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

You might also like

You are on page 1of 24

교육정치학연구

제19집 제2호

ISSN : 1226-7856(Print)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이영학

To cite this article : 이영학 (2012)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교육정치학연구, 19:2, 49-71

① earticle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학술교육원은 각 저작물의 내용을 보증하거나 책임을 지지 않습
니다.

② earticle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민, 형사상
의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www.earticle.net

Download by : 165.132.14.104 Accessed :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교육정치학연구 제19집 제2호
The Journal of Politics of Education
Vol. 19. No. 2. (June, 2012), pp. 49-71

*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9)10)
이영학**

< 요 약 >

본 연구는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


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기준 및 방법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정보공시제 자료를 활용한 버텀업방식으로 국내 연구중심대
학 분류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준거는 크게 연구중심대학의 규모 및 성과
의 2개 요인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규모요인에는 교수당 대학원생 수, 학부생 대비
대학원생 비율이, 성과요인에는 SCI급 논문실적, 교수당 SCI급 논문실적, 연구비 실
적, 교수당 연구비 실적, 박사학위 수여자 수가 포함되었다. 2개 요인을 기반으로
연구중심대학을 분류한 결과 17개 대학이 해당되었으며, 교육인적자원부의 2005년
연구결과와는 일부분 차이가 있었다.

www.earticle.net
[주제어] 연구중심대학, 고등교육, 분류, 카네기분류

* 이 논문은 2010학년도 동의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해 연구되었음(과제번 호 AA


2010 229)
** 동의대학교 조교수, genre@deu.ac.kr

※ 접수일(2012년 5월 3일), 심사일(2012년 6월 8일), 게재확정일(2012년 6월 20일)

- 49 -
교육정치학연구 제 19집 제 2호

Ⅰ. 서 론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우리나라는 세계 10위권의 경제․기술 강국이면서도 대학들은 경쟁력의 취약성과 낮은


국제화로 인해 국제적으로는 낮게 평가되어 왔다. 각종 세계대학평가 및 국가경쟁력 평
가의 결과는 국가의 기대 수준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어 고등교육 개혁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고 있다. 아울러, 지식기반사회로의 전환에 따라 국가발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서 대학의 주도적 역할에 대한 요구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의 요구도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정부는 1997년 교육부 교육개혁위원회에서 ‘연구중심대학 육
성 방안’을 제시하였고, 1999년부터 대학의 교육 및 연구력을 강화하고 미래 국가 발전
핵심분야의 연구를 촉진하며 인력을 양성하고자 BK21(Brain Korea 21)사업과 WCU(World
Class University)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정부는 2011년 ‘제2차 과학기술인재 육
성·지원 계획’을 통해 연구중심대 10개교를 세계적 수준으로 키우고, 석사 중심의 대
학원 운영체제를 박사과정 중심으로 개편하며, 그간 WCU사업과 BK21사업으로 분산돼
있던 대학원 재정지원사업을 WCU사업과 GPS(Global Ph.D Scholarship)사업 체제로 통합
하기로 하였다. WCU사업은 학과단위의 연구역량 강화 사업이며, GPS는 대학원 단위의
연구역량 강화 사업으로 두 사업 모두 이공계 연구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연구중심대학은 19세기 독일 훔볼트의 고등교육이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전승준 외
www.earticle.net
(2005)는 연구중심대학은 기본적으로 연구와 교육, 그리고 학습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학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대학기능, 교육정책, 진화경제학, 자본주의 시장원리의 4개
차원에서 약간씩 시각을 달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중 대학기능에 따른 분류는 연구,
교육, 직업교육 등과 같은 기능을 준거로 대학을 분류하는 방법으로서, 미국의 경우 1970
년대 초반부터 카네기재단이 대학 유형 및 연구중심대학에 관한 명확한 분류 기준을 제
시해 오고 있다. 카네기재단은 고등교육환경을 고려하여 분류기준을 정기적으로 개정해
왔으며 최근의 개정은 2010년에 이루어졌다. 국내에서도 대학 특성화 촉진을 위한 판단
근거 제공 및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목적으로 대학 유형 분류를 위한 연구들(교육인적자
원부(2005), 변도영(2005), 민철구 외(2008), 삼성경제연구소(2006), 이수정 외(2009), 이현청
(1995), 장회익 외(1995))이 다양하게 진행되었으나 이론적 접근이 우세하여 현장적용 및
주기적 재분류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중심대학의 분류나 정책적 육성은 대학을 단위로 하거나 학문분야를 단위로 하여

- 50 -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수행될 수 있는데, 카네기재단의 분류는 대학을 단위로 분류하는 방법이며, BK21사업과


WCU사업, 일본의 COE(Center of Excellence) 사업 등은 학문분야 단위로 연구중심대학
을 육성하려는 정책이다. 최근 10년간 정부의 연구중심대학 정책은 학문분야 단위, 특히
이공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므로 인문학 분야의 위기론이 대두되기도 한다. 따라서
향후 연구중심대학 정책은 인문사회계와 이공계가 조화롭게 발전하도록 하는 데도 중점
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연구중심대학 또는 대학유형 분류시 인문사회계
와 이공계를 분리하여 각각의 속성을 반영한 후 종합적으로 판단할 필요가 있다.
BK21사업이 종료되고 새로운 고등교육 연구역량 강화사업이 발표된 시점에서 연구중심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대학을 실질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기초 연구는 교육인적자원부(2005)의 대학 유형 분류


이후 거의 없었다. 따라서 객관적인 자료에 근거하면서도 적용가능성이 높은 방안을 마
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현장에서 적용가능성이 높은 국내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미국과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기준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기준으로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을 제안하고 설정된 분류 방안에 따라 한
국의 연구중심대학을 분류하였다. 아울러 분류 방법과 결과를 선행 분류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중심대학의 객관적 분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분류
www.earticle.net
기준 및 절차를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후속연구 및 주기적 재분류 가능성을 높이고자
대학정보공시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류를 위한 기본 틀은 카네기재단의 연구중심대학 분류방안을 참조하였으며, 한국 고
등교육의 특징을 반영하여 각 단계별로 분석방법이나 기준을 달리 설정하였다. 카네기재
단의 분류방법과 본 연구 분류방법의 차이점은 Ⅲ장의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에
서 각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Ⅱ. 연구중심대학 분류 관련 선행 연구 고찰

연구중심대학의 개념이 광범위한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객관적인 통계에 근거하여


분류한 경우는 드물다. 연구중심대학은 유럽이나 일본, 중국 등의 사례에서 보듯이 대학

- 51 -
교육정치학연구 제 19집 제 2호

들이 교육목적 달성을 위해 자체적으로 협의회를 결성하거나 정부의 고등교육 경쟁력 강


화 정책 추진의 산물인 경우가 많다. 특히 정부의 정책과 관련될 경우 연구중심대학의
개념은 정책목적에 따라 달리 설정될 가능성이 높다. 연구중심대학을 객관적 지표에 근
거하여 분류한 경우는 카네기재단의 대학유형분류가 대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중심대학의 개념을 간단히 살펴보고 카네기재단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및 한국의 연
구중심대학 분류를 포함하는 선행 연구들을 고찰하였다.

