046
Sutherland Secondary School, Canada
과학실
과학준비실 내에도 교사가 사전 실험, 실습을 해 볼
수 있도록 충분한 교사 업무 및 실험, 실습공간을
확보함.

고가의 흄 후드는 과학실과


준비실 사이에 설치하여 양
쪽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
도록 하는 것이 경제적임.

047
과학실 Latin School of Chicago, USA

과학실로 향하는 복도는 과학과 연관된 내용으로 벽


면이나 공간을 구성하여 학생들의 학습동기나 흥미
등을 유발시킬 수 있음.

필요에 따라서는 학생들의


과학과제물 이나 과학과 관
련된 학습 결과물 등을 전
시할 수 있음.

출처 : http://www.architizer.com/en_us/projects/view/latin-school-ofchicago/35557/?sr=1
048
Sutherland Secondary School, Canada
기술실
기술실의 경우 기술 교과활동에 필요한 전용공간(예, 목공
실, 금속실, 제도실, 금속실, 전기실 등)과 기술 교사실을 한
공간에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함.

기술실 내부에 필요한 모든


전용 , 부속공간을 모두 배
치함 . 본 기술실은 자재공
급이 수월하도록 지상 1층
에 배치하고 , 큰 출입구를
설치함.

필요에 따라 안전과 편리를


위해 공간별 별도의 출입문
을 설치할 수도 있음.

049
기술실 Sutherland Secondary Latin School, Canada

목공실의 경우 실제 현장 수준의 실
습 기기, 기구 등을 비치함.

목공실에 필요한 전기공급


은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천장으로부터 공급됨.

목공실의 경우 실제 자재의
크기, 이용하는 기기, 기구
등을 고려하여 층고(예, 간
단한 작업은 1개층 층고, 큰
목공작업은 2 개층 이상의
높이를 확보 ) 를 달리하여
공간을 조성함.

050
Sutherland Secondary Latin School, Canada
기술실
제도 또는 컴퓨터를 활용한 기술 교과 활동은
별도의 CAD실을 조성하여 실습함.

제도 또는 컴퓨터 작업에
의한 성과물을 직접 출력
가능한 기기도 구비함.

051
기술실 Sutherland Secondary Latin School, Canada

전기와 관련된 기술 교과 실습은 별도의 전기실


습실을 조성하여 실제 실습을 통해 습득함.

기술교과의 수업시수와 관
계없이 실습활동에 필요한
전용공간은 모두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052
Sutherland Secondary Latin School, Canada
기술실
상시 기술실을 관리하고, 충분한 수업준비를 할
수 있도록 기술실 내부에 교사실을 조성함.

기술실 내부를 쉽게 볼 수
있도록 기술 교사실 벽은
가시성이 있는 재료 ( 유리
벽)로 구성함.

053
가정실 Kingsdale Foundation School, UK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야 하는 가정실의 경우 이론


수업과 실험, 실습(조별)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하나
의 공간 안에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본 가정실은 이론수업을 위
한 공간(上)과 실습을 위한
공간 ( 下 ) 으로 구분하여 사
용함.
‘S’자형으로 디자인된 스테
인리스 재질의 실습테이블
중앙에 개수대를 설치하고,
양쪽 끝에 각각 인덕션을
설치하여 하나의 실습테이
블에서 2개 조가 동시에 실
습할 수 있도록 조성함.

054
치요우다구립 후지미(千代田区立富士見)초등학교, 일본
가정실
다목적이고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
습테이블을 설치하여 한 공간을 기술실과
가정실로 모두 활용할 수 있음.

실습테이블 한쪽 끝에 전
기 / 가스레인지를 설치하
고 , 다른 한쪽은 개수대를
설치함.
실습대 상판의 한 면은 기
술교과 활동을 위해 하이그
로시 재질로, 다른 한 면은
가정교과활동을 위해 스테
인리스재질로 마감함.

055
가정실 치요우다구립 후지미(千代田区立富士見)초등학교, 일본

실습 시 교사가 하는 실험, 실습 시범을 학생들


이 각자 본인의 실습자리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교사 실습대 상부에 반사경을 설치함.

교사의 실험 , 실습 시범을
학생들이 가까운 거리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교사 실
습대와 학생 실습대 사이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함.

056
Nordstjerneskolen, Denmark
가정실
가정교과와 관련된 이론수업과 실습을 병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의 가정실을 조성함.

실제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실습할 수 있도록
각종 기구(예, 오븐, 세탁기,
세척기 , 전자 / 전기레인지
등)를 구비함.

이론 수업을 위한 테이블은
요리실습에서 만든 음식을
함께 나눠 먹을 때 식탁용
도로 활용하기도 함.

057
가정실 Hilde Domin Schule, Germany

실습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


정에서 실제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기기나
기구 등으로 실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실습에 필요한 여러 가지
가전기기(예, 전기/가스 오
븐 , 세탁기 , 전기 / 전자 인
덕션 등)들이 빌트인(built-
in)되도록 실습대를 조성하
는 것이 바람직함.

058
치바시립 우타세(千葉市立 打瀨)중학교, 일본
음악실
음악실은 학교규모와 관계없이 악기연주를 위한
교실과 노래 합창을 위한 교실로 최소 2개 이상의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악기연주를 위한 음악실과
노래합창을 위한 음악실간
에 중간 문을 설치하여 수
업 중간에도 두 개의 공간
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
도록 배치함.

059
음악실 치바시립 우타세(千葉市立 打瀨)중학교, 일본

악기연주를 위한 음악실 내부의 의자는 학생들


이 이동하기 편리하고 가벼운 의자를 비치함.

악기연주를 위한 음악실
은 방음이 되도록 조성하여
야 함.
음악실 내부 또는 인접한
곳에 악기를 보관할 수 있
는 악기 보관실 또는 악기
보관함을 충분하게 설치해
야 함.

060
치바시립 우타세(千葉市立 打瀨)중학교, 일본
음악실
노래합창을 위한 음악실은 획일적인 규모(교실의 1.5칸)와 형태를
탈피하여 학교 여건에 적정한 형태와 규모로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노래합창을 위한 음악실은
방음이 되도록 조성하여
야 함.
아울러, 합창하기에 적합한
둥근 형태의 계단식 구조로
조성하는 것도 매우 좋은
방법임.

061
음악실 International School of Stuttgart, Germany

기존 음악실에 여유공간이 있을 경우, 악기연주와


노래합창이 하나의 공간에서 가능하도록 음악실 내
에 이동식 계단을 설치하기도 함.

본 사례는 기존 하나의 음악
실 안에서 악기연주 공간과
노래합창 공간을 적절하게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음.

062
미나토시립 시바우라(港区立芝浦)초등학교, 일본
음악실
그룹 음악연습실 또는 개인 음악연습실은 음악실과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그룹 또는 개인 음악연습실
문에는 밖에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반드시 창을 설
치함.

