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on page 1of 16

DOI http://dx.doi.org/10.22143/HSS21.12.4.

64 893

A Synchronous Korean Language Class


Utilizing Online Class Tools
Boeui Woo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s useful online class tools applicable in synchronous Korean
language classes and applies them in a synchronous Korean language class. It proposes how
Canvas, ThingLink, Google Slides, Zoom, BookWidgets, Google Docs, and Google Forms can
be used as online class tools. A synchronous Korean language class is categorized into seven
steps: pre-class, introduction, presentation, practice, activity, assessment, and wrap-up.
Based on these steps, undergraduates in an overseas university were taught the Korean
language for 16 weeks. The results show that although most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their synchronous Korean classes, educational institutes and instructors must
mak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Synchronous Korean teaching methods using
online class tools, such as that propo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widely.

Key Words: Synchronous Online Learning, Blended Learning, Flipped Learning, Online Class
Tool, Korean Language Education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우 보 의*

요약: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온라인 수업 도
구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해 보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 실시간 온라인 한
국어 수업을 [수업 전] - [도입] - [제시] - [연습] - [활동] - [평가] - [마무리] 단계로 나누어
온라인 수업 도구 중 캔버스, 팅링크, 구글 프레젠테이션, 줌, 북위젯, 구글 문서, 구글 설문지의 활
용 방안 제시하고 해외 소재 대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총 16주에 걸쳐 한국어 교육을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한국어 학습자들은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 만족하였으나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육 기관과 교사의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
서 제시한 온라인 도구를 이용한 수업 방안이 한국어 교육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실시간 온라인 교육, 블렌디드 러닝, 플립트 러닝, 온라인 수업 도구, 한국어 교육

□ 접수일: 2021년 7월 4일, 수정일: 2021년 8월 20일, 게재확정일: 2021년 8월 20일


* 하와이주립대학교 박사 과정
(Doctoral Course, Univ. of Hawaii at Mānoa, Email: bwoo@hawaii.edu)
894_ 인문사회21, 제12권4호

I. 서론

과거에는 교실에서의 수업이 일반적인 교육 방식의 형태였다면 과학 기술의 발전과 컴퓨


터의 보급으로 최근에 들어서는 인터넷과 다양한 플랫폼을 활용한 지식과 정보의 전달이 교
육 방식에 있어서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를 반영하듯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
(2019)의 교육통계분석집에 따르면 지난 2019년 학교 부설 및 대학(원) 부설 등에서 운영
하는 평생교육기관의 온라인 강의와 온・오프라인 강의의 수는 각각 44.6%와 0.5%를 차지
했으며 온라인 수업을 듣는 학습자의 수는 74.4%에 달했다(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 2019:
30).
이러한 온라인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은 우선, 학습자에게 동일한 내용의 강의를 제공할
수 있어 교사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여러 번 강의를 반복하여 들을 수 있고
해외에 있는 학습자도 원어민이 제공하는 한국어 교육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홍선
미・최권진, 2012).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온라인 수업을 실시하는데 여러 가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나 한국어 수업의 환경적 장애 요인으로 인터넷 연결 상태가 큰 문제점
으로 지적되었으나 디지털 교수 학습 도구의 부족과 과학 기술 활용에 대한 교사의 부담감
도 장애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조연주, 2020).
이러한 온라인 수업에는 온・오프라인 수업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과
온라인 수업의 한 형태인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 그리고 비실시간 온라인 러닝
(asynchronous online learning) 등이 있는데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에서 온라인 수업 도구의 활용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1) 따라서, 이 연구에서
는 우선,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는 유용한 온라인 수업 도구를 제시
하고 이를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1) 블렌디드 러닝(bleanded learning)은 하나의 학습 환경에서 한 명의 교사가 가르치는 대면 수업


(face-to-face)과 더불어 컴퓨터를 활용한 학습(computer assisted learning)이 결합된 형태를 의
미한다(Neumeier, 2005). 플립트 러닝(flipped learning)은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의
한 종류로 기술을 사용한 교실 밖에서의 강의와 교실 안에서의 활동을 결합한 것이다(Strayer,
2012).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_895