1. 연구중심대학의 개념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연구중심대학은 19세기 독일 훔볼트의 고등교육 이념에서 비롯되었으며, 연구와 교육,


그리고 학습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학으로 정의할 수 있다. 훔볼트가 연구-교육의
통합이라는 원리를 내세운 이후 전통적으로 엘리트 교육에 치중하던 대학들은 연구를 통
한 지식 창출의 중요성을 깨닫기 시작하여 20세기 유럽과 미국 대학에서 연구대학의 이
념은 고등교육의 핵심 목표였다(전승준 외, 2005).
전승준 외(2005)는 연구중심대학을 대학의 기능, 교육정책, 진화경제학, 자본주의 시장
원리의 네가지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다고 하였다. 대학의 기능에 따른 분류는 카네기재
단의 분류와 같이 박사학위 중심대학, 석사학위 중심대학, 학사기관 등으로 나누는 것이
며, 교육정책적 차원은 대학의 연구능력 향상을 위해 대학원을 집중육성하는 교육정책에
따른 접근법을 의미하는데 이공계 연구와 연구소에 대한 과학연구비 보조금 대폭 확충을
www.earticle.net
주요 골자로 하는 일본의 COE사업, 우리나라의 BK21사업 및 WCU 사업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벤치마킹하여 1995년부터 1999년까지 대학원중
점육성지원사업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일본의 COE사업 등을 벤치마킹하여 BK21사업 및
WCU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연구중심대학보다 대학원중심대학이라는
용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미국적 유형을 벤치마킹하고 이를 대학원에 집
중적으로 지원하는 사업형태로 추진하면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전승준 외, 2005).
본 연구에서는 연구중심대학을 대학의 연구 역량과 기능에서 타 대학과 차별화된 대학
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정의에 따라 본 연구는 이론적 접근보다는 통계치에 근거한 경
험적 접근을 시도하며 연구역량과 관련된 지표들을 종합분석하여 상위집단에 포함된 대
학들을 연구중심대학으로 설정하였다.

- 52 -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2. 카네기재단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가. 카네기재단의 고등교육기관 분류법

카네기재단 고등교육기관 분류법은 1970년에 연구 목적으로 제정된 것으로 미국 전역


에서 통용되는 시스템이다. 이 분류법은 1973년 처음 발간되었고, 1976년, 1987년, 1994
년, 2000년, 2005년에 개정되었으며, 가장 최근의 개정은 2010년 개정이다. 카네기재단은
2010년 개정에서 2005년 분류의 기본 틀은 최대한 유지하면서 국가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NSF)의 대학 연구개발비 지출 조사 자료와 고등교육통계시스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Integrated Postsecondary Education Data System: IPEDS)의 박사학위 수여 현황 자료를


근거로 재분류하였다.
2005년 개정 이전까지 카네기재단의 대학 유형 분류는 기본 분류에 그치고 있어 대학
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했고, 분류를 위한 자료도 최신 자료를 활용하지 못했으며, 대학
유형 분류가 박사학위수여대학과 나머지 대학들간의 경쟁을 촉발하여 대학을 서열화한다
는 비판을 받았다(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2001). 또
한, US News 미국대학순위평가 등에서 카네기재단의 분류 결과를 활용함에 따라 서열화
에 대한 비판이 계속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2005년 분류부터는 다양한 분
류 틀을 개발하였으며, 2010년 현재 모든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6개 분류 틀과 희망 대
학을 대상으로 하는 1개 분류 틀을 제시하고 있다.
모든 대학을 대상으로 하는 분류는 학부 프로그램 분류, 대학원 프로그램 분류, 입학자
특성에 따른 분류, 학부 특성에 www.earticle.net
따른 분류, 규모에 따른 분류, 기본 분류의 6가지 틀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대학을 분류하는 6개 틀 중 가장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것은 기본
분류로 대학을 2년제 대학과 4년제 이상 대학으로 구분한 후 각각을 다시 2단계에 걸쳐
구분하고 있다. 4년제 이상 대학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2010b).

- 박사수여대학(doctorate-granting universities): 연간 최소 20명의 연구박사학위를 수


여하는 대학으로 연구 활동 수준에 따라 3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 석사대학(master's colleges and universities): 연간 최소 50개의 석사학위를 수여하면
서 20개 미만의 박사학위를 수여하는 대학으로 규모에 따라 3개 유형으로 구분된
다.
- 학사대학(baccalaureate colleges): 전체 학부생 중 최소 10%의 학생들에게 학사 학
위를 수여하고, 50개 미만의 석사와 20개 미만의 박사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으로
전공과 수여 학위에 따라 3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 53 -
교육정치학연구 제 19집 제 2호

- 특수목적대학(special focus institutions): 학사 이상의 학위를 수여하되, 특정 분야 혹


은 특정 연계분야에 집중된 학위를 수여하는 대학으로 9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 부족대학(tribal colleges): 아메리카 원주민 고등교육 컨소시엄 회원대학이 해당된다.

4년제 이상 대학의 전체적 분류체계는 [그림 1]과 같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그림 1] 카네기재단의 4년제 이상 고등교육기관 기본 분류 체계


* 출처: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2010). 2010 Classification Logic. p.8.

www.earticle.net
나. 카네기재단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2000년에 이루어진 연구중심대학 분류에서 카네기재단은 박사학위를 부여하는 학문분


야의 수와 박사학위 수여자 수에 근거하여 박사/연구중심대학—광범위(15개 분야 박사 50
명 이상 배출)와 박사/연구중심대학-집중(3개 이상의 분야에서 박사 10명 이상 배출 또는
전체적으로 박사 20명 이상 배출)으로 연구중심대학을 구분하였다. 2005년 분류부터는 연
구비 규모를 반영하기 시작했으며, 2010년 분류는 2005년의 분류 방법의 틀은 그대로 유
지하되 분류에 사용되는 통계자료를 최신 자료로 갱신하고 분석기법을 일부 변경하였다.
2010년 분류에서 카네기재단은 박사학위 수여대학을 연구활동 수준에 따라 3가지 유형
으로 구분하고 있다. 유형 구분을 위하여 먼저 미국과학재단(NSF)과 고등교육통계시스템
(IPEDS)에서 수집한 자료를 근거로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s analysis)을 활용하여
종합적 연구활동 수준(aggregate level of research activity), 개인당 연구활동 수준

- 54 -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per-capita research activity)이라는 두 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종합적 연구활동 수준에