그룹 또는 개인 음악연습
실은 음악실 내부에서 직
접 출입이 가능하게도 조성
하지만, 방과후 이용시간을
고려한다면 별도로 복도에
서 출입이 가능하도록 조성
하는 것이 바람직함.

063
음악실 Rauman Normaalikoulu, Finland

소음이 많이 발생하는 악기연주 음악실을 체육관에 인접, 배치하여 정규


수업시간, 동아리시간뿐만 아니라, 방과후 시간까지 활용하고 있음.

본 음악실은 기존 체육관
옆에 조성하였으며, 체육관
에서 수시로 이루어지는 연
주회 시 악기 이동을 수월
하게 하기 위해 음악실 바
닥높이를 체육관 무대 높이
와 동일하게 조성함.

064
오가타(緖方)중학교, 일본
미술실
일반교실을 활용하여 이론 수업과 회화 중심의
미술실을 조성하기도 함.

미술교과 활동이 가능하도


록 상판에 틸팅(tilting)기능
이 있는 책상을 설치함.

065
미술실 Handsworth Secondary School, Canada

학교규모에 관계없이 미술실은 그리기, 색채 등 회화 위주의 미술실, 조소, 공예 등 만


들기 위주의 미술실, 사진, 컴퓨터 그래픽 위주의 미술실, 교사연구실, 준비실 등으로
다양하게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본 미술실은 그리기 , 색채
등 회화 위주의 미술실로
용도에 적합한 넓은 실습테
이블과 충분한 개수대 , 건
조대 등을 설치함.

066
Handsworth Secondary School, Canada
미술실
포토(photo), 컴퓨터 등을 활용한 디자인 수업이 가능한
적정한 크기의 미술실을 조성하기도 함.

가장자리에는컴퓨터를 활
용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
하고 , 중앙에는 공동으로
작업할 수 있는 실습테이블
또는 공동 실습기기 , 기구
를 설치함.

067
미술실 Handsworth Secondary School, Canada

학교에서 도자기 수업을 통해 만든 작품을 학생들이


직접 구워서 완성할 수 있도록 가마를 설치함.

회화, 서예, 판화, 공예, 도


예, 포토, 그래픽 등 미술교
과에서 다룰 수 있는 모든
활동이 실제 학교에서 이루
어질 수 있는 여건을 조성
하는 것이 바람직함.

068
지원공간 C
(체육관, 도서실, 컴퓨터실, 시청각실, 식당 등)
드라마 Ørestad School, Denmark

실 특정교과 또는 특정시간이 아닌 항상 열린 공간으로 모든 교과에서


누구나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드라마실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
직함.(기존 잉여교실을 드라마실로 구축하기도 함)

초등학교의 경우 드라마실
은 필수시설로 조성되는 것
이 좋으며 , 실내에는 방음
시설과 무대장치 그리고 ,
거울 등을 설치하여 무용실
로 활용하기도 함.

070
시끼(志木)초등학교, 일본
시청각
시청각실의 이용률을 극대화하기 위해 극장식 의자를 설치하더라도
드라마실이나 다목적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전동식으로 수납이
가능한 극장식 의자를 설치하는 것이 좋음.

바닥을 목재마감으로 처리
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활동
( 예 , 무용 , 댄스 , 사물악기
연주, 연극 등)을 할 수 있게
하며, 충분한 부속시설(예,
준비실 , 수납공간 또는 수
납장)도 조성함.

071
도서실 Coatesville Primary School, Australia

다양한 행위 및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서실 내 공간


을 다양하게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예를 들어, 도서실 내 수업도 가능한 공간을 조성함.

학생들이 자유롭게 발표할


수 있는 소규모 무대도 설
치할 수 있음.

최소한 도서실은 무선인터


넷 환경을 구축하여 언제든
지 정보검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출처 : http://www.idea-awards.com.au/2012/coatesville-primary-school
072
Ravenswood School for Girls, Australia
도서실
교과목에 관계없이 도서실을 활용한 수업이 가능하도록
공간을 조성함.(본 사례는 열린 교실형태로 조별 학습이 가
능한 테이블과 카펫으로 공간의 영역을 표시함.)

서가를 낮게 하여 도서실
내부를 보다 개방감 있고 ,
쾌적하게 조성하는 것이 좋
으며 , 필요에 따라 다양한
도서실 내부 공간 조성을
위해 이동식 서가를 배치하
기도 함.

출처 : http://www.idea-awards.com.au/2012/ravenswood-school-girls
073
도서실 Coatesville Primary School, Australia

도서실 내부의 적정한 장소에 소파나 카펫을 설치


하여 편안하고 자유롭게 독서를 하거나 간단한 휴
식이 가능하도록 함.

도서실 내부에 소규모 토론


실 또는 작업공간을 마련
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행위
및 활동을 지원할 수 있게
조성함

출처 : http://www.idea-awards.com.au/2012/coatesville-primary-school
074
Coatesville Primary School, Australia
도서실
도서실 내부에 이야기 방(storytelling, nest, nook 등)을 설치하여
학생들이 자유롭게 토론, 토의할 수 있도록 함.

이야기 방은 가급적 포근하


고 , 아늑한 분위기의 색채
(난색계)와 재료(카펫)를 사
용하여 학생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조성함.

출처 : http://www.idea-awards.com.au/2012/coatesville-primary-school
075
도서실 St. Thomas School, USA

도서실 한쪽 벽면 일부에 바닥을 2~3단 낮게 계


단을 조성하여 VOD 등 시청각 자료도 볼 수 있
는 아늑한 공간을 조성함.

바닥공사가 어려운 기존 도
서실에 이와 같은 시청각
공간을 확보하고자 할 경
우 , 이동식 계단형 구조물
을 설치할 수도 있음.

076
Maglegård School, Denmark
도서실
도서실 내부의 모든 환경은 학생들의 편리함과 안전함, 그리고
쾌적함이 우선되어야 함.
이를 위해 가볍고 이동이 편리한 스툴(stool)을 비치하기도 함.

학생들이 원하는 장소 어디
에든 앉아서 독서할 수 있도
록 가벼운 방석도 비치함.

학생들이 편안하게 독서할


수 있는 빈백 (beanback) 도
비치함.

077
도서실 American School of the Hague, Netherlands

무엇보다 도서실은 가정보다 더 편안하고 아늑하며 쾌적하


게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 이를 위해 가급적 난색계열의 색
채와 패브릭, 카펫 등의 재료를 많이 사용함.

아늑하고 편안한 분위기 조


성을 위해 흔들의자 및 안
락한 소파를 비치함.

078
Maglegård School, Denmark
도서실
도서 대출 및 반납 등 도서실 내 모든 행위를 학생이 스스로
자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그에 맞는 공간과 가구를 조성함.

저학년과 고학년 학생의 신


장 차이를 고려하여 도서실
내 대출데스크의 높이를 각
기 다르게 조성함.