Ⅱ. 이론적 배경

1. 온라인 수업 도구

온라인 수업에서 사용되는 수업 도구는 현재 플랫폼(platform), 도구(tool), 기술(technology),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전
통적인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과 달리 온라인 수업에서는 교사와 학습자 간의 비대면 수
업이 진행되므로 온라인 수업과 상호 작용을 돕는 수업 도구가 학습을 진행하는 주요한 학
습 환경이 된다(심선경, 2013).
UH ITS(2021)에서는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업 도구로 Adobe Spark,
Anchor, Asana, Bookwidgets, Calendly, Co-Schedule, DaVinci Resolve, Desmos, Doodle,
EdPuzzle, Factile, Kahoot 등 총 50여개를 승인하여 그 목록을 제공하고 있다.2) 또한 박
찬 외(2020)에서도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수업 도구의 예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
였다.

<표 1> 온라인 수업 도구의 예(박찬 외, 2020)


구분 활용 온라인 수업 도구
Ÿ 띵커벨(ThinkerBell)
1 온라인 퀴즈
Ÿ 카훗(Kahoot)
Ÿ 패들렛(Padlet)
2 온라인 상호 작용
Ÿ 멘티미터(Mentimeter)
Ÿ 줌(Zoom)
3 실시간 쌍방향 수업 Ÿ 구글 미트(Google Meet)
Ÿ 카카오 티비(Kakao TV)
4 동영상 제작 Ÿ 오비에스 스튜디오(OBS Studio)
Ÿ 클로바더빙(Clovadubbing)
Ÿ 브루(Vrew)
5 동영상 편집
Ÿ 곰 믹스 프로(GOM Mix Pro)
Ÿ 유튜브(YouTube)
Ÿ 구글 프레젠테이션(Google Slides)
Ÿ 구글 설문지(Google Forms)
6 플랫폼
Ÿ 구글 스프레드시트(Google Sheets)
Ÿ 구글 사이트 도구(Google Sites)

2) UH ITS Reviewed Instructional Third Party Online Tools or Microservices (Widgets) for
Faculty(Accessed 2021.5.31.)
896_ 인문사회21, 제12권4호

이러한 온라인 수업 도구는 일반 언어 수업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나 현재 언어


수업에 특화된 온라인 수업 도구가 제공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에 제공된 온
라인 수업 도구를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특성에 맞게 변경하여 적용하는 방안이 필
요하다.

2.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관한 선행 연구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온라인상에서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여
한국어 교육의 교수법 및 수업 운용 사례를 제시하거나 한국어 학습자의 만족도와 인식을
알아본 연구 그리고 개선 방향에 대해 알아본 연구가 있다(권영애・송영은, 2017; 김시연,
2020; 김해령, 2020; 이영희, 2015; 정희연・윤지원, 2020; 조인옥, 2020; 최정선・권미
경・최은경, 2020).
그 중 이영희(2015)에서는 화상 회의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사례를 제시하였는데 실시간
화상 회의를 진행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시공간을 초월하여 강의를
제공할 수 있고 학습자의 질문에 바로 응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피드백의 어려움,
짝 활동의 어려움, 기술적인 문제의 단점에 대해 언급했다. 최정선・권미경・최은경(2020)과
조인옥(2020)에서는 Webex과 Zoom이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
육 기관에서 대면 교육 대신 화상으로 온라인 강의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수업에서의 적극성은 대면 수
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최정선・권미경・최은경, 2020). 조인옥(2020)
에서도 수업 만족도가 보통이라고 답한 학습자가 가장 많았으며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장점
에 대해 시간과 공간에 구애 받지 않을 수 있다는 의견이 많았고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단
점에 대해서는 집중도가 떨어지는 문제와 상호 작용이 낮아지는 문제 그리고 소음의 발생
및 낮은 음질 등에 대해 언급했다.
이와 같이 선행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첫째,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이 비대
면이라는 점과 온라인이라는 학습 환경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둘
째,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는 학습자의 집중도와 적극성이 오프라인 수업에 비해
떨어진다는 점이다. 셋째,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수업에
따라 학습자의 만족도가 다르다는 점이다. 넷째,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온라인 수
업 도구의 사용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온라인 학습 도구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지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_897