는 1) 과학 및 공학 분야 연구개발 지출, 2) 과학 및 공학을 제외한 분야의 연구개발 지
출, 3) 과학 및 공학 분야 연구 인력, 4) 인문학분야 박사학위 수여자 수, 5) 사회과학 분
야 박사학위 수여자 수, 6)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분야 박
사학위 수여자 수, 7) 기타 분야(상경, 교육, 행정, 사회사업 등) 박사학위 수여자 수의 7
개 지표가 포함되었고, 개인당 연구활동 수준에는 1) 과학 및 공학 분야 전임교수 당 연
구개발 지출, 2) 과학 및 공학 분야가 아닌 분야의 전임교수당 연구개발 지출, 3)과학 및
공학분야의 전임교수당 연구개발 인력의 3개 지표가 포함되었다. 분석에 포함된 대학은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연간 20명 이상의 연구박사학위(research doctorate)를 수여하는 대학이며 전문직 박사학


위(J.D., M.D., Pharm.D., Aud.D., DNP 등)는 제외하였다. 분석에 앞서 가외치(outlier)의 영
향을 줄이고 많은 기관들이 분포해 있는 낮은 점수대의 변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각 지표
의 통계치는 순위로 대체하였다.
주성분분석의 요인부하량을 바탕으로 두 요인 각각에 대하여 해당 요인에 포함된 지표
들의 값을 종합하여 대표값을 산출한 후 표준점수로 전환하였다. 산출된 표준점수를 종
합적 연구활동 수준 및 개인당 연구활동 수준의 두 개 축에 위치시킨 후 두 요인의 최소
값이 만나는 지점을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각 대학들에 대하여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였다. 거리를 표준점수로 전환하였으며, 거리의 표준점수가 0.25이상인 경우 매우
활발한 연구중심대학, -1.15이상이며 0.25미만인 경우 활발한 연구중심대학, -1.15미만인
경우 박사/연구대학으로 분류하였다.
www.earticle.net
이러한 과정을 통해 분류된 박사학위 수여대학의 기본 현황은 <표 1>과 같다. 연구중심
대학은 1)과 2)를 의미한다. 2009년 기준으로 2,714개의 4년제 이상 미국 대학 중 연구중
심대학은 206개로 7.6%이다.

<표 1> 미국 박사학위 수여대학의 대학 수 및 등록생 수 현황


(2009년 가을 기준)
유형 대학수(개) 등록생수(명) 평균등록생수(명)
1) 연구중심대학(매우 활발한 연구 활동) 108 2,809,581 26,015
Research Universities (very high research activity)
2) 연구중심대학(활발한 연구 활동)
Research Universities (high research activity) 98 1,739,837 17,753
3) 박사/연구대학 89 1,226,204 13,778
Doctoral/Research Universities
* 출처: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2010). Basic Classification의 ‘Distribution of
Institutions and enrollments by classification category’에서 일부 발췌함.

- 55 -
교육정치학연구 제 19집 제 2호

연구중심대학 중 일부는 미국대학연합(Association of American Universities, AAU)에 가


입되어 있다. 미국대학연합은 미국과 캐나다의 61개 연구중심대학들의 협의체로서, 기존
회원들의 3/4의 승인을 받아 가입되며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에서 대학교육을 선도하는
대학을 대상으로 한다.
QS의 세계대학평가, THE-톰슨로이터의 세계연구중심대학평가, 상하이-자이통대학의 세
계학술역량평가 등에서 우수 대학 발표 명단에 포함되는 대학은 대부분 연구중심대학이
며, 2010년 QS의 세계대학평가의 경우 200위내에 포함된 미국 대학들은 1개 대학(박사/연
구대학)을 제외하고는 모두 연구중심대학에 속하는 대학들이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다. 카네기재단 연구중심대학 분류의 특징

카네기재단의 연구중심대학 분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상대적 기준에 의해 분류된다. 기본적으로 연간 20명 이상의 연구박사학위를 수
여해야 한다는 절대적 기준은 있지만, 이후 연구중심대학으로 분류되는 상위 2개 집단은
분석에 포함된 지표들의 상대적 수준을 나타내는 표준점수에 근거하여 산출된다.
둘째, 종합적 연구역량과 개인당 연구역량을 동시에 고려하여 판단한다. 종합적 연구역
량과 개인당 연구역량의 최소값으로부터 각 대학 좌표까지의 이차원상의 거리를 활용하
여 두 요인이 종합적으로 반영되도록 하고 있다.
세째, 연구중심대학 구분을 위해 연구개발비 지출 규모와 연구인력 규모와 관련된 변인
을 활용하며, 연구실적과 관련된www.earticle.net
변인은 활용하지 않고 있다. 카네기재단은 이와 관련하
여 본 분류는 연구활동의 정도에 따른 분류로서 연구의 질과 중요도를 나타내지는 않으
며 대학간 비교나 순위산출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합당하지 않다는 것을 밝히
고 있다(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2011).
네째, 과학 및 공학 분야 연구활동이 사실상 연구중심대학 판정 여부를 결정한다. 각
요인별로 해당 지표들을 통합할 때 요인부하량이 가중치로 활용되는데 종합적 연구활동
수준 요인에 포함된 7개 지표 중 과학 및 공학분야 지표가 모두 상위에 있으며 기타 분
야(상경, 교육, 행정, 사회사업 등) 박사학위 수여자 수의 요인부하량은 0.619로 가장 낮
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개인당 연구수준 요인에 포함된 3개 지표 중 과학 및 공학 분야
가 아닌 분야의 개인당 연구개발비 지출액의 요인부하량도 0.673으로 상대적으로 낮다.
다섯째, 카네기재단의 연구중심대학 분류는 기관을 단위로 하고 있다. 따라서 분야별로
뛰어난 연구활동을 보이는 대학을 발굴하는데 한계가 있다.

- 56 -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3. 한국의 연구중심 대학 분류

가. 대학 유형 분류 관련 연구 동향

국내에서는 1990년대 초부터 대학의 특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학의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장회익 외(1995)는 대학의 유형 분류 기준으로 목적에 따른 분류, 교육단계에 따른 분
류, 교육방식에 따른 분류 등을 제시하고 이 기준에 따라 1) 학부중심의 직업지향 교육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관, 2) 대학원중심의 직업지향 교육기관, 3) 학부중심의 학문지향 교육기관, 4) 대학원중


심의 학문지향 교육기관의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4가지 유형 중 연
구중심대학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2)유형과 4)유형의 대학들로 보았다.
이현청(1996)은 대학 추구하고 있는 기능적 특성에 따라 연구와 교육의 비중에 따라 대
학을 1) 대학원 중심대학, 2) 대학원 병설대학, 3) 학부 중심대학, 4) 산업대학 및 교육대
학으로 구분하였다.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의 민철구 등(1997)은 이공계 대학연구의 활성화
방안 중 하나로 대학 특성화를 거론하고 각 대학들을 1) 연구중심 단설대학원, 2) 대규모
대학원 위주의 연구중심대학, 3) 대학원병설 교육중심대학, 4) 학부위주 교육중심대학, 5)
기술중심대학 등으로 분류하였다.
교육인적자원부(2005)는 카네기재단의 2000년 대학 분류기준을 참고하여 대학을 기능과
소재지별로 6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중 연구중심대학과 관련된 기준은 다음과 같다.
www.earticle.net
- 연구중심Ⅰ: 아래 기준을 6개 이상 충족하는 대학
- 연구중심Ⅱ: 아래 기준을 3개 이상 충족하는 대학