079
도서실 AHS Heustadelgasse, Austria

학생의 심리적 상황에 따라 필요 시 혼자 독서하거나


사색할 수 있는 조용한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함.

도서실 내 모든 공간마다
전원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080
St. Joseph's Primary School, Australia
도서실

도서실과 인접한 옥외공간


이 있는 경우, 데크(deck) 등
을 설치하여 야외 독서공간
을 확보하는 것도 바람직함.

날씨가 좋은 날에는 도서실


에서 직접 옥외로 나가 독
서나 야외수업도 가능한 옥
외 공간을 조성함.

출처 : http://www.architizer.com/en_us/projects/view/hall-library-at-stjosephs-primary-school-wingham-australia/49777/?sr=1
081
컴퓨터 Northamton Academy, UK

실 컴퓨터실을 계단식 교실로 구성하면, 책상의 높이 차이로 인해


앞뒤 학생의 책상이 이론 수업 시 사용하는 책상(뒤)과 실습 시
사용하는 책상(앞)으로 자동 구분됨.

계단식 교실 구조로 이론수


업 시에는 정면의 칠판을
향해 앉고, 실습 시에는 뒤
돌아 앉으면 교사가 한자리
에서 학생들의 이론수업과
실습하는 컴퓨터모니터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음.

082
Hillyfield Primary School, UK
컴퓨터
학생들의 컴퓨터 실습을 교사가 모니터링 하기 쉽도록
컴퓨터를 교실 가장자리에 배치함. 실

컴퓨터실에서의 이론수업
은 교실 중앙(바닥)에 앉아
실시함 . 필요에 따라 카펫
을 깔기도 함.

083
체육관 Mare college, Netherland

소규모의 다목적 강당 또는 체육관일지라도 학생들


의 다양한 체육활동을 위해 벽, 천정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체육기구들을 설치함.

다양한 경기가 가능하도록


경기종목별 색채로 구분하
고 , 경기장 가장자리로 여
유공간이 없을 경우 충격을
최대한 흡수할 수 있는 재
료로 마감함.

084
Grundschule Gemeinde Schulzendorf, Germany
체육관
하나의 체육관 내에서도 동시에 2개 학급 이상이 수업할 수 있도
록 전동식 칸막이를 설치함. 칸막이 하부에는 공간간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출입문을 설치함.

체육관 내부에 필요한 부속


시설(기구실, 탈의/ 샤워실,
화장실 등) 상부 공간을 활
용하여 관중석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085
체육관 Edmons Woodway Highschool, USA

다양한 체육경기를 통해 학생들의 체력뿐만 아


니라, 협력, 소통, 리더십 등이 향상되므로, 가급
적 관중석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전동식 수납형 관중석을 설


치하면 , 공간 활용의 효율
성을 높일 수 있음.

086
다카나와다이초등학교(高輪台小学校) , 일본
체육관
학교 대지가 협소하여 지상에 체육관을 조성할 수 없을 경우, 운동장
하부(지하)에 체육관을 설치할 수도 있음.
이 때 쾌적한 공기질을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설비장치가 필요함.

체육관 내부에 필요한 부속


시설(기구실, 탈의/ 샤워실,
화장실 등) 상부 공간을 활
용하여 관중석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087
체육관 Kotimäen Koulu, Finland

체육관 벽면을 활용하여 실내 클라이밍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구들을
설치함.

실내 클라이밍의 경우 학생
들의 안전을 위해 반드시 안
전매트를 설치해야 하며, 매
트의 안전장치는 반드시 교
사 ( 성인 ) 만 관리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하여 학생들끼
리만 이용할 수 없도록 함.

088
American school of the Hague, Netherland
체육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도 근력, 지구력, 균형감각,
집중력 등을 키울 수 있도록 벽면에 낮은 높이의
실내 클라이밍 장치를 설치함.

체육관 소음방지를 위해
벽면 하단부를 흡음재로
마감함.

089
체육관 아게오시립 후지미(上尾市立富士見)초등학교, 일본

체육관 벽면에 거울을 설치하여 무용, 에어로


빅 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함.

거울 파손 방지를 위해 견고
한 재질의 문(sliding door)을
설치함.

090
키타시로이시초·중일관학교(札幌市立北白石小学校・中学校), 일본
체육관
체육관 부속시설 중 체육기구보관실의 문은 수시로 사용함에
있어 편리하도록 최대한 넓게 개방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
(sliding door)로 설치함.

체육기구실의 통풍과 환기
를 위해 문 하부에 갤러리
창을 설치함.

091
체육관 키타시로이시초·중일관학교(札幌市立北白石小学校・中学校調査), 일본

체육기구실의 폭은 최대한 넓게, 깊이는 짧게


조성하는 것이 사용하기에 편리함.

기구실 내부의 바닥은 내구


성 , 내수성이 강한 재질로
마감함.

092
미나토시립 시바우라(港区立芝浦)초등학교, 일본
체육관
체육기구보관실 내부의 체육기구들을 밖에서도
볼 수 있도록 개방형 문을 설치함.

체육기구실의 적극적인 통
풍과 환기를 위해 갤러리문
을 설치함.

093
체육관 치바시립 우타세(千葉市立 打瀨)중학교, 일본

체육관 무대 하부에 학교행사 시 사용하는


의자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함.

체육관 무대 하부에 수납장


설치 시 수납하고자 하는
하중을 고려하여 견고한 레
일을 설치해야 함.

094
Sutherland Secondary School, Canada
체육관
모든 학생들에게 공정한 시험 환경을 조성해 주기
위해 체육관을 시험장소로 활용하기도 함.

특히 교과교실제를 운영하
는 중등학교의 경우 , 교과
교실 내 시험과 관련된 자
료가 상시 게시되어 있어
체육관에서 학년별로 요일
을 달리하여 하루 종일 시
험을 치르기도 함.

095
체육관 Corpus Christi Primary School, Australia

지상 1층에 위치한 체육관의 경우, 운동장 또는 옥외공간과의


연계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체육관 한쪽 벽면을 전면 개방할
수 있음.

단 , 잔디운동장이 아닌 일
반 ( 마사토 ) 운동장의 경우
모래 , 흙먼지 등이 체육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에 유의
해야 함.

출처 : http://qoharchitects.net.au/projects/educational/corpus
096
Ørestad School, Denmark
레고실
휴식시간이나 동아리 시간 또는 방과후 시간에 학생들이 자유
롭게 레고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함.

레고실 벽면은 학생들이 실


제 만든 작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조성함.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레고
실이 아니더라도 다양한 창
의적 교구, 블록, 재활용품
등을 활용한 창의적 포켓
공간을 설치하는 것이 창의
력 신장에 도움이 됨.