못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의 학습 효과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서는 온라인 수업 환경과 관련된 부작용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학습자의 참여도와 집중도를
높일 수 있어야 하고 적절한 온라인 학습 도구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Ⅲ. 연구 방법

이 연구에서는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을 [수업 전] - [도입] - [제시] - [연습] -


[활동] - [평가] - [마무리]의 총 여섯 단계로 나누고 그에 따른 온라인 수업 도구와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하여 해외 소재 대학 학부 수업
에서 중, 고급 수준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을 실시
하였다. 추가적으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15주차에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Ⅳ.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의 실제

1.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과 수업 도구

이 절에서는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온라인 수업 도구를


수업 단계별로 제시하고자한다. 수업 단계별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도구가 다르므로 수업
단계를 [수업 전] - [도입] - [제시] - [연습] - [활동] - [평가] - [마무리]로 나누어
이에 적합한 온라인 수업 도구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겠다.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학습 단계
에 따른 수업 도구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표 2> 학습 단계에 따른 온라인 수업 도구의 활용3)

학습 단계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1 수업 전 캔버스(Canvas) 강의 자료 제공 및 관리
Ÿ 팅링크(ThingLink)
2 도입 강의 자료의 시각화
Ÿ 구글 프레젠테이션(Google Slides)
898_ 인문사회21, 제12권4호

3 제시 줌(Zoom) 실시간 온라인 강의


4 연습 북위젯(BookWidgets) 연습 문제 제공
5 활동 구글 문서(Google Docs) 짝 활동 및 그룹 활동 과제 제공
6 평가 구글 설문지(Google Forms) 퀴즈 제공
7 마무리 줌(Zoom) 복습 및 정리
3)

1) 수업 전: 캔버스
캔버스는 온라인 학습을 용이하게 해주는 도구로 다른 온라인 도구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교사는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쉽게 캔버스 상에 올릴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글 프
레젠테이션, 팅링크 등과 같은 온라인 수업 도구를 캔버스 내에 삽입할 수 있어 교사는 학
습자에게 각각 수업 자료를 따로 제공해야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다.

2) 도입: 팅링크와 구글 프레젠테이션


① 팅링크
팅링크는 온라인 수업 자료인 사진이나 동영상의 멀티미디어 자료를 시각화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도구로 클릭 버튼을 누르면 그 이미지에 대한 이름이나 또 다른 이미지 혹은
동영상을 연결하여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다른 온라인 플랫폼에 팅링크를 삽입할
수 있는데 이러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수업 전 활동 시 학습자에게 제공하면 학습자가 수업
내용과 배경 지식을 스스로 연결시킬 수 있게 도와준다.

② 구글 프레젠테이션
기존의 프레젠테이션 기능이 있는 프로그램에 비해 구글 프레젠테이션은 온라인상에서의
수정과 편집이 쉬워 교사가 삭제하고 다시 올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교사가
수업 전 구글 슬라이드를 활용한 수업 자료를 캔버스에 올리면 학습자는 캔버스에 방문하여
수업 내용을 예습 및 복습할 수 있어 학습자의 자기 주도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3)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라인 수업 도구 중 하와이주립대학교(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산하 한국어 플래그십 센터(Korean Language Flagship Center)에서 주최한 온라인 강좌 개발 관
련 워크숍 내용을 참고하였다. 또한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흐름에 가장 적합하도록 온라인 수업
도구를 단계별로 제시하였으나 본고에서 제시한 온라인 수업 도구는 이러한 단계에 국한되지 않고
매우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캔버스는 교사의 수업 설계에 따라 수업 전 뿐만 아니
라 수업 중 그리고 수업 후에도 자주 활용될 수 있다.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_899