1) SCI급 논문수 2003년 기준 250편 이상, 2) 전임교원 1인당 논문수 0.8편 이상, 3)
논문 피인용 횟수 150회 이상, 4) 전임교원 1인당 피인용 횟수 0.4회 이상,
5) 박사재학생수 300명 이상, 6) 석박사비율 0.25이상,
7) BK21 사업 15억원 이상 지원, 8) 전체 재정지원 100억원 이상 지원

이 기준에 따라 연구중심Ⅰ로 분류된 대학은 12개교, 연구중심Ⅱ로 분류된 대학은 16개


교였다. 연구중심Ⅰ과 연구중심Ⅱ는 각각 특정분야에 연구역량이 뛰어난 ‘집중’과 전
반적으로 뛰어난 ‘종합’으로 구분되었다.
변도영(2005)은 특성화범위(종합, 특화)와 특성화 방향기반(교육, 연구)을 기준으로 4가
지 대학 유형을 제안하였다. 전승준 외(2005)는 기능과 역할에 따라 직업교육을 지향하는

- 57 -
교육정치학연구 제 19집 제 2호

학부중심대학, 학문 지향의 학부중심대학, 직업교육을 지향하는 대학원중심대학, 연구 지


향의 대학원중심대학으로 구분하였다. 삼성경제연구소(2006)는 대학의 목적(연구/교육), 학
문범위별(광범위/집중), 지역범위별(전국/지역)로 대학특성화모형을 구분하고 각 유형에 해
당되는 대학을 1개~2개씩 소개하였다.
민철구 외(2008)는 대학을 교육기능, 연구기능, 사회봉사 기능의 비중에 따라 1) 연구
중심 단설대학원(연구기능 80%, 교육기능 20%), 2) 대규모 대학원 위주의 연구중심 대학
(연구기능 60%, 대학원생 수가 학부생보다 많음), 3) 대학원 병설 교육중심대학(연구기능
30%, 교육기능 60%, 사회봉사 10%), 4) 학부위주 교육중심대학(연구기능 10%, 교육기능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70%, 사회봉사 20%), 5) 기술중심대학(연구기능 10%, 교육기능 60%, 사회봉사 30%)의 다


섯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나. 국내 대학 유형 분류의 특징

국내에서도 대학의 특성화 유도 및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목적으로 대학 유형 분류 연


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었으며 대학 특성화 정책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한편으로 다음과 같은 한계도 가지고 있다.
첫째, 국내 대학유형 분류 관련 연구들은 정부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
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국내 대학들을 실제 분류한 경우는 교육인적자원부(2005)의 연구
를 제외하고는 드물다. 나머지 연구는 대부분 각 유형에 속하는 대표적인 대학을 1~2개
www.earticle.net
예시하거나 실제 적용은 하지 않고 있다. 이는 분류기준으로 제시한 지표들이 객관적 통
계치를 포함하기도 하지만 정성적 판단을 요하는 지표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대학원이 제한적으로 설립되어 있는 미국과 달리 한국은 대부분의 대학이 대학원
을 설립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국 카네기재단의 분류를 직접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한 예로 한혜영(2005)은 연구중심대학의 도서관지식 관리 수준 비교 연구에서 카네기재단
의 기본분류 모형(2000년판)을 근거로 한국의 연구중심대학을 분류한 결과 2004년 4월 1
일 기준으로 195개 4년제 대학 중 38개는 연구중심대학(광범위)에 37개는 연구중심대학
(집중)으로 분류되어 38.5%가 연구중심대학에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08년 가
을 학기를 기준으로 미국 4년제 이상 대학들 중 연구중심대학은 7.9%라는 통계에 비추어
볼 때 매우 높은 수치이다. 따라서 미국 카네기재단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기준을 한국에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연구중심대학에 대한 적절한 분류기준이 없으므로 한국에서 연구중심대학의 의미

- 58 -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는 ‘각종 세계대학평가에서 일정 순위 이내에 포함되는 대학’이라는 인식이 강하며 연


구중심대학을 표방하는 대학들은 세계대학평가에서 좋은 등수를 받기 위해 경쟁 중이다.
넷째, 최근 정부의 연구중심대학 정책은 BK21사업이나 WCU사업에서 보듯이 이공계 중
심, 학문분야 단위로 이루어졌지만 국내에서 연구중심대학의 용어는 특성화 분야 중심의
연구중심대학이라는 인식과 함께 대학 전체 단위의 연구중심대학이라는 인식도 강하다.
언론이나 일상적인 대화 속에서 연구중심대학은 대학 전체를 의미하는 경우가 보편적이
다. 이는 BK21사업이나 WCU사업에 참여하는 대학들이 대학원 규모나 전반적인 연구역
량 면에서 상위권에 속하는 대학이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Ⅲ.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1. 분석의 기본 원칙

연구중심대학의 분류를 위한 자료 분석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첫째, 분석에는 대학원 중 일반대학원만을 포함하였다.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근거하면
대학원은 교육목적에 따라서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 특수대학원으로 구분된다. 이중 학
문의 기초이론과 고도의 학술연구를 주된 교육목적으로 하는 대학원은 일반대학원이며,
전문대학원은 전문 직업분야의 인력양성에 필요한 실천적 이론의 적용과 연구개발을 주
www.earticle.net
된 교육목적으로 하고, 특수대학원은 직업인 또는 일반 성인을 위한 계속교육을 주된 교
육목적으로 하므로 학술연구를 주목적으로 하는 일반대학원만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전
승준 외(2005)는 연구중심대학 분류시 전문대학원을 포함할 것을 제안하고 있는데, 대학
정보공시제에서는 전문대학원을 포함한 대학원의 교원 및 연구 현황은 별도로 조사하지
않고 학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졸업생이 배출되지 않는 전문대학원도 많다. 따라서 전문
대학원은 일정 기간 경과 후 후속연구에서 포함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둘째, 대학정보공시제에서 취득가능한 지표를 활용하였다. 분류를 위해 다양한 지표를
활용할 수 있으나 획득이 용이하고 객관적으로 검증된 자료를 활용하기 위해서 대학정보
공시제 자료만을 활용하였다. 대학정보공시제의 경우 연구의 질과 관련된 지표는 없으나
연구의 양과 관련되어서는 비교적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박사학위 수여자를 연간 30명 이상 배출하는 대학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카네기재단의 분류와 같이 일차적으로 박사학위수여대학을 구분하고 이중 연구활동이 뛰