097
식당 미나토시립 시바우라(港区立芝浦)초등학교, 일본

식당에 여유공간이 있을 경우 일부 공간을 활용하여 요리실을 조성


할 수 있음. 이 경우 대부분의 설비(전기, 가스, 수도 등)가 기 구축되
어 있기 때문에 경제적임.

식당의 테이블은 요리실의


다목적 용도(예, 이론수업,
요리품평회 등 ) 로 활용이
가능함.

098
Wartburg Grundschule, Germany
교재실
교사들이 필요 시 언제든지 학교별/교과별/학년별 교재를
개발할 수 있도록 교재실을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함.

학교 여건에 따라 잉여공간
을 활용하여 교재실을 설치
한다면, 교재보관뿐만 아니
라, 교재제작, 교재개발, 교
사협의공간 등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있도록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099
상담실 International School of Stuttgart, Germany

상담실, We-class 등의 공간은 학생들이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실내 환경을 보다 편안하고 아
늑하게 가정적인 분위기로 연출하는 것이 중요함.

학생들이 심리적으로 안정
될 수 있는 색채와 재질의
소파, 카펫 등을 설치함.

100
Sydney Girls High School, Australia
고3
고등학교의 경우 특히, 고3학생의 스트레스를 해소해
주기 위해 고3학생만 이용할 수 있는 전용 휴게공간
(lounge)를 계획하는 것도 매우 효과적임.
휴게실

고 3 라운지에는 이야기공
간, 열람공간 개인/그룹 학
습공간, 냉장고, 토스트기,
전자레인지 , 싱크대 등이
구비되어 있음.

101
ICT기기 Berlin Brandenburg International School, Germany

수리실 최근 학교에 ICT기기의 보급, 활용이 늘어남에 따라 ICT기기 수리 등을


위한 전문업체가 교내에 상주하는 A/S센터를 운영하기도 함.

최근 북유럽에서는 초등
학교에 개인별 디바이스
(device) 를 국가가 지급하
고 , 일정 시기가 도래하면
학생들에게 중고가로 구입,
소유할 수 있도록 그 여부
를 묻기도 함.

102
공용공간
(홀, 로비, 복도, 계단, 화장실 등)
D
로비 St. Thomas School, USA

홀 중학교 교실 앞에 위치한 홀 겸 복도 공간을 학생들이 편안하고


안락하게 쉴 수 있도록 가정집과 같은 분위기로 연출함.

학생들의 인성함양에 긍정
적 도움이 되도록 가정집에
서 흔히 볼 수 있는 소파, 카
펫 등으로 편안한 실내 환
경을 조성함.

104
Eudora Elementary School, USA
로비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학생들이 쉬는 시간뿐만 아니라 수업시
간에도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무대를 로비, 홀, 복도 등에 설치
하기도 함.

사용하는 학생들의 연령과


활동의 특성을 고려하여 색
채를 결정함.
일반적으로 녹색계열은 평
온한 색채로서 눈의 피로감
을 줄여주고 , 집중하는데
유리한 색채임.

출처 : http://www.architizer.com/en_us/projects/view/eudora-elementaryschool/40134/?sr=1
105
로비 Ørestad School, Denmark

홀 실내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회용


덧신을 이용하기도 함.

홀, 로비, Oenn Space 등에


바닥놀이패턴을 설치하고
쉬는 시간 또는 방과후 시
간에 학생들이 자유롭게 놀
이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함.

106
Ørestad School, Denmark
로비
학생들이 쉬는 시간, 동아리 시간, 방
과후 시간 등에 자유롭게 놀이할 수
있는 다양한 기구들을 설치함.

자기 혼자만의 시간 , 휴식
등을 위한 1인용 공간(소파)
도 홀이나 로비 곳곳에 조
성하기도 함.

107
로비 Ørestad School, Denmark

홀 로비, 홀, Open Space 등 여유 공간에 탁구대, 미니


축구대 등 다양한 운동, 놀이기구 등을 설치함.

통행이 아닌 운동이나, 게임
공간임을 알리기 위한 영역
성 표현으로 바닥재료 또는
패턴을 달리하기도 함.

108
Ørestad School, Denmark
로비
학생들이 혼자만의 휴식이나 생각을 할 수 있도록
때로는 조용하게 혼자 편히 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
해 주는 것이 좋음.

재미와 함께 조용한 휴식에


적합한 환경 (전망, 가구 등)
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함.

109
로비 Ordrup School, Denmark

홀 특히, 초등학교의 로비, 홀, Open Space 등 여유 공간에 유희적인


형태의 가구 설치를 통해 편안하고 다양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함.

이러한 편안한 분위기의 공


간은 정보검색, 숙제, 부모
와의 대화 등 학생들의 다
양한 활동 장소로 활용될
수 있음.

출처 : http://www.architecturenewsplus.com/projects/1219
110
Ordrup School, Denmark
로비
특히, 초등학교의 로비, 홀, Open Space 등 여유 공간에 아이들의
창의성 함양에 도움이 되는 유희적 공간(예, 다락 등)을 조성함. 홀

로비 , 홀 중간중간에 방과
후 자녀를 데리러 온 부모
와 함께 시간을 보낼 수 있
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도
중요함.

출처 : http://www.architecturenewsplus.com/projects/1219
111
복도 Ordrup School, Denmark

특히, 초등학교의 복도, Open Space 중간중간


에 자기표현을 할 수 있는 무대를 조성하여 다
양한 놀이, 수업 등에 활용함.

저학년 , 고학년에 따라 색
상과 공간 구성 등을 특색
있게 달리 조성하는 것이
좋음

출처 : http://www.architecturenewsplus.com/projects/1219
112
Ordrup School, Denmark(좌)・Traumbaum Day Care Centre, Germany(우)
복도
특히, 초등학교의 복도, Open Space 등 벽면을
활용한 유희적 공간이 아동들의 창의성 함양
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

유희적 공간 조성 시 학생
들의 건강과 안전을 고려한
디자인과 재료 선택도 매우
중요함.

출처 : http://www.baupiloten.com/projekte/traumbaum(좌) · http://www.architecturenewsplus.com/projects/1219(우)
113
복도 Ordrup School, Denmark

발(foot)모양의 매트를 벽에 비치하여 필요에 따라


학생들이 스스로 매트를 가지고 바닥 어디에든 깔
고 숙제, 공부 등을 할 수 있도록 함.

복도 등에 책 / 걸상을 배치
하여 방과후 숙제 또는 공부
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함.

출처 : http://www.architecturenewsplus.com/projects/1219
114
Erika-Mann Grundschule, Germany
복도
교실 앞/뒤 출입문 이외에 교실 중간쯤 교실에서 복도로
통하는 개구멍(dog hole)을 설치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는 유희적인 요소를 도입함.

용 (dragon) 의 날개처럼 유
희적 요소를 복도의 긴 벤
치나 조명기구 등의 디자인
요소로 적용함.