3) 제시: 줌
줌은 온라인상에서 화상 회의를 할 수 있는 도구로 최근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사용자
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하고 있다. 특히나 해외의 경우 많은 수의 대학교에서 줌을 이용
한 온라인 강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줌에서는 교사의 강의와 교사와 학습자 간 그리고 학습
자 간의 상호 작용을 돕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화이트보드, 소회의
실, 화면 공유, 채팅, 대기실 등은 한국어 교육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4) 연습: 북위젯
북위젯은 학습자를 위한 과제와 문제를 만들 수 있는 도구로 이를 활용하여 온라인 한국
어 수업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연습 문제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지 선다형 문
제’, ‘빈칸 채우기 문제’, ‘알맞은 단어 넣기 문제’, ‘단어와 그림 연결하기 문제’ 등을 교사
가 직접 만들 수 있다. 또한 학습자가 연습 문제를 풀고 나면 그 결과가 교사에게 바로 전
달되도록 설정할 수 있어 교사는 학습자 개개인의 한국어 실력 향상 정도를 확인할 수 있
다.

5) 활동: 구글 문서
구글 문서는 온라인 상에서 문서를 작성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 이를 활용하
여 학습자들에게 짝 활동 및 그룹 활동 과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소개하기’,
‘대화문 만들기’, ‘단락 쓰기’, ‘빈칸 채우기’, ‘이야기 순서 맞추기’, ‘인터뷰 기사 작성하
기’ 등 다양한 활동 및 과제를 제시하면 학습자들이 짝 혹은 그룹으로 과제를 수행하게 되
고 교사는 학습자의 활동 사항을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한 눈에 볼 수 있어 오류 수정
및 피드백 제공이 용이하다.

6) 평가: 구글 설문지
구글 설문지는 원래 설문 조사지를 만들기 위한 도구이지만 이를 활용하여 온라인 퀴즈
나 시험을 출제할 수 있다. 이러한 구글 설문지의 장점은 교사가 학습자 개개인의 답을 채
점할 필요 없이 입력된 정답에 따라 자동으로 채점이 되고 학습자에게도 결과를 바로 전송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 있어서 구글 설문지는 특히 단어 퀴즈
에 사용하거나 중간 시험이나 기말 시험에 활용할 수 있다.
900_ 인문사회21, 제12권4호

2. 온라인 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한국어 온라인 수업의 사례

1) 한국어 학습자 대상 온라인 한국어 수업


총 16주 동안의 강의 내용은 Integrated Korean: High Intermediate 1(Chang et al.,
2018)에 포함된 것으로 1과(한국의 생활 문화), 2과(한국에서 즐겨 먹는 음식), 4과(지역
별 관광지와 특산물), 5과(한류), 6과(호칭어와 대인 관계)이다.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
육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4)

<표 3>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강의 계획

강의명 한국어 3급(Third-Level Korean 1)


강의 대상 하와이주립대학교 재학생
강의 기간 2020년 8월 24일~2020년 12월 9일(주 3회 50분씩 수업)
강의 장소 실시간 온라인 수업
학습자가 한국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맥락과 상황에서 효과적인
수업 목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Ÿ Integrated Korean: High Intermediate 1
Ÿ 줌(Zoom)
수업 자료
Ÿ 캔버스(Canvas)
및 매체
Ÿ 구글(Google)
Ÿ 컴퓨터, 노트북 및 기타 전자 기기
Ÿ 1과: 한국의 생활 문화
Ÿ 2과: 한국에서 즐겨 먹는 음식
수업 내용 Ÿ 4과: 지역별 관광지와 특산물
Ÿ 5과: 한류
Ÿ 6과: 호칭어와 대인 관계
Ÿ 출석 및 참여율: 10%
Ÿ 글쓰기: 10%
Ÿ 과제: 15%
Ÿ 단어 퀴즈: 15%
수업 평가
Ÿ 중간 시험: 15%
Ÿ 말하기 시험: 10%
Ÿ 발표: 10%
Ÿ 기말 시험: 15%