- 59 -
교육정치학연구 제 19집 제 2호

어난 대학을 연구중심대학으로 분류하였다. 카네기재단의 경우 박사학위 배출자가 20명


이상인 경우 박사학위수여대학으로 분류하고 있지만 각 대학에서 수여하는 학위를 확인
하여 전문학위는 제외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1.5배에 해당하는 30명을 박사학위수여
대학의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우리나라 4년제 대학 중 68개가 이에 해당되었다.
넷째, 모든 지표는 인문사회계 및 이공계, 총량 및 개인당 역량으로 나누어 분석하였
다.인문사회계와 이공계는 제반 연구여건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각각의 특성이 반영되어
야 하며, 연구중심대학의 연구역량은 총량과 개인당 역량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취
지에 근거한 것이다. 단 박사학위 배출자의 경우 총량 및 개인당 역량으로 구분하지는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않았다.
다섯째, 예체능계는 제외하였으며 의학계는 이공계에 포함하였다. 예체능계의 경우 연
구논문 집계 방식이 다양하여 객관적 비교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여섯째, 논문발표 실적에는 SCI급 논문만을 포함하였다. 대학정보공시에서는 SCI급 논
문에 이공계열의 경우 SCI 및 SCIE에 게재한 논문,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사회과학은
SSCI, 인문예술은 A&HCI 및 SCOPUS 등에 게재한 논문, 국내에서 발행되는 SCI급
/SCOPUS 학술지 게재 논문을 포함하고 있다. 대학정보공시제의 2011학년도 연구실적을
기준으로 분석에 포함된 68개 대학의 국내전문학술지 이상의 논문실적과 SCI급 학술지
논문실적의 상관은 r=.76(p=.000)으로 매우 높게 나타나, 요인분석을 위해서는 두 변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타당하며 어떤 변인을 선택해도 연구결과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어 본 연구에서는 이공계와의 균형을 위해 인문사회계도 SCI급 논문
만을 포함하였다. 교과부(2005)의 www.earticle.net
연구도 SCI급 논문만을 포함하고 있다.

2. 분석 절차 및 방법

본 연구는 기본적으로 카네기재단의 2010년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법을 기본으로 한국


의 상황을 고려하여 수정 적용하였다. 대표적으로 1) 분류 지표, 2) 가외치의 영향력을 줄
이기 위한 점수전환 방법, 3) 연구중심대학을 결정하기 위한 구분점(cut-off point) 설정
방법이다. 카네기재단도 자신들이 객관적으로 확보가능한 자료의 수준을 고려하여 분류
모형을 설정하였고, 상황에 따라 재조정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 2011).

- 60 -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가. 분석 대상 및 자료

분석에 활용된 자료는 2011년도 대학정보공시제자료이며 구체적인 항목은 다음과 같다.

- 학부: 4-마. 재적학생 현황, 7-가. 국내외학술지 게재논문 실적, 11-가. 연구비 수혜실적
- 대학원: 4-마. 재적 학생 현황, 5-가. 졸업생 현황(일반대학원만 포함)

국내 4년제 대학 중 예체능계를 제외하고 대학원 재학생이 있는 대학은 168개 대학이


었다. 이중 2011학년도를 기준으로 박사학위 배출자가 30명 이상인 68개 대학을 분석에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포함하였다. 다만, 광주과학기술원은 타 대학에 비해 대학원생 대비 학부생 규모가 매우


작아 분석결과의 왜곡을 초래하여 제외하였다.

나. 분석 절차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 절차를 통해 이루어졌다.


첫째, 분석에 포함될 지표를 선정하였다. 지표는 선행연구에서 연구중심대학 분류 또는
대학유형 분류 관련 연구에서 활용된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선정하였다. 분석시
정보공시제를 통한 확보가능성을 고려하였다.
둘째, 자료를 재구조화하였다. 척도 일치를 위하여 모든 자료는 지표 단위로 T-점수로
변환하였으며, 가외치에 의한 영향력을 줄이기 위하여 자연로그를 적용하였다. T-점수 분
포는 원점수 분포를 승계하므로 원점수를 T-점수로 변환하는 것만으로는 가외치에 따른
www.earticle.net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가외치 영향 감소 방법은 QS의 세계대학평
가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카네기재단의 경우 가외치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원자료를
순위로 변환하고, 교육역량평가에서는 T-점수값이 80초과인 경우 80으로, 20미만인 경우
20으로 치환하며, 중앙일보 대학평가의 경우 자체적으로 개발한 선형변환공식을 적용하
고 있다(이영학, 2011).
셋째, 요인분석을 통해 분석에 포함된 지표를 연관성이 높은 지표군(요인)으로 묶고 각
각의 요인에 포함된 지표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요인별 명칭을 부여하였다.
넷째, 각 대학별로 추출된 요인들의 통계치를 산출하였다. 각 요인에 포함된 지표들의
요인부하량을 가중치로 활용하여 지표값과 곱한 후 평균을 산출하여 요인의 통계치로 설
정하였다. 따라서 각 요인들의 통계치는 해당 요인에 포함된 지표들의 대표값이 된다. 이
과정에서 평균 산출시 해당 계열에 속하는 대학원이 없어 지표값이 산출되지 못하는 경
우 분모 개수에서 제외하여 특정 계열 대학원만이 설치된 경우를 반영하였다. 요인별 척

- 61 -
교육정치학연구 제 19집 제 2호

도일치를 위하여 산출된 요인별 통계치들은 표준점수로 변환하였다.


다섯째, 추출된 요인들을 축으로 형성된 다차원 공간 좌표상에서, 각 요인별 통계치의
최소값이 형성하는 좌표를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기준점에서 각 대학별 좌표까지의 거리
를 산출하였다. 기준점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연구역량이 우수한 대학으로 판정된다.
여섯째, 거리를 기준으로 구분점을 설정하고 이를 상회하는 대학을 연구중심대학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중심대학을 판별하는 구분점을 설정하는 것은 이론적인 접근과 경험적
접근이 가능하다. 연구중심대학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이를 만족하는 통계적 조건이 제
시되지 않은 한 이론적 접근은 어렵다. 카네기재단의 구분점도 경험적 접근을 시도하고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경험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경험적 접근은 선행 연구 등을


참조하여 연구중심대학으로 판정된 대학의 비율을 참고하거나 변곡점을 구분점으로 활용
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3. 분석 결과

가. 분류 지표 설정

연구중심대학의 분류를 위해 사용된 지표는 <표 2>와 같다. 객관적 지표에 의해 대학


유형을 구분하고자 한 교육인적자원부(2005), 카네기재단(2010)의 연구 및 분류에 대한 이
론적 틀을 제안한 전승준(2005)의 연구에서 활용한 지표들을 총량 지표와 개인당 지표로
구분하여 추출한 후, 3개 연구 중 2개 연구 이상에서 제안되었고 대학정보공시제에서 추
www.earticle.net
출 가능한 지표만을 선정하였다. 각각의 지표는 인문사회계와 이공계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3개 연구에서 포함된 대부분의 분류지표들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교과부
(2005)와 비교시 논문피인용회수, BK21 사업비가 제외된 반면 연구비가 포함되었다. 카네
기재단(2010)의 분류에서 활용되는 지표는 모두 포함되었으며, 연구비가 추가되었다. 전승
준 외(2005)와 비교시 정부지원연구비, 노벨상 수상자 수, 대학예산, 교수수, 직원수, 급여
수준, 기숙사 수준이 제외되었다.