출처 : http://www.baupiloten.com/projekte/erika-mann-grundschule-2
115
복도 Taka Tuka Land Day Care Centre, Germany

특히, 초등학교 저학년 교실 복도의 게시판 높이는 학생


들의 신장(아동의 눈높이)을 고려하여 복도 벽면 아랫부
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학생 개인사물함은 시건 장
치가 견고하고 , 충분한 크
기의 사물함을 배치함.

출처 : http://www.baupiloten.com/projekte/kita-taka-tuka-land-2
116
Kotimäen Koulu, Finland(좌)・Grona Dalen, Sweden(우)
복도
벽에 탈/부착 기능이 있는 방석을 복도 중간중간에
설치하여 학생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

누구나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전원장치기구로 언제
어디서든 사용이 가능하도
록 함.

117
복도 Nordstjerneskolen, Denmark

복도, 홀, 로비 등에 안락한 소규모 포켓 공간을 조성


하여 학생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

학생들이 편안하게 쉬거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빈
백(bean back) 등을 설치함.

출처 : http://www.architizer.com/en_us/projects/pictures/new-cityschool/51952
118
Nordstjerneskolen, Denmark
복도
복도 중간중간에 소규모 포켓 공간을 조성하면, 소규
모 강의, 그룹 학습, 쉬는 시간 또는 방과후 놀이공간
등 학생들 스스로가 다양하게 사용함.

사용하는 학생들의 연령을


고려하여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로 연출함.

119
계단 Greenman School, USA

넓은 계단의 일부 또는 계단참 부분 등
을 활용하여 무대의 객석으로도 활용
할 수 있음.

계단을 무대 객석으로 활용
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으
로 드라마 공간을 조성할
수 있음.

출처 : http://www.architizer.com/en_us/projects/view/greenmanschool/41010/?sr=1
120
Laurel Park Elementary School, USA
경사로
경사로(ramp) 참을 독서공간, 휴게공간,
놀이공간 등 다양한 공간으로 조성할 수
있음.
(Ramp)

계단 , 경사로의 참을 이용
해서 공간을 조성할 경우 ,
학생들의 안전을 충분히 고
려해야 함.

출처 : http://www.architizer.com/en_us/projects/view/laurel-parkelementary-school/9692/?sr=1
121
계단 히가시 삿포르초등학교(札幌市立東札幌小学校), 일본

계단은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곳임.


따라서 계단을 (상/하 방향)이용하는 학생이 서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계단참 벽에 거울을 설치하기도 함.

학생들의 안전을 위해 계단
중간 벽을 타고 내려오지
못하도록 장애물을 조성함.

122
치요우다구립 후지미초등학교(千代田区立富士見小学校), 일본
계단
특히, 계단에서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미끄럼 방지 바닥 마감재
사용과 장애우를 위한 점자블록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함.

특히 , 초등학교의 계단 및
경사로 핸드레일은 학생들
의 신장을 고려하여 높이를
달리 설치하여야 함.

123
실내 Evangelische Gesamtschule, Germany

정원 교사동 내에 쾌적한 공간으로 실내 정원을 조성하기도 함.


이러한 경우 실내에서도 관리하기 수월한 수종 선택이 중요함.

실내정원에 수공간을 설치
할 경우, 보다 쾌적한 환경
을 유지할 수 있음.

124
John Perryn Primary School, UK
화장실
양성평등차원에서 남/여 화장실을 구분하지 않고,
1인용 화장실로 남/여 학생 누구나 이용할 수 있음.

화장실 내부에는 변기뿐만


아니라. 거울, 세면대, 물비
누, 휴지통, 티슈 또는 핸드
드라이기 등이 설치될 수
있게 충분한 크기로 조성되
어 있음.

125
화장실 Munkegåards School, Denmark

기존 화장실의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자연을


소재로 디자인 된 마감재를 화장실 벽, 바닥 등
에 사용하기도 함.

새로운 마감재로 실내환경


을 개선하고자 할 경우, 미
끄럼 방지 등 마감재의 안
전성을 확인한 후 신중히
선정하여야 함.

출처 : http://www.worldbuildingsdirectory.com/project.cfm?id=2423
126
치요우다구립 후지미초등학교(千代田区立富士見小学校), 일본
화장실
화장실 내부에 자연채광을 도입하기 위해
유리 블럭을 사용하기도 함.

화장실 출입부분에 학생들


이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
도록 소파, 스툴(stool) 등을
설치하기도 함.

127
실내 Kingsdale Foundation School, UK

중정 기존 교사동 사이의 옥외공간을 실내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경량의 지붕을 설치하여 아트리움(atrium) 또는 실내
정원을 조성하기도 함.

실내 정원 조성 시 유지 관
리가 수월한 수종 선정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됨.
아울러 , 쾌적한 환경 유지
를 위해 통풍시설도 설치하
여야 함.

128
Justus von Liebig Schule, Germany
실내
실내 아트리움(atrium) 또는 실내 정원 천창에는 자
연 채광과 통풍을 고려(예, 센서에 의한 자동시스
템 설치)하여야 함.
중정

천창에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쏠라 셀 (solar cell) 을
설치하기도 함.
이러한 경우 대부분 교육용
도로 활용하기 위해 에너지
생산량을 모니터링 하는 장
치를 설치함.

129
사물함 Kingsdale Foundation School, UK

학생 개인 사물함도 사용하는 학생의 학년


에 따라 크기(대/소)를 구분하기도 함.

도난방지의 목적으로 학생
개인사물함에는 학생 ID카
드로 개폐할 수 있는 시건
장치를 설치함.

130
Handsworth Secondary School, Canada
대피로
건물 각층마다 복도의 동일한 위치에 화재 또는 위급
시 학생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실제 건물도
면 위에 대피로를 표기함.

각 층의 어떠한 공간에서도
학생들이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표기하는 것이
중요함.

131
사인 John Perryn Primary School, UK(좌)·Sutherland Secondary School, Canada(우)

(sign) 지진 발생 시 학생들이 대피하는 요령을 픽토그램(pictogram)과


함께 글로 설명하는 사인보드를 복도 중간중간에 설치함.

화재 발생 시 학생들도 픽
토그램과 설명에 의해 행동
할 수 있도록 안내문을 설
치함.

132
옥외공간 E
(옥상, 발코니, 옥외놀이공간, 생태학습공간, 운동장 등)
옥외 하카다(博多)초등학교, 일본

교실 교사동 최상층의 (실내)교실 하나를 옥외교실로 조성함


으로써 옥외학습공간을 조성하기도 함.

교실간의 이동을 위하여 복


도를 설치하되 , 복도 상부
에 쏠라 셀(solar cell)을 설
치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기
도 함.

생산된 에너지를 교육용으


로 활용하기 위해 모니터를
반드시 설치함.