4) Integrated Korean: High Intermediate 1(Chang et al., 2018)은 미국에서 널리 사용되는 한국


어 교재로 중 하나로 중,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출판되었다.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_901

이러한 강의 계획을 바탕으로 진행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은 수업 설계 시 계획했


던 바와 같이 각 단계별로 온라인 도구가 적절히 활용될 수 있었다. 또한 실시간 한국어
교육에서 온라인 수업 도구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하여 다양한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하였을 때 학습자의 이해도와 호응도가 높았다.
다만 오프라인 한국어 수업에 비해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는 수업 준비와 한국어 학습
자의 실력 향상을 위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었다. 특히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
업을 위해 여러 가지 기능을 한 번에 제공하는 플랫폼이 부재하여 각각의 사이트에 방문해
야 한다는 점이 아쉬웠다. 또한 오프라인 수업처럼 학습자들의 참여도를 일일이 확인할 수
없어 화면을 통한 더 세심한 관찰이 필요했다.

<표 4>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교사의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 결과


온라인 수업 도구 교사의 활용 결과
Ÿ 한국어 학습자가 캔버스 내에서 자료를 확인하고 복습할 수 있도록
캔버스

Ÿ 팅링크로 동영상과 사진을 삽입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
팅링크 Ÿ 멀티미디어 자료를 학습자 스스로 볼 수 있도록 하여 인터넷 끊김으
로 인한 문제를 최소화
Ÿ 문법 및 표현을 설명할 때는 주로 줌에서 구글 프레젠테이션을 공유
구글 프레젠테이션

Ÿ 한국어 학습자가 마이크를 켜고 말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이해 정도를
확인
줌 Ÿ 줌의 소회의실 기능이 유용하게 사용됨
Ÿ 그룹 활동 참여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소회의실에 방문했을 때 대
부분의 학습자가 동료들과 말하기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을 확인
Ÿ 북위젯을 활용한 연습 문제를 풀고 나면 한국어 학습자에게 자동으로
북위젯
피드백이 제공되어 빠르고 편리하게 학습자의 오류 수정
Ÿ 실시간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그룹 활동을 어떻게 하는지 확인
구글 문서 Ÿ 교사가 실시간으로 피드백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교사와 학습자 간
의 상호 작용을 증진시키는데 도움
Ÿ 단어 퀴즈는 구글 설문지로 진행하였는데 학습자가 퀴즈를 제출하면
구글 설문지
바로 자동 채점됨

2) 한국어 학습자 대상 설문 조사
온라인 학습 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전반적인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총 12명의 한국어 학습자 중 10명의 학습자의 동의를 얻어 15주차에 구글
설문지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아래 <표 5>의 설문 문항을 바탕으로 응답자의 답변을
902_ 인문사회21, 제12권4호

5점 리커트 척도(5-point Likert scale)를 사용하여 ‘매우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
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로 분류하였고 객관식 답변의 평균과 빈도를 측정하였다.

<표 5> 한국어 학습자 대상 설문 내용


문항 세부 문항
Ÿ 한국어 능력 향상
온라인 수업 후 학습자의 실력 향상
Ÿ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향상
Ÿ 온라인 수업 도구 사용의 용이성
온라인 수업 도구
Ÿ 온라인 수업 도구 사용의 유용성
Ÿ 기술적인 문제의 경험
온라인상의 기술적인 문제
Ÿ 기술적인 문제의 종류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온라인 Ÿ 수업의 장점
한국어 수업의 장점과 단점 Ÿ 수업의 단점
Ÿ 전반적인 수업 만족도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
Ÿ 강의 추천 의사

설문 조사 결과 온라인 수업 후 한국어 실력 향상에 관한 문항은 평균이 5점 만점 중


4.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들을 후에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가 향상
되었는지에 관한 응답의 평균은 4.8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사용하는 온라인 도구 사용의 용이성과 유용성에 대해서는 응답의 평균이 각각 4.6과 4.5
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 1> 한국어 학습자 대상 설문 조사 결과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_903