- 62 -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표 2> 연구중심대학 분류지표 산출 결과


대학
구분 교과부(2005) 카네기재단(2010) 전승준 외(2005) 정보 포함 지표
공시
SCI급 논문수(인문사회)
SCI급 논문수 SCI급 논문수 ◦
SCI급 논문수(이공)
연구개발비(과학・공학) ◦ 연구비(인문사회)
총연구비
연구개발비(과학・공학 제외) ◦ 연구비(이공)
정부지원연구비 ◦
논문 피인용 횟수 ×
박사학위 수여자 수(인문학)
총 박사학위 수여자 수(인문사회)
박사학위 수여자 수(사회과학)
량 박사재학생수 대학원생 수 ◦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박사학위 수여자 수(STEM)


박사학위 수여자 수(이공)
지 박사학위 수여자 수(기타)
표 석박사비율 학부생 대비 대학원생 비율(인문사회)

학부학생 수 학부생 대비 대학원생 비율(이공)
BK21 사업비 ×
국가 재정지원액
노벨상 수상자 수 ×
대학예산, 교수수,
직원수, 급여수준, ◦
기숙사
교수당 SCI급 논문수(인문사회)
교수당 논문수 교수당 논문수 ◦
교수당 SCI급 논문수(이공)
개 교수당 피인용 수 ×
인 교수당 학부학생수 ◦
당 전임교수 당 연구개발비
(과학 및 공학) ◦ 교수당 연구비(인문사회)
지 교수당 연구비
전임교수당 연구개발비 ◦ 교수당 연구비(이공)
표 (과학 및 공학 제외)
전임교수당 연구개발www.earticle.net
인력 교수당 대학원생수 ◦
교수당 대학원생 수(인문사회)
(과학 및 공학) 교수당 대학원생 수(이공)

나. 기초 통계

분석에 포함된 67개 대학의 분류지표에 대한 기초 통계치는 <표 3>과 같다. <표 3>에
서 보듯이 모든 분석지표에서 대학간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표 3> 연구중심대학 분류지표별 기초 통계


지표명(단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①연구비(인문사회계) (천원) 65 5,451,618.02 6,661,178.43 269,746.00 41,756,851.00
②연구비(이공계) (천원) 67 51,388,089.09 71,030,429.58 8,000.00 446,346,022.00
③SCI급 논문수(인문사회계) (편) 64 11.62 17.83 .40 97.20
④SCI급 논문수(이공계) (편) 67 223.72 287.48 1.00 1,692.70
⑤박사학위 수여자(인문사회계) (명) 65 44.52 37.94 2.00 179.00

- 63 -
교육정치학연구 제 19집 제 2호

<표 3> 연구중심대학 분류지표별 기초 통계 (계속)


지표명(단위)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⑥박사학위 수여자(이공계) (명) 67 99.40 135.97 8.00 851.00
⑦학부생 대비 대학원생 비율(인문사회계) (%) 65 9.11 7.30 2.04 40.43
⑧학부생 대비 대학원생 비율(이공계) (%) 66 16.34 24.13 1.72 138.50
⑨교수당 연구비(인문사회계) (천원) 65 21,510.22 14,486.21 3,360.63 70,297.73
⑩교수당 연구비(이공계) (천원) 67 113,591.11 94,486.74 2,666.67 607,775.30
⑪교수당 SCI급 논문수(인문사회계) (편) 63 .04 .04 .00 .21
⑫교수당 SCI급 논문수(이공계) (편) 67 .46 .28 .05 1.28
⑬교수당 대학원생 수(인문사회계) (명) 65 2.26 1.03 .71 4.45
⑭교수당 대학원생 수(이공계) (명) 67 2.81 3.76 .50 30.67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다. 요인 추출

분석에 포함된 14개 변인을 대상으로 요인분석의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에 앞


서 분석절차 2단계에 명시한 바와 같이 자료를 재구조화하였다. 잠재적 요인수를 추출하
기 위하여 고유값, 누적분산퍼센트를 사용하였다.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고유값이
1.0 이상으로 유효한 요인은 2개이며, 누적분산비율은 77.984%로 나타났다.

<표 4> 14개 요인의 고유값 및 누적분산 비율


분산비율 누적 분산 분산비율 누적 분산
요인 고유값 (%) 비율(%) 요인 고유값 (%) 비율(%)
1 9.551 68.220 68.220 8 .167 1.195 98.192
2 1.367 9.764 77.984 9 .089 .638 98.831
3 .920 6.575 www.earticle.net
84.559 10 .074 .531 99.362
4 .583 4.161 88.720 11 .041 .295 99.656
5 .509 3.636 92.356 12 .027 .195 99.852
6 .399 2.852 95.208 13 .012 .085 99.937
7 .250 1.789 96.997 14 .009 .063 100.000

14개 지표에 대하여 요인수를 2개로 하여 요인분석한 결과는 <표 5>와 같다. 요인 추
출방법은 주성분분석을 활용했으며, 회전방법은 VARIMAX를 사용하였다.
요인을 구성하는 분류지표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요인1은 연구중심대학의 ‘성과’,
요인2는 연구중심대학의 ‘규모’로 설정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14개 지표는 요인부하량
이 모두 .600이상으로 유효하게 나타났으며 2개 요인에 각각 포함되었다. 연구중심대학의
분류 요인 중 ‘규모’는 투입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전승준 외(2005)는 한국형 연구중
심대학의 투입요소로 적합한 연구팀 및 연구환경을 산출요소로 경쟁력있는 졸업생 및 연구
업적을 제시하였는데, 본 연구의 분류 결과는 전승준 외(2005)의 제안과 공통점이 많다.