134
동경 코우와(光和)초등학교, 일본
옥외
최상층 교실 하나를 옥외교실로 조성하여 환경교실 등 옥외
학습공간으로 활용함.
공간 상부에 쏠라 셀을 설치하여 에너지를 생산하기도 함.
교실

지붕에서 모인 빗물을 지하
저수조로 모으기 위해 경사
로를 설치함.
모여진 우수는 화장실 세정
수 또는 조경수로 재활용
(recycle)함.

135
옥외 Köln Freie Waldorf Schule, Germany

공간 축구 경기만을 위한 운동장 조성보다는 학교 교육과정과 학생들


의 정서를 고려한 다양한 바깥 활동에 적합한 옥외공간을 조성
하는 것이 중요함.

옥외공간은 생태적으로 조
성하는 것이 기본이며 , 필
요에 따라 생태연못 등을
조성함.

136
Gammel Hellerup High School, Denmark
운동장
협소한 대지에 운동장과 교실공간을 확보하고자 할 경우,
운동장 가장자리를 들어올려 하부에 교실공간을 조성함.

운동장 하부의 교실공간으


로부터 직접 운동장으로의
출입구를 설치하며, 들어올
려진 가장자리는 관람석으
로 활용함.

137
운동장 Evelyn Grace Academy, UK

지역주민이 학교 운동장(특히, 축구 경기)을 사용


하는 경우, 학교 보안을 위해 운동장과 교사동 사
이에 펜스(fence)를 설치함.

지속적인 유지관리, 학생건


강 , 이용률 등을 고려하여
인조 또는 천연잔디 운동장
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138
Erika Mann Grundschule, Germany
놀이
특히, 초등학교 옥외 놀이공간의 놀이기구는 자연과 어울
리게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단순한 구조물의 놀이기구는 학생안전에 주의하여야 함.
공간

놀이공간의 바닥재는 학생
들의 건강과 안전에 무해한
재료를 사용함.

139
놀이 Redding School of the Arts, USA

공간 특히, 초등학교의 외부 놀이공간을 음악적 요소와


함께 조성하는 것은 놀이학습 차원에서 유리함.

내구성과 내수성이 강한 재
질의 음악 놀이기구를 설치
하고 , 바닥재는 가급적 친
환경재료를 사용함.

출처 : http://www.architizer.com/en_us/projects/view/redding-school-of-thearts/35411/?sr=1
140
Karoline Kaspar Schule, Germany
놀이
특히, 초등학교 옥외 공간은 자연 그대로의 공간
으로 조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함. 공간

실제 아이들은 자연지형 ,
지물 등을 이용하여 그들만
의 독창적인 놀이패턴을 창
출하기도 함.

141
놀이 Ørestad School, Denmark

공간 실제로 아이들이 원하는 바닥놀이 패턴으로 조성


하여 쉬는 시간, 점심 시간, 방과후 시간 자유롭
게 놀이함.

구기놀이 장소의 경우 필요
에 따라 경계부에 울타리를
설치하기도 함.
학교에 따라서는 쉬는 시간
을 짧은 쉬는 시간 (5 분 ) 과
긴 쉬는 시간(20분)으로 구
분하여 운영하기도 함.

142
American School of The Hague, Netherlands
놀이
저학년 놀이공간의 경우, 자연지형, 지물을 충분
히 살려 자연에 가깝게 옥외(놀이)공간을 조성함. 공간

특히 , 초등학교 옥외 공간
은 저학년 놀이공간과
고학년 놀이 공간으로 구분
하는 것이 바람직함.

143
놀이 Hilde Domin Schule, Germany

공간 옥외 놀이기구는 내구성, 내수성 등 강한


재질(예, 스테인리스 등)로 제작함.

옥외 놀이기구는 평평한 대
지에 완성된 제품을 설치
하는 것보다는 자연둔덕 등
기존 자연과 조화롭게 설치
하는 것이 보다 더 안전함.

144
Ørestad School, Denmark
놀이
필로티(piloti) 구조의 건물 1층 공간도 트램펄린(trampoline)
등 다양한 놀이기구를 설치하여 학생들이 자유롭게 이용
할 수 있도록 함.
공간

우천시 필로티 공간에서도


옥외(학습, 놀이 등)활동이
가능한 재질의 바닥재를 설
치함.

145
놀이 Ordrup School, Denmark

공간 학생들이 좋아하는 보드타기의 경우도 학교에서 안전하게


배울 수 있도록 공간을 조성해 주는 것이 바람직함.

옥외 놀이기구의 디자인(색
채 등)도 학생들이 직접 수
업(미술, 기술 등)시간을 통
해 표현하는 것도 유지 관
리에 효과적임.

146
Taka Tuka Land Day Care Centre, Germany
옥외
대부분 지상 1층에 위치한 병설 유치원의 경우 교실에서 직
접 바깥놀이활동 공간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유희적이고
안전한 구조물을 설치함.
공간

모래놀이공간의 경우 유아
의 건강을 위해 청결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
이 중요함.

출처 : http://www.baupiloten.com/projekte/kita-taka-tuka-land-2
147
생태 미나토시립 시바우라초등학교(港区立芝浦小学校), 일본

학습 옥외 공간에 실제 학생들이 직접 농작물을


가꾸고 수확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공간을

공간
조성함.

실제 학생들이 재배한 농작
물은 직접 수확하여 요리하
는 과정까지 체험하는 것이
효과적임.

148
세토시립 시나노다이(愛知県瀬戸市上品野台)초등학교, 일본
생태
생태연못 또는 자연관찰학습원은 옥외 학습공간으로써 매우 중요
한 공간임. 단, 공간조성 시 유의할 점은 자연그대로의 생태적으로 학습
공간
조성하여야 함.

특히 , 생태연못 , 자연관찰
학습원을 관찰하기 위한 관
찰로는 조성된 공간사이에
설치하여 학생들이 가까운
거리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149
생태 Wartburg Grundschule, Germany

학습 학교에 조성된 실개천은 실제 학생들이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

공간

학교 내 실개천은 대기중의
공기를 쾌적하게 해주고 ,
지구온난화 방지에도 효과
적임 . 따라서 교육적 차원
에서라도 가급적 실개천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함.

150
Hilde Domin Schule, Germany
생태
특히, 생태연못은 학교에서 보다 쉽게 유
지,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조성하는 학습
공간
것이 바람직함.

학교 내 생태연못 또는 자연
관찰학습원과 인접한 곳에
움집(수혈주거) 모형을 조성
하여 학습장소로 활용함.

151
옥상 시끼(志木)초등학교, 일본

텃밭 옥상을 활용하여 학급별 텃밭을


조성할 수 있음.

기존 옥상에 텃밭을 조성하


고자 할 경우 특히, 누수에
주의하여야 함.

152
Hellerup School, Denmark
옥상
옥상에 사육공간도 설치할 수 있음
사육장

단, 계절의 변화로 1년 365


일 사육할 수 없는 경우를
사전에 대비하여야 함.