기술적인 문제와 관련된 질문으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중 기술적인 문제를 경험


했는지 묻는 문항에 있어서 모든 학습자가 기술적인 문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두세
번 기술적인 문제를 경험한 응답자가 60%에 달했으며 4번 이상 경험한 응답자가 20%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대한 응답은 평균이 4.5인 것으
로 나타났으며 실시간 한국어 수업의 추천 의사에 대한 답도 평균이 4.5로 조사됐다. 또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가장 좋았다고 느꼈던 부분은 강의 내용과 활동을 통한 상호 작용이
각각 40%를 차지했다. 그 밖에도 개인 과제와 학습 자료가 각각 10%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단점으로 응답자의 60%는 대면 수업에 대한 선호
를 꼽았다. 그 밖에도 인터넷 연결 문제와 한국어 문법 및 어휘 학습에 대해 어려움을 느
끼는 응답자가 40%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과 함께 온라인
상에서 어휘와 문법을 더 쉽게 가르칠 수 있는 교육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것으로 보
인다.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추가적인 피드백은 다음과 같다.

I liked the class! I just hope we go more into speaking practice in our breakout
rooms rather than typing.
I really appreciated taking your class! I appreciate how easy you made it to come
to class and learn every class period.
I enjoyed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It was a good class.
It was a good class!
I am glad to have been in your class. Thank you for teaching and sharing your
knowledge.

설문 조사 결과 중 주목해야 하는 점은 첫째, 10명의 응답자가 해외 소재 대학교에 개설


된 실시간 한국어 온라인 강의에 만족했다는 점이다. 이는 이전의 선행 연구에서 만족도가
‘보통이다’라고 대답했던 것과는 대조된다. 둘째로 한국어 학습자가 수업에서 사용한 온라
인 수업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고 판단하였으며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
했다. 이는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한국어 교육이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에 긍정
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가장 좋았던 점을 상호작
용이라고 평가한 응답자가 40%였고 60%의 응답자는 여전히 교실에서의 대면 교육을 비대
면 교육에 비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로 응답자 모두 인터넷 속도 저하 및 끊김
현상과 같은 기술적인 문제를 경험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기타 주관식 답변에서 그룹
활동으로 쓰기 활동보다는 말하기 활동 양의 증가를 원하는 학습자의 의견이 있었다.
904_ 인문사회21, 제12권4호

이를 통해 효과적인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을 위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수업 도구가 온라인상의 한국어 학습에 도움이 되는 만큼 다양한 온라인
수업 도구를 한국어 교육에 통합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대해 새로운 온라인 수업
도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고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 도구에 대한 정보
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비대면 수업에 비해 대면 수업을 선호하는 학습자
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면대면 수업을 더 선호하는 이유를 알아보기 위한 요구도 조
사를 실시하고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
이다.
셋째,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기기와 인터넷이 필요한 만큼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
요하다. 수업 전에 학습자에게 공지하여 노트북이나 컴퓨터와 같은 기기를 점검할 수 있도
록 하고 인터넷 끊김 현상에 대비해 교사는 미리 녹화된 강의 자료와 수업 보조 자료를 학
습자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기타 주관식 답변을 살펴본 결과 실시간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말하기
연습이 상대적으로 부족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학습자에게 말하기 활동과 과제를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말하기 연습을 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도구를 도입해야 할 것이다.