- 64 -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표 5> 14개 분류지표에 대한 2요인 모형의 회전 후 최종 요인 부하량


요인
분류지표 1 2
SCI급 논문수(인문사회계) .878 .290
SCI급 논문수(이공계) .878 .235
연구비(이공계) .877 .304
연구비(인문사회계) .864 .377
교수당 SCI급 논문수(이공계) .820 .244
박사학위 수여자(이공계) .805 .355
교수당 SCI급 논문수(인문사회계) .782 .256
박사학위 수여자(인문사회계) .704 .437
교수당 연구비(인문사회계) .688 .439
교수당 연구비(이공계) .685 .338
학부생 대비 대학원생 비율(인문사회계) .331 .901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학부생 대비 대학원생 비율(이공계) .265 .863


교수당 대학원생 수(인문사회계) .282 .858
교수당 대학원생 수(이공계) .628 .648

한편, 본 연구의 분류 결과는 카네기재단의 분류와는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첫째, 카네기 재단의 분류가 ‘연구활동 총량’과, ‘개인당 연구활동’의 두 개 요인
으로 구분되는 것에 비하여 본 연구의 분류는 ‘성과’와 ‘규모’로 분류되었다. 요인
의 구성은 분석대상의 현상을 반영하기 때문에 대상 집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요인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연구중심대학을 결정하는 배경은 미국가 차이가 있
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카네기 재단의 분류에서는 이공계 특히 STEM분야가 연구중심대학을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인인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인문사회학분야의 영향력도 중요한 것으
로 나타났다. <표 5>에서 보듯이 www.earticle.net
인문사회계 관련 지표들의 두 개의 요인에 대한 요인부
하량은 이공계 관련 지표들의 요인부하량과 큰 차이가 없다. 이는 우리나라의 소위 연구
중심을 지향하는 대학들이 특정 분야에 특성화되기보다는 인문사회계와 이공계가 모두
발달된 형태인 것을 반영한다고 할 것이다.

라. 연구중심대학 분류

추출된 2개 요인에 대하여 각 대학별 요인값을 산출하였다. 요인값은 각 요인에 포함


된 분석지표들의 요인부하량을 가중치로 적용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으며 산출된 값은
두 요인간 척도 일치를 위하여 각각 표준점수로 전환되었다. 분석 결과 규모요인의 표준
점수는 –1.45부터 2.92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성과요인의 표준점수는 –1.41부터 3.66 사이
에 분포하였다.

- 65 -
교육정치학연구 제 19집 제 2호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그림 2] 연구중심대학 분석 대상 대학의 규모 및 성과 표준값의 산포도

두 개 요인에 대한 각 대학별 통계치 산포도는 [그림 2]와 같다. [그림 2]에서 보듯이
연구중심대학의 규모요인과 성과요인은 강한 정적 상관(r=0.72, p=.000)을 보이고 있어 대
학원 규모가 큰 대학일수록 연구 성과 또한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두 요인을 각
각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1개 대학이 가외치로 판정
되어 연구중심대학에서 제외하였다. 제외된 1개 대학은 대학원 규모는 상대적으로 우수
www.earticle.net
하나 연구 성과가 낮은 경우이며, 대학원에 사범계 학과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거리상에
서 다른 대학들과 확실한 거리 차이를 보이는 5개 대학은 서울에 소재하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3개 대학과 지방에 소재하며 과학기술분야를 대표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2개 대학이다.
각 요인의 최소값으로 구성되는 좌표(-1.45, -1.41)를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각 대학별
좌표에서 기준점간의 거리를 산출한 후 이를 표준점수로 전환하였다. 표준점수는 –1.15부
터 3.30사이에 분포하고 있었다.
일차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거리에 대한 표준점수를 기준으로 0.50이상에 해당하는 대
학을 연구중심대학으로 선정하였다. 카네기재단 분류에서는 정규분포상에서 상위 40%에
해당되는 0.25점을 구분점으로 적용하였으나, 우리나라 대학들이 미국 대학에 비하여 대
학원 여건과 성과가 부족하다는 점과 거리의 분포가 편포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
여 정규분포상에서 상위 30%에 해당되는 0.50을 구분점으로 설정하였다.

- 66 -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그림 3]에서 보듯이 0.50을 적용한 경우 이에 인접하는 대학이 2개 존재하였다. 0.40를


적용할 경우 0.40이상 그룹과 0.4미만 그룹은 확실하게 구분이 된다. 거리 표준점수가
0.25~0.40 범위에 포함된 대학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단 구분의 명확성 중시
하여 0.40을 구분점으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해당되는 대학은 18개 대학이고 가외치에 해
당하는 1개 대학을 제외하면 총 17개 대학으로 전체 4년제 대학의 약 7.8%에 해당된다.
이들 대학을 지역별 및 설립별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표 6> 국내 연구중심대학 분류 결과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지역별
구분 계
수도권 지방
국립 1개 대학 4개 대학 5
설립별
사립 11개 대학 1개 대학 12
계 12 5 17

이상의 분류 결과를 교육인적자원부(2005)의 분류 결과와 비교하면, 연구중심I에 해당하


는 12개 대학은 모두 본 연구의 연구중심대학에 포함되며(광주과학기술원 포함하면 12개),
연구중심II에 해당되는 16개 대학 중 3개 대학, 교육/연구병행대학 중 3개 대학이 본 연구
의 연구중심대학에 포함되었다. 교육인적자원부(2005) 분류에서 연구중심Ⅱ에 해당된 대학
은 모두 16개 대학이었는데, 연구중심Ⅱ(특화) 영역에 포함된 6개 대학 중 1개 대학이, 연
구중심Ⅱ(종합) 영역에 포함된 10개 대학 중 2개 대학이 본 연구의 연구중심대학에 포함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인적자원부(2005)의 연구와 방법론적 차이도 있고 7년 동안 대
www.earticle.net
학 환경이 변화되었다는 점도 있지만 본 연구가 대학원이 설치된 전공 분야 전반에 걸쳐
연구역량이 우수한 대학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이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Ⅳ. 결론 및 제언

정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정책이 장기간 지속되어 왔고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최근


10년간 정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정책은 주로 학문 단위, 이공계 분야를 중심으로 진행
되었기 때문에 학문의 균형적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국내에
서 연구중심대학의 개념은 학문 단위와 함께 대학 단위의 분류 개념으로도 활발하게 사용
되고 있다는 점에서 대학 단위의 연구중심대학 분류는 정책 결정과 고등교육에 대한 대국
민 정보 제공의 측면에서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5년 교육인적자원부에 의한 대