153
옥상 타지미시립(岐阜県多治見市立多治見)중학교, 일본

연못 옥상을 활용하여 생태연못도 조성할 수 있음.


파고라 또는 정자까지 조성하여 학습공간으로 활용
하기도 함.

특히 , 기존 옥상에 생태연
못을 ( 깊이 약 15cm 내외 )
조성하고자 할 경우 누수에
주의하여야 함.

154
미나미케부쿠로(東京都豊島区立南池袋)초등학교, 일본
옥상
옥상정원에 다양한 수종을 식재하여 자연관찰학습원을
조성하기도 하며, 이를 옥외 학습공간으로 활용함.
정원

테라스를 활용하여 옥상정


원을 조성하기도 함.
단 , 기존 테라스를 활용할
경우 누수에 주의하여야 함.

155
옥상 메구로구립 이시부미초등학교(目黒区立碑小学校), 일본

운동장 운동장 면적이 부족할 경우, 옥상을 운동장으로


조성할 수 있음. 단, 추락방지를 위해 가장자리에
화단을 설치거나, 펜스(fence)를 설치함.

옥상 운동장과 화단 사이에
관람석을 설치하고, 조경수
공급을 위한 수도도 설치해
야 함.

156
미나미케부쿠로(東京都豊島区立南池袋)초등학교, 일본
옥상
실내 냉/난방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옥상에 저관리형 녹화를 조성하기도 함.
녹화

직사광선의 실내 유입을 방
지하기 위해 창 외부에 광
선반을 설치하면 효과적임.

157
벽면 치요우다구립 후지미초등학교(千代田区立富士見小学校), 일본

녹화 체육관 등 외부 창이 거의 없는 건물의 외관
디자인을 위해 벽면 녹화를 조성하기도 함.

실제 벽면 녹화는 실내의
냉 / 난방 온도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임.

158
미나토시립 시바우라(港区立芝浦)초등학교, 일본
수목
교내의 모든 수목에는 관리표를 부착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함. 표기

학생들이 나무가 CO2를 흡


수한다는 지식을 보다 쉽게
습득할 수 있도록 해당 수
목이 1 년에 CO2 를 흡수하
는 양을 페트병(500ml)으로
환산해서 표기하기도 함.

159
옥상 미나미케부쿠로(東京都豊島区立南池袋)초등학교, 일본

태양광 옥상 공간에 태양광/태양열 설비를 설치하여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음.

단, 기존 옥상에 설치할 경
우 , 하중과 설치공법 등을
세심하게 살펴 누수가 발생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함.

160
미나미케부쿠로(東京都豊島区立南池袋)초등학교, 일본
옥상
옥상에 소형 풍력기를 설치하여 풍력에너지를
생산 할 수 있음. 풍력기

풍력기를 통해 생산되는 에
너지양보다는 다양한 신재
생에너지를 학교에서 직접
생산할 수 있다는 교육적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
직함.

161
옹벽 청도실험(靑島實驗)초등학교, 중국

기존 옹벽일지라도 학생들의 수업 또는 동아리 활동을 통


해 옹벽 디자인을 새롭게 할 수 있고, 이는 창의성, 인성, 감
성 교육에 효과적임.

본 사례는 바닷가에 위치한


학교로서 지역적 특색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직접 참
여하여 옹벽을 새롭게 디자
인함.

162
오노타(大野田)초등학교, 일본
보행로
미술 수업시간에 학생들이 직접 제작한 도기 타일을
보도블럭에 설치하기도 함.

또한, 학급별, 조별로 보도


블록의 일정 구역을 맡아서
해당 구역의 보도블럭을 학
생들이 직접 디자인, 제작,
설치하기도 함.

163
교문 Brentside High School, UK · Fairfax High School, USA

학교안전 상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등, 하교


시간 이외에는 교문을 잠그는 것이 바람직함.
단, 학교 방문 시에는 교문에 설치된 인터폰을 이용함.

모든 학교방문자는 출입 시
등록을 하고 , 본인이 방문
자임을 표시하는 명찰 또는
스티커를 붙임.

164
Thomas Tallis School, UK
CPTED
학교 담장은 CPTED*를 적용하여 개방형 울타리로 조성하되,
중간에 지지대가 없고, 상부는 뾰족한 울타리를 설치함.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담장

울타리의 높이는 성인의 키


높이 이상으로 외부인이 담
장을 쉽게 넘어가지 못하는
높이로 제작됨.
영국의 경우 BS(British stan-
dards)에 의해 제작됨.

165
옥외 AHS Heustadelgasse, Austria

주차장 주차장 바닥은 투수성 포장 블럭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으로 조성함.

차도와 주차공간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차도는 일반
포장으로 조성함.

166
Brentside High School, UK
옥외
학교 주차장은 대지 내에 조성하더라도, 학생 보행동선과 교차되지 않은 곳
(부출입구)에 계획하되, 차를 이용한 외부인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교사
동, 운동장 등 주된 학교영역과의 경계에 울타리를 조성함.
주차장

학교 주차장과 운동장, 교사
동 간의 상호 자연적 감시
(시야확보)에 의한 범죄예방
을 위해 개방형 울타리로 조
성하고, 가급적 식재는 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함.

167
외부 Brentside High School, UK

CCTV CCTV의 위치는 지상 2층 바닥~3층 바닥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


적임. 또한, 사각지대가 발생되지 않도록 CCTV의 사양을 고려하여
적소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함.

학교범죄예방을 위해 실내
에서는 외부를 잘 감시할
수 있고 , 외부에서는 실내
를 들여다 보기 어렵도록
블라인드(차양)를 설치하기
도 함. 블라인드(차양)은 직
사광선의 실내유입을 막아
주는 효과도 있음.

168
기대효과 및 제언
A. 기대효과
03
B. 제언
기대
효과 Lyons, John B.(2001)
1 ‘학교시설이 실제로 자녀의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가?’

1) 현대식의 안전하고 통제된 학습환경은 학생들의 학습과정을 고취시키는 반면, 노후된 학교시설은 학습과정에
서 여러 가지 부정적인 결과를 야기

2) 새롭고 좋은 건물에서 교육받은 학생은 그렇지 않은 건물에서 교육받은 학생보다 약 5-17% 정도 시험 성적이
높음.

3) 학교시설 및 환경의 상태가 오히려 가정배경, 사회·경제적 수준, 출석 및 행위보다 학업 성과 및 성취에 미치는
영향이 더 강력함.