Ⅴ. 결론

언어 교육 방법은 다양한 관점과 이론의 영향을 받아 시대에 따라 발전되고 변화하였다.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인데 과학 기술의 발달로 사람들이 가진 물리적, 시간적
제약에서 점차 벗어나게 되었고 한국어 교육의 형태도 전통적인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
한 기술과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사
가 실제 온라인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도구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먼저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온라인 학습 도구의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해외 소재 대학의 중,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총 16주에
걸쳐 온라인 한국어 강의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실력 향상, 온
라인 도구의 사용, 기술적인 문제, 만족도 및 수업의 장점과 단점 등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_905

을 알아보았다.
또한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온라인 수업 도구에 대한 개발 및 교사 훈련의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그리고 면대면
수업을 비대면 수업에 비해 선호하는 학습자를 위한 요구도 조사와 대응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밝혔다. 또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기 점검 및 강의 자료 제공의 필요성
그리고 온라인 학습 도구를 활용한 한국어 학습자의 말하기 연습의 비중 증가를 제언하였
다.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지지 못했던 온라인 학습 도구의
활용과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에 대해 알아보았다. 앞으로 점차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교육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함께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방안이 한
국어 교육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906_ 인문사회21, 제12권4호

【참고문헌】

권영애・송영은(2017), “학습만족도 중심의 실시간 원격 화상 교육 개선 방안 연구 -‘한국


디자인의 역사’와 ‘한국어’ 강의 사례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5(1):
93-108, <https://doi.org/10.18852/bdak.2017.15.1.93>.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2019), 교육통계분석자료집 -평생교육통계편-, 충청북도: 한국교
육개발원.
김시연(2020), “ZOOM을 활용한 중국 대학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교육 사례 -상해 S대학
한국어과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80: 1-29, <https://doi.
org/10.17296/korbil.2020..80.1>.
김해령(2020), “중국인 학습자의 온라인 한국어 수업 만족도 및 학습효율에 관한 연구: D
대학교 한국어 전공 중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언어와 정보 사회, 40: 87-112,
<https://doi.org/10.29211/soli.2020.40..004>.
박찬・김병석・전수연・전은경・진성임・정선재・강윤진・변문경(2020), 에듀테크 FOR 클래스룸
(한권으로 끝내는), 다빈치books.
심선경(2013),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도구와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관계 연구”, 한
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3): 456-467, <https://doi.org/10.5392/JKCA.2013.13.
03.456>.
이영희(2015), “실시간 원격 화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사례 연구”, 돈암어문학, 28: 413-
437, <https://doi.org/10.17056/donam.2015.28..413>.
정희연・윤지원(2020), “한국어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인문
사회21, 11(3): 1305-1318, <DOI http://dx.doi.org/10.22143/HSS21.11.3.93>.
조연주(2020), “장애 요인 분석을 통한 한국어 온라인 수업 발전 방향 모색”, 새국어교육,
124: 297-324, <https://doi.org/10.15734/koed..124.202009.297>.
조인옥(2020),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한국어 교육
기관의 전면적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58: 241-265,
<https://doi.org/10.21716/TKFL.58.9>.
최정선・권미경・최은경(2020),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D
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81: 135-168, <http://
dx.doi.org/10.15652/ink.2020.17.2.247>.
온라인 수업 도구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 _907

홍선미・최권진(2012), “원격대학의 실용한국어 동영상 강의 개발 방안”, 동악어문학, 58:


281-310.
Chang, S., Jeong, H., Sohn, H., & S. Yoon(2018), Integrated Korean: High intermediate
1 (KLEAR textbooks in Korean language), University of Hawaii Press.
Neumeier, P.(2005), “A Closer Look at Blended Learning —Parameters for Designing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for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ReCALL, 17(2): 163-178, <https://doi.org/10.1017/S0958344005000224>.
Strayer, J.(2012), “How Learning in an Inverted Classroom Influences Cooperation,
Innovation and Task Orientation”,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15: 171-
193, <http://dx.doi.org/10.1007/s10984-012-9108-4>.
UH ITS(2021), UH ITS Reviewed Instructional Third Party Online Tools or
Microservices (Widgets) for Faculty, UH Online Innovation Center, <https://
docs.google.com/spreadsheets/d/1ME2YoMJlL-TwxtdYZwgJrB_lEJvAb84B0pmq5h
HbwFk/edit#gid=0(Accessed 2021.5.31.)>.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