- 67 -
교육정치학연구 제 19집 제 2호

학유형 분류 연구 이후 대학유형 및 연구중심대학에 대한 분류 연구는 드물었다. 또한 기


존에 제안된 대부분의 대학유형 분류방법은 이론적 접근이 우세하여 실제 적용에 어려움
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을 마련하고, 설정된 분류 방안
에 근거하여 연구중심대학을 분류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중심대학의 분류 방법 및 절차는 기본적으로 카네기재단의 방법론을 활용하였으나
분석에 포함된 지표, 가외치 효과 최소화 방법, 연구중심대학 판정을 위한 구분점은 한국
의 상황을 고려하여 적용하였다. 기존 국내 연구중심대학 또는 대학 유형 분류 방안과 비
교시 본 연구의 차별점은 우선, 기존 국내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연구는 접근방식이 논리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적 근거에 기반한 탑다운 방식이었고 실질적인 자료에 근거하기 보다는 이론적 접근이 우
세한 반면, 본 연구는 연구중심대학 분류만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자료에 근
거하여 ․경험적 접근에 기반한 버텀업 방식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국내에서 이루
어진 기존의 대학유형 분류의 대부분은 인문사회계와 이공계를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SCI급 연구실적과 연구비 실적 등이 우수한 이공계의 연구역량에 의해 연구중심대학이 결
정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본 연구는 분류에 포함된 모든 지표를 인문사회계와 이공계로
분리하여 각각의 특징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대학정보공시제 자료에 근
거하여 객관성이 높고 분류 절차가 비교적 단순하여 유사연구를 수행하기 쉽다. 예를 들
어 교육인적자원부(2005)의 분류는 6가지 분류지표에 근거하여 연구중심대학을 분류하는
데 각각의 지표별로 구분점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 본 연구는 다양한 분류지표를 동시에
역동적으로 분석하며 단일 구분점을 적용하고 있다.
www.earticle.net
본 연구의 과정에서 나타난 정부의 연구중심대학 정책에 대한 제안점으로는 우선, 연구
중심대학의 규모와 성과는 정비례하고 있으므로 연구중심대학으로 경쟁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교수 및 대학원생 확보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연구중
심대학에 대한 학부생 대비 대학원생 비율 증대 정책은 계속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부의 연구중심대학정책이 이공계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학문 발전의 불균형을 야기하고
있으므로 인문사회계에 대한 연구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정부의 고등교육정책과 지
원은 인문사회계외 이공계의 균형속에 이루어져야 하며 각종 평가시 인문사회계와 이공계
를 분리하여 반영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카네기재단의 대학 유형 분류
에 대한 비판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대학 유형 분류가 대학의 서열화를 의미하는 것이 되
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 특성화에 근거한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재정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 68 -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한계로는 본 연구의 결과는 연구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판별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어나 대학의 전반적인 서열을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 연구에
사용된 지표는 연구와 관련된 지표로 한정되었으며, 교육의 질과 관련된 지표는 없다. 또
한, 연구중심대학을 결정하는 구분점 설정에 있어 미국 대학과의 연구 역량 차이 및 분포
를 고려하고 성과와 규모 좌표상의 분포 모양을 고려하였으나 이론에 근거한 객관적 기준
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아울러, 본 연구는 대학원에 설치된 전공분야 전반에 걸쳐 연구역
량이 우수한 대학을 연구중심대학으로 판정하고 있으므로 특정 분야에서만 뛰어난 연구역
량을 보이는 대학원을 충분히 변별하지 못하고 있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본 연구에 따른 제언으로는 우선, 다양한 방법에 근거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전승


준 외(2005)는 연구중심대학 분류시 전문대학원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분
석에 포함된 지표를 다르게 설정할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중심대학의 규모 및 성
과 2개 요인과는 다른 분류 준거가 도출될 수 있을 것이며, 인문사회계의 연구실적을 SCI
급 논문으로 한정하지 않고 확대한다면 다른 결론을 도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대학원 전
공 규모가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를 제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구중심대학 분류에 포함
될 지표는 무엇보다도 정책적 목적에 따라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연구중
심대학의 역량을 국제적 수준의 대학들과 다양한 지표를 활용하여 비교해 볼 필요가 있
다. 본 연구에서 연구중심대학으로 판정된 17개 대학 중 상당수는 QS 및 톰슨-로이터 등
에 의한 세계대학평가에서 500위내에 포함되는 대학들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연구중심대
학 평가는 이공계와 인문사회계, 연구역량의 총량과 개인적 역량이 균형과 조화를 바탕으
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ww.earticle.net

- 69 -
교육정치학연구 제 19집 제 2호

참 고 문 헌

교육인적자원부(2005). 대학특성화추진방안. 교육인적자원부.


권욱현 외(2002). 세계수준의 연구중심대학 육성 및 성과관리 방향. 교육인적자원부.
민철구 외(2008). 대학 연구기능 활성화를 위한 교육 연구 연계. 과학기술정책연구회. ․
민철구 외(1997). 이공계 대학연구의 활성화방안.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변도영(2005). 대학특성화의 개념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삼성경제연구소(2006). 대학혁신과 경쟁력. 삼성경제연구소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이수정, 심현기(2009). 평생학습사회에서의 대학의 기능별 유형화 탐색 및 현황 분석. 교


육행정학연구, 27(4), pp.327-351.
이영학(2011). 대학순위평가의 점수산출방법 비교 연구. 교육종합연구, 9(2), pp.203-222.
이현청(1996). 21세기를 대비한 대학의 생존전략. 한양대 출판원.
전승준 외(2005). 연구중심대학 육성을 위한 기획 연구. 한국학술진행재단.
장회익 외(1995). 대학 기능 분화를 통한 대학 교육 다양화에 관한 연구. 교육부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06). 제2주기 대학종합평가 편람.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역(2009). 미국 대학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2007). A Brief Guide to U.S. Higher Education.
American Council on Education.
한혜영(2005). 연구중심대학의 도서관 지원과 연구경쟁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지, 39(4), pp.25-44. www.earticle.net
Alexander C. McCormick and Chun-Mei Zhao(2005). "Rethinking and Reframing the
Carnegie Classification,” Change, September-October 2005. pp.51-57.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2011). Basic Classification:
Analysis of Research Activity. http://classifications.carnegiefoundation.org/
downloads/Research_Activity_Index_2011CC.xls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2010a). 2010 Classification Logic.
http://classifications.carnegiefoundation.org/downloads/2010classifications_ logic.pdf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2010b). Basic Classification.
http://classifications. carnegiefoundation.org/methodology/basic.php
The Carnegie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eaching(2001). The Carnegie Classification
of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2000 Edition. ttp://classifications.
carnegiefoundation.org/downloads/2000_edition_data_printable.pdf

- 70 -
한국의 연구중심대학 분류 방안 연구

Abstract

A Study on Classification Method of


Research Universities of Korea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65.132.14.104 at Monday, January 22, 2024 10:55 AM

Lee, YoungHawk (DongEu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assification method of research universities

of Korea. For the purpos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and method of research

universities of Korea and USA were compar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research universities of Korea was separated to size of

research universities and outcome of research universities. The size factor contained

the size of graduate students per faculty and the ratio of graduate students to

undergraduates. The outcome factor contained the size of research paper, the size of

research paper per faculty, www.earticle.net


the size of research funding, the size of research funding

per faculty, the size of doctorate. These seven indicators are divided into the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 fields related indicator and the

humanities & social science related indicator(total 14 indicators).

The 17 Korean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to research universities based on two

factors.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of this study made a some difference to the study

result accomp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1995.

[key words] Research University, Higher Education, Classification, Carnegie

- 71 -

You might also like