170
기대
Peter Rudd et als(2008)
효과
‘학교환경이 교수-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조사 연구’ 2

2007년 9월 브리스톨 브루넬 아카데미(Bristol Brunel Academy)의 학생 약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 새로운 학교환경 전(before)과 후(after)의 학생태도 변화


- 보다 안전함 : 57% ⇒ 87%
- 학교에 대한 자부심 : 43% ⇒ 77%
- 학교에 가는 것이 즐겁다 : 50% ⇒ 61%
- 학교 기물 파손(인식) : 84% ⇒ 33%
- 따돌림 : 39% ⇒ 16%
- 진학 학생 비율(인식) : 64% ⇒ 77%

171
기대
효과 Cynthia Uline & Megan Tschannen-Moran(2008)

‘건물이 말한다 : 질 좋은 시설, 학교 분위기


3 그리고 학생 학업성취간의 상호작용’

미국 버지니아주에 위치한 80곳의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1) 학교시설의 질이 영어 및 수학교과에서의 학업성취와 상관관계가 있음을 입증함. 이는 학교시설의 질이 학생


학업성취도 간의 매개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말함.

2) 아울러, 좋은 학교시설은 학생의 학습을 돕는 반면, 열악한 학교시설은 학생의 성취도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함.

172
기대
C. Kenneth Tanner(2008)
효과
‘학교의 물리적 환경과 학생성취와의 관계 조사’ 4

1) 학생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 요소(주요 4가지)


- 이동과 환기(movement and circulation)
- 대규모 모임 장소(large group meeting places) ; 예, social gathering places, open gathering stairs 등
- 자연채광과 전망(day lighting and views)
- 교육적인 주변 환경(instructional neighborhoods)

2) 상기 물리적 환경 요소의 설계 점수와 학생성취도간의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 아울러, 사회적, 경제적
지위를 통제한 후에도 긍정적(+) 상관관계를 유지함.

173
기대
효과 Heschong Mahone Group(1999)
5 ‘학교에서의 자연채광(Day Lighting in Schools)’

1) 주광(일광)과 학생 학업성취간의 상호작용을 조사한 결과,


- 주광이 양호한 교실의 학생이 불리한 교실의 학생보다 수학 및 읽기에서 7~18% 높은 성적을 얻음.

2) 1년 뒤 주광(일조)이 양호한 교실의 학생이 불리한 교실의 학생보다 수학에서 20%, 읽기에서 26%가 향상됨.

3) 채광이 유리한(큰 창) 교실의 학생이 불리한 교실(작은 창)의 학생보다 수학에서 15%, 읽기에서 23%가 향상됨.

174
기대
효과
6

175
기대
효과 There are about 10 billion neurons in the brain and 1,000 trillion connections. The possible combination

7
of connections is about 10 to a one-millionth power. An enriched environment can contribute up to a 25%
increase in the number of brain connections.

Reggio Emilia, The environment is the ‘third’ teacher

출처 : The Third Teacher : 79 Ways You Can Use Design to Transform Teaching & Learning Kindle Edition
by Inc. OWP/P Cannon Design (Author), David W. Orr (Foreword)

176
제언
1
1
단위학교의 특성에 따라 획일적인 설계공모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에 의해 학교건축설계가
이루어져야 함.

2
학교 및 사용자(교사, 학생, 학부모 등), 지역사회
등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모델의 학교시설을 발굴,
보급하여야 함.

3
단위학교 특색을 살린 공간조성의 자율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설계 시 제공되는 경직된 스페이스프로그램을
탈피해야 함.

177
제언
2
4
학교설계 및 공간조성 시 학교의 주사용자(교사, 학생,
학부모 등)를 반드시 참여시키는 사용자 참여형으로
설계하여야 함.

5
지속적으로 국내, 외 우수한 학교공간 조성사례를
발굴하여, 실제 학교현장에 확대 보급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함.

6
학교공간에 관한 연구, 자료개발, 컨설팅 등
전문적으로 학교현장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기관을
지정, 운영하여야 함.

178
참고
· 조진일 외(2016), 학교시설 선진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한국교육개발원
문헌
· 조진일 외(2013), 창의·인성 교육을 고려한 공간조성 가이드라인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
· 조진일 외(2012), 한·일 초등학교의 공간구성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 이호진(1991), 건축계획·설계론, 산업도서출판공사

· 한국교육행정학회 편(2009), 교육시설행정론, 서울 : 교육과학사

· “녹색교실 만들었더니 학생성적 좋아졌다”, 「매일경제」, A01면, 2009.9.21

· C. Kenneth Tanner(2008), Explaining relationships among student outcomes and the school’s physical
environment, Journal of AdvancedAcademics, 19, 444–471

· Cynthia Uline, Megan Tschannen‐Moran(2008), The walls speak: the interplay of quality facilities, school
climate, and student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46 Issue: 1, pp.55-73

179
참고
문헌 · Heschong Mahone Group(1999), Daylighting in schools :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2 daylighting and human performance, A report submitted to Pacifi c Gas and Electric Company on behalf
of the California Board for Energy Effi ciency Third Party Program

· O'Donnell Wicklund Pigozzi and Peterson Architects Inc., VS Furniture., Bruce Mau Design(2010), The
Third Teacher: 79 Ways You Can Use Design to Transform Teaching & Learning, New York : Abrams

· Lyons, John B.(2001), Do School Facilities Really Impact a Child's Education? IssueTrak: A CEFPI Brief on
Educational Facility Issues, http://www.cefpi.org:80/issuetraks.html

· Peter Rudd, Frances Reed, Paula Smith(2008), The effects of the school environment on young people’s
attitudes towards education and learning, National Foundation for Educational Research

180
참고
문헌 · Heschong Mahone Group(1999), Daylighting in schools :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2 daylighting and human performance, A report submitted to Pacifi c Gas and Electric Company on behalf
of the California Board for Energy Effi ciency Third Party Program

· O'Donnell Wicklund Pigozzi and Peterson Architects Inc., VS Furniture., Bruce Mau Design(2010), The
Third Teacher: 79 Ways You Can Use Design to Transform Teaching & Learning, New York : Abrams

· Lyons, John B.(2001), Do School Facilities Really Impact a Child's Education? IssueTrak: A CEFPI Brief on
EDUMAC
Educational Facility Issues, http://www.cefpi.org:80/issuetraks.html
교육시설 해외연수 자료집
· Peter Rudd, Frances Reed, Paula Smith(2008), The effects of the school environment on young people’s
attitudes towards education and learning,
www. National Foundation for Educational Research
edumac.kr EDUMAC 교육시설 해외연수 자료집
발 행 2017년 12월
발 행 인 원장직무대행 류방란
발 행 처 한국교육개발원
주 소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교학로 7
홈페이지 www.kedi.re.kr
전화 : (043) 530-9114
팩스 : (043) 530-9819
등록번호 1973년6월13일, 제16-35호
인 쇄 처 디자인펌킨

※ 본 내용(사진 포함)의 무단 복제를 금함.

12
E
D
U EDUMAC 교육시설 해외연수 자료집
M
A
C










학교 공간 조성 해외 사례
EDUMAC 교육시설 해외연수 자료집 학교공간조성 SCHOOL RENEWAL by REFURBISHMENT

해외사례
www. edumac